KR20050079297A - 진동모터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진동모터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79297A
KR20050079297A KR1020040007469A KR20040007469A KR20050079297A KR 20050079297 A KR20050079297 A KR 20050079297A KR 1020040007469 A KR1020040007469 A KR 1020040007469A KR 20040007469 A KR20040007469 A KR 20040007469A KR 20050079297 A KR20050079297 A KR 200500792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bration motor
bearing
pcb
coil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074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성수
Original Assignee
문성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성수 filed Critical 문성수
Priority to KR10200400074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79297A/ko
Publication of KR200500792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79297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1/00Nestable, stackable or joinable containers;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2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 B65D21/0209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stackable or joined together one-upon-the-other in the upright or upside-down position
    • B65D21/0213Containers presenting a continuous stacking profile along the upper or lower edge of at least two opposite side 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20External fitt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e Of Motors, Gene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진동모터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PCB 어셈블리의 손상을 방지하고 베어링을 고정하기 위하여 베어링 및 분동을 미리 결합하는 베어링 및 분동의 결합단계; 상기 결합된 베어링 및 분동을 함께 사출하여 베어링 및 분동의 사출물을 형성하는 인서트 사출단계; PCB에 코일을 접착·고정하는 코일접착단계; 및 PCB 어셈블리 및 상기 사출물을 고정하여 완성품을 제조하는 고정단계를 포함하는 진동모터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진동모터의 제조방법{PREPARING METHOD FOR VIBRATION MOTOR}
본 발명은 진동모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PCB 기판상에 이루어지던 레지스터를 제거하고 이를 마그네트에 절연도장을 함으로서 쇼트방지는 물론 PCB 기능을 효율적으로 발현할 수 있는 에 쇼트방지 진동모터에 관한 것이다.
진동모터는 현대의 산업에서 다양한 분야에 응용되고 있다. 특히 통신기술의 발달과 더불어 개인휴대 무선통신기기에서 수신인지방법으로 응용되고 있다. 즉 오늘날의 개인휴대 무선통신기기(cellular phone, PDA 등)에서 수신 또는 착신기능을 수행하는 경우 일반적으로 벨, 멜로디, 진동, 점등방식이 사용되고 있으며 상기 벨 또는 멜로디 방식은 주위의 소음여부에 따라 인지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고 더 나아가 공공장소에서 더욱 그러하고 소음공해의 원인이 된다. 또한 점등방식은 개인기기를 항상 주시하고 있어야 하므로 인지에 문제가 있다. 그러므로 오늘날 통신기기에는 상기 방식들이 모두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병합되어 있고 진동인식방식은 인지기능면이나 환경면에서 가장 바람직하고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진동기능을 수행하는 진동모터는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샤프트에 편심지지되는 회전자를 편심회전시키므로서 이때 발생되는 회전자의 편심구동력에 의해 진동을 발생시키게 된다. 도 1은 종래방식의 진동모터의 단면도로서 최근 구조가 보다 간소화된 단상의 진동모터의 예이다. 단상의 진동모터는 하부하우징(110), 기판(120), 마그네트(130), 브러쉬(140)로 이루어진 고장자와 로터(150), 코일(152), PCB(160), 정류자(170)로 이루어진 회전자 및 상부하우징(180)과 베어링(190), 샤프트(192)로 이루어진다. 로터(150)에 형성되는 코일을 형성하여 이들 코일의 전유유동방향이 계속해서 교차변환되면서 로터와 PCB와 정류자가 일체로 결합되는 회전자가 지속적으로 회전하면서 진동을 유발토록 하는 것이다.
특히 브러쉬(140)와 교차 접속되는 다수의 세그먼트로 이루어지는 정류자(170)는 교대로 서로 다른 극성을 갖도록하여 항상 소정의 각도로 이격되도록 한 브러쉬와 서로 다른 극성을 가지면서 인접하고 있는 세그먼트가 상상 접속되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로터(150)의 회전시 브러쉬(140)와 접속되는 세그먼트는 순차적으로 바뀌면서 로터(150)에 구비되는 일 이상의 코일에의 극성을 계속 바뀌도록 하면서 전류의 유동방향을 전환시켜 지속적인 회전토크가 생성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구조의 진동모터는 상기 베어링을 고정하기 위하여 PCB, 코일, 분동이 접착되어진 상태에서 PCB와 코일 조립품을 함께 넣고 금형에 삽입한 후 인서트(insert) 사출방식에 의해 제조된다. 상기 인서트 사출방식에 의해 제조되는 진동모터는 인서트 사출시에 고온 및 고압으로 인하여 PCB에 손상을 주어 제품의 불량이 많이 발생한다는 결정적인 단점을 가지게 된다.
또한 코일 두께와 관련하여 코일 위로 사출물이 도포되거나 사출압에 의하여 코일 인선이 단선되는 현상이 발생되기도 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은 제품의 불량과 직결되므로 현재의 인서트 사출방식에 의해 제조되는 진동모터는 그 많큼의 생산성 저하 및 원가증가의 원인이 되어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할 수 있는 진동모터의 제조방법이 소망되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기존의 인서트 사출방식을 개선하여 사출 후에 PCB 어셈블리를 고정하여 PCB 손상 및 코일 단선을 최소화함으로서 생산성 및 전기적 특성이 개선된 진동모터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분동 및 베어링 사출물을 미리 제작한 후 PCB 어셈블리 공정에서 단순 조립만으로 완제품의 제조가 가능한 진동모터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진동모터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PCB 어셈블리의 손상을 방지하고 베어링을 고정하기 위하여 베어링 및 분동을 미리 결합하는 베어링 및 분동의 결합단계; 상기 결합된 베어링 및 분동을 함께 사출하여 베어링 및 분동의 사출물을 형성하는 인서트 사출단계; PCB에 코일을 접착·고정하는 코일접착단계; 및 PCB 어셈블리 및 상기 사출물을 고정하여 완성품을 제조하는 고정단계를 포함하는 진동모터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코일접착단계가 상기 단계들에 순차적으로 또는 인서트 사출단계와 별도로 이루어지는 진동모터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도면들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를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도 2a 내지 도 2e는 종래 진동모터의 제조단계를 실물사진으로 표현한 것이다. 도 3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모터에서 베어링 및 분동 인서트 사출물과 PCB가 결합되는 분해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모터의 제조단계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우선 도 2a 내지 도 2e에 나타난 것과 같이 종래 진동모터는 PCB 기판상에 분동을 분동접착단계(도 2a)를 거친 후 상기 기판의 미리 정해진 위치에 코일을 접착한 후 인선을 정리하는 코일접착단계(도 2b)가 수행된다. 그 후 저항 및 코일을 고정하며 고정방식은 일반적으로 납댐에 의한다(저항 및 코일고정단계, 도 2c). 그 후 금형에 베어링 및 PCB 어셈블리를 삽입하여 사출하는 인서트 사출단계(도 2d)를 거쳐 도 2e와 같은 최종 완제품이 제조된다.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PCB 어셈블리는 인서트 사출단계에서 베어링과 일체로 고정되는 장점은 있지만 사출시 발생되는 고온 및 고압에 의해 PCB의 손상이 발생되고 코일의 단선이 일어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PCB 또는 PCB 어셈블리(PCB에 코일이 형성된 것을 지칭한다)가 인서트 사출단계에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 방법을 제안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는 인서트 사출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PCB 어셈블리를 삽입하여 사출하지 않고, 베어링을 고정하기 위하여 베어링과 분동을 함께 삽입하여 사출하고 나서 PCB 어셈블리를 고정하는 방법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베어링 및 분동 인서트 사출물(310)과 PCB(320) 및 코일(330)이 결합되는 분해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모든 제조공정이 순차적으로 진행되는 것이 아니라 분할 방식으로 진행될 수 있다. 즉 베어링과 분동이 미리 결합하여 인서트 사출기에서 일체화 된다(결합단계, 사출단계) 그 이후에 또는 별도의 공정으로 PCB에 코일이 접착되는 단계를 거친다.(코일접착단계) 이러한 공정상 특정은 본 발명이 제조시 생산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는 원인이기도 하다. 상기 코일 등이 접착된 PCB 어셈블리와 분동이 결합된 베어링은 서로 고정되어 일체가 되는 PCB 어셈블리와 사출물의 고정단계를 거쳐 완성품이 제작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해 제조되는 진동모터에 있어서 PCB 어셈블리는 사출시 발생하는 사출물, 고온 및 고압의 영향을 전혀 받지 않은 채 제조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동모터는 베어링과 분동만을 사출하여 기존의 전기적 불량 및 PCB 면과 코일의 손상으로 발생되었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어 불량률이 적은 진동모터를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사출물을 미리 제조한 후 PCB 어셈블리 라인에서 바로 완제품을 제조할 수 있으므로 공정단축 및 생산성 향상이 크게 기대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의 일실시예에 따른 진동모터의 단면도.
도 2a 내지 도 2e는 종래 진동모터의 제조단계를 나타낸 실물사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모터에서 베어링 및 분동 인서트 사출물과 PCB가 결합되는 분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모터의 제조단계를 나타내는 흐름도.

Claims (2)

  1. 진동모터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PCB 어셈블리의 손상을 방지하고 베어링을 고정하기 위하여 베어링 및 분동을 미리 결합하는 베어링 및 분동의 결합단계;
    상기 결합된 베어링 및 분동을 함께 사출하여 베어링 및 분동의 사출물을 형성하는 인서트 사출단계;
    PCB에 코일을 접착·고정하는 코일접착단계; 및
    PCB 어셈블리 및 상기 사출물을 고정하여 완성품을 제조하는 고정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모터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접착단계는 상기 단계들에 순차적으로 또는 인서트 사출단계와 별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진동모터의 제조방법.
KR1020040007469A 2004-02-05 2004-02-05 진동모터의 제조방법 KR2005007929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7469A KR20050079297A (ko) 2004-02-05 2004-02-05 진동모터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7469A KR20050079297A (ko) 2004-02-05 2004-02-05 진동모터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9297A true KR20050079297A (ko) 2005-08-10

Family

ID=372662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07469A KR20050079297A (ko) 2004-02-05 2004-02-05 진동모터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79297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3420B1 (ko) * 2009-03-13 2009-10-23 주식회사 네오스코 편평형 진동모터의 회전자 제조방법
KR101141002B1 (ko) * 2009-07-28 2012-05-02 삼성전기주식회사 편평형 진동모터
KR101218793B1 (ko) * 2011-08-04 2013-01-09 자화전자(주) 진동 모터 회전자 및 제작 방법
KR20190123199A (ko) * 2018-04-23 2019-10-31 주식회사 오리엔텍 진동모터에 사용되는 로터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3420B1 (ko) * 2009-03-13 2009-10-23 주식회사 네오스코 편평형 진동모터의 회전자 제조방법
KR101141002B1 (ko) * 2009-07-28 2012-05-02 삼성전기주식회사 편평형 진동모터
KR101218793B1 (ko) * 2011-08-04 2013-01-09 자화전자(주) 진동 모터 회전자 및 제작 방법
KR20190123199A (ko) * 2018-04-23 2019-10-31 주식회사 오리엔텍 진동모터에 사용되는 로터 및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104169A (zh) 旋转电机以及转子的制造方法
US8076808B2 (en) Flat type vibration motor
JP2008109848A (ja) 電機子ユニット、電機子ユニットの製造方法、および、電機子ユニットを備えたモータおよびポンプ
JPWO2006129723A1 (ja) 電動機及びステータの製造方法並びに電動機の製造方法
JP3564299B2 (ja) アウタロータ形モータのステータ
US20180166958A1 (en) Stator unit, moto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tator unit
KR20050079297A (ko) 진동모터의 제조방법
JP2003285009A (ja) コインタイプ振動モーター
KR100986409B1 (ko) 진동자
KR100699412B1 (ko) 내부에 분동이 장착된 진동모터 및 그 제작방법
JP2004328955A (ja) 扁平型ロータ及びこのロータを有するモータ
KR20030077934A (ko) 코인타입 진동모터
KR100591191B1 (ko) 편평형 진동모터
KR101218793B1 (ko) 진동 모터 회전자 및 제작 방법
KR100464274B1 (ko) 편평형 진동모터의 회전자
JP2003230246A (ja) 防水型ブラシレスファンモータ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350675Y1 (ko) 쇼트방지 진동모터
KR100893036B1 (ko) 진동자
KR200306934Y1 (ko) 편평형 진동모터
JP2005218206A (ja) 偏心ロータおよびその偏心ロータを用いた振動モータ
KR100489831B1 (ko) 브러쉬리스타입 진동모터
CN212318194U (zh) 一种无刷燃油泵
KR101328326B1 (ko) 편평형 진동모터
KR200334912Y1 (ko) 코어리스 모터
JP3572484B2 (ja) 高密度部材を備えた偏心ロータと同ロータの製法及び同ロータを用いた扁平コアレス振動モー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