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28326B1 - 편평형 진동모터 - Google Patents

편평형 진동모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28326B1
KR101328326B1 KR1020110141639A KR20110141639A KR101328326B1 KR 101328326 B1 KR101328326 B1 KR 101328326B1 KR 1020110141639 A KR1020110141639 A KR 1020110141639A KR 20110141639 A KR20110141639 A KR 20110141639A KR 101328326 B1 KR101328326 B1 KR 1013283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trate
holder
winding coil
rotor
vibration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416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74832A (ko
Inventor
김용태
박경수
문동수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416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28326B1/ko
Priority to US13/709,581 priority patent/US9059609B2/en
Priority to CN201210548301.9A priority patent/CN103178649B/zh
Publication of KR201300748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748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83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83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3/00Mo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 H02K33/16Mo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with polarised armatures moving in alternate directions by reversal or energisation of a single coil system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6Means for converting reciprocating motion into rotary motion or vice versa
    • H02K7/065Electromechanical oscillators; Vibrating magnetic driv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6Means for converting reciprocating motion into rotary motion or vice versa
    • H02K7/061Means for converting reciprocating motion into rotary motion or vice versa using rotary unbalanced masses
    • H02K7/063Means for converting reciprocating motion into rotary motion or vice versa using rotary unbalanced masses integrally combined with motor parts, e.g. motors with eccentric ro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1/00Structural association of dynamo-electric machines with electric components or with devices for shielding, monitoring or protec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12Impregnating, heating or drying of windings, stators, rotors or machin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00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06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 H02K1/22Rotating part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28Means for mounting or fastening rotating magnetic parts on to, or to, the rotor structures
    • H02K1/30Means for mounting or fastening rotating magnetic parts on to, or to, the rotor structures using intermediate parts, e.g. spid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2211/00Specific aspect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relating to measuring or protective devices or electric components
    • H02K2211/03Machines characterised by circuit boards, e.g. pcb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otor Or Generator Frames (AREA)
  • Apparatuses For Generation Of Mechanical Vibrations (AREA)
  • Dc Machiner (AREA)
  • Connection Of Motors, Electrical Generators, Mechanical Device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출물의 사출 과정에서 사출 버(burr)가 발생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편평형 진동모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편평형 진동모터는, 권선코일과, 일면에 상기 권선코일이 배치되고 상기 권선코일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회로 패턴이 형성되며 내부에 관통홀이 형성된 제1 기판과, 상기 권선코일과 이격되어 배치되고 사출 성형을 통해 상기 제1 기판에 결합되며 내부에 베어링이 삽입되는 홈을 구비하는 홀더를 포함하는 회전자; 상기 회전자가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베어링에 결합되며 상기 회전자의 회전축을 형성하는 샤프트;를 포함하며, 상기 회로 패턴은 상기 홀더의 외형을 따라 형성되는 밀폐용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편평형 진동모터{VIBRATION MOTOR OF FLAT TYPE}
본 발명은 편평형 진동모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출물의 사출 과정에서 사출 버(burr)가 발생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편평형 진동모터에 관한 것이다.
휴대전화, 게임기, 휴대 정보 단말기 등 휴대용 전자기기에 있어 외부 음향에 의해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다양한 형태의 진동 발생 장치가 휴대용 전자기기에 장착된다.
그리고, 일반적으로 편평형 진동모터는 단소화 및 경량화, 그리고 슬림화한 상태에서도 진동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으므로 주로 휴대용 단말기의 착신수단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한편, 최근에는 휴대용 단말기의 표시장치인 스크린에 표시되는 문자나 기타 메뉴를 손 또는 펜으로 접촉시켜 간단히 신호를 입력 처리하는 터치 스크린이 많이 채용되고 있다.
그리고, 상기한 휴대용 단말기의 스크린 터치시 터치감을 사용자가 느낄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진동발생장치가 휴대용 단말기에 설치된다.
이러한 진동발생장치는 그 진동원(vibration source)으로 다양한 타입의 진동모터를 사용하고 있는데, 상기 진동모터는 그 형상에 따라 편평형(flat type)과 실린더형(cylinder type)으로 구분되며 브러시의 유무에 따라 브러시 타입(brush type)과 브러시리스 타입(brushless type)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이들 중 브러시 타입의 편평형 진동모터는 두께를 얇게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여 휴대폰의 소형화에 유리하다는 장점이 있기 때문에 현재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편평형 진동모터는 기판 상에 코일과 중량체가 편심으로 배치된 회전자를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며 진동을 발생시킨다. 이때, 회전축과 회전자는 기판에 형성되는 수지 재질의 홀더에 의해 결합된다.
이러한 홀더는 사출 성형을 통해 기판에 체결될 수 있다. 그런데, 종래의 편평형 진동모터는 이러한 홀더를 형성하는 사출 과정에서 사출물이 금형의 외부로 흘러나오는 문제가 있다. 이는 즉, 기판에 형성된 회로 패턴으로 인해 기판과 금형이 맞물리는 부분에 틈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틈을 통해 금형의 외부로 흘러나온 사출물은 기판 전체적으로 확산되기 때문에, 기판과 코일이나 중량체 사이에 개재되어 코일이나 중량체가 정확한 위치에 안착되는 것을 방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하게 된다.
따라서, 사출물의 누출을 억제할 수 있는 편평형 진동모터의 구조가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국특허공개공보 제2011-0011417호
본 발명의 제조 과정에서 사출물이 금형의 외부로 누출되어 기판 상에 확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편평형 진동 모터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편평형 진동모터는, 권선코일과, 일면에 상기 권선코일이 배치되고 상기 권선코일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회로 패턴이 형성되며 내부에 관통홀이 형성된 제1 기판과, 상기 권선코일과 이격되어 배치되고 사출 성형을 통해 상기 제1 기판에 결합되며 내부에 베어링이 삽입되는 홈을 구비하는 홀더를 포함하는 회전자; 상기 회전자가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베어링에 결합되며 상기 회전자의 회전축을 형성하는 샤프트;를 포함하며, 상기 회로 패턴은 상기 홀더의 외형을 따라 형성되는 밀폐용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회전자는, 상기 제1 기판의 일면에 편심되게 부착되는 중량체를 포함할 수 있다.
삭제
본 실시예에 있어서, 중앙에 상기 샤프트가 고정되고 상면에 제2 기판과 마그네트가 부착되는 브라켓; 상기 브라켓의 상부를 덮으며 내부공간을 마련하는 케이스; 및 일단이 상기 제2 기판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회전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브러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홀더는, 상기 제1 기판의 일부단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 기판의 측면을 감싸며 상기 제1 기판과 결합될 수 있다.
삭제
삭제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편평형 진동모터는, 권선코일; 일면에 상기 권선코일이 배치되고 상기 권선코일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회로 패턴이 형성되며 내부에 관통홀이 형성된 제1 기판; 및 상기 권선코일과 이격되어 배치되고, 사출 성형을 통해 상기 제1 기판에 결합되며 내부에 베어링이 삽입되는 홈을 구비하는 홀더;를 포함하며, 상기 회로 패턴은 상기 홀더와 상기 제1 기판의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홀더의 외형을 따라 일부가 상기 홀더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편평형 진동모터는 사출 공정을 통해 상부기판에 홀더를 먼저 형성한 후, 권선코일 및 베어링을 부착하기 때문에, 높은 사출온도와 사출압에 의해 권선코일이나 베어링이 파손되거나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홀더가 상부기판의 전체 영역에 걸쳐 형성되지 않고, 베어링이 고정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최소한의 크기로 형성되므로, 재료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부기판의 회로 패턴은 홀더의 외형에 대응하는 형태로 형성된다. 따라서, 홀더의 사출 과정에서 금형이 상부기판의 회로 패턴과 견고하게 맞물리게 되므로, 상부기판과 금형 사이에는 틈이 형성되지 않으며, 이에 사출 과정에서 사출물이 금형의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편평형 진동모터의 단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편평형 진동모터의 회전자를 나타내는 상부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저면 사시도.
도 4는 도 2의 A부분을 확대 도시한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마찬가지의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편평형 진동모터의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편평형 진동모터의 회전자를 나타내는 상부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저면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편평형 진동모터(100)는 브라켓(110), 케이스(120), 회전자(130), 및 브러시(1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브라켓(110)은 진동모터(100)의 다른 구성 요소들을 지지하고, 케이스(120)와 조립되어 소정의 내부 공간을 제공한다. 이를 위해 브라켓(110)은 소정 두께를 갖는 원판의 형태를 가지며, 중앙에 샤프트(114)가 고정되고, 상면에 제2 기판인 하부기판(116)과 마그네트(118)가 부착될 수 있다.
브라켓(110)의 중심부에는 샤프트(114)를 고정하기 위해 상부로 돌출되어 형성된 버링부(112)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샤프트(114)는 하단이 버링부(112) 압입되며 브라켓(110)에 고정 체결될 수 있다.
하부기판(116)은 후술되는 권선코일(138)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하부기판(116)은 외부전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단자부(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할 수 있다.
하부기판(116)은 브라켓(110)의 상면 즉, 내부면에 부착된다. 이때, 하부기판(116)에는 후술하는 브러시(150)의 일단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한편, 도면에는 하부기판(116)과 브라켓(110)이 독립적으로 형성되어 결합되는 경우를 도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브라켓과 하부 기판을 일체로 제조하여 하나의 구성요소로 구성하는 등 다양한 응용이 가능하다.
마그네트(118)는 일정 세기의 자기장을 발생시켜 권선코일(138)과의 상호 작용에 의해 회전자(130)를 회전 운동시키기 위해 구비될 수 있다. 마그네트(118)는 하부기판(116)의 상부에 접착 부재 등을 매개로 하여 접착될 수 있다.
또한 마그네트(118)는 브라켓(110)에 수직하게 고정된 샤프트(114)를 중심으로 환형으로 배치되며, 그 원주방향으로 복수의 자극을 갖도록 교대로 착자된 영구자석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마그네트(118)는 후술하는 권선코일(138)과 대향되게 부착될 수 있다.
케이스(120)는 진동모터(100)를 외부로부터 보호하고, 회전자(130)의 회전공간, 즉 내부공간을 제공하기 위한 부재로, 브라켓(110)의 상부를 덮는 형태로 브라켓(110)과 결합되어 내부공간을 제공한다.
여기서, 케이스(120)는 마그네트(118)와 회전자(130)의 권선코일(138)에서 발생하는 자속의 자로가 형성될 수 있도록 높은 투자율을 가지며, 외력에 의한 변형으로 회전자(130)를 구속하지 않도록 강도가 큰 자성체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케이스(120)의 내측 중심에는 회전자(130)와 직접 접촉하여 마찰 및 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는 마찰저감부재(도면부호 미도시)가 마련될 수도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브라켓(110)이 원판의 형상으로 형성되고, 이에 대응하여, 케이스(120)가 원통 형상으로 브라켓(110)과 결합되어 내부공간을 제공하는 경우를 예로 들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내부공간에서 회전자(130)가 원활하게 회전할 수만 있다면 필요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될 수 있다.
회전자(130)는 편심회전되어 진동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제1 기판인 상부기판(132), 홀더(136), 권선코일(138), 중량체(140), 및 베어링(142)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부기판(132)은 회전자(130)의 구성요소를 지지하고, 권선코일(138)에 전원을 전달하기 위해 구비되며, 그 중심부에 샤프트(114) 및 베어링(142)이 삽입되는 관통홀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부기판(132)의 하면에는 복수개의 세그먼트(segment)로 분할되어 있는 정류자(134)가 관통홀을 중심으로 환형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정류자(134)는 후술하는 브러시(150)와 접촉하여 권선코일(138)에 전원을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정류자(134)는 패턴 인쇄 또는 도금 등의 방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상부기판(132)은 상부면에 회로 패턴(132a)이 형성된다. 회로 패턴(132a)은 정류자(134)와 권선코일(138)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경로로 이용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에 따른 회로 패턴(132a)은 후술되는 홀더(136)의 외형에 대응하는 형태로 상부기판(132) 상에 형성되는 밀폐용 패턴(132b)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도 2의 A부분을 확대 도시한 평면도로, 본 실시예에 따른 홀더(136)가 결합된 상부기판(132)의 상부면을 도시하고 있다. 이를 함께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밀폐용 패턴(132b)은 홀더(136)와 상부기판(132)사이에 개재되는 형태로 상부기판(132)의 상부면 상에서 홀더(136)와 상부기판(132)이 접하는 접촉면을 따라 끊김 없이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처럼 밀폐용 패턴(132b)이 홀더(136)와 상부기판(132) 사이에 개재됨에 따라, 홀더(136)와 상부기판(132)은 접촉면에 틈이 형성되지 않으므로, 상호 간에 견고하게 접촉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회로 패턴(132a)의 구성은 홀더(136)를 상부기판(132)에 체결하는 과정에서 사출물이 금형의 외부로 흘러나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구비된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되는 홀더(136)에 대한 설명에서 보다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홀더(136)는 베어링(142)을 상부기판(132)에 고정시키기 위해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홀더(136)는 내부에 베어링(142)이 삽입 고정되는 홈을 구비할 수 있다.
홀더(136)는 상부기판(132)의 전체영역에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베어링(142)이 삽입되는 영역 주변에 부분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부기판(132)에 대한 고정을 견고히 하기 위해, 홀더(136)는 상부기판(132)의 일측단부로 연장되게 형성되어 상부기판(132)의 측면을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베어링(142)은 샤프트(114)와 안정적으로 결합되기 위해, 샤프트(114)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베어링(142)을 지지하는 홀더(136)도 베어링(142)의 길이에 대응하는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홀더(136)는 베어링(142) 주변에 형성되는 부분이 베어링(142)의 높이를 커버하기 위해 상부기판(132)의 상부면에서 베어링(142)의 길이에 대응하는 높이로 돌출되는 형태로 형성된다. 또한 상부기판(132)의 관통홀을 관통하여 상부기판(132)의 하부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본 실시예에 따른 홀더(136)는 사출 공정을 통해 상부기판(132)에 고정 체결될 수 있다.
즉, 상부기판(132)을 금형에 배치하고, 금형 내부에 수지 용액을 주입한 후 이를 경화시키는 방법을 통해, 홀더(136)를 형성함과 동시에 상부기판(132)에 결합한다.
한편 이 과정에서, 종래 기술처럼 금형 내부로 주입된 수지 용액이 금형의 외부로 누출될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따른 진동모터(100)는 상부기판(132) 상에 형성된 회로 패턴(132a)을 이용하여 수지 용액이 금형의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억제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상부기판(132)은 회로 패턴(132a) 중 밀폐용 패턴(132b)이 홀더(136)의 외형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사출 과정에서 상부기판(132)이 금형 내에 배치되면, 금형은 상부기판(132)의 밀폐용 패턴(132b)과 맞물리게 된다.
이에 상부기판(132)과 금형 사이에는 틈이 형성되지 않으며, 따라서, 사출 과정에서 사출물이 금형의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권선코일(138)은 전원 인가 시 일정세기의 전자기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브러시(150)와 접촉되어 있는 정류자(134)를 통해 전원이 인가되면 전자기장을 발생시켜 마그네트(118)에서 발생하는 자기장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전자기력을 발생시켜 회전자(130)를 회전시키게 된다.
여기서, 권선코일(138)은 접착제나 양면 테이프와 같은 접착 부재를 매개로 하여 상부기판(132)의 상면에 하나 이상 부착될 수 있다.
중량체(140)는 회전자(130)가 편심 회전될 수 있도록 일정한 질량을 부가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한 접착 부재를 매개로 하여 상부기판(132)의 상면에 하나 이상 부착될 수 있다.
중량체(140)는 텅스텐과 같은 비중이 높은 금속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중량체(140)는 회전자(130)의 최외주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회전자(130)의 무게중심까지의 편심거리가 증가되므로, 편심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베어링(142)은 샤프트(120)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회전하는 것으로서, 홀더(136)의 내부에 삽입된다. 이때, 베어링(142)은 홀더(136)에 억지끼움 방식으로 고정 체결되거나, 접착제를 통해 고정 접착될 수 있다.
이와?같이?구성되는?본 실시예에 따른 회전자(130)는 권선코일(138)과 베어링(142)이 없는 상태에서 상부기판(132)에 홀더(136)가 사출 공정을 통해 결합된다.
따라서 사출 공정에서 사출압과 사출온도에 의해 권선코일(138)이나 베어링(142)이 파손되거나 변형되는 등의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진동모터(100)는 스트립(Strip) 또는 어레이(Array) 상태의 상부기판(132)을 이용하여 사출 공정의 수행함으로써, 한번의 사출 공정을 통해 다수의 홀더-상부기판 조립체를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출 생산성(사출인력의 감소 및 사출 생산량의 증가)을 증가시킬 수 있다.
브러시(150)는 정류자(134)에 전원을 인가하기 위한 것으로서, 일단이 하부기판(116)의 상면에 고정 체결되고, 타단이 상부기판(132)의 하면에 형성된 정류자(134)와 탄성적으로 접촉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실시예에 따른 편평형 진동모터는, 사출 공정을 통해 상부기판에 홀더를 먼저 형성한 후, 권선코일 및 베어링을 부착하기 때문에, 높은 사출온도와 사출압에 의해 권선코일이나 베어링이 파손되거나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홀더가 상부기판의 전체 영역에 걸쳐 형성되지 않고, 베어링이 고정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최소한의 크기로 형성되므로, 재료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부기판의 회로 패턴은 홀더의 외형에 대응하는 형태로 형성된다. 따라서, 사출 과정에서 금형이 상부기판의 회로 패턴과 견고하게 맞물리게 되므로, 상부기판과 금형 사이에는 틈이 형성되지 않으며, 이에 사출 과정에서 사출물이 금형의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편평형 진동모터는 전술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회로 패턴이 홀더의 외형에 대응하여 형성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회로 패턴과는 별도로 더미 패턴을 형성하고 이러한 더미 패턴이 홀더의 외형을 따라 형성되도록 구성하는 등 다양한 응용이 가능하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회로 패턴이 홀더의 외형 전체에 대응하여 형성되는 경우를 예로 들고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권선코일과 중량체가 배치되어 있는 부분에만 부분적으로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회로 패턴을 구성하는 경우, 사출 과정에서 금형이 회로 패턴과 맞물리지 않는 부분에서는 수지 용액이 일부 누출될 수도 있다. 그러나, 누출된 수지 용액은 권선코일이나 중량체의 배치 방향과 대략 반대 방향으로 확산되므로, 실질적으로 권선코일이나 중량체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게 된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밀폐용 패턴이 동일한 폭을 갖는 경우를 예로 들고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홀더의 외형을 따라 형성될 수만 있다면 다양한 두께로 형성될 수 있으며, 위치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들에서는 편평형 진동모터에 구비되는 상부기판과 홀더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사출 공정을 통해 기판상에 사출물을 결합하여 제조되는 전자 기기라면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100 : 편평형 진동모터 110 : 브라켓
112 : 버링부 114 : 샤프트
116 : 하부기판 118 : 마그네트
120 : 케이스 130 : 회전자
132 : 상부기판
134 : 정류자 136: 홀더
132a : 회로 패턴 132b: 밀폐용 패턴
138 : 권선코일
140 : 중량체 142 : 베어링
150 : 브러시

Claims (8)

  1. 권선코일과, 일면에 상기 권선코일이 배치되고 상기 권선코일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회로 패턴이 형성되며 내부에 관통홀이 형성된 제1 기판과, 상기 권선코일과 이격되어 배치되고 사출 성형을 통해 상기 제1 기판에 결합되며 내부에 베어링이 삽입되는 홈을 구비하는 홀더를 포함하는 회전자;
    상기 회전자가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베어링에 결합되며 상기 회전자의 회전축을 형성하는 샤프트;
    를 포함하며,
    상기 회로 패턴은 상기 홀더의 외형을 따라 형성되는 밀폐용 패턴을 포함하는 편평형 진동모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자는,
    상기 제1 기판의 일면에 편심되게 부착되는 중량체;
    를 포함하는 편평형 진동모터.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중앙에 상기 샤프트가 고정되고, 상면에 제2 기판과 마그네트가 부착되는 브라켓;
    상기 브라켓의 상부를 덮으며 내부공간을 마련하는 케이스; 및
    일단이 상기 제2 기판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회전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브러시를 더 포함하는 편평형 진동모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는,
    상기 제1 기판의 일부단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 기판의 측면을 감싸며 상기 제1 기판과 결합되는 편평형 진동모터.
  6. 삭제
  7. 삭제
  8. 권선코일;
    일면에 상기 권선코일이 배치되고 상기 권선코일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회로 패턴이 형성되며 내부에 관통홀이 형성된 제1 기판; 및
    상기 권선코일과 이격되어 배치되고, 사출 성형을 통해 상기 제1 기판에 결합되며 내부에 베어링이 삽입되는 홈을 구비하는 홀더;를 포함하며,
    상기 회로 패턴은 상기 홀더와 상기 제1 기판의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홀더의 외형을 따라 일부가 상기 홀더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형성되는 편평형 진동모터.
KR1020110141639A 2011-12-23 2011-12-23 편평형 진동모터 KR1013283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1639A KR101328326B1 (ko) 2011-12-23 2011-12-23 편평형 진동모터
US13/709,581 US9059609B2 (en) 2011-12-23 2012-12-10 Flat-type vibration motor
CN201210548301.9A CN103178649B (zh) 2011-12-23 2012-12-17 平板型振动电机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1639A KR101328326B1 (ko) 2011-12-23 2011-12-23 편평형 진동모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4832A KR20130074832A (ko) 2013-07-05
KR101328326B1 true KR101328326B1 (ko) 2013-11-11

Family

ID=486383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41639A KR101328326B1 (ko) 2011-12-23 2011-12-23 편평형 진동모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9059609B2 (ko)
KR (1) KR101328326B1 (ko)
CN (1) CN10317864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804774B1 (en) * 2018-12-26 2020-10-13 Samuel Ogunbo Method of obtaining power from brushed DC motor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92343A (ja) * 2003-12-26 2005-07-14 Tokyo Parts Ind Co Ltd 偏心ロータおよびその偏心ロータを用いた振動モータ
KR20110011417A (ko) * 2009-07-28 2011-02-08 삼성전기주식회사 편평형 진동모터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72393B1 (ko) 1998-12-30 2006-08-30 삼성전자주식회사 비지에이 패키지용 인쇄회로기판_
US7247963B2 (en) * 2003-12-26 2007-07-24 Tokyo Parts Industrial Co., Ltd. Eccentric rotor and vibration motor using such eccentric rotor
US20070194642A1 (en) * 2006-02-23 2007-08-23 Tadao Yamaguchi Eccentric rotor and flat motor comprising same
JP2008235615A (ja) 2007-03-22 2008-10-0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配線基板、それを用いた半導体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090677B1 (ko) 2008-11-12 2011-12-0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편평형 진동 모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92343A (ja) * 2003-12-26 2005-07-14 Tokyo Parts Ind Co Ltd 偏心ロータおよびその偏心ロータを用いた振動モータ
KR20110011417A (ko) * 2009-07-28 2011-02-08 삼성전기주식회사 편평형 진동모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178649B (zh) 2016-05-25
US9059609B2 (en) 2015-06-16
CN103178649A (zh) 2013-06-26
KR20130074832A (ko) 2013-07-05
US20130162115A1 (en) 2013-06-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921743B2 (ja) ブラシレス直流振動モータ
KR101141002B1 (ko) 편평형 진동모터
US20070145840A1 (en) Vibration motor
KR101278418B1 (ko) 선형 진동모터
US20090267434A1 (en) Vibration motor
JP6609435B2 (ja) 振動モータ
KR101354518B1 (ko) 리니어 진동모터
JP2017034866A (ja) 振動モータ
KR101328326B1 (ko) 편평형 진동모터
JP2007181391A (ja) 振動モータ
US20090230797A1 (en) Vibration motor
KR20040098081A (ko) 편평형 진동 모터
JP5303650B2 (ja) コイン型振動モータ
KR101101437B1 (ko) 편평형 진동모터
KR101140957B1 (ko) 편평형 진동모터
JP3546207B1 (ja) モールド型偏心ロータと同ロータの製法及び同ロータを備えた軸方向空隙型コアレス振動モータ
US9006946B2 (en) Motor structure and flat type vibration motor structure using the same
JP2005020835A (ja) 偏心ロータとこの偏心ロータを備えた軸方向空隙型振動モータ
KR101101700B1 (ko) 편평형 진동모터
KR101047657B1 (ko) 편평형 진동 모터
KR101101599B1 (ko) 편평형 진동모터
JP2004166427A (ja) 振動発生装置および電子機器
JP2005218206A (ja) 偏心ロータおよびその偏心ロータを用いた振動モータ
KR20150028947A (ko) 편평형 모터용 회전자 및 이를 포함하는 편평형 모터
KR101141440B1 (ko) 모터와 그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기록 디스크 구동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0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