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28734B1 - 용기용 밀폐 장치 - Google Patents

용기용 밀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28734B1
KR100928734B1 KR1020047002064A KR20047002064A KR100928734B1 KR 100928734 B1 KR100928734 B1 KR 100928734B1 KR 1020047002064 A KR1020047002064 A KR 1020047002064A KR 20047002064 A KR20047002064 A KR 20047002064A KR 100928734 B1 KR100928734 B1 KR 1009287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sealing
closure
lid
seal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020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18556A (ko
Inventor
슐츠호르스트
Original Assignee
아라카리아 비.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라카리아 비.브이. filed Critical 아라카리아 비.브이.
Publication of KR200400185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185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87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87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47J27/0804Locking devices
    • A47J27/0813Locking devices using a clamping ring or clamping seg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20/00Receptacles
    • Y10S220/912Cookware, i.e. pots and p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Basic Packing Technique (AREA)
  • Supplying Of Containers To The Packaging Station (AREA)
  • Closing Of Containers (AREA)
  • Commercial Cook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개구부를 구비한 용기용, 특히 외향 돌출한 유출 가장자리를 구비한 쿠킹 포트용 밀폐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 밀폐 장치는, 용기의 개구부를 밀폐하기 위한 뚜껑과, 적어도 제 1 밀폐 부재를 구비한 밀폐 부재 조립체와, 제 1 밀폐 부재를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밀폐 부재는, 밀폐 장치의 작동에 의해 안쪽으로 이동될 수 있고, 안쪽으로 이동하는 동안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향 이동한다.
Figure R1020047002064
밀폐 장치, 쿠킹 포트, 용기, 뚜껑, 유출 가장자리, 증기 압력

Description

용기용 밀폐 장치{CLOSING DEVICE FOR A CONTAINER}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용기용(容器用) 밀폐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쿠킹 포트 또는 증기 압력 쿠킹 포트용 밀폐 장치에 관한 것이다.
건강에 관한 관심이 높아진 상황에서, 영양 섭취 측면에서 이점이 있는 음식 요리법에 대한 요구가 커지고 있다. 동시에, 사람들은 일상적인 가정 잡일에 최소한의 시간을 사용하기를 바라며 그렇게 될 수 있는 바쁜 생활 속에서, 신속하고 효율적인 음식 요리가 요구되고 있다. 증기 압력 쿠킹 포트는 음식을 신속하고 알맞게 요리를 할 수 있게 하므로 겉으로 보기에도 두드러지게 상충되는 위와 같은 두 가지 요건 모두를 만족시킨다.
원칙적으로, 증기 압력 쿠킹 포트는 수십 년 동안 알려져 왔다. 그렇지만 공지의 증기 압력 쿠킹 포트에는 많은 단점들이 있다.
예를 들어, 1950년대부터, 더 명확하게는 독일 특허 제 896 409호부터, 증기 압력 쿠킹 포트의 뚜껑은 그 뚜껑의 가장자리 주위를 잡아주는 세 개의 조오(jaw)에 의해 닫혀지는 것이 공지되었다. 이러한 밀폐 기구는 밀폐하는 데에 근본적으로 힘이 요구되고, 이 힘은 다루기 힘든 레버를 통해 가해진다는 단점을 가진다.
증기 압력 쿠킹 포트 분야에서 이루어진 보다 최근의 발전은, 예를 들어 국 제 공개 공보 제 96/01070호, 유럽 특허 공개 제 1 029 483호와 유럽 특허 공개 제 1 082 932호에서 기술되고 있다.
국제 공개 공보 제 96/1070호에서 공지된 밀폐 장치는 스프링 장치에 의해 함께 잡아 당겨지는 반경 방향으로 변위 가능한 두 개의 결합용 조오를 구비한 뚜껑을 갖는다. 여기에는, 결합용 조오가 닫히기 전에 뚜껑에 수직으로 압력을 가함으로써, 밀봉 부재가 불확정의 사전 응력을 받는다는 단점이 있다. 이 때 결합용 조오가 급격히 안쪽으로 미끄러지게 되고 그에 따라 조오가 포트의 가장자리를 때릴 때에 성가신 소음이 발생한다.
유럽 특허 공개 제 1 082 932호는 국제 공개 공보 제 96/1070호와 유사한 뚜껑을 갖는 증기 압력 쿠킹 포트를 개시하고 있다.
미국 특허 제 5,613,424호는 압력 포트를 대한 개폐용 밀폐 조오의 제어 장치를 개시한다. 이 장치는 뚜껑에 장착된 제어 요소를 포함하며, 이동 아암에 결합되어 뚜껑에 대해 반경 방향으로 이동한다.
또한, 스위스 특허 제 254 203호는 외향 돌출한 유출 가장자리(pouring edge)를 구비한 증기 압력 쿠킹 포트를 개시한다. 이 증기 압력 쿠킹 포트의 뚜껑은 세 개의 파지 부재를 포함하며, 파지 부재는, 그 끝이 U 형상으로 만곡하고, 가장자리 아래에서 접촉하여서 개재된 밀봉 부재로 포트 가장자리의 상부면에 대해 뚜껑에 압력을 가한다.
프랑스 특허 공개 제 2 809 608호는 증기 압력 쿠킹 포트의 뚜껑용 개폐 장치를 개시하며, 이 뚜껑은 제어 요소의 회전에 의해 구동되는 결합용 조오를 구비한 네 개의 아암을 포함한다.
또한, 유럽 특허 공개 제 1 029 483호는 크랭크 기구를 통해 반경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네 개의 가동 결합용 조오가 있는 압력 포트용 뚜껑을 개시하고 있다. 이 크랭크 기구는 상당히 많은 가동 부품들을 포함하며, 그 부품의 일부는 플라스틱으로 되어 있다. 그러므로 이 크랭크 기구는 복잡하며 생산 및 조립 비용이 많이 들고 수명이 길지 못하며, 위생 요건 면에서 문제가 있다.
그렇지만, 상기 장치들 모두는 공통적으로 더 중대한 단점이 있다.
전술한 장치들은 다루기 어렵고, 미적으로 매력적이지 않고, 세척이 어려우며, 또한 작은 공차를 갖고 생산되어야 한다.
또한, 추가적인 중대한 단점으로서 공지의 장치들은 특별하게 제작된 포트들에만 사용될 수 있다. 대부분의 경우 이 포트들은 장치들 간에 잘 협동하여 작동 중의 압력을 견딜 수 있도록 U-형상으로 만곡한 강화 가장자리를 갖는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목적 중 하나는, 공지된 장치들의 단점을 회피하거나 적어도 줄일 수 있는 용기용 밀폐 장치, 특히 쿠킹 포트 또는 증기 압력 쿠킹 포트용 밀폐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미적으로 매력적이고 비싸지 않으며 세척이 쉽고, 최소의 힘을 가하여 개폐되고, 사용하기 간편하고 그리고/또는 신뢰성 있는 용기용, 특히 쿠킹 포트 또는 증기 압력 쿠킹 포트용 밀폐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업적으로 이용 가능한 다른 종류의, 특히 하향 경사진 유출 가장자리(pouring edge)를 구비한 쿠킹 포트들이 밀폐 장치로 닫혀질 수 있어서 증기 압력 쿠킹 포트의 조립체가 구성되도록 하는 밀폐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청구항 1의 구성에 의해 놀라울 정도로 간단하게 해결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밀폐 장치는 개구부를 구비한 용기용, 특히 외향 돌출한 유출 가장자리를 구비한 쿠킹 포트용 또는 증기 압력 쿠킹 포트용 밀폐 장치에 관한 것이다. 밀폐 장치는 용기의 개구부를 밀폐하기 위한 뚜껑 또는 내부 뚜껑을 포함한다. 또한, 밀폐 장치는, 적어도 제 1 밀폐 부재를 구비한, 바람직하게는 복수개의 특히 동일한 밀폐 부재들을 구비한 밀폐 부재 조립체와, 적어도 제 1 밀폐 부 재, 바람직하게는 모든 밀폐 부재들을 이동하기 위한 이동 장치를 포함한다.
용기는 바닥부로부터 개구부로 연장되고 특히 원형 용기에서는 용기의 회전 대칭축을 구성하는 축을 가진다. 축은 용기 바닥에 수직하게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용기는 유출 가장자리로부터 연장되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축에 직각이며 용기 바닥에 평행한 개구 평면을 가진다. 제 1 밀폐 부재 또는 밀폐 부재들은, 이동 장치의 작동에 의해 내부로 향하거나 축을 향해 이동되고, 내부로 향하는 이동 또는 변위 중에, 밀폐 부재 또는 밀폐 부재들의 적어도 일부가 상향 이동 또는 용기 바닥으로부터 멀어지는 이동을 한다.
밀폐 부재 또는 밀폐 부재들이 특히 비스듬하게 내부 및 상부로 향하는 이동 또는 변위를 함으로써, 밀폐 장치는, 용기 또는 쿠킹 포트에, 특히 뚜껑과 용기 사이에 배치된 밀봉 부재에 소정의 사전 응력을 제공하기 위한 소정의 하향 압력을 보장한다.
게다가, 상당한 제조 공차가 있는 경우에도, 밀폐 부재 또는 밀폐 부재들의 상향 이동에 의해 신뢰성있는 밀폐가 보장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밀폐 장치는, 외부 영역으로 비스듬하게 하향의 각을 이루도록 외향 돌출한 유출 가장자리를 가지는 상업적으로 이용 가능한 쿠킹 포트에 특히 적합하다. 대부분의 종래 증기 압력 쿠킹 포트용 뚜껑은, 대부분의 경우에 클램핑용 조오가 수평으로 즉 개구 평면에 평행하게 또는 축에 수직하게 이동하기 때문에, 이와 같은 쿠킹 포트용으로서 적합하지 않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종래의 밀폐 장치가 부적당한 방식으로 사용된다면, 유출 가장자리의 가장 바깥의 하향 돌출 부위와 밀폐 장치가 접촉하여, 즉 실질적으로 지렛대 작용에 의해, 유출 가장자리가 구부러져 형상이 변형될 수 있다.
이와 대조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밀폐 장치의 밀폐 부재는 포트 축과의 관계에서 훨씬 안쪽에서 접촉할 수 있다. 이러한 이유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밀폐 장치는, 비교적 얇은 벽들을 구비한 경우도 포함한 상업적으로 이용 가능한 쿠킹 포트에 제공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압력을 견딜 수 있는 증기 압력 쿠킹 포트 조립체로 제공될 수 있다.
특히, 적어도 밀폐 부재 조립체는 밀폐 장치가 용기로부터 제거될 수 있는 개방 위치와, 뚜껑이 용기를 밀폐하는, 특히 실질적으로 방수가 되도록 밀폐하는 밀폐 위치를 가진다.
밀폐 위치에서 밀폐된 용기는 적어도 약 5 바(bar)까지의 내부 압력 또는 내부 과도압력을 견딜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밀폐 부재 또는 밀폐 부재들은, 개방 위치에서는 특히 외측 위치에 있고, 밀폐 위치에서는 내측 위치에 있다. 밀폐 부재 또는 밀폐 부재들은 외측 위치와 내측 위치 사이에서 이동 또는 변위될 수 있다. 내측 위치와 외측 위치 사이에서의 이동 또는 변위는 제 1 밀폐 부재 또는 밀폐 부재들이 뚜껑 위에서 특히 반경 방향 안쪽으로 이동하는 형태를 취한다.
제 1 밀폐 부재는 특히 용기의 유출 가장자리에 맞물리기 위한 외부 가장자리를 구비한다. 제 1 밀폐 부재가 비스듬하게 위쪽으로 그리고 반경 방향 안쪽으로 이동하면, 외부 가장자리는 용기의 유출 가장자리에 아래쪽으로부터 접촉하고, 상향 이동 성분에 의해, 축방향의 상향 분력으로 유출 가장자리를 꽉 누른다.
외향 돌출한 유출 가장자리는 특히 바람직하게는 외향 연장되고 실질적으로 수평인 내부 링부 및 하향 또는 비스듬하게 하향 연장된 외부 링 부를 구비한다. 제 1 밀폐 부재가 비스듬하게 안쪽으로 그리고 위쪽으로 이동함으로써, 밀폐 부재의 외부 가장자리는 유출 가장자리의 내부 링부에 아래쪽으로부터 적어도 부분적으로 접촉할 수 있다. 접촉점 또는 접촉선은 바람직하게는 가능한 한 안쪽에, 예를 들어 내부 링부의 안쪽 반에 위치하도록 하여, 지렛대 조건이 최적화되어 단지 약간의 토크만이 유출 가장자리에 작용하도록 한다. 특히, 상기 접촉점 또는 접촉선은 유출 가장자리의 외부 링부에는 위치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밀폐 부재의 외부 가장자리는 하향 연장된 제 1 연장부와 상향 연장된 제 2 연장부를 포함하고, 제 2 연장부는 용기 축과의 관계에서 제 1 연장부의 내부에 배치된다. 제 2 연장부는 예를 들어 개방 평면과의 관계에서 수직으로 또는 비스듬하게 안쪽으로 상승한다.
제 1 연장부와 제 2 연장부 사이에는 바람직하게는 용기의 평면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제 3 연장부가 있다. 밀폐 장치로 밀폐를 하면, 밀폐 부재의 외부 가장자리의 특히 제 2 연장부는 용기의 내부 링부에 힘을 가하며 접촉하게 되어, 밀폐 장치 및 밀폐장치의 밀봉 부재는 용기에 가압된다. 이 경우, 특히 바람직하게는, 발생된 마찰력을 통한 셀프 록(self-locking) 효과에 의해, 밀폐 위치는 고정된다.
밀폐 과정에서 밀폐 부재의 외주 가장자리의 비스듬한 상향 이동과 용기의 개구 평면 사이의 각도는, 5° 내지 30°, 특히 10° 내지 20°,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15°일 때 특히 이점이 있다는 것이 입증되어 선호된다.
밀봉 부재는 특히 밀봉 링으로 구성되고 바람직하게는 밀폐 장치 주위에 원형으로 연장된다. 밀봉 부재는 바람직하게는 분리 가능한 방식으로 뚜껑에 부착되고 예를 들어 실리콘 또는 실리콘을 함유한 재료로 만들어진다.
실질적으로 U-형상 또는 V-형상의 단면을 가지는 소위 밀봉용 립(lip) 또는 립 밀봉 부재를 사용하는 것이 특히 도움이 된다. 립 밀봉 부재는 용기 내부에 생성된 압력이 밀봉 부재에 힘을 가해 나뉘어져 있도록 하여 밀봉 작용을 개선하는 특별한 이점을 가진다. 이와 같이, 밀폐 작동에 의해 생성된 비교적 작은 사전 응력만으로도 압력에 잘 견디는 밀폐를 충분히 달성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밀폐 부재는 실질적으로 원형의 부채꼴이다.
그렇지만, 특히, 부채꼴의 끝은 제거되거나 절단될 수 있다. 원형의 부채꼴은 복수개의 바람직하게는 동일한 밀폐 부재들로 구성되는 조립체와 관련하여 특히 이점이 있다.
밀폐 위치에서, 특히 바람직하게는, 원형의 부채꼴인 밀폐 부재들이 측면으로 서로 인접한다는, 바람직하게는 서로 꼭 들어맞는다는 사실에 의해, 밀폐 부재들은 실질적으로 닫혀진 덮개를 형성한다. 바람직하게는, 두 개 내지 여덟 개 또는 그 이상의 밀폐 부재들이 사용된다. 밀폐 부재의 조립체에 선택적으로 존재하는 중심 개구부는 이동 장치를 이루는 부품인 손잡이에 가려 보이지 않으므로, 밀폐 위 치에서 받는 인상은 통상의 포드 뚜껑과 같다. 특히, 밀폐 위치에서, 뚜껑은 밀폐 부재 조립체에 의해 어느 정도 완전히 덮이거나 가려진다.
바람직하게, 뚜껑 및/또는 밀폐 부재 조립체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바깥쪽으로 불룩하고, 각각은 구형상부를 형성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밀폐 부재는 뚜껑에 평평하게 놓여 뚜껑 위에서 미끄러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형상부의 곡률로는 100mm 내지 1000mm, 바람직하게는 300mm 내지 600mm의 반경이 특히 이점이 있다는 것이 입증되었다.
밀폐 부재 조립체와 뚜껑은 바람직하게는 예를 들어 스크류와 같은 중앙 고정 수단에 의해 분리 가능하도록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밀폐 장치, 특히 뚜껑은, 예를 들어 뚜껑으로부터 하향 연장된 돌출부인 중심 설정용 수단을 구비한다. 개방 위치 및/또는 밀폐 위치에서 중심 설정용 수단에 의해 밀폐 장치 특히 뚜껑을 용기 중심에 신뢰성있고 정확하게 위치시킬 수 있다.
이동 수단은 바람직하게는 예를 들어 손잡이에 고정된 슬롯이 있는 안내 원판을 포함한다. 슬롯이 있는 안내 원판은, 축방향 구멍을 구비하는 것 외에도, 각각의 밀폐 부재를 위해, 슬롯이 있는 안내 원판의 원주로 비스듬하게 연장되는 만곡한 슬롯을 구비한다. 슬롯 안에는, 고정된 위치에서 상응하는 밀폐 부재에 연결되는 볼트가 있다. 슬롯이 있는 안내 원판을 회전시키면, 볼트는 밀폐 부재와 함께 반경 방향으로 변위된다. 대체 수단으로 또는 보완 수단으로, 톱니가 있는 기어 배열이 사용될 수도 있다.
핸들을 제외한 밀폐 수단은, 특히 그 전체를, 스테인레스 스틸과 같은 금속으로 만드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이렇게 함으로써, 다른 구성 부품들의 열팽창 계수가 상호간 및 용기와 잘 어울리게 되어, 견고하고 수명이 길며 위생적인 밀폐 장치가 제공된다.
더욱이, 본 발명에 따른 밀폐 장치는, 법률상의 안전 규정을 준수하기 위해, 밀폐 부재의 이동을 방지하는 방지 수단 및/또는 과도압력 배출 밸브를 구비한 안전 수단을 포함한다. 이러한 안전 수단은 해당 분야의 당업자에게는 기본적으로 알려져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고하면서 바람직한 실시예에 기초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첫 번째 실시예에서, 밀폐 위치일 때, 밀폐 장치의 부분적으로 절개된 평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밀폐 장치의 측면도.
도 3은 도 1에서 A-A 선을 따라 도시한 밀폐 장치 및 포트의 상세 단면도.
도 4는 도 3에서 개방 위치일 때의 밀폐 장치 및 포트의 확대된 상세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밀폐 장치의 두 번째 실시예에서 도 1의 B-B 선을 따라 도시한 상세 단면도.
도 6a는 본 발명에 따른 밀폐 장치의 세 번째 실시예에서, 개방 위치일 때, 도 1의 A-A 선을 따라 도시한 상세 단면도.
도 6b는, 도 6a에서, 반 밀폐 위치일 때의 단면도.
도 6b는, 도 6a에서, 밀폐 위치일 때의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밀폐 장치의 네 번째 실시예의 상세 단면도.
도 8은 손잡이가 없는 상태에서 밀폐 장치의 부분 평면도.
도 9는 안전 수단의 단면도.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밀폐 장치(1)의 첫 번째 실시예를 나타내며, 밀폐 장치(1)는, 실질적으로 원형의 부채꼴인 네 개의 밀폐 요소(10, 20, 30, 40)를 포함하는 밀폐 부재 조립체(2)와, 밀폐 장치(1) 중심부에 배치되어 회전 방향으로 대칭이고 회전 가능한 손잡이(50)를 구비한다. 네 개의 밀폐 요소(10, 20, 30, 40) 각각은 중앙에 있는 아크 형상의 절단부(12, 22, 32, 42) 및 원주상에 위치된 밀폐 부재의 바깥 모서리에 배치되는 두 개씩의 상호 인접하는 절단부(14d, 14a, 24a, 24b, 34b, 34c, 44c, 44d)를 가진다.
도 1에 도시된 밀폐 장치(1)의 밀폐 위치에서, 절단부(12, 22, 32, 42)는 실질적으로 밀폐 부재 조립체(2)의 중앙의 원형 절단부(4)를 형성한다. 절단부(14d, 14a, 24a, 24b, 34b, 34c, 44c, 44d)는 밀폐 부재 조립체(2)의 원주를 따라 90도를 이루며 배치되는 네 개의 절단부(6a, 6b, 6c, 6d)를 형성한다.
네 개의 밀폐 요소(10, 20, 30, 40) 각각은 두 개의 반경 가장자리(16d, 16a, 26a, 26b, 36b, 36c, 46c, 46d) 및 아크형 외부 가장자리 영역(18, 28, 38, 48)을 가진다.
밀폐 부재 조립체(2)는 바람직하게는 우선 일체형으로 생산된 후, 레이저 또는 톱을 사용해 네 개의 동일한 밀폐 부재(10, 20, 30, 40)로 절단된다. 레이저 절단에 의하면 버(burr)를 제거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레이저 절단이 특히 이점이 있다.
밀폐 장치(1)는 슬롯이 있는 안내 원판(60) 및 안내판(70)의 절단 부위가 보일 수 있도록 영역(S)이 절개되어 열려 있다.
밀폐 장치의 직경은 약 240mm이고, 밀폐 부재의 두께는 약 1mm 내지 1.2mm이다.
도 2는 도 1에서 밀폐 장치를 C 방향을 따라서 본 측면도를 도시한다. 이 도면에는 두 개의 밀폐 부재(20, 30), 손잡이(50), 밀폐 부재 조립체(2) 내부에 배치된 뚜껑(80)이 포함된다. 뚜껑(80)은 밀폐 부재 조립체(2)의 절단부(6a, 6b, 6c, 6d)에 배치되어 있는 네 개의 중심 설정용 탭(82a, 82b, 82c, 82d)을 구비하며, 이 도면에서는 후방에 있는 중심 설정용 탭(82d)은 도시되어 있지 않다.
도 3은 밀폐 위치(실선)에 있을 때의 밀폐 장치(1)를 도시한다. 개방 위치에 있을 경우, 밀폐 부재(40)의 가장자리 영역(140)을 또한 점선으로 도시한다. 다른 밀폐 부재(10, 20, 30)는 제 1 밀폐 부재(40)와 본질적으로 동일하다.
또한, 도 3은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 손잡이(50), 금속제의 슬롯이 있는 안내 원판(60), 금속제의 안내판(70), 스크류(92), 구동 핀(94), 안내 스크류(96), 중앙 스크류(98), 중앙 너트(99)를 포함하는 이동 장치(90)를 도시한다.
손잡이(50)는 회전 노브(knob)(52)와 손가락 보호판(54)을 포함한다. 안내판(70)은 슬롯이 있는 안내 원판(60)과 밀폐 부재(40) 사이에 배치되며 손잡이(50)에 의해 완전히 가려진다.
안내 스크류(96)는 밀폐 부재(40)를 안내판(70)에 연결하며, 밀폐 부재(40)는 안내판(70)에 대해 반경 방향으로 변위 가능하다. 변위를 할 때, 안내 스크류(96)는 밀폐 부재(40)에 있는 반경 방향으로 연장된 길쭉한 구멍(71) 안에서 미끄러진다. 또한, 구동 핀(94)도, 반경 방향으로 변위하는 방식으로, 안내판(70)에 있는 길쭉한 구멍(72) 안에서 미끄러지면서 밀폐 부재(40)를 안내판(70)에 연결한다. 나아가, 구동 핀(94)은 슬롯이 있는 안내 원판(60)에 있는 만곡형 길쭉한 구멍(64)을 관통해 연장된다. 나머지 세 개의 밀폐 부재(10, 20, 30)의 변위 구조도 동등하게 구성된다.
축(122)에 대해 손잡이(50)를 돌리면, 손잡이(50)상에 고정된 슬롯이 있는 안내 원판(60)이 회전하고, 밀폐 부재(40)는 구동 핀(94)에 의해 개방 위치와 밀폐 위치 사이에서 반경 방향으로 변위된다.
밀폐 부재 조립체(2)와 뚜껑(80)은 예를 들어 세척할 목적으로 중앙 너트(99)를 제거함으로써 서로 쉽게 분리될 수 있다.
개방 위치에서, 가장자리 영역(140)의 확대도가 도 4에 도시된다. 도 4는 원형으로 연장된 립 밀봉 부재(110)를 도시한다. 립 밀봉 부재(110)는 중앙부(112), 상부 립부(114) 및 하부 립부(116)를 포함한다. 중앙부(112)와 상부 립부(114)는 뚜껑(80)의 아래쪽 내부에 위치한다. 밀폐 장치(2)가 포트 또는 쿠킹 포트(120)에 끼워 맞추어질 때, 하부 립부(116)는 원형 단면을 가지는 포트(120)의 유출 가장자리(130) 위에 접촉한다.
밀폐 부재(40)는 포트 내부에 대해 바깥으로 만곡한 뚜껑부(49), 유출 가장자리(130) 주위에 맞물리는 갈고리형 가장자리부(140)를 가진다. 뚜껑부(49)의 표면은 반경이 약 400mm인 구형상부이다. 갈고리형 가장자리부(140)는 하향 제 1 연장부(142)와 상향 제 2 연장부(144)를 가진다. 여기에서, 하향 및 상향이라는 용어는 중심 또는 축(122)에서 떨어져 있는 밀폐 부재(40)의 경로에서 연장된다는 의미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 1 연장부(142)와 제 2 연장부(144) 사이에는, 본 실시예에서는 수평인 제 3 연장부(146)가 있다. 제 2 및 제 3 연장부(144, 146)는 제 1 연장부(142)와의 관계에서 축 또는 포트 축(122)을 향해 안쪽으로, 그리고 뚜껑부(49) 아래쪽에 배치된다. 밀폐 부재(40)는 금속, 특히 스테인레스 스틸로 만들어지고, 그 가장자리부(140)는 구부리거나 감아 돌리거나 비드를 주어, 밀폐 부재(40)의 여러 부위들(도면 부호 49, 142, 146, 144) 사이에 만곡한 부위(141, 143, 145)가 제공된다.
포트(120)의 유출 가장자리(130)는 개구 평면(121)에 수평 또는 평행하게 연장된 내부 링부(132)와 아래로 경사진 외부 링부(134)를 가진다.
본 실시예에서, 중심 설정용 탭(82a, 82b, 82c, 82d)은 뚜껑(80)과 일체형으로 제작되며 도 4에서 일점 쇄선으로 도시된다.
도 5는 도 1에서 선 B-B를 따르는 단면에 해당하는 확대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5는 중심 설정용 탭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중심 설정용 탭(82c)은 뚜껑(80)의 외부 가장자리 위에 바깥쪽으로부터 고정된, 예를 들어 용접된 것으로 도시된다.
도 6a, 도6b 및 도 6c는, 밀폐 부재(40)와 비교해 변경되어 있는, 밀폐 부재(40')의 이동을 도시한다. 밀폐 부재(40')는 바깥쪽의 하향 연장된 제 1 연장부(142')와 비스듬하게 상향 연장된 제 2 연장부(144')를 포함한다. 제 2 연장부(144')에 인접하여 실질적으로 수평으로 연장된 단부(148')가 있으며, 만곡부(141', 143')도 또한 도시된다.
도 6a는 개방 위치에서의 밀폐 부재(40')를 도시한다. 밀폐 과정에서, 밀폐 부재(40')는 D 방향으로 뚜껑(80) 위를 미끄러진다.
제 2 연장부(144')와 단부(148')는, 밀폐 부재(40')와 함께, 안쪽으로 밀폐 변위를 하는 동안 상향 이동한다. 도 3에서 가장 잘 도시된 것처럼, 본 실시예들에서 단부(148')의 이동 방향 각도(α)는 약 18도이다.
도 6b는 반 밀폐 위치에서의 밀폐 부재(40') 또는 밀폐 장치(1)를 도시하며, 내부 부위인 제 2 연장부(144')는 포트(120)의 유출 가장자리(130)와 이미 부분적으로 겹쳐있다.
이제 도 6c를 참조하면, 밀폐 부재(40') 또는 밀폐 부재 조립체(2)가 밀폐된 상태 즉 밀폐 위치에서 도시된다. 밀폐 상태에서, 밀폐 부재(40')의 제 2 연장부(144'), 또는 더 정확히 내부의 수평 단부(148')는 유출 가장자리(130)상에 힘이 가해져 접촉한다. 밀폐 부재(40')의 비스듬한 상향 이동에 의해 수직의 또는 축방향의 힘이 뚜껑(80)과 립 밀봉 부재(110)에 가해져서, 립 밀봉 부재(110)에는 소정의 사전 응력이 주어진다. 특히, 이동 장치(90)가 밀폐가 일어나도록 작동될 때, 밀봉 부재(110)는 자동적으로 사전 응력을 받는다.
수평의 내부 부위인 단부(148')의 접촉점은 유출 가장자리(130)상에서 비교적 훨씬 안쪽에, 본 실시예에서는 내부 링부(132)의 중심 안쪽에 놓인다. 이러한 방식에서는, 유출 가장자리(130)에 작용하는 토크가 낮게 유지되어, 결과적으로 상기 밀폐 장치(1)는 두께가 1.2mm 미만 또는 1.0mm 미만인 유출 가장자리를 구비한 포트(120)에도 사용될 수 있다.
도 7은 밀폐 부재의 외부 가장자리의 형태에 대한 제 4 실시예를 도시한다. 제 4 실시예에 따르면, 외부 가장자리부(140")는 아크 형상으로 하향 만곡되고 밀폐 위치에서 유출 가장 자리에 접촉하는 단부(148")와 비스듬하게 상향 및 내향 연장된 제 2 연장부(144")를 포함한다.
도 8은 손잡이가 없는 상태에서 밀폐 장치 중심부의 평면도이다. 이 도면에서 네 개의 만곡형 길쭉한 구멍(61, 62, 63, 64)을 구비한 스테인레스 스틸로 만들어진 슬롯이 있는 안내 원판(60)을 볼 수 있으며, 만곡형 길쭉한 구멍(61, 62, 63, 64)은, 슬롯이 있는 안내 원판(60)의 원주에 나란하도록 연장되어 있지 않아서, 회전할 때에 구동 핀(94)을 반경 방향으로 변위시키며 그와 함께 네 개의 밀폐 부재(10, 20, 30, 40)를 반경 방향으로 변위시킨다.
도 9는 방지 장치 및 일체화된 과도압력 배출 밸브를 구비한 안전 수단(150)을 도시한다. 안전 수단(150)은 하우징(151), 나사식 연결부(152), 밸브 핀(153), 밸브 스프링(154), 밸브 볼(155) 및 O-링(156)을 포함한다.
밀폐된 포트의 내부 압력이 제 1 한계치를 넘으면, 밸브 핀(153)이 밀폐 부 재(40)에 있는 개구부를 통과하여 밀어 올려져, 밀폐 부재 조립체(2)의 이동이 방지되어 더 이상 개방되지 않게 된다. 만일 압력이 제 2 한계치, 예를 들어 5 바(bar)를 넘으면, 압력은 밸브 볼(155)을 경유해 자동적으로 배출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을 벗어나지 않고도, 밀폐 부재의 외부 가장자리 및 유출 가장자리의 확고한 설계와 관련하여, 변형될 수 있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Claims (31)

  1. 개구부와, 외향 연장된 내부 링부(132)와 외향 및 하향 연장 또는 외향 연장 또는 하향 연장된 외부 링부(134)를 가지는 외향 돌출한 유출 가장자리(pouring edge)(130)를 구비한 용기(120)용 밀폐 장치(1)에 있어서,
    상기 밀폐 장치(1)가, 용기(120)의 개구부를 밀폐하기 위한 뚜껑(80)과, 적어도 제 1 밀폐 부재(40, 40', 40")를 구비한 밀폐 부재 조립체(2)와, 제 1 밀폐 부재(40, 40', 40")를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 장치(90)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밀폐 부재(40, 40', 40")는, 이동 장치(90)의 작동에 의해 안쪽으로 이동될 수 있고, 안쪽으로 이동하는 동안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향 이동하고, 상기 밀폐 부재 조립체(2)는 밀폐 위치에서 제 1 밀폐 부재(40, 40', 40")의 외부 가장자리부(140, 140', 140")가 유출 가장자리(130)의 내부 링부(132)에 아래로부터 적어도 부분적으로 접촉하는 방식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용 밀폐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밀폐 부재 조립체(2)는, 밀폐 장치(1)가 용기(120)로부터 제거될 수 있는 개방 위치와, 용기(120)가 뚜껑(80)에 의해 방수가 되도록 밀폐될 수 있는 밀폐 위치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용 밀폐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밀폐 장치(1)에 의해 밀폐된 용기(120)는 밀폐 위치에서 내부 압력이 적어도 5 바(bar)에 이를 때까지의 압력을 견딜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용 밀폐 장치.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제 1 밀폐 부재(40, 40', 40")는, 개방 위치에서는 외측 위치에 있고, 밀폐 위치에서는 내측 위치에 있으며, 개방 위치와 밀폐 위치 사이에서 뚜껑(80)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용 밀폐 장치.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 1 밀폐 부재(40, 40', 40")는 외부 가장자리부(140, 140', 140")를 구비하고, 상기 외부 가장자리부(140, 140', 140")는 상기 제 1 밀폐 부재(40, 40', 40")가 안쪽을 향하여 이동할 때, 용기(120)의 유출 가장자리(130) 아래에서 용기(120)에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용 밀폐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외향 연장된 내부 링부(132)와 외향 및 하향 연장 또는 외향 연장 또는 하향 연장된 외부 링부(134)를 가지는 외향 돌출한 유출 가장자리(130)를 구비한 용기(120)용이고,
    밀폐 부재 조립체(2)는 밀폐 위치에서 제 1 밀폐 부재(40, 40', 40")의 외부 가장자리부(140, 140', 140")가 유출 가장자리(130)의 내부 링부(132)에 아래로부터 적어도 부분적으로 접촉하는 방식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용 밀폐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외부 가장자리부(140, 140', 140")가 내부 링부(132)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접촉함으로써, 밀폐 위치가 힘 끼워맞춤 및 마찰 끼워맞춤 중 하나 또는 모두에 의해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용 밀폐 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용기(120)는 용기(120)의 바닥으로부터 개구부까지 중심 상에 연장된 축(122)을 가지고, 제 1 밀폐 부재(40, 40', 40")의 외부 가장자리부(140, 140', 140")는 하향 연장된 제 1 연장부(142, 142', 142")와 상향 연장된 제 2 연장부(144, 144', 144")를 포함하고, 제 2 연장부(144, 144', 144")는 축(122)에 대해 제 1 연장부(142, 142', 142")의 반경 방향으로 내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용 밀폐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제 1 밀폐 부재(40)의 외부 가장자리부(140)는 제 1 연장부(142)와 제 2 연장부(144) 사이에 배치되어 안쪽으로 연장된 제 3 연장부(146)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용 밀폐 장치.
  10.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 1 밀폐 부재(40, 40', 40")의 제 2 연장부(144, 144', 144")는, 용기(120)의 유출 가장자리(130)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연장된 상부의 개구 평면(121)에 대해, 5° 내지 30°의 범위의 각도(α)를 이루며 내향 및 상향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용 밀폐 장치.
  11.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밀봉 부재(110)는 뚜껑(80)에 배치되고, 그에 의해 뚜껑(80)이 용기(120)에 대해 방수가 되도록 밀폐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용 밀폐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밀봉 부재(110)는 실리콘을 함유한 재료로 만들어진 밀봉 립(lip)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용 밀폐 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밀봉 부재(110)는 밀폐 위치에서 사전 응력을 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용 밀폐 장치.
  14. 제11항에 있어서, 제 1 밀폐 부재(40, 40', 40")가 밀폐 위치로 이동함에 따라, 제 1 밀폐 부재(40, 40', 40")의 외부 가장자리부(140)는 내부 링부(132)에 힘을 가하며 적어도 부분적으로 접촉하게 되고, 밀봉 부재(110)는 사전 응력을 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용 밀폐 장치.
  1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 1 밀폐 부재(40, 40, 40")는 원형의 부채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용 밀폐 장치.
  1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밀폐 부재 조립체(2)는 하나 이상의 추가 밀폐 부재(10, 20, 30)를 또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용 밀폐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제1 밀폐 부재(40)와 하나 이상의 추가 밀폐 부재(10, 20, 30)는 밀폐된 상태에서 상호 인접하고 뚜껑(80)을 완전히 덮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용 밀폐 장치.
  18.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밀폐 부재 조립체(2)는 바깥쪽으로 불룩하고 적어도 부분적으로 구형상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용 밀폐 장치.
  19.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뚜껑(80)은 바깥쪽으로 불룩하고 적어도 부분적으로 구형상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용 밀폐 장치.
  20. 제18항에 있어서, 밀폐 부재 조립체(2) 및 뚜껑(80) 중 하나 또는 모두의 구형상부의 반경은 300 내지 600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용 밀폐 장치.
  21.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밀폐 부재 조립체(2)는, 개방 위치에서 밀폐 위치로 이동할 때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뚜껑(80) 위에서 미끄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용 밀폐 장치.
  22.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밀폐 부재 조립체(2)와 뚜껑(80)은 중앙의 고정 수단(98, 99)에 의해 분리 가능한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용 밀폐 장치.
  23.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뚜껑(80)을 용기(120)의 중심에 위치시키기 위한 중심 설정용 수단(82a, 82b, 82c, 82d)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용 밀폐 장치.
  24. 제23항에 있어서, 중심 설정용 수단(82a, 82b, 82c, 82d)은 뚜껑(80)의 외부 가장자리에 고정되고 뚜껑(80)으로부터 하향 돌출하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용 밀폐 장치.
  2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이동 장치(90)는 손잡이(50)를 포함하고, 손잡이(50)를 회전 이동시키면, 슬롯이 있는 안내 원판에 의해 제 1 밀폐 부재(40, 40', 40")가 반경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용 밀폐 장치.
  2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이동 장치(90)는 손잡이(50)를 포함하고, 손잡이(50)를 회전 이동시키면, 톱니가 있는 기어 배열에 의해 제 1 밀폐 부재(40, 40', 40")가 반경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용 밀폐 장치.
  27.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용기 내부에 과도압력이 존재할 때 제 1 밀폐 부재의 이동을 방지하는 방지 수단과 과도압력 배출 밸브 중 하나를 구비하거나 모두를 구비한 안전 수단(15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용 밀폐 장치.
  28. 개구부와 외향 돌출한 유출 가장자리(130)를 구비한 용기(120)용 밀폐 장치(1)로서,
    상기 밀폐 장치(1)가, 용기(120)의 개구부를 밀폐하기 위한 뚜껑(80)과, 제1 밀폐 부재(40)와 하나 이상의 추가 밀폐 부재(10, 20, 30)를 구비한 밀폐 부재 조립체(2)와, 제1 밀폐 부재(40)와 하나 이상의 추가 밀폐 부재(10, 20, 30)를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 장치(90)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밀폐 부재와 추가 밀폐 부재는 이동 장치(90)의 작동에 의해 안쪽으로 이동될 수 있고, 상기 밀폐 부재 조립체(2)는 밀폐 장치(1)가 용기로부터 제거될 수 있는 개방 위치와 용기(120)가 뚜껑(80)에 의해 밀폐될 수 있는 밀폐 위치를 가지고, 상기 제1 밀폐 부재(40)와 하나 이상의 추가 밀폐 부재(10, 20, 30)는 원형의 부채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용 밀폐 장치.
  29. 삭제
  30. 개구부와 외향 돌출한 유출 가장자리(130)를 구비한 용기(120)용 밀폐 장치(1)로서,
    상기 밀폐 장치(1)가, 용기(120)의 개구부를 밀폐하기 위한 뚜껑(80)과, 적어도 제 1 밀폐 부재(40, 40', 40")를 구비한 밀폐 부재 조립체(2)와, 제 1 밀폐 부재(40, 40', 40")를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 장치(90)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밀폐 부재(40, 40', 40")는, 이동 장치(90)의 작동에 의해 안쪽으로 이동될 수 있고, 안쪽으로 이동하는 동안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향 이동하고, 밀폐 부재는 하향 연장된 제 1 연장부(142, 142', 142")와 상향 또는 비스듬하게 상향 연장된 제 2 연장부(144, 144', 144")를 가지는 갈고리형 외부 가장자리부(140, 140', 14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용 밀폐 장치.
  31.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용기용 밀폐 장치(1) 및
    쿠킹 포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 압력 쿠킹 포트 조립체.
KR1020047002064A 2001-08-10 2002-08-09 용기용 밀폐 장치 KR10092873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20113356U DE20113356U1 (de) 2001-08-10 2001-08-10 Schließvorrichtung für einen Behälter
DE20113356.3 2001-08-10
PCT/EP2002/008946 WO2003015594A1 (de) 2001-08-10 2002-08-09 Schliessvorrichtung für einen behält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8556A KR20040018556A (ko) 2004-03-03
KR100928734B1 true KR100928734B1 (ko) 2009-11-27

Family

ID=79604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02064A KR100928734B1 (ko) 2001-08-10 2002-08-09 용기용 밀폐 장치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US (1) US7082871B2 (ko)
EP (1) EP1416837B1 (ko)
KR (1) KR100928734B1 (ko)
CN (1) CN1541075B (ko)
AT (1) ATE322209T1 (ko)
BR (1) BR0211837A (ko)
DE (2) DE20113356U1 (ko)
ES (1) ES2261756T3 (ko)
HU (1) HU229830B1 (ko)
PL (1) PL200570B1 (ko)
PT (1) PT1416837E (ko)
RU (1) RU2311865C2 (ko)
UA (1) UA78717C2 (ko)
WO (1) WO200301559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654374A (zh) * 2012-09-03 2014-03-26 Seb公司 压力烹饪器具的简化装配盖和装配有这种盖的压力烹饪器具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193978A1 (en) * 2004-06-22 2009-08-06 John Richard Blichmann Conical fermentor
ITMI20042344A1 (it) * 2004-12-06 2005-03-06 Inoxia Spa Coperchio per pentole a pressione
DE202007001793U1 (de) 2007-02-02 2008-06-05 Synkrona Ag Gargefäß sowie Deckel und Dichtung für ein Gargefäß
FR2918864B1 (fr) * 2007-07-20 2009-10-09 Seb Sa Autocuiseur a habillage en matiere plastique
US8747933B1 (en) * 2007-08-17 2014-06-10 Seth D. McGinn Can cooker
US20100326991A1 (en) * 2008-11-07 2010-12-30 Ray Johnson Device for securing a lid to a pot
EP2397772B1 (en) * 2009-02-11 2018-10-03 Pellytech Co., Ltd Heating cooker with safety device for microwave oven
DE202009015975U1 (de) 2009-11-17 2010-03-11 Hidde, Axel R., Dr. Gargefäss mit Deckelmodul und Topfmodul
DE202010012194U1 (de) 2010-07-05 2010-11-25 Silag Handel Ag Deckel für einen Schnellkochtopf sowie Schnellkochtopf mit einem Deckel
DE102010026147A1 (de) * 2010-07-05 2012-01-05 Silag Handel Ag Deckel für einen Schnellkochtopf sowie Schnellkochtopf mit einem Deckel
CN101904687A (zh) * 2010-08-10 2010-12-08 杨达开 一种电压力锅
DE102011120417A1 (de) 2011-12-08 2013-06-13 Silag Handel Ag Deckel für einen Schnellkochtopf
DE102012011680A1 (de) 2012-06-14 2013-12-19 MKN Maschinenfabrik Kurt Neubauer GmbH & Co. KG Druckgargerät
WO2015074112A1 (en) * 2013-11-21 2015-05-28 Meyer Intellectual Properties Limited Microwave pressure cooker
US10253284B2 (en) * 2013-12-03 2019-04-09 John R. Blichmann Modular keg and conical fermentor
CN106667242A (zh) * 2017-01-24 2017-05-17 天喜控股集团有限公司 一种压力锅锅盖的开合盖装置
AU2018316266A1 (en) 2017-08-09 2020-02-20 Sharkninja Operating Llc Cooking device and components thereof
RU2689215C2 (ru) * 2017-10-10 2019-05-24 Сергей Сергеевич Ершов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фиксирования крышки на посуде
DE102017011432B3 (de) 2017-12-12 2019-01-17 Silag Handel Ag Druckminderungseinrichtung für einen Kochtopf
USD914447S1 (en) 2018-06-19 2021-03-30 Sharkninja Operating Llc Air diffuser
USD903413S1 (en) 2018-08-09 2020-12-01 Sharkninja Operating Llc Cooking basket
USD934027S1 (en) 2018-08-09 2021-10-26 Sharkninja Operating Llc Reversible cooking rack
USD883015S1 (en) 2018-08-09 2020-05-05 Sharkninja Operating Llc Food preparation device and parts thereof
USD883014S1 (en) 2018-08-09 2020-05-05 Sharkninja Operating Llc Food preparation device
US10688311B2 (en) 2018-10-03 2020-06-23 Selfkaire, Inc. Magnetic therapy devices and related methods
RU189213U1 (ru) * 2018-12-24 2019-05-16 Дмитрий Владимирович Щукин Автоклав с крышкой
USD928334S1 (en) 2019-02-13 2021-08-17 Selfkaire, Inc. Hand held massage device
EP3931493A1 (en) 2019-02-25 2022-01-05 SharkNinja Operating LLC Cooking system with guard
US20190254476A1 (en) 2019-02-25 2019-08-22 Sharkninja Operating Llc Cooking device and components thereof
USD982375S1 (en) 2019-06-06 2023-04-04 Sharkninja Operating Llc Food preparation device
USD918654S1 (en) 2019-06-06 2021-05-11 Sharkninja Operating Llc Grill plate
US11647861B2 (en) 2020-03-30 2023-05-16 Sharkninja Operating Llc Cooking device and components thereof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896409C (de) * 1950-10-06 1953-11-12 Kurt E Sommer Dampfdruckkochtopf
EP0139772A1 (de) * 1983-08-25 1985-05-08 AMC International Alfa Metalcraft Corporation AG Dampfdruckkochtopf
EP0491324A1 (de) * 1990-12-18 1992-06-24 SILIT-WERKE GMBH & CO. KG Deckel für Kochtöpfe mit umgelegtem Rand
US5613424A (en) * 1994-07-06 1997-03-25 Seb S.A. Device for controlling the closing and opening of locking jaws for a pressure vessel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H254203A (de) * 1946-06-18 1948-04-30 Kaeppeli Grimm Balthasar Dampfdruckkochtopf.
KR0132659Y1 (ko) * 1995-11-29 1998-12-01 이원명 자동밀폐 기능을 갖는 냄비
ES1041853Y (es) * 1998-12-07 2000-01-01 Fagor S Coop Olla expres con seguridad contra el giro de la tapa.
EP1029483B1 (en) 1999-02-18 2001-10-04 Tutto S.p.A. Cover for pressure pots
US6019029A (en) 1999-09-09 2000-02-01 Chiaphua Industries Limited Pressure cooker
TW429766U (en) * 2000-05-22 2001-04-11 Chen Jin Tsai Improved pressure pot
FR2809608B1 (fr) * 2000-05-31 2003-02-28 Seb Sa Dispositif de verrouillage/deverrouillage d'un couvercle sur une cuve, et recipient de cuisson sous pression comportant un tel dispositif
DE60216599T2 (de) * 2001-07-26 2007-09-20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Vorrichtung zum frittieren von gargut
US6513420B1 (en) * 2002-04-12 2003-02-04 Jong Peter Park Device for coupling a lid to pot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896409C (de) * 1950-10-06 1953-11-12 Kurt E Sommer Dampfdruckkochtopf
EP0139772A1 (de) * 1983-08-25 1985-05-08 AMC International Alfa Metalcraft Corporation AG Dampfdruckkochtopf
EP0491324A1 (de) * 1990-12-18 1992-06-24 SILIT-WERKE GMBH & CO. KG Deckel für Kochtöpfe mit umgelegtem Rand
US5613424A (en) * 1994-07-06 1997-03-25 Seb S.A. Device for controlling the closing and opening of locking jaws for a pressure vessel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654374A (zh) * 2012-09-03 2014-03-26 Seb公司 压力烹饪器具的简化装配盖和装配有这种盖的压力烹饪器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8556A (ko) 2004-03-03
CN1541075A (zh) 2004-10-27
PT1416837E (pt) 2006-07-31
ES2261756T3 (es) 2006-11-16
RU2004107088A (ru) 2005-09-27
PL365539A1 (en) 2005-01-10
US7082871B2 (en) 2006-08-01
DE50206325D1 (de) 2006-05-18
HUP0401482A2 (hu) 2004-11-29
EP1416837A1 (de) 2004-05-12
UA78717C2 (en) 2007-04-25
HU229830B1 (en) 2014-09-29
US20040250687A1 (en) 2004-12-16
WO2003015594A1 (de) 2003-02-27
EP1416837B1 (de) 2006-04-05
ATE322209T1 (de) 2006-04-15
CN1541075B (zh) 2010-05-12
BR0211837A (pt) 2004-09-08
DE20113356U1 (de) 2002-12-19
PL200570B1 (pl) 2009-01-30
RU2311865C2 (ru) 2007-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28734B1 (ko) 용기용 밀폐 장치
JP2514609B2 (ja) 圧力鍋
KR100337273B1 (ko) 조리 기구 손잡이 조립체
JP5235606B2 (ja) 過圧安全装置を備えた圧力調理器
EP3060090B1 (en) Lid with check valve
KR20170115967A (ko) 안전이 개선된 압력 조리용기
PT98698A (pt) Recipiente de cozinha
CN111246781B (zh) 具有挤出窗口的压力锅
EP3814243A1 (en) A lid for a food processor
JP4001603B2 (ja) 開くときの安全システムを具備する圧力下で調理するための家庭用器具
KR100851059B1 (ko) 용기용 밀폐 장치
KR20020001732A (ko) 용기 덮개
JP2005096867A (ja) 改良係止手段付き塗料缶カバー組立体
WO2003045811A1 (en) The cutting apparatus of sealed beverage vessel
CN216984564U (zh) 一种电饭煲盖及电饭煲
CN111110021A (zh) 压力烹饪器具
CN216984560U (zh) 一种电饭煲盖及电饭煲
JPH09252953A (ja) 圧力釜
KR200253056Y1 (ko) 전기보온 압력솥의 안전잠금장치
KR200238984Y1 (ko) 조작이 간편하고 안전한 압력용기
EP1040779B1 (en) Automatic safety device for a pressure cooker
JPH0438407B2 (ko)
GB2374522A (en) Juicer arrangement
KR19990054679A (ko) 압력밥솥
WO2004006744A1 (en) Kitchen applian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5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