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01732A - 용기 덮개 - Google Patents

용기 덮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01732A
KR20020001732A KR1020017009847A KR20017009847A KR20020001732A KR 20020001732 A KR20020001732 A KR 20020001732A KR 1020017009847 A KR1020017009847 A KR 1020017009847A KR 20017009847 A KR20017009847 A KR 20017009847A KR 20020001732 A KR20020001732 A KR 200200017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cover
obturator
lid
sh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098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지우리오 이아체띠
프란세스코 란조니
Original Assignee
알베르토 피안토니
비아레띠 인더스트리에 에세.피.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베르토 피안토니, 비아레띠 인더스트리에 에세.피.아. filed Critical 알베르토 피안토니
Publication of KR200200017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01732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1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 B65D81/2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7/00Kitchen containers, stan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Cutting-boards, e.g. for bread
    • A47J47/02Closed containers for foodstuffs
    • A47J47/04Closed containers for foodstuffs for granulated foodstuffs
    • A47J47/06Closed containers for foodstuffs for granulated foodstuffs with arrangements for keeping fresh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7/00Kitchen containers, stan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Cutting-boards, e.g. for bread
    • A47J47/02Closed containers for foodstuffs
    • A47J47/08Closed containers for foodstuffs for non-granulated foodstuffs
    • A47J47/10Closed containers for foodstuffs for non-granulated foodstuffs with arrangements for keeping fres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1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 B65D81/2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 B65D81/2007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under vacuum
    • B65D81/2015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under vacuum in an at least partially rigid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1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 B65D81/2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 B65D81/2007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under vacuum
    • B65D81/203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under vacuum with means for establishing or improving vacuum

Abstract

본 발명은 용기의 입구부와 탈착식으로 결합되는 덮개(1)에 관한 것으로, 상기 덮개는 긴밀한 밀봉을 형성하도록 입구부에 해당하는 용기의 벽체(3)와 접촉하는 외주연(6)을 포함한다. 유리하게, 상기 덮개(1)의 표면(5)은 탄성적으로 휘어질 수 있으며, 상기 덮개(1)는 용기의 입구부와 덮개(1)가 결합될 때 용기에 수용된 공기가 배출될 수 있도록 상기 표면을 통한 공기의 흐름을 허용하는 밸브수단(9)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용기 덮개{LID FOR RECIPIENTS}
식품을 보관하기 위해 전술한 형태의 덮개를 채용한 용기의 사용은 알려져 있다. 상기 용기는 특히 재료 및 조리된 음식을 가정에서 보관하기 위한 것이다. 즉, 냉장고에서 수일동안 음식을 보관하기 위한 것이다.
음식을 본래의 상태로 보존하기 위해서는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음식이 외부와 접촉하는 것을 가능한 피하도록 해야 한다. 이와 같은 이유 때문에, 용기를 긴밀하게 밀봉하는 덮개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현재, 용기의 입구부와 긴밀하게 결합하도록 특수하게 설계된 두껑과 함께, 전술한 필요성을 충족시키는 용기가 이미 공급되고 있다. 실질적을, 각각의 덮개는 설계된 대로 용기의 긴밀한 밀봉을 보장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스튜냄비의 덮개는 긴밀한 밀봉을 제공하지 않기 때문에, 스튜냄비에서 조리된 음식이 그 스튜냄비에 보관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음을 알수 있다. 따라서, 음식은 전술한 형태의 용기에 넣어 보관해야만 한다.
식품의 보관에 있어서 유념해야 할 점은 식품 보관시 식품과 접촉하는 공기의 양을 최소화하는 것이다. 그 이유는 공기에 포함된 산소가 음식의 표면과 접촉하게 되어 음식의 유기적 특성을 변화시키는 공지의 산화현상을 유발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음식 표면이 부분적으로 산화되었을지라도 입에서는 명확하게 감지할수 있음을 유념하여야 한다.
종래의 용기 및 두껑은 어느 정도의 긴밀한 밀봉을 형성하기는 하지만, 용기내에 포함된 공기의 양을 최소화할 수 없다는 단점을 갖는다.
본 발명은 식품용기, 스튜냄비 및 그 등가물과 같은 용기의 벽체와 일체화된 입구부에 탈착식으로 결합되는 용기 덮개에 관한 것이다. 상기 덮개는 용기의 입구부와 일치하는 용기의 벽체와 접촉하기에 적당한 가장자리에 의해 한정된 표면을 포함함으로써, 용기를 긴밀하게 밀폐시키게 된다.
도 1은 용기의 입구부에 결합된 본 발명에 따른 덮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두껑과 용기의 측단면도이며,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덮개의 측단면도로서, 용기의 입구부와 결합되기 이전의 상태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덮개를 상세하게 도시한 단면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덮개를 2개의 사용위치에서 도시한 측단면도이고,
도 6은 도 1에 도시된 덮개의 측단면도로서, 용기의 입구부와 결합된 상태이며,
도 7은 변형예에 따른 본 발명의 덮개의 측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필요조건을 충족시키는 구조적, 기능적 특징을 가짐과 아울러, 종래 기술과 관련된 단점을 해소할 수 있는 용기 두껑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은 청구항 제 1 항에 따른 용기 덮개에 의해 해결된다.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장점과 특징은 첨부도면과 함께 하기된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알 수 있을 것이나, 이들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한정하지 않는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참조번호 1은 스튜냄비 형태를 가진 용기(2)용 덮개를 나타낸다.
통상적으로, 상기 용기(2)는 원형 바닥과, 입구부(4)를 형성하는 측벽(3)을 포함한다.
상기 덮개(1)는 원반형 표면(5)을 포함하며, 긴밀한 밀봉을 형성하도록 용기(2)의 입구부와 탈착식으로 결합하기에 적합하다. 덮개의 표면(5)은 용기(20의 벽체와 긴밀하게 접촉하는 외주연(6)을 갖는다.
더 상세하게, 상기 외주연(6)은 덮개(1)가 용기(2)의 입구부(4)와 결합될 때 입구부(4)에 삽입되어 벽체(3)와 접촉하게 되는 밀봉 립(sealing lip)(7)을 포함하며, 이는 밀봉 가스켓 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상기 외주연(6)은 외주연 둘레로 연장된 돌출면(8)을 포함하며, 이는 밀봉 립(7) 위에 위치되어 용기(2)의 벽체(3) 상단을 지지하게 된다. 돌출면이 벽체(3)에 지지될 때, 도 2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돌출면(8)은 덮개(1)가 용기(2)의 입구부(4)로 삽입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도록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덮개(1)는 플라스틱 물질로 제조되며, 원반형이기 때문에 탄성적으로 휘어질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수직하방(화살표(F) 방향)으로 덮개에 힘을 가하면, 상기 덮개(1)는 돌출면(8)이 용기(2)의 벽체와 접촉된 후 덮개가 오목해질 때까지 굴절 변형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유리하게, 상기 덮개(1)는 용기(2)의 입구부(4)와 덮개(1)가 결합될 때 공기가 표면(5)을 통과할 수 있도록 하는 밸브수단(9)을 포함함으로써, 용기(2)에 수용된 공기의 양을 저감시키게 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밸브수단(9)은 덮개(1)의 중앙에 위치되며, 이는 상보적인 폐색구 시트(11)에 삽입된 폐색구(obturator)(10) 형태를 취한다. 상기 폐색구(10)는 시트(11) 내부에서 폐쇄위치(도 2 참조)와 개방위치(도 3 참조)로 이동할 수 있으며, 개방 및 폐쇄위치에서 밸브수단(9)과 표면(5)을 통한 공기의 흐름은 각각 허용 및 억제된다.
예를 들어, 상기 원통형 시트는 표면(5)과 일체로 형성된 원통형 슬리브(12)의 내면중 일부인 형태를 취한다. 상기 슬리브(12)는 표면(5)으로부터 상방향으로 연장된다. 슬리브(12)의 내측은 원통형 통로를 형성한다.
상기 폐색구(10)는 각각 밸브수단(9)의 개폐위치에 해당하는 상부위치(도 3 참조)와 하부위치(도 2 참조)에서 시트(11), 즉 슬리브(12)내에서 이동가능하게 삽입된 원통형 몸체 형태이다.
상기 폐색구(10)의 상단은 슬리브(12) 외측에 구비된 손잡이(13)에서 종료되며, 이는 시트의 내측에서 폐색구가 전술한 개폐위치, 즉 상부 및 하부위치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폐색구(10)의 외측면에는 손잡이(13)로부터 소정 거리(D)만큼 이격된 지점으로부터 시작하여 폐색구(10)의 하부 자유단까지 축방향으로 연장된 그루브가 형성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폐색구(10)가 폐쇄위치에 있을 때, 이는 슬리브(12)에 완전히 삽입됨으로써, 시트(11)를 완전히 폐쇄하여 밀봉시키게 된다.
선택적으로, 폐색구(10)가 개방위치에 있을 때, 이는 시트(11)로부터 부분적으로 추출된다. 이 위치에서, 상기 그루브(14)는 폐색구(10)의 측면과 시트(11)의 측면이 긴밀하게 결합되지 않도록 한다. 실제로, 상기 그루브(14)는 시트(11), 즉 밸브수단(9) 및 덮개(1)의 표면(5)을 통과하여 공기가 흐를 수 있는 배출구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 폐쇄(하부)위치에서, 폐색구의 이동종료위치는 손잡이(13)가 슬리브(12)의 상단에 접촉하였는지의 여부에 따라 결정된다.
상기 개방(상부)위치에서, 폐색구의 이동종료위치는 폐색구(10)의 하부 자유단에 제공된 외부 방사상 돌출부에 의해 한정되며, 상기 돌출부는 슬리브(12)에 형성된 내부 단턱에 접촉하게 된다.
덮개(1)의 사용시, 즉 용기(2)의 입구부(4)에 덮개를 결합할 때, 긴밀하게 밀폐시키기 위해서는 용기(2)의 입구부(4)와 덮개(1)의 중심이 일치하도록 덮개를 위치시키는 것만으로도 족하다. 아울러, 폐색구(10)가 개방(상부)위치에 놓이도록하여야 한다.
그후, 수직하방(도 6의 화살표(F) 방향)으로 덮개(1)에 손으로 힘을 가하면, 상기 덮개(1)는 돌출면(8)이 용기(2) 벽체(3)의 상단과 접촉하게 될 때까지 용기(2)의 입구부에 삽입된다. 아울러, 상기 밀봉 립(7)은 용기의 벽체(3)와 접촉하게 됨으로써, 밀봉 가스켓 역할을 한다.
전술한 방식으로 덮개(1)를 계속 가압하면, 덮개는 오목한 형상이 될 때까지 탄성적으로 굴절 변형하기 시작한다(도 6 참조). 상기 덮개(1)의 굴절로 인하여, 용기로부터 밸브수단(9)을 통한 공기의 방출, 즉 용기(2)에 수용된 공기량을 저감시킬 수 있다.
이는 폐색구(10)가 폐쇄위치(도 2 참조)로 움직이도록 손잡이(13)를 조작하는 것으로 충분하다. 이 때, 용기(2)의 입구부(4)와 덮개(1) 사이에는 긴밀한 밀봉이 형성된다. 상기 용기(2) 내부에 형성된 진공 때문에, 덮개(1)는 더이상 손으로 가압하지 않아도 오목한 형태를 유지하게 된다.
유리하게, 시트(11)에 대한 폐색구(10)의 삽입은 소정의 힘으로 실시될 수있으며, 덮개(1)를 굴절 변형시키는데 필요한 힘은 폐색구(10)를 개방(상부)위치로부터 폐쇄(하부)위치로 이동시키는데 필요한 힘보다 작다. 따라서, 한손으로 손잡이(13)를 조작함으로써, 덮개(1)를 용기(2)의 입구부(4)와 결합시킬 수 있다.
상기 용기(2)로부터 덮개(1)를 탈거하는 경우, 폐색구가 폐쇄(하부)위치로부터 개방(상부)위치로 움직이도록 손잡이(13)를 조작하면 된다. 이는 그루브(14)에 의해 형성된 배출구를 통해 공기가 용기속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덮개(1)는 용기로부터 융기되어 쉽게 탈거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참조번호 100은 본 발명에 따른 덮개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다. 상기 덮개(1)의 구성요소와 구조 및 기능적으로 동일한 덮개(100)의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사용하여 표시하였으며 더 이상 설명하지 않는다.
상기 덮개(100)는 표면(5)의 중앙에 위치된 손잡이(101)를 포함한다.
일방향 밸브수단(102), 즉 공기가 일방향으로만 통과하도록 하는 밸브수단을 수용하기 위한 시트를 형성하는 관통공이 덮개(100)의 표면(5)에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밸브수단은 스프링(105)에 의해 하부의 폐색구 시트(104)와 접촉하도록 가압되는 볼 폐색구(103) 형태를 취한다. 상기 볼 폐색구(103)와 시트(104)의 구조로 인하여, 덮개(100)를 용기(2)의 입구부(4)와 결합시킬 때, 스프링(105)의 작용과는 반대로 공기의 흐름을 허용하게 된다. 선택적으로, 덮개(100)가 굴절됨으로써 용기(2)에 형성된 진공은 폐색구(103)를 시트(104)에 대한 폐쇄위치로 재소환함으로써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덮개는 종래기술과 관련된 단점을 극복하고 전술한 필요조건을 충족시킨다. 실제로, 본 발명에 따른 덮개는 용기의 긴밀한 밀봉을 보장한다. 또한, 덮개를 용기의 입구부와 결합시킬 때, 상기 덮개는 용기에 수용된 공기의 일부를 배출할 수 있도록 하며, 이에 따라 음식과 접촉하는 공기의 양을 최소화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덮개의 다른 장점은 스튜냄비 또는 그 등가물과 같은 종래의용기의 입구부와 결합하기에 적합하며, 음식을 요리한 용기에 음식을 그대로 보관할 수 있다는 점이다.
본 발명에 따른 덮개의 또 다른 장점은 구조적 및 기능적으로 단순하다는 점이다.
명백하게, 당업자는 특수한 조건을 만족시키기 위해 전술한 용기용 덮개에 대한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할 것이나, 모든 변형 및 변경은 하기된 청구범위에서 한정한 본 발명의 권리에 속한다.
따라서, 예를 들면, 용기의 입구부 형태에 대한 변형과 함께 덮개의 형태가 그에 따라 변형될 것이다. 즉, 상기 덮개를 타원형, 사각형 또는 다른 형태로 제조하고, 이러한 형태의 입구부를 가진 용기를 제조할 수 있다.
전술한 폐색구와 폐색구 시트는 다른 기능적 등가물로 대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게이트 밸브, 쿡 및 그와 유사한 종류의 폐색구를 사용하거나 또는 회전식으로 작동하는 폐색구가 사용될 수 있다.

Claims (12)

  1. 용기(2)의 벽체(3)에 의해 형성된 입구부(4)와 탈착식으로 결합되며, 상기 입구부(4)에 상응하는 용기(2)의 벽체(3)와 접촉되어 긴밀한 밀봉을 형성하는 외주연(6)에 의해 한정되는 표면(5)을 포함하는 용기 덮개로서,
    상기 덮개(1;100)의 표면(5)은 탄성적으로 휘어지고, 상기 덮개(1;100)는 용기(2)의 입구부(4)와 덮개(1;100)가 결합될 때 덮개(1;100)의 표면(5)을 통해 공기가 통과할 수 있도록 하여 용기(2)에 수용된 공기를 배출시키는 밸브(9;10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덮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수단(9)은 폐색구 시트(11)에 삽입되는 폐색구(10)를 포함하되, 상기 폐색구(10)는 밸브수단(9)을 통한 공기의 소통이 각각 억제 및 허용되는 폐쇄위치 및 개방위치로 폐색구 시트(11)에서 이동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덮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폐색구(10)는 상기 폐색구 시트(11)에서 폐쇄위치 및 개방위치로 미끄럼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덮개.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폐색구(10)는 원통형 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폐색구 시트(11)는 폐색구(10)가 폐색구 시트(11)에 삽입되는 폐쇄위치와, 폐색구(10)가폐색구 시트(11)로부터 부분적으로 추출되는 개방위치로 미끄럼운동하는 상보적 원통형 시트를 포함하며, 상기 폐색구(10)의 표면은 패색구(10)가 폐색구 시트(11)로부터 부분적으로 추출될 때 폐색구 시트(11)를 통한 공기의 흐름을 허용하는 배출구 역할을 하는 적어도 하나의 그루브(1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덮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폐색구(10)는 힘에 의해 폐색구 시트(11)로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덮개.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폐색구(10)와 연관된 손잡이(13)를 더 포함하며, 상기 손잡이에 의해 폐색구(10)가 폐쇄위치와 개방위치로 이동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덮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수단(102)은 일방향 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덮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주연(6)은 용기(2)와 덮개(1;100)의 긴밀한 밀봉을 보장하는 가스켓 역할을 하는 밀봉 립(7)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덮개.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 립(7)은 압력에 의해 용기(2)의 입구부(4)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외주연(6)은 덮개(1:100)와 용기(2)의 입구부(4)가 결합될 때 용기(2)의 입구부(4)로 덮개(1;100)가 삽입되는 것을 제한하기 위해 용기(2)의 벽체(3)와 접촉하는 돌출면(8)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1;100)는 원반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1;100)의 표면(5)은 탄성적으로 굴절 변형하며, 상기 표면(8)은 수직으로 가해지는 힘(F)에 의해 오목한 형상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KR1020017009847A 1999-02-05 2000-02-03 용기 덮개 KR2002000173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IT1999MI000229A IT1307761B1 (it) 1999-02-05 1999-02-05 Coperchio per recipienti.
ITMI99A000229 1999-02-05
PCT/EP2000/000890 WO2000045688A1 (en) 1999-02-05 2000-02-03 Lid for recipient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01732A true KR20020001732A (ko) 2002-01-09

Family

ID=113817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09847A KR20020001732A (ko) 1999-02-05 2000-02-03 용기 덮개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EP (1) EP1148804B1 (ko)
JP (1) JP2002536249A (ko)
KR (1) KR20020001732A (ko)
CN (1) CN1338906A (ko)
AT (1) ATE280527T1 (ko)
AU (1) AU2669800A (ko)
DE (1) DE60015293D1 (ko)
IT (1) IT1307761B1 (ko)
WO (1) WO200004568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483105B2 (en) 2002-05-09 2009-01-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Vertically aligned mode liquid crystal display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E294753T1 (de) * 2002-01-30 2005-05-15 Curver Bv Mehrfunktionsventilelement
JP2006112451A (ja) * 2004-10-12 2006-04-27 Tohoku Univ 真空構造体,真空断熱パネル,真空構造体の封止方法及び真空構造体の製造方法
DE602006016345D1 (de) * 2006-04-24 2010-09-30 Giorgio Tosini Schutzmembran für ein zum kochen, gefrieren oder lagern von lebensmitteln ausgeführtes gefäss
JP5015722B2 (ja) * 2007-09-26 2012-08-29 弘紀 武田 鍋用フリ−サイズ減圧蓋
NL2004211C2 (en) 2010-02-08 2011-08-09 Vacu Vin Innovations Ltd Dispensing assembly.
JP5785395B2 (ja) * 2011-01-12 2015-09-30 Agcテクノグラス株式会社 容器用開閉蓋および開閉蓋付き容器
CN102874474A (zh) * 2012-09-14 2013-01-16 朱磊 一种液体容器的密封口结构及其组装方法
WO2014047360A1 (en) * 2012-09-20 2014-03-27 Meyer Intellectual Properties Ltd. Cookware vessel with vacuum sealable lid
EP3357383B1 (de) * 2017-02-02 2019-10-30 keeeper GmbH Schüttbehälter zur aufbewahrung rieselfähiger lebensmittel
DE102019000133A1 (de) * 2019-01-11 2020-07-16 Zwilling J. A. Henckels Aktiengesellschaft Frischhalte-Unterdruckbehälter für Lebensmittel
DE102019000131B4 (de) * 2019-01-11 2022-02-24 Zwilling J. A. Henckels Aktiengesellschaft Frischhalte-Unterdruckbehälter für Lebensmittel
FR3136453A1 (fr) * 2022-06-10 2023-12-15 Jonathan SPITALIERI Boîte destinée à la conservation sous vide de matière organique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280519B (de) * 1967-07-27 1970-04-10 Rexall Drug Chemical Frischhaltedose
IT222704Z2 (it) * 1991-07-19 1995-04-24 Whirlpool Italia Dispositivo valvolare di tenuta in particolare per scomparti sottovuoto
FR2692870B1 (fr) * 1992-06-24 1996-06-07 Michel Bastien Dispositif de controle du maintien d'un niveau de pression dans une enceinte
US5692632A (en) * 1996-05-01 1997-12-02 Hsieh; Chien-Hsing Container with a self-contained evacuation lid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483105B2 (en) 2002-05-09 2009-01-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Vertically aligned mode liquid crystal displa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ITMI990229A1 (it) 2000-08-05
EP1148804B1 (en) 2004-10-27
IT1307761B1 (it) 2001-11-19
DE60015293D1 (de) 2004-12-02
CN1338906A (zh) 2002-03-06
AU2669800A (en) 2000-08-25
EP1148804A1 (en) 2001-10-31
WO2000045688A1 (en) 2000-08-10
ATE280527T1 (de) 2004-11-15
JP2002536249A (ja) 2002-10-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48136B2 (en) Canister lid with improved evacuation and vent assembly
KR20020001732A (ko) 용기 덮개
EP1506120B1 (en) Hose direct canister lid
US3967748A (en) Drinking receptacle valve means
KR0132659Y1 (ko) 자동밀폐 기능을 갖는 냄비
US10080452B2 (en) Cover device for a drink container
CA2666575A1 (en) Vented closure for container
GB2140132A (en) Tap for a liquid container
JP2005506150A (ja) 鼻灌注器
JP7385730B2 (ja) 真空バルブを有する食品真空保管容器用マルチプッシュボタン
JPS63152569A (ja) 食物保存用容器
JPS5827724Y2 (ja) エア−ポツト
JPH11349026A (ja) 密閉容器
KR200485939Y1 (ko) 밀폐용기
KR100976335B1 (ko) 음식물 보관용 밀폐용기
WO2000056623A1 (en) Package, lid and vent for pressure equalization
KR200255232Y1 (ko) 진공보존용기의 공기유출입밸브
KR200255229Y1 (ko) 저장공간의 가변이 가능한 진공보존용기
JP3088164U (ja) 食品保存用容器
KR200286542Y1 (ko) 밀폐용기용 뚜껑
KR200259302Y1 (ko) 발효용 용기뚜껑
KR200187987Y1 (ko) 식품 진공보존용기의 공기 유출/입 밸브
JPH0415145Y2 (ko)
KR200173355Y1 (ko) 진공 보온병용 뚜껑
KR200227851Y1 (ko) 식품진공보존용기의공기유출입밸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