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23617B1 - 광원용 커버 및 이를 구비한 휴대기기 - Google Patents

광원용 커버 및 이를 구비한 휴대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23617B1
KR100923617B1 KR1020070093359A KR20070093359A KR100923617B1 KR 100923617 B1 KR100923617 B1 KR 100923617B1 KR 1020070093359 A KR1020070093359 A KR 1020070093359A KR 20070093359 A KR20070093359 A KR 20070093359A KR 100923617 B1 KR100923617 B1 KR 1009236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source
knurling
cover
light
sp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933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25328A (ko
Inventor
도모따까 니시하라
기미아끼 이마이
Original Assignee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253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253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36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36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9/00Combinations of cameras, projectors or photographic printing apparatus with non-photographic non-optical apparatus, e.g. clocks or weapons; Cameras having the shape of other object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5/00Special procedures for taking photographs; Apparatus therefor
    • G03B15/02Illuminating scene
    • G03B15/03Combinations of cameras with lighting apparatus; Flash units
    • G03B15/05Combinations of cameras with electronic flash apparatus; Electronic flash un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15/00Special procedures for taking photographs; Apparatus therefor
    • G03B2215/05Combinations of cameras with electronic flash units
    • G03B2215/0503Built-in un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4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camera module assemb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2Illumination; Arrangements for improving the visibility of characters on dia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Stroboscope Apparatuses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 Light Guides In General And Application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원용 커버(12)를 광학재료로 구성하며, 그 표면(12a)에 직선형 홈으로 이루어지는 널링(knurling)가공(21)을 실시하고, 이면(12b)에 파형 홈으로 이루어지는 스핀가공(22)을 실시한다. 또는, 표면(12a) 및 이면(12b)에 직선형 홈으로 이루어지는 널링가공(21)을 실시하거나, 이면(12b)에만 널링가공(21)이나 스핀가공(22)을 실시하거나 한다. 휴대기기에 구비된 광원으로부터의 광의 투과를 조정하는 광원용 커버에 있어서, 간단한 구성으로 광원으로부터의 광을 균등하게 확산시키면서, 광원 본체의 외관을 가려, 외관의 아름다움을 유지한다.
휴대기기, 광원용 커버, 널링가공, 스핀가공, 휴대전화기

Description

광원용 커버 및 이를 구비한 휴대기기{LIGHT-SOURCE COVER AND PORTABLE DEVICE THEREWITH}
본 발명은, 휴대기기에 구비된 광원으로부터의 광의 투과를 조정하는 광원용 커버 및 이를 구비한 휴대기기에 관한 것이다.
사진을 촬영할 때, 어두운 곳에서는 플래시가 이용된다. 이때, 플래시의 악영향이 없으며, 낮에 촬영된 것과 같은 자연스러운 촬영이 행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래서, 광을 확산시키기 위해, 광원 앞에 광원용 커버가 배치된다.
또 휴대전화기에서는, 그 치수 제약 때문에 LED와 같은 간단한 광원이 설치되며, 어두운 곳에서의 카메라촬영 시에는, 광원이 점등되어 사진이 촬영됨으로써, 선명한 화상이 얻어진다. 이 광원은, 어둠 속에서 사용자의 손을 비추는 스폿라이트로 사용되거나, 전화나 메일 착신 시에 광을 명멸시켜 사용자에게 알리거나 하는 역할을 줄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광원을 피복하는 광원용 커버는, 유백색의 미디엄(medium) 인쇄를 실시하여 광의 투과율을 내리고, 재료 중으로 확산재료를 넣음으로써, 확산효과를 얻음과 더불어, 차폐효과도 얻는다.
한편, 일안레프와 같은 카메라에는 스트로보장치가 사용되며, 예를 들어 일 특개평 10-39377호 공보에는, 반사우산의 앞쪽에 배치되는 광 제어부를, 섬광방전관의 길이방향에 대해서만 확산작용을 갖는 확산제어부와, 공곱되는 광을 모든 방향에 대해 집광하는 집광작용을 갖는 집광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한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로써, 섬광방전관으로부터 광제어부로 입사하는 광을 확산제어부에서 섬광방전광의 길이방향으로 확산시킬 수 있게 되고, 그 결과, 광제어부에 의한 프리즘작용이 제한된 조사각 가변 스트로보장치가 얻어진다.
일특개평 10-68987호 공보에는, 막대형 광원의 길이방향에 직교된 기준선의 양쪽에, 각각이 막대형 광원으로부터의 출사광을, 기준선 방향으로 거의 확산시키지 않고 상기 길이방향으로 크게 확산시키는 광학특성을 갖는 제 1 집광렌즈부와 제 2 집광렌즈부를 형성하여 구성한 광학재료가 개시되어 있다. 이로써, 막대형 광원의 출사광이 상기 길이방향으로 특별히 크게 확산된, 넓은 발광조사각도를 가진 배광특성을 설정할 수 있는 광학재료, 스트로보장치 등을 얻을 수 있다.
일특개 2004-138784호 공보에는, 광제어부의 한 면에, 막대형 광원의 길이방향에 대해서만 광확산작용을 갖는 확산제어부를 구비하며, 또 광각모드일 때 반사우산의 개구를 피복하지 않는 광 제어부의 부분에, 막대형 광원의 길이방향에 대해서만 집광작용을 갖는 집광제어부를 구비하는 광학재료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미디엄 인쇄를 실시한 광원용 커버는, 조도가 상당히 저하되어버리며, 카메라촬영 시 보조광으로서의 기능을 충분히 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즉, 외관을 지나치게 중요시하면, 조도가 저하되어버린다는 문제가 있다.
또 휴대기기에서는 광원용 커버나 광원의 설치장소가 한정되므로, 종래의 스트로보장치와 같이 광원용 커버를 2장 겹치거나, 광원으로서 강력한 섬광을 발하는 것을 배치할 수 없는 등의 제약이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에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간단한 구성으로 광원으로부터의 광을 균등하게 확산시키면서, 광원의 비사용 시에는, 광원 본체의 외관을 가려, 외관의 아름다움을 유지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광학재료로 구성된 광원용 커버의 적어도 한쪽 면에 널링(knurling)가공 또는 스핀가공을 실시한다.
구체적으로 제 1 발명에서는, 휴대기기에 구비된 광원으로부터의 광의 투과를 조정하는 광원용 커버를 전제로 하며, 표면에는, 평탄하거나 또는 직선형 홈으로 이루어지는 널링 가공이 실시되고, 이면에는, 직선형 홈으로 이루어지는 널링가공(21), 또는 파형 홈으로 이루어지는 스핀가공이 실시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표면의 널링가공, 이면의 널링가공 또는 스핀가공에 의해, 비사용 시에, 광원용 커버를 통해 광원이 보이기 어려워지므로, 외관이 좋아지 며, 또 광원의 광이 적절하게 확산된다.
제 2 발명에서 상기 광학재료는, 아크릴 수지, 또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이며, 성형품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어느 광학재료도 유기유리로 불리며 투명성이 높으므로, 광원을 피복하는 커버 재료로서 적합하다. 또 어느 것도 성형이 쉬우며, 널링가공이나 스핀가공의 실시가 용이하다. 아크릴 수지는, 특히 메타크릴산에스테르중합체가 가장 투명도가 높은 것 중의 하나이며, 굴절률도 높고, 열가소 형성으로 복잡한 형상의 사출성형이 가능하므로, 광학재료의 소재로서 범용되고 있다.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는, 특히 내충격성이 우수하다.
제 3 발명에서, 상기 널링가공 및 스핀가공은 모두 깊이가 50±10㎛이다.
즉, 가공깊이를 지나치게 작게 하면, 비사용 시에 광원이 보이기 쉬워, 외관이 손상되기 쉬우며, 지나치게 크게 하면, 광을 가리는 양이 지나치게 많아져, 카메라 보조광으로서의 기능을 수행할 수 없다. 그러나 상기 구성에 의하면, 비사용 시에 광원용 커버를 통해 광원이 보이는 것을 방지하면서, 광원으로부터의 광이 적절하게 확산된다.
제 4 발명에서, 상기 표면의 널링가공 피치는 400±100㎛이며, 상기 이면의 널링가공 또는 스핀가공의 피치는 100±25㎛이다.
즉, 널링가공 피치나 스핀가공 피치를 지나치게 크게 하면, 비사용 시에 광원이 보이기 쉬워, 외관이 손상된다. 널링가공 피치나 스핀가공 피치를 지나치게 작게 하면, 광원으로부터의 광이 효율적으로 확산되지 않으며, 카메라 보조광으로 서의 역할을 하지 않는다. 그러나 상기 구성에 의하면, 비사용 시에 광원용 커버를 통해 광원이 보이는 것을 방지하면서, 광원으로부터의 광이 적절하게 확산된다.
제 5 발명에서, 상기 널링가공 및 스핀가공의 단면형상은 톱니형상이며, 상기 톱니형상은, 상기 광원측에서 바깥쪽을 향해 그 높이가 점점 높아지도록 이어지는 경사부와, 이 경사부로부터 마무리면에 대해 수직으로 내려가는 수직부를 갖는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광원으로부터의 광이 적절하게 확산된다.
제 6 발명에서, 상기 표면의 널링가공 경사부는 거의 tan1/8의 기울기를 갖는 형상이며, 상기 이면의 널링가공 또는 스핀가공의 경사부는 거의 tan1/2의 기울기를 갖는 형상이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광원으로부터의 광이 쉽게 또 적절하게 확산된다.
제 7 발명에서, 상기 표면의 널링가공, 상기 이면의 널링가공 또는 스핀가공은, 각각 광원의 중심을 향해 오목해지도록 실시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균일한 확산효과가 얻어진다.
제 8 발명에서, 상기 표면 및 이면에 실시된 널링가공은, 표면에서 보아 서로 직각으로 교차하도록 실시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비사용 시에 광원이 보이는 것이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된다.
제 9 발명에서, 휴대기기는 상기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광원용 커버를 구비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광원용 커버는 간단한 구성이어서, 전체 크기를 크게 할 필요는 없으므로, 휴대성이 높으며 또, 광원으로부터의 광이 적절하게 확산되므로, 어두운 곳에서도 카메라촬영이 쉽고 또 외관이 좋은 휴대기기가 얻어진다.
제 10 발명에서, 휴대기기는 휴대전화기로 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치수 제약 때문에 LED와 같은 간단한 광원이 설치된 경우라도, 어두운 곳에서의 카메라촬영 시에, 광원으로부터의 광이 적절하게 확산되어 선명한 화상이 얻어진다. 또 비사용 시에 광원이 보이기 어려우므로, 패션감이 있는 휴대전화기가 얻어진다.
상술한 목적 및 기타의 목적과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은 첨부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광학재료로 구성된 광원용 커버의 적어도 한쪽 면에 널링가공 또는 스핀가공을 실시함으로써, 간단한 구성으로 광원으로부터의 광을 균등하게 확산시키면서, 광원의 비사용 시에는, 광원 본체의 외관을 가려, 외관의 아름다움을 유지할 수 있다.
[실시예]
[제 1 실시형태]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 제 1 실시형태의 휴대기기로서의 휴대전화기(1)를 나타낸다. 이 휴대전화기(1)는 제 1 케이싱(2)과 제 2 케이싱(3)을 가지며, 이 들이 힌지부(4)에 의해 X축을 중심으로 절곡 자유롭게 결합된다. 제 1 케이싱(2)은, 힌지부(4)에 대해 Y축을 중심으로 180도 자전운동 가능하게 구성되므로, 자전시켜 접으면 제 1 표시부(5)가 외관에 나타나도록 구성된다.
제 1 케이싱(2)은, 표면에 제 1 표시부(5)와 수화부(6)를 가지며, 이면에 제 2 표시부(10)를 갖는다. 제 2 표시부(10)는 대기상태일 때는 통상, 달력이나 시계 등이 표시되며, 착신 시에는 상대방 이름이나 전화번호를 표시하여, 착신이력을 알리도록 구성된다.
제 2 케이싱(3)은 표면에 송화부(7), 기능버튼(8), 입력버튼(9) 등을 갖는다. 제 2 케이싱(3) 이면을 피복하는 뒤쪽 캐비넷(3a)은, 하측커버(3b) 및 상측커버(3c)로 피복된다. 하측커버(3b)에는 광원용 창(3d)이, 상측커버(3c)에는 카메라용 창(3e)이 각각 형성된다. 카메라용 창(3e)을 통해, 카메라부(11)가 보인다.
광원용 커버(12) 내부에는 광원(13)(도 5에 나타냄)이 설치된다. 광원(13)은, 예를 들어 LED로 구성된다. 어두운 장소에서의 카메라촬영 시에는, 이 광원(13)이 점등되어 사진촬영이 행해짐으로써, 선명한 화상이 얻어진다. 또 이 광원(13)은, 어둠 속에서 사용자의 손을 비추는 스폿라이트로 사용되거나, 전화나 메일의 착신 시에 명멸되어 사용자에게 알리거나 하는 역할을 줄 수도 있다.
도 6은 광원용 커버(12)의 사시도이다. 광원용 커버(12)는, 광학재료인 아크릴 수지, 또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의 성형품으로 이루어지며, 제 2 케이싱(3)의 뒤쪽 캐비넷(3a) 내부에 장착된다. 어느 광학재료도 유기유리로 불리며, 투명성이 높으므로, 광원을 피복하는 커버 재료로서 적합하다. 또 어느 광학재료도 성형이 쉬우며, 널링가공이나 스핀가공의 실시가 용이하다. 아크릴수지는 특히, 가장 투명도가 높은 메타크릴산에스텔 중합체의 하나로, 굴절률도 높으며, 열가소 형성으로 복잡한 형상을 사출성형 하기가 가능하므로, 광학재료 소재로서 범용되고 있다.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는 특히 내충격성이 우수하다.
도 4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뒤쪽 캐비넷(3a)에는, 광원(13)을 끼워 넣기 위한 광원 삽입공(14)과, 카메라부(11)를 외부로 향하게 하기 위한 카메라 삽입공(15)이 형성된다. 광원 삽입공(14)에는 광원용 홀더(16)가 끼워진다. 이 광원용 홀더(16)의 표면 쪽에 상기 광원용 커버(12)가 장착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광원용 커버(12)의 중심과, 광원(13)의 중심이 맞도록 장착된다.
한편, 뒤쪽 캐비넷(3a)의 표면 쪽(입력버튼(9) 쪽)에 회로기판(17)이 끼워지도록 구성된다. 이 회로기판(17)에 광원(13)과 카메라부(11)가 장착된다.
상기 광원(13)과 카메라부(11)가 장착된 회로기판(17)을 뒤쪽 캐비넷(3a)으로 끼워, 카메라부(11)를, 카메라 삽입공(15)을 개재하고 외부를 향하도록 하며, 광원(13)을, 광원용 홀더(16) 및 광원용 커버(12)를 개재하고 외부를 향하도록 조립한다.
도 6 및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광원용 커버(12)의 표면(12a) 전체에 직선형 홈으로 이루어지는 널링가공(21)이 실시된다. 이 적선형 홈은 휴대전화기(1)의 좌우방향으로 이어진다. 또 이면(12b)에는 상기 광원용 창(3d)을 통해 보이는 부분보다 약간 넓은 부분만큼의, 파형 홈으로 이루어지는 스핀가공(22)이 실시된다. 이들 표리의 가공은, NC가공기 등으로 성형한 홈을 갖는 금형에 의해 성형 시 에 실시된다. 광원용 커버(12)의 표면(12a) 및 이면(12b) 가공에 의해, 광원(13)의 이상적인 광 제어가 이루어진다.
표면(12a)의 널링가공(21)은, 깊이(d1)=50㎛, 피치(p1)=400㎛이며, 그 단면형상은 톱니형상을 이룬다. 즉 이 톱니형상은, 상기 광원(13)을 중심으로 한 좌우로 이어지는 중심선(H)에서 멀어짐에 따라 위쪽으로 이어지는 경사부(21a)와, 이 경사부(21a)에 연속되며, 수직으로 내려가는 수직부(21b)를 갖는다. 경사부(21a)는, 거의 tan1/8의 기울기를 갖는다. 이 톱니형상이 상하 대칭으로 배치되며, 표면(12a)에서 보면, 좌우방향으로 직선형으로 이어지도록 보인다. 또 널링가공(21)은, 전체적으로 광원(13)의 중심을 향해 오목해지도록 실시된다. 또한 널링가공(21)은 상하방향으로 직선형으로 이어지도록 실시해도 된다.
이면(12b)의 스핀가공(22)은, 깊이(d2)=50㎛, 피치(p2)=100㎛이며, 스핀가공(22)의 형상은 톱니형상을 이룬다. 이 톱니형상은, 상기 광원(13) 쪽에서 파형상으로 바깥쪽으로 향해 위쪽으로 이어지는 경사부(22a)와, 이 경사부(22a)에 연속되며, 수직으로 내려가는 수직부(22b)를 갖는다. 경사부(22a)는, 거의 tan1/2의 기울기를 갖는다. 스핀가공(22)은, 광원(13)의 중심을 향해 오목해지도록 이면(12b) 전체에 실시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소등 시는, 광원(13)이 보이기 어려워, 외부로부터의 광 반사에 의해 광원용 커버(12)만이 보이며, 점등 시는, 광의 확산효과도 있어, 조도도 저하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지털카메라와 동등한 정도의 광원(13)을 얻음으로써, 종래의 휴 대전화기(1)에서는 불가능했던 어둠 속에서의 촬영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제 1 실시형태의 효과-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 관한 광원용 커버(12)에 의하면, 광학재료로 구성된 광원용 커버(12)에 널링가공(21) 및 스핀가공(22)을 실시함으로써, 간단한 구성으로 광원(13)으로부터의 광을 균등하게 확산시키면서, 광원(13)의 비사용 시에는 광원(13) 본체의 외관을 가려, 외견상의 아름다움을 유지할 수 있다.
또 광원용 커버(12)는 간단한 구성이므로, 휴대전화기(1)의 전체적 크기를 크게 하는 일은 없으므로 휴대성이 높으며, 또 광원(13)으로부터의 광이 적절하게 확산되어, 어두운 곳에서도 카메라촬영이 용이하고 또 외관이 좋은 휴대전화기(1)가 얻어진다.
또한 치수의 제약 때문에 LED와 같은 간단한 광원이 설치된 경우라도, 어두운 장소에서의 카메라촬영 시에 광원(13)으로부터의 광이 적절하게 확산되어, 선명한 화상이 얻어진다. 또한 비사용 시에, 광원용 커버(12)를 통해 광원(13)이 보이기 어려우므로, 패션성이 향상된 휴대전화기(1)가 얻어진다.
[제 2 실시형태]
도 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를 나타내며, 광원용 커버(12) 이면(12b)의 가공이 다른 점에서 상기 제 1 실시형태와 다르다. 또 이하의 각 실시형태에서는, 도 1 내지 도 6과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를 부여하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형태의 광원용 커버(12)는, 그 표면(12a) 전체에 좌우방향으로 이어 지는 널링가공(21)이 실시되며, 이면(12b)에는, 상기 광원용 창(3d)에서 보이는 부분보다 약간 넓은 부분만큼, 상하방향으로 이어지는 널링가공(21)이 형성된다.
표면(12a)의 널링가공(21)은, 깊이(d1)=50㎛, 피치(p1)=400㎛이다. 널링가공(21)의 형상은 톱니형상을 이룬다. 즉 이 톱니형상은, 상기 광원(13)을 중심으로 좌우로 이어지는 중심선(H)에서 멀어짐에 따라 위쪽으로 이어지는 경사부(21a)와, 이 경사부(21a)에 연속되며, 수직으로 내려가는 수직부(21b)를 갖는다. 경사부(21a)는 거의 tan1/8의 기울기를 갖는다. 이 톱니형상이 상하 대칭으로 배치되며, 표면(12a)에서 보면, 좌우방향으로 직선형으로 이어지도록 보인다. 또 널링가공(21)은, 광원(13)의 중심을 향해 오목해지도록 표면(12a) 전체에 실시된다.
이면(12b)의 널링가공(21)은, 깊이(d2)=50㎛, 피치(p2)=100㎛이다. 널링가공(21)의 형상은 톱니형상을 이룬다. 이 톱니형상은, 상기 광원(13)을 중심으로 상하로 이어지는 중심선(V)에서 멀어짐에 따라 위쪽으로 이어지는 경사부(21a)와, 이 경사부(21a)에 연속되며, 수직으로 내려가는 수직부(21b)를 갖는다. 경사부(21a)는 거의 tan1/2의 기울기를 갖는다. 이 톱니형상이 좌우대칭으로 배치되며, 표면(12a)에서 보면, 상하방향으로 직선형으로 이어지도록 보인다. 또 널링가공(21)은, 광원(13)의 중심을 향해 오목해지도록 이면(12b) 전체에 실시된다.
표면(12a) 및 이면(12b)의 널링가공(21)은, 표면(12a)에서 보아 서로 수직(격자형)으로 배치된다. 이로써, 비사용 시에, 광원용 커버(12)를 통해 광원(13)이 보이기 어려워진다. 또 표면(12a)에서 보아 수직일 필요는 없으며, 90도보다 작은 각도로 교차하도록 배치해도 된다.
-제 2 실시형태의 효과-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 관한 광원용 커버(12)에서도, 광학재료로 구성된 광원용 커버(12)의 표면(12a) 및 이면(12b)에 널링가공(21)을 실시함으로써, 간단한 구성으로 광원(13)으로부터의 광을 균등하게 확산시키면서, 광원(13)의 비사용 시에 광원(13) 본체의 외관을 가려, 외견상의 아름다움을 유지할 수 있다.
[제 3 실시형태]
도 9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를 나타내며, 광원용 커버(12)의 표면(12a) 및 이면(12b)의 가공이 다른 점에서 상기 제 1 실시형태와 다르다. 본 실시형태의 광원용 커버(12)는, 표면(12a)은 가공되지 않고 평면으로 형성되며, 이면(12b)에는, 상기 광원용 창(3d)에서 보이는 부분보다 약간 넓은 부분만큼, 상하방향으로 이어지는 널링가공(21)이 형성된다.
이면(12b)의 널링가공(21)은, 깊이(d2)=50㎛, 피치(p2)=100㎛이다. 널링가공(21)의 형상은 톱니형상을 이룬다. 즉 이 톱니형상은, 상기 광원(13)을 중심으로 상하로 이어지는 중심선(V)에서 멀어짐에 따라 위쪽으로 이어지는 경사부(21a)와, 이 경사부(21a)에 연속되며, 수직으로 내려가는 수직부(21b)를 갖는다. 경사부(21a)는 거의 tan1/2의 기울기를 갖는다. 이 톱니형상이 좌우 대칭으로 배치되며, 표면(12a)에서 보면, 상하방향으로 직선형으로 이어지도록 보인다. 또 널링가공(21)은, 광원(13)의 중심을 향해 오목해지도록 이면(12b) 전체에 실시된다. 여기서, 널링가공(21)의 톱니형상은, 상하대칭으로 배치되며, 표면(12a)에서 보아 좌우방향으로 직선형으로 이어지도록 형성해도 된다.
-제 3 실시형태의 효과-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 관한 광원용 커버(12)에서도, 광학재료로 구성된 광원용 커버(12)의 이면(12b)에 널링가공(21)을 실시함으로써, 간단한 구성으로 광원(13)으로부터의 광을 균등하게 확산시키면서, 광원(13)의 비사용 시에, 광원(13) 본체의 외관을 가려, 외견상의 아름다움을 유지할 수 있다.
[제 4 실시형태]
도 10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를 나타내며, 광원용 커버(12)의 표면(12a) 가공이 다른 점에서 상기 제 1 실시형태와 다르다. 본 실시형태의 광원용 커버(12)는, 그 표면(12a)은 가공되지 않고 평면으로 형성되며, 이면(12b)에는, 상기 광원용 창(3d)에서 보이는 부분보다 약간 넓은 부분만큼, 스핀가공(22)이 실시된다.
이면(12b)의 스핀가공(22)은, 깊이(d2)=50㎛, 피치(p2)=100㎛이며, 스핀가공(22)의 형상은 톱니형을 이룬다. 즉 이 톱니형상은, 상기 광원(13) 쪽에서 파형으로 바깥쪽을 향해 위쪽으로 이어지는 경사부(22a)와, 이 경사부(22a)에 연속되며, 수직으로 내려가는 수직부(22b)를 갖는다. 경사부(22a)는, 거의 tan1/2의 기울기를 갖는다. 스핀가공(22)은, 광원(13)의 중심을 향해 오목해지도록 이면(12b) 전체에 실시된다.
-제 4 실시형태의 효과-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 관한 광원용 커버(12)에서도, 광학재료로 구성된 광원용 커버(12)의 이면(12b)에 스핀가공(22)을 실시함으로써, 간단한 구성으로 광 원(13)으로부터의 광을 균등하게 확산시키면서, 광원(13)의 비사용 시에, 광원(13) 본체의 외관을 가려, 외견상의 아름다움을 유지할 수 있다.
-조도시험의 결과-
상기 각 실시형태에 있어서 광원용 커버(12)의 표면(12a) 및 이면(12b)의 최적의 가공은, 이하에 나타낸 광원용 커버(12)의 각종 시험결과에 의해 결정한 것이다. 그 시험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시험조건은, 표면(12a) 및 이면(12b)의 가공 종류, 예를 들어 평면, 널링가공(21), 및 스핀가공(22)의 어느 하나이며, 그 깊이(d1, d2) 및 피치(p1, p2)를 바꾸어 가공한 경우의 단면형상은, 상기 각 실시형태와 마찬가지의 톱니형상으로 했다.
케이스(1)는, 광원용 커버(12)를 통해 가장 광을 투과시키기 쉬운 표면(12a) 및 이면(12b)의 가공을 평면으로 한 것이다. 이는, 조도 100을 기준으로 한 각종 시험의 조도분포 및 상대조도를 측정한 것과, 광원(13)이 보이기 어렵다는, 외견상 아름다움의 평가에 의해, 최적의 가공을 결정한 것이다.
조도분포로는, 방사상으로 확산된 것이 가장 좋으며, 중심으로만 광이 집중되거나, 상하로만 광이 확산되는 것은 NG로 했다.
도 11은, 케이스(1)의 표면(12a) 및 이면(12b) 가공을 평면가공으로 한 조도분포를 나타낸다. 이 경우의 조도를 100으로 한다. 광의 굴절이 없으며, 광원(13)이 광원용 커버(12)를 통해 보이므로, 외관이 나쁘다.
도 12는, 표면(12a) 및 이면(12b)에 가공을 실시한 경우의 시험결과를 나타 낸다. 케이스(2)(상기 제 3 실시형태에 상당함) 및 케이스(3)는, 표면(12a)이 평면이며, 이면(12b)에는 상기 제 3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수직방향으로 이어지는 널링가공(21)이 실시된다. 케이스(4)는, 표면(12a) 및 이면(12b)에, 상기 제 2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표면에서 보아 격자형상으로 널링가공(21)이 실시된다. 널링가공(21)의 깊이는, 케이스(2)에서 d2=50㎛, 케이스(4)에서 d1, d2=50㎛, 케이스(3)에서 d2=20㎛로 한다. 표면(12a) 및 이면(12b)의 널링가공(21) 피치(p1, p2)는 모두 p1, p2=100㎛로 일정으로 한다. 결과에 따르면, 널링가공(21)의 깊이 d1, d2=50㎛에서는, 기준조도에 대해 상대조도가 약 반감된다. 깊이가 얕은 d2=50㎛에서는, 상대조도가 83%로 된다.
도 13은, 표면(12a) 및 이면(12b)의 가공을 모두 널링가공(21)으로 하며, 표면(12a) 및 이면(12b)의 널링가공(21)은 표면(12a)에서 보면 서로 수직(격자형상)으로 배치된다. 그 피치는 p1, p2=100㎛로 했다. 그 표면(12a) 및 이면(12b)의 널링가공(21) 깊이(d1, d2)를 변경하여 시험한 결과를 나타낸다. 구체적으로, 케이스(5)에서는 표면 및 이면 모두 가공깊이 d1, d2=80㎛, 케이스(6)에서 d1, d2=110㎛, 케이스(7)에서 d1, d2=140㎛로 했다. 이 결과에 따르면, 상기 케이스(4)에 비해, 깊이를 80㎛ 이상의 깊이로 하면, 조도가 매우 저하되어, 카메라촬영 시 보조광으로서의 실용적 기능은 거의 없음을 알 수 있다. 한편, 외견상의 아름다움이란 면에서는, 광원(13)이 보이기 어려우므로, 양호하다.
도 14는, 표면(12a) 및 이면(12b)의 가공을 모두 널링가공(21)으로 하며, 표면(12a) 및 이면(12b)의 널링가공(21)은, 표면(12a)에서 보면 서로 수직(격자형상) 으로 배치된다. 그 피치는 p1, p2=100㎛로 했다. 이면(12b)의 널링가공(21) 깊이를 d2=20㎛로 일정하게 하며, 그 표면(12a)의 널링가공(21) 깊이(d1)를 바꾸어 시험을 실시했다. 구체적으로, 이 널링가공(21)의 깊이는, 케이스(8)에서 d1=80㎛, 케이스(9)에서 d1=110㎛, 케이스(10)에서 d1=140㎛로 한다. 이 시험결과로부터, 표면(12a)의 널링가공(21) 깊이(d1)는, 이면(12b)의 가공깊이(d2)만큼 조도에 영향을 끼치지 않으며, d1=80㎛로 해도 어느 정도의 조도는 유지할 수 있다. 가공깊이가 d1=110㎛, 140㎛로 됨에 따라, 상대조도는 저하된다.
도 15는, 표면(12a) 및 이면(12b)의 가공을 모두 널링가공(21)으로 하며, 표면(12a) 및 이면(12b)의 널링가공(21)은, 표면(12a)에서 보면 서로 수직(격자형상)으로 배치된다. 널링가공(21)의 깊이를 모두, d1, d2=50㎛로 했다. 표면(12a)의 널링가공(21) 피치를, 케이스(11)(상기 제 2 실시형태에 상당함)에서 p1=400㎛, 케이스(12)에서 p1=200㎛로 하며, 이면(12b)의 널링가공(21) 피치를 모두 p2=100㎛로 했다. 어느 경우도 상대조도는 높으며, 카메라촬영 시 보조광으로서의 기능은 충분히 수행하지만, 특히 케이스(11)에서 광의 확산정도가 균등하며, 또 광원용 커버(12)를 통해 광원(13)이 보이기 어려워, 외관이 좋다.
도 16은, 표면(12a)의 가공을 널링가공(21)으로, 이면(12b)의 가공을 스핀가공(22)으로 하며, 널링가공(21) 깊이를 d1=50㎛, 스핀가공(22) 깊이를 d2=50㎛로 일정하게 하고, 가공피치(p1, p2)를 각각 변경했다. 구체적으로, 표면(12a)의 널링가공(21) 피치는, 케이스(14, 15)에서 p1=200㎛, 케이스(13, 16)에서 p1=400㎛로 하며, 이면(12b)의 스핀가공(22) 피치는, 케이스(14, 16)에서 p2=100㎛로 하 고, 케이스(13, 15)에서 p2=200㎛로 했다. 조도분포 면에서는, 방사상으로 광을 확산시키는 것으로서 케이스(13과 16)를 선택할 수 있으며, 특히 내부의 광원(13)이 잘 가려지는 것은 케이스(16)(상기 제 1 실시형태에 상당함)이다. 즉, 외부로부터의 입사광을 다이아몬드와 같이 방사상으로 확산시키고 있어, 다른 케이스와는 특별히 다르게 보인다.
[그 밖의 실시형태]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대해 다음과 같은 구성으로 해도 된다.
즉, 상기 실시형태에서 휴대기기는 휴대전화기(1)로 하지만, 카메라기능을 갖는 휴대기기라면 아무거나 된다. 예를 들어 PC, 모바일 툴, PHS, PDA 등 카메라기능을 갖는 것이라도 된다. 또 휴대용 디지털카메라나 아날로그카메라도 포함한다.
그리고 이상의 실시형태는 본질적으로 바람직한 예시이며, 본 발명, 그 적용물이나 용도범위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휴대전화기의 열린 상태를 표면 쪽에서 본 사시도.
도 2는, 휴대전화기의 닫힌 상태를 제 1 케이싱의 표면 쪽에서 본 사시도.
도 3은, 휴대전화기의 닫힌 상태를 제 2 케이싱의 이면 쪽에서 본 사시도.
도 4는, 뒤쪽 캐비넷 및 광원용 커버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회로기판의 위쪽을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광원용 커버를 나타내며, (a)는 표면 쪽에서, (b)는 이면 쪽에서 본 사시도.
도 7은, 광원용 커버를 나타낸 것으로, (a)는 Ⅶa-Ⅶa선 단면도이며, (b)는 배면도이고, (c)는 (a)를 일부 확대시킨 단면도.
도 8은, 제 2 실시예에 관한 광원용 커버의 도 7에 상당하는 도.
도 9는, 제 3 실시예에 관한 광원용 커버의 도 7에 상당하는 도.
도 10은, 제 4 실시예에 관한 광원용 커버의 도 7에 상당하는 도.
도 11은, 조도시험에 있어서 케이스(1)를 나타낸 표.
도 12는, 조도시험에 있어서 케이스(2 내지 4)를 나타낸 표.
도 13은, 조도시험에 있어서 케이스(5 내지 7)를 나타낸 표.
도 14는, 조도시험에 있어서 케이스(8 내지 10)를 나타낸 표.
도 15는, 조도시험에 있어서 케이스(11 및 12)를 나타낸 표.
도 16은, 조도시험에 있어서 케이스(13 내지 16)를 나타낸 표.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휴대전화기(휴대기기) 12 : 광원용 커버
12a : 표면 12b : 이면
13 : 광원 21 : 널링가공
21a, 22a : 경사부 21b, 22b : 수직부
22 : 수핀 가공

Claims (11)

  1. 휴대기기(1)에 구비된 카메라 촬영 시의 보조용 광원으로부터의 광 투과를 조정하는 광원용 커버(12)에 있어서,
    광학재료로 구성되며,
    표면(12a)은 직선형 홈으로 이루어지는 널링(knurling) 가공(21)이 실시되고,
    이면(12b)은, 직선형 홈으로 이루어지는 널링가공(21), 또는 파형 홈으로 이루어지는 스핀가공(22)이 실시되고,
    상기 널링가공(21) 및 스핀가공(22)은 모두 깊이가 50±10 ㎛이고,
    상기 표면(12a)의 널링가공(21)의 피치는 400±100 ㎛이고,
    상기 이면(12b)의 널링가공(21) 또는 스핀가공(22)의 피치는 100±25 ㎛이고,
    상기 널링가공(21) 및 스핀가공(22)의 단면형상은 톱니형상이고,
    상기 톱니형상은 상기 광원측로부터 외측을 향해 상방으로 연장되는 경사부(22a)와, 상기 경사부(22a)에 연속되어 수직으로 내려가는 수직부(22b)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원용 커버(12).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재료는, 아크릴 수지, 또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이며,
    성형품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원용 커버(12).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12a)의 널링가공(21)의 경사부(22a)는, tan1/8의 기울기를 갖는 형상이며,
    상기 이면(12b)의 널링가공(21) 또는 스핀가공(22)의 경사부(22a)는, tan1/2의 기울기를 갖는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원용 커버(12).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12a)의 널링가공(21), 상기 이면(12b)의 널링가공(21) 및 스핀가공(22)은, 각각 광원의 중심을 향해 패이도록 실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원용 커버(12).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12a) 및 이면(12b)에 실시된 널링가공(21)은, 표면(12a)에서 보아 서로 직각으로 교차하도록 실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원용 커버(12).
  9. 삭제
  10. 제1항, 제2항, 제6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광원용 커버(12)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기(1).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기기(1)는, 휴대전화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기(1).
KR1020070093359A 2006-09-15 2007-09-14 광원용 커버 및 이를 구비한 휴대기기 KR10092361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00251116 2006-09-15
JP2006251116A JP4268979B2 (ja) 2006-09-15 2006-09-15 光源用カバー及びそれを備えた携帯機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25328A KR20080025328A (ko) 2008-03-20
KR100923617B1 true KR100923617B1 (ko) 2009-10-23

Family

ID=388957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93359A KR100923617B1 (ko) 2006-09-15 2007-09-14 광원용 커버 및 이를 구비한 휴대기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819559B2 (ko)
EP (1) EP1901115B1 (ko)
JP (1) JP4268979B2 (ko)
KR (1) KR100923617B1 (ko)
CN (1) CN101146135B (ko)
HK (1) HK111866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738677B (zh) * 2008-11-12 2013-04-24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导光装置及应用该导光装置的电子装置
CN103581364A (zh) * 2012-07-18 2014-02-12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电子装置外观件及电子装置壳体
JP6118054B2 (ja) * 2012-09-07 2017-04-19 旭化成株式会社 メタクリル系樹脂を含む射出成型されたストロボ発光装置用カバー
US8794775B2 (en) * 2012-09-27 2014-08-05 Apple Inc. Camera light source mounting structures
CN104596411A (zh) * 2014-11-05 2015-05-06 北京建筑大学 一种圆柱形测量装置与自动识别算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52569A (en) 1998-02-20 2000-11-28 Stanley Electric Co., Ltd. Flat light source device for illumination use
JP2006079845A (ja) 2004-09-07 2006-03-23 Nec Lighting Ltd 照明器具
KR20060049577A (ko) * 2004-06-11 2006-05-19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광확산 부재
KR20060071239A (ko) * 2004-12-21 2006-06-26 주식회사 팬택 백 라이팅을 개선한 이동통신단말기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272728A (ja) * 1985-05-28 1986-12-03 Canon Inc 照射角可変の閃光照明装置
JPH03644Y2 (ko) * 1986-03-08 1991-01-11
JP3135165B2 (ja) * 1992-06-08 2001-02-13 オリンパス光学工業株式会社 ストロボ装置
US5296882A (en) * 1992-12-21 1994-03-22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Overhead projector with catadioptric fresnel lens
JPH0792527A (ja) * 1993-09-24 1995-04-07 Minolta Co Ltd カメラ内蔵フラツシユ発光器用デフュ−ザ−
JPH0836179A (ja) * 1994-07-26 1996-02-06 Hitachi Ltd 液晶表示装置
JP3062109B2 (ja) * 1996-06-21 2000-07-10 ウエスト電気株式会社 ストロボ装置および該ストロボ装置を内蔵した画像記録装置
JP3169834B2 (ja) * 1996-07-29 2001-05-28 ウエスト電気株式会社 照射角可変ストロボ装置
JP3441991B2 (ja) * 1998-12-09 2003-09-02 キヤノン株式会社 照明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撮影装置
EP1067427A3 (en) * 1999-07-05 2001-03-14 Konica Corporation Strobe device for image capturing apparatus, camera and lens-fitted film unit, and reflector of strobe light
JP2001221975A (ja) * 2000-02-10 2001-08-17 Fujitsu Ltd 光学装置
JP2002072938A (ja) * 2000-08-24 2002-03-12 Sanyo Product Co Ltd 光透過カバーおよび表示方法
JP2003140232A (ja) * 2001-11-01 2003-05-14 West Electric Co Ltd ストロボ装置
JP2003161988A (ja) * 2001-11-28 2003-06-06 Fuji Photo Film Co Ltd 複合反射板ストロボ及びデジタルカメラ
JP2004048469A (ja) * 2002-07-12 2004-02-12 Sharp Corp カメラ付きモバイル機器
JP4509466B2 (ja) * 2002-10-17 2010-07-21 パナソニック フォト・ライティング 株式会社 照射角可変ストロボ装置
JP2004205666A (ja) * 2002-12-24 2004-07-22 Sharp Corp 撮影方法およびカメラ付き携帯機器
JP2004311388A (ja) * 2003-02-20 2004-11-04 Alps Electric Co Ltd 携帯電子機器向け照明装置
JP2004271981A (ja) * 2003-03-10 2004-09-30 Kyocera Corp フラッシュユニット、撮影装置および携帯端末
JP2005017814A (ja) * 2003-06-27 2005-01-20 Kyocera Corp ストロボ装置並びに撮影装置及び無線通信端末
US7343714B2 (en) * 2003-11-10 2008-03-18 Philip Zocco Door light
US20050130048A1 (en) * 2003-11-10 2005-06-16 Tomoyuki Nakano Electro-optic device substrat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electro-optic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photomask, and electronic device
KR200353040Y1 (ko) 2004-03-05 2004-06-14 전성용 조명 장치
JP2006091821A (ja) * 2004-08-26 2006-04-06 Fuji Photo Film Co Ltd プリズムシート及びこれを用いた表示装置
JP4541169B2 (ja) * 2005-01-19 2010-09-08 京セラ株式会社 携帯電子機器
JP2006202700A (ja) * 2005-01-24 2006-08-03 Okumura Yu-Ki Co Ltd 樹脂パネル
KR20050093738A (ko) 2005-08-25 2005-09-23 최지민 광고용 램프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52569A (en) 1998-02-20 2000-11-28 Stanley Electric Co., Ltd. Flat light source device for illumination use
KR20060049577A (ko) * 2004-06-11 2006-05-19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광확산 부재
JP2006079845A (ja) 2004-09-07 2006-03-23 Nec Lighting Ltd 照明器具
KR20060071239A (ko) * 2004-12-21 2006-06-26 주식회사 팬택 백 라이팅을 개선한 이동통신단말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8070773A (ja) 2008-03-27
US7819559B2 (en) 2010-10-26
EP1901115A2 (en) 2008-03-19
HK1118662A1 (en) 2009-02-13
CN101146135A (zh) 2008-03-19
EP1901115B1 (en) 2012-01-04
US20080291657A1 (en) 2008-11-27
JP4268979B2 (ja) 2009-05-27
EP1901115A3 (en) 2010-10-20
CN101146135B (zh) 2012-03-07
KR20080025328A (ko) 2008-03-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07861B1 (ko) 카메라가 장착된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근접촬영장치 및 그 근접촬영용 외장 광학모듈
KR101791003B1 (ko) 카메라가 장착된 휴대 단말기에 외장하는 확대용 외장 광학모듈과 그 모듈을 구비한 확대촬영장치
US7223008B2 (en) Backlighting device for an information display element of a portable object
KR100923617B1 (ko) 광원용 커버 및 이를 구비한 휴대기기
CN102063223B (zh) 指示装置和电子设备
US20050185422A1 (en) Backlighting device for an information display element of a portable object
CN1894539A (zh) 背景灯装置及液晶显示装置
US20230075148A1 (en) Camera module and mobile terminal
CN114222045A (zh) 摄像头模组及电子设备
CN108494897B (zh) 电子装置
KR100695542B1 (ko) 휴대폰 카메라용 플래쉬 엘이디 렌즈
JP2001108918A (ja) マイクロスコープ
JP2004362804A (ja) 面照明装置と液晶表示装置
TW587193B (en) Imaging apparatus
CA3084202C (en) Led light source mechanism, telephone set, and method for forming led light source
SG190115A1 (en) Lamp cover for a flash unit
EP3745692B1 (en) Led light source mechanism, telephone set, and method for forming led light source
JP4165193B2 (ja) バックライト装置
KR101607833B1 (ko) 플래쉬 모듈용 렌즈
JP4965119B2 (ja) 防水ケース用光拡散板
TWI271581B (en) Backlight module
KR100620575B1 (ko) 오목 5각형 구조의 프리즘 패턴을 갖는 도광판
KR20050094191A (ko) 혼합 5각형 구조의 프리즘 패턴을 갖는 도광판
CN1767627A (zh) 一种设置有可用作闪光光源的光源部的移动通信终端
KR20170020026A (ko) 조명거울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케이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1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