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23261B1 - 유모차 - Google Patents

유모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23261B1
KR100923261B1 KR1020020015691A KR20020015691A KR100923261B1 KR 100923261 B1 KR100923261 B1 KR 100923261B1 KR 1020020015691 A KR1020020015691 A KR 1020020015691A KR 20020015691 A KR20020015691 A KR 20020015691A KR 100923261 B1 KR100923261 B1 KR 1009232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
caster
holder
leg
switching ope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156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75298A (ko
Inventor
스즈키요시유키
Original Assignee
콤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18941177&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0923261(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콤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콤비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200752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752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32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32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7/00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 B62B7/04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 B62B7/06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collapsible or fold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9/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s carriages or perambul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2301/00Wheel arrangements; Steering; Stability; Wheel suspension
    • B62B2301/04Wheel arrangements; Steering; Stability; Wheel suspension comprising a wheel pivotable about a substantially vertical axis, e.g. swivelling castors
    • B62B2301/046Wheel arrangements; Steering; Stability; Wheel suspension comprising a wheel pivotable about a substantially vertical axis, e.g. swivelling castors with means restricting the rotation about that axis
    • B62B2301/0463Wheel arrangements; Steering; Stability; Wheel suspension comprising a wheel pivotable about a substantially vertical axis, e.g. swivelling castors with means restricting the rotation about that axis by blocking the rotation at a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9/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s carriages or perambulators
    • B62B9/20Handle bars; Handles
    • B62B9/203Handle bars; Handles movable from front end to rear end pos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arriages For Children, Sleds, And Other Hand-Operated Vehicles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유모차(10)의 앞다리(12) 및 뒷다리(14)의 하부에 각각 고착된 캐스터 홀더의 측부에, 상하 미끄럼 이동할 수 있는 록 부재(47a, 47b)가 설치되어 있다. 캐스터축에 앞바퀴(11) 혹은 뒷바퀴(13)가 직진 방향을 향하고 있을 때에 선택적으로 상기 록 부재가 록 결합하는 오목부(45a, 45b)가 설치되어 있다. 앞다리측 및 뒷다리측의 록 부재에 각각 양단부가 연결된 리드 와이어(50a, 50b)가 앞다리 및 뒷다리 내에 삽통되어 있다. 리드 와이어(50a, 50b)는 앞다리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 록 전환 조작 부재(54)에 연결되어 있다. 록 전환 조작 부재(54)의 미끄럼 이동에 의해서, 앞바퀴측 혹은 뒷바퀴측의 록 부재(47a, 47b)가 선택적으로 캐스터축에 설치된 오목부(45a, 45b)에 록 결합한다.
캐스터축, 록 전환 조작 부재, 핸드푸시 레버, 조향성

Description

유모차{STROLLER}
도1은 본 발명의 유모차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2는 상기 유모차의 측면도.
도3은 파이프와 뒷다리와의 연결부의 확대 측면도.
도4는 핸드푸시 레버의 록 고정 부재 및 록 해제 부재의 구성을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
도5는 핸드푸시 레버의 요동 작동 설명도.
도6은 핸드푸시 레버를 대면 상태로 요동한 유모차의 측면도.
도7a는 앞바퀴의 캐스터 홀더의 확대 단면도.
도7b는 뒷바퀴의 캐스터 홀더의 확대 단면도.
도8a는 록 전환 조작 부재의 배면 푸시 상태시를 나타내는 도면.
도8b는 록 전환 조작 부재의 대면 푸시 상태시를 나타내는 도면.
도9a는 대면 푸시 상태시에서의 앞바퀴의 록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9b는 대면 푸시 상태시에서의 뒷바퀴의 록 해방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캐스터 홀더의 단면도.
도11은 도10에 나타내는 캐스터 홀더의 작동 설명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10 …유모차
11 …앞바퀴
12 …앞다리
13 …뒷바퀴
14 …뒷다리
45a, 45b …오목부
47a, 47b …록 부재
50a, 50b …리드 와이어
54 …록 전환 조작 부재
본 발명은 유모차에 관한 것으로, 특히 대면, 배면의 핸드푸시 레버의 전환을 가능하게 한 유모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아를 산책이나 쇼핑 등을 위해서 옥외에 데리고 나가는 경우에 사용하는 유모차에서는 필요에 따라서, 접고, 수납이나 휴대가 용이해지도록 함과 동시에, 핸드푸시 레버를 유아의 배면으로부터의 핸드푸시 상태로 하는 배면 상태로 하거나, 핸드푸시 레버를 사용자가 유아와 대면한 핸드푸시 상태로 한 대면 상태로 하는 것이 여러가지 제안되어 실용에 제공되고 있다.
그러나, 유모차에 있어서는 일반적으로 앞바퀴를 수직축선 주위에 회동 가능 하게 하여 그 주행 조작성을 좋게 하는 일이 행하여지고 있기 때문에, 핸드푸시 레버를 상술한 바와 같이 유아의 배면으로부터의 핸드푸시 상태로 하는 배면 핸드푸시 상태로부터 사용자가 유아와 대면한 핸드푸시 상태로 한 대면 핸드푸시 상태로 한 경우에는, 진행 방향 후방측의 차바퀴가 수직축선 주위에 회동할 수 있게 되어, 조향성이 손상되는 경우가 있고, 주행이 원활하게 행하여지지 않는 등의 문제가 있다. 그래서 앞바퀴 및 뒷바퀴의 양자모두 수직축선 주위에 회동 가능하게 하는 일도 생각되지만, 유모차의 직진 주행이 곤란해지는 등의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핸드푸시 레버를 배면 핸드푸시 상태 및 대면 핸드푸시 상태의 어느 경우로 했을 때에도 진행 방향 전방측의 차바퀴만이 수직선 축선 주위에 회동 가능해지도록 한 유모차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각각에 앞바퀴가 설치된 한쌍의 앞다리와, 각각에 뒷바퀴가 설치된 한쌍의 뒷다리를 갖는 유모차 본체와, 유모차 본체에 대해 요동하고, 유아의 대면측과 유아의 배면측을 취하도록 설치된 핸드푸시 레버와, 각 앞다리 및 각 뒷다리에 설치되고, 록 부재를 내장한 캐스터 홀더와, 각 앞바퀴 및 각 뒷바퀴에 설치되고, 캐스터 홀더 내를 미끄럼 이동함과 동시에, 록 부재가 록 결합하는 록 결합부를 갖는 캐스터축과, 앞다리의 캐스터 홀더 내의 록 부재와, 뒷다리의 캐스터 홀더 내의 록 부재를 작동시키는 록 전환 조작 기구를 구비하고, 록 전환 조작 기구는 핸드푸시 레버에 연동해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이다.
본 발명은 핸드푸시 레버가 유아의 배면측에 왔을 때, 록 전환 조작 기구를 작동시켜 각 앞바퀴의 캐스터 홀더 내의 록 부재를 캐스터축의 록 결합부로부터 해제함과 동시에, 각 뒷바퀴의 캐스터 홀더 내의 록 부재를 캐스터축의 록 결합부에 록 결합시키고, 핸드푸시 레버가 유아의 대면측에 왔을 때, 록 전환 조작 기구를 작동시켜 각 앞바퀴의 캐스터 홀더 내의 록 부재를 캐스터축의 록 결합부에 록 결합시키고, 각 뒷바퀴의 캐스터 홀더 내의 록 부재를 캐스터축의 록 결합부로부터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이다.
본 발명은, 록 전환 조작 기구는 한쪽의 앞다리에 설치된 캐스터 홀더와 한쪽의 뒷다리에 설치된 캐스터 홀더와의 사이에 설치되고, 이들 캐스터 홀더 내의 록 부재끼리를 연결하는 리드 와이어와, 다른 쪽의 앞다리에 설치된 캐스터 홀더와 다른 쪽의 뒷다리에 설치된 캐스터 홀더와의 사이에 설치되고, 이들 캐스터 홀더 내의 록 부재끼리를 연결하는 리드 와이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이다.
본 발명은, 리드 와이어는 앞바퀴측의 리드 와이어와, 이 앞바퀴측의 리드 와이어에 연결 기구를 통해서 연결된 뒷바퀴측의 리드 와이어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이다.
본 발명은, 연결 기구에 전환 조작 부재가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이다.
본 발명은 전환 조작 부재는 돌기를 개재시키고, 핸드푸시 레버는 전환 조작 부재의 돌기에 당접하는 돌기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이다.
본 발명은, 리드 와이어는 리드 와이어용 스프링에 의해 한쪽으로 압압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이다.
본 발명은, 캐스터 홀더 내의 록 부재는 록 부재용 스프링에 의해 록 결합부측에 항상 압압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이다.
본 발명은, 캐스터축의 록 결합부는 록 부재가 록 결합하는 오목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이다.
본 발명은 캐스터축에는 위치 고정 핀이 진퇴 가능하게 설치되고, 캐스터 홀더 내에는 캐스터축이 강하한 경우에 위치 고정 핀이 록 결합해 앞바퀴 또는 뒷바퀴를 고정하는 오목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유모차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2는 그 측면도이다. 유모차(10)는 앞바퀴(11)를 갖는 좌우 한쌍의 앞다리(12)와, 뒷바퀴(13)를 갖는 좌우 한쌍의 뒷다리(14)와, 거의 U자 모양으로 굴곡된 핸드푸시 레버(15)와, 좌우 한쌍의 암레스트(16)와, 암레스트(16)의 일단이 각각 피벗 고정된, 서로 평행으로 연장하는 좌우 2개의 파이프(17)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각 암레스트(16)의 타단부에는 앞다리(12)가 피벗 고정되어 있고, 그 좌우의 암레스트(16)의 선단부 사이에는 호상의 굴곡 가능한 가이드 암(18)이 착탈 가능하게 걸쳐져 있다. 또 좌우의 암레스트(16)에는 뒷다리(14)의 상단이 피벗 고정되어 있다. 좌우의 앞다리(12)는 발올림판(19)을 가지는 앞쪽 연결바(20)에 의해 연결되어 있고, 좌우의 뒷다리(14)는 뒤쪽 연결바(21)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또한 각 앞다리(12)의 중간부에는 연결바(22)의 전단이 각각 피벗 고정되고, 그 연결바(22)의 후단은 각각 상기 파이프(17)의 하부에 고착된 뒷다리 지지 부재(23)에 피벗 고정되어 있다. 또 좌우의 연결바(22)는 위쪽 연결바(24)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이 중, 앞다리(12), 뒷다리(14), 암레스트(16), 파이프(17) 및 이들을 연결하는 연결바(20, 21, 22, 24)에 의해 유모차(10a) 본체가 구성되고, 이 유모차 본체(10a)에 대해 핸드푸시 레버(15)가 요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3에 특히 확대해 나타내는 바와 같이, 뒷다리(14)에는 L자 모양의 브래킷(25)의 하단부가 피벗 고정되어 있고, 그 중간부가 상기 뒷다리 지지 부재(23)에 피벗 고정되어 있다. 그 브래킷(25)의 자유단부에는 뒷다리(14)를 파이프(17)에 록하는 록 부재(26)의 록 고정 단차부(26a)와 록 결합하는 노치 단차부(25a)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록 부재(26)는 상기 파이프(17)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고, 핸드푸시 레버에 설치된 원격 조작 장치에 의해 파이프(17)를 따라 상하 미끄럼 이동 조작되도록 되어 있다. 또 뒷다리 지지 부재(23)에는 뒷다리(14)와 대향하는 면에 전개시의 뒷다리(14)에 당접하여 그 전개 상태를 보유 지지하는 단차부(23a)가 형성되어 있다.
그렇게 해서 도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록 부재(26)가 L자 모양의 브래킷(25)의 노치 단차부(25a)에 록 결합하면, 그 브래킷(25)을 거쳐서 뒷다리(14)와 파이프(17)가 록되고, 유모차 본체를 사용할 수 있는 전개 상태로 보유 지지된다. 한편, 핸드푸시 레버에 설치된 원격 조작 장치에 의해 록 부재(26)가 일점 쇄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승되면, 록 부재(26)에 의한 록이 해방되고, 암레스트(16), 앞다리(12)(도시하지 않음), 뒷다리(14)가 일점 쇄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위쪽으로 요동가능해지고, 휴대 등에 편리하도록 2개로 접을 수 있다.
그런데 도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좌우의 파이프(17)의 하부에 각각 고착된 뒷다리 지지 부재(23)에는 그 외측면에 U자 모양의 핸드푸시 레버(15)의 하단부가 축(27)을 중심으로 해서 전후로 요동가능하게 피벗 고정되어 있다. 또 암레스트(16)의 외측면에는 그 전단부 및 후단부에 횡방향으로 돌출하는 록 고정 돌기(28, 29)가 고정 설치되어 있다. 한편, 핸드푸시 레버(15)에는 상기 록 고정 돌기(28 혹은 29)에 록 결합하는 록 고정 부재(30)가 그 핸드푸시 레버(15)를 따라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고(도4, 도5), 그 록 고정 부재(30)는 스프링(34)을 거쳐서 하방으로 압압되고 있다.
한편, 록 고정 부재(30)에는 도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파이프(17)와 대향하는 면측에 상하 방향으로 연장함과 동시에 하단부에 후방향으로 개방하는 개방부(31a)를 갖는 L자 모양의 록 고정용의 제1 오목부(31)가 설치되어 있고, 또 그 제1 오목부(31)의 하방에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함과 동시에 전방 및 하방으로 개방하는 제2 록 고정용 오목부(32)가 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핸드푸시 레버에 설치된 원격 조작 장치에 의해 록 고정 부재(30)를 위쪽으로 상승시켜 핸드푸시 레버(15)를 후방으로 요동시키면, 도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오목부(31)의 후방으로의 개방부(31a)를 경유하여 제1 오목부(31) 내에 록 고정 돌기(29)가 삽입되고, 록 고정 부재(30)의 하방으로의 이동에 의해 상기 록 고정 돌기(29)가 제1 오목부(31)에 록 결합된다. 이에 따라 도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핸드푸시 레버(15)가 후방 요동 위치, 즉 배면 푸시 상태에 고정된다. 한편, 도5의 쇄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록 고정 부재(30)를 위쪽으로 상승시켜 핸드푸시 레버(15)를 전방으로 요동시키면, 제2 록 고정용 오목부(32)가 록 고정 돌기(28)에 록 결합하고, 록 고정 부재(30)의 하방으로의 이동에 의해 도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핸드푸시 레버(15)가 전방 요동 위치, 즉 대면 푸시 상태에 고정된다.
또 도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핸드푸시 레버(15)에는 록 고정 부재(30)보다 하방으로 원격 조작 장치에 의해 조작되는 록 해제 부재(33)가 핸드푸시 레버(15)를 따라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이 록 해제 부재(33)는 핸드푸시 레버(15) 내에 설치된 스프링(34)에 의해 하방으로 압압되고 있고, 외면에는 록 해제 레버(35)가 돌출되어 있다. 한편, 록 부재(26)에는 상기 록 해제 레버(35)의 위쪽으로 돌출하는 작동판(36)이 돌출되어 있고, 록 해제 부재(33)와 함께 록 해제 레버(35)가 위쪽으로 상승되면, 작동판(36)을 거쳐서 록 부재(26)가 위쪽으로 상승되고, 브래킷(25)의 록이 해제되어, 전술한 바와 같이 유모차를 접을 수 있다.
도7a, 도7b는 본 발명에서의 유모차의 앞바퀴부 및 뒷바퀴부의 확대도이고, 유모차의 앞다리(12) 및 뒷다리(14)의 하단부에 각각 캐스터 홀더(40a, 40b)가 고착되어 있다. 상기 캐스터 홀더(40a, 40b)의 하반부에는 연직 방향을 향하는 연직부가 굴곡 형성되어 있고, 그 캐스터 홀더(40a, 40b)의 연직부에는 하단면이 개구하는 원주상의 캐비티(41a, 41b)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캐비티(41a, 41b) 내에는 일측부에 수평축(11a, 13a)에 의해 앞바퀴(11 혹은 13)를 축 지지한 캐스터 본체(42a, 42b)로부터 돌출된 캐스터축(43a, 43b)이 캐스터 홀더(40a, 40b)의 축선 주위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상기 캐스터 본체(42a, 42b)의 캐스터축(43a, 43b)의 하부에는 캐스터 홀더(40a, 40b)의 하단 가장자리에 당접하는 단차부(44a, 44b)가 형성되어 있고, 그 단차부(44a, 44b)에는 앞바퀴(11) 혹은 뒷바퀴(13)가 직진 방향을 향하고 있을 때에 후술하는 록 고정 부재가 록 결합하는 오목부(45a, 45b)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앞바퀴측의 캐스터 홀더(40a) 및 뒷바퀴측의 캐스터 홀더(40b)의 서로 대향하는 측면에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하는 록 부재 수용부(46a, 46b)가 형성되어 있고, 그 록 부재 수용부(46a, 46b) 내에 록 부재(47a, 47b)가 상하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록 부재(47a, 47b)는 각각 스프링(록 부재용 스프링)(48a, 48b)에 연결됨과 동시에, 스프링(48a, 48b)에 의해 하방으로 압압되고 있다.
상기 록 부재(47a, 47b)에는 각각 리드 와이어(50a, 50b)의 일단이 연결되어 있고, 앞바퀴측의 록 부재(47a)에 연결된 리드 와이어(50a)는 앞다리(12) 내에 삽통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뒷바퀴측의 록 부재(47b)에 연결된 리드 와이어(50b)는 뒷다리(13) 내에 삽통되어 있고, 그 리드 와이어(50b)의 타단부는 도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암레스트(16) 내를 경유하여 앞다리(12) 내에 삽입되고, 앞다리(12) 내에서 앞바퀴측의 리드 와이어(50a)에 연결 기구(51)(도8)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다.
도8a, 도8b는 상기 리드 와이어(50a)와 리드 와이어(50b)의 연결부의 상세를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이고, 앞다리(12) 내에는 상기 리드 와이어(50a)와 리드 와이어(50b)의 단부가 장착된 연결 기구(51)가 앞다리(12)를 따라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즉, 도8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앞다리(12)의 정상단부를 암레스트(16)에 피벗 고정하는 피벗축(52)에, 앞다리(12) 내에 배치된 연결 기구 안내 부재(53)가 장착되어 있고, 그 연결 기구 안내 부재(53)에 형성된 긴 홈(53a) 내에 상기 연결 기구(51)가 그 긴 홈(53a)을 따라 미끄럼 이동 가능으로 되어 있다. 또 앞다리(12)에는 록 전환 조작 부재(54)가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맞물림 장착되어 있고, 앞다리(12)의 긴 홈(12a)에 삽통된 축(55)에 의해 상기 연결 기구(51)와 록 전환 조작 부재(54)가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 기구(51)는 연결 기구 안내 부재(53)와의 사이에 설치된 스프링(리드 와이어용 스프링)(56)에 의해 위쪽으로 압압되고 있다. 상기 록 전환 조작 부재(54)에는 외측방향으로 돌출하는 돌기(54a)가 일체로 설치되어 있고, 핸드푸시 레버(15)가 전방으로 요동되었을 때 그 핸드푸시 레버(15)에 설치된 돌기부(57)(도8b)가 상기 돌기(54a)에 당접하고, 록 전환 조작 부재(54)를 거쳐서 상기 연결 기구(51)가 스프링(56)에 저항해 하방으로 이동되도록 되어 있다.
그렇게 해서 핸드푸시 레버(15)가 도2 같이 후방으로 경사 이동되어 유아(B)의 배면측에 오는 배면 핸드푸시 상태의 경우에는 도7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프링(56)에 의해 리드 와이어(50a)를 거쳐서 록 부재(47a)가 위쪽으로 상승되고, 앞바퀴(11)에서의 캐스터 본체(42a)의 록이 해방된다. 따라서, 앞바퀴(11)의 수직축선 둘레의 회동이 자유로와진다. 한편, 도7b에 나타내는 것처럼, 이 때에는 뒷바 퀴(13)측의 록 부재(47b)는 스프링(48b)에 의해 하방으로 이동되고, 뒷바퀴측의 캐스터 본체(42b)의 캐스터축(43b)의 오목부(45b)에 록 결합된다. 따라서, 뒷바퀴(13)의 캐스터 본체(42b)가 록되어 뒷바퀴(13)의 수직축선 주위의 회동이 저지되게 된다. 이와 같이 하여, 배면 푸시의 상태의 경우에는 앞바퀴(11)만이 선회 가능해져, 유모차의 조향을 자유롭게 할 수 있다.
또 핸드푸시 레버(15)를 도6 같이 전방으로 요동해 유아(B)의 대면측에 오는 대면 푸시 상태로 하면, 그 핸드푸시 레버(15)에 설치된 돌기부(57)가 록 전환 조작 부재(54)의 돌기(54a)에 당접해 록 전환 조작 부재(54)가 하방으로 압압된다. 따라서, 록 부재(47a)가 스프링(48a)에 의해 하방으로 압압되고, 도9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록 부재(47a)가 캐스터 본체(42a)의 오목부(45a)에 록 결합하고, 캐스터 본체(42a)가 록된다. 한편, 이 때에는 리드 와이어(850b)에 의해 뒷바퀴(13)측의 록 부재(47b)가 위쪽으로 상승되고, 도9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오목부(45b)와의 록이 해제된다. 따라서, 진행 방향 전방측이 되는 뒷바퀴(13)의 캐스터 본체(42b)가 수직축선 주위의 회동이 가능해지고, 진행 방향 후방향측이 되는 앞바퀴(11)의 캐스터 본체(42a)가 록된다.
이와 같이 하여, 배면 푸시 혹은 대면 푸시 상태의 어느 경우에도 진행 방향 전방측의 차바퀴만이 선회 가능해지고, 후방측의 차바퀴는 그 선회가 록되게 되어, 배면 푸시 혹은 대면 푸시 상태의 어느 경우에도 그 조향성을 좋게 할 수 있다.
도10은 본 발명의 변형례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앞다리(12)의 하단부에 고착된 캐스터 홀더(40a)에는 하단면이 개구하는 원주상의 캐비티(60)가 형성되어 있 고, 그 캐비티(60) 내에는 일측부에 수평축(11a)에 의해 앞바퀴(11)를 축 지지한 캐스터축(43a)이 그 축선 주위에 회동 가능하게, 또한 그 캐비티(60)의 내면을 따라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상기 캐스터축(43a)의 상부 외면에는 둘레 방향으로 연장하는 오목부(61)가 설치되어 있고, 그 오목부(61) 내에, 상기 캐스터 홀더(40a)에 설치된 수평 방향으로 연장하는 규제 핀(62)이 삽통되고, 상기 오목부의 상하 단차부와 규제 핀(62)과의 록 결합에 의해 상기 캐스터축(43a)의 상하 방향의 미끄럼 이동 범위가 규제되어 있다. 상기 캐스터축(43a)에는 그 캐스터축(43a)의 지름방향으로 진퇴할 수 있는 앞바퀴 직진 상태 위치 고정 핀(63)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캐스터축(43a) 내에 장착된 스프링(64)에 의해 외방으로 돌출하도록 압압되고 있다.
한편, 캐스터 홀더(40a)의 캐비티(60)의 하부 내면에는 캐스터축(43a)이 앞바퀴(11)와 함께 하방 위치에 있고, 또한 앞바퀴(11)가 직진 방향을 향하고 있을 때에, 상기 앞바퀴 위치 고정 핀(63)이 록 결합하는 오목홈(65)이 설치되어 있다. 이 오목홈(65)은 축선 방향으로 연장하고 있고, 그 오목홈(65)의 상단부에는 캐스터 홀더(40a)의 캐비티(60)의 내면측을 향하는 경사가 형성되어 있다.
이렇게 해서 유모차의 사용시에는 앞바퀴(11)가 접지되어 있기 때문에, 앞다리(12)가 하방으로 이동하고 있고, 즉 캐스터 홀더(40a)에 대해 상대적으로 캐스터축(43a)이 상방 위치에 위치하고 있다. 따라서, 앞바퀴 위치 고정 핀(63)이 도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캐비티(60)의 내면에 당접하고, 그 내면을 따라 회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한편, 유모차의 절첩시에 핸드푸시 레버에 의해 앞바퀴(11)를 위쪽으로 집어올리면, 앞바퀴(11)의 자중에 의해 앞바퀴(11)가 캐스터축(43a)과 함께 캐스터 홀더(40a)에 대해 하강한다. 따라서, 그 상태에서 앞바퀴(11)가 요동해 직진 방향으로 향하면, 도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앞바퀴 직진 상태 위치 고정 핀(63)이 스프링(64)에 의해 돌출되어 오목홈(65)에 록 결합하고, 앞바퀴(11)가 직진 방향을 향하고 있는 상태에 고정된다. 그 때문에, 유모차를 접을 경우에 캐스터축(43a)에 축 지지되어 있는 앞바퀴가 직진 위치가 아닌 상태에서 무리하게 접히는 것이 방지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했으므로, 앞다리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 록 전환 조작 부재를 상방 혹은 하방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앞다리 및 뒷다리 내에 삽통된 리드 와이어를 거쳐서 앞다리 혹은 뒷다리의 측부에 설치된 록 부재를 캐스터축에 설치된 오목부에 선택적으로 록 결합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유모차의 배면 핸드푸시 상태 혹은 대면 핸드푸시 상태중 어느 상태일 때도 진행 방향 전방측의 차바퀴만이 수직축선 주위에 회동 가능해진다. 따라서, 유모차의 주행시에서의 조향성을 항상 좋은 상태로 유지할 수 있고, 원활한 주행을 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앞다리 내에 배치된 연결 기구에 앞다리 및 뒷다리 내에 삽통된 리드 와이어를 연결하고, 그 연결 기구를 록 전환 조작 부재에 의해 이동시키도록 했다. 이와 같이, 리드 와이어와 록 전환 조작 부재와의 연결부가 앞다리 내에 있고, 앞다리에 대해 록 전환 장치가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을 뿐이므로 외관이 좋고, 오조작성도 적은 등의 효과를 발휘한다.

Claims (10)

  1. 각각에 앞바퀴가 설치된 한쌍의 앞다리와, 각각에 뒷바퀴가 설치된 한쌍의 뒷다리를 갖는 유모차 본체와,
    유모차 본체에 대해 요동하고, 유아의 대면측과 유아의 배면측을 취하도록 설치된 핸드푸시 레버와,
    각 앞다리 및 각 뒷다리에 설치되고, 록 부재를 내장한 캐스터 홀더와,
    각 앞바퀴 및 각 뒷바퀴에 설치되고, 캐스터 홀더 내를 미끄럼 이동함과 동시에, 록 부재가 록 결합하는 록 결합부를 갖는 캐스터축과,
    앞다리의 캐스터 홀더 내의 록 부재와, 뒷다리의 캐스터 홀더 내의 록 부재를 작동시키는 록 전환 조작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록 전환 조작 기구는,
    핸드푸시 레버에 연동해 작동하며,
    한쪽의 앞다리에 설치된 캐스터 홀더와 한쪽의 뒷다리에 설치된 캐스터 홀더와의 사이에 설치되고, 이들 캐스터 홀더 내의 록 부재끼리를 연결하는 리드 와이어와,
    다른 쪽의 앞다리에 설치된 캐스터 홀더와 다른 쪽의 뒷다리에 설치된 캐스터 홀더와의 사이에 설치되고, 이들 캐스터 홀더 내의 록 부재끼리를 연결하는 리드 와이어를 갖고,
    상기 리드 와이어는 앞바퀴측의 리드 와이어와, 이 앞바퀴측의 리드 와이어에 연결 기구를 거쳐서 연결된 뒷바퀴측의 리드 와이어로 이루어지고,
    상기 연결 기구에 전환 조작 부재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전환 조작 부재는 돌기를 개재시키고, 상기 핸드푸시 레버는 상기 전환 조작 부재의 돌기에 당접하는 돌기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푸시 레버가 유아의 배면측에 왔을 때, 상기 록 전환 조작 기구를 작동시켜 각 앞바퀴의 캐스터 홀더 내의 록 부재를 캐스터축의 록 결합부로부터 해제함과 동시에, 각 뒷바퀴의 캐스터 홀더 내의 록 부재를 캐스터축의 록 결합부에 록 결합시키고,
    상기 핸드푸시 레버가 유아의 대면측에 왔을 때, 상기 록 전환 조작 기구를 작동시켜 각 앞바퀴의 캐스터 홀더 내의 록 부재를 캐스터축의 록 결합부에 록 결합시키고, 각 뒷바퀴의 캐스터 홀더 내의 록 부재를 캐스터축의 록 결합부로부터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드 와이어는 리드 와이어용 스프링에 의해 한쪽으로 압압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캐스터 홀더 내의 록 부재는 록 부재용 스프링에 의해 록 결합부측으로 항상 압압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캐스터축의 록 결합부는 록 부재가 록 결합하는 오목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캐스터축에는 위치 고정 핀이 진퇴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캐스터 홀더 내에는 캐스터축이 강하한 경우에 위치 고정 핀이 록 결합해 앞바퀴 또는 뒷바퀴를 고정하는 오목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
KR1020020015691A 2001-03-23 2002-03-22 유모차 KR10092326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1085709A JP5100930B2 (ja) 2001-03-23 2001-03-23 ベビーカー
JPJP-P-2001-00085709 2001-03-2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5298A KR20020075298A (ko) 2002-10-04
KR100923261B1 true KR100923261B1 (ko) 2009-10-23

Family

ID=189411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15691A KR100923261B1 (ko) 2001-03-23 2002-03-22 유모차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JP (1) JP5100930B2 (ko)
KR (1) KR100923261B1 (ko)
CN (1) CN100445147C (ko)
HK (1) HK1050661A1 (ko)
MY (1) MY137447A (ko)
SG (1) SG100785A1 (ko)
TW (1) TW54441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7493B1 (ko) * 2005-09-30 2014-05-20 콤비 가부시키가이샤 유모차 및 유모차의 가이드 암
KR101327296B1 (ko) * 2005-09-30 2013-11-11 콤비 가부시키가이샤 유모차의 핸들
TWI434783B (zh) * 2006-11-15 2014-04-21 Combi Corp 嬰兒車
JP4994926B2 (ja) 2007-04-09 2012-08-08 コンビ株式会社 ベビーカー
JP4994925B2 (ja) * 2007-04-09 2012-08-08 コンビ株式会社 ベビーカー
CN101670845B (zh) * 2008-09-10 2011-08-10 明门实业股份有限公司 婴儿车车轮的定向机构
JP5436911B2 (ja) 2009-03-31 2014-03-05 コンビ株式会社 ベビーカー
CN102119885B (zh) * 2010-01-08 2014-01-01 粟广欢 带有脚轮方向控制装置的多功能担架车
CN102211602B (zh) * 2010-04-07 2015-09-30 明门香港股份有限公司 婴儿承载装置及其操作方法
CN102248961A (zh) * 2010-05-19 2011-11-23 明门香港股份有限公司 可换向婴儿车
CN101870103B (zh) * 2010-06-07 2014-11-05 华东理工大学 一种在圆管道内自准及自动转向的探伤机器人
JP5889551B2 (ja) * 2011-06-27 2016-03-22 アップリカ・チルドレンズプロダクツ合同会社 乳母車
CN104044623B (zh) * 2013-03-15 2016-08-10 明门香港股份有限公司 车轮定向机构及具有该机构的儿童载具
JP6209100B2 (ja) * 2014-02-17 2017-10-04 アップリカ・チルドレンズプロダクツ合同会社 折畳式乳母車
CN109572791B (zh) * 2019-02-02 2024-01-26 昆山威凯儿童用品有限公司 一种婴儿推车的前轮控制结构
CN109572790B (zh) * 2019-02-02 2024-04-30 昆山威凯儿童用品有限公司 一种童车的前轮控制结构
KR20230151083A (ko) * 2019-06-13 2023-10-31 원더랜드 스위처랜드 아게 휠 달린 이송 장치
WO2021048302A1 (en) * 2019-09-11 2021-03-18 Wonderland Switzerland Ag Wheeled carrying apparatu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02868A (ja) * 1988-08-29 1990-04-16 Ampafrance Sa 乳母車用車輪固定装置
JPH0867254A (ja) * 1994-08-26 1996-03-12 Yoshihiro Nagatake 手押し車のキャスタ首振りロック装置
JPH08169348A (ja) * 1994-12-16 1996-07-02 Aprica Kassai Inc 乳母車の全開ロック機構および押棒ロック機構
JPH09277937A (ja) * 1996-04-11 1997-10-28 Kawajiyun Kk ショッピングカート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84227A (en) * 1978-06-22 1980-01-22 Propst Paul L Sanitary caster
JPS5816881Y2 (ja) * 1980-12-25 1983-04-05 コンビ株式会社 首振り停止機構を具えたキャスタ−
JPS6025803A (ja) * 1983-07-22 1985-02-08 Kassai Inc キヤスタ
IT1181519B (it) * 1984-02-22 1987-09-30 Inglesina Baby Di L Tomasi L Struttura portante di base per carrozzina o passeggino per bambini
JPS63184567A (ja) * 1986-09-02 1988-07-30 アップリカ葛西株式会社 乳母車
US4779879A (en) * 1986-09-02 1988-10-25 Aprica Kassai Kabushikikaisha Baby carriage
JP2508891Y2 (ja) * 1990-10-08 1996-08-28 コンビ株式会社 ベビ―カ―の手押し杆のロック操作機構
US5125676A (en) * 1991-07-03 1992-06-30 Teng Jerry M S Controlling structure for a handle and castors of a stroller
US5215320A (en) * 1992-10-14 1993-06-01 Kiddyco Juvenile Products Corporation Stroller
FR2703300B1 (fr) * 1993-03-30 1995-06-30 Guitel Etienne Mobilor Roulette pivotante a blocage directionnel.
JP3142806B2 (ja) * 1997-10-06 2001-03-07 アップリカ▲葛▼西株式会社 キャスタ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02868A (ja) * 1988-08-29 1990-04-16 Ampafrance Sa 乳母車用車輪固定装置
JPH0867254A (ja) * 1994-08-26 1996-03-12 Yoshihiro Nagatake 手押し車のキャスタ首振りロック装置
JPH08169348A (ja) * 1994-12-16 1996-07-02 Aprica Kassai Inc 乳母車の全開ロック機構および押棒ロック機構
JPH09277937A (ja) * 1996-04-11 1997-10-28 Kawajiyun Kk ショッピングカー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100930B2 (ja) 2012-12-19
KR20020075298A (ko) 2002-10-04
TW544417B (en) 2003-08-01
MY137447A (en) 2009-01-30
HK1050661A1 (en) 2003-07-04
CN1377801A (zh) 2002-11-06
JP2002284015A (ja) 2002-10-03
SG100785A1 (en) 2003-12-26
CN100445147C (zh) 2008-1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23261B1 (ko) 유모차
KR100852409B1 (ko) 유모차
US8448976B2 (en) Stroller
JP4994925B2 (ja) ベビーカー
JP4812948B2 (ja) ベビーカー
JP5889551B2 (ja) 乳母車
KR101750774B1 (ko) 유모차
JP2003024189A (ja) 幼児用椅子
JP5913546B2 (ja) ベビーカー
JP5766772B2 (ja) ベビーカー
JP5101744B2 (ja) ベビーカー
JP5128713B2 (ja) ベビーカー
JP2001088709A (ja) 折畳み式ベビーカー
JP5798890B2 (ja) ベビーカー用の制動機構、ベビーカー用の車輪保持機構、および、ベビーカー
JP5661063B2 (ja) ベビーカー
JP2001088710A (ja) 折畳み式ベビーカー
JP7084152B2 (ja) ベビーカー
JP3949276B2 (ja) 手押し車の押棒に用いられる連結杆
JP3949275B2 (ja) 手押し車
JP2001088711A (ja) フットレストとこれを備えた折り畳み式ベビーカ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1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