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17516B1 - 전기 광학 장치 및 전자기기 - Google Patents

전기 광학 장치 및 전자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17516B1
KR100917516B1 KR1020080000696A KR20080000696A KR100917516B1 KR 100917516 B1 KR100917516 B1 KR 100917516B1 KR 1020080000696 A KR1020080000696 A KR 1020080000696A KR 20080000696 A KR20080000696 A KR 20080000696A KR 100917516 B1 KR100917516 B1 KR 1009175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trate
liquid crystal
electro
protrusion
crystal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006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64733A (ko
Inventor
가즈야 하세가와
다츠미 오쿠다
Original Assignee
엡슨 이미징 디바이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엡슨 이미징 디바이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엡슨 이미징 디바이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647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647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75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75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5Conductors connecting electrodes to cell termina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5Conductors connecting electrodes to cell terminals
    • G02F1/13452Conductors connecting driver circuitry and terminals of panel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14Structural association of two or more printed circuits
    • H05K1/147Structural association of two or more printed circuits at least one of the printed circuits being bent or folded, e.g. by using a flexible printed circui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00Testing or measuring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Reliability measurements, i.e. testing of parts without further processing to modify the parts as such; Structural arrangements therefor
    • H01L22/30Structural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esting or measuring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r specially adapted for reliability measurements
    • H01L22/32Additional lead-in metallisation on a device or substrate, e.g. additional pads or pad portions, lines in the scribe line, sacrificed condu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26Layer connectors, e.g. plate connectors, solder or adhesive layer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28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layer connectors prior to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29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layer connectors prior to the connecting process of an individual layer connector
    • H01L2224/29001Core members of the layer connector
    • H01L2224/29099Material
    • H01L2224/29198Material with a principal constituent of the material being a combination of two or more materials in the form of a matrix with a filler, i.e. being a hybrid material, e.g. segmented structures, foams
    • H01L2224/29199Material of the matrix
    • H01L2224/2929Material of the matrix with a principal constituent of the material being a polymer, e.g. polyester, phenolic based polymer, epox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26Layer connectors, e.g. plate connectors, solder or adhesive layer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28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layer connectors prior to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29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layer connectors prior to the connecting process of an individual layer connector
    • H01L2224/29001Core members of the layer connector
    • H01L2224/29099Material
    • H01L2224/29198Material with a principal constituent of the material being a combination of two or more materials in the form of a matrix with a filler, i.e. being a hybrid material, e.g. segmented structures, foams
    • H01L2224/29298Fillers
    • H01L2224/29299Base material
    • H01L2224/293Base material with a principal constituent of the material being a metal or a metalloid, e.g. boron [B], silicon [Si], germanium [Ge], arsenic [As], antimony [Sb], tellurium [Te] and polonium [Po], and alloys thereof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80Methods for connecting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bodies using 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 H01L2224/83Methods for connecting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bodies using 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using a layer connector
    • H01L2224/838Bonding techniques
    • H01L2224/8385Bonding techniques using a polymer adhesive, e.g. an adhesive based on silicone, epoxy, polyimide, polyester
    • H01L2224/83851Bonding techniques using a polymer adhesive, e.g. an adhesive based on silicone, epoxy, polyimide, polyester being an anisotropic conductive adhesiv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4/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Methods or apparatus related thereto
    • H01L24/80Methods for connecting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bodies using 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 H01L24/83Methods for connecting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bodies using 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using a layer connect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0001Technical content checked by a classifier
    • H01L2924/00011Not relevant to the scope of the group, the symbol of which is combined with the symbol of this grou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01Chemical elements
    • H01L2924/01019Potassium [K]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1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to be connected
    • H01L2924/11Device type
    • H01L2924/12Passive devices, e.g. 2 terminal devices
    • H01L2924/1204Optical Diode
    • H01L2924/12041L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1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to be connected
    • H01L2924/11Device type
    • H01L2924/14Integrated circui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19Details of hybrid assemblies other than the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to be connected
    • H01L2924/1901Structure
    • H01L2924/1904Component type
    • H01L2924/19041Component type being a capacitor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09Shape and layout
    • H05K2201/09009Substrate related
    • H05K2201/09027Non-rectangular flat PCB, e.g. circula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요성 배선 기판을 갖는 전기 광학 장치에 있어서, 전기 광학 패널을 구성하는 기판이 얇은 경우에도, 그 기판이 파손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으로, 액정 패널(3)의 하부 기판(21)은 상부 기판(22)으로부터 돌출하는 돌출부(24)를 갖고, FPC 기판(11)은, 가요성 기재와, 기재 상에 마련되는 도전 패턴(46)을 갖고, FPC 기판(11)은 하부 기판(21)의 돌출부(24)에 ACF(37)을 이용하여 접속되고, FPC 기판(11)은, 돌출부(24)에 접착된 광폭 부분(11a)과, 광폭 부분(11a)에 연속해 있고, 또한 돌출 방향의 단변(端邊)(48a)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하는 협폭 부분(11c)을 갖고, 광폭 부분(11a)의 협폭 부분(11c) 측의 단변(48a)은 돌출 방향의 단변(24c)의 위치와 일치하거나 또는 돌출 방향의 단변(24c)의 위치보다도 내측에 있다.

Description

전기 광학 장치 및 전자기기{ELECTRO OPTICAL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본 발명은 액정 표시 장치 등과 같은 전기 광학 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 본 발명은 전기 광학 장치를 이용한 전자기기에 관한 것이다.
현재, 휴대전화기, 휴대 정보단말기 등과 같은 각종 전자기기에 있어서, 액정 표시 장치, EL 장치 등과 같은 전기 광학 장치가 널리 이용되고 있다. 예컨대, 전자기기에 관한 각종 정보를 시각적으로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로서 전기 광학 장치가 이용되고 있다. 이 전기 광학 장치에 있어서, 전기 광학 물질로서 액정을 이용한 장치, 즉 액정 표시 장치가 알려져 있다.
상기의 액정 표시 장치에서는, 전기 광학 물질인 액정을 한 쌍의 기판 사이에 봉입하고, 이에 따라, 패널 구조체인 전기 광학 패널로서의 액정 패널이 형성된다. 이 액정 패널에는, 일반적으로, 액정에 소정의 전압을 인가하기 위해서, 배선 기판, 예컨대 FPC(Flexible Printed Circuit:가요성 프린트 회로) 기판이 접속되는 것이 많다(예컨대, 특허문헌 1 또는 특허문헌 2 참조).
상기의 FPC 기판에는, 예컨대, 액정 패널을 구동하기 위해 필요하게 되는 회로가 형성된다. 이 회로는, 통상, 베이스 기판 상에 소정의 도전 패턴을 형성하고, 또한 필요에 따라 IC, 콘덴서, 코일, 저항 등과 같은 전자 부품을 베이스 기판 상의 소정 위치에 실장함으로써 형성된다. 또한, FPC 기판에는 입력용 단자가 형성되고, 이 입력용 단자에 외부 전원이나 여러 가지의 외부기기가 접속되는 일이 있다. 이 경우, 액정 패널을 구동하기 위한 신호나 전력이, FPC 기판을 통해서 외부기기나 외부 전원으로부터 공급된다. 또한, 액정 패널을 복수 이용하는 구성, 예컨대 2개의 액정 패널을 전자기기의 양면에 배치하는 구성의 액정 표시 장치에서는, 그들 2개의 액정 패널 사이를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해 FPC 기판이 이용되는 일이 있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공개 2003-131250호 공보(제5페이지, 도 1)
[특허문헌 2] 일본 특허공개 2006-301135호 공보(제4페이지, 도 1)
그런데, FPC 기판은, 일반적으로, 소망의 형상으로 구부러진 상태에서 액정 패널에 접속된다. 또한, FPC 기판이 접속된 액정 패널은, 예컨대, 테두리 형상의 프레임 등에 양면 테이프 등을 이용하여 접착되어 고정되는 것이 많다. 이와 같이 FPC 기판이 구부러진 상태에서는, FPC 기판의 내부에 그 FPC 기판 자체가 갖는 탄 성에 의해 원래의 형상으로 회복하고자 하는 힘이 발생한다. 이렇게 되면, FPC 기판이 구부러진 것에 의해 발생하는 탄성력에 의해, 액정 패널이 프레임으로부터 벗겨져 떠 버릴 우려가 있다.
특허문헌 1에 개시된 액정 표시 장치에서는, 액정 패널로부터 연장한 부분의 FPC 기판의 폭이 넓게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FPC 기판의 폭이 패널 기판의 폭과 대략 동일한 폭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구성에서는, FPC 기판을 구부린 때에 그 FPC 기판이 본래의 형상으로 회복하고자 하는 힘이 강하게 되어, 액정 패널이 프레임으로부터 벗겨져 떠 버릴 우려가 있다.
또한, 특허문헌 2에 개시된 액정 표시 장치에서는, 액정 패널로부터 연장한 부분의 FPC 기판은 액정 패널로부터 멀어짐에 따라서 서서히 폭이 좁아지는 형상으로 되어 있는 것이지만, 액정 패널 바로 근처에 위치하는 FPC 기판은 폭이 넓게 되어 있다. 그 때문에, FPC 기판을 구부린 때에는, 그 FPC 기판이 본래의 형상으로 회복하고자 하는 힘이 강해진다. 그 결과, 액정 패널이 프레임으로부터 벗겨져 떠 버릴 우려가 있다.
또한, 액정 패널은 박형화가 요구되고 있다. 그 때문에, 액정 패널의 구성 요소인 패널 기판의 박형화도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패널 기판을 얇게 하면, 그 패널 기판의 강도가 약해진다. 이렇게 되면, 외부로부터의 힘, 예컨대 진동, 충격, 액정 패널에 접속된 FPC 기판의 탄성력 등에 의해 패널 기판이 쉽게 파손된다. 특히, 액정 패널의 FPC 기판이 접속되는 부분은, 일반적으로, 패널 기판이 돌출하여 1장으로 되어 있고, 그 1장으로 되어 있는 돌출부가 쉽게 파손된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에 비추어 이루어진 것으로서, FPC 기판 등과 같은 가요성을 구비한 배선 기판을 갖는 전기 광학 장치 및 전자기기에 있어서, 전기 광학 패널에 접속된 배선 기판을 구부린 때에 전기 광학 패널이 프레임으로부터 떠 버리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액정 패널 등과 같은 전기 광학 패널을 구성하는 기판이 얇은 경우에도 그 기판이 파손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 광학 장치의 제조 방법은, (1) 제 1 기판과 제 2 기판을 접합하여 이루는 전기 광학 패널과, 상기 전기 광학 패널에 접속된 가요성의 배선 기판을 갖는 전기 광학 장치로서, (2) 상기 제 1 기판은 상기 제 2 기판으로부터 돌출하는 돌출부를 갖고, (3) 상기 배선 기판은, 가요성을 갖는 기재와, 상기 기재 상에 마련되는 도전 패턴을 갖고, (4) 상기 배선 기판은 상기 제 1 기판의 돌출부에 접착재를 이용하여 접속되고, (5) 상기 배선 기판은, 상기 돌출부에 접착된 광폭 부분과, 상기 광폭 부분에 연속해 있고, 또한 상기 돌출부의 돌출 방향의 단변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하는 협폭 부분을 갖고, (6) 상기 광폭 부분의 상기 협폭 부분쪽의 단변은 상기 돌출부의 돌출 방향의 단변의 위치와 일치하거나 또는 상기 돌출부의 돌출 방향의 단변의 위치보다도 내측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명세서에 있어서 「일치」란, 완전히 일치하는 경우를 포함하는 것은 물론, 부품 오차, 조립 오차 등의 범위 내에서 차이가 있는 경우와 같이 기능적으 로 보아 「일치」하고 있으면 이해할 수 있는 경우도 포함하는 의미이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전기 광학 패널은, 전기적인 입력 조건을 제어함으로써, 광학적인 출력 상태를 변화시킬 수 있는 패널 구조체이다. 또한, 전기 광학 패널은, 액정 등과 같은 전기 광학 물질을 포함하는 패널 구조체로서, 그 전기 광학 물질의 전기적인 작용을 이용하여 표시를 실현하는 것이다. 이 전기 광학 패널은, 예컨대, 유리 등으로 이루어지는 기판 상에 전기 광학 물질을 배치하거나, 한 쌍의 기판 사이에 전기 광학 물질을 봉입함으로써 형성된다. 이 전기 광학 물질로서 예컨대 액정을 이용하면, 전기 광학 패널로서의 액정 패널이 구성된다. 또한, 일반적으로, 전기 광학 장치에 있어서는, 전기 광학 패널 등의 구성 요소는, 예컨대 수지에 의해 형성된 테두리 형상의 프레임에 수용된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가요성의 배선 기판은, 전기 광학 패널의 제 1 기판의 돌출부에서 연장한 연장부에서 소망의 형상으로 구부러지는 것이 많다. 예컨대, 대략 180°의 굽힘 각도로 구부러지는(즉 반전되는) 일이 있다. 또한, 가요성 배선 기판이 구부러진 상태로, 테두리 형상의 프레임에 양면 테이프를 이용하여 접착되는 일이 있다.
상기 구성의 전기 광학 장치에 있어서는, 배선 기판을 구부린 때에 상기 배선 기판의 탄성 복원력에 기인하여 전기 광학 패널이 프레임으로부터 벗겨져 떠 버리는 것이 생각된다. 또한, 배선 기판의 탄성 복원력에 기인하여 제 1 기판의 돌출부에 응력이 발생한다. 상기 구성과 같이 배선 기판의 도전 패턴은 접속부와 연장부에 걸쳐 마련되기 때문에, 그와 같은 응력의 발생은 피할 수 없다. 또한, 배 선 기판의 폭이 넓고, 또한 연장부의 연장 방향에 따른 길이가 짧은 경우에는, 발생하는 응력이 커지는 것이 생각된다.
이것에 관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기 광학 장치에 있어서는, 「배선 기판의 광폭 부분의 협폭 부분쪽의 단변을, 돌출부가 돌출하는 방향의 단변의 위치와 일치시키거나 또는 돌출 방향의 단변의 위치보다도 내측에 위치시키는」 것으로 했기 때문에, 특허문헌 1과 같이 배선 기판이 광폭인 채로 제 1 기판의 돌출부에서 연장하는 경우나, 특허문헌 2와 같이 배선 기판에 광폭 부분과 협폭 부분이 마련되지만 그 광폭 부분이 제 1 기판의 돌출부에서 연장하는 경우에 비해서, 구부러지는 부분의 폭을 좁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배선 기판에 있어서의 구부러지는 부분의 폭을 좁게 할 수 있으면, 그 배선 기판을 구부린 때에 그 배선 기판의 탄성에 기인하여 발생하는 복원력을 작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전기 광학 패널이 프레임으로부터 벗겨져 뜨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배선 기판의 탄성에 기인하여 제 1 기판의 돌출부에 발생하는 응력을 작게 할 수 있고, 그 때문에, 배선 기판의 탄성력에 기인하여 제 1 기판의 돌출부가 파손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에 따른 전기 광학 장치에 있어서는, 「배선 기판의 협폭 부분의 연장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에 관해서 광폭 부분이 협폭 부분의 측변으로부터 돌출하는 길이 La를, La≥1.5mm」로 했다. 이에 따라, 제 1 기판의 돌출부에 겹치는 배선 기판의 면적이 넓어졌다. 일반적으로, 배선 기판은 ACF(Anisotropic Conductive Film : 이방성 도전막) 등과 같은 접착재에 의해 제 1 기판의 돌출부에 접착된다. 이 경우, 돌출부 중 배선 기판이 겹치는 부분은, 접착재에 의해 배선 기판과 일체로 되고, 그 부분은 제 1 기판의 돌출부만의 부분에 비해서 기계적인 강도가 강해진다(즉, 보강된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있어서 돌출부에 겹치는 배선 기판의 면적이 넓어지면, 제 1 기판의 돌출부의 기계적 강도가 높여지고, 그 결과, 예컨대 충격이나 진동과 같은 외력에 의해 제 1 기판이 파손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광폭 부분이 협폭 부분의 측변으로부터 돌출하는 길이 La를 La≥1.5mm으로 한 근거는 다음과 같다. 우선, 종래의 전기 광학 장치에 있어서는 배선 기판의 접속부에 미소한 돌기가 마련되는 일이 있다. 이 돌기는, 예컨대, 전기 광학 패널에 배선 기판을 실장할 때의 정렬 마크로서 이용되어 있었다. 이 돌기의 돌출 길이는 약 1.0mm 이하로 설정되고 있었다. 이러한 짧은 돌기를 구비하고 있었던 종래의 전기 광학 장치에 있어서는, 전기 광학 패널의 기판의 돌출부가 외력에 의해 파손되는 것이, 종종 발견되었다. 이것에 대하여, 광폭 부분이 협폭 부분의 측변으로부터 돌출하는 길이 La를 La≥1.5mm으로 한 바, 전기 광학 패널에 있어서의 기판의 돌출부의 파손의 발생 회수가 감소했다.
또한, 전기 광학 패널이 테두리 형상의 프레임에 수용된 상태에서는, 전기 광학 패널에 접속되는 가요성 배선 기판의 협폭 부분이 프레임의 테두리의 일부를 감싸도록 구부러지는 것이 많다. 이 경우, 배선 기판의 협폭 부분에 겹치는 부분의 프레임은, 그 협폭 부분을 구부리기 쉽게 하기 위해 두께가 얇게(또는, 굵기가 가늘게) 형성된다. 이러한 두께가 얇은(또는, 굵기가 가는) 부분의 폭 방향의 길 이가 길어지면, 프레임의 강도가 약해지고, 그 결과, 전기 광학 장치의 강도가 약해지는 우려가 있다. 이것에 관해서, 광폭 부분이 협폭 부분의 측변으로부터 돌출하는 길이 La를 La≥1.5mm으로 하고, 프레임의 두께를 두껍게(또는 굵기를 굵게) 형성할 수 있는 영역의 폭을 넓힌 바, 프레임의 강도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었다.
본 발명에 있어서 광폭 부분이 협폭 부분의 측변으로부터 돌출하는 길이 La를 La≥1.5mm이라 규정한 것은, 상기의 각 지견에 근거하는 것이다.
다음에, 본 발명에 따른 전기 광학 장치에 있어서, 배선 기판의 상기 광폭 부분은 그 선단이 상기 제 1 기판의 돌출부의 측변과 일치할 때까지 연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하면, 제 1 기판의 돌출부에 접착재를 거쳐서 겹치는 배선 기판의 면적을 넓게 할 수 있다. 이 결과, 제 1 기판의 돌출부의 기계적 강도가 높여지고, 그 결과, 예컨대 충격이나 진동과 같은 외력에 의해 제 1 기판이 파손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에 따른 전기 광학 장치에 있어서, 상기 광폭 부분은 상기 돌출부에 접착되어 상기 돌출부의 내충격 강도 및 내굽힘 강도를 높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하면, 제 1 기판의 돌출부의 기계적 강도가 높여지고, 그 결과, 예컨대 충격이나 진동과 같은 외력에 의해 제 1 기판이 파손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배선 기판의 협폭 부분을 구부렸을 때에 전기 광학 패널이 프레임으로부터 벗겨져 떠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배선 기판의 협폭 부분을 구부렸을 때에 제 1 기판의 돌출부에 발생하는 응력을 저감 하는 것과, 제 1 기판의 돌출부의 기계적 강도를 배선 기판의 광폭 부분의 작용에 의해 높이는 것과의 협동 작용에 의해, 제 1 기판의 돌출부가 충격, 구부림 등의 외력을 받았을 때의 그 돌출부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에 따른 전기 광학 장치에 있어서, 배선 기판의 협폭 부분의 연장 방향의 길이를 Lb로 하고, 배선 기판의 협폭 부분의 연장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의 길이를 Lc로 했을 때,
Lb<Lc
인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0.10Lc≤Lb≤0.15Lc
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배선 기판의 협폭 부분은 연장 방향의 길이가 짧고, 그것과 교차하는 폭 방향의 길이(즉 폭)가 긴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은, 전기 광학 패널에 접속된 배선 기판이 구부러지는 때에, 그 구부러지는 부분의 배선 기판이 짧은 것, 또는 배선 기판의 곡률이 큰 것, 또는 배선 기판이 좁은 범위에서 큰 힘으로 구부러지는 것을 뜻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부러지는 부분의 배선 기판이 짧은 경우에는, 그 배선 기판의 탄성 복원력이 커져, 전기 광학 패널의 기판과 배선 기판과의 접착 부분에 큰 굽힘 응력이 발생하는 것으로 되기 때문에, 기판이 파손할 가능성이 높다. 이러한 경우에 본 발명에 따른 기판의 보강 구조를 채용하면 기판의 파손을 방지하는 데에 있어서 매우 유리하다.
다음에, 본 발명에 따른 전기 광학 장치에 있어서, 배선 기판의 협폭 부분에 있어서의 연장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의 폭으로서 상기 연장 방향에 따른 전체 영역의 폭은, 광폭 부분과 협폭 부분과의 경계 부분에 있어서의 상기 협폭 부분의 폭과 동일하거나 또는 그것보다도 좁은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그 협폭 부분의 폭은 일정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전기 광학 패널이 테두리 형상의 프레임에 수용된 상태에서는, 전기 광학 패널에 접속되는 가요성 배선 기판의 협폭 부분이 프레임의 테두리의 일부를 감싸도록 구부러지는 것이 많다. 이 경우, 배선 기판의 협폭 부분에 겹치는 부분의 프레임은, 그 협폭 부분을 구부리기 쉽게 하기 위해 두께가 얇게(또는, 굵기가 가늘게) 형성된다. 이러한 두께가 얇은(또는, 굵기가 가는) 부분의 폭 방향의 길이가 길어지면, 프레임의 강도가 약해지고, 그 결과, 전기 광학 장치의 강도가 약해질 우려가 있다.
이것에 관하여, 본 발명 형태에서는, 상기와 같이, 배선 기판의 협폭 부분에 있어서의 연장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의 폭으로서 상기 연장 방향에 따른 전체 영역의 폭을, 광폭 부분과 협폭 부분과의 경계 부분에 있어서의 상기 협폭 부분의 폭과 동일하거나 또는 그것보다도 좁게 규정했다. 즉, 배선 기판의 협폭 부분의 최대의 폭은, 협폭 부분으로부터 돌출하는 광폭 부분의 연장부의 폭과 같은 또는 그 폭 이하로 규제되어 있다는 것이다. 이것은, 배선 기판의 협폭 부분에 있어서의 연장 방향에 따른 모든 영역의 폭을 종래의 연장 부분에 비해서 일률적으로 좁게 규제한다는 것이며, 그 때문에, 프레임의 두께를 두껍게(또는 굵기를 굵게) 형성할 수 있는 영역의 폭을 종래에 비해 넓게 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에 따라, 프레임의 강 도를 강하게 할 수 있고, 그 결과, 전기 광학 장치의 강도를 강하게 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에 따른 전기 광학 장치에 있어서, 배선 기판에 있어서의 광폭 부분과 협폭 부분과의 경계의 각부의 형상은 곡선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광폭 부분의 협폭 부분쪽의 단변은 돌출부의 돌출 방향의 단변과 일치하고 있거나 또는 돌출 방향의 단변의 내측이 되도록 가요성 배선 기판이 전기 광학 패널에 접속되어 있다. 그 때문에, 가요성 배선 기판에 있어서의 광폭 부분과 협폭 부분과의 경계의 각부(角部)가, 제 1 기판의 돌출부의 단변에 대략 일치한다. 이 구성에 있어서, 가요성 배선 기판을 구부린 때에, 광폭 부분과 협폭 부분의 경계의 각부에 집중적으로 응력이 발생하기 쉽다. 이러한 집중적인 응력이 발생하면, 가요성 배선 기판이 그 각부에서 파단하기 쉽게 된다. 이것에 관하여, 본 발명 형태에서는, 가요성 배선 기판에 있어서의 상기 광폭 부분과 상기 협폭 부분과의 경계의 각부의 형상을 곡선 형상으로 했기 때문에, 그 각부에 응력이 집중하는 것을 회피할 수 있고, 그 때문에, 그 각부에서 가요성 배선 기판이 파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상기 광폭 부분과 상기 협폭 부분과의 경계의 각부의 곡선 형상은 원호 형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그 원호의 반경을 R로 했을 때,
0.5mm≤R≤1.0mm
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렇게 하면, 가요성 배선 기판의 협폭 부분에 있어서의 굴곡성을 저해하지 않고, 또한 가요성 배선 기판이 각부에서 파탄하는 것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에 따른 전기 광학 장치에 있어서, 제 1 기판의 돌출부에는 전기 광학 패널의 검사에 이용하는 검사용 단자가 마련되고, 상기 검사용 단자는 배선 기판의 광폭 부분 및 접착재에 의해 덮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검사용 단자란, 전기 광학 패널의 표시 검사를 행할 때에 이용되는 단자다. 예컨대, 전기 광학 장치의 제조 공정에 있어서, 전기 광학 패널이 완성된 후에 있어 상기 전기 광학 패널에 부품 등을 실장하기 전에, 전기 광학 패널 단체(單體)에 전기 신호를 입력하여 표시 검사가 행하여진다. 이 검사용 단자는 제품의 완성 후에는 사용되지 않기 때문에, 표시 검사의 종료 후에 절연 처리된다. 이 절연 처리는, 종래, 실리콘 등과 같은 수지에 의해 검사 단자를 피복하는 것에 의해 행하여지고 있었다.
그러나, 실리콘 등의 수지는 얇게 형성하기 어려운 재료이며, 전기 광학 패널을 얇게 형성하는 것이 어려웠다. 또한, 실리콘 등의 수지를 도포하는 공정을 마련할 필요가 있어 제조 비용이 증가하는 일이 있었다. 본 발명 형태에서는, 가요성 배선 기판의 광폭 부분이 검사 단자를 덮는 구성으로 했다. 가요성 배선 기판은 접착재를 포함해도 실리콘에 비해 얇게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박형의 전기 광학 패널에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실리콘 등의 수지를 도포하는 공정을 마련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제조 비용을 낮출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에 따른 전기 광학 장치에 있어서, 상기 배선 기판은, 상기 제 1 기판의 돌출부 중의 상기 제 2 기판쪽의 표면에 접속되고, 상기 배선 기판과 상기 접착재를 합친 두께와 상기 제 2 기판의 두께가 일치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 다. 일반적으로, 전기 광학 장치에 있어서는, 예컨대 금속을 이용하여 형성된 외측 테두리에 의해 전기 광학 패널을 덮는 것이 많다. 이 경우, 배선 기판이 제 2 기판의 두께보다 얇다고 하면, 배선 기판이 접속된 돌출부와 그것을 덮는 외측 테두리와의 사이에 공간이 발생하고, 그 공간에 기인하여 진동이나 충격에 의해 돌출부가 파손할 우려가 있다.
이것에 관하여 본 발명 형태에서는, 배선 기판과 접착재를 합친 두께와, 제 2 기판의 두께를 일치시켰기 때문에, 기판의 돌출부와 외측 테두리 사이의 공간을 배선 기판과 접착재에 의해 과부족없이 메울 수 있다. 그 결과, 돌출부가 진동이나 충격에 의해 움직이는 것에 의해 파손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기는, 이상에 기재한 구성의 전기 광학 장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 광학 장치에 있어서는, 가요성 배선 기판의 협폭 부분의 폭을 광폭 부분에 비해서 좁게 함으로써 전기 광학 패널이 프레임으로부터 벗겨져 뜨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가요성 배선 기판의 협폭 부분의 폭을 광폭 부분에 비해서 좁게 하여 돌출부에 발생하는 응력을 약하게 할 수 있다. 또한, 가요성 배선 기판의 광폭 부분에 의해 제 1 기판의 돌출부를 보강할 수 있다. 이것들의 상승 효과에 의해, 전기 광학 패널의 제 1 기판이 돌출부의 위치에서 파손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이 전기 광학 장치를 이용한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기는, 전기 광학 장치 내에서 전기 광학 패널이 떠 버리는 것 및 기판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고, 그 때문에, 고장의 발생을 저감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FPC 기판 등과 같은 가요성을 구비한 배선 기판을 갖는 전기 광학 장치 및 전자기기에 있어서, 전기 광학 패널에 접속된 배선 기판을 구부린 때에 전기 광학 패널이 프레임으로부터 떠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액정 패널 등과 같은 전기 광학 패널을 구성하는 기판이 얇은 경우에도 그 기판이 파손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전기 광학 장치의 실시예 1)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전기 광학 장치를 그 일 실시예를 들어 설명한다. 또, 이 이후에 설명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일례로서,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또한, 앞으로의 설명에서는 필요에 따라 도면을 참조하지만, 이 도면에서는, 복수의 구성 요소로 이루어지는 구조 중 중요한 구성 요소를 알기 쉽게 나타내기 위해, 각 요소를 실제와는 다른 상대적인 치수로 나타내고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 광학 장치의 일례인 액정 표시 장치(1)를 분해 상태로 나타내고 있다. 도 2는 도 1의 액정 표시 장치(1)를 조립한 상태의 단면 구조를 나타내고 있다. 도 3은 도 2의 액정 표시 장치(1)를 화살표 ZC 방향에서 본 측면의 구조를 나타내고 있다. 도 4는, 도 1의 화살표 ZD로 나타내는 패널 사이의 배선 부분을 화살표 ZB 방향으로부터 평면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도 1에 있어서, 액정 표시 장치(1)는, 지지 부재인 프레임(2)과, 그 프레임(2)에 의해 지지되는 제 1 전기 광학 패널로서의 제 1 액정 패널(3)과, 마찬가지로 프레임(2)에 의해 지지되는 제 2 전기 광학 패널로서의 제 2 액정 패널(4)과, 그들의 프레임(2), 제 1 액정 패널(3) 및 제 2 액정 패널(4)을 덮는 상하 한 쌍의 외측 테두리(8)를 갖는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 1 액정 패널(3)은 주된 표시를 행하는 표시 요소이며, 제 2 액정 패널(4)은 부차적인 표시를 행하는 표시 요소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액정 표시 장치(1)는 박형의 액정 표시 장치를 의도하고 있고, 그 때문에 제 1 액정 패널(3) 및 제 2 액정 패널(4)로서 박형의 패널을 채용하고 있다. 제 1 액정 패널(3) 및 제 2 액정 패널(4)의 두께는, 예컨대 0.6mm 이하로 된다. 또한, 액정 패널을 구성하는 각각의 기판의 두께는, 예컨대 0.3mm 이하로 된다. 프레임(2)의 내측에는 조명 장치(5)가 마련된다. 이 조명 장치(5)는, 광원, 구체적으로는 점형상 광원으로서의 LED(Light Emitting Diode)(6)와, LED(6)로부터 출사하는 점형상의 광을 면형상으로 변환하여 출사하는 도광체(7)를 갖는다. 도광체(7)는, 예컨대 투광성의 수지에 의해 형성된다.
LED(6)는, 복수개, 본 실시예에서는 6개 마련되어 있다. 이들 6개의 LED(6)는, 후술하는 제 2 FPC 기판(12)의 LED 실장 영역(13) 상에 실장되어 있다. 이 제 2 FPC 기판(12)은 단자(14)를 갖고, 이 단자(14)를 통해서 각 LED(6)에 전력이 공 급된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 LED(6)의 발광면(6a)은, 도광체(7)의 측면인 광입사면(7a)에 대향하여 마련된다. 각 LED(6)로부터 출사된 광은, 광입사면(7a)에서 도광체(7)의 내부로 도입된다. 제 1 액정 패널(3)에 있어서 표시를 행하는 경우, 도광체(7)의 내부로 도입된 광은 제 1 광출사면(7b)에서 면형상의 광으로서 출사하여 제 1 액정 패널(3)로 공급된다. 한편, 제 2 액정 패널(4)에 있어서 표시를 행하는 경우, 도광체(7)의 내부로 도입된 광은 제 2 광출사면(7c)에서 면형상의 광으로서 출사하여 제 2 액정 패널(4)로 공급된다.
도광체(7)중의 제 1 액정 패널(3)에 대향하는 제 1 광출사면(7b) 및 제 2 액정 패널(4)에 대향하는 제 2 광출사면(7c)에는, 도시는 생략하지만, 필요에 따라 여러 가지의 광학 요소, 예컨대 광 반사층이나 광 확산층 등이 마련된다. 조명 장치(5)는, 화살표 ZA로 나타내는 방향에서 보면 제 1 액정 패널(3)의 뒷편에 배치되어 있고, 백 라이트로서 기능한다. 또한, 화살표 ZB로 나타내는 방향에서 보면 제 2 액정 패널(4)의 뒷편에 배치되어 있고, 백 라이트로서 기능한다. 또, 광원은, 제 1 LED(6) 이외의 점형상 광원이나, 냉음극관 등과 같은 선형상 광원에 의해 구성할 수도 있다.
조명 장치(5)와 제 1 액정 패널(3)과의 사이에는 점착 시트(15a)가 마련되어 있다. 도 1에 있어서, 이 점착 시트(15a)는, 제 1 액정 패널(3)의 표시 영역 V1과 대략 동일한 크기의 개구를 갖은 테두리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점착 시트(15a)는 차광성의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프레임(2)과 제 1 액정 패 널(3)은, 이 점착 시트(15a)에 의해 점착된다. 여기서 점착이란, 사람의 손에 의해 용이하게 벗길 수 있는 정도의 접착의 의미이다.
또한, 도 2에 있어서, 제 2 액정 패널(4)과 프레임(2)과의 사이에는 점착 시트(15b)가 마련된다. 도 1에 있어서, 이 점착 시트(15b)는, 제 2 액정 패널(4)의 표시 영역 V2와 대략 동일한 크기의 개구를 갖은 테두리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점착 시트(15b)는 차광성의 재료에 의해 형성된다. 프레임(2)과 제 2 액정 패널(4)은, 이 점착 시트(15b)에 의해 점착된다. 이렇게 해서 조명 장치(5), 제 1 액정 패널(3) 및 제 2 액정 패널(4)은,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프레임(2)의 내측에 수용된다.
제 1 액정 패널(3)은, 제 1 투광성의 기판(21)과, 제 2 투광성의 기판(22)과, 제 1 투광성 기판(21)의 외측 표면에 점착된 편광판(23a)과, 제 2 투광성 기판(22)의 외측 표면에 점착된 편광판(23b)을 갖는다. 편광판(23a)의 편광축과 편광판(23b)의 편광축은 액정 패널의 동작 모드에 따라 각도적으로 적당히 비키어 놓은 상태로 설정되어 있다. 또, 편광판(23a, 23b)에 덧붙여 다른 광학 요소, 예컨대 위상차판 등을 마련하더라도 좋다. 제 1 투광성 기판(21)은, 제 2 투광성 기판(22)의 한쪽의 외측으로 돌출하는 돌출부(24)를 갖고 있다. 이 돌출부(24)의 제 2 투광성 기판(22)측의 표면에는,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검사용 단자(25)가 마련되어 있다. 이 검사용 단자(25)는, 돌출부(24)의 한쪽의 측변(24a)의 근방, 및 다른 쪽의 측변(24b)의 근방에 각각 하나씩 마련되어 있다.
다음에, 도 2에 있어서, 제 2 액정 패널(4)은, 제 1 투광성의 기판(31)과, 제 2 투광성의 기판(32)과, 제 1 투광성 기판(31)의 외측 표면에 점착된 편광판(33a)과, 제 2 투광성 기판(32)의 외측 표면에 점착된 편광판(33b)을 갖는다. 편광판(33a)의 편광축과 편광판(33b)의 편광축은 액정 패널의 동작 모드에 따라 각도적으로 적당히 비키어 놓은 상태로 설정되어 있다. 또, 편광판(33a, 33b)에 덧붙여 다른 광학 요소, 예컨대 위상차판 등을 마련하더라도 좋다. 제 1 투광성 기판(31)은, 제 2 투광성 기판(32)의 외측으로 돌출하는 돌출부(34, 35)를 갖는다. 돌출부(34)는 입력측의 돌출부이며, 돌출부(35)는 중계측의 돌출부이다. 입력측의 돌출부(34) 상에는 구동용 IC(36)가, 예컨대, 접착재인 ACF(Anisotropic Conductive Film:이방성 도전막)(37)을 이용하여 COG(Chip On Glass) 기술에 의해 실장되어 있다. 중계측의 돌출부(35)의 제 2 투광성 기판(32)쪽의 표면에는,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검사용 단자(26)가 마련되어 있다. 이 검사용 단자(26)는, 돌출부(35)의 한쪽의 측변(35a)의 근방, 및 다른 쪽의 측변(35b)의 근방에 각각 하나씩 마련되어 있다.
상기의 검사용 단자(25 및 26)는, 각각, 제 1 액정 패널(3) 및 제 2 액정 패널(4)의 표시 검사를 행할 때에 이용되는 단자다. 예컨대, 제 1 액정 패널(3)을 제조하는 공정에서, 제 1 투광성 기판(21)과 제 2 투광성 기판(22)을 접합한 후에 그 제 1 액정 패널(3)에 배선 기판 등을 실장하기 전에, 검사용 단자(25)를 이용하여 단체(單體)의 제 1 액정 패널(3)에 전기 신호를 입력하여 표시 검사가 행하여진다. 또한, 제 2 액정 패널(4)을 제조하는 공정에서도, 제 1 투광성 기판(31)과 제 2 투광성 기판(32)을 접착시킨 후에 그 제 2 액정 패널(4)에 배선 기판 등을 실장 하기 전에, 검사용 단자(26)를 이용하여 단체의 제 2 액정 패널(4)에 전기 신호를 입력하고 표시 검사가 행하여진다. 이것들의 검사용 단자(25, 26)는 제품으로 된 후의 액정 표시 장치(1)에 있어서는 사용되지 않는 것이다.
자세한 도시는 생략하지만, 제 1 액정 패널(3)을 구성하는 제 1 투광성 기판(21) 및 제 2 투광성 기판(22) 각각의 서로에 대향하는 표면에는 전극이 마련되고, 또한, 그들의 기판 사이에 액정이 봉입된다. 또한, 제 2 액정 패널(4)을 구성하는 제 1 투광성 기판(31) 및 제 2 투광성 기판(32) 각각의 서로에 대향하는 표면에도 전극이 마련되고, 또한, 그들의 기판 사이에도 액정이 봉입된다. 도 2에 있어서, 조명 장치(5)로부터 제 1 액정 패널(3)로 면형상의 광이 공급될 때, 및 조명 장치(5)로부터 제 2 액정 패널(4)로 면형상의 광이 공급될 때, 각 액정 패널(3, 4)의 내부에서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전극에 인가하는 전압을 화소마다 제어함으로써, 액정을 통과하는 광을 화소마다 변조한다.
그리고, 제 1 액정 패널(3)에 있어서는, 변조광을 편광판(23b)에 통과시키는 것에 의해, 그 편광판(23b)의 광출사측에 문자, 숫자, 도형 등과 같은 이미지를 표시한다. 화살표 ZA로 나타내는 방향이 제 1 액정 패널(3)의 표시를 관찰하는 방향이며, 편광판(23b)이 마련된 면이 표시면 D1이다. 한편, 제 2 액정 패널(4)에 있어서는, 상기의 변조광을 편광판(33b)에 통과시키는 것에 의해, 그 편광판(33b)의 광출사측에 문자, 숫자, 도형 등과 같은 이미지를 표시한다. 화살표 ZB로 나타내는 방향이 제 2 액정 패널의 표시를 관찰하는 방향이며, 편광판(33b)이 마련된 면이 표시면 D2이다.
제 1 액정 패널(3) 및 제 2 액정 패널(4)에는 같은 표시 모드의 액정 패널을 이용할 수 있다. 그리고 이들은, 임의의 표시 모드에 의해 구성할 수 있다. 예컨대, 액정 구동 방식으로 말하면, 단순 매트릭스 방식 및 액티브 매트릭스 방식의 어느 것이더라도 좋다. 또한, 액정 모드의 종별로 말하면, TN(Twisted Nematic), STN(Super Twisted Nematic), 부(負)의 유전율 이방성을 가지는 액정(즉, 수직 배향용 액정), 기타 임의의 액정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채광 방식으로 말하면, 반사형, 투과형 또는 투과 및 반사 겸용의 반투과 반사형의 어느 것이더라도 좋다.
반사형이란, 태양광, 실내광 등과 같은 외부광을 제 1 액정 패널(3) 및 제 2 액정 패널(4)의 내부에서 반사시켜 표시에 이용하는 방식이다. 또한, 투과형이란, 제 1 액정 패널(3) 및 제 2 액정 패널(4)을 투과하는 광을 이용하여 표시를 행하는 방식이다. 또한, 반투과 반사형이란, 반사형 표시와 투과형 표시의 양쪽을 선택적으로 실행할 수 있는 방식이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조명 장치(5)가 백 라이트로서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채광 방식으로서는 투과형 또는 반투과 반사형이 채용되어 있는 것으로 된다.
단순 매트릭스 방식이란, 각 화소에 능동 소자를 가지지 않고, 주사 전극과 데이터 전극의 교차부가 화소 또는 도트에 대응하고, 구동 신호가 직접 인가되는 매트릭스 방식이다. 이 방식에 대한 액정 모드로서는, TN, STN, 수직 배향 모드 등이 이용된다. 다음에, 액티브 매트릭스 방식이란, 화소 또는 도트마다 능동 소 자가 마련되어, 기입 기간에서는 능동 소자가 ON 상태로 되어 데이터 전압이 기입되고, 다른 기간에서는 능동 소자가 OFF 상태가 되어 전압이 유지되는 매트릭스 방식이다. 이 방식에서 사용하는 능동 소자에는 3 단자형과 2 단자형이 있다. 3 단자형의 능동 소자에는, 예컨대, TFT(Thin Film Transistor)이 있다. 또한, 2 단자형의 능동 소자에는, 예컨대, TFD(Thin Film Diode)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제 1 액정 패널(3) 및 제 2 액정 패널(4)에 있어서, 컬러 표시를 행하는 경우에는, 한 쌍의 기판 중의 한쪽에 컬러 필터가 마련된다. 컬러 필터는, 특정 파장 영역의 광을 선택적으로 투과하는 복수의 필터에 의해 형성된다. 예컨대, 3원색인 R(적), G(녹), B(청)의 1색씩을 기판 상의 각 화소에 대응시켜 소정의 배열, 예컨대 스트라이프 배열, 델타 배열, 모자이크 배열로 나열하는 것에 의해 형성된다. 또, 선명한 발색을 희망하는 경우에는 R, G, B에 다른 색(예컨대, 청록)을 가한 4색에 의해 하나의 화소를 구성할 수도 있다.
다음에, 제 2 액정 패널(4)의 제 1 투광성 기판(31)의 입력측의 돌출부(34)의 단변에는, 가요성의 배선 기판인 제 2 FPC 기판(12)이, ACF(37)을 이용하여 접속되어 있다. 이 제 2 FPC 기판(12)은, 폴리이미드나 폴리에스테르 등으로 이루어지는 베이스 필름의 표면 상에 도전 패턴을 형성하여 이루는 구조를 갖고 있다. 이 제 2 FPC 기판(12)은,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입력측 돌출부(34)에 평면적으로 겹치는 부분인 접속부(12a)와, 돌출부(34)로부터 연장하는 부분인 연장부(12b)를 갖고 있다.
연장부(12b)의 표면에는, 도시는 생략하지만, 전자 회로 및 그것에 부수되는 배선이 형성된다. 이 연장부(12b)의 일부에는 LED 실장 영역(13)이 마련되고, 이 영역(13) 상에 복수의 LED(6)가 실장되어 있다. 또한, LED 실장 영역(13)으로부터 또한 측방으로 연장하는 부분에는 입력용 단자(14)가 마련되어 있다. 이 단자(14)는, 외부의 입력용 기기(예컨대, 휴대전화기 등과 같은 전자기기의 제어 회로)나 외부 전원 등에 접속된다. 제 2 FPC 기판(12)은, 액정 표시 장치(1)를 조립할 때, 화살표 ZF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구부러져, LED(6)를 실장한 LED 실장 영역(13)이 후술하는 프레임(2)의 LED 지지부(44)에 대향하도록 배치된다.
또한, 제 1 액정 패널(3)의 제 1 투광성 기판(21)의 돌출부(24)의 돌출 방향의 단변에는, 가요성을 구비한 배선 기판으로서의 제 1 FPC 기판(11)이, 예컨대 ACF(37)(도 2 참조)을 이용하여 접속되어 있다. 이 제 1 FPC 기판(11)에 관해서는 후에 자세히 설명한다.
다음에, 프레임(2)은, 제 1 패널 수용부(41)와, 제 2 패널 수용부(42)와, 도광체 수용부(43)와, LED 지지부(44)를 갖는다. 제 1 패널 수용부(41)는, 화살표 ZA가 그려진 쪽인 프레임(2)의 제 1 면(2a) 측에 마련된다. 이 제 1 패널 수용부(41)는, 프레임(2)의 내측에 형성된 공간이며, 이 공간 내에 제 1 액정 패널(3)이 화살표 ZE와 같이 구부러진 상태로 수용된다. 또한, 제 2 패널 수용부(42)는, 화살표 ZB가 그려진 쪽인 프레임(2)의 제 2 면(2b) 쪽에 마련된다. 이 제 2 패널 수용부(42)는, 프레임(2)의 내측에 형성된 공간이며, 이 공간 내에 제 2 액정 패널(4)이 수용된다. 또한, 도광체 수용부(43)는, 프레임(2)의 개구부에 상당하는 공간이며, 이 도광체 수용부(43) 내에 도광체(7)가 수용된다. 또한, LED 지지부(44)는 프레임(2)의 제 2 면(2b) 쪽에 마련된다. 이 LED 지지부(44)에, 제 2 FPC 기판(12) 상에 실장된 LED(6)가 지지된다.
다음에, 상하 한 쌍의 외측 테두리(8)는, 화살표 ZE 방향으로 구부려진 후의 제 1 액정 패널(3)쪽(화살표 ZA가 그려진 쪽)에 마련된 제 1 외측 테두리(8a)와, 제 2 액정 패널(4)쪽(화살표 ZB가 그려진 쪽)에 마련된 제 2 외측 테두리(8b)를 갖는다. 제 1 외측 테두리(8a) 및 제 2 외측 테두리(8b)는, 예컨대 스테인레스 등과 같은 금속을 이용하여 형성되어 있다. 제 1 외측 테두리(8a)는, 제 1 액정 패널(3)의 표시 영역 V1과 대략 동일한 크기의 개구를 가진 테두리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 2 외측 테두리(8b)는, 제 2 액정 패널(4)의 표시 영역 V2와 대략 동일한 크기의 개구를 갖은 테두리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 1 외측 테두리(8a)에는 복수의 감합부(9a)(joint)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제 2 외측 테두리(8b)에는, 복수의 감합부(9b)가 마련되어 있다. 감합부(9a)와 감합부(9b)는 서로 대응한 위치에 마련되고 있고,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액정 표시 장치(1)를 조립한 상태로, 감합부(9a)와 감합부(9b)가 감합하고, 제 1 외측 테두리(8a)와 제 2 외측 테두리(8b)가 결합하여 일체적으로 된다.
도 1의 액정 표시 장치(1)를 조립할 때는, 조명 장치(5), 제 1 액정 패널(3) 및 제 2 액정 패널(4)을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프레임(2)에 장착한다. 구체적으로는, 도 1에 있어서, 우선, 도광체(7)를 프레임(2)의 중의 도광체 수용부(43) 에 수용하고, 다음에, 제 2 패널 수용부(42) 내에 제 2 액정 패널(4)을 수용한다. 이 때, 점착 시트(15b)에 의해 도광체(7)와 프레임(2)에 제 2 액정 패널(4)을 점착한다.
다음에, 제 1 패널 수용부(41)에 제 1 액정 패널(3)을 수용한다. 구체적으로는, 제 1 액정 패널(3)과 제 2 액정 패널(4)을 접속하는 제 1 FPC 기판(11)이 화살표 ZE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프레임(2)의 단변(2c)을 감싸도록 구부러진다. 이렇게 해서, 제 1 액정 패널(3)은 프레임(2)의 제 1 면(2a)의 표면 상에 운반되어, 제 1 패널 수용부(41) 내에 수용된다. 이 때, 점착 시트(15a)에 의해 도광체(7)와 프레임(2)에 제 1 액정 패널(3)을 점착한다. 제 1 액정 패널(3), 제 2 액정 패널(4) 및 도광체(7)는, 프레임(2)에 의해 도 2의 좌우 방향 및 지면 수직 방향의 위치를 규제하고, 이에 따라, 항상 프레임(2) 내의 일정 위치에 위치 결정된다.
다음에, 도 1에 있어서, 제 2 FPC 기판(12)이 화살표 ZF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2 액정 패널(4)의 뒷편으로 구부러지고, LED(6)를 실장한 LED 실장 영역(13)이 후술하는 프레임(2)의 LED 지지부(44)에 대향하도록 배치된다. 또한, 입력용 단자(14)가 마련된 부분이 화살표 ZL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측방으로부터 프레임(2)의 뒷편으로 구부러지고, 입력용 단자(14)가 프레임(2)의 제 1 면(2a) 측에 배치된다. 이상과 같이, 프레임(2)에 제 1 액정 패널(3)과 제 2 액정 패널(4)을 수용한 상태로, 제 2 외측 테두리(8b)를 제 2 액정 패널(4)측에 장착한다. 그리고 제 1 외측 테두리(8a)를 제 1 액정 패널(3)측에 장착한다. 이 때, 제 1 외측 테두리(8a)의 감합부(9a)와 제 2 외측 테두리(8b)의 감합부(9b)가 감합함으로써, 외측 테두리(8)가 제 1 액정 패널(3)과 제 2 액정 패널(4)을 덮은 상태로 프레임(2)에 고정된다. 이상과 같이 하여, 도 2에 나타내는 액정 표시 장치(1)가 완성된다.
이하,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액정 표시 장치에 이용되는 가요성 배선 기판으로서의 제 1 FPC 기판(11)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도 5(a)는 도 1의 제 1 FPC 기판(11)을 화살표 ZA 방향(도면의 아래 방향)으로부터 평면적으로 본 도면이다. 또한, 도 5(b)은 도 5(a)의 ZG-ZG 선에 따른 제 1 FPC 기판(11)의 중앙 부분의 단면도이다. 또한, 도 5(c)은 도 5(a)의 ZI-ZI 선에 따른 제 1 FPC 기판(11)의 단면도이다. 또한, 도 5(d)은 도 5(a)의 ZH-ZH 선에 따른 제 1 FPC 기판(11)의 단면도이다.
제 1 FPC 기판(11)은, 가요성의 필름을 기재로 하여 형성된 굽힘성이 우수한 기판이다. 이 제 1 FPC 기판(11)은, 도 1에 있어서 화살표 ZE와 같이 구부러진 때에,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프레임(2)에 대면하는 표면 S1과 그 반대면인 표면 S2를 갖는다. S1는 구부러져 내측으로 되는 면이며, S2는 구부러져 외측으로 되는 면이다.
제 1 FPC 기판(11)은,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1 액정 패널(3)의 돌출부(24)에 평면적으로 겹치는 광폭 부분(왼쪽 아래를 향하는 사선으로 나타내는 부분)인 접속부(11a)와, 제 2 액정 패널(4)의 중계측의 돌출부(35)에 평면적으로 겹치는 광폭 부분(왼쪽 아래를 향하는 사선으로 나타내는 부분)인 접속부(11b)와, 돌출부(24) 및 돌출부(35)로부터 그들의 외측으로 연장하는 협폭 부분(오른쪽 아래를 향하는 사선으로 나타내는 부분)인 연장부(11c)를 갖고 있다. 도 4에 있어서, 제 1 액정 패널(3)은 제 2 액정 패널(4)에 대하여 도면의 내측으로 구부러진다. 이 이후의 설명에 있어서, 연장부(11c)가 돌출부(24, 35)로부터 연장하는 방향을 연장 방향 Y라고 하고, 그것과 직각의 방향인 제 1 FPC 기판(11)의 폭 방향을 폭 방향 X라고 한다.
도 5(a)에 있어서, 제 1 FPC 기판(11)은, 가요성 기재로서의 베이스 필름(45)과, 도전 패턴(46)과, 보호막(47)을 갖는다. 베이스 필름(45)은, 예컨대 폴리이미드나 폴리에스테르 등을 이용하여 형성된다. 도전 패턴(46)은, 예컨대 Cu(구리) 등과 같은 도전 재료를 이용하여 형성된다. 이 도전 패턴(46)은, 접속부(11a), 연장부(11c) 및 접속부(11b)의 각 영역에 걸쳐 마련되어 있다. 이 도전 패턴(46)에 의해서, 제 1 액정 패널(3)과 제 2 액정 패널(4)이 도전 접속된다.
보호막(47)은, 예컨대 커버레이나 레지스트 등을 이용하여 형성된다. 이 보호막(47)은, 연장부(11c)에 마련되어, 도 5(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베이스 필름(45)의 표면 및 도전 패턴(46)을 덮는 형상으로 마련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보호막(47)에 의해 도전 패턴(46)을 덮는 것에 의해, 도전 패턴(46)에 수분이나 이물이 부착하는 것에 기인하여 도전 패턴(46)이 부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제 1 FPC 기판(11)의 구성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우선, 광폭 부분으로서의 접속부(11a)에 대하여 설명한다. 접속부(11a)는, 도 5(d)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베이스 필름(45)과, 상기 베이스 필름(45) 상에 마련된 도전 패턴(46)을 갖고 있다. 또, 접속부(11a)에는 보호막(47)은 설치되지 않는다. 따라서, 접속부(11a)에서는 베이스 필름(45)의 표면 및 도전 패턴(46)이 드러나게 되어 있다.
접속부(11a)는,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1 액정 패널(3)의 돌출부(24)에 있어서 제 1 액정 패널(3)의 단자(도시하지 않음)에 접속되는 부분이다. 따라서, 접속부(11a)에서는, 도전 패턴(46)(도 5(a) 참조)이 드러나게 되어 있는 것이지만, 이 도전 패턴(46)은, 제 1 FPC 기판(11)과 제 1 액정 패널(3)을 접속한 상태로, 접착재인 ACF(37)에 의해 덮어지기 때문에, 수분이나 이물이 부착하는 것에 기인하여 도전 패턴(46)이 부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도 2에 있어서, 접속부(11a)와 ACF(37)를 합친 두께 T1는, 제 2 투광성 기판(22)의 두께 T2와 일치하고 있다. 또, 본 명세서에서 말하는 「일치」란, 부품 오차 및 조립 오차에 의해 차이가 발생하는 경우도 포함하는 의미이다.
도 5(a)에 있어서, 접속부(11a)의 도전 패턴(46)이 형성된 영역의 양쪽에는, 연장부(11c)의 측변(11d)에서 폭 방향 X의 외측으로 돌출하는 돌기(48)가 마련되어 있다. 이것들의 돌기(48)는, 도전 패턴(46)이 형성된 영역으로부터 베이스 필름(45)을 폭 방향 X로 돌출시키는 것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이것들의 돌기(48)는 이하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1) 제 1 FPC 기판(11)이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1 액정 패널(3)에 접속된 상태로, 돌기(48)의 연장부(11c) 측의 단변(48a)이 액정 패널(3) 내의 제 1 기판(21)의 돌출부(24)의 돌출 방향의 단변(24c)과 평행하게 되어 있다. 또한,
(2) 돌기(48)의 단변(48a)과 돌출부(24)의 단변(24c)이 평면적으로 보아 위치적으로 일치하고 있다.(또, 돌기(48)의 단변(48a)은 돌출부(24)의 단변(24c)의 내측에 위치하는 상태이더라도 좋다.) 또한,
(3) 돌기(48)의 선단(48b)과 돌출부(24)의 측변(24a, 24b)이 평면적으로 보아 위치적으로 일치하고 있다. 즉, 접속부(11)의 폭 방향 X의 길이와 돌출부(24)의 폭이 일치하고 있다. 또한,
(4) 화살표 ZJ로 나타내는 확대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돌기(48)가 연장부(11c)의 측변(11d)에서 폭 방향 X로 돌출한 돌출 길이 L1이, L1≥1.5mm로 되어 있다.
또한, 돌기(48)의 근원 부분(즉 돌기(48)와 연장부(11c)와의 경계 부분)의 형상, 즉, 돌기(48)의 단변(48a)과 연장부(11c)의 측변(11d)이 이루는 각부의 형상은, 곡선 형상, 구체적으로는 원의 일부, 타원의 일부, 타원의 일부, 또는 포물선의 일부로 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 곡선 형상을 원의 일부(즉 원호)로 형성하고, 이 원호의 반경을 R1로 했을 때, R1=0.5mm로 되어 있다. 또, R1는 0.5mm≤R1 내의 임의의 값, 바람직하게는 0.5mm≤R1≤1.0mm 내의 값으로 설정한다.
R1를 이러한 값으로 설정하는 것은, R1<0.5mm이면 FPC 기판(11)을 구부릴 때에 R1의 각부로부터 균열이 생기기 쉽기 때문이며, 1.0mm<R1이면 R1의 각부에서의 굽힘 응력이 지나치게 커지기 때문이다.
돌출부(24)의 좌우의 표면에 검사용 단자(25)가 마련되는 것은 상술한 바와 같지만, 돌기(48)는 그들의 검사용 단자(25)를 덮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돌기(48)를 포함하는 접속부(11a)가 ACF(37)에 의해 돌출부(24) 상에 접착되어 있다. 따라서, 검사용 단자(25) 상까지 연장한 돌기(48)는 검사용 단자(25) 상에서 ACF(37)에 의해 접착되기 때문에, 검사용 단자(25)는 돌기(48)와 ACF(37)에 의해 덮이는 구조로 되어 있다.
다음에, 도 5(c)의 광폭 부분으로서의 접속부(11b)에 대하여 설명한다. 접속부(11b)는, 베이스 필름(45)과, 상기 베이스 필름(45) 상에 마련된 도전 패턴(46)을 갖고 있다. 또, 접속부(11b)에는 보호막(47)은 설치되지 않는다. 따라서, 접속부(11b)에서는 베이스 필름(45)의 표면 및 도전 패턴(46)이 드러나게 되어 있다. 접속부(11b)는,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2 액정 패널(4)의 중계측의 돌출부(35)에 있어서 제 2 액정 패널(4)의 단자(도시하지 않음)에 접속되는 부분이다. 따라서, 접속부(11b)에서는, 도전 패턴(46)(도 5(a) 참조)이 드러나게 되어 있는 것이지만, 이 도전 패턴(46)은, 제 1 FPC 기판(11)과 제 2 액정 패널(4)을 접속한 상태로, 접착재인 ACF(37)에 의해 덮이기 때문에, 수분이나 이물이 부착하는 것에 기인하여 도전 패턴(46)이 부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도 2에 있어서, 접속부(11b)와 ACF(37)를 합친 두께 T3는, 제 2 액정 패널(4) 내의 제 2 투광성 기판(32)의 두께 T4와 일치하고 있다.
다음에, 도 5(a)에 있어서, 접속부(11b)의 도전 패턴(46)이 형성된 영역의 양쪽에는, 협폭 부분인 연장부(11c)의 측변(11d)에서 폭 방향 X의 외측으로 돌출하는 돌기(49)가 마련되어 있다. 이것들의 돌기(49)는, 도전 패턴(46)이 형성된 영역으로부터 베이스 필름(45)을 폭 방향 X로 돌출시키는 것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이들 돌기(49)는 이하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1) 제 1 FPC 기판(11)이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2 액정 패널(4)에 접속된 상태로, 돌기(49)의 연장부(11c) 측의 단변(49a)이 액정 패널(4) 내의 제 1 기판(31)의 돌출부(35)의 돌출 방향의 단변(35c)과 평행하게 되어 있다. 또한,
(2) 돌기(49)의 단변(49a)과 돌출부(35)의 단변(35c)이 평면적으로 보아 위치적으로 일치하고 있다. (또, 돌기(49)의 단변(49a)은 돌출부(35)의 단변(35c)의 내측에 위치하는 상태이더라도 좋다.) 또한,
(3) 돌기(49)의 선단(49b)과 돌출부(35)의 측변(35a, 35b)이 평면적으로 보아 위치적으로 일치하고 있다. 즉, 접속부(11b)의 폭 방향 X의 길이와 돌출부(35)의 폭이 일치하고 있다. 또한,
(4) 화살표 ZJ에서 나타내는 확대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돌기(49)가 연장부(11c)의 측변(11d)으로부터 폭 방향 X로 돌출한 돌출 길이 L2이, L2≥1.5mm으로 되어 있다.
또한, 돌기(49)의 근원 부분(즉 돌기(49)와 연장부(11c)와의 경계 부분)의 형상, 즉, 돌기(49)의 단변(49a)과 연장부(11c)의 측변(11d)이 이루는 각부의 형상은, 곡선 형상, 구체적으로는 원의 일부, 타원의 일부, 타원의 일부, 또는 포물선 의 일부로 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 곡선 형상을 원의 일부(즉 원호)로 형성하고, 이 원호의 반경을 R2로 했을 때, R2=0.5mm으로 되어 있다. 또, R2는 0.5mm≤R2 내의 임의의 값, 바람직하게는 0.5mm≤R2≤1.0mm 내의 값으로 설정한다.
R2를 이러한 값으로 설정하는 것은, 또 한쪽의 접속부(11a)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이 각부 R2로부터 균열이 생기기 쉽게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및 이 각부 R2에 있어서의 굽힘 응력이 지나치게 커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이다.
돌출부(35) 좌우의 표면에 검사용 단자(26)가 마련되는 것은 상술한 바와 같지만, 돌기(49)는 그들의 검사용 단자(26)를 덮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돌기(49)를 포함하는 접속부(11b)가 ACF(37)에 의해 돌출부(35) 상에 접착되어 있다. 따라서, 검사용 단자(26) 상까지 연장한 돌기(49)는 검사용 단자(26) 상에서 ACF(37)에 의해 접착되기 때문에, 검사용 단자(26)는 돌기(49)와 ACF(37)에 의해 덮이는 구조로 되어 있다.
다음에, 도 4에 있어서 제 1 액정 패널(3)의 돌출부(24) 및 제 2 액정 패널(4)의 돌출부(35)의 각각으로부터 연장하는 FPC 기판(11)의 연장부(11c)는,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접속부(11a)와 접속부(11b)를 잇는 중간 부분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이 연장부(11c)의 폭(즉 폭 방향 X의 길이)으로서 연장 방향 Y에 따른 전체 영역의 폭은, 돌기(48)와 연장부(11c)와의 경계 부분에 있어서의 연장부(11c)의 폭과 같게 설정되고 있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연장부(11c)의 측변(11d)는 도 4에 있어서 돌기(48)의 단변(48a)에 대하여 직각 방향으로 연장하고 있고, 그 때문에, 돌기(48)와 연장부(11c)와의 경계 부분에 있어서의 연장부(11c) 의 폭은, 다른 쪽의 돌기(49)와 연장부(11c)와의 경계 부분에 있어서의 연장부(11c)의 폭과 동일하다. 즉, 연장부(11c)의 폭은 연장 방향 Y를 따라 일정하며, 그 값은 돌기(48, 49)가 돌출을 시작하는 부분의 연장부(11c)의 폭과 같다는 것이다. 이것은, FPC 기판(11)의 연장부(11c)에서의 연장 방향 Y에 따른 모든 영역의 폭을 부분적으로 돌출시키지 않고 일률적으로 좁게 규제하고 있다는 것이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액정 패널(3, 4)은 테두리 형상의 프레임(2)에 수용된다. 이 때, 액정 패널(3, 4)을 접속하는 제 1 FPC 기판(11)은, 그 연장부(11c)가 프레임(2)의 테두리의 일부를 감싸도록 구부러진다. 이 경우, 화살표 ZC에서 보아 FPC 기판(11)의 연장부(11c)에 겹치는 부분의 프레임(2)은, 도 3에 부호 2c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그 연장부(11c)를 구부리기 쉽게 하기 위해 두께가 얇게(또는, 굵기가 가늘게) 형성된다. 이러한 두께가 얇은(또는, 굵기가 가는) 부분의 폭이 넓어지면(즉 폭 방향 X의 길이가 길어지면), 프레임(2)의 강도가 약해지고, 그 결과, 전기 광학 장치의 전체의 강도가 약해질 우려가 있다.
이것에 관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FPC 기판(11)의 연장부(11c)에서의 연장 방향 Y에 따른 전체 영역의 폭을, 돌기(48, 49)와 연장부(11c)와의 경계 부분에 있어서의 연장부(11c)의 폭과 같은 폭 Lc로 규정했다. 이에 따라, 연장부(11c)에서의 연장 방향 Y에 따른 모든 영역의 폭은, 부분적으로 넓어지지 않고 일률적으로 좁게 규제된 것으로 된다. 그 결과, 프레임(2)의 연장 방향 Y에 관한 두께를 두껍게(또는 굵기를 굵게) 형성할 수 있는 영역의 폭 방향 X의 길이를 크게 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그 때문에 프레임(2)의 강도를 강하게 할 수 있고, 그 때문에 전기 광학 장치의 강도를 높일 수 있었다.
또한, 돌기(48)의 길이 L1을 L1≥1.5mm으로 하고, 돌기(49)의 길이 L2을 L2≥1.5mm으로 한 것에 의해, 연장부(11c)의 폭 Lc을 충분히 좁게 형성할 수 있어, 프레임(2)의 연장 방향 Y에 관한 두께를 두껍게(또는 굵기를 굵게) 형성할 수 있는 영역의 폭 방향 X의 길이를, 프레임(2)의 강도를 강하게 하는 것에 관해서, 충분히 크게 할 수 있었다.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이해되는 바이지만, 프레임(2)의 연장 방향 Y에 관한 두께를 두껍게(또는 굵기를 굵게) 형성할 수 있는 영역의 폭 방향 X의 길이를 크게 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는, 연장부(11c)의 폭(폭 방향 X의 길이)이 연장 방향 Y에 따른 전체 영역의 중의 어딘가에서 돌출되지 않으면 좋다는 것이다. 이것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연장부(11c)의 폭(폭 방향 X의 길이)이 연장 방향 Y의 전체 영역에 걸쳐, 돌기(48, 49)와 연장부(11c)와의 경계 부분의 연장부(11c)의 폭 Lc에서 일정하게 유지되거나, 또는 그 폭 Lc보다도 좁게 유지되면 좋다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4에 있어서, 제 1 FPC 기판(11)의 연장부(11c)의 연장 방향의 길이 Lb를,
3.0mm≤Lb≤4.0mm
로 하고, 연장부(11c)의 폭 방향 X의 길이 Lc를,
29mm≤Lc≤31mm
로 했다. 이 구성의 제 1 FPC 기판(11)은, 구부러지는 방향(즉 연장 방향 Y)의 길 이가 기판으로 실장되는 영역(즉 폭 방향 X)의 길이에 비해 현저히 줄어들고 있다. 이 기판(11)은 도 1에 화살표 ZE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구부러진 때에 접착되어 있는 기판에 큰 외력을 부가하는 것이 되어, 그 기판을 프레임(2)으로부터 벗기거나, 그 기판을 손상할 우려가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는, 제 1 FPC 기판(11)의 접속부(11a, 11b)와 연장부(11c) 사이의 형상을 연구한 것에 의해, 제 1 FPC 기판(11)의 연장부(11c)를 구부릴 때에 액정 패널(3, 4)의 기판 돌출부(24, 35)에 발생하는 응력을 저감했다. 또한, 제 1 FPC 기판(11)의 접속부(11a)에 돌기(48, 49)를 마련하여 이들을 기판 돌출부(24, 35)에 접착시킴으로써, 기판 돌출부(24, 35)의 기계적 강도를 높였다. 이들의 협동 작용에 의해, 연장부(11c)의 연장 방향의 길이가 연장부(11c)의 폭에 비해 짧은 형상의 제 1 FPC 기판(11)에 대하여 충분한 기계적 강도를 부여할 수 있었다.
발명자의 실험에 의하면, 치수 조건이 0.10Lc≤Lb≤0.15Lc인 것 같은, 폭이 넓고 연장 길이가 짧은 제 1 FPC 기판(11)을 액정 패널의 기판에 접착한 경우에, 그 기판에 충분한 강도를 부여할 수 있어, 그 기판을 파손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다음에, 도 1에 나타낸 구성의 액정 표시 장치(1)에 있어서는, 제 1 FPC 기판(11)의 연장부(11c)를 화살표 ZE와 같이 구부렸을 때에, 그 제 1 FPC 기판(11)이 본래의 형상, 즉 일직선 형상으로 회복하고자 하는 힘이 발생한다. 종래의 액정 표시 장치에서는, 연장부의 폭이 넓게 형성되어 있었다. 예컨대, 연장부의 폭이 액정 패널을 형성하는 기판과 대략 동일한 폭으로 형성되어 있었다. 이 구성에서는, 연장부를 구부렸을 때에 그 연장부가 본래의 형상으로 회복하고자 하는 힘이 강해진다. 이렇게 되면, 액정 패널이 프레임으로부터 벗겨져 떠 버릴 우려가 있다. 또한, 투광성 기판의 돌출부에 큰 응력이 발생하여 패널 기판이 파손할 우려가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 1 액정 패널(3) 및 제 2 액정 패널(4)이 박형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종래의 두께형의 액정 패널에 비해 패널 자체의 강도가 약해지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있어서 기판의 돌출부에 큰 응력이 발생하면, 기판이 파손할 가능성이 높게 된다.
이것에 관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도 4에 있어서, 제 1 FPC 기판(11)과 제 1 액정 패널(3)의 접속 부분에 관해서, 접속부(11a)의 돌기(48)의 연장부(11c) 측의 단변(48a)을 돌출부(24)의 단변(24c)에 대하여 평행하게 하고, 또한 돌기(48)의 단변(48a)과 돌출부(24)의 단변(24c)을 평면적으로 보아 위치적으로 일치시키는 구성으로 했다. 제 1 FPC 기판(11)과 제 2 액정 패널(4)과의 접속 부분에 관해서도 돌기(49)와 돌출부(35)와의 관계를 동일한 구성으로 했다. 이것들의 구성에 의해, 연장부(11c)는 접속부(11a, 11b)에 비해 폭(폭 방향 X의 길이)이 좁게 되기 때문에, 제 1 FPC 기판(11)이 구부러진 때에 그 FPC 기판(11)이 본래의 형상으로 회복하고자 하는 힘을 약하게 할 수 있다. 그 결과, 액정 패널(3, 4)이 프레임(2)(도 1 참조)으로부터 벗겨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돌출부(24, 35)에 발생하는 응력을 약하게 할 수 있기 때문에, 본 실시예와 같이 박형의 액정 패널이더라 도, 제 1 FPC 기판(11)의 탄성력에 기인하여 돌출부(24, 35)가 파손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본 실시예에 있어서, 돌기(48, 49)의 단변(48a, 49a)은 기판의 돌출부(24, 35)의 단변(24c, 35c)과 위치적으로 일치하고 있다. 그 때문에, 돌기(48, 49)의 근원의 각부가 기판의 돌출부(24, 35)의 단변(24c, 35c)에 대략 일치한다. 이 구성에서는, 각부에 응력이 발생하면, 제 1 FPC 기판(11)이 그 각부에서 파단할 우려가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돌기(48, 49)의 근원의 형상을 원호 형상의 곡선 형상으로 하고, 그 곡선 형상의 반경 R1, R2를 R1, R2=0.5mm으로 했다. 이렇게 하면, 제 1 FPC 기판(11)의 연장부(11c)에서의 굴곡성을 저해하지 않고, 제 1 FPC 기판(11)이 각부에서 파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돌기(48, 49)의 선단(48b, 49b)과 기판 돌출부(24, 35)의 측변(24a, 24b, 35a, 35b)이, 각각, 평면적으로 보아 위치적으로 일치하는 구성으로 했다. 또한, 도 4에 있어서 화살표 ZJ에서 확대하여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돌기(48, 49)의 돌출 길이 L1, L2을 L1, L2≥1.5mm으로 했다. 이렇게 하면, 기판 돌출부(24, 35)에 겹치는 접속부(11a, 11b)의 면적이 돌기(48, 49)만큼 넓어진다. 이렇게 해서 기판 돌출부(24, 35)에 평면적으로 겹친 돌기(48, 49)에 의해 기판 돌출부(24, 35)가 보강되어, 예컨대 충격이나 진동과 같은 외력에 의해 제 1 투광성 기판(21, 31)이 파손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L1, L2≥1.5mm라고 규정한 것은, 발명자의 경험에 있어서, L1<1.5mm이면 기판의 돌출부에 충분한 내충격 강도 및 내 굽힘 강도를 부여할 수 없고, 돌출부에 손상이 발생하는 일이 있었기 때문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도 2에 있어서, 접속부(11a)와 ACF(37)를 합친 두께 T1과, 제 1 액정 패널(3)의 제 2 투광성 기판(22)의 두께 T2를 일치시키고 있다. 마찬가지로, 접속부(11b)와 ACF(37)를 합친 두께 T3과, 제 2 액정 패널(4)의 제 2 투광성 기판(32)의 두께 T4를 일치시키고 있다. 이들 구성에 의하면, 기판 돌출부(24, 35)와 외측 테두리(8a, 8b) 사이의 공간을 과부족없이, 메울 수 있기 때문에, 기판 돌출부(24, 35)가 진동이나 충격에 의해 움직이는 것에 의해 제 1 액정 패널(3) 및 제 2 액정 패널(4)이 파손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도 3에 있어서, 제 1 액정 패널(3)측의 검사용 단자(25) 상까지 연장한 돌기(48)가 검사용 단자(25) 상에서 ACF(37)에 의해 접착되어, 검사용 단자(25)가 돌기(48)와 ACF(37)에 의해 덮이고 있다. 또한, 제 2 액정 패널(4)측의 검사용 단자(26) 상까지 연장한 돌기(49)가 검사용 단자(26) 상에서 ACF(37)에 의해 접착되고, 검사용 단자(26)가 돌기(49)와 ACF(37)에 의해 덮이고 있다. 검사용 단자(25, 26)는 제품의 완성 후에는 사용되지 않기 때문에, 표시 검사의 종료 후에 절연 처리된다. 이 절연 처리는, 종래, 실리콘 등과 같은 수지를 검사용 단자(25, 26)를 덮는 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행하여지고 있었다. 그러나, 실리콘 등의 수지는 얇게 형성하기 어려운 재료이며, 본 실시예와 같은 박형의 액정 패널(3, 4)에 적용하는 것이 어려웠다. 또한, 실리콘 등의 수지를 도포하는 공정을 마련할 필요가 있어 제조 비용이 상승하는 일이 있었다.
본 실시예에서는, 검사용 단자(25, 26)를 돌기(48, 49)와 ACF(37)에 의해 덮 는 구성으로 했기 때문에, 실리콘에 비해 얇게 형성할 수 있어, 박형의 액정 패널(3, 4)에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실리콘 등의 수지를 도포하는 공정을 마련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제조 비용을 낮출 수 있다.
(전기 광학 장치의 실시예 2)
다음에, 본 발명에 따른 전기 광학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설명도 액정 표시 장치를 예시하여 실행하는 것으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 광학 장치의 다른 실시예인 액정 표시 장치(51)를 분해 상태로 나타내고 있다. 도 7은, 도 6의 화살표 ZB 쪽에서 액정 패널을 평면적으로 본 도면이다. 본 실시예가 실시예 1과 다른 점은 다음 점이다. 실시예 1에서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액정 패널(3)과 제 2 액정 패널(4)의 2개의 액정 패널을 구비하고, 양면 표시가 가능한 액정 표시 장치(1)를 구성하고 있다. 이것에 대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액정 패널(53)을 이용하여 한 면에서의 표시가 가능한 액정 표시 장치(51)를 구성하고 있다. 이하, 도 6의 액정 표시 장치(51)를, 도 1의 액정 표시 장치(1)와 다른 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또, 도 1에 나타내는 요소와 도 6에 나타내는 요소가 같은 것인 경우는 그것들을 같은 부호에 의해 나타내는 것으로 한다.
도 6에 있어서, 액정 표시 장치(51)는, 지지 부재인 프레임(52)과, 그 프레임(52)에 의해 지지되는 전기 광학 패널로서의 액정 패널(53)과, 그들의 프레 임(52) 및 액정 패널(53)을 덮는 상하 한 쌍의 외측 테두리(58)를 갖는다. 액정 패널(53)은, 검사용 단자의 위치를 제외하고, 도 1에 나타낸 제 2 액정 패널(4)과 같은 구성으로 할 수 있어, 본 실시예에서는 그와 같은 구성인 것으로 한다.
도 6에 있어서, 액정 패널(53)은 제 1 투광성 기판(31)과 제 2 투광성 기판(32)을 갖는다. 제 1 투광성 기판(31)은, 제 2 투광성 기판(32)의 한쪽의 외측으로 돌출하는 돌출부(34)를 갖고 있다. 이 돌출부(34)의 제 2 투광성 기판(32)쪽의 표면에는,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검사용 단자(55)가 마련되어 있다. 이 검사용 단자(55)는, 돌출부(34)의 한쪽의 측변(34a)의 근방, 및 다른 쪽의 측변(34b)의 근방에 각각 하나씩 마련되어 있다.
액정 패널(53)의 제 1 투광성 기판(31)의 돌출부(34)의 단변에는, 가요성 배선 기판인 FPC 기판(62)이, 예컨대 ACF(37)을 이용하여 접속되어 있다. 이 FPC 기판(62)은, 돌출부(34)와의 접속부를 제외하고, 도 1의 제 2 FPC 기판(12)과 같은 구성이다.
도 6에 있어서, 프레임(52)은, 액정 패널의 수용부가 1개소인 것을 제외하고, 도 1의 프레임(2)과 같은 구조다. 즉, 프레임(52)은,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패널 수용부(42)와, 도광체 수용부(43)와, LED 지지부(44)를 갖는다. 패널 수용부(42)는 화살표 ZB가 그려진 쪽인 프레임(52)의 제 2 면(52b) 쪽에 마련되고, 그 패널 수용부(42)에 액정 패널(53)이 수용된다.
한 쌍의 외측 테두리(58)는, 프레임(52)을 사이에 두고 액정 패널(53)의 반 대쪽(화살표 ZA가 그려진 쪽)에 마련된 제 1 외측 테두리(58a)와, 액정 패널(53)쪽(화살표 ZB가 그려진 쪽)에 마련된 제 2 외측 테두리(58b)를 갖는다. 제 1 외측 테두리(58a) 및 제 2 외측 테두리(58b)는, 예컨대 스테인레스 등과 같은 금속을 이용하여 형성되어 있다. 제 1 외측 테두리(58a)는, 도 1의 제 1 외측 테두리(8a)에서 개구를 없앤 구조다. 도 6의 제 2 외측 테두리(58b)는, 도 1의 제 2 외측 테두리(8b)와 같은 구조로 할 수 있다.
도 6의 액정 표시 장치(51)를 조립할 때는, 우선, LED(6) 및 도광체(7)를 갖는 조명 장치(5), 및 액정 패널(53)을 프레임(52)에 장착한다. 그 장착에 있어서는, 도광체(7)를 도광체 수용부(43)에 수용한 뒤에, 패널 수용부(42)에 액정 패널(53)을 수용한다. 이 때, 점착 시트(15b)에 의해 도광체(7)와 프레임(52)에 액정 패널(53)을 점착한다.
다음에, FPC 기판(62)이 화살표 ZF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뒷편으로 구부러지고, LED(6)를 실장한 LED 실장 영역(13)이 프레임(52)의 LED 지지부(44)에 대향하도록 배치된다. 또한, 입력용 단자(14)가 마련된 부분이 화살표 ZM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측방으로부터 중앙 부분으로 구부러지고, 입력용 단자(14)가 프레임(52)의 제 1 면(52a) 쪽에 배치된다. 이상과 같이, 프레임(52)에 액정 패널(53)을 수용한 상태로, 프레임(52)을 사이에 두고 액정 패널(53)의 반대측에, 제 2 외측 테두리(58b)를 장착한다. 그리고 액정 패널(53)측에 제 1 외측 테두리(58a)를 장착한다. 이상과 같이 하여, 액정 표시 장치(51)가 완성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FPC 기판(62)은,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액정 패널(53)의 돌출부(34)에 평면적으로 겹치는 광폭 부분(왼쪽 아래를 향하는 사선으로 나타내는 부분)인 접속부(62a)와, 돌출부(34)로부터 외측으로 연장하는 협폭 부분(오른쪽 아래를 향하는 사선으로 나타내는 부분)인 연장부(62b)를 갖고 있다.
접속부(62a)는, 제 1 기판(31)의 돌출부(34)에 있어서 액정 패널(53)의 단자(도시하지 않음)에 접속되는 부분이다. 이 접속부(62a)의 구성은, 도 4에 나타낸 제 1 FPC 기판(11)의 접속부(11a)와 같다고 할 수 있다.
도 7에 있어서, 접속부(62a)의 도전 패턴(46)이 형성된 영역의 양쪽에는 돌기(68)가 마련되어 있다. 이것들의 돌기(68)는, 이하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1) FPC 기판(62)이 액정 패널(53)에 접속된 상태에서, 연장부(62b) 측의 단변(68a)이 돌출부(34)의 돌출 방향의 단변(34c)과 평행하게 되어 있다. 또한,
(2) 돌기(68)의 단변(68a)과 돌출부(34)의 단변(34c)이 평면적으로 보아 위치적으로 일치하고 있다.(또, 돌기(68)의 단변(68a)은 돌출부(34)의 단변(34c)의 내측에 위치하는 상태이더라도 좋다.) 또한,
(3) 돌기(68)의 선단(68b)와 돌출부(34)의 측변(34a, 34b)이 평면적으로 보아 위치적으로 일치하고 있다. 즉, 접속부(62a)의 폭 방향 X의 길이와 돌출부(34)의 폭이 일치하고 있다. 또한,
(4) 화살표 ZK로 나타내는 확대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돌기(68)가 연장부(62b)의 측변(62d)에서 폭 방향 X로 돌출한 돌출 길이 L3이, L3≥1.5mm으로 되어 있다.
또한, 돌기(68)는, 기판 돌출부(34)의 표면에 마련된 검사용 단자(55)를 덮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돌기(68)를 포함하는 접속부(62a)가 ACF(37)에 의해 돌출부(34) 상에 접착되어 있다. 따라서, 검사용 단자(55) 상까지 연장한 돌기(68)는 검사용 단자(55) 상에서 ACF(37)에 의해 접착되기 때문에, 검사용 단자(55)는 돌기(68)와 ACF(37)에 의해 덮이는 구조로 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도, FPC 기판(62)이 액정 패널(53)에 접속된 상태로, 돌기(68)의 연장부(62b) 쪽의 단변(68a)이 돌출부(34)의 단변(34c)과 평행하며, 또한 돌기(68)의 단변(68a)과 돌출부(34)의 단변(34c)이 평면적으로 보아 위치적으로 일치하고 있는 구성으로 했다. 이렇게 하면, 연장부(62b)는 접속부(62a)에 비해 폭이 좁게 되기 때문에, FPC 기판(62)을 구부릴 때에 그 FPC 기판(62)이 본래의 형상으로 회복하고자 하는 힘을 약하게 할 수 있다. 그 결과, 액정 패널(53)이 프레임(52)(도 6 참조)으로부터 벗겨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돌출부(34)에 발생하는 응력을 약하게 할 수 있기 때문에, FPC 기판(62)의 탄성력에 기인하여 돌출부(34)가 파손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돌기(68)의 선단(68b)과 돌출부(34)의 측변(34a, 34b)이 평면적으로 보아 위치적으로 일치하는 구성으로 했다. 또한, 화살표 ZK로 확대하여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연장부(62)의 측변(62d)으로부터의 돌기(68)가 돌출 길이 L3을
L3≥1.5mm
으로 했다. 이렇게 하면, 돌출부(34)에 겹치는 접속부(62a)의 면적이 돌기(68)만큼 넓어진다. 이렇게 해서 돌출부(34)에 평면적으로 겹친 돌기(68)에 의해 돌출부(34)가 보강되고, 예컨대 충격이나 진동과 같은 외력에 의해 제 1 투광성 기판(31)은 돌출부(34)가 파손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 밖의 실시예)
이상,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그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청구의 범위에 기재한 발명의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로 개변할 수 있다.
예컨대, 도 4에 나타낸 전기 광학 장치의 실시예 1에서는, FPC 기판(11)의 돌기(48)의 단변(48a)과 돌출부(24)의 단변(24c)이 위치적으로 일치하고 있는 구성으로 했다. 그러나, 돌기(48)의 단변(48a)의 위치는, 돌출부(24)의 단변(24c)보다도 내측(즉, 제 2 투광성 기판(22)측)으로 들어간 위치로 할 수도 있다. 이 구성의 경우에도, FPC 기판(11)을 구부릴 때에 발생하는 응력을 작게 억제할 수 있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도 7에 나타낸 전기 광학 장치의 실시예 2에서는, FPC 기판(62)의 돌기(68)는, 돌출부(34)의 단변(34c)에 따른 방향으로 곧게 돌출시킨 형상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돌기(68)를 포함하는 접속부(62a)는, 돌출부(34)를 보강하는 것 같은 형상이기만 하면 다른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예컨대,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돌출부(34) 중, 구동용 IC(36)가 마련된 영역 이외의 영역을 덮는 형상 (즉, 평면적으로 보아, 구동용 IC(36)의 주위에 대략 ㄷ자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이렇게 하면, 돌출부(34)를 보다 확실히 보강할 수 있다.
또한, 도 8에서는, 검사용 단자(55)의 위치가 도 7과 다르고, 제 2 투광성 기판(32)의 단변에 가까운 위치(즉, 도 7보다도 내측으로 밀린 위치)에 마련되어 있다. 이 경우에도 접속부(62a)를, 구동용 IC(36)가 마련된 영역 이외의 영역을 덮는 형상으로 형성하면, 검사용 단자(55)를 확실히 보호할 수 있다.
또한, 도 5에서는, FPC 기판(11)의 광폭 부분인 접속부(11a)에서, 돌기(48)가 연장부(11c)의 양쪽으로 각각 돌출한 구성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돌기(48)는 연장부(11c)의 한쪽으로만 돌출하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도, 액정 패널이 프레임으로부터 벗겨지는 것을 방지하는 것, 돌출부를 보강하여 액정 패널의 파손을 방지하는 것과 같은 상기의 각 실시예와 동일한 효과를 연주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액정 표시 장치 이외의 전기 광학 장치, 예컨대, 유기 EL 장치, 무기 EL 장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PDP:Plasma Display), 전기영동 디스플레이(EPD:Electrophoretic Display), 필드 에미션 디스플레이 장치(FED:Field Emission Display: 전계 방출 표시 장치)에도 적용할 수 있다.
(전자기기의 실시예)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기를 실시예를 들어 설명한다. 또, 이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일례를 나타내는 것이며, 본 발명은 이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 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기의 일 실시예를 블럭도로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10은 도 9의 블럭도로 나타내는 전자기기의 일례인 폴더형 휴대전화기를 나타내고 있다. 도 9에 나타내는 전자기기는, 액정 표시 장치(101)와, 이것을 제어하는 제어 회로(102)를 갖는다. 제어 회로(102)는, 표시 정보 출력원(106), 표시 정보 처리 회로(107), 전원 회로(108) 및 타이밍 생성기(109)를 갖는다. 그리고, 액정 표시 장치(101)는 제 1 액정 패널(103a), 제 2 액정 패널(103b) 및 구동 회로(104)를 갖는다.
표시 정보 출력원(106)은, ROM(Read Only Memory)나 RAM(Random Access Memory) 등과 같은 메모리나, 각종 디스크 등과 같은 스토리지 유닛이나, 디지털 화상 신호를 동조 출력하는 동조 회로 등을 구비하고, 타이밍 생성기(109)에 의해 생성되는 각종 클럭 신호에 근거하여, 소정 포맷의 화상 신호 등과 같은 표시 정보를 표시 정보 처리 회로(107)에 공급한다.
다음에, 표시 정보 처리 회로(107)는, 증폭·반전 회로나, 로테이션 회로나, 감마 보정 회로나, 클램프 회로 등과 같은 주지의 각종 회로를 구비하고, 입력한 표시 정보의 처리를 실행하여, 화상 신호를 클럭 신호 CLK와 함께 구동 회로(104)로 공급한다. 여기서, 구동 회로(104)는, 주사선 구동 회로나 데이터선 구동 회로와 함께, 검사 회로 등을 총칭한 것이다. 또한, 전원 회로(108)는, 상기의 각 구성 요소에 소정의 전원 전압을 공급한다.
도 9의 블럭도에 나타낸 전자기기는, 예컨대, 도 10(a) 및 도 10(b)에 나타 낸 폴더형의 휴대전화기(110)로서 구성된다. 이 휴대전화기(110)에서는, 제 1 액정 패널(103a) 및 제 2 액정 패널(103b)을 구비한 표시체(113)가 힌지부(115)를 거쳐서 조작 본체(114)에 개폐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제 1 액정 패널(103a)은, 표시체(113)를 열었을 때에 표시를 행하는 메인 표시부(116)로서, 표시체(113)의 내측에 마련된다. 한편, 제 2 액정 패널(103b)은, 표시체(113)를 조작 본체(114)에 겹쳐 포갠 때에 표시를 행하는 서브 표시부(117)로서, 표시체(113)의 외측에 마련된다.
여기서, 메인 표시부(116) 및 서브 표시부(117)의 어느 것에 표시를 할지는, 휴대전화기(110)의 접기 조작으로 전환된다. 이 때문에,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 전자기기에는, 휴대전화기(110)의 접기 조작을 검출하는 개폐 검출 회로(100)가 포함된다. 이 개폐 검출 회로(100)는 그 검출 결과를 액정 표시 장치(101)에 출력하게 되어 있다.
도 9의 액정 표시 장치(101)는, 예컨대, 도 1에 나타낸 액정 표시 장치(1)를 이용하여 구성할 수 있다. 액정 표시 장치(1)에 있어서는, 제 1 FPC 기판(11)의 연장부(11c)의 폭을 접속부(11a, 11b)에 비해 좁게 하여 돌출부(24, 35)에 발생하는 응력을 약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제 1 FPC 기판(11)의 돌기(48)에 의해 제 1 액정 패널(3)의 돌출부(24)를 보강할 수 있어, 돌기(49)에 의해 제 2 액정 패널(4)의 돌출부(35)를 보강할 수 있다. 그 결과, 돌출부(24, 35)가 파손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이 액정 표시 장치(1)를 이용한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기에 있어서도, 기판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어, 충분한 강도를 갖을 수 있다.
(다른 실시예)
이상,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의 전자기기를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그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청구의 범위에 기재한 발명의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로 개변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은, 휴대전화기에 한정되지 않고, 퍼스널 컴퓨터, 액정텔레비젼, 뷰파인더형 또는 모니터 직시형의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 카 내비게이션 장치, 호출기, 전자수첩, 전자계산기, 워드 프로세서, 워크스테이션, 화상 전화 장치, POS 단말, 디지털 스틸카메라, 전자책 등과 같은 각종 전자기기에 적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 광학 장치의 일 실시예인 액정 표시 장치를 분해 상태로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나타내는 액정 표시 장치의 단면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도 2의 액정 표시 장치를 화살표 ZC 측에서 나타내는 측면도,
도 4는 도 1의 화살표 ZD로 나타내는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평면도,
도 5는 배선 기판의 일 실시예인 제 1 FPC 기판의 상세를 도시하는 도면이고, (a)는 평면도, (b), (c), (d)는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 광학 장치의 다른 실시예인 액정 표시 장치를 분해 상태로 나타내는 사시도,
도 7은 도 6의 액정 패널을 화살표 ZB 측에서 나타내는 평면도,
도 8은 도 7의 FPC 기판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기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럭도,
도 10은 도 9에 나타내는 전자기기의 외관을 도시하는 도면, (a)는 전자기기가 닫힌 상태, (b)는 전자기기가 열린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51 : 액정 표시 장치(전기 광학 장치) 2, 52 : 프레임
2a : 프레임의 제 1 면 2b : 프레임의 제 2 면
3 : 제 1 액정 패널(전기 광학 패널)
4 : 제 2 액정 패널(전기 광학 패널) 5 : 조명 장치
6 : LED 7 : 도광체
8, 58 : 외측 테두리
11 : 제 1 FPC 기판(가요성 배선 기판)
11a, 11b, 12a, 62a : 접속부 11c, 12b, 62b : 연장부
12 : 제 2 FPC 기판(가요성 배선 기판) 13 : LED 실장 영역
14 : 입력용 단자 15a, 15b : 점착 시트
21, 31 : 제 1 투광성 기판(제 1 기판)
22, 32 : 제 2 투광성 기판(제 2 기판) 23a, 23b, 33a, 33b : 편광판
24, 34, 35 : 기판의 돌출부 24a, 24b, 35a, 35b : 측변
24c, 35c : 단변 25, 26, 55 : 검사용 단자
36 : 구동용 IC 37 : ACF
41 : 제 1 패널 수용부 42 : 제 2 패널 수용부
43 : 도광체 수용부 44 : LED 지지부
45 : 베이스 필름(가요성 기재) 46 : 도전 패턴
47 : 보호막 48, 49, 68 : 돌기
48a, 49a, 68a : 돌기의 단변 48b, 49b, 68b : 돌기의 선단
53 : 액정 패널
62 : FPC 기판(가요성 배선 기판) 101 : 액정 장치
102 : 제어 회로 103a : 제 1 액정 패널
103b : 제 2 액정 패널 104 : 구동 회로
110 : 휴대전화기(전자기기) 116 : 메인 표시부
117 : 서브 표시부 V1, V2 : 표시 영역

Claims (10)

  1. 제 1 기판과 제 2 기판을 접합하여 이루어지는 전기 광학 패널과, 상기 전기 광학 패널에 접속된 가요성의 배선 기판을 갖는 전기 광학 장치로서,
    상기 제 1 기판은 상기 제 2 기판으로부터 돌출하는 돌출부를 갖고,
    상기 배선 기판은, 가요성을 갖는 기재와, 상기 기재 상에 마련되는 도전 패턴을 갖고,
    상기 배선 기판은 상기 제 1 기판의 돌출부에 접착재를 이용하여 접속되며,
    상기 배선 기판은, 상기 돌출부에 접착된 광폭 부분과, 상기 광폭 부분에 연속해 있고, 또한 상기 돌출부의 돌출 방향의 단변(端邊)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하는 협폭 부분을 갖고,
    상기 광폭 부분의 상기 협폭 부분쪽의 단변은 상기 돌출부의 돌출 방향의 단변의 위치와 일치하거나 또는 상기 돌출부의 돌출 방향의 단변의 위치보다 내측에 있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광학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협폭 부분의 연장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에 관해서 상기 광폭 부분이 상기 협폭 부분의 측변으로부터 돌출하는 길이를 La로 했을 때,
    La ≥ 1.5mm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광학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폭 부분은 그 선단(先端)이 상기 제 1 기판의 돌출부의 측변과 일치할 때까지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광학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폭 부분은 상기 돌출부에 접착되어 상기 돌출부의 내충격 강도 및 내굽힘 강도를 높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광학 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배선 기판의 협폭 부분의 연장 방향의 길이를 Lb로 하고, 상기 협폭 부분의 연장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의 길이를 Lc로 했을 때,
    Lb < Lc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광학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선 기판의 협폭 부분에 있어서의 연장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의 폭으로서 상기 연장 방향에 따른 전체 영역의 폭은, 상기 광폭 부분과 상기 협폭 부분의 경계 부분에 있어서의 상기 협폭 부분의 폭과 동일하거나 또는 그것보다 좁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광학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선 기판에 있어서의 상기 광폭 부분과 상기 협폭 부분의 경계의 각부(角部) 형상은 곡선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광학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기판의 돌출부에는 상기 전기 광학 패널의 검사에 이용하는 검사용 단자가 마련되고, 상기 검사용 단자는 상기 배선 기판의 광폭 부분 및 상기 접착재에 의해 덮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광학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선 기판은, 상기 제 1 기판의 돌출부 중의 상기 제 2 기판쪽의 표면에 접속되고, 상기 배선 기판과 상기 접착재를 합친 두께와 상기 제 2 기판의 두께가 일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광학 장치.
  10. 청구항 1에 기재된 전기 광학 장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KR1020080000696A 2007-01-05 2008-01-03 전기 광학 장치 및 전자기기 KR10091751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7-00000423 2007-01-05
JP2007000423A JP4360405B2 (ja) 2007-01-05 2007-01-05 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4733A KR20080064733A (ko) 2008-07-09
KR100917516B1 true KR100917516B1 (ko) 2009-09-16

Family

ID=395939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0696A KR100917516B1 (ko) 2007-01-05 2008-01-03 전기 광학 장치 및 전자기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710528B2 (ko)
JP (1) JP4360405B2 (ko)
KR (1) KR100917516B1 (ko)
CN (1) CN101216618B (ko)
TW (1) TWI49715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511965A (ja) * 2008-02-08 2011-04-14 レイセオン カンパニー 電気泳動光変調器
KR101234443B1 (ko) * 2008-12-15 2013-02-1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KR101491163B1 (ko) 2008-12-16 2015-02-06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US7894123B2 (en) * 2009-02-27 2011-02-22 Raytheon Company Multilayer light modulator
CN104597651B (zh) 2009-05-02 2017-12-05 株式会社半导体能源研究所 显示设备
JP5610465B2 (ja) 2010-02-18 2014-10-22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液晶表示装置
DE102010023891A1 (de) * 2010-06-11 2011-12-15 Siemens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und Einrichtung zum Erkennen einer fehlerhaften Darstellung von Bilddaten auf einer Anzeigeeinheit
JP2012181445A (ja) 2011-03-02 2012-09-20 Seiko Epson Corp 電気装置
JP5796309B2 (ja) * 2011-03-15 2015-10-21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KR101861628B1 (ko) 2011-09-16 2018-05-2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US20130083080A1 (en) 2011-09-30 2013-04-04 Apple Inc. Optical system and method to mimic zero-border display
JP6071215B2 (ja) * 2012-02-24 2017-02-01 キヤノン株式会社 光学ファインダ及びそれを用いた光学機器
KR101947165B1 (ko) * 2012-10-16 2019-02-1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와 이의 제조 방법 및 회로 필름의 회전 장치
JP2015163941A (ja) * 2014-01-29 2015-09-10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電気光学装置、電子機器
KR101570617B1 (ko) * 2014-09-05 2015-11-2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연성회로기판 및 그를 구비하는 터치패널
CN105242427B (zh) * 2015-10-27 2019-06-11 南京中电熊猫液晶显示科技有限公司 Cof柔性电路板
KR102659601B1 (ko) 2016-06-28 2024-04-2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535363B1 (ko) * 2016-07-11 2023-05-2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US10321562B2 (en) * 2016-07-22 2019-06-11 Lg Innotek Co., Ltd Flexible circuit board, COF module and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the same
CN110574095A (zh) * 2017-04-19 2019-12-13 Agc株式会社 罩构件和显示装置
CN107134538A (zh) * 2017-06-29 2017-09-05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显示基板、制作方法及显示装置
CN107123369B (zh) * 2017-07-11 2019-07-30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双面显示结构及其制造平台和制造方法、双面显示装置
JP6882232B2 (ja) 2018-06-28 2021-06-02 パナソニック液晶ディスプレイ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CN109375436B (zh) 2018-10-31 2020-09-08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显示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01216A (ja) 2005-01-18 2006-08-03 Seiko Epson Corp 電気光学装置、電気光学装置の製造方法、電子機器
JP2006301135A (ja) 2005-04-19 2006-11-02 Sharp Corp 液晶表示素子及びフレキシブルプリント配線板
JP2006349788A (ja) 2005-06-14 2006-12-28 Sanyo Epson Imaging Devices Corp 電気光学装置、電気光学装置の製造方法、及び電子機器
KR100738747B1 (ko) 2004-10-25 2007-07-12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실장 구조체, 전기 광학 장치 및 전자기기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65683A (ja) 1986-12-26 1988-07-08 小俣シヤツタ−工業株式会社 シ−トシヤツタ−の捲込み昇降装置
JPH06265853A (ja) 1993-03-10 1994-09-22 Seiko Epson Corp 駆動回路内蔵型tft液晶パネルの実装構造
JP2000066204A (ja) 1998-08-25 2000-03-03 Citizen Watch Co Ltd 液晶表示装置
US6587177B2 (en) * 2000-02-02 2003-07-01 Casio Computer Co., Ltd. Connection structure of display device with a plurality of IC chips mounted thereon and wiring board
JP3840870B2 (ja) 2000-03-03 2006-11-01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電気光学装置、電子機器、および電気光学装置の製造方法
JP2003131250A (ja) 2001-10-26 2003-05-08 Nanox Corp 液晶表示装置とそれを用いた携帯用表示装置
JPWO2004029918A1 (ja) 2002-09-25 2006-01-26 シチズン時計株式会社 表示装置
JP2004235321A (ja) 2003-01-29 2004-08-19 Seiko Epson Corp フレキシブル基板、フレキシブル基板の製造方法、および電気光学装置、ならびに電子機器
JP4367222B2 (ja) 2004-05-07 2009-11-18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フレキシブルシートの止着構造
US7095476B2 (en) 2004-10-15 2006-08-22 Wintek Corporation Liquid crystal module
JP2006154324A (ja) 2004-11-30 2006-06-15 Sanyo Electric Co Ltd 表示装置
JP2006184383A (ja) 2004-12-27 2006-07-13 Seiko Epson Corp 電気光学装置および電子機器
JP2006234975A (ja) 2005-02-22 2006-09-07 Seiko Epson Corp 位置合わせ用パターン、表示デバイス、表示デバイスの組立て方法、表示デバイスの位置合わせ検査方法
JP2006243428A (ja) 2005-03-04 2006-09-14 Seiko Epson Corp 表示装置および表示装置の製造方法、液晶表示装置および液晶表示装置の製造方法、電子機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8747B1 (ko) 2004-10-25 2007-07-12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실장 구조체, 전기 광학 장치 및 전자기기
JP2006201216A (ja) 2005-01-18 2006-08-03 Seiko Epson Corp 電気光学装置、電気光学装置の製造方法、電子機器
JP2006301135A (ja) 2005-04-19 2006-11-02 Sharp Corp 液晶表示素子及びフレキシブルプリント配線板
JP2006349788A (ja) 2005-06-14 2006-12-28 Sanyo Epson Imaging Devices Corp 電気光学装置、電気光学装置の製造方法、及び電子機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216618B (zh) 2011-10-12
KR20080064733A (ko) 2008-07-09
US7710528B2 (en) 2010-05-04
TWI497154B (zh) 2015-08-21
CN101216618A (zh) 2008-07-09
US20080165316A1 (en) 2008-07-10
TW200844545A (en) 2008-11-16
JP2008165131A (ja) 2008-07-17
JP4360405B2 (ja) 2009-1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17516B1 (ko) 전기 광학 장치 및 전자기기
US7580103B2 (en) Electro-optical device, method of mounting wiring substrate, and electronic apparatus
US6954184B2 (en) Electro-optical panel, electro-optical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US7573541B2 (en) Liquid crystal display having particular ground structure
US20030218701A1 (en) Electro-optical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JP3533563B2 (ja) 液晶表示装置
KR20030074182A (ko) 조명 장치, 액정 장치 및 전자 기기
US20070171215A1 (en) Display device
CN108089360B (zh) 液晶显示装置
JP2006284978A (ja) 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JP4297021B2 (ja) 電気光学装置、照明装置及び電子機器
JP2006184383A (ja) 電気光学装置および電子機器
JP4701904B2 (ja) 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KR100407291B1 (ko) 표시모듈
JP4470793B2 (ja) 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JP2006171388A (ja) 電気光学装置および電子機器
JP2009031618A (ja) 液晶装置及び電子機器
JP2008165132A (ja) 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JP4572323B2 (ja) 電気光学装置および電子機器
KR101137881B1 (ko) 액정표시장치
JP2003257230A (ja) 光源装置、照明装置、液晶装置及び電子機器
JP2006140078A (ja) 照明装置、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JP2006030829A (ja) 電気光学装置および電子機器
JP2004094099A (ja) 導光体、照明装置、電気光学装置、電子機器、及び導光体の製造方法
JP2006276584A (ja) 電気光学装置、配線基板の実装方法及び電子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31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