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15569B1 - 공기 주입 타이어 - Google Patents

공기 주입 타이어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15569B1
KR100915569B1 KR1020097000507A KR20097000507A KR100915569B1 KR 100915569 B1 KR100915569 B1 KR 100915569B1 KR 1020097000507 A KR1020097000507 A KR 1020097000507A KR 20097000507 A KR20097000507 A KR 20097000507A KR 100915569 B1 KR100915569 B1 KR 1009155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re
groove
grooves
horizontal
circumferential di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005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74011A (ko
Inventor
요시마사 하시모토
Original Assignee
요코하마 고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요코하마 고무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요코하마 고무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0740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740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55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5569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03Tread patter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03Tread patterns
    • B60C11/12Tread pattern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narrow slits or incisions, e.g. sip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03Tread patterns
    • B60C11/0306Patterns comprising block rows or discontinuous ri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03Tread patterns
    • B60C11/0327Tread patterns characterised by special properties of the tread pattern
    • B60C11/033Tread patterns characterised by special properties of the tread pattern by the void or net-to-gross ratios of the patter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03Tread patterns
    • B60C11/11Tread patterns in which the raised area of the pattern consists only of isolated elements, e.g. bl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03Tread patterns
    • B60C2011/0337Tread patterns characterised by particular design features of the pattern
    • B60C2011/0386Continuous ribs
    • B60C2011/0388Continuous ribs provided at the equatorial pla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152/00Resilient tires and wheels
    • Y10S152/03Slits in threa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152/00Resilient tires and wheels
    • Y10S152/902Non-directional tread pattern having no circumferential rib and having blocks defined by circumferential grooves and transverse groo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ires In General (AREA)

Abstract

빙판 상의 성능을 저해하지 않고, 셔벗형상 적설 노면을 포함하는 적설 노면에서의 적설 상의 성능을 개선할 수 있는 공기 주입 타이어를 제공한다.
중간 랜드부 (4) 에 주홈 (2) 보다 폭이 좁은 1 개의 부홈 (6) 이 타이어 둘레 방향 (TC) 으로 연장되어 있다. 가로홈 (7) 은, 센터 랜드부 (3) 로부터 타이어 폭 방향 외측을 향하여 타이어 접지단 (TF) 을 넘어서 연장되는 좌우의 제 1 가로홈 (8) 과, 중간 랜드부 (4) 로부터 타이어 폭 방향 외측을 향하여 타이어 접지단 (TF) 을 넘어서 연장되는 좌우의 제 2 가로홈 (9) 으로 구성되고, 제 1 가로홈 (8) 과 제 2 가로홈 (9) 이 타이어 둘레 방향 (TC) 으로 교대로 배치되어 있다. 트레드면 (1) 의 중앙 영역 (1C) 에 있어서의 홈 면적 비율이, 트레드면 (1) 의 접지면 영역 (G) 에 있어서의 홈 면적 비율보다 작게 되어 있다.

Description

공기 주입 타이어{PNEUMATIC TIRE}
본 발명은, 빙판 적설로에서 사용되는 공기 주입 타이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셔벗형상 적설 노면을 포함하는 적설 노면에서의 적설 상의 성능을 개선할 수 있는 공기 주입 타이어에 관한 것이다.
종래, 빙판 적설로에서 사용되는 공기 주입 타이어로서, 예를 들어 도 4 에 나타내는 공기 주입 타이어가 알려져 있다. 이 공기 주입 타이어는, 사이프 (20: sipe) 를 형성한 트레드면 (21) 에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는 4 개의 주(主) 홈 (22) 과 타이어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로홈 (23) 을 연구하여 배치함으로써, 빙판 상의 성능과 적설 상의 성능을 밸런스 맞춰 개선하도록 하고 있다 (예를 들어 특허 문헌 1 참조).
그런데, 최근 지구 온난화의 영향에 의해, 강설 지역에 있어서 셔벗형상의 적설 노면을 주행할 기회가 증가하고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빙판 적설로에서 사용되는 공기 주입 타이어는, 셔벗형상 적설 노면을 포함하는 적설 노면에서의 적설 상의 성능에 대하여 충분히 대책이 세워져 있다고는 할 수 없어, 빙판 상의 성능을 저해하지 않고 셔벗형상 적설 노면을 포함하는 적설 노면에서의 적설 상의 성능을 개선하는 기술의 제안이 요구되고 있다.
특허 문헌 1 :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5-349970호
도 1 은 본 발명의 공기 주입 타이어의 일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트레드면의 부분 전개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공기 주입 타이어의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트레드면의 부분 전개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공기 주입 타이어의 또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트레드면의 부분 전개도이다.
도 4 는 종래의 공기 주입 타이어의 트레드면의 부분 전개도이다.
부호의 설명
1 : 트레드면
1C : 중앙 영역
1G : 접지면 영역
2 : 주홈
2A : 제 1 주홈
2B : 제 2 주홈
3 : 센터 랜드부
3A : 블록
4 : 중간 랜드부
4A : 제 1 블록
4B : 제 2 블록
5 : 숄더 랜드부
6 : 부홈
6A : 제 1 경사부
6B : 제 2 경사부
7 : 가로홈
8 : 제 1 가로홈
8a : 내단
9 : 제 2 가로홈
9a : 내단
10, 11, 12, 13 : 사이프
14 : 서브홈
P1, P2 : 위치
TC : 타이어 둘레 방향
TE : 타이어 적도면
TF : 타이어 접지단
발명의 개시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본 발명은, 빙판 상의 성능을 저해하지 않고, 셔벗형상 적설 노면을 포함하는 적설 노면에서의 적설 상의 성능을 개선할 수 있는 공기 주입 타이어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상기 목적을 달성하는 본 발명의 공기 주입 타이어는, 트레드면에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는 4 개의 주(主) 홈을 형성하고, 그 4 개의 주홈을, 타이어 적도면 (赤道面) 의 좌우 양측에 배치한 2 개의 제 1 주홈과, 2 개의 제 1 주홈의 타이어 폭 방향 외측에 배치한 2 개의 제 2 주홈으로 구성하고, 상기 제 1 주홈 사이에 센터 랜드부를 형성하고, 그 제 1 주홈과 상기 제 2 주홈 사이에 중간 랜드부를 형성하고, 그 제 2 주홈으로부터 타이어 폭 방향 외측에 숄더 랜드부를 형성하고, 각 랜드부에 타이어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사이프를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으로 배치하고, 타이어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로홈을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으로 트레드면에 형성한 공기 주입 타이어에 있어서, 상기 중간 랜드부에 상기 제 1 및 제 2 주홈보다 폭이 좁은 1 개의 부(副) 홈을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연장하여 형성하고, 상기 가로홈을, 타이어 적도면의 좌우 양측에서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교대로 배치되는 좌우의 제 1 가로홈과, 좌우의 제 2 가로홈으로 구성하고, 그 좌우의 제 1 가로홈을 센터 랜드부로부터 타이어 폭 방향 외측을 향하여 타이어 접지단을 넘어서 연장하여 형성하고, 상기 좌우의 제 2 가로홈을 중간 랜드부로부터 타이어 폭 방향 외측을 향하여 타이어 접지단을 넘어서 연장하여 형성하고, 상기 좌우의 제 1 가로홈의 내단 (內端) 을 센터 랜드부 내에서 서로 이간되도록 배치하고, 상기 제 2 가로홈의 내단을 중간 랜드부 내에 위치시키고, 트레드면의 좌우의 타이어 접지단 사이에 위치하는 접지면 영역은 센터측의 중앙 영역과 그 중앙 영역의 양측에 위치하는 사이드 영역을 갖고, 상기 접지면 영역 전체에 있어서의 홈 면적 비율을 18% ∼ 33% 범위로 하는 한편, 상기 중앙 영역에 있어서의 홈 면적 비율을 상기 접지면 영역 전체에 있어서의 홈 면적 비율보다 작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발명의 효과
상기 서술한 본 발명에 의하면,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는 4 개의 주홈에 추가하여, 센터 랜드부로부터 타이어 접지단을 넘어서 타이어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좌우의 제 1 가로홈을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배열하기 때문에, 이들 홈을 통해 배수성과 배설성의 양자를 확보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셔벗형상의 적설 노면 주행시의 배설성이 높아져, 셔벗형상의 적설 노면 주행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제 2 가로홈의 내단을 중간 랜드부 내에 위치시킴으로써, 중간 랜드부의 타이어 적도면측에 타이어 둘레 방향 길이가 긴 랜드부 부분을 형성하여 트레드면의 센터측에서의 트레드 강성을 증가시키고, 그곳에 배치한 사이프에 의해 빙판 상에서 높은 에지 효과를 발휘하는 한편, 트레드면의 중앙 영역에 있어서의 홈 면적 비율을 작게 함으로써 트레드면의 센터측에서의 접지 면적을 넓게 하여 빙판 노면에 대한 접지성을 높이고 있기 때문에, 종래와 동일한 레벨의 양호한 빙판 상의 성능을 얻을 수 있다.
또한,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는 4 개의 주홈에 추가하여,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는 부홈을 배치함으로써, 적설 노면에 있어서의 코너링 성능을 종래와 동일한 레벨로 유지하는 한편, 중앙 영역보다 외측의 사이드 영역에서 홈 면적 비율을 크게 하기 때문에 숄더측의 배설 성능이 향상되고, 그것에 의해 적설 노면에 있어서의 코너링 성능의 개선이 가능해진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첨부의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공기 주입 타이어의 일 실시형태를 나타내고, 참조 번호 1 은 트레드면, 참조 부호 TE 는 타이어 적도면이다. 트레드면 (1) 에는, 타이어 둘레 방향 (TC) 으로 직선상으로 연장되는 4 개의 주홈 (2) 이 형성되어 있다. 4 개의 주홈 (2) 은, 타이어 적도면 (TE) 의 좌우 양측에 배치한 2 개의 제 1 주홈 (2A) 과, 2 개의 제 1 주홈 (2A) 의 타이어 폭 방향 외측에 배치한 2 개의 제 2 주홈 (2B) 으로 구성되어 있다. 한편, 여기서 말하는 주홈 (2) 이란, 폭이 타이어 접지폭 (2W) 의 3% ∼ 7%, 깊이가 7㎜ ∼ 12㎜ 인 둘레 방향 홈을 말한다.
좌우의 제 1 주홈 (2A) 및 좌우의 제 2 주홈 (2B) 은, 타이어 적도면 (TE) 에 대하여 대칭으로 배치되어 있다. 좌우의 제 1 주홈 (2A) 사이에는 센터 랜드부 (3) 가 형성되어 있다. 서로 인접하는 제 1 주홈 (2A) 과 제 2 주홈 (2B) 사이에는 중간 랜드부 (4) 가 형성되고, 제 2 주홈 (2B) 으로부터 타이어 폭 방향 외측의 숄더 영역에는 숄더 랜드부 (5) 가 형성되어 있다. 각 중간 랜드부 (4) 에는, 제 1 및 제 2 주홈 (2A, 2B) 보다 폭이 좁은 1 개의 부홈 (6) 이 타이어 둘레 방향 (TC) 으로 연장되어 있다. 한편, 여기서 말하는 부홈 (6) 이란, 폭이 타이어 접지폭 (2W) 의 1% ∼ 4%, 깊이가 4㎜ ∼ 10㎜ 인 둘레 방향 홈을 말한다.
트레드면 (1) 에는, 추가로 타이어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로홈 (7) 이 타이어 둘레 방향 (TC) 으로 소정의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가로홈 (7) 은, 타이어 적도면 (TE) 의 좌우 양측에 배치한 좌우의 제 1 가로홈 (8) 과 좌우의 제 2 가로홈 (9) 으로 구성되고, 좌우의 제 1 가로홈 (8) 과 좌우의 제 2 가로홈 (9) 이 타이어 둘레 방향 (TC) 으로 교대로 배치되어 있다.
좌측의 제 1 가로홈 (8) 은, 센터 랜드부 (3) 로부터 타이어 폭 방향 외측을 향하여 좌측의 주홈 (2A, 2B) 및 부홈 (6) 을 횡단하고, 나아가 좌측의 타이어 접지단 (TF) 을 넘어서 연장되어 있다. 우측의 제 1 가로홈 (8) 은, 센터 랜드부 (3) 로부터 타이어 폭 방향 외측을 향하여 우측의 주홈 (2A, 2B) 및 부홈 (6) 을 횡단하고, 나아가 우측의 타이어 접지단 (TF) 을 넘어서 연장되어 있다. 좌우의 제 1 가로홈 (8) 의 내단 (8a) 은 센터 랜드부 (3) 내에서 서로 이간되도록 배치되고, 센터 랜드부 (3) 는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연속하는 리브로 형성되어 있다. 각 제 1 가로홈 (8) 의 폭은, 제 1 가로홈 (8) 의 내단 (8a) 으로부터 타이어 폭 방향 외측 (타이어 접지단 (TF)) 을 향하여 타이어 접지단 (TF) 을 넘는 위치까지 점차 증가되어 있다.
좌측의 제 2 가로홈 (9) 은, 좌측의 중간 랜드부 (4) 로부터 타이어 폭 방향 외측을 향하여 좌측의 제 2 주홈 (2B) 을 횡단하고, 나아가 좌측의 타이어 접지단 (TF) 을 넘어서 연장되어 있다. 우측의 제 2 가로홈 (9) 은, 우측의 중간 랜드부 (4) 로부터 타이어 폭 방향 외측을 향하여 우측의 제 2 주홈 (2B) 을 횡단하고, 나아가 우측의 타이어 접지단 (TF) 을 넘어서 연장되어 있다. 좌우의 제 2 가로홈 (9) 의 내단 (9a) 은 부홈 (6) 에 접속되고, 제 2 가로홈 (9) 의 폭도, 내단 (9a) 으로부터 타이어 폭 방향 외측 (타이어 접지단 (TF)) 을 향하여 타이어 접지단 (TF) 을 넘는 위치까지 점차 증가되어 있다.
중간 랜드부 (4) 는, 제 2 주홈 (2B) 와 부홈 (6) 및 제 1 가로홈 (8) 과 제 2 가로홈 (9) 에 의해 구획된 제 1 블록 (4A) 과, 제 1 주홈 (2A) 과 부홈 (6) 및 제 1 가로홈 (8) 에 의해 구획되고, 타이어 둘레 방향 길이가 제 1 블록 (4A) 보다 긴 제 2 블록 (4B) 으로 형성되어 있다. 숄더 랜드부 (5) 는, 제 2 주홈 (2B), 제 1 가로홈 (8) 및 제 2 가로홈 (9) 에 의해 블록 (5A) 으로 구획 형성되어 있다.
센터 랜드부 (3) 를 구성하는 리브에는, 타이어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좌우의 사이프 (10) 가 타이어 둘레 방향 (TC) 으로 소정의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각 사이프 (10) 는, 그 일단이 인접하는 제 1 주홈 (2A) 에 연통되어 있다. 중간 랜드부 (4) 의 각 제 1 블록 (4A) 에는, 타이어 폭 방향으로 연장되고, 일단이 제 2 주홈 (2B) 에, 타단이 부홈 (6) 에 연통하는 사이프 (11) 가 타이어 둘레 방향 (TC) 으로 소정의 간격으로 배치 형성되어 있다. 중간 랜드부 (4) 의 각 제 2 블록 (4B) 에는, 타이어 폭 방향으로 연장되고, 일단이 부홈 (6) 에, 타단이 제 1 주홈 (2A) 에 연통하는 사이프 (12) 가 타이어 둘레 방향 (TC) 으로 소정의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숄더 랜드부 (5) 의 각 블록 (5A) 에도, 타이어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사이프 (13) 가 타이어 둘레 방향 (TC) 으로 소정의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
좌우의 타이어 접지단 (TF) 사이에 위치하는 트레드면 (1) 의 접지면 영역 (1G) 전체에 있어서의 홈 면적 비율은 18% ∼ 33% 범위로 되어 있다. 이 홈 면적 비율이 18% 보다 낮으면 적설 상의 성능을 개선시키기 어려워진다. 반대로 접지면 영역 (1G) 의 홈 면적 비율이 33% 를 초과하면 빙판 상의 성능의 저하가 현저해진다. 빙판 상의 성능 면에서 바람직하게는 18% ∼ 27% 로 하는 것이 좋다.
접지면 영역 (1G) 은, 타이어 적도면 (TE) 으로부터 타이어 폭 방향 양측으로 각각 타이어 접지단 (TF) 까지의 타이어 폭 방향 (축 방향) 의 거리인 타이어 접지 반폭 (W) 의 33% 의 위치 (P1, P2) 사이에 위치하는 센터측의 중앙 영역 (1C) 과, 그 중앙 영역 (1C) 의 양측에 위치하는 사이드 영역 (1S) 을 갖고 있다. 중앙 영역 (1C) 에 있어서의 홈 면적 비율이 접지면 영역 (1G) 전체에 있어서의 홈 면적 비율보다 작게 되어 있고, 중앙 영역 (1C) 에 있어서의 홈 면적 비율을 사이드 영역 (1S) 보다 작게 함으로써, 트레드면 (1) 의 센터측에서의 접지 면적을 넓게 하여 빙판 노면에 대한 접지성을 높이고 있다.
부홈 (6) 은 타이어 둘레 방향 (TC) 으로 지그재그형상으로 굴곡하면서 고리형으로 연장되고, 인접하는 가로홈 (8, 9) 의 간격보다 긴 길이로 타이어 둘레 방향 (TC) 에 대하여 경사져서 연장되는 제 1 경사부 (6A) 와, 제 1 경사부 (6A) 보다 짧은 길이로 타이어 둘레 방향 (TC) 에 대하여 경사져서 연장되는 제 2 경사부 (6B) 를 교대로 접속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제 1 경사부 (6A) 와 제 2 경사부 (6B) 의 접속부에 제 2 가로홈 (9) 이 연통되어 있다. 부홈 (6) 을 타이어 둘레 방향 (TC) 으로 지그재그형상으로 연장함으로써, 부홈 (6) 의 타이어 폭 방향의 에지 성분에 의해 빙판 상에서의 트랙션성을 발휘시키도록 하고 있다.
상기 서술한 본 발명에 의하면, 4 개의 주홈 (2) 에 추가하여, 센터 랜드부 (3) 로부터 타이어 접지단 (TF) 을 넘어서 연장되는 좌우의 제 1 가로홈 (8) 을 타이어 둘레 방향 (TC) 으로 배열하였기 때문에, 이들 홈 (2, 8) 을 통해 배수성과 배설성의 양자를 확보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셔벗형상의 적설 노면 주행시의 배설성을 높여, 셔벗형상의 적설 노면 주행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좌우의 제 1 가로홈 (8) 의 폭을 그 내단 (8a) 으로부터 타이어 접지단 (TF) 을 향하여 증가시킴으로써, 제 1 가로홈 (8) 내의 눈을 순조롭게 타이어 외측으로 배출할 수 있기 때문에, 셔벗형상의 적설 노면 주행시의 배설성을 한층 높일 수 있어, 셔벗형상의 적설 노면 주행 성능을 한층 더 개선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제 2 가로홈 (9) 의 내단 (9a) 을 중간 랜드부 (4) 내에 위치시키고, 제 1 주홈 (2A) 에 연통시키지 않기 때문에, 중간 랜드부 (4) 의 타이어 적도면측에는 타이어 둘레 방향 길이가 긴 랜드부 부분 (블록 (4B)) 이 형성되고, 트레드면 (1) 의 타이어 적도면측에 리브상의 센터 랜드부 (3) 와 블록 (4B) 이 배치됨으로써 트레드면 (1) 의 센터측의 강성을 증가시키고, 그곳에 배치한 사이프 (10, 12) 에 의해 빙판 상에서 높은 에지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한편, 트레드면 (1) 의 중앙 영역 (1C) 에 있어서의 홈 면적 비율을 작게 함으로써 트레드면 (1) 의 센터측에서의 접지 면적을 넓게 하여 빙판 노면에 대한 접지성을 높이고 있기 때문에, 종래와 동일한 레벨의 양호한 빙판 상의 성능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4 개의 주홈 (2) 에 추가하여, 타이어 둘레 방향 (TC) 으로 연장되는 부홈 (6) 을 배치함으로써, 적설 노면에서의 코너링 성능을 종래와 동일한 레벨로 유지할 수 있는 한편, 중앙 영역 (1C) 보다 타이어 폭 방향 외측의 사이드 영역 (1S) 에서 홈 면적 비율을 크게 하기 때문에, 트레드면 (1) 의 숄더측의 배설 성능이 향상되고, 그것에 의해 적설 노면에서의 코너링 성능의 개선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에 있어서, 트레드면 (1) 의 중앙 영역 (1C) 의 홈 면적 비율과 접지면 영역 (1G) 전체의 홈 면적 비율의 차로는 1% ∼ 5% 범위로 하는 것이 좋다. 홈 면적 비율의 차가 1% 보다 작으면 배설 성능이 불충분하여 적설 상의 코너링 성능을 개선시킬 수 없다. 홈 면적 비율의 차가 5% 를 초과하면, 사이드 영역 (1S) 의 홈 면적의 증대에 의해 트레드면 (1) 의 숄더측의 강성이 저하되어, 빙판 상의 성능의 저하를 초래한다.
제 2 가로홈 (9) 은,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내단 (9a) 을 부홈 (6) 에 연통시키지 않고 중간 랜드부 (4) 내에 위치시키도록 해도 된다. 도 1 의 공기 주입 타이어보다 빙판 상의 성능을 중시하는 경우에는, 이와 같이 제 2 가로홈 (9) 을 부홈 (6) 에 연통시키지 않도록 한다. 그것에 의해 중간 랜드부 (4) 의 강성 및 접지 면적이 증가하기 때문에 빙판 상의 성능을 높일 수 있다.
도 1 의 공기 주입 타이어보다 더욱 적설 상의 성능을 중시하는 경우에는, 제 2 가로홈 (9) 을 부홈 (6) 과 교차하도록 연장시킬 수 있다. 단, 제 2 가로홈 (9) 은 제 1 주홈 (2) 에 연통하지 않고, 제 1 주홈 (2) 으로부터 이간시킨다. 이로써 홈 면적이 증가하기 때문에 적설 상의 성능을 더욱 높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제 2 가로홈 (9) 은, 필요에 따라 그 내단 (9a) 의 배치를 중간 랜드부 (4) 내에서 적절히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도 1 의 공기 주입 타이어에 있어서, 적설 상의 성능을 더욱 중시하는 경우에는,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주홈 (2) 사이에 타이어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서브홈 (14) 을 추가로 배치하는 것이 좋다. 서브홈 (14) 의 에지 효과에 의해 적설 상의 트랙션 성능을 높여 적설 상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서브홈 (14) 은, 가로홈 (7) (8, 9) 의 간격보다 큰 간격 (도시된 예에서는, 가로홈 (7) 간격의 2 배의 간격) 으로 타이어 둘레 방향 (TC) 으로 배치되고, 제 1 주홈 (2) 과 서브홈 (14) 에 의해 센터 랜드부 (3) 가 블록 (3A) 으로 구획 형성되어 있다. 좌우의 제 1 가로홈 (8) 의 내단 (8a) 이, 타이어 둘레 방향 (TC) 에 인접하는 서브홈 (14) 사이의 중앙부에 위치하는 블록 (3A) 내에 배치되어 있다.
서브홈 (14) 의 설치에 의해 빙판 상의 성능이 저하되지만, 그 저하를 억제하기 위해, 서브홈 (14) 은, 도시된 바와 같이, 그 폭을 제 1 및 제 2 가로홈 (8, 9) 의 폭보다 좁게 하는 것이 좋고, 그 폭은 2㎜ ∼ 5㎜ 범위로 하는 것이 좋다. 서브홈 (14) 의 깊이는 4㎜ ∼ 10㎜ 범위로 하는 것이 좋다.
부홈 (6) 의 제 1 경사부 (6A) 의 타이어 둘레 방향 (TC) 에 대한 경사 각도 α (도 2 참조) 는 3°∼ 10°범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1 경사부 (6A) 의 경사 각도 α 가 3°보다 낮으면 부홈 (6) 의 타이어 폭 방향의 에지 성분에 의한 빙판 상에서의 트랙션성을 효과적으로 발휘시킬 수 없다. 제 1 경사부 (6A) 의 경사 각도 α 가 10°를 초과하면, 부홈 (6) 에 의해 구분되는 블록 (4A, 4B) 의 폭이 좁아지는 지점이 발생하고, 블록 형상이 변형되는 결과, 양호한 블록 강성을 확보할 수 없게 된다.
제 1 가로홈 (8) 및 제 2 가로홈 (9) 은, 도시된 바와 같이, 타이어 폭 방향에 대하여 경사지도록 연장해도 되고, 그 타이어 폭 방향에 대한 각도 β1, β2 로는 접지면 영역 (1G) 에 있어서 0°∼ 45°범위로 하는 것이 좋다. 가로홈 (8, 9) 의 각도 β1, β2 가 45°를 초과하면, 빙판 적설 노면에서의 제 1 가로홈 (8) 및 제 2 가로홈 (9) 의 에지 효과가 저하되어, 제동 및 트랙션 성능이 악화된다. 또한, 제 1 가로홈 (8) 및 제 2 가로홈 (9) 이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호상으로 연장되어 있는 경우에는, 타이어 폭 방향에 대한 각도 β1, β2 는 제 1 가로홈 (8) 및 제 2 가로홈 (9) 의 홈 폭 중심선에 대한 접선의 타이어 폭 방향에 대한 각도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타이어 접지단 (TF) 은, 승용차용 공기 주입 타이어의 경우, JATMA 에 규정이 있는 경우에는 JATMA 에 규정되는 표준 림으로 장착하고, 공기압을 230㎪ 로 하고, JATMA 에 규정된 최대 부하 능력의 70% 의 부하를 가한 조건하에서 측정되는 타이어 접지단이다. JATMA 에 규정이 없고, ETRTO 혹은 TRA 에 규정되는 타이어의 경우에는, ETRTO 혹은 TRA 에 규정되는 표준 림에 장착하고, 공기압을 230㎪ 로 하고, ETRTO 혹은 TRA 에 규정된 최대 부하 능력의 70% 의 부하를 가한 조건하에서 측정되는 타이어 접지단이다. 타이어 접지폭 (2W) 및 타이어 접지 반폭 (W) 도 상기와 동일하게 하여 측정되는 폭이다.
승용차용 공기 주입 타이어 이외의 경우에서, JATMA 에 규정이 있는 경우에는, 타이어를 JATMA 에 규정되는 표준 림에 장착하고, JATMA 에 규정된 최대 부하 능력에 대응하는 공기압을 충전하고, 그 최대 부하 능력의 100% 의 부하를 가한 조건하에서 측정되는 타이어 접지단이다. JATMA 에 규정이 없고, ETRTO 혹은 TRA 에 규정되는 타이어의 경우에는, ETRTO 혹은 TRA 에 규정되는 표준 림에 장착하고, ETRTO 혹은 TRA 에 규정되는 최대 부하 능력에 대응하는 공기압을 충전하고, 그 최대 부하 능력의 100% 의 부하를 가한 조건하에서 측정되는 타이어 접지단이다. 타이어 접지폭 (2W) 및 타이어 접지 반폭 (W) 도 이것과 동일한 조건에서 측정되는 폭이다.
또한, 상기 서술한 트레드면 (1) 의 접지면 영역 (1G) 의 홈 면적 비율, 중앙 영역 (1C) 의 홈 면적 비율 및 사이드 영역 (1S) 의 홈 면적 비율은, 상기 서술한 타이어 접지단의 측정과 동일한 조건에서 타이어를 접지시켰을 때의 실제 홈의 개구 면적의 비율이다.
본 발명은, 특히 승용차용 공기 주입 타이어 및 소형 트럭용 공기 주입 타이어에 바람직하게 적용할 수 있다.
실시예
타이어 사이즈를 215/60R16 으로 공통되게 하고, 트레드 패턴, 접지면 영역의 홈 면적 비율, 및 중앙 영역의 홈 면적 비율을 표 1 과 같이 한 본 발명 타이어 1 ∼ 5 (본 실시예 1 ∼ 5) 와 비교 타이어 1 ∼ 4 (비교예 1 ∼ 4), 및 종래 타이어 (종래 예) 를 각각 시험 타이어로서 제작하였다.
본 발명 타이어 1 ∼ 5 및 비교 타이어 1 ∼ 4 에 있어서, 제 1 가로홈 및 제 2 가로홈의 각도 β1, β2 는 각각 0 ∼ 37°범위에서 변화된다. 또한, 부홈의 제 1 경사부의 경사 각도 α 는 각각 5°이다.
이들 각 시험 타이어를 림 사이즈 16 × 6.5J 의 림에 장착하고, 공기압을 230㎪ 로 하고, ABS (anti-lock braking system) 를 구비한 배기량 2500cc 의 전륜 (前輪) 구동차에 장착하고, 이하에 나타내는 시험 방법에 따라 빙판 상의 성능과 적설 상의 성능의 평가 시험을 실시한 결과, 표 1 에 나타내는 결과를 얻었다.
빙판 상의 성능 (제동 성능)
빙판로 테스트 코스에 있어서, 시속 40㎞ 로 직진 주행중인 차량에 풀 제동을 부여하고, 차량이 정지할 때까지의 제동 거리를 측정하였다. 그 평가 결과를 종래 타이어를 100 으로 하는 지수치로 나타낸다. 이 값이 클수록 제동 거리가 짧아, 빙판 상의 제동 성능이 우수하다.
적설 상의 성능
a) 트랙션성
셔벗형상 적설 노면을 포함하는 적설로 테스트 코스에 있어서, 차량의 엔진을 전개 (全開) 로 하고, 스타트로부터 시속 35㎞ 에 달할 때까지의 시간을 측정하였다. 그 평가 결과를 종래 타이어를 100 으로 하는 지수치로 나타낸다. 이 값이 클수록 도달 시간이 짧아, 적설 상의 트랙션성이 우수하다. 지수치 105 이상이 현저한 효과가 있다.
b) 선회 성능
셔벗형상 적설 노면을 포함하는 적설로 테스트 코스에 있어서, 반경 30m 의 원을 그리면서 선회 주행하였을 때에 차량에 작용하는 횡가속도를 측정하였다. 그 평가 결과를 종래 타이어를 100 으로 하는 지수치로 나타낸다. 이 값이 클수록 횡가속도가 작아, 적설 상의 선회 성능이 우수하다. 지수치 105 이상이 현저한 효과가 있다.
표 1 로부터, 본 발명 타이어는, 빙판 상의 성능이 99 이상으로, 빙판 상의 성능을 종래와 동일한 레벨로 유지하면서, 셔벗형상 적설 노면을 포함하는 적설 노면에서의 적설 상의 성능을 효과적으로 개선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 서술한 우수한 효과를 갖는 본 발명은, 특히 승용차 및 소형 트럭에 사용되는 공기 주입 타이어에 바람직하게 적용할 수 있다.

Claims (11)

  1. 트레드면에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는 4 개의 주홈을 형성하고, 그 4 개의 주홈을, 타이어 적도면의 좌우 양측에 배치한 2 개의 제 1 주홈과, 2 개의 제 1 주홈의 타이어 폭 방향 외측에 배치한 2 개의 제 2 주홈으로 구성하고, 상기 제 1 주홈 사이에 센터 랜드부를 형성하고, 그 제 1 주홈과 상기 제 2 주홈 사이에 중간 랜드부를 형성하고, 그 제 2 주홈으로부터 타이어 폭 방향 외측에 숄더 랜드부를 형성하고, 각 랜드부에 타이어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사이프를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으로 배치하고, 타이어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로홈을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으로 트레드면에 형성한 공기 주입 타이어에 있어서,
    상기 중간 랜드부에 상기 제 1 및 제 2 주홈보다 폭이 좁은 1 개의 부홈을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연장하여 형성하고,
    상기 가로홈을, 타이어 적도면의 좌우 양측에서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교대로 배치되는 좌우의 제 1 가로홈과 좌우의 제 2 가로홈으로 구성하고, 그 좌우의 제 1 가로홈을 센터 랜드부로부터 타이어 폭 방향 외측을 향하여 타이어 접지단을 넘어서 연장하여 형성하고, 상기 좌우의 제 2 가로홈을 중간 랜드부로부터 타이어 폭 방향 외측을 향하여 타이어 접지단을 넘어서 연장하여 형성하고, 상기 좌우의 제 1 가로홈의 내단을 센터 랜드부 내에서 서로 이간되도록 배치하고, 상기 제 2 가로홈의 내단을 중간 랜드부 내에 위치시키고,
    트레드면의 좌우의 타이어 접지단 사이에 위치하는 접지면 영역은 센터측의 중앙 영역과 그 중앙 영역의 양측에 위치하는 사이드 영역을 갖고, 상기 접지면 영역 전체에 있어서의 홈 면적 비율을 18% ∼ 33% 범위로 하는 한편, 상기 중앙 영역에 있어서의 홈 면적 비율을 상기 접지면 영역 전체에 있어서의 홈 면적 비율보다 작게 한 공기 주입 타이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가로홈의 폭을 그 제 1 가로홈의 내단으로부터 타이어 접지단을 향하여 증가시킨 공기 주입 타이어.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가로홈의 내단을 상기 부홈에 접속하고, 상기 중간 랜드부를, 제 2 주홈과 부홈 및 제 1 가로홈과 제 2 가로홈에 의해 구획된 제 1 블록과, 제 1 주홈과 부홈 및 제 1 가로홈에 의해 구획되고, 타이어 둘레 방향 길이가 제 1 블록보다 긴 제 2 블록으로 형성한 공기 주입 타이어.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가로홈의 폭을 그 제 2 가로홈의 내단으로부터 타이어 접지단을 향하여 증가시킨 공기 주입 타이어.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부홈을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지그재그형상으로 연장하여 형성한 공기 주입 타이어.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부홈은, 인접하는 가로홈의 간격보다 긴 길이로 타이어 둘레 방향에 대하여 경사져서 연장되는 제 1 경사부와, 그 제 1 경사부보다 짧은 길이로 타이어 둘레 방향에 대하여 경사져서 연장되는 제 2 경사부를 교대로 접속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 1 경사부의 타이어 둘레 방향에 대한 경사 각도가 3°∼ 10°인 공기 주입 타이어.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가로홈 및 제 2 가로홈의 타이어 폭 방향에 대한 각도가 0°∼ 45°범위인 공기 주입 타이어.
  8.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주홈 사이에 타이어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서브홈을 가로홈의 간격보다 큰 간격으로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배치하고, 상기 센터 랜드부를 제 1 주홈과 서브홈에 의해 블록으로 형성한 공기 주입 타이어.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홈을 가로홈 간격의 2 배의 간격으로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배치하고, 또한 좌우의 제 1 가로홈의 내단을 타이어 둘레 방향에 인접하는 서브홈 사이의 중앙부에 위치하는 블록 내에 배치한 공기 주입 타이어.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홈의 폭이 제 1 및 제 2 가로홈의 폭보다 좁은 공기 주입 타이어.
  11. 삭제
KR1020097000507A 2007-10-12 2007-12-18 공기 주입 타이어 KR10091556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7266656A JP4107393B1 (ja) 2007-10-12 2007-10-12 空気入りタイヤ
JPJP-P-2007-266656 2007-10-1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4011A KR20090074011A (ko) 2009-07-03
KR100915569B1 true KR100915569B1 (ko) 2009-09-03

Family

ID=396081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00507A KR100915569B1 (ko) 2007-10-12 2007-12-18 공기 주입 타이어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802596B2 (ko)
EP (1) EP2077193B1 (ko)
JP (1) JP4107393B1 (ko)
KR (1) KR100915569B1 (ko)
CN (1) CN101500825B (ko)
RU (1) RU2401749C1 (ko)
WO (1) WO200904787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589927B (zh) * 2010-03-29 2017-05-24 株式会社普利司通 轮胎
JP5177180B2 (ja) * 2010-06-18 2013-04-03 横浜ゴム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
USD788686S1 (en) 2010-11-15 2017-06-06 The Yokohama Rubber Co., Ltd. Pneumatic tire
JP5018981B2 (ja) 2010-11-15 2012-09-05 横浜ゴム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
US8844592B2 (en) 2010-11-15 2014-09-30 The Yokohama Rubber Co., Ltd. Pneumatic tire
JP5287894B2 (ja) * 2011-02-08 2013-09-11 横浜ゴム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
JP4905599B1 (ja) * 2011-04-27 2012-03-28 横浜ゴム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
JP5018984B1 (ja) 2011-05-12 2012-09-05 横浜ゴム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
CN103158443B (zh) * 2011-12-19 2016-03-02 青岛黄海橡胶有限公司 轿车子午线轮胎胎面花纹
EP2620299B1 (en) * 2012-01-26 2015-06-17 Sumitomo Rubber Industries, Ltd. Pneumatic tire
JP5915505B2 (ja) * 2012-11-07 2016-05-11 横浜ゴム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
JP5932618B2 (ja) * 2012-11-20 2016-06-08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
JP5435175B1 (ja) * 2013-02-22 2014-03-05 横浜ゴム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
JP6424415B2 (ja) * 2013-04-17 2018-11-21 横浜ゴム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
JP5888368B2 (ja) * 2014-06-13 2016-03-22 横浜ゴム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
JP6267622B2 (ja) * 2014-10-15 2018-01-24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タイヤ
JP6055452B2 (ja) * 2014-10-15 2016-12-27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タイヤ
JP6589475B2 (ja) * 2015-09-08 2019-10-16 横浜ゴム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
JP6326399B2 (ja) * 2015-11-27 2018-05-16 横浜ゴム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
JP6572156B2 (ja) * 2016-03-02 2019-09-04 株式会社神戸製鋼所 建設機械の干渉防止装置
JP6558297B2 (ja) * 2016-04-26 2019-08-14 横浜ゴム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
CN108725101B (zh) * 2017-04-18 2021-12-03 住友橡胶工业株式会社 轮胎
JP6965671B2 (ja) * 2017-10-03 2021-11-10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タイヤ
CN111791651A (zh) * 2019-04-03 2020-10-20 住友橡胶工业株式会社 轮胎
WO2023126790A1 (en) * 2021-12-27 2023-07-06 Pirelli Tyre S.P.A. Tyre for vehicle wheel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29505A (ja) * 1999-02-10 2000-08-22 Bridgestone Corp 空気入りタイヤ
JP2000255217A (ja) * 1999-03-11 2000-09-19 Bridgestone Corp 空気入りタイヤ
JP2003146020A (ja) * 2001-11-08 2003-05-21 Bridgestone Corp 空気入りタイヤ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45415A (en) * 1983-09-26 1985-10-08 The Goodyear Tire & Rubber Company Pneumatic tire tread
DE4108745A1 (de) * 1991-03-18 1992-09-24 Sp Reifenwerke Gmbh Luftreifen
US5526860A (en) * 1993-08-27 1996-06-18 Sumitomo Rubber Industries, Ltd. Pneumatic tire
JP3336512B2 (ja) * 1994-01-28 2002-10-21 東洋ゴム工業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
JP4441009B2 (ja) * 1999-03-31 2010-03-31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空気入りタイヤ
JP4553460B2 (ja) * 2000-08-22 2010-09-29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
GB2376217B (en) * 2001-06-06 2005-03-02 Yokohama Rubber Co Ltd Pneumatic tire
KR20050035440A (ko) * 2003-10-13 2005-04-18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사계절용 고성능 타이어의 트레드 패턴구조
JP2005349970A (ja) 2004-06-11 2005-12-22 Yokohama Rubber Co Ltd:The 空気入りタイヤ
JP4569277B2 (ja) 2004-11-29 2010-10-27 横浜ゴム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
JP4011586B2 (ja) * 2005-02-25 2007-11-21 横浜ゴム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およびタイヤ成形金型
JP4223064B2 (ja) * 2007-06-12 2009-02-12 横浜ゴム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29505A (ja) * 1999-02-10 2000-08-22 Bridgestone Corp 空気入りタイヤ
JP2000255217A (ja) * 1999-03-11 2000-09-19 Bridgestone Corp 空気入りタイヤ
JP2003146020A (ja) * 2001-11-08 2003-05-21 Bridgestone Corp 空気入りタイ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00078105A1 (en) 2010-04-01
EP2077193A4 (en) 2011-08-24
RU2009105889A (ru) 2010-08-27
JP4107393B1 (ja) 2008-06-25
WO2009047872A1 (ja) 2009-04-16
EP2077193A1 (en) 2009-07-08
US7802596B2 (en) 2010-09-28
RU2401749C1 (ru) 2010-10-20
JP2009096220A (ja) 2009-05-07
EP2077193B1 (en) 2012-10-03
CN101500825A (zh) 2009-08-05
KR20090074011A (ko) 2009-07-03
CN101500825B (zh) 2011-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15569B1 (ko) 공기 주입 타이어
EP2261064B1 (en) Pneumatic tire
JP3682269B2 (ja) 空気入りタイヤ
CN108382134B (zh) 轮胎
CN107984978B (zh) 轮胎
JP4350103B2 (ja) 空気入りタイヤ
CN108688411B (zh) 充气轮胎
CN107757260B (zh) 轮胎
US20090188596A1 (en) Pneumatic tire
US10618354B2 (en) Tire
CN110406327B (zh) 轮胎
KR20110137737A (ko) 공기 타이어
CN110509724B (zh) 轮胎
JP2002029224A (ja) 空気入りタイヤ
US11654721B2 (en) Tire
CN108081875B (zh) 充气轮胎
JP2022037668A (ja) タイヤ
US20210300121A1 (en) Tire
JP5282479B2 (ja) 空気入りタイヤ
US11981162B2 (en) Tire
US11648804B2 (en) Tire
JP3509387B2 (ja) 空気入りタイヤ
US11628690B2 (en) Tire
CN111716964B (zh) 轮胎
JP7014022B2 (ja) タイ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30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