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10427B1 - 가스화 용융 시스템의 연소 제어방법 및 해당 시스템 - Google Patents

가스화 용융 시스템의 연소 제어방법 및 해당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10427B1
KR100910427B1 KR1020070109475A KR20070109475A KR100910427B1 KR 100910427 B1 KR100910427 B1 KR 100910427B1 KR 1020070109475 A KR1020070109475 A KR 1020070109475A KR 20070109475 A KR20070109475 A KR 20070109475A KR 100910427 B1 KR100910427 B1 KR 1009104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rnace pressure
furnace
combustion
per unit
unit ti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094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78520A (ko
Inventor
준 사토
도시마사 시라이
요시히사 사이토우
Original Assignee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785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785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04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04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5/00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 F23G5/02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with pretreatment
    • F23G5/027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with pretreatment pyrolising or gasifying stage
    • F23G5/0273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with pretreatment pyrolising or gasifying stage using indirect hea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5/00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 F23G5/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2201/00Pretreatment
    • F23G2201/40Gasific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2202/00Combustion
    • F23G2202/10Combustion in two or more stages
    • F23G2202/104Combustion in two or more stages with ash melting stage

Abstract

CO 발생량을 저감하여, 안정한 운전을 가능하게 한 가스화 용융 시스템의 연소 제어방법 및 해당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서, 급진기를 거쳐서 가스화 로 내에 공급된 폐기물을 열 분해하여, 선회 용융로에 있어서 열분해 가스의 연소 열에 의해 회분을 용융한 후, 2차 연소실에 있어서 연소배기 가스중의 미연분을 연소시키는 가스화 용융 시스템의 연소 제어방법에 있어서, 가스화 로에서의 이상 연소를 나타내는 로내 압력의 상태로서, 이상 연소 상태 레벨에 대응하여 복수단계의 로내 압력조건이 미리 설정되어 있고, 가스화 로에 있어서 검출한 로내 압력이 제 1 로내 압력조건에 도달한 경우에, 가스화 로, 선회 용융로, 2차연소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공급하는 단위 시간당 연소 공기 공급량을 제어하여, 이보다 이상 연소 상태 레벨의 높은 제 2 로내 압력조건에 도달한 경우에, 단위 시간당 연소 공기 공급량의 제어에 덧붙여 가스화 로에의 단위 시간당 급진량을 제어한다.
Figure R1020070109475
가스화 로, 급진기, 열 분해가스, 가스화 용융 시스템, 용융화 로

Description

가스화 용융 시스템의 연소 제어방법 및 해당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COMBUSTION OF GASFICATION MELTING SYSTEM}
본 발명은, 폐기물을 열 분해하여 열분해 가스를 발생시켜, 해당 열분해 가스를 연소열로 회분을 용융하는 가스화 용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특히, 배기 가스중의 유해 가스의 발생을 억제하여, 안정한 운전을 가능하게 하는 가스화 용융 시스템의 연소제어 및 해당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 도시 쓰레기를 비롯하여 불연가스, 소각 잔재, 진흙, 매립 쓰레기 등의 폐기물까지 폭넓게 처리할 수 있는 기술로서 가스화 용융 시스템이 알려져 있다.
도 4는, 종래 기술에 있어서의 가스화 용융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가스화 용융 시스템은, 폐기물을 열 분해하여 가스화하는 가스화 로(gasfication furnace)(3)와, 해당 가스화 로(3)에 있어서 생성된 열 분해가스를 고온 연소하여, 가스중의 회분을 용융 슬래그화 하는 선회 용융화 로(6)와, 해당 선회 용융화 로(6)의 배기 가스가 도입되는, 배기 가스중의 미연분을 연소시키는 2차 연소실(12)과, 감온 탑(14), 제진 장치(15), 증기식 가열기(16), 촉매 반응장치(17) 등으로 이루어지는 배기 가스 처리 설비를 구비하고 있다. 폐기물의 자원화, 용적 축소화 및 무해화를 도모하기 위해서, 상기 선회 용융화 로(6)로부터의 슬래그를 취출하여 노반재 등의 토목 자원으로서 재 이용한다. 혹은, 보일러부(13)에 있어서 상기 2차 연소실(12)로부터의 고온 배기 가스로부터 발열을 회수하여 발전을 행하는 등이 행하여지고 있다.
이러한 가스화 용융 시스템에 있어서, 폐기물은, 상기 가스화 화로(3)에 마련된 급진기(給塵機)(dust feeder)(2)에 의해 로내에 정량 공급된다. 급진기(2)로서는, 예컨대 스크류 피더(screw feeder)등이 이용되고, 스크류를 회전 구동하는 모터의 회전수 제어에 의해 소정량의 폐기물을 화로 내에 공급하는 구성으로 되어있다.
가스화 화로(3)에 있어서는, 화로 밑바닥으로부터 공급되는 연소공기에 의해 폐기물이 열 분해된다. 해당 가스화 화로(3)에서 발생한 CO, H2 등의 가연가스, 카바이드(탄화물), 회분을 포함하는 열 분해가스는, 열분해 가스 덕트(25)를 거쳐서 선회 용융로(6)에 공급된다. 해당 선회 용융로(6)에 있어서는, 공급된 열 분해가스를 연소시킬 때에 발생하는 연소열에 의해 회분을 용융한다. 해당 선회 용융로(6)에 있어서 발생한 배기 가스는, 해당 선회 용융로(6) 윗쪽에 연결된 2차 연소실(12)에 보내진다. 그리고, 여기에서 가스중의 미연분이 연소된다. 상기 선회 용융로(6) 및 상기 2차 연소실(12)에는, 연소를 촉진하기 위한 연소공기가 각기 공급되는 구조로 되어있다.
선행문헌 1(일본 특허 공개 평성 제 11-351538 호 공보)에서는, 일반적인 용융로에 있어서의 연소 제어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선행문헌 1에 개시되어 있는 연소 제어방법에 있어서는, 용융로 내에 설치한 온도 센서에 의해 화로 내부온도를 검출한다. 그리고, 검출한 화로 내부온도에 근거하여 용융로에 공급하는 연소 공기량을 제어하는 방법이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선행문헌 1에 개시되어 있는 가스화 용융 시스템에 있어서 폐기물을 처리대상으로 삼은 경우, 폐기물의 투입량이나 발열량의 변동을 원인으로 하여, 연소가 불안정하게 되어, 그 결과, 2차 연소실로부터 배출되는 배기 가스중의 C0 농도가 높은 경우가 있다. 이 때문에, C0 가스의 배출을 원인으로 하는 환경에의 악영향이 문제가 되었다.
또한, 선행문헌 2(일본 특허 공개 2003-269712 호 공보)에서는, 열분해 화로에 압력 검출기를 설치하여, 로내 압력의 검출결과에 근거하여 열분해 화로 2차연 소 공기량, 재용융 화로 연소 공기량 및 2차 연소실 연소 공기량의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이와 같이, 각부에서 필요로 하는 연소 공기량을 제어하여 공급함으로써, 연소공기 부족을 원인으로서 발생하는 유해 가스의 대량 발생을 방지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선행문헌 3(일본 특허공개 2001-201023 호 공보)에서는, 열분해 가스로의 로내 압력을 계측함으로써 폐기물의 부하 변동을 검출하여, 부하 급증이 검출된 경우에 용융로에 공급하는 단위 시간당 연소 공기 공급량을 증가시킴으로써, 용융로 내에서의 불완전 연소를 방지하는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선행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평성 제 11-351538 호 공보
[선행문헌 2] 일본 특허 공개 2003-269712 호 공보
[선행문헌 3] 일본 특허 공개 2001-201023 호 공보
상기 한 바와 같이, 종래의 가스화 용융 시스템에 있어서는, 폐기물의 납입량이나 발열량의 변동에 의해 연소가 불안정하게 되어, 2차 연소실로부터 배출되는 배기 가스중의 C0 농도가 높게 된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나, 선행문헌 1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용융로의 화로 내부온도에 근거하여, 해당 용융로에 공급하는 연소 공기량을 제어하는 것만으로서는, 배기 가스중의 C0 농도를 저하시키는 것은 곤란했다. 이것은, 가스화 로에 있어서 열분해 가스가 대량으로 발생한 경우, 용융로나 2차 연소실에 공급하는 연소 공기량의 제어만으로서는, 열분해 가스를 완전 연소시키는 것이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또한, 별개의 문제점으로서, 용융로에 대량의 연소공기를 공급하면 화로 내부온도가 저하하기 때문에, 회분의 용 융에 지장을 초래하는 것을 들 수 있다.
한편, 선행문헌 2 및 선행문헌 3에 있어서는, 가스화 로의 로내 압력에 근거하여 연소 공기량을 제어하는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이 방법은, 열분해 가스의 발생량을 정확하게 검출하는 것이 가능하고, 배기 가스중의 CO 농도저감에 유효한 방법이라고 말할 수 있다. 그러나, 가스화 로의 로내 압력의 변동에 대하여, 일률적인 연소 공기량의 제어만으로서는, 연소상태를 안정하게 유지하는 것이 곤란하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대폭적인 가스화 로의 로내 압력변동에 대하여, 연소 공기량의 제어만으로서는 대응이 불충분하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예컨대, 로내 압력이 크게 상승한 경우, 연소 공기량을 증가하여 열 분해가스의 연소를 촉진시키더라도, 가스 발생량이 매우 크기 때문에, 완전 연소하는 일 없이 배기 가스중의 CO 농도가 높게 된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공급하는 연소 공기량을 증대시켜 지나친 경우, 용융로의 로내부 온도가 저하한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선행문헌 2 및 선행문헌 3에는, 이들의 문제점에 대한 해결책은 개시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에 관한 문제점에 비추어 행해진 것으로서, 가스화 로에 있어서 가스 발생량이 변동한 경우에도 정확히 이것을 검지하여, 정확한 제어를 하는 것에 의해 배기 가스중의 CO 발생량을 저감할 수 있는 가스화 용융 시스템의 연소 제어방법 및 해당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또한, 대폭적인 가스 발생량의 변동에도 대응 가능한 가스화 용융 시스템의 연소 제어방법 및 해당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있다.
그래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 관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급진기를 거쳐서 가스화 로 내에 공급된 폐기물을 열 분해하여, 해당 가스화 로에 있어서 발생한 열분해 가스를 용융로에 도입한다. 본 발명은, 해당 용융로에 있어서 열분해 가스의 연소열에 의해 회분을 용융한 후, 상기 용융로에 연결된 2차 연소실에 있어서 연소배기 가스중의 미연분을 연소시키는 가스화 용융 시스템의 연소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가스화 로에 있어서의 이상연소를 나타내는 로내 압력의 상태로서, 이상 연소 상태 레벨에 대응하여 복수단계의 로내 압력조건이 미리 설정되어 있다.
본원에 있어서, 이상 연소 상태라 함은, 미리 설정된 적정한 로내 압력을 기준값으로 할 때, 로내 압력이 해당 기준값을 초과하는 제 1 설정값에 도달되는 경우, 로내 압력이 해당 기준값을 초과하는 제 2 설정값에서 미리 설정된 시간동안 계속되는 경우, 로내 압력의 시계열(時系列) 변화의 반전 위치가 기준 범위로부터 벗어난 위치에 있는 경우, 로내 압력의 변화율이 미리 설정된 값을 초과한 경우 등을 의미한다. 또한, 이상 연소 상태 레벨이라 함은 이상 연소의 정도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가스화 로의 로내 압력을 검출하여, 해당 검출한 로내 압력이, 제 1 로내 압력조건에 도달한 경우에, 상기 가스화 로, 상기 용융로, 상기 2차 연소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공급하는 단위 시간당 연소 공기 공급량을 제어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로내 압력이 상기 제 1 로내 압력 조건보다도 이상 연소 상태 레벨이 높은 제 2 로내 압력조건에 도달한 경우에, 상기 연소 공기량의 제어에 부가하여, 상기 가스화 로에 공급하는 단위 시간당 급진량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로내 압력의 이상 연소 상태 레벨이 낮은 제 1 로내 압력조건에 있어서는, 공급하는 단위 시간당 연소 공기 공급량의 제어를 한다. 이것에 의해, 가스화 로의 후단측에서 열분해 가스의 연소를 촉진 또는 억제함으로써, 연소상태의 안정화를 도모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이상 연소 상태 레벨이 높은 제 2 로내 조건에 있어서는, 공급하는 단위 시간당 연소 공기 공급량의 제어에 부가하여, 단위 시간당 급진량을 제어한다. 즉, 로내 압력이 높은 경우에는, 단위 시간당 급진량을 저하시켜 폐기물의 공급량을 저감함으로써, 열 분해가스의 발생을 억제하고 있다.
본 발명과 같이 공급하는 단위 시간당 연소 공기 공급량의 제어만이 아니라, 단위 시간당 급진량도 제어함으로써, 대량의 연소공기를 공급함에 의한 화로 내부온도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연소배기 가스중의 CO 농도를 억제할 뿐만 아니라, 용융로에 있어서의 용융 슬래그의 안정한 배출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제 1 로내 압력조건 및 상기 제 2 압력조건이, 각기 복수 설정되어 있다. 상기 제 1 로내 압력조건에 대응하여 공급하는 단위 시간당 연소 공기 공급량의 제어내용이 각기 복수 설정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는, 해당 제 1 로내 압력조건이 복수 중복한 경우에는, 상기 제어내용을 가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복수의 제 2 로내 압력조건에 대응하여 단위 시간당 급진량의 제어내용이, 각기 복수 설정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는, 해당 제 2 로내 압력조건이 복수 중복한 경우에는, 상기 제어내용 중에서 제어량이 큰 쪽을 채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공급하는 단위 시간당 연소 공기 공급량의 제어에 있어서는 중복한 제어내용을 가산하여, 단위 시간당 급진량의 제어에 있어서는 중복한 제어내용 중 제어량이 큰 쪽을 우선시키도록 하고 있다. 이것은, 공급하는 단위 시간당 연소 공기 공급량의 증감은, 단위 시간당 급진량의 증감만큼 시스템의 운전상태에 영향을 미치지 않기 때문에, 제어내용을 가산하여 대폭적인 제어를 가능하게 하고 있다. 한편, 단위 시간당 급진량의 증감은 시스템의 운전상태에 미치는 영향이 비교적 크기 때문에, 제어내용의 한쪽을 우선시켜 단위 시간당 급진량의 변동을 최소한으로 억제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제 1 로내 압력조건이, 미리 설정된 적정한 로내 압력을 기준값으로 하면, 해당 기준값을 초과하는 소정의 설정값에 도달한 경우, 혹은 해당 기준값을 초과하는 소정의 설정값이 소정 시간 계속한 경우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의 조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로내 압력조건을 설정함으로써, 로내 압력으로부터 연소상태의 이상을 정확하게 추정할 수 있다. 따라서, 적정한 제어가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제 2 로내 압력조건이, 미리 설정된 적정한 로내 압력을 기준값으로 하면, 해당 기준값을 초과하는 소정의 설정값에 도달한 경우, 혹은 해당 기준값을 초과하는 소정의 설정값이 소정 시간 계속한 경우, 로내 압력의 시계열 변화의 반전이 기준값으로부터 벗어난 위치에 있어서 행하여진 경우, 로내 압력의 변화율이 소정의 값을 초과한 경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조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제 1 로내 조건과 같이, 로내 압력으로부터 연소상태의 이상을 정확하게 추정할 수 있다. 따라서, 적정한 제어가 가능해진다.
또한, 로내 압력의 시계열 변화의 반전이 기준값으로부터 벗어난 위치에 있어서 연속적으로 행하여지는 상태, 및 로내 압력의 변화율이 소정의 값을 초과한 상태는, 특히 이상 연소 상태 레벨이 높은 경우에 출현하기 때문에, 이 조건에 해당하는 경우는, 단위 시간당 급진량을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제 2 로내 압력조건에 대응한 단위 시간당 급진량 제어를 행한 후, 해당 단위 시간당 급진량을 복귀시킬 때에, 소정 속도로 서서히 복귀시키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설정된 소정의 복귀속도에 따라서 서서히 상기 단위 시간당 급진량을 복귀시킴으로써, 급격한 단위 시간당 급진량 변화를 방지하여, 상기 가스화 로 내의 연소상태를 안정화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은, 급진기를 거쳐서 공급된 폐기물을 열분해하여 열분해 가스를 발생시키는 가스화 로와, 해당 열분해 가스의 연소열에 의해 회분을 용융하는 용융로와, 해당 용융로에서 발생한 연소재 가스 중의 미연분을 연소시키는 2차 연소실로 구성되는 가스화 용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가스화 로에서의 이상연소를 나타내는 로내 압력의 상태로서, 이상 연소 상태 레벨에 대응하여 복수단계의 로내 압력조건이 미리 설정되어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가스화 로의 로내 압력을 검출하는 로내 압력검출수단과, 상기 로내 압력 검출수단에 의해서 검출된 로내 압력이, 제1 로내 압력에 도달한 경우에, 상기 가스화 로, 상기 용융로, 상기 2차 연소실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에 공급하는 단위 시간당 연소 공기 공급량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로내 압력이, 상기 제 1 로내 압력 조건보다도 이상 연소 상태 레벨의 높은 제 2 로내 압력조건에 도달한 경우에, 상기 연소 공기량의 제어에 부가하여, 상기 가스화 로로의 단위 시간당 급진량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제어수단에는, 상기 제 1 로내 압력조건및 상기 제 2 로내 압력조건이 각기 복수 설정되어 있다. 해당 제어수단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 1 로내 압력조건에 대응하여 공급하는 단위 시간당 연소 공기 공급량의 제어 내용이 각기 설정되어, 해당 제 1 로내 압력조건이 복수 중복한 경우에는, 상기 제어내용을 가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복수의 제 2 로내 압력조건에 대응하여 단위 시간당 급진량의 제어내용이 각기 설정되어, 해당 제2 로내 압력조건이 복수 중복한 경우에는, 상기 제어내용 중에 제어량이 큰 쪽을 채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제어수단에 설정되는 상기 제 1 로내 압력조건이, 미리 설정된 적정한 로내 압력을 기준값으로 하면, 해당 기준값을 초과하는 소정의 설정값에 도달한 경우, 해당 기준값을 초과하는 소정의 설정값이 소정 시간 계속한 경우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의 조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제어수단에 설정되는 상기 제 2 로내 압력조건이, 미리 설정된 적정한 로내 압력을 기준값으로 하면, 해당 기준값을 초과하는 소정의 설정값에 도달한 경우, 로내 압력의 시계열변화의 반전이 기준값으로부터 벗어난 위치에 있어서 행하여지는 경우, 로내 압력의 변화율이 소정의 값을 초과한 경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조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자세히 설명한 다. 단지, 이 실시예에 기재되어 있는 구성부품의 치수, 재질, 형상, 기타 상대배치 등은, 특히 한정적인 기재가 없는 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는 것에만 한정하는 취지가 아니라, 단순한 설명예에 불과하다는 것을 부기해 놓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가스화 용융 시스템의 전체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의 가스화 용융 시스템에 있어서의 제어방법의 기본흐름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또한, 도 3은 도 1의 가스화 용융 시스템에 있어서의 제어방법의 구체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르는 가스화 용융 시스템의 전체구성의 전체구성을 설명한다. 또, 이하에 표시되는 수치는 일례이며, 이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폐기물투입 호퍼(hopper)(1)로부터 투입된 폐기물(40)은, 급진기(2)를 거쳐서 유동상(流動床) 가스화 로(3)에 정량 공급된다. 해당 유동상 가스화 로(3)에 있어서는, 온도 약 120∼230℃, 공기비 0.2∼0.7 정도의 연소공기(41)가, 화로 바닥부로부터 바람 박스(4)를 거쳐서 로내에 취입된다. 이 때, 유동층 온도는 550∼650℃ 정도로 유지되어 있다.
폐기물(40)은 상기 유동상 가스화 로(3)에서 열분해 가스화되어, 가스, 탄화물로 분해된다. 타르는, 상온에서는 액체가 되는 성분이지만, 상기 유동상 가스화 로(3)내에서는 가스형상으로 존재한다. 상기 유동상 가스화 로(3)의 불연물은, 불연물 배출구(5)로부터 차차 배출된다.
탄화물은, 유동층 내에서 서서히 미분화되어, 가스 및 타르에 동반하여 선회 용융로(6)에 도입된다. 이하, 해당선회 용융로(6)에 도입되는 이들 성분을 총칭하여 열분해 가스라고 칭한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가스화 로로서 유동상 가스화 로(3)를 예시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가스화 로로서는, 폐기물(40)을 열분해 가스화하는 구성을 갖는 화로이면 무엇이든지 좋다.
상기 유동상 가스화 로(3)의 화로 상부로부터 배출된 열분해 가스는, 열분해 가스덕트(25)를 지나서 선회 용융로(6)의 열분해 버너로 도입된다. 해당 열분해버너에 있어서, 열분해 가스는 연소공기(42)와 혼합되어 로내에 도입되어, 선회류를 형성한다. 이 때, 연소공기는 공기 0.9∼1.1, 바람직하게는 1.0 정도이면 좋다.
상기 선회 용융로(6)에 있어서는, 열분해 가스와 연소공기(42)의 혼합가스가 연소함과 동시에, 필요에 따라서 불씨버너(26), 보조 연료버너(27)에 의해 로내부온도가 1300∼1500℃로 유지된다. 이 때문에, 열분해 가스중의 회분이 용융하여, 슬래그화 된다. 용융한 슬래그는, 상기 선회 용융로(6)의 내벽면에 부착하고 아래로 흘러, 화로 바닥부의 슬래그 배출구(7)로부터 슬래그 배출 슈트(shoot)(8)를 지나서 배출된다. 상기 선회 용융로(6)로부터 배출된 슬래그는, 수쇄조(水碎槽)(9)에서 급냉되고, 슬래그 컨베이어(10)에 의해 반출되어 수쇄 슬래그로서 회수된다. 이렇게 하여 회수된 수쇄 슬래그는, 노반재 등에 유효하게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용융로로서 상기 선회 용융로(6)를 예시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회분을 포함하는 열분해 가스를 용융하는 구성을 갖는 화로이면 무엇이든지 좋다.
한편, 상기 선회 용융로(6)로부터 배출된 연소배기 가스는 연결부(11)를 거쳐서 2차 연소실(12)로 도입된다. 해당 2차 연소실(12)에서는, 연소공기(43)가 공기비 1.2∼1.5가 되도록 공급되는 동시에, 필요에 따라서 보조 연료버너(32)로 소정 온도까지 승온되어, 상기 연소배기 가스중의 미연분은 여기서 완전 연소된다.
연소배기 가스는, 보일러부(13)에서 열회수되어, 250℃ 정도까지 냉각된다. 해당 보일러부(13)로부터 배출된 연소배기 가스는, 감온탑(14)으로 도입되어, 직접수분사에 의해 150℃ 정도까지 냉각된다. 상기 감온탑(14)으로부터 배출된 연소배기 가스는, 필요에 따라서 연도에서 소석회, 활성탄이 분무되어, 반응 집진장치(15)에 도입된다. 해당 반응 집진장치(15)에서는, 연소배기 가스중의 매진, 산성가스, DXN(다이옥신)류 등이 제거된다. 상기 반응 집진장치(15)로부터 배출된 집진재는 약제 처리되어 매립하여 처분된다. 연소배기 가스는 증기식 가열기(16)에서 재가열되어, 촉매 반응장치(17)에서 NOx가 제거된 후, 유인 팬(18)을 거쳐서 굴뚝(19)으로부터 대기 방출된다.
상기 유동상 가스화 로(3)는, 측벽에 폐기물투입 호퍼(1)와, 해당 폐기물 투입 호퍼(1)의 아래쪽에 연결된 급진기(2)를 구비하고 있다. 해당 급진기(2)는, 케이스 내에 관통된 회전축과, 해당 회전축에 고정된 스크류 날개와, 회전축의 단부에 연결되어 해당 회전축을 회전구동하는 모터(2a)로 구성된다. 이 급진기(2)는, 원칙으로서 모터(2a)에 의해 회전축과 스크류 날개를 회전 제어함으로써, 상기 유동상 가스화 로(3)내에 공급하는 폐기물의 공급량(공급속도)를 조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유동상 가스화 로(3) 노바닥부에 유동사(流動砂)가 충전된 유동층(20)이 형성되고, 그 위쪽에 보조 연료버너(21)가 마련된다. 화로 바닥부에는 복수의 바람 박스(4)가 병설되어 있다. 해당 바람 박스(4)를 거쳐서 상기 유동상 가스화 로(3)내에 연소공기(41)가 도입된다. 통상 운전시의 유동층(20)은, 500∼650℃ 정도의 온도에 유지된다.
연소공기(41)는 송풍기(23)에 의해 공급되고, 해당 공급 라인상에는 FDF 댐퍼(압입 송풍기 댐퍼)(24)가 배치되어 있다. 해당 FDF 댐퍼(24)는, 그 개방도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바람 박스(4)에 공급하는 단위 시간당 연소 공기 공급량을 조정한다. 상기 FDF 댐퍼(24)의 개방도 제어는, 제어장치(35)에 의해 행하여진다.
또한, 상기 유동상 가스화 로(3)의 윗쪽에는, 선회 용융로(6)에 접속되는 열분해 가스덕트(25)가 배치된다. 상기 유동상 가스화 로(3) 윗쪽의 열분해 가스출구측에는, 로내 압력을 검출하는 로내 압력 센서(22)가 설치된다. 해당 로내 압력 센서(22)에 의해 상기 유동상 가스화 로(3)의 로내 압력이 연속적으로 검출되어, 그 검출값은 상기 제어장치(35)에 송신된다. 해당 제어장치(35)에 있어서는, 로내 압력의 검출값에 근거하여, 상기 FDF 댐퍼(24)의 개방도 제어, 및 후술하는 2차 FDF 댐퍼(2차 송풍기 댐퍼)(30), OFA 댐퍼(2차 공기 댐퍼)(31)의 개방도를 제어하여, 각 장치 내로 공급하는 단위 시간당 연소 공기 공급량을 조정한다.
상기 선회 용융로(6)는, 단면 원형형상의 화로본체를 갖고 있고, 측벽에는, 열분해 가스덕트(25)로부터 연장되어 마련되어 열분해 가스를 상기 선회 용융로(6)내에 불어넣는 하나 또는 복수의 열분해 가스 버너가 배치된다. 해당 열분해 가스 버너의 근방에는, 불씨 버너(26), 보조 연료버너(27)가 배치된다. 또한, 상기 선회 용융로(6)의 화로 상부는 좁은 구조의 연결부(11)를 거쳐서 2차 연소실(12)에 연통하고 있다. 상기 선회 용융로(6)에서 발생한 연소배기 가스는 해당 2차 연소실(12)에 보내진다. 상기 선회 용융로(6)의 화로 바닥부에는 슬래그 배출구(7)가 마련되고, 해당 슬래그 배출구(7)로부터 아래쪽으로 연장되어 마련된 슬래그 배출 슈트(8)를 통하여 용융 슬래그가 배출되게 되고 있다. 해당 슬래그 배출 슈트(8)에는, 상기 슬래그 배출구(7)를 향해서 용융 고화물 용융 버너(28)가 부착되어 있다. 해당 용융 고화물 용융 버너(28)에 의해 상기 슬래그 배출구(7)로부터 배출되는 용융 슬래그가 고화하여 상기 슬래그 배출구(7)가 폐색하지 않도록 가온하는 구성으로 되어있다.
상기 열분해 가스덕트(25)에는 연소공기(42)가 공급된다. 연소공기(42)는 송풍기(29)에 의해서 공급된다. 해당 공급 라인상에는 2차 FDF 댐퍼(30)가 배치되어 있다. 해당2차 FDF 댐퍼(30)는, 그 개방도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선회 용융로(6) 및 상기 2차 연소실(12)에 공급하는 단위 시간당 연소 공기 공급량을 조정한다. 상기 2차 FDF 댐퍼(30)의 개방도 제어는, 상기 제어장치(35)에 의해 행하여진다.
상기 2차 연소실(12)의 측벽에는 하나 또는 복수의 보조 연료버너(32)가 설치된다. 해당 보조 연료버너(32)에 의해, 필요에 따라서 상기 2차 연소실(12)내의 온도를 유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2차 연소실(12)에는 연소공기(43)가 공급된다. 연소공기(43)는, 상기 선회 용융로(6)에 공급되는 연소공기(42)와 동일한 송풍기(29)에 의해 공급된다. 해당 송풍기(29)로부터 공급되는 연소공기는, 상 기 2차 FDF 댐퍼(30)를 경유한 후에 분기되어, 한쪽은 OFA 댐퍼(31)를 거쳐서 상기 2차 연소실(12)에 공급되고, 다른 쪽은 상기 열분해 가스덕트(25)에 공급되어, 상기 선회 용융로(6)내에 도입된다. 해당 OFA 댐퍼(31)는, 그 개방도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2차 연소실(12)과 상기 선회 용융로(6)에 공급하는 연소공기 비율을 조정한다. 상기 OFA 댐퍼(31)의 개방도 제어는, 상기 제어장치(35)에 의해 행하여진다.
상기한 것과 같은 유동상 가스화 로(3)에 있어서는, 폐기물(40)의 발열량이나 투입량의 변동 등에 의해, 열분해 가스의 발생량에도 변동이 발생한다. 상기 유동상 가스화 로(3)에 있어서 열분해 가스가 다량으로 발생하면, 후단측의 상기 선회 용융로(6)에 있어서 열분해 가스가 완전 연소하지 않고서 CO를 대량으로 포함하는 배기 가스가 발생하여 버린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유동상 가스화 로(3), 상기 선회 용융로(6) 및 상기 2차 연소실(12)에 있어서의 연소를 적정화하여, 배기 가스중의 CO 농도를 저감하는 구성을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유동상 가스화 로(3)의 상부에 로내 압력을 검출하는 로내 압력 센서(22)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유동상 가스화 로(3)에서의 이상연소를 나타내는 로내 압력의 상태로서, 이상 연소 상태 레벨에 대응하여 복수 단계의 로내 압력조건이 미리 설정되어 있다.
도 2에 실시예에 관한 가스화 용융 시스템에 관한 제어방법의 기본흐름을 나타낸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로내 압력 센서(22)에 의해 검출한 로내 압력이, 제 1 로내 압력조건에 도달한 경우에, 상기 유동상 가스화 로(3), 상기 선회 용융로(6), 상기 2차 연소실(12)의 적어도 어느 하나에 공급하는 단위 시간당 연소 공기 공급량을 제어한다. 또한, 상기 검출한 로내 압력이 제 2 로내 압력조건에 도달한 경우에, 상기 단위 시간당 연소 공기 공급량의 제어와 동시에, 상기 급진기(2)에 있어서의 단위 시간당 급진량(공급 속도)을 제어하는 구성으로 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단위 시간당 연소 공기 공급량의 제어및 단위 시간당 급진량의 제어는, 상기 제어장치(35)에 의해 행하여진다. 그러나, 이 구성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각기의 제어가 별개의 제어장치에 행하여지도록 하여, 이들 제어장치가 각각 케스케이드 제어(cascade control)되도록 구성하더라도 좋다.
상기 한 바와 같이, 유동상 가스화 로(3)의 로내 압력이 제 1 로내 압력조건에 도달한 경우에, 제어내용으로서 단위 시간당 연소 공기 공급량의 제어를 행한다.
제 1 로내 압력조건은 복수 설정된다. 제 1 로내 압력조건으로서는, 적정한 로내 압력을 기준값으로 하면, 해당 기준값에 대한 소정의 절대값을 초과한 경우, 해당 기준값에 대한 소정의 절대값이 소정 시간 계속된 경우 등을 들 수 있다.
이 제 1 로내 압력조건에 대응한 제어 내용으로서는, 2차 FDF 댐퍼의 개방도 제어, FDF 댐퍼(24)의 개방도 제어, OFA 댐퍼(31)의 개방도 제어 중 어느 하나 또는 복수의 조합 등의 조건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제 1 로내 압력조건이 복수 중복한 경우에, 중복한 제어내용을 가산하는 제어를 한다. 즉, 2차 FDF 댐퍼(30)의 개방도를 +10%으로 제어한 후, 그 복귀 전에 동2차 FDF 댐퍼(30)의 개방도를 +15%로 제어하는 것으로 된 경우, 2차 FDF 댐퍼(30)의 개방도를 가산하여 +25%로 제어한다.
이와 같이, 중복한 제어내용을 가산하는 것은, 단위 시간당 연소 공기 공급량의 증감은, 단위 시간당 급진량의 증감 만큼 시스템의 운전상태에 영향을 미치게 하지 않기 때문에, 대폭적인 제어가 가능한 것에 기인한다.
이상과 같은 제어내용을 실시한 후, 미리 설정된 복귀조건에 도달하면, 2차 FDF 댐퍼(30)의 개방도를 본래의 상태로 되돌린다. 복귀조건으로서는, 정상상태를 나타내는 소정의 로내 압력이 된 경우, 소정의 로내 압력으로써 소정 시간 계속한 경우, 혹은 제어 계속시간이 소정 시간에 도달한 경우 등의 조건을 들 수 있다.
한편, 상기 유동상 가스화 로(3)의 로내 압력이, 제 2 로내 압력조건에 도달하면, 제어내용으로서 단위 시간당 급진량의 제어를 한다.
제 2 로내 압력조건은 복수 설정되고, 제 2 로내 압력조건으로서는, 적정한 로내 압력을 기준값으로 하면, 해당 기준값에 대한 소정의 절대값을 초과한 경우, 해당 기준값에 대한 소정의 절대값이 소정 시간 계속된 경우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제 2 로내 압력조건으로서, 로내 압력의 변화율을 들 수 있다. 이것은, 일정 시간 내에 소정범위 이상의 로내 압력변화가 연속적으로 복수회 출현한 경우, 연소상태의 이상 연소 상태 레벨이 높은 것으로 판단하여, 단위 시간당 급진량의 제어를 하도록 하는 것이다. 예컨대, 1초 이내에 0.05 kPa 이상의 변화가 3초이상 계속한 경우, 상기 유동상 가스화 로(3)에 있어서 열분해 가스가 대량으로 발생하고 있는 것으로 추측 상황을 억제하기 때문에, 후단측에서의 단위 시간당 연소 공기 공급량의 증가와 동시에, 입구측에서의 단위 시간당 급진량을 저감하여, 열분해 가스의 발생량 그 자체를 억제한다.
또한, 제 2 로내 압력조건으로서, 로내 압력의 반전조건을 들 수 있다. 이것은, 로내 압력의 시계열 변화가, 기준값 보다도 윗쪽 또는 아래쪽에 있어서 반전을 하여, 기준값까지 복귀하지 않는 경우에, 연소상태의 이상 연소 상태 레벨이 높은 것으로 판단하여, 단위 시간당 급진량의 제어를 하도록 하는 것이다. 예컨대, 기준값 보다도 높은 값으로 반전을 반복하는 경우, 열분해 가스의 발생량이 증대를 계속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이러한 상황을 억제하기 위해서, 후단측에서의 단위 시간당 연소 공기 공급량의 증가와 동시에, 입구측에서의 단위 시간당 급진량을 저감하여, 열분해 가스의 발생량 그자체를 억제한다.
이 제 2 로내 압력조건에 대응한 제어내용으로서는, 공급 기모터(2a)의 회전수제어를 들 수 있다.
이 때, 제 2 로내 압력조건은, 제 1 로내 압력조건보다 이상 연소 상태 레벨이 상회하고 있기 때문에, 필연적으로 단위 시간당 연소 공기 공급량의 제어도 행하여지고 있다. 따라서, 제 2 로내 압력조건에 도달하면, 단위 시간당 연소 공기 공급량의 제어에 덧붙여, 단위 시간당 급진량의 제어를 하는 것으로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 2 로내 압력조건이 복수 중복한 경우, 중복한 제어내용 중 제어량이 큰 쪽의 제어내용을 실행한다. 즉, 단위 시간당 급진량을 -10%로 제어한 후, 그 복귀 전에 단위 시간당 급진량을 -18%로 제어하는 것이 된 경우, 단위 시간당 급진량 -18%의 제어를 채용한다.
이와 같이, 중복한 제어내용 중, 제어량이 큰 제어를 우선시키는 것은, 단위 시간당 급진량의 증감은, 시스템의 운전상태에 미치게 하는 영향이 비교적 크기 때문이다. 즉, 단위 시간당 급진량의 변동을 최소한으로 억제하기 위해서이다.
이 제어내용을 실시한 후, 미리 설정된 복귀조건에 도달하면, 상기 2차 FDF 댐퍼(30)의 개방도를 본래의 상태로 복귀한다. 복귀조건으로서는, 정상상태를 나타내는 소정의 로내 압력이 된 경우, 소정의 로내 압력에 있어서 소정 시간 계속한 경우, 혹은 제어계속 시간이 소정 시간에 도달한 경우 등의 조건을 들 수 있다. 또한, 단위 시간당 급진량의 제어에 있어서는, 복귀할 때에, 복귀속도를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소정의 복귀속도에 따라서 서서히 단위 시간당 급진량을 복귀시킴으로써, 급격한 단위 시간당 급진량의 변동을 방지하여, 상기 유동상 가스화 로(3)내의 연소상태를 안정화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3에, 본 실시예의 시스템에 있어서의 제어방법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3(a)는, 로내 압력 센서(22)에 의해 측정한 상기 유동상 가스화 로(3)내의 로내 압력의 시계열 변화를 나타낸다. 도 3(b)는 단위 시간당 연소 공기 공급량의 제어를 나타낸다. 도 3(c)는 단위 시간당 급진량의 제어를 나타낸다. 로내 압력의 기준값(P)은 적절한 연소상태에 있어서의 로내 압력을 나타낸다. 설정값(P1∼P5)은, 이 기준값(P)을 초과하여, 이상한 연소상태를 나타내는 로내 압력이다. 여기서 P1<P2<P3<P4<P5 이다. 또한, P-P6은, 기준값(P)으로부터 P6 만큼 낮은 로내 압력이다.
도 3에 있어서, 제 1 로내 압력조건에 도달한 A 점과 B 점에서는, 각기 로내 압력조건에 대응한 단위 시간당 연소 공기 공급량에 관한 제어내용이 실행된다. A 점에서는, 로내 압력이 설정값(P1)을 초과했기 때문에, 2차 FDF 댐퍼(30)를 개방으로 제어한다. B 점에서는, 로내 압력이 설정값(P2)을 초과했기 때문에, OFA 댐퍼(31)를 개방으로 제어한다. 이 때, 제어내용을 가산하여 가는 제어를 하기 위해서, 2차 FDF 댐퍼(30)는 개방한 채로 한다. 그 후, 2차 FDF 댐퍼(30)및 OFA 댐퍼(31)를 복귀조건을 기초로 복귀시킨다. C 점에서는, 로내 압력이 P1을 초과했기 때문에, A 점과 동일한 제어를 한다.
D 점에서는, 제 2 로내 압력조건으로서, 로내 압력의 시계열 변화가 기준값보다 윗쪽에서 반전하고 있기 때문에, 단위 시간당 급진량(모터 회전수)을 감소시키는 제어를 한다. 이 때, 단위 시간당 연소 공기 공급량의 제어는 속행한다.
E 점에서는, 제 1 로내 압력조건으로서 로내 압력이 설정값 P3을 초과했기 때문에, 이것에 대응하는 제어내용으로서 OFA 댐퍼(31)를 개방으로 제어한다.
F 점에서는, 제 1 로내 압력조건으로서 로내 압력이 P-P6를 초과하여 시간 T1만큼 계속되었기 때문에, 이것에 대응하는 제어내용으로 하여, 2차 FDF 댐퍼(30)와 OFA 댐퍼(31)를 개방으로 제어한다. 이 때, E 점에서의 제어내용에 가산하는 형태로 제어가 행하여진다.
G 점에서는, 제 1 로내 압력조건및 제 2 로내 압력조건으로서, 로내 압력이 P-P6를 초과하여 시간 T2만큼 계속되었기 때문에, 이들에 대응하는 제어내용으로서, 2차 FDF 댐퍼(30)와 OFA 댐퍼(31)를 개방으로 제어함과 동시에, 단위 시간당 급진량을 감소시키는 제어를 한다.
H 점에서는, 제 1 로내 압력조건으로서 로내 압력이 P4를 초과하였기 때문, 이것에 대응하는 제어내용으로서, FDF 댐퍼(24)를 폐쇄로 제어한다.
I 점에서는, 제 2 로내 압력조건으로서 로내 압력이 설정값 P5을 초과했기때문, 이것에 대응하는 제어내용으로서, 단위 시간당 급진량을 감소시키는 제어를 한다.
J 점에서는, 제 1 로내 압력조건으로서, 로내 압력이 설정값 P3을 초과하여 시간 T3 만큼 계속되었기 때문에, 이것에 대응하는 제어내용으로서, OFA 댐퍼(31)를 개방으로 하는 제어를 한다.
또한, I 점에서의 단위 시간당 급진량제어를 복귀시키는 때는, 구배 K에 표시되되는 바와 같이, 소정의 복귀속도로 서서히 복귀시킨다.
또, 상기한 로내 압력조건과 제어내용의 조합은 일례에 지나지 않고,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로내 압력의 이상 연소 상태 레벨이 낮은 제 1 로내 압력조건에서는, 단위 시간당 연소 공기 공급량의 제어를 하여, 유동상 가스화 로(3)의 후단측에서의 열분해 가스의 연소를 촉진 또는 억제함으로써 연소상태의 안정화를 도모하고 있다. 또한, 로내 압력의 이상 연소 상태 레벨이 높은 제 2 로내 압력조건에서는, 단위 시간당 연소 공기 공급량의 제어에 덧붙여 단위 시간당 급진량을 제어하여, 열분해 가스의 발생량의 안정화를 도모하고 있다. 예컨대, 로내 압력이 높은 경우에는, 단위 시간당 연소 공기 공급량을 증대하여 유동상 가스화 로(3)의 후단측에서의 연소를 촉진함과 동시에, 단위 시간당 급진량을 저하시켜 폐기물(40)의 단위 시간당 급진량을 저감함으로써, 열분해 가스의 발생을 억제하고 있다.
본 발명과 같이, 로내 압력의 대폭적인 변동이 있었던 경우에, 단위 시간당 연소 공기 공급량만이 아니라 단위 시간당 급진량도 제어함으로써, 대량의 연소공기를 공급함에 의한 로내부온도의 저하를 방지할을 수 있다. 따라서, 연소배기 가스중의 CO 농도를 억제하는 것 뿐만 아니라, 선회 용융로(6)에 있어서의 안정 배출이 가능해진다.
이에 따라, 대폭적인 로내 압력변동에도 대응할 수 있는 시스템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제어시에 있어서도 시스템의 운전에 지장을 초래하는 일없이, 안정한 운전이 가능해진다.
이상의 기재의 기재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폐기물의 투입량이나 발열량의 변동 등에 의해 가스화 로에 있어서 대량의 열분해 가스가 발생한 경우에, 그 이상 연소 상태 레벨에 따라 단위 시간당 연소 공기 공급량 및/또는 단위 시간당 급진량의 제어를 하여, 가스 발생량의 안정화를 도모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연소공기 부족에 기인하는 유해 가스의 발생을 억제하여, 안정한 운전이 가능한 가스 용융 시스템의 제어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가스화 용융 시스템의 전체 구성도,
도 2는 도 1의 가스화 용융 시스템에 있어서의 제어방법의 기본흐름을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도 1의 가스화 용융 시스템에 있어서의 제어방법의 구체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종래의 가스화 용융 시스템의 전체 구성도.

Claims (9)

  1. 급진기(dust feeder)를 거쳐서 가스화 로 내에 공급된 폐기물을 열분해하고, 해당 가스화 로에 있어서 발생된 열분해 가스를 용융로에 도입하고, 해당 용융로에 있어서 열분해 가스의 연소열에 의해, 회분(灰分)을 용융한 후, 상기 용융로에 연결된 2차 연소실에 있어서 연소 배기 가스중의 미연분(未燃分)을 연소시키는 가스화 용융 시스템의 연소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가스화 로에서의 이상 연소를 나타내는 이상 연소 상태 레벨에 대응하여 복수 종류 또는 복수 단계의 로내 압력 조건이 미리 설정되어 있으며, 상기 가스화 로의 로내 압력을 검출하고, 해당 검출된 로내 압력에 근거하여 이상 연소 상태 레벨이, 제 1 로내 압력 조건에 도달한 경우에, 상기 가스화 로, 상기 용융로, 상기 2차 연소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공급되는 단위 시간당 연소 공기 공급량을 제어하고, 상기 제 1 로내 압력 조건보다도 이상 연소 상태 레벨이 높은 제 2 로내 압력 조건에 도달한 경우에, 상기 단위 시간당 연소 공기 공급량의 제어에 부가하여 상기 가스화 로로의 단위 시간당 급진량(給塵量)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화 용융 시스템의 연소 제어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로내 압력 조건 및 상기 제 2 로내 압력 조건이 각기 복수 설정되어 있으며, 해당 복수 설정된 각각의 제 1 로내 압력 조건에 대응하여 단위 시간당 제어 연소 공기 공급량이 각기 설정되며, 해당 복수 설정된 각각의 제 1 로내 압력 조건이 중복하여 만족된 경우에는, 만족된 제 1 로내 압력 조건에 대응하는 단위 시간당 제어 연소 공기 공급량을 가산하도록 하고,
    또한, 상기 복수 설정된 각각의 제 2 로내 압력 조건에 대응하여 단위 시간당 제어 급진량이 각각 설정되고, 해당 복수 설정된 각각의 제 2 로내 압력 조건이 중복하여 만족된 경우에는, 만족된 제 2 로내 압력 조건에 대응하는 단위 시간당 제어 급진량 중 큰 쪽을 채용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화 용융 시스템의 연소 제어 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복수 설정된 제 1 로내 압력 조건은, 미리 설정된 적정한 로내 압력을 기준값으로 하면, 로내 압력이 해당 기준값을 초과하는 제 1 설정값에 도달된 경우의 제 1 로내 압력 조건과, 로내 압력이 해당 기준값을 초과하는 제 2 설정값에서 미리 설정된 시간동안 계속된 경우의 제 1 로내 압력 조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화 용융 시스템의 연소 제어 방법.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복수 설정된 제 2 로내 압력 조건은, 미리 설정된 적정한 로내 압력을 기준값으로 하면, 로내 압력이 해당 기준값을 초과하는 제 1 설정값에 도달된 경우의 제 2 로내 압력 조건과, 로내 압력이 해당 기준값을 초과하는 제 2 설정값에서 미리 설정된 시간동안 계속된 경우의 제 2 로내 압력 조건과, 로내 압력의 시간에 따른 변화의 반전(反轉)이 기준 범위로부터 벗어난 위치에 있는 경우의 제 2 로내 압력 조건과, 로내 압력의 단위 시간당 변화량이 미리 설정된 값을 초과한 경우의 제 2 로내 압력 조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조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화 용융 시스템의 연소 제어 방법.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로내 압력 조건에 대응한 단위 시간당 급진량의 제어를 실행한 후, 해당 단위 시간당 급진량을 원상으로 복귀시킬 때에, 제어시보다 서서히 복귀시키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화 용융 시스템의 연소 제어 방법.
  6. 급진기를 거쳐서 공급된 폐기물을 열분해하여 열분해 가스를 발생시키는 가스화 로와, 해당 열분해 가스의 연소열에 의해 회분을 용융하는 용융로와, 해당 용융로에서 발생된 연소 배기 가스중의 미연분을 연소시키는 2차 연소실로 이루어지는 가스화 용융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가스화 로에서의 이상 연소를 나타내는 이상 연소 상태 레벨에 대응하여 복수 종류 또는 복수 단계의 로내 압력 조건이 미리 설정되어 있으며, 상기 가스화 로의 로내 압력을 검출하는 로내 압력 검출 수단과, 상기 로내 압력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로내 압력에 근거한 이상 연소 상태 레벨이 제 1 로내 압력 조건에 도달한 경우에, 상기 가스화 로, 상기 용융로, 상기 2차 연소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공급되는 단위 시간당 연소 공기 공급량을 제어하고, 상기 제 1 로내 압력 조건보다도 이상 연소 상태 레벨이 높은 제 2 로내 압력 조건에 도달한 경우에, 상기 단위 시간당 연소 공기 공급량의 제어에 부가하여, 상기 가스화 로로의 단위 시간당 급진량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화 용융 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에는, 상기 제 1 로내 압력 조건 및 상기 제 2 로내 압력 조건이 각기 복수 설정되어 있고, 해당 제어 수단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 1 로내 압력 조건에 대응하여 단위 시간당 제어 연소 공기 공급량이 각기 설정되고, 해당 복수의 제 1 로내 압력 조건이 중복하여 만족된 경우에는, 만족된 제 1 로내 압력 조건에 대응하는 단위 시간당 제어 연소 공기 공급량을 가산하도록 하며, 상기 복수의 제 2 로내 압력 조건에 대응하여 단위 시간당 제어 급진량이 각기 설정되고, 해당 복수의 제 2 로내 압력 조건이 중복하여 만족된 경우에는, 만족된 제 2 로내 압력 조건에 대응하는 단위 시간당 제어 급진량 중 큰 쪽을 채용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화 용융 시스템.
  8.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에 설정되는 상기 제 1 로내 압력 조건은, 미리 설정된 적정한 로내 압력을 기준값으로 하면, 로내 압력이 제 1 설정값에 도달된 경우의 제 1 로내 압력 조건과, 로내 압력이 해당 기준값을 초과하는 제 2 설정값에서 미리 설정된 시간동안 계속된 경우의 제 1 로내 압력 조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화 용융 시스템.
  9.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에 설정되는 상기 제 2 로내 압력 조건은, 미리 설정된 적정한 로내 압력을 기준값으로 하면, 로내 압력이 해당 기준값을 초과하는 제 1 설정값에 도달된 경우의 제 2 로내 압력 조건과, 로내 압력이 해당 기준값을 초과하는 제 2 설정값에서 미리 설정된 시간동안 계속된 경우의 제 2 로내 압력 조건과, 로내 압력의 시간에 따른 변화의 반전(反轉)이 기준 범위로부터 벗어난 위치에 있는 경우의 제 2 로내 압력 조건과, 로내 압력의 단위 시간당 변화량이 미리 설정된 값을 초과한 경우의 제 2 로내 압력 조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조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화 용융 시스템.
KR1020070109475A 2007-02-23 2007-10-30 가스화 용융 시스템의 연소 제어방법 및 해당 시스템 KR10091042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7-00044751 2007-02-23
JP2007044751A JP5154094B2 (ja) 2007-02-23 2007-02-23 ガス化溶融システムの燃焼制御方法及び該システ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8520A KR20080078520A (ko) 2008-08-27
KR100910427B1 true KR100910427B1 (ko) 2009-08-04

Family

ID=397854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09475A KR100910427B1 (ko) 2007-02-23 2007-10-30 가스화 용융 시스템의 연소 제어방법 및 해당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5154094B2 (ko)
KR (1) KR10091042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228100A1 (en) 2007-10-15 2010-09-09 Vining David J Apparatus and method for use in analyzing a patient's bowel
JP5281378B2 (ja) * 2008-12-05 2013-09-04 新日鉄住金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廃棄物溶融処理設備の燃焼室の燃焼制御方法
CN105588131B (zh) * 2015-12-31 2017-11-07 重庆科技学院 机械炉排式垃圾气化焚烧炉及其双锅炉节能发电系统
CN108009343A (zh) * 2017-11-29 2018-05-08 中国地质大学(武汉) 一种高炉co利用率影响因素分析方法及系统
CN112240553B (zh) * 2020-10-20 2023-02-24 江苏天楹等离子体科技有限公司 一种等离子体气化熔融炉系统及其控制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49349B1 (ko) 1998-03-26 2000-04-01 김학로 유동상소각로의 연소제어방법과 다이옥신제거방법
JP2002115833A (ja) 2000-10-11 2002-04-19 Babcock Hitachi Kk ゴミ焼却設備
JP2003269712A (ja) 2002-03-13 2003-09-25 Mitsubishi Heavy Ind Ltd 熱分解ガス化溶融炉の燃焼制御装置及び燃焼制御方法
JP2005308259A (ja) 2004-04-19 2005-11-04 Kawasaki Heavy Ind Ltd 流動層部分燃焼炉の運転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17013A (en) * 1981-01-12 1982-07-21 Agency Of Ind Science & Technol Temperature controlling method of fluidized bed furnac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49349B1 (ko) 1998-03-26 2000-04-01 김학로 유동상소각로의 연소제어방법과 다이옥신제거방법
JP2002115833A (ja) 2000-10-11 2002-04-19 Babcock Hitachi Kk ゴミ焼却設備
JP2003269712A (ja) 2002-03-13 2003-09-25 Mitsubishi Heavy Ind Ltd 熱分解ガス化溶融炉の燃焼制御装置及び燃焼制御方法
JP2005308259A (ja) 2004-04-19 2005-11-04 Kawasaki Heavy Ind Ltd 流動層部分燃焼炉の運転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8520A (ko) 2008-08-27
JP5154094B2 (ja) 2013-02-27
JP2008209041A (ja) 2008-09-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479655B2 (ja) 火格子式廃棄物焼却炉及びその燃焼制御方法
KR101890873B1 (ko) 폐기물 가스화 용해로
JP4295291B2 (ja) 流動床ガス化炉及びその流動層監視・制御方法
JP2002081624A (ja) 廃棄物ガス化溶融炉と同溶融炉の操業方法
JP4126316B2 (ja) ガス化溶融システムの運転制御方法及び該システム
KR100910427B1 (ko) 가스화 용융 시스템의 연소 제어방법 및 해당 시스템
JP5611418B2 (ja) ガス化溶融システムの燃焼制御方法及び該システム
JP4620620B2 (ja) 廃棄物ガス化装置及びその運転方法
JP3868315B2 (ja) 熱分解ガス化溶融炉の燃焼制御装置及び燃焼制御方法
JP4126317B2 (ja) ガス化溶融システムの運転制御方法及び該システム
JP4243764B2 (ja) 熱分解ガス化溶融システムとその昇温方法
JP2007078197A (ja) 焼却炉及び廃棄物の焼却方法
WO2000031470A1 (fr) Procede et dispositif d&#39;incineration de dechets
JP3902454B2 (ja) 燃焼制御方法及び廃棄物処理装置
JP6016196B2 (ja) 廃棄物ガス化溶融装置及び廃棄物ガス化溶融方法
JP4285760B2 (ja) ガス化溶融システムの運転制御方法及び該システム
JP3902123B2 (ja) ガス化溶融装置の溶融炉温度補償装置及び溶融炉温度補償方法
JP2019190730A (ja) 廃棄物ガス化溶融装置及び廃棄物ガス化溶融方法
JP2000081206A (ja) 部分燃焼炉の起動制御方法及び停止制御方法並びに起動・停止制御装置
JP4105963B2 (ja) 熱分解ガス化溶融システム
JP4233212B2 (ja) 高温旋回燃焼方法及び廃棄物処理装置
JP3789872B2 (ja) 乾燥汚泥を利用する廃棄物焼却炉の運転方法
JP2005233501A (ja) 燃焼制御方法および廃棄物処理装置
JP3750379B2 (ja) ごみガス化溶融処理システム
JP2001355807A (ja) 流動床炉における流動層温度制御方法および流動床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7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