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04925B1 - 화상 형성 장치 - Google Patents

화상 형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04925B1
KR100904925B1 KR1020070105709A KR20070105709A KR100904925B1 KR 100904925 B1 KR100904925 B1 KR 100904925B1 KR 1020070105709 A KR1020070105709 A KR 1020070105709A KR 20070105709 A KR20070105709 A KR 20070105709A KR 100904925 B1 KR100904925 B1 KR 1009049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ording material
image
size
sheet
image form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057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35991A (ko
Inventor
류이찌 요시자와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359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359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49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49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50Machine control of 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e.g. regulating differents parts of the machine, multimode copiers, microprocessor control
    • G03G15/5029Machine control of 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e.g. regulating differents parts of the machine, multimode copiers, microprocessor control by measuring the copy material characteristics, e.g. weight, thicknes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0362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relating to the copy medium handling
    • G03G2215/00535Stable handling of copy medium
    • G03G2215/00717Detection of physical properties
    • G03G2215/00734Detection of physical properties of sheet siz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ntrol Or Security For Electrophotography (AREA)
  • Electrostatic Charge, Transfer And Separation In Electrography (AREA)

Abstract

화상 형성 장치는, 기록재를 공급하는 용지 카세트, 감광체 상에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 형성부, 화상을 중간 전사 벨트에 전사하는 1차 전사 롤러, 화상을 기록재에 전사하는 2차 전사 롤러, 및 기록재의 사이즈를 검지하는 센서를 포함한다. 기록재의 급지를 개시하는 타이밍은, 화상의 형성을 개시하는 타이밍보다 빠르다. 기록재에 화상 형성을 개시하는 경우에, 센서가 기록재의 사이즈를 검지할 때까지, 미리 설정된 기록재의 사이즈에 따른 제1 간격으로 중간 전사 벨트에 복수의 화상을 형성하고,센서가 기록재의 사이즈를 검지한 후에는, 검지한 기록재의 사이즈에 따른 제2 간격으로 중간 전사 벨트에 복수의 화상을 형성한다.
화상 형성 장치, 기록재, 중간 전사체, 급지부, 화상 담지체

Description

화상 형성 장치{IMAGE FORMING APPARATUS}
본 발명은, 전자 사진 방식(electrophotographic) 또는 정전 방식(electrostatic)의 복사기 또는 프린터 등의 화상 형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화상 형성 장치로서의 컬러 레이저 프린터의 예시적인 구성을 나타낸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컬러 레이저 프린터는 컨트롤러(도시 생략)로부터 송신된 화상 신호에 기초하여 방출되는 광에 의해 화상 형성부에서 감광체(photosensitive member) 상에 정전 잠상(electrostatic latent image)을 형성한다. 감광체 상에 형성한 정전 잠상을 현상한다. 가시 화상을 중간 전사체에 중첩적으로 전사하여 컬러 가시 화상을 형성한다. 이 컬러 가시 화상을 기록재(2)에 전사한 후, 정착시킨다.
화상 형성부는, 4개의 색(옐로우(Y), 마젠타(M), 시안(C), 블랙(K))을 배열하고 현상한다. 각 화상 형성부는 감광체(5Y, 5M, 5C, 또는 5K)를 갖는다. 각 화상 형성부는 1차 대전부로서 기능하는 대전기(7Y, 7M, 7C, 또는 7K), 및 현상부(8Y, 8M, 8C, 또는 8K)를 갖는다. 컬러 레이저 프린터는 토너를 공급하기 위한 토너 카트리지(11Y, 11M, 11C, 11K), 중간 전사체(12), 급지부(1), 1차 전사 부(29Y, 29M, 29C, 29K), 2차 전사부(9) 및 정착부(13)를 더 포함한다.
감광체(5Y, 5M, 5C, 5K), 1차 대전부로 기능하는 대전기(7Y, 7M, 7C, 7K), 및 현상부(8Y, 8M, 8C, 8K)는 화상 형성 장치 본체로부터 착탈 가능한 프로세스 카트리지(22Y, 22M, 22C, 22K) 내에 통합되어 있다.
감광 드럼들(감광체라고도 한다)(5Y, 5M, 5C, 5K)의 각각은 알루미늄 실린더 및 그 실린더의 주변에 도포된 유기 광도전층을 포함한다. (도시하지 않은) 구동 모터의 구동력은 감광 드럼(5Y, 5M, 5C, 5K)에 전달되어 이들을 회전시킨다. 구동 모터는 감광 드럼(5Y, 5M, 5C, 5K)을 화상 형성 동작에 따라 도면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감광 드럼(5Y, 5M, 5C, 5K)은 스캐너부(10Y, 10M, 10C, 10K)로부터 방출되는 광에 의해 조사된다. 감광 드럼(5Y, 5M, 5C, 5K)의 표면은 화상 신호에 따라 선택적으로 광을 조사함으로써, 정전 잠상이 형성된다.
1차 대전부로 기능하는 4개의 대전기(7Y, 7M, 7C, 7K)는 옐로우(Y), 마젠타(M), 시안(C), 블랙(K)의 감광체를 대전시킨다. 각 대전기는 대전 롤러(대전 슬리브라고도 한다)(7YS, 7MS, 7CS, 7KS)를 포함한다.
현상부로서 기능하는 4개의 현상기(8Y, 8M, 8C, 8K)는 정전 잠상을 가시화하기 위해 옐로우(Y), 마젠타(M), 시안(C), 블랙(K)의 현상을 행한다. 각 현상기는, 현상 롤러(현상 슬리브라고도 한다)(8YS, 8MS, 8CS, 8KS)를 포함한다. 각 현상기는 탈착 가능하다. 중간 전사체(12)는 감광 드럼(5Y, 5M, 5C, 5K)과 접촉하고 있다. 중간 전사체(12)는 화상 형성 동안에 도면에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구동 롤러(18)는 중간 전사체(12)를 구동한다. 회전하는 감광 드럼(5Y, 5M, 5C, 5K) 상의 가시 화상들은 중간 전사체(12)에 전사된다. 전사 롤러(29Y, 29M, 29C, 29K)는 감광 드럼으로부터 중간 전사체(12)로 가시 화상을 전사하는 부재이다. 전사 롤러(29Y, 29M, 29C, 29K)의 각각은 복수의 드럼들(5Y, 5M, 5C, 5K)의 각각과 대향하는 위치에 위치하고 있다.
화상 형성 동안에, 후술하는 전사 롤러(9a)는 중간 전사체(12)와 접촉하며, 기록재(2)는 닙핑(nipping)되고 반송된다. 화상 형성부에 의해 중간 전사체(12) 상에 형성된 컬러 가시 화상을 기록재(2) 상에 전사한다. 중간 전사체(12) 상에 컬러 가시 화상을 전사하는 동안, 전사 롤러(9a)는 중간 전사체(12)와 접촉하고 있다. 인쇄 처리 종료시, 전사 롤러(9a)는 위치(9b)로 이동한다.
기록재(2)를 반송하는 동안, 정착부(13)는 기록재(2) 상에 전사된 컬러 가시 화상을 정착시킨다. 정착부(13)는 기록재(2)를 가열하는 정착 롤러(14)와 기록재(2)를 정착 롤러(14)에 대해 압접시키기 위한 가압 롤러(15)를 포함한다. 정착 롤러(14) 및 가압 롤러(15)는 중공 형상이며(hollow), 히터(16, 17)를 각각 하우징한다. 컬러 가시 화상을 유지하는 기록재(2)는 정착 롤러(14) 및 가압 롤러(15)에 의해 반송되고,가열하고 가압함으로써 토너가 표면에 정착된다. 가시 화상이 정착된 후에, 화상 형성 동작은 기록재(2)를 용지 배지부에 배지함으로써 종료한다.
컬러 레이저 프린터는 기록재 반송 경로의 센서들(23, 24, 25, 26, 19), 정착전 센서(27), 정착/배지 센서(20), 배지 센서(28)에 의해 반송 위치를 검지하고, 반송 상태를 모니터링한다. 센서(23, 25)는 하단 카세트(1B)로부터 공급되는 기록재를 검지한다. 센서(24, 26)는 상단 카세트(1A)로부터 공급되는 기록재를 검지한 다.
클리닝부(21)로서 기능하는 클리너(21)는 중간 전사체(12) 상에 잔류하는 토너를 제거한다. 중간 전사체(12) 상에 형성된 컬러 가시 화상을 기록재(2) 상에 전사한 후, 클리너(21)는 중간 전사체(12) 상에 잔류하는 토너를 제거하고, 클리너 용기에 저장한다.
색차 센서(6)는 중간 전사체(12) 상에 형성된 화상의 색차(color misregistration)를 검지한다. 농도 센서(4)는 화상의 농도를 검지한다. 이들 센서들의 검지 결과에 기초하여, 색차 및 농도가 보정된다.
도 2는 화상 형성 장치의 시스템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컨트롤러(201)는 호스트 컴퓨터(200) 및 엔진 제어부(202)와 쌍방향 통신이 가능하다(도 2의 화살표 220 및 222). 엔진 제어부(202)는 화상 처리 GA(212)와 통신하는 CPU(211), 화상 제어부(213), 정착 제어부(214), 용지 반송부(215), 및 구동 제어부(216)를 포함한다. CPU 및 화상 처리 GA는, 라인들(220, 221)을 통해 컨트롤러(201)와 인터페이스하고 있는 비디오 인터페이스부(210)와 추가적으로 인터페이스되어 있다.
컨트롤러(201)는 호스트 컴퓨터(200)로부터 화상 정보 및 인쇄 조건들을 수신한다. 컨트롤러(201)는 수신한 인쇄 조건들 및 각 기록재의 인쇄 정보(급지부, 기록재 사이즈, 인쇄 모드 등)에 기초하여, 인쇄 동작의 예약을 행하는 인쇄 예약 커맨드를 엔진 제어부(202)에 송신한다. 컨트롤러(201)는 수신한 화상 정보를 해석하고 그 화상 정보를 비트맵 데이터(인쇄 데이터)로 변환한다. 화상 정보의 해 석의 종료 시에, 컨트롤러(201)는 엔진 제어부(202)에 인쇄 동작의 개시를 지시하기 위한 인쇄 개시 커맨드 및 인쇄 데이터를 송신한다.
인쇄 개시 커맨드를 수신하면,엔진 제어부(202)는 /TOP 신호(도 2의 화살표 221)를 출력하고 급지 동작을 개시한다. /TOP 신호는 제1 화상 형성부에 대한 화상 신호의 출력의 기준 타이밍으로서 기능한다. 급지된 기록재를 레지스트레이션(registration) 롤러(3)에 일시적으로 정지시킨 후(도 1 참조), 엔진 제어부(202)는 중간 전사체 상에 형성된 토너 상이 2차 전사 위치에 도달할 때에 레지스트레이션 롤러(3)의 위치로부터 기록재를 재급지한다.
이 /TOP 신호는, 화상 형성부의 감광 드럼 상에 화상을 기입하도록 지시한다. 엔진 제어부(202)는 이 /TOP 신호를 출력하고, 감광 드럼 상에는 잠상이 형성된다.
전술한 화상 형성 장치에서,제1(옐로우) 화상 형성부의 화상 형성 개시 위치(현상 위치)로부터 2차 전사 위치까지의 거리(도 1의 A)는, 급지 위치로부터 2차 전사 위치까지의 거리(B)보다도 길 수 있다.
이 경우,기록재가 급지되는 때, 또는 기록재가 레지스트레이션 롤러(3)로부터 재급지되는 때에, 중간 전사체 상에 복수 페이지의 화상을 형성함으로써, 단위시간당 형성되는 화상의 수(이하 스루풋이라고 한다)를 증가시킬 수 있다. 따라서, 기록재를 급지하거나 재급지하기 전에 중간 전사체 상에 화상을 형성하도록 제어를 수행하고 있다.
제1 화상 형성부는 옐로우의 화상 형성부를 말한다. 화상 형성 개시 위치는 감광 드럼상에서 현상이 개시되는 위치를 말한다. 도 1에서, 화상 형성 개시 위치는 옐로우의 감광 드럼 상에 토너 상이 현상되는 위치에 대응한다.
도 3은 중간 전사체 상에 복수 페이지의 화상을 형성하여 스루풋을 증가시키는 경우의 타이밍 차트이다. 스루풋은 단위 시간당 형성되는 화상의 수를 의미한다.
컨트롤러(201)로부터 인쇄 개시 커맨드를 수신하면, 엔진 제어부(202)는 인쇄를 위한 준비 동작을 행한다. 준비 동작의 종료 후,엔진 제어부(202)는 제1 기록재에 대한 /TOP 신호를 출력하고, 기록재들에 대한 연속하는 /TOP 신호들(311, 321, 322) 간의 시간 간격이 원하는 값을 갖도록, 후속하는 기록재에 대한 /TOP 신호를 출력한다. 엔진 제어부(202)는, 각 기록재에 대한 /TOP 신호를 출력한 후 소정 타이밍 후에 급지 동작(312, 322, 332)을 개시한다. 엔진 제어부(202)는, 급지된 기록재가 레지스트레이션 롤러(3)에 도달한 시점(313, 323, 333)에 기초하여, 각 기록재의 선단을 원하는 위치까지 반송하고, 기록재의 반송을 일시적으로 정지한다(314, 324, 334). 또한, 시점들(316, 326, 336)은 기록재의 단부가 센서(19)를 통과할 때의 타이밍이다. 중간 전사체 상에 형성한 토너 상의 반송에 동기하여, 엔진 제어부(202)는 기록재의 반송을 재개하고(315, 325, 335), 토너 상을 기록재에 전사한다. 제1 용지의 재급지가 개시된 때에, 제3 용지에 대한 화상 형성을 개시한다.
전술한 동작을 수행하기 위하여, 기록재들의 연속하는 용지들 상에 전사될 화상들 간의 거리(공간)가 적절하게 되도록 중간 전사체 상에 화상들을 형성할 필 요가 있다. 2차 전사부에 일련의 용지들을 급지하는 동안에 한 용지의 선단과 다음 용지의 후단 사이의 소정의 갭이 존재해야 한다. 그러나, 2차 전사부에 도달하는 용지들 간의 최소 간격은 용지들이 반송되는 방향으로의 용지 사이즈에 의해 주로 결정된다. 따라서, 엔진 제어부(202)는 기록재의 사이즈를 미리 알 필요가 있다.
기록재 사이즈를 미리 알 수 없는 경우에는, 기록재 반송 경로의 센서에 의해 급지된 제1 기록재의 사이즈를 검지한다. 제1 기록재의 사이즈를 검지한 후, 검지한 기록재의 사이즈에 기초한 간격으로 급지 동작을 행한다. 이는 일본 특허공개공보 제2000-272781호에 개시되어 있다.
도 4는, 제1 화상 형성부의 화상 형성 개시 위치로부터 2차 전사 위치까지의 거리(도 1의 A)가, 급지 위치로부터 2차 전사 위치까지의 거리(도 1의 B)보다 길며, 기록재 사이즈가 초기에 알려지지 않은(미결정) 경우의 동작을 나타내는 타이밍 차트이다.
엔진 제어부(202)는 제1 용지의 /TOP 신호를 출력하고(411), 제1 용지에 대한 화상 형성은 그 때에 개시된다. 또한, 엔진 제어부(202)는, 그 용지에 대한 /TOP 신호를 출력하고 나서 소정 시간 후에 제1 용지에 대한 급지 동작(412)을 개시한다. 급지된 기록재가 레지스트레이션 롤러(3)에 도달한 시점(413)에 기초하여, 엔진 제어부(202)는 기록재의 제1 용지의 선단을 원하는 위치까지 반송하고 기록재의 반송을 일시적으로 정지한다(414). 그 후, 중간 전사체 상에 형성한 토너 상의 반송에 동기하여, 기록재의 제1 용지의 반송을 재개(415)함으로써, 토너 상을 기록재의 제1 용지 상으로 전사한다. 이 때, 엔진 제어부(202)는, 제1 기록재의 선단이 레지스트레이션 센서(19)에 도달한 때로부터 기록재 후단이 레지스트레이션 센서(19)를 떠날 때까지의 시간에 기초하여, 제1 기록재의 반송 방향 길이(이하, 기록재의 실제 길이라고도 한다)를 검지하는 사이즈 검지 동작을 수행한다. 따라서, 제1 용지의 후단이 레지스트레이션 센서(19)에 도달할 때까지 사이즈 검지 동작의 종료(416)는 발생하지 않는다.
기록재의 제1 용지의 후단이 레지스트레이션 센서(19)를 떠나는 시점에서, 엔진 제어부(202)는 제2 용지의 인쇄 동작을 개시하고, 제2 용지의 /TOP 신호를 출력한다(421). 엔진 제어부(202)는 검지한 기록재의 길이에 따른 간격으로 최적의 스루풋을 실현할 수 있도록 제2 용지 및 후속하는 용지의 /TOP 신호들을출력한다. 참조번호 422는 제2 기록재의 급지의 개시를 나타낸다. 참조번호 423은 제2 기록재가 레지스트레이션 롤러에 도달할 때의 시점을 나타낸다. 참조번호 424 및 425는 제2 기록재에 대한 레지스트레이션 롤러의 구동 타이밍을 나타낸다. 참조번호 431은 제3 기록재의 /TOP 신호를 나타낸다. 참조번호 432는 제3 기록재의 공급 개시를 나타낸다. 참조번호 433은 제3 기록재가 레지스트레이션 롤러에 도달할 때의 시점을 나타낸다. 참조번호 434 및 435는 제3 기록재에 대한 레지스트레이션 롤러를 구동하는 타이밍을 나타낸다.
그러나, 이 경우에서 기록재의 사이즈가 초기에 불분명하기 때문에, 엔진 제어부(202)는 제1 용지에 기초하여 용지 사이즈 검지가 종료될 때까지(즉, 제1 용지가 센서(19)를 떠날 때까지) 제2 용지의 /TOP 신호의 출력을 지연시켜야 한다. 따 라서,기록재의 사이즈가 미리 알려진 경우에 비해, 제1 용지와 제2 용지 간의 인쇄 간격이 보다 크다. 이는 화상 형성 장치의 스루풋 및 그에 따른 성능을 저하시킨다.
중간 전사체 상의 제1 화상 형성부의 화상 형성 개시 위치로부터 2차 전사 위치까지의 거리가 길어질수록, 성능의 저하도 커진다.
본 발명은, 기록재의 사이즈가 불분명한 경우에도, 성능의 저하를 최소한으로 하는 화상 형성 동작을 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은, 화상 형성부의 화상 형성 개시 위치로부터 2차 전사 위치까지의 거리가, 급지 위치로부터 2차 전사 위치까지의 거리보다도 긴 화상 형성 장치에서,기록재의 사이즈가 불분명할 경우라도 성능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있어서, 화상 형성 장치는, 기록재를 급지하도록 구성된 급지부, 화상 담지체 상에 화상을 형성하도록 구성된 화상 형성부, 상기 화상 담지체 상에 형성된 화상을 중간 전사체로 전사하도록 구성된 1차 전사부, 상기 중간 전사체 상에 전사된 화상을 상기 급지부로부터 급지된 기록재에 전사하도록 구성된 2차 전사부, 상기 기록재의 사이즈를 검지하도록 구성된 사이즈 검지부, 및 화상 형성의 간격을 설정하도록 구성된 설정부를 포함한다. 상기 급지부로부터 상기 기록재의 급지를 개시하는 타이밍은, 상기 화상 형성부에 의해 화상의 형성을 개시하는 타이밍보다 빠르다. 상기 설정부는, 상기 기록재에 화상 형성을 개시할 경우에 상기 사이즈 검지부가 상기 기록재의 사이즈를 검지할 때까지, 미리 설정된 기록재의 사이즈에 따른 제1 간격으로 상기 중간 전사체 상에 복수의 화상을 형성하고,상기 사이즈 검지부가 상기 기록재의 사이즈를 검지한 후에는, 검지한 기록재의 사이즈에 따른 제2 간격으로 상기 중간 전사체 상에 복수의 화상을 형성하도록 화상 형성의 간격을 설정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있어서, 화상 형성 장치는, 기록재를 급지하도록 구성된 급지부, 화상 담지체 상에 화상을 형성하도록 구성된 화상 형성부, 상기 화상 담지체 상에 형성된 화상을 중간 전사체에 전사하도록 구성된 1차 전사부, 상기 중간 전사체에 전사된 화상을 상기 급지부로부터 급지된 기록재 상에 전사하도록 구성된 2차 전사부, 상기 기록재의 사이즈를 검지하도록 구성된 사이즈 검지부, 화상 형성의 간격을 설정하도록 구성된 설정부, 및 상기 기록재의 사이즈를 지정하도록 구성된 지정부를 포함한다. 상기 급지부로부터 상기 기록재의 급지를 개시하는 타이밍은, 상기 화상 형성부에 의해 화상의 형성을 개시하는 타이밍보다 빠르다. 상기 설정부는, 상기 기록재 상에 화상 형성을 개시할 경우에 상기 지정부에 의해 지정되는 기록재의 사이즈에 따른 제1 간격으로 상기 중간 전사체 상에 복수의 화상을 형성하고,상기 사이즈 검지부가 상기 기록재의 사이즈를 검지한 후에는, 검지한 기록재의 사이즈에 따른 제2 간격으로 상기 중간 전사체 상에 복수의 화상을 형성하도록 화상 형성의 간격을 설정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 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기록재의 사이즈가 불분명한 경우에도, 성능의 저하를 최소한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특징 및 양태들을 설명한다.
<제1 실시예>
화상 형성 장치로서의 컬러 레이저 프린터의 구성 및 동작은 도 1에서와 유사하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 화상 형성부의 화상 형성 개시 위치로부터 2차 전사 위치까지의 거리가 급지 위치로부터 2차 전사 위치까지의 거리보다 길다는 것을 상정하고 있다. 여기서는, 기록재(이하, "용지"라고 한다) 사이즈가 불분명한 경우에도 성능을 저하시키지 않고 화상 형성 동작을 행하는 방법을 설명할 것이다.
화상 형성 장치의 시스템 구성은 도 2에서와 동일하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1 화상 형성부는 옐로우의 화상 형성부를 말한다. 화상 형성 개시 위치는 감광 드럼상에 현상이 개시되는 위치를 말한다. 본 실시예에서, 엔진 제어부(202)가 기록재의 길이를 검지할 때까지, 엔진 제어부(202)는 급지부에 설정가능한 최대 사이즈의 용지에 인쇄를 행할 수 있는 그러한 인쇄 간격으로 /TOP 신호를 출력한다. 용지의 길이를 검지한 후, 엔진 제어부(202)는 검지한 용지의 길 이에 따라 최적의 스루풋을 실현할 수 있는 간격으로 /TOP 신호를 출력한다.
이하에서는,급지부에 설정가능한 최대 사이즈의 용지가 리걸 사이즈(legal 사이즈)(반송 방향으로의 용지 사이즈: 355.6mm)인 경우, 및 급지부에 실제로 설정된 용지가 레터 사이즈(반송 방향으로의 용지 사이즈: 279.4mm)인 경우를 예로서 설명한다.
도 5는 제1 실시예에 이용되는 인쇄 동작의 타이밍 차트이다. 용지 사이즈가 불명확(미결정)하기 때문에,엔진 제어부(202)는 제1 용지의 /TOP 신호를 출력하고, 그 후 용지가 리걸 사이즈인 것을 전제로 하여 후속하는 용지에 대한 /TOP 신호(511, 521, 531)를 출력한다. /TOP 신호들 간의 시간 간격은 최대 사이즈(리걸 사이즈)에 기초한 Tmax이다. 즉, Tmax = (리걸 사이즈) + 마진이다. 마진은 급지 간격에 따라 적절히 설정된다.
제1 용지의 /TOP 신호를 출력하고나서 소정 시간 후에, 엔진 제어부(202)는 제1 용지에 대한 급지 동작(512)을 개시한다. 급지된 제1 용지가 레지스트레이션 롤러(3)에 도달한 시점(513)에 기초하여, 엔진 제어부(202)는 제1 용지의 선단을 원하는 위치까지 반송하고, 용지의 반송을 일시적으로 정지한다(514). 중간 전사체 상에 형성한 제1 용지에 대한 토너 상에 동기하여, 엔진 제어부(202)는 용지의 반송을 재개(515)하고, 토너 상을 용지에 전사한다. 이 때, 엔진 제어부(202)는 제1 용지의 선단이 센서(19)에 도달한 때(513)로부터 용지의 후단이 센서(19)를 떠날 때(516)까지의 시간을 측정하고, 그 결과에 기초하여, 제1 용지의 실제 사이즈를 계산하며, 사이즈 검지 동작은 시점(517)에서 종료된다.
본 예에서는, 제1 용지의 길이의 검지가 종료되기 전에, 제2 용지에 대한 /TOP 신호를 출력한다(521). 엔진 제어부(202)는 제1 용지 및 제2 용지에 대한 /TOP 신호들 사이의 간격으로서 Tmax를 사용한다. 이 동작은 최대 사이즈(리걸 사이즈)의 용지들이 급지부에 설정되어 있다는 전제에 기초한다. 간격 Tmax는 소정의 값을 가지며, 사이즈 검지 동작과는 별도로 설정된다. 본 예에서의 사이즈 검지 동작은 제3 용지에 대한 /TOP 신호가 출력되기 전에 종료되지만, 본 실시예에서, 간격 Tmax는 제2 용지 및 제3 용지에 대한 /TOP 신호들 사이의 간격으로서 한번 더 사용된다. 본 실시예에서, 엔진 제어부는 제3 용지 및 제4 용지에 대한 /TOP 신호들(541) 사이의 간격으로 개시되는 용지의 검지된 길이(용지 사이즈)에 기초하는 간격 T를 이용하도록 스위칭된다.
본 실시예의 도 5의 경우,제1 용지의 길이의 검지는 제2 용지의 /TOP 신호의 후에 종료되기 때문에, 제2 용지와 제3 용지의 /TOP 신호들 사이의 출력 간격 Tmax는 리걸 사이즈에 기초하여 결정된다. 제3 용지의 /TOP 신호가 출력된 후에는, 제1 용지의 길이의 검지가 이미 종료되었기 때문에(517), 제3 용지 이하의 /TOP 신호 출력들 사이의 출력 간격 T는 검지한 용지의 길이(레터 사이즈)에 기초하여 설정된다. 참조번호 522는 제2 기록재의 급지의 개시를 나타낸다. 참조번호 523은 제2 기록재가 레지스트레이션 롤러에 도달할 때의 시점을 나타낸다. 참조번호 526은 제2 기록재의 단부가 센서(19)를 통과할 때의 시점을 나타낸다. 참조번호 524 및 525는 제2 기록재에 대한 레지스트레이션 롤러의 구동 타이밍을 나타낸다. 참조번호 532는 제3 기록재의 급지의 개시를 나타낸다. 참조번호 533은 제3 기록재가 레지스트레이션 롤러에 도달할 때의 시점을 나타낸다. 참조번호 536은 제3 기록재의 단부가 센서(19)를 통과할 때의 시점을 나타낸다. 참조번호 534 및 535는 제3 기록재에 대한 레지스트레이션 롤러의 구동 타이밍을 나타낸다.
도 6은 본 실시예에서의 동작 타이밍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엔진 제어부(202)는 제1 용지의 /TOP 신호를 출력하고, 제2 용지의 /TOP 신호의 출력 타이밍을 최대 사이즈(리걸 사이즈)에 기초하여 설정한다(601, 602). 다음, 인쇄를 계속할지의 여부를 판정한다(603). 인쇄가 계속되지 않으면, 처리는 종료된다. 인쇄가 계속되면, 처리는 604로 진행한다.
제2 용지의 /TOP 신호의 출력 타이밍에서, 엔진 제어부(202)는 제2 용지의 /TOP 신호를 출력한다(604, 605). 제2 용지의 /TOP 신호를 출력한 후에, 엔진 제어부(202)는 제1 용지의 길이의 검지가 종료하였는지의 여부를 체크한다(606).
제1 용지의 길이의 검지가 종료한 경우에는, 검지한 용지의 길이(레터 사이즈)에 기초하여 다음 용지의 /TOP 신호의 출력 타이밍을 설정한다(607). 제1 용지의 길이의 검지가 종료하지 않은 경우에는, 제2 용지에서와 같이, 최대 사이즈(리걸 사이즈)에 기초하여 제3 용지의 /TOP 신호의 출력 타이밍을 설정한다.
이하, 제1 용지의 길이의 검지가 종료되었는지의 여부에 따라, 다음 용지의 /TOP 신호의 출력 타이밍을 결정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엔진 제어부(202)가 용지의 길이를 검지할 때까지, 엔진 제어부(202)는 급지부에 설정될 수 있는 최대 사이즈(본 실시예에서는 리걸 사이즈)의 용지들에 대해 인쇄를 행할 수 있는 그러한 간격으로 /TOP 신호를 출력한다.
즉, 용지의 길이의 검지가 종료하기 전에, 최대 사이즈에 기초하여 /TOP 신호를 출력하기 때문에, 용지의 길이의 검지가 종료한 후에 /TOP 신호를 출력하는 종래의 방법과 비교하여 제1 용지와 제2 용지 사이의 간격이 보다 좁아진다.
종래의 방법에서는, 제1 용지의 화상을 중간 전사체에 형성한 후 제1 용지의 길이의 검지가 종료할 때까지는, 제2 용지의 화상 형성을 행하지 않는다. 반면, 본 실시예의 방법에서는,제1 용지의 길이의 검지의 종료를 대기하지 않고 제2 용지의 화상을 형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도 5의 /TOP 신호 #1과 #2의 간격은 종래 방법의 도 4에서의 /TOP 신호 #1과 #2의 간격보다도 짧아진다. 따라서, 종래 방법에 비해 스루풋의 저하가 줄어든다.
용지의 길이의 검지 후, 검지한 용지의 길이에 따라 최적의 스루풋을 실현할 수 있도록 인쇄 동작을 행한다. 이에 의해,성능의 저하를 최소로 하여 인쇄 동작을 행할 수 있다.
<제2 실시예>
제1 실시예에서는, 제3 용지에 대한 /TOP 신호가 출력되기 전에 사이즈 검지 동작이 종료되었지만, 제3 용지에 대한 /TOP 신호의 출력 타이밍은 여전히 최대 사이즈(리걸 사이즈)에 기초하여 결정되었다.
제2 실시예에서는, 제1 용지의 길이의 검지가 주어진 용지(예컨대, 제3 용지)에 대한 /TOP 신호의 출력 전에 종료될 때에, 그 용지에 대한 /TOP 신호의 출력 타이밍을 검지한 용지의 길이에 따라 변경한다.
화상 형성 장치로서의 컬러 레이저 프린터의 구성 및 동작은 도 1의 경우와 유사하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화상 형성 장치의 시스템 구성은 도 2의 경우와 동일하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1 화상 형성부는 옐로우의 화상 형성부를 말한다. 화상 형성 개시 위치는 감광 드럼 상에서 현상이 개시되는 위치를 말한다.
본 실시예에서,급지부에 설정가능한 최대 사이즈의 용지는 리걸 사이즈(반송 방향으로의 용지 사이즈: 355.6mm)이며, 실제로 급지부에 설정된 용지는 레터 사이즈(반송 방향으로의 용지 사이즈: 279.4mm)이다.
도 7은 본 실시예에서의 인쇄 동작의 타이밍 차트이다. 엔진 제어부(202)는 제1 용지의 /TOP 신호를 출력하고(711), 용지가 리걸 사이즈라는 전제에 기초하여, 후속하는 용지에 대한 /TOP 신호의 출력 간격 Tmax를 설정한다. 제1 용지의 /TOP 신호를 출력하고나서 소정 시간 후에, 엔진 제어부(202)는 급지 동작을 개시한다(712). 급지된 용지가 레지스트레이션 롤러(3)에 도달한 시점(713)에 기초하여, 엔진 제어부(202)는 용지의 선단을 원하는 위치에 반송하고, 용지의 반송을 일시적으로 정지한다(714). 중간 전사체 상에 형성한 토너 상에 동기하여, 엔진 제어부(202)는 용지의 반송을 재개하고(715), 토너 상을 용지에 전사한다. 이 때, 엔진 제어부(202)는, 제1 용지의 선단이 센서(19)에 도달한 때(713)로부터 용지의 후단이 센서(19)를 떠날 때(716)까지의 시간을 측정하고, 측정한 시간에 기초하여, 제1 용지의 실제 사이즈를 계산하며, 사이즈 검지 동작은 시점(717)에서 종료된다.
엔진 제어부(202)는, 인쇄 동작 중에 제1 용지의 길이의 검지를 모니터링한다. 검지가 종료한 경우, 엔진 제어부(202)는 최종 /TOP 신호의 출력으로부터의 경과 시간 T1 및 검지한 용지의 길이에 기초하여, 다음 용지에 대한 /TOP 신호의 출력 간격 T를 계산한다.
구체적으로,엔진 제어부(202)는 검지한 용지의 길이로부터 /TOP 신호 출력 간격 T를 계산한다. 최종 /TOP 신호를 출력한 후 시간 T가 경과한 경우에, 엔진 제어부(202)는 그 시점에서 다음 용지의 /TOP 신호를 출력한다.
제1 용지의 길이의 검지가 종료할 때까지, 엔진 제어부(202)는, 급지부에 설정가능한 용지의 최대 사이즈(리걸 사이즈)에 기초하여 설정된 소정의 간격 Tmax로 /TOP 신호를 출력한다.
본 실시예의 도 7의 경우에는, 제2 용지의 /TOP 신호의 출력 후에 제1 용지의 길이의 검지가 종료된다. 따라서, 제1 용지의 길이의 검지가 종료된 경우, 엔진 제어부(202)는 제3 용지의 /TOP 신호의 출력 타이밍을 계산하고, 제3 용지의 /TOP 신호를 출력한다(717 및 731).
도 7에서,/TOP 신호의 출력 간격 T는, 최종 /TOP 신호(721)로부터 용지의 길이의 검지가 종료한 시점(716)까지의 시간 T1을 카운팅하고, 검지한 용지의 길이(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레터 사이즈)에 따라 소정의 시간을 가산함으로써 산출한다. 즉, T는 다음의 식으로부터 계산된다.
T = T1 + α
여기서, T1은 최종 /TOP 신호로부터 용지의 길이 검지의 종료까지의 경과 시간이며, α는 소정의 시간이다. 이 시간 α는 각 용지의 사이즈에 대해 적절히 설정될 수 있다. 본 경우에서 T1은 제1 용지의 선단 및 후단이 검지되는 시간(713 및 716) 사이의 차이 대신에 검지된 사이즈의 측정치로서 사용된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이는, 제2 용지에 대한 /TOP 신호가 출력되는 시간(721)으로부터 시간(713)까지의 기간이 실질적으로 고정되어 있고, 후단(716)을 검지한 후에 사이즈 검지(717) 종료의 지연 역시 고정되고/고정되거나 무시할 수 있기 때문에 가능한 것이다.
제1 용지와 제2 용지에 대한 /TOP 신호의 간격 Tmax는, 급지부에 설정가능한 용지의 최대 사이즈(리걸 사이즈)에 기초하여 계산된다. 참조번호 722는 제2 기록재의 급지의 개시를 나타낸다. 참조번호 723은 제2 기록재가 레지스트레이션 롤러에 도달할 때의 시점을 나타낸다. 참조번호 726은 제2 기록재의 단부가 센서(19)를 통과할 때의 시점을 나타낸다. 참조번호 724 및 725는 제2 기록재에 대한 레지스트레이션 롤러의 구동 타이밍을 나타낸다. 참조번호 732는 제3 기록재의 급지의 개시를 나타낸다. 참조번호 733은 제3 기록재가 레지스트레이션 롤러에 도달할 때의 시점을 나타낸다. 참조번호 736은 제3 기록재의 단부가 센서(19)를 통과할 때의 시점을 나타낸다. 참조번호 734 및 735는 제3 기록재에 대한 레지스트레이션 롤러의 구동 타이밍을 나타낸다.
도 8은 본 실시예의 동작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엔진 제어부(202)는 제1 용지의 /TOP 신호를 출력하고, 최대 사이즈(리걸 사이즈)에 기초하여 다음 용지의 /TOP 신호 출력의 타이밍을 설정한다(801 및 802). 다음, 803에서 인쇄를 계속할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인쇄가 계속되지 않으면, 처리는 종료된다. 인쇄가 계속되면, 처리는 804로 진행한다.
엔진 제어부(202)는, 인쇄 동작 중에 제1 용지의 길이의 검지의 종료를 모니터링한다. 검지가 종료된 경우, 엔진 제어부(202)는 최종 /TOP 신호의 출력으로부터의 경과 시간 및 검지한 용지의 길이에 기초하여, 다음 용지의 /TOP 신호의 출력 타이밍을 계산한다(804 및 805).
다음, 806에서 다음 용지의 출력 /TOP 신호의 타이밍이 이용가능한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이용가능하지 않으면, 처리는 804로 진행한다. 이용가능하면, 처리는 807로 진행하여, 제1 용지의 길이의 검지가 종료한 경우, 엔진 제어부(202)는 상기 조건에서 계산한 /TOP 신호의 출력 간격으로, 다음 용지에 대한 /TOP 신호를 출력한다(807).
다음, 제1 용지의 실제 길이의 검지가 종료하였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808). 일단 용지의 길이의 검지가 종료하면, 엔진 제어부(202)는 검지한 용지의 길이에 기초하여, 다음 용지의 /TOP 신호의 출력 타이밍을 결정한다(809). 용지의 길이의 검지가 종료하지 않은 경우에는, 최대 사이즈(리걸 사이즈)에 기초하여, 다음 용지의 /TOP 신호의 출력 타이밍을 결정한다(802).
전술한 바와 같이, 엔진 제어부(202)가 용지의 길이를 검지할 때까지, 엔진 제어부(202)는 급지부에 설정가능한 최대 사이즈(본 실시예에서는 리걸 사이즈)의 용지에 대해 인쇄를 행할 수 있는 그러한 간격으로 /TOP 신호를 출력한다. 제1 용지의 길이의 검지가 종료한 경우, 엔진 제어부(202)는 다음 용지의 /TOP 신호 출력의 타이밍을 계산한다. 따라서,용지 사이즈가 불분명한 경우에도, 성능을 저하시키지 않고 인쇄 동작을 행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TOP 신호의 간격을 제1 실시예에 비해 보다 조속히 변경 할 수 있기 때문에,스루풋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제3 실시예>
제1 실시예 및 제2 실시예에서는,제1 용지의 길이의 검지가 종료할 때까지, 급지부에 설정가능한 용지의 최대 사이즈(리걸 사이즈)에 기초하여, /TOP 신호의 간격을 결정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용지의 길이의 검지가 종료할 때까지, /TOP 신호의 출력 간격은 최대 사이즈(리걸 사이즈)에 기초하여 결정하는 것이 아니라, 컨트롤러(201)에 의해 지정된 용지 사이즈에 기초하여 결정된다.
타이밍 차트는 제1 실시예의 경우와 동일하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서, /TOP 신호들 간의 간격은, Tmax의 값 대신에, 컨트롤러에 의해 지정된 Tcont의 값으로 설정된다.
여기서는,용지의 길이의 검지가 종료할 때까지 컨트롤러(201)에 의해 지정된 용지 사이즈에 기초하여, /TOP 신호의 출력 간격을 설정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여기서는,제1 실시예에서와 같이 /TOP 신호 출력시에, 다음 /TOP 신호의 출력 타이밍을 설정하는 제1 경우와, 제2 실시예에서와 같이 제1 용지의 길이의 검지가 종료한 때에 /TOP 신호의 출력 타이밍을 계산하는 제2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9는, /TOP 신호 출력시에, 다음 /TOP 신호의 출력 타이밍을 설정하는 경우의 흐름도이다. 엔진 제어부(202)는 제1 용지의 /TOP 신호를 출력하고, 컨트롤 러 (201)에 의해 지정된 용지 사이즈에 기초하여 제2 용지의 /TOP 신호의 출력 타이밍을 설정한다(901 및 902). 다음, 인쇄를 계속할지의 여부를 판정한다(903). 인쇄가 계속되지 않으면, 처리는 종료된다. 인쇄가 계속되면, 처리는 904로 진행한다.
제2 용지의 /TOP 신호의 출력 타이밍에서, 엔진 제어부는(202)는 제2 용지의 /TOP 신호를 출력한다(904, 905). 제2 용지의 /TOP 신호의 출력 후에, 엔진 제어부(202)는 제1 용지의 길이의 검지가 종료였는지의 여부를 체크한다(906). 제1 용지의 길이의 검지가 종료한 경우, 검지한 용지의 길이에 기초하여 다음 용지의 /TOP 신호의 출력 타이밍을 설정한다(907). 제1 용지의 길이의 검지가 종료하지 않은 경우에는, 제2 용지에서와 같이, 컨트롤러(201)에 의해 지정된 용지 사이즈 에 기초하여 제3 용지의 /TOP 신호의 출력 타이밍을 설정한다. 이하, 제1 용지의 길이의 검지가 종료하였는지의 여부에 따라, 다음 용지의 /TOP 신호의 출력 타이밍을 결정한다.
도 10은, 제1 용지의 길이의 검지가 종료한 경우의, /TOP 신호의 출력 타이밍을 재계산하는 경우의 흐름도이다.
엔진 제어부(202)는 제1 용지의 /TOP 신호를 출력하고, 컨트롤러(201)에 의해 지정된 용지 사이즈에 기초하여 다음 용지의 /TOP 신호의 출력 타이밍을 설정한다(1001 및 1002). 다음, 인쇄를 계속할지의 여부를 판정한다(1003). 인쇄가 계속되지 않으면, 처리는 종료된다. 인쇄가 계속되면, 처리는 1004로 진행한다. 엔진 제어부(202)는, 인쇄 중에 제1 용지의 길이의 검지를 모니터링한다. 검지가 종 료된 경우, 엔진 제어부(202)는 최종 /TOP 신호의 출력으로부터의 경과 시간 및 검지한 용지의 길이에 기초하여, 다음 용지에 대한 /TOP 신호의 출력 타이밍을 계산한다(1004 및 1005).
다음, 1006에서 다음 용지의 출력 /TOP 신호의 타이밍이 이용가능한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이용가능하지 않다면, 처리는 1004로 복귀한다. 이용가능하다면, 처리는 1007로 진행하여, 제1 용지의 길이의 검지가 종료한 경우, 엔진 제어부(202)는, 계산된 타이밍에서 다음 용지에 대한 /TOP 신호를 출력한다(1007).
다음, 제1 용지의 실제 길이의 검지가 종료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1008). 일단 용지의 길이의 검지가 종료하면, 엔진 제어부(202)는 검지한 용지의 길이에 기초하여 다음 용지의 /TOP 신호의 출력 타이밍을 결정한다(1009). 용지의 길이의 검지가 종료하지 않은 경우, 컨트롤러(201)에 의해 지정된 용지 사이즈에 기초하여 다음 용지에 대한 /TOP 신호의 출력 타이밍을 결정한다(1002).
컨트롤러는 특정 용지 사이즈 또는 프리 사이즈를 지정할 수 있다.
프리 사이즈가 지정된 경우, 소정의 용지 사이즈 이하의 사이즈를 갖는 용지에 대해 인쇄를 확실히 행할 수 있도록 /TOP 신호의 출력 간격을 설정한다.
예를 들면, 컨트롤러가 "프리 사이즈 1"을 지정하는 경우, 리걸 사이즈에 기초하여 /TOP 신호를 출력한다. 컨트롤러가 "프리 사이즈 2"를 지정하는 경우, 레터 사이즈에 기초하여 /TOP 신호를 출력한다.
최근, 유저가 자유롭게 용지 사이즈를 설정하게 하는 급지부로서 프리 사이즈의 용지를 수용할 수 있는 용지 카세트(paper cassette)가 제공되어 있다. 이 경우, 컨트롤러는 프리 사이즈의 용지 카세트가 지원하는 최대 용지 사이즈를 프리 사이즈로서 지정함으로써, 성능을 저하시키지 않고 인쇄 동작을 행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엔진 제어부(202)가 용지 길이의 검지를 종료할 때까지, 엔진 제어부(202)는 컨트롤러(201)에 의해 지정된 사이즈를 갖는 용지에 대해 인쇄를 행할 수 있는 그러한 간격으로 /TOP 신호를 출력한다. 제1 용지의 길이의 검지가 종료한 후에는, 검지한 용지의 길이에 기초하여 /TOP 신호의 출력 타이밍을 설정한다. 이는, 용지 사이즈가 불분명한 경우에도, 성능을 저하시키지 않고 인쇄 동작을 행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의 사상을 벗어나지 않고서 전술한 제1 실시예, 제2 실시예, 및 제3 실시예의 각각에 대해 다양한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한 변경들 역시 본 발명의 범위 내에 포함된다.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동일한 기술적 사상의 변경들을 포함한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개시된 예시적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의 청구범위는 변경들, 균등한 구성 및 기능들을 모두 포함하도록 최광의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화상 형성 장치의 일례로서 컬러 레이저 프린터의 전체 구조의 일례를 설명하는 도면.
도 2는 도 1의 컬러 레이저 프린터의 일부분의 블록도.
도 3은 도 1의 프린터의 스루풋을 향상시키는 종래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타이밍 차트.
도 4는 용지 사이즈를 모르는 경우에 도 1의 프린터의 인쇄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타이밍 차트.
도 5는 제1 실시예에서의 인쇄 동작을 설명하는 타이밍 차트.
도 6은 제1 실시예에서의 인쇄 동작을 설명하는 흐름도.
도 7은 제2 실시예에서의 인쇄 동작을 설명하는 타이밍 차트.
도 8은 제2 실시예에서의 인쇄 동작을 설명하는 흐름도.
도 9는 제3 실시예에서의 인쇄 동작을 설명하는 제1 흐름도.
도 10은 제3 실시예에서의 인쇄 동작을 설명하는 제2 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기록재
13: 정착부
14: 정착 롤러
15: 가압 롤러
16, 17: 히터

Claims (11)

  1. 기록재를 급지하기 위한 급지부, 화상 담지체(image bearing member)에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 형성부, 상기 화상 담지체에 형성된 화상을 중간 전사체에 전사하는 1차 전사부, 상기 중간 전사체에 전사된 화상을 상기 급지부로부터 급지된 기록재에 전사하기 위한 2차 전사부를 구비하며, 상기 급지부로부터 상기 기록재의 급지를 개시하는 타이밍보다도, 상기 화상 형성부에 의해 화상의 형성을 개시하는 타이밍이 빠른 화상 형성 장치로서,
    상기 급지부로부터 급지된 상기 기록재의 사이즈를 검지하는 사이즈 검지부와,
    복수매의 상기 기록재에 화상을 형성하는 경우, 상기 사이즈 검지부에서 상기 기록재의 사이즈가 검지될 때까지는, 미리 설정된 기록재의 사이즈에 따른 제1 간격으로 상기 중간 전사체에 복수의 화상을 형성하도록 상기 화상 형성부에 의한 화상 형성 타이밍을 제어하고, 상기 사이즈 검지부에서 상기 기록재의 사이즈를 검지한 후에는, 상기 제1 간격보다도 작은, 검지한 기록재의 사이즈에 따른 제2 간격으로 상기 중간 전사체 상에 복수의 화상을 형성하도록 상기 화상 형성부에 의한 화상 형성 타이밍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재의 반송로에서의, 상기 급지부로부터 상기 기록재의 급지를 개시하는 위치로부터 상기 2차 전사부에 의해 상기 기록재에 화상을 전사하는 위치까지의 거리가, 상기 화상 형성부에 의해 화상 담지체의 화상의 형성을 개시하는 위치로부터, 상기 화상 담지체에 형성된 화상이 상기 중간 전사체에 전사되어, 상기 2차 전사부에 의해 상기 기록재에 화상이 전사되는 위치까지의 거리보다도 짧은 화상 형성 장치.
  3. 삭제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설정된 기록재의 사이즈는, 기록재의 반송 방향의 길이이며, 또한, 상기 급지부에 공급되는 기록재의 최대의 길이인 화상 형성 장치.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이즈 검지부에서 상기 기록재의 사이즈를 검지한 후에는, 검지한 기록재의 사이즈에 따라 상기 화상 형성부에 의한 화상 형성 타이밍을 산출하는 화상 형성 장치.
  6. 기록재를 급지하기 위한 급지부, 화상 담지체에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 형성부, 상기 화상 담지체에 형성된 화상을 중간 전사체에 전사하는 1차 전사부, 상기 중간 전사체에 전사된 화상을 상기 급지부로부터 급지된 기록재에 전사하기 위한 2차 전사부를 구비하며, 상기 급지부로부터 상기 기록재의 급지를 개시하는 타이밍보다도, 상기 화상 형성부에 의해 화상의 형성을 개시하는 타이밍이 빠른 화상 형성 장치로서,
    상기 급지부로부터 급지된 상기 기록재의 사이즈를 검지하는 사이즈 검지부와,
    상기 기록재의 사이즈를 지정하는 지정부와,
    복수매의 상기 기록재에 화상을 형성하는 경우, 상기 지정부에 의해 지정된 기록재의 사이즈에 따른 제1 간격으로 상기 중간 전사체에 복수의 화상을 형성하도록 상기 화상 형성부에 의한 화상 형성 타이밍을 제어하고, 상기 사이즈 검지부에서 상기 기록재의 사이즈를 검지한 후에는, 상기 제1 간격보다도 작은, 검지한 기록재의 사이즈에 따른 제2 간격으로 상기 중간 전사체 상에 복수의 화상을 형성하도록 상기 화상 형성부에 의한 화상 형성 타이밍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재의 반송로에서의, 상기 급지부로부터 상기 기록재의 급지를 개시하는 위치로부터 상기 2차 전사부에 의해 상기 기록재에 화상을 전사하는 위치까지의 거리가, 상기 화상 형성부에 의해 화상 담지체의 화상의 형성을 개시하는 위치로부터, 상기 화상 담지체에 형성된 화상이 상기 중간 전사체에 전사되어, 상기 2차 전사부에 의해 상기 기록재에 화상이 전사되는 위치까지의 거리보다도 짧은 화상 형성 장치.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급지부는, 프리-사이즈(free-size)의 기록재를 공급가능한 급지부인 화상 형성 장치.
  9.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지정부에 의해 지정된 기록재의 사이즈는, 기록재의 반송 방향의 길이이며, 또한, 상기 급지부에 공급되는 기록재의 최대의 길이인 화상 형성 장치.
  10.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이즈 검지부에서 상기 기록재의 사이즈를 검지한 후에는, 검지한 기록재의 사이즈에 따라 상기 화상 형성 타이밍을 산출하는 화상 형성 장치.
  11.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지정부는, 복수의 기록재 사이즈를 지정가능한 화상 형성 장치.
KR1020070105709A 2006-10-20 2007-10-19 화상 형성 장치 KR10090492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286471 2006-10-20
JPJP-P-2006-00286471 2006-10-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35991A KR20080035991A (ko) 2008-04-24
KR100904925B1 true KR100904925B1 (ko) 2009-06-29

Family

ID=389809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05709A KR100904925B1 (ko) 2006-10-20 2007-10-19 화상 형성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8060003B2 (ko)
EP (1) EP1914602A3 (ko)
JP (1) JP2012212173A (ko)
KR (1) KR100904925B1 (ko)
CN (1) CN101165604B (ko)
RU (1) RU2367016C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597929B2 (ja) * 2009-03-17 2014-10-01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システムおよび画像形成プログラム
UA103919C2 (ru) 2009-03-30 2013-12-10 Кенон Кабусики Кайся Контейнер подачи проявителя и система подачи проявителя
JP5875328B2 (ja) 2011-11-01 2016-03-02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およびカートリッジ
KR102054637B1 (ko) 2011-12-06 2019-12-10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카트리지
JP6168815B2 (ja) 2012-04-03 2017-07-26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US8948660B2 (en) * 2012-04-30 2015-02-03 Lexmark International, Inc. Toner cartridge having engagement features to actuate a developer unit shutter
PT3242164T (pt) 2012-06-15 2019-09-27 Canon Kk Cartucho, cartucho de processo e aparelho de formar imagem eletrofotográfica
KR101303059B1 (ko) * 2012-06-28 2013-09-03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물과 기름을 선택적으로 분리할 수 있는 극친수성 여과 구조물
WO2014005403A1 (zh) * 2012-07-05 2014-01-09 珠海赛纳打印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感光鼓驱动头及图像形成装置驱动机构
JP5975790B2 (ja) * 2012-08-24 2016-08-23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WO2014051156A1 (en) 2012-09-25 2014-04-03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system
KR101868440B1 (ko) * 2012-10-25 2018-07-23 에이치피프린팅코리아 주식회사 화상 형성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6079145B2 (ja) * 2012-11-01 2017-02-15 株式会社リコー トナー、現像剤、画像形成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US9696684B2 (en) 2012-12-14 2017-07-04 Canon Kabushiki Kaisha Process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10025266B2 (en) 2012-12-14 2018-07-17 Canon Kabushiki Kaisha Process cartridge including a coupling member and a sheet that contacts the coupling member
JP6242201B2 (ja) * 2012-12-14 2017-12-06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6184311B2 (ja) * 2012-12-14 2017-08-23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CN103885311B (zh) * 2012-12-21 2016-01-06 株式会社理光 定影装置状况检测装置以及图像形成装置
EP3550371A1 (en) 2013-03-05 2019-10-09 Canon Kabushiki Kaisha Developing device
KR20190038954A (ko) * 2013-03-15 2019-04-09 가부시키가이샤 리코 분체 용기 및 화상 형성 장치
US9104141B2 (en) * 2013-05-29 2015-08-11 Lexmark International, Inc. Toner cartridge having a shutter with bypassing actuation
TWI652555B (zh) * 2013-05-30 2019-03-01 日商理光股份有限公司 碳粉容器、處理匣及影像形成裝置
US8967611B2 (en) 2013-05-31 2015-03-03 Hewlett-Packard Indigo B.V. Initiating an alignment correction cycle
JP6214414B2 (ja) 2014-01-31 2017-10-18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6494277B2 (ja) 2014-12-25 2019-04-03 キヤノン株式会社 印刷装置、印刷装置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
JP6602126B2 (ja) * 2015-09-16 2019-11-06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及びカートリッジに用いられる部材
JP6703783B2 (ja) 2015-12-04 2020-06-03 キヤノン株式会社 印刷装置と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10394014B2 (en) * 2016-03-22 2019-08-27 Amazon Technologies, Inc. Integrated black matrix including color filter material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46319A (ja) * 1995-11-28 1997-06-06 Konica Corp 複写機
JP2000007170A (ja) * 1998-04-24 2000-01-11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
JP2005195808A (ja) 2004-01-06 2005-07-21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
JP2006243285A (ja) 2005-03-02 2006-09-14 Fuji Xerox Co Ltd 画像形成装置及び後処理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64718A (en) * 1980-10-09 1982-04-20 Hitachi Ltd Laser beam printer
JP3610104B2 (ja) * 1994-12-21 2005-01-12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US5887217A (en) * 1995-12-25 1999-03-23 Ricoh Company, Ltd. Image forming apparatus that searches for toner cartridges in need of replacement
JP4323659B2 (ja) 1999-02-16 2009-09-02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2000272781A (ja) 1999-03-24 2000-10-03 Sharp Corp 画像形成装置
JP2001249512A (ja) * 2000-03-03 2001-09-1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画像形成装置
JP2001341899A (ja) 2000-05-31 2001-12-11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US6801728B2 (en) * 2002-02-28 2004-10-05 Seiko Epson Corporatio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method
JP2004029057A (ja) 2002-06-21 2004-01-29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US6839526B2 (en) * 2002-10-24 2005-01-04 Kabushiki Kaisha Toshiba Method and apparatus for forming image
JP4175205B2 (ja) 2003-07-22 2008-11-05 コニカミノルタビジネステクノロジーズ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KR100856402B1 (ko) * 2003-11-14 2008-09-04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형성시스템에 있어서 전사롤러 오염방지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46319A (ja) * 1995-11-28 1997-06-06 Konica Corp 複写機
JP2000007170A (ja) * 1998-04-24 2000-01-11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
JP2005195808A (ja) 2004-01-06 2005-07-21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
JP2006243285A (ja) 2005-03-02 2006-09-14 Fuji Xerox Co Ltd 画像形成装置及び後処理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060003B2 (en) 2011-11-15
CN101165604A (zh) 2008-04-23
US8577277B2 (en) 2013-11-05
RU2367016C2 (ru) 2009-09-10
CN101165604B (zh) 2010-12-08
KR20080035991A (ko) 2008-04-24
RU2007138946A (ru) 2009-04-27
EP1914602A2 (en) 2008-04-23
US20080095549A1 (en) 2008-04-24
EP1914602A3 (en) 2014-07-09
JP2012212173A (ja) 2012-11-01
US20120014730A1 (en) 2012-0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04925B1 (ko) 화상 형성 장치
KR100670877B1 (ko) 화상 형성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7570897B2 (en) Duplex image forming apparatus and method with control for ejecting different size recording sheet
US7237772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control of sheet carrier to compensate for sheet conveying distance
US8544844B2 (en) Image forming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for, and control unit for image forming apparatus
US10401777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image timing signal adjustment
JP2004021101A (ja) 画像形成装置および方法
JP2014182294A (ja) 画像形成装置
JP2008122935A (ja) 画像形成装置
JP2009103832A (ja) 画像形成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US8867982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double-sided image forming apparatus
JP5121320B2 (ja) 画像形成装置および画像形成システム
JP2007199342A (ja) 定着装置
JP2001337506A (ja) 画像形成装置
US20240012355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JP4261974B2 (ja) シート搬送装置
JP3989156B2 (ja) 画像形成装置
JP5078449B2 (ja) 画像形成装置
JP4211302B2 (ja) 画像形成装置
JP2002326754A (ja) 画像形成装置
US8606134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JP2013105029A (ja) 画像形成装置
JP2007249040A (ja) 画像形成装置
JP2010111062A (ja) 画像形成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JP2010079280A (ja) 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9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