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8440B1 - 화상 형성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화상 형성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8440B1
KR101868440B1 KR1020120119338A KR20120119338A KR101868440B1 KR 101868440 B1 KR101868440 B1 KR 101868440B1 KR 1020120119338 A KR1020120119338 A KR 1020120119338A KR 20120119338 A KR20120119338 A KR 20120119338A KR 101868440 B1 KR101868440 B1 KR 1018684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fer belt
transfer
rollers
rotation
m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93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52779A (ko
Inventor
주정용
Original Assignee
에이치피프린팅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치피프린팅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이치피프린팅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193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8440B1/ko
Priority to EP13189767.0A priority patent/EP2725426B1/en
Priority to BR112015009097-4A priority patent/BR112015009097B1/pt
Priority to PCT/KR2013/009470 priority patent/WO2014065583A1/en
Priority to AU2013335439A priority patent/AU2013335439A1/en
Priority to US14/061,246 priority patent/US9201354B2/en
Priority to RU2015110501/28A priority patent/RU2596078C1/ru
Priority to CN201310512087.6A priority patent/CN103777506A/zh
Publication of KR201400527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527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84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84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1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 G03G15/1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of a toner pattern, e.g. a powder pattern, e.g. magnetic transfer
    • G03G15/1665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of a toner pattern, e.g. a powder pattern, e.g. magnetic transfer by introducing the second base in the nip formed by the recording member and at least one transfer member, e.g. in combination with bias or hea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1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producing multicoloured copi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1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producing multicoloured copies
    • G03G15/0105Details of unit
    • G03G15/0131Details of unit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 G03G15/0136Details of unit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transfer member separable from recording member or vice versa, mode switch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1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1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 G03G15/1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of a toner pattern, e.g. a powder pattern, e.g. magnetic transfer
    • G03G15/1605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of a toner pattern, e.g. a powder pattern, e.g. magnetic transfer using at least one intermediate support
    • G03G15/1615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of a toner pattern, e.g. a powder pattern, e.g. magnetic transfer using at least one intermediate support relating to the driving mechanism for the intermediate support, e.g. gears, couplings, belt tension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lor Electrophotography (AREA)
  • Electrostatic Charge, Transfer And Separation In Electrography (AREA)

Abstract

화상 형성 장치를 개시한다. 화상 형성 장치는, 복수의 전사 롤러가 감광체에 접촉한 상태에서 복수의 전사 롤러나 감광체의 의도되지 않은 동작이 발생하더라도 장치가 손상되거나 목적하지 않은 화상이 형성되는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는, 정전 잠상을 현상제를 통해 가시 화상으로 현상하는 복수의 감광체와; 복수의 감광체들에 현상된 가시화상이 전사되는 전사 벨트와; 전사 벨트를 회전시키기 위한 전사 벨트 구동 모터와; 감광체의 가시 화상이 전사 벨트로 전사되도록 전사 벨트를 감광체 쪽으로 가압하면서 전사 벨트를 통해 감광체에 접촉하는 복수의 전사 롤러와; 복수의 전사 롤러 가운데 일부 전사 롤러가 전사 벨트를 통해 대향하는 감광체에 접촉한 상태에서 복수의 전사 롤러 가운데 나머지 전사 롤러가 전사 벨트를 통해 대향하는 감광체에 접촉하기 전에 전사 벨트 구동 모터의 회전이 정지하는지를 판단하고, 전사 벨트 구동 모터의 회전이 정지한 것으로 판단되면 나머지 전사 롤러가 전사 벨트를 통해 대향하는 감광체에 접촉하도록 복수의 전사 롤러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화상 형성 장치 및 그 제어 방법{IMAGE FORMING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본 발명은 화상 형성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현상제를 복수의 현상 유닛으로부터 용지에 전사하는 전사 장치를 갖춘 화상 형성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자 사진 방식의 화상 형성 장치는, 예를 들면 레이저 프린터와 디지털 복사기, 복합기 등과 같이, 소정 전위로 대전된 감광체에 광을 주사하여 그 외주면에 정전 잠상을 형성하고, 정전 잠상에 현상제(developing agent)인 토너를 투입하여 가시(可視) 화상으로 현상한 후 이를 인쇄 매체에 전사 및 정착시켜 화상을 인쇄하는 장치를 말한다.
컬러 화상 형성 장치는, 정전 잠상을 현상제를 통해 가시 화상으로 현상하는 복수의 감광체와, 복수의 감광체들에 현상되어 있는 가시 화상이 전사되는 전사 벨트와, 전사 벨트를 회전시키기 위한 전사 벨트 구동 모터와, 감광체의 가시 화상이 전사 벨트로 전사되도록 전사 벨트를 감광체 쪽으로 가압하면서 전사 벨트가 감광체에 접촉하도록 하는 복수의 전사 롤러를 포함한다.
전사 롤러가 전사 벨트를 가압하여 전사 벨트와 감광체가 서로 접촉하도록 하고자 할 때, 회전 중인 전사 벨트와 감광체가 서로 접촉하면, 전사 벨트나 전사 롤러, 감광체 등의 장치의 손상이 발생할 수 있고, 또 회전 중인 전사 벨트와 감광체의 접촉에 의해 마찰 대전이 발생하고, 이 마찰 대전으로 인해 인쇄물의 오염 등이 발생할 수 있다.
삭제
일 측면에 따르면, 전사 롤러가 전사 벨트를 가압하여 전사 벨트와 감광체가 서로 접촉하도록 하고자 할 때, 전사 벨트가 정지한 다음 전사 벨트를 가압함으로써 회전 중인 전사 벨트와 감광체가 서로 접촉하지 않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의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제어 방법은, 전사 벨트를 사이에 두고 복수의 감광체와 나란히 배치되어 전사 벨트가 복수의 감광체에 접촉하도록 전사 벨트를 가압하는 복수의 전사 롤러를 구비하는 화상 형성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전사 롤러가 전사 벨트를 복수의 감광체 쪽으로 가압하지 않는 상태로 전사 벨트를 회전시키는 단계와; 복수의 전사 롤러로 전사 벨트를 가압하기 위해 전사 벨트로 전달되는 동력을 차단하는 단계와; 동력의 차단 후 전사 벨트의 회전이 정지할 때까지 대기하는 단계와; 전사 벨트의 회전이 정지하면 복수의 전사 롤러가 전사 벨트를 복수의 감광체 쪽으로 가압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술한 화상 형성 장치의 제어 방법은, 전사 벨트의 회전이 정지할 때까지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대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술한 화상 형성 장치의 제어 방법에서, 미리 설정된 시간은 전사 벨트로 전달되는 동력의 차단 이후 전사 벨트가 관성 회전하는 시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술한 화상 형성 장치의 제어 방법은, 준비 모드일 때 복수의 전사 롤러 모두가 감광체에 접촉하지 않도록 복수의 전사 롤러의 가압 상태를 해제하고; 컬러 모드일 때 복수의 전사 롤러 가운데 컬러 화상의 형성에 관여하는 전사 롤러가 전사 벨트를 가압하여 감광체에 접촉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의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또 다른 제어 방법은, 전사 벨트를 사이에 두고 복수의 감광체와 나란히 배치되어 전사 벨트가 복수의 감광체에 접촉하도록 전사 벨트를 가압하는 복수의 전사 롤러를 구비하는 화상 형성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전사 롤러가 전사 벨트를 복수의 감광체 쪽으로 가압하는 상태로 전사 벨트를 회전시키는 단계와; 복수의 전사 롤러에 의한 전사 벨트의 가압 상태를 해제하기 위해 전사 벨트로 전달되는 동력을 차단하는 단계와; 동력의 차단 후 전사 벨트의 회전이 정지할 때까지 대기하는 단계와; 전사 벨트의 회전이 정지하면 복수의 전사 롤러에 의한 전사 벨트의 가압 상태를 해제한다.
또한, 상술한 화상 형성 장치의 제어 방법은, 전사 벨트의 회전이 정지할 때까지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대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술한 화상 형성 장치의 제어 방법에서, 미리 설정된 시간은 전사 벨트로 전달되는 동력의 차단 이후 전사 벨트의 관성 회전이 정지할 때까지의 시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술한 화상 형성 장치의 제어 방법은, 준비 모드일 때 복수의 전사 롤러 모두가 감광체에 접촉하지 않도록 복수의 전사 롤러의 가압 상태를 해제하고; 컬러 모드일 때 복수의 전사 롤러 가운데 컬러 화상의 형성에 관여하는 전사 롤러가 전사 벨트를 가압하여 감광체에 접촉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의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또 다른 제어 방법은, 전사 벨트를 사이에 두고 복수의 감광체와 나란히 배치되어 전사 벨트가 복수의 감광체에 접촉하도록 전사 벨트를 가압하는 복수의 전사 롤러를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전사 롤러 가운데 적어도 하나의 전사 롤러가 전사 벨트를 복수의 감광체 가운데 적어도 하나의 감광체 쪽으로 가압한 상태로 전사 벨트를 회전시키는 단계와; 복수의 전사 롤러 가운데 적어도 하나의 다른 전사 롤러로 전사 벨트를 가압하기 위해 전사 벨트로 전달되는 동력을 차단하는 단계와; 동력의 차단 후 전사 벨트의 회전이 정지할 때까지 대기하는 단계와; 전사 벨트의 회전이 정지하면 적어도 하나의 다른 전사 롤러가 전사 벨트를 적어도 하나의 다른 감광체 쪽으로 가압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술한 화상 형성 장치의 제어 방법은, 전사 벨트의 회전이 정지할 때까지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대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술한 화상 형성 장치의 제어 방법에서, 미리 설정된 시간은 전사 벨트로 전달되는 동력의 차단 이후 전사 벨트의 관성 회전이 정지할 때까지의 시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술한 화상 형성 장치의 제어 방법은, 준비 모드일 때 복수의 전사 롤러 모두가 감광체에 접촉하지 않도록 복수의 전사 롤러의 가압 상태를 해제하고; 모노 모드일 때 복수의 전사 롤러 가운데 모노 화상의 형성에 관여하는 전사 롤러만이 전사 벨트를 가압하여 감광체에 접촉하도록 하며; 컬러 모드일 때 복수의 전사 롤러 가운데 컬러 화상의 형성에 관여하는 전사 롤러가 전사 벨트를 가압하여 감광체에 접촉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술한 화상 형성 장치의 제어 방법은, 준비 모드와 모노 모드, 컬러 모드가 순서로 모드의 전환이 이루어진다.
상술한 목적의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는, 복수의 감광체와; 전사 벨트와; 전사 벨트를 사이에 두고 복수의 감광체와 나란히 배치되어 전사 벨트가 복수의 감광체에 접촉하도록 전사 벨트를 가압하는 복수의 전사 롤러와; 복수의 전사 롤러 가운데 적어도 하나의 전사 롤러가 전사 벨트를 복수의 감광체 가운데 적어도 하나의 감광체 쪽으로 가압한 상태로 전사 벨트를 회전시키고, 복수의 전사 롤러 가운데 적어도 하나의 다른 전사 롤러로 전사 벨트를 가압하기 위해 전사 벨트로 전달되는 동력을 차단하며, 동력의 차단 후 전사 벨트의 회전이 정지할 때까지 대기하고, 전사 벨트의 회전이 정지하면 적어도 하나의 다른 전사 롤러가 전사 벨트를 적어도 하나의 다른 감광체 쪽으로 가압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술한 화상 형성 장치는, 전사 벨트의 회전이 정지할 때까지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대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술한 화상 형성 장치에서, 미리 설정된 시간은 전사 벨트로 전달되는 동력의 차단 이후 전사 벨트의 관성 회전이 정지할 때까지의 시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술한 화상 형성 장치는, 준비 모드일 때 복수의 전사 롤러 모두가 감광체에 접촉하지 않도록 복수의 전사 롤러의 가압 상태를 해제하고; 모노 모드일 때 복수의 전사 롤러 가운데 모노 화상의 형성에 관여하는 전사 롤러만이 전사 벨트를 가압하여 감광체에 접촉하도록 하며; 컬러 모드일 때 복수의 전사 롤러 가운데 컬러 화상의 형성에 관여하는 전사 롤러가 전사 벨트를 가압하여 감광체에 접촉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술한 화상 형성 장치에서, 준비 모드와 모노 모드, 컬러 모드가 순서로 모드의 전환이 이루어진다.
상술한 목적의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또 다른 제어 방법은, 전사 벨트를 사이에 두고 복수의 감광체와 나란히 배치되어 전사 벨트가 복수의 감광체에 접촉하도록 전사 벨트를 가압하는 복수의 전사 롤러를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화상 형성 장치의 파워 온 이후 첫 번째 웜 업을 실시하기 전에 복수의 전사 롤러의 가압에 의한 전사 벨트와 복수의 감광체의 접촉 상태를 강제로 해제하고; 전사 벨트와 복수의 감광체의 접촉 상태가 해제되면 첫 번째 웜 업을 실시한다.
상술한 목적의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화상 형성 장치는, 복수의 감광체와; 전사 벨트와; 전사 벨트를 사이에 두고 복수의 감광체와 나란히 배치되어 전사 벨트가 복수의 감광체에 접촉하도록 전사 벨트를 가압하는 복수의 전사 롤러와; 화상 형성 장치의 파워 온 이후 첫 번째 웜 업을 실시하기 전에 복수의 전사 롤러의 가압에 의한 전사 벨트와 복수의 감광체의 접촉 상태를 강제로 해제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술한 화상 형성 장치는, 제어부는, 전사 벨트와 복수의 감광체의 접촉 상태가 해제되면 첫 번째 웜 업을 실시한다.
상술한 목적의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또 다른 제어 방법은, 전사 벨트를 사이에 두고 복수의 감광체와 나란히 배치되어 전사 벨트가 복수의 감광체에 접촉하도록 전사 벨트를 가압하는 복수의 전사 롤러를 구비하는 화상 형성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전사 롤러가 전사 벨트를 복수의 감광체 쪽으로 가압하지 않는 상태로 전사 벨트를 회전시키는 단계와; 복수의 전사 롤러로 전사 벨트를 가압하기 위해 전사 벨트로 전달되는 동력을 차단하는 단계와; 전사 벨트 제동부를 제어하여 전사 벨트의 관성 회전 속도를 감소시키는 단계와; 전사 벨트의 회전이 정지할 때까지 대기하는 단계와; 전사 벨트의 회전이 정지하면 복수의 전사 롤러가 전사 벨트를 복수의 감광체 쪽으로 가압하거나 또는 가압 상태가 해제되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술한 화상 형성 장치의 제어 방법에서, 전사 벨트 제동부는, 전사 벨트를 회전시키기 위한 전사 벨트 구동 모터의 회전 속도를 감속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술한 화상 형성 장치의 제어 방법에서, 전사 벨트 제동부는, 전사 벨트가 회전하도록 하는 구동 롤러의 회전 속도를 감속하기 위한 것이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일 측면에 따르면, 전사 롤러가 전사 벨트를 가압하여 전사 벨트와 감광체가 서로 접촉하도록 하고자 할 때, 전사 벨트가 정지한 다음 전사 벨트를 가압함으로써 회전 중인 전사 벨트와 감광체가 서로 접촉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전사 벨트나 전사 롤러, 감광체 등의 장치의 손상을 방지하고, 또 회전 중인 전사 벨트와 감광체의 접촉에 의해 발생하는 마찰 대전으로 인한 인쇄물의 오염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제어 계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낸 화상 형성 장치의 전사 장치 및 감광체에 관련된 동작 모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제어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파형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제어 계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제어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파형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제어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 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제어 계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도 10에 나타낸 화상 형성 장치의 전사 장치 및 감광체에 관련된 동작 모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 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제어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 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제어 계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도 13에 나타낸 화상 형성 장치의 전사 장치 및 감광체에 관련된 동작 모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 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제어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100)는 그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10)와, 인쇄매체가 저장되는 인쇄매체 저장유닛(20)과, 정전잠상을 현상제(예를 들면 토너)를 통해 컬러에 따라 가시화상으로 현상하는 복수의 현상유닛(30C, 30M, 30Y, 30K)과, 대전된 현상유닛(30C, 30M, 30Y, 30K)의 감광체(31)에 광을 주사하여 정전잠상을 형성하는 노광유닛(40)과, 인쇄매체 저장유닛(20)으로부터 인쇄매체를 전달받아 감광체(31)에 형성된 가시화상을 인쇄매체에 전사하는 전사장치(50, 60)와, 인쇄매체에 전사된 현상제를 인쇄매체에 정착시키는 정착유닛(70)을 포함한다.
본체(10)는 그 상부에 화상 형성이 완료된 인쇄매체가 적재되는 적재부(10a)가 마련되며, 적재부(10a)의 일측에는 화상형성이 완료된 인쇄매체가 배출되는 배지구(10b)가 마련된다. 또한 본체(10)의 일측에는 본체(10) 내부의 부품 수리 및 교체나 소모품의 교환을 위한 개구(10c)가 마련되어 있으며, 개구(10c)의 개폐를 위한 사이드 커버(11)가 설치된다. 본 실시 예에서 사이드 커버(11)는 그 하단이 본체(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하단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개구(10c)를 개폐한다.
인쇄매체 저장유닛(20)은 본체(10)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인쇄매체 카세트(21)와, 인쇄매체 카세트(21) 내에 배치되며 인쇄매체들이 적재되는 녹업플레이트(22)와, 녹업플레이트(22)를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23)를 포함한다.
현상유닛(30C, 30M, 30Y, 30K)들은 대전된 표면에 노광유닛(40)에 의해 정전잠상이 형성되는 감광체(31)와, 감광체(31)에 현상제를 공급하는 현상롤러(32)와 감광체(31)의 표면을 대전시키는 대전유닛(33)을 각각 포함한다.
본 실시 예에서 현상유닛(30C, 30M, 30Y, 30K)들은 내부에 시안(C), 마젠타(M), 옐로우(Y) 및 블랙(K) 색상의 현상제 중 어느 하나가 저장되어 시안(C), 마젠타(M), 옐로우(Y) 및 블랙(K) 색상을 각각 현상할 수 있는 4개의 현상유닛(30C, 30M, 30Y, 30K)을 포함한다. 4개의 현상유닛(30C, 30M, 30Y, 30K)은 전사장치(50, 60)의 하측에 나란히 배치된다.
노광유닛(40)은 화상 정보가 포함된 광을 현상유닛(30C, 30M, 30Y, 30K)들에 각각 마련된 감광체(31)들에 조사하여 각 감광체(31)들의 표면에 정전잠상을 형성한다.
전사장치(50, 60)는 현상유닛(30C, 30M, 30Y, 30K)들로부터 현상제에 의해 형성되는 가시화상이 전사되는 제 1 전사유닛(50)과, 제 1 전사유닛(50) 상의 가시화상이 인쇄매체로 전사되도록 하는 제 2 전사유닛(60)을 포함한다.
정착유닛(70)은 열을 발생시키는 가열롤러(71)와, 외주면이 탄성 변형 가능한 재질로 형성되어 인쇄매체를 가열롤러(71)의 외주면에 가압하는 가압롤러(72)를 포함한다.
또한 본체(10)에는 인쇄매체 저장유닛(20)의 상부에 배치되어 녹업플레이트(22)에 적재된 인쇄매체를 한장씩 픽업하는 픽업유닛(80)과, 픽업유닛(80)에 의해 픽업된 인쇄매체를 상측으로 안내하는 이송롤러(12)들과, 정착유닛(70) 상측에 배치되며 배지구(10b) 인접부에 배치되어 정착유닛(70)을 통과한 인쇄매체가 배지구(10b)를 통해 배출되도록 하는 배지유닛(90)이 배치된다. 픽업유닛(80)은 녹업플레이트(22) 상의 인쇄매체를 한 장씩 픽업하는 픽업롤러(81)를 포함하며, 배지유닛(90)은 배지구(10b) 내측에 배치되어 있는 한 쌍의 배지롤러(91)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구조의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제 1 전사유닛(50)은 본체(10) 내부에 배치되며, 현상유닛(30C, 30M, 30Y, 30K)들의 감광체(31) 상에 가시화상으로 현상된 현상제가 중첩 전사되는 전사벨트(51)와, 전사벨트(51)의 내부 양측에 배치되어 전사벨트(51)가 회전하도록 하는 구동롤러(52) 및 종동롤러(53)와, 전사벨트(51)가 사이에 개재된 상태로 각 현상유닛(30C, 30M, 30Y, 30K)의 감광체(31)들과 각각 대향되게 배치되어 감광체(31)들에 형성된 가시화상이 전사벨트(51)에 전사되도록 하는 복수의 전사 롤러(54)들과, 전사 롤러(54)들, 구동롤러(52), 종동롤러(53)의 양단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전사벨트 프레임(미도시)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제어 계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화상 형성 장치(100)의 동작 전반을 제어하는 제어부(202)는 감광체 구동 모터(204)와 전사 벨트 구동 모터(206), 인게이지 구동 모터(208)와 통신 가능하도록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어부(202)는 감광체 구동 모터(204)의 제어를 통해 감광체(31)의 회전과 정지에 관여한다. 또한 제어부(202)는 전사 벨트 구동 모터(206)의 제어를 통해 구동롤러(52)와 전사벨트(51)의 회전과 정지에 관여한다. 또한 제어부(202)는 인게이지 구동 모터(208)의 제어를 통해 전사 롤러(54)의 ‘인게이지(Engage)’와 ‘디스인게이지(Disengage)’에 관여한다. 여기서 ‘인게이지’는 전사 롤러(54)가 전사 벨트(51)를 가압하여 대향하는 감광체(31)와 전사 벨트(51)가 접촉한 상태를 의미하며, ‘디스인게이지’는 전사 롤러(54)에 의한 가압이 해제되어 감광체(31)와 전사 벨트(51)의 접촉이 해제된 상태를 의미한다(도 3 참조). 4개의 전사 롤러(54) 및 감광체(31)가 모두 인게이지되거나 디스인게이지될 수 있으며, 또는, 4개의 전사 롤러(54) 및 감광체(31) 가운데 일부만이 인게이지되거나 디스인게이지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02)는 인게이지 센서(210) 및 인코더(212)와 통신 가능하도록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인게이지 센서(210)는 전사 롤러(54)와 전사 벨트(51) 및 감광체(31)의 인게이지 상태와 디스인게이지 상태를 검출하기 위한 것으로서, 전사 롤러(54)의 인게이지 상태와 디스인게이지 상태를 검출하여, 검출된 상태 정보를 제어부(202)에 제공한다. 인코더(212)는 전사 벨트 구동 모터(206)의 인코더로서, 전사 벨트 구동 모터(206)의 회전 상태를 검출하여 그 회전 상태 정보를 제어부(202)에 제공한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낸 화상 형성 장치의 전사 장치 및 감광체에 관련된 동작 모드를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도 3(A)는 화상 형성 작업을 시작하기 전 단계인 ‘준비 모드’로서, 준비 모드에서는 모든 전사 롤러(54)와 전사 벨트(51) 및 대향하는 감광체(31)가 모두 디스인게이지된다. 여기서 대향의 의미는 4개의 전사 롤러(54)와 4개의 감광체(31)가 서로 대응되는 것을 의미한다. 준비 모드에서는 화상 형성 작업이 수행되지 않기 때문에, 모든 전사 롤러(54) 및 대향하는 감광체(31)가 모두 디스인게이지된 상태를 유지한다.
도 3(B)는 블랙 색상의 현상제를 이용하여 흑백 화상만을 형성하는 ‘모노 모드’로서, 블랙 색상(BK)만으로 화상을 형성하기 때문에 블랙 색상(BK)에 대응되는 전사 롤러(54)와 전사 벨트(51) 및 감광체(31)만이 인게이지되고, 시안(C)과 마젠타(M), 옐로우(Y) 색상에 대응되는 전사 롤러(54) 및 감광체(31)는 디스인게이지된다. 모노크롬 모드에서는 블랙 색상(BK)에 대응되는 전사 롤러(54) 및 감광체(31)만이 인게이지된 상태에서 회전하고, 시안(C)과 마젠타(M), 옐로우(Y) 색상에 대응되는 감광체(31)는 회전하지 않는다.
도 3(C)는 시안(C)과 마젠타(M), 옐로우(Y) 색상의 현상제를 이용하여 컬러 화상을 형성하는 ‘컬러 모드’로서, 블랙 색상(BK)과 시안(C), 마젠타(M), 옐로우(Y) 색상에 대응되는 4개의 전사 롤러(54)와 전사 벨트(51) 및 감광체(31) 모두가 인게이지된다. ‘컬러 모드’에서는 블랙 색상(BK)과 시안(C), 마젠타(M), 옐로우(Y) 색상이 모두 화상 형성에 관여하기 때문에, 4개의 전사 롤러(54) 및 감광체(31) 모두가 회전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100)는 이와 같은 준비 모드와 모노 모드, 컬러 모드는 ‘... → 준비 모드 → 모노 모드 → 컬러 모드 → 준비 모드 → 모노 모드 → ...’와 같은 순서로 차례대로 순환하면서 전환될 수 있다. 또는 준비 모드에서 모노 모드로 직접 전환되거나, 준비 모드에서 컬러 모드로 직접 전환될 수도 있다. 또는 컬러 모드에서 모노 모드로, 모노 모드에서 컬러 모드로 직접 전환될 수도 있다.
이 가운데, 모노 모드에서 컬러 모드로 전환되는 경우, 도 3(B)에 나타낸 것처럼 오직 블랙(BK) 색상에 대응되는 전사 롤러(54)와 감광체(31)만 인게이지된 상태에서, 도 3(C)에 나타낸 것처럼 컬러 화상을 위한 시안(C), 마젠타(M), 옐로우(Y) 색상에 대응되는 3개의 전사 롤러(54) 및 감광체(31)마저 인게이지 상태로 전환됨으로써, 4개의 전사 롤러(54)와 전사 벨트(51) 및 감광체(31)가 모두 인게이지 상태가 된다. 도 3(B)의 상태에서 도 3(C)의 상태로 전환될 때, 전사 벨트(51)를 회전시키기 위해 구동하던 전사 벨트 구동 모터(206)에 대해 정지 명령을 발생시켜서 전사 벨트 구동 모터(206)가 정지하도록 한 다음에 시안(C), 마젠타(M), 옐로우(Y) 색상에 대응되는 3개의 전사 롤러(54)와 전사 벨트(51) 및 감광체(31)가 인게이지되도록 한다.
그런데, 구동 중이던 전사 벨트 구동 모터(206)에 정지 명령이 가해졌음에도 불구하고 전사 벨트 구동 모터(206)가 즉시 정지하지 않고 회전 관성에 의해 일정 시간을 더 회전하는 상태에서 전사 롤러(54)가 인게이지 상태로 전환되면 전사 벨트 구동 모터(206)의 관성 회전에 의해 회전하는 전사 벨트(51)와 인게이지되는 전사 롤러(54)와의 접촉에 의해 전사 롤러(54) 상에 밴드(Band) 모양의 화상이 형성될 수 있고, 이 화상은 인쇄 매체의 화상에도 목적하지 않은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에서는 이와 같은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모드 전환 시 전사 벨트 구동 모터(206)의 회전 관성이 모두 소멸되어 전사 벨트 구동 모터(206)가 완전히 정지할 수 있도록 미리 설정된 시간(Δms) 동안 전사 롤러(54)의 추가적인 인게이지를 수행하지 않고, 미리 설정된 시간(Δms)이 경과한 다음에 비로소 인게이지 구동 모터(208)를 구동하여 전사 롤러(54)와 전사 벨트(51) 및 감광체(31)가 인게이지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제어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어부(202)는 모노 모드의 화상 형성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블랙 색상에 대응하는 전사 롤러(54)를 이용하여 전사 벨트(51)를 가압함으로써, 전사 벨트(51)와 BK 감광체(31)가 접촉하도록 한다(402). 이 상태에서 컬러 모드로의 모드 전환이 요구되는지를 확인한다(404). 여기서 컬러 모드로의 전환은, 컬러 화상 형성을 위한 것일수도 있고, 준비 모드로의 전환을 위해 컬러 모드를 경유하는 것일 수 있다. 모노 모드에서 컬러 모드로 전환하기 위해, 먼저 전사 벨트 구동 모터 제어 신호를 비활성화시켜서 전사 벨트 구동 모터(206)의 회전이 정지할 수 있도록 하고, 이를 위해 미리 설정된 시간동안 대기한다(406). 전사 벨트 구동 모터 제어 신호가 비활성화됨에 따라 전사 벨트(51)가 회전을 멈추게 되는데, 이 때 전사 벨트 구동 모터(206)는 바로 정지하지 않고 회전 관성에 의해 일정 시간동안 회전 상태를 더 유지하다가 정지하게 되므로, 전사 벨트 구동 모터(206)의 회전 관성이 완전히 소멸될 때까지 미리 설정된 시간(Δms) 동안 대기한다(408의 '아니오').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면(408의 '예'), 제어부(202)는 인게이지 구동 제어 신호를 활성화시켜서 컬러 화상을 위한 시안(C), 마젠타(M), 옐로우(Y) 색상에 대응되는 3개의 전사 롤러(54) 및 감광체(31)를 인게이지 상태로 전환한다(410). 이 때 전사 벨트 구동 모터(206)의 회전이 완전히 정지한 상태이므로, 시안(C), 마젠타(M), 옐로우(Y) 색상에 대응되는 3개의 전사 롤러(54) 및 감광체(31)를 인게이지 상태로 전환하더라도 아무런 문제가 없다.
여기서 미리 설정된 시간 Δms는 다음과 같은 방법을 통해 결정된다. 즉, 사전에 전사 벨트 구동 모터(206)가 정지 명령 발생 시점으로부터 완전히 정지하기 까지 어느 정도의 시간이 소요되는지를 실험을 통해 구하고, 구해진 시간을 미리 설정된 시간 Δms로 결정하여 제어부(202)가 참조할 수 있도록 한다. 물론, 전사 벨트 구동 모터(206)가 정지 명령 발생 시점으로부터 완전히 정지하기까지의 시간을 예측하거나 또는 실측할 수 있는 다른 방법을 이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미리 설정된 시간 Δms를 규정하는 대신, 전사 벨트 구동 모터(206)의 회전 상태 정보로부터 전사 벨트 구동 모터(206)가 완전히 정지하였음을 실제로 측정할 수도 있다. 제어부(202)는 전사 벨트 구동 모터(206)가 완전히 정지한 것으로 측정되면 인게이지 구동 모터 제어 신호를 활성화시켜서 전사 롤러(54)의 가압에 의해 전사 벨트(51)가 모든 감광체(310)에 접촉하는 인게이지 상태가 되어 컬러 모드의 화상 형성 작업이 수행되도록 한다(412).
도 4에 나타낸 것과 같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제어 방법에 의해, 전사벨트(51)와 감광체(31)가 서로 맞닿아 있는 상태에서 디스인게이지 상태의 전사 롤러(54)가 인게이지 상태로 전환되더라도 전사 벨트(51)와 감광체(31) 사이의 마찰 대전은 발생하지 않게 되고, 결국 밴드 모양의 화상이 형성되지 않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파형도이다. 도 5의 (A)는 전사 벨트 구동 모터 제어 신호로서, 전사 벨트 구동 모터(206)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이다. 도 5의 (B)는 인코더 출력 신호로서, 전사 벨트 구동 모터(206)의 회전 상태 정보(속도 및 회전량 등)를 나타낸다. 도 5의 (C)는 인게이지 구동 모터 제어 신호로서, 전사 롤러(54)의 위치를 변경하여 인게이지/디스인게이지 상태의 전환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이다. 도 5의 (D)는 인게이지 센서 출력 신호로서, 전사 롤러(54)의 인게이지 상태 정보를 나타낸다.
삭제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어부(202)는 현재 모노 모드의 화상 형성 작업을 수행 중인 블랙 색상에 대응하는 전사 롤러(54)의 회전을 정지시키기 위해 전사 벨트 구동 모터 제어 신호를 비활성화시킨다(t1). t1 시점에서 블랙 색상에 대응하는 전사 롤러(54)의 회전을 정지시키는 것은 모노 모드에서 컬러 모드로의 전환을 위한 것이다. 전사 벨트 구동 모터 제어 신호가 비활성화됨에 따라 전사 벨트(51)가 회전을 멈추게 되는데, 이 때 전사 벨트 구동 모터(206)는 t1 시점에서 바로 정지하지 않고 회전 관성에 의해 일정 시간동안 회전 상태를 더 유지하다가 정지하게 된다. 도 5의 인코더 출력 신호(1)에서 t1 시점 이후에도 전사 벨트 구동 모터(206)가 일정 시간 동안 회전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전사 벨트 구동 모터(206)의 회전 관성에 의한 회전이 완전히 정지된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202)는 인게이지 구동 제어 신호를 활성화시켜서 컬러 화상을 위한 시안(C), 마젠타(M), 옐로우(Y) 색상에 대응되는 3개의 전사 롤러(54) 및 감광체(31)마저 인게이지 상태로 전환되도록 제어한다(t2). t2 시점에서는 전사 벨트 구동 모터(206)의 회전이 완전히 정지한 상태이므로, 시안(C), 마젠타(M), 옐로우(Y) 색상에 대응되는 3개의 전사 롤러(54) 및 감광체(31)를 인게이지 상태로 전환하더라도 아무런 문제가 없다. 전사 벨트 구동 모터(206)의 회전 관성에 의한 회전이 완전히 정지된 것으로 판단하기 위해 제어부(202)는 전사 벨트 구동 모터 제어 신호가 활성화되는 t1 시점 이후 미리 설정된 시간 Δms가 경과하였는지를 확인하고, 미리 설정된 시간 Δms가 경과하면 전사 벨트 구동 모터(206)의 회전 관성에 의한 회전이 완전히 정지된 것으로 판단한다. 여기서 미리 설정된 시간 Δms는 다음과 같은 방법을 통해 결정된다. 즉, 사전에 전사 벨트 구동 모터(206)가 정지 명령 발생 시점으로부터 완전히 정지하기 까지 어느 정도의 시간이 소요되는지를 실험을 통해 구하고, 구해진 시간을 ‘미리 설정된 시간 Δms’로 결정하여 제어부(202)가 참조할 수 있도록 한다. 물론, 전사 벨트 구동 모터(206)가 정지 명령 발생 시점으로부터 완전히 정지하기까지의 시간을 예측하거나 또는 실측할 수 있는 다른 방법을 이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미리 설정된 시간 Δms를 규정하는 대신, 전사 벨트 구동 모터(206)의 회전 상태 정보로부터 전사 벨트 구동 모터(206)가 완전히 정지하였음을 실제로 측정할 수도 있다. 제어부(202)는 전사 벨트 구동 모터(206)가 완전히 정지한 것으로 측정되면 인게이지 구동 모터 제어 신호를 활성화시켜서 컬러 모드의 수행을 위한 전사 롤러(54)의 인게이지가 수행되도록 제어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제어 계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화상 형성 장치(100)의 동작 전반을 제어하는 제어부(502)는 감광체 구동 모터(504)와 전사 벨트 구동 모터(506), 인게이지 구동 모터(508)와 통신 가능하도록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어부(502)는 감광체 구동 모터(504)의 제어를 통해 감광체(31)의 회전과 정지에 관여한다. 또한 제어부(502)는 전사 벨트 구동 모터(506)의 제어를 통해 구동롤러(52)와 전사 벨트(51)의 회전과 정지에 관여한다. 또한 제어부(502)는 인게이지 구동 모터(508)의 제어를 통해 전사 롤러(54)의 ‘인게이지(Engage)’와 ‘디스인게이지(Disengage)’에 관여한다. 여기서 ‘인게이지’는 전사 롤러(54)가 전사 벨트(51)를 가압하여 대향하는 감광체(31)와 전사 벨트(51)가 접촉한 상태를 의미하며, ‘디스인게이지’는 전사 롤러(54)에 의한 가압히 해제되어 감광체(31)와 전사 벨트(51)의 접촉이 해제된 상태를 의미한다(도 3 참조). 4개의 전사 롤러(54)와 전사 벨트(51) 및 감광체(31)가 모두 인게이지되거나 디스인게이지될 수 있으며, 또는, 4개의 전사 롤러(54)와 전사 벨트(51) 및 감광체(31) 가운데 일부만이 인게이지되거나 디스인게이지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502)는 인게이지 센서(510) 및 인코더(512)와 통신 가능하도록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인게이지 센서(510)는 전사 롤러(54)와 전사 벨트(51) 및 감광체(31)의 인게이지 상태와 디스인게이지 상태를 검출하기 위한 것으로서, 전사 롤러(54)의 인게이지 상태와 디스인게이지 상태를 검출하여, 검출된 상태 정보를 제어부(502)에 제공한다. 인코더(512)는 전사 벨트 구동 모터(506)의 인코더로서, 전사 벨트 구동 모터(506)의 회전 상태를 검출하여 그 회전 상태 정보를 제어부(502)에 제공한다. 전사 벨트 구동 모터(506)에는 전사 벨트 제동부(514)가 마련된다. 전사 벨트 제동부(514)는 전사 벨트 구동 모터(506)가 정지할 때 전사 벨트 구동 모터(506)에 제동력을 발생시켜서 회전 관성이 소멸되는 시간을 단축시킴으로써 전사 벨트 구동 모터(506)가 좀 더 신속하게(좀 더 짧은 시간 내에) 정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전사 벨트 제동부(514)는 전사 벨트 구동 모터(506)에 제동력을 가하는 대신, 전사벨트(51)의 회전에 관여하는 구동롤러(52)에 직접 제동력을 가하도록 설치될 수도 있다. 제어부(502)는, 전사 벨트 구동 모터(506)를 정지시킬 때 전사 벨트 제동부(514)를 통해 전사 벨트 구동 모터(506)에 제동력을 가하여 전사 벨트 구동 모터(506)가 회전 상태에서 완전히 정지하기까지 소요되는 시간이 크게 단축될 수 있도록 한다. 정지 명령이 발생하면 전사 벨트 구동 모터(506)에 전력 공급이 차단되고 전사 벨트 구동 모터(506)가 관성 회전하는데, 이 때 전사 벨트 구동 모터(506)의 회전축에 마찰력을 발생시키면 전사 벨트 구동 모터(506)의 관성 회전 시간을 크게 줄일 수 있다. 또는 전사 벨트 구동 모터(506)에 약간의 역방향 전력을 공급해도 관성 회전 시간을 크게 줄일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제어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어부(202)는 모노 모드의 화상 형성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블랙 색상에 대응하는 전사 롤러(54)를 이용하여 전사 벨트(51)를 가압함으로써, 전사 벨트(51)와 BK 감광체(31)가 접촉하도록 한다(702). 이 상태에서 컬러 모드로의 모드 전환이 요구되는지를 확인한다(704). 여기서 컬러 모드로의 전환은, 컬러 화상 형성을 위한 것일 수도 있고, 준비 모드로의 전환을 위해 컬러 모드를 경유하는 것일 수도 있다. 모노 모드에서 컬러 모드로 전환하기 위해, 먼저 전사 벨트 구동 모터 제어 신호를 비활성화시켜서 전사 벨트 구동 모터(206)의 회전이 정지할 수 있도록 하되, 전사 벨트 구동 모터(206)의 회전이 정지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키기 위해 전사 벨트 구동 모터(206)의 제동을 실시하고, 또 전사 벨트 구동 모터(206)의 회전이 제동에 의해 빠른 시간 내에 감속하여 정지할 때까지 미리 설정된 시간동안 대기한다(706). 전사 벨트 구동 모터 제어 신호가 비활성화됨에 따라 전사 벨트(51)가 회전을 멈추게 되는데, 이 때 전사 벨트 구동 모터(206)는 바로 정지하지 않고 회전 관성에 의해 일정 시간동안 회전 상태를 더 유지하다가 정지하게 되므로, 전사 벨트 구동 모터(206)의 회전 관성이 완전히 소멸될 때까지 미리 설정된 시간(Δms) 동안 대기한다.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제어부(202)는 인게이지 구동 제어 신호를 활성화시켜서 컬러 화상을 위한 시안(C), 마젠타(M), 옐로우(Y) 색상에 대응되는 3개의 전사 롤러(54) 및 감광체(31)가 인게이지 상태로 전환한다(710). 이 때 전사 벨트 구동 모터(206)의 회전이 완전히 정지한 상태이므로, 시안(C), 마젠타(M), 옐로우(Y) 색상에 대응되는 3개의 전사 롤러(54) 및 감광체(31)를 인게이지 상태로 전환하더라도 아무런 문제가 없다.
여기서 미리 설정된 시간 Δms는 다음과 같은 방법을 통해 결정된다. 즉, 사전에 전사 벨트 구동 모터(206)가 정지 명령 발생 시점으로부터 완전히 정지하기 까지 어느 정도의 시간이 소요되는지를 실험을 통해 구하고, 구해진 시간을 미리 설정된 시간 Δms로 결정하여 제어부(202)가 참조할 수 있도록 한다. 물론, 전사 벨트 구동 모터(206)가 정지 명령 발생 시점으로부터 완전히 정지하기까지의 시간을 예측하거나 또는 실측할 수 있는 다른 방법을 이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미리 설정된 시간 Δms를 규정하는 대신, 전사 벨트 구동 모터(206)의 회전 상태 정보로부터 전사 벨트 구동 모터(206)가 완전히 정지하였음을 실제로 측정할 수도 있다. 제어부(202)는 전사 벨트 구동 모터(206)가 완전히 정지한 것으로 측정되면 인게이지 구동 모터 제어 신호를 활성화시켜서 전사 롤러(54)의 가압에 의해 전사 벨트(51)가 모든 감광체(31)에 접촉하는 인게이지 상태가 되어 컬러 모드의 화상 형성 작업이 수행되도록 한다(712).
도 7에 나타낸 것과 같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제어 방법에 의해, 전사벨트(51)와 감광체(31)가 서로 맞닿아 있는 상태에서 디스인게이지 상태의 전사 롤러(54)가 인게이지 상태로 전환되더라도 전사 벨트(51)와 감광체(31) 사이의 마찰 대전은 발생하지 않게 되고, 결국 밴드 모양의 화상이 형성되지 않게 된다.
삭제
도 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파형도이다. 도 8의 (A)는 전사 벨트 구동 모터 제어 신호로서, 전사 벨트 구동 모터(206)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이다. 도 8의 (B)는 인코더 출력 신호로서, 전사 벨트 구동 모터(206)의 회전 상태 정보(속도 및 회전량 등)를 나타낸다. 도 8의 (C)는 인게이지 구동 모터 제어 신호로서, 전사 롤러(54)의 위치를 변경하여 인게이지/디스인게이지 상태의 전환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이다. 도 8의 (D)는 인게이지 센서 출력 신호로서, 전사 롤러(54)의 인게이지 상태 정보를 나타낸다.
삭제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어부(202)는 현재 모노 모드의 화상 형성 작업을 수행 중인 블랙 색상에 대응하는 전사 롤러(54)의 회전을 정지시키기 위해 전사 벨트 구동 모터 제어 신호를 비활성화시킨다(t1). t1 시점에서 블랙 색상에 대응하는 전사 롤러(54)의 회전을 정지시키는 것은 모노 모드에서 컬러 모드로의 전환을 위한 것이다. 전사 벨트 구동 모터 제어 신호가 비활성화됨에 따라 전사 벨트(51)가 회전을 멈추게 되는데, 이 때 전사 벨트 구동 모터(206)는 t1 시점에서 바로 정지하지 않고 회전 관성에 의해 일정 시간동안 회전 상태를 더 유지하다가 정지하게 된다. 도 8의 인코더 출력 신호(1)에서 t1 시점 이후에도 전사 벨트 구동 모터(206)가 일정 시간 동안 회전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전사 벨트 구동 모터(206)의 회전 관성에 의한 회전이 완전히 정지된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202)는 인게이지 구동 제어 신호를 활성화시켜서 컬러 화상을 위한 시안(C), 마젠타(M), 옐로우(Y) 색상에 대응되는 3개의 전사 롤러(54) 및 감광체(31)마저 인게이지 상태로 전환되도록 제어한다(t2). t2 시점에서는 전사 벨트 구동 모터(206)의 회전이 완전히 정지한 상태이므로, 시안(C), 마젠타(M), 옐로우(Y) 색상에 대응되는 3개의 제 1 전사 롤러(54) 및 감광체(31)를 인게이지 상태로 전환하더라도 아무런 문제가 없다. 전사 벨트 구동 모터(206)의 회전 관성에 의한 회전이 완전히 정지된 것으로 판단하기 위해 제어부(202)는 전사 벨트 구동 모터 제어 신호가 활성화되는 t1 시점 이후 미리 설정된 시간 Δms가 경과하였는지를 확인하고, 미리 설정된 시간 Δms가 경과하면 전사 벨트 구동 모터(206)의 회전 관성에 의한 회전이 완전히 정지된 것으로 판단한다. 여기서 미리 설정된 시간 Δms는 다음과 같은 방법을 통해 결정된다. 즉, 사전에 전사 벨트 구동 모터(206)가 정지 명령 발생 시점으로부터 완전히 정지하기 까지 어느 정도의 시간이 소요되는지를 실험을 통해 구하고, 구해진 시간을 ‘미리 설정된 시간 Δms’로 결정하여 제어부(202)가 참조할 수 있도록 한다. 물론, 전사 벨트 구동 모터(206)가 정지 명령 발생 시점으로부터 완전히 정지하기까지의 시간을 예측하거나 또는 실측할 수 있는 다른 방법을 이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미리 설정된 시간 Δms를 규정하는 대신, 전사 벨트 구동 모터(206)의 회전 상태 정보로부터 전사 벨트 구동 모터(206)가 완전히 정지하였음을 실제로 측정할 수도 있다. 제어부(202)는 전사 벨트 구동 모터(206)가 완전히 정지한 것으로 측정되면 인게이지 구동 모터 제어 신호를 활성화시켜서 컬러 모드의 수행을 위한 전사 롤러(54)의 인게이지가 수행되도록 제어한다.
도 8에서, 전사 벨트 구동 모터(206)가 정지 명령 발생 시점(t1)으로부터 완전히 정지한 것으로 판단되기 까지(t2)의 시간(t2-t1)을 앞서 설명한 도 5의 t2-t1과 비교하면, 도 8의 t2-t1 시간이 도 5의 t2-t1 시간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짧은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제어 계통에서, 전사 벨트 제동부(514)의 제동 작용에 의해 전사 벨트 구동 모터(506) 또는 구동롤러(502)가 회전 상태에서 보다 신속하게 정지 상태에 이르는데 따른 것이다.
도 8에 나타낸 것과 같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제어 방법에 의해, 전사벨트(51)와 감광체(31)가 서로 맞닿아 있는 상태에서 디스인게이지 상태의 전사 롤러(54)가 인게이지 상태로 전환되더라도 전사벨트(51)와 감광체(31) 사이의 마찰 대전은 발생하지 않게 되고, 결국 밴드 모양의 화상이 형성되지 않게 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제어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에 나타낸 화상 형성 장치의 제어 방법은 화상 형성 장치가 파워 온 된 이후 처음 예열이 이루어져서 화상 형성 작업이 수행되는 경우, 파워 온 이전에 전사 롤러(54)의 정확한 인게이지/디스인게이지 상태를 알지 못할 때 전사 벨트(51)와 감광체(31)가 접촉한 상태로 예상하지 못한 동작이 이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용자의 파워 버튼 조작에 의해 화상 형성 장치가 파워 온 되면 전력 공급 장치를 통해 화상 형성 장치의 각 부분으로 전력이 공급된다(902). 파워 온 이후 첫 번째 웜 업이 수행되기 전에 전사 롤러(54)를 강제로 디스인게이지시킨다(904). 여기서 파워 온 이후 첫 번째 웜 업이 수행되기 전에 전사 롤러(54)를 강제로 디스인게이지 상태로 만드는 것은, 파워 온 직후의 시점에서는 현재의 전사 롤러(54)가 인게이지 상태인지 디스인게이지 상태인지를 알 수 없기 때문이다. 화상 형성 장치의 파워 온 이전에 화상 형성 장치가 화상 형성 작업 도중에 정전 등으로 인해 전력 공급이 차단되는 등의 비정상적으로 파워 오프되면, 이후 파워 온 시 전사 롤러(54)가 인게이지된 상태 또는 디스인게이지 된 상태로 전력 공급이 재개되므로 제어부(202)는 전사 롤러(54)의 현재 상태를 정확히 알 수 없다.
만약 파워 온 이후 전사 롤러(54)가 디스인게이지 상태라면 문제가 없다. 그러나 반대로 파워 온 이후 전사 롤러(54)가 인게이지 상태라면, 전사 롤러(54)가 인게이지된 상태에서 전사 벨트(51) 및 감광체(31)를 구동하게 되면 의도하지 않은 결과가 초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태 1) 전사 벨트(51)와 감광체(31)가 서로 상대 속도가 차이가 나는 경우, (상태 2) 감광체(31)는 회전을 멈춘 상태인 반면 전사 벨트(51)만 회전하는 경우, (상태 3) 감광체(31)와 전사 벨트(51)가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전사 롤러(54)가 인게이지 상태라면 전사 벨트(51)와 감광체(31)의 마찰 등으로 인해 장치가 손상되거나 원하지 않는 화상이 형성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제어 방법에 따라, 파워 온 이후 첫 번째 웜 업이 시작되기 전에 전사 롤러(54)를 강제로 디스인게이지 시킨 상태에서, 웜 업이 수행되더라도 위에서 예로 든 상태 1-3을 포함하는 여러 가지 돌발 상황에 대처할 수 있어 안정적인 화상 형성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전사 롤러(54)의 강제 디스인게이지가 완료된 이후, 전력이 공급됨에 따라 화상 형성 장치의 내부 구성 요소들 가운데 상대적으로 높은 온도가 필요한 장치들(예를 들면 정착유닛(70)의 가열 롤러(71) 등)을 미리 일정 온도로 가열시키기 위한 웜 업이 수행된다(906). 웜 업이 완료된 후 화상 형성 명령이 발생하면(908의 ‘예’) 화상 형성 명령에 상응하는 화상 형성 작업을 수행한다(910). 화상 형성 명령이 발생하지 않으면(908의 ‘아니오’) 전사 롤러(54)가 강제 디스인게이지된 상태로 대기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 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제어 계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화상 형성 장치(100)의 동작 전반을 제어하는 제어부(1002)는 감광체 구동 모터(1004)와 전사 벨트 구동 모터(1006), 인게이지 구동 모터(1008)와 통신 가능하도록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어부(1002)는 감광체 구동 모터(1004)의 제어를 통해 감광체(31)의 회전과 정지에 관여한다. 또한 제어부(1002)는 전사 벨트 구동 모터(1006)의 제어를 통해 구동 롤러(52)와 전사 벨트(51)의 회전과 정지에 관여한다. 또한 제어부(1002)는 인게이지 구동 모터(1008)의 제어를 통해 전사 롤러(54)의 "인게이지(Engage)"와 "디스인게이지(Disengage)"에 관여한다. 여기서 "인게이지"는 전사 롤러(54)가 전사 벨트(51)를 가압하여 대향하는 감광체(31)와 전사 벨트(51)가 접촉한 상태를 의미하며, "디스인게이지"는 전사 롤러(54)에 의한 가압이 해제되어 감광체(31)와 전사 벨트(51)의 접촉이 해제된 상태를 의미한다(도 11 참조).
4개의 전사 롤러(54) 및 감광체(31)가 모두 인게이지되거나 디스인게이지될 수 있으며, 또는, 4개의 전사 롤러(54) 및 감광체(31) 가운데 일부만이 인게이지되거나 디스인게이지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002)는 인게이지 센서(1010) 및 인코더(1012)와 통신 가능하도록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인게이지 센서(1010)는 전사 롤러(54)와 전사 벨트(51) 및 감광체(31)의 인게이지 상태와 디스인게이지 상태를 검출하기 위한 것으로서, 전사 롤러(54)의 인게이지 상태와 디스인게이지 상태를 검출하여, 검출된 상태 정보를 제어부(1002)에 제공한다. 인코더(1012)는 전사 벨트 구동 모터(1006)의 인코더로서, 전사 벨트 구동 모터(1006)의 회전 상태를 검출하여 그 회전 상태 정보를 제어부(1002)에 제공한다.

도 11은 도 10에 나타낸 화상 형성 장치의 전사 장치 및 감광체에 관련된 동작 모드를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도 11(A)는 화상 형성 작업을 시작하기 전 단계인 "준비 모드"로서, 준비 모드에서는 모든 전사 롤러(54)와 전사 벨트(51) 및 대향하는 감광체(31)가 모두 디스인게이지된다. 여기서 대향의 의미는 4개의 전사 롤러(54)와 4개의 감광체(31)가 서로 대응되는 것을 의미한다. 준비 모드에서는 화상 형성 작업이 수행되지 않기 때문에, 모든 전사 롤러(54) 및 대향하는 감광체(31)가 모두 디스인게이지된 상태를 유지한다.
도 11(B)는 블랙(BK), 시안(C)과 마젠타(M), 옐로우(Y) 색상의 현상제를 이용하여 컬러 화상을 형성하는 "컬러 모드"로서, 블랙 색상(BK)과 시안(C), 마젠타(M), 옐로우(Y) 색상에 대응되는 4개의 전사 롤러(54)와 전사 벨트(51) 및 감광체(31) 모두가 인게이지된다. "컬러 모드"에서는 블랙 색상(BK)과 시안(C), 마젠타(M), 옐로우(Y) 색상이 모두 화상 형성에 관여하기 때문에, 4개의 전사 롤러(54) 및 감광체(31) 모두가 회전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100)는 이와 같은 준비 모드와 컬러 모드는 "... → 준비 모드 → 컬러 모드 → 준비 모드 → 컬러 모드 → ..."와 같은 순서로 차례대로 순환하면서 전환될 수 있다.
준비 모드에서 컬러 모드로 전환되는 경우, 도 11(A)에 나타낸 것처럼 모든 전사 롤러(54)와 감광체(31)가 디스인게이지된 상태에서, 도 11(B)에 나타낸 것처럼 컬러 화상을 위한 블랙(BK), 시안(C), 마젠타(M), 옐로우(Y) 색상에 대응되는 4개의 전사 롤러(54) 및 감광체(31)가 모두 인게이지 상태로 전환된다. 도 11(A)의 상태에서 도 11(B)의 상태로 전환될 때, 전사 벨트(51)를 회전시키기 위해 구동하던 전사 벨트 구동 모터(206)에 대해 정지 명령을 발생시켜서 전사 벨트 구동 모터(206)가 정지하도록 한 다음에 블랙(BK), 시안(C), 마젠타(M), 옐로우(Y) 색상에 대응되는 4개의 전사 롤러(54)와 전사 벨트(51) 및 감광체(31)가 모두 인게이지되도록 한다.
그런데, 구동 중이던 전사 벨트 구동 모터(206)에 정지 명령이 가해졌음에도 불구하고 전사 벨트 구동 모터(206)가 즉시 정지하지 않고 회전 관성에 의해 일정 시간을 더 회전하는 상태에서 전사 롤러(54)가 인게이지 상태로 전환되면 전사 벨트 구동 모터(206)의 관성 회전에 의해 회전하는 전사 벨트(51)와 인게이지되는 전사 롤러(54)와의 접촉에 의해 전사 롤러(54) 상에 밴드(Band) 모양의 화상이 형성될 수 있고, 이 화상은 인쇄 매체의 화상에도 목적하지 않은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에서는 이와 같은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모드 전환 시 전사 벨트 구동 모터(206)의 회전 관성이 모두 소멸되어 전사 벨트 구동 모터(206)가 완전히 정지할 수 있도록 미리 설정된 시간(Δms) 동안 전사 롤러(54)의 추가적인 인게이지를 수행하지 않고, 미리 설정된 시간(Δms)이 경과한 다음에 비로소 인게이지 구동 모터(208)를 구동하여 전사 롤러(54)와 전사 벨트(51) 및 감광체(31)가 인게이지되도록 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 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제어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어부(1002)는 준비 모드를 수행하기 위해 모든 전사 롤러(54)를 디스인게이지 상태로 전환한다(1202). 이 상태에서 컬러 모드로의 모드 전환이 요구되는지를 확인한다(1204). 여기서 컬러 모드로의 전환은, 컬러 화상 형성을 위한 것일 수 있다. 준비 모드에서 컬러 모드로 전환하기 위해, 먼저 전사 벨트 구동 모터 제어 신호를 비활성화시켜서 전사 벨트 구동 모터(1006)의 회전이 정지할 수 있도록 하고, 이를 위해 미리 설정된 시간동안 대기한다(1206). 전사 벨트 구동 모터 제어 신호가 비활성화됨에 따라 전사 벨트(51)가 회전을 멈추게 되는데, 이 때 전사 벨트 구동 모터(1006)는 바로 정지하지 않고 회전 관성에 의해 일정 시간동안 회전 상태를 더 유지하다가 정지하게 되므로, 전사 벨트 구동 모터(1006)의 회전 관성이 완전히 소멸될 때까지 미리 설정된 시간(Δms) 동안 대기한다(1208의 ‘아니오’).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면(1208의 ‘예’), 제어부(1002)는 인게이지 구동 제어 신호를 활성화시켜서 컬러 화상을 위한 블랙(BK), 시안(C), 마젠타(M), 옐로우(Y) 색상에 대응되는 4개의 전사 롤러(54) 및 감광체(31)를 인게이지 상태로 전환한다(1210). 이 때 전사 벨트 구동 모터(1006)의 회전이 완전히 정지한 상태이므로, 블랙(BK), 시안(C), 마젠타(M), 옐로우(Y) 색상에 대응되는 4개의 전사 롤러(54) 및 감광체(31)를 인게이지 상태로 전환하더라도 아무런 문제가 없다.
여기서 미리 설정된 시간 Δms는 다음과 같은 방법을 통해 결정된다. 즉, 사전에 전사 벨트 구동 모터(1006)가 정지 명령 발생 시점으로부터 완전히 정지하기 까지 어느 정도의 시간이 소요되는지를 실험을 통해 구하고, 구해진 시간을 미리 설정된 시간 Δms로 결정하여 제어부(1002)가 참조할 수 있도록 한다. 물론, 전사 벨트 구동 모터(1006)가 정지 명령 발생 시점으로부터 완전히 정지하기까지의 시간을 예측하거나 또는 실측할 수 있는 다른 방법을 이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미리 설정된 시간 Δms를 규정하는 대신, 전사 벨트 구동 모터(1006)의 회전 상태 정보로부터 전사 벨트 구동 모터(1006)가 완전히 정지하였음을 실제로 측정할 수도 있다. 제어부(1002)는 전사 벨트 구동 모터(1006)가 완전히 정지한 것으로 측정되면 인게이지 구동 모터 제어 신호를 활성화시켜서 전사 롤러(54)의 가압에 의해 전사 벨트(51)가 모든 감광체(310)에 접촉하는 인게이지 상태가 되어 컬러 모드의 화상 형성 작업이 수행되도록 한다(1212).
도 12에 나타낸 것과 같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 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제어 방법에 의해, 전사벨트(51)와 감광체(31)가 서로 맞닿아 있는 상태에서 디스인게이지 상태의 전사 롤러(54)가 인게이지 상태로 전환되더라도 전사 벨트(51)와 감광체(31) 사이의 마찰 대전은 발생하지 않게 되고, 결국 밴드 모양의 화상이 형성되지 않게 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 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제어 계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화상 형성 장치(100)의 동작 전반을 제어하는 제어부(1302)는 감광체 구동 모터(1304)와 전사 벨트 구동 모터(1306), 인게이지 구동 모터(1308)와 통신 가능하도록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어부(1302)는 감광체 구동 모터(1304)의 제어를 통해 감광체(31)의 회전과 정지에 관여한다. 또한 제어부(1302)는 전사 벨트 구동 모터(1306)의 제어를 통해 구동 롤러(52)와 전사 벨트(51)의 회전과 정지에 관여한다. 또한 제어부(1302)는 인게이지 구동 모터(1308)의 제어를 통해 전사 롤러(54)의 "인게이지(Engage)"와 "디스인게이지(Disengage)"에 관여한다. 여기서 "인게이지"는 전사 롤러(54)가 전사 벨트(51)를 가압하여 대향하는 감광체(31)와 전사 벨트(51)가 접촉한 상태를 의미하며, "디스인게이지"는 전사 롤러(54)에 의한 가압이 해제되어 감광체(31)와 전사 벨트(51)의 접촉이 해제된 상태를 의미한다(도 14 참조). 4개의 전사 롤러(54) 및 감광체(31)가 모두 인게이지되거나 디스인게이지될 수 있으며, 또는, 4개의 전사 롤러(54) 및 감광체(31) 가운데 일부만이 인게이지되거나 디스인게이지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2)는 인게이지 센서(1310) 및 인코더(1312)와 통신 가능하도록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인게이지 센서(1310)는 전사 롤러(54)와 전사 벨트(51) 및 감광체(31)의 인게이지 상태와 디스인게이지 상태를 검출하기 위한 것으로서, 전사 롤러(54)의 인게이지 상태와 디스인게이지 상태를 검출하여, 검출된 상태 정보를 제어부(1302)에 제공한다. 인코더(1312)는 전사 벨트 구동 모터(1306)의 인코더로서, 전사 벨트 구동 모터(1306)의 회전 상태를 검출하여 그 회전 상태 정보를 제어부(1302)에 제공한다.
도 14는 도 13에 나타낸 화상 형성 장치의 전사 장치 및 감광체에 관련된 동작 모드를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도 14(A)는 블랙(BK), 시안(C)과 마젠타(M), 옐로우(Y) 색상의 현상제를 이용하여 컬러 화상을 형성하는 "컬러 모드"로서, 블랙 색상(BK)과 시안(C), 마젠타(M), 옐로우(Y) 색상에 대응되는 4개의 전사 롤러(54)와 전사 벨트(51) 및 감광체(31) 모두가 인게이지된다. "컬러 모드"에서는 블랙 색상(BK)과 시안(C), 마젠타(M), 옐로우(Y) 색상이 모두 화상 형성에 관여하기 때문에, 4개의 전사 롤러(54) 및 감광체(31) 모두가 회전한다.
도 14(B)는 화상 형성 작업을 시작하기 전 단계인 "준비 모드"로서, 준비 모드에서는 모든 전사 롤러(54)와 전사 벨트(51) 및 대향하는 감광체(31)가 모두 디스인게이지된다. 여기서 대향의 의미는 4개의 전사 롤러(54)와 4개의 감광체(31)가 서로 대응되는 것을 의미한다. 준비 모드에서는 화상 형성 작업이 수행되지 않기 때문에, 모든 전사 롤러(54) 및 대향하는 감광체(31)가 모두 디스인게이지된 상태를 유지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100)는 이와 같은 준비 모드와 컬러 모드는 "... → 준비 모드 → 컬러 모드 → 준비 모드 → 컬러 모드 → ..."와 같은 순서로 차례대로 순환하면서 전환될 수 있다.
컬러 모드에서 준비 모드로 전환되는 경우, 도 14(A)에 나타낸 것처럼 모든 전사 롤러(54)와 감광체(31)가 인게이지된 상태에서, 도 14(B)에 나타낸 것처럼 컬러 화상을 위한 블랙(BK), 시안(C), 마젠타(M), 옐로우(Y) 색상에 대응되는 4개의 전사 롤러(54) 및 감광체(31)가 모두 디스인게이지 상태로 전환된다. 도 14(A)의 상태에서 도 14(B)의 상태로 전환될 때, 전사 벨트(51)를 회전시키기 위해 구동하던 전사 벨트 구동 모터(206)에 대해 정지 명령을 발생시켜서 전사 벨트 구동 모터(206)가 정지하도록 한 다음에 블랙(BK), 시안(C), 마젠타(M), 옐로우(Y) 색상에 대응되는 4개의 전사 롤러(54)와 전사 벨트(51) 및 감광체(31)가 모두 디스인게이지되도록 한다.
그런데, 구동 중이던 전사 벨트 구동 모터(206)에 정지 명령이 가해졌음에도 불구하고 전사 벨트 구동 모터(206)가 즉시 정지하지 않고 회전 관성에 의해 일정 시간을 더 회전하는 상태에서 전사 롤러(54)가 디스인게이지 상태로 전환되면 전사 벨트 구동 모터(206)의 관성 회전에 의해 회전하는 전사 벨트(51)와 디스인게이지되는 전사 롤러(54)와의 접촉이 해제되는 순간의 전사 벨트(51)와 감광체(31)의 마찰 대전에 의해 전사 롤러(54) 상에 밴드(Band) 모양의 화상이 형성될 수 있고, 이 화상은 인쇄 매체의 화상에도 목적하지 않은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에서는 이와 같은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모드 전환 시 전사 벨트 구동 모터(206)의 회전 관성이 모두 소멸되어 전사 벨트 구동 모터(206)가 완전히 정지할 수 있도록 미리 설정된 시간(Δms) 동안 전사 롤러(54)의 디스인게이지를 수행하지 않고, 미리 설정된 시간(Δms)이 경과한 다음에 비로소 인게이지 구동 모터(208)를 구동하여 전사 롤러(54)와 전사 벨트(51) 및 감광체(31)가 디스인게이지되도록 한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 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제어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어부(1302)는 컬러 모드의 화상 형성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모든 전사 롤러(54)를 인게이지 상태로 전환한다(1502). 이 상태에서 준비 모드로의 모드 전환이 요구되는지를 확인한다(1504). 컬러 모드에서 준비 모드로 전환하기 위해, 먼저 전사 벨트 구동 모터 제어 신호를 비활성화시켜서 전사 벨트 구동 모터(1306)의 회전이 정지할 수 있도록 하고, 이를 위해 미리 설정된 시간동안 대기한다(1506). 전사 벨트 구동 모터 제어 신호가 비활성화됨에 따라 전사 벨트(51)가 회전을 멈추게 되는데, 이 때 전사 벨트 구동 모터(1306)는 바로 정지하지 않고 회전 관성에 의해 일정 시간동안 회전 상태를 더 유지하다가 정지하게 되므로, 전사 벨트 구동 모터(1306)의 회전 관성이 완전히 소멸될 때까지 미리 설정된 시간(Δms) 동안 대기한다(1508의 ‘아니오’).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면(1508의 ‘예’), 제어부(1302)는 인게이지 구동 제어 신호를 비활성화시켜서 블랙(BK), 시안(C), 마젠타(M), 옐로우(Y) 색상에 대응되는 4개의 전사 롤러(54) 및 감광체(31)를 디스인게이지 상태로 전환한다(1510). 이 때 전사 벨트 구동 모터(1306)의 회전이 완전히 정지한 상태이므로, 블랙(BK), 시안(C), 마젠타(M), 옐로우(Y) 색상에 대응되는 4개의 전사 롤러(54) 및 감광체(31)를 인게이지 상태로 전환하더라도 아무런 문제가 없다. 여기서 미리 설정된 시간 Δms는 다음과 같은 방법을 통해 결정된다. 즉, 사전에 전사 벨트 구동 모터(1306)가 정지 명령 발생 시점으로부터 완전히 정지하기 까지 어느 정도의 시간이 소요되는지를 실험을 통해 구하고, 구해진 시간을 미리 설정된 시간 Δms로 결정하여 제어부(1302)가 참조할 수 있도록 한다. 물론, 전사 벨트 구동 모터(1306)가 정지 명령 발생 시점으로부터 완전히 정지하기까지의 시간을 예측하거나 또는 실측할 수 있는 다른 방법을 이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미리 설정된 시간 Δms를 규정하는 대신, 전사 벨트 구동 모터(1306)의 회전 상태 정보로부터 전사 벨트 구동 모터(1306)가 완전히 정지하였음을 실제로 측정할 수도 있다. 제어부(1302)는 전사 벨트 구동 모터(1306)가 완전히 정지한 것으로 측정되면 인게이지 구동 모터 제어 신호를 비활성화시켜서 전사 롤러(54)의 가압에 의해 전사 벨트(51)가 모든 감광체(31)에 접촉하지 않는 디스인게이지 상태가 되어 준비 모드가 수행되도록 한다(1512).
도 15에 나타낸 것과 같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 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제어 방법에 의해, 전사벨트(51)와 감광체(31)가 서로 맞닿아 있는 상태에서 인게이지 상태의 전사 롤러(54)가 디스인게이지 상태로 전환되더라도 전사 벨트(51)와 감광체(31) 사이의 마찰 대전은 발생하지 않게 되고, 결국 밴드 모양의 화상이 형성되지 않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에서 기재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다는 점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수정 예 또는 변형 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 청구 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 : 본체
31 : 감광체
50 : 제 1 전사유닛
51 : 전사벨트
53 : 종동롤러
54 : 전사롤러
60 : 제 2 전사유닛

Claims (24)

  1. 전사 벨트를 사이에 두고 복수의 감광체와 나란히 배치되어 상기 전사 벨트가 상기 복수의 감광체에 접촉하도록 상기 전사 벨트를 가압하는 복수의 전사 롤러를 구비하는 화상 형성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전사 롤러가 상기 전사 벨트를 상기 복수의 감광체 쪽으로 가압하지 않는 상태로 상기 전사 벨트를 회전시키는 단계와;
    상기 전사 벨트로 전달되는 동력을 차단하는 단계와;
    전사 벨트 제동부를 제어하여 상기 전사 벨트의 관성 회전 속도를 감소시키는 단계와;
    상기 전사 벨트의 회전이 정지할 때까지 대기하는 단계와;
    상기 전사 벨트의 회전이 정지하면 상기 복수의 전사 롤러가 상기 전사 벨트를 가압하여 상기 전사 벨트가 상기 복수의 감광체와 접촉하도록 제어하는 화상 형성 장치의 제어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사 벨트의 회전이 정지할 때까지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대기하는 것이 특징인 화상 형성 장치의 제어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설정된 시간은 상기 전사 벨트로 전달되는 동력의 차단 이후 상기 전사 벨트가 관성 회전하는 시간인 것이 특징인 화상 형성 장치의 제어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준비 모드일 때 상기 복수의 전사 롤러 모두가 상기 감광체에 접촉하지 않도록 상기 복수의 전사 롤러의 가압 상태를 해제하고;
    컬러 모드일 때 상기 복수의 전사 롤러 가운데 컬러 화상의 형성에 관여하는 전사 롤러가 상기 전사 벨트를 가압하여 상기 감광체에 접촉하도록 하는 것이 특징인 화상 형성 장치의 제어 방법.
  5. 전사 벨트를 사이에 두고 복수의 감광체와 나란히 배치되어 상기 전사 벨트가 상기 복수의 감광체에 접촉하도록 상기 전사 벨트를 가압하는 복수의 전사 롤러를 구비하는 화상 형성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전사 롤러가 상기 전사 벨트를 상기 복수의 감광체 쪽으로 가압하는 상태로 상기 전사 벨트를 회전시키는 단계와;
    상기 전사 벨트로 전달되는 동력을 차단하는 단계와;
    전사 벨트 제동부를 제어하여 상기 전사 벨트의 관성 회전 속도를 감소시키는 단계와;
    상기 전사 벨트의 회전이 정지할 때까지 대기하는 단계와;
    상기 전사 벨트의 회전이 정지하면 상기 복수의 전사 롤러에 의한 상기 전사 벨트의 가압 상태를 해제하는 화상 형성 장치의 제어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전사 벨트의 회전이 정지할 때까지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대기하는 것이 특징인 화상 형성 장치의 제어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설정된 시간은 상기 전사 벨트로 전달되는 동력의 차단 이후 상기 전사 벨트의 관성 회전이 정지할 때까지의 시간인 것이 특징인 화상 형성 장치의 제어 방법.
  8. 제 5 항에 있어서,
    준비 모드일 때 상기 복수의 전사 롤러 모두가 상기 감광체에 접촉하지 않도록 상기 복수의 전사 롤러의 가압 상태를 해제하고;
    컬러 모드일 때 상기 복수의 전사 롤러 가운데 컬러 화상의 형성에 관여하는 전사 롤러가 상기 전사 벨트를 가압하여 상기 감광체에 접촉하도록 하는 것이 특징인 화상 형성 장치의 제어 방법.
  9. 전사 벨트를 사이에 두고 복수의 감광체와 나란히 배치되어 상기 전사 벨트가 상기 복수의 감광체에 접촉하도록 상기 전사 벨트를 가압하는 복수의 전사 롤러를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전사 롤러 가운데 적어도 하나의 전사 롤러가 상기 전사 벨트를 상기 복수의 감광체 가운데 적어도 하나의 쪽으로 가압한 상태로 상기 전사 벨트를 회전 시키는 단계와;
    상기 전사 벨트로 전달되는 동력을 차단하는 단계와;
    전사 벨트 제동부를 제어하여 상기 전사 벨트의 관성 회전 속도를 감소시키는 단계와;
    상기 전사 벨트의 회전이 정지할 때까지 대기하는 단계와;
    상기 전사 벨트의 회전이 정지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전사 롤러가 상기 전사 벨트를 가압하여 상기 전사 벨트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감광체와 접촉하도록 제어하는 화상 형성 장치의 제어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전사 벨트의 회전이 정지할 때까지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대기하는 것이 특징인 화상 형성 장치의 제어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설정된 시간은 상기 전사 벨트로 전달되는 동력의 차단 이후 상기 전사 벨트의 관성 회전이 정지할 때까지의 시간인 것이 특징인 화상 형성 장치의 제어 방법.
  12. 제 9 항에 있어서,
    준비 모드일 때 상기 복수의 전사 롤러 모두가 상기 감광체에 접촉하지 않도록 상기 복수의 전사 롤러의 가압 상태를 해제하고;
    모노 모드일 때 상기 복수의 전사 롤러 가운데 모노 화상의 형성에 관여하는 전사 롤러만이 상기 전사 벨트를 가압하여 상기 감광체에 접촉하도록 하며;
    컬러 모드일 때 상기 복수의 전사 롤러 가운데 컬러 화상의 형성에 관여하는 전사 롤러가 상기 전사 벨트를 가압하여 상기 감광체에 접촉하도록 하는 것이 특징인 화상 형성 장치의 제어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준비 모드와 상기 모노 모드, 상기 컬러 모드의 순서로 모드의 전환이 이루어지는 화상 형성 장치의 제어 방법.
  14. 복수의 감광체와;
    전사 벨트와;
    상기 전사 벨트를 사이에 두고 상기 복수의 감광체와 나란히 배치되어 상기 전사 벨트가 상기 복수의 감광체에 접촉하도록 상기 전사 벨트를 가압하는 복수의 전사 롤러와;
    상기 복수의 전사 롤러 가운데 적어도 하나의 전사 롤러가 상기 전사 벨트를 상기 복수의 감광체 가운데 적어도 하나의 감광체 쪽으로 가압한 상태로 상기 전사 벨트를 회전시키고, 상기 전사 벨트로 전달되는 동력을 차단하며, 전사 벨트 제동부를 제어하여 상기 전사 벨트의 관성 회전 속도를 감소시키고, 상기 전사 벨트의 회전이 정지할 때까지 대기하고, 상기 전사 벨트의 회전이 정지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전사 롤러가 상기 전사 벨트를 가압하여 상기 전사 벨트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감광체와 접촉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전사 벨트의 회전이 정지할 때까지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대기하는 것이 특징인 화상 형성 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설정된 시간은 상기 전사 벨트로 전달되는 동력의 차단 이후 상기 전사 벨트의 관성 회전이 정지할 때까지의 시간인 것이 특징인 화상 형성 장치.
  17. 제 14 항에 있어서,
    준비 모드일 때 상기 복수의 전사 롤러 모두가 상기 감광체에 접촉하지 않도록 상기 복수의 전사 롤러의 가압 상태를 해제하고;
    모노 모드일 때 상기 복수의 전사 롤러 가운데 모노 화상의 형성에 관여하는 전사 롤러만이 상기 전사 벨트를 가압하여 상기 감광체에 접촉하도록 하며;
    컬러 모드일 때 상기 복수의 전사 롤러 가운데 컬러 화상의 형성에 관여하는 전사 롤러가 상기 전사 벨트를 가압하여 상기 감광체에 접촉하도록 하는 것이 특징인 화상 형성 장치.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준비 모드와 상기 모노 모드, 상기 컬러 모드가 순서로 모드의 전환이 이루어지는 화상 형성 장치.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KR1020120119338A 2012-10-25 2012-10-25 화상 형성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8684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9338A KR101868440B1 (ko) 2012-10-25 2012-10-25 화상 형성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EP13189767.0A EP2725426B1 (en) 2012-10-25 2013-10-22 Image form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BR112015009097-4A BR112015009097B1 (pt) 2012-10-25 2013-10-23 Método de controle de um aparelho formador de imagens, e aparelho formador de imagens
PCT/KR2013/009470 WO2014065583A1 (en) 2012-10-25 2013-10-23 Image form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AU2013335439A AU2013335439A1 (en) 2012-10-25 2013-10-23 Image form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4/061,246 US9201354B2 (en) 2012-10-25 2013-10-23 Image form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RU2015110501/28A RU2596078C1 (ru) 2012-10-25 2013-10-23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формирования изображения и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им
CN201310512087.6A CN103777506A (zh) 2012-10-25 2013-10-25 成像设备及其控制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9338A KR101868440B1 (ko) 2012-10-25 2012-10-25 화상 형성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2779A KR20140052779A (ko) 2014-05-07
KR101868440B1 true KR101868440B1 (ko) 2018-07-23

Family

ID=495462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9338A KR101868440B1 (ko) 2012-10-25 2012-10-25 화상 형성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9201354B2 (ko)
EP (1) EP2725426B1 (ko)
KR (1) KR101868440B1 (ko)
CN (1) CN103777506A (ko)
AU (1) AU2013335439A1 (ko)
BR (1) BR112015009097B1 (ko)
RU (1) RU2596078C1 (ko)
WO (1) WO201406558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001268A (ja) * 2014-06-12 2016-01-07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7052219B2 (ja) * 2017-05-22 2022-04-12 富士フイルムビジネスイノベーショ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形成プログラム
JP6764428B2 (ja) * 2018-02-01 2020-09-30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91613A (ja) * 2003-09-16 2005-04-07 Sharp Corp 画像形成装置の無端ベルト支持機構及びそれを用いた画像形成装置
JP2006139063A (ja) 2004-11-12 2006-06-01 Fuji Xerox Co Ltd 画像形成装置
US20070059054A1 (en) 2005-09-09 2007-03-15 Kabushiki Kaisha Toshiba Image forming apparatus
US20080056778A1 (en) 2006-08-30 2008-03-06 Satoru Tao Belt-rotating mechanism,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2010102320A (ja) 2008-09-29 2010-05-06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72700A (ja) * 2000-08-24 2002-03-12 Minolta Co Ltd 画像形成装置
JP3741606B2 (ja) * 2000-12-11 2006-02-01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ベルト駆動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電子写真装置
JP2005221667A (ja) 2004-02-04 2005-08-18 Canon Inc 画像形成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2006072254A (ja) * 2004-09-06 2006-03-16 Sharp Corp クリーニング機構
JP4628854B2 (ja) 2005-04-27 2011-02-09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JP4912736B2 (ja) * 2006-05-09 2012-04-11 株式会社東芝 画像形成装置
US8060003B2 (en) * 2006-10-20 2011-11-15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wherein a setting unit sets an interval of image formation according to a size of a recording medium
JP2008185612A (ja) 2007-01-26 2008-08-14 Kyocera Mita Corp 画像形成装置
JP2010145935A (ja) 2008-12-22 2010-07-01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転写材の駆動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91613A (ja) * 2003-09-16 2005-04-07 Sharp Corp 画像形成装置の無端ベルト支持機構及びそれを用いた画像形成装置
JP2006139063A (ja) 2004-11-12 2006-06-01 Fuji Xerox Co Ltd 画像形成装置
US20070059054A1 (en) 2005-09-09 2007-03-15 Kabushiki Kaisha Toshiba Image forming apparatus
US20080056778A1 (en) 2006-08-30 2008-03-06 Satoru Tao Belt-rotating mechanism,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2010102320A (ja) 2008-09-29 2010-05-06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201354B2 (en) 2015-12-01
EP2725426A3 (en) 2018-01-17
WO2014065583A1 (en) 2014-05-01
EP2725426A2 (en) 2014-04-30
RU2596078C1 (ru) 2016-08-27
BR112015009097B1 (pt) 2021-09-28
KR20140052779A (ko) 2014-05-07
AU2013335439A1 (en) 2015-02-12
US20140119760A1 (en) 2014-05-01
CN103777506A (zh) 2014-05-07
BR112015009097A2 (pt) 2017-07-04
EP2725426B1 (en) 2021-08-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30087B2 (ja) 画像形成装置
US10073394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fixing device
JPH01289988A (ja) トナー定着器の制御方法
JP5300518B2 (ja) 画像形成装置
KR101431878B1 (ko) 화상 형성 장치
JP2018022001A (ja) 画像形成装置
KR101868440B1 (ko) 화상 형성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10437189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re-conveyance mechanism
JP2002287542A (ja) 定着装置及び該定着装置を有する画像形成装置
EP2990878B1 (en) Fixing device and image formation device
US8606126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leaning image carrying body
JP2007310365A (ja) 画像形成装置の制御方法
JP2007309982A (ja) 画像定着装置
JP2017187605A (ja) 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装置の制御方法、及び画像形成装置の制御プログラム
JP2003005511A (ja) 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形成方法
US10088784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JP5454040B2 (ja) 画像形成装置
US10884359B2 (en) Automatic cleaning image forming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image forming apparatus
US8977152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developer stirring control
JP5283445B2 (ja) 画像形成装置の2次転写ベルトクリーニング方法
JPH09311613A (ja) 画像形成装置
JP2012027341A (ja) 画像形成装置
JP2009163040A (ja) 画像形成装置
JP2007178759A (ja) 画像印刷装置、画像印刷方法及びそのプログラム
JP2006091729A (ja) 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