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02701B1 - 디지털 오디오 프로세서의 주파수 특성을 조정하기 위한 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조정되는 2-밴드 오디오 프로세서를 구비한 전자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디지털 오디오 프로세서의 주파수 특성을 조정하기 위한 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조정되는 2-밴드 오디오 프로세서를 구비한 전자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02701B1
KR100902701B1 KR1020037010210A KR20037010210A KR100902701B1 KR 100902701 B1 KR100902701 B1 KR 100902701B1 KR 1020037010210 A KR1020037010210 A KR 1020037010210A KR 20037010210 A KR20037010210 A KR 20037010210A KR 100902701 B1 KR100902701 B1 KR 1009027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in
frequency
low
characteristic curve
audio proces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102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75174A (ko
Inventor
빈 웨이
슈앙 밍 류
Original Assignee
톰슨 라이센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톰슨 라이센싱 filed Critical 톰슨 라이센싱
Publication of KR200300751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751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27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27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GCONTROL OF AMPLIFICATION
    • H03G3/00Gain control in amplifiers or frequency changers without distortion of the input signal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GCONTROL OF AMPLIFICATION
    • H03G5/00Tone control or bandwidth control in amplifiers
    • H03G5/005Tone control or bandwidth control in amplifiers of digital signals

Landscapes

  • Tone Control, Compression And Expansion, Limiting Amplitude (AREA)
  • Control Of Amplification And Gain Contro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적어도 낮은 주파수에서의 이득, 높은 주파수에서의 이득 및 볼륨 이득을 포함하는 조정 가능한 파라미터를 갖는 디지털 오디오 프로세서의 주파수 특성을 조정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특성 주파수 응답 곡선이 조정될 때마다 본 발명의 방법을 수행하는 오디오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의 오디오 디바이스는, 사용자가 서로 다른 사운드 특성 그룹 중에서 선택할 수 있는 특징부를 빈번하게 제공한다. 전형적으로, 사용자는 디바이스의 사운드 특성을 그가 듣고 있는 예컨대 록, 재즈 또는 클래식 음악과 같은 음악 종류에 적응시키길 원할 수 있다. 기술적 관점에서, 사운드 특성은 넓게는 오디오 신호 처리의 특성 주파수 응답 곡선에 의해 결정된다. 이들 특성 곡선은 본질적으로는 낮은 주파수 범위, 중간 주파수 범위 및 높은 주파수 범위에서의 이득값에 의해 한정된다. 보통, 이들 세 개의 파라미터를 독립적으로 조정할 수 있는 3-밴드 오디오 프로세서가 이러한 용도로 사용된다. 그러나, 3-밴드 오디오 프로세서는, 낮은 주파수 범위와 높은 주파수 범위에서 이득값을 단지 조정할 수 있는 2-밴드 오디오 프로세서보다 상대적으로 더 비싸다. 본 발명은, 3-밴드 오디오 프로세서가 제공하는 것과 동일한 특징을 달성하기 위해 2-밴드 오디오 프로세서의 볼륨 이득, 낮은 주파수에서의 이득 및 높은 주파수에서의 이득을 조정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Description

디지털 오디오 프로세서의 주파수 특성을 조정하기 위한 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조정되는 2-밴드 오디오 프로세서를 구비한 전자 디바이스 {METHOD FOR ADJUSTING THE FREQUENCY CHARACTERISTIC OF A DIGITAL AUDIO PROCESSOR AND ELECTRONIC DEVICE WITH TWO BAND AUDIO PROCESSOR ADJUSTED BY THE METHOD}
본 발명은, 적어도 낮은 주파수에서의 이득, 높은 주파수에서의 이득 및 볼륨 이득을 포함하는 조정 가능한 파라미터를 갖는 디지털 오디오 프로세서의 주파수 특성을 조정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의 오디오 디바이스는, 사용자가 서로 다른 사운드 특성 그룹 중에서 선택할 수 있는 특징부를 빈번하게 제공한다. 전형적으로, 사용자는 디바이스의 사운드 특성을 그가 듣고 있는 예컨대 록, 재즈 또는 클래식 음악과 같은 음악 종류에 적응시키길 원할 수 있다. 기술적 관점에서, 사운드 특성은 주로 오디오 신호 처리의 특성 주파수 응답 곡선에 의해 결정된다. 이들 특성 곡선은 본질적으로는 낮은 주파수 범위, 중간 주파수 범위 및 높은 주파수 범위에서의 이득값에 의해 한정된다. 보통, 이들 세 개의 파라미터를 독립적으로 조정할 수 있는 3-밴드 오디오 프로세서가 이러한 용도로 사용된다. 그러나, 3-밴드 오디오 프로세서는, 낮은 주파수 범위와 높은 주파수 범위에서 이득값을 단지 조정할 수 있는 2-밴드 오디오 프로세서보다 상대적으로 더 비싸다.
그러므로, 디지털 오디오 프로세서의 주파수 특성을 조정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여기서 이 방법은 3-밴드 오디오 프로세서를 통해 달성 할 수 있는 모든 주파수 특성 곡선을 실현할 수 있게 하지만, 단지 2-밴드 오디오 프로세서를 필요로 한다.
본 발명은, 적어도 낮은 주파수에서의 이득, 높은 주파수에서의 이득 및 볼륨 이득을 포함하는 조정 가능한 파라미터를 갖는 디지털 오디오 프로세서의 주파수 특성을 조정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하며, 여기서 이 방법은,
a) 낮은 주파수에서의 이득, 중간 주파수에서의 이득 및 높은 주파수에서의 이득을 갖는 주파수 특성 곡선을 선택하는 단계와,
b) 선택된 주파수 특성 곡선의 중간 주파수에서의 이득을 판독하는 단계와,
만약 중간 주파수에서의 이득의 로그값이 본질적으로 0보다 작은 것으로 결정되면,
c) 중간 주파수에서의 실제 이득이 상기 선택된 주파수 특성 곡선의 중간 주파수에서의 이득과 실질적으로 매칭할 때까지,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볼륨 레벨에서 벗어나서 볼륨 이득을 감소시키는 단계와,
d) 상기 선택된 주파수 특성 곡선의 낮은 주파수에서의 이득과 실질적으로 매칭하도록 낮은 주파수에서의 이득을 조정하는 단계와,
e) 상기 선택된 주파수 특성 곡선의 높은 주파수에서의 이득과 실질적으로 매칭하도록 높은 주파수에서의 이득을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방법은 만약 dB 단위의 중간 주파수에서의 이득이 음이라면 적용될 수 있다. 이 dB 단위의 이득값이 0dB보다 더 큰 경우에, 본 발명은 대안적인 방법을 제공한다. 이 방법은,
a) 낮은 주파수에서의 이득, 중간 주파수에서의 이득 및 높은 주파수에서의 이득을 갖는 주파수 특성 곡선을 선택하는 단계와,
b) 선택된 주파수 특성 곡선의 중간 주파수에서의 이득을 판독하는 단계와,
만약 중간 주파수에서의 이득의 로그값(log[Gmid])이 본질적으로 0보다 큰 것으로 결정되면,
c) 중간 주파수에서의 실제 이득이 선택된 주파수 특성 곡선의 중간 주파수에서의 이득과 실질적으로 매칭할 때까지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볼륨 레벨에서 벗어나서 볼륨 이득을 증가시키는 단계와,
d) 상기 선택된 주파수 특성 곡선의 낮은 주파수에서의 이득과 실질적으로 매칭하도록 낮은 주파수에서의 이득을 조정하는 단계와,
e) 상기 선택된 주파수 특성 곡선의 높은 주파수에서의 이득과 실질적으로 매칭하도록 높은 주파수에서의 이득을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방법의 유리한 변형에서, 조정된 낮은 주파수에서의 이득과 높은 주파수에서의 이득은 모니터링되며, 오디오 프로세서의 이득의 허용된 범위와 비교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확실하게도, 오디오 프로세서는 과부하 상태 하에서는 동작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만약 낮은 및/또는 높은 주파수에서의 이득이 사운드 재생을 위해 양호한 상태를 설정하기 위해 이득의 허용된 범위에서 벗어난다면 볼륨 이득을 재조정하는 것이 편리하다.
본 발명의 제 2 양상에 따라, 2-밴드 오디오 프로세서를 갖춘 전자 디바이스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프로세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의해 조 정된다.
본 발명은 도면을 수반하는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읽음으로써 좀더 충분하게 이해될 것이다. 도면에서,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가 예시되어 있다.
도 1은 디지털 오디오 프로세서를 갖춘 오디오 디바이스의 블록도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주파수 응답 곡선의 다양한 유형을 도시한 도면.
도 3a는 3-밴드 오디오 프로세서의 예시적인 주파수 응답 곡선을 도시한 도면.
도 3b는 2-밴드 오디오 프로세서의 예시적인 주파수 응답 곡선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2-밴드 오디오 프로세서의 블록도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기초한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의 프로그램 흐름도를 도시한 도면.
도 1은 오디오 신호의 스테레오 표현(stereo representation)을 위해 적응되는 오디오 디바이스의 개략적인 블록도를 도시한다. 본 발명의 기술된 실시예에서, 오디오 디바이스는 CD 플레이어 모듈(1), 카세트 플레이어 모듈(2) 및 방송을 수신하기 위한 튜너/복조기 모듈(3)을 갖춘 휴대용 오디오 디바이스이다. 모든 모듈(1, 2, 및 3)은 스테레오 재생을 위해 두 개의 채널 상에 오디오 신호를 제공한다. 비 록 본 발명의 설명은 휴대용 오디오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지만, 본 발명은 이것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사실, 본 발명은 음파로 변형되는 베이스밴드 오디오 신호를 재생 또는 생성하는 임의의 디바이스에 응용될 수 있다. 또한 주목해야 하는 점은, 베이스밴드 오디오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오디오 신호의 처리와 베이스밴드 오디오 신호의 음파로의 변형은 하나의 단일 디바이스에서 발생할 뿐만 아니라 예컨대 모듈러 스테레오 장비에서와 같이 몇 개의 디바이스 사이에 나누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입력 모듈(1, 2, 3)에 의해 제공되는 오디오 신호는 세 쌍의 입력단(5a, 5b; 6a, 6b; 7a, 7b)에서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디지털 오디오 프로세서(4)에 전송된다. 오디오 프로세서는 ST 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 사에 의해 제조된 TDA 7440D 유형일 수 있다. 오디오 프로세서(4)는 데이터 라인(8, 9)을 통해서 마이크로컴퓨터(11)에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서, 데이터 라인(8, 9)은 잘 알려진 I2C 표준에 따라 데이터를 송신한다. 마이크로컴퓨터(11)는 사용자 명령-처리 유닛(12)으로부터 입력 명령을 수신한다. 명령은 사용자에 의해 제어 패널이나 원격 제어기에 입력된다. 사용자 명령의 수신 및 처리는 진부한 것이며, 그러므로 상세하게 기술되지 않는다. 마이크로컴퓨터(11)가 예컨대 특정한 볼륨 레벨과 같은 사용자 명령을 수신할 때, 마이크로컴퓨터(11)는 대응하는 데이터 워드를 오디오 프로세서(4)에 송신한다. 본 실시예에서, 마이크로컴퓨터는 적절한 볼륨 이득(Gvol)을 선택하기 위해 데이터 워드를 오디오 프로세서(4)에 송신한다. 다음에서, 용어 "볼륨 이득"은 오디오 신호를 증폭시키는 주파수 독립적인 이득 인자에 사용될 것이다. 이것 이외에, 오디오 신호는 특성 주파수 응답 곡선에 대응하는 높은 및 낮은 주파수 범위에서 선택적으로 증폭되며, 이러한 곡선은 아래에서 설명될 것이다. 오디오 프로세서(4)는 출력단(13a 및 13b)에서 증폭된 오디오 신호를 제공하며, 이러한 출력단은 증폭기 단(14a 및 14b)에 연결된다. 증폭기(14a 및 14b)는 스피커(16a 및 16b)에 연결되며, 이 스피커(16a 및 16b)는 음파를 생성하기 위해 증폭기에 의해 구동된다.
전원(17)은 출력단(18)에서 DC 전력을 증폭기(14a 및 14b)에 공급한다. 전원(17)은 또한 DC 전력을 출력단(19)에서 전자 신호 처리 회로뿐만 아니라 입력 모듈(1, 2 및 3)에 공급한다. 출력단(18)에서 공급 전압은 전력 낭비를 줄이기 위해 출력단(19)의 전압보다 더 높다. 전형적인 값은 각각 10V 및 7V 공급 전압이다.
마이크로컴퓨터(11)는 마이크로컴퓨터의 메모리에 저장된 이러한 곡선 그룹 중에서 특정한 주파수 응답 곡선을 선택하게 한다. 도 2는 "플랫", "록", "팝" 및 "재즈"로 표시된 다양한 주파수 응답 곡선의 전형적인 예를 도시한다. 도 2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0.1kHz, 1kHz 및 10kHz에서의 이득값은 다양한 주파수 응답 곡선을 한정한다. 낮은 주파수 범위, 중간 주파수 범위 및 높은 주파수 범위에서 주파수 이득을 조정하면, 볼륨 레벨, 즉 볼륨 이득과는 독립적으로 오디오 디바이스의 사운드 특성을 변경시키며, 이러한 이득은 오디오 신호의 주파수에 대해 일정하다. 낮은 주파수 범위, 중간 주파수 범위 및 높은 주파수 범위에서의 주파수 이득 은 다음에서 Glow, Gmid 및 Ghigh로 각각 표시된다.
소위 3-밴드 오디오 프로세서를 사용하여 오디오 디바이스의 특성을 적응시키는 것이 매우 편리하다. 이러한 타입의 프로세서의 속성이 도 3a에 예시되어 있다. 3-밴드 오디오 프로세서는 낮은, 중간 및 높은 주파수 범위에서 선택적으로 그리고 독립적으로 이득을 조정하게 한다. 도 3a에서 도시된 예에서, 0.1kHz, 1kHz 및 10kHz가 낮은 주파수, 중간 주파수 및 높은 주파수로서 선택된다. 다시 말해, 도 3a의 그래프 상의 포인트(26, 27, 28)에서 주파수 이득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특성 주파수 응답 곡선에 따라 독립적으로 위 아래로 이동될 수 있다.
대응하여, 2-밴드 오디오 프로세서는 낮은 주파수와 높은 주파수에서 이득을 단지 선택하게 하며, 이러한 주파수는 예컨대 0.1kHz 및 10kHz인 것으로 선택된다. 2-밴드 오디오 프로세서와 3-밴드 오디오 프로세서 사이의 차이는, 도 3a 및 도 3b를 비교할 때 분명해진다, 즉 2-밴드 오디오 프로세서는 도 3b의 그래프에서 포인트(31, 32)를 단지 이동시키게 하는 반면, 1kHz에 있는 중간 주파수 범위에서의 포인트(33)는 항상 0dB의 이득 레벨로 유지된다. 그에 따라, 도 2에 도시되며, 각각 "록" 및 "팝"으로 표시된 주파수 응답 곡선(22 및 23)을 실현할 수 없다. 오디오 프로세서를 0dB의 중간 주파수에서의 이득을 갖는 주파수 응답 곡선으로 적응시키는 것이 단지 가능하다.
2-밴드 오디오 프로세서의 기능을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 도 4는 예시적인 2-밴드 오디오 프로세서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 4에 도시된 2-밴드 오디오 프로세서(4)는 데이터 라인(8 및 9)을 통해 마이크로컴퓨터(11)에 의해 전송된 데이터워드를 수신한다. 데이터 라인(8 및 9)은 바람직하게는 오디오 프로세서와 마이크로컴퓨터(11) 사이의 직렬 I2C 버스를 나타낸다. 오디오 프로세서(4)는 수신된 명령을 디코딩하며, 서로 다른 기능을 위해 동작하는 서로 다른 내부 섹션을 제어한다. 오디오 프로세서(4)에는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4 쌍의 입력단이 제공되며, 이 신호는 멀티플렉서(36a, 36b)에 의해 개별적으로 선택될 수 있다. 멀티플렉서는 또한 왼쪽 채널 및 오른쪽 채널을 위해 두 개의 증폭기(37a, 37b)를 통합한다. 증폭기(37a 및 37b)의 출력 신호는 입력단(38a 및 38b)에 결합된다. 동시에, 신호는 또한 카세트 레코더 모듈(2)에 의해 수행되는 레코딩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그런 다음, 신호는 볼륨 증폭기(39a, 39b)에 제공되며, 이 증폭기는 입력 신호를 입력 신호의 주파수와는 독립적으로 증폭한다. 후속하여, 볼륨 증폭기의 출력 신호는 트레블(treble) 증폭기(41a, 41b)에 제공되며, 이 증폭기는 단지 높은 주파수 범위에서 증폭한다. 트레블 증폭기의 출력은 베이스 증폭기(42a, 42b)에 제공되며, 이 증폭기는 단지 낮은 주파수 범위에서 증폭한다. 주파수 특성 곡선에 따라 증폭된 신호는 그런 다음 출력 핀(43a 및 43b)에 공급된다. 이들 신호는 증폭기 단(14a, 14b)을 위한 입력 신호를 나타낸다(도 1).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0dB이 아닌 중간 주파수 범위에서 이득값을 갖는 주파수 응답 곡선을 여전히 실현할 수 있게 하여, 도 2의 "록" 및 "팝"으로 표시가 된 특성 주파수 응답 곡선이 실현될 수 있게 하는 2-밴드 오디오 프로세서를 사용할 수 있게 한다. 어떻게 이렇게 되는지는 도 5에 예시된 흐름도 상의 수단에 의해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도 5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의 흐름도를 도시하며, 이 프로그램은 오디오 디바이스가 스위치 온되고 모드 선택기 스위치 또는 이와 유사한 것이 작동될 때마다 수행된다(단계 51). 마이크로컴퓨터(11)는 사용자 명령 입력 유닛(12)으로부터 주파수 특성 곡선의 현재 선택을 판독한다. 그런 다음, 마이크로컴퓨터는 그 관련 메모리로부터 사용자 선택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그 작동중인 메모리에 로드한다(단계 52). 기술된 실시예에서, 데이터는 낮은 주파수에서의 이득, 중간 주파수에서의 이득 및 높은 주파수에서의 이득, 즉 Glow, Gmid 및 Ghigh의 사전설정 값을 포함한다.
다음에, 사전설정 이득값과 가변 이득값 사이를 구별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 가변 이득값은 기술된 방법에 의해 변경된다. 이들 두 값 세트는 서로 다른 메모리 위치에 저장된다. 예컨대, 만약 볼륨 이득이 증가된다면, 가변 이득값이 영향을 받는 반면, 사전설정 이득값은 일정하게 유지된다.
마이크로컴퓨터는 Gmid 값이 0인지를 결정한다(단계 53). 만약 그렇다면, 현재 조정된 볼륨 이득(Gvol)은 일정하게 유지되며(단계 54), 낮은 주파수에서의 이득(Glow) 및 높은 주파수에서의 이득(Ghigh)은 그 각자의 사전설정 값으로 설정된다(단계 55, 56). 후속하여, 선택된 값이 오디오 프로세서(4)에 의해 허용되는, Gmin과 Gmax 사이의 값의 범위 내에 있는지가 체크된다(단계 57). 만약 두 값이 허용된 범위 내에 있다면, 데이터는 데이터 라인(8, 9)(도 1)을 통해 오디오 프로세서로 전송되며(단계 58), 이 프로그램은 종료된다(단계 59). 만약 Glow 및 Ghigh 중 하나(또는 둘 모두)가 허용된 범위 밖에 있다면, 해당 값은 이것이 허용된 범위 내에 있을 때까지 증가 또는 감소된다. 단지 그런 후, 조정된 이득값(Glow 및 Ghigh)이 오디오 프로세서로 전송된다.
전술된 경우는 사소한 것이며, 이는 이것이, 중간 주파수 범위(Gmid)에 대한 이득값이 0dB인 한, 2-밴드 오디오 프로세서를 통해 특성 주파수 응답 곡선을 조정하는 것에 어떠한 어려움도 제공하지 않기 때문이다. 좀더 복잡한 상황은 단계 53의 결정의 결과가 "아니오"일 때, 즉 Gmid 값이 0dB이 아닐 때이다. 그러면, 두 경우를 구별하는 것이 필요하게 된다(단계 61).
먼저, Gmid 값이 0dB보다 더 큰 상황이 고려될 것이다. 이 경우, 단계 61의 결정은 "예"이다. 이 경우, 볼륨 이득(Gvol)은 Gmid 값에 의해 증가된다(단계 62). 그러면, Glow 값은 판독되어(단계 63) 이것이 선택된 주파수 응답 곡선의 사전설정 Glow 값과 매칭하도록 변경된다(단계 64). 보통, Glow 값의 감소는 필요할 것이다. 그러나, 베이스 증폭(bass boost)된 주파수 응답 곡선이 선택될 때 Glow 값이 여전히 증가되어야 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마지막 두 단계는 그에 따라 높은 주파수에서의 이득(Ghigh)을 선택된 주파수 응답 곡선의 사전 결정된 Ghigh 값과 매칭시키기 위해 이 높은 주파수에서의 이득(Ghigh)에 대해 반복된다(단계 65 및 66). 이 단계를 완료한 후, Glow 및 Ghigh에 대해 조정된 값이, 이 데이터가 오디오 프로세서로 보내지기(단계 58) 전에 허용 범위 값 내에 있는지가 다시 체크되며(단계 57), 이 프로그램은 종료된다(단계 59).
두 번째로, Gmid 값이 0dB보다 더 작은 경우, 즉 단계 61의 결정이 "아니오"인 경우가 고려된다. 이 경우, 볼륨 이득(Gvol)은 사전설정 Gmid 값에 의해 감소된다(단계 67). 그런 다음, Glow 값이 판독되며(단계 68), 이 후 이것이 선택된 주파수 응답 곡선의 사전설정 Glow 값과 매칭할 때가지 변경된다(단계 69). 마지막 두 단계는 높은 주파수에서의 이득값(Ghigh)에 대해 대응하는 방식으로 반복된다(단계 71, 72). 또한 이 프로그램 부분에서, 조정된 Glow 및 Ghigh 값이, 이들이 오디오 프로세서로 전송되기(단계 58)이전에 오디오 프로세서의 허용 범위 내에 있는지가 체크되며(단계 57), 프로그램은 종료된다(단계 59).
볼륨 이득(Gvol)이 선택된 특성 주파수 응답 곡선이 매칭될 수 있도록 마이크로프로세서(11)에 의해 조정된 후, 사용자는 원하는 볼륨 레벨로 재생된 음악을 듣기 위해 볼륨 이득을 다시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킬 수 있다.
본질적으로, 기술된 방법은, 2-밴드 오디오 프로세서를 통해 3-밴드 오디오 프로세서의 조정 가능성을 모방(simulate)하기 위해 볼륨 이득, 낮은 주파수에서의 이득(Glow) 및 높은 주파수에서의 이득(Ghigh)을 조정하는 것에 기초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적어도 낮은 주파수에서의 이득, 높은 주파수에서의 이득 및 볼륨 이득을 포함하는 조정 가능한 파라미터를 갖는 디지털 오디오 프로세서의 주파수 특성을 조정하기 위한 방법에 이용된다.

Claims (10)

  1. 적어도 낮은 주파수에서의 이득, 높은 주파수에서의 이득 및 볼륨 이득을 포함하는 조정 가능한 파라미터를 갖는 디지털 오디오 프로세서의 주파수 특성을 조정하는 방법으로서,
    a) 낮은 주파수에서의 이득, 중간 주파수에서의 이득 및 높은 주파수에서의 이득을 갖는 주파수 특성 곡선을 선택하는 단계와,
    b) 선택된 주파수 특성 곡선의 중간 주파수에서의 이득을 판독하는 단계와,
    만약 상기 선택된 주파수 특성 곡선의 중간 주파수에서의 이득이 0보다 더 작은 것으로 결정되면,
    c) 중간 주파수에서의 실제 이득이 상기 선택된 주파수 특성 곡선의 중간 주파수에서의 이득과 매칭할 때까지,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볼륨 레벨에서 벗어나서 볼륨 이득을 감소시키는 단계와,
    d) 상기 선택된 주파수 특성 곡선의 낮은 주파수에서의 이득과 매칭하도록 낮은 주파수에서의 이득을 조정하는 단계와,
    e) 상기 선택된 주파수 특성 곡선의 높은 주파수에서의 이득과 매칭하도록 높은 주파수에서의 이득을 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디지털 오디오 프로세서의 주파수 특성을 조정하는 방법.
  2. 적어도 낮은 주파수에서의 이득, 높은 주파수에서의 이득 및 볼륨 이득을 포함하는 조정 가능한 파라미터를 갖는 디지털 오디오 프로세서의 주파수 특성을 조정하는 방법으로서,
    a) 낮은 주파수에서의 이득, 중간 주파수에서의 이득 및 높은 주파수에서의 이득을 갖는 주파수 특성 곡선을 선택하는 단계와,
    b) 선택된 주파수 특성 곡선의 중간 주파수에서의 이득을 판독하는 단계와,
    만약 상기 선택된 주파수 특성 곡선의 중간 주파수에서의 이득이 0보다 더 큰 것으로 결정되면,
    c) 중간 주파수에서의 실제 이득이 상기 선택된 주파수 특성 곡선의 중간 주파수에서의 이득과 매칭할 때까지,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볼륨 레벨에서 벗어나서 볼륨 이득을 증가시키는 단계와,
    d) 상기 선택된 주파수 특성 곡선의 낮은 주파수에서의 이득과 매칭하도록 낮은 주파수에서의 이득을 조정하는 단계와,
    e) 상기 선택된 주파수 특성 곡선의 높은 주파수에서의 이득과 매칭하도록 높은 주파수에서의 이득을 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디지털 오디오 프로세서의 주파수 특성을 조정하는 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낮은 주파수에서의 조정된 이득 및 높은 주파수에서의 조정된 이득이 모니터링되고 허용된 이득 범위와 비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오디오 프로세서의 주파수 특성을 조정하는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만약 낮은 주파수에서의 이득 또는 높은 주파수에서의 이득이 상기 허용된 이득 범위에서 벗어났다면, 볼륨 이득은, 상기 낮은 주파수에서의 이득 또는 높은 주파수에서의 이득이 상기 허용된 이득 범위 내에 있도록 재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오디오 프로세서의 주파수 특성을 조정하는 방법.
  5. 제 3 항에 있어서, 만약 낮은 주파수에서의 이득 및 높은 주파수에서의 이득이 상기 허용된 이득 범위에서 벗어났다면, 볼륨 이득은, 상기 낮은 주파수에서의 이득 및 높은 주파수에서의 이득이 상기 허용된 이득 범위 내에 있도록 재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오디오 프로세서의 주파수 특성 조정 방법.
  6. 적어도 낮은 주파수에서의 이득, 높은 주파수에서의 이득 및 볼륨 이득을 포함하는 조정 가능한 파라미터를 갖는 디지털 오디오 프로세서의 주파수 특성을 조정하기 위한 장치로서,
    a) 낮은 주파수에서의 이득, 중간 주파수에서의 이득 및 높은 주파수에서의 이득을 갖는 주파수 특성 곡선을 선택하고 선택된 주파수 특성 곡선의 중간 주파수에서의 이득을 판독하는 수단과,
    만약 상기 선택된 주파수 특성 곡선의 중간 주파수에서의 이득이 0보다 더 작은 것으로 결정되면,
    b) 중간 주파수에서의 실제 이득이 상기 선택된 주파수 특성 곡선의 중간 주파수에서의 이득과 매칭할 때까지,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볼륨 레벨에서 벗어나서 볼륨 이득을 감소시키는 수단과,
    c) 상기 선택된 주파수 특성 곡선의 낮은 주파수에서의 이득과 매칭하도록 낮은 주파수에서의 이득을 조정하고, 상기 선택된 주파수 특성 곡선의 높은 주파수에서의 이득과 매칭하도록 높은 주파수에서의 이득을 조정하는 수단
    을 포함하는, 디지털 오디오 프로세서의 주파수 특성을 조정하기 위한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낮은 주파수에서의 조정된 이득 및 높은 주파수에서의 조정된 이득을 모니터링하고 허용된 이득 범위와 비교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오디오 프로세서의 주파수 특성을 조정하기 위한 장치.
  8. 적어도 낮은 주파수에서의 이득, 높은 주파수에서의 이득 및 볼륨 이득을 포함하는 조정 가능한 파라미터를 갖는 디지털 오디오 프로세서의 주파수 특성을 조정하기 위한 장치로서,
    a) 낮은 주파수에서의 이득, 중간 주파수에서의 이득 및 높은 주파수에서의 이득을 갖는 주파수 특성 곡선을 선택하고 선택된 주파수 특성 곡선의 중간 주파수에서의 이득을 판독하는 수단과,
    만약 상기 선택된 주파수 특성 곡선의 중간 주파수에서의 이득이 0보다 더 큰 것으로 결정되면,
    b) 중간 주파수에서의 실제 이득이 상기 선택된 주파수 특성 곡선의 중간 주파수에서의 이득과 매칭할 때까지,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볼륨 레벨에서 벗어나서 볼륨 이득을 증가시키는 수단과,
    c) 상기 선택된 주파수 특성 곡선의 낮은 주파수에서의 이득과 매칭하도록 낮은 주파수에서의 이득을 조정하고, 상기 선택된 주파수 특성 곡선의 높은 주파수에서의 이득과 매칭하도록 높은 주파수에서의 이득을 조정하는 수단
    을 포함하는, 디지털 오디오 프로세서의 주파수 특성을 조정하기 위한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낮은 주파수에서의 조정된 이득 및 높은 주파수에서의 조정된 이득을 모니터링하고 허용된 이득 범위와 비교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오디오 프로세서의 주파수 특성을 조정하기 위한 장치.
  10. 제 8 항에 있어서, 만약 낮은 주파수에서의 이득 또는 높은 주파수에서의 이득이 허용된 이득 범위에서 벗어났다면, 볼륨 이득은, 상기 낮은 주파수에서의 이득 또는 높은 주파수에서의 이득이 허용된 이득 범위 내에 있도록 재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오디오 프로세서의 주파수 특성을 조정하기 위한 장치.
KR1020037010210A 2001-02-14 2002-02-04 디지털 오디오 프로세서의 주파수 특성을 조정하기 위한 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조정되는 2-밴드 오디오 프로세서를 구비한 전자 디바이스 KR10090270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1400387A EP1233509A1 (en) 2001-02-14 2001-02-14 Digital audio processor
EP01400387.5 2001-02-14
PCT/EP2002/001104 WO2002080358A2 (en) 2001-02-14 2002-02-04 Digital audio process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75174A KR20030075174A (ko) 2003-09-22
KR100902701B1 true KR100902701B1 (ko) 2009-06-15

Family

ID=81826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10210A KR100902701B1 (ko) 2001-02-14 2002-02-04 디지털 오디오 프로세서의 주파수 특성을 조정하기 위한 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조정되는 2-밴드 오디오 프로세서를 구비한 전자 디바이스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460678B2 (ko)
EP (2) EP1233509A1 (ko)
JP (1) JP4068969B2 (ko)
KR (1) KR100902701B1 (ko)
CN (1) CN1232030C (ko)
WO (1) WO2002080358A2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5934B1 (ko) 2018-03-16 2018-09-07 트루직 주식회사 오디오 신호의 주파수 특성 보정 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 및 기록매체
KR101895926B1 (ko) 2018-05-24 2018-09-07 트루직 주식회사 오디오 신호의 주파수 특성 보정 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 및 기록매체
KR101997402B1 (ko) 2018-08-13 2019-07-05 김도영 오디오 신호의 주파수 특성 보정 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 및 기록매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71323B2 (ja) * 2001-05-17 2011-09-14 新世代株式会社 音階認識方法、音階認識装置、及び、記録媒体
KR100561440B1 (ko) * 2004-07-24 2006-03-17 삼성전자주식회사 채널 변경에 따른 음량 자동 보정 장치 및 그 방법
KR100724407B1 (ko) * 2005-01-13 2007-06-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음악파일 이득 조정장치
CN1953047B (zh) * 2005-10-21 2010-06-23 英华达(南京)科技有限公司 音量范围调整系统及其方法
MY141426A (en) * 2006-04-27 2010-04-30 Dolby Lab Licensing Corp Audio gain control using specific-loudness-based auditory event detection
JP5082327B2 (ja) * 2006-08-09 2012-11-28 ソニー株式会社 音声信号処理装置、音声信号処理方法および音声信号処理プログラム
CN101105942B (zh) * 2007-06-13 2012-08-08 深圳市中兴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优化码分多址网络终端音质的方法
US20100207669A1 (en) * 2009-02-19 2010-08-19 Ideacom Technology Corporation (Taiwan) Freqeuncy adjusting apparatus and the method therefor
CN203366173U (zh) * 2012-04-10 2013-12-25 快捷半导体(苏州)有限公司 音频切换控制装置
JP2015177392A (ja) * 2014-03-17 2015-10-05 ヤマハ株式会社 信号処理装置およびイコライザモジュール
CN109314499B (zh) * 2016-06-07 2023-09-29 杜比实验室特许公司 音频均衡系统和方法
CN108462921B (zh) * 2017-02-20 2020-06-02 北京东方广视科技股份有限公司 扬声器声场均衡设备
CN107396242B (zh) * 2017-08-08 2024-02-06 广东长虹电子有限公司 一种音频增益电路
CN109274345B (zh) * 2018-11-14 2023-11-03 上海艾为电子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信号处理方法、装置和系统
CN114428600A (zh) * 2020-10-29 2022-05-03 深圳Tcl新技术有限公司 音轨增益调整方法、装置、智能终端及存储介质
CN112333596A (zh) * 2020-11-05 2021-02-05 江苏紫米电子技术有限公司 一种耳机均衡器的调整方法、装置、服务器及介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3826A (ja) * 1992-06-24 1994-01-21 Clarion Co Ltd オーディオ信号の高低域成分強調方法
US5524022A (en) 1993-08-24 1996-06-04 Pioneer Electronic Corporation Digital graphic equalizer
JPH09232896A (ja) * 1996-02-27 1997-09-05 Alpine Electron Inc オーディオ信号処理方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57309A (en) * 1967-10-02 1971-01-19 Cecil R Graham Amplifier with automatic gain control
DE3837538C2 (de) * 1988-02-03 1996-10-17 Pioneer Electronic Corp Lautstärkesteuerschaltung mit Frequenzgangkompensation für ein Audiowiedergabegerät eines Kraftfahrzeugs
FR2696060A1 (fr) * 1992-09-22 1994-03-25 Carpentier Claude Procédé et dispositif de commande automatique du gain d'un amplificateur d'un système électroacoustique, notamment pour véhicule automobile.
US5872852A (en) * 1995-09-21 1999-02-16 Dougherty; A. Michael Noise estimating system for use with audio reproduction equipment
US7031474B1 (en) * 1999-10-04 2006-04-18 Srs Labs, Inc. Acoustic correction apparatu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3826A (ja) * 1992-06-24 1994-01-21 Clarion Co Ltd オーディオ信号の高低域成分強調方法
US5524022A (en) 1993-08-24 1996-06-04 Pioneer Electronic Corporation Digital graphic equalizer
JPH09232896A (ja) * 1996-02-27 1997-09-05 Alpine Electron Inc オーディオ信号処理方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5934B1 (ko) 2018-03-16 2018-09-07 트루직 주식회사 오디오 신호의 주파수 특성 보정 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 및 기록매체
KR101895926B1 (ko) 2018-05-24 2018-09-07 트루직 주식회사 오디오 신호의 주파수 특성 보정 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 및 기록매체
KR101997402B1 (ko) 2018-08-13 2019-07-05 김도영 오디오 신호의 주파수 특성 보정 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 및 기록매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491480A (zh) 2004-04-21
EP1440509B1 (en) 2012-04-11
WO2002080358A2 (en) 2002-10-10
JP4068969B2 (ja) 2008-03-26
KR20030075174A (ko) 2003-09-22
EP1440509A2 (en) 2004-07-28
US20040068402A1 (en) 2004-04-08
WO2002080358A3 (en) 2004-05-06
EP1233509A1 (en) 2002-08-21
JP2004533154A (ja) 2004-10-28
US7460678B2 (en) 2008-12-02
CN1232030C (zh) 2005-1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02701B1 (ko) 디지털 오디오 프로세서의 주파수 특성을 조정하기 위한 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조정되는 2-밴드 오디오 프로세서를 구비한 전자 디바이스
JP3295443B2 (ja) オーディオ装置における信号処理回路
JPH0575367A (ja) オーデイオ装置における信号処理回路
JPH01231510A (ja) 出力レベル制御装置
US5127058A (en) Gain controller
JP2003168940A (ja) 音響調整装置
JPH04354202A (ja) 再生音レベル自動制御回路及びその方法
JP2001044774A (ja) オーディオ再生システム
JP2006262181A (ja) オーディオ信号処理装置
JP3243737B2 (ja) 音量調整回路装置
JP2004260518A (ja) オーディオ装置
JP2000069584A (ja) 車載用オーディオシステムのトーンコントロール機構
JP2009027292A (ja) 電子機器
JP3247526B2 (ja) オーディオ信号のレベル調整装置
KR100324747B1 (ko) 음성 잡음신호 제거회로
KR0136701B1 (ko) 오디오 시스템의 초기 증폭 레벨 조정 방법
JP3285151B2 (ja) 音量調整装置
JPH0993063A (ja) オートゲインコントロール回路
JP2582855Y2 (ja) テーププレーヤ
KR0139084B1 (ko) 텔레비전의 등화레벨 제어장치 (apparatus for controlling equalizer level of television)
JPH118523A (ja) 音量調整装置
JPH0738356A (ja) 音響機器
JPH01164111A (ja) 音特性制御装置
JPH06338735A (ja) ミキシング装置
JP2000311446A (ja) 音声自動調整回路と音声自動調整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0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6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