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98493B1 - 고기 불판 - Google Patents

고기 불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98493B1
KR100898493B1 KR1020090000642A KR20090000642A KR100898493B1 KR 100898493 B1 KR100898493 B1 KR 100898493B1 KR 1020090000642 A KR1020090000642 A KR 1020090000642A KR 20090000642 A KR20090000642 A KR 20090000642A KR 100898493 B1 KR100898493 B1 KR 1008984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at
heat
water container
plate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06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기복
Original Assignee
임기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기복 filed Critical 임기복
Priority to KR10200900006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9849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84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84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7Horizontally disposed broiling gridd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86Accesso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기 불판에 관한 것으로서, 고기를 오랜 시간 불판에 올려놓더라도 태우지 않고, 굽는 냄새와 연기를 없애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고기 불판은 열원으로부터 나오는 열기를 모아주는데 바람직한 열기 가림 막과, 상기 열기 가림 막에 결합 되어 중앙 최상부에서 열기를 배출할 수 있고 기름이 위에서 아래로 흐르는데 바람직하도록 구성된 원뿔대 형태의 불판과, 상기 결합 구조의 내부에서 열기 가림 막 내부에 위치한 물 용기 받침대 위에서 하부의 열원으로부터 열기를 받아 수증기를 발생시키는 물 용기와, 상기 물 용기의 상부와 결합 되어 물 용기에서 발생하는 수증기의 연직 방향의 상승을 막으면서 측면에 부착된 배출 망으로 수증기를 배출하도록 하는 물 용기 막음 판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가스레인지, 불판, 물, 수증기, 돌기, 망, 용기, 그레이트

Description

고기 불판 {A Roaster}
본 발명은 고기 불판에 관한 것으로서, 가스레인지나 가스버너와 같은 열원에서 공급되는 열기와, 상기 열로서 불판 하부에 위치한 물이 채워진 물 용기를 가열함으로 발생 되는 수증기가 혼합된 열기 상태로 고기를 구워, 고기를 오랜 시간 불판에 올려놓더라도 태우지 않고, 굽는 냄새와 연기를 없애는 데 그 목적이 있다.
고기를 구워 먹기 위하여 불판을 사용하게 되는데, 이미 발명되거나 고안된 불판이 시중에 많이 나와있다. 종래의 불판으로는 숯불과 같은 열원 위에 석쇠나 다수의 통공이 형성된 불판을 거치해 두어 그 위에 고기를 구워 먹는 직접 가열 방식과, 열원 위에 통공이 없는 금속 재질이나 석재 재질로 이루어진 불판을 두어 열원으로부터 열을 받아 불판 전체를 달구어 고기를 구워 먹는 간접 가열 방식으로 나눌 수가 있다.
그러나 어느 방식이든지, 시간이 지나게 되면, 고기를 구울 때에 고기가 타는 일을 피할 수 없어, 불판을 수시로 청소하거나 갈아주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타버린 고기는 육즙이 말라 딱딱해져 고기 맛을 떨어뜨리고, 의학적으로 암을 유발한다는 것은 이미 밝혀진 바이다.
또한 종래의 불판에서 고기가 구워지면 흰 회색의 기름이 타는 연기가 발생되는데, 연기가 접촉되는 자리마다 미끄럽게 오염되고, 옷 등에 연기의 냄새가 스며들어 고기를 먹는 사람들에게 부담을 주는 단점이 있다. 이 때문에 업소에서는 막대한 비용을 들여가며 불판 위에 환기 시설을 따로 설치할 정도이다.
또한 고기를 굽게 되면 기름이 원활히 제거되지 않고 고이면서 기름의 방울들이 주위 사람들에게 튀어 화상의 위험을 줄 수 있다.
본 발명은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고기를 불판에 구울 때에 시간이 경과해도 타지 않고 구워지면서 냄새와 연기를 배출하지 않는 고기 불판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고기 불판은 열원으로부터 나오는 열기를 모아주는데 바람직한 열기 가림 막과, 상기 열기 가림 막에 결합 되어 중앙 최상부에서 열기를 배출할 수 있고 기름이 위에서 아래로 흐르는데 바람직하도록 구성된 원뿔대 형태의 불판과, 상기 결합 구조의 내부에서 열기 가림 막 내부에 위치한 물 용기 받침대 위에서 하부의 열원으로부터 열기를 받아 수증기를 발생시키는 물 용기와, 상기 물 용기의 상부와 결합 되어 물 용기에서 발생하는 수증기의 연직 방향의 상승을 막으면서 측면에 부착된 배출 망으로 수증기를 배출하도록 하는 물 용기 막음 판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면, 열기 가림 막은 상부와 하부가 관통된 원통형 구조로 이루어져 있는데, 상기 구조는 중간 위치에서 안쪽으로 수직 절곡 되어, 일정한 길이를 유지하며 원으로 둘러진 모양으로 접혀있는 접힘 부가 있고, 상기 원형 접힘 부에서 일정한 각도마다, 물 용기를 올려놓기 위한 물 용기 받침대가 일정한 길이로 연장되어 있으며, 상기 물 용기 받침대의 종단부분에서는 수직 아래로 절곡 연장되는 열기 가림 막 지지대를 두는데, 상기 각각의 열기 가림 막 지지대는 일정한 길이로 아래를 향해 뻗어있어, 가스레인지나 가스 버너 등의 그레이트가 있는 상태에서도 본 발명의 고기 불판을 간섭없이 안정적으로 올려놓을 수 있는 구성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면, 열기 가림 막의 원통 둘레의 일정 부분은 열기 가림 막 내부에 위치한 물 용기의 연장된 부분이 돌출될 수 있도록 '∪'형태의 홈을 갖는 물 용기 삽입부를 만드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면, 불판 하부, 즉 열기 가림 막 내부의 물 용기 받침 대 위에는, 중앙이 통공 된 열기 상승 부를 가지며, 한쪽이 연장되어 물 보충을 위한 물 주입구가 연장된 구조로 구성된 물 용기를 올려놓음으로써, 하부 열원으로부터 나오는 열기로 상기 모양의 물 용기를 가열하여 수증기를 발생시키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면, 물 용기를 가열하고 남는 열기는, 물 용기 중앙에 통공 된 열기 상승 부와, 상기 물 용기 받침 대 사이의 틈 형태의 열기 상승 부를 통해 상승하며, 이 때에 가열된 수증기와 혼합되어, 수증기가 혼합된 열기가 불판까지 전달이 되도록 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면, 내부 원통 면과 외부 원통 면은 배출 망으로 둘러져 있고, 상부는 막혀있는 도넛 모양의 뚜껑형식의 물 용기 막음 판을 두어, 상기 기술한 물 용기 최상부 원주의 결합 홈과 상기 막음 판 하부 원주의 결합 홈이 완전 결합 되도록 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물 용기 막음 판은 연직 방향으로 상승하는 수증기를 배출 망을 통해 여러 방향으로 분산시킴으로 하부에서 올라오는 열기와 골고루 혼합이 되도록 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면, 열기 가림 막과 불판의 결합을 위하여서, 상기 열기 가림 막의 최상부 원주에는 결합 홈을 두고, 이와 결합하는 불판의 배면에도 원주 형태의 결합 홈을 두어 위 아래로 안정 결합 된 상태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면, 원형의 불판은 원뿔 대 형태로서, 고기가 불판에 접촉되는 모든 면에 있어서, 상부에서 하부로 일정한 각도의 경사면을 이루도록 구성하고, 상기 경사면에 일정한 폭의 기름 흐름 골을 규칙적으로 내어, 고기 기름 및 수증기의 수분이 불판의 하부 최 외곽에 위치한 기름 고임 골로 흘러갈 수 있도록 하는 가이드 역할을 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원뿔 대 모양의 불판은 위에서 아래로 내려가면서 불판 표면의 원주가 점차 커지는 구조로, 각 원주마다의 표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
Figure 112009015884773-pat00010
'형태 구멍 다수 개를 일정하게 통공하여 열기배출구로 사용하되, 상기 열기 배출구는 반드시 위쪽이 차단되고 하부 원주를 향한 측면으로 통공 된 구조가 되게 하여, 수증기가 혼합된 열기를 배출하여 고기가 불판에 늘어 붙거나 타는 일을 막고, 고기가 구워지면서 나오는 기름이 불판 하부로 침입하는 일을 방지하여, 기름 및 수분은 기름 흐름 골을 타고 기름 고임 골로 흐르게 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면, 기름 고임 골로 수합 된 기름 및 수분은 기름 배출구와 기름 배출관을 통해 기름 받이 용기에 고일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기름 받이 용기에는 장착 핀이 있어, 열기 가림 막 일부에 돌출된 물 주입구에 결합하여, 안정적으로 기름이 고일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면, 원뿔대 모양의 불판의 상부 원형 면에는 열원의 원활한 연소를 위하여 중앙을 통공한 열기 배출구를 두고, 또한, 상기 열기 배출구 주위에 간이 조리를 목적으로 네 개의 돌기를 두어, 돌기 위에 조리 가능 용기를 올려놓아 배출 열기로 조리를 할 수 있으며, 돌기의 틈을 이용하여, 상기 조리 과정에도 열기는 계속 밖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면, 불판의 기름 고임 골을 국물 고임 골 용도로도 사용할 수 있으며, 여기에서 국물이 불판 외부로 배출되지 않도록 해야할 때, 너트처럼 나선 형식의 배출 구를 만들고, 와셔가 결합 된 볼트로 배출 구를 막도록 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고기 불판은 열원의 열기에서 일반적인 불판을 사용하여 고기를 굽는 방식이 아니라, 수증기가 혼합된 열기를 사용하도록 함으로서, 오랜 시간 불판이 가열이 되어도 고기가 타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장점을 볼 때에 본 발명의 불판을 사용하면, 불판을 수시로 갈아주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없어지며, 다 구워진 고기를 오랜 시간 두어도 육즙이 있는 상태가 유지된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불판은 열기 가림 막으로 열기를 막아주고, 내부에서는 수증기가 혼합된 열기가 순환되면서 배출하는 방식을 사용함으로서, 중 불이나 약 불에서도 충분히 고기를 구울 수 있어 연료비를 절감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수증기의 효과로 고기의 기름이 탈 때에 발생하는 흰 회색의 연기를 배출하지 않아 고기가 구워지는 환경에서 냄새와 연기를 없애 특별한 환기 시설 없이도 오랜 시간 쾌적한 환경에서 고기를 먹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을 통하여 삼겹살 등의 날 고기를 구울 뿐만 아니라, 불고기나 제육 볶음 등의 양념이 가미된 고기 음식을 조리할 때에도, 먹는 동안에도 적절한 수분이 유지되어 음식이 타거나 짜지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얇게 썬 감자나 햄 등의 고형물 음식도 알맞게 구울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아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고기 불판의 양호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 1 실시 예]
도면에서,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고기 불판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고기 불판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고기 불판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고기 불판의 평면도이고, 도 5는 도 2에 도시된 물 용기와 막음 판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2에 도시된 열기 가림 막의 평면도이고, 도 8은 기름 받이 용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에 도시된 기름 받이 용기의 측면도이다.
도 1과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고기 불판(100)의 외형은, 크게 열기 가림 막(110)과, 불판(140)으로 결합 되어져 있고, 여기에 열기 가림막(110) 내부의 받침대(112)에 위치한, 물 용기(120)의 물 주입구(122)가 밖으로 돌출되어 있는 형태이다.
우선, 열기 가림 막(110)은 도 2와 도 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가스레인지나 휴대용 가스 버너 등에서 나오는 열원과, 상기 열원의 기성제품인 그레이트(50)를 감싸는 원통형 구조인데, 열기 가림 막(110)의 열기 가림 막 지지대(111)는 고기 불판(100) 전체를 지지하는 역할 뿐 아니라, 손실되어 낭비되는 열을 막아, 열기를 고기 불판(100) 전체에서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실제로 이 구조의 실험을 해 본 결과, 보통의 냄비를 열원의 그레이트(50)에 올려 두었을 때에는 손실 열이 많아 냄비를 가열하는 열원 주위가 크게 뜨거웠지만, 본 발명의 열기 가림막 지지대(111) 구조에서는 열원 주위가 크게 뜨거워지는 일이 없었다. 이 실험으로 알 수 있는 사실은, 열기 가림막 지지대(111)가 열원의 열기를 받아 밀폐된 고기 불판(100)을 순환하며, 고기를 굽는 열의 온도를 상승시키는데 효율적이라는 말이다. 열원이 열기를 내는데 필요한 산소는 열기 가림막 지지대(111) 사이의 공기 구멍(115)으로도 충분하다.
열기 가림막 지지대(111)는, 물 용기를 위한 받침대(112)에서 90도로 절곡 되어진 구조이다. 물 용기 받침대(112)는 도 2와 도 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접힘부(116) 원주에서 일정한 각도마다 평평하게 연장되어 있어, 물 용기(120)를 올려놓을 수 있다. 이 때, 주의할 부분은, 물 용기(120)가 받침대(112)위에 올려져 있을 때에는, 반드시 받침대 사이의 열기 상승 부(146A)의 공간이 보장되어야 한다는 점이다. 만약, 물 용기(120)가 접힘부(116)에 밀착 결합이 되어, 열기 상승 부(146A)가 보장되지 않는다면, 열기를 중요하게 여기는, 본 발명의 고기 불판(100)을 특징을 살리는 데에, 바람직하지 않다.
아래에서는 물 용기(120)에 대하여 설명한다. 물 용기(120)는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물 용기(120) 한쪽이 연장된 구조로, 물 용기 받침대(112)위에 올려지게 된다. 상기 물 용기(120) 한쪽이 연장된 이유는, 본 고기 불판(100)은 수증기를 필요로 하기에, 고기를 굽는 과정에서 있어, 물 고임 부(121)에 물이 항상 존재해야 한다. 그러나 물 용기(120)는 구조상, 열기 가림 막(110) 내부에 물 용기(120)가 위치해야 하기 때문에, 물을 보충하기가 어렵다. 따라서 물 용기(120) 한쪽을 연장하여서 밖으로 돌출되게 하여, 물 주입구(122)를 두어, 현재의 물 량도 알 수 있고, 부족한 물을 쉽게 채워 넣을 수가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물 용기에는 중앙이 통공된 열기 상승 부(146B)를 두어서, 열원의 열기가 불판(140)으로까지 전달이 되어질 수 있도록 한다.
아래에서는 물 용기(120) 막음 판(13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와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막음 판(130)은 물 용기(120)와 결합하기 위한 것으로, 물 용기(120)의 상부 결합 홈(191A)과 막음 판(130)의 하부 결합 홈(191B)이 결합 되도록 구성한다. 막음 판(130)의 특징은, 물이 가열되어 연직 방향으로 발생하는 수증기를 막아, 막음 판(130)의 내부 배출 망(131A)과 외부 배출 망(131B)로 배출한다는 것이다. 수증기를 연직 상승을 시키지 않고, 굳이 막음 판(130)을 두어서 배출 망(131A, 131B)을 통하여 배출시키는 이유는, 본 발명의 핵심인 수증기가 혼합된 열기를 일정하게 유지시켜 불판(140)의 열기 배출구(145B)로 까지 전달하기 위함이다. 수증기보다 열기가 강하여, 열기에 의하여 수증기가 모두 증발되고, 열기만 불판(140)에 전달이 된다면, 고기는 타버리면서 흰 색의 유해한 연기를 내뿜게 된다. 반대로, 가열되는 물 용기(120)에 막음 판(130)을 제거시키면, 발생 된 수증기는 모두 연직 상승을 하는 상태로, 불판(140)까지 전달이 되는데, 이처럼 수증기가 너무 많으면, 고기는 구워지지 않고 찜 형식으로 되며, 소모되는 물의 양도 많아 비효율적이다. 따라서, 수증기가 열기 상승부(146A, 146B, 146C)로 부터 올라오는 열기와 만나 일정한 비율로 혼합이 되게 하기 위해서는 상기 기술한 두 문제점을 모두 해결해야 한다. 막음 판(130)의 내외의 배출 망(131A, 131B)은 미세한 구멍을 통하여 수증기 일정량만을 내외 측면으로 배출시키고, 위가 차단되어 있어 배출되지 못한 수증기는 다시 응결되어 물이 되는 순환 효과를 만들어 내는 것이다. 즉, 물 용기(120)의 열기 상승 부(146B)로부터 올라오는 열기는, 막음 판(130)의 내부 배출 망(131A)으로부터 나오는 수증기와 잘 혼합되고, 열기 가림막(110)의 열기 상승 부(146A)로부터 올라오는 열기는, 막음 판(130)의 외부 배출 망(131B)으로부터 나오는 수증기와 잘 혼합되어, 최종 목적지인 불판(140)으로까지 도달되게 되는 구조인 것이다. 한편, 위의 구조와 원리로써, 일정량의 수증기가 섞인 열기가 계속 유지가 되어 불판(140)으로 전달만 된다면, 아무리 오랜 시간 가열이 된다 할지라도, 불판(140) 위의 고기는 타지 않으며, 노릇노릇하게 구워지게 된다.
아래에서는 불판(14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와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불판(140)은 원뿔대 구조로, 열기 가림막(110)의 상부 결합 홈(190A)과 불판(140) 배면의 원형으로 되어진 하부 결합 홈(190B)이 완전 결합이 되어, 안정적으로 고기를 구울 수 있게 한다. 불판(140)에는 열기 배출구(145A, 145B)가 있어 열기를 배출하도록 한다. 먼저, 불판(140)의 평평한 윗면을 적당한 크기로 통공하여, 열기 배출구(145A)를 만들어, 수증기가 혼합된 열기를 배출함으로, 열원의 연 소가 원활히 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열기 배출구(145A) 주위에, 돌기(147)를 두어서 참기름에 섞은 마늘이나, 된장찌개 등의 간이 음식이 담긴 그릇을 올려놓아, 열기 배출구(145A)로부터 열을 받아 조리가 가능하도록 한다. 실험 결과, 나오는 열기는 280도 전후로, 조리하기에 충분한 온도였다. 결국 돌기(147)가 있어, 열을 배출하면서도, 음식을 조리 할 수 있는 부가적 효과를 거둘 수 있다. 또한, 불판(140)은 모든 도면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에서 하부로 내려오면서, 점차 그 원주가 커지는 방식으로, 각 원주마다 촘촘하게 열기 배출구(145B)로 구성된다. 이 때의 주안점은,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열기 배출구(145B)는 수직으로 통공 된 구조가 아니라, 각 열기 배출구(145B)의 한쪽 측면만을 통공 한다는 점이다. 그 이유는, 불판(140)이 뜨거운 전도열로 구워질 때에, 한쪽 측면이 통공 된 상기 열기 배출구(145B)마다, 수증기가 혼합된 수증기가 나옴으로, 고기가 타지 않고 육즙이 보존된 채 노릇노릇 구워지며, 흰 회색의 타는 연기 및 냄새 나지 않고, 오히려 수증기가 액화된 수분 위에 고기 기름이 뜨는 효과가 나타나, 사선 면과 기름 흐름 골(144A, 144B)을 타고 기름 고임 골(141A)로 흐르게 되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불판(140) 구조에서는 상기 기술한 두 열기 배출구(145A, 145B) 구조가 핵심이다. 이 구조로 밀폐된 공간에서 실험한 결과 5시간 동안 고기 굽는 일을 반복 했음에도, 고기 타는 냄새나, 흰 회색의 연기가 나지 않았으며, 고기의 기름이 계속 빠지고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불판 하부의 외곽에는 기름 고임 골(141A)을 두어, 사방 사선 면에서 흐르는 수분 및 기름이 고일 수 있도록 하였으며, 기름 고임 골(141A) 한 곳에 배 출구(142)와 배출관(143)을 두어, 기름 받이 용기(300)로 흘러 갈 수 있도록 한다.
한편, 기름 받이 용기(300)는 도 8과 도 9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기름 고임 부(302)와 후면에 장착 핀(301)으로 이루어진 구조이다. 종래에는 기름 받이 역할로 종이컵 등을 사용하였으나, 종이컵은 뜨거운 기름에 스며들어, 보존성이 약하고, 실수로 충격이 가해지면, 받아진 기름을 엎지를 위험이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의 기름 받이 용기(300)를 장착 핀(301)으로, 물 용기(120)의 밖으로 돌출된 물 주입구(122) 등에 장착하여 사용한다면, 안전하게 기름을 받을 수 있다. 물론, 기름 받이 용기(300)는 열 전도에 약한 재질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2 실시 예]
도면에서, 도 7은 제 2 실시 예에 따른 양념 고기 전용 불판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실시 예의 모든 발명 원리는 제 1 실시 예와 동일하나, 달라진 점은, 기름 고임 골(141A)이 넓어져, 국물 고임 골(141B)로 개선된 것과, 배출구(142)에 와셔(201)가 결합 된 볼트(200)를 장착한 것이다.
본 발명의 고기 불판(100)은 삼겹살과 같은 날 고기 굽는 것을 대상으로 할 뿐 아니라, 불고기나 제육 복음같이 양념이 가미된 고기 음식에서도 효율적인 불판사용이 가능하다. 불고기의 경우는 수분이 많은 상태임에도, 종래의 불판에서 가열하게 되면 국물이 졸아 버려, 처음 간이 변하고, 불판도 탔다. 본 발명의 불판에서는 수분이 혼합된 열기로 가열을 하고, 적당한 수분이 불판 사선 면의 열기 배출구(145B)로 배출되기 때문에, 국물이 졸아붙는 일이 없고, 타지 않는다. 또한 하부의 국물 고임 골(141B)을 두어 고인 양념 국물을 숟가락 등으로 떠 먹을 수 있 게 한다.
아래에서는 국물 고임 골(141B) 한 곳에 위치할, 볼트(200)와 와셔(201)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기술한 것처럼 양념 국물이 국물 고임 골(141B)에 고여있게 하기 위해서는 배출 구(142)가 닫혀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하여, 제 2 실시 예에서는 배출 구(142)를 너트처럼 나선 형으로 구성하고, 거기에 와셔(201)가 끼워진 볼트(200)를 돌려 끼울 수 있게 하여, 완전히 막을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양념 국물이 많아서 버리려 할 때에, 볼트(200)를 돌려서 배출 구(142)를 열게 되면, 배출관(143)으로 흐르는 양념 국물의 양까지도 조절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고기 불판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고기 불판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고기 불판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고기 불판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물 용기와 막음 판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2에 도시된 열기 가림 막의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양념 고기 불판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은 기름 받이 용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기름 받이 용기의 측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50 : 그레이트
100 : 고기 불판 110 : 열기 가림 막
111 : 지지대 112 : 물 용기 받침대
114 : 물 용기 삽입 부 115 : 공기 구멍
116 : 접힘부
120 : 물 용기 121 : 물 고임 부
122 : 물 주입구
130 : 막음 판 131A : 내부 배출 망
131B : 외부 배출 망
140 : 불판 141A : 기름 고임 골
141B : 국물 고임 골 142 : 배출 구
143 : 배출관 144A, 144B : 기름 흐름 골
145A, 145B : 열기 배출 구
146A. 146B, 146C : 열기 상승 부
147 : 돌기
190A, 190B, 191A, 191B : 결합 홈
200 : 볼트 201 : 와셔
300 : 기름 받이 용기 301 : 장착 핀
302 : 기름 고임 부

Claims (14)

  1. 열원으로부터 나오는 열기를 모아주는데 바람직한 열기 가림 막(110)과,
    상기 열기 가림 막(110)에 결합 되어 중앙 최상부에서 열기를 배출할 수 있고 기름이 위에서 아래로 흐르는데 바람직하도록 구성된 원뿔대 형태의 불판(140)과,
    상기 결합 구조의 내부에서는, 열기 가림 막(110) 내부의 물 용기 받침대(112) 위에 위치하여, 하부의 열원으로부터 열기를 받아 수증기를 발생시키는 물 용기(120)와,
    상기 물 용기(120)의 상부와 결합 되어 물 용기에서 발생하는 수증기의 연직 방향의 상승을 막으면서, 동시에 측면에 부착된 배출 망으로 수증기를 배출하도록 하는 물 용기 막음 판(130)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하는 고기 불판.
  2. 제 1항에 있어서,
    열기 가림 막(110)은 상부와 하부가 관통된 원통형 구조로 이루어져 있는데,
    상기 구조는 중간 위치에서 안쪽으로 수직 절곡 되어, 일정한 길이를 유지하며 원으로 둘러진 모양으로 접혀있는 접힘 부(116)가 있고,
    상기 원형 접힘 부(116)에서 일정한 각도마다,
    물 용기(120)를 올려놓기 위한 물 용기 받침대(112)가 일정한 길이로 연장되어 있으며,
    상기 물 용기 받침대(112)의 종단부분에서는 수직 아래로 절곡 연장되는 열기 가림 막 지지대(111)를 두는데,
    상기 각각의 열기 가림 막 지지대(111)는 일정한 길이로 아래를 향해 뻗어있어,
    가스레인지나 가스 버너 등의 그레이트(50)가 있는 상태에서도 본 발명의 고기 불판(100)을 간섭없이 안정적으로 올려놓을 수 있는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고기 불판.
  3. 제 1항에 있어서,
    열기 가림 막(110)의 원통 둘레의 일정 부분은 열기 가림 막 내부에 위치한 물 용기(120)의 연장된 부분이 돌출될 수 있도록 '∪'형태의 홈을 갖는 물 용기 삽입부(114)가 만들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기 불판.
  4. 제 2항에 있어서,
    불판(140) 하부, 즉 열기 가림 막(110) 내부의 물 용기 받침 대(112) 위에는,
    중앙이 통공된 열기 상승 부(146B)를 가지며,
    한쪽이 연장되어 물 보충을 위한 물 주입 구(122)가 연장된 구조로 구성된 물 용기(120)를 올려놓음으로써,
    하부 열원으로부터 나오는 열기로 상기 모양의 물 용기(120)를 가열하여 수 증기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기 불판.
  5. 제 2항에 있어서,
    물 용기(120)를 가열하고 남는 열기는,
    물 용기(120) 중앙에 통공된 열기 상승 부(146B)와 상기 물 용기 받침 대(112) 사이의 틈 형태의 열기 상승 부(146A)를 통해 상승하며,
    이 때에 가열된 수증기와 혼합되어, 수증기가 혼합된 열기가 불판(140)까지 전달이 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기 불판.
  6. 제 4항에 있어서,
    내부 원통 면과 외부 원통 면은 배출 망(131)으로 둘러져 있고 상부는 막혀있는,
    도넛 모양의 뚜껑형식의 물 용기 막음 판(130)을 두어,
    상기 기술한 물 용기(120) 최상부 원주의 결합 홈(191A)과 상기 막음 판(130) 하부 원주의 결합 홈(191B)이 완전 결합 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기 불판.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물 용기 막음 판(130)은 연직 방향으로 상승하는 수증기를 배출 망(131)을 통해 여러 방향으로 분산시킴으로,
    하부에서 올라오는 열기와 골고루 혼합이 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기 불판.
  8. 제 1항에 있어서,
    열기 가림 막(110)과 불판(140)의 결합을 위하여서,
    상기 열기 가림 막(110)의 최상부 원주에는 결합 홈(190A)을 두고,
    이와 결합하는 불판의 배면에도 원주 형태의 결합 홈(190B)을 두어 위 아래로 안정 결합 된 상태에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기 불판.
  9. 제 1항에 있어서,
    원형의 불판(140)은 원뿔 대 형태로서,
    고기가 불판(140)에 접촉되는 모든 면에 있어서, 상부에서 하부로 일정한 각도의 경사면을 이루도록 구성하고,
    상기 경사면에 일정한 폭의 기름 흐름 골(144A, 144B)을 규칙적으로 내어,
    고기 기름 및 수증기의 수분이 불판의 하부 최 외곽에 위치한 기름 고임 골(141A)로 흘러갈 수 있도록 하는 가이드 역할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기 불판.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원뿔 대 모양의 불판(140)은 위에서 아래로 내려가면서 불판 표면의 원주가 점차 커지는 구조로,
    각 원주마다의 표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
    Figure 112009015884773-pat00011
    '형태 구멍 다수 개를 일정하게 통공하여 열기배출구(145B)로 사용하되,
    상기 열기 배출구(145B)는 반드시 위쪽이 차단되고 하부 원주를 향한 측면으로 통공 된 구조가 되게 하여,
    수증기가 혼합된 열기를 배출하여 고기가 늘어 붙거나 타는 일을 막고,
    고기가 구워지면서 나오는 기름이 불판 하부로 침입하는 일을 방지하여,
    기름 및 수분은 기름 흐름 골(144A, 144B)을 타고 기름 고임 골(141A)로 흐르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기 불판.
  11. 제 10항에 있어서,
    기름 고임 골(141A)로 수합 된 기름 및 수분은 기름 배출구(142)와 기름 배출관(143)을 통해 기름 받이 용기(300)에 고일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기 불판.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기름 받이 용기(300)에는 장착 핀(301)이 있어,
    열기 가림 막(110) 일부에 돌출된 물 주입구(122)에 결합하여 안정적으로 기름이 고일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기 불판.
  13. 제 9항에 있어서,
    원뿔대 모양의 불판(140)의 상부 원형 면에는 열원의 원활한 연소를 위하여 중앙을 통공한 열기 배출구(145A)를 두고,
    또한, 상기 열기 배출구(145A) 주위에 간이 조리를 목적으로 네 개의 돌기(147)를 두어,
    돌기(147) 위에 조리 가능 용기를 올려놓아 배출 열기로 조리를 할 수 있으며,
    돌기(147)의 틈을 이용하여, 상기 조리 과정에도 열기는 계속 밖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기 불판.
  14. 제 1항에 있어서,
    불판(100)의 기름 고임 골(141A)을 국물 고임 골(141B) 용도로도 사용할 수 있으며,
    여기에서 국물이 불판 외부로 배출되지 않도록 해야할 때,
    너트처럼 나선 형식의 배출 구(142)를 만들고,
    와셔(201)가 결합 된 볼트(200)로 배출 구(142)를 막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기 불판
KR1020090000642A 2009-01-06 2009-01-06 고기 불판 KR1008984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0642A KR100898493B1 (ko) 2009-01-06 2009-01-06 고기 불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0642A KR100898493B1 (ko) 2009-01-06 2009-01-06 고기 불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98493B1 true KR100898493B1 (ko) 2009-05-19

Family

ID=408622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0642A KR100898493B1 (ko) 2009-01-06 2009-01-06 고기 불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98493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126103A (zh) * 2016-02-28 2017-09-05 王建明 烧烤架
WO2020197593A1 (en) 2019-03-27 2020-10-01 Frontline Advance, Llc Combustible fuel burning stove with fire grate
US11350790B2 (en) 2020-03-11 2022-06-07 Solo Brands, Llc Packable modular combustion grill
US11391465B1 (en) 2021-02-05 2022-07-19 Solo Brands, Llc Combustible fuel burning fire pit with removable fire grate
US11703227B2 (en) 2018-12-26 2023-07-18 Solo Brands, Llc Fire pit system
US11774089B1 (en) 2022-08-31 2023-10-03 Solo Brands, Llc Combustible fuel burning stove with pellet adapter
USD1018812S1 (en) 2022-08-11 2024-03-19 Solo Brands, Llc Fire pit stand
US11994298B2 (en) 2023-01-24 2024-05-28 Solo Brands, Llc Portable stove with folding stand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40077A (ko) * 1996-11-28 1998-08-17 이종인 고기 구이판
KR200196660Y1 (ko) 2000-03-03 2000-09-15 정경원 구이팬
KR200196682Y1 (ko) 2000-03-15 2000-09-15 홍지만 불고기판
KR200327541Y1 (ko) 2003-06-20 2003-09-22 류계희 고기 구이판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40077A (ko) * 1996-11-28 1998-08-17 이종인 고기 구이판
KR200196660Y1 (ko) 2000-03-03 2000-09-15 정경원 구이팬
KR200196682Y1 (ko) 2000-03-15 2000-09-15 홍지만 불고기판
KR200327541Y1 (ko) 2003-06-20 2003-09-22 류계희 고기 구이판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126103A (zh) * 2016-02-28 2017-09-05 王建明 烧烤架
US11703227B2 (en) 2018-12-26 2023-07-18 Solo Brands, Llc Fire pit system
EP3948084A4 (en) * 2019-03-27 2022-11-23 Solo Brands, LLC FUEL FURNACE WITH FIRE GRILLE
WO2020197593A1 (en) 2019-03-27 2020-10-01 Frontline Advance, Llc Combustible fuel burning stove with fire grate
US11199324B2 (en) 2019-03-27 2021-12-14 Solo Dtc Brands, Llc Combustible fuel burning stove with fire grate
US11350790B2 (en) 2020-03-11 2022-06-07 Solo Brands, Llc Packable modular combustion grill
US11457771B2 (en) 2020-03-11 2022-10-04 Solo Brands, Llc Packable modular combustion grill
US11918144B2 (en) 2020-03-11 2024-03-05 Solo Brands, Llc Packable modular combustion grill
US11391465B1 (en) 2021-02-05 2022-07-19 Solo Brands, Llc Combustible fuel burning fire pit with removable fire grate
US11879641B2 (en) 2021-02-05 2024-01-23 Solo Brands, Llc Combustible fuel burning fire pit with removable fire grate and ash pan
US11953207B1 (en) 2021-02-05 2024-04-09 Solo Brands, Llc Combustible fuel burning fire pit
USD1018812S1 (en) 2022-08-11 2024-03-19 Solo Brands, Llc Fire pit stand
US11774089B1 (en) 2022-08-31 2023-10-03 Solo Brands, Llc Combustible fuel burning stove with pellet adapter
US11994298B2 (en) 2023-01-24 2024-05-28 Solo Brands, Llc Portable stove with folding stan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98493B1 (ko) 고기 불판
KR100931277B1 (ko) 직화 오븐기
US7415922B2 (en) Grill pan
US5121676A (en) Barbecue grill and cooker
EP3373783B1 (en) Barbecue grill heating and smoking plates and method
EP2433529A2 (en) Improved two-way heating cooker
KR200399822Y1 (ko) 구이용 불판
US20180153347A1 (en) Side-surface direct-flame roasting device
US20060011192A1 (en) Multi-chambered convertible grilling device
KR101060025B1 (ko) 고기구이 불판
KR200431912Y1 (ko) 고기 구이판
KR101722562B1 (ko) 숯불용 화로구이 장치
KR20070099729A (ko) 구이와 부(附)요리의 복합 요리가 가능한 구이판
KR20130006375U (ko) 바베큐 육류 구이판
KR20100091066A (ko) 스팀식 고기 불판
KR20100098772A (ko) 처마형불판
KR200425826Y1 (ko) 신선로 겸용 고기구이판
KR20060096793A (ko) 참나무 훈제,구이 겸용 조리기구
KR102142681B1 (ko) 구이팬
KR960002976Y1 (ko) 다목적 조리기구
KR960002359Y1 (ko) 구이판
KR200264091Y1 (ko) 직화 구이판
KR20110053591A (ko) 직화 오븐기
KR102030849B1 (ko) 열대류를 이용하여 바베큐를 수행하는 장치
KR200412758Y1 (ko) 상판과 하판으로 이루어진 불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1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