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91066A - 스팀식 고기 불판 - Google Patents

스팀식 고기 불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91066A
KR20100091066A KR1020090010353A KR20090010353A KR20100091066A KR 20100091066 A KR20100091066 A KR 20100091066A KR 1020090010353 A KR1020090010353 A KR 1020090010353A KR 20090010353 A KR20090010353 A KR 20090010353A KR 20100091066 A KR20100091066 A KR 201000910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meat
oil
plate
water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03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기복
Original Assignee
임기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기복 filed Critical 임기복
Priority to KR10200900103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91066A/ko
Publication of KR201000910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106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9/00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thermal damage; Cooling or hea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V29/85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thermal damage; Cooling or hea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F21V29/89Meta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1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 F21V17/12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by screw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9/00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 F21V19/001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the light sources being semiconductors devices, e.g. LEDs
    • F21V19/003Fastening of light source holders, e.g. of circuit boards or substrates holding light sources
    • F21V19/0055Fastening of light source holders, e.g. of circuit boards or substrates holding light sources by screw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10Pendants, arms, or standards; Fixing lighting devices to pendants, arms, or standar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03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electronics drivers or controllers for operating the light source, e.g. for a LED arra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2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transformers, impedances or power supply units, e.g. a transformer with a rectifier
    • F21V23/026Fastening of transformers or ballas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00Globes; Bowls; Cover glasses
    • F21V3/04Globes; Bowls; Cover glasses characterised by materials, surface treatments or coat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362/00Illumination
    • Y10S362/80Light emitting dio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팀 식 고기 불판에 관한 것으로서, 열원으로부터 올라오는 열기와 물 용기로부터 발생하는 수증기를 혼합시켜, 고기를 올리는 불판 부를 달구어 고기를 구움으로써, 고기를 태우지 않고, 유해한 연기를 배출하지 않는 고기 불판을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스팀 식 고기 불판은 가스레인지나 가스 버너의 그레이트 위에, 가운데가 통공되어 있으며 한쪽이 돌출되어 있는 도넛 형태의 물 용기를 올려놓고, 상기 물 용기 위에, 마찬가지로 가운데가 통공되어 있으며 다수의 수증기 배출구가 규칙적으로 통공된 막음 판을 결합시켜, 물 용기에 물을 채워 가열했을 경우, 물 용기에서 발생하는 수증기가 막음 판의 수증기 배출구의 방향으로 배출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고기 불판, 불판, 그레이트, 수증기, 가스레인지, 휴대용 가스 버너

Description

스팀식 고기 불판 {A Steam Roaster}
본 발명은 스팀 식 고기 불판에 관한 것으로서, 가스레인지나 가스 버너의 그레이트 위에 원형의 물 용기를 올려놓고, 상기 물 용기에 뚜껑형식의 막음 판으로 결합시킨 뒤, 상기 결합체를 '
Figure 112009007966102-PAT00001
'형태의 열기 가림 막이 둘러진 고기 불판으로 덮는 방식으로 구성되게 하여, 열원으로부터 올라오는 열기와 물 용기로부터 발생하는 수증기를 혼합시켜, 고기를 올리는 불판 부를 달구어 고기를 구움으로써, 고기를 태우지 않고, 유해한 연기를 배출하지 않는 고기 불판을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고기를 구워 먹기 위하여 불판을 사용하게 되는데, 이미 발명되거나 고안된 불판이 시중에 많이 나와있다. 종래의 불판으로는 숯불과 같은 열원 위에 석쇠나 다수의 통공이 형성된 불판을 거치해 두어 그 위에 고기를 구워 먹는 직접 가열 방식과, 열원 위에 통공이 없는 금속 재질이나 석재 재질로 이루어진 불판을 두어 열원으로부터 열을 받아 불판 전체를 달구어 고기를 구워 먹는 간접 가열 방식으로 나눌 수가 있다.
그러나 어느 방식이든지, 시간이 지나게 되면, 고기를 구울 때에 고기가 타 는 일을 피할 수 없어, 불판을 수시로 청소하거나 갈아주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타버린 고기는 육즙이 말라 딱딱해져 고기 맛을 떨어뜨리고, 의학적으로 암을 유발한다는 것은 이미 밝혀진 바이다.
또한 종래의 불판에서 고기가 구워지면 흰 회색의 기름이 타는 연기가 발생되는데, 연기가 접촉되는 자리마다 미끄럽게 오염되고, 옷 등에 연기의 냄새가 스며들어 고기를 먹는 사람들에게 부담을 주는 단점이 있다. 이 때문에 업소에서는 막대한 비용을 들여가며 불판 위에 환기 시설을 따로 설치할 정도이다.
또한 고기를 굽게 되면 기름이 원활히 제거되지 않고 고이면서 기름의 방울들이 주위 사람들에게 튀어 화상의 위험을 줄 수 있다.
본 발명은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고기 불판의 구조상, 열기가 혼합된 수증기를 사용하여, 고기를 신속히 구우면서도, 오랜 시간 방치하여도 고기가 타지 않고, 고기 냄새와 유해한 연기를 배출하지 않는 고기 불판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스팀식 고기 불판(100)은 가스레인지나 가스 버너의 그레이트(50) 위에, 가운데가 통공되어 있으며 한쪽이 돌출되어 있는 도넛 형태의 물 용기(120A)를 올려놓고, 상기 물 용기(120A) 위에, 마찬가지로 가운데가 통공되어 있으며 다수의 수증기 배출구(131)가 규칙적으로 통공된 막음 판(130A)을 결합시켜, 물 용기(120A)에 물을 채워 가열했을 경우, 물 용기(120A)에서 발생하는 수증기가 막음 판(130A)의 수증기 배출구(131)의 방향으로 배출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제 1항과 다른 또 다른 실시 예로, 가운데가 통공되어 있지 않으며 한쪽이 돌출되어 있는 물 용기(120B)를 올려놓고, 상기 물 용기(120B) 위에, 마찬가지로 가운데가 통공되어 있지 않으며 다수의 수증기 배출구(131)가 규칙적으로 통공된 막음 판(130B)을 결합시켜, 물 용기(120B)에 물을 채워 가열했을 경우, 물 용기(120B)에서 발생하는 수증기가 막음 판(130B)의 수증기 배출구(131)의 방향으로 배출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 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면, 물 용기(120A, 120B)와 막음 판(130A, 130B)의 결합체에서 발생하는 수증기와, 하부 열원(70, 80)으로부터 올라오는 열기를 외부 손실을 줄이는 가운데 혼합시켜 상승 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물 용기(120A, 120B)와 막음 판(130A, 130B)의 결합체에 열기 가림 막(110)이 둘러져 있는 불판 부(140)를 덮어 고정 결합시키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면, 열기 가림 막(110)의 둘레 한 편에는 '∩'형태의 물 용기 삽입 부(114)가 있어, 물 용기(120A, 120B)와 막음 판(130A, 130B)의 결합체에 열기 가림 막(110)이 둘러진 불판 부(140)를 덮었을 경우, 물 용기(120A, 120B)의 돌출된 물 주입구(122)가 열기 가림 막(110)을 관통하여 밖으로 돌출되도록 구성하여, 현재 수위를 확인하고, 부족한 물을 쉽게 주입할 수 있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면, 불판 부(140)는 원뿔대 모양으로 사선 방향으로 위에서 아래로 내려가면서 원주가 점점 커지는 형태로 되어 있어, 최상부 면에는 적당한 열기 배출구(145A)가 원형으로 통공되어 있고, 각 원주에는 측면으로 향하는 열기 배출구(145B)가 촘촘히 통공되어 있어, 하부에서 올라오는 수증기가 혼합된 열기가, 상기 열기 배출구(145A, 145B)로 골고루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면, 고기를 구움으로써 발생 되는 기름은 불판 부(140)의 굵고 가는 기름 흐름 골(144A, 144B)을 따라, 원형의 기름 고임 골(141)로 모이게 되고, 상기 기름 고임 골(141)의 위치 중, 돌출된 물 주입구(122)의 쪽에는 기름 배출구(142)가 통공되어 있어, 기름 배출관(143)을 따라 기름 받이 용기(300)로 기름이 점차 고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기름 받이 용기(300)는 두 개의 장착 핀(301)이 있어서, 열기 가림 막(110) 밖으로 돌출된 물 용기(120A, 120B)의 물 주입구(122) 한 모서리에 장착시켜 기름을 안정적으로 받아낼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면, 불고기와 같이 국물이 있는 음식의 조리를 위하여, 기름 배출구(142)를 너트 방식으로 홈을 내고, 그에 맞는 볼트와 와셔를 이용하여 돌려막는 방식을 사용함으로, 국물이 기름 고임 골(141)에 고일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스팀 식 고기 불판은 열원의 열기를 사용하되, 철재나 석재로 구성된 일반 불판을 사용하여 고기를 굽는 방식이 아니라, 수증기가 혼합된 열기를 사용하는 불판을 제공함으로써, 오랜 시간 불판이 가열이 되어도 고기가 타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장점을 볼 때에 본 발명의 불판을 사용하면, 불판을 수시로 갈아주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없어지며, 다 구워진 고기를 오랜 시간 두어도 육즙이 있는 상태가 유지된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불판은 열기 가림 막으로 열기를 막아주고, 내부에서는 수증기가 혼합된 열기가 순환되면서 배출하는 방식을 사용함으로써, 중 불이나 약 불에서도 충분히 고기를 구울 수 있어 연료비를 절감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수증기의 효과로 고기의 기름이 탈 때에 발생하는 흰 회색의 연기를 배출하지 않아 고기가 구워지는 환경에서 냄새와 연기를 없애 특별한 환기 시설 없이도 오랜 시간 쾌적한 환경에서 고기를 먹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먼저 본 발명의 스팀 식 고기 불판(100)은 2009년 1월 6일에 출원한 "고기 불판{A Roaster}"(특허출원 제 2009-0000642호)의 '수증기가 혼합된 열기' 원리를 기본으로 사용함을 밝힌다. (상기 발명의 "고기 불판"과 본 발명의 "스팀 식 고기 불판(100)"은 출원인 및 고안자가 동일함.) 두 발명은 외형의 차이는 크지 않으나, 그 차이점을 간단히 서술하자면, 먼저 출원된 "고기 불판"의 경우에는 열기 가림 막(110)과 불판 부(140)와 그 내부의 물 용기(120)와 배출 망이 있는 막음 판, 이렇게 네 부품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반면, 본 발명의 "스팀 식 고기 불판(100)"의 경우에는 열기 가림 막(110)과 불판 부(140)가 일체 결합 되었고, 내부에서는 배출 망 대신에 다수 개로 통공 된 막음 판(130)을 사용하며, 또한 물 용기(120)의 형태가 '
Figure 112009007966102-PAT00002
'식으로 변형되어 있어, 하부 열원으로부터 발생하는 열기를 상부로 보내는데에 있어 더욱 바람직하도록 구성되어 있어, 같은 효율을 유지하면서도 더욱 간편해진 구조라 할 수 있다.
아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스팀 식 고기 불판(100)의 양호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스팀 식 고기 불판(100)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스팀 식 고기 불판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스팀 식 고기 불판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스팀 식 고기 불판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스팀 식 고기 불판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물 용기(120)와 막음 판(130)의 가운데 통공 여부에 따라, 제 1 실시 예와 제 2 실시 예로 나눌 수 있다. 제 1 실시 예와 제 2 실시 예로 구분되는 이유는 가스레인지나 가스 버너의 열원의 불꽃(70, 80) 방향에 따라 그 용도가 달라지기 때문이다. 이를 좀 더 자세히 서술하면, 본 발명의 스팀 식 고기 불판(100)은 열원의 불꽃(70, 80)으로부터 열기를 효율적으로 받아야 하는데, 가령, 집에서 사용하는 LNG 가스레인지의 경우에는 도 5에서 도시된 열원처럼 측면 불꽃(80)이 강하여 측면 열기 상승 부(150)만 있는 제 2 실시 예로 충분하지만, 반면, 휴대용 가스 버너의 열원은 측면 불꽃(80)보다 비교적 중앙 불꽃(70)이 강하여 측면 열기 상승 부(150)뿐 아니라, 중앙 열기 상승 부(160)까지 확보되어 있는 제 1 실시 예가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다. 도 6은 제 1 실시 예에서 불판 부(140)와 열기 가림 막(110)의 형태를 변형시켜 부탄가스를 사용하는 휴대용 가스 버너에서 적합하도록 구성한 실시 예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한편, 제 1 실시 예와 제 2 실시 예 모두 외형 차이가 없어, 도 1을 두 실시 예의 외형 사시도로 사용한다.
아래에서는 도면을 통하여 제 1 실시 예에 대한 설명을 구체적으로 한다.
[제 1 실시 예]
제 1 실시 예는 도 3에서 보듯이, 측면 열기 상승 부(150)뿐 아니라, 중앙 열기 상승 부(160)까지 확보되어 있어, 중앙 불꽃 부(70)가 강한 열원에서 사용하기 적합하다.
가스레인지나 가스 버너의 그레이트(50) 위에 한쪽이 돌출되고 가운데가 통공 된 도넛 형태의 물 용기(120A)를 올려 두고, 그 위에 가운데가 통공 된 도넛 형태의 막음 판(130A)을 결합시킨다. 도 2 및 도 3에서 보듯이 막음 판(130A)의 일부에도 돌출부(132)가 형성된 이유는 물 용기(120A)에서 발생하는 수증기의 연직 상승을 돌출부(132)만큼 막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물 용기(120A)의 돌출된 부분은 고기 불판의 열기 가림 막(110) 밖으로 돌출되도록 구성하여, 현재의 물 수위를 확인하고, 물 부족시 물을 더 채워넣을 수 있도록 한다. 물 용기(120A)가 돌출되어 있기 때문에, 돌출부 한쪽 아랫면에 지지대(123)를 두어, 물 용기(120A)가 지면에 안정적으로 위치할 수 있도록 한다.
물 용기(120A)와 막음 판(130A)의 결합체에 물을 넣어 열원으로부터 가열하게 되면, 물의 온도가 상승하여 막음 판(130A)의 다수 수증기 배출구(131)로 수증기를 배출하게 된다. 이 때, 막음 판(130A)을 굳이 두는 이유는, 막음 판(130A)이 없게 되면 물 용기(120A)의 물이 모두 수증기로 연직상승 하게 되고, 그렇게 되면 고기 불판 내부에 수증기가 너무 많아져 열원에서 나오는 고온의 열기가 효율적으로 상부 불판 부(140)로 전달이 되지 않기 때문이다.
막음 판(130A)으로부터 배출되는 수증기를 하부 열기와 혼합시키기 위해서는 하부 열원으로부터 배출되는 열기를 모아주는 가림 막 형태가 필요한데, 그 역할을 하는 것이 열기 가림 막(110)이다. 열기 가림 막(110)은 고기를 굽는 불판 부(140)와 일체 된 결합체로써, 물 용기(120A)와 막음 판(130A)의 결합체를 덮어, 배출되는 수증기와 열기가 잘 혼합되는 공간을 충분히 확보하도록 한다. 열기 가림 막(110)은 도 1에서 보듯이, 지지대(111)와 공기 구멍(115)이 번갈아 반복되면서 원주를 이루고 있어, 다양한 가스레인지나 휴대용 가스 버너 위에 올려놓아 범용적으로 지지가 가능하고, 동시에 연소에 필요한 산소를 충분히 공급받을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한편, 물 용기(120A)에는 물 주입구(122)로 인한 돌출부가 있어, 열기 가림 막(110)에 '∩' 형태의 물 용기 삽입 부(114)를 만들어, 물 주입구(122)가 열기 가림 막(110) 밖으로 적당히 돌출되면서 열기가 빠져나가지 않는 결합 구조가 되도록 한다.
한편, 열기 가림 막(110) 내부에서 생성된 '수증기가 혼합된 열기'는 상승하여 원뿔 대 형태의 불판 부(140)에 전달되어, 불판 부(140)를 가열시키며, 남은 열기는 상기 불판 부(140) 중앙에 통공 된 열기 배출구(145A)와 측면으로 통공 된 다수의 열기 배출구(145B)로 배출되게 된다. 특히, 도 3에서 보듯이, 열기 배출구(145B)가 불판 부(140)에 측면방향으로 규칙적으로 다수 통공 된 것이 본 발명의 스팀 식 고기 불판(100)의 특징이라 할 수 있는데, 이러한 방식으로 통공을 시킴으로써, 고기를 굽는 불판 면 전체가 작은 돌기 형식으로 구성되게 되어, 고기가 불판 면에 늘어 붙지 않고, 측면 배출된 수증기가 불판 부(140)에 올려진 고기 면 전체에 골고루 가해짐으로 고기가 타지 않고 잘 구워질 수 있는 효과를 줄 수 있다.
고기를 굽는데에 있어서, 배출되는 고기의 기름 (배출 수증기로 인한 물과 기름이 섞인 상태)은 불판 부(140)에 규칙적으로 파여 있는 사선 형식의 굵고 가는 기름 흐름 골(144A, 144B)을 따라 하부로 흘러, 원형의 기름 고임 골(141)에 수합 되도록 한다. 한편, 기름 고임 골(141)의 한쪽에는 기름 배출구(142)를 통공하여, 기름 배출구(142)를 따라 기름 받이 용기(300)의 기름 고임 부(302)로 수합되게 된다. 물론, 종이컵 등의 일반적인 기름 수합 용기를 대용품으로 사용할 수 있겠으나, 별도의 수합 용기로 기름 받이 용기(300)를 제공하는 이유는, 도 2에서 보듯이 기름 받이 용기(300)에는 고정시킬 수 있는 장착 핀(301)이 있어, 열기 가림 막(110) 외부로 돌출된 물 용기(120A)의 물 주입구(122) 부분에 장착을 시켰을 때, 안정적으로 기름을 받아낼 수가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배출구(142)는 도 1에서 보듯이, 물 용기(120A)의 돌출부 근처, 즉 열기 가림 막(110)의 물 용기 삽입 부(114) 쪽에 통공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다.
한편, 도 6은 제 1 실시 예의 또 다른 변형 구조로써, 부탄가스를 사용한 휴대용 가스 버너에 적합한 형태로 설계 제작된 고기 불판의 단면도이다. 도 6에서 보듯이, 도 3의 열기 가림 막(110)을 사선 형태로 변형시켜, 가스 버너의 불꽃 부(70, 80)로부터 열원을 받아, 수증기가 혼합된 열기를 불판 부(140)까지 효율적으로 전달할 수 있도록 그 내부를 설계한 예라고 할 수 있다.
아래에서는 도면을 통하여 제 2 실시 예에 대한 설명을 구체적으로 한다.
[제 2 실시 예]
제 2 실시 예는 측면 열기 상승 부(150)가 있어, 측면 불꽃 부(80)가 강한 열원에서 사용하기 적합하다.
제 2 실시 예가 제 1 실시 예와 다른 것은 물 용기(120B)와 막음 판(130B)이 가운데가 통공이 안 되었다는 점이다. 대체로의 가정 및 업소의 LNG 가스레인지는 중앙 불꽃 부(70)보다 측면 불꽃 부(80)가 강하기 때문에, 제 1 실시 예는 물론, 제 2 실시 예를 적용시키기에 적합하다 할 수 있다. 반면, 휴대용 가스 버너의 경우는 앞서 언급했듯이, 중앙 불꽃 부(70)의 열기 효율을 살릴 수 있는 제 1 실시 예가 바람직하다.
제 2 실시 예는 물 용기(120B)의 통공 부가 없기 때문에, 물 고임 부(121)가 제 1 실시 예보다 커서, 물 보충의 횟수가 줄어든다는 장점이 있다.
제 2 실시 예의 발명의 실시를 위한 나머지 구체적 내용은 제 1 실시 예와 동일하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도 7은 본 고기 불판의 시제품(제 2 실시 예 기준)에서 불판 부(140)온도 측정의 결과 사진(246.5℃)이고, 도 8은 본 고기 불판의 시제품(제 2 실시 예 기준)에서 삼겹살이 10분 구워졌을 때의 고기 사진이고, 도 9은 본 고기 불판의 시제품(제 2 실시 예 기준)에서 삼겹살이 20분 구워졌을 때의 고기 사진이다. 먼저 본 시제품의 경우에는 열기 배출구가 측면 배출구(145B) 형태가 아닌, 일반 통공 방식으로 되어 있어 온전한 시제품이 아님을 밝힌다. 그러나 그 내부 원리는 동일하다. 도 8 및 도 9에서 보듯이, 본 발명의 스팀 식 고기 불판(100)에 일정한 열기가 유지되고, 수증기를 배출할 수 있도록 물이 유지되는 환경만 유지된다면, 오랜 시간이 지난 후에도 삼겹살이 연기를 내며 검게 타지 않고, 계속 돼지 기름이 빠지 면서 노릇노릇 구워짐을 확인할 수가 있었다.
한편, 도 10은 볼트와 와셔의 결합도로, 불판 부(140)와 기름 고임 골(141)의 크기를 적절히 변형시키고, 기름 배출구(142)를 너트 방식으로 홈을 내어, 도 10의 볼트와 와셔를 이용하여 막는다면, 본 발명의 '수증기가 혼합된 열기'원리를 사용하여 국물이 있는 불고기를 조리하는데에도 유익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고기 불판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고기 불판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고기 불판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고기 불판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고기 불판의 단면도이다.
도 6은 고기 불판의 제 2 실시 예를 휴대용 가스 버너에 적합한 형태로 변형시킨 예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고기 불판의 시제품(제 2 실시 예)에서 불판 부 온도 측정의 결과 사진(246.5℃)이다.
도 8은 본 고기 불판의 시제품(제 2 실시 예)에서 삼겹살이 10분 구워졌을 때의 고기 사진이다.
도 9은 본 고기 불판의 시제품(제 2 실시 예)에서 삼겹살이 20분 구워졌을 때의 고기 사진이다.
도 10은 볼트와 와셔의 결합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50 : 그레이트
70 : 중앙 불꽃 부
80 : 측면 불꽃 부
100 : 스팀 식 고기 불판
110 : 열기 가림 막 111 : 지지대
114 : 물 용기 삽입 부 115 : 공기 구멍
120A : (중앙 통공 된) 물 용기
120B : (중앙 통공 안 된) 물 용기
121 : 물 고임 부
122 : 물 주입구 123 : 받침대
130A : (중앙 통공 된) 막음 판
130B : (중앙 통공 안 된) 막음 판
131 : 수증기 배출구
132 : 돌출부
140 : 불판 부 141 : 기름 고임 골
142 : 기름 배출구 143 : 기름 배출관
144A, 144B : 기름 흐름 골
145A, 145B : 열기 배출 구
150 : 측면 열기 상승부
160 : 중앙 열기 상승부
300 : 기름 받이 용기
301 : 장착 핀 302 : 기름 고임 부

Claims (8)

  1. 가스레인지나 가스 버너의 그레이트(50) 위에,
    가운데가 통공되어 있으며 한쪽이 돌출되어 있는 도넛 형태의 물 용기(120A)를 올려놓고,
    상기 물 용기(120A) 위에,
    마찬가지로 가운데가 통공되어 있으며 다수의 수증기 배출구(131)가 규칙적으로 통공된 막음 판(130A)을 결합시켜,
    물 용기(120A)에 물을 채워 가열했을 경우,
    물 용기(120A)에서 발생하는 수증기가 막음 판(130A)의 수증기 배출구(131)의 방향으로 배출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하는 고기 불판.
  2. 제 1항과 다른 또 다른 실시 예로,
    가운데가 통공되어 있지 않으며 한쪽이 돌출되어 있는 물 용기(120B)를 올려놓고,
    상기 물 용기(120B) 위에,
    마찬가지로 가운데가 통공되어 있지 않으며 다수의 수증기 배출구(131)가 규칙적으로 통공된 막음 판(130B)을 결합시켜,
    물 용기(120B)에 물을 채워 가열했을 경우,
    물 용기(120B)에서 발생하는 수증기가 막음 판(130B)의 수증기 배출구(131) 의 방향으로 배출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하는 고기 불판.
  3. 제 1항 및 2항에 있어서,
    물 용기(120A, 120B)와 막음 판(130A, 130B)의 결합체에서 발생하는 수증기와,
    하부 열원(70, 80)으로부터 올라오는 열기를 외부 손실을 줄이는 가운데 혼합시켜 상승 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물 용기(120A, 120B)와 막음 판(130A, 130B)의 결합체에 열기 가림 막(110)이 둘러져 있는 불판 부(140)를 덮어 고정 결합시키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하는 고기 불판.
  4. 제 3항에 있어서,
    열기 가림 막(110)의 둘레 한 편에는 '∩'형태의 물 용기 삽입 부(114)가 있어,
    물 용기(120A, 120B)와 막음 판(130A, 130B)의 결합체에 열기 가림 막(110)이 둘러진 불판 부(140)를 덮었을 경우,
    물 용기(120A, 120B)의 돌출된 물 주입구(122)가 열기 가림 막(110)을 관통하여 밖으로 돌출되도록 구성하여,
    현재 수위를 확인하고, 부족한 물을 쉽게 주입할 수 있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하는 고기 불판.
  5. 불판 부(140)는 원뿔대 모양으로 사선 방향으로 위에서 아래로 내려가면서 원주가 점점 커지는 형태로 되어 있어,
    최상부 면에는 적당한 열기 배출구(145A)가 원형으로 통공되어 있고,
    각 원주에는 측면으로 향하는 열기 배출구(145B)가 촘촘히 통공되어 있어,
    하부에서 올라오는 수증기가 혼합된 열기가,
    상기 열기 배출구(145A, 145B)로 골고루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기 불판.
  6. 제 5항에 있어서,
    고기를 구움으로써 발생 되는 기름은 불판 부(140)의 굵고 가는 기름 흐름 골(144A, 144B)을 따라,
    원형의 기름 고임 골(141)로 모이게 되고,
    상기 기름 고임 골(141)의 위치 중,
    돌출된 물 주입구(122)의 쪽에는 기름 배출구(142)가 통공되어 있어,
    기름 배출관(143)을 따라 기름 받이 용기(300)로 기름이 점차 고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기 불판.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기름 받이 용기(300)는 두 개의 장착 핀(301)이 있어서,
    열기 가림 막(110) 밖으로 돌출된 물 용기(120A, 120B)의 물 주입구(122) 한 모서리에 장착시켜 기름을 안정적으로 받아낼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기 불판.
  8. 불고기와 같이 국물이 있는 음식의 조리를 위하여,
    기름 배출구(142)를 너트 방식으로 홈을 내고,
    그에 맞는 볼트와 와셔를 이용하여 돌려막는 방식을 사용함으로,
    국물이 기름 고임 골(141)에 고일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기 불판.
KR1020090010353A 2009-02-09 2009-02-09 스팀식 고기 불판 KR2010009106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0353A KR20100091066A (ko) 2009-02-09 2009-02-09 스팀식 고기 불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0353A KR20100091066A (ko) 2009-02-09 2009-02-09 스팀식 고기 불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1066A true KR20100091066A (ko) 2010-08-18

Family

ID=427564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0353A KR20100091066A (ko) 2009-02-09 2009-02-09 스팀식 고기 불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91066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2084B1 (ko) * 2011-11-09 2013-06-07 박지정 직화구이용 불판
KR101325614B1 (ko) * 2011-11-04 2013-11-06 박지정 직화구이용 불판
CN103690036A (zh) * 2014-01-03 2014-04-02 魏玉芳 餐桌上的手持蒸气烫肉机及其使用方法
WO2016108563A3 (ko) * 2014-12-31 2016-08-25 안상철 직화구이 스팀 불판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5614B1 (ko) * 2011-11-04 2013-11-06 박지정 직화구이용 불판
KR101272084B1 (ko) * 2011-11-09 2013-06-07 박지정 직화구이용 불판
CN103690036A (zh) * 2014-01-03 2014-04-02 魏玉芳 餐桌上的手持蒸气烫肉机及其使用方法
CN103690036B (zh) * 2014-01-03 2015-09-30 魏玉芳 餐桌上的手持蒸气烫肉机及其使用方法
CN104983299A (zh) * 2014-01-03 2015-10-21 魏玉芳 餐桌上的手持蒸气烫肉机及其使用方法
WO2016108563A3 (ko) * 2014-12-31 2016-08-25 안상철 직화구이 스팀 불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90365146A1 (en) Food cooker
US20070137634A1 (en) Pellet-fired BBQ
KR100931277B1 (ko) 직화 오븐기
KR100898493B1 (ko) 고기 불판
WO2021040276A1 (ko) 원적외선 방사물질을 이용한 조리기구
KR20100091066A (ko) 스팀식 고기 불판
KR101060025B1 (ko) 고기구이 불판
KR100704443B1 (ko) 하향 방열식 구이 장치
FI59717B (fi) Campinggrill
KR200431912Y1 (ko) 고기 구이판
KR102064698B1 (ko) 구이감이 타지 않는 구이장치
KR101337175B1 (ko) 캠핑용 화로
KR100940370B1 (ko) 탄화방지 기능을 갖는 구이용 불판
KR101669920B1 (ko) 수랭식 다기능 불판
CN210276932U (zh) 一种便携式燃气烤炉
KR200401810Y1 (ko) 구이판
KR100826854B1 (ko) 구이물에 수분이 공급되게 하는 오븐용 구이판
KR20170004347A (ko) 휴대용 구이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구이장치 가열방법
KR200425481Y1 (ko) 전기 구이기
KR200431786Y1 (ko) 휴대용 화로구이기
KR200417888Y1 (ko) 구이용 화로
KR101363449B1 (ko) 초벌구이 시스템
KR200385600Y1 (ko) 이중석쇠
KR101975121B1 (ko) 구이감이 타지 않는 구이판
KR20110082343A (ko) 덮개용기를 구비한 직화오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