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93784B1 - 파이프 피어싱 금형 - Google Patents

파이프 피어싱 금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93784B1
KR100893784B1 KR1020070032403A KR20070032403A KR100893784B1 KR 100893784 B1 KR100893784 B1 KR 100893784B1 KR 1020070032403 A KR1020070032403 A KR 1020070032403A KR 20070032403 A KR20070032403 A KR 20070032403A KR 100893784 B1 KR100893784 B1 KR 1008937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ercing
hole
pipe
block
mo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324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89798A (ko
Inventor
남중환
Original Assignee
남중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중환 filed Critical 남중환
Priority to KR10200700324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93784B1/ko
Publication of KR200800897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897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37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37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28/00Shaping by press-cutting; Perforating
    • B21D28/24Perforating, i.e. punching holes
    • B21D28/28Perforating, i.e. punching holes in tubes or other hollow bod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28/00Shaping by press-cutting; Perforating
    • B21D28/24Perforating, i.e. punching holes
    • B21D28/34Perforating tools; Die hol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F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F1/00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Apparatus therefor
    • B26F1/02Perforating by punching, e.g. with relatively-reciprocating punch and bed
    • B26F1/14Punching tools; Punching d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Punching Or Pierc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파이프에 관통공이 형성되도록 피어싱하더라도 관통공의 둘레부가 찌그러지지 않도록 깔끔하게 피어싱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파이프 피어싱금형에 관한 것으로서, 서로 마주하는 위치에 펀치와 홀 등이 각각 마련되어 파이프(10)에 관통공이 형성되게 가공하도록 한 쌍으로 이루어진 상하부금형(100,200)에 있어서,
상기 하부금형(200)은 하형홀더(210)와, 상기 하형홀더(210) 상면 고정되며 중앙부에 제1피어싱홀(237)이 형성된 피어싱다이(230)과, 파이프(10)의 내부와 상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제1피어싱홀(237) 직상부에 배치되되 일단부에는 피지지물에 고정되는 지지바아(15)가 연결 고정되고 중앙부에는 상기 제1피어싱홀(237)과 동일한 형상의 제2피어싱홀(247)이 형성된 피어싱블록(240)과, 상기 피어싱블록(240)의 감싸도록 피어싱다이(230)에 고정되며 상면 중앙에는 펀치통과공(252)이 형성된 스트리퍼(250)와, 상기 스트리퍼(250)의 양측벽에 상기 피어싱블록(240)으로 출몰 가능하게 장착되되 스프링(265)에 의해 외향 돌출되게 탄지된 한 쌍의 가압블록(260)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상부금형(100)은 상형홀더(110)와, 상기 제1,2피어싱홀(237,247)과 상응하는 형사으로 이루어져 상기 상형홀더(110)의 저면 중앙에 하향 돌출되게 수직으로 고정되는 피어싱펀치(130)와, 상기 피어싱펀치(130)의 양측에 하향 돌출되게 수직으로 고정설치되어 하강에 따라 상기 한 쌍의 가압블록(260)을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한 쌍의 푸싱블록(140)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피어싱금형을 제공한다.
파이프, 피어싱, 금형, 피어싱블록, 가압블록, 푸싱블록

Description

파이프 피어싱 금형{pipe piercing mol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피어싱금형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피어싱금형의 장착상태 정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피어싱금형의 장착상태 측단면도
도 4은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피어싱금형의 상부금형이 하강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피어싱금형으로 파이프 상측에만 피어싱하는 상태를 도시한 요부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피어싱금형으로 관통공을 형성한 파이프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파이프 12,14. 관통공
100. 상부금형 130. 피어싱펀치
140. 푸싱블록 200. 하부금형
230. 피어싱다이 231. 다이
235. 피어싱다이부싱 240. 피어싱블록
250. 스트리퍼 260. 가압블록
본 발명은 파이프 피어싱금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원형이나 사각형상의 파이프에 관통공을 깔끔하게 절단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파이프 피어싱금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나 빌라, 상가 등의 창문에는 강도나 도둑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고, 가정집의 경우 어린이들이 부주의로 창문을 통해 추락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방범창이 설치되며, 이러한 방범창은 무게를 고려하여 원형이나 사각 등 중공의 파이프를 사용하여 격자형태로 제작하게 되며, 서로 교차하거나 접하는 부위에 관통공을 이 관통공을 통해 파이프들끼리 교차 또는 삽입되도록 결합한 후 용접이나 스크루 등의 고정구로 고정하여 격자형태로 유지하도록 하고 있다.
한편, 종래 상기와 같은 방범창 등에 사용되는 파이프에 관통공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프레스 피어싱금형으로 간편하고 신속하게 형성하였다. 즉, 피어싱홀이 형성된 피어싱다이에 파이프를 올려놓고 피어싱펀치로 펀칭하여 파이프에 관통공을 형성하였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파이프 피어싱금형은 단순히 파이프를 피어싱다이에 올려놓고 피어싱펀치로 가압하여 관통공을 형성하게 되므로, 관통공 둘레부가 찌그러지는 문제점이 있다. 즉, 종래의 파이프 피어싱금형은 피어싱시 파이프가 변형되지 않도록 하는 수단이 마련되어 있지 않아 피어싱하게 되면 파이프에 형성된 관통공 둘레부가 깔끔하지 못하고 찌그러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근본적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관통공의 둘레부가 찌그러지지 않도록 깔끔하게 피어싱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파이프 피어싱금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서로 마주하는 위치에 펀치와 홀 등이 각각 마련되어 파이프(10)에 관통공이 형성되게 가공하도록 한 쌍으로 이루어진 상하부금형(100,200)에 있어서, 상기 하부금형(200)은 하형홀더(210)와, 상기 하형홀더(210) 상면 고정되며 중앙부에 제1피어싱홀(237)이 형성된 피어싱다이(230)과, 파이프(10)의 내부와 상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제1피어싱홀(237) 직상부에 배치되되 일단부에는 피지지물에 고정되는 지지바아(15)가 연결 고정되고 중앙부에는 상기 제1피어싱홀(237)과 동일한 형상의 제2피어싱홀(247)이 수직으로 관통 형성된 피어싱블록(240)과, 상기 피어싱블록(240)의 감싸도록 피어싱다이(230)에 고정되며 상면 중앙에는 펀치통과공(252)이 형성된 스트리퍼(250)와, 상기 스트리퍼(250)의 양측벽에 상기 피어싱블록(240)으로 출몰 가능하게 장착되되 스프링(265)에 의해 외향 돌출되게 탄지된 한 쌍의 가압블록(260)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상부금형(100)은 상형홀더(110)와, 상기 제1,2피어싱홀(237,247)과 상응하는 형사으로 이루어져 상기 상형홀더(110)의 저면 중앙에 하향 돌출되게 수직으로 고정되는 피어싱펀치(130)와, 상기 피어싱펀치(130)의 양측에 하향 돌출되게 수직으로 고정설치되어 하강에 따라 상기 한 쌍의 가압블록(260)을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한 쌍의 푸싱블록(140)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피어싱금형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피어싱금형의 장착상태 정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피어싱금형의 장착상태 측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4은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피어싱금형의 상부금형이 하강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피어싱금형으로 파이프 상측에만 피어싱하는 상태를 도시한 요부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피어싱금형으로 관통공을 형성한 파이프의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피어싱 금형은 사각파이프(10, 이 하 ‘파이프’라 칭함)에 사각의 관통공(12,14)을 형성하는 피어싱금형으로서, 프레스장치의 램(도시하지 않음)과 테이블(도시하지 않음)에 각각 장착되는 상하부 금형(100,200)으로 이루어져, 파이프(10)에 상하로 관통하는 관통공(12)을 형성하거나 파이프(10)의 상측에만 관통공(14)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이하에서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하부금형(200)은 프레스장치의 테이블에 클램프로 고정되며 중앙에 파이프(10) 피어싱시 발생하는 스크랩이 배출될 수 있도록 낙하공이 관통 형성된 하형홀더(210)와, 상기 하형홀더(210) 상면 중앙에 고정설치되며 상기 하형홀더(210)의 낙하공과 대응되는 위치에는 파이프(10)에 형성되는 관통공(12,14)의 직경보다 상대적으로 직경이 큰 즉, 후술하는 피어싱펀치(130)의 직경보다 상대적으로 면적이 넓은 배출공(222)이 형성된 벡킹플레이트(220)와, 상기 벡킹플레이트(220)의 상면에 고정되며 중앙부에는 제1피어싱홀(237)이 관통 형성된 피어싱다이(230)와, 상기 피어싱다이(230)의 제1피어싱홀(237) 직상부에 배치되는 피어싱블록(240)과, 상기 피어싱블록(240)의 양측에 구비되는 스트리퍼(250)와, 상기 스트리퍼(250) 내부에서 상기 피어싱블록(240)으로 출몰 가능하게 장착되는 가압블록(260)으로 구성된다.
상기 하형홀더(210)와 벡킹플레이트(220)는 프레스금형에서 통상적인 기능을 하는 것으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피어싱다이(230)는 중앙부에 즉, 상기 하형홀더(210)의 낙하공과 벡킹플레이트(220)의 배출공(222)과 대응되는 위치에 관통 형성되되 상기 배출공(222) 의 직경보다 상대적으로 축경되게 사각의 끼움공(232)이 관통 형성된 다이(231)와, 상기 다이(231)의 끼움공(232)에 끼움 결합되도록 상기 끼움공(232)과 상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중앙부에는 사각의 제1피어싱홀(237)이 관통 형성된 피어싱다이부싱(235)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피어싱다이(230)는 이 피어싱다이에 제1피어싱홀(237)을 직접 형성하지 않고, 피어싱다이(230)를 다이(231)와 피어싱다이부싱(235)으로 구성하여 상기 피어싱다이부싱(235)에 제1피어싱홀(237)을 형성하여, 제1피어싱홀(237)이 손상되면 피어싱다이 전체를 교체하지 않고 피어싱다이부싱(235)만 교체하도록 하여 유지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다이(231)의 양측 전후방에는 상향 돌출되는 위치고정핀(233)이 구비되어, 상기 위치고정핀(233)에 후술하는 스트리퍼(250)를 다이(331) 상면의 정해진 위치에 안착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다이(231)의 양측 중앙에는 다이(231) 중앙부로 길게 내측으로 오목한 삽입홈(234)이 형성되어, 상기 삽입홈(234)에 후술하는 가압블록(260)의 지지돌기(264)가 삽입되어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피어싱블록(240)은 관통공을 형성하고자 하는 파이프(10)의 내부와 상응하는 형상으로 일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사각 파이프(10)에 관통공(12,14)을 형성하는 것이므로 사각 바아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피어싱홀(237) 직상부에 종방향으로 길게 배치되되 일단부에 즉, 후단부에는 피지지물(18)에 일단부가 위치 조절 가능하게 고정되는 지지바아(15)의 타단에 연결 고 정되어 항상 정해진 위치에 배치될 수 있도록 된다.
즉, 상기 하부금형(200)의 후방측 지면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지지물인 프레임(18)이 하부금형(200)으로 길게 설치되며, 상기 지지바아(15)는 상기 프레임(180)의 후방측에 상기 피어싱블록(240) 방향으로 일단부가 위치 조절가능하게 수평 고정되며 상기 피어싱블록(240)은 상기 지지바아(15)의 타단부에 나사 결합된다.
이때, 지지바아(15)를 지지하는 상기 프레임(18)의 상면에는 상기 지지바아(15)가 관통하며 파이프(10)를 클램핑하여 일정간격식 이송시키는 클램핑이송수단(19)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피어싱블록(240)의 중앙부에는 상기 제1피어싱홀(237)과 동일한 제2피어싱홀(247)이 형성되어 이 제2피어싱홀(247)을 통해 파이프(10)에 교차되는 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공(12)을 형성하게 된다. 즉, 파이프(10)의 상/하측벽을 관통하는 관통공(12)을 형성하게 된다.
이때, 상기 피어싱블록(240)의 전방측 저면에는 이 피어싱블록(240)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단부로 개구되는 내측으로 오목한 홈(249)이 형성되고, 상기 홈(249) 위치의 피어싱블록(240) 전방측에는 제1,2피어싱홀(237,247)과 동일한 제3피어싱홀(248)이 형성된다. 따라서, 파이프(10) 상측벽에만 관통공(14)을 형성할때에는 상부금형(100)의 스트로크를 줄이고 상기 제3피어싱홀(248)과 제1피어싱홀(237) 상으로 위치 이동시켜 파이프(10)의 상측에만 관통공(14)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스트리퍼(250)는 ‘┌’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피어싱블록(240) 양측의 다이(231) 상면에 피어싱블록(240)을 감싸도록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며 대칭되게 한 쌍이 고정되는 것으로, 상측의 서로 이웃하는 단부 중앙에는 후술하는 피어싱펀치(130)가 통과할 수 있도록 펀치통과공(252)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스트리퍼(250)의 전후측에는 상기 다이(231)의 위치고정핀(233)이 끼움결합되어 위치 고정되도록 하는 위치고정공(지시하지 않음)이 형성되며, 다이(231)와 스트리퍼(250)는 이 스트리퍼(250)를 통해 벡킹플레이트(220)에 나사 체결되는 고정볼트(255)에 의해 벡킹플레이트(220)에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각각의 스트리퍼(250)의 측벽에는 피어싱블록(240)으로 관통되며 하측이 개방된 사각의 안내공(254)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안내공(254)에 후술하는 가압블록(260)이 슬라이드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가압블록(260)은 상기 한 쌍의 스트리퍼(250)에 형성된 안내공(254)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되 스프링(265)에 의해 서로 이격되는 방향으로 탄지되어 상부금형(100)의 하강에 따라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이송되어 피어싱블록(240)이 내부에 삽입되는 파이프(10)를 피어싱블록(240)에 가압 고정하는 것으로, 사각 블록형상으로 이루어지며 평상시에 스프링(265)에 의해 스트리퍼(250)의 외측으로 돌출되었다가 상부금형(100) 하강시 피어싱블록(240) 방향으로 출몰되어 파이프(10)를 피어싱블록(240)에 가압 고정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가압블록(260)의 상단 외측 모서리부위에는 후술하는 푸싱블록(130)이 가압블록(260)을 용이하게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가압할 수 있도록 경 사진 테이퍼부(262)가 각각 형성되고, 저면 중앙에는 상기 다이(231)의 삽입홈(234)에 삽입되어 스프링(265)을 지지하는 지지돌기(264)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지지돌기(264)의 서로 마주보는 면에는 내측으로 오목한 안착홈(266)이 형성되어 상기 안착홈(266)에 스프링(265)의 일단부가 삽입 지지되어 한 쌍의 가압블록(260)이 스프링(265)에 의해 서로 이격되는 방향으로 용이하게 탄지될 수 있도록 하게 된다.
상기 상부금형(100)의 프레스장치의 램에 고정되는 상형홀더(110)와, 상기 상형홀더(110)의 저면에 고정되며 중앙에는 펀치결합공(지시하지 않음)이 형성된 펀치고정판(120)과, 상기 펀치고정판(120)의 펀치결합공에 하향 돌출되도록 끼움 결합되어 볼트로 고정되며 상기 제1 내지 제3피어싱홀(237,247,248)과 상응하는 사각바아 형상으로 이루어진 피어싱펀치(130)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펀치고정판(120)의 양측에는 상부금형(100)의 하강에 따라 상기 가압블록(160)을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푸싱블록(140)이 구비된다. 상기 푸싱블록(140)은 하측방향으로 길이가 긴 사각 블록형상으로 이루어져 펀치고정판(120)의 양측에 하향 돌출되게 고정 설치된다.
이때, 상기 푸싱블록(140)의 내측 하단의 서로 마주하는 모서리 부분에는 라운드부(142)가 형성되어, 상기 푸싱블록(140)이 가압블록(160)의 테이퍼부(262)를 타고 용이하게 하강되어 가압블록(160)을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푸싱할 수 있도록 된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상기 파이프 피어싱 금형은 도 2 및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가 상하부금형(100,200) 전방에서 파이프(10)를 상하부금형(100,200) 사이로 밀어넣어 그 단부를 클램핑이송수단(19)에 고정시킨 다음, 즉, 피어싱블록(240)이 파이프(10) 내부에 위치되도록 밀어넣어 일단부를 클램핑이송수단(19)에 고정시킨 상태에서(이때, 상기 피어싱블록(240)이 삽입된 파이프(10)는 피어싱다이(230) 상면에 안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즉, 자중에 의해 제1피어싱홀(237) 직상부면에 안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부금형(100)을 하강시키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금형(100)의 푸싱블록(140)이 가압블록(260)의 테이퍼부(262)에 접촉됨과 동시에 외측면을 타고 내려가면서 한 쌍의 가압블록(260)을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푸싱하여 한 쌍의 가압블록(260)이 파이프(10)의 양측벽을 가압함과 동시에 피어싱펀치(130)가 피어싱블록(240)의 제2피어싱홀(247)과 피어싱다이(230)의 제1피어싱홀(237)을 통과하여 파이프(10)에 두께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공(12)을 형성하게 된다.
이어서, 상기 상부금형(100)이 원위치되면 한 쌍의 가압블록(260)은 스프링(265)에 의해 서로 이격되는 방향으로 탄지되어 있으므로 원위치되어 파이프(10)에 가해진 가압력을 해제하게 되며, 프레스장치의 램이 1행정하면 상기 클램핑이송수단(19)이 파이프(10)를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시켜가면서 파이프(10)에 일정간격으로 관통공(12)을 형성하게 된다.
이때, 상기 파이프(10)의 상측에만 관통공(14)을 형성할 때에는 피어싱블록(240)을 후퇴시켜 제3피어싱홀(248)과 제1피어싱홀(237)이 동일선상에 위치되도록 하여, 즉, 피어싱블록(240)의 제3피어싱홀(248)과 제1피어싱홀(237)이 연통되도 록 지지바아(15)를 후퇴 이동시켜 프레스장치의 램의 스트로크를 줄여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이프(10) 상측에만 관통공(14)을 형성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사각 파이프(10)에 사각의 관통공(12,14)을 형성한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 외에도 파이프 단면형상 및 원하는 관통공 형상에 따라 피어싱블록(240) 및 피어싱펀치(130), 피어싱다이부싱(235) 등을 교체하여 다양한 형상의 파이프에 다양한 형상의 관통공을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미설명 번호 211은 하부금형(200)의 하형홀더(210) 상면 둘레부에 수직으로 고정설치되는 가이드포스트이며, 번호 111은 상부금형(100)의 상형홀더(110) 둘레부에 고정설치되되 상기 가이드포스트(211)에 슬라이드 결합되어 상부금형(100)을 수직 승강되도록 하는 가이드부시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피어싱금형은 피어싱하고자 하는 파이프 내부와 상응하는 피어싱블록을 구비하고 피어싱블록의 양측에는 피어싱블록이 결합된 파이프를 잡아주는 가압블록이 구비되어 있어 파이프를 견고하게 잡고 피어싱 펀칭하게 되므로, 파이프에 형성되는 관통공 둘레부가 찌그러지지 않고 깔끔하게 피어싱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특징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목적, 구성, 효과 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Claims (5)

  1. 서로 마주하는 위치에 펀치와 홀 등이 각각 마련되어 파이프(10)에 관통공이 형성되게 가공하도록 한 쌍으로 이루어진 상하부금형(100,200)에 있어서,
    상기 하부금형(200)은 하형홀더(210)와, 상기 하형홀더(210) 상면 고정되며 중앙부에 제1피어싱홀(237)이 형성된 피어싱다이(230)과, 파이프(10)의 내부와 상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제1피어싱홀(237) 직상부에 배치되되 일단부에는 피지지물에 고정되는 지지바아(15)가 연결 고정되고 중앙부에는 상기 제1피어싱홀(237)과 동일한 형상의 제2피어싱홀(247)이 수직으로 관통 형성된 피어싱블록(240)과, 상기 피어싱블록(240)의 감싸도록 피어싱다이(230)에 고정되며 상면 중앙에는 펀치통과공(252)이 형성된 스트리퍼(250)와, 상기 스트리퍼(250)의 양측벽에 상기 피어싱블록(240)으로 출몰 가능하게 장착되되 스프링(265)에 의해 외향 돌출되게 탄지된 한 쌍의 가압블록(260)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상부금형(100)은 상형홀더(110)와, 상기 제1,2피어싱홀(237,247)과 상응하는 형사으로 이루어져 상기 상형홀더(110)의 저면 중앙에 하향 돌출되게 수직으로 고정되는 피어싱펀치(130)와, 상기 피어싱펀치(130)의 양측에 하향 돌출되게 수직으로 고정설치되어 하강에 따라 상기 한 쌍의 가압블록(260)을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한 쌍의 푸싱블록(140)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피어싱금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피어싱다이(230)는 중앙부에 끼움공(232)이 관통 형성된 다이(231)와, 상기 끼움공(232)과 상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다이(231)의 끼움공(232)에 끼움 결합되며, 중앙부에는 제1피어싱홀(237)이 관통 형성된 피어싱다이부싱(235)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피어싱금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블록(260)의 외측 상단 모서리에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테이퍼진 테이퍼부(262)가 마련되고,
    상기 푸싱블록(140)의 내측 하단 모서리에는 볼록하게 만곡진 라운드부(142)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피어싱금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피어싱블록(240)은 사각 바아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피어싱펀치(130)와 제1 및 제2피어싱홀(237,247)은 서로 상응하도록 사각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피어싱금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피어싱블록(240)의 일단부에는 저면에는 이 피어싱블록(240)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내측으로 오목한 홈(249)이 단부로 개구되게 형성되 고, 상기 홈(249) 위치의 피어싱블록(240)에는 2피어싱홀(247)과 동일한 제3피어싱홀(248)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피어싱금형.
KR1020070032403A 2007-04-02 2007-04-02 파이프 피어싱 금형 KR1008937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2403A KR100893784B1 (ko) 2007-04-02 2007-04-02 파이프 피어싱 금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2403A KR100893784B1 (ko) 2007-04-02 2007-04-02 파이프 피어싱 금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89798A KR20080089798A (ko) 2008-10-08
KR100893784B1 true KR100893784B1 (ko) 2009-04-20

Family

ID=401512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32403A KR100893784B1 (ko) 2007-04-02 2007-04-02 파이프 피어싱 금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93784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9425B1 (ko) * 2013-03-29 2013-10-17 아미고 툴링 주식회사 파이프 파지부를 구비한 범용 모델용 리어 액슬 프레스 장치 및 성형 방법
KR101319424B1 (ko) * 2013-03-29 2013-10-17 아미고 툴링 주식회사 범용 모델용 리어 액슬 프레스 장치
KR101365740B1 (ko) * 2012-02-08 2014-02-21 욱일산업주식회사 자동차용 헤드 레스트 프레스 가공장치
KR102224566B1 (ko) * 2020-02-19 2021-03-05 유환우 사각파이프의 사각홀 가공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4520B1 (ko) * 2016-05-18 2017-04-07 이상수 파워스틸과 그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KR102015730B1 (ko) * 2018-08-05 2019-09-02 킨더스 주식회사 프레임 펀칭장치
KR102065782B1 (ko) * 2019-10-18 2020-02-11 도승일 자동차 조향장치용 파이프 천공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72620A (ja) 1983-09-30 1985-04-24 Miyagi Seiki Kk パイプの孔加工方法及びその装置
JPH01215413A (ja) * 1988-02-24 1989-08-29 Sanko Kogyo Kk 中空角パイプの溝型切欠成形法
KR200402481Y1 (ko) * 2005-09-20 2005-11-30 김종복 각 파이프용 홀 가공장치
JP2007038260A (ja) 2005-08-03 2007-02-15 Honda Motor Co Ltd パイプ端部のプレスカット方法及びその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72620A (ja) 1983-09-30 1985-04-24 Miyagi Seiki Kk パイプの孔加工方法及びその装置
JPH01215413A (ja) * 1988-02-24 1989-08-29 Sanko Kogyo Kk 中空角パイプの溝型切欠成形法
JP2007038260A (ja) 2005-08-03 2007-02-15 Honda Motor Co Ltd パイプ端部のプレスカット方法及びその装置
KR200402481Y1 (ko) * 2005-09-20 2005-11-30 김종복 각 파이프용 홀 가공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5740B1 (ko) * 2012-02-08 2014-02-21 욱일산업주식회사 자동차용 헤드 레스트 프레스 가공장치
KR101319425B1 (ko) * 2013-03-29 2013-10-17 아미고 툴링 주식회사 파이프 파지부를 구비한 범용 모델용 리어 액슬 프레스 장치 및 성형 방법
KR101319424B1 (ko) * 2013-03-29 2013-10-17 아미고 툴링 주식회사 범용 모델용 리어 액슬 프레스 장치
KR102224566B1 (ko) * 2020-02-19 2021-03-05 유환우 사각파이프의 사각홀 가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89798A (ko) 2008-10-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93784B1 (ko) 파이프 피어싱 금형
KR20170045968A (ko) 코너 샤링기 일체형 롯드바 프레임 제조장치
KR20170003775A (ko) 펀칭장치
KR20110095748A (ko) 두 개 이상의 유압 펀치가 작동하는 프레스 금형
CN212703986U (zh) 一种用于铝型材电子散热器加工的冲孔模具
JP4985174B2 (ja) 薄板金属の孔開け装置及びその方法
KR20180135539A (ko) 사각 파이프 피어싱 금형
CN210996060U (zh) 一种一体式可抽换冲压模
CN220574480U (zh) 一种金属管材冲孔工装
CN211804245U (zh) 一种制动底板攻螺纹孔工装夹具
CN218693076U (zh) 一种飞机发动机支撑座侧冲孔模具
CN219483946U (zh) 冲压模具
CN217798419U (zh) 一种具有拉包冲头快拆结构的成型装置
CN219520197U (zh) 一种冲孔与倒角一体式加工模具
CN212216767U (zh) 一种冲孔装置
CN215241347U (zh) 一种冲头装置
CN214719834U (zh) 一种便于调节的冲压模具
CN215315109U (zh) 一种用于汽车灯架的翻边模具
CN210485047U (zh) 一种冲压型摄像头金属支架
CN217070355U (zh) 一种用于料片边缘冲孔加工的模具工装
CN213350494U (zh) 一种便于模具安装的固定结构
CN108927445B (zh) 一种金属玻璃材料微型拉伸试样制备用的打孔装置
CN203875190U (zh) 基于冲床的冲切刀模快速换模装置
CN212264262U (zh) 一种用于模具上产品件的可调式定位机构
CN210647988U (zh) 一种冲槽机上的压片机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