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5730B1 - 프레임 펀칭장치 - Google Patents

프레임 펀칭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5730B1
KR102015730B1 KR1020180091025A KR20180091025A KR102015730B1 KR 102015730 B1 KR102015730 B1 KR 102015730B1 KR 1020180091025 A KR1020180091025 A KR 1020180091025A KR 20180091025 A KR20180091025 A KR 20180091025A KR 102015730 B1 KR102015730 B1 KR 1020157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block
horizontal
punch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10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기형
Original Assignee
킨더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킨더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킨더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910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573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57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57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28/00Shaping by press-cutting; Perforating
    • B21D28/24Perforating, i.e. punching holes
    • B21D28/34Perforating tools; Die hol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28/00Shaping by press-cutting; Perforating
    • B21D28/24Perforating, i.e. punching holes
    • B21D28/32Perforating, i.e. punching holes in other articles of special sha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37/00Tools as parts of machines covered by this subclass
    • B21D37/10Die sets; Pillar guides
    • B21D37/12Particular guiding equipment, e.g. pliers; Special arrangements for interconnection or cooperation of d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erforating, Stamping-Out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AREA)

Abstract

본 발명 실시예의 프레임 펀칭장치는 프레임의 절곡부분에 절곡을 원할히하기 위한 "V"형상의 여유홈을 간편하게 형성시키고, "V"형상의 여유홈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결합편과 결합홈의 상호 결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결합편을 벤딩된 상태로 펀칭할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프레임 펀칭장치{A frame punching apparatus}
본 발명은 프레임 펀칭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프레임의 절곡부분에 절곡을 원할히하기 위한 "V"형상의 여유홈을 간편하게 형성시키고, 여유홈의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결합편을 벤딩된 상태로 펀칭할 수 있도록 한 프레임 펀칭장치에 관한 것이다.
예컨대, LCD 모니터는 화상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부와, 디스플레이부 가장자리에 결합되는 프레임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인가되는 전기신호가 각 영상을 구현하도록 회로를 갖는 PCB어셈블리와, 상기 부품들을 내장할 수 있도록 케이스를 형성하는 전/후면 케비넷으로 이루어져 있다.
통상적으로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사각형상의 구조를 가지므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20)은 사각틀의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프레임(20)의 제작은 통상 도 1에서와 같이, 프레임(20)의 수평면(21a)(22a)에 "V"형 여유홈(24)을 형성하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V"형 여유홈(24)을 중심으로 프레임(20)을 직각으로 절곡한 다음, 프레임(20)이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가장자리가 맞닿은 여유홈(24) 부분을 용접한다.
상기와 같이 용접한 직각으로 절곡된 2개의 프레임(20)을 도 3에서와 같이 배치하고, 용접하여 사각틀 프레임을 제작한다.
한편,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V"형 여유홈(24)은 "V"형 그라인더로(30)로 연마하여 형성하게 되는데, 프레임(20)을 직각으로 절곡할때 절곡부분의 변형(우글쭈글해지는 변형)을 방지하기 위하여는 여유홈(24)의 첨예부분은 프레임(20)의 수직면(21b)과의 경계부분에 접하도록 연마하게 된다.
이에 따라서 "V"형 여유홈(24)을 연마로 형성하는데 작업시간이 과다 소용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직각이 되도록 절곡한 프레임(20)이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가장자리가 맞닿은 여유홈(24) 부분을 용접하는 공정을 거쳐야 하므로 사각틀 프레임의 제작이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
한국특허등록 제10-0875543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써, "V"형 여유홈을 간편하게 형성하여 작업시간을 단축할 수 있도록 한 프레임 펀칭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V"형 여유홈의 가장자리에 상호 결합되는 결합편과 결합홈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하고, 이들의 상호 결합을 간편하게 할 수 있도록 결합편을 벤딩된 상태로 형성할 수 있도록 한 프레임 펀칭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는 본 발명은 수평면과 수직면을 갖도록 절곡된 프레임의 수평면에 "V"형 여유홈을 형성하기 위한 프레임의 펀칭장치에 있어서,
상면부에 오목홈이 형성되고, 상기 오목홈의 상면부를 덮도록 상기 프레임의 수평면이 안착되는 베이스블럭과;
상기 오목홈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베이스블럭에 고정되며 상기 프레임의 수직면 일측이 지지되는 고정블럭과;
상기 베이스블럭 상면에 슬라이딩 왕복 이동가능하게 배치되며, 일단부가 상기 프레임의 수직면 타측을 가압 또는 가압해제시키며 상기 오목홈에 대응되는 형상의 관통공이 형성된 수평이동블럭과;
상하로 승강작동되며 상기 수평이동블럭이 상기 프레임을 가압시킨 상태에서 상기 관통공을 통과하여 상기 프레임의 수평면에 상기 "V"형 여유홈을 형성시키는 펀치블럭과;
상기 수평이동블럭의 일단부가 상기 프레임의 수직면 타측을 가압 또는 가압해제시키도록 상기 수평이동블럭을 왕복이동시키는 이동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이동수단은 상기 수평이동블럭의 타단부에 제1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펀치블럭과 함께 승강가능하며 단부에 상기 제1경사면과 반대방향으로 경사진 제2경사면이 형성된 푸쉬블럭과, 상기 수평이동블럭과 상기 베이스블럭 사이에 복원스프링을 구비하여서,
상기 푸쉬블럭이 하강되어 상기 제1경사면과 제2경사면이 상호 슬라이딩될때 상기 프레임의 수직면을 가압하도록 상기 수평이동블럭이 이동되고, 상기 푸쉬블럭이 상승될때 상기 복원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서 상기 수평이동블럭이 상기 프레임의 가압을 해제하도록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 장치에 있어서, 상기 "V"형 여유홈을 형성하는 상기 펀치블럭의 일측면에 제1길이를 가지는 펀치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펀치블럭의 타측면에 상기 펀치돌기에 대응되는 형상으로써 상기 제1길이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제2길이를 가지며 누름턱이 구비된 펀치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 실시예의 프레임 펀칭장치는 종래 연마작업으로 여유홈을 형성하였던 것과는 달리, 프레임(100)의 절곡부분에 절곡을 원할히하기 위한 "V"형상의 여유홈(115)을 펀칭작업으로 간편하게 형성시키고, 또한 "V"형상의 여유홈(115)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결합편(117)과 결합홈(116)의 상호 결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결합편(117)을 벤딩된 상태로 펀칭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프레임의 절곡을 간섭없이 가능하게 한다.
도 1 내지 3은 종래 프레임 절곡을 설명하는 개략도,
도 4는 "V"형 그라인더로 "V"형 여유홈을 연마하는 상태를 설명하는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 펀칭장치의 개념도,
도 6은 수평이동블럭의 평면도,
도 7은 펀치블럭의 단면도,
도 8은 펀치블럭이 프레임을 펀칭하는 상태를 설명하는 개fir도
도 9는 펀칭전 프레임을 나타낸 사진.
도 10은 펀칭후 프레임을 나타낸 사진,
도 11 내지 도 13은 펀칭된 프레임의 절곡상태를 설명하는 사진.
본 발명 실시예의 프레임 펀칭장치는 프레임의 절곡부분에 절곡을 원할히하기 위한 "V"형상의 여유홈을 간편하게 형성시키고, "V"형상의 여유홈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결합편과 결합홈의 상호 결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결합편을 벤딩된 상태로 펀칭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 실시예에서 적용되는 프레임은 예컨대, LCD 모니터와 같은 디스플레이부 가장자리에 결합되어 디스플레이부를 보호하는 것으로써, 사각틀 형상으로 절곡하기 용이하도록 본 발명 펀칭장치에 의해서 "V"형상의 여유홈이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 실시예의 펀칭장치에 적용되는 프레임(100)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면형상이 수평면(111)(112)과 수직면(113)(114)을 갖도록 "ㄱ"자형으로 절곡된 구조를 가지며, 수평면(111)(112)에 "V"형상의 여유홈(115)이 펀칭장치에 의해 형성된다.
본 발명 실시예의 프레임 펀칭장치는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상면부에 오목홈(201)이 형성되고, 상기 오목홈(201)의 상면부를 덮도록 상기 프레임(100)의 수평면(111)(112)이 안착되는 베이스블럭(200)과; 상기 오목홈(201)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베이스블럭(200)에 고정되며 상기 프레임(100)의 수직면(113)(114) 일측이 지지되는 고정블럭(210)과; 상기 베이스블럭(200) 상면에 슬라이딩 왕복 이동가능하게 배치되며, 일단부가 상기 프레임(100)의 수직면 타측을 가압 또는 가압해제시키며 상기 오목홈(201)에 대응되는 형상의 관통공(222)이 형성된 수평이동블럭(220)과; 상하로 승강작동되며 상기 수평이동블럭(220)이 상기 프레임(100)을 가압시킨 상태에서 상기 관통공(222)을 통과하여 상기 프레임(100)의 수평면에 상기 "V"형 여유홈(115)을 형성시키는 펀치블럭(230)과; 상기 수평이동블럭(220)의 일단부가 상기 프레임(100)의 수직면 타측을 가압 또는 가압해제시키도록 상기 수평이동블럭(220)을 왕복이동시키는 이동수단;을 구비한다.
상기 수평이동블럭(220)은 미도시된 가이드에 의해서 안정적으로 수평왕복이동될 수 있다.
상기 이동수단은 상기 수평이동블럭(220)의 타단부에 제1경사면(221)이 형성되고, 상기 펀치블럭(230)과 함께 승강가능하며 단부에 상기 제1경사면(221)과 반대방향으로 경사진 제2경사면(241)이 형성된 푸쉬블럭(240)과, 상기 수평이동블럭(220)과 상기 베이스블럭(200) 사이에 복원스프링(250)을 구비한다.
상기와 같은 이동수단은 상기 푸쉬블럭(240)이 하강되어 상기 제1경사면(221)과 제2경사면(241)이 상호 슬라이딩될때 상기 프레임(100)의 수직면을 가압하도록 상기 수평이동블럭(220)이 이동되고, 상기 푸쉬블럭(240)이 상승될때 상기 복원스프링(250)의 복원력에 의해서 상기 수평이동블럭(220)이 상기 프레임(100)의 가압을 해제하도록 이동된다.
한편,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V"형 여유홈(115)을 형성하는 상기 펀치블럭(230)의 일측면에는 제1길이를 가지는 펀치돌기(231)가 형성되고, 상기 펀치블럭(230)의 타측면에는 상기 펀치돌기(231)에 대응되는 형상으로써 상기 제1길이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제2길이를 가지며 누름턱(233)이 구비된 펀치홈(232)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펀치블럭(230)은 하강작동으로 상기 프레임(100)의 수평면(111)(112)에 "V"형 여유홈(115)을 형성시키며, 상기 펀치돌기(231) 및 펀치홈(232)에 의해서 결합홈(116) 및 결합편(117)이 형성된다.
상기 결합홈(116) 및 결합편(117)은 화살표 형상으로서, 상호 결합시 이탈이 방지되도록 되어 있다.
특히, 펀치블럭(230)은 하강작동으로 펀치홈(232)에 의해서 프레임(100)에 결합편(117)이 형성되면서, 도 8, 도 10 및 도 13을 참조하면 상기 누름턱(233)에 의해서 상기 결합편(117)이 벤딩되게 된다.
이 경우 프레임(100)을 절곡시 화살표 형상의 상기 결합홈(116) 및 결합편(117)이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호 간섭없이 절곡이 가능해지며, 프레임(100)의 절곡후 상기 벤딩된 결합편(117)을 가압하여 결합홈(116)에 진입시킨다.
이 경우 상기 결합편(117)이 상기 결합홈(116)에 결합되어서 절곡상태가 유지되므로, 용접과 같은 별도의 공정없이도 사각틀 프레임을 구성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 실시예의 프레임 펀칭장치는 종래 연마작업으로 여유홈을 형성하였던 것과는 달리, 프레임(100)의 절곡부분에 절곡을 원할히하기 위한 "V"형상의 여유홈(115)을 펀칭작업으로 간편하게 형성시키고, 또한 "V"형상의 여유홈(115)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결합편(117)과 결합홈(116)의 상호 결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결합편(117)을 벤딩된 상태로 펀칭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프레임의 절곡을 간섭없이 가능하게 한다.
100...프레임 111,112..수평면
113,114...수직면 115...여유홈
116,118...제1,2결함홈 117,119...제1,2결합편

Claims (3)

  1. 수평면과 수직면을 갖도록 절곡된 프레임의 수평면에 "V"형 여유홈을 형성하기 위한 프레임의 펀칭장치에 있어서,
    상면부에 오목홈(201)이 형성되고, 상기 오목홈(201)의 상면부를 덮도록 상기 프레임(100)의 수평면(111)(112)이 안착되는 베이스블럭(200)과;
    상기 오목홈(201)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베이스블럭(200)에 고정되며 상기 프레임(100)의 수직면(113)(114) 일측이 지지되는 고정블럭(210)과;
    상기 베이스블럭(200) 상면에 슬라이딩 왕복 이동가능하게 배치되며, 일단부가 상기 프레임(100)의 수직면 타측을 가압 또는 가압해제시키며 상기 오목홈(201)에 대응되는 형상의 관통공(222)이 형성된 수평이동블럭(220)과;
    상하로 승강작동되며 상기 수평이동블럭(220)이 상기 프레임(100)을 가압시킨 상태에서 상기 관통공(222)을 통과하여 상기 프레임(100)의 수평면에 상기 "V"형 여유홈(115)을 형성시키는 펀치블럭(230)과;
    상기 수평이동블럭(220)의 일단부가 상기 프레임(100)의 수직면 타측을 가압 또는 가압해제시키도록 상기 수평이동블럭(220)을 왕복이동시키는 이동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이동수단은 상기 수평이동블럭(220)의 타단부에 제1경사면(221)이 형성되고,
    상기 펀치블럭(230)과 함께 승강가능하며 단부에 상기 제1경사면(221)과 반대방향으로 경사진 제2경사면(241)이 형성된 푸쉬블럭(240)과, 상기 수평이동블럭(220)과 상기 베이스블럭(200) 사이에 복원스프링(250)을 구비하여서,
    상기 푸쉬블럭(240)이 하강되어 상기 제1경사면(221)과 제2경사면(241)이 상호 슬라이딩될때 상기 프레임(100)의 수직면을 가압하도록 상기 수평이동블럭(220)이 이동되고, 상기 푸쉬블럭(240)이 상승될때 상기 복원스프링(250)의 복원력에 의해서 상기 수평이동블럭(220)이 상기 프레임(100)의 가압을 해제하도록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 펀칭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V"형 여유홈(115)을 형성하는 상기 펀치블럭(230)의 일측면에 제1길이를 가지는 펀치돌기(231)가 형성되고, 상기 펀치블럭(230)의 타측면에 상기 펀치돌기(231)에 대응되는 형상으로써 상기 제1길이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제2길이를 가지며 누름턱(233)이 구비된 펀치홈(232)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 펀칭장치.
KR1020180091025A 2018-08-05 2018-08-05 프레임 펀칭장치 KR1020157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1025A KR102015730B1 (ko) 2018-08-05 2018-08-05 프레임 펀칭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1025A KR102015730B1 (ko) 2018-08-05 2018-08-05 프레임 펀칭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15730B1 true KR102015730B1 (ko) 2019-09-02

Family

ID=679510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1025A KR102015730B1 (ko) 2018-08-05 2018-08-05 프레임 펀칭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5730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695210A (zh) * 2019-10-21 2020-01-17 宁波奥克斯厨电制造有限公司 折弯模具
KR102180542B1 (ko) * 2019-11-13 2020-11-19 킨더스 주식회사 펀칭기
CN112486275A (zh) * 2020-11-13 2021-03-12 苏州浪潮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异型支架的固定装置
CN112674514A (zh) * 2020-12-30 2021-04-20 浙江安吉树晔家具有限公司 一种可拆卸椅架及其制造设备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89798A (ko) * 2007-04-02 2008-10-08 남중환 파이프 피어싱 금형
KR100875543B1 (ko) 2007-02-12 2008-12-26 첨단하이테크 주식회사 프레임 절곡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5543B1 (ko) 2007-02-12 2008-12-26 첨단하이테크 주식회사 프레임 절곡장치
KR20080089798A (ko) * 2007-04-02 2008-10-08 남중환 파이프 피어싱 금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695210A (zh) * 2019-10-21 2020-01-17 宁波奥克斯厨电制造有限公司 折弯模具
CN110695210B (zh) * 2019-10-21 2021-08-20 宁波奥克斯厨电制造有限公司 折弯模具
KR102180542B1 (ko) * 2019-11-13 2020-11-19 킨더스 주식회사 펀칭기
CN112486275A (zh) * 2020-11-13 2021-03-12 苏州浪潮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异型支架的固定装置
CN112486275B (zh) * 2020-11-13 2022-06-03 苏州浪潮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异型支架的固定装置
CN112674514A (zh) * 2020-12-30 2021-04-20 浙江安吉树晔家具有限公司 一种可拆卸椅架及其制造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15730B1 (ko) 프레임 펀칭장치
CN205966971U (zh) 一种用于侧面冲孔的模具
JPS6045017B2 (ja) プレス加工用複合型
KR102006769B1 (ko) 프레임 절곡용 금형 구조체
EP2418095A1 (en) Pressing assembly of an embossing seal
JP3974024B2 (ja) フレーム枠の製造方法
KR101492021B1 (ko) 곡면 디스플레이 제품에 사용되는 프레스 구조물을 제조하는 금형 장치
KR20170026907A (ko) 윈도우용 글래스 성형 장치 및 윈도우를 갖는 전자장치의 제조 방법
KR100657222B1 (ko) 금속판용 절곡장치.
KR20190090289A (ko) 인쇄회로기판의 버형성 방지 성형금형
CN105927637A (zh) 使公差两边均分的定位装配机构
KR101339612B1 (ko) 3d필름 부착장치
TWI533779B (zh) 電子裝置殼體及其製造方法
CN210848708U (zh) 一种治具
JP6315804B2 (ja) 角型容器の製造方法並びに製造装置
JPS5952007B2 (ja) 鏡面板の精密打抜き方法
CN215845082U (zh) 一种快速压边成型装置
KR20200030714A (ko) 동력 턴테이블을 이용한 프레임 2단 절곡장치
JP2005021955A (ja) 金属板の曲げ成形方法および装置
JP2668182B2 (ja) 抜き曲げ同時プレス型及び加工方法
KR100945715B1 (ko) 카메라모듈 포커싱 및 본딩장치
JP2004098128A (ja) パンチプレスにおける曲げ方法及びその金型
KR101728877B1 (ko) 내시경용 클립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제조방법
JPH0761507B2 (ja) 絞り型による成形方法
JP3545024B2 (ja) 折曲げ加工方法およびその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