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92923B1 - 자동차용 액셀러레이터 및 브레이크 페달 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액셀러레이터 및 브레이크 페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92923B1
KR100892923B1 KR1020027017049A KR20027017049A KR100892923B1 KR 100892923 B1 KR100892923 B1 KR 100892923B1 KR 1020027017049 A KR1020027017049 A KR 1020027017049A KR 20027017049 A KR20027017049 A KR 20027017049A KR 100892923 B1 KR100892923 B1 KR 1008929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celerator
pad
brake pedal
brake
le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170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10712A (ko
Inventor
마스유키 나루세
Original Assignee
마스유키 나루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스유키 나루세 filed Critical 마스유키 나루세
Publication of KR200300107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107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29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29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1/00Controlling members, e.g. knobs or handles; Assemblies or arrangements thereof; Indicating position of controlling members
    • G05G1/30Controlling members actuated by foot
    • G05G1/44Controlling members actuated by foot pivo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6/00Arrangements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 control devices in vehicles
    • B60K26/02Arrangements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 control devices in vehicles of initiating means or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7/00Brake-action initiating means
    • B60T7/02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 B60T7/04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foot actuated
    • B60T7/06Disposition of ped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04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propulsion un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18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braking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30/00Purpos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of systems using 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 B60W30/18Propelling the vehicle
    • B60W30/18181Propulsion control with common controlling member for different func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1/00Controlling members, e.g. knobs or handles; Assemblies or arrangements thereof; Indicating position of controlling members
    • G05G1/30Controlling members actuated by foot
    • G05G1/48Non-slip pedal treads; Pedal extensions or attachment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1/487Pedal extens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4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occupants
    • B60W2540/10Accelerator pedal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4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occupants
    • B60W2540/12Brake pedal posi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20Control lever and linkage systems
    • Y10T74/20528Foot operat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20Control lever and linkage systems
    • Y10T74/20576Elements
    • Y10T74/20888Peda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20Control lever and linkage systems
    • Y10T74/20576Elements
    • Y10T74/20888Pedals
    • Y10T74/209Extension
    • Y10T74/20906Offse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xiliary Drives, Propulsion Controls, And Safety Devices (AREA)
  • Braking Elements And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종방향으로 조작되는 브레이크 패드에 보조 패드를 연결 접속하고, 상기 보조 패드에 횡방향으로 조작하는 액셀러레이터 패드를 설치하고, 상기 액셀러레이터 패드에 의해 구동되는 액셀러레이터 기구를 구비한 브레이크 페달 장치로서, 상기 액셀러레이터 패드는, 판형재로 형성하되 그 중간 부분을 외측으로 부풀려 산형(山形)으로 형성하고, 그 산형의 경사면에서 액셀러레이터 기구를 조작하는 구성으로 하는 자동차용 액셀러레이터 및 브레이크 페달 장치이다. 액셀러레이터를 작용 상태로 한 채로 브레이크 페달(1)을 밟아도, 그 밟는 동작에 의해 필연적으로 액셀러레이터 패드(9)가 보조 패드(3)와 함께 전진하는 것이고, 그것에 의하여 바꾸어 밟는 등의 시간적인 순간이 지연되지도 않고, 즉시 액셀러레이터 레버(1O)를 원래의 부작용 위치로 되돌려, 액셀러레이터를 OFF로 하여 브레이크 기능을 정상으로 작용시킬 수 있다.
브레이크 패드, 브레이크 페달, 액셀러레이터 패드, 보조 패드.

Description

자동차용 액셀러레이터 및 브레이크 페달 장치{BRAKE-AND-ACCELERATOR PEDAL ASSEMBLY FOR AUTOMOBILE}
본 발명은, 자동차에 장비하여 사용되며, 횡방향으로 작용시키는 액셀러레이터 페달 및 전(前)방향으로 밟는 브레이크 페달 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발끝의 열기 즉 누름을 되돌리지 않고 그대로 브레이크 페달을 밟아 조작할 수 있도록 하여, 일순간의 지연도 생기지 않도록 한 페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 종류의 횡방향으로 작용시키는 액셀러레이터 페달과 전(前)방향으로 밟는 브레이크 페달 장치에 관해서는, 본 발명자에 의해 복수건의 특허출원을 하고 있고, 이미 공지된 기술이다. 대표적인 것으로서, 예를 들면, 일본국 특개평8(1996)-142817호 공보에 개시된 구성의 것, 및 일본국 특개평 9(1997)-136559호 공보에 개시된 구성의 것이 공지로 되어 있다.
이 공지의 기술에서는, 오른쪽 발만으로 액셀러레이터 페달과 브레이크 페달을 조작하는 것이며, 오른쪽 발을 브레이크 페달 상에 탑재하고, 발꿈치를 중심으로 하여 발끝 측을 우측으로 누르도록 하여 액셀러레이터 페달을 조작하여, 눈깜짝할 사이에 인간의 본능이라고도 해야 할 밟기 동작을 행했을 때에 틀림없이 브 레이크 페달을 밟게 되어, 일반의 자동차가 장비하고 있는 별개의 액셀러레이터 페달과 브레이크 페달의 밟기의 상이에 의한 사고를 방지하는 점에서 우수하다.
그러나, 오른쪽 발만으로 액셀러레이터 페달과 브레이크 페달을 조작하는 구성으로서, 오른쪽 발의 발꿈치를 중심으로 하여 발끝 측을 열도록 하여 액셀러레이터 페달을 조작하고 있고, 그 상태로부터 브레이크 페달을 조작하려고 할 때에는, 필연적으로 발끝의 누름을 놓아 액셀러레이터 페달을 오프로 하고, 브레이크 페달을 밟도록 동작하고 있어, 틀림없이 브레이크 페달을 밟는 것이지만 발끝의 누름을 놓는 동작을 행하므로, 일순간이기는 하지만 브레이크 조작이 지연된다고 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이 경우의 발끝의 누름을 놓아 브레이크 조작하는 지연은, 종래의 자동차 에 장비되어 있는 별개의 액셀러레이터 페달과 브레이크 페달을 밟아 바꾸는 동작보다는, 매우 빠른 것이지만, 그래도 일순간의 지연이 치명상이 되는 것도 부정할 수 없는 것이다.
또, 발의 발끝 측을 누르는 방향으로 회전시켜 액셀러레이터 페달을 횡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경우에, 종래의 밟기식의 액셀 페달과 비교하여, 그다지 강한 힘을 부여할 수 없는 것이고, 어느 정도의 강한 힘을 부여할 수 있었다고 해도, 그것은 일시적이며 주행중에 그 힘을 유지하고 또한 반복하여 행해야만 한 것을 고려했을 때에, 조작성이 나쁘고 또한 운전의 피로도가 커진다.
따라서, 본 발명은, 긴급한 경우에, 발끝의 누름을 되돌리지 않고 그대로 브레이크 페달을 밟아 조작할 수 있도록 하여, 일순간의 지연도 생기지 않도록 한 액셀러레이터 및 브레이크 페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또, 본 발명은, 발끝 측을 누르도록 하여 액셀러레이터 페달을 조작할 때의 조작성(조작을 위한 힘)을 경감시킨 액셀러레이터 및 브레이크 페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은, 종방향으로 조작하는 브레이크 패드에 보조 패드를 연결 접속하고, 상기 보조 패드에 횡방향으로 조작하는 액셀러레이터 패드를 설치하고, 상기 액셀러레이터 패드에 의해 구동되는 액셀러레이터 기구를 구비한 브레이크 페달 장치로서, 상기 액셀러레이터 패드는, 판형재로 형성되어 그 중간 부분을 외측으로 부풀려 산형(山形)으로 형성하고, 그 산형의 경사면에서 액셀러레이터 기구를 조작하는 자동차용 액셀러레이터 및 브레이크 페달 장치이다. 이로써, 액셀러레이터를 작용 상태로 한 채로 브레이크 페달을 밟아도, 액셀러레이터 패드가 보조 패드와 함께 전진함으로써, 액셀러레이터 레버를 즉시 원래의 위치로 되돌려, 일순간의 지연없이 액셀러레이터를 OFF로 하여 브레이크 기능을 정상으로 작용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 액셀러레이터 레버의 회전 중심이 되는 축에, 액셀러레이터 와이어 암의 복귀 가압력을 경감시키는 가압력 경감 수단을 설치한 것이다. 이로써, 액셀러레이터 와이어 암을 작동시키는 데에 있어서, 액셀러레이터 OFF가 완전히 수행할 수 있는 위치 및 복귀 가압력을 확보시키고, 또한 발의 발끝 측을 회전시키는 것에 의한 액셀러레이터 패드 및 액셀러레이터 레버를 횡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힘을 가볍게 하여 조작성을 양호하게 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관한 자동차용 액셀러레이터 및 브레이크 페달 장치를 약시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2는, 이 자동차용 액셀러레이터 및 브레이크 페달 장치에서의 액셀러레이터 기구 부분의 주요부를 나타낸 약시적 측면도이다.
도 3은, 이 자동차용 액셀러레이터 및 브레이크 페달 장치에 있어서 사용되는 가이드 부재의 평면도이다.
도 4는, 이 자동차용 액셀러레이터 및 브레이크 페달 장치에서의 브레이크 조작 상황을 약시적으로 나타낸 주요부의 일부 확대 측면도이다.
도 5는, 이 자동차용 액셀러레이터 및 브레이크 페달 장치에서의 액셀러레이터 패드의 부작용 위치로부터 작용 위치 측으로의 이행 상황을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6은, 이 자동차용 액셀러레이터 및 브레이크 페달 장치에서의 액셀러레이터 패드의 작용 위치에 있어서, 브레이크 페달을 밟았을 때의 액셀러레이터 기구를 조작하는 위치관계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7은, 이 자동차용 액셀러레이터 및 브레이크 페달 장치에 있어서, 제2 실시예에 관한 액셀러레이터 기구 부분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8은, 이 액셀러레이터 기구 부분의 주요부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9는, 상기 제1 실시예에 관한 액셀러레이터 레버에 의한 액셀러레이터 와이어 암을 동작시키는 구동 전달 기구의 구체적 구성을 약시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0은, 이 구동 전달 기구의 측면도이다.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 첨부의 도면에 따라서 이것을 설명한다.
도 1은, 자동차용 액셀러레이터 및 브레이크 페달 장치를 약시적으로 나타낸 평면도로서, 브레이크 페달(1)은, 일반의 자동차에 장착되어 있는 구성의 것과 같은 것이며, 밟기에 의해 브레이크 조작을 하는 것이며, 소요의 브레이크암(2)의 일단부에 장착되어 있고, 상기 브레이크암(2)의 타단부 측에는 유압 장치를 포함하는 소요의 브레이크 기구가 연결 설치되어 있다. 또, 브레이크 페달(1)의 표면에는 고무 시트 등을 접착하여 미끄럼 방지 가공(1a)을 실시하였다.
이 브레이크 페달(1)에는, 보조 페달(3)이 연결부재(4)(축 등)를 통하여 연결 설치되고, 상기 보조 페달(3)에는, 우측 근처에 돌출부(3a)를 형성하고, 상기 돌출부(3a)에 복수의 롤러(5)가 설치되어 있다. 이들 롤러(5)는, 브레이크 페달(1)에 놓인 구두의 횡방향의 이동시의 마찰을 경감하기 위한 것이다.
또, 보조 페달(3)에는, 후단부에는 판형의 발꿈치받이(6)가 상부로 돌출된 상태로 설치되는 동시에, 후단부 근처의 바닥면 측에 보조 페달(3)의 회동(回動)의 지점(支點)이 되는 지점 롤러(7)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보조 페달(3)의 후단부 측 상면의 우측단에 축부(軸部)(8)를 통하여 액셀러레이터 패드(9)가 일정한 각도 범위로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되고, 상기 액셀러레이터 패드(9)는, 비교적 광폭의 판형을 이루는 것이며, 그 대략 중간 부분을 외측으로 부풀려 산형의 정상부(9a)로 하고, 전체가 대략 산형를 이루는 형상으로 형성하고, 자유단부(9b) 측은 구두의 접촉부로서 대략 평탄면으로 형성된 것이다.
이 액셀러레이터 패드(9)에 의해 조작되는 액셀러레이터 기구는, 대략 액셀러레이터 레버(10)와, 액셀러레이터 와이어 암(11)과, 액셀러레이터 와이어(12)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액셀러레이터 레버(10)는 약간 만곡된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기부측에 있어서 축(13)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지지되고, 선단부 측에는 롤러(14)가 장착되고, 상기 롤러(14)가 상기 액셀러레이터 패드(9)의 경사면(9c)에 전동 및/또는 활동(滑動)가능하게 맞닿아 있다. 또, 경사면(9c)은 직선형이라도 되고, 원호형 또는 곡면이라도 된다.
액셀러레이터 레버(10)의 기부측에는, 일체로 형성되어 대략 90° 방향으로 방향을 바꿔 위치하는 축간(軸桿)(15)이 설치되고, 상기 축간(15)에 가압 롤러(16)가 설치되어 있다. 이 가압 롤러(16)가 액셀러레이터 와이어 암(11)의 일단부 측에 맞닿아, 상기 액셀러레이터 와이어 암(11)을 동작시키는 것이다. 이 동작을 행하게 하는 구체적 구성의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도 2는, 액셀러레이터 기구 부분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약시적 측면도로서, 액셀러레이터 와이어 암(11)은, 대략 중간부 부근을 축간(17)에 의해 축지지하여 시소 운동을 할 수 있도록 장착되고, 가압 롤러(16)가 맞닿는 단부 측은, 축(13)을 중심으로 한 원호형으로 형성되는 동시에, 단부 측을 상방으로 원호형으로 만곡시켜 형성한 것이다. 그리고, 다른 쪽의 단부에는 액셀러레이터 와이어(12)의 단부가 고착되어 있다. 또, 액셀러레이터 와이어(12)의 다른 쪽의 단부에는 일반의 액셀러레이터 페달과 마찬가지로 엔진의 구동을 제어하는 기구가 연결 설치되어 있다.
도 3은, 브레이크 페달 장치에 있어서 사용되는 가이드 부재를 나타내는 평면도로서, 이 가이드 부재(18)에 의해 보조 페달(3)의 저면 측에 설치된 회전의 지점이 되는 지점 롤러(7)를 위치 결정하는 것이다. 이 가이드 부재(18)는, 예를 들면, 경질의 플라스틱으로 판형으로 형성되고, 중앙부에서 또한 한쪽 단부 가까이에 원호형의 오목부(19)를 깊이가 기울여 형성하는 동시에, 양 사이드에 복수의 장착용 장공(長孔)(20)을 형성한 것이다. 장착용 장공(20)을 비교적 길게 형성한 이유는, 그 장공(20)의 길이분에 있어서 장착 위치를 변경할 수 있기 때문이다.
도 4는, 브레이크 조작 상황을 약시적으로 나타낸 주요부의 일부 확대 측면도이며, 상기 가이드 부재(18)는, 차내의 바닥(21) 상에 장착되는 것이며, 오목부(19)에 지점 롤러(7)의 일부가 빠지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지점 롤러(7)가 오목부(19)에 끼워 넣어짐으로써, 보조 페달(3)의 전후 방향의 덜거덕 거림과 좌우 방향의 덜거덕 거림이 해소되는 것이다.
즉, 오목부(19)에 끼워진 지점 롤러(7)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3점 a, b, c 에서 맞닿기 때문에, 전후 방향은 원래부터 좌우 방향에 있어서도 위치 결정되는 것이다. 보조 페달(3)에 있어서 전후 방향으로 덜거덕거림이 있으면, 액셀러레이터 조작을 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스톱 램프가 켜지기 쉽다고 하는 문제가 있고, 또, 좌우 방향으로 덜거덕거림이 있으면, 액셀러레이터 패드의 조작이 불확실하게 된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롤러(7)의 3점 지지에 의해, 보조 페달(3)은 전후·좌우로 어긋나지 않고 센터 라인 S 상에 정확히 위치 결정되어 구동 조작의 문제를 완전히 해소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자동차용 액셀러레이터 및 브레이크 페달 장치에 대해, 그 동작을 설명하면, 먼저, 도 1에 실선으로 나타낸 위치관계가 액셀러레이터 및 브레이크에 있어서 부(不)작용 위치로서, 브레이크 페달(1), 액셀러레이터 패드(9) 및 액셀러레이터 레버(10) 등의 각 기구는, 항상 부작용 위치에 오도록 가압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브레이크 페달(1) 및 보조 페달(3) 상에 운전자의 오른쪽 발, 즉 구두 등의 신발(30)을 신은 상태로 가볍게 탑재하고, 엔진이 구동되고 있는 상태에서, 발꿈치를 중심으로 하여 발끝 측을 우측 방향으로 회전 또는 이동시키면, 액셀러레이터 패드(9)의 선단부(9b)가 눌려져 액셀러레이터 패드(9)가 축부(8)를 중심으로 하여 우측 방향으로 회전하여 작용 위치 측으로 이행하고, 동시에 롤러(14)가 경사면(9c)을 따라 산형의 정상부(9a) 측으로 전동하는 동시에, 액셀러레이터 레버(10)가 축(13)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하여 작용 위치측으로 이행하고, 그것에 따라 축간(15) 및 가압 롤러(16)도 동시에 회전하여 작용 위치측으로 온다. 이 때에, 액셀러레이터 패드(9)가 산형을 이루고 있으므로, 우측 방향으로 조금 회전시켜도, 액셀러레이터 레버(10)의 롤러(14)의 이동이 커지고, 그 만큼 액셀러레이터 레버(10)의 회전 각도도 커진다.
이들 축간(15) 및 가압 롤러(16)가 회전하여 작용 위치에 오면,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압 롤러(16)가 맞닿고 있는 액셀러레이터 와이어 암(11)의 원호형의 단부에 작용하여 밀어 내려, 시소 운동에 의해 액셀러레이터 와이어 암(11)의 타단 측에 장착되어 있는 액셀러레이터 와이어(12)를 인출한다. 액셀러레이터 와이어(12)의 인출 정도에 따라 액셀러레이터의 강약이 결정되는 것이며, 액셀러레이터 패드(9)의 가압정도, 즉 운전자의 발끝 측 회전 이동 순서에 따라서 액셀러레이터의 구동 상태를 임의로 조정할 수 있는 것이다.
자동차의 주행중에 있어서 브레이크를 밟을 때에는, 통상은 여유를 가지고 발끝의 누름을 원래의 상태로 되돌리고, 액셀러레이터를 OFF로 하고 나서 브레이크 페달(1)을 밟도록 하는 것이지만, 그 동작을 놓쳐 그대로 발끝을 내리누르도록 하여 브레이크 페달(1)을 밟더라도 브레이크를 걸 수 있는 것이다.
이 경우의 브레이크를 거는 동작에 대해, 도 4∼도 6에 따라 설명한다.
도 5는, 액셀러레이터 패드의 부작용 위치로부터 작용 위치측으로의 이행 상황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며, 도 6은, 액셀러레이터 패드의 작용 위치에 있어서, 브레이크 페달을 밟았을 때의 액셀러레이터 기구를 조작하는 위치관계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먼저, 브레이크 페달(1)과 보조 페달(3)에 오른쪽 발을 올려 액셀러레이터 조작을 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도 4의 실선으로 나타낸 A의 상태와 같이, 발끝이 올려진 자연의 상태로 보조 페달(3)이 소정의 각도를 가지고 경사진 상태에 있다. 이 때의 액셀러레이터 패드(9)와 액셀러레이터 레버의 롤러(14)는 작용 위치에 있고, 도 5의 가상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우측으로 눌러져 롤러(14)는, 액셀러레이터 패드(9)의 산형의 정상부(9a)측에 가까운 위치까지 이동하여 위치하고 있다.
이 작용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보통으로 브레이크 페달(1)을 밟으면, 도 4의 가상선으로 나타낸 B의 상태로 되어, 지점 롤러(7)의 축을 지점으로 하여 보조 페달(3)이 회전하는 동시에, 그 회전한 원호형의 길이 d만큼 전체가 전방으로 이동한다. 이 이동상태로 대해서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액셀러레이터 패드(9)가 작용 위치에 있는 실선으로 나타낸 A의 위치로부터, 가상선으로 나타낸 B의 위치로 이동하게 되어, 정상부(9a) 측에 위치하고 있었던 롤러(14)가 경사면(9c)을 전동하여 축부(8) 측으로 오게 된다.
롤러(14)가 축부(8) 측으로 오면, 액셀러레이터 패드(9)가 작용 위치에 있음에도 불구하고, 액셀러레이터 레버(10)를 즉시 부작용 위치 측으로 되돌리는 것이 되고, 그것에 연동하는 축간(15), 가압 롤러(16) 및 액셀러레이터 와이어 암(11)도 원래의 부작용 위치 측으로 귀환하고, 필연적으로 액셀러레이터가 OFF 상태 또는 그것에 가까운 상태로 되어, 브레이크 기능이 정상으로 작용하는 것이다.
또한, 주행 중에 급브레이크를 걸어야 할 사태가 생겼을 때에, 액셀러레이 터 패드(9)가 작용 위치에 있는 상태대로, 급격히 브레이크 페달(1)을 강하게 밟으면, 그 세기로 도 4의 가상선 C로 나타낸 바와 같이, 지점 롤러(7)가 오목부(19)로부터 빠져나가 보조 페달(3)이 단숨에 전방으로 D의 길이 이동한다.
이 이동 상황에 대해서도,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액셀러레이터 패드(9)가 작용 위치에 있는 실선으로 나타낸 A의 위치로부터, 가상선으로 나타낸 C의 위치까지 길이 D에 걸쳐 이동하는 것이고, 그것에 의하여 정상부(9a) 측에 위치하고 있었던 롤러(14)가 경사면(9c)을 전동하여 갑자기 축부(8)에 가까운 위치까지 오게 되고, 동시에 액셀러레이터 레버(10)를 완전히 부작용 위치에 되돌려, 액셀러레이터를 OFF 상태로 하여 강한 브레이크를 걸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통상의 브레이크 상태라도 급브레이크 상태라도, 액셀러레이터를 동작 상태로 한 채로, 브레이크 페달(1)을 밟기만 하면, 자동적으로 액셀러레이터를 OFF로 할 수 있는 것이고, 특히 급브레이크를 걸 때 당황하여 바꾸어 밟지 않더라도 그대로 브레이크 페달(1)을 밟으면 되는 것이고, 조작 상의 시간적인 지연이 없게되는 동시에, 브레이크와 액셀러레이터의 밟기의 상이에 의한 조작 미스를 완전히 해소할 수 있는 것이다.
도 7 ∼ 도 8에 액셀러레이터 기구에 대한 제2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7은, 액셀러레이터 기구 부분의 주요부를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8은, 이 액셀러레이터 기구 부분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또, 브레이크 페달(1), 보조 페달(3) 및 액셀러레이터 패드(9) 등의 브레이크 기구 측 각 구성 부분은, 상기 제1 실시예와 동일하기 때문에 도시 및 그 설명은, 중복되기 때문 에 생략한다.
이 제2 실시예에 관한 액셀러레이터 기구에 있어서도, 상기 제1 실시예와 대략 마찬가지로, 대략 액셀러레이터 레버(10a)와, 액셀러레이터 와이어 암(11a)과, 액셀러레이터 와이어(12a)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액셀러레이터 레버(10a)는 약간 만곡된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기부 측에 있어서 축(13a)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선단부 측에는 롤러(14a)가 장착되고, 상기 롤러(14a)가 상기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액셀러레이터 패드(9)의 경사면(9c)에 전동 및/또는 슬라이드 가능하게 맞닿아 있다.
액셀러레이터 레버(10a)의 기부 측에는, 대략 직선형으로 연장된 축간(15a)이 설치되고, 상기 축간(15a)에 가압 롤러(16a)가 설치되어 있다. 이 가압 롤러(16a)가 액셀러레이터 와이어 암(11a)의 대략 중간부에 맞닿아, 상기 액셀러레이터 와이어 암(11a)을 동작시키는 것이다.
액셀러레이터 와이어 암(11a)은, 한쪽 단부가 축간(17a)에 의해 축지지되어 추축(推軸) 운동을 할 수 있도록 장착되고, 가압 롤러(16a)가 맞닿는 중간부는, 축(13a)을 중심으로 한 원호형으로 형성되는 동시에,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체를 오목하게 하여 원호형으로 만곡시켜 형성한 것이다. 그리고, 다른 쪽의 단부에는 액셀러레이터 와이어(12a)의 단부가 고착되어 있다. 또, 액셀러레이터 와이어(12a)의 다른 쪽의 단부에는 일반의 액셀러레이터 페달과 마찬가지로 엔진의 구동을 제어하는 기구가 연결 설치되어 있다.
이 제2 실시예에 관한 액셀러레이터 기구는, 상기 제1 실시예에 관한 액셀 러레이터 기구가 시소 운동에 따라 액셀러레이터 와이어(12)를 인출하는 데 대하여, 추축 운동에 의해 액셀러레이터 와이어(12a)를 인출하는 구성으로 한 것이다. 그 인출 동작은, 모두 액셀러레이터 패드(9)를 횡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작용에 의해 액셀러레이터 레버(10,10a)가 축(13,13a)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되기 때문이다.
어느 경우에나, 자동차의 주행중에 있어서, 교차점 등에서 정지하는 것 같은 통상의 브레이크를 걸 때에는 발끝의 누름을 되돌려 액셀러레이터를 OFF로 하고 나서, 브레이크 페달(1)을 천천히 밟는 것에 의해 브레이크를 거는 것이지만 통행인이 뛰어들거나 하여 순간에 급브레이크를 걸어야 할 때에는, 액셀러레이터 레버(10a)를 작용 위치에 놓은 상태대로, 발끝의 누름을 되돌리지 않더라도, 그대로 브레이크 페달(1)을 세게 밟기만 하면, 자동적으로 액셀러레이터가 OFF로 되어, 브레이크 기구가 정상으로 작동하는 것이다.
상기한 모든 실시예에 있어서도, 발의 발끝 측을 회전시켜 액셀러레이터 페달(9)을 횡방향으로 이동시킴에 따라 액셀러레이터 레버(10)를 통하여 액셀러레이터 와이어 암(11)을 동작시키는 것이기 때문에, 종래의 밟기식의 액셀러레이터 페달과 비교하여, 발끝 회전에서는 그다지 강한 힘을 부여하는 것이 실질적으로 곤란한 것이고, 어느 정도의 강한 힘을 부여할 수 있었다고 해도, 주행 중에 그 힘을 유지해야 하므로, 운전의 피로도가 커진다.
따라서, 지레(lever)의 원리를 이용하여, 종래의 대략 1/3 이하의 작용력으로 액셀러레이터 페달(9) 및 액셀러레이터 레버(10)가 조작될 수 있도록 해야 하며, 특히 축(13, 13a)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하는 액셀러레이터 레버(10, 10a)와 축 간(15, 15a)과의 길이의 비에 따라 액셀러레이터 와이어 암(11)을 동작시키는 작용력을 경감시킬 수 있는 것이고, 액셀러레이터 레버(10,10a)와 축간(15,15a)과의 길이의 비를 4∼5:1로 하는 것이다.
그러나, 지레의 원리를 이용하여 작용력을 경감시킬 수 있는 반면, 액셀러레이터 페달(9) 및 액셀러레이터 레버(10, 10a)의 이동 스트로크가 길어져, 자동차의 제약을 받은 넓이 중, 그 스트로크를 확보하지 않으면 안되는 것, 및 브레이크 페달(1)로부터 발이 벗어나지 않도록 하는 것, 또한 보조 페달(3)의 폭으로부터, 발이 대폭 밀려나오지 않도록 하지 않으면 안된다고 하는 문제점도 생겨나온다.
도 9 및 도 10에, 상기 제1 실시예에 관한 액셀러레이터 레버에 의한 액셀러레이터 와이어 암을 동작시키는 구동 전달 기구의 구체적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도 9는, 구동 전달 기구를 약시적으로 나타낸 평면도로서, 도 10은, 이 구동 전달 기구의 측면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액셀러레이터 레버(10)의 기부측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축(13)은 기판(22) 상에 기립 상태로 일체로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이 기판(22)에는, 예를 들면, 볼트 등에 의해 차체에 견고하게 장착하기 위한 복수개의 장착용 구멍(23)이 형성되어 있다.
이 축(13)에는, 상하단부에 비대부(肥大部)(24a, 24b)가 일체로 형성된 베어링 통체(24)가 회전 가능하게 끼워넣어지고, 상기 베어링 통체(24)의 회전을 저해하지 않도록 또한 이탈하지 않도록 축(13)의 상단부에 2개의 로크 너트(25, 26) 가 나사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액셀러레이터 레버(10)는 상부의 비대부(24a)에 장착되고, 상기 축선(15)은 하부의 비대부(24b)에 장착되어 있다. 따라서, 액셀러레이터 레버(10)와 축선(15)은, 베어링 통체(22)를 통하여 축(13)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게 된다.
그리고, 축간(15)에 설치된 가압 롤러(16)에 의해 가압되어 축부(17)에 의해시소 운동하는 액셀러레이터 와이어 암(11)은, 항상, 액셀러레이터가 완전 OFF로 되도록, 액셀러레이터 와이어(12)가 장착된 단부 측이 다시 끌려오도록 스프링 부재에 의해 가압되어 있다. 이 경우의 스프링 부재에 의한 가압력은, 일반의 자동차로 약 2∼3Kg이며, 경우에 따라서는 5Kg 정도로 하는 것도 있다.
또, 액셀러레이터의 강약은 액셀러레이터 와이어(12)의 인출 길이에 따라서 적절히 행하는 것이지만, 그 인출 길이가 짧은 스트로크로 액셀러레이터 강약을 조정하는 것이 비교적 곤란하므로, 일정 길이에 걸쳐 끌어낼 필요가 있고, 그 때문에 액셀러레이터 와이어 암(1)을 시소 운동시키는 축부(17)의 위치는, 액셀러레이터 와이어 암(11)의 전체의 길이에 대하여, 액셀러레이터 와이어(12)의 장착단부(11b)와 가압 롤러(6)가 작용하는 작용단부(11c)와의 길이의 비가 대략 2:1이 되는 위치에 설치하는 쪽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길이의 비를 설정함으로써, 장착단부(11b) 측은 작용단부(11c)의 이동 스트로크의 2배의 이동 스트로크를 확보할 수 있어 액셀러레이터 강약의 조정이 용이하게 되지만, 그 반면, 작용단부(11c) 측에서는, 장착단부(11b) 측에 부여되어 있는 복귀 가압력의 2배(4∼6Kg) 이상의 가압력(작용력)을 필요로 하는 것 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액셀러레이터 레버(10)와 축간(15)과의 길이의 비를 4∼5: 1로 함으로써 액셀러레이터 레버(10)를 조작하는 작용력이 1/4∼1/5 정도로 되고, 액셀러레이터 패드(9)를 대략 1Kg 이상의 힘으로 횡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액셀러레이터 동작을 할 수 있게 되지만, 그래도 발의 발끝을 누르는 방향으로 항상 1Kg 이상의 부하를 걸어 회전 동작시키는 것은 용이한 것이 아니다.
따라서, 액셀러레이터 레버(10)와 축간(5)의 회전 중심으로 되는 축(3)에, 액셀러레이터 와이어 암(11)의 귀환 가압력을 경감시키는 가압력 경감 수단(27)을 설치한다. 이 가압력 경감 수단(27)은, 예를 들면, 토션 스프링(torsion spring)으로서, 이 토션 스프링의 한쪽 단부(27a)는, 기판(22)에 설치된 핀 등의 걸림부재(28)에 걸리게 하고, 다른 쪽의 단부(27b)는, 베어링 통체(24)의 비대부(24b)에 설치된 핀 등의 걸림부재(29)에 걸리게 하여 배치하는 것이다.
가압력 경감 수단, 즉 토션 스프링(27)은, 베어링 통체(24)를 항상 좌회전하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것이며, 이에 따라 축간(15), 즉 가압롤(16)을 화살표 f로 나타낸 작용단부(11c) 측으로 이동시키도록 가압하고 있는 것이다. 이 토션 스프링의 강도는, 액셀러레이터 와이어(12)에 의해 액셀러레이터 와이어 암(11)의 작용단부(11c) 측에 걸려 있는 되끌어오기 가압력보다도 약간 작은 것이며, 액셀러레이터 OFF를 저해하지 않은 정도이다.
또, 작용단부(11c) 측에 걸려있는 되끌어오기 가압력이 4Kg이라고 하면, 예를 들면, 토션 스프링(27)의 강도를 대략 3Kg으로 설정하면 되는 것이고, 가압 력으로부터 토션 스프링의 강도를 뺀 나머지 1Kg에 의해 액셀러레이터 오프를 OFF를 완전히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토션 스프링(27)을 설치함으로써, 액셀러레이터 와이어 암(11)을 조작하는 액셀러레이터 레버(10)의 작용력이 대략 1/4 정도이기 때문에, 액셀러레이터 패드(9)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250g 정도의 힘으로 횡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고, 또한, 액셀러레이터 와이어(12)의 인출 길이도 액셀러레이터 강약에 지장을 초래하지 않는 정도로 길게 설정할 수 있고, 비교적 가벼운 힘으로 발의 발끝을 회전할 수 있기 때문에, 액셀러레이터 패드(9)의 조작성이 현저하게 용이하게 되는 것이다. 또, 상기의 설명은, 제1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당연한 것으로서 제2 실시예의 것에도 적용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어느 것으로 해도, 액셀러레이터 레버와 축간의 회전 중심으로 되는 축에 가압력 경감 수단을 설치함으로써, 액셀러레이터 와이어 암을 작동시키는 데에 있어서, 액셀러레이터 OFF를 완전히 수행할 수 있는 위치 및 귀환 가압력을 확보시키고, 또한, 발의 발끝 측을 회전시키는 것에 의한 액셀러레이터 패드 및 액셀러레이터 레버를 횡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힘을 가볍게 하여 조작성을 양호하게 한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관한 자동차용 액셀러레이터 및 브레이크 페달 장치는, 종방향으로 조작하는 브레이크 페달에 보조 패드를 연결 접속하고, 상기 보조 패드에 횡방향으로 조작하는 액셀러레이터러 패드를 설치하고, 상기 액 셀러레이터 패드에 의해 구동되는 액셀러레이터 기구를 구비한 브레이크 페달 장치로서, 상기 액셀러레이터 패드는, 판형재로 형성되어 그 중간 부분을 외측으로 부풀려 산형으로 형성하고, 그 산형의 경사면에서 액셀러레이터 기구를 조작하는 구성으로 한 것에 의해, 액셀러레이터를 작용 상태로 한 채로 브레이크 페달을 밟아도, 그 밟는 동작에 의해 필연적으로 액셀러레이터 패드가 보조 패드와 함께 전진하는 것이고, 이에 따라 바꾸어 밟는 등의 시간적인 순간이 지연되지도 않고, 즉시 액셀러레이터 레버를 원래의 부작용 위치로 되돌려, 액셀러레이터를 OFF 로 하여 브레이크 기능을 정상적으로 작용시킬 수 있고, 이에 의하여 조작 미스도 없어져,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Claims (11)

  1. 연결 접속된 보조 페달(3)을 가지는 동시에 종방향으로 조작되는 브레이크 페달(1), 상기 보조 페달(3)에 대해 횡방향으로 조작 가능하게 설치된 액셀러레이터 패드(9), 선단부에 롤러(14, 14a)를 가지는 액셀러레이터 레버(10, 10a), 및 상기 액셀러레이터 패드(9)에 맞닿은 상기 롤러(14, 14a)를 가지는 상기 액셀러레이터 레버(10, 10a)를 통하여 상기 액셀러레이터 패드(9)에 의해 구동되는 액셀러레이터 기구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액셀러레이터 및 브레이크 페달 장치로서,
    상기 액셀러레이터 패드(9)는, 판형재로 형성하되 그 중간 부분을 외측으로 부풀려 산형(山形)으로 형성하고,
    상기 액셀러레이터 기구는, 상기 액셀러레이터 패드(9)의 상기 중간 부분의 산형의 경사면(9c)에서 상기 롤러(14, 14a)를 통하여 조작되고,
    브레이크 페달(1)을 밟지 않은 위치에서, 상기 액셀러레이터 기구는 상기 액셀러레이터 패드(9)의 위치에 따라 조작되고,
    브레이크 페달(1)을 밟은 위치에서, 상기 롤러(14, 14a)는 상기 액셀러레이터 패드(9)의 위치에 관계없이 액셀러레이터가 작용하지 않는 위치로 활동(滑動)하며,
    상기 보조 페달(3)은 상기 보조 페달(3)의 후단부 근방의 저면 측에 장착된 지점 롤러(7)를 가지고, 상기 지점 롤러(7)는 차내의 바닥면에 장착된 가이드 부재(18)의 오목부(19)에 끼워져 위치 결정되는,
    자동차용 액셀러레이터 및 브레이크 페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셀러레이터 레버(10, 10a)는, 상기 액셀러레이터 패드(9)의 산형 정상부(9a)와 상기 보조 페달(3)의 후단부 측에 위치한 측부(8) 사이에서 맞닿는 상기 롤러(14, 14a)를 통해 작용을 받는, 자동차용 액셀러레이터 및 브레이크 페달 장치.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셀러레이터 패드(9)는, 상기 보조 페달(3)의 후단부 측에 위치한 축부(8)를 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는, 자동차용 액셀러레이터 및 브레이크 페달 장치.
  5.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액셀러레이터 기구는, 상기 액셀러레이터 패드(9)의 작용을 받도록 연결된 액셀러레이터 레버(10, 10a) 및 액셀러레이터 와이어(12)가 연결된 액셀러레이터 와이어 암(11, 11a)으로 구성되며, 상기 액셀러레이터 레버(10, 10a)에 의해 상기 액셀러레이터 와이어 암(11, 11a)이 액셀러레이터 와이어(12)를 끌어올리거나 밀어내리는, 자동차용 액셀러레이터 및 브레이크 페달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액셀러레이터 레버(10, 10a)는 상기 롤러(14, 14a)를 통하여 액셀러레이터 패드(9)의 작용을 받는 측과 상기 액셀러레이터 와이어 암(11, 11a)을 작동시키는 측을 가지고,
    상기 2개의 측이 그 사이에 위치하는 축(13, 13a)을 통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액셀러레이터 레버(10, 10a)가 배치된, 자동차용 액셀러레이터 및 브레이크 페달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액셀러레이터 레버(10, 10a) 중, 상기 액셀러레이터 패드(9)의 작용을 받는 측과 상기 액셀러레이터 와이어 암(11, 11a)을 작동시키는 측과의 길이의 비가 4∼5:1 인, 자동차용 액셀러레이터 및 브레이크 페달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액셀러레이터 레버(10, 10a)의 상기 액셀러레이터 와이어 암(11, 11a)을 작동시키는 측은, 가압 롤러(16, 16a)가 장착된 축간(軸桿)(15, 15a)으로 한, 자동차용 액셀러레이터 및 브레이크 페달 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액셀러레이터 와이어 암(11)의 단부 측은, 상기 축(13)을 중심으로 한 원호형으로 형성되는 동시에, 상기 단부 측을 상방으로 원호형으로 만곡시켜 형성한, 자동차용 액셀러레이터 및 브레이크 페달 장치.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액셀러레이터 레버(10)의 회전 중심이 되는 상기 축(13)에, 상기 액셀러레이터 와이어 암(11)의 복귀 가압력을 경감시키는 가압력 경감 수단(27)을 설치한, 자동차용 액셀러레이터 및 브레이크 페달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력 경감 수단(27)은 토션 스프링으로서 상기 액셀러레이터 레버(10)의 작용 방향으로 가압하는, 자동차용 액셀러레이터 및 브레이크 페달 장치.
KR1020027017049A 2001-05-25 2002-05-17 자동차용 액셀러레이터 및 브레이크 페달 장치 KR10089292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1156990 2001-05-25
JPJP-P-2001-00156990 2001-05-25
PCT/JP2002/004794 WO2002097550A1 (fr) 2001-05-25 2002-05-17 Dispositif de pedale d'accelerateur et de frein pour automobi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0712A KR20030010712A (ko) 2003-02-05
KR100892923B1 true KR100892923B1 (ko) 2009-04-09

Family

ID=190009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17049A KR100892923B1 (ko) 2001-05-25 2002-05-17 자동차용 액셀러레이터 및 브레이크 페달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181991B2 (ko)
EP (1) EP1391799A4 (ko)
KR (1) KR100892923B1 (ko)
WO (1) WO200209755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092274A1 (en) * 2007-01-30 2008-08-07 Gordon Ewbank Dower Vehicle power and speed control systems
US20090025506A1 (en) * 2007-07-27 2009-01-29 Boris Karpachev Vehicle Pedal Controls proof against Misapplication of Accelerator
JP2011100324A (ja) 2009-11-06 2011-05-19 Masuyuki Naruse 電気自動車用又はスロットル機構を備えた自動車用のペダル装置
CN101722850B (zh) * 2009-12-31 2013-03-20 江南大学 汽车油门刹车组合装置
KR200454233Y1 (ko) * 2010-11-26 2011-06-24 류세현 비전동식 사다리오르기 헬스스텝퍼
JP5788187B2 (ja) * 2011-02-04 2015-09-30 益幸 鳴瀬 自動車用のペダル装置
JP5685470B2 (ja) * 2011-03-31 2015-03-18 富士重工業株式会社 車両用操作ペダル構造
BR102012011753A8 (pt) * 2012-05-17 2018-04-10 Bastos Edson conjunto de acelerador e freio com pedal de duplo efeito
EP3350035B1 (en) 2015-09-18 2019-10-23 Kongsberg Power Products Systems I, LLC Pedal assembly with identical first and second housing components
US10551866B2 (en) 2015-09-18 2020-02-04 Kongsberg Power Products Systems I, Inc. Pedal assembly with debris filtering mechanism
JP6387980B2 (ja) * 2016-02-19 2018-09-12 マツダ株式会社 自動車のペダル構造
JP6141503B1 (ja) * 2016-12-26 2017-06-07 和生 常深 ペダル装置
DE102020102400A1 (de) 2020-01-31 2021-08-05 HELLA GmbH & Co. KGaA Elektrofahrzeug mit einer Rekuperationsvorrichtung, Fahrpedal für ein Elektrofahrzeug und Verfahren zur Einstellung des Rekuperationsgrads
US11584385B2 (en) 2020-12-08 2023-02-21 Toyota Research Institute, Inc. Reconfigurable throttle-by-wire pedal subsystem for a vehicle and associated method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707036A (en) 1952-08-20 1955-04-26 Hollub Arthur Safety gas feeding and brake control mechanism
US3916719A (en) 1974-04-22 1975-11-04 Upjohn Co Operating mechanism for a motor vehicle
US5293976A (en) * 1991-07-11 1994-03-15 Masuyuki Naruse Brake-and accelerator pedal assembly
US5558601A (en) 1993-11-12 1996-09-24 Naruse; Masuyuki Vehicular pedal assembly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543578A (en) * 1923-10-31 1925-06-23 Paul C Labasse Accelerator
GB239662A (en) * 1924-07-29 1925-09-17 Frederic Osmond Hunt An improvement in the system of control for mechanically propelled vehicles and the like
US1711988A (en) * 1927-03-03 1929-05-07 Valentine G Brochon Combined foot brake pedal and accelerator
FR689844A (fr) * 1930-02-13 1930-09-11 Pédale d'automobile
US2164921A (en) * 1937-02-17 1939-07-04 Carlton L Hoff Motor vehicle control
US2181883A (en) * 1938-05-23 1939-12-05 Robert C Gibson Combination brake and accelerator control
FR1245546A (fr) * 1957-12-23 1960-11-10 Pédale pour la commande centralisée des véhicules
US3029916A (en) * 1960-05-20 1962-04-17 Hermanus N Luijt Combined brake and accelerator pedal
JPS6436559A (en) 1987-07-31 1989-02-07 Toyo Electric Mfg Co Ltd Departure-arrival forwarding device for ropeway
JPS6442817A (en) 1987-08-10 1989-02-15 Sumitomo Electric Industries Formation of mask pattern
NL8801328A (nl) * 1988-05-24 1989-12-18 Hendrikus Gerrit Van Den Brink Inrichting ter bediening van voertuigen, welke beschikking hebben over een energievermeerderings- (brandstof) en snelheidsverminderingssysteem.
JPH08142817A (ja) 1994-11-16 1996-06-04 Masuyuki Naruse ペダル装置
JPH09136559A (ja) 1995-11-13 1997-05-27 Masuyuki Naruse アクセルレバー機構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707036A (en) 1952-08-20 1955-04-26 Hollub Arthur Safety gas feeding and brake control mechanism
US3916719A (en) 1974-04-22 1975-11-04 Upjohn Co Operating mechanism for a motor vehicle
US5293976A (en) * 1991-07-11 1994-03-15 Masuyuki Naruse Brake-and accelerator pedal assembly
US5558601A (en) 1993-11-12 1996-09-24 Naruse; Masuyuki Vehicular pedal assembl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391799A1 (en) 2004-02-25
WO2002097550A1 (fr) 2002-12-05
JPWO2002097550A1 (ja) 2004-09-16
US20040139818A1 (en) 2004-07-22
EP1391799A4 (en) 2008-04-09
KR20030010712A (ko) 2003-02-05
US7181991B2 (en) 2007-02-27
JP4249010B2 (ja) 2009-04-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92923B1 (ko) 자동차용 액셀러레이터 및 브레이크 페달 장치
EP1862363B1 (en) Brake pedal apparatus for automobile
CN101332779B (zh) 尤其用于双门车辆的、能够向前移动的机动车辆座椅
KR20040078105A (ko) 페달을 차량에 장착하기 위한 장치
US6499376B2 (en) Pedal box for vehicle etc
US7191681B2 (en) Operating pedal supporting device in automobile
JP4577112B2 (ja) 車両用ブレーキペダル装置
CA2302059A1 (en) Vehicle pedal box
JPH07132808A (ja) ペダル機構
JP4249010B6 (ja) 自動車用アクセル及びブレーキペダル装置
KR101191463B1 (ko) 4절 링크를 이용한 클러치 액츄에이터
GB2330647A (en) Vehicle safety foot pedal
KR100398258B1 (ko) 자동차의 브레이크페달어셈블리
KR20080051318A (ko) 자동차용 브레이크 페달
JPWO2002097550A6 (ja) 自動車用アクセル及びブレーキペダル装置
JPH11222111A (ja) ペダル機構
KR200153115Y1 (ko) 자동차 브레이크 페달레버의 작동소음 감쇄장치
KR101020971B1 (ko) 자동차의 브레이크 페달
KR101338821B1 (ko) 역회전이 방지되는 브레이크 페달
KR20080028207A (ko) 충돌시 차량용 브레이크 페달 밀림 방지장치
JPH05112218A (ja) 車両用ブレーキペダル装置
KR19980017365A (ko) 주차용 풋 브레이크
KR19990029660U (ko) 차량의 페달장치
KR19980044986U (ko) 페달 장치
JP2017134552A (ja) 車両用ペダル装置の後退防止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7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