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91334B1 - 회로기판, 이를 구비하는 반도체 패키지, 회로기판의제조방법 및 반도체 패키지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회로기판, 이를 구비하는 반도체 패키지, 회로기판의제조방법 및 반도체 패키지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91334B1
KR100891334B1 KR1020070051077A KR20070051077A KR100891334B1 KR 100891334 B1 KR100891334 B1 KR 100891334B1 KR 1020070051077 A KR1020070051077 A KR 1020070051077A KR 20070051077 A KR20070051077 A KR 20070051077A KR 100891334 B1 KR100891334 B1 KR 1008913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nding pads
base substrate
bonding
pads
circuit bo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510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103836A (ko
Inventor
이종주
허순용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510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91334B1/ko
Priority to US12/126,364 priority patent/US8061024B2/en
Publication of KR200801038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038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13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13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22Secondary treatment of printed circuits
    • H05K3/24Reinforcing the conductive pattern
    • H05K3/241Reinforcing the conductive pattern characterised by the electroplating method; means therefor, e.g. baths or apparatus
    • H05K3/242Reinforcing the conductive pattern characterised by the electroplating method; means therefor, e.g. bath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using temporary conductors on the printed circuit for electrically connecting areas which are to be electroplat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48Manufacture or treatment of parts, e.g. containers, prior to assembly of the devices, using processe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ne of the subgroups H01L21/06 - H01L21/326
    • H01L21/4803Insulating or insulated parts, e.g. mountings, containers, diamond heatsinks
    • H01L21/481Insulating layers on insulating parts, with or without metallis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48Manufacture or treatment of parts, e.g. containers, prior to assembly of the devices, using processe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ne of the subgroups H01L21/06 - H01L21/326
    • H01L21/4814Conductive parts
    • H01L21/4846Leads on or in insulating or insulated substrates, e.g. metallis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3/0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3/48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to or from the solid state body in operation, e.g. leads, terminal arrangements ; Selection of materials theref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02Bonding area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04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bonding areas prior to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05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bonding areas prior to the connecting process of an individual bonding area
    • H01L2224/0554External lay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02Bonding area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04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bonding areas prior to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05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bonding areas prior to the connecting process of an individual bonding area
    • H01L2224/0554External layer
    • H01L2224/0556Disposition
    • H01L2224/05568Disposition the whole external layer protruding from the surfa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02Bonding area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04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bonding areas prior to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05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bonding areas prior to the connecting process of an individual bonding area
    • H01L2224/0554External layer
    • H01L2224/05573Single external lay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10Bump connector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15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bump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16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bump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of an individual bump connector
    • H01L2224/161Disposition
    • H01L2224/16151Disposition the bump connector 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 H01L2224/16221Disposition the bump connector 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the body and the item being stacked
    • H01L2224/16225Disposition the bump connector 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the body and the item being stacked the item being non-metallic, e.g. insulating substrate with or without metallis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26Layer connectors, e.g. plate connectors, solder or adhesive layer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31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layer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32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layer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of an individual layer connector
    • H01L2224/321Disposition
    • H01L2224/32151Disposition the layer connector 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 H01L2224/32221Disposition the layer connector 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the body and the item being stacked
    • H01L2224/32225Disposition the layer connector 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the body and the item being stacked the item being non-metallic, e.g. insulating substrate with or without metallis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73Means for bonding being of different types provided for in two or more of groups H01L2224/10, H01L2224/18, H01L2224/26, H01L2224/34, H01L2224/42, H01L2224/50, H01L2224/63, H01L2224/71
    • H01L2224/732Location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73201Location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on the same surface
    • H01L2224/73203Bump and layer connectors
    • H01L2224/73204Bump and layer connectors the bump connector being embedded into the layer connect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3/0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3/12Mountings, e.g. non-detachable insulating substrates
    • H01L23/13Mountings, e.g. non-detachable insulating substrat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0001Technical content checked by a classifier
    • H01L2924/00014Technical content checked by a classifier the subject-matter covered by the group, the symbol of which is combined with the symbol of this group, being disclosed without further technical detai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013Alloys
    • H01L2924/0132Binary Alloys
    • H01L2924/01327Intermediate phases, i.e. intermetallics compoun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15Details of package parts other than the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to be connected
    • H01L2924/151Die mounting substrate
    • H01L2924/153Connection portion
    • H01L2924/1531Connection portion the connection portion being formed only on the surface of the substrate opposite to the die mounting surface
    • H01L2924/15311Connection portion the connection portion being formed only on the surface of the substrate opposite to the die mounting surface being a ball array, e.g. BGA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11Printed elements for providing electric connections to or between printed circuits
    • H05K1/111Pads for surface mounting, e.g. lay-ou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10Details of components or other objects attached to or integrated in a printed circuit board
    • H05K2201/10613Details of electrical connections of non-printed components, e.g. special leads
    • H05K2201/10621Components characterised by their electrical contacts
    • H05K2201/10674Flip chip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3/00
    • H05K2203/05Patterning and lithography; Masks; Details of resist
    • H05K2203/0562Details of resist
    • H05K2203/0574Stacked resist layers used for different process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3/00
    • H05K2203/17Post-manufacturing processes
    • H05K2203/175Configurations of connections suitable for easy deletion, e.g. modifiable circuits or temporary conductors for electroplating; Processes for deleting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02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in which the conductive material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insulating support and is thereafter removed from such areas of the surface which are not intended for current conducting or shielding
    • H05K3/06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in which the conductive material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insulating support and is thereafter removed from such areas of the surface which are not intended for current conducting or shielding the conductive material being removed chemically or electrolytically, e.g. by photo-etch process
    • H05K3/061Etching masks
    • H05K3/064Photoresis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22Secondary treatment of printed circuits
    • H05K3/24Reinforcing the conductive pattern
    • H05K3/243Reinforcing the conductive pattern characterised by selective plating, e.g. for finish plating of pad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22Secondary treatment of printed circuits
    • H05K3/28Applying non-metallic protective coating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002Electrical device making
    • Y10T29/49117Conductor or circuit manufacturing
    • Y10T29/49124On flat or curved insulated base, e.g., printed circuit, etc.
    • Y10T29/49126Assembling bas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002Electrical device making
    • Y10T29/49117Conductor or circuit manufacturing
    • Y10T29/49124On flat or curved insulated base, e.g., printed circuit, etc.
    • Y10T29/49147Assembling terminal to bas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002Electrical device making
    • Y10T29/49117Conductor or circuit manufacturing
    • Y10T29/49124On flat or curved insulated base, e.g., printed circuit, etc.
    • Y10T29/49155Manufacturing circuit on or in bas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002Electrical device making
    • Y10T29/49117Conductor or circuit manufacturing
    • Y10T29/49124On flat or curved insulated base, e.g., printed circuit, etc.
    • Y10T29/49155Manufacturing circuit on or in base
    • Y10T29/49156Manufacturing circuit on or in base with selective destruction of conductive path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002Electrical device making
    • Y10T29/49117Conductor or circuit manufacturing
    • Y10T29/49124On flat or curved insulated base, e.g., printed circuit, etc.
    • Y10T29/49155Manufacturing circuit on or in base
    • Y10T29/49165Manufacturing circuit on or in base by forming conductive walled aperture in ba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Of Printed Wiring (AREA)
  • Electric Connection Of Electric Components To Printed Circuits (AREA)

Abstract

회로기판, 이를 구비하는 반도체 패키지, 회로기판의 제조방법 및 반도체 패키지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회로기판의 제조방법에서 먼저, 베이스 기판을 제공한다. 상기 베이스 기판의 상부를 좌우로 횡단하는 방향으로 배열된 적어도 한 쌍의 제1 본딩 패드 열들(bonding pad rows) 및 상기 제1 본딩 패드 열들 사이에 상기 제1 본딩 패드들과 일체로서 형성되는 제1 중앙 도금 인입선(central plating line)을 형성한다. 상기 제1 본딩 패드들 상에 전해도금층을 형성한다. 상기 제1 중앙 도금 인입선을 제거하여 상기 제1 본딩 패드들을 서로 분리하고 상기 베이스 기판을 노출시킨다.

Description

회로기판, 이를 구비하는 반도체 패키지, 회로기판의 제조방법 및 반도체 패키지 제조방법{Circuit board, semiconductor package having the board, and methods of fabricating the circuit board and the semiconductor package}
도 1a 내지 도 1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로기판의 제조방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평면도들이다.
도 2는 도 1d에 도시된 회로기판 상에 부착하기 위한 반도체 칩의 상부면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3a 내지 도 3i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패키지 제조방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단면도들이다.
도 4a 내지 도 4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회로기판의 제조방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평면도들이다.
도 5는 도 4b에 도시된 회로기판 상에 부착하기 위한 반도체 칩의 상부면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본 발명은 회로기판, 이를 구비하는 반도체 패키지, 회로기판의 제조방법 및 반도체 패키지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플립 칩 본딩을 위한 본딩 패드들을 구비하는 회로기판, 이를 구비하는 반도체 패키지, 회로기판의 제조방법 및 반도체 패키지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집적회로 칩의 동작속도가 높아지고 입출력 핀 수가 많아짐에 따라, 기존의 와이어 본딩 기술은 한계에 이르렀다. 따라서, 최근에는 와이어 본딩 기술을 대체하기 위한 플립 칩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플립 칩 기술은 반도체 칩의 칩 패드 상에 도전성 스터드를 형성하고 상기 도전성 스터드를 사용하여 상기 반도체 칩을 회로기판 상에 실장하는 기술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도전성 스터드는 상기 회로기판 상에 형성된 본딩 패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러한 플립 칩 기술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스터드를 상기 본딩 패드 상에 신뢰성있게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해서는 상기 본딩 패드 상에 두꺼운 고품질의 금속 표면처리층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금속 표면처리층을 형성하는 방법으로는 무전해 도금법 또는 전해 도금법을 사용할 수 있으나, 무전해 도금법을 사용하여 상기 두꺼운 금속 표면처리층을 형성하는 것은 도금비용의 증가로 인해 적용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따라서, 상기 금속 표면처리층을 전해도금법을 사용하여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 경우 상기 모든 본딩 패드들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도금 인입선을 형성하여야 한다.
그러나, 상기 도금 인입선은 패키지의 제조가 완료된 후, 전기신호가 전송되 는 경로에 대해 전기적 개방 스텁(open stub)으로 작용하여 전송되는 신호들을 왜곡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전송되는 신호들을 왜곡시키지 않으면서도 도전성 스터드와의 신뢰성 있는 접속을 구현할 수 있는 본딩 패드들을 구비하는 회로기판, 이를 구비하는 반도체 패키지, 회로기판의 제조방법 및 반도체 패키지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은 회로기판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먼저, 베이스 기판을 제공한다. 상기 베이스 기판의 상부를 좌우로 횡단하는 방향으로 배열된 적어도 한 쌍의 제1 본딩 패드 열들(bonding pad rows) 및 상기 제1 본딩 패드 열들 사이에 상기 제1 본딩 패드들과 일체로서 형성되는 제1 중앙 도금 인입선(central plating line)을 형성한다. 상기 제1 본딩 패드들 상에 전해도금층을 형성한다. 상기 제1 중앙 도금 인입선을 제거하여 상기 제1 본딩 패드들을 서로 분리하고 상기 베이스 기판을 노출시킨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반도체 패키지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먼저, 베이스 기판을 제공하고, 상기 베이스 기판의 상부를 좌우로 횡단하는 방향으로 배열된 적어도 한 쌍의 제1 본딩 패드 열들 및 상기 제1 본딩 패드 열들 사이에 상기 제1 본딩 패드들과 일체로서 형성되는 제1 중앙 도금 인입선을 형성하고, 상기 제1 본딩 패드들 상에 전해도금층을 형성하고, 상기 제1 중앙 도금 인입선을 제거하여 상기 제1 본딩 패드들을 서로 분리하고 상기 베이스 기판을 노출시켜 회로기판을 제조한다. 상기 제1 본딩 패드들에 대응하는 칩 패드들 및 상기 칩 패드들 상에 각각 형성된 도전성 스터드들을 구비하는 반도체 칩을 제공한다. 상기 반도체 칩과 상기 회로기판을 부착시켜 상기 도전성 스터드들과 상기 본딩 패드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회로기판을 제공한다. 상기 회로기판은 베이스 기판을 구비한다. 상기 베이스 기판의 상부를 좌우로 횡단하는 방향으로 적어도 한 쌍의 제1 본딩 패드 열들이 배열된다. 상기 제1 본딩 패드 열들 사이의 공간에는 상기 베이스 기판이 노출된다. 상기 제1 본딩 패드들은 신호 전달용 본딩 패드들을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기판 상에 상기 신호 전달용 본딩 패드 열들에 속하지 않도록 배치된 전원공급용 본딩 패드 및 접지용 본딩 패드를 더 포함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반도체 패키지를 제공한다. 상기 반도체 패키지는 회로기판 및 반도체 칩을 구비한다. 상기 회로기판은 베이스 기판, 및 상기 베이스 기판의 상부를 좌우로 횡단하는 방향으로 배열된 적어도 한 쌍의 제1 본딩 패드 열들을 구비한다. 상기 제1 본딩 패드 열들 사이의 공간에는 상기 베이스 기판이 노출된다. 상기 반도체 칩은 상기 본딩 패드들에 각각 대응하는 칩 패드들, 및 상기 칩 패드들 상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본딩 패드들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도전성 스터드들을 구비한다. 상기 제1 본딩 패드들은 신호 전달용 본딩 패드들을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기판 상에 상기 신호 전달용 본딩 패드 열들에 속하지 않도록 배치된 전원공급용 본딩 패드 및 접지용 본딩 패드를 더 포함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어지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도면들에 있어서, 층 및 영역들의 두께는 명확성을 기하여 위하여 과장되어진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1a 내지 도 1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로기판의 제조방법을 순차적으로 나타내기 위한 회로기판의 상부면을 나타낸 평면도들이되, 도 1b 내지 도 1d는 도 1a의 A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다. 도 3a 내지 도 3i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로기판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반도체 패키지 제조방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단면도들이다. 구체적으로, 도 3d는 도 1a의 절단선 3d-3d를 따라 취해진 단면도이고, 도 3e는 도 1b의 절단선 3e-3e를 따라 취해진 단면도이고, 도 3f는 도 1c의 절단선 3f-3f를 따라 취해진 단면도이고, 도 3g는 도 1d의 절단선 3g-3g를 따라 취해진 단면도이다.
먼저, 도 3a를 참조하면, 베이스 기판(100)의 양면 상에 제1 도전막(102)이 적층된 도전막 적층판을 제공한다. 상기 도전막 적층판은 상기 제1 도전막(102)으로서 구리막(copper layer)을 구비하는 동박 적층판(copper clad laminates; CCL)일 수 있다.
도 3b를 참조하면, 상기 베이스 기판(100) 내에 상기 베이스 기판(100)을 관통하는 비아홀(V)을 형성한다.
도 3c를 참조하면, 상기 제1 도전막(102) 상부 및 상기 비아홀(V) 내의 측벽들 상에 제2 도전막(104)을 적층한다. 상기 제2 도전막(104)은 구리, 니켈, 금 또는 이들의 합금을 함유하는 막일 수 있다.
도 3d를 참조하면, 상기 제2 도전막(104)을 구비하는 기판(100) 상에 포토레지스트 필름을 적층하고, 상기 포토레지스트 필름을 노광 및 현상하여 상기 제2 도전막(104)의 일부분들을 노출시키는 포토레지스트 패턴(110)을 형성한다. 상기 포 토레지스트 패턴(110)을 마스크로 하여, 상기 노출된 제2 도전막(104) 및 상기 제1 도전막(102)을 식각한다.
그 결과,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 기판(100) 상에 배선들을 형성한다. 구체적으로, 본딩 패드들(bonding pads; BP)을 구비하는 적어도 한 쌍의 본딩 패드 열들(bonding pad rows), 상기 본딩 패드들의 일측들에 각각 연결된 회로선들(CL), 상기 본딩 패드들(BP)의 다른 일측에 연결된 중앙 도금 인입선(central plating line; CPL) 및 상기 중앙 도금 인입선(CPL)에 연결된 외곽 도금 인입선(OPL)을 형성한다. 즉 상기 본딩 패드들(BP과 상기 중앙 도금 인입선(CLP)은 일체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본딩 패드 열들은 상기 베이스 기판(100)의 상부를 좌우로 횡단하는 방향으로 배열된다. 또한, 상기 본딩 패드 열들은 상기 베이스 기판(100)의 중앙부에 밀집하여 위치할 수 있으며, 한 쌍 이상의 다수 개의 열로 배열될 수 있다. 상기 중앙 도금 인입선(CPL)은 상기 본딩 패드 열들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본딩 패드들(BP)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상기 본딩 패드들(BP)은 상기 중앙 도금 인입선(CPL)의 양측에 열지어 배열될 수 있다.
상기 본딩 패드들(BP)은 신호전달용 본딩 패드들일 수 있다. 이 경우 전원공급용 본딩 패드(BP_vdd) 및 접지용 본딩 패드(BP_vss)는 상기 신호전달용 본딩 패드 열들에 속하도록 배치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본딩 패드 열들에 속하지 않는 상기 베이스 기판(100) 상의 다른 영역에도 자유롭게 또한 면적의 제한없이 배치될 수 있다.
다시 도 3d를 참조하면, 상기 회로선들(CL)은 상기 비아홀(V)의 내측벽 상에 형성된 제2 도금막(104)을 통해 상기 베이스 기판(100)의 하부면으로 연장된다. 상기 하부면으로 연장된 회로선들(CL)의 끝단에 볼 랜드들(BL)이 형성된다.
도 1b 및 도 3e를 참조하면, 상기 포토레지스트 패턴(110)을 제거하고, 상기 패터닝된 제2 도전막(104) 상에 도금 마스크 패턴(125)을 형성한다. 상기 도금 마스크 패턴(125)은 제1 개구부(125a) 및 제2 개구부(125b)를 구비한다. 상기 제1 개구부(125a) 내에 상기 본딩 패드들(BP) 및 상기 중앙 도금 인입선(CPL)이 노출되며, 제2 개구부(125b) 내에 상기 볼 랜드들(BL)들이 노출된다.
이어서, 전해도금법을 사용하여 상기 제1 개구부(125a) 및 상기 제2 개구부(125b) 내에 노출된 상기 제2 도전막(104) 상에 제1 전해 도금층(131)을 형성한다. 다시 말해서, 상기 본딩 패드들(BP), 상기 중앙 도금 인입선(CPL) 및 상기 볼 랜드들(BL) 상에 제1 전해 도금층(131)이 형성된다. 이 때, 상기 외곽 도금 인입선(OPL) 및 상기 중앙 도금 인입선(CPL)은 상기 본딩 패드들(BP) 및 상기 볼 랜드들(BL)에 전류를 흘리는 역할을 한다.
상기 도금 마스크 패턴(125)은 솔더 레지스트 패턴일 수 있다. 이와는 달리, 상기 도금 마스크 패턴(125)은 포토레지스트 패턴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베이스 기판(100)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포토레지스트 패턴을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본딩 패드들(BP) 및 상기 중앙 도금 인입선(CPL) 상에 형성되는 전해 도금층과 상기 볼 랜드들(BL) 상에 형성되는 전해 도금층을 서로 다른 물질을 사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금 마스크 패턴(125)은 포토레지스트 패턴인 경우 상기 포토레지스트 패턴을 제거한 후, 솔더 레지스트 패턴을 다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1 전해 도금층(131)은 금속 표면처리층(metal finish layer)일 수 있다. 상기 금속 표면처리층은 후술하는 반도체 칩의 도전성 스터드와 상기 본딩 패드들(BP) 사이의 신뢰성 있는 접속을 가능하게 하는 층으로, 주석, 금, 니켈 또는 이들의 합금막일 수 있고, 신뢰성 있는 접속을 위해 1.5um이상의 두꺼운 두께로 형성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금속 표면처리층은 3um이상의 두께로 형성한다. 나아가, 상기 제1 전해 도금층(131) 상에 제2 전해 도금층(133)을 추가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2 전해 도금층(133)은 솔더층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전해 도금층(133)은 무연 솔더층으로, 주석합금층 또는 순수 주석층일 수 있다. 상기 전해 도금층들(131, 133)은 후술하는 반도체 칩의 도전성 스터드와 금속간화합물(Intermetallic Compound; IMC)을 형성할 수 있다.
도 1c 및 도 3f를 참조하면, 상기 전해 도금층들(131, 133) 및 상기 솔더 레지스트층(125) 상에 포토레지스트층을 형성하고, 이를 노광 및 현상하여 상기 중앙 도금 인입선을 노출시키는 홈(150h)을 갖는 포토레지스트 패턴(150)을 형성한다.
도 1d 및 도 3g를 참조하면, 상기 홈(150h) 내에 노출된 전해금속층들(131, 133) 및 도전막들(104, 102)을 제거하여, 상기 중앙 도금 인입선(CPL)을 제거한다. 상기 중앙 도금 인입선(CPL)을 제거하는 것은 화학적 식각법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화학적 식각법은 건식식각법 또는 습식식각법일 수 있다.
상기 중앙 도금 인입선(CPL)을 제거함으로써, 상기 본딩 패드 열들 사이의 공간에 상기 베이스 기판(100)이 노출되고, 상기 본딩 패드들(BP)은 서로 전기적으로 분리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회로선들(CL) 중에서 적어도 신호배선들에 대해 서는, 상기 본딩 패드들(BP)이 하나의 배선으로 연결되어 전기적 신호의 왜곡을 일으키는 전기적 개방 스텁(open stub)으로 작용하는 추가 배선 가지(branch)을 제거하였으므로, 상기 본딩 패드들(BP)에 입력되거나 상기 본딩 패드들(BP)로부터 출력되는 전기적 신호는 왜곡 또는 노이즈 없이 전달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본딩 패드들(BP)을 적어도 한 쌍의 열들로 배치시키되 상기 열들을 상기 베이스 기판(100)의 상부를 좌우로 횡단하는 방향으로 배열시킴으로써, 상기 열들 사이에 한 줄의 중앙 도금 인입선(CPL)을 배치시키는 것이 용이해졌다. 따라서, 상기 본딩 패드들(BP)을 상기 베이스 기판(100) 전체에 불규칙적으로 배열하는 경우에 비해 도금 인입선이 차지하는 면적이 감소되었다. 그 결과, 상기 회로선들(CL)의 위치를 배치함에 있어서 자유도가 증가되었다. 또한, 상기 본딩 패드들(BP)은 신호전달용 본딩 패드들인 경우, 전원공급용 본딩 패드(BP_Vdd) 및 접지용 본딩 패드(BP_Vss)는 상기 신호전달용 본딩 패드 열들에 속하도록 배치되지 않고 상기 베이스 기판(100) 상의 다른 영역에 자유롭게 또한 면적의 제한없이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후술하는 반도체 소자로 충분한 전력공급을 할 수 있고, 신호의 적절한 회귀경로(return path)를 확보하여 소자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고, 이엠아이(Electro-magnetic Interference)와 같은 잡음 특성을 개선할 수 있다.
그 후, 상기 포토레지스트 패턴(150)을 제거하여 상기 솔더 레지스트층(125), 본딩 패드들(BP) 및 볼 랜드들(BL)을 노출시켜 회로기판(199)을 제조한다.
도 3h를 참조하면, 상기 노출된 본딩 패드들(BP) 상에 이들을 덮는 비도전성 페이스트(Non-Conductive Paste, NCP; 140)를 도포한다.
도 3i를 참조하면, 상기 비도전성 페이스트(140) 상에 반도체 칩(200)을 배치시킨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반도체 칩(200)은 다수 개의 셀 어레이 영역(CA) 및 상기 다수 개의 셀 어레이 영역들(CA) 사이의 중앙부 주변회로 영역에 배치된 칩 패드들(203)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칩 패드들(203)은 상기 본딩 패드들(BP)과 대응하는 배열을 갖는다. 이와 같이, 셀 어레이 영역들(CA) 사이의 중앙부 주변회로 영역에 칩 패드들(203)이 배치되는 경우, 상기 셀 어레이 영역들(CA)에 신속하게 전기신호를 입력 또는 출력할 수 있어, 상기 반도체 칩(200)의 동작속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상기 칩 패드들(203)은 신호전달용 칩 패드들을 포함한다. 이 경우, 상기 전원공급용 본딩 패드(BP_vdd) 및 상기 접지용 본딩 패드(BP_vss)에 대응하는 전원공급용 칩 패드(203_vdd) 및 접지용 칩 패드(203_vss)가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
다시 도 3i를 참조하면, 상기 칩 패드들(203) 상에 도전성 스터드들(205)이 각각 위치한다. 상기 도전성 스터드들(205)은 금 스터드들일 수 있다.
이어서, 상기 반도체 칩(200)과 상기 회로기판(199)에 압력을 가하여, 상기 반도체 칩(200)을 상기 회로기판(199) 상에 부착시킨다. 이 때, 상기 반도체 칩(200)의 도전성 스터드들(205)이 상기 본딩 패드들(BP)에 각각 정렬되어, 상기 도전성 스터드들(205)과 상기 본딩 패드들(BP)이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 때, 상기 전해 도금층들(131, 133)에 의해 상기 본딩 패드들(BP)과 상기 도전성 스 터드들(205)은 신뢰성 있는 접속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반도체 칩(200)을 상기 회로기판(199) 상에 부착시킬 때, 열을 가하여 상기 비도전성 페이스트(140)를 경화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회로기판(199) 상에 비도전성 페이스트(140)을 도포한 후 상기 반도체 칩(200)을 상기 회로기판(199) 상에 부착시킴으로써, 상기 반도체 칩(200)과 상기 회로기판(199)의 부착 후 그들 사이의 좁은 공간 내에 언더필 물질을 주입하는 언더필 공정을 실시하지 않을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반도체 칩(200)과 상기 회로기판(199)을 먼저 부착시킨 후, 그들 사이의 공간 내에 언더필 물질을 주입할 수도 있다.
그 후, 상기 반도체 칩(200) 상에 몰드층(170)을 형성한다. 상기 몰드층(170)은 에폭시층일 수 있다. 비록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반도체 칩(200)의 열특성에 따라서는, 몰드층(170)을 형성하지 않고 방열판(Heat Sink)을 부착할 수 있다.
상기 볼 랜드들(BL) 상에 솔더볼들을 형성하여 반도체 패키지(300)을 제조한다. 이 후, 상기 회로기판(199)을 절단하여 하나의 단위 반도체 패키지(300)들로 분리한다. 이 과정에서, 상기 외곽 도금 인입선(도 1a의 OPL)은 제거될 수 있다.
도 4a 내지 도 4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회로기판의 제조방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평면도들이다. 도 5는 도 4b에 도시된 회로기판 상에 부착하기 위한 반도체 칩의 상부면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본 실시예는 후술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도 1a 내지 도 1d, 도 2 및 도 3a 내지 도 3i를 참조하여 설명한 실시예와 유사하다.
도 4a를 참조하면, 베이스 기판(100)의 상부면 상에 본딩 패드들(BP1, BP2)을 형성한다. 상기 본딩 패드들(BP1, BP2)은 상기 베이스 기판(100)의 상부를 좌우로 횡단하는 방향으로 한 쌍의 제1 본딩 패드 열들(BP1) 및 상기 베이스 기판(100)의 상부를 상하로 횡단하는 방향으로 한 쌍의 제2 본딩 패드 열들(BP2)로 배열된다. 상기 제1 본딩 패드 열들(BP1) 사이에 제1 중앙 도금 인입선(CPL1)이 위치한다. 즉 상기 제1 본딩 패드들(BP1)과 상기 제1 중앙 도금 인입선(CLP1)은 일체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1 중앙 도금 인입선(CPL1)은 상기 제1 본딩 패드들(BP1)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상기 제1 본딩 패드들(BP1)은 상기 베이스 기판(100)의 상부를 좌우로 횡단하는 상기 제1 중앙 도금 인입선(CPL1)의 양측에 열지어 배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본딩 패드 열들(BP2) 사이에 제2 중앙 도금 인입선(CPL2)이 위치한다. 즉 상기 제2 본딩 패드들(BP2)과 상기 제2 중앙 도금 인입선(CLP2)은 일체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2 중앙 도금 인입선(CPL2)은 상기 제2 본딩 패드들(BP2)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상기 제2 본딩 패드들(BP2)은 상기 베이스 기판(100)의 상부를 상하로 횡단하는 상기 제2 중앙 도금 인입선(CPL2)의 양측에 열지어 배열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본딩 패드들(BP1, BP2)의 일측들에 회로선들(CL)이 각각 연결되고, 상기 제1 본딩 패드들(BP1)의 다른 일측들에 상기 제1 중앙 도금 인입선(CPL1)이 연결되고, 상기 제2 본딩 패드들(BP2)의 다른 일측들에 상기 제2 중앙 도금 인입선(CPL2)이 연결되며, 상기 제1 및 제2 중앙 도금 인입선들(CPL1, CPL2)에 외곽 도금 인입선(OPL)이 연결된다.
상기 회로선들(CL)은 상기 비아홀(V)의 내측벽 상에 형성된 도전막을 통해 상기 베이스 기판(100)의 하부면으로 연장된다. 상기 하부면으로 연장된 회로선들(CL)의 끝단에 볼 랜드들(BL)이 형성된다.
상기 제1 및 제2 본딩 패드들(BP1, BP2)은 신호전달용 본딩 패드들일 수 있다. 이 경우 전원공급용 본딩 패드(BP_vdd) 및 접지용 본딩 패드(BP_vss)는 상기 신호전달용 본딩 패드 열들(BP1, BP2)에 속하도록 배치되지 않고 상기 베이스 기판(100) 상의 다른 영역에 자유롭게 또한 면적의 제한없이 배치될 수 있다.
전해도금법을 사용하여 상기 본딩 패드들(BP1, BP2), 상기 중앙 도금 인입선(CPL1, CPL2) 및 상기 볼 랜드들(BL) 상에 전해도금층(미도시)을 형성한다. 이 때, 상기 외곽 도금 인입선(OPL) 및 상기 중앙 도금 인입선들(CPL1, CPL2)은 상기 본딩 패드들(BP1, BP2) 및 상기 볼 랜드들(BL)에 전류를 흘리는 역할을 한다.
도 4b를 참조하면, 상기 중앙 도금 인입선들(CPL1, CPL2)을 제거한다. 그 결과, 상기 본딩 패드들(BP1, BP2)은 서로 전기적으로 분리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본딩 패드 열들(BP1) 사이의 공간 및 상기 제2 본딩 패드 열들(BP2) 사이의 공간 에는 상기 베이스 기판(100)이 노출된다.
도 5는 도 4b를 참조하여 설명한 회로기판 상에 실장될 수 있는 반도체칩의 상부면을 도시한 평면도로서, 상기 반도체 칩은 다수 개의 셀 어레이 영역(CA) 및 상기 다수 개의 셀 어레이 영역들(CA) 사이의 중앙부 주변회로 영역에 배치된 칩 패드들(203)을 구비한다. 상기 칩 패드들(203)은 상기 본딩 패드들(BP1, BP2)을 마주보며 접속될 수 있도록 상기 본딩 패드들(BP1, BP2)에 대응하는 배열을 갖는다. 즉, 상기 칩 패드들(203) 또한 상기 셀 어레이 영역들(CA) 사이의 중앙부 주 변회로 영역을 좌우로 횡단하는 제1 열들 및 상기 셀 어레이 영역들(CA) 사이의 중앙부 주변회로 영역을 상하로 횡단하는 제2 열들로 배열된다. 상기 칩 패드들(203)은 신호전달용 칩 패드들을 포함한다. 이 경우, 상기 전원공급용 본딩 패드(BP_vdd) 및 상기 접지용 본딩 패드(BP_vss)에 대응하는 전원공급용 칩 패드(203_vdd) 및 접지용 칩 패드(203_vss)가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2층의 배선층을 가진 회로기판을 예로 사용하였지만, 본 발명은 4층 또는 그 이상의 배선층을 가진 회로기판에도 적용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베이스 기판 상에 본딩 패드들 및 상기 본딩 패드들에 연결된 중앙 도금 인입선을 형성하고, 상기 본딩 패드들 상에 전해도금층을 형성함으로써, 반도체 칩의 도전성 스터드와 상기 본딩 패드들 사이의 신뢰성 있는 접속을 구현할 수 있다. 그 후, 상기 중앙 도금 인입선을 제거함으로써, 상기 본딩 패드들에 전송되는 신호들을 왜곡시키지 않을 수 있으며, 우수한 전기신호전달 특성과 잡음특성을 달성할 수 있다.

Claims (23)

  1. 베이스 기판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베이스 기판의 상부를 좌우로 횡단하는 방향으로 배열된 적어도 한 쌍의 제1 본딩 패드 열들(bonding pad rows) 및 상기 제1 본딩 패드 열들 사이에 상기 제1 본딩 패드들과 일체로서 형성되는 제1 중앙 도금 인입선(central plating line)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본딩 패드들 상에 전해도금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중앙 도금 인입선을 제거하여 상기 제1 본딩 패드들을 서로 분리하고 상기 베이스 기판을 노출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기판의 제조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본딩 패드들 및 상기 제1 중앙 도금 인입선을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베이스 기판의 상부를 상하로 횡단하는 방향으로 배열된 적어도 한 쌍의 제2 본딩 패드 열들; 및 상기 제2 본딩 패드 열들 사이에 상기 제2 본딩 패드들과 일체로서 형성되는 제2 중앙 도금 인입선을 형성하고,
    상기 제1 중앙 도금 인입선을 제거함과 동시에, 상기 제2 중앙 도금 인입선을 제거하여 상기 제2 본딩 패드들을 서로 분리하고 상기 베이스 기판을 노출시키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기판의 제조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본딩 패드들은 신호 전달용 본딩 패드들을 구비하고, 상기 베이스 기판 상에 상기 신호 전달용 본딩 패드 열들에 속하지 않도록 배치된 전원공급용 본딩 패드 및 접지용 본딩 패드를 형성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기판의 제조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중앙 도금 인입선은 화학적 식각법을 사용하여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기판의 제조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해도금층을 형성하기 전에,
    상기 제1 본딩 패드들 및 상기 제1 중앙 도금 인입선을 노출시키는 도금 마스크 패턴을 형성하고, 상기 전해도금층은 상기 도금 마스크 패턴에 의해 노출된 상기 제1 본딩 패드들 및 상기 제1 중앙 도금 인입선 상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기판의 제조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해도금층은 차례로 적층된 표면처리층과 솔더층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기판의 제조방법.
  7. 베이스 기판을 제공하고; 상기 베이스 기판의 상부를 좌우로 횡단하는 방향으로 배열된 적어도 한 쌍의 제1 본딩 패드 열들 및 상기 제1 본딩 패드 열들 사이에 상기 제1 본딩 패드들과 일체로서 형성된 제1 중앙 도금 인입선을 형성하고; 상기 제1 본딩 패드들 상에 전해도금층을 형성하고; 및 상기 제1 중앙 도금 인입선을 제거하여 상기 제1 본딩 패드들을 서로 분리하고 상기 베이스 기판을 노출시키는 단계를 구비하여 회로기판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제1 본딩 패드들에 대응하는 칩 패드들 및 상기 칩 패드들 상에 각각 형성된 도전성 스터드들을 구비하는 반도체 칩을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반도체 칩과 상기 회로기판을 부착시켜 상기 도전성 스터드들과 상기 제1 본딩 패드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패키지 제조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반도체 칩과 상기 회로기판을 부착시키기 전에, 상기 회로 기판 상에 상기 제1 본딩 패드들을 덮는 비도전성 페이스트(Non-Conductive Paste; NCP)를 도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패키지 제조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반도체 칩과 상기 회로기판을 부착시킴과 동시에 상기 비도전성 페이스트를 경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패키지 제조방법.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본딩 패드들 및 상기 제1 중앙 도금 인입선을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베이스 기판의 상부를 상하로 횡단하는 방향으로 배열된 적어도 한 쌍의 제2 본딩 패드 열들; 및 상기 제2 본딩 패드 열들 사이에 상기 제2 본딩 패드들에 연결된 제2 중앙 도금 인입선을 형성하고,
    상기 제1 중앙 도금 인입선을 제거함과 동시에, 상기 제2 중앙 도금 인입선을 제거하여 상기 제2 본딩 패드들을 서로 분리하고 상기 베이스 기판을 노출시키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패키지 제조방법.
  11. 청구항 11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본딩 패드들은 신호 전달용 본딩 패드들을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기판 상에 상기 신호 전달용 본딩 패드 열들에 속하지 않도록 배치된 전원공급용 본딩 패드 및 접지용 본딩 패드를 형성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패키지 제조방법.
  12. 청구항 12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중앙 도금 인입선은 화학적 식각법을 사용하여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패키지 제조방법.
  13. 청구항 13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전해도금층을 형성하기 전에,
    상기 제1 본딩 패드들 및 상기 제1 중앙 도금 인입선을 노출시키는 도금 마스크 패턴을 형성하고, 상기 전해도금층은 상기 도금 마스크 패턴에 의해 노출된 상기 제1 본딩 패드들 및 상기 제1 중앙 도금 인입선 상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패키지 제조방법.
  14. 청구항 14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전해도금층은 차례로 적층된 표면처리층과 솔더층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패키지 제조방법.
  15. 청구항 15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베이스 기판;
    상기 베이스 기판의 상부를 좌우로 횡단하는 방향으로 배열된 적어도 한 쌍의 제1 본딩 패드 열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본딩 패드 열들 사이의 공간에는 상기 베이스 기판이 노출되며,
    상기 제1 본딩 패드들은 신호 전달용 본딩 패드들을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기판 상에 상기 신호 전달용 본딩 패드 열들에 속하지 않도록 배치된 전원공급용 본딩 패드 및 접지용 본딩 패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기판.
  16. 청구항 16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기판의 상부를 상하로 횡단하는 방향으로 배열된 적어도 한 쌍의 제2 본딩 패드 열들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본딩 패드 열들 사이의 공간에는 상기 베이스 기판이 노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기판.
  17. 삭제
  18. 청구항 18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본딩 패드들 상에 형성된 전해도금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기판.
  19. 청구항 19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베이스 기판; 및 상기 베이스 기판의 상부를 좌우로 횡단하는 방향으로 배열된 적어도 한 쌍의 제1 본딩 패드 열들을 구비하고, 상기 제1 본딩 패드 열들 사이의 공간에는 상기 베이스 기판이 노출된 회로기판; 및
    상기 제1 본딩 패드들에 각각 대응하는 칩 패드들 및 상기 칩 패드들 상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제1 본딩 패드들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도전성 스터드들을 구비하는 반도체 칩을 포함하되,
    상기 제1 본딩 패드들은 신호 전달용 본딩 패드들을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기판 상에 상기 신호 전달용 본딩 패드 열들에 속하지 않도록 배치된 전원공급용 본딩 패드 및 접지용 본딩 패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패키지.
  20. 청구항 20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기판의 상부를 상하로 횡단하는 방향으로 배열된 적어도 한 쌍의 제2 본딩 패드 열들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본딩 패드 열들 사이의 공간에는 상기 베이스 기판이 노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패키지.
  21. 삭제
  22. 청구항 22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반도체 칩과 상기 회로기판 사이에 위치하는 비도전성 페이스트(Non-Conductive Paste; NCP)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패키지.
  23. 청구항 23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본딩 패드들 상에 형성된 전해 도금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패키지.
KR1020070051077A 2007-05-25 2007-05-25 회로기판, 이를 구비하는 반도체 패키지, 회로기판의제조방법 및 반도체 패키지 제조방법 KR1008913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1077A KR100891334B1 (ko) 2007-05-25 2007-05-25 회로기판, 이를 구비하는 반도체 패키지, 회로기판의제조방법 및 반도체 패키지 제조방법
US12/126,364 US8061024B2 (en) 2007-05-25 2008-05-23 Method of fabricating a circuit board and semiconductor packag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1077A KR100891334B1 (ko) 2007-05-25 2007-05-25 회로기판, 이를 구비하는 반도체 패키지, 회로기판의제조방법 및 반도체 패키지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3836A KR20080103836A (ko) 2008-11-28
KR100891334B1 true KR100891334B1 (ko) 2009-03-31

Family

ID=400710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51077A KR100891334B1 (ko) 2007-05-25 2007-05-25 회로기판, 이를 구비하는 반도체 패키지, 회로기판의제조방법 및 반도체 패키지 제조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061024B2 (ko)
KR (1) KR10089133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879160B2 (en) 2018-02-01 2020-12-29 SK Hynix Inc. Semiconductor package with packaging substrate
US10950512B2 (en) 2018-02-01 2021-03-16 SK Hynix Inc. Semiconductor packages including a semiconductor chip and methods of forming the semiconductor package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47270A (ja) * 2007-12-18 2009-07-02 Nec Electronics Corp 配線基板の製造方法、配線基板、および半導体装置
KR101116283B1 (ko) * 2009-10-23 2012-03-12 스템코 주식회사 연성 회로 기판, 그 제조 방법 및 그를 포함한 반도체 패키지 및 그 제조 방법
KR20140108865A (ko) 2013-03-04 2014-09-15 삼성전자주식회사 패키지 기판, 패키지 기판의 제조 방법 및 패키지 기판을 포함하는 반도체 패키지
MY181637A (en) 2016-03-31 2020-12-30 Qdos Flexcircuits Sdn Bhd Single layer integrated circuit package
CN106132108B (zh) * 2016-07-05 2020-05-12 西安金百泽电路科技有限公司 一种印制插头产品侧面包金加工方法
CN107708297A (zh) * 2017-08-31 2018-02-16 深圳崇达多层线路板有限公司 一种基于焊盘的电镀引线设计
KR102602697B1 (ko) * 2018-05-21 2023-11-16 삼성전자주식회사 베이스 기판을 가지는 전자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110531A (ko) * 2003-06-19 2004-12-31 삼성전기주식회사 도금 인입선이 단축된 패키지 기판 및 그 제조방법
JP2005183745A (ja) 2003-12-22 2005-07-0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半導体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070030671A (ko) * 2005-09-13 2007-03-16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배선 기판 및 그 제조 방법, 및 반도체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54040A (en) * 1987-04-03 1989-08-08 Poly Circuits, Inc. Method of making multilayer pc board using polymer thick films
US4775573A (en) * 1987-04-03 1988-10-04 West-Tronics, Inc. Multilayer PC board using polymer thick films
JP3896741B2 (ja) 1999-11-22 2007-03-22 日立電線株式会社 半導体装置および半導体装置用tabテープ
US6753480B2 (en) * 2001-10-12 2004-06-22 Ultratera Corporation Printed circuit board having permanent solder mask
KR100648916B1 (ko) 2005-04-12 2006-11-27 주식회사 심텍 반도체 패키지용 인쇄회로기판의 윈도우 가공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110531A (ko) * 2003-06-19 2004-12-31 삼성전기주식회사 도금 인입선이 단축된 패키지 기판 및 그 제조방법
JP2005183745A (ja) 2003-12-22 2005-07-0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半導体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070030671A (ko) * 2005-09-13 2007-03-16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배선 기판 및 그 제조 방법, 및 반도체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879160B2 (en) 2018-02-01 2020-12-29 SK Hynix Inc. Semiconductor package with packaging substrate
US10950512B2 (en) 2018-02-01 2021-03-16 SK Hynix Inc. Semiconductor packages including a semiconductor chip and methods of forming the semiconductor packages
US11557523B2 (en) 2018-02-01 2023-01-17 SK Hynix Inc. Semiconductor packages and methods of forming the semiconductor packag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80289177A1 (en) 2008-11-27
KR20080103836A (ko) 2008-11-28
US8061024B2 (en) 2011-1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91334B1 (ko) 회로기판, 이를 구비하는 반도체 패키지, 회로기판의제조방법 및 반도체 패키지 제조방법
US7208825B2 (en) Stacked semiconductor packages
KR100800478B1 (ko) 적층형 반도체 패키지 및 그의 제조방법
TWI607531B (zh) 底部元件限制於介電材凹穴內之封裝疊加半導體組體
US6891273B2 (en) Semiconductor package and fabrication method thereof
US7029953B2 (en) Semiconductor package for three-dimensional mounting, fabrication method thereof, and semiconductor device
JP4146864B2 (ja) 配線基板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半導体装置及び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US8293574B2 (en) Semiconductor device having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constructs
US7199459B2 (en) Semiconductor package without bonding wires and fabrication method thereof
TWI426586B (zh) 具有用於將焊墊鍍於晶片下方之導線的球柵陣列封裝
CN103904050B (zh) 封装基板、封装基板制作方法及封装结构
US6285086B1 (en) Semiconductor device and substrate for semiconductor device
JP5254406B2 (ja) 配線基板、及び半導体装置
KR20080037740A (ko) 상호 접속 구조체를 포함하는 마이크로피처 조립체 및 그상호 접속 구조체를 형성하는 방법
CN101689539A (zh) 半导体装置及其制造方法
JP7321009B2 (ja) 配線基板、接合型配線基板及び配線基板の製造方法
KR20240017393A (ko) 반도체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JP6643213B2 (ja) リードフレーム及びその製造方法と電子部品装置
TWI444123B (zh) 線路板製作方法及線路板
US20090151995A1 (en) Package for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TWI394250B (zh) 封裝結構及其製法
US6646357B2 (en)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of production of same
TWI836628B (zh) 電路板及其製造方法
TWI730843B (zh) 封裝載板及其製作方法
TWI399839B (zh) 內置於半導體封裝構造之中介連接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8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