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85553B1 - 화상 형성 장치 - Google Patents

화상 형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85553B1
KR100885553B1 KR1020070032306A KR20070032306A KR100885553B1 KR 100885553 B1 KR100885553 B1 KR 100885553B1 KR 1020070032306 A KR1020070032306 A KR 1020070032306A KR 20070032306 A KR20070032306 A KR 20070032306A KR 100885553 B1 KR100885553 B1 KR 1008855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
sensor
suction
unit
tr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323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99455A (ko
Inventor
다로오 이께다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994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994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55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55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00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 B65H3/08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using pneumatic force
    • B65H3/12Suction bands, belts, or tables moving relatively to the pile
    • B65H3/124Suction bands or belts
    • B65H3/128Suction bands or belts separating from the top of pil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00Supports or magazines for piles from which articles are to be separated
    • B65H1/08Supports or magazines for piles from which articles are to be separated with means for advancing the articles to present the articles to the separating device
    • B65H1/14Supports or magazines for piles from which articles are to be separated with means for advancing the articles to present the articles to the separating device comprising positively-acting mechanical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00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 B65H3/46Supplementary devices or measures to assist separation or prevent double feed
    • B65H3/48Air blast acting on edges of, or under,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00Controlling article feeding, separating, pile-advancing, or associated apparatus, to take account of incorrect feeding, absence of articles, or presence of faulty articles
    • B65H7/02Controlling article feeding, separating, pile-advancing, or associated apparatus, to take account of incorrect feeding, absence of articles, or presence of faulty articles by feelers or detecto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65Apparatus which relate to the handling of copy material
    • G03G15/6502Supplying of sheet copy material; Cassettes therefor
    • G03G15/6511Feeding devices for picking up or separation of copy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6/00Means using fluid
    • B65H2406/30Suction means
    • B65H2406/36Means for producing, distributing or controlling suction
    • B65H2406/366Means for producing, distributing or controlling suction producing vacuum
    • B65H2406/3662F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511/00Dimensions; Position; Numbers; Identification; Occurrences
    • B65H2511/10Size; Dimensions
    • B65H2511/15Height, e.g. of sta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511/00Dimensions; Position; Numbers; Identification; Occurrences
    • B65H2511/20Location in sp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553/00Sensing or detecting means
    • B65H2553/60Details of intermediate means between the sensing means and the element to be sensed
    • B65H2553/61Mechanical means, e.g. contact a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801/00Application field
    • B65H2801/03Image reproduction devices
    • B65H2801/06Office-type machines, e.g. photocopie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0362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relating to the copy medium handling
    • G03G2215/00367The feeding path segment where particular handling of the copy medium occurs, segments being adjacent and non-overlapping. Each segment is identified by the most downstream point in the segment, so that for instance the segment labelled "Fixing device" is referring to the path between the "Transfer device" and the "Fixing device"
    • G03G2215/004Separation devic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0362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relating to the copy medium handling
    • G03G2215/00535Stable handling of copy medium
    • G03G2215/00717Detection of physical properties
    • G03G2215/00725Detection of physical properties of sheet presence in input tra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heets, Magazines, And S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트레이 상에 적재된 시트의 상면을 검지하는 시트면 검지 기구가 제공된다. 시트면 검지 기구는, 반송부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배치된 센서와, 센서를 ON/OFF하는 피봇식 센서 플래그와, 트레이 상에 적재된 시트와 평행하게 배치되어, 센서 플래그를 시트의 상면과 접촉하여 피봇시키면서 수직 방향으로 이동하여 센서 플래그에 의해 센서를 ON/OFF하는 시트면 검지 부재를 포함한다.
시트 급송 장치, 화상 형성 장치, 시트면 검지 기구, 센서 플래그, 공기 분사

Description

화상 형성 장치 {IMAGE FORMING APPARATUS}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시트 급송 장치가 마련된 화상 형성 장치의 일예인 프린터의 개략적인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2는 전술한 시트 급송 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3은 전술한 시트 급송 장치의 시트 급송 동작을 나타낸 제1 도면.
도4는 전술한 시트 급송 장치의 시트 급송 동작을 나타낸 제2 도면.
도5는 전술한 시트 급송 장치의 시트 급송 동작을 나타낸 제3 도면.
도6은 전술한 시트 급송 장치에 제공되는 시트면 검지 기구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7은 전술한 시트면 검지 기구에 마련된 시트면 검지 센서 플래그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8은 전술한 시트 급송 장치의 시트면 제어 동작을 나타낸 제1 도면.
도9는 전술한 시트 급송 장치의 시트면 제어 동작을 나타낸 제2 도면.
도10은 전술한 시트 급송 장치의 시트면 제어 동작을 나타낸 제3 도면.
도11a 및 도11b는 전술한 시트면 검지 기구를 흡인 반송 벨트의 대각선 아래에서 본 도면.
도12는 전술한 시트면 검지 기구 내에 마련된 센서 플래그 기구가 흡인 덕트 내에 수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13은 전술한 시트 급송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블록도.
도14는 종래 시트 급송 장치의 동작을 나타낸 도면.
도15는 종래 시트 급송 장치의 시트면 검지 기구를 나타낸 도면.
도16은 종래 시트 급송 장치 내의 말린 시트 쪽으로 공기가 분사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2: 트레이
21: 흡인 반송 벨트
30: 공기 분사부
49: 시트면 검지 기구
50A: 반송부
50B: 시트면 검지 기구
51: 흡인 덕트
52: 시트면 검지 센서 플래그
54: 제1 시트면 센서
55: 제2 시트면 센서
103: 시트 급송 장치
[문헌1] 일본 특허 공개평 제7-196187호
[문헌2]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3-95467호
본 발명은 시트 급송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에 관한 것이며, 특히, 시트들에 공기를 분사함으로써 시트들 중 하나가 분리되어 급송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프린터 및 복사기 등의 화상 형성 장치에, 복수의 시트가 수납되어 있는 시트 수납부로부터 시트를 1매씩 급송하는 시트 급송 장치가 마련되어 있다. 이러한 시트 급송 장치로서는, 시트 수납부 내에 수납된 시트 적재물(sheet stack)의 단부에 공기를 분사하여 수 매의 시트들을 부상시키고(blow up), 1매만이 상방에 배치된 흡인 반송 벨트로 흡인되어 반송되는, 공기 시트 급송 방식의 것이 있다. 예를 들어, 이런 종류의 시트 급송 장치가 일본 특허 공개평 제7-196187호에 개시되어 있다.
도14는 공기 시트 급송 방식의 시트 급송 장치를 나타낸 일예이다. 도1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복수의 시트(S)가 수납되어 있는 시트 수납부인 스토리지(storage)(11) 내에서 승강될 수 있도록 시트(S)들이 적재되어 있는 트레이(12)가 배치된다. 또한, 이 스토리지(11) 위에는, 시트(S)들을 흡인 및 반송하는 반송부(50A)와, 트레이 상의 시트 적재물의 단부에 공기를 분사하여 수 매의 시트(S)들을 부상시킴과 함께 이들 시트들을 서로 분리시키기 위한 공기 분사부(30)가 마련되어 있다.
여기에서, 반송부(50A)에는, 벨트 구동 롤러(41) 위로 통과하며 시트(S)들을 흡인하여 이들을 도14의 오른쪽으로 반송하는 흡인 반송 벨트(21)와, 시트(S)를 흡인 반송 벨트(21)로 흡인되도록 하기 위해 부압을 발생시키는 흡인 팬(36)이 마련되어 있다. 또한, 흡인 반송 벨트(21) 내에 배치되며 흡인 벨트(21) 내에 형성된 흡인 구멍을 통해 공기를 흡인하도록 작용하는 흡인 덕트(51)가 제공된다. 게다가, 흡인 팬(36)에 의한 흡인 동작을 ON/OFF하기 위해, 흡인 셔터(37)가 흡인 팬(36)과 흡인 덕트(51) 사이에 배치된다.
또한, 공기 분사부(30)에는, 수납된 시트 적재물의 상부에 공기를 분사하기 위한 밀착완화 노즐(loosening nozzle)(33) 및 분리 노즐(34)과, 분리 팬(31), 그리고 분리 팬(31)으로부터 각 노즐(33, 34)로 공기를 공급하는 분리 덕트(32)가 제공된다.
또한, 분리 팬(31)에 의해 화살표 C로 나타낸 방향으로 흡인된 공기의 일부가 밀착완화 노즐(33)에 의해 분리 덕트(32)를 통해 화살표 D로 나타낸 방향으로 분사되어, 트레이(12) 상에 지지된 시트 적재물 중 수 매의 상부 시트들을 부상시킨다. 또한, 다른 공기가 분리 노즐(34)에 의해 화살표 E로 나타낸 방향으로 분사되어, 밀착완화 노즐(33)에 의해 부상된 수 매의 시트들 중 최상위 시트만을 분리하여 흡인 반송 벨트(21)에 흡인되도록 작용한다.
첨언하면, 이와 같이 흡인 반송 벨트(21)에 시트(S)를 흡인시키기 위해서는, 스토리지(11) 내에 수납되어 있는 시트 적재물 중 최상위 시트(Sa)가 흡인 벨트(21)에 흡인될 수 있는 미리 정해진 시트 급송 위치로 유지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최상위 시트(Sa)의 위치를 검지하도록 작용하는 센서 플래그와 시트면 검지 센서로 형성된 시트면 검지 기구가 마련되었다. 이러한 시트면 검지 기구에서는, 시트들을 지지하는 트레이(12)의 승강이 시트면 검지 센서에 의한 센서 플래그의 변위를 검지함으로써 제어되었다. 또한, 종래에는, 이러한 시트면 검지 기구의 시트면 검지 센서 및 센서 플래그가 흡인 덕트(51)의 내부 안쪽에 배치되었다. 예를 들어, 이러한 구조의 일예가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3-95467호에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시트면 검지 센서 등이 흡인 덕트(51) 내에 배치될 경우, 흡인 덕트(51) 내에 시트면 검지 센서 등을 수용할 공간이 있어야만 한다. 더욱이, 이러한 수용 공간이 형성되는 경우, 흡인 덕트(51)가 커지고, 이에 따라 화상 형성 장치 전체가 대형화된다.
또한, 흡인 덕트(51)의 용적도 커진다. 여기에서, 흡인 덕트(51)의 용적은 흡인 팬(36)의 능력(power)과 밀접한 관계를 갖기 때문에, 흡인 덕트(51)의 큰 용적은 흡인 팬(36)을 대형화시키며, 이에 따라 에너지 소비의 낭비 또는 높은 비용을 초래한다. 게다가, 흡인 덕트(51)가 높은 기밀성(air-tightness)을 갖도록 요구되더라도, 시트면 검지 기구가 순조롭게 작동함과 동시에, 기밀성을 유지하면서 시트면 검지 기구의 센서 등의 전기 부품을 배치하는 것은 매우 곤란하다.
이러한 이유로, 장치의 소형화를 달성하거나 안정적인 성능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예를 들어 도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면 검지 기구(50B)가 흡인 덕트(51) 외부에 배치되는 것이 실용적이다. 이제, 이와 같이 흡인 덕트(51) 외부에 배치되어 트레이(12)에 적재된 시트(S)들의 상면을 검지하는 기능을 하는 시트면 검지 기구(50B)에 대해 기술된다.
이 시트면 검지 기구(50B)에는, 지지 샤프트(53) 둘레에 피봇식으로 지지된 시트면 검지 센서 플래그(52)와, 시트면 검지 센서 플래그(52)를 ON/OFF하도록 된 제1 시트면 센서(54)와 제2 시트면 센서(55)가 마련되어 있다.
여기서, 시트면 검지 센서 플래그(52)에는, 최상위 시트(Sa)의 상면과 접촉하는 접촉부(52A)와, 제1 시트면 센서(54)의 수광부를 차광하는 제1 검지부(52B)와, 제2 시트면 센서(55)의 수광부를 차광하는 제2 검지부(52C)가 마련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의 시트면 검지 기구(50B)에서는, 트레이(12)가 시트(S)들을 급송하기 위해 올려질 때, 시트면 검지 센서 플래그(52)의 접촉부(52A)가 최상위 시트(Sa)의 상면과 접촉하고, 그 후, 트레이(12)의 상승과 함께 시트면 검지 센서 플래그(52)가 피봇된다. 그 다음, 이와 같이 시트면 검지 센서 플래그(52)가 피봇될 때, 제1 검지부(52B)와 제2 검지부(52C)가 각각 제1 시트면 센서(54) 및 제2 시트면 센서(55)를 적절하게 ON/OFF한다.
또한, 트레이(12)의 승강을 제어하도록 작용하는 제어기가 이들 제1 및 제2 시트면 센서(54, 55)의 ON/OFF에 따라 트레이(12)를 승강시켜서 최상위 시트(Sa)를 미리 정해진 시트 급송 위치로 유지한다.
그러나, 이러한 시트면 검지 기구를 갖는 종래의 시트 급송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에서는, 예를 들어, 시트 반송 방향에서의 하류측 시트의 단부가 위쪽으로 말려진(curl) 경우, 공기가 밀착완화 노즐(33)로부터 시트들 쪽으로 분사된 때,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들이 부상 상태로 될 것이다. 여기서, 이 상태일 때, 시트면 검지 센서 플래그(52)의 접촉부(52A)가 접촉되는 위치에서의 최상위 시트(Sa)의 시트면 높이가 최적인(예를 들어, SL) 반면, 시트(S)들의 하류측 단부들은 흡인 반송 벨트(21)와 접촉하게 되어 있다.
그 다음, 이 상태에서, 최상위 시트(Sa)가 흡인 반송 벨트(21)로 흡인됨과 함께 분리 공기가 분리 노즐로부터 분사될 때, 화살표로 나타낸 분리 공기가 시트의 말림으로 방해되어 시트들 사이로 원활하게 들어갈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시트들이 서로 충분히 분리될(밀착완화될) 수 없다.
이에 따라, 시트 적재물의 다음 시트(Sb) 또는 복수의 후속 시트들이 최상위 시트(Sa)와 함께 잘못 반송되어, 시트의 이중 급송 또는 걸림[시트 걸림(sheet jamming)]이 발생한다는 문제를 야기한다.
즉, 장치의 대형화를 방지하는 목적을 위해 시트면 검지 기구(50B)가 흡인 덕트(51)의 외부에 배치된 경우, 예를 들어, 위쪽으로 말려진 시트들이 있는 경우, 흡인 반송 벨트(21)에 대한 시트들의 간격이 정확하게 인식될 수 없다. 결과적으로, 시트들의 이중 급송 또는 걸림 등의 급송 장애(feeding failure)가 발생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현상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대형화시키지 않으면서 신뢰성 있게 시트들을 급송할 수 있는 시트 급송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화상 형성부에서, 시트 급송 장치로부터 급송된 시트 상에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하며, 시트 급송 장치는, 시트를 지지하는 트레이와, 트레이에 의해 지지된 시트의 단부에 공기를 분사하는 공기 분사부와, 공기 분사부에 의해 분사된 공기에 의해 부상된 시트를 흡인하여 반송하는 반송부와, 부상된 시트의 상면을 검지하는 시트면 검지 기구를 포함하며, 시트면 검지 기구는, 반송부로부터 시트 반송 방향에 있어서의 상류측으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된 센서부와, 센서부를 ON/OFF하는 센서 플래그와, 센서 플래그에 접속되며, 센서부가 배치되어 있는 측으로부터 반송부 아래 쪽으로 그리고 시트 반송 방향에 있어서의 하류측 쪽으로 연장하여 부상된 시트와 접촉 가능한 시트면 검지 부재를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을 실행하기 위한 최상의 모드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시트 급송 장치가 마련된 화상 형성 장치의 일예인 프린터의 개략적인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1에서, 프린터(100)의 프린터 본체(101)의 상부에는, 자동 문서 급송 장치(120)의 문서 테이블로서 작용하는 플래튼 글래스(120a) 위에 놓여진 문서(D)의 화상 판독부(130)가 제공되어 있다. 또한, 화상 판독부(130) 아래에는, 화상 형성부(102)와, 이 화상 형성부(102)에 시트(S)들을 급송하는 시트 급송 장치(103)가 마련되어 있다.
여기서, 감광 드럼(112), 현상 장치(113) 및 레이저 스캐너 유닛(111)이 화 상 형성부(102)에 마련되어 있다. 또한, 시트 급송 장치(103)에는, OHT 등의 시트(S)들을 수납하는 복수의 시트 수납부(115)가 장치 본체(101)에 대해 제거 가능하게 마련되며, 각각의 시트 수납부(115) 내에 수납된 시트(S)들을 급송하는 흡인 반송 벨트(21)가 마련되어 있다.
이제, 이러한 구조로 된 프린터(100)의 화상 형성 동작이 설명될 것이다.
화상 판독 신호가 장치 본체(101)에 제공된 (도시되지 않은) 제어기로부터 화상 판독부(130)로 출력될 때, 화상이 화상 판독부(130)로 판독된다. 그 후, 이 전기 신호에 응답하는 레이저 비임이 레이저 스캐너 유닛(111)으로부터 감광 드럼(112) 상으로 조사된다.
이 때, 감광 드럼(112)은 사전에 대전되어 있으며, 비임의 조사에 의해 정전 잠상이 형성되며, 그 후 이 정전 잠상이 현상 장치(113)로 현상됨에 따라, 감광 드럼 상에 토너상을 형성한다.
한편, 시트 급송 신호가 제어기로부터 시트 급송 장치(103)로 출력될 때, 시트(S)가 시트 수납부(115)로부터 급송된다. 그 후, 급송된 시트(S)가 레지스터 롤러에 의해 감광 드럼 상에 형성된 토너상과 동기화되어 전사 대전기(118)와 감광 드럼(112)으로 구성된 전사부로 반송된다.
그 다음, 전사부로 반송된 시트가 토너상으로 전사된 후 정착부(114)로 반송된다. 더욱 이후에, 시트가 정착부(114)에서 가열되고 가압됨으로써, 정착되지 않은 토너상이 시트(S) 상에 영구 정착된다. 그 후, 화상이 정착된 시트가 배출 롤러(116)에 의해 장치 본체(101)로부터 시트 배출 트레이(117)로 배출된다.
도2는 시트 급송 장치(103)의 구조를 설명한 도면이다. 도2에서, 동일한 도면 부호는 이미 설명한 도14와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부분을 가리킨다.
스토리지(11)에는, 트레이(12)와, 트레이(12)를 승강시키기 위한 모터 등의 트레이 구동 유닛(DT)(도13에 도시됨)과, 급송 방향에 있어서의 시트(S)들의 상류측(후방측)을 규제하는 후단 규제판(13)과, 시트(S)들의 급송 방향에 직교하는 폭 방향에서의 위치를 규제하는 측단 규제판(14)이 마련되어 있다. 또한, 후단 규제판(13)과 측단 규제판(14)은 수납되는 시트의 크기에 따라 임의의 위치로 변경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스토리지(11)는 슬라이드 레일(15)에 의해 프린터 본체(101)로부터 인출될 수 있다.
또한, 이 스토리지(11)의 상부에는, 시트들을 1매씩 분리하여 급송하도록 작용하는 공기 시트 급송 방식의 시트 급송 기구[이하, 공기 시트 급송 기구(150)라 함]가 배치되어 있다. 이 시트 급송 기구(150)에는, 트레이(12) 상에 적재되어 있는(지지되어 있는) 시트(S)들을 흡인하여 반송하기 위한 반송부(50A)와, 트레이 상의 시트 적재물의 상부를 부상시킴과 함께 시트(S)들을 1매씩 분리하기 위한 공기 분사부(30)가 마련되어 있다.
여기서, 반송부(50A)에는, 모터 등의 벨트 구동 유닛(DB)(도13에 도시됨)에 의해 구동되는 벨트 구동 롤러(41) 위를 통과함과 동시에 시트(S)들을 흡인하여 도2에서 오른쪽으로 반송하는 흡인 반송 벨트(21)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반송부(50A)에는, 최상위 시트(S)가 흡인 반송 벨트(21) 쪽으로 흡인되도록 부압을 발생시키는 흡인 팬(36)이 마련되어 있다. 또한, 흡인 반송 벨트(21) 내측에 배치되 며, 흡인 벨트(21) 내에 형성되어 있으며 후술하게 될 도11a 및 도11b에 도시된 흡인 구멍(21a)을 통해 공기를 흡인하도록 작용하는 흡인 덕트(51)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흡인 팬(36)과 흡인 덕트(51) 사이에 배치되어 흡인 반송 벨트(21)의 흡인 동작을 ON/OFF 절환하는 흡인 셔터(37)가 마련된다. 더욱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흡인 반송 벨트(21)가 후술할 도11a 및 도11b에 도시된 폭 방향으로 미리 정해진 이격된 간격으로 배치된다.
또한, 공기 분사부(30)에는 수납된 시트(S)들의 상부에 공기를 분사하기 위한 분리 노즐(34) 및 밀착완화 노즐(33)과, 분리 팬(31) 및 이 분리 팬(31)으로부터 각 노즐(33 또는 34)로 공기를 공급하는 분리 덕트(32)가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분리 팬(31)에 의해 화살표 C로 나타낸 방향으로 흡인된 공기의 일부가 분리 덕트(32)를 통과하여 밀착완화 노즐(33)에 의해 화살표 D 방향으로 나타낸 방향으로 분사되어 트레이(12)에 지지되어 있는 시트(S)들의 상부에 있는 수 매의 시트들을 부상시킨다. 또한, 나머지 공기가 분리 노즐(34)에 의해 화살표 E로 나타낸 방향으로 분사되어, 밀착완화 노즐(33)에 의해 부상된 시트들을 1매씩 분리하여 흡인 반송 벨트(21)에 흡인되도록 작용한다.
이제 시트 급송 장치(103)[공기 시트 급송 기구(150)]의 시트 급송 동작이 설명될 것이다.
우선, 사용자가 스토리지(11)를 인출하여 그 안에 시트(S)들을 설정하고, 그 후,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리 정해진 위치로 스토리지를 밀면, 먼저 트레이(12)가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트레이 구동 유닛(DT)에 의해 화살표 A에 의해 나 타낸 방향으로 상승하기 시작한다. 그 다음, 트레이(12)가 흡인 반송 벨트(21)에 대한 거리가 B가 되는 시트들을 급송할 수 있는 위치에 도달하면, 시트 급송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기(1000)(도13에 도시되어 있음)가 트레이를 그 위치에서 정지시킨다. 그 후, 트레이(12)는 급송이 시작된다는 시트 급송 신호에 대해서 준비 상태로 있게 된다.
그 후, 시트 급송 신호를 검지하면, 제어기(1000)가 분리 팬(31)을 작동시킨다. 이에 따라, 공기가 화살표 C로 나타낸 방향으로 흡인되어, 분리 덕트(32)를 통해 밀착완화 노즐(33)과 분리 노즐(34)로부터 화살표 D 및 화살표 E로 나타낸 각 방향으로 시트 적재물에 분사된다. 이로써, 시트 적재물의 상부에 있는 수 매의 시트들이 부상된다. 또한, 제어기(1000)는 흡인 팬(36)을 작동시키고, 이에 따라 공기가 도3의 화살표 F로 나타낸 방향으로 배출된다. 이 때, 흡인 셔터(37)는 여전히 폐쇄되어 있다.
그 다음, 급송 신호를 검지한 이후에 미리 정해진 시간이 경과하고 시트의 상부(SA)가 도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안정적으로 부상된 때, 제어기(1000)가 화살표 G로 나타낸 방향으로 흡인 셔터(37)를 회전시켜서, 흡인 반송 벨트(21)에 형성된 흡인 구멍들을 통하는 화살표 H로 나타낸 방향으로 흡인력을 발생시킨다. 따라서, 이 흡인력과 분리 노즐(34)로부터의 분리 공기(34)에 의해, 최상위 시트(Sa)만이 흡인 반송 벨트(21)로 흡인된다.
계속해서, 벨트 구동 롤러(41)가 도5의 벨트 구동 유닛(DB)에 의해 화살표 J로 나타낸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며, 이에 따라 최상위 시트(Sa)가 흡인 반송 벨트 (21)에 흡인된 상태에서 화살표 K로 나타낸 방향으로 반송된다. 그 후, 시트 반송 방향에 있어서 하류측에 배치되어 있는 한 쌍의 견인 롤러(42)가 화살표 L 및 화살표 M으로 나타낸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시트가 화상 형성부 쪽으로 급송된다.
또, 이와 같이 시트(S)를 흡인 반송 벨트(21)에 흡인시키기 위해서, 스토리지(11) 내에 수납되어 있는 시트 적재물의 최상위 시트(Sa)가 흡인 벨트(21)에 의한 흡인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하는 미리 정해진 시트 급송 위치로 유지될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시트 적재물의 최상위 시트(Sa)의 위치를 제어하기 위한 시트면 검지 기구(49)가 제공된다.
이제, 이러한 시트면 검지 기구(49)가 설명될 것이다.
이 시트면 검지 기구(49)에는,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면 검지 센서 플래그(52)와, 센서부[제1 센서로 기능하는 제1 시트면 센서(54) 및 제2 센서로 기능하는 제2 시트면 센서(55)] 및 센서 플래그 기구(50)가 마련되어 있다. 또, 제1 및 제2 시트면 센서(54, 55)는 반송부(50A)의 흡인 반송 벨트(21)의 흡인 반송 영역(흡인되는 시트 측 상의 벨트면의 영역)으로부터 시트 급송 방향에 있어서의 상류측 쪽으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된다.
더욱이, 제1 및 제2 시트 센서(54, 55)가 흡인 덕트(51) 내가 아니라 이와 같은 위치에 배치됨에 따라, 앞에서 언급한 흡인 덕트(51)의 대형화가 방지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프린터 본체(101)의 소형화가 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시트면 검지 센서 플래그(52)가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 샤프트(53) 둘레에 피봇식으로 지지된다. 또한, 시트면 검지 센서 플래그(52)에는, 제 1 시트면 센서(54)의 수광부를 차광하는 제1 검지부(52B)와, 제2 시트면 센서(55)의 수광부를 차광하는 제2 검지부(52C)와, 후술할 시트면 검지 부재(61)를 피봇식으로 지지하는 지지부(52D)가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센서 플래그 기구(50)에는,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부(60a)가 흡인 덕트(51)의 내부에 피봇식으로 보유되는 지지 부재(60)와, 이 지지 부재(60)의 피봇식 단부(60b)와 시트면 검지 센서 플래그(52)의 지지부(52D)에 의해 지지되는 시트면 검지 부재(61)가 마련되어 있다.
여기서, 이 시트면 검지 부재(61)는 반송부(50A)의 흡인 반송 영역 아래에, 트레이(12) 상에 적재된 시트(S)들과 평행하게 그리고 수직 방향으로 이동하는 방식으로 위치된다. 또한, 흡인 덕트 내에 피봇식으로 지지되는 지지 부재(60)는, 후술하는 도11a와 도11b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복수의 흡인 반송 벨트(21)의 시트 폭 방향의 간극에 형성되어 있는 후퇴 구멍(51H1)을 통해 흡인 반송 벨트(21)의 흡인 반송 영역의 하측 쪽으로 돌출한다.
그리고, 이들 지지 부재(60), 시트면 검지 센서 플래그(52) 및 시트면 검지 부재(61)는 평행 링크를 구성한다. 이에 의해, 시트가 시트면 검지 부재(61)의 길이 방향의 어느 위치와 접촉하더라도, 시트면 검지 센서 플래그(52)가 피봇되면서 시트면 검지 부재(61)는 평행 상태(수평 상태)를 유지하면서 상하 이동할 수 있다.
이제, 이러한 구조의 시트면 검지 기구(49)의 검지에 기초한 시트면 제어 동작이 설명될 것이다.
스토리지(11)에 수납되어 있는 시트들이 트레이(12)의 상승에 의해 올려지 며, 이에 따라 최상위 시트(Sa)의 상면이 시트 검지 부재(61)와 접촉하게 된다. 그 다음, 트레이(12)가 더 올려지면, 시트면 검지 부재(61)가 상승한다. 이렇게 시트면 검지 부재(61)가 상승함에 따라, 시트면 검지 센서 플래그(52)가 지지 샤프트(53) 둘레에서 지지부(52D)가 위쪽을 향하는 방향으로 피봇된다.
그 다음,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면 검지 부재(61)를 상승시키면서 올려진 최상위 시트(Sa)의 상면과 흡인 반송 벨트(21)의 벨트면 사이의 거리가 S1이 되면, 제1 시트면 센서(54)가 시트면 검지 센서 플래그(52)의 제1 검지부(52B)로 차광된다.
이에 의해, 제1 시트면 센서(54)가 ON 신호를 출력한다. 제1 시트면 센서(54)가 이와 같이 ON 신호를 출력하면, 제어기(1000)는 이 ON 신호에 기초하여 트레이(12)의 상승을 정지시킨다. 여기서, 이 위치를 부상된 영역의 하한이라고 하며, 이후에 제어기(1000)가 공기 분사부(30)로 시트들을 향한 공기의 분사를 시작하여 시트들을 부상시킨다.
그 다음, 이와 같이 시트들이 부상된 후에, 제어기(1000)는 트레이 구동 유닛(DT)에 의해 트레이(12)를 상승시킨다. 또한, 제어기(1000)는 제2 시트면 센서(55)의 ON 신호를 얻을 때까지는 "지나치게 낮음"으로 판단하여, ON 신호를 얻을 때까지 트레이(12)를 상승시킨다.
그리고,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인 반송 벨트(21)의 벨트면과 최상위 시트(Sa)의 상면 사이의 거리가 SL이 되면, 제2 시트면 센서(55)가 시트면 검지 센서 플래그(52)의 제2 검지부(52C)에 의해 차광된다. 이에 의해, 제2 시트면 센서(55) 가 ON 신호를 출력한다. 전술한 것처럼, 제1 시트면 센서(54)와 제2 시트면 센서(55) 양자로부터의 출력이 ON 신호이면, 제어기(1000)는 트레이(12)의 상승을 정지시킨다.
여기서, 이 위치는 부상된 영역의 상한이라고 한다. 또한,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레이(12)가 이 상한을 초과하여 올려지는 경우가 있는데, 흡인 반송 벨트(21)의 벨트면과 최상위 시트(Sa)의 상면 사이의 거리가 SH가 된다. 이 경우에는, 시트면 검지 센서 플래그(52)의 제1 검지부(52B)로 차광된 제1 시트면 센서(54)가 해제되어, 제1 시트면 센서(54)가 OFF가 된다. 이 경우, "너무 높음"으로 판단하고, 이 후 제어기(1000)는 제1 시트면 센서(54)의 ON 신호가 얻어질 때까지 트레이(12)를 하강시킨다.
아래 표는 공기 분사가 시작된 이후의 일련의 동작들을 요약한 것이다.
제1 시트면 센서(54) 제2 시트면 센서(55) 트레이 동작
ON OFF 상승
ON ON 정지
OFF ON 하강
전술한 것처럼, 본 실시예에 따르면, 트레이(12)가 제1 및 제2 시트면 센서(54, 55)의 신호들에 기초하여 승강될 것이다. 이에 의해, 제어기(1000)는, 최상위 시트(Sa)만이 흡인 반송 벨트(21)에 의해 흡인되어 분리 및 반송될 수 있게 하는 위치로 유지되도록 분사된 공기의 상태 내에서 트레이(12)를 제어할 수 있다. 그 결과, 흡인 반송 벨트(21)로 시트를 흡인할 때, 시트(S)가 1매씩 분리되어 화상 형성부 쪽으로 하나씩 급송됨으로써, 시트가 안정적으로 급송될 수 있게 된다.
게다가, 흡인 반송 영역의 상류측으로 연장하는 시트면 검지 부재(61)가 사용되는 것으로 인하여, 제1 및 제2 시트면 센서(54, 55)가 반송부(50A)의 흡인 반송 벨트(21)의 흡인 반송 영역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는 경우라도, 시트면 검지를 행할 수 있다.
이제, 시트 급송 방향에 있어서의 시트들의 하류측 단부가 위쪽으로 말려있으며, 이들 시트들이 스토리지(11)에 수납되어 있는 경우, 이러한 구조를 갖는 시트면 검지 기구(49)의 시트면 검지 동작이 설명될 것이다.
이렇게 말려진 시트들이 트레이(12) 상에 적재된 경우, 트레이(12)가 상승하면,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면 검지 부재(61)가 말려져 있는 시트(S)의 말려진 단부와 시트 급송 방향에 있어서의 하류측 단부측에서 접촉하게 된다. 여기서, 이와 같이 시트(S)의 말려진 단부와 접촉하면, 시트면 검지 부재(61)가 수직으로 평행하게 변위하고, 시트면 검지 센서 플래그(52)가 이에 수반하여 피봇된다. 이에 의해,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시트면 센서(54)와 제2 시트면 센서(55)가 적절하게 ON/OFF되어, 이미 설명된 바와 같이 시트면 제어가 행해진다.
결과적으로, 시트(S)의 말려진 단부와 시트면 검지 부재(61)가 접촉하는 위치에서 최적 높이[흡인 반송 벨트(21)와 시트 상면 사이의 거리](SL)를 얻을 수 있도록, 트레이(12)의 승강이 제어될 수 있다. 즉, 흡인 반송 영역 내의 상류측으로 연장된 시트면 검지 부재(61)를 사용함으로써, 말려진 시트(S)의 경우라도, 트레이(12)가 최상위 시트(Sa)만이 분리되어 반송되는 위치에 있도록 제어될 수 있다.
여기서, 시트의 상면이 최적 높이가 되도록 제어되면, 시트 단부와 벨트 사이에 간극이 생기며, 이에 따라 화살표로 나타낸 분리 공기가 이 간극 안으로 원활하게 진입한다. 따라서, 이 상태에서, 이미 설명한 도4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최상위 시트(Sa)가 흡인되면, 화살표로 나타낸 분리 공기가 흡인된 시트(Sa)와 그 다음 시트(Sb) 사이로 원활하게 진입할 것이다. 이에 의해, 시트들은 분리 공기에 의해 1매씩 분리되며, 이에 따라 이중 급송 또는 시트 걸림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더욱이, 최상위 시트(Sa)가 이와 같이 흡인되면, 시트들의 반송을 방해하지 않도록 센서 플래그 기구(50)가 흡인되는 시트(Sa)에 의해 눌려져 흡인 덕트(51) 안으로 후퇴된다. 이제, 센서 플래그 기구(50)의 이러한 후퇴 동작이 설명될 것이다.
도11a와 도11b는 시트면 검지 기구(49)를 흡인 반송 벨트(21)의 대각선 아래에서 본 도면들이다. 도11a와 도11b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지지 부재(60)가 수직 방향으로 피봇식으로 돌출하게 하는 개방구인 제1 후퇴 구멍(51H1)이 흡인 덕트(51) 내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최상위 시트가 흡인 반송 벨트(21)로 흡인되었을 때, 제1 후퇴 구멍(51H1)과 함께 센서 플래그 기구(50)를 수용하기 위한 제2 후퇴 구멍(51H2)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제1 후퇴 구멍(51H1)은 복수의 흡인 반송 벨트(21)들 사이의 흡인 면(시트가 흡인되는 면)과 평행하게 흡인 덕트(51)에 형성된 구멍이다. 제2 후퇴 구멍(51H2)은 흡인 덕트(51)의 길이 방향 벽을 따라 형성된 구멍이다.
이렇게, 최상위 시트가 흡인 반송 벨트(21)에 의해 흡인되면, 센서 플래그 기구(50)가 이 흡인된 시트에 의해 눌려져서 위쪽으로 후퇴되고, 시트면 검지 부재(61)가 도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후퇴 구멍(51H1, 51H2)을 통해 수용된다. 이에 의해, 센서 플래그 기구(50)[의 시트면 검지 부재(61)]가 흡인 반송 벨트(21)의 흡인면으로부터 아래쪽으로 돌출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더욱이, 제1 및 제2 후퇴 구멍(51H1, 51H2)이 센서 플래그 기구(50)에 의해 폐쇄될 수 있다.
게다가, 제1 후퇴 구멍(51H1)은 흡인 반송 벨트(21)와 평행하게 형성된 구멍이기 때문에, 제1 후퇴 구멍(51H1)이 흡인 반송 벨트(21)가 흡인하는 최상위 시트로 덮여져서, 흡인 공기가 이 구멍(51H1)으로부터 누설될 일이 거의 없다. 또한, 제2 후퇴 구멍(51H2)은 흡인 반송 벨트(21)의 흡인면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된 구멍이지만, 센서 플래그 기구(50)가 수용될 때 제2 후퇴 구멍(51H2)이 시트면 검지 부재(61)에 의해 폐쇄되기 때문에, 마찬가지로 흡인 공기가 누설될 일이 거의 없다.
이러한 방식으로 시트가 흡인될 때, 제1 및 제2 후퇴 구멍(51H1, 51H2)이 시트면 검지 부재(61)에 의해 폐쇄되는 것에 기인하여, 제1 및 제2 후퇴 구멍(51H1, 51H2)이 형성되어 있더라도, 흡인 덕트(51)의 흡인력이 저하되는 일이 없다. 결과적으로, 시트의 급송 장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13은 시트 급송 장치(103)를 제어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각 센서로부터의 검지 신호들에 응답하여, 제어기(1000)가 벨트 구동 유닛(DB), 트레이 구동 유닛(DT), 분리 팬(31), 흡인 팬(36), 흡인 셔터(37) 등을 전술한 바와 같이 제어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시트면 센서(54, 55)가 반송부(50A)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는 것으로 인하여, 시트 급송 장치(103)의 대형화가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이들 센서(54, 55)들이 시트면 검지 센서 플래그(52)를 통해 시트면 검지 부재(61)에 의해 ON/OFF되는 것으로 인하여, 시트(S)들이 말려져 있는 경우라도 최적의 시트면 검출이 달성될 수 있어서, 신뢰성 있게 시트를 급송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의 시트 급송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에 따르면 , 장치 본체를 소형화시킬 수 있으면서도, 시트의 이중 급송 및 시트의 급송 장애를 방지하여 신뢰성 있게 시트를 급송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Claims (4)

  1. 삭제
  2. 화상 형성부에서, 시트 급송 장치로부터 급송된 시트 상에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 형성 장치이며,
    상기 시트 급송 장치는,
    시트를 지지하는 트레이와,
    상기 트레이에 의해 지지된 시트의 단부에 공기를 분사하는 공기 분사부와,
    상기 공기 분사부에 의해 분사된 공기에 의해 부상된 시트를 흡인하여 반송하는 반송부와,
    부상된 시트의 상면을 검지하는 시트면 검지 기구를 포함하며,
    상기 시트면 검지 기구는,
    상기 반송부로부터 시트 반송 방향에 있어서의 상류측으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된 센서부와,
    상기 센서부를 ON/OFF하는 센서 플래그와,
    상기 센서 플래그에 접속되며, 상기 센서부가 배치되어 있는 측으로부터 시트 반송 방향에 있어서의 하류측 쪽으로 상기 반송부의 하측을 따라 연장하면서 부상된 시트와 접촉 가능한 시트면 검지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반송부는, 시트 반송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에 배치된 복수의 흡인 반송 벨트와, 복수의 흡인 반송 벨트 안쪽에 배치되는 흡인 덕트와, 상기 흡인 덕트 내에 부압을 발생시키는 흡인 팬을 포함하며,
    상기 시트면 검지 부재는, 시트 반송 방향에서의 상류측이 상기 센서 플래그에 접속되며, 하류측은 일 단부측이 상기 흡인 덕트 내에 피봇식으로 배치되며 타 단부 측이 복수의 흡인 반송 벨트들 사이로부터 돌출하는 지지 부재에 접속되어, 수직 방향에 평행하게 이동 가능한 링크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흡인 덕트에는, 관통하여 지지 부재가 회전 가능하게 수직 방향으로 돌출되는 개구가 마련되며,
    시트가 흡인 반송 벨트에 흡인될 때, 상기 시트면 검지 부재는 흡인된 시트에 의해 상기 흡인 덕트 측으로 후퇴되어 개구를 폐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에는 제1 및 제2 센서가 마련되며, 상기 센서 플래그에는 제1 및 제2 센서에 의해 검지될 제1 및 제2 검지부가 마련되며,
    공기가 상기 공기 분사부에 의해 시트로 분사될 때, 상기 시트면 검지 부재가 부상된 최상위 시트에 의해 이동되어 각 센서가 상기 센서 플래그의 관련 검지부에 의해 선택적으로 ON/OFF되고, 시트가 상기 반송부에 의해 흡인 및 반송될 수 있는 위치로 부상된 최상위 시트를 유지하도록 상기 트레이가 상기 제1 센서의 ON 신호 및 상기 제2 센서의 OFF 신호에 기초하여 올려지고, 상기 트레이가 상기 제1 센서의 OFF 신호 및 상기 제2 센서의 ON 신호에 기초하여 내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KR1020070032306A 2006-04-03 2007-04-02 화상 형성 장치 KR10088555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00102578 2006-04-03
JP2006102578A JP4717685B2 (ja) 2006-04-03 2006-04-03 シート給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9455A KR20070099455A (ko) 2007-10-09
KR100885553B1 true KR100885553B1 (ko) 2009-02-24

Family

ID=382599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32306A KR100885553B1 (ko) 2006-04-03 2007-04-02 화상 형성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744081B2 (ko)
EP (1) EP1843219B1 (ko)
JP (1) JP4717685B2 (ko)
KR (1) KR100885553B1 (ko)
CN (1) CN100565364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32297B2 (ja) * 2006-10-13 2011-07-27 キヤノン株式会社 シート給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FR2920567B1 (fr) * 2007-08-31 2009-12-18 Neopost Tech Dispositif d'alimentation en articles de courrier a capteur d'images integre
JP5173507B2 (ja) * 2008-03-19 2013-04-03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その制御プログラム
JP5298794B2 (ja) 2008-11-18 2013-09-25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給紙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5233633B2 (ja) * 2008-12-11 2013-07-10 コニカミノルタビジネステクノロジーズ株式会社 給紙装置、給紙ユニット及び画像形成装置
US8419008B2 (en) * 2009-01-30 2013-04-16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JP5434601B2 (ja) * 2010-01-05 2014-03-05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給紙装置及び画像形成システム
JP5751821B2 (ja) * 2010-12-17 2015-07-22 キヤノン株式会社 シート給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5284385B2 (ja) 2011-02-10 2013-09-11 キヤノン株式会社 シート給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5509125B2 (ja) * 2011-03-02 2014-06-04 株式会社東芝 紙葉類の取出し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る紙葉類処理装置
JP5842430B2 (ja) * 2011-07-22 2016-01-13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媒体供給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5854784B2 (ja) 2011-11-21 2016-02-09 キヤノン株式会社 シート給送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2014015313A (ja) * 2012-07-10 2014-01-30 Fuji Xerox Co Ltd 画像形成装置および給紙装置
JP2014144858A (ja) * 2013-01-29 2014-08-14 Duplo Corp 給紙装置および紙折り装置
JP2015143156A (ja) * 2013-12-26 2015-08-06 キヤノン株式会社 用紙給送装置
WO2023154040A1 (en) * 2022-02-09 2023-08-17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Flags with moveable indicator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057633A1 (en) * 2001-08-29 2003-03-27 Shigeru Okazaki Sheet feeding apparatus
JP2003171024A (ja) * 2001-02-15 2003-06-17 Kyocera Mita Corp エア給紙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2531A (ja) * 1986-06-30 1988-01-19 Toshiba Corp 紙葉類の取出装置
JPH06219567A (ja) * 1993-01-28 1994-08-09 Mita Ind Co Ltd 画像形成装置用転写シート供給装置
FR2701399B1 (fr) * 1993-02-16 1995-03-31 Valois Dispositif portatif de pulvérisation à actionnement déclenché par l'inhalation.
JPH07196187A (ja) * 1993-12-29 1995-08-01 Canon Inc シート材給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5645274A (en) * 1993-09-22 1997-07-08 Canon Kabushiki Kaisha Sheet supply apparatus
JPH07133030A (ja) * 1993-11-10 1995-05-23 Canon Inc 給紙装置及び該給紙装置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US5876030A (en) * 1996-05-03 1999-03-02 Eastman Kodak Company Apparatus for facilitating handling tab stock in a top feed vacuum corrugated feeder
US5988629A (en) * 1996-09-30 1999-11-23 Eastman Kodak Company Control for a sheet stack supporting platform
US5921540A (en) * 1998-06-01 1999-07-13 Xerox Corporation Vacuum corrugation feeder with a retractable corrugator
US6247695B1 (en) * 1998-12-23 2001-06-19 Xerox Corporation Multiple zone stack height sensor for high capacity feeder
US6505832B2 (en) * 1998-12-23 2003-01-14 Xerox Corporation Variable acceleration take-away roll (TAR) for high capacity feeder
US6279896B1 (en) * 1999-10-12 2001-08-28 Xerox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dynamically setting air system pressures based on real time sheet acquisition time data
US6543759B2 (en) * 2000-02-23 2003-04-08 Kyocera Mita Corporation Paper feeder for use in image forming apparatus
JP2003095467A (ja) * 2001-09-26 2003-04-03 Kyocera Mita Corp エア給紙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4261851B2 (ja) 2002-09-11 2009-04-30 キヤノン株式会社 吸入装置および該吸入装置の制御方法
CN100381083C (zh) 2003-04-29 2008-04-16 韩力 一种非可燃性电子喷雾香烟
GB2406283B (en) 2003-09-24 2006-04-05 Altana Pharma Ag Compliance monitor and method
JP4262159B2 (ja) * 2004-07-20 2009-05-13 キヤノン株式会社 シート処理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4429219B2 (ja) * 2004-07-20 2010-03-10 キヤノン株式会社 シート処理装置及び該装置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4143578B2 (ja) * 2004-07-20 2008-09-03 キヤノン株式会社 シート処理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US7458570B2 (en) * 2004-09-13 2008-12-02 Ricoh Printing Systems, Ltd. Sheet-supplying device
JP4508959B2 (ja) * 2005-06-28 2010-07-21 キヤノン株式会社 シート給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4677354B2 (ja) * 2006-02-21 2011-04-27 キヤノン株式会社 シート給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4739110B2 (ja) * 2006-05-12 2011-08-03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4777211B2 (ja) * 2006-10-13 2011-09-21 キヤノン株式会社 シート給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71024A (ja) * 2001-02-15 2003-06-17 Kyocera Mita Corp エア給紙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US20030057633A1 (en) * 2001-08-29 2003-03-27 Shigeru Okazaki Sheet feeding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717685B2 (ja) 2011-07-06
US20070228640A1 (en) 2007-10-04
KR20070099455A (ko) 2007-10-09
CN101051198A (zh) 2007-10-10
CN100565364C (zh) 2009-12-02
EP1843219B1 (en) 2017-09-13
JP2007276910A (ja) 2007-10-25
EP1843219A1 (en) 2007-10-10
US7744081B2 (en) 2010-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85553B1 (ko) 화상 형성 장치
US7635125B2 (en) Sheet feed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EP2213599B1 (en) Image forming apparatus
EP1975735B1 (en) Sheet supply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4968923B2 (ja) タブ付シート支持ユニット、シート給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8480074B2 (en) Sheet feed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2008087906A (ja) 給紙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17202895A (ja) 給紙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7850162B2 (en) Sheet feed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2012001371A (ja) シート給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8613438B2 (en) Sheet feed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8246040B2 (en) Sheet feed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H09309624A (ja) シート給送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5230241B2 (ja) 画像形成装置
JPH10120212A (ja) シート給送装置
JPH10167504A (ja) 給紙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2011162354A (ja) シート給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5440920B2 (ja) シート搬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8628076B2 (en) Sheet feed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4948243B2 (ja) シート給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3524307B2 (ja) シート給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4739085B2 (ja) シート給送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2014062000A (ja) シート搬送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2002037465A (ja) 給紙装置とそれを用いた自動原稿給送装置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5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