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84845B1 - 노화 및/또는 스트레스성 피부용 화장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노화 및/또는 스트레스성 피부용 화장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84845B1
KR100884845B1 KR1020027010636A KR20027010636A KR100884845B1 KR 100884845 B1 KR100884845 B1 KR 100884845B1 KR 1020027010636 A KR1020027010636 A KR 1020027010636A KR 20027010636 A KR20027010636 A KR 20027010636A KR 100884845 B1 KR100884845 B1 KR 1008848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smetic composition
esters
composition
mixtures
derivativ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106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05192A (ko
Inventor
마틴 알브레휴트
Original Assignee
쿠스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쿠스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쿠스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0300051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051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48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4845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14Liposomes; Vesic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2Am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4Aminocarboxylic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e.g. aminocarboxylic acids containing sulfur; Salts; Esters or N-acylated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55Phosphorus compounds
    • A61K8/553Phospholipids, e.g. lecith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0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8/606Nucleosides; Nucleotides; Nucle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Bio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Abstract

화장용 조성물, 특히 노화 및/또는 스트레스성 피부를 위한 화장용 조성물을 기술하고, 이 때 물과 별개로, 물과 함께 층구조를 형성하는 한가지 이상의 물질이 조성물내에 존재한다. 이 조성물은 추가로,
a)한 개 이상의 화학식 1 작용기를 갖는 한가지 이상의 화합물,
화학식 1
-CH2-N
Figure 112002026314664-pct00003
-(CH3)3
b)및/또는 상기 화합물의 한가지 이상의 대사산물,
c)및/또는 S-아데노실메티오닌을 함유한다.

Description

노화 및/또는 스트레스성 피부용 화장용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 ESPECIALLY FOR USE ON AGING AND/OR STRESSED SKIN}
본 발명은 특허청구범위 제 1항 중 서두에 기술된 특징을 갖는 화장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화장용 조성물, 구체적으로 피부를 손질 및/또는 피부에 바르는데 이용되고 바람직하게는 노화 피부 및/또는 스트레스성 피부를 손질 및/또는 그 피부에 바르는데 이용되는 화장용 조성물은, 또한 일반적으로 물과 함께 에멀젼을 형성할 수 있는 물질들을 물과 별개로 함유한다. 요구에 따라 친지성 첨가제와 함께 제공될 수 있는 이러한 수성 에멀젼은 화장용 조성물의 가장 간단한 예이다.
추가로, 이러한 종래의 화장용 조성물은 여전히 그밖의 화장용 활성 성분들, 농축제, 겔 형성제, 색조, 안정화제, 노화-억제제 및/또는 향료 뿐 아니라 pH 수치 조절제를 함유한다.
또한 가장 간단한 화장용 조성물의 경우, 이 조성물내 물질은, 예컨대 물질의 각 상위층이 물질의 하위층과 평행하게 정렬되는 겹구조로써, 특정 제조 설비하에 물과 함께 층구조를 형성한다고 알려져 있다. 여기서 개별적인 물질층의 이러한 정렬은 제각기 이용된 용매에 따라 발생하고, 물질 중 친수성기는 각각 외부를 향하여 정렬되는 한편 친지성기는 서로 내부를 향해 정렬되거나, 이들 친지성기의 각각은 외부를 향하여 정렬되면 이 물질 중 친수성기는 내부를 향해 정렬된다. 후자는 항상 층구조의 매개 환경이 친지성인 경우이고, 전자는 물질이 친수성 매체에 흡수될 때 발생하는 층구조이다.
물질 중 두개의 층이 본래 방식대로 배향되면 이를 단일막이라 칭하고, 한편 2쌍의 층이 겹쳐지면 이러한 층구조를 이중막이라 칭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특히 고도의 화장성 효능을 갖는 화장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 문제는, 본 발명에 따른 특허청구범위 제 1항의 특징을 갖는 화장용 조성물에 의해 해결된다.
특히 노화 및/또는 스트레스성 피부에 바르기 위한 본 발명의 화장용 조성물은, 물과 별개인, 물과 함께 층구조를 형성하는 한가지 이상의 물질을 함유한다. 추가로, 본 조성물은 한개 이상의 화학식 1 작용기를 갖는 한가지 이상의 화합물을 포함하고,
-CH2-N
Figure 112002026314664-pct00001
-(CH3)3
및/또는 이 화합물의 한가지 이상의 대사산물 및/또는 S-아데노실메티오닌을 포함한다.
바꾸어 말해, 가장 간단한 경우 본 발명에 따른 화장용 조성물은 물과 함께 층구조를 형성하는 한가지 이상의 물질 및 상기 언급한 화학식 1의 작용기를 갖는 상기 화합물 및/또는 이 화합물의 대사산물 및/또는 S-아데노실메티오닌을, 물과 별개로 포함한다.
놀랍게도 본 발명의 조성물은 피부의 보호 기능상, 다른 한편으로는 노화성, 병적 및/또는 스트레스성 피부를 위한 치료 기능상 발휘되는 높은 화장용 효능을 가지므로 본 조성물로 치료된 피부는 탄력적이고 매끄럽거나 또는 그러하게 변화되며, 본 조성물은 이미 염증성인 피부 및/또는 스트레스성 피부가 그 원래의 자연적인 외관과 상태를 회복하도록 돕는다. 게다가, 노화 피부에서는, 구체적으로 소망하지 않은 주름이 펴지면서, 팽팽하고 탄력있는 상태로의 회복이 관찰되었다. 본 발명의 화장용 조성물을 건조 피부 또는 거친 피부에 약간 바른 후 자연적이고 유연한 그 외관을 회복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용 조성물에서 궁극적이고도 전형적으로 증가된 화장용 효능은,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내에 층구조가 존재하거나 그것을 바르는 동안 발현된다는 사실에 귀착되고, 그에 따라 층구조는 봉합(sealing) 효과 및 치료 물질의 효과를 갖고, 특히 피부의 붕괴된 장벽 기능이 존재하는 각막의 세포간 지질로 나아간다. 이에 더하여, 층구조는 S-아데노실메티오닌 및/또는 한개 이상의 화학식 1 작용기를 갖는 화합물 및/또는 그 대사산물을 피부 장벽 중 붕괴된 부위로 수송하고, 이로써 S-아데노실메티오닌 및/또는 상기 언급한 화합물 및/또는 그 대사산물은, 앞서 나열된 모든 피부 손상을 야기시키는 원인을 대표하는, 에너지 전환에 장 애가 생겨 전자가 과도하게 생성되고 및/또는 적절하지 않은 위치에서 전자가 발생 및/또는 손실되며 및/또는 불충분한 산소 공급시 세포내에서 발생하는 전자를 완화시키기에 탁월하게 적합하거나 또는 그러하게 변화된다.
피부 세포로 공급 및 운반되는 이들 전자 및/또는 붕괴된 산소는, 본 발명에 따르면, 세포를 손상시키는 원인이 되고, 따라서 또한 바람직하지 않은 피부 변화 및/또는 피부 손상을 초래하며 실질적으로 급속한 피부 노화를 야기시킨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용 조성물은 피부 노화 및 바람직하지 않은 관련 피부 변화, 예컨대 피부 탄력 저하 또는 주름 형성을 효과적이고도 상당히 지연시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조성물내에 함유된 한개 이상의 화학식 1 작용기를 갖는 화합물, 그 대사산물 및/또는 S-아데노실메티오닌과 층구조를 형성하는 물질의 배합은 실질적으로 S-아데노실메티오닌 및/또는 상기 화합물이 또한 상기 언급한 완충 작용이 발생하는 곳까지 도달하는 것을 보증한다. 이것은 S-아데노실메티오닌 및/또는 상기 화합물이 층구조를 형성하는 물질내에 합쳐짐으로써 층구조를 형성하는 물질 상에 S-아데노실메티오닌 및/또는 상기 화합물 및/또는 그 대사산물이 삽입 및/또는 축적되는 동시에 혼합-층구조의 물질에 의해 형성된 층구조로 S-아데노실메티오닌 및/또는 상기 화합물 및/또는 그 대사산물을 융합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게다가, 본 조성물에 함유된 S-아데노실메티오닌 및/또는 한개 이상의 화학식 1 작용기를 갖는 화합물 및/또는 그 대사산물은 그안에 포함된 적어도 한개의 메틸기에 의해 전자 수용체 및 산소 대용체로서 작용하고, 따라서 개개 세포의 대 사에 대해 불필요한 과도한 전자를 가둠으로써 메틸기 또는 상응하는 메틸기가 무해한 메탄으로 전환된다.
S-아데노실메티오닌과 화학식 1의 작용기를 갖는 화합물, 또한 그 대사산물은 매우 안정하며 단지 급격한 온도 조건 하에서 유기체의 매스 외부로 깨어지기 때문에, 전술한 본 조성물의 효과는 당업자에게 매우 놀라운 것이다. 제각기 손상된 세포 또는 세포들위에 표적화 및 국부 적용되므로 이들 반응 조건은, 전술한대로, 메탄으로의 효소적 전환이 초래되도록 주어진다.
요약하건대, 본 발명의 화장용 조성물은 과도한 고-에너지의 전자 및 그 부산물, 즉 구체적으로 산소 래디칼이 소량이라도 형성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하고, 및/또는 그밖의 래디칼이 피부, 머리카락 또는 손톱에 부착하여 여기서 원하지 않는 세포 변화, 손상 및/또는 파괴를 야기시키는 것을 억제한다. 피부, 머리카락 또는 손톱의 생물학적 주기에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예비 단계, 즉 외부로부터 작용하는 전자 및/또는 래디칼이 과도하게 존재하거나 이들 전자 또는 래디칼이 잘못된 방향성을 갖는 그러한 단계로 들어가 이들을 제거시킨다. 본 발명의 화장용 조성물은 과도한 고-에너지 전자 및/또는 래디칼을 가두고 그들을 무-독성 산물 및 메탄으로 전환시키기 때문에, 본 조성물을 적용함으로써 세포나 피부 장벽의 손상을 특히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기본적으로, 본 발명의 화장용 조성물은 물과 함께 층구조를 형성하는 물질로서 친수성인 동시에 소수성 분자군을 포함하는 물질을 함유한다. 구체적으로 물과 함께 층구조를 형성하는 물질로서 바람직한 것은 모노글리세라이드, 디글리세라이드, 바람직하게는 증류 매개-사슬 모노글리세라이드, 스핑고리피드, 포스포리피드, 지방알코올, 지방산, 비누, 지방산의 모노- 및/또는 디-에스테르, 수크로스, 글루코스 및/또는 그 유도체, 글루코스 및/또는 수크로스와 지방알코올의 글루코시딕, 푸라노시딕 및/또는 피라노시딕 축합 생성물 및 그 폴리머 유도체, 지방산 유도체와 글루코사이드의 모노- 및/또는 디-에스테르, 스테롤, 지방산과 스테롤의 모노- 및/또는 디-에스테르 및/또는 스테롤의 글리콜 유도체이고, 이 때 지방산은 바람직하게 C8-C22의 포화된 선형 탄소 사슬을 갖는다.
그러나, 한가지 이상의 수소화 포스포리피드, 특히 수소화 포스파티딜콜린이 물과 층구조를 형성하는 물질로서 본 발명의 화장용 조성물내에 포함되는 것이 특히 적절하다. 여기서 이러한 수소화 포스포리피드, 특히 수소화 포스파티딜콜린은 물과 층구조를 형성하는 한편 이들 층구조가 각막의 세포간 지질로 이동하기가 상당히 적합하도록 하는 동시에, 본 발명의 화장용 조성물내에 다량의 상기 화합물, 그 대사산물 및/또는 S-아데노실메티오닌이 포함되도록 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구체예의 화장용 조성물이 특히 높은 효능을 발휘하도록 한다.
상기 언급한 이점은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추가 개발에 필수적인 것이며, 이 조성물은 수소화 포스포리피드 물질로서 적어도 60 중량%, 바람직하게는 70 중량% 내지 95 중량%의 수소화 포스파티딜콜린을 함유하고, 이들 농도 수치는 이용-전(완성된) 조성물 중 수소화 포스포리피드의 농도를 언급한 것이다.
본 발명의 화장용 조성물내에 함유되며 물과 함께 층구조를 형성할 수 있는 적어도 한가지 물질의 농도에 있어서, 이 농도는 저장되고 상기 화합물, 그 대사산물 및/또는 S-아데노실메티오닌에 대해 상응하게 형성되는 층구조의 용량을 운송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화장용 조성물에는 한가지 이상의 이러한 물질이 0.01 중량% 내지 10 중량%, 바람직하게는 2 중량% 내지 7 중량%의 농도로 존재하고, 이 때 농도 수치는 즉석 사용가능한 화장용 조성물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화장용 조성물내에 함유된 상기 화합물 및/또는 그 대사산물에 있어서, 한개 이상의 화학식 1 작용기를 포함하는 대사산물 또는 화합물은 바람직하게도 호기성 세포, 특히 세포막 중 자연히 발생하는 종류의 대사산물 또는 화합물이다. 또한 본 조성물내 화합물은, 넓은 한도의 공학 기술에 걸쳐 4차 암모늄 화합물로서 지정되고 합성 경계-활성 물질을 구성하는 화학적 성분으로까지 확산되어서는 안됨을 강조하여야 한다.
특히 바람직하게도,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화합물로서, 베타인, 아세틸 콜린, N-아세틸-에탄올아민, 콜린, 글리세로포스포콜린, 포스파티딜콜린, 리소포스파티딜콜린, 카르니틴, 아실 카르니틴, 스핑코마이엘린 단독 또는 그 혼합물 및/또는 유도체 및/또는 그 대사산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화장용 조성물과 관련하여, 본 조성물이 화학식 1로 표시된 작용기를 갖는 한개 이상의 화합물의 대사산물을 선택적으로 또는 추가로 본 발명의 조성물내에 함유시킴을 언급하였고 또한 게속해서 언급할 것이다. 이 화합물의 바람직한 대사산물은, 특히 메틸 글라이신, 디메틸 글라이신 및 메틸 메티오닌이고, 따라서 특히 본 발명의 조성물 중 적절한 구체예는 대사산물로서 메틸 글라이신, 디 메틸 글라이신 및/또는 메틸 메티오닌을 함유할 수 있다.
각각의 적용에 따라서, 화학식 1의 작용기를 갖는 화합물 및/또는 그 대사산물 및/또는 본 조성물내에 함유된 S-아데노실메티오닌의 농도는 다양해진다. 화합물 및/또는 그 대사산물 및/또는 S-아데노실메티오닌은, 즉석 사용가능한 조성물의 중량에 대하여, 0.0001% 내지 10%,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9%로 존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용 조성물의 구체예 중 성분으로서 베타인, 메틸 글라이신, N-아세틸 에탄올아민 및/또는 이노시톨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특히 높은 화장용 효능을 제공한다. 이 구성에서는 상기 언급한 네개 모두의 바람직한 성분 또는 그 중 단지 세개 또는 두 성분만을 선택하여 이용할 수 있고, 따라서 구체적으로 베타인과 메틸 글라이신의 배합, N-아세틸 에탄올아민과 메틸 글라이신의 배합, 이노시콜과 메틸 글라이신의 배합, 베타인과 N-아세틸 에탄올아민의 배합 뿐 아니라 N-아세틸 에탄올아민을 갖는 베타인과 메틸 글라이신의 배합이 가능하다.
만약 전술한 본 발명의 화장용 조성물의 구체예가 앞서 언급한 두개의 특정 성분의 혼합물을 함유한다면, 이들 두 성분 (베타인, 메틸 글라이신, N-아세틸-에탄올아민, 이노시톨)의 몰-질량비는 구체적으로 1:1 내지 1:9로 다양하다.
본 발명에 따른 구체적인 화장용 조성물의 특히 적절한 이점은, 본 발명의 화장용 조성물이 층구조를 형성하는 물질, 상기 화합물 및/또는 그 대사산물 및/또는 S-아데노실메티오닌, 또한 한가지 이상의 화장용 활성 성분을 물과 별도로 함유함으로써,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조성물내에 함유된 그러한 화장용 활성 성분이 피 부, 머리카락 및/또는 손톱을 좋고도 건강한 상태로 유지하는 것이다.
화장용 활성 성분으로서 포함되는 구체적인 활성 성분은 피부를 세정 및 손질하며 피부의 건강 상태를 유지하는 효과를 갖고, 환경, 기후 및 액틴상(actintic)의 영향, 구체적으로 과도한 태양빛 및 UV 조사로 인한 손상으로부터 피부의 외면을 보호하고, 세정 및 클렌징제 뿐 아니라 그밖의 환경적 스트레스, 구체적으로 먼지와 방사물과 같은 것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는 효과를 갖는다. 구체적으로 여기에 속하는 것은, 유연 효과를 갖는 불포화 지방, 퍼짐 효과를 갖는 액체 지방산 에스테르와 단-사슬로 분지된 탄화수소, 덮개 및 보호 지방, 특히 오일, 액체 지방알코올, 실리콘 오일, 고체 지방산 에스테르 및/또는 고체 지방 알코올이며, 여기서 바람직하게도 오일 및/또는 오일 성분, 구체적으로 식물 오일, 예컨대 아보카도 오일, 올리브 오일 및/또는 적어도 한가지의 천연 오일의 가수분해할 수 없는 부분이 본 발명의 화장용 조성물내에 화장용 활성 성분으로서 함유된다. 추가로, 화장용 활성 성분으로서 비타민, 올리고단백질, 콜라겐-가수분해물 및 알려진 유용한 UV 여과물질을 언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머리카락과 손톱의 화장용 손질 분야에 이용시, 본 화장용 조성물의 이러한 구체예에는, 특히 천연 폴리머를 기재로 하거나, 또한 바셀린, 파라핀 오일, 세틸 알코올, 폴리실록산 및/또는 라놀린과 같은 후(back)-유지(greasing) 물질을 기재로 하는 농축제 및 결합제가 각각 포함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조성물내에 함유된 상기 언급한 유지 및 손질용 활성 성분의 농도는 즉석 사용가능한 화장용 조성물의 중량에 대하여 1% 내지 55% 및 특히 5% 내지 30%이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용 조성물의 또다른 구체예에서, 본 조성물은 상기 언급한 유지용(maintaining) 활성 성분에 추가하거나 또는 그를 대신하여 한가지 이상의 활성 성분을 추가로 함유할 수 있고, 이러한 활성 성분은 국소 적용시 피부의 수분을 증가시키는데 바람직하다. 피부의 수분을 증가시키기에 바람직한 활성 성분의 구체예로는 일반적으로, N-아실-알칸올아민, 바람직하게는 락트아미드 MEA, 올레아미드 MEA 및/또는 아세트아미드 MEA, 및 구체적으로 N-아실-에탄올아민이 있고, 특히 N-아세틸-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 위에서 이미 여러번 언급한대로 N-아세틸-에탄올아민, N-올레오일-에탄올아민, N-리놀레노일-에탄올아민 뿐 아니라 N-아실-에탄올아민 및/또는 N-아실-2-히드록시-프로필아민을 들 수 있으며, 여기서 마지막의 두 성분은 아실 잔사로서 코코아 지방 및/또는 야자 오일의 지방산을 함유한다.
본 화장용 조성물에서 피부 수분을 증가시키는 이들 활성 성분의 농도는 즉석 사용가능한 (완성된) 화장용 조성물의 중량에 대하여 0.5% 내지 20%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상기 언급한 구체예 중 추가로 특히 바람직한 양상에서, 본 조성물은 화합물로서 지방산, 지방산 염 및/또는 한가지 이상의 지방산을 갖는 베타인의 혼합물 및/또는 한가지 이상의 지방산 염을 갖는 베타인의 혼합물을 함유한다.
바람직하게도 여기서 이러한 염은 지방산 염으로서 선택되며, 기본적인 지방산은 탄소 원자 12 내지 22의 선형 지방산이고, 이와 마찬가지로 지방산은 12 내지 22개의 탄소 원자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적절한 베타인의 지방산 염은 베타인 라우레이트, 베타인 미리스테이트, 베타인 팔미테이트, 베타인 스테아레이트, 베타인 올레이트 및 베타인 리놀레이트 단독이거나 그 혼합물이다. 여기서 놀라운 점은, 상기 언급한 베타인의 이들 지방산은 비교적 부족한 수용성에도 불구하고 본 발명에 따른 화장용 조성물에서 특히 높은 화장용 효능을 나타낸다는 것이다.
이미 전술한대로, 본 발명의 화장용 조성물은 물을 함유하고, 여기서 조성물내 물의 농도는 즉석 사용가능한 화장용 조성물의 중량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5% 내지 90%로 다양하다.
본 응용에서 이용된 물이라는 용어는, 구체적으로 살균수, 탈이온수, 증류수 및 수성 용액 및/또는 수성 완충계 등, 모든 수성계를 포함한다.
추가로, 선택된 배합물의 각각의 종류에 따라서, 본 발명의 화장용 조성물은 한가지 이상의 방부제, 항산화제, 농축제, 겔-형성제 및/또는 알코올, 바람직하게는 다가 알코올을 함유할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멀티-적용가능한 배합은,
5% 내지 90%의 물,
0.01% 내지 10%의 층구조 형성 물질,
0.0001% 내지 10%의 상기 화합물 및/또는 그 대사산물 및/또는 S-아데노실메티오닌,
0.5% 내지 20%의 파부 수분 증가용 활성 성분,
1% 내지 55%의 한가지 이상의 유지용 활성 성분 뿐 아니라 통상의 그밖의 성분들을 0 내지 10% 농도로 함유하고, 이 때 앞서 이용한 그밖의 성분들이란 용어는, 구체적으로 방부제, 항산화제, 농축제, 겔-형성제 및/또는 알코올, 바람직하게는 다가 알코올을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 언급한 농도 수치는 각각 이용전 조성물의 중량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화장용 조성물은 기본적으로 국소 적용에 적절한 각 배합물로서 제조되고, 주로 국소적으로 적용가능한 크림으로 배합된다. 이 국소 적용 크림은 20℃에서 4000 mPas 내지 40000 mPas의 점도를 갖고, 바람직하게는 12000 mPas 내지 25000 mPas이며, 따라서 배합된 크림은 피부 위에서 용이하고도 특히 부드럽게 분포된다.
특히 민감성 피부, 또한 민감성 머리카락 또는 민감성 손톱용 본 조성물의 화장용 효능을 확보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화장용 조성물은 4.0 내지 7.2로 변화하는 pH 수치를 갖는다.
본 조성물과 관련하여 이미 서두에 기술했듯이,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이 향상된 화장용 효능을 가지려면 본 조성물이 층구조를 형성하는 그러한 물질을 한가지 이상 함유해야 한다. 구체적으로, 본 조성물은 상기 물질을 층구조의 15 중량% 내지 95 중량%, 바람직하게는 30 중량% 내지 95 중량%로 포함하고, 이 때 상기 언급한 농도는 본 발명의 조성물내에 함유된 물질의 중량이며, 이들은 층구조를 형성하는 것들이고, 이러한 구성은 특히 높은 화장용 효능을 부여하는 한편, 층구조의 높은 농도로 인해 한가지 이상의 화학식 1 작용기를 포함하는 통합 화합물 및/또는 그 대사산물 및/또는 통합된 S-아데노실메티오닌은 높은 농도로 각막의 세포간 지질로 급속히 수송되고, 따라서 본 발명의 조성물에 대해 처음 기술한 반응이 특히 신속하게 발생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도 본 발명의 조성물은 20nm 내지 3㎛, 구체적으로 40nm 내지 1㎛의 두께를 갖는 층구조를 제공한다.
상기와 하기에서 언급하는대로, 이노시톨은 올바른 화학 용어로 이노사이트(inosite)라 표시한다 (시클로헥산-1,2,3,4,5,6-헥사올).
특히, 본 발명의 조성물과 후술하는 구체예에서 메틸 메티오닌의 염, 바람직하게는 S-메틸-DL-메티오닌-술포늄 클로라이드를 메틸 메티오닌으로서 이용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추가 이점을 첨부된 청구항에서 기술한다.
9개의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조성물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 1
실시예 1은 심한 스트레스성 노화 피부용 크림을 기술한다.
화장용 조성물은 다음에 나열된 성분으로 제조된다.
상 1
수소화 포스파티딜콜린, 수소화 포스파티딜콜린의 농도 90 중량% 2.0g
모노글리세라이드 C 12 1.5g
올리브 오일 17.0g
콜레스테롤 2.0g
세라마이드 3 0.1g
아보카딘 1.0g
스쿠알렌 1.0g
펜틸렌 글리콜 5.0g
팔미트산 1.0g
상 2
아세트아미드 MEA 0.5g
베타인, 무-수 0.8g
카르니틴 0.5g
물 DAB 10 ad 100.0g
생산을 위해 우선 상 1과 상 2를 75℃까지 가열시켰다. 그 다음 온도를 유지하는 한편 상 2를 천천히 상 1에 첨가하고 혼합물을 계속하여 저었다. 완전한 혼합물을 제조한 후 균질화기 (Ultra Turrax)를 이용하여 15000rpm으로 2분간 균질화시켰다.
균질화 이후 790bar에서 5분간 지속되는 고-압 균질화에 의해 균질이 되게 하였다. 혼합물을 지속 교반시키며 37℃까지 냉각시켰다. 8000rpm에서 Ultra Turrax 균질화기를 이용하여 혼합물을 3분간 재균질화시켰다. 지속적으로 교반시키며 이 혼합물을 실온까지 냉각시켰다.
실시예 2
실시예 2는 장벽 붕괴 경향이 있는 피부용 바디로션을 기술하며, 이 때 바디 로션은 다음 성분들로 제조된다:
상 1
수소화 포스파티딜콜린, 수소화 포스파티딜콜린의 농도 90 중량% 1.5g
모노글리세라이드 C 10 1.2g
올리브 오일 18.0g
콜레스테롤 1.0g
세라마이드 3 0.1g
스쿠알렌 1.0g
벤질 알코올 1.0g
팔미트산 1.0g
상 2
락트아미드 MEA 0.5g
베타인, 무-수 1.0g
콜린, 무-수 0.2g
물 DAB 10 ad 100.0g
생산을 위해 우선 상 1과 상 2를 75℃까지 가열시켰다. 그 다음 온도를 유지하는 한편 상 2를 천천히 상 1에 첨가하고 혼합물을 계속하여 저었다. 완전한 혼합물을 제조한 후 균질화기 (Ultra Turrax)를 이용하여 10000rpm으로 2분간 균질화시켰다.
균질화 이후 600bar에서 5분간 지속되는 고-압 균질화에 의해 균질이 되게 하였다. 혼합물을 지속 교반시키며 37℃까지 냉각시켰다. 8000rpm에서 Ultra Turrax 균질화기를 이용하여 혼합물을 3분간 재균질화시켰다. 지속적으로 교반시키며 이 혼합물을 실온까지 냉각시켰다.
실시예 3
심한 스트레스성 피부용 바디스프레이는 다음 성분들로 제조된다:
상 1
수소화 포스파티딜콜린, 수소화 포스파티딜콜린의 농도 90 중량% 2.0g
모노글리세라이드 C 16 1.8g
올리브 오일 17.0g
콜레스테롤 2.0g
세라마이드 3 0.1g
아보카딘 1.0g
스쿠알렌 1.0g
펜틸렌 글리콜 5.0g
베타인 팔미테이트 1.8g
상 2
아세트아미드 MEA 0.5g
물 DAB 10 ad 100.0g
생산을 위해 우선 상 1과 상 2를 75℃까지 가열시켰다. 그 다음 온도를 유지하는 한편 상 2를 천천히 상 1에 첨가하고 혼합물을 계속하여 저었다. 완전한 혼합 물을 제조한 후 균질화기 (Ultra Turrax)를 이용하여 15000rpm으로 2분간 균질화시켰다.
균질화 이후 790bar에서 5분간 지속되는 고-압 균질화에 의해 균질이 되게 하였다. 혼합물을 지속 교반시키며 37℃까지 냉각시켰다. 8000rpm에서 Ultra Turrax 균질화기를 이용하여 혼합물을 3분간 재균질화시켰다. 지속적으로 교반시키며 이 혼합물을 실온까지 냉각시켰다.
실시예 4
실시예 4는 장벽 붕괴 경향이 있는 피부용 그림을 기술한다.
화장용 조성물은 바디로션은 다음 성분들로 제조된다:
상 1
수소화 포스파티딜콜린, 수소화 포스파티딜콜린의 농도 90 중량% 2.0g
증류된 모노글리세라이드 C 10 1.7g
올리브 오일 20.0g
펜틸렌 글리콜 5.0g
팔미트산 2.2g
상 2
팔미트아미드 MEA 0.5g
베타인, 무-수 0.8g
콜린 0.2g
물 DAB 10 ad 100.0g
생산을 위해 우선 상 1과 상 2를 75℃까지 가열시켰다. 그 다음 온도를 유지하는 한편 상 2를 천천히 상 1에 첨가하고 혼합물을 계속하여 저었다. 완전한 혼합물을 제조한 후 균질화기 (Ultra Turrax)를 이용하여 15000rpm으로 2분간 균질화시켰다.
균질화 이후 790bar에서 5분간 지속되는 고-압 균질화에 의해 균질이 되게 하였다. 혼합물을 지속 교반시키며 37℃까지 냉각시켰다. 8000rpm에서 Ultra Turrax 균질화기를 이용하여 혼합물을 3분간 재균질화시켰다. 지속적으로 교반시키며 이 혼합물을 실온까지 냉각시켰다.
실시예 5 내지 9
다음 실시예 5 내지 9는 스트레스성 피부와 염증성 피부, 특히 노화 피부용 크림을 기술한다.
화장용 조성물은 다음 성분들로 제조되고, 이 때 실시예 5 내지 9에서 상 1과 2는 동일하며, 상 3만이 다르다.
실시예 5 내지 9에서 상 1은 다음의 동일한 성분들을 포함한다:
삭제
삭제
상 1
수소화 포스파티딜콜린, 수소화 포스파티딜콜린의 농도 90 중량% 1.95%
올리브 오일 (C 16:0, C 18:1) 19.2%
C 18:1 트리글리세라이드 3.9%
C 16:0 트리글리세라이드 3.9%
스쿠알렌 1.9%
상 2
소듐 카르보머 0.24%
잔탄검 1.0%
펜틸렌 글리콜 5.0%
글리세린 5.9%
히드록시 에틸 셀룰로스 0.2%
물 ad 100.0%
상기 언급한 퍼센티지는 모두 중량%이다.
실시예 5는 다음 성분의 상 3을 포함한다:
상 3
아세트아미드 MEA 0.5%
베타인 0.3%
실시예 6은 다음 성분의 상 3을 포함한다:
상 3
아세트아미드 MEA 0.5%
메틸 글리신 (사르코신) 0.2%
실시예 7은 다음 성분의 상 3을 포함한다:
상 3
아세트아미드 MEA 0.5%
베타인 0.3%
메틸 글리신 (사르코신) 0.2%
실시예 8은 다음 성분의 상 3을 포함한다:
상 3
베타인 0.3%
메틸 글리신 (사르코신) 0.2%
실시예 9는 다음 성분의 상 3을 포함한다:
상 3
베타인 0.5%
메틸 메티오닌 0.2%
메틸 글리신 (사르코신) 0.2%
상기 언급한 실시예 5 내지 9의 상 3에서 주어진 성분들의 퍼센티지는 즉석 사용가능한 화장용 조성물에 대한 것이다.
실시예 5 내지 9에서 기술한 조성물을 생산하기 위해 우선 상 1과 상 2를 75℃까지 가열시켰다. 그 다음 온도를 유지하는 한편 상 2를 천천히 상 1에 첨가하고 혼합물을 계속하여 저었다. 완전한 혼합물을 제조한 후 균질화기 (Ultra Turrax)를 이용하여 16000rpm으로 2분간 균질화시켰다.
제조된 상 1과 2의 혼합물을 지속 교반시키며 37℃까지 냉각시켰다. 그 다음 온도를 유지하고 혼합물을 계속 저어주면서 상 3을 상 1과 2의 혼합물에 첨가시켰다.
5000rpm에서 Ultra Turrax 균질화기를 이용하여 혼합물을 5분간 재균질화시켰다. 지속적으로 교반시키며 이 혼합물을 실온까지 냉각시킴으로써 각각의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본 구체예에서 이용된 용어는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International Cosmetic Ingredient Dictionary and Hanbook", 7th edition, 간행 "The Cosmetic Toiletry, and Fragrance Assocation, Washington DC" (CTFA)에 이용된 명백한 화학적 용어와 일치한다.

Claims (40)

  1. a) 모노글리세라이드, 디글리세라이드, 증류된 매개-사슬 모노글리세라이드, 스핑고리피드, 포스포리피드, 지방알코올, 지방산, 비누, 지방산의 모노-에스테르, 지방산의 디-에스테르, 수크로스, 수크로스 유도체, 글루코스, 글루코스-유도체, 글루코스 또는 수크로스와 지방알코올의 글루코시딕, 푸라노시딕 또는 피라노시딕 축합 생성물과 그 폴리머 유도체, 지방산 유도체와 글루코사이드의 모노-에스테르, 지방산 유도체와 글루코사이드의 디-에스테르, 스테롤, 지방산과 스테롤의 모노-에스테르, 지방산과 스테롤의 디-에스테르, 스테롤의 글리콜 유도체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물과 층구조를 형성하는 물질
    b) 메틸 글라이신, 디메틸글라이신과 메틸 메티오닌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첨가제 및
    c) 베타인, 아세틸-콜린, N-아세틸-에탄올아민, 콜린, 글리세로포스포콜린, 포스파티딜콜린, 리소포스파티딜콜린, 카르니틴, 아실카르니틴, 스핑고마이엘린과 이들의 혼합물 및 유도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화학식 1의 작용기를 갖는 화합물,
    화학식 1
    -CH2-N
    Figure 112008009602111-pct00004
    -(CH3)3
    을 함유하는 것이 특징인 화장용 조성물.
  2. a) 모노글리세라이드, 디글리세라이드, 증류된 매개-사슬 모노글리세라이드, 스핑고리피드, 포스포리피드, 지방알코올, 지방산, 비누, 지방산의 모노-에스테르, 지방산의 디-에스테르, 수크로스, 수크로스 유도체, 글루코스, 글루코스-유도체, 글루코스 또는 수크로스와 지방알코올의 글루코시딕, 푸라노시딕 또는 피라노시딕 축합 생성물과 그 폴리머 유도체, 지방산 유도체와 글루코사이드의 모노-에스테르, 지방산 유도체와 글루코사이드의 디-에스테르, 스테롤, 지방산과 스테롤의 모노-에스테르, 지방산과 스테롤의 디-에스테르, 스테롤의 글리콜 유도체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물과 층구조를 형성하는 물질
    b) 메틸 글라이신, 디메틸글라이신과 메틸 메티오닌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첨가제
    c) 베타인, 아세틸-콜린, N-아세틸-에탄올아민, 콜린, 글리세로포스포콜린, 포스파티딜콜린, 리소포스파티딜콜린, 카르니틴, 아실카르니틴, 스핑고마이엘린과 이들의 혼합물 및 유도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화학식 1의 작용기를 갖는 화합물,
    화학식 1
    -CH2-N
    Figure 112008009602111-pct00005
    -(CH3)3
    d) 물
    을 함유하는 것이 특징인 화장용 조성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물과 층구조를 형성하는 물질로서 수소화 포스포리피드를 함유하는 것이 특징인 화장용 조성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수소화 포스포리피드는 60 내지 100 중량%의 수소화 포스파티딜콜린을 갖는 것이 특징인 화장용 조성물.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물과 층구조를 형성하는 물질을 조성물의 중량에 대하여 0.01 내지 10 %의 농도로 포함하는 것이 특징인 화장용 조성물.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물과 층구조를 형성하는 물질을 조성물의 중량에 대하여 2 내지 7 %의 농도로 포함하는 것이 특징인 화장용 조성물.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은 조성물의 중량에 대하여 0.0001 내지 10 %의 농도로 조성물 내에 존재하는 것이 특징인 화장용 조성물.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은 조성물의 중량에 대하여 0.1 내지 9 %의 농도로 조성물 내에 존재하는 것이 특징인 화장용 조성물.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베타인, 메틸 글라이신, N-아세틸-에탄올아민 및 이노시톨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구성 성분들의 혼합물을 함유하는 것이 특징인 화장용 조성물.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물은 2개의 구성 성분들을 함유하고 이들 2개의 구성 성분들의 몰 질량은 1:1 내지 1:9인 것이 특징인 화장용 조성물.
  11.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용 조성물은 추가로 불포화 지방, 액체 지방산 에스테르, 단-사슬로 분지된 탄화수소, 액체 지방 알코올, 실리콘 오일, 고체 지방산 에스테르, 고체 지방 알코올, 오일, 오일 성분, 식물 오일, 아보카도 오일, 올리브 오일, 천연 오일의 가수분해할 수 없는 부분, 비타민, 올리고단백질, 콜라겐-가수분해물, UV 여과물질, 바셀린, 파라핀 오일, 세틸 알코올, 폴리실록산, 라놀린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화장용 활성 성분을 함유하는 것이 특징인 화장용 조성물.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 성분은 오일, 오일 성분 및 이들의 혼합물인 것이 특징인 화장용 조성물.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 성분은 조성물의 중량에 대하여 1 내지 55 %의 농도로 존재하는 것이 특징인 화장용 조성물.
  1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추가의 활성 성분으로서 N-아실-알카놀아민을 함유하는 것이 특징인 화장용 조성물.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N-아실-알카놀아민은 락트아미드 MEA, 팔미트아미드 MEA, 올레아미드 MEA, 아세트아미드 MEA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이 특징인 화장용 조성물.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N-아실-알카놀아민은 조성물의 중량에 대하여 0.5 내지 20 %의 농도로 조성물 내에 존재하는 것이 특징인 화장용 조성물.
  1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용 조성물은 지방산, 지방산염, 지방산과 베타인의 혼합물, 지방산염과 베타인의 혼합물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화합물을 함유하는 것이 특징인 화장용 조성물.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지방산 또는 지방산 염은 12 내지 22 탄소 원자의 주된 탄소 사슬을 갖는 것이 특징인 화장용 조성물.
  1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용 조성물은 화합물로서 베타인의 지방산 염을 함유하는 것이 특징인 화장용 조성물.
  20. 제19항에 있어서, 베타인의 지방산 염은 베타인 라우레이트, 베타인 미리스테이트, 베타인 팔미테이트, 베타인 스테아레이트, 베타인 올레이트, 베타인 리놀레이트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이 특징인 화장용 조성물.
  21.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조성물의 중량에 대하여 5 내지 90 %의 농도로 물을 함유하는 것이 특징인 화장용 조성물.
  22.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방부제, 항산화제, 농축제, 겔-형성제, 알코올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성분을 함유하는 것이 특징인 화장용 조성물.
  23. a) 물 5 내지 90 %,
    b) 모노글리세라이드, 디글리세라이드, 증류된 매개-사슬 모노글리세라이드, 스핑고리피드, 포스포리피드, 지방알코올, 지방산, 비누, 지방산의 모노-에스테르, 지방산의 디-에스테르, 수크로스, 수크로스 유도체, 글루코스, 글루코스-유도체, 글루코스 또는 수크로스와 지방알코올의 글루코시딕, 푸라노시딕 또는 피라노시딕 축합 생성물과 그 폴리머 유도체, 지방산 유도체와 글루코사이드의 모노-에스테르, 지방산 유도체와 글루코사이드의 디-에스테르, 스테롤, 지방산과 스테롤의 모노-에스테르, 지방산과 스테롤의 디-에스테르, 스테롤의 글리콜 유도체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물과 층구조를 형성하는 물질 0.01 내지 10 %,
    c) 베타인, 아세틸-콜린, N-아세틸-에탄올아민, 콜린, 글리세로포스포콜린, 포스파티딜콜린, 리소포스파티딜콜린, 카르니틴, 아실카르니틴, 스핑고마이엘린과 이들의 혼합물 및 유도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화학식 1의 작용기를 갖는 화합물 0.0001 내지 10 %,
    화학식 1
    -CH2-N
    Figure 112008009602111-pct00006
    -(CH3)3
    d) 불포화 지방, 액체 지방산 에스테르, 단-사슬로 분지된 탄화수소, 액체 지방알코올, 실리콘 오일, 고체 지방산 에스테르, 고체 지방 알코올, 오일, 오일 성분, 식물 오일, 아보카도 오일, 올리브 오일, 천연 오일의 가수분해할 수 없는 부분, 비타민, 올리고단백질, 콜라겐-가수분해물, UV 여과물질, 바셀린, 파라핀 오일, 세틸 알코올, 폴리실록산, 라놀린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화장용 활성 성분 1 내지 55 %,
    e) N-아실-알카놀아민 0.5 내지 20 %,
    f) 방부제, 항산화제, 농축제, 겔-형성제, 알코올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성분 0.1 내지 10 %
    를 함유하는 것이 특징인 화장용 조성물.
    이때, 상기 언급한 농도는 조성물의 중량에 대한 것이다.
  2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국소 적용 크림으로서 배합되고, 20℃에서 4000 내지 40000 mPas의 점도를 갖는 것이 특징인 화장용 조성물.
  2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4.0 내지 7.2의 pH 수치를 갖는 것이 특징인 화장용 조성물.
  2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층구조를 갖고, 이때 상기 층구조의 농도는 조성물내에 함유되어 층구조를 형성하는 물질의 중량에 대하여 15 내지 95 %인 것이 특징인 화장용 조성물.
  2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층구조를 갖고, 이때 상기 층구조의 농도는 조성물내에 함유되어 층구조를 형성하는 물질의 중량에 대하여 30 내지 95 %인 것이 특징인 화장용 조성물.
  28. 삭제
  29. 삭제
  30. 삭제
  31. 삭제
  32. 삭제
  33. 삭제
  34. 삭제
  35. 삭제
  36. 삭제
  37. 삭제
  38. 삭제
  39. 삭제
  40. 삭제
KR1020027010636A 2000-02-25 2001-02-19 노화 및/또는 스트레스성 피부용 화장용 조성물 KR10088484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008850 2000-02-25
DE10008850.3 2000-02-25
PCT/DE2001/000615 WO2001062222A2 (de) 2000-02-25 2001-02-19 Kosmetische zusammensetzung insbesondere zur anwendung bei alternder und/oder gestresster haut

Related Child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25303A Division KR100822900B1 (ko) 2000-02-25 2001-02-19 스트레스성 또는 병적인 피부 치유용 조성물
KR1020087013350A Division KR20080063871A (ko) 2000-02-25 2001-02-19 노화 및/또는 스트레스성 피부용 화장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05192A KR20030005192A (ko) 2003-01-17
KR100884845B1 true KR100884845B1 (ko) 2009-02-20

Family

ID=7632364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13350A KR20080063871A (ko) 2000-02-25 2001-02-19 노화 및/또는 스트레스성 피부용 화장용 조성물
KR1020027010636A KR100884845B1 (ko) 2000-02-25 2001-02-19 노화 및/또는 스트레스성 피부용 화장용 조성물
KR1020067025303A KR100822900B1 (ko) 2000-02-25 2001-02-19 스트레스성 또는 병적인 피부 치유용 조성물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13350A KR20080063871A (ko) 2000-02-25 2001-02-19 노화 및/또는 스트레스성 피부용 화장용 조성물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25303A KR100822900B1 (ko) 2000-02-25 2001-02-19 스트레스성 또는 병적인 피부 치유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7)

Country Link
US (2) US7001604B2 (ko)
EP (2) EP1259218B1 (ko)
JP (2) JP2004501069A (ko)
KR (3) KR20080063871A (ko)
AT (1) ATE468889T1 (ko)
AU (1) AU781556C (ko)
BR (1) BR0108347B1 (ko)
CA (1) CA2400422C (ko)
CY (1) CY1111100T1 (ko)
DE (3) DE10108097A1 (ko)
DK (1) DK1259218T3 (ko)
ES (1) ES2343305T3 (ko)
MX (1) MXPA02007822A (ko)
PL (2) PL208136B1 (ko)
PT (1) PT1259218E (ko)
SI (1) SI1259218T1 (ko)
WO (1) WO2001062222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E468889T1 (de) * 2000-02-25 2010-06-15 Kuhs Gmbh Kosmetische zusammensetzung zur behandlung von alternder und/oder gestresster haut
EP1392243B1 (de) * 2001-05-10 2019-02-27 Kuhs GmbH Pharmazeutische zusammensetzung
US7204976B2 (en) 2003-05-30 2007-04-17 Colgate-Palmolive Company High efficacy gel with low glycol content
US7105691B2 (en) 2003-06-26 2006-09-12 Colgate-Palmolive Company Aluminum / zirconium / glycine antiperspirant actives stabilized with Betaine
DE102004031210A1 (de) * 2004-06-28 2006-02-09 Trommsdorff Gmbh & Co. Kg MLV-Kosmetikum
JP5329489B2 (ja) * 2003-07-14 2013-10-30 株式会社ヤクルト本社 外用剤組成物
FR2863887B1 (fr) * 2003-12-23 2008-05-16 Jean Noel Thorel Procede d'innoformulation d'une base galenique biocompatible
DE102004009903A1 (de) * 2004-02-26 2005-09-22 Grünenthal GmbH Pflaster mit reduzierter Hautirritation
JP4854194B2 (ja) * 2004-07-05 2012-01-18 株式会社ファンケル ラメラ構造再生剤及び皮膚外用剤
US20060177405A1 (en) * 2005-02-04 2006-08-10 Morrissey Maureen S Moisturizing compositions
EP1813262A1 (en) * 2006-01-19 2007-08-01 Wella Aktiengesellschaft Stable oil-in-water and water/oil/water multiple emulsions and hair treating compositions comprising them
WO2007134219A2 (en) * 2006-05-11 2007-11-22 Living Proof, Inc. In situ polymerization for skin treatment
EP2088990A1 (de) * 2006-09-26 2009-08-19 Maxim Markenprodukte GmbH & Co. KG Dermatologische zubereitungen enthaltend hydrierte phosphatidylcholine
WO2008057423A1 (en) * 2006-11-02 2008-05-15 Stiefel Laboratories, Inc. Kits containing benzoyl peroxide pads and a barrier repair composition, and formulations and methods of use therefor
PL2020221T3 (pl) * 2007-06-19 2012-07-31 Neubourg Skin Care Gmbh & Co Kg Kremy DMS (Derma Membrane Structure) w postaci pianki
DE102008050036A1 (de) * 2007-10-02 2009-04-30 Kuhs Gmbh Topisch zu applizierende kosmetische oder pharmazeutische Zusammensetzung
JP2011020958A (ja) * 2009-07-16 2011-02-03 Hakutsuru Shuzo Kk シワ抑制用組成物
SG178559A1 (en) 2009-08-25 2012-03-29 Medrx Co Ltd Transdermal composition of phosphatidylcholine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EP2335675B1 (de) 2009-12-10 2015-02-18 Neubourg Skin Care GmbH & Co. KG Emulgatorfreie, Polymer-stabilisierte Schaumformulierungen
JP5348784B2 (ja) * 2009-12-28 2013-11-20 株式会社 資生堂 化粧料
FR2968553B1 (fr) * 2010-12-10 2013-03-15 Lea Lab Encapsulation de l'eau thermale de jonzac riche en electrolytes
JP2013047222A (ja) * 2011-07-27 2013-03-07 Lion Corp 皮膚老化予防改善剤
DE102011110749A1 (de) 2011-08-16 2013-02-21 Gabriele Blume Kosmetische oder pharmazeutische Zusammensetzung mit lamellaren Strukturen unter Verwendung von Sucrose-fettsäure-Triestern - einfache und leichte Herstellung
JP2013203729A (ja) * 2012-03-29 2013-10-07 Nof Corp コラーゲン産生促進剤
JP2013203731A (ja) * 2012-03-29 2013-10-07 Nof Corp ヒアルロン酸産生促進剤
JP6315743B2 (ja) * 2012-08-30 2018-04-25 横浜油脂工業株式会社 ラメラ構造を有する脂質成分のシリカマイクロカプセル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4114247A (ja) * 2012-12-11 2014-06-26 Capsugel Belgium Nv 水中油型の乳剤およびその製造方法
CH711598B1 (de) 2015-10-16 2017-06-15 Swiss Cream Cosmetics Scc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dermatologischen und kosmetischen Präparaten mit ausgeprägten lamellaren Strukturen unter Verwendung von Phosphatidylcholin und Fermentation durch Mikroorganismen.
CH713023A2 (de) 2016-10-11 2018-04-13 Kuhs Bernd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dermatologischen und kosmetischen Präparaten mit ausgeprägten lamellaren Strukturen unter Verwendung von Phosphatidylcholin und biologischen Zellmaterialien, welche durch die Einwirkung von Ultraschallwellen aufgeschlossen werden und gleichzeitig zwischen den lamellaren Strukturen eingelagert werden.
US10660838B2 (en) 2017-06-23 2020-05-26 The Procter & Gamble Company Composition and method for improving the appearance of skin
JP2018043990A (ja) * 2017-10-11 2018-03-22 カプスゲル・ベルギウム・ナムローゼ・フェンノートシャップCapsugel Belgium NV 水中油型の乳剤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11622963B2 (en) 2018-07-03 2023-04-1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ethod of treating a skin condition
WO2020033712A1 (en) * 2018-08-08 2020-02-13 Sobel Brands, LLC Cosmetic base compositions and associated cosmetic compositions
WO2020059543A1 (ja) * 2018-09-20 2020-03-26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生体材料
US11767314B2 (en) 2018-11-02 2023-09-26 Conopco, Inc. Bioenergetic nicotinic acid glycerol esters, compositions and methods of using same
JP6629421B1 (ja) * 2018-12-28 2020-01-15 ちふれ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液晶形成用組成物、液晶含有乳化剤及びクリーム状又はフィルム状を呈する液晶含有化粧料
JP2020203862A (ja) * 2019-06-18 2020-12-24 小林製薬株式会社 皮膚バリア機能改善用の外用組成物
EP3996668A1 (en) * 2019-07-12 2022-05-18 Unilever Global IP Limited Topical compositions and methods of using same against mitochondrial fragmentation
US10959933B1 (en) 2020-06-01 2021-03-30 The Procter & Gamble Company Low pH skin care composition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US11583488B2 (en) 2020-06-01 2023-02-2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ethod of improving penetration of a vitamin B3 compound into skin
DE202020002763U1 (de) 2020-06-22 2021-09-27 Gabriele Blume Neue Konzeption der herkömmlichen DAC-Basiscreme basierend auf Rohstoffen pflanzlichen Ursprungs und beinhaltend lamellare Strukturen für die dermale Anwendung in der Pharmazie und Kosmetik
DE102020125874A1 (de) * 2020-10-02 2022-04-07 Dr. Kurt Wolff Gmbh & Co. Kg Zusammensetzung zur Behandlung von Haaren und der Haut
DE102020125873A1 (de) * 2020-10-02 2022-04-07 Dr. Kurt Wolff Gmbh & Co. Kg Zusammensetzung zur Behandlung von Haaren und der Kopfhau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620000A2 (de) * 1992-12-18 1994-10-19 Rhone-Poulenc Rorer Gmbh Kosmetische und/oder pharmazeutische Verwendung von N-Acylalkanolaminen
US6639740B1 (en) * 2000-08-10 2003-10-28 Nikon Corporation Catadioptric lens barrel structure having a plurality of split lens barrels and a support structure supporting the split lens barrels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062721A (en) * 1957-03-20 1962-11-06 Grate Lorene Grigsby Skin care lotion
FR2520253A1 (fr) * 1982-01-28 1983-07-29 Oreal Nouveau systeme emulsionnant a base d'un condensat de proteines, d'un sterol polyoxyethylene et de phosphatide et son utilisation en cosmetique
US4760096A (en) * 1985-09-27 1988-07-26 Schering Corporation Moisturizing skin preparation
CA1283864C (en) * 1986-08-11 1991-05-07 Richard H. Roydhouse Body lubricating and cleansing fluid
FR2623396B1 (fr) * 1987-11-25 1990-03-30 Sanofi Sa Utilisation de l'ademetionine contre le vieillissement de la peau
FR2627385B3 (fr) 1988-02-23 1991-08-23 Serobiologiques Lab Sa Composition notamment utile comme matiere de base pour la preparation de compositions pharmaceutiques, notamment dermatologiques et/ou cosmetiques
FR2638639A1 (fr) 1988-11-08 1990-05-11 Parincos Parfumerie Cosmet Int Composition et procede d'obtention de liposomes oligolamellaires en vue d'une application en cosmetologie et dermatologie topique
FR2662605B1 (fr) * 1990-05-31 1994-12-02 Oreal Composition cosmetique ou pharmaceutique pour le traitement des cheveux et du cuir chevelu.
FR2713483B1 (fr) 1993-12-15 1996-03-01 Rocher Yves Biolog Vegetale Composition cosmétique s'opposant au vieillissement de la peau.
JPH07285827A (ja) * 1994-04-15 1995-10-31 Noevir Co Ltd 皮膚外用剤
FR2720937B1 (fr) * 1994-06-08 1997-03-28 Oreal Composition cosmétique ou dermatologique sous forme de dispersion, aqueuse et stable, de particules de gel cubique à base de phytantriol et contenant un agent tensioactif à chaîne grasse en tant qu'agent dispersant et stabilisant.
US5639740A (en) * 1995-03-10 1997-06-17 Crandall; Wilson Trafton Topical moisturizing composition and method
WO1996037192A1 (en) * 1995-05-26 1996-11-28 Vesifact Ag Pharmaceutical and cosmetic compositions containing sphingo- and glycolipids
EP1374847A1 (en) 1995-06-22 2004-01-02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Stable hydroalcoholic compositions
JP3784442B2 (ja) * 1995-12-25 2006-06-14 ライオン株式会社 皮膚外用剤
US6015574A (en) * 1997-06-09 2000-01-18 L'oreal Lipophilic carrier systems
JP3687277B2 (ja) * 1997-06-10 2005-08-24 サンスター株式会社 美白化粧料
DE19839441A1 (de) 1998-08-29 2000-03-02 Miklos Ghyczy Verwendung von Substanzen zur Behandlung von altersbedingt verminderter ATP-Produktion
JP2000344651A (ja) * 1999-06-01 2000-12-12 Shiseido Co Ltd 皮膚外用剤
JP2001031554A (ja) * 1999-07-21 2001-02-06 Kose Corp 皮膚外用剤
ATE468889T1 (de) * 2000-02-25 2010-06-15 Kuhs Gmbh Kosmetische zusammensetzung zur behandlung von alternder und/oder gestresster haut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620000A2 (de) * 1992-12-18 1994-10-19 Rhone-Poulenc Rorer Gmbh Kosmetische und/oder pharmazeutische Verwendung von N-Acylalkanolaminen
US6639740B1 (en) * 2000-08-10 2003-10-28 Nikon Corporation Catadioptric lens barrel structure having a plurality of split lens barrels and a support structure supporting the split lens barrel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475080A2 (de) 2004-11-10
CY1111100T1 (el) 2015-06-11
BR0108347B1 (pt) 2013-09-10
DE10190550D2 (de) 2003-03-13
JP2008169219A (ja) 2008-07-24
DE10108097A1 (de) 2001-09-13
WO2001062222A2 (de) 2001-08-30
DK1259218T3 (da) 2010-09-20
PL208136B1 (pl) 2011-03-31
KR20030005192A (ko) 2003-01-17
EP1259218B1 (de) 2010-05-26
EP1475080B1 (de) 2018-04-04
KR20080063871A (ko) 2008-07-07
CA2400422C (en) 2006-11-07
EP1259218A2 (de) 2002-11-27
US7192597B2 (en) 2007-03-20
PL363039A1 (en) 2004-11-15
ES2343305T3 (es) 2010-07-28
US20050208012A1 (en) 2005-09-22
KR20070002103A (ko) 2007-01-04
SI1259218T1 (sl) 2010-09-30
AU781556B2 (en) 2005-06-02
JP4914851B2 (ja) 2012-04-11
EP1475080A3 (de) 2007-01-31
DE50115490D1 (de) 2010-07-08
WO2001062222A3 (de) 2002-04-25
PL205651B1 (pl) 2010-05-31
US20040213819A1 (en) 2004-10-28
CA2400422A1 (en) 2001-08-30
US7001604B2 (en) 2006-02-21
MXPA02007822A (es) 2004-09-10
PT1259218E (pt) 2010-07-15
BR0108347A (pt) 2003-03-11
KR100822900B1 (ko) 2008-04-16
JP2004501069A (ja) 2004-01-15
ATE468889T1 (de) 2010-06-15
AU4046801A (en) 2001-09-03
AU781556C (en) 2005-1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84845B1 (ko) 노화 및/또는 스트레스성 피부용 화장용 조성물
JP5798745B2 (ja) 局所適用化粧品組成物又は医薬品組成物
JP2008169219A5 (ko)
JP5941732B2 (ja) 乳化組成物
EP1673068A1 (de) Kosmetische zusammensetzung zur unterstützung des sauerstofftransports in die haut
PT830126E (pt) Pseudo-emulsoes estabilizadas e seu processo de preparacao
JPH09124432A (ja) 液晶型エマルションの製造方法および該製造方法によって得られる液晶型エマルション組成物
KR100545836B1 (ko) 세포간 지질 성분의 나노리포좀을 함유하는 피부자극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KR20190079291A (ko) 식물성오일 유래의 유사세라마이드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JP7005692B2 (ja) 皮膚外用剤
JP2016222586A (ja) 頭皮用化粧料
KR100681705B1 (ko) 지방알코올 및 셀룰로오스 알킬 에테르를 유효성분으로함유하는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KR100888752B1 (ko) 피부외용제
JP2011032266A (ja) 乳化組成物
CA2522863A1 (en) Lamellar structured pharmaceutical composition
US20060177405A1 (en) Moisturizing compositions
JP2011178677A (ja) 皮膚外用剤
JP3044226B2 (ja) 乳化化粧料
FR2912652A1 (fr) Compositions dermatologiques et/ou cosmetologiques destinees a renforcer et a restaurer la fonction barriere de la peau.
JPH1160432A (ja) 皮膚化粧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7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