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81760B1 - 디스크 지지판, 디스크 체인저기구와 디스크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크 지지판, 디스크 체인저기구와 디스크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81760B1
KR100881760B1 KR1020010007715A KR20010007715A KR100881760B1 KR 100881760 B1 KR100881760 B1 KR 100881760B1 KR 1020010007715 A KR1020010007715 A KR 1020010007715A KR 20010007715 A KR20010007715 A KR 20010007715A KR 100881760 B1 KR100881760 B1 KR 1008817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c
resin portion
resin
disk
support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077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83175A (ko
Inventor
타키자와카즈유키
와타나베토모히로
하마토루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100831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831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17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17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33/00Constructional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11B33/02Cabinets; Cases; Stands; Disposition of apparatus therein or thereon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7/00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 G11B17/02Details
    • G11B17/021Selecting or spacing of record carriers for introducing the head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7/00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 G11B17/22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from random access magazine of disc records
    • G11B17/221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from random access magazine of disc records with movable magazine
    • G11B17/223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from random access magazine of disc records with movable magazine in a vertical direction

Landscapes

  • Automatic Disk Changers (AREA)
  • Holding Or Fastening Of Disk On Rotational Shaft (AREA)

Abstract

트레이는 기판과 인쇄에 의해 기판에 부착된 수지부를 포함한다. 수지부는 기판의 디스크 삽입방향의 테두리를 따라 부착된 제 1수지부와, 기판의 디스크 배출방향의 테두리를 따라 부착된 제 2수지부와, 제 1수지부와 제 2수지부 사이에 부착된 제 3수지부로 이루어져 있다.

Description

디스크 지지판, 디스크 체인저기구와 디스크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Disk support plate, disc changer mechanism, and disc recording and/or reproducing device}
도 1은 본 발명의 디스크 체인저기구와 디스크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를 포함한 디스크 플레이어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디스크 플레이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a는 디스크 플레이어의 디스크 수납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b는 디스크 플레이어의 트레이의 일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트레이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V-V선의 단면도이다.
도 6은 트레이의 제 1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트레이의 제 2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트레이의 제 3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은 트레이의 제 4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트레이의 제 5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a는 디스크 수납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b는 디스크 수납부의 정면도이다.
도 12는 배면에서 본 케이스의 내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이송수단, 회전력구동수단 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재생수단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는 협지수단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은 픽업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a는 협지수단이 대기위치에 있는 경우, 위치결정수단의 배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b는 협지수단이 재생위치에 있는 경우, 위치결정수단의 배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a는 조작수단의 픽업 승강대와 트레이 승강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c는 조작수단의 외부 슬라이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9는 디스크 삽입/배출모드의 모드전환위치에서 조작수단의 작용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0a는 두 번째 CD가 선택된 경우, 대기위치에서 조작수단의 작용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0b는 두 번째 CD가 삽입 및 배출되는 경우, 셔터가 개방된 상태에서 조작수단의 작용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1은 두 번째 CD가 배출된 경우, 푸시레버가 회전한 상태에서 조작수단의 작용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2a는 6번째 CD가 재생되는 경우, 디스크 재생모드에서 조작수단의 작용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3a는 두 번째 CD가 재생되는 경우, 핀이 대기위치로서의 위치 D에 있을 때 조작수단의 작용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3b는 두 번째 CD가 재생되는 경우, 핀이 재생위치로서의 위치 I에 있을 때 조작수단의 작용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4a는 디스크 삽입시 디스크 플레이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5는 디스크 삽입시 디스크 플레이어의 측면단면도이다.
도 26a는 디스크 배출시 푸시수단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6b는 디스크 배출시 푸시수단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7은 디스크 배출시 푸시수단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8a는 트레이의 이동에 대하여 분할캠의 작용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8b는 핀에 대하여 분할캠의 작용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9는 분할캠에 의해 분리되기 전의 트레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0은 분할캠에 의해 둘로 분리된 트레이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31은 분할캠에 의해 셋으로 분리된 트레이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32는 트레이가 하강한 후 턴테이블에 탑재되고 협지수단에 의해 협지된 재생 디스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3은 트레이가 하강한 후 트레이에서 분리된 재생 디스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4는 재생시 압출된 트레이의 판스프링에 의해 개방된 재생 디스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5a는 회전력이 공급되지 않은 경우의 회전력공급수단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5b는 회전력이 공급된 경우의 회전력공급수단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6은 회전력을 받은 경우 협지수단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7은 대기위치의 협지수단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8은 재생위치의 협지수단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9a는 대기위치에 있는 협지수단의 규제수단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9b는 대기위치에 있는 협지수단의 규제수단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0a는 협지가 저지된 경우 재생위치에서 협지수단의 규제수단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0b는 협지저지가 해제된 경우 재생위치에서 협지수단의 규제수단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1은 규제수단에 의해 해제된 협지저지에 의해 디스크를 협지하는 협지수단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2는 종래의 디스크 플레이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2. 트레이(디스크지지판) 2a. 기판
2b. 수지부 2c. 제 1수지부
2d. 제 2수지부 2e. 제 3수지부
본 발명은 디스크를 탑재하는 트레이(tray) 등의 디스크 지지판(受板), 디스크 지지판을 구비한 디스크 체인저기구와 디스크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량에 탑재하여 음성 및/또는 화상을 기록 및/또는 재생하는 디스크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중의 하나가 디스크 플레이어이다. 디스크 플레이어는 CD와 같은 복수의 디스크형 기록매체가 매거진에 수납되어 디스크 전체가 한 번에 교환되는 방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은 디스크 플레이어의 크기를 증가시키기 때문에 본체는 트렁크 안에 넣고 조작부만 차실내에 설치하고 있다. 그러나, 차량운전시에 디스크를 교환하는 것이 불가능하고, 정차하여 트렁크를 열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이러한 이유로, 근년에 차실내에 수용되는 차량 탑재용 디스크 플레이어가 개발되고 있다. 그러한 차량 탑재용 디스크 플레이어(복수의 디스크를 수납할 수 있는 디스크 플레이어)는 차실내의 계기판의 소정의 공간에 수용된다. 따라서, 차량 탑재용 디스크 플레이어의 크기를 줄이는 것이 필수적이다.
도 42를 참조하면, 차량 탑재용 디스크 플레이어는 직사각의 케이스(201)(1 DIN 크기라고 하는 일정한 치수를 갖는 케이스) 안에 예를 들면 각각 6장의 디스크(202)를 수납하는 6개의 트레이(203)가 설치되어 디스크 수납부(204)를 형성하고 있다. 6장의 디스크(202)는 케이스(201)에 형성된 디스크 삽입부(205)에 개별적으로 삽입되어 각 트레이(203)에 탑재된다.
6개의 트레이(203)는 가이드 지지대(206)을 통해 수직으로 이동된다. 재 생시, 선택된 디스크(202)를 탑재하고 있는 트레이(203)와 나머지 다른 트레이(203) 전부가 상승되어 선택된 트레이(203) 아래에 공간이 형성되고 이 공간으로 턴테이블(디스크를 탑재하여 회전시키는 장치)과 광픽업이 삽입됨으로써 디스크(202)가 재생된다.
디스크(202) 탑재시 트레이(203)에 발생하는 스크래치를 방지하기 위해, 각 트레이(203) 전체를 수지성형으로 형성하거나, 금속제 기판의 표면을 코팅하여 수지층을 형성하거나 표면의 일부(디스크가 접촉되는 부분)에 수지층을 아웃서트(outsert) 성형이나 접착방식으로 형성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트레이와 디스크 플레이어는 다음의 문제점을 갖고 있다.
1) 수지성형 트레이는 금속제 트레이에 비해 기계적 강도가 약하다. 충분한 강도를 얻기 위해서 트레이의 두께를 증가시켜야 하는데 이것은 디스크 플레이어의 높이를 증가시킨다.
2) 금속제 기판의 표면을 코팅하여 수지층을 형성한 트레이는 코팅시 이물질이 들어가기 쉬어 디스크 손상의 원인이 된다. 게다가, 코팅이 얇게 되면 기판의 단면에 의해 디스크가 손상되기 때문에 단면에 대한 처리가 필요하다.
3) 금속제 기판의 일부에 수지층을 아웃서트 성형으로 형성한 트레이는 아웃서트 성형의 성질상 수지층의 두께(예를 들면, 0.1-0.2mm)를 얇게 하는 것이 어렵다. 게다가, 수지층이 기판에서 벗겨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조치가 취해져야 하기 때문에 제조비용이 증가한다.
4) 금속제 기판의 일부에 수지층을 접착한 트레이는 수지층의 접착성질상 작업성이 나쁘고, 접착시 위치가 부정확하게 되기 쉽다. 또한, 고온시 접착제는 녹기 쉽고, 수지층 박리의 원인이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의 문제점이 없고 제조비용을 절감하면서 장치의 품질과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디스크 지지판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디스크 지지판을 포함한 디스크 체인저기구와 디스크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기판과 인쇄에 의해 상기 기판에 부착된 수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지지판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장치의 외부형태를 형성하는 케이스와, 기판과 인쇄에 의해 상기 기판에 부착된 수지부를 포함하는 디스크 지지판과, 상기 케이스에 설치되어 상기 디스크 지지판에 디스크를 수납하는 디스크 수납부와, 상기 디스크 수납부에서 디스크를 삽입 및 배출하는 삽입배출수단과, 상기 케이스에 설치되어 상기 디스크 수납부의 디스크를 재생하는 재생수단과, 상기 디스크 수납부와 상기 재생수단 중 적어도 하나를 조작하는 조작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기판과 인쇄에 의해 상기 기판에 부착된 수지부를 포함하는 복수의 디스크 지지판과, 디스크를 수납하는 상기 복수의 디스크 지지판으로 이루어진 디스크 수납부와, 상기 디스크 수납부에서 디스크를 삽입 및 배출하는 삽입배출수단과, 상기 디스크 수납부에 수납된 디스크 중 하나를 선택하는 선택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체인저기구를 제공한다.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디스크 지지판, 디스크 체인저기구와 디스크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음성을 재생하는 디스크 플레이어에 적용된다. 이하의 기술에서, 콤팩트디스크(CD)를 포함하여 디스크를 CD로 통칭한다.
A) 디스크 플레이어의 전체 구성
도 1-18c를 참조하면, 디스크 플레이어는 디스크 플레이어의 외부를 형성하는 케이스(1), 케이스(1) 전방에 위치하여 CD를 수납하는 디스크 수납부(3), 케이스(1)의 전면판(1a)의 삽탈구(4)에 설치되어 디스크 수납부(3)에 CD를 삽입/배출하는 이송수단(5), 이송수단(5)의 전방에 위치하여 전면판(1a)의 삽탈구(4)를 개폐하는 개폐수단(6), 케이스(1)의 후방에 위치하여 디스크 수납부(3)의 CD를 재생하는 재생수단(7), 디스크 수납부(3)의 후방 양측에 설치되어 배출하려는 CD를 이송수단(5)으로 밀어내는 푸시수단(8), 케이스(1)의 좌우측판(1c, 1b)의 외측에 주로 설치되어 디스크 수납부(30)나 재생수단(7)을 조작하는 조작수단(9)으로 구성되어 있다.
재생수단(7)은 수직으로 이동하는 픽업 승강대 또는 픽업 승강수단(10)의 양측에 위치하여 선택된 디스크 수납부(3)의 CD의 상하에 공간을 형성하는 공간형성수단(11), 픽업 승강수단(1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공간으로 들어가 선택된 CD를 협지하는 제 1암(하부 암)(13) 및 제 2암(상부 암)(14)을 포함하는 협지수단(14), 하부 암(13)에 부착되어 협지된 CD를 회전구동하는 디스크 구동수단(15), 하부 암(13)에 부착되어 회전되는 CD에서 정보를 독출하는 픽업장치(16), CD의 재생모드에서만 협지수단(14)에 회전력을 공급하는 회전력 공급수단(17), 협지수단(14)이 CD를 협지하는 시간을 설정하는 규제수단(18)으로 구성되어 있다.
B) 케이스
케이스(1)는 전면판(1a), 측면판(1b, 1c), 상판(1d), 저면판(1e)으로 되어 있다. 케이스(1)는 배면이 개방되어 있다. 측면판(1b, 1c)과 저면판(1e)은 서로 일체로 되어 있다.
C) 디스크 수납부 및 트레이
도 3a-3b를 참조하면, 디스크 수납부(3)는 6개의 트레이(2)와 6개의 트레이(2)를 탑재하고 있는 디스크 승강대(22)로 구성되어, 4개의 가이드 지지대(23)(지지대의 양단이 수직방향으로 상판(1d) 및 저면판(1e)에 접속됨)에 의해 지지된다.
도 4를 참조하면, 각 트레이(2)는 인쇄에 의해 수지부(2b)를 기판(2a)에 부착하여 형성되어 있다. 수지부(2b)는 에폭시 열가소성수지 잉크나 아크릴 자외선 수지 잉크에 의해 기판(2a)상에 메탈 마스크 인쇄, 실크스크린 인쇄, 탬포 인쇄 등을 행하여 형성한다.
수지부(2b)는 디스크 삽입방향측의 테두리를 따라 부착된 제 1수지부(2c), 디스크 배출방향측의 테두리를 따라 부착된 제 2수지부(2d), 제 1수지부(2c)와 제 2수지부(2d)의 중앙에 부착된 제 3수지부(2e)로 구성되어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기판(2a)은 알루미늄, 스테인레스강 등의 금속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두께(T1)가 대략 0.3mm이다. 디스크 삽입방향측의 테두리의 상하면은 CD 삽입을 가이드하는 경사면(2f)이 형성되어 있다. 금속재료 대신에 기판(2)은 금속분말이 혼합된 수지로 성형되어도 좋다. 수지부(2b)는 약 0.1-0.2mm정도의 두께를 갖는다.
제 1수지부(2c)는 기판(2a)의 경사면(2f)를 피복하고 있다. 제 3수지부(2e)는 기판(2a)의 중앙에 삽입배출방향과 평행하게 부착되어, 그 길이방향의 양단이 제 1수지부(2c)와 제 2수지부(2d)를 연결한다. 제 1, 제 2 및 제 3수지부(2c, 2d, 2e)는 기판(2a)의 양면에 부착되어 있다.
도 6은 트레이(2)의 제 1변형예를 나타낸다. 이 변형예는 제 3수지부(2e)의 길이방향의 양단이 제 1수지부(2c) 및 제 2수지부(2d)와 소정의 간격 G만큼 떨어져 설치되어 있는 경우를 나타낸다.
도 7은 트레이(2)의 제 2변형예를 나타낸다. 이 변형예는 제 3수지부(2e)가 기판(2a)에 대하여 대칭으로 부착되어 있는 경우를 나타낸다.
도 8은 트레이(2)의 제 3변형예를 나타낸다. 이 변형예는 제 1, 제 2 및 제 3수지부(2c, 2d, 2e)중 하나가 불연속으로 부착되어 있는 경우를 나타낸다(본 변형예에서는 제 1수지부(2c)가 불연속으로 설치되어 있다).
도 9은 트레이(2)의 제 4변형예를 나타낸다. 이 변형예는 수지부(2b)가 기판(2a)의 전면에 설치되어 있는 경우를 나타낸다.
도 10은 트레이(2)의 제 5변형예를 나타낸다. 이 변형예는 단면(2g)의 상하 에지부(2h)를 제 1수지부(2c) 및 제 2수지부(2d)에 의해 피복한 경우를 나타낸다.
도 11a-11b를 참고하면, 수지재(2i)는 트레이(2)의 양측 및 양면(표리면)에 형성되어 있다. 한 쌍의 핀(2j, 2k)은 각 수지재(2i)의 중간 및 배면측에 설치되어 축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중간핀(2j)은 배면측 핀(2k)보다 길다. 수지재(2i)의 두께는 CD의 두께와 거의 동일하게 되어 있다. 한 쌍의 판스프링 또는 스프링수단(2m)의 전면부는 스프링과 기판(2a) 사이에 CD를 협지하기 위해 수지재(2i)의 상면에 고정되어 있다. 압착부(2n)는 각 판스프링(2m)의 배면 내측에 형성되고 수용부(2p, 2q)는 판스프링의 배면 외측에 설치된다. 수용부(2p)는 후술할 분할캠(82)의 하면에 의해 아랫방향으로 힘을 받고, 수용부(2q)는 후술할 상단 감입부(82j)의 하면에 의해 윗방향으로 힘을 받는다. 각 수지재(2i)의 전면 및 배면에, 가이드 구멍(2r)이 수지재(2i)와 기판(2a)를 관통하여 형성되어 가이드 지지대(23)를 수용한다. 원통형 스프링 베어링(2s)은 코일 스프링 또는 바이어싱수단(24)을 수용하기 위해 트레이(2)의 최상단의 수지재(2i)의 양측에 일체로 되어 있고 상판(1d) 및 하단 트레이(2)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스프링 베어링(2s)의 하단은 내부로 조금 돌출하여 코일 스프링(24)의 하단을 수용하는 수용부(2t)를 형성한다. 수용부(2t)는 길이가 긴 스프링을 사용하여 압축길이가 크더라도 압축에 필요한 하중이 너무 크지 않도록 설치되어 있다.
디스크 승강대(22)는 양단이 윗방향으로 휘어져 있다. 가이드 구멍(22a)은 디스크 승강대(22)의 수평부분에 형성되어 가이드 지지대(23)을 수용하고 한 쌍의 핀(22b)은 디스크 승강대(22)의 연직부분의 각 외면에 고착(고정되어 부착됨)되어 수평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핀(22b)은 케이스(1)의 측면판(1c, 1b)에 형성된 두 개의 수직 슬릿(25)를 관통하여 케이스(1)의 외부로 돌출되고 있다.
디스크 승강대(22)와 6개의 트레이(2)는 가이드 구멍(22a, 2r)을 관통하여 가이드 지지대(23)를 설치하여 수직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지지된다. 4개의 스프링 가이드(26)는 케이스(1)의 상판(1d)과 저면판(1e)에 고착된 상단 및 하단을 갖고, 각 스프링 수용부(2s)를 관통하여 설치되어 있다. 스프링 가이드(26)를 둘러싸도록 설치된 각 코일 스프링 또는 바이어싱수단(24)의 하단이 스프링 수용부(2s)의 하단에 접한다.
D) 이송수단
도 2를 참조하면, 이송수단(5)은 케이스(1)의 전면판(1a)에 설치되어 있다. 전면판(1a)에는 삽탈구(4)가 형성되어 있다. 구동축(30)과 종속축(31)은 삽탈구(4)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구동축(30)의 양단은 전면판(1a)에 회전가능하게 부착되어 있고, 종속축(31)의 양단은 전면판(1a)의 측면에 형성된 수직 슬릿(32)을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구동축(30)과 종속축(31)의 중앙을 지지하기 위하여, 아랫방향으로의 이동이 제한된 수지 베어링(33)의 배면측에 형성된 그루브(33a)에 구동축(30) 중앙의 소경부(小徑部)가 회전가능하게 감입(끼어 들어감)되어 있다. 종속축(31) 중앙의 소경부는 도시하 지 않은 한 쌍의 가이드 돌출부 및 한 쌍의 가이드 그루브를 관통하여 수직이동되는 수지 베어링(34)의 배면에 형성된 그루브(34a)와 회전가능하게 감입되어 있다. 한 쌍의 롤러(36)는 종속축(31)에 부착되고 한 쌍의 다른 롤러(35)는 구동축(30)에 부착된다. 여기서, 각 롤러의 축심방향으로의 슬라이드는 도시하지 않은 유지링에 의해 구속된다. 구동축(31)의 양단에 원형의 그루브가 형성된다. 종속축(31)을 구동축(30) 방향으로 바이어싱하는 스프링(38)의 양단은 전면판(1a)과 원형의 그루브의 측면에 고착된 스프링핀(37)과 계합(끼워 맞춤)되어 있다.
구동축(30)를 구동하는 수단을 설명한다. 도 13을 참조하면, 기어(39)가 구동축(30)의 우측단에 고착되어 있고, 서로 일체화되어 있는 기어(40, 41, 43)는 우측면(1c)의 내부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기어(43, 45)에 맞물린 웜(44)은 일체로 회전가능하게 저면판(1e) 상에 지지되어 있고, 웜(47)은 기어(45)에 맞물려 저면판(1e)에 부착된 이송모터(46)의 출력축에 고착되어 있다.
도 2와 도 12를 참조하면, 롤러(35, 36)에 의해 CD를 삽입한 후 수 mm만큼 더 CD를 압입하는 조작을 자동으로 하도록 압입(押入)수단(48)이 설치되어 있다. 세 쌍의 수평방향 가이드 슬롯(49, 50, 51)이 삽탈구(4)의 상하측 전면판(1a)에 형성되어 있다. 한 쌍의 슬라이드대(52)는 전면판(1a)의 배면 양측면에 형성되어 있고, 세 쌍의 가이드핀(53, 54, 55)은 슬라이드대(52)에 고착되어 가이드 슬롯(49, 50, 51)을 관통하여 이탈되지 않게 설치되어 있다. 수지제 수직롤러(57)는 수직축(56)을 통해 대응되는 슬라이드대(52)의 배면측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한 쌍의 슬라이드(52)가 서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바이어싱(힘을 가함)하기 위하여, 푸시 스프링(60)은 전면판(1a)에 형성된 스프링걸기부(58)와 슬라이드대(52)에 형성된 스프링 걸기부(59)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수직롤러(57)의 높이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에 있는 CD는 수직롤러(57)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위치해 있고, 수직롤러(57)의 상하에 있는 CD는 도 1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저면판(1e)에 수직 부착된 위치결정막대(61, 62) 및 상판(1d)에 수직 부착된 도시하지 않은 한 쌍의 위치결정막대에 의해 위치된다. 도시하지 않은 위치결정막대는 위치결정막대(62, 62)의 연장선상에 배치되어 있다. 도시하지 않은 위치결정막대와 위치결정막대(62, 62) 사이에 공간(CD가 삽입배출되는 통로)이 형성된다.
E) 개폐수단
전면판(1a)의 삽탈구(4)를 개폐하는 개폐수단(6)을 설명한다. 서터(64)는 도 2에 도시한 전면판(1a)의 전면에 수직으로 이동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개구부(64a)는 셔터(64)에 형성되어 CD가 삽입 배출되는데, 셔터(64)가 올라가면 개구부(64a)의 중간 위치가 롤러(35, 36)의 경계에 대응하여 개구부(64a)가 열리고 셔터(64)가 내려가면 닫히게 된다.
구체적으로, 한 쌍의 상하 가이드핀(65)은 전면판(1a)의 양측에 부착되고, 수직 가이드슬롯(64b)이 셔터(64)에 형성되어 있다. 유지링은 가이드 슬롯(64b)을 통하여 설치된 각 가이드핀(65)의 선단과 끼워 맞추어져 있다. 셔터(64)가 올라가 개방되는 경우에만 슬라이드대(52) 사이의 거리를 더 크게 하기 위해, 중앙 부근의 가이드핀(54)이 다른 가이드핀(54)보다 길게 설정되고 한 쌍의 L형 가이드 구멍(64c)은 셔터(64)에 형성되어 각 가이드핀(54)을 수용한다. CD가 어떤 이유로 수직롤러(57) 사이의 간격을 확장하여 무리하게 배출되는 경우 셔터(64)를 강제로 상승시켜 개방되도록 하기 위해 가이드 레일(64d)은 가이드 구멍(64c)의 상면에 형성한다.
셔터(64)를 개폐하는 링크기구를 설명한다. 좌우측 방향의 가이드 슬롯(66a)은 대략 L형의 좌우 가이드판(66)의 전면 및 하면에 형성되고, 가이드핀(67)은 가이드 슬롯(66a)을 통하여 배치되어 전면판(1a) 및 저면판(1e)에 고착된다. 캠구멍(64a)은 셔터(64)의 양측 하부에 형성되고, 슬라이드핀(66b)은 좌우 슬라이드판(66)의 양측 전면에 고착되어 각 캠구멍(64e)을 통하여 배치된다. 도 24b를 참조하면, 스프링 걸기부(66c, 68)는 좌우 슬라이드판(66) 및 저면판(1e)의 하면에 형성되어 아랫방향으로 돌출해 있고 복귀 스프링(69)가 이 둘 사이에 있다. 전후 슬라이드판(70)은 저면판(1e)의 하면 좌측에 전후로 슬라이드가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한 쌍의 가이드 슬롯(70a)이 전후 슬라이드판(70)에 형성되어 있고, 도시하지 않은 한 쌍의 선단핀이 슬라이드 슬롯(70a)을 통하여 배치되어 저면판(1e)에 고착되어 있다. 대략 L형의 레버(72)는 도 1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축(73)을 통하여 저면판(1e)의 하면에 회전가능하게 부착된 굴곡부와 각 슬롯(72a)에 형성된 단부를 갖고 있다. 핀(66d, 70b)은 좌우 슬라이드판(66) 및 전후 슬라이드판(70)에 고착되고 각각이 슬롯(72a)과 느슨하게 끼워져 있다. 후술할 외부 슬라이더(14)에 의해 압착을 받는 피압착부(70c)는 전후 슬라이드판(70)에 형성된다.
F) 재생수단
재생수단(7)은 디스크 수납부(3)의 배면 근방에 배치되어 디스크 플레이어의 길이를 최소화한다. 재생수단(7)에서의 협지수단(14)이 픽업 상승대(10)에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우선 픽업 상승대(10)에 대하여 설명한다.
픽업 상승대(10)는 수평판과 그 양측의 수직판을 일체로 형성한 것이다. 원형 리세스(10a)는 수직판의 앞부분에 형성되어 CD를 삽입한다. 수평 돌출핀(77)은 각 수직판에 고착되어 픽업 상승대(10)를 수직방향으로 이동시킨다. 핀(77)은 같은 높이에 위치해 있고 디스크 상승대(22)의 핀(22b)보다 짧다. 이 핀(77)은 케이스(1)의 측판(1b, 1c)에 형성된 한 쌍의 수직 슬롯(78)을 통하여 배치되어 외부로 돌출해 있다.
공간형성수단(제어수단)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지로 제조된 분할캠(82)은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픽업 승강대(10)의 수직판 내부에 배치되어 있고, 상하(수직)방향으로 인접한 두 트레이(2) 사이에 삽입되어, 선택된 CD의 상하에 공간을 형성하는 공간형성수단 또는 제어수단(11)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선두의 가이드 슬롯(10a)은 픽업 승강대(10)에서의 수직판의 전면측 상부에 배치되어 있고, 핀(82a)은 가이드 슬롯(10a)을 관통하여 설치되어 각 분할캠(82)에 고착된다. 도 3a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가이드 슬롯(82b)은 분할캠(82)의 하부에 형성되고 선두의 가이드핀(10b)(도 2)은 가이드 슬롯(82b)을 통해 설치되어 수직판의 전후 중심부에 고착된다.
분할캠(82)은 트레이(2) 사이에 삽입되어 트레이(2)의 양측에 배치된 4개의 핀(2j, 2k)을 들어 올려서 트레이(2)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고 재생될 CD를 탑재한 트레이(2)의 상하에 공간을 형성한다. 분할캠(82)은 각각 전후방향의 길이가 다른 두 개의 판에 슬릿을 형성하여 놓고, 트레이(2)의 양측으로 미끄러져 들어감으로써 전면부분을 통하여 트레이(2)의 긴 핀(2j)을 위로 이동시키고 배면부분을 통하여 짧은 핀(2k)을 위로 이동시킨다.
구체적으로, 분할캠(82)은 다음의 구성을 갖는다. 선택된 CD를 탑재한 트레이(2) 및 그 위에 있는 트레이(2)를 위로 이동시키기 위해 한 쌍의 제 1분리제어부(82c1)가 형성되어 있고, 한 쌍의 제 2분리제어부(82c2)는 제 1분리제어부(82c1) 위에 형성되어 선택된 트레이(2) 위의 트레이(2)만을 위로 이동시킨다. 제 3부분리제어부(82d)는 제 1분리제어부(82c1)와 제 2분리제어부(82c2) 사이에 형성되어 선택된 트레이(2)만을 유지한다. 선택된 트레이(2) 위에 있는 트레이(2)의 핀(2j, 2k)의 위치를 유지하는 상면(82f)과 선택된 트레이(2) 아래에 있는 트레이(2)의 핀(2j, 2k)의 위치를 유지하고 판스프링(2m)의 수용부(2p)를 눌러 억제하는 위치제어수단(82h)으로서의 하면이 분할캠(82)의 이동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선택된 트레이(2)와 그 위에 있는 트레이(2)의 핀(2k, 2j)은 제 1 및 제 2분리제어부(82c1, 82c2)의 윗방향 이동에 의해 위로 올려져서 분할캠(82)의 상승각(θ)은 기본적으로 소정치 예를 들면 45도로 설정된다. 그러나, 여기서 트레이(2)가 코일 스프링(24)을 압축하면서 상승하게 되므로 트레이(2)의 위치가 높으면 코일 스프링(24)의 압축량이 크게 되어 트레이(2)의 상승에 따른 부하가 증가하게 된다. 즉, 부하가 코일 스프링(24)의 압축 초기단계에서는 부하가 작다. 따라서, 도 28a를 참고하면 제 1 및 제 2분리제어부(82c1, 82c2)의 상부의 상승각(θ1)이 예를 들면 45도로 설정되고, 하부의 각(θ2)은 예를 들면 60도 설정되어 양자의 중간부가 원형면으로 형성된다.
다음, 제 3분리제어부(82d)를 설명한다. 각 제 3제어부(82d)는 상부 감입부(82j), 중간 감입부(82k) 및 하부 감입부(82m)로 구성되어 있다. 상부 감입부(82j)는 선택된 트레이(2)의 상하에 공간을 형성시키는 역할을 하고, 중간 감입부(82k)는 선택된 트레이(2)와 CD를 하강시켜 하부암(13)의 턴테이블(97)에 선택된 CD를 탑재하는 역할을 하고, 하부 감입부(82m)는 선택된 트레이(2)만을 다시 하강시켜 선택된 CD를 분리시키는 역할을 한다.
협지수단
협지수단(14)은 선택된 CD의 상하에 형성된 공간방향으로 회전하여 선택된 CD를 협지한다. 하부 및 상부암(12, 13)의 기단부(基端部)가 픽업 상승대(10)의 좌측에 회전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도 15를 참조하면, 하부암(13)에는 중공축(86)의 하단 근방이 고착되어 있고, 그 하단이 픽업 상승대(10)을 관통하여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데 중공축(86)이 빠지지 않도록 플랫와셔(plat washer)(93)와 유지링(94)이 하단에 부착되어 있다. 동합금의 슬리브(87)는 상부암(12)의 기단부에 끼워져 고정되어 있고 중공축(86)은 슬리브(87)에 관통되어 상부암(12)이 하부암(13)과 평행하 게 하강되어 선택된 CD를 협지한다. 플랫와셔(88)와 유지링은 중공축(86)의 상단에 끼워져 있다. 협지스프링(89)은 플랫와셔(88)와 슬리브(87) 사이에 배치되어 상부암(12)에 대하여 아랫방향으로 힘을 가한다. 도 14를 참조하면, 중공축(86) 주위를 하부암(13) 및 상부암(12)이 상대적인 회전없이 동기하여 일체적으로 회전되도록 하기 위해, 하부암(13)에 슬라이드핀(90)이 설치되고 상부암(12)에 형성된 구멍(91)을 관통하여 슬라이드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협지수단(14)의 회전시 하부암(13)의 후술하는 디스크 회전수단으로서의 턴테이블(97)과 CD의 위치정확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픽업 상승대(10) 상의 중공축(86)에는 저면판(1e)에 설치된 지지대(92)가 삽입되어 관통된다.
디스크구동수단
디스크구동수단(15)은 하부암(13)의 선단 상면에 설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도 1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디스크구동수단(15)은 출력축을 갖는 스핀들 모터(96)로 구성되어 있고, 출력축에 턴테이블(97)이 부착되어 CD의 중심구멍에 끼워져 있다. 도 41을 참조하면, 지지판(98)은 상부암(12)의 선단 근방에 고착된 단부와 원형구명으로 형성된 다른 단부를 갖고 있다. 디스크구동수단(15)으로서의 척크판(chuck plate)은 수지로 셩형되고 갈비뼈 형태의 돌출부가 디스크의 하면에 원형으로 형성되어 상방에서의 구멍과 회전가능하게 끼워져 있다. 상부암(12)의 하면에 고착된 타단(他端)을 갖고 있는 도시하지 않은 스프링판의 일단(一端)에 의해 처크판(99)이 빠지지 않도록 한다.
픽업장치
도 16을 참조하면, 픽업장치(16)도 하부암(13)의 상면에 부착된다. 픽업장치(16)의 구성을 설명한다. 광픽업(162)는 하부암(13)과 일체화된 가이드 레일(161)을 통하여 하부암(13)의 전후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가이드 레일(161)을 따라 광픽업(162)을 반전시키는 수단도 설치되어 있다. 스레드축(나사축)(164)은 한 쌍의 축수부(軸受部)(bearing member)(164)를 통해 하부암(13)의 상면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광픽업(162)에서의 도시하지 않은 암나사부와 맞물려 있다. 슬리브(87)의 근방에 배치된 스캐닝 모터(165)의 출력축은 나사축(164)와 결합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웜힐(166)과 나사기어(167)를 갖고 서로 일체화되어 있는 기어(168)는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웜힐(166)은 모터(165)의 출력축의 웜과 맞물려 있고 나사기어(167)는 나사축(164)에 부착된 나사기어(170)과 맞물려 있다.
회전력공급수단
회전력공급수단(17)은 이송모터(46)에 의한 회전력에 의해 협지수단(14)을 회전시킨다. 도 13을 참조하면, 기어 트레인(103)이 케이스(1)의 좌측판(1b) 내부에 설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기어 트레인(103)은 기어(103a-103h)로 구성되어 있다. 기어(104)도 구동축(30)의 좌단에 고착된다. 판(105)은 좌측판(1b) 내부에 수직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수직 가이드 슬롯(105a)은 판(105)의 상부에 형성되고, 수직 가이드 슬롯(105a)을 통해 가이드핀(106)(도 35a-35b)이 배치된다. 가이드핀(106)은 좌측판(1b)에 고착되고 가이드핀(106)에 부착된 유지링을 갖고 있다. 스프링걸기부(105b, 107)는 판(105)의 하부와 케이스(1e)의 저면판(1e)에 형성되고 복귀스프링(108)은 판(105)의 아랫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양자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기어(103h)의 축(109)을 수용하는 도피구멍(105c)이 판(105)에 형성되어 있다. 축(109)은 레버(110)의 기단이 회전가능하게 부착된 측면판(1b)에 고착되어 있다. 기어(112)는 이동축(111)에 회전가능하게 부착되어 있고 기어(103h)와 맞물려 있다. 캠홀(105d)은 도피구멍(105c) 위의 판(105)에 형성되고, 캠홀(105d)을 통하여 이동축(111)의 단부가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판(105)을 위쪽으로 이동시키는 경우, 캠홀(105d)은 위로 이동하고 캠홀(105d)을 관통하여 설치된 이동축(111)은 전방으로 이동하여 구동축(30)의 기어(104)와 이동축(111)에 부착된 기어(112)가 맞물린다. 판(105)을 위쪽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핀(114)을 통해 좌판(1b) 내부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레버(113)의 일단은 핀(115)을 통해 판(105)의 하부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된다. 레버의 타단은 좌판(1b)의 가이드 슬릿(25)의 전면측의 하부와 마주하고 있으며 이 가이드 슬릿(25)을 통해 디스크 승강대(22)의 핀(22b)이 설치되어 있다. 즉, 디스크 승강대(22)가 재생모드로 들어가는 최하위치에 있는 경우, 핀(22b)이 레버(113)의 타단을 하방으로 밀어서 기어(104)와 기어(112)가 맞물리게 한다.
기어트레인(103)의 최상위치의 기어(103a)는 다음과 같이 협지수단(14)의 하부암(13)과 결합되어 있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슬라이드바(116)가 설치된다. 이 슬라이드바(116)는 전후방향으로 확장된 수직부와 수직부의 배면측에서 수평부가 일체로 되어 구성된다. 한 쌍의 가이드 슬롯(116a)은 수직부의 양 측 근방의 슬라이드(116)에 형성된다. 도 12를 참조하면, 한 쌍의 가이드핀(117)은 한 쌍의 가이드 슬롯(116a)을 통하여 설치되고 각각 그 위에 부착된 유지링을 갖고 좌판(1b)의 내부에 고착된다. 기어(103a)와 맞물리는 랙(116b)은 전후방향의 섭동가능한 슬라이드바(116)에 형성된다. 아랫방향으로 돌출한 계합핀(116c)은 수평부분의 선두에 고착된 상단을 갖는다. 도 14를 참고하면, 계합핀(116c)은 하부암(13)의 기단과 일체로 되어 있고 하부암(12)의 높이까지 연장된 수평부분의 슬롯(13a)과 느슨하게 맞물려 있다. 도 16을 참조하면, 슬롯(13a)은 슬리브(87)의 축을 통과하고 슬리브(87)에 직각인 반경방향의 직선을 따라 연장되어 형성된다.
디스크 플레이어는 두 가지 모드가 있다. 즉, CD를 CD 수납부(3)에 삽입 또는 배출하는 삽입/배출모드와 CD가 재생되는 재생모드가 있다. 삽입/배출모드에서, 협지수단(14)은 도 3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위치 B에 있고, 재생모드에서는 협지수단(14)이 도 3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위치 A에 있다. 위치 A와 B 사이에서 협지수단(14)의 회전은 상술한 회전력공급수단(17)에 의해 수행된다. 또한, 하부암(13)에서의 턴테이블(97)에 대하여 선택된 CD의 정확한 위치결정의 필요성에 의하여 위치결정수단(118)은 도 17a-17b에서와 같이 설치되어 있다.
위치결정수단(118)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16-17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아랫방향으로 돌출된 위치결정핀(119)의 상단은 중공축(86) 근방의 하부암(13)에 고착되어 있다. 협지수단(14)이 회전하는 경우 위치결정핀(119)가 이동하는 범위에 대응하는 부분의 픽업 승강대(10)에 원형구멍(10c)이 형성되어 있다. 위치 결정핀(119)은 원형구멍(10c)에 느슨하게 맞물려 있다. 아랫방향으로 돌출된 스프링걸기부(10d)는 픽업 승강대(10)에 형성되어 있다. 토글 스프링(120)의 양단은 위치결정핀(119)과 스프링걸기부(10d)에 걸려 있다. 협지수단(14)이 위치 B와 A에 있는 경우 위치결정핀(119)은 위치 b와 a에 있다고 하면, 위치 b와 a의 중간점인 위치 c가 위치결정핀(119)의 이동방향이 변하는 변곡점에 대응하여 위치 c와 대응하는 위치에 스프링걸기부(10d)가 배치된다.
규제수단
협지수단(14)의 상부암(12)은 협지스프링(89)에 의해 하방으로 힘을 받고,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협지스프링(89)의 가세력에 의해 하부암(12)를 하강시키는 시간을 설정하는 규제수단(18)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원통형판(124)은 픽업 승강대(10)의 상면과, 협지수단(14)과 분할캠(82) 사이에 설치된다. 원통형판(124)은 슬리브(87)를 중심으로 하는 원통의 일부를 갖는 부분원통을 형성하고, 도 39a, 40a-40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원주방향으로 연장되는 수평부(125a)와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직부(125b)로 된 L형의 가이드슬롯(125)이 형성되어 있다. 슬리브(87)의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한 가이드핀(12a)은 상부암(12)의 기단에 고착되어 있다. 가이드핀(12a)은 가이드 슬롯(125)을 관통하여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도 14를 참조하면, 협지수단(14)이 위치 B(대기위치)와 위치 B로부터 위치 A(재생위치)에 있기 직전의 경우, 가이드핀(12a)은 가이드슬롯(125)의 수평부(125a)에 위치한다. 따라서, 협지스프링(89)의 가세력이 있다해도 상부암(12)은 하강되지 않고 협지수단(14)의 개방을 유지한다. 한편, 협지수단(14)이 위치 A에 있는 경우, 가이드핀(12a)은 연직부(125b)에 위치하여 상부암(12)이 협지스프링(89)의 가세력에 의해 하강되어 연직부(125b)의 하단에 가이드핀(12a)을 하강시킨다.
협지수단(14)이 도 14의 위치 A까지 회전하여 가이드핀(12a)이 가이드슬롯(125)의 연직부(125b)까지 회전하면, 협지수단(14)이 곧바로 협지동작을 시작하지 않고, 명령을 받은 직후에 협지동작을 개시할 수 있도록, 가이드핀(12a)의 하방이동을 일시 규제하는 제 1규제수단과, 일시 규제후에 분할캠(10)이 전진하여 선택된 CD 및 트레이(2)가 하강하여 턴테이블(97)에 탑재되는 경우 일시규제를 해제하여 선택된 CD를 협지하는 제 2규제수단으로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축지지판(126)은 픽업 승강대(10)의 상면에 위치하고 도 14와 37에서 도시한 것처럼 원통형판(124)과 분할캠(82) 사이에서 분할캠(82)과 평행하게 설치되어 있다. 도 1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규제레버(127)의 중간부는 회전축(129)을 통하여 축지지판(126)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외부로 돌출한 핀(127a)은 규제레버(127)의 전면에 고착되어 있다. 규제레버(127)의 배면은 내측으로 휘어 가이드슬롯(125)의 연직부(125b)와 마주하고 있다. 도 3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스프링(128)은 규제레버(127)의 배면부를 하방으로 가세하도록 되어 있다. 규제레버(127)의 전면부의 핀(127a)은 도 39a에 도시한 것처럼 분할캠(82)의 하방 내부에 형성된 캠 그루브(82r)에 느슨하게 끼워져 있다. 캠 그루브(82r)의 상방 배면부에는 도피부가 형성되어 있다. 분할캠(82)이 전진하여 선택된 트레이(2)의 핀(2j, 2k)이 중간 감입부(82k)에 끼워지면, 핀(127a)은 캠 그루브(82r)의 도피부로 도피할 수 있다. 그리고나서, 규제레버(127)는 스프링(128)에 의해 회전되고 상부암(12)은 협지스프링(89)의 가세력에 의해 하강된다.
G) 푸시수단
푸시수단(8)은 케이스의 양측 내부에 설치되어 있다. 두 개의 푸시수단(8)의 구성이 동일하게 때문에, 하나만 설명한다. 도 1과 도 26a에서, CD를 압출(푸시)하는 푸시레버(132)는 케이스(1)의 상판(1d)에서 하방으로 돌출한 정지축(133)에 회전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푸시레버(132)는 롤러(35, 36) 간 경계의 높이와 동일하다. 복귀 스프링(134)은 정지축(133)을 포위하고 있고 그 양단이 푸시레버(132)의 스프링걸기부(132a)와 상판(1d)의 스프링걸기부에 걸려 있다. 푸시레버(132)는 상기한 바와 같이 분할캠(82)의 후진(분할캠(82)의 전진이동에 의한 공간형성의 방향과 반대방향)에 의해 회전한다. 구체적으로,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판(135)은 소정량만큼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축지지판(126)의 외부에 설치된다. 즉, 한 쌍의 가이드 슬롯(126a)이 축지지판(126) 내부에 설치되고, 한 쌍의 가이드핀(135a)은 한 쌍의 가이드슬롯(126a)을 통하여 설치되어 판(135)에 고착된다. 판(135)의 전면측단은 내측으로 휘어져 푸시레버(132)와 일체로 된 피압착부(132b)에 맞물려 있고 배면측단은 분할캠(82)의 뒤에 돌출되어 있다.
H) 조작수단
마지막으로, 조작수단(9)을 설명한다. 삽입/배출모드에서, 조작수단(9)은 디스크 승강대(22)를 상하로 이동시켜 트레이(2)상에 CD를 삽입 또는 배출하고 개 폐수단(6)과 푸시수단(8)도 조작한다. 재생모드에서, 조작수단(9)은 픽업 승강대(10)를 상승 또는 하강시켜서 디스크 승강대(22)가 최하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CD를 선택하고, 공간형성수단(11)과 규제수단(18)도 조작한다.
도 2, 도 18b-18c에서, 한 쌍의 내부 및 외부 슬라이더(139, 140)가 케이스(1)의 좌우측판(1c, 1b) 외부에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가이드 슬롯(139a, 140a)은 슬라이더(139, 140)의 상하부에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핀(158, 159)은 가이드슬롯(139a, 140a)을 관통해 설치되어 슬라이드판에 고착되고, 가이드핀(158, 159)에 유지링이 부착되어 있다.
한 쌍의 계단슬릿(141)은 내부 슬라이더의 배면부에 형성되어 수직 슬릿(78)에서 돌출된 픽업 승강대(10)의 한 쌍의 핀(77)을 6단계로 상승 및 하강시킨다. 한 쌍의 계단슬릿(142)은 내부 슬라이더의 전면부에 형성되어 수직 슬릿(25)에서 돌출된 디스크 승강대(22)의 한 쌍의 핀(22b)을 6단계로 상승 및 하강시킨다. 저면 슬릿(143)은 각 계단슬릿(142) 아래에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재생모드에서 디스크 승강대(22)가 최하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픽업 승강대(10)만을 상승 또는 하강시킨다. 한 편, 디스크 승강대(22)의 한 쌍의 긴 핀(22b)을 수용하는 한 쌍의 슬릿만이 외부 슬라이더(140)에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각 슬릿은 계단슬릿(142)에 수용되는 핀(22b)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사각형의 삽탈모드 슬릿부(144), 저면 슬릿(143)에 수용되는 핀(22b)를 최하위치에 유지시키는 수평 재생모드 슬릿부(145), 외부 슬라이더(140)의 슬라이드 동작에 의해 테이퍼면(146a, 146b)을 통해 상하로 핀(22b)을 이동시킴으로써 계단(142)과 저면 슬릿(143) 사이의 핀(22b)의 위치를 전환하는 45°경사 스위칭 슬릿부(146)를 포함한다. 재생모드 슬릿부(145)가 동일한 수직위치에 형성되면, 다른 슬릿과 중첩되게 된다. 따라서, 재생모드 슬릿부(145), 삽탈모드 슬릿부(144), 저면 슬릿(143), 계단슬릿(142) 및 이 슬릿에 삽입되는 핀(22b)은 다른 높이에 위치한다.
돌출부(140b)가 있는 외부 슬라이더(140)의 상부는 하방의 대각방향으로 휘어져 있다. 외부 슬라이더(140)과 함께 돌출부(140b)가 이동할 수 있기 위해, 도피 리세스(139b)와 도피슬릿(147)이 각각 내부 슬라이더(149)와 슬라이드판(1b)의 배면부에 형성되어 있다. 픽업 승강대(10)로 상승 및 하강시키는 분할캠(82)의 높이에 상관없이 분할캠(82)이 외부 슬라이더(140)와 함께 슬라이드할 수 있도록, 돌출부(140b)가 슬라이드 가능하게 걸어 맞추어진 수직 계합 그루브(82s)가 도 2에 도시한 것처럼 분할캠(82)의 배면 외측에 형성된다. 케이스(1)의 저면판(1e)의 아래로 연장된 계합부(140c)가 좌측 외부 슬라이더(140)의 전면부에 형성되어 있다. 외부 슬라이더(140)가 후방으로 슬라이드 되는 경우, 계합부(140c)는 피압착부(70c)를 후방으로 눌러서 복귀스프링(69)의 가세력에 대항하여 셔터(64)를 개방하게 된다.
내부 및 외부 슬라이더(139, 140)를 동기하여 동시에 슬라이드시키는 구동기구를 설명한다. 도 2 및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두 개의 연결축(148, 149)이 두 쌍의 수축(베어링)을 통하여 케이스(1)의 저면판(1e) 배면부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피니언(150, 151)은 연결축(148, 149)의 양단에 고착되고 내부 및 외부 슬라이더(139, 140)의 배면 하부에 형성된 랙(139c, 140c)에 맞물려 있다. 기어(152, 153)는 연결축(148, 149)에 고착되어 개별적으로 조작모터(154, 155)에 연결된다. 즉, 조작모터(154, 155)는 케이스(1)의 배면부에 배치된 수축판(126)의 상하 내부에 부착되고 수축판(126) 내부에 설치된 두 감속수단(156, 157)을 통해 기어(152, 153)에 연결된 출력축을 갖고 있다.
다음, 디스크 플레이어의 동작을 설명한다.
1) 동작의 전체개요
디스크 플레이어의 동작은 CD를 디스크 수납부(3)에 삽입하는 기능, CD를 디스크 수납부(3)에서 배출하는 기능, 디스크 수납부(3)에 저장된 CD에서 선택된 CD를 재생하는 기능의 3가지 기능으로 되어 있다.
2) CD 삽입
CD를 디스크 수납부(3)에 삽입하는 경우, 도시하지 않은 삽입 버튼을 누르기 전에 트레이 번호 예를 들면 No.2(번호 1-6이 위에서 아래로 트레이(2)에 할당되어 있다)가 선택되어 대응하는 번호의 버튼(도시하지 않음)을 누른다. 조작모터(154)의 출력축 회전이 감속수단(156)과 연결수단(148)에 전송되어 내부 슬라이더(139)를 슬라이드 시킨다. 독립적으로, 조작모터(154)의 출력축 회전이 감속수단(1567과 연결수단(149)에 전송되어 외부 슬라이더(140)를 슬라이드 시킨다. 외부 슬라이더(140)의 삽입/배출모드 슬릿부(144)에 핀(22b)이 들어가 예를 들면 도 19와 같이 핀(22b)이 삽입/배출모드에서의 모드전환위치에 있을 때 버튼을 누르면, 내부 슬라이더(139)의 후방이동에 의해 도 20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핀(22b)이 아래로부터 계단슬릿(142)의 2번째로 상승하고 디스크 승강대(22)도 상승하여 CD가 푸시레버(132) 높이의 2번째 트레이에 설정된다. 이 때, 픽업 승강대(10)도 동시에 상승하는데 이것은 불필요한 이동이 된다. 내부 슬라이더(139)의 후방이동에 의해 핀(22b)과 함께 픽업 승강대(10)를 상승시켜 순차적으로 3-6번째의 트레이(2)가 푸시레버(132)의 높이가 된다.
외부 슬라이더(140)가 도 20a에 도시한 대기위치로부터 후퇴하여 핀(22b)이 삽입/배출모드 슬릿부(144)의 전후방향의 중간위치에 있는 경우, 외부 슬라이더(140)의 계합부(140c)가 저면판(1e) 아래로 피압착부(70c)를 후방으로 누른다. 따라서, 전후방향의 슬라이드판(70)의 이동이 레버(72)를 통해 좌우방향의 슬라이드판(66)으로 전해지고 복귀스프링(69)의 가세력에 대항하여 좌축으로 이동하여 셔터(64)가 도 24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삽입/배출구(4)를 개방한다.
셔터(64)가 개방되고, 제 2트레이(2)가 푸시레버(132)와 동일한 높이에 있기 때문에, 도 24a와 같이 롤러(35, 36) 사이에 CD(171)를 삽입하면 셔터(64)의 전방에 위치한 도시하지 않은 센서가 CD(171)를 감지하여 이송모터(46)를 회전시킨다. 이송모터(46)의 회전력이 기어를 통해 롤러(36)에 전해지기 때문에, CD(171)가 롤러(36)와 스프링(38)에 의해 가세된 롤러(35) 사이에서 물려져 롤러(35, 36)의 회전에 의해 두 번째 트레이(2)에 삽입된다. 롤러(35, 36)에 의해 완전히 삽입되지 않기 때문에, CD(171)가 푸시스프링(60)에 의해 가세된 수직롤러(57)에 의해 중심방향으로 수 mm만큼 밀리게 된다. CD(171)는 판스프링(2m)의 프레서(2n)에 의해 트레이(2)상에 탑재된다. CD(171)가 롤러(35, 36)에서 분리되면, 도시하지 않은 리미트 스위치(limit switch)가 이송모터(46)의 회전을 중지시키고 동시에 외부 슬라이더(140)를 전진 이동시켜 도 20a에서와 같이 대기위치로 복귀시킨다. 따라서, 후방으로 눌려진 피압착부(70c)가 풀리면서 복귀스프링(69)의 동작을 통해 셔터(64)를 닫는다.
핀(22b)이 어느 다른 위치에 있는 경우, 즉 아래부터 1, 3-6번째의 계단슬릿(142) 중 어느 위치에 있는 경우, CD가 동일한 방법으로 디스크 수납부(3)에 삽입될 수 있다.
3) CD 배출
디스크 수납부(3)로부터 CD를 배출하는 경우, 예를 들면 No.2의 버튼을 배출버튼과 함께 누른다. 그리고, 삽입과 동일한 방법으로, 핀(22b)이 도 19에서와 같이 삽입/배출모드에서의 모드전환위치에서 도 20a의 대기위치로 이동하여 CD가 푸시레버(132)의 높이의 제 2트레이(2)에 설정된다. 외부 슬라이더(140)가 상기와 동일하게 도 20b에서 도시한 위치로 후퇴하게 되면, 셔터(64)가 개방된다. 여기까지의 동작은 CD 삽입과 동일하다.
도 21에서와 같이 핀(22b)이 삽입/배출모드 슬릿부(144)의 전방에 올 때까지 외부 슬라이더(140)가 더 후퇴하면, 외부 슬라이더(140)의 돌출부(140b)를 통해 외부 슬라이더(140)과 함께 동작하는 분할캠(82)이 도 26a-26b에서와 같이 후퇴하여 분할캠(82)의 배면이 후퇴를 위해 판(135)의 배면을 누른다. 그리고, 판(135)의 전면은 푸시레버(132)의 피압착부(132b)를 후방으로 눌러 푸시레버(132)를 회전시켜서 2번째 트레이(2)에 있는 CD(171)의 양측을 민다. 배출버튼을 누르는 순간 이송모터(46)가 구동하여 롤러(35, 36)를 회전시키기 때문에, 도 2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압출된 CD(171)가 롤러(35, 36) 사이에서 협지되어 배출된다. CD(171)의 배출시 CD가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CD(171)의 배면 일부가 롤러(35, 36) 사이에 협지되는 경우 도시하지 않은 리미트 스위치가 CD(171)를 검출하여 이송모터(46)의 회전을 중지시킨다. 이 후, CD(171)가 롤러(35, 36) 사이에서 수동으로 제거된다. 도시하지 않은 센서가 CD(171)가 배출된 것을 감지하면, 외부 슬라이더(149)가 전진하여 핀(22b)을 도 21의 위치에서 도 20a의 대기위치로 복귀시킨다.
그리고, 분할캠(82)에서 판(135)으로 가해진 후방측 힘이 제거됨으로써, 푸시레버(132)가 복귀스프링(134)의 가세력에 의해 회전되어 도 26a에 실선으로 표시한 초기위치로 복귀하고, 셔터(64)는 CD 삽입 후와 동일하게 닫히게 된다.
핀(22b)이 다른 위치에 있는 경우 즉 아래부터 1, 3-6번째의 계단슬릿(142) 중 어느 위치에 있는 경우, CD가 동일한 방법으로 디스크 수납부(3)에서 배출될 수 있다.
4) CD의 재생
CD를 재생할 때, 선택된 CD의 번호 버튼, 예를 들면 No.2의 버튼을 재생버튼과 함께 누른다. 그러면, 외부 슬라이더(140)가 전진하기 전에 내부 슬라이더(139)가 도 20a의 위치에서 전진하여 도 19와 같이 핀(22b)이 삽입/배출모드 슬릿부(144)의 최하위치를 지나 모드전환위치로 하강한다. 전환슬릿(146)(도 18c 참조)의 상부 테이퍼면(146b)을 눌러 핀(22b)을 하강시킨다. 핀(22b)이 저 면슬릿(143)으로 이동하면, 즉시 외부 슬라이더(140)의 재생모드 슬릿부(145)로 이동하여 도 22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재생모드로의 전환이 이루어진다. 전환시, 픽업 승강대(10)의 핀(77)은 계단슬릿(141)의 최하위치에 유지된다. 이 때, 핀(22b)은 재생모드에서 삽입/배출모드로의 전환위치에 있다. 이 상태에서 외부슬라이더를 후퇴시키는 경우, 전환슬릿(146)의 하부 테이퍼면(146a)을 눌러 도 19의 삽입/배출모드의 모드전환위치로 복귀할 수 있는 핀(22b)을 상승시킨다.
도 22a에서와 같이 외부 슬라이더(140)에 대한 핀(22b)의 위치가 모드전환위치뿐만 아니라 픽업 승강대(10)만을 변경하여 재생될 CD를 선택하는 CD 선택위치에 대응한다. 구체적으로, 내부 슬라이더(139)만이 도 22a에서 도시한 위치로부터 후퇴하면, 핀(22b)은 저면슬릿(141)을 따라 전진하는 것처럼 보이나 사실 연직슬릿(25)의 최하위치에 있기 때문에 최하의 재생위치로부터 디스크 승강대(22)의 이동은 없다. 한 편, 도 22a에는 없지만 핀(77)이 외부 슬라이더(140)에 의해 계단슬릿(141)을 따라 상대적으로 상승하는 것으로 보이나 실제 연직슬릿(78)을 따라 단계적으로 상승한다. 즉, 핀(22b)이 내부 슬라이더(139)를 후퇴시킴으로써 저면슬릿(143)에 할당된 번호 1-6의 어느 위치에 있는 경우, 핀(77)은 도 19에서 도시한 계단슬릿(142)에 수직으로 할당된 번호 1-6의 어느 하나에 대응하는 높이로 상승되거나 하강되어 대응번호의 CD를 재생하게 된다. 도 22a는 NO.6 CD가 재생될 수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도 22b는 No.1 CD가 재생될 수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여기서, 상기와 같이 No.2 CD가 선택되어 핀(77)이 도 23a에서 도시한 것처 럼 위에서 두 번째 위치로 상승된다. 상기 동작에 의해 CD가 재생된다. 다음의 동작은 선택된 번호의 CD와 동일하고, 외부 슬라이더(140)의 이동과 이송모터(46)의 구동에 의해 동작된다.
No.2 CD가 재생을 위해 선택된 도 23a에서 도시한 대기상태 후 장치의 동작을 설명한다. 대기상태는 각 핀(22b)이 도 23a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외부 슬라이더(140)의 위치 D에 있는 상태로서, 분할캠(82)은 도 29와 같이 위치한다. 외부 슬라이더(140)가 전진하여 핀(22b)이 제 1단계로서 위치 E로 오는 경우, 분할캠(82)이 전진하여 도 28a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 2 및 제 3트레이(2)의 핀(2k) 사이에 배면측의 하부 선단이 들어온다(핀(2j)에 대해서도 전면측의 하부 선단이 들어가서, 이하 핀(2k)과 같이 작용한다). 제 2트레이(2)의 핀(2k)이 제 1분리제어부(82c1)를 따라 슬라이드 되어 상단 감입부(82j) 상에 있고, 분할캠(82)의 상부선단이 제 1 및 제 2트레이(2)의 핀(2k) 사이로 들어가 도 30에서 도시한 상태가 된다. 핀(22b)이 제 3단계로서 위치 G에 있는 경우, 제 1트레이(2)의 핀(2k)이 제 1트레이(2)의 핀(2k)이 제 2분리제어부(82c2)를 따라 슬라이드 되어 분할캠(82)의 상면(82f)에 있게 된다. 결과적으로, 핀(22b)이 제 3단계로서 위치 G에 있는 경우, 도 3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선택된 트레이(2)의 상하에 형성된다.
도시하지 않은 센서가 도 23b에서와 같이 위치 G에 도달하면, 이송모터(46)가 회전을 시작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재생모드로 전환시 핀(22b)이 저면슬릿(143)으로 들어가 회전력공급수단(17)의 레버(113)를 하방으로 압출(푸시) 한다. 따라서, 레버(113)는 도 35a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핀(114)을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판(105)이 상승하여 축(109)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레버(110)를 회전시켜 도 3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어(112)와 기어(103h, 104)가 맞물린다. 따라서, 이송모터(46)의 회전이 구동축(30)과 기어트레인(103)을 통하여 랙(116b)에 의해 슬라이드바(116)에 전달된다. 그러면, 슬라이드바(116) 하부의 계합핀(116c)이 슬롯(13a)과 느슨하게 끼워지고, 협지수단(14)은 전면측으로 회전한다. 도 17a의 위치결정핀(119)이 변곡점인 위치 c를 넘으면, 토글 스프링(120)의 가세력이 반대방향으로 작용하여 도 17과 같이 위치결정핀(119)이 위치 a까지 회전하여 도 3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선택된 CD의 상하에 상부암(12)과 하부암(13)과 함께 척크판(99)과 턴테이블(97)이 들어간다. 평면도를 보면, 도 37의 상태에서 도 38의 상태로 변하게 된다. 도시하지 않은 리미트 스위치는 협지수단(14)의 회전을 검출하여 이송모터(46)의 회전을 중지시킨다.
외부 슬라이더(140)가 전진하여 4단계로서 도 23b에 나타낸 위치 H까지 핀(22b)이 오면, 선택된 트레이(2)의 핀(2k)이 중간 감입부(82k)로 하강하기 때문에 선택된 트레이(2)와 CD가 하강하여 선택된 CD를 도 3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턴테이블(97)에 탑재한다. 거의 동시에, 분할캠(82)이 외부 슬라이더(140)와 함께 전진함으로써 규제수단(18)을 동작시키고, 협지스프링(89)의 작용에 의해 협지수단(14)의 상부캠(12)을 하강시켜서, 선택된 CD가 턴테이블(97)과 척크판(99) 사이에 협지된다. 협지동작을 상세히 설명한다. 핀(22b)이 위치 G에 있고 협지수단(14)이 대기위치 B에 있는 경우, 가이드핀(12a)은 도 39a와 같이 가이드슬롯(125)의 수평부(125a)에 위치한다. 협지수단(14)이 재생위치 A에 있는 경우, 가이드핀(12a)은 도 40a와 같이 가이드슬롯(125)의 수직부(125b)로 이동한다. 그러나, 핀(127a)이 도 28b와 같이 분할캠(82)의 캠 그루브(82r)의 도피부로 도피할 수 없기 때문에, 가이드핀(12a)이 규제레버(127)의 배면에 의해 저지되어 하강할 수 없다. 그리고, 핀(22b)이 위치 H로 이동하는 경우, 분할캠(82)도 전진하기 때문에 핀(127a)가 도 28b 및 40b와 같이 캠 그루브(82r)의 도피부로 도피할 수 있다. 스프링(128)에 의해 가세된 규제레버(127)의 핀(127a)이 분할캠(82)의 캠 그루브(82r)의 도피부로 상방 이동하여 규제레버(128)의 배면부를 하강시킨다. 결과적으로, 협지스프링(89)에 의해 가세된 상부암(12)이 도 41과 같이 하강하여 상술한 것처럼 선택된 CD를 협지한다.
저면판(1e)에 설치된 지지대(92)를 협지수단(14)의 회전중심인 중공축(86)을 관통하여 설치함으로써 협지수단(14)의 회전중심이 정확히 저면판(1e)상에 위치되고, 토글 스프링(120)으로 위치결정핀(119)을 픽업 승강대(100에 압박하여 유지하기 때문에 턴테이블(97)과 척크판(99)은 원주방향의 궤적에 정확히 위치하게 된다. 또한, CD(171)를 탑재하는 트레이(2)를 가이드하는 가이드 지지대(23)도 지지대(92)와 동일하게 저면판(1e)에 설치된다. 따라서, 재생되는 CD의 중심, 턴테이블(97)과 척크판(99)가 서로 일치하여 CD(171)의 협지가 정확하게 된다.
외부 슬라이더(140)가 전진하여 도 23b와 같이 제 5단계로서 위치 I에 핀(22b)이 오면, 선택된 트레이(2)의 핀(2k)이 도 28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 감입부(82m)로 하강한다. 따라서,선택된 CD(171)와 접촉한 트레이(2)가 도 33에서 와 같이 하강하여 분리되면, 즉시 도 34와 같이 선택된 CD(171)를 유지하고(누르고) 있는 판스프링(2m)의 수용부(2q)가 분할캠(82)의 배면측 상단 감입부(82j)의 하면에 의해 위방향으로 압출되어 선택된 CD(171)를 개방한다. 이 때, 선택된 트레이(2)의 아래에 있는 트레이(2)가 분할캠(82)의 하면(82h)에 의해 눌려지고, 선택된 트레이(2) 위에 있는 트레이(2)는 코일스프링(24)에 의해 하방으로 가세됨으로써 트레이(2)가 진동하는 차량의 영향에 의해 진동되는 것을 방지한다.
선택된 CD를 상술한 바와 같이 협지수단(14)에 의해 협지한 후, 도 38과 같이 위치 A에 협지수단(14)이 위치한 상태로 CD가 재생된다. 스핀드모터(96)의 회전으로 CD가 턴테이블(97)를 통해 회전한다. 그러면, 픽업장치(16)의 스캐닝모터(165)가 회전하고 나사축(165)에 전달되어 CD의 반경방향으로 내부에서 외부로 광픽업장치(165)를 이동시킴으로써 CD를 재생한다.
CD 재생후, 나사축(164)이 역회전되어 광픽업(162)이 초기위치로 복귀된다. 그러면, 스캐닝모터(165)의 회전이 중지되고 스핀들모터(96)의 회전도 중지된다. 역단계를 통하여 외부 슬라이더(140)가 후퇴하고 분할캠(82)도 후퇴한다. 도 40a와 같이 핀(127a)이 위치 H에서 위치 G로 복귀하면 도 40b와 같이 위치해 있는 규제레버(127)의 핀(127a)이 도 40a와 같이 분할캠(82)의 도피부에서 빠져 아랫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규제레버(127)의 배면부가 하강한다. 따라서, 협지수단(14)에서 외측으로 돌출한 가이드핀(12a)이 가이드 슬롯(125)의 연직부(125b)를 따라 상방으로 되어 협지수단(14)이 회전상태에 있게 된다. 이 후, 도시하지 않은 센서가 가이드핀(12a)의 상방이동을 감지하여 이송모터(46)을 상기 방향과 반대로 회전시켜서 협지수단(15)이 후방으로 회전한다. 도 17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위치 b에 있는 위치결정핀(119)이 변곡점인 위치 c를 넘으면, 토글 스프링(120)의 가세력이 반대방향으로 작용하여 위치결정핀(119)을 도 17a와 같이 위치 b로 회전시킴으로써 협지수단(14)을 대기위치로서의 위치 B로 복귀시킨다. 도시하지 않은 리미트 스위치는 협지수단(14)의 회전을 검출하여 이송모터(46)의 회전을 중지시킨다. 협지수단(14)은 대기위치 B에서도 토글 스프링(120)에 의해 후방으로 가세되어 진동하는 차량으로부터 영향을 받지 않는다. 그 후, 외부 슬라이더(140)가 후퇴하여 핀(22b)이 도 23b와 같이 대기위치 D로 복귀되면, 분할캠(82)도 후퇴하여 제 1-3트레이(2) 모두가 하강되어 트레이(2)를 6개의 트레이가 분리되지 않은 도 29의 상태로 복귀한다.
위로부터 2번째 이상의 CD를 재생하는 경우, 내부 슬라이더(139)가 도 23a의 상태에서 전후로 이동하여 내부 슬라이더(139)에 할당된 위치 1, 3-6의 어느 위치에 핀(22b)이 상대적으로 이동된다. 그 후, 외부 슬라이더(140)가 슬라이드 되어 핀(22b)에 외부 슬라이더(140)상의 위치 D-I를 순차 정렬함으로써, 상술한 바와 같이 동일한 동작을 반복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는 음성을 재생하는 디스크 플레이어에 응용되는 디스크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에 관한 것이나, 디스크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는 음성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화상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에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트레이가 수직으로 중첩되어 있는 경우를 설명하였지만, 수평으로 할 수도 있다. 또한, 디스크의 크기가 12cm이지만, 8cm 등 다른 크기이어도 좋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디스크지지판이 트레이형태이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디스크지지판은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의 디스크 삽탈구로부터 삽입하여 트레이에 탑재하기까지의 사이에 디스크의 통과를 일시적으로 지지하는 부재를 포함하여도 좋다.
본 발명에 의한 디스크지지판, 이러한 디스크지지판을 포함하는 디스크 체인저기구, 디스크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는 다음의 효과를 갖는다.
1) 본 발명의 디스크지지판은 인쇄에 의해 형성된 수지부를 포함하여 코팅으로 수지부를 형성하는 것에 비해 원하는 위치에 원하는 형태의 얇은 수지부를 형성할 수 있다.
2) 본 발명의 디스크지지판은 기계강도가 우수한 금속판으로 형성된 기판을 포함하여 인쇄에 의해 얇은 수지부의 형성이 가능함과 동시에 디스크지지판을 얇게 할 수 있다.
3) 본 발명의 디스크지지판은 기판 전면에 부착된 수지부를 포함하여 디스크의 전면을 수지부로 지지할 수 있다.
4) 본 발명의 디스크지지판은 디스크의 삽입측의 테두리를 따라 부착된 제 1수지부에 의해 기판상으로 디스크를 용이하게 넣을 수 있다.
5) 본 발명의 디스크지지판은 디스크의 삽입측 테두리에 부착된 제 1수지부와, 디스크 배출측의 테두리를 따라 부착된 제 2수지부와, 상기 제 1수지부와 제 2수지부 사이에 부착된 제 3수지부를 포함하여, 적어도 하나에 의해 디스크의 일부를 지지하고 다른 부분은 기판에 대하여 비접촉상태로 지지될 수 있다.
6) 본 발명의 디스크지지판은 상기 제 1, 2 및 3수지부의 하나가 불연속적으로 형성되어 마찰을 줄이고 수지부와 디스크의 접촉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다.
7) 본 발명의 디스크지지판은 기판의 중심에 형성된 제 3수지부에 의해 기판상의 디스의 이동을 부드럽게 할 수 있다.
8) 본 발명의 디스크지지판은 기판상에 대칭적으로 배열된 제 3수지부에 의해 기판상의 디스크의 지지를 균형있게 할 수 있다.
9) 본 발명의 디스크지지판은 수지부의 두께가 0.1-0.2mm로서 수지부 인쇄를 쉽게 할 수 있고 기판에 변형이 있더라도 이 변형에 대한 적응력이 우수하다.
10) 본 발명의 디스크지지판은 기판의 양면에 수지부가 형성되어, 상하면측의 디스크 양면을 보호할 수 있다.
11) 본 발명의 디스크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는 인쇄에 의해 기판에 부착된 수지부를 갖고 있는 디스크지지판을 포함하여, 디스크 수납부의 두께를 줄이고 전체장치의 크기 및 두께를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기와 같이 기술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화와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여기서, 일본 특허출원 2000-042836을 참조하고 있다.

Claims (20)

  1. 제 1수지부 및 제 2수지부를 구비하여 디스크 로딩방향에 따라서 상기 제 1수지부에서 상기 제 2수지부까지 디스크가 디스크 지지판상에 로드되도록 구성되는 기판과,
    상기 제 1수지부, 상기 제 2수지부 및 제 1수지부와 상기 제 2수지부사이에 위치된 제 3수지부에만 형성된 수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지지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은 금속판으로 이루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지지판.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의 두께는 0.3mm이고 상기 수지부의 두께는 0.1∼0.2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지지판.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부는 상기 기판의 양면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지지판.
  11. 장치의 외부형태를 형성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에 배치되는 디스크 지지판과,
    상기 디스크 지지판은,
    제 1수지부 및 제 2수지부를 구비하여 디스크 로딩방향에 따라서 상기 제 1수지부에서 제 2수지부까지 디스크가 상기 디스크 지지판상에 로드되도록 구성되는 기판과,
    상기 제 1수지부, 상기 제 2수지부 및 제 1수지부와 상기 제 2수지부사이에 위치된 제 3수지부에만 형성된 수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에 설치되어 상기 디스크 지지판에 디스크를 수납하는 디스크 수납부와,
    상기 디스크 수납부에서 디스크를 삽입 및 배출하는 삽입배출수단과,
    상기 케이스에 설치되어 상기 디스크 수납부의 디스크를 재생하는 재생수단과,
    상기 디스크 수납부와 상기 재생수단 중 적어도 하나를 조작하는 조작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기록 및 재생장치.
  12. 제 1수지부 및 제 2수지부를 구비하여 디스크 로딩방향에 따라서 상기 제 1수지부에서 상기 제 2수지부까지 디스크가 디스크 지지판상에 로드되도록 구성되는 기판과,
    상기 제 1수지부, 상기 제 2수지부 및 제 1수지부와 상기 제 2수지부사이에 위치된 제 3수지부에만 형성된 수지부를 포함하는 복수의 디스크 지지판과,
    디스크를 수납하는 상기 복수의 디스크 지지판으로 이루어진 디스크 수납부와,
    상기 디스크 수납부에서 디스크를 삽입 및 배출하는 삽입배출수단과,
    상기 디스크 수납부에 수납된 디스크 중 하나를 선택하는 선택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체인저기구.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부는 상기 제 1수지부, 제 2수지부 및 상기 제 3수지부상에 불연속없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지지판.
  1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수지부에 설치된 수지부, 상기 제 2수지부에 설치된 수지부 및 상기 제 3수지부에 설치된 수지부 중 적어도 하나는 불연속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지지판.
  1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3수지부는 상기 제 1수지부 및 상기 제 2수지부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지지판.
  1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3수지부는 상기 제 1수지부 및 상기 제 2수지부에 연결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지지판.
  1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3수지부는 디스크 로딩방향에 평행하게 상기 기판의 중심선을 따라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지지판.
  1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3수지부는 디스크 로딩방향에 평행하게 상기 기판의 중심선에 대하여 대칭으로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지지판.
  19. 장치의 외부형태를 형성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에 배치된 디스크 지지판과,
    상기 디스크 지지판은,
    제 1수지부 및 제 2수지부를 구비하여 디스크 로딩방향에 따라서 상기 제 1수지부에서 상기 제 2수지부까지 디스크가 상기 디스크 지지판상에 로드되도록 구성되는 기판과,
    상기 제 1수지부, 상기 제 2수지부 및 제 1수지부와 상기 제 2수지부사이에 위치된 제 3수지부에만 형성된 수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에 설치되어 상기 디스크 지지판에 디스크를 수납하는 디스크 수납부와,
    상기 디스크 수납부에서 디스크를 삽입 및 배출하는 로더와,
    상기 케이스에 설치되어 상기 디스크 수납부의 디스크를 재생하는 재생기와,
    상기 디스크 수납부와 상기 재생기 중 적어도 하나를 조작하는 조작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기록 및 재생장치.
  20. 제 1수지부 및 제 2수지부를 구비하여 디스크 로딩방향에 따라서 상기 제 1수지부에서 상기 제 2수지부까지 디스크가 디스크 지지판상에 로드되도록 구성되는 기판과,
    상기 제 1수지부, 상기 제 2수지부 및 제 1수지부와 상기 제 2수지부사이에 위치된 제 3수지부에만 형성된 수지부를 포함하는 복수의 디스크 지지판과,
    디스크를 수납하는 상기 복수의 디스크 지지판으로 이루어진 디스크 수납부와,
    상기 디스크 수납부에서 디스크를 삽입 및 배출하는 로더와,
    상기 디스크 수납부에 수납된 디스크 중 하나를 선택하는 선택기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체인저기구.
KR1020010007715A 2000-02-21 2001-02-16 디스크 지지판, 디스크 체인저기구와 디스크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KR10088176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042836A JP4352292B2 (ja) 2000-02-21 2000-02-21 ディスクの記録及び/又は再生装置の製造方法
JP2000-042836 2000-02-2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83175A KR20010083175A (ko) 2001-08-31
KR100881760B1 true KR100881760B1 (ko) 2009-02-06

Family

ID=185658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07715A KR100881760B1 (ko) 2000-02-21 2001-02-16 디스크 지지판, 디스크 체인저기구와 디스크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6785897B2 (ko)
JP (1) JP4352292B2 (ko)
KR (1) KR100881760B1 (ko)
CN (1) CN100587823C (ko)
DE (1) DE10108407B4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96034B1 (en) * 2000-09-20 2006-02-07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Disk device holding a plurality of disks at its inner diameter
CN1254812C (zh) * 2001-04-16 2006-05-03 索尼株式会社 盘保持构件、盘托架、记录及/或再生装置、换盘装置
JP4602036B2 (ja) * 2004-09-14 2010-12-22 ソニー株式会社 ディスクトレイ及びディスクドライブ装置
TWM287454U (en) * 2005-08-30 2006-02-11 Topray Technologies Inc Structure of suction-type optical disc drive
US7561379B2 (en) * 2005-10-28 2009-07-14 Seagate Technology Llc Laminated return pole for suppressing side track erasure
JP4589221B2 (ja) * 2005-11-25 2010-12-01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光ディスク装置
JP2008065921A (ja) * 2006-09-08 2008-03-21 Hitachi Maxell Ltd ディスクマガジン及びディスクチェンジャシステム
JP6761987B2 (ja) * 2016-12-20 2020-09-30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ディスク用マガジン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32128A (ko) * 1996-05-23 1998-07-25 후카야마사부로 기록 매체 디스크 수납체
KR19980081146A (ko) * 1997-04-08 1998-11-25 이데이노부유끼 디스크 기록/재생 장치와 그에 사용되는 디스크 수납체 케이스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50262A (ja) * 1984-01-13 1985-08-07 Sony Corp デイスクプレ−ヤ
JPS6176567A (ja) 1984-09-22 1986-04-19 Toyota Central Res & Dev Lab Inc 塗料組成物
JPH027249A (ja) 1988-06-27 1990-01-1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光ディスクの製造方法
JPH02128257A (ja) 1988-11-09 1990-05-16 Meidensha Corp エラー発生通知方法
JP3066649B2 (ja) 1990-05-28 2000-07-17 富士通株式会社 システム間時刻補正制御方式
JPH0462480A (ja) * 1990-06-30 1992-02-27 Nippon Seiki Co Ltd 交差コイル型計器
JP3003719B2 (ja) 1991-05-02 2000-01-31 アルパイン株式会社 ディスクマガジン
JP3433760B2 (ja) * 1993-05-14 2003-08-04 ソニー株式会社 光ディスクの保護膜機
JPH07122022A (ja) 1993-10-26 1995-05-12 Nakamichi Corp ディスク載置用キャリッジ
JP2848240B2 (ja) 1994-05-24 1999-01-20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ディスクトレイ
JP2893643B2 (ja) * 1994-12-01 1999-05-24 ティーディーケイ株式会社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
KR19980036429A (ko) * 1996-11-18 1998-08-05 김광호 광 디스크 플레이어의 트레이
JP3890661B2 (ja) * 1997-04-08 2007-03-07 ソニー株式会社 ディスク記録及び/又は再生装置
JP2000344353A (ja) * 1999-05-31 2000-12-12 Seiko Precision Inc プリンタ
JP4003358B2 (ja) 1999-09-29 2007-11-07 ソニー株式会社 ディスクの記録及び/又は再生装置
JP2001332077A (ja) * 2000-05-22 2001-11-30 Sony Corp ディスク・ドライブ装置
US7770189B2 (en) * 2004-11-16 2010-08-03 Transpacific Electronics, Llc Tray used in an optical disk drive
JP2005339703A (ja) * 2004-05-28 2005-12-08 Orion Denki Kk トレイを備えたディスク記録再生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32128A (ko) * 1996-05-23 1998-07-25 후카야마사부로 기록 매체 디스크 수납체
KR19980081146A (ko) * 1997-04-08 1998-11-25 이데이노부유끼 디스크 기록/재생 장치와 그에 사용되는 디스크 수납체 케이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108407B4 (de) 2013-02-07
US6785897B2 (en) 2004-08-31
JP4352292B2 (ja) 2009-10-28
DE10108407A1 (de) 2001-08-23
USRE42482E1 (en) 2011-06-21
US20010028627A1 (en) 2001-10-11
CN1313594A (zh) 2001-09-19
CN100587823C (zh) 2010-02-03
JP2001236750A (ja) 2001-08-31
KR20010083175A (ko) 2001-08-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RE42482E1 (en) Disc support plate, disc changer mechanism, and disc recording and/or reproducing device
KR100792539B1 (ko) 디스크 트레이 선반 및 디스크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KR100714957B1 (ko) 디스크의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
JP2001101754A (ja) ディスクの記録及び/又は再生装置
JP3978949B2 (ja) ディスクの記録及び/又は再生装置
KR20010110998A (ko) 디스크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및 디스크 교환기구
JP3978947B2 (ja) ディスクの記録及び/又は再生装置
JP4003358B2 (ja) ディスクの記録及び/又は再生装置
JP4003357B2 (ja) ディスクの記録及び/又は再生装置
JP3978954B2 (ja) ディスクの記録及び/又は再生装置
JP3975624B2 (ja) ディスクの記録及び/又は再生装置
JP3945091B2 (ja) ディスク保持装置とディスクの記録及び/又は再生装置
JP4099587B2 (ja) ディスク記録及び/又は再生装置
JP3978948B2 (ja) ディスクの記録及び/又は再生装置
JP3978950B2 (ja) ディスクの記録及び/又は再生装置
JP4052250B2 (ja) ディスク記録及び/又は再生装置
JP2007317356A (ja) ディスク記録及び/又は再生装置
JP2002279720A (ja) ディスクチェンジャ
JP2001351307A (ja) ディスクの記録及び/又は再生装置
JP2002208210A (ja) ディスクの記録及び/又は再生装置
JP2001351306A (ja) ディスクの記録及び/又は再生装置
JP2001351304A (ja) ディスクの記録及び/又は再生装置
JP2001351303A (ja) ディスクの記録及び/又は再生装置
JP2002170313A (ja) ディスクの記録及び/又は再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