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92539B1 - 디스크 트레이 선반 및 디스크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크 트레이 선반 및 디스크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92539B1
KR100792539B1 KR1020010045665A KR20010045665A KR100792539B1 KR 100792539 B1 KR100792539 B1 KR 100792539B1 KR 1020010045665 A KR1020010045665 A KR 1020010045665A KR 20010045665 A KR20010045665 A KR 20010045665A KR 100792539 B1 KR100792539 B1 KR 1007925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trate
disc
layer
tray
p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456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11094A (ko
Inventor
타끼자와카즈유끼
와따나베토모히로
하마토루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200110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110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925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925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7/00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 G11B17/02Detail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7/00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 G11B17/02Details
    • G11B17/021Selecting or spacing of record carriers for introducing the head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7/00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 G11B17/02Details
    • G11B17/04Feeding or guiding single record carrier to or from transducer unit
    • G11B17/0401Details
    • G11B17/0402Servo control
    • G11B17/0404Servo control with parallel drive roll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7/00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 G11B17/22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from random access magazine of disc records
    • G11B17/221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from random access magazine of disc records with movable magazine
    • G11B17/223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from random access magazine of disc records with movable magazine in a vertical direction

Landscapes

  • Holding Or Fastening Of Disk On Rotational Shaft (AREA)
  • Automatic Disk Changers (AREA)

Abstract

디스크 지지판은 기판과, 기판 위에 위치하는 접착층과, 접착층을 통하여 기판 위에 위치하는 식모층으로 구성된다.

Description

디스크 지지판 및 디스크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Disc support plate and disc recording and/or reproducing devic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크 재생장치 또는 디스크 재생기의 실시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디스크 재생기의 분해시 나타나는 확대 도면이다.
도 3a는 도 2와 비슷한 도면으로서, 디스크 재생기의 수용부를 도시하는 확대 도면이다.
도 3b는 디스크 재생기 트레이의 일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트레이의 일부를 나타나는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V-V 방향에서 자른 단면도이다.
도 6a와 6b는 식모층의 일부를 도시하는 확대도면으로서 도 6a는 기판 표면에 수직하는 식모층을 나타내고, 도 6b는 각각의 기판표면으로 기울어진 식모층을 나타낸다.
도 7은 도 4와 비슷한 도면으로서, 트레이의 제 1변형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7의 Ⅷ-Ⅷ 방향에서 자른 단면도이다.
도 9는 트레이의 제 2변형 예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10은 도 9와 비슷한 도면으로서, 트레이의 제 3변형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1a는 도 10와 비슷한 도면으로서, 디스크 수용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1b는 디스크 수용부의 정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2는 도 1와 비슷한 도면으로서, 케이스의 내부에서 후면을 향하여 본 도면이다.
도 13은 도 3a와 비슷한 도면으로서, 전송수단과 회전력 제공수단 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4는 도 12와 비슷한 도면으로서, 재생수단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5는 도 10와 비슷한 도면으로서, 유지수단의 일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6은 도 11a와 비슷한 도면으로서, 픽업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7a는 대기 위치에 유지수단이 위치하는, 위치결정수단의 배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7b는 도 17a와 비슷한 도면으로서, 재생 위치에 유지수단이 위치하는, 위치결정수단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8a는 도 11b와 비슷한 도면으로서, 조작수단의 픽업 승강대(lifting/lowering stage) 및 트레이 승강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
도 18b는 도 18a와 비슷한 도면으로서, 조작수단의 내부 슬라이더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8c는 도 18b와 비슷한 도면으로서, 조작수단의 외부 슬라이더를 도시하 는 도면이다.
도 19는 디스크 투입/배출 모드에 있어서 모드 전환 위치에서 조작수단의 동작을 설명하는 개념도이다.
도 20a는 도 19와 비슷한 도면으로서, 제 2디스크가 선택되며, 대기 위치에서 조작수단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0b는 도 20a와 비슷한 도면으로서, 제 2디스크가 투입되고 배출되며, 셔터가 열림에 따른 조작수단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1은 도 20b와 비슷한 도면으로서, 제 2디스크가 배출되며, 푸시 레버가 회전함에 따른 조작수단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2a는 도 21과 비슷한 도면으로서, 제 6디스크가 재생되며, 디스크 재생 모드에 있어서 조작수단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2b는 도 22a와 비슷한 도면으로서, 제 1디스크가 재생되며, 디스크 재생 모드에 있어서 조작수단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3a는 도 22b와 비슷한 도면으로서, 제 2디스크가 재생되며, 핀이 위치 D에 있거나 또는 대기 위치에 있을 때 조작수단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3b는 도 23a와 비슷한 도면으로서, 제 2디스크가 재생되며, 핀이 위치 l에 있거나 또는 재생 위치에 있을 때 조작수단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4a는 도 16과 비슷한 도면으로서, 디스크가 투입된 디스크 재생기를 나타낸다.
도 24b는 도 18c와 비슷한 도면으로서, 디스크가 투입된 디스크 재생기를 나 타낸다.
도 25는 디스크가 투입된 디스크 재생기의 수직 단면도이다.
도 26a는 도 24a와 비슷한 도면으로서, 디스크 배출시 배출수단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6b는 도 24b와 비슷한 도면으로서, 디스크 배출시 배출수단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7은 도 25와 비슷한 도면으로서, 디스크 배출시 배출수단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8a는 도 23b와 비슷한 도면으로서, 트레이의 각각의 이동에 따른 분리 캠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8b는 도 28a와 비슷한 도면으로서, 각각의 핀에 따른 분리 캠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9는 분리 캠에 의하여 분리되기 전의 트레이 측면도이다.
도 30은 도 29와 비슷한 도면으로서, 분리 캠에 의하여 2그룹으로 분리된 트레이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1은 도 30과 비슷한 도면으로서, 분리 캠에 의하여 3그룹으로 분리된 트레이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2는 도 31과 비슷한 도면으로서, 트레이가 하강된 후 턴테이블에 위치하며 유지수단에 의해 유지되는 재생 디스크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3은 도 32와 비슷한 도면으로서, 트레이가 하강된 후 트레이로부터 분리 된 재생 디스크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4는 도 28b와 비슷한 도면으로서, 재생시 팽창된 트레이의 판 스프링에 의해 개방된 재생 디스크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5a는 도 34와 비슷한 도면으로서, 회전력이 없을 때 회전력 제공수단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5b는 도 35a와 비슷한 도면으로서, 회전력이 제공될 때 회전력 제공수단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6은 도 35b와 비슷한 도면으로서, 회전력을 받을 때 유지수단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7은 도 36과 비슷한 도면으로서, 대기위치에서 유지수단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8은 도 37과 비슷한 도면으로서, 재생 위치에서 유지수단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9a는 대기위치에서 유지수단의 규제수단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9b는 도 15와 비슷한 도면으로서, 대기위치에서 유지수단의 규제수단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0a는 도 39b와 비슷한 도면으로서, 유지가 저지되며, 재생 위치에서 유지수단의 규제수단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0b는 도 40a와 비슷한 도면으로서, 저지가 해제되며, 재생 위치에서 유지수단의 규제수단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1은 도 40b와 비슷한 도면으로서, 규제수단에 의해 해제된 것을 저지함으로써 유지하는 유지수단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2는 도 14와 비슷한 도면으로서, 기존의 디스크 재생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2. 트레이(디스크 수용판) 2a. 기판
2b. 접착층 2c. 식모층(flocked layer)
본 발명은 디스크를 보유하기 위한 디스크 지지판과 이러한 디스크 지지판을 가지는 디스크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음악 재생을 위하여 자동차에 탑재되는 디스크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중의 하나는 디스크 재생기이다. 컴팩트디스크(CD)와 같은 복수개의 디스크 같은 기록매체는 저장함(magazine)에 보관되고, 저장함에 보관된 전체의 디스크들은 가끔 교환되도록 디스크 재생기가 구성되어 있다. 이것은 디스크 재생기의 크기를 증가시키고, 따라서 본체는 트렁크 상에서 위치하는 반면에, 조작에 필요한 부분만이 자동차 실내에 설치된다. 그러나, 디스크 교환은 자동차 운행 중에는 불가하며, 트렁크를 열기 위해서는 정지를 해야 하는, 귀찮은 일이 되고 있다.
이와 같이, 자동차 실내에 수용되는 차량-장착용 디스크 재생기가 최근에 개 발되고 있다. 이러한 차량-장착용 디스크 재생기는, 복수개의 디스크를 저장하도록 요구되며, 자동차 실내의 계기판의 소정의 위치에 설치된다. 따라서, 차량-장착용 디스크 재생기 크기의 소형화는 중요한 과제가 되고 있다.
예를 들어, 도 42에서와 같이, 차량-장착 디스크 재생기는 1 DIN 크기 등으로 불려지는 소정의 크기인 4각-프리즘 케이스(201)로 구성되며, 그 내부에는, 6개의 디스크(202)를 각각 보관하는 6개의 디스크 지지판 또는 트레이(203)가 디스크 수납부(204)를 이루며 차곡차곡 위에 쌓여있다. 6개의 디스크(202)는 각각의 트레이(203)에 보관되도록 케이스(201)에 형성된 디스크 로딩 투입구(205)를 통하여 각각 적재된다.
6개의 트레이(203)는 안내 지주(206)를 통하여 수직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포개져 있다. 재생시에는, 선택된 디스크(202)를 보관하는 선택 트레이(203)와 그 위에 있는 다른 나머지 트레이(203)들은 위로 이동됨으로써 선택된 트레이(203) 아래로 공간을 만들어 주며, 이 공간 속으로 디스크(202)를 수용하여 회전시키는 턴테이블과 광 픽업이 디스크(202)를 재생하기 위하여 삽입된다.
디스크(202)의 투입 중에 발생되는 손상에 대하여 트레이(203)의 보호를 위하여, 예를 들면, 각각의 트레이(203)는 금속기판의 전표면 또는 금속기판의 일부를 코팅하는 수지층을 가지며, 이 수지층은 디스크(202)와 접촉하는 부분이며, 아웃서트(outsert) 성형방법 또는 보호 시트(protective sheet)를 접착시키는 접착성형 방법으로 형성된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트레이와 디스크 재생기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제 1문제는, 금속기판 전체 표면을 코팅함으로써 놓여진 수지층을 가지는 트레이는 전체 코팅 과정중 외부 이물질과의 혼합으로 곤란을 겪는 경향이 있으며, 이것은 디스크 손상을 유발할 수 있다. 또한, 코팅에 의한 수지층에 있어서, 기판 단면에 의한 디스크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기판 단면의 특수처리가 요구된다.
제 2문제는, 아웃서트 성형으로 금속기판의 일부분에 위치하는 수지층을 가지는 트레이는, 아웃서트 성형의 기본적 성질상 수지층 0.1 ~ 0.2mm의 얇은 두께를 가지는 것이 어렵다. 또한, 기판으로부터 수지층이 벗겨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기판에 특정한 고안이 요구되며, 제조비용을 증가시킨다.
제 3 문제는, 금속기판의 일부에 부착하는 수지층과 같은 보호 시트를 가지는 트레이는 보호 시트 부착성의 기본적 성질로 인하여 작업성이 떨어지고, 부착 중에 부착 위치의 변동을 일으킨다. 보호 시트는 약 0.45mm의 두께가 요구되며, 트레이가 매우 두꺼워지도록 한다. 또한, 보호시트 자리로부터 새어 나오는 접착제는 경화됨으로써 트레이에 손상을 일으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접착층을 통하여 금속과 같은 재질의 기판 위에 식모층(植毛層)(flocked layer)을 가지는 트레이를 제공하는 것이며, 이로서 디스크를 트레이에 장착할 때 식모층에 의해 디스크 보호가 보장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제공하는 지지판으로서,
디스크 투입면 측에 끝단(edge)을 갖는 기판과,
기판 위에 위치하는 접착층과,
접착층을 통한 기판 위에 위치하는 식모층으로 구성되는 지지판과,
본 발명의 관점으로서 제공하는 디스크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로서.
디스크를 지지하는 적어도 1개의 지지판과, 지지판의 구성은,
디스크 투입면 측에 끝단을 갖는 기판과,
기판 위에 위치하는 접착층과,
접착층을 통한 기판 위에 위치하는 식모층으로 구성되는 지지판으로 디스크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가 구성된다.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트레이와 디스크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에 관한 설명을 한다.
실시 예에 있어서, 본 발명은 음성을 재생하는 디스크 재생기에 적용된다. 아래의 설명에서, 콤팩트 디스크(CD) 등과 같은 디스크는 CD로 칭하기로 한다.
A) 디스크 재생기의 전체 구성
도 1 ~ 도 18c에서와 같이, 디스크 재생기는 일반적으로 디스크 재생기의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1)와, CD들을 보관하는 케이스(1) 내부의 전단부에 위치하는 디스크 수용부(3)와, 케이스(1) 전면판(1a)의 투입/배출구(4)에 위치하며 디스크 수용부(3)로부터 CD를 투입하고 배출하는 전송수단(5)과, 전송수단(5)의 전면측에 위치하며 전면판(1a)의 투입/배출구(4)를 열고 닫는 열기/닫기수단과, 케이스(1)의 내부 배면측에 위치하며 디스크 수용부(3)의 CD중 어느 하나를 재생하는 재생수단(7)과, 디스크 수용부 배면측의 양 옆에 위치하며 전송수단(5)을 향하여 배출되도록 CD를 밀어내는 푸시수단(push means)과(8), 케이스(1)의 우측판(1c)과 좌측판(1b)의 외부에 주로 설치되며 디스크 수용부(3)를 조작하는 조작수단(9)과 재생수단(7) 등으로 구성된다.
재생수단(7)은 수직으로 이동하는 픽업 승강대 또는 상승/하강수단(10)의 양 옆에 위치하며 디스크 수용부의 CD중에서 선택된 CD에 대하여 상하 공간을 형성하는 공간형성수단(11)과, 픽업 승강대(10)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제 1암 또는 하부 암(lower arm)(13)과 제 2암 또는 상부 암(upper arm)(12)으로 구성되는 유지수단(14)과, 하부 암(13)에 장착되어 보관된 CD를 회전 구동시키는 디스크 구동수단(15)과, 하부 암(13)에 장착되어 회전하는 CD에서 정보를 읽는 픽업유닛(16)과, CD가 투입되고 배출되는 투입/배출 모드가 아니라 CD가 재생되는 재생 모드에서만 유지수단(14)에 회전력을 전송하는 회전력 제공수단(17)과, 유지수단이 CD를 유지할 때의 시기를 정하는 규제수단으로 구성된다.
B) 케이스
케이스(1)는 전면판(1a)과, 측면판(1b와 1c)과, 상부판(1d)과, 하부판(1e)으로 구성된다. 케이스(1)든 배면에서 열려진다. 측면판(1b와 1c)과 하부판(1e)은 서로 일체화 된다.
C) 디스크 수용부 및 트레이
도 3a ~ 3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디스크 수용부 또는 디스크 유지수단(3)은 6개의 트레이(2)와 이 6개 트레이를 유지하는 디스크 승강대(22)로 구성되고, 수직방향으로 향하고 양 끝은 상부판(1d)과 하부판(1e)에 연결되는 4개의 안내지주(guide support) 또는 지지수단(23)에 의해 지지된다.
도 4를 참조하면, 각각의 트레이(2)는 접착층(2b)을 통과하여 기판(2a) 위에 식모층(2c)을 설치함으로써 구성된다. 도 5를 참조하면, 기판(2a)은 알루미늄 스테인레스 금속과 같은 금속으로 만들어 졌으며 두께(T1)는 약 0.3mm 가량 된다. 금속재료 대신에, 기판(2a)은 그 내부에 금속가루가 혼합된 얇은 수지 성형으로 될 수 도 있다.
접착층(2b)은 전체 표면 위에 에폭시 또는 열가소성 수지를 사용하는 용매형의 접착제를 바름으로써 얻어지며, 기판(2a)의 끝면과 내부는 금속-마스크 프린팅, 실크-스크린 프린팅, 탬포 프린팅등과 같은 방법에 의하여 얻어지고, 두께(T2)는 약 0.01 ~ 0.05mm가 된다.
식모층(2c)은 정전식모장치(electrostatic flocking equipment)로 0.5 denier 가량의 무한히 많은 짧은 섬유를 접착층(2b)에 심어서 얻어지고, 약 0.05 ~ 0.5mm, 바람직하게는, 0.1 ~ 0.2mm의 굵기를 가진다. 식모층(2c)은 표면과, 배면과, 기판(2a)의 양단 및 표면과 배면 사이의 엣지부(edge portion)(2d)를 덮는다. 도 6a ~ 6b를 참조하면, 예를 들어, 도 6a의 기판(2a) 표면, 배면등에서 식모층(2c)은 수직하게 형성되거나, 또는 도 6b에서와 같이 대응면에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진 방법으로 형성됨으로써, 트레이 상에서 CD가 투입되고 배출될 때 CD 표면의 효과적인 먼지제거를 수행한다.
도 7 ~ 8은 트레이(2)의 제 1변형 예를 나타낸다. 이러한 변형 예에 있어서, CD 투입을 유도하는 돌출부(2e)는 CD 투입측상에 기판(2a) 끝단의 중앙에서 위치한다. 상기 돌출부(2e)는 끝단을 향하여 얇은 두께를 갖는 상방향 및 하방향으로 기울어진 경사면을 가진다. 식모층(2c)은 돌출부(2e)를 포함하여 기판(2a)의 표면과 배면 위에서 위치한다.
도 9는 트레이(2)의 제 2변형 예를 나타낸다. 이러한 변형 예에 있어서, 식모층(2c)은 투입 및 배출시 CD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CD 투입면의 엣지를 따라서 위치하는 제 1식모층부(2f)와, CD 배출면의 엣지를 따라서 위치하는 제 2식모층부(2g)로 구성된다.
도 10은 트레이(2)의 제 3변형 예를 나타낸다. 이러한 변형 예에 있어서, 식모층(2c)은 투입 및 배출시 CD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CD 투입면의 엣지를 따라서 위치하는 제 1식모층부(2f)와, CD 배출면의 엣지를 따라서 위치하는 제 2식모층부(2g)와, 제 1및 제 2식모층부(2f 및 2g) 사이의 중앙에 위치하는 제 3식모층부(2h)를 가지며, 이 제 3식모층부(2h)는 수직 방향에 있어서 CD의 중앙 부분을 지지하는데 제공된다. 선택적으로, 식모층은 CD 투입면의 끝단을 따라서만 구성된다거나 또는 CD 배출면의 끝단을 따라서만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식모층(2c)이 CD 투입면의 엣지를 따라서 위치하는 제 1식모층부(2f)와, CD 배출면의 엣지를 따라서 위치하는 제 2식모층부(2g)와, 제 1및 제 2식모층부(2f 및 2g) 사이의 중앙에 위치하는 제 3식모층부(2h)로서 구성될 때, 제 1, 제 2 및 제 3식모층부(2f ~ 2h)의 어느 하나는 불연속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 3식모층부(2h)는 기판의 중심을 따라서 대칭적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도 11a와 11b를 참조하면, 트레이(2)의 상하면 및 양단면에 수지부재(resin member)(2i)가 위치한다. 측방향으로 돌출하도록 각 수지재 중앙부분과 배면부분에서 핀(2j 및 2k)의 쌍이 각 수지부재(2i)에 위치한다. 중앙핀(2j)은 배면핀(2k)에 비하여 길다. 수지부재(2i)의 두께는 CD 두께와 동일하도록 설정된다. 한 쌍의 판 스프링 또는 스프링 수단(2m)의 앞 부분은, 스프링과 기판(2a) 사이에서 CD를 유지하도록 수지부재(2i)의 상부면에 고정된다. 프레서(presser)(2n)는 CD를 압축시키기 위해 판 스프링(2m)의 배면측 내부에 형성되며, 수용부(receiver)(2p 및 2q)는 판 스프링의 배면측 외부에 위치한다. 수용부(2p)는 후술되는 분리 캠(82)의 하부면에 의하여 아래로 눌려지고, 수용부(2q)는 후술되는 상단 결합부(upper engagement)(82j)의 하부면으로부터 상방향으로 힘을 받는다. 수지재(2i)의 전면측과 배면측에 있어서, 안내지주(23)를 받도록 수지재(2i)와 기판(2a)을 통하여 안내구(guide hole)(2r)가 형성된다. 코일 스프링 또는 바이어스 수단(biasing means)(24)을 수용하도록 양측면에서 원통형 스프링 베어링(2s)은 최상단 트레이(2) 수지재(2i)와 일체가 되며, 상단 기판(1d)과 최상단 트레이(2) 사이에서 위치한다. 도 3b에서와 같이, 코일 스프링(24)의 하단을 수용하는 수용부(2t)를 형성하도록 각 스프링 베어링(2s)의 하단은 약간 내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수용부(2t)는 긴 스프링의 사용으로 압축 길이가 길어지더라도 과도한 압축에 요구되는 하중을 방지하도록 설치된다.
디스크 승강대(22)는 상방향으로 구부러진 양단측을 가진다. 안내구(22a)는 안내지주(23)를 수용하도록 승강대의 수평부에서 형성되고, 한 쌍의 핀(22b)은 수평방향으로 돌출하도록 승강대 수직부분의 외부 표면 각각에 고정된다. 케이스(1)의 측판(1c 및 1b)에서 형성되는 2개의 수직 슬릿(25)을 통과하여 핀(22b)이 케이스 외부로 돌출한다.
안내구(22a, 2r)를 통과하여 안내 지주(23)를 설치함으로써 승강대(22)와 6개 트레이(2)는 수직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4개의 스프링 가이드(spring guide)(26)는 케이스(1)의 상부판(1d)과 하부판(1e)에 고정된 각각의 상하부 끝단을 가지고, 각각의 스프링 수용기(2s)를 통과하여 설치된다. 스프링 가이드(26)를 둘러싸기 위하여 설치된 각각의 코일 스프링 또는 바이어스 수단(24)의 하부 끝단은 스프링 수용기(2s)의 하부 끝단에 있는 수용부에 접하고 있다.
D) 전송 수단
도 2를 참조하면, 전송수단(5)은 케이스(1)의 전면판(1a)에 위치한다. 투입/배출구(4)는 전면판(1a)에서 형성된다. 구동축(drive shaft)(30)과 구동되는 축(driven shaft)(31)은 투입/배출구에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구동축(30)의 양단은 전면판(1a)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구동되는 축(31)의 양단은 전면판(1a) 측면에서 형성되는 수직방향 익스텐딩 슬롯(extending slot)을 통과하여 설치된다.
도 12를 참조하면, 구동축(30)과 구동되는 축(31)의 중앙을 지지하기 위하여, 제한된 하방향 이동을 하는 수지 베어링(33)의 배면측에 형성되는 그루브(groove)(33a)에 구동축(30) 중앙의 소-직경(small-diameter) 부분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도면에 도시되지 않는, 가이드 돌기와 가이드 그루브를 통과하여 수직 이동 가능한 수지 베어링(34)의 배면에 형성된 그루브(34a)에 구동되는 축(31) 중앙의 소-직경 부분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한 쌍의 고무 롤러(35)는 구동되는 축(31)에 부착되고, 한 쌍의 고무 롤러(36)는 구동축(30)에 부착되며,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으나 각각의 롤러의 축방향 면은 보유 링(retaining ring)에 의하여 제한을 받는다. 원형 그루브들은 구동축(31)의 양 끝단에서 형성된다. 구동축(30)을 향하여 구동되는 축(31)을 기울게 하는 스프링(38)은 전면판(1a)과 원형 그루브의 측면에 고정된 스프링 핀(37)과 결합되는 양단을 가진다.
구동축(30)을 구동하기 위한 수단이 아래에서 설명된다. 도 13을 참조하면, 기어(39)는 구동축(30)의 오른쪽 끝에 고정되고, 서로 일체화된 기어(40 및 41)와 기어(42 및 43)는 오른쪽 측면(1c)의 내부에 의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기어(43)와 맞물리는 웜(worm)(44)과 기어(45)는 하부판(1e) 위에서 일체화되어 회전가능 하게 지지되고, 웜(47)은 기어(45)와 맞물려 하부판(1e)에 부착된 전송용 모터(46)의 출력축에 고정된다.
도 2와 도 12를 참조하면, 롤러(35 및 36)에 의한 CD 투입 완료 후 수 밀리미터(a few millimeters) 만큼 추가로 CD를 누르는 동작을 자동적으로 하도록 누름 수단(48)이 설치된다. 전면판(1a)에서 투입/배출구(4)의 위아래에 수평으로 3쌍의 연장된 가이드 슬롯(49 ~ 51)이 형성된다. 한 쌍의 슬라이드대(slide mounts)(52) 쌍은 전면판(1a)의 배면과 양측에 설치되고, 3쌍의 가이드 핀(53 ~ 55) 3쌍은 슬라이드대(52)에 고정되어 가이드 슬롯(49 ~ 51)을 통과하여 분리 불가능하게 설치된다. 수지 수직롤러(resin vertical roller)(57)는 수직축(56)을 통하여 배면에 있는 대응하는 슬라이드대(52)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서로 다가가는 방향으로 슬라이드대(52)를 향하게 하기 위하여, 푸시 스프링(push spring)(60)이 전면판(1a)과 형성되는 스프링 결합부(spring engagement)(58)와 슬라이드 마운트(52)와 형성되는 스프링 결합부(59) 사이에서 푸시 스프링이 위치한다.
수직 롤러(57)의 레벨에 해당하는 레벨에서의 CD는 수직 롤러(57)에 의하여 수평적으로 위치하며, 수직 롤러의 위아래에 있는 CD들은 도 12에서와 같이 하부판(1e)에 수직으로 부착된 위치 막대(positioning rod)(61 및 62)에 의하여 위치되며, 도에 도시되지 않은 위치 막대는 상부판(1d)에 수직하게 부착된다. 도시되지 않은 위치 막대들은 한 쌍의 위치 막대(61 및 62)의 연장선상에 위치한다. 위치 막대(61 및 62)와 도시되지 않은 위치 막대 사이의 공간은 투입되고 배출되는 CD의 경로를 형성한다.
E) 열기/닫기 수단
전면부(1a)의 투입/배출구(4)를 열고 닫는 열기/닫기 수단(6)이 아래에서 기술된다. 셔터(64)는 도 2에서와 같이 전면의 전면판(1a)에 수직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투입구(64a)는 셔터(64)에 CD의 통로를 형성하며, 셔터(64)가 상승될 때, 투입구(64a)의 중간 레벨은 개구부(64a)가 열리도록 롤러(35, 36) 사이에 있는 경계에 대응하고, 셔터(64)가 하강하면, 투입구는 닫히게 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한 쌍의 상하의 가이드 핀(65)은 전면판 양측에 부착되고 수직으로 향하는 한 쌍의 가이드 슬롯(64b)은 셔터(64)에 형성된다. 가이드 슬롯(64b)을 통과하여 설치된 각각의 가이드 핀(65)의 머리와 보유 링은 결합된다. 셔터가 열리도록 상승될 때만 슬라이드대(52)의 간격이 멀어지도록 하기 위하여, 중앙 부근에 있는 가이드 핀(54)은 다른 가이드 핀(53, 55)보다 길도록 정해지고, L-형태 안내구(64c)는 각각의 가이드 핀(54)을 수용하도록 셔터(64)에서 형성된다. 가이드 레일(64d)은 각각의 가이드 홀(64c)의 상부면에서 형성되며, 특정한 이유로서 수직 롤러(57) 사이의 간격을 늘리는 제약에 의하여 CD가 배출될 때 셔터(64)는 열리도록 강제적으로 상승된다.
셔터(64)를 열고 닫는 연결 기구에 대해서 설명한다. L-형태와 같은 단면을 가지는 측방향 슬라이드 판(66)의 정면과 하부면에서 측방향 가이드 슬롯(66a)이 형성되고, 가이드 핀(67)은 가이드 슬롯(66a)을 통과하여 설치되고, 정면판(1a)과 하부판(1e)에 고정된다. 캠홀(cam hole)은 셔터(64)의 양측의 아래부분에서 형성되며, 슬라이드 핀(66b)은 전면측의 양단에 있는 측방향 슬라이드 판(66)에 고정되고, 각각의 캠홀(64e)을 통과하여 위치된다. 도 24b를 참조하면, 하 방향으로 돌출하도록 측방향 슬라이드 판(66)의 하부 표면과 하부판(1e)에서 스프링 결합부(66c, 68)가 형성되고, 이들 사이에서 복귀 스프링(69)이 제공된다. 수직 슬라이드 판(70)은 하부판(1e)의 왼쪽 아랫면에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세히 설명하면, 한 쌍의 가이드 슬롯(70a)은 수직 슬라이드 판(70)에서 형성되고, 도시되지 않은 한 쌍의 헤드 핀(headed pin)은 가이드 슬롯(70a)을 통과하여 설치되고 하부판(1e)에 고정된다. 도 12에서와 같이 L-형태와 같은 레버(72)는 고정 축(73)을 통하여 하부판(1e)의 하부면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된 굴곡부를 가지며 각각의 슬롯(72a)으로 구성되는 끝단을 가진다. 핀(66d, 70b)은 각각 측방향 슬라이드 판(66)과 수직방향 슬라이드 판(70)에 고정되고 슬롯(72a)에 느슨하게 결합된다. 후술되는 외부 슬라이더(140)에 의해 압력을 받는 피압력부(pressed portion)(70c)는 수직방향 슬라이드 판(70)과 형성된다.
F) 재생수단
재생수단(7)은 디스크 재생기의 두께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디스크 수용부(3)의 배후에 근접하도록 위치된다. 재생수단(7)의 유지수단(14)은 픽업 승강대(10)에 장착되기 때문에, 먼저 픽업 승강대(10)에 관하여 설명 하기로 한다.
픽업 승강대(10)는 수평판과 양측에 위치하는 수직판으로 구성되며 수평판과 일체화된다. 원형 홈(10a)은 CD가 삽입되도록 수평판 전면측에서 형성된다. 수평방향의 한 쌍의 돌출핀(77)은 픽업 승강대(10)를 수직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각 수직판에 고정된다. 핀(77)은 동일 위치에 위치하고, 디스크 승강대(22)의 핀(22b)보다 짧다. 외부로 돌출하도록 케이스(1)의 측판(1b, 1c)에서 한 쌍의 핀(77)들은 한 쌍의 수직 슬롯(78) 들을 통과하여 위치된다.
1> 공간형성수단 또는 제어수단
도 2에서와 같이, 수지로 만든 분리 캠(82)은 픽업 승강대(10)의 수직판 내부에서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며, 이 픽업 승강대는 선택된 CD의 상하 공간을 형성하도록 2개의 수직적으로 근접한 트레이(2) 사이에 삽입된 공간형성수단 또는 제어수단으로서의 역할을 한다. 보다 상세하게, 가이드 슬롯(10a)은 픽업 승강대(10)의 상부 전면 부분의 수직판에서 형성되고, 헤드 가이드 핀(headed guide pin)(82a)은 가이드 슬롯(10a)을 통과하여 설치되고 각각의 분리 캠(82)에 고정된다. 도 3a에서 보듯이, 가이드 슬롯(82b)은 분리 캠(82)의 하부 에서 구성되고, 헤드 가이드 핀(도 2 참조)은 가이드 슬롯(82b)을 통과하여 설치되고 가이드 슬롯(82b)의 수직 중앙 부분에 있는 수직판에 고정된다.
트레이(2)의 양측에 설치된 4개의 핀(2j, 2k)을 들어올리기 위하여 트레이(2) 사이에 분리 캠(82)이 삽입되며, 이로서 트레이(2)를 안정하도록 유지하며 CD가 재생되도록 하는 트레이(2) 상하의 공간을 형성한다. 분리 캠(82)은, 전면부를 지나는 트레이(2)의 긴핀(2j)과 배면측을 지나는 짧은핀(2k)을 위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슬릿, 슬립으로 형성된 수직방향 길이가 서로 다른 2장의 판을 트레이(2)의 양측에 위치시킴으로써 형성된다.
보다 상세하게, 분리 캠(82)은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선택된 CD와 그 위의 트레이(2)를 유지하기 위하여 트레이(2)를 위로 이동하도록 한 쌍의 제 1분리 제어부(82c1)가 형성되며, 선택된 트레이(2)의 위에 있는 트레이(2)만 위로 이동하도록 제 1분리 제어부(82c1) 위에서 제 2분리 제어부(82c2)가 형성된다.
선택된 트레이(2)만을 유지하기 위하여, 각각의 제 1분리 제어부(82c1)와 제 2분리 제어부(82c2) 사이에서 제 3분리 제어부(82d)가 설치된다. 선택된 트레이(2) 위의 트레이(2)의 핀(2j 및 2k) 위치를 유지하는 상부면(82f)과, 선택된 트레이(2) 아래의 트레이(2)의 핀(2j 및 2k) 위치를 유지하고 판 스프링(2m)의 수용부(2p)를 보유하는 하부면 또는 위치제어수단(82h)이, 분리 캠(82)의 이동 방향을 따라서 형성된다.
제 1 및 제 2분리 제어부(82c1, 82c2)의 전진 이동에 의하여 선택 트레이(2)의 핀(2j, 2k)과 그 위의 트레이(2)가 상승됨으로써, 분리 캠(82)의 상승각(θ)은 소정값, 예를 들면 45°로 설정된다. 그러나, 여기에서, 트레이(2)는 코일 스프링(24)을 압축함으로써 상승하기 때문에, 트레이(2)의 위치가 높아짐에 따라, 코일 스프링(24)의 압축양은 트레이(2)의 상승에 대한 부하를 증가시키도록 증대된다. 즉, 코일 스프링(24)의 압축 초기 단계에서의 부하는 적다. 결과로서, 도 28a를 참조하면, 제 1 및 제 2분리 제어부(82c1, 82c2)의 상위부의 상승각(θ) 예는 45°로 정해지고, 하위부의 상승각(θ) 예는 60°로 정해지고, 원형면을 포함하는 2개의 중앙부와 함께 형성된다.
다음은, 제 3분리 제어부(82d)가 설명된다. 각각의 제 3분리 제어부(82d)는 상단 결합부(82j)와, 중단 결합부(82k)와, 하단 결합부(82m)로 구성된다. 상단 결합부(82j)는 선택된 CD의 상하 공간을 형성하는데 역할을 하고, 중단 결합부(82k)는 하부 암(13)의 턴테이블(97) 위에 선택 CD를 올려놓음으로써 선택된 트레이(2)와 CD를 하강시키는 역할을 하고, 하단 결합부(82m)는 선택된 트레이(2)만을 하강시킴으로서 선택 CD로부터 이를 다시 분리시키는 역할을 한다.
2> 유지수단
공간 형성수단(11)에 의하여 선택된 CD 상하에 형성된 공간을 향하여 유지수단(14)은 선택 CD를 유지하기 위하여 회전한다. 상하부 암(12, 13)의 기단부는 픽업 승강대의 왼쪽에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보다 상세하게, 도 15를 참조하면, 속이 빈 축(86)은 하부 암(13)에 고정된 근처의 하단 끝을 가지고, 하단 끝은 픽업 승강대(10)를 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이 하단 끝에는 플랫 와셔(flat washer)(93)와 보유 링(94)이 이탈-방지를 위해 고정되어 있다. 동합금 슬리브(87)는 상부 암(12)의 기단부(base end)에 고정되며, 이 슬리브를 통과하여 속이 빈 축(86)이 설치됨으로써 상부 암(12)은 선택 CD를 유지하도록 하부 암(13)에 평행하도록 하강된다. 플랫 와셔(88)와 보유 링은 속이 빈 축(86)의 상단 끝에 고정된다. 상부 암(12)이 아래를 향하도록 플랫 와셔(88)와 슬리브(87) 사이에서 유지 스프링(89)이 위치한다. 도 14를 참조하면, 어떠한 상대적 회전없이 속이 빈 축(86)에 대하여 상부 및 하부 암(12, 13)의 동기화된 일체적 회전을 얻기 위하여, 슬라이드 핀(90)이 하부 암(13)에서 제공되고 상부 암(12)에 형성된 홀(91)을 통과하여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위치된다. 또한, CD에 대한 하부 암(13)의 회전에 대하여 후술되는 턴테이블 또는 디스크 회전수단(97)의 위치결정 정확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픽업 승강대(10) 상에서 지주(support)(92)가 하부판(1e) 위에서 제공되고 속이 빈 축(86)을 통과하여 위치된다.
3> 디스크 구동 수단
하부 암(13) 헤드의 상위 면에서 디스크 구동 수단(15)이 설치된다. 보다 상세하게, 도 14를 참조하면, 디스크 구동 수단(15)은 출력 축을 갖는 스핀들 모터(96)로 구성되며, 이 모터에 턴테이블(97)이 CD의 중앙 구멍에 고정되도록 부착된다. 도 41을 참조하면, 지지판(98)은 상부 암(12) 근방의 헤드에 고정되는 한쪽 끝을 가지고, 원형 구멍으로 형성된 다른 쪽 끝을 가진다. 수지로 형성되고 디스크의 하위 면에서 원형으로 형성된 립(rib)-형태의 돌출을 가지는 쳐크 판(chuck plate) 또는 디스크 유지 수단(99)은 상기의 구멍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다. 쳐크 판(99)의 이탈-방지는 스프링 판의 한쪽 끝에서 고정되고, 도면에 도시되지 않지만, 상부 암(12)의 하위 면에 고정된 다른쪽 끝을 가진다.
4> 픽업 유닛
도 16을 참조하면, 픽업 유닛(16)은 하부 암(13)의 상위 면에서 또한 탑재된다. 이하 픽업 유닛의(16)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하부 암(13)과 일체화된 가이드 레일(161)을 통과하여 하부 암(13)의 세로 방향을 따라서 이동 가능하게 광 픽업(162)이 설치된다. 가이드 레일(161)을 따라서 광픽업(162)과 왕복 이동하는 수단이 설치된다. 나사축(threaded shaft)(164)은 베어링 부재(163)를 통과하여 하부 암(13)의 상위면에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도면에 도시되지 않지만, 광 픽업(162)의 암(female) 나사 부분과 맞물린다. 슬리브(87)의 근방에 위치한 스캐닝 모터(165)의 출력축은 나사축(164)과 맞물린다. 보다 상세하게, 웜휠(worm wheel)(166)과 서로 일체화된 교차 나선형 기어(167)를 가지는 기어(168)는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웜휠(166)은 모터(165)의 출력축 웜과 맞물리고, 교차 나선형 기어(167)는 나사축(164)에 부착된 교차 나선형 기어(170)와 맞물린다.
5> 회전력 제공수단
전달 모터(46)로부터의 회전력에 의하여 회전력 제공수단(17)은 유지수단(14)을 회전시킨다. 도 13을 참조하면, 기어 열(gear train)(103)은 케이스(1)의 좌측판(1b) 내부에 설치된다. 보다 상세하게, 기어 트레인(103)은 기어(103a ~ 103h)로 구성된다. 기어(104)는 또한 구동축(30)의 왼쪽 끝단에 고정된다. 판(105)은 좌측판(1b) 내부에서 수직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보다 상세하게, 수직으로 있는 가이드 슬롯(105a)은 판(105)의 상부 부분에서 설치되며, 이것을 통과하여 도 35a와 35b에서의 가이드 핀(106)이 설치된다. 가이드 핀(106)은 좌측판(1b)에 고정되고, 그 위에 장착되는 보유 링을 가진다. 스프링 결합(105b, 107)은 판(105)의 아랫 부분과 케이스(1)의 하부판(1e)으로 구성되고, 복귀 스프링(108)은 판(105)이 아래를 향하도록 이들 둘 사이에서 설치된다. 기어(103h)의 축(109)을 수용하는 판(105)에서 배출 홀(escape hole)(105c)이 형성된다. 축(109)은 측판(1b)에 고정되며, 레버(110)의 기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부착된다. 이동축(111)은 레버(110)를 통하여 설치되고 축(109)의 헤드에 고정된다. 기어(112)는 이동축(111)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고 기어(103h)와 맞물린다. 캠홀(105d)은 배출 홀(105c) 위의 판(105)에서 형성되며, 이를 통과하여 이동축(111)의 끝단이 설치된다. 보다 상세하게, 판(105)을 상방향으로 이동시킬 때, 캠홀(105d)은 상방향으로 이동되고, 캠홀(105d)을 통과하여 설치되는 이동축(111)은 전면측으로 이동하며, 이로서 이동축(111)에 부착된 기어(112)는 구동축(30)의 기어(104)와 맞물린다. 판(105)을 상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핀(114)을 통하여 좌측판(1b)의 내부에 의하여 레버(113)의 중앙부분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레버(113)의 한쪽 끝은 핀(115)을 통하여 판(105)의 하단 부분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레버(113)의 다른 쪽 끝은 좌측판(1b) 가이드 슬릿(25)의 전면측 하단 부분을 향하고, 이를 통과하여 디스크 승강대(22)의 핀(22b)이 설치된다. 즉, 디스크 승강대(22)가 재생 모드에 진입하기 위하여 최하단 위치에 있게되면, 기어(112)를 기어(104)와 맞물리기 위하여 핀(22b)은 레버(113)의 다른쪽 끝을 밀어낸다.
기어 열(103)의 최상단 기어(103a)는 아래와 같은 유지수단(14)의 하부 암(13)과 맞물린다. 도 2에서와 같이, 슬라이드 바가 설치됨으로써 전후방향으로 연장된 수직부와 배면부분에서 수직부분과 일체화되는 수평부분으로 구성된다. 한 쌍의 가이드 슬롯(116a) 쌍은 수직부분의 양측 부근의 슬라이드 바(116)에서 형성되고, 도 12를 참조하면, 한 쌍의 가이드 핀(117)은 한 쌍의 가이드 슬롯(116a)을 통하여 설치되고, 장착된 보유 링을 각각 가지는 좌측판(1b) 내부에 고정된다. 기어(103a)와 맞물리기 위하여 랙(rack)(116b)은 세로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한 슬라이드 바의 하단 전방 부분에 형성된다. 하방향으로 돌출된 고정핀(116c)은 수평부분의 헤드에 고정된 상위 끝단을 가진다. 도 14에서와 같이, 고정핀(116c)은 하부 암의 기단부와 일체화되고, 수평부분에서 형성된 슬롯(13a)에 느슨하게 연결되고 상부 암(12)의 위치로 연장된다. 도 16을 참조하면, 슬리브(87)의 축을 통과하고 슬리브(87)에 직교하는 반지름 방향의 직선을 따라 연장되도록 슬롯(13a)이 구성된다.
디스크 재생기는 2가지 모드가 있으며, 예를 들면 디스크 수용부(3)에서 CD가 투입되고 배출되는 투입/배출 모드와, CD가 재생되는 재생 모드이다. 전자의 모드에 있어서, 유지수단(14)은 도 37에서와 같이 위치 B에 있으며, 후자의 모드에 있어서, 유지수단은 도 38에서와 같이 위치 A에 있게 된다. 위치 B와 위치 A 사이의 유지수단(14)의 회전은 상기에 기술한 회전력 제공 수단(17)을 통하여 수행된다. 또한, 하부 암(13) 위의 턴테이블(97)에 따른 선택된 CD의 정확한 위치결정의 필요 때문에, 위치 결정수단(118)은 도 17a와 17b에서와 같이 설치된다.
다음은 위치결정수단(118)의 구조에 대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도 16 ~ 17b에서와 같이, 아래방향으로 돌출된 위치결정 핀(119)은 속이 빈 축(86) 근방의 하부 암(13)에 고정된 상부 끝단을 가진다. 하부 암(13)의 회전에 따라서 위치결정 핀(119)이 이동하는 범위에 대응하는 픽업 승강대(10) 부분에서 원형 홀(10c)이 형성된다. 위치결정 핀(119)은 원형 홀(10c)에 느슨하게 고정된다. 스프링 고정(10d)은 하 방향으로 돌출하도록 픽업 승강대(10)와 형성된다. 토글 스프링(toggle spring)(120)의 양단은 위치결정 핀(119)과 스프링 고정(10d)에 고정된다. 위치결정 핀(119)이 위치 b, a에 있다고 가정할 때, 유지수단(14)이 위치 B, A에 있게 되면, 위치결정 핀(119)의 이동 방향이 바뀌는 굴곡점에 위치 b와 위치 a 사이에 있는 중간점 위치 c가 대응하므로, 스프링 고정(10d)은 위치 c에 대응하는 위치에 위치한다.
6> 규제수단
유지수단(14)의 상부 암(12)은 유지 스프링(89)에 의하여 하 방향으로 향하고, 도 14에서와 같이 유지 스프링(89)의 가세력(biasing force)에 의하여 상부 암(12)을 낮추는 시기를 설정하는 규제수단(18)을 포함한다. 보다 상세하게, 유지수단(14)과 분리 캠(82) 사이에서 픽업 승강대(10)의 상위 면에서 원통형 판(124)이 제공된다. 원통형 판(124)은 슬리브(87)에서의 중심과 원통의 일부를 이루는 원통의 일부로 형성되고, 도 39a 및 도 40a와 40b에서와 같이 원주방향으로 연장되는 수평부(125a)와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수직부(125b)로 구성되는 L-형태의 가이드 슬롯(125)을 가진다. 슬리브(87)의 반경 방향에서 외부로 돌출하기 위하 여 가이드 핀(12a)은 상부 암(12)의 기단부에 고정된다. 가이드 핀(12a)은 가이드 슬롯(125)을 통과하여 설치된다. 결과로서, 도 14를 참조하면, 유지수단(14)이 위치 B 또는 대기위치에 있게 되고 위치 B로부터 이동된 유지수단이 위치 A 또는 재생 위치 바로 직전이라면, 가이드 핀(12a)은 가이드 슬롯(125)의 수평부(125a)에서 위치한다. 따라서, 유지 스프링(89)의 가세력이 적용되더라도, 상부 암(12)은 유지수단(14)이 열리도록 낮아지지 않는다. 한편, 유지수단(14)이 위치 A에 있게되면, 가이드 핀(12a)은 수직부(125b)에 위치함으로써, 가이드 핀(12a)을 수직부(125b)의 하단 끝으로 낮추기 위하여 상부 암(12)은 유지 스프링(89)의 가세력에 의하여 낮아진다.
가이드 슬롯(125)의 수직부(125b)로 가이드 핀(12a)을 회전시키기 위하여 도 14와 같이 유지수단(14)이 위치 A로 회전됨과 동시에 유지수단(14)이 유지동작을 시작하지 않도록, 반대로 명령을 받고서 유지동작을 시작할 수 있도록, 가이드 핀(12a)의 하향 이동을 일시적으로 규제하는 제 1규제수단과, 일시적 규제 이후에 분리 캠(82)의 전진 이동이 선택된 CD와 트레이(2)가 하강되어 턴테이블(97)에 위치하도록 할 때 선택된 CD를 유지하도록 일시적 규제를 해제하는 제 2규제수단이 설치된다. 보다 상세하게, 도 14와 도 37에서와 같이 분리 캠(82)에 평행되도록 베어링 판(26)이 픽업 승강대(10)의 최상위 면 및 원통형판(124)과 분리 캠(82) 사이에서 제공된다. 도 14에서와 같이, 구속 레버(restraining lever)(127)의 중앙부는 회전축(129)을 통하여 베어링 판(126)의 내부에 의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외부로 돌출하기 위하여 구속 레버(127)의 전방 부분에 핀(127a)이 고정된 다. 가이드 슬롯(125)의 수직부(125b)를 향하도록 구속 레버(127)의 배면 부분은 내부로 구부려진다. 도 37에서와 같이, 구속 레버(127)의 배면 부분이 아래로 향하도록 스프링(128)이 설치된다. 도 39a에서와 같이 분리 캠(82)의 하단 내부에서 형성된 캠 그루브(82r)와 구속 레버(127)의 전방에 있는 핀(127a)이 느슨하게 고정된다. 캠 그루브(82r)의 상위 후단부에서 배출부가 형성된다. 선택된 트레이(2)의 핀(2j, 2k)을 중단 고정부(82k)에 고정하도록 분리 캠(82)이 전방으로 이동되면, 핀(127a)은 캠 그루브(82r)의 배출부로 배출할 수 있다. 따라서, 구속 레버(127)는 스프링(128)에 의하여 회전되고, 상부 암(12)은 유지 스프링(89)의 가세력에 의하여 하강된다.
G) 푸시 수단
푸시수단(8)은 케이스(1) 내부의 양측에 설치된다. 2개의 푸시수단(8)은 구성면에서 거의 동일하기 때문에, 이중 한 개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과 도 26a에서와 같이, 케이스(1)의 상위 판(1d)으로부터 하 방향으로 돌출하는 정지축(133)에 CD를 밀어내는 푸시 레버(132)는 회전 가능하게 부착된다. 푸시 레버(132)는 롤러(35, 36) 사이의 경계 위치와 같은 위치에 있다. 복귀 스프링(134)은 정지축(133)을 수용하도록 설치되고, 상위판(1d)의 푸시 레버(132)와 스프링 고정의 스프링 고정부(132a)와 고정되는 양 끝단을 가진다. 푸시 레버(132)는 상기의 분리 캠(82)의 후진 이동에 의하여 회전되며, 이 방향은 전진 이동에 의한 공간 형성을 하는 방향에 반대되는 방향이다. 보다 상세하게, 도 14에서와 같이, 소정 양에 의하여 세로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베어링 판(126)의 외부에 판(135)이 설치된다. 즉, 한 쌍의 가이드 슬롯(126a)은 베어링 판(126)에서 형성되고, 한 쌍의 가이드 핀(135a)은 한 쌍의 가이드 슬롯(126a)을 통하여 설치되고 판(135)에 고정된다. 판(135)은 푸시 레버(132)와 일체화된 압축부(132b)와 고정되도록 내부로 구부러진 정면 끝단과, 분리 캠(82) 뒤로 돌출하도록 외부로 구부러진 배면 끝단을 가진다.
H) 조작수단
마지막으로, 조작수단(9)의 설명을 한다. 투입/배출 모드에 있어서, 조작수단(9)은 트레이(2) 위에서 CD의 투입과 배출이 되도록 디스크 승강대(22)를 상승 하강시키고 또한 열림/닫힘 수단(6)과 푸시수단(8)을 조작한다. 재생 모드에 있어서, 조작수단(9)은 선택된 CD를 최하단 위치에서 유지되는 디스크 승강대(22)에 두도록 픽업 승강대(10)를 상승 하강시키고, 또한 공간 형성수단(11)과 규제수단(18)을 조작한다.
도 2 및 도 18b와 18c에서와 같이, 내부 및 외부 슬라이더(139, 140)는 케이스(1)의 좌우측 판(1b, 1c) 외부에서 세로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된다. 가이드 슬롯(139a, 140a)은 슬라이더(139, 140)의 상위 및 하위 부분에서 형성된다. 가이드 핀(158, 159)은 가이드 슬롯(139a, 140a)을 통과하여 설치되어 측판에 고정되고, 가이드 핀에 부착된 보유 링을 가진다. 수직 슬릿(78)으로부터 돌출하는 픽업 승강대(10)의 핀(77)들을 6-단계 방식으로 상승 및 하강시키도록 내부 슬라이더(139)의 배면부에서 단계 슬릿(stepped slit)(141)이 형성된다. 수직 슬릿(25)으로부터 돌출하는 디스크 승강대(22)의 한 쌍의 핀(22b)들을 6-단계 방식으로 상승 및 하강시키도록 내부 슬라이더(139)의 전방부에서 단계 슬릿(142)이 형성된다. 최하위 위치에서 유지되는 디스크 승강대(22)의 재생 모드에서 픽업 승강대(10)만을 상승 및 하강시키도록 각 단계 슬릿(142) 아래에서 바닥 슬릿(bottom slit)(143)이 연속해서 형성된다. 한편, 디스크 승강대(22)의 긴 핀(22b)을 수용하는 한 쌍의 슬릿만이 외부 슬라이더(140)에서 형성된다. 특히, 각 슬릿은 단계 슬릿(142)에서 수용되는 핀(22b)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4각형 투입/배출-모드 슬릿부(144)와, 바닥 슬릿(143)에서 수용되는 핀(22b)을 최하위 위치에서 유지하는 수평 연장된 재생-모드 슬릿부(145)와, 어느 방향에서도 외부 슬라이더(140)의 슬라이드 동작에 의하여 테이퍼 면(taper face)(146a, 146b)을 통하여 핀(22b)을 상승 또는 하강시킴으로서 단계 슬릿(142)과 바닥 슬릿(143) 사이의 핀(22b)의 위치를 전환시키는 45°기울어진 전환 슬릿부(146)룰 형성한다. 재생-모드 슬릿부(145)가 같은 수직 위치에서 형성된다면, 이들은 각자의 위에 포개지게 된다. 따라서, 재생-모드 슬릿부(145)와, 투입/배출-모드 슬릿부(144)와, 바닥 슬릿(143)과, 단계 슬릿(142) 및 이들 사이에 삽입된 핀(22b)은 서로 다른 위치에서 위치한다.
외부 슬라이더(140)의 상위부는 돌출부(140b)를 형성하도록 내부 수직 방향으로 구부려져 있다. 외부 슬라이더(140)와 함께 돌출부(140b)를 이동시키기 위하여, 배출 리세스(escape recess)(139b)와 배출 슬릿(147)은 내부 슬라이더(139)와 측판(1b)의 배면부에서 각각 형성된다. 픽업 승강대(10)로 상승 및 하강하는 분리 캠(82)의 위치에 관계없이 분리 캠(82)이 외부 슬라이더(140)와 함께 슬라이드될 수 있도록, 도 2에서와 같이 분리 캠(82)의 배면 외부에서 형성되며, 분리 캠에 의하여 돌출부(140b)가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고정된다. 케이스(1)의 하위판(1e) 아래에서 연장되도록 고정부(140c)는 왼쪽 외부 슬라이더(140)와 전방부에서 형성된다. 외부 슬라이더(140)가 후진 방향으로 슬라이드 되면, 고정부(140c)는 복귀 스프링(69)의 가세력에 대하여 셔터(64)를 열기 위하여 압축부(70c)를 후진 방향으로 압축한다.
구동 기구(drive mechanism)가 아래에서 설명된다. 이것은 내부 및 외부 슬라이더(139, 140)의 동시에 동기적으로 슬라이드 되도록 한다. 도 2와 도 13에서와 같이, 2개의 연결축(148, 149)은 2개의 베어링 쌍을 지나서 케이스(1)의 하위판(1e)의 배면측에서 그 아래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피니언(150, 151)은 연결축(148, 149)의 양 끝단에서 고정되고, 내부 및 외부 슬라이더(139, 140)와 이들의 후방 하단 면에서 형성되는 랙(139c, 140c)과 맞물린다. 기어(152, 153)는 연결축(148, 149)에 고정되고, 조작용 모터(154, 155)와 개별적으로 연결된다. 즉, 조작용 모터(154, 155)는 케이스(1)의 배면측에 위치한 베어링 판(126)의 상하 내부에 장착되고, 베어링 판(126)의 내부에 설치된 2개 세트(set)의 감속수단(156, 157)을 통하여 기어(152, 153)와 연결되는 출력축을 가진다.
다음은, 디스크 재생기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하고자 한다.
1) 동작의 전체 구성
디스크 재생기의 동작은 3개의 기능으로 구성된다. 디스크 수용부(3)로 CD의 투입기능과, 디스크 수용부(3)로부터 CD의 배출기능과, 디스크 수용부(3)에 저장된 CD중에서 선택된 CD의 재생기능이다.
2) CD 투입
디스크 수용부(3)로 CD를 투입하면, 위에서 아래까지 트레이(2)에 위치하는 번호 1 ~ 6중 어느 것이라도, 예를 들면 번호 2라 하면, 투입 버튼(도면에 도시되지 않음)을 누르기 이전에, 대응하는 번호 버튼(도면에 도시되지 않음)을 누르도록 선택되야 한다. 조작 모터(154)의 출력축 회전은 내부 슬라이더(139)를 슬라이드 하도록 감속수단(156)과 연결축(148)에 전달된다. 독립적으로, 외부 슬라이더(140)를 슬라이드 되도록 조작용 모터(155)의 출력축 회전은 감속수단(157)과 연결축(149)에 전달된다. 예를 들어, 투입/배출 모드에 있는 모드 전환 위치에 있도록, 도 19에서와 같이 외부 슬라이더(140)의 투입/배출 슬릿부(144)를 통과하는 핀(22b)으로 된 버튼을 누르면, 내부 슬라이더(139)의 후진 이동은 핀(22b)을 도 20a에서와 같이 아래로부터 단계 슬릿(142)의 제 2 단계로 상승시키며, 이 핀은 푸시 레버(132)의 위치에 있는 제 2 트레이(2) 위에 CD를 놓도록 디스크 승강대(22)를 상승시킨다. 이때, 픽업 승강대(10)는 동시에 상승되며, 이동이 필요없는 상태가 된다. 내부 슬라이더(139)의 추가 후진 이동은 핀(22b)과 함께 픽업 승강대(10)를 제 3에서 제 6 트레이(2)가 연속하여 푸시 레버(132)의 위치에 있도록 상승시킨다.
투입/배출-모드 슬릿부(144)의 세로방향 중간 위치에서 핀(22b)을 갖도록 도 20a에서와 같은 정지위치로부터 외부 슬라이더(140)가 후진 방향으로 이동하면, 외부 슬라이더(140)의 고정부(140c)는 하위판(1e) 아래로 압축부(70c)(도 2)를 후진 방향으로 압축한다. 따라서, 전후방향 슬라이드 판(70)의 이동은 레버(72)를 거쳐서, 복귀 스프링(69)의 가세력에 대하여 왼쪽방향으로 이동하는 좌우방향 슬라이드 판(66)으로 전송되며, 도 24b에서와 같이 투입/배출구를 열도록 셔터(64)를 상승시킨다.
셔터(64)가 열려지고, 제 2 트레이(2)가 푸시 레버(132)의 동일 위치에 있게됨으로서, 도 24a에서와 같이 롤러(35, 36) 사이에 CD(171)를 삽입하면, 셔터(64)의 전방에 위치하는 센서(도시되지 않음)는 전달 모터(46)를 회전시키도록 CD(171)를 감지한다. 전달 모터(46)로부터 회전력이 기어를 지나 롤러(36)에 전달되므로, 스프링(38)에 의하여 롤러(36)와 롤러(35) 사이에서 이들을 향하여 CD(171)가 맞물리고, 롤러(35, 36)의 회전에 의하여 제 2 트레이(2)로 투입된다. 롤러(35, 36)에 의하여 충분히 삽입되지는 않았지만, CD(171)는 푸시 스프링(60)에 의하여 편향된 수직 롤러(57)에 의한 중앙 방향에서 나머지 수 밀리미터(millimeter) 만큼 압축된다. CD(171)는 판 스프링(2m)의 프레서(2n)에 의하여 트레이(2)에서 유지된다. 롤러(35, 36)로부터 CD(171)가 분리되면, 도시되지 않은 제한 스위치(limit switch)는 전달 모터(46)의 회전을 정지시키도록 동작하며, 이것은 외부 슬라이더(140)가 동시에 도 20a에서와 같이 대기 위치로 전진 및 복귀하도록 한다. 따라서, 후진 방향으로 압축된 압축부(70c)는 복귀 스프링(69)의 동작을 통하여 셔터(64)가 닫혀지도록 개방된다.
핀(22b)이 다른 위치에 있게되면, 즉, 아래로부터 단계 슬릿(142)의 제 1및 제 3에서 제 6까지 단계중의 어느 한개의 위치, CD는 같은 방식으로 디스크 수용부(3)에 투입된다.
3)CD 배출
디스크 수용부(3)에서 CD를 배출하는 경우에, 예를 들면 번호 2의 번호 버튼은 배출 버튼과 함께 눌려진다. 그러면, 투입시에 동일한 방법으로,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투입/배출 모드의 모드 전환 위치에서 도 20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기 위치로 핀(22)을 이동하여 푸시 레버(132)의 위치에 제 2트레이(2)에 CD를 놓는다. 그리고 외부 슬라이더(140)가 상기 기술된 바와 같이 동일한 방법으로 도 20b에 도시한 위치로 후진되면, 셔터(64)가 열린다. 여기까지의 동작은 CD투입시와 동일하다.
핀(22b)이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투입/배출 모드 슬릿부(144)가 전면으로 될 때까지 외부 슬라이더(140)가 더 후진하면, 외부 슬라이더(140)의 돌출부(140b)를 통해서 외부 슬라이더(140)와 동작하는 분리 캠(82)은 도 26a∼2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진되어 분리 캠(82)의 후면이 판(135)의 후면을 눌러서 후진하게 한다. 이후에, 판(135)의 전면은 푸시 레버(132)의 눌려진 부분(132b)을 뒤쪽으로 눌러 푸시 레버(132)를 회전시켜 제 2트레이(2)의 CD(171)의 양측을 누른다. 배출 버튼을 누르면 동시에 전달 모터(46)가 구동되어 롤러(35, 36)가 회전되기 때문에, 눌려진 CD(171)는 도 2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롤러(35, 36) 사이에 유지되면서 배출된다. CD(171)가 배출시에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CD(171)의 배면부가 롤러(35, 36)사이에 부분적으로 유지될 때 도시하지 않은 제한 스위치가 CD(171)를 검출하여 전달 모터(46)의 회전을 중지한다. 이후에, CD(171)는 롤러(35, 36)사이에서 수동으로 제거된다. 도시하지 않은 센서가 CD의 제거를 감지하면, 외부 슬라이더(149)는 전진 방향으로 이동되어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은 위치에서 도 20a에 도시한 바와 같은 대기위치로 복귀한다.
이후에, 분리 캠(82)으로부터 판(135)에 인가된 후진력이 제거되기 때문에, 푸시 레버(132)는 복귀 스프링(134)의 가세력에 의해 회전되어 도 26a에서 실선으로 도시된 초기의 위치로 복귀하고, 이후에 셔터(64)는 CD투입 후와 동일한 방법으로 닫힌다.
핀(22b)이 어느 다른 위치 즉, 아래서부터 단계 슬릿(142)의 제 1∼제 6단계 중 하나에 놓이면, CD는 동일한 방법으로 디스크 수용부(3)에서 배출될 수 있다.
4) CD 재생
CD를 재생할 때, 선택된 CD의 번호 버튼, 예를 들면 번호 2가 재생 버튼과 함께 눌려진다. 이후에, 내부 슬라이더(139)는 외부 슬라이더(140)가 전진 방향으로 이동되기 이전에 도 20a에 도시한 바와 같은 위치에서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핀(22b)이 투입/배출 모드 슬릿부(144)의 최하위의 위치를 거쳐서 모드스위치까지 이동된다. 전환 슬릿(146)의 상부 테이퍼면(146b)(도 18c참조)이 눌려져 핀(22b)이 낮아진다. 핀(22b)이 하위 슬릿(143)으로 이동되는 동시에, 이들이 외부 슬라이더(140)의 재생 모드 슬릿부(145)로 이동되어 도 22a에 도시한 바와 같은 재생 모드로 전환된다. 전환시에, 픽업 승강대(10)의 핀(77)은 단계 슬릿(141)의 최하위 위치에 남는다. 그 때에, 핀(22b)은 재생 모드에서 투입/배출 모드로의 전환 위치에 위치된다. 이 상태에서, 외부 슬라이더(140)가 후진하면, 전환 슬릿(146)의 하부 테이퍼면(146a)이 눌려져 핀(22b)이 상승하고 따라서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투입/배출 모드로 모드 전환 위치를 되돌릴 수 있다.
도 22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부 슬라이더(140)에 대한 핀(22b)의 위치는 모드 전환 위치 뿐만 아니라 재생되는 CD가 픽업 승강대(10)의 레벨만을 변경함으로써 선택된 CD 선택 위치에 대응한다. 구체적으로, 도 22a에 도시한 바와 같은 위치에서 내부 슬라이더(139)가 후진하면, 핀(22b)은 하위 슬릿(143)을 따라서 분명히 전진 하지만, 실제로는 최하위 재생 위치에서 디스크 승강대(33)의 이동이 없는 수직 슬릿(25)의 최하위의 위치에 유지된다. 반면에, 외부 슬라이더(140)가 존재하기 때문에 도 22a에 도시되지 않은 핀(77)은 단계 슬릿(141)을 따라서 상대적으로 상승하지만, 실제로는 수직 슬릿(78)을 따라서 단계적으로 상승된다. 즉, 핀(22b)이 내부 슬라이더(139)를 후진함으로써 하위 슬릿(143)에 할당된 번호(1∼6) 중 어느 하나의 위치에 위치되면, 핀(77)은 대응하는 번호의 CD를 재생하게 하는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은 단계 슬릿(142)에 수직으로 할당된 번호(1∼6)의 대응하는 번호의 레벨로 상승 또는 하강된다. 도 22a는 6번 CD가 재생될 수 있는 상태를 나타내며, 도 22b는 1번 CD가 재생될 수 있는 상태를 도시한다.
여기서, 상기 기술된 바와 같이 2번 CD가 선택됨으로써 핀(77)은 도 2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위에서 제 2위치로 상승된다. 상기 동작에 의해 CD가 재생된다. 이후의 동작은 어떤 번호의 CD가 선택되어도 동일하며, 외부 슬라이더(14)의 동작 및 전달 모터(46)의 구동에 의해 보장된다.
재생을 위해서 2번 CD가 선택되는 경우에 도 23a도시한 바와 같은 대기 상태 이후의 장치의 동작을 설명한다. 대기 상태는 도 2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부 슬라이더(140) 상의 위치(D)에 각각의 핀(22b)이 놓일 때의 상태를 말하며, 여기서 분리 캠(82)은 도 2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위치된다. 외부 슬라이더(140)가 전진하여 핀(22b)이 제 1단계와 같은 위치(E)로 이동하면, 분리 캠(82)이 전진하여 도 28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2 및 제 3트레이(2)의 핀(2k) 사이에는 하부 배면 헤드가 끼워진다. 동일하게, 하부 전면 헤드는 핀(2k)과 같이 이후 동일한 동작에 대해서 핀(2j) 사이에 끼워진다.
그 후, 제 2트레이(2)의 핀(2k)은 제 1분리 제어부(82c1)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여 상위 고정부(82j) 위에 배치되게 되며, 분리 캠(82)의 상위 헤드는 제 1 및 제 2트레이(2)의 핀(2k)들 사이로 들어가서 도 30에 도시한 상태로 된다. 핀(22b)이 제 3단계로서 위치(G)에 위치하게 되면, 제 1트레이(2)의 핀(2k)은 제 2분리 제어부(82c2)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여 분리 캠(82)의 상위면(82f) 위에 배치되게 된다. 결과적으로, 핀(22b)이 제 3단계로서 위치(G)에 위치하면, 도 31에 도시한 것처럼 선택된 제 2트레이(2) 상하의 공간이 형성되게 된다.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센서가 도 23b에 도시한 것처럼 위치(G)에 도달한 핀(22b)을 감지하면, 전송모터(46)가 회전을 시작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재생 모드로 전환될 때, 핀(22b)이 바닥면 슬릿(143) 안으로 들어가서 회전력 제공 수단(17)의 레버(113)를 아래로 누르게 된다. 이에 따라, 레버(113)가 도 35a에 도시한 바와 같은 상태에서 핀(114)을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따라서 판(105)이 상승하여 레버(110)가 축(109)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 게 되고, 도 35b에 도시한 것처럼 기어(112)가 기어(103h) 뿐만 아니라 기어(104)와도 맞물리게 된다. 따라서, 전달 모터(46)의 회전이 구동축(30)과 기어 트레인(103)을 통하여 랙(116b)을 갖는 슬라이드 막대(116)에 전달되어, 도 36에서처럼 슬라이드 막대(116)를 뒤로 이동시킨다. 그리고, 슬라이드 막대(116)의 하단부에 있는 고정핀(116c)이 슬롯(13a)에 느슨하게 맞물리기 때문에, 유지 수단(14)이 앞쪽으로 회전하게 된다. 도 17a에서처럼 위치결정 핀(119)이 변곡점으로서 위치(c)를 넘어 가게 되면, 토글 스프링(120)의 가세력이 반대방향으로 작용하여 도 17a에서처럼 위치결정 핀(119)이 위치(a)까지 회전하게 되어, 도 31에 도시한 것처럼 선택된 CD(2)의 상하로 상부 암(12) 및 하부 암(13)과 함께 쳐크 판(99) 및 턴테이블(97)이 들어가게 된다. 이것은 평면도에 보면, 도 37의 상태에서 도 38으로 상태로 변하게 된다. 도면에 도시하지 않은 제한스위치는 유지 수단(14)의 회전을 검출하여 전송모터(46)의 회전을 정지시킨다.
제 4단계로서 핀(22d)이 도 23b에 도시한 위치(H)에 위치할 때까지 외부 슬라이드(140)는 앞으로 이동하면, 선택된 트레이(2)의 핀(2k)은 중간 고정부(82k)에 하강하여, 선택된 트레이(2)와 CD가 하강하여 선택된 CD를 도 32에서처럼 턴테이블(97) 위에 위치시키게 된다. 이와 거의 동시에, 분리 캠(82)은 외부 슬라이드(140)와 함께 앞으로 진행하여 제한수단(18)을 동작시키고, 이에 따라 유지 스프링(89)의 동작에 의해 유지 수단(12)이 하강하게 되어, 턴테이블(97)과 쳐크 판(99) 사이에 선택된 CD가 유지되게 된다. 유지 동작에 대해서는 이후에 상세히 설명한다. 핀(22b)이 위치(G)에 있고, 유지 수단(14)이 대기 상태(B)에 있게 되면, 가이드 핀(12a)이 도 39a에서처럼 가이드 슬롯(125)의 수평부(125a)에 위치하게 된다. 유지 수단(14)이 재생 위치(A)에 있으면, 가이드 핀(12a)이 도 40a에서처럼 가이드 슬롯(125)의 수직부(125b)로 이동된다. 하지만, 핀(127a)은 도 28b에서처럼 분리 캠(82)의 캠 그루브(82r)의 배출부로 배출될 수 없기 때문에, 가이드 핀(12a)이 구속 레버(127)의 배면에 의해 저지되어 하강할 수 없게 된다. 그리고, 핀(22b)이 위치(H)로 이동하면, 분리 캠(82)도 앞으로 이동하며, 이에 따라 핀(127a)이 도 20b 및 도 40b에서처럼 캠 그루브(82r)의 배출부로 배출될 수 있게 된다. 구속 레버(127)의 핀(127a)은 스프링(128)의 가세력을 받아 분리 캠(82)의 캠 그루브(82r)의 배출부로 위쪽으로 이동하여, 구속 레버(128)의 배면측이 하강된다. 결과적으로, 상부 암(12)은 홀드스프링(89)에 의해 가세력을 받아 도 41에서처럼 하강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선택된 CD를 유지하게 된다.
하위 판(1e)에 제공된 지지부(92)를 유지 수단(14)의 회동 중심으로서의 속이 빈 축(86)을 통하여 배치함으로써 유지 수단(14)의 회전중심은 하위 판(1e)의 위에 정확히 위치하게 되고, 토글 스프링(120)으로 위치결정 핀(119)을 픽업 승강대(10)에 대해서 압박을 받아 유지함으로써, 턴테이블(97) 및 쳐크 판(99)은 원주방향의 궤적 상에서 정확하게 위치하게 된다. 또한, CD(171)를 유지하고 있는 트레이(2)를 안내하는 가이드 지지부(23)도 지지부(92)와 같은 방식으로 하위 판(1e) 상에 제공됨으로써, CD(171)도 하위 판(1e)의 위에 정확하게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재생되어야 할 CD, 턴테이블(97) 및 쳐크 판(99)의 중심들이 서로 일치하게 되어 CD(171)를 확실히 유지하게 된다.
외부 슬라이더(140)는 앞으로 진행하여 핀(22b)이 도 23b에 도시한 것처럼 제 5단계로서 위치(I)에 위치하게 되면, 선택된 트레이(2)의 핀(2k)이 도 28a에서처럼 하단 고정부(82m)로 하강하게 된다. 따라서, 선택된 CD(171)에 접촉한 선택된 트레이(2)가 도 33에서처럼 하강하여 그것으로부터 분리되자마자, 선택된 CD(171)를 보유(retain)하고 있는 판 스프링(2m)의 수용부(2q)가 분리 캠(82)의 배면측의 상위 고정부(82j)의 하면에 의해 위로 밀려서 선택된 CD(171)가 개방한다. 이때, 선택된 트레이(2) 아래의 트레이(2)는 분리 캠(82)의 하면(82h)에 의해 보유되며, 선택된 트레이(2) 위의 트레이(2)는 코일 스프링(24)에 의해 아래로 편향됨으로써, 진동하는 차량의 영향 하에서 트레이(2)가 진동되는 것이 방지된다.
상술한 것처럼 유지 수단(14)에 의해 선택된 CD를 유지한 후에, 도 38에 도시한 것처럼 유지 수단(14)에 의해 위치(A)에 유지된 상태로 CD가 재생된다. 스핀들 모터(96)가 회전함으로써, CD는 턴테이블(97)에 의해 회전된다. 그리고, 픽업 장치(16)의 스캐닝 모터(165)가 회전되며, 이 회전은 나사축(164)에 전달되어 광 픽업(165)이 안쪽으로부터 바깥쪽으로 CD의 방사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CD의 재생이 수행된다.
CD 재생 후에, 나사축(164)은 역회전하여 광픽업(162)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그리고, 스캐닝 모터(165)의 회전이 정지하고, 또한 스핀들 모터(96)도 정지하게 된다. 그 다음에, 역 단계를 거쳐서, 외부 슬라이더(140)는 후진 방향으로 이동되고, 분리 캠(82) 또한 후진 방향으로 이동된다.
핀(127a)이 도 4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치(H)에서 위치(G)로 돌아갈 때에, 도 4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치되어 있는 구속 레버(127)의 핀(127a)은 도 4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리 캠(82)의 배출부로부터 분리되어, 구속 레버(127)의 후면부를 낮게 한다. 결과적으로, 지지수단(14)으로부터 외부로 돌출한 가이드 핀(12a)은 가이드 슬롯(125)의 수직부(125b)를 따라 상부로 밀쳐지게 되어 지지수단(14)을 회전 가능한 상태에 있도록 한다. 그 후에는, 도시되지 않는 센서는 가이드 핀(12a)의 상부 이동을 감지하여 상기 방향과는 반대의 방향 내에서 전달 모터(46)를 회전시키게 된다. 그러므로 지지수단(14)의 후방회전(backward rotation)이 이루어진다. 도 1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치(b)내에 있었던 위치 핀(119)이 변곡점으로서 그 위치(c)를 지나치게 될 때에는, 토글 스프링(120)의 가세력은 도 1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치 핀(119)을 위치(b)로 회전시키도록 반대의 방향 내에서 작용하여, 지지수단(14)을 위치(b) 또는 대기 위치로 돌아가게 한다. 도시되지 않은 제한 스위치는 전달 모터(46)의 회전을 중지시키도록 지지수단(14)의 회전을 검출한다. 지지수단(14)은 대기 위치(b)에서도 토글 스프링(120)에 의해 후방으로 향하게 된다. 그리하여 진동하는 자동차로부터 영향을 받지 않게 된다. 도 2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슬라이더(140)가 후방으로 이동하여 핀(22b)을 대기위치(D)로 이동시킬 때에, 분리 캠(82)도 역시 후방으로 이동하여 제 1 ~ 제 3트레이(2)의 모두를 하강시켜 6 개의 트레이들이 분리되지 않을 때에 도 29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로 트레이들(2)을 이동시킨다.
제 2CD가 아닌 다른 CD를 재생할 때에, 내부 슬라이더(139)가 도 2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상태에서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하여 핀(22b)을 내부 슬라이더(139)에 할당된 위치(1)와 위치(3-6)들중 어느 위치로 이동시키게 된다. 그 후에, 외부 슬라이더(140)는 미끄러져 외부 슬라이더(140)상의 위치(D-I)를 핀(22b)에 연속으로 정렬시켜, 상술한 바와 같이 동일한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음성 재생을 위한 디스크 재생기에 디스크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를 적용시키는 실시 예가 도시되어 있다. 즉, 디스크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는 음성 기록 또는 기록/재생장치들 또는 영상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들에 적용될 수 있다. 게다가 트레이들이 수직으로 배치되어 있고, 선택적으로 트레이들이 수평으로 배치되어 있는 실시 예가 도시되어 있다. 게다가, 디스크는 실시 예에서 12cm의 크기를 가지고 있다. 또는 그것은 8cm와 같은 다른 크기를 가질 수가 있다.
게다가, 실시 예에서는, 디스크 지지판은 제한되어 있지 않은 트레이의 형태로 되어 있다. 디스크 지지판은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의 디스크 투입/배출 구로부터의 투입과 트레이를 배치시키는 과정에서 디스크의 경로를 일시적으로 지지하는 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는 디스크 지지판과 디스크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는 다음의 효과들을 발생한다.
1) 본 발명의 디스크 지지판은 접착층을 통해 기판의 표면상에 식모층을 배치시킴으로써 형성된다. 그러므로 식모층을 통해 디스크를 보호하게 된다.
2)정전식모장치를 사용하면 희망하는 형태와 위치에 식모층을 쉽게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식모층은 디스크 장착면상의 기판의 끝단을 따라 형성되거나, 또는 기판의 끝단 부분 내에서 형성될 수 있다. 그리하여 가장자리 부분으로부터 디스크를 보호하게 된다. 게다가, 식모층은 희망하는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짧은 식모 섬유들이 사용되는 상태에서, 0.05 ~ 0.5mm 두께의 식모층이 얻어지며, 이것은 더욱 얇은 디스크 지지판을 얻을 수 잇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다수의 지지판들을 포함하는 구조는 또한 디스크 지지판들의 크기가 누적감소(cumulative reduction)하므로 커다란 효과를 발생시키게 된다.
3) 디스크 지지판에 대해서 디스크를 투입과 배출시킬 때에, 식모층은 디스크를 청소하여 먼지를 제거하고, 디스크의 표면에 배치된다.
4) 본 발명의 디스크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는 접착층을 통해 기판에 배치된 식모층을 가지는 디스크 지지판을 사용한다. 그러므로 전체 장치의 두께와 크기를 감소시킬 수가 있다.
게다가, 서보 에러로 인해 디스크 런어웨이(runaway)가 발생할 때에, 식모층은 디스크 지지판과 회전 디스크가 접촉하여 발생되는 디스크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게다가, 식모층은 재생 시스템에 대한 영향을 감소시키기 위해서 대기 디스크(standby disc)의 변화를 제한할 수 있다. 그러므로 판독수행시 개선과 측면 잡음(lateral noise)의 감소효과가 있다.
양호한 실시 예를 통해 본 발명을 기술했지만, 본 발명은 그에만 제한되어 있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상태에서 여러 가지 수정과 변경들이 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잇다.
일본 특허 2000-230337의 전체 내용은 여기에서 참조난에 포함되어져 있다.

Claims (27)

  1. 디스크 트레이 선반에 있어서,
    디스크 투입면에 엣지을 포함하는 기판과,
    상기 기판 위에 위치된 접착층과,
    상기 접착층을 통하여 상기 기판 위에 위치한 식모층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트레이 선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은 금속판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트레이 선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은 디스크 투입을 안내하는 엣지의 중앙부에 돌출부를 구성하고
    상기 돌출부는 끝을 향하여 더 얇은 두께를 갖는 경사면을 포함하고,
    상기 식모층은 상기 경사면 위에는 위치하는 것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트레이 선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은 약 0.3mm 두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트레이 선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층은 약 0.01 ~ 0.05mm 두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트레이 선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식모층은 엣지를 포함하는 기판의 전체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트레이 선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식모층은 상기 기판의 표면과 아랫면 중 어느 한 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트레이 선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식모층은 상기 기판의 엣지를 따라서 설치된 제 1부분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트레이 선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식모층은 디스크 배출면상의 기판의 다른쪽 엣지를 따라 설치된 제 2부분과, 제 1부분과 제 2부분 사이에 설치된 제 3부분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더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트레이 선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식모층의 제 1, 제 2 및 제 3부분의 하나는 불연속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트레이 선반.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 3부분은 디스크 투입 및 배출 방향에 대하여 평행하도록 기판의 중심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트레이 선반.
  12.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식모층의 상기 제 3부분은 상기 기판의 중심에 대하여 대칭적으로 설치된 2개 부분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트레이 선반.
  13.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식모층은 약 0.05 ~ 0.5mm 두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트레이 선반.
  14. 디스크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에 있어서,
    디스크를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트레이 선반은,
    디스크 투입면상의 엣지을 포함하는 기판과,
    상기 기판 위에 위치하는 접착층과,
    상기 접착층을 통하여 상기 기판 위에 위치하는 식모층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트레이 선반은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16.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은 금속판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은 상기 디스크가 투입되게 하는 엣지의 중앙부에 돌출부를 구성하고,
    상기 돌출부는 끝을 향하여 보다 두께가 얇아지도록 경사면을 포함하고,
    상기 식모층은 상기 경사면 위에는 위치하는 것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18.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은 약 0.3mm 두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19.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층은 0.01 ~ 0.05mm 두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20.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식모층은 엣지를 포함하는 상기 기판의 전체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21.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식모층은 상기 기판의 표면과 아랫면 중 어느 한 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22.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식모층은 상기 기판의 엣지를 따라 설치된 제 1부분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23.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식모층은 디스크 배출면상의 기판의 다른쪽 엣지을 따라 설치된 제 2부분과, 상기 제 1부분과 상기 제 2부분 사이에 설치된 제 3부분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더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24.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식모층의 제 1, 제 2 및 제 3부분의 하나는 불연속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25.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제 3부분은 디스크 투입 및 배출 방향에 대하여 평행하도록 기판의 중심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26.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제 3부분은 상기 기판의 중심에 대하여 대칭적으로 설치된 2개 부분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27.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식모층은 약 0.05 ~ 0.5mm 두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KR1020010045665A 2000-07-31 2001-07-28 디스크 트레이 선반 및 디스크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KR10079253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0-00230337 2000-07-31
JP2000230337A JP4292695B2 (ja) 2000-07-31 2000-07-31 ディスク受板とディスク記録及び/又は再生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11094A KR20020011094A (ko) 2002-02-07
KR100792539B1 true KR100792539B1 (ko) 2008-01-09

Family

ID=187233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45665A KR100792539B1 (ko) 2000-07-31 2001-07-28 디스크 트레이 선반 및 디스크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646974B2 (ko)
JP (1) JP4292695B2 (ko)
KR (1) KR100792539B1 (ko)
CN (1) CN1161776C (ko)
DE (1) DE10137255B4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169125A1 (en) * 2003-05-30 2005-08-04 Fujitsu Limited Optical information storage apparatus and optical information storage system
AU2003241676A1 (en) * 2003-05-30 2005-01-21 Fujitsu Limited Optical information storage device and optical information storage system
JP2005053620A (ja) * 2003-08-01 2005-03-03 Fuji Photo Film Co Ltd シート体搬送用ガイド構造
US20070201320A1 (en) * 2004-03-25 2007-08-30 Toru Suzuki Recording Medium Playback Device
EP1732077A4 (en) * 2004-03-31 2008-11-19 Pioneer Corp RECORDING MEDIUM READER
EP1734520B1 (en) * 2004-03-31 2011-06-29 CLARION Co., Ltd. Disk clamp device
EP1734524B1 (en) * 2004-03-31 2011-06-22 CLARION Co., Ltd. Floating lock device
KR100539258B1 (ko) * 2004-04-14 2005-12-27 삼성전자주식회사 먼지 제거 장치를 구비한 광디스크 드라이브
JP4271192B2 (ja) * 2005-01-24 2009-06-03 富士通テン株式会社 ディスクチェンジャ
JP4659694B2 (ja) * 2006-07-06 2011-03-30 ソニー株式会社 ディスクトレイ、ディスクドライブ装置及びディスクチェンジャー装置
CN101918007B (zh) * 2007-08-28 2014-06-04 Fmc有限公司 延迟的自胶凝藻酸盐体系及其应用
JP5707736B2 (ja) * 2010-05-25 2015-04-30 ソニー株式会社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51491A (ja) * 1993-02-24 1994-09-09 Ricoh Co Ltd 光ディスク駆動装置
KR950027769A (ko) * 1994-03-31 1995-10-18 배순훈 콤팩트디스크 체인저용 디스크매거진
US5584089A (en) * 1996-01-31 1996-12-17 Huang; Kuan-Di CD case with a platter and cleaning means driven by a single driving device
KR970009819A (ko) * 1995-08-02 1997-03-27 도미따 스미히로 고형 투석용제 및 그의 제조 방법
KR19980044036U (ko) * 1996-12-26 1998-09-25 김영환 캠팩트 디스크 플레이어의 오물 제거장치
KR20020082090A (ko) * 2001-04-24 2002-10-30 정지우 콤팩트디스크 보관장치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3756A (ja) * 1982-06-29 1984-01-10 Shin Etsu Polymer Co Ltd 磁気デイスクカ−トリツジ
US5147036A (en) * 1991-05-03 1992-09-15 Jacobs Raphael G Compact disc packaging system
GB2278710B (en) * 1993-06-03 1998-01-14 Tdk Corp Cleaning disc cartridge
US6031811A (en) * 1995-06-26 2000-02-29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Arrangement of subtrays in a main tray of an optical disc drive apparatus
KR19980036429A (ko) * 1996-11-18 1998-08-05 김광호 광 디스크 플레이어의 트레이
JP3565248B2 (ja) * 1998-04-17 2004-09-15 パイオニア株式会社 ディスク再生装置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51491A (ja) * 1993-02-24 1994-09-09 Ricoh Co Ltd 光ディスク駆動装置
KR950027769A (ko) * 1994-03-31 1995-10-18 배순훈 콤팩트디스크 체인저용 디스크매거진
KR970009819A (ko) * 1995-08-02 1997-03-27 도미따 스미히로 고형 투석용제 및 그의 제조 방법
US5584089A (en) * 1996-01-31 1996-12-17 Huang; Kuan-Di CD case with a platter and cleaning means driven by a single driving device
KR19980044036U (ko) * 1996-12-26 1998-09-25 김영환 캠팩트 디스크 플레이어의 오물 제거장치
KR20020082090A (ko) * 2001-04-24 2002-10-30 정지우 콤팩트디스크 보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2050165A (ja) 2002-02-15
DE10137255A1 (de) 2002-02-21
DE10137255B4 (de) 2012-09-20
CN1161776C (zh) 2004-08-11
CN1350293A (zh) 2002-05-22
US20020024895A1 (en) 2002-02-28
KR20020011094A (ko) 2002-02-07
US6646974B2 (en) 2003-11-11
JP4292695B2 (ja) 2009-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92539B1 (ko) 디스크 트레이 선반 및 디스크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USRE42482E1 (en) Disc support plate, disc changer mechanism, and disc recording and/or reproducing device
US6760283B2 (en) Disk recording and/or reproducing device with starting and ejection control means
KR100300378B1 (ko) 디스크장치
JP2001101754A (ja) ディスクの記録及び/又は再生装置
JP2001351302A (ja) ディスクの記録及び/又は再生装置
JP2001101755A (ja) ディスクの記録及び/又は再生装置
US6487159B1 (en) Disc player
JP2001101762A (ja) ディスクの記録及び/又は再生装置
US6683828B1 (en) Disc holding device and disc recording and/or reproducing device including disc mounting mechanisms and bias mechanisms for biasing a disc towards the mounting mechanisms
JP4099587B2 (ja) ディスク記録及び/又は再生装置
JP3588844B2 (ja) ディスクローディング装置及び記録及び/又は再生装置
JP3978954B2 (ja) ディスクの記録及び/又は再生装置
JP2001351307A (ja) ディスクの記録及び/又は再生装置
JP2001101759A (ja) ディスクの記録及び/又は再生装置
JP2001101758A (ja) ディスクの記録及び/又は再生装置
JP2002184084A (ja) ディスクの記録及び/又は再生装置
JP2001351308A (ja) ディスクの記録及び/又は再生装置
JP2001351303A (ja) ディスクの記録及び/又は再生装置
JP2001101760A (ja) ディスクの記録及び/又は再生装置
JP2001351306A (ja) ディスクの記録及び/又は再生装置
JP2001101757A (ja) ディスクの記録及び/又は再生装置
JP2002170313A (ja) ディスクの記録及び/又は再生装置
JP2001351305A (ja) ディスクの記録及び/又は再生装置
JP2002208210A (ja) ディスクの記録及び/又は再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22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