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78095B1 - 가열 보강 처리 장치, 상기 장치를 포함하는 융착 접속기,및 융착 접속 방법 - Google Patents

가열 보강 처리 장치, 상기 장치를 포함하는 융착 접속기,및 융착 접속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78095B1
KR100878095B1 KR1020087008789A KR20087008789A KR100878095B1 KR 100878095 B1 KR100878095 B1 KR 100878095B1 KR 1020087008789 A KR1020087008789 A KR 1020087008789A KR 20087008789 A KR20087008789 A KR 20087008789A KR 100878095 B1 KR100878095 B1 KR 1008780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ing
heating element
heat
optical fiber
reinforc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087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39545A (ko
Inventor
류이치로 사토
겐스케 이토
츠토무 와타나베
Original Assignee
스미토모 덴키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5168965A external-priority patent/JP4161984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5201446A external-priority patent/JP4196972B2/ja
Application filed by 스미토모 덴키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스미토모 덴키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395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395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80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80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255Splicing of light guides, e.g. by fusion or bonding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255Splicing of light guides, e.g. by fusion or bonding
    • G02B6/2551Splicing of light guides, e.g. by fusion or bonding using thermal methods, e.g. fusion welding by arc discharge, laser beam, plasma torch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245Removing protective coverings of light guides before coupling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255Splicing of light guides, e.g. by fusion or bonding
    • G02B6/2553Splicing machines, e.g. optical fibre fusion splice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lasma & Fus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echanical Coupling Of Light Guides (AREA)

Abstract

과부족이 없는 가열 시간으로 신속하고도, 효율적으로 보강 처리를 실시할 수 있는 가열 보강 처리 장치와, 이 장치가 탑재된 융착 접속기와, 융착 접속 방법을 제공한다. 이 장치에 있어서 융착 접속부에 씌운 보강 슬리브를 가열 수축시키는 가열부는, 각각 독립한 스위치에 의해 온·오프 되어, 상이한 타이밍에서 복수의 보강 슬리브를 개별적으로 가열할 수 있는 복수의 발열체 또는 스위치에 의해 온·오프 되는 발열체를 갖는다. 이 장치는 보강 슬리브가 발열체 위에 있는지 여부를 검출해서 스위치를 온·오프 하는 검지부를 구비해도 좋다.

Description

가열 보강 처리 장치, 상기 장치를 포함하는 융착 접속기, 및 융착 접속 방법{SPLICE PROTECTION HEATER, FUSION SPLICER INCLUDING THE SPLICE PROTECTION HEATER, AND FUSION SPLICING METHOD}
본 발명은 광파이버의 융착 접속부를 덮는 보강 슬리브를 가열 수축 시킴으로써 융착 접속부를 보강하는 가열 보강 처리 장치, 상기 가열 보강 처리 장치를 포함하는 융착 접속기, 및 융착 접속 방법에 관한 것이다.
광파이버의 융착 접속은 광파이버의 접속단의 보호 피복을 제거하고, 노출된 유리 파이버의 맞대기 단부를 가열 용융하여 행해진다. 융착 접속된 광파이버의 유리 파이버가 노출된 부분은 기계적인 강도가 약하기 때문에, 보강 슬리브에 의해 보호할 필요가 있다. 보강 슬리브는 통상, 가열에 의해 직경 방향으로 수축하는 열수축성 튜브 내에 가온 용융 접착 수지와 항장력체("보강 막대" 라고도 함)를 수납하여 구성되어 있다(예를 들어, 특허 문헌 1 참조).
일반적으로, 융착 접속된 광파이버의 보강 처리를 실행할 경우, 보강 슬리브 를 씌운 상태에서 광파이버의 융착 접속부를 가열 보강 처리 장치의 수납부에 배치한다. 이어서, 발열체의 스위치를 온(ON) 하고, 융착 접속부를 소정 시간 가열한 후 스위치를 오프(OFF) 하고, 보강 슬리브를 가열 보강 처리 장치로부터 취출한다. 발열체의 스위치는 가열 보강 처리 장치에 융착 접속부가 있는지 여부에 의하지 않고, 작업자의 타이밍으로 온 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러나 예를 들면, 융착 접속부를 가열 보강 처리 장치의 수납부에 배치한 후 스위치를 켜는 것을 잊어, 시간적인 손실을 발생시키는 경우가 있다. 더 나아가, 작업자가 스위치를 켜는 것을 잊은 사실을 알지 못하고, 일정 시간 경과 후에 보강 처리가 되어 있지 않은 광파이버를 가열 보강 처리 장치로부터 꺼냈을 경우, 융착 접속부를 파단하거나 손상을 입히는 경우도 있다. 또한, 융착 접속부를 가열 보강 처리 장치의 수납부에 배치하기 전에 스위치를 넣으면, 실제의 가열 시간이 적어지고 양호한 보강 처리가 행하여 질 수 없게 된다. 수동에 의한 발열체의 스위치 켜기 또는 끄기를 잊어버리는 것은, 충분히 주의하고 있어도 발생할 가능성이 있고, 또한 스위치의 온, 오프의 타이밍도 일정하지 않다.
또한, 복수개의 광파이버를 일괄하여 융착 접속하고, 복수개를 일괄하여 보강 처리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2 참조). 이 경우, 각 융착 접속부를 가열 보강 처리 장치의 가열대에 각각 개별의 홈을 설치해서 배치하는 것으로 해도, 단일 스위치를 이용하여 발열체를 온 시켜, 복수의 융착 접속부를 일괄하여 가열 보강하는 형태가 된다. 이 때문에, 보강 슬리브의 종류가 상이하고, 상이한 가열 시간 처리하는 것이 필요할 경우에는 적용할 수 없다. 또한, 일단 발열 체의 스위치를 온 하면, 가열 보강 처리가 종료할 때까지는 도중에 보강 슬리브를 추가할 수는 없다.
또한, 일반적인 융착 접속에서는, 접속 작업에 따른 시간은 10∼20초인 것에 대해 보강 작업에 요하는 시간은 40∼135초이다. 이 때문에, 접속 작업을 신속하게 수행하였다 한들, 선행하는 융착 접속된 광파이버의 가열 보강 처리가 종료할 때까지는 다음 융착 접속된 광파이버의 보강 작업에 착수할 수 없고, 대기 상태가 되어 기다리는 시간이 생긴다. 보강 작업 동안은 접속 작업을 실행할 수는 있지만, 융착 접속된 채로 미 보강 상태에 있는 융착 접속부는 매우 약하다. 이 때문에, 다량의 보강 대기의 융착 접속된 광파이버를 모아 두는 상황은 융착 접속부에 외력이 가해지고, 꺾이며, 손상이 생기는 등의 문제를 발생시킬 우려가 있다.
특허 문헌 1 : 일본 특허공개 제 1997-297243 호 공보
특허 문헌 1 : 일본 특허공개 제 1990-72305 호 공보
본 발명의 목적은 접속 작업과 그에 따르는 보강 작업 사이에서 대기 시간을 발생시키지 않고 효율적으로 가열 보강 처리를 실시할 수 있으며, 보강 슬리브마다 적절한 가열 보강 처리가 가능한 가열 보강 처리 장치, 상기 가열 보강 처리 장치를 포함하는 융착 접속기, 및 융착 접속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발열체의 스위치의 온, 오프 조작의 인위적인 실수를 방지할 수 있고, 과부족이 없는 가열 시간으로 신속하면서도 효율적으로 보강 처리를 실시 할 수 있는 가열 보강 처리 장치, 상기 가열 보강 처리 장치를 포함하는 융착 접속기, 및 융착 접속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각각 독립한 스위치에 의해 온·오프 되고, 다른 타이밍으로 복수의 보강 슬리브를 개별적으로 가열하는 것이 가능하여, 차열 부재에 의해 분리되는 복수의 발열체와, 발열체의 발열 부분을 둘러싸는 개폐 가능한 발열체 커버와, 발열체의 양단측에서 광파이버를 파지하는 클램퍼를 갖고, 적어도 하나의 광파이버의 융착 접속부에 씌운 적어도 하나의 보강 슬리브를 가열 수축시키는 가열부를 구비하는 가열 보강 처리 장치와 이 가열 보강 처리 장치가 탑재된 융착 접속기가 제공된다. 발열체 커버는 각각의 발열체마다 개별적으로 개폐 가능한 복수의 커버부를 갖고 있어도 좋다. 클램퍼는 각각의 발열체마다 위치된 광파이버를 개별적으로 파지하는 복수의 클램퍼부를 갖고 있어도 좋으며, 복수의 클램 퍼부는 파이버에 개별적으로 장력을 인가할 수 있는 장력 부여 기구를 갖고 있어도 좋다.
또한, 적어도 제 1 및 제 2 광파이버를 융착 접속하고, 제 1 및 제 2 광파이버의 융착 접속부에 제 1 및 제 2 보강 슬리브를 각각 씌워, 가열 보강 처리 장치의 제 1 발열체의 스위치를 제 1 타이밍에서 온 하여, 제 1 보강 슬리브의 가열 수축을 시작하고, 가열 보강 처리 장치의 제 2 발열체의 스위치를 제 2 타이밍에서 온 하여, 제 2 보강 슬리브의 가열 수축을 시작하는 광파이버 융착 접속 방법이 제공된다.
다른 면에 있어서, 스위치에 의해 온·오프 되는 발열체와, 발열체의 발열 부분을 둘러싸는 개폐 가능한 발열체 커버와, 발열체의 양단측에서 광파이버를 파지하는 클램퍼를 갖고 광파이버의 융착 접속부에 씌운 보강 슬리브를 가열 수축시키는 가열부와, 보강 슬리브가 발열체 상에 있는지 여부를 검출하여 스위치를 온·오프 하는 검지부를 구비하는 가열 보강 처리 장치와 이 가열 보강 처리 장치가 탑재된 융착 접속기가 제공된다. 검지부는 예를 들면, 보강 슬리브가 발열체 위에 위치되어 있는지 여부를 광학적 또는 자기적으로 검출하는 센서, 발열체 커버의 개폐를 광학적 또는 자기적으로 검출하는 센서, 혹은 기계적으로 검출하는 마이크로 스위치, 클램퍼의 개폐를 광학적 또는 자기적으로 검출하는 센서, 혹은 기계적으로 검출하는 마이크로 스위치, 광파이버 자체가 가열 보강 처리 장치 위에 놓여져 있는지 여부를 광학적 또는 기계적으로 검출하는 마이크로 스위치이다.
또한, 광파이버를 융착 접속하고, 광파이버의 융착 접속부에 보강 슬리브를 씌우고, 가열 보강 처리 장치의 발열체 위로 보강 슬리브가 놓여져 있는지 여부를 검출하고, 보강 슬리브가 발열체 위에 놓여져 있는 것을 검출함으로써 발열체의 스위치를 자동으로 온 하고, 보강 슬리브의 가열 수축을 시작하는 광파이버 융착 접속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이들 및 그 이외의 특색과, 여러 가지 태양, 이익은 이하의 명세서와, 청구항, 첨부 도면에 의해 보다 잘 이해될 것이다. 도면의 설명에 있어서 동일한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가열 보강 처리 장치의 제 1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개념도이다. 가열 보강 처리 장치(33)는 광파이버(1)(단심선 또는 파이버 리본)의 보강 슬리브(3)를 씌운 융착 접속부(2)를 가열부(4)에서 가열 보강 처리하는 것이다. 가열부(4)는 베이스(5)의 양단 부분에 클램퍼(6)를 구비하고, 중앙 부분에 발열체(7)를 설치하여 이루어지고, 좌우의 클램퍼(6)로 융착 접속된 광파이버를 느슨하지 않게 유지한다.
보강 슬리브(3)를 씌운 융착 접속부(2)를 발열체(7) 위에 배치한 후, 가열부(4)를 발열체 커버(도시 생략)로 둘러싸고, 스위치(8)를 온 하여 발열체(7)로 통전하여, 보강 슬리브(3)를 가열 수축시킨다. 소정 시간의 통전 가열로 보강 슬리브(3)의 가열 처리가 종료하면, 스위치(8)가 오프 된다. 또한, 발열체(7)의 통전에는 별도의 전원 스위치(10)를 설치할 수 있다. 보강 슬리브(3)는 열수축성 튜브 내에 가온 용융(hot melt) 접착 수지 등의 열용융 부재와 스테인리스 막대, 자석막대, 또는 유리 세라믹 막대 등으로 형성된 보강 막대를 수납하여 이루어진다. 보강 슬리브(3)는 미리 광파이버(1)의 일측에 관통 삽입되어, 융착 접속후에 융착 접속부(2)에 덮히도록 이동된다.
가열 보강 처리 장치(33)는 보강 슬리브(3)를 씌운 융착 접속부가 가열 보강 처리 장치의 발열체 위로 착탈되는 것을 검지부(9)에 의해 검출함으로써, 자동으로 발열체(7)의 스위치(8)를 온·오프 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 1 실시 형태의 가열 보강 처리 장치에 의하면, 스위치를 켜는 것을 잊어버리거나 끄는 것을 잊어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2는 가열 보강 처리 장치내의 융착 접속부를 광학적으로 검출하는 검지부를 설명하는 개념도이다. 이 예에서는, 보강 슬리브(3)가 수납되는 수납부(11)의 측벽(12a)에, 발광 다이오드 등의 발광 소자(13)를 배치하여, 반대측의 측벽(12b)에 포토 다이오드 등의 수광 소자(14)를 배치하고, 융착 접속부(2)의 착탈 상태를 검출한다. 융착 접속부(2)가 가열 장치내에 셋트되면, 발광 소자(13)로부터 수광 소자(14)로의 광을 차단하고, 융착 접속부(2)의 장착을 무접촉으로 광학적으로 검출한다. 그리고, 발열체(7)의 스위치가 자동적으로 온 되어 통전이 개시된다. 또한, 융착 접속부(2)가 수납부(11)로부터 꺼내어져, 발열체(7)의 스위치가 자동적으로 오프 되어 통전이 해제된다. 또한, 스위치의 오프에는 타이머를 병용하여, 가열 시간을 정확하게 계측하도록 해도 좋다. 이 방법은 융착 접속부(2) 자체의 유무를 직접 검출하므로, 안전하면서도 확실한 제어를 기대할 수 있다.
도 2의 구성에 있어서, 보강 슬리브(3)의 보강 막대로서 자기 센서로 검출 가능한 자석 막대 등을 사용하고, 발광 소자, 수광 소자로 바꾸어 자기 센서를 매설해도 좋다. 자기 센서로서는 예를 들면, 자기 저항 소자, 홀(hall) 소자, 리드 스위치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융착 접속부(2)의 장착에 의해 발열체(7)의 스위치가 자동적으로 온 되어 통전이 개시된다. 또한, 융착 접속부(2)가 수납부(11)로부터 꺼내짐으로써, 발열체(7)의 스위치가 자동적으로 오프 되어 통전이 해제된다. 또한, 스위치의 오프에는 상기와 같이 타이머를 병용하여, 가열 시간을 정확하게 계측하도록 해도 좋다.
도 3 내지 도 5는 가열 보강 처리 장치내의 융착 접속부를, 가열부를 둘러싸는 발열체 커버의 개폐를 이용해서 검출하는 검지부를 설명하는 개념도이며, 도 3은 자기적으로 검출하는 예이다. 측벽(12a) 측에 힌지 결합되어, 가열부를 둘러싸도록 개폐 가능하게 된 발열체 커버(15)에 마그네트(16)를 매설하고, 측벽(12b) 측에 자기 센서(17)를 매설한다. 자기 센서(17)로서는 예를 들면, 자기 저항 소자, 홀 소자, 리드 스위치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보강 슬리브(3)를 씌운 융착 접속부(2)를 수납부(11)에 넣어서 발열체(7) 위에 배치하고, 발열체 커버(15)를 닫으면 자기 센서(17)가 마그네트(16)의 근접을 검출하고, 발열체(7)의 스위치를 자동적으로 온 하여 통전이 개시된다. 또한, 융착 접속부(2)를 수납부(11)로부터 꺼내기 위해서 발열체 커버(15)를 개방하면, 발열체(7)의 스위치가 자동적으로 오프 되어 통전이 해제된다.
도 4는 마이크로 스위치로 기계적으로 검출하는 예이다. 측벽(12b) 측에 발 열체 커버(15)의 개폐에 의해 작동하는 마이크로 스위치(18)를 설치한다. 발열체 커버(15)를 닫으면 발열체 커버(15)가 마이크로 스위치(18)의 스위치 레버(18a)를 가압하고, 발열체(7)의 스위치를 자동적으로 온 해서 통전이 개시된다. 또한, 발열체 커버(15)를 개방하면 마이크로 스위치(18)의 스위치 레버(18a)의 가압이 해제되어, 발열체(7)의 스위치가 자동적으로 오프 되어 통전이 해제된다.
도 5는 광학적으로 검출하는 예이다. 측벽(12b) 측에 발광·수광 소자로 이루어지는 광학 센서(19)와 광 셔터 부재(20)를 설치한다[광 센서(19)의 상세는 후술하는 도 10 참조]. 발열체 커버(15)를 닫으면, 발열체 커버(15)는 광 셔터 부재(20)를 아래로 가압하여, 셔터 부재(20)가 광학 센서(19)의 발광 소자, 수광 소자 사이에 배치됨으로써, 발열체 커버(15)는 광학 센서(19)를 작동시켜, 발열체(7)의 스위치를 자동적으로 온 하여 통전이 개시된다. 또한, 발열체 커버(15)를 열면, 광 셔터 부재(20)의 가압이 해제되고, 발열체(7)의 스위치가 자동적으로 오프 되어 통전이 해제된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되는 예와 같이, 보강 슬리브(3)를 씌운 융착 접속부(2)가 가열 보강 처리 장치에 셋트되어, 발열체 커버(3)를 개폐함으로써 발열체의 스위치가 자동적으로 온, 오프 되므로, 스위치를 켜는 것을 잊어버리거나 끄는 것을 잊어버리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발열체의 가열은 보강 슬리브(3)가 가열부에 세트된 상태에서 행하여지므로, 가열 시간이나 가열 환경을 균일하게 할 수 있고, 일정 품질의 가열 처리를 실시 할 수 있다. 또한, 스위치의 오프에는 타이머를 병용하고, 가열 시간을 정확하게 계측하도록 해도 좋다.
도 6 내지 도 8은 가열 보강 처리 장치내의 융착 접속부를 클램퍼(6)의 개폐를 이용해서 검출하는 검지부를 설명하는 개념도이며, 도 6은 자기적으로 검출하는 예이다. 클램퍼(6)는 개폐 가능하게 힌지 결합된 가압 부재(6a)와 광파이버(1)를 소정 위치에 파지하기 위한 V홈(6c)을 설치한 클램프 베이스(6b)로 되어 있다. 가압 부재(6a) 측에 마그네트(16)를 매설하고, 클램프 베이스(6b) 측에 자기 센서(17)를 매설한다. 자기 센서(17)로서는 예를 들어, 자기 저항 소자, 홀 소자, 리드 스위치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가압 부재(6a)를 닫으면, 자기 센서(17)가 마그네트(16)의 근접을 검출하고, 발열체(7)의 스위치를 자동적으로 온 해서 통전이 개시된다. 또한, 가압 부재(6a)를 개방하면, 발열체(7)의 스위치가 자동적으로 오프 되어 통전이 해제된다.
도 7은 마이크로 스위치로 기계적으로 검출하는 예이다. 클램프 베이스(6b) 측에 가압 부재(6a)의 개폐에 의해 작동하는 마이크로 스위치(18)를 설치한다. 가압 부재(6a)를 닫으면, 가압 부재(6a)가 마이크로 스위치(18)의 스위치 레버(18a)를 누르고, 발열체(7)의 스위치를 자동적으로 온 해서 통전이 개시된다. 또한, 가압 부재(6a)를 열면 마이크로 스위치(18)의 스위치 레버(18a)의 가압이 해제되어, 발열체(7)의 스위치가 자동적으로 오프 되어 통전이 해제된다.
도 8은 광학적으로 검출하는 예이다. 클램프 베이스(6b) 측에 발광·수광 소자로 이루어지는 광학 센서(19)와 광 셔터 부재(20)를 설치한다. 가압 부재(6a)를 닫으면, 가압 부재(6a)가 광 셔터 부재(20)를 가압하여 광학 센서(19)를 작동시켜, 발열체(7)의 스위치를 자동적으로 온 해서 통전이 개시된다. 또한, 가압 부 재(6a)를 개방하면, 광 셔터 부재(20)의 가압을 해제하고, 발열체(7)의 스위치가 자동적으로 오프 되어 통전이 해제된다.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되는 예와 같이, 보강 슬리브(3)를 씌운 융착 접속부(2)가 가열 보강 처리 장치에 셋트되어, 클램퍼(6)의 가압 부재(6a)를 개폐함으로써 발열체(7)의 스위치가 자동적으로 온, 오프 되므로, 스위치를 켜는 것을 잊어버리거나 끄는 것을 잊어버리는 것을 방지 할 수 있다. 또한, 발열체의 가열은 보강 슬리브(3)가 가열부의 소정 위치에 셋트된 상태에서 행하여지므로, 그 가열 시간을 균일하게 할 수 있고, 일정 품질의 가열 처리를 실시 할 수 있다. 또한, 스위치의 오프에는 타이머를 병용하고, 가열 시간을 정확하게 계측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광파이버의 위치 변화의 검출 수단은, 가열부에서 이격된 열의 영향을 받기 어려운 클램퍼에 설치하는 것으로, 열화가 적은 안정된 동작 상태로 할 수 있다.
도 9, 도 10은 가열 보강 처리 장치 내의 융착 접속부를, 광파이버(1) 자체를 검출함으로써 검출하는 검지부를 설명하는 개념도이며, 도 9는 마이크로 스위치로 기계적으로 검출하는 예이다. 클램퍼(6)의 근방에 설치한 마이크로 스위치(18)의 스위치 레버(18a)를 광파이버로 직접 구동시킨다. 가압 부재(6a)를 닫으면, 광파이버가 마이크로 스위치(18)의 스위치 레버(18a)를 누르고, 발열체(7)의 스위치를 자동적으로 온 해서 통전이 개시된다. 광파이버는 느슨해지지 않도록 팽팽하게 신장되므로, 마이크로 스위치(18)를 구동하는데도 충분한 구동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융착 접속부(2)를 발열체상에서 꺼내기 위해 가압 부재(6a)를 개방하면, 마이크로 스위치(18)의 스위치 레버(18a)의 가압이 해제되고, 발열체(7)의 스 위치가 자동적으로 오프 되어 통전이 해제된다.
도 1O은 광학적으로 검출하는 예이며, (a)는 광파이버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수직한 평면에 관한 도면이고, (b)는 광파이버에 대하여 평행한 평면에 관한 도면이다. 클램퍼(6)의 근방에 광 센서를 설치한다. 광 센서는 스프링 등의 가압 부재(24)로 상방으로 힘을 받는 구동 부재(23)를 갖고, 구동 부재(23)는 셋트된 광파이버(1)로 하향 가압된다. 구동 부재(23)에는 광 셔터 편(23a)이 설치되고, 발광 소자(21)와 수광 소자(22)로 이루어지는 광학 센서를 광 셔터 편(23a)에 의해 차폐하고, 수광 소자(22)에서의 수광이 차단 되어 융착 접속부(2)의 장착을 검출하고, 발열체(7)를 자동적으로 온 해서 통전이 개시된다. 또한, 융착 접속부(2)를 발열체상에서 취출하면, 광 셔터 편(23a)이 상방의 위치로 되돌아오고, 발열체(7)의 스위치가 자동적으로 오프 되어 통전이 해제된다. 광파이버(1)는 대단히 가늘기 때문에, 광파이버(1) 자체에서 발광 소자로부터의 광을 직접 차단하는 것은 어렵지만, 상기의 구성을 사용함으로써, 파이버(1)의 위치 변화를 직접 검출할 수 있다.
도 9 내지 도 10에 도시되는 예와 같이, 광파이버(1)의 유무로 발열체(7)의 스위치가 자동적으로 온, 오프 되므로, 스위치를 켜는 것을 잊거나 끄는 것을 잊어버리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발열체의 가열은 융착 접속부(2)가 가열부의 소정 위치에 셋트된 상태에서 행하여지므로, 그 가열 시간을 균일하게 할 수 있고, 일정 품질의 가열 처리를 실시 할 수 있다. 또한, 스위치의 오프에는 타이머를 병용하고, 가열 시간을 정확하게 계측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광파이버의 위치 변화의 검출 수단은 가열부에서 이격된 열의 영향을 받기 어려운 클램퍼의 근방 에 설치할 수 있기 때문에, 열화가 적은 안정된 동작 상태로 할 수 있다.
도 11은 제 1 실시 형태의 가열 보강 처리 장치를 탑재한 융착 접속기를 도시하는 개념도이다. 융착 접속 기구부(32)는 아크 방전을 이용하여 단심의 융착 접속, 또는 다심의 일괄 융착 접속을 행할 수 있고, 융착 상태는 모니터 장치(31)에 의해 모니터 된다. 융착 접속 기구부(32)는 당업자에 있어서 주지이므로, 여기에서는 그 구조를 상세하게 설명하는 것을 생략한다. 또한, 도 11에서는 다심의 파이버 리본(26)을 일괄 융착 접속하는 예를 개시하고 있다. 광파이버를 융착 접속할 때에는, 어느 일방의 파이버 리본 측에 보강 슬리브(27)를 미리 관통 삽입해 두고, 융착 접속 후에 융착 접속부를 씌우도록 이동시킨다. 융착 접속기(30)는 제 1 실시 형태의 가열 보강 처리 장치(33)를 융착 접속 기구부(32)에 대하여 평행하게 설치하는 것으로, 융착 작업과 보강 작업을 일련의 작업으로서 효율적으로 실시할 수 있도록 한다.
파이버 리본(26)은 융착 접속 기구부(32)에서 서로 맞대어져 융착 접속된 후, 보강 슬리브(27)로 융착 접속부를 씌워, 인접하여 설치된 가열 보강 처리 장치(33)의 가열부에 연이어 셋트된다. 가열 보강 처리 장치(33)에서는 보강 슬리브(27)를 소정 위치에 셋트함으로써, 가열용 스위치가 자동적으로 온 되어, 스위치를 켜는 것을 잊어버리는 것을 방지하고, 소정의 가열 시간으로 효율적으로 가열 처리가 실시된다. 이어서, 보강 슬리브(27)를 꺼냄으로써 스위치가 오프 되어, 스위치를 끄는 것을 잊어버리는 것을 방지 할 수 있다.
또한, 가열 보강 처리는 융착 접속에 요하는 시간보다 긴 시간을 요하기 때 문에, 융착 접속 후 가열 보강 처리를 기다리는 대기 상태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파이버 보강 처리가 되어 있지 않은 상태의 융착 접속 광파이버는 기계적으로 약하고 손상되기 쉬우며 파단되기 쉽다. 이에 대하여는, 가열 보강 처리 장치(33)를 복수 설치하고, 융착 접속을 끝낸 광파이버의 가열 보강 처리의 대기 상태를 해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2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가열 보강 처리 장치의 제 2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개념도이며, 도 12는 사시도이고, 도 13은 발열체 커버를 제거한 상태의 정면도이며, 도 14는 클램퍼 및 발열체 커버를 개방한 상태에서의 도 13의 a-a 단면도이고, 도 15는 동일하게 도 13의 b-b 단면도이다. 가열 보강 처리 장치(33b)는 도 1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베이스(5)에 가열부로서, 적어도 2조의 가열 장치(4a, 4b)를 구비하고, 각 가열 장치(4a, 4b)에는 각각 독립한 스위치에 의해 온·오프 되는 발열체(7a, 7b)가 배설되어 있다. 또한, 도 12는 광파이버(1) 및 보강 슬리브(3)를 제거한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가열 장치(4a, 4b)는 각각 보강 슬리브(3)를 장착하는 수납 부분을 갖고, 보강 슬리브(3)의 양측으로 연기되는 광파이버(1)를 파지 고정하는 클램퍼(61, 62)를 구비하고, 우측의 클램퍼(62)에는 장력 부여 기구(41)가 연동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한, 각 가열 장치(4a, 4b)에는 보강 슬리브(3)를 덮는 발열체 커버(15b)가 설치되고 가열 장치(4a, 4b) 사이에는, 차열 부재(42)가 배치되어 있다. 베이스(5)에는, 가열 장치(4a, 4b)의 발열체(7a, 7b)를 작동시키는 스위치로서, 예를 들면 수동에 의해 온·오프 할 수 있는 푸쉬 버튼 스위치(10b)를 설치할 수 있다.
보강 슬리브(3)는 발열체(7a, 7b) 위에 위치되고, 그 양측으로 연기되는 광파이버(1)가 클램퍼(61, 62)에 의해 파지 고정된다(도 13). 2조의 가열 장치(4a, 4b)는 차열 부재(42)에 의해 구획되고, 각각의 발열체(7a, 7b)는 서로 열적으로 영향을 주지 않도록 된다(도 14). 보강 슬리브(3)는 발열체(7a, 7b)에 접하도록 각각의 가열 장치(4a, 4b)의 수납 부분에 위치된다. 보강 슬리브(3)의 양단으로부터 연기되는 광파이버(1)는 클램퍼(61, 62)의 클램프 베이스(도시하지 않음)에 위치된다.
보강 슬리브(3)를 가열하는 부분은 외부로 열이 방산되지 않도록 동작 중에는 발열체 커버(15b)에 의해 덮여진다. 이 발열체 커버(15b)는 각 발열체(7a, 7b)에 설치되고, 예를 들면 단면이 평판 형상 또는 L자 형상으로, 닫힐 때에 보강 슬리브(3)의 외면의 일부를 덮도록 구성되어 있다. 발열체 커버(15b)는 2개를 한 쌍으로, 좌우 대칭으로 양측으로 여는 형상으로 함으로써, 좁은 스페이스에서 설치할 수 있고, 작업성에 있어 우수한 것으로 될 수 있다.
또한, 발열체 커버(15b)의 양단으로부터 연동 로드(39)가 관통 돌출되어 있어서, 클램퍼(61, 62)의 개구창(61b, 62b)에 계합되어 있다. 따라서, 발열체 커버(15b)는 클램퍼(61, 62) 중 어느 하나를 닫음으로써, 이에 연동하여 닫힐 수 있다. 또한, 연동 로드(39)와 개구창(61b, 62b) 간의 간극이 크게 잡혀 있어, 유극(play)을 갖게 해서 연동하게 되어 있다. 발열체 커버(15b)와 클램퍼(61, 62)는 반드시 연동시킬 필요는 없고, 각각 개별적으로 조작하도록 해도 좋다.
클램퍼(61, 62)는 발열체마다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각각 독립하여 개 폐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클램퍼(62)는 핸들부(62c), 가압 부재(62a), 축지부(62d)의 3개의 각부로 이루어지고, 가압 부재(62a)에는 상술한 것 같이 발열체 커버(15b)의 연동 로드(39)가 계합하는 개구창(62b)이 설치된다(도 15). 좌측의 클램퍼(61)도 마찬가지로 구성되어 있다. 축지부(62d)는 피봇 개방되는 것 외에, 마그네트(43)를 매설해 두고, 클램프 베이스 측에도 자성체 또는 마그네트(44) 등을 매설하고, 자기 흡착에 의해 닫힌 상태를 고정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좌우의 클램퍼(61, 62)의 어느 일방 측에, 장력 부여 기구(41)를 설치할 수 있다. 장력 부여 기구(41)는 예를 들면 도 1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클램퍼(62)의 클램프 베이스 측을 스프링 등의 가압 부재(45)로 외측 방향으로 힘을 가함으로써, 슬라이드 축(41a)(도 15)에 따라 이동 가능하게 함으로써 실현 할 수 있다.
이 구성에 있어서, 광파이버의 융착 접속부에 보강 슬리브(3)를 씌워, 가열 장치(4a, 4b)에 셋트하기 위해서는, 우선, 우측의 클램퍼(62)에 광파이버(1)의 우측을 파지 고정시킨다. 이어서, 우측의 클램퍼(62)를 가압 부재(45)를 가압하여 좌측 방향으로 이동시켜, 이 상태를 유지하고, 좌측의 클램퍼(61)로 광파이버(1)의 좌측을 파지 고정시킨다. 그 다음, 가압 부재(45)로의 압축을 해제함으로써, 우측의 클램퍼(62)가 우측 방향으로 힘이 가해져, 융착 접속된 광파이버에 장력이 부여된다. 광파이버에 장력을 부여함으로써, 보강 슬리브(3)내에서의 광파이버는 굴곡이 적은 쫙 뻗은 상태가 되고, 보강 슬리브(3)가 가열 수축되어 내부의 가온 용융재가 용융 고착화했을 때에, 광파이버를 만곡이 없는 상태로 보강할 수 있다.
또한, 가열 보강 처리 장치는 가열 장치(4a, 4b)의 각각의 발열체(7a, 7b)가 서로 열적으로 영향을 미치게 하지 않도록, 발열체(7a, 7b) 사이를 열적으로 차폐하는 차열 부재(42)로 차열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차열 부재(42)에는 내열성, 단열성이 뛰어난 수지 등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형상적으로도 발열체 커버(15b)가 닫혀 질 때에, 보강 슬리브(3)의 주위를 막고, 발열체(7a, 7b)로부터의 열이 외부로 방산되지 않도록 폐색된 상태를 얻을 수 있는 형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적어도 2조의 가열 장치로 각각 독립한 스위치에 의해 상이한 타이밍으로 온·오프 할 수 있는 발열체를 배치하고, 각각 독립해서 개폐할 수 있는 발열체 커버, 클램퍼 및 장력 부여 기구를 구비하는 구성에 의해, 대기 상태를 발생시키지 않고, 융착 접속을 끝낸 직후의 광파이버에 보강 슬리브를 덮고, 즉시 가열 보강 처리를 실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로써, 광파이버의 벗겨진 상태로 되어 있는 융착 접속부 및 그 근방이 손상되거나 꺾이거나 하는 것을 방지 할 수 있고, 전체 작업 시간의 단축화를 도모할 수도 있다.
도 16은 제 2 실시 형태의 가열 보강 처리 장치를 탑재한 융착 접속기를 도시하는 개념도이다. 융착 접속 기구부(32)는 제 1 실시 형태와 같다. 융착 접속 기구부(32)는 융착 접속시의 방전 가열이 외부의 영향을 받지 않도록 후드(49)로 커버되어 있다.
파이버 리본(26)은 융착 접속 기구부(32)에서 서로 맞대져서 융착 접속된 후, 보강 슬리브(27)로 융착 접속부를 덮어, 인접하여 설치된 가열 보강 처리 장 치(33b)의 가열 장치(4a, 4b) 중 어느 하나에 세트된다. 가열 보강 처리 장치(33b)에서는, 개별적으로 온·오프 할 수 있는 발열체에 의해 가열을 시작하고, 빈 융착 접속 기구부(32)에는 새롭게 융착 접속하는 광파이버를 셋트한다.
새로운 광파이버의 융착 접속을 종료해도, 전에 융착 접속된 광파이버가 가열 보강 처리 장치(33b)에서 보강 처리중이더라도, 비어 있는 가열 장치로 새롭게 융착 접속된 광파이버의 보강 처리를 실시 할 수 있다. 즉, 가열 개시 시기를 늦추어 복수의 보강 슬리브를 가열 처리한다. 이후, 이 사이클을 되풀이한다. 또한, 융착 접속에 요하는 시간과 보강 처리에 요하는 시간에 따라, 독립하여 가열 제어할 수 있는 가열 장치(4a, 4b)의 수를 늘림으로써, 가열 보강 처리의 실시 대기 시간을 완전히 제로로 할 수 있다.
도 17은 제 2 실시 형태의 가열 보강 처리 장치에 있어서의 전기 회로를 도시하는 개념도이다. 제 2 실시 형태의 가열 보강 처리 장치는 제 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발열체(7), 스위치(8), 검지부(9)를 2조씩[각각, 발열체(7a, 7b), 스위치(8a, 8b), 검지부(9a, 9b)]을 갖는다. 덧붙여, 발열체(7a, 7b)에 공급하는 전류를 일괄해서 제어하는 1대의 컨트롤 유닛(50)을 갖는다.
도 18은 컨트롤 유닛(50)에서 제어된 전류와 가열부의 온도의 일례를 개시하는 그래프이다. (a)는 발열체(7a)에 공급되는 전류(Ia)와 발열체(7a)의 온도(Ta)를 도시하고, (b)는 발열체(7b)에 공급되는 전류(Ib)와 발열체(7b)의 온도(Tb)를 도시한다. 시간(t0)에서 가열부(4a)에 융착 접속부가 셋트되면 스위치(8a)가 온이 되고, 발열체(7a)에 전류(I0)가 공급된다. 컨트롤 유닛(50)은, 발열체(7a)의 저항을 모니터함으로써 발열체(7a)의 온도(Ta)를 측정하고, 발열체(7a)의 온도가 T0를 유지하도록 발열체(7a)에 공급하는 전류(Ia)를 온·오프 한다.
시간(t1)에서 가열부(4b)에 융착 접속부가 셋트되면, 스위치(8b)가 온이 되고, 발열체(7b)에도 전류(I0)가 공급된다. 컨트롤 유닛(50)은 발열체(7b)의 저항을 모니터 함으로써 발열체(7b)의 온도(Tb)를 측정하고, 발열체(7b)의 온도가 T0를 유지하도록 발열체(7a)에 공급하는 전류(Ib)를 온·오프 한다. 이 때, 발열체(7a)와 발열체(7b)에 동시에는 전류가 공급되지 않도록 제어한다.
컨트롤 유닛(50)이 발열체(7a, 7b)에 동시에는 전류가 흐르지 않도록 제어하므로, 베터리가 공급하는 전류의 최대치는 가열 보강 처리 장치가 1조뿐인 경우와 같이 I0(예를 들면, 2.6A)로 억지할 수 있다. 이로써 베터리의 열화를 억지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베터리의 충· 방전 회수를 예를 들면, 400회 내지 500회로 증가시킬 수 있다.
현 시점에 있어서, 가장 실용적이고 바람직한 형태에 관해서 본 발명을 기술했지만, 본 발명은 개시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청구항의 진의와 범위 내의 여러 수정과 동등한 배열을 포함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가열 보강 처리 장치와 융착 접속 방법은, 작업 효율이 요구되는 광파이버의 접속 작업에 특히 유효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가열 보강 처리 장치의 제 1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개념도,
도 2는 가열 보강 처리 장치 내의 융착 접속부를 광학적으로 검출하는 검지부를 설명하는 개념도,
도 3은 가열부를 둘러싸는 발열체 커버의 개폐를 이용해서 가열 보강 처리 장치 내의 융착 접속부를 자기적으로 검출하는 검지부의 일례를 설명하는 개념도,
도 4는 가열부를 둘러싸는 발열체 커버의 개폐를 이용해서 가열 보강 처리 장치 내의 융착 접속부를 마이크로 스위치로 기계적으로 검출하는 검지부의 일례를 설명하는 개념도,
도 5는 가열부를 둘러싸는 발열체 커버의 개폐를 이용해서 가열 보강 처리 장치 내의 융착 접속부를 광학적으로 검출하는 검지부의 일례를 설명하는 개념도,
도 6 클램퍼의 개폐를 이용해서 가열 보강 처리 장치 내의 융착 접속부를 자기적으로 검출하는 검지부의 일례를 설명하는 개념도,
도 7은 클램퍼의 개폐를 이용해서 가열 보강 처리 장치 내의 융착 접속부를 마이크로 스위치로 기계적으로 검출하는 검지부의 일례를 설명하는 개념도,
도 8은 클램퍼의 개폐를 이용해서 가열 보강 처리 장치 내의 융착 접속부를 광학적으로 검출하는 검지부의 일례를 설명하는 개념도,
도 9는 광파이버 자체를 검출함으로써, 가열 보강 처리 장치 내의 융착 접속부를 마이크로 스위치로 기계적으로 검출하는 검지부의 일례를 설명하는 개념도,
도 10은 광파이버 자체를 검출함으로써, 가열 보강 처리 장치 내의 융착 접속부를 광학적으로 검출하는 검지부의 일례를 설명하는 개념도로서, (a)는 광파이버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수직인 평면에 관한 도면이며, (b)는 광파이버에 대하여 평행한 평면에 관한 도면,
도 11은 제 1 실시 형태의 가열 보강 처리 장치를 탑재한 융착 접속기를 도시하는 개념도,
도 12는 본 발명의 가열 보강 처리 장치의 제 2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가열 보강 처리 장치의 제 2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정면도로서, 발열체 커버를 제거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4는 도 13의 a-a단면에 있어서의 가열 보강 처리 장치의 단면도로서, 클램퍼 및 발열체 커버를 개방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5는 도 13의 b-b단면에 있어서의 가열 보강 처리 장치의 단면도로서, 클램퍼 및 발열체 커버를 개방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6은 제 2 실시 형태의 가열 보강 처리 장치를 탑재한 융착 접속기를 도시하는 개념도,
도 17은 제 2 실시 형태의 가열 보강 처리 장치에 있어서의 전기 회로를 도시하는 개념도,
도 18은 본 발명의 가열 보강 처리 장치의 제 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컨트롤 유닛으로 제어된 전류와 가열부의 온도의 일례를 게시하는 그래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간단한 설명>
1 : 광 파이버 2 : 용착 접속부
3 : 보강 슬리브 4 : 가열부
5 : 베이스 6 : 클램퍼
7 : 발열체 8 : 스위치
9 : 검지부 10 : 전원 스위치
11 : 수납부 12a, 12b : 측벽
15 : 발열체 커버 18 : 마이크로 스위치
19 : 광학 센서 20 : 발열체 커버

Claims (24)

  1. 가열 보강 처리 장치에 있어서,
    스위치에 의해 온·오프 되는 발열체와, 상기 발열체의 발열 부분을 둘러싸는 개폐 가능한 발열체 커버와, 상기 발열체의 양단측에서 광파이버를 파지하는 클램퍼를 갖고, 광파이버의 융착 접속부에 씌워진 보강 슬리브를 가열 수축시키는 가열부와,
    상기 보강 슬리브가 상기 발열체 위에 있는지 여부를 검출하여 상기 스위치를 온·오프 하는 검지부를 구비하는
    가열 보강 처리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검지부는 상기 보강 슬리브가 상기 발열체 위에 배치되어 있는지 여부를 광학적으로 검출하는 센서인
    가열 보강 처리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검지부는 상기 보강 슬리브가 상기 발열체 위에 배치되어 있는지 여부를 자기적으로 검출하는 센서인
    가열 보강 처리 장치.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제 1 항에 기재된 가열 보강 처리 장치가 탑재되어 있는
    융착 접속기.
  13. 광파이버 융착 접속 방법에 있어서,
    광파이버를 융착 접속하고,
    상기 광파이버의 융착 접속부에 보강 슬리브를 씌우고,
    가열 보강 처리 장치의 발열체 위에 상기 보강 슬리브가 배치되어 있는지 여부를 검출하고,
    상기 보강 슬리브가 상기 발열체 위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검출함으로써, 상기 발열체의 스위치를 자동으로 온 하여, 상기 보강 슬리브의 가열 수축을 개시하는
    광파이버 융착 접속 방법.
  14. 가열 보강 처리 장치에 있어서,
    스위치에 의해 온·오프 되는 발열체와, 상기 발열체의 발열 부분을 둘러싸는 개폐 가능한 발열체 커버와, 상기 발열체의 양단측에서 광파이버를 파지하는 클램퍼를 갖고, 광파이버의 융착 접속부에 씌워진 보강 슬리브를 가열 수축시키는 가열부와,
    상기 발열체 커버가 개폐되어 있는지 여부를 검출하여, 상기 스위치를 온·오프하는 검지부를 구비하는
    가열 보강 처리 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검지부는 상기 발열체 커버의 개폐를 자기적으로 검출하는 센서인
    가열 보강 처리 장치.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검지부는 상기 발열체 커버의 개폐를 기계적으로 검출하는 마이크로 스위치인
    가열 보강 처리 장치.
  17.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검지부는 상기 발열체 커버의 개폐를 광학적으로 검출하는 센서인
    가열 보강 처리 장치.
  18. 가열 보강 처리 장치에 있어서,
    스위치에 의해 온·오프 되는 발열체와, 상기 발열체의 발열 부분을 둘러싸는 개폐 가능한 발열체 커버와, 상기 발열체의 양단측에서 광파이버를 파지하는 클램퍼를 갖고, 광파이버의 융착 접속부에 씌워진 보강 슬리브를 가열 수축시키는 가열부와,
    상기 클램퍼가 개폐되어 있는지 여부를 검출하여, 상기 스위치를 온·오프하는 검지부를 구비하는
    가열 보강 처리 장치.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검지부는 상기 클램퍼의 개폐를 자기적으로 검출하는 센서인
    가열 보강 처리 장치.
  20.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검지부는 상기 클램퍼의 개폐를 기계적으로 검출하는 마이크로 스위치인
    가열 보강 처리 장치.
  21.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검지부는 상기 클램퍼의 개폐를 광학적으로 검출하는 센서인
    가열 보강 처리 장치.
  22. 가열 보강 처리 장치에 있어서,
    스위치에 의해 온·오프 되는 발열체와, 상기 발열체의 발열 부분을 둘러싸는 개폐 가능한 발열체 커버와, 상기 발열체의 양단측에서 광파이버를 파지하는 클램퍼를 갖고, 광파이버의 융착 접속부에 씌워진 보강 슬리브를 가열 수축시키는 가열부와,
    상기 광파이버 자체가 상기 가열 보강 처리 장치 위에 배치되어 있는지 여부를 검출하여, 상기 스위치를 온·오프하는 검지부를 구비하는
    가열 보강 처리 장치.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검지부는 상기 광파이버 자체가 상기 가열 보강 처리 장치 위에 배치되어 있는지 여부를 기계적으로 검출하는 마이크로 스위치인
    가열 보강 처리 장치.
  24.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검지부는 상기 광파이버 자체가 상기 가열 보강 처리 장치 위에 배치되어 있는지 여부를 광학적으로 검출하는 센서인
    가열 보강 처리 장치.
KR1020087008789A 2005-06-09 2006-06-05 가열 보강 처리 장치, 상기 장치를 포함하는 융착 접속기,및 융착 접속 방법 KR10087809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5168965A JP4161984B2 (ja) 2005-06-09 2005-06-09 光ファイバの加熱補強処理装置及び光ファイバ融着接続装置並びに融着接続方法
JPJP-P-2005-00168965 2005-06-09
JP2005201446A JP4196972B2 (ja) 2005-07-11 2005-07-11 光ファイバの加熱補強処理装置及び光ファイバ融着接続装置並びに融着接続方法
JPJP-P-2005-00201446 2005-07-11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23274A Division KR100859070B1 (ko) 2005-06-09 2006-06-05 가열 보강 처리 장치, 상기 장치를 포함하는 융착 접속기,및 융착 접속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39545A KR20080039545A (ko) 2008-05-07
KR100878095B1 true KR100878095B1 (ko) 2009-01-14

Family

ID=37498383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08789A KR100878095B1 (ko) 2005-06-09 2006-06-05 가열 보강 처리 장치, 상기 장치를 포함하는 융착 접속기,및 융착 접속 방법
KR1020067023274A KR100859070B1 (ko) 2005-06-09 2006-06-05 가열 보강 처리 장치, 상기 장치를 포함하는 융착 접속기,및 융착 접속 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23274A KR100859070B1 (ko) 2005-06-09 2006-06-05 가열 보강 처리 장치, 상기 장치를 포함하는 융착 접속기,및 융착 접속 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7412146B2 (ko)
EP (1) EP1892547B8 (ko)
KR (2) KR100878095B1 (ko)
CA (2) CA2804689C (ko)
HK (1) HK1106961A1 (ko)
RU (1) RU2334258C1 (ko)
TW (1) TWI412807B (ko)
WO (1) WO200613218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89332A (ja) * 2003-12-24 2005-07-14 Three M Innovative Properties Co 光コネクタ、コネクタ付き光ファイバ、光ファイバ接続装置及び光ファイバ接続方法
US7333709B2 (en) * 2004-09-24 2008-02-19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Splice holder device
KR100878095B1 (ko) 2005-06-09 2009-01-14 스미토모 덴키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가열 보강 처리 장치, 상기 장치를 포함하는 융착 접속기,및 융착 접속 방법
CN101297224B (zh) * 2005-10-24 2010-09-15 3M创新有限公司 光纤连接器、光纤分配装置、以及用于光纤连接器的光纤端接平台
DE102006036330A1 (de) * 2006-08-03 2008-02-07 Ccs Technology Inc., Wilmington Vorrichtung zum Spleißen von Lichtwellenleiterabschnitten
US7403686B1 (en) * 2006-11-30 2008-07-22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Navy Fiber optic cable splicing technique
DE102007019796A1 (de) * 2007-04-26 2008-10-30 CCS Technology, Inc., Wilmington Spleißgerät für Lichtleitfasern und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Spleißgerätes für Lichtleitfasern
US20080267568A1 (en) * 2007-04-30 2008-10-30 David Lee Dean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a compression splice
KR20080112895A (ko) 2007-06-22 2008-12-26 일신테크(주) 휴대용 광섬유 융착접속기
WO2009002054A2 (en) * 2007-06-22 2008-12-31 Ilsintech Co., Ltd. Optical fiber fusion splicer
US7848609B2 (en) * 2007-12-10 2010-12-07 3Sae Technologies, Inc. Detachable fiber holder platform and assembly
JP2010249967A (ja) * 2009-04-14 2010-11-04 Sumitomo Electric Ind Ltd ホルダ、融着接続機及び融着接続方法
KR100951427B1 (ko) * 2009-06-25 2010-04-07 일신테크(주) 휴대용 광섬유 융착접속기
JP5272180B2 (ja) * 2010-12-24 2013-08-28 Seiオプティフロンティア株式会社 光ファイバ補強用加熱器及び光ファイバ融着接続装置
JP5209126B1 (ja) 2012-03-29 2013-06-12 株式会社フジクラ 光ファイバ融着接続機
WO2014157255A1 (ja) 2013-03-25 2014-10-02 株式会社フジクラ 光ファイバ接続部補強加熱装置
JP6249521B2 (ja) * 2014-01-28 2017-12-20 Seiオプティフロンティア株式会社 光ファイバ融着接続装置
JP6318435B2 (ja) * 2014-01-28 2018-05-09 Seiオプティフロンティア株式会社 光ファイバ接続部の補強装置
JP6320766B2 (ja) * 2014-01-28 2018-05-09 Seiオプティフロンティア株式会社 光ファイバ融着接続装置
JP6554734B2 (ja) * 2015-03-10 2019-08-07 Seiオプティフロンティア株式会社 光ファイバの融着接続方法および融着接続装置
CN105044846B (zh) * 2015-08-25 2018-05-08 探索光电(昆山)有限公司 光纤熔接机的光纤熔接部的加热器组件
JP6628247B2 (ja) * 2016-05-19 2020-01-08 Seiオプティフロンティア株式会社 光ファイバ融着接続部の補強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融着接続機
JP1582501S (ko) * 2017-01-12 2017-07-31
CN108333683B (zh) * 2017-11-28 2023-12-19 华兴新锐通信科技集团有限公司 一种自动移动的光纤熔接机用加热槽组件
KR20210102939A (ko) * 2018-12-13 2021-08-20 스미토모 덴코 옵티프론티어 가부시키가이샤 융착 접속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700473A (ko) * 1988-12-19 1991-03-15 원다 케이. 덴슨-로우 고강도 광섬유 접속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1202508A (en) * 1981-05-07 1986-04-01 Norio Murata Protective packaging assembly and method for optical fibers
CA1197963A (en) 1981-07-22 1985-12-17 Michito Matsumoto Apparatus and method for heating heat-shrinkable tubes
JPH0453601Y2 (ko) * 1987-06-15 1992-12-16
JPH01313355A (ja) 1988-06-10 1989-12-18 Sumitomo Cement Co Ltd 着色セラミックス原料の製造方法
JPH0272305A (ja) * 1988-09-07 1990-03-12 Fujikura Ltd 複数単心光ファイバの一括接続法
US5046813A (en) * 1988-09-07 1991-09-10 Fujikura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aligning a plurality of single-fiber cables, and method of simultaneously fusion-splicing such cables
US5170456A (en) * 1988-09-07 1992-12-08 Fujikura Ltd. Apparatus for aligning a plurality of single-fiber cables
JPH0453601A (ja) 1990-06-20 1992-02-21 Matsuura Kikai Seisakusho:Kk 旋盤
RU2046383C1 (ru) 1992-08-06 1995-10-20 Центральный Научно-Исследовательский Институт Связ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ращивания многомодовых и одномодовых оптических волокон
JP2795167B2 (ja) * 1994-03-29 1998-09-10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光ファイバの融着接続機
JP3567446B2 (ja) * 1996-04-30 2004-09-22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光ファイバ心線接続部の補強器および補強方法
JPH09297342A (ja) * 1996-05-09 1997-11-18 Konica Corp 抗菌剤を有するカメラ
GB9617591D0 (en) 1996-08-22 1996-10-02 Raychem Sa Nv Optical fibre splice closure
US6099170A (en) * 1999-01-07 2000-08-08 Thomas & Betters International, Inc. Splice protection sleeve for a plurality of optical fibers and method of installation
SE9901493D0 (sv) * 1999-04-26 1999-04-26 Ericsson Telefon Ab L M Fibersvetsningsapparat med uppvärmningsanordning
JP3293594B2 (ja) 1999-06-29 2002-06-17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光ファイバ融着接続部の保護部材加熱装置及び加熱方法
US6873768B2 (en) * 2001-03-16 2005-03-29 Jds Uniphase Corporation Compact optical fiber coupler
US6499891B1 (en) * 2001-08-30 2002-12-31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Navy Rapid cable-splice for high-tensile applications
US6984077B2 (en) * 2003-03-25 2006-01-10 Aurora Instruments, Inc. System for joining polarization-maintaining optical fiber waveguides
JP2004325623A (ja) * 2003-04-23 2004-11-18 Sumitomo Electric Ind Ltd 光ファイバ融着接続部補強装置及び融着接続部補強方法
JP4141891B2 (ja) * 2003-05-01 2008-08-27 株式会社フジクラ 光ファイバ補強方法及び光ファイバ補強装置
JP4161821B2 (ja) * 2003-07-02 2008-10-08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融着接続補強方法
US7212718B2 (en) * 2003-11-12 2007-05-01 Sumitomo Electric Industries,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heat-treatment of optical fiber reinforcing member and optical fiber fusion splicing apparatus
JP2005321644A (ja) * 2004-05-10 2005-11-17 Fujikura Ltd 光ファイバの補強スリーブ加熱装置
KR100878095B1 (ko) 2005-06-09 2009-01-14 스미토모 덴키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가열 보강 처리 장치, 상기 장치를 포함하는 융착 접속기,및 융착 접속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700473A (ko) * 1988-12-19 1991-03-15 원다 케이. 덴슨-로우 고강도 광섬유 접속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892547B8 (en) 2012-02-29
EP1892547B1 (en) 2011-10-19
EP1892547A4 (en) 2010-05-12
HK1106961A1 (en) 2008-03-20
KR20070029702A (ko) 2007-03-14
RU2006139050A (ru) 2008-05-10
US7412146B2 (en) 2008-08-12
US20060280417A1 (en) 2006-12-14
EP1892547A1 (en) 2008-02-27
CA2560225C (en) 2014-08-05
CA2804689A1 (en) 2006-12-09
TW200710457A (en) 2007-03-16
KR100859070B1 (ko) 2008-09-17
WO2006132182A1 (ja) 2006-12-14
TWI412807B (zh) 2013-10-21
CA2804689C (en) 2016-04-05
RU2334258C1 (ru) 2008-09-20
CA2560225A1 (en) 2006-12-09
KR20080039545A (ko) 2008-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78095B1 (ko) 가열 보강 처리 장치, 상기 장치를 포함하는 융착 접속기,및 융착 접속 방법
CN101061404B (zh) 接合保护加热器、包括该接合保护加热器的熔接机以及熔接方法
KR101211873B1 (ko) 광섬유 보강용 가열기 및 광섬유 융착 접속 장치
KR101808369B1 (ko) 광섬유끼리를 융착 접속하는 방법 및 융착 접속기
JP2010249967A (ja) ホルダ、融着接続機及び融着接続方法
JP4305468B2 (ja) 融着接続機
JP5407540B2 (ja) ホルダ、融着接続機及び融着接続方法
JP2010217271A (ja) 熱収縮性補強スリーブの加熱装置及び融着接続機
CN201188133Y (zh) 光纤熔接部的加热加强装置及光纤熔接装置
AU2006235914B8 (en) Splice protection heater, fusion splicer including the splice protection heater, and fusion splicing method
JP5136631B2 (ja) ファイバホルダ
JP4196972B2 (ja) 光ファイバの加熱補強処理装置及び光ファイバ融着接続装置並びに融着接続方法
CN112711095B (zh) 熔接机
JP5224385B2 (ja) 光ファイバ補強部材の加熱処理装置及び加熱処理方法
JP5629813B2 (ja) 光ファイバ融着接続機
JP4165375B2 (ja) 光ファイバ補強部材の加熱処理装置及び加熱処理方法並びに光ファイバ融着接続装置
JP2005148170A (ja) 光ファイバ補強部材の加熱処理装置及び加熱処理方法並びに光ファイバ融着接続装置
JP2006171132A (ja) 光ファイバ接続部補強スリーブの加熱方法及びそれに用いる加熱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9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