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08369B1 - 광섬유끼리를 융착 접속하는 방법 및 융착 접속기 - Google Patents

광섬유끼리를 융착 접속하는 방법 및 융착 접속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08369B1
KR101808369B1 KR1020137021446A KR20137021446A KR101808369B1 KR 101808369 B1 KR101808369 B1 KR 101808369B1 KR 1020137021446 A KR1020137021446 A KR 1020137021446A KR 20137021446 A KR20137021446 A KR 20137021446A KR 101808369 B1 KR101808369 B1 KR 1018083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fiber
fiber
reinforcing
stub
ho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214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04719A (ko
Inventor
류이치로 사토
히로야스 도요오카
히로시 다카야나기
Original Assignee
에스이아이 옵티프론티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이아이 옵티프론티어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에스이아이 옵티프론티어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0047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47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83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83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255Splicing of light guides, e.g. by fusion or bonding
    • G02B6/2551Splicing of light guides, e.g. by fusion or bonding using thermal methods, e.g. fusion welding by arc discharge, laser beam, plasma torch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255Splicing of light guides, e.g. by fusion or bonding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255Splicing of light guides, e.g. by fusion or bonding
    • G02B6/2555Alignment or adjustment devices for aligning prior to splicing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255Splicing of light guides, e.g. by fusion or bonding
    • G02B6/2555Alignment or adjustment devices for aligning prior to splicing
    • G02B6/2557Alignment or adjustment devices for aligning prior to splicing using deformable flexure members, flexible hinges or pivotal arm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255Splicing of light guides, e.g. by fusion or bonding
    • G02B6/2558Reinforcement of splice joint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33Details of mounting fibres in ferrules; Assembly methods; Manufacture
    • G02B6/3846Details of mounting fibres in ferrules; Assembly methods; Manufacture with fibre stub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lasma & Fus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echanical Coupling Of Light Guides (AREA)

Abstract

비용 상승을 초래하는 대규모적인 이동 기구 등을 사용하지 않고, 융착 후의 광섬유에 굽힘, 비틀림이나 헐거움이 생기지 않도록 융착부를 보강하고, 보강 개소의 신뢰성을 높이는 것이 가능한 융착 접속하는 방법 및 융착 접속기를 제공한다. 스터브(11)에 비축대칭 구조의 스터브 캡(55)을 설치하여 융착 작업부(102)에 고정하는 동시에, 외부 광섬유 코드(15)를 비축대칭 구조의 섬유 홀더(105)에 파지시켜 융착 작업부(102)에 고정하고, 유리 섬유(16, 23)를 축방향에 맞추어 융착 접속시키고, 스터브 캡(55) 및 반송용 섬유 홀더(110)를 보강 작업부(120)로 이동시켜서 상대 위치 관계가 융착 작업부(102)에 있어서의 고정 상태와 동일하게 되도록 보강 작업부(120)에 고정하고, 융착 접속된 내장 광섬유(22)와 광섬유 코드(15)에 장력을 부여한 상태에서 융착부(S)에 보강 부재(25)를 설치하여 보강한다.

Description

광섬유끼리를 융착 접속하는 방법 및 융착 접속기{METHOD FOR FUSION CONNECTION OF OPTICAL FIBERS TO EACH OTHER, AND FUSION CONNECTION MACHINE}
본 발명은 광섬유끼리를 융착 접속하는 방법 및 융착 접속기에 관한 것이다.
광섬유에 의한 접속망을 구축할 경우에, 광섬유에 현지에서 광 커넥터를 설치하는 것이 요구된다. 이러한 융착 접속형 현지 설치식의 광 커넥터는, 페룰(ferrule)에 내장형 광섬유(embedded optical fiber)가 설치된 스터브(stub)를 갖고 있고, 이 스터브의 내장 광섬유를 구성하는 유리 섬유에, 현지에 있어서 외부의 광섬유의 유리 섬유가 융착 접속된다(일본 공표 특허 제 2005-531020 호, 일본 공표 특허 제 2005-531045 호, 일본 공표 특허 제 2010-504545 호, 일본 공개 특허 제 1998-227946 호, 일본 공개 특허 제 2002-82257 호 참조). 그리고, 쌍방의 유리 섬유끼리를 융착하여 접촉한 융착부는 보강 부재로 덮여 보강된다.
스터브 측의 유리 섬유와 광섬유 심선 측의 유리 섬유의 융착은 이들 유리 섬유를 각각 융착 접속기에 세팅하고, 방전 전극이 마련된 융착 위치에 정렬하여 선단을 위치 결정한 상태에서 실행된다. 또한, 융착한 후, 그 융착부의 보강은 융착 작업 위치와는 다른 보강 작업 위치에서 실행되지만, 이 때, 광섬유에 굽힘이나 비틀림이 생기지 않도록 이동시키는 기술이 알려져 있다.
일본 공표 특허 제 2005-531020 호에는, 스터브 및 광섬유 심선의 고정부와 전극을 상대적으로 이동시키는 기구를 구비하고, 고정부와 전극을 근접시킨 상태에서 융착시키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기구를 마련한 경우, 다음에 융착을 실행하는 경우에 고정밀도로 원래의 위치에 고정부 또는 전극을 되돌릴 필요가 있지만, 고정밀도로 되돌리는 것은 곤란하고, 위치 어긋남이 생겨 버리는 일이 있다. 이것에 의해, 융착 접속의 신뢰성이 저하되어 버린다. 또한, 일본 공개 특허 제 1994-130243 호, 일본 공개 특허 제 1994-109946 호에 개시되어 있는 이동 기구는, 비교적 고정밀도로 이동시킬 수 있지만, 그 구조가 복잡하고 대규모로 되어 버리기 때문에, 비용 상승을 초래하여 버린다. 일본 공개 특허 제 2007-286599 호는, 페룰의 파지(把持) 기구에 손잡이부(柄部)를 마련해 두고, 이 손잡이부와 접속시키는 광섬유 심선을 파지하고, 융착 후의 광섬유 심선 및 페룰을 이동시키는 기술이 기재되어 있다. 이 기술은 이동 기구를 구비한 것과 비교해, 비용 상승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광섬유에 축회전인 임의의 비틀림이 잔존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비용 상승을 초래하는 대규모의 이동 기구 등을 사용하지 않고, 융착 후의 광섬유에 굽휨, 비틀림이나 헐거움이 생기지 않도록 융착부를 보강하여, 보강 개소의 신뢰성을 높이는 것이 가능한 융착 접속하는 방법 및 융착 접속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스터브에 포함되는 내장 광섬유 및 외부 광섬유를 융착 접속하는 방법으로서, (1) 스터브에 비축대칭 구조의 스터브 캡을 설치하고, (2) 스터브 캡을 융착 작업부에 고정하고, 외부 광섬유를 융착 작업부에 고정된 섬유 홀더에 파지하는 것에 의해 내장 광섬유와 외부 광섬유를 융착 작업부에 배치하고, (3) 내장 광섬유와 외부 광섬유를 융착 접속하고, (4) 융착 작업부에서 섬유 홀더와는 다른 비축대칭 구조의 반송용 섬유 홀더에 외부 광섬유를 파지시키고, (5) 스터브 캡과 반송용 섬유 홀더의 상대 위치 관계가 융착 작업부에 있어서의 상대 위치 관계와 동일하게 되도록 스터브 캡과 반송용 섬유 홀더를 보강 작업부에 고정함으로써, 내장 광섬유와 외부 광섬유를 보강 작업부에 재배치하고, (6) 내장 광섬유와 외부 광섬유에 장력을 부여한 상태에서 내장 광섬유와 외부 광섬유의 융착부를 보강하는 것을 포함하는 융착 접속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여기서 외부 광섬유란, 내장 광섬유 이외의 광섬유로서, 일반적으로 내장 광섬유보다 긴 광섬유이다.
본 발명의 융착 접속하는 방법의 다른 태양으로서, 스터브에 포함되는 내장 광섬유와 외부 광섬유를 융착 접속하는 방법으로서, (1) 스터브에 비축대칭 구조의 스터브 캡을 설치하고, (2) 외부 광섬유를 비축대칭 구조의 섬유 홀더에 파지하고, (3) 스터브 캡과 섬유 홀더를 융착 작업부에 고정함으로써, 내장 광섬유와 외부 광섬유를 융착 작업부에 배치하고, (4) 내장 광섬유와 외부 광섬유를 융착 접속하고, (5) 스터브 캡과 섬유 홀더의 상대 위치 관계가 융착 작업부에 있어서의 상대 위치 관계와 동일하게 되도록 스터브 캡과 섬유 홀더를 보강 작업부에 고정함으로써, 내장 광섬유와 외부 광섬유를 보강 작업부에 재배치하고, (6) 내장 광섬유와 외부 광섬유에 장력을 부여한 상태에서 내장 광섬유와 외부 광섬유의 융착부를 보강하는 것을 포함하는 융착 접속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내장 광섬유를 포함한 스터브에 설치된 비축대칭 구조의 스터브 캡을 고정하는 제 1 융착 고정부와, 외부 광섬유를 파지하는 비축대칭 구조의 제 1 섬유 홀더를 고정하는 제 2 융착 고정부와, 외부 광섬유를 제 1 섬유 홀더보다 선단 측에서 파지하는 제 2 섬유 홀더와, 제 1 융착 고정부와 제 2 섬유 홀더에 의해 축방향을 따라 위치 결정하여 배치된 내장 광섬유 및 외부 광섬유를 융착 접속하는 융착 처리부를 포함하는 융착 작업부와, 제 1 융착 고정부와 제 2 융착 고정부의 상대 위치 관계와 동일한 상대 위치 관계에 있고, 스터브 캡 및 제 1 섬유 홀더 각각을 고정하는 제 1 보강 고정부 및 제 2 보강 고정부와, 제 1 보강 고정부 및 제 2 보강 고정부에 의해 배치된 내장 광섬유 및 외부 광섬유에 장력을 부여하는 가압 부재를 포함하고, 내장 광섬유 및 외부 광섬유의 융착부를 보강하는 보강 작업부를 구비하는 융착 접속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융착 접속기의 다른 태양으로서, 내장 광섬유를 포함하는 스터브에 설치된 비축대칭 구조의 스터브 캡을 고정하는 제 1 융착 고정부와, 외부 광섬유를 파지하는 비축대칭 구조의 섬유 홀더를 고정하는 제 2 융착 고정부와, 제 1 융착 고정부와 제 2 융착 고정부에 의해 배치된 내장 광섬유 및 외부 광섬유를 융착 접속하는 융착 처리부를 포함하는 융착 작업부와, 제 1 융착 고정부와 제 2 융착 고정부의 상대 위치 관계와 동일한 상대 위치 관계에 있고, 스터브 캡 및 섬유 홀더 각각을 고정하는 제 1 보강 고정부 및 제 2 보강 고정부와, 제 1 보강 고정부와 제 2 보강 고정부에 의해 배치된 내장 광섬유 및 외부 광섬유에 장력을 부여하는 가압 부재를 포함하고, 내장 광섬유 및 외부 광섬유의 융착부를 보강하는 보강 작업부를 구비하는 융착 접속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서로 융착 접속되는 내장 광섬유 및 외부 광섬유를 굽힘이나 비틀림이 없는 상태에서 보강할 수 있다. 또한, 보강 작업부에 있어서 융착 접속된 내장 광섬유 및 외부 광섬유에 장력을 부여하므로, 서로 융착 접속된 내장 광섬유 및 외부 광섬유를 헐거움이 없는 상태에서 보강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융착 접속이 적용된 광 커넥터의 일례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광 커넥터를 구성하는 스터브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융착 접속기의 실시형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융착 접속기에 마련된 섬유 홀더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스터브 캡의 예를, 스터브를 유지한 상태에서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도 3의 융착 접속기에 마련된 반송용 섬유 홀더의 사시도,
도 7은 융착 접속의 공정에 있어서의 융착 접속기의 사시도,
도 8은 융착 접속 후에 있어서의 융착 접속기의 사시도,
도 9는 융착 접속 후에 있어서의 융착 접속기의 사시도,
도 10은 보강 작업부에서의 섬유 재배치 공정에 있어서의 융착 접속기의 사시도,
도 11은 보강 작업부에서의 보강 공정에 있어서의 융착 접속기의 사시도.
본 발명의 실시형태가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도면은 설명을 목적으로 하고,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것은 아니다. 도면에 있어서, 설명의 중복을 피하기 위해, 동일한 부호는 동일 부분을 나타낸다. 도면 내의 치수의 비율은 반드시 정확하지는 않다.
도 1은 본 발명의 융착 접속이 적용된 광 커넥터의 일례인 광 커넥터(10)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광 커넥터(10)는 스터브(11), 하우징(12) 및 부트(boot)(13)를 구비하고 있다. 스터브(11)는 광섬유 코드(외부 광섬유)(15)의 선단에 접속된 것이며, 하우징(12) 내에 장착된다. 하우징(12)은 장착 구멍(17)을 구비하고 있고, 스터브(11)는 하우징(12)의 장착 구멍(17)에 삽입되는 것에 의해, 하우징(12)에 장착된다. 또한, 하우징(12)에 스터브(11)를 장착한 상태에서, 하우징(12)에 부트(13)가 설치되고, 이것에 의해 하우징(12)에 있어서의 스터브(11)의 장착 개소가 부트(13)에 의해 덮인다.
도 2는 광 커넥터(10)를 구성하는 스터브(11)의 사시도이다. 스터브(11)는 페룰(21)과, 페룰(21)의 중심에 형성된 삽입 구멍(도시 생략)에 삽입된 단척의 광섬유[내장 광섬유(22)]를 구비하고 있다. 내장 광섬유(22)는 유리 섬유(23)를 갖고 있고, 유리 섬유(23)에 광섬유 코드(15)의 외피로부터 노출된 유리 섬유(16)가 융착 접속된다. 광섬유 코드(15)는 유리 섬유(16)를 자외선 경화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외피로 피복한 외경 0.25㎜의 광섬유 심선의 외주를 또한 수지로 피복하여 외경 0.9㎜로 한 코드이다. 또한, 광섬유 코드(15) 대신에 대체 광섬유 심선을 사용하고, 이 광섬유 심선의 단부에서 노출시킨 유리 섬유(16)와 내장 광섬유(22)의 유리 섬유(23)를 융착 접속하는 경우도 있다.
페룰(21)은 그 후단 측에, 한 쌍의 보강 부재(25)를 갖고 있고, 보강 부재(25)는 그 일단 측이 힌지부(26)에 의해 페룰(21)에 연결되고, 힌지부(26)에서 회동(回動) 가능하게 되어 있다. 각각의 보강 부재(25)를 유리 섬유(23) 측으로 회동함으로써, 보강 부재(25)끼리가 서로 중첩되어서, 유리 섬유(16, 23)의 융착부(S) 및 그 주변이 보강 부재(25)에 의해 덮여 보강된다. 보강 부재(25)에는 서로 중첩되는 접촉면(25a)에 접착제가 도포되어 있고, 접촉면(25a)에는 박리지(剝離紙)(27)가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보강 부재(25)끼리를 중첩시켜 접착 고정할 때에는, 박리지(27)를 벗겨서 접촉면(25a)에 있어서의 접착제를 노출시킨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인 융착 접속기(101)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융착 접속기(101)는 예를 들면, 광섬유 설비의 공사가 실행되는 현지에서 광섬유 코드(15)의 유리 섬유(16)와 스터브(11)의 유리 섬유(23)를 융착하여 접속하는 장치이다. 융착 접속기(101)는 그 상부에 융착 작업부(102)(융착 고정부) 및 보강 작업부(120)를 구비하고 있다. 융착 작업부(102)에서는, 광섬유 코드(15)의 유리 섬유(16)와 스터브(11)의 유리 섬유(23)를 융착 접속하는 융착 작업이 실행되고, 보강 작업부(120)에서는, 광섬유 코드(15)의 유리 섬유(16)와 스터브(11)의 유리 섬유(23)의 융착부(S)의 보강 작업이 실행된다. 융착 작업부(102)에는 제 2 섬유 홀더[섬유 홀더(105)] 및 제 1 융착 고정부[스터브 홀더(106)]가 마련되어 있다.
도 4는 융착 접속기(101)에 마련된 섬유 홀더(105)의 사시도이다. 섬유 홀더(105)는 대략 직방체형상으로 형성된 홀더 본체(30)를 가지고 있다. 홀더 본체(30)에는, 그 상면에 광섬유 코드(15)의 외피 부분을 수용하는 수용 홈(32)이 형성되어 있다.
홀더 본체(30)에는 그 일 측부에 유지 덮개(31)가 마련되어 있다. 유지 덮개(31)는 힌지부(34)를 갖고 있고, 힌지부(34)가 홀더 본체(30)에 형성된 유지 홈(35)에 배치되어 있다. 홀더 본체(30)에는, 유지 홈(35)을 관통하는 연결 핀(38)이 마련되어 있고, 연결 핀(38)이 힌지부(34)에 형성된 관통 삽입 구멍에 삽통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유지 덮개(31)는 연결 핀(38)의 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홀더 본체(30)에 대해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유지 덮개(31)를 회동시키는 것에 의해 홀더 본체(30)의 상면이 개폐된다. 그리고, 유지 덮개(31)는 홀더 본체(30)의 상면 측을 향해 회동시키는 것에 의해, 수용 홈(32)의 상부를 덮도록 배치된다. 유지 덮개(31)에는, 홀더 본체(30)와의 대향면에 예를 들면, 고무 등의 탄성 재료로 이루어진 누름판부(41)가 설치되어 있고, 유지 덮개(31)를 홀더 본체(30)의 상면 측을 향해 회동시키는 것에 의해, 누름판부(41)가 수용 홈(32)의 상부에 배치된다.
또한, 홀더 본체(30)에는, 유지 덮개(31)가 연결된 일 측부의 반대 측에 있어서의 상면에 자석(44)이 마련되어 있고, 유지 덮개(31)를 홀더 본체(30)의 상면에 배치했을 때에, 유지 덮개(31)가 자석(44)과 접촉하게 되어 있다. 유지 덮개(31)는 철 등의 자성체로 형성되어 있고, 이것에 의해, 유지 덮개(31)는 홀더 본체(30)의 상면에 배치된 상태에서 자석(44)의 자력에 의해서 흡착된다.
섬유 홀더(105)는 자석(44)의 자력에 의해서 홀더 본체(30)에 유지 덮개(31)를 흡착시켜 광섬유 코드(15)를 유지한다. 광섬유 코드(15)를 유지하는 섬유 홀더(105)는, 대략 직방체형상으로 되어 있는 것에 의해 광섬유 코드(15)를 유지한 상태에서, 광섬유 코드(15)의 축에 대해 비축대칭이 되는 비축대칭 구조로 되어 있다.
스터브 홀더(106)는 홀더 본체(51)를 갖고 있다. 홀더 본체(51)에는 그 상면에 캡 수용 오목부(52)가 형성되어 있다. 캡 수용 오목부(52)에는 스터브(11)를 유지하는 스터브 캡(55)이 수용된다.
도 5는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스터브 캡(55)을 스터브를 유지한 상태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스터브 캡(55)은 대략 직방체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상면 측에는 파지부(56)가 마련되어 있다. 스터브 캡(55)에는, 그 일단 측에 유지 구멍(도시 생략)이 형성되어 있고, 유지 구멍에 스터브(11)를 삽입하는 것에 의해, 스터브 캡(55)에 스터브(11)가 유지된다. 이 때, 스터브(11)는 축 주위로 회전되는 일없이 스터브 캡(55)에 유지된다. 그리고, 스터브 캡(55)에 스터브(11)를 유지시키면, 파지가 용이한 스터브 캡(55)을 파지함으로써, 스터브(11)를 용이하게 취급할 수 있다. 그리고, 스터브(11)를 유지한 스터브 캡(55)을 스터브 홀더(106)의 캡 수용 오목부(52)에 끼워넣어 수용시키면, 스터브 홀더(106)에 스터브(11)가 고정된다.
스터브 캡(55)은 대략 직방체형상으로 되어 있는 것에 의해, 스터브(11)를 유지한 상태로 스터브(11)의 내장 광섬유(22)의 축에 대해 비축대칭이 되는 비축대칭 구조로 되어 있다. 따라서, 스터브 캡(55)을 스터브 홀더(106)에 유지시킨 상태에서는, 스터브 홀더(106)도 스터브(11)의 내장 광섬유(22)의 축에 대해 비축대칭이 된다.
섬유 홀더(105) 및 스터브 홀더(106)는 대칭 위치에 배치되어 있고, 섬유 홀더(105)와 스터브 홀더(106) 사이에 융착 처리부(104)가 마련되어 있다. 융착 처리부(104)는 스터브(11)의 내장 광섬유(22)의 유리 섬유(23) 및 광섬유 코드(15)의 유리 섬유(16)에 있어서의 각각의 선단을 위치 결정하는 한 쌍의 V홈 부재(109)와, 한 쌍의 V홈 부재(109) 사이에 배치되어, 맞대어진 유리 섬유(16, 23)의 단면을 방전에 의해서 융착시키는 전극(113)을 구비하고 있다.
섬유 홀더(105) 및 스터브 홀더(106)는, 각각 3축 스테이지로 이루어지는 이동 기구(도시 생략)에 지지되어 있고, 이러한 이동 기구에 의해서 수평 방향 및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어 유리 섬유(16, 23)의 위치 결정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융착 처리부(104)에서는, 융착 위치에 위치 결정된 유리 섬유(16, 23)가 전극(113)으로 열융착되어 접속된다.
융착 접속기(101)의 융착 작업부(102)에는, 섬유 홀더(105)의 융착 처리부(104)와 반대 측에, 제 1 섬유 홀더[반송용 섬유 홀더(110)]가 착탈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다. 도 6은 도 3의 융착 접속기(101)에 마련된 반송용 섬유 홀더(110)의 사시도이다. 반송용 섬유 홀더(110)는 대략 직방체형상으로 형성된 홀더 본체(62)를 갖고 있다. 홀더 본체(62)에는, 그 상면에 광섬유 코드(15)의 외피 부분을 수용하는 수용 홈(63)이 형성되어 있다.
홀더 본체(62)에는, 그 일 측부에 유지 덮개(71)가 마련되어 있다. 유지 덮개(71)는 힌지부(74)를 갖고 있고, 힌지부(74)가 홀더 본체(62)에 형성된 유지 홈(65)에 배치되어 있다. 홀더 본체(62)에는 유지 홈(65)을 관통하는 연결 핀(78)이 마련되어 있고, 연결 핀(78)이 힌지부(74)에 형성된 관통 삽입 구멍에 삽통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유지 덮개(71)는 연결 핀(78)의 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홀더 본체(62)에 대해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유지 덮개(71)를 회동시키는 것에 의해, 홀더 본체(62)의 상면이 개폐된다. 그리고, 유지 덮개(71)는 홀더 본체(62)의 상면 측을 향해 회동시키는 것에 의해, 홀더 본체(62)의 상부를 덮도록 배치된다. 유지 덮개(71)에는, 홀더 본체(62)와의 대향면에, 예를 들면, 고무 등의 탄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누름판부(81)가 마련되어 있고, 유지 덮개(71)를 홀더 본체(62)의 상면 측을 향해 회동시키는 것에 의해, 누름판부(81)가 수용 홈(63)의 상부에 배치된다.
또한, 홀더 본체(62)에는, 유지 덮개(71)가 연결된 일 측부와 반대 측에 있어서의 상면에 자석(84)이 마련되어 있고, 유지 덮개(71)를 홀더 본체(62)의 상면에 배치했을 때에, 유지 덮개(71)가 자석(84)과 접촉하도록 되어 있다. 유지 덮개(71)는 철 등의 자성체로 형성되어 있고, 이것에 의해, 유지 덮개(71)는 홀더 본체(62)의 상면에 배치된 상태에서 자석(84)의 자력에 의해서 흡착된다.
반송용 섬유 홀더(110)는 자석(84)의 자력에 의해서 홀더 본체(62)에 유지 덮개(71)를 흡착시켜 광섬유 코드(15)를 유지한다. 광섬유 코드(15)를 유지하는 반송용 섬유 홀더(110)는, 대략 직방체형상으로 되어 있는 것에 의해, 광섬유 코드(15)를 유지한 상태에서, 광섬유 코드(15)의 축에 대해 비축대칭이 되는 비축대칭 구조로 되어 있다.
반송용 섬유 홀더(110)에는, 홀더 본체(62)의 일단 측에, 하방으로 연장하는 고정판(86)이 마련되어 있다. 또한, 융착 접속기(101)에는, 융착 작업부(102)에 제 2 융착 고정부[고정 구멍(88)]가 형성되어 있고, 고정 구멍(88)에는 반송용 섬유 홀더(110)의 고정판(86)이 끼워맞춤 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고정판(86)을 고정 구멍(88)에 끼워맞추는 것에 의해, 반송용 섬유 홀더(110)가 융착 접속기(101)의 융착 작업부(102)에 장착된다.
융착 접속기(101)에 있어서의 융착 작업부(102)보다 후방 측에 마련된 보강 작업부(120)에는, 커버(123)에 의해서 덮여진 열 처리부(122)가 마련되어 있다. 열 처리부(122)는 그 내부에 마련된 히터로 유리 섬유(16, 23)끼리의 융착부(S)에 씌운 열수축 튜브를 가열해서 열수축시키는 것이다.
열 처리부(122)의 커버(123) 상에는, 제 1 보강 고정부[캡 유지부(125)]가 마련되어 있다. 캡 유지부(125)는 그 상면에 캡 수용 오목부(126)가 형성되어 있고, 캡 수용 오목부(126)에는 스터브(11)를 유지하는 스터브 캡(55)이 수용된다.
또한, 보강 작업부(120)에는 제 2 보강 고정부[고정 구멍(128)]가 형성되어 있고, 고정 구멍(128)에도, 반송용 섬유 홀더(110)의 고정판(86)이 끼워맞춤 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고정판(86)을 고정 구멍(128)에 끼워맞추는 것에 의해, 반송용 섬유 홀더(110)가 융착 접속기(101)의 보강 작업부(120)에 장착된다. 캡 유지부(125)와 고정 구멍(128)의 상대 위치 관계는 스터브 홀더(106)와 고정 구멍(88)의 상대 위치 관계와 동일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보강 작업부(120)에서는, 스터브 캡(55) 및 반송용 섬유 홀더(110)를 고정하면, 스터브 캡(55) 및 반송용 섬유 홀더(110)의 상대 위치 관계가 융착 작업부(102)에 있어서의 고정 상태와 동일하게 되도록 되어 있다.
보강 작업부(120)에 마련된 캡 유지부(125)는 커버(123)와의 사이에 스프링 등의 가압 부재(도시 생략)가 마련되고, 반송용 섬유 홀더(110)가 장착되는 고정 구멍(128)으로부터 이격하는 방향으로 가압되어 있다. 또한, 상기 구성의 융착 접속기(101)는 융착 처리부(104) 및 열 처리부(122)를 작동시키는 조작부(130)를 구비하고 있다.
다음에, 광섬유 코드(15)의 유리 섬유(16)와 스터브(11)의 내장 광섬유(22)의 유리 섬유(23)를 융착 접속하고, 그 융착부(S)를 보강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섬유 배치 공정)
도 7은 융착 접속의 공정에 있어서의 융착 접속기(101)의 사시도이다. 제 1 융착 고정부[스터브 홀더(106)]의 캡 수용 오목부(52)에, 스터브(11)를 유지한 스터브 캡(55)을 끼워넣어 유지시킨다. 또한, 외피로부터 소정 길이의 유리 섬유(16)를 노출시킨 광섬유 코드(15)를 섬유 홀더(105)의 수용 홈(32)에 외피 부분을 수용하여 유지 덮개(31)를 폐쇄함으로써, 섬유 홀더(105)에 광섬유 코드(15)를 유지시킨다.
그리고, 이동 기구에 의해서 섬유 홀더(105) 및 스터브 홀더(106)를 수평 방향 및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켜, 스터브(11)의 유리 섬유(23) 및 광섬유 코드(15)의 유리 섬유(16)를 융착 처리부(104)의 V홈 부재(109)에 위치 결정하여, 유리 섬유(16, 23)의 단부를 전극(113)에 의한 융착 위치에서 맞댄다. 이 때, 광섬유 코드(15)의 외피 부분을 반송용 섬유 홀더(110)의 수용 홈(63)에 수용하지만, 반송용 섬유 홀더(110)는 이동 기구에 의한 위치 결정을 할 수 없기 때문에, 이 반송용 섬유 홀더(110)에서는 유지 덮개(71)를 개방하여 두고, 광섬유 코드(15)를 유지하지 않은 상태로 하여 둔다.
(융착 접속 공정)
이 상태에서, 융착 접속기(101)의 조작부(130)를 조작하여 전극(113)으로 방전시켜, 유리 섬유(16, 23)의 단면끼리를 융착 접속시킨다.
(이동 공정)
도 8, 도 9는 융착 접속 후에 있어서의 융착 접속기(101)의 사시도이다. 유리 섬유(16, 23)의 융착 접속이 종료되면, 반송용 섬유 홀더(110)의 유지 덮개(71)를 폐쇄하고, 반송용 섬유 홀더(110)에 광섬유 코드(15)를 유지시킨다(도 8). 다음에, 섬유 홀더(105)의 유지 덮개(31)를 개방하여 섬유 홀더(105)에서의 광섬유 코드(15)의 유지를 해제시키고, 또한 스터브 홀더(106)로부터 스터브 캡(55)을 분리하는 동시에, 반송용 섬유 홀더(110)를 융착 접속기(101)의 융착 작업부(102)로부터 분리한다(도 9). 그리고, 스터브 캡(55) 및 반송용 섬유 홀더(110)를 보강 작업부(120)로 이동시킨다.
(섬유 재배치 공정)
도 10은 보강 작업부에서의 섬유 재배치 공정에 있어서의 융착 접속기(101)의 사시도이다. 반송용 섬유 홀더(110)의 고정판(86)을 제 2 보강 고정부[고정 구멍(128)]에 삽입하는 것에 의해, 반송용 섬유 홀더(110)를 보강 작업부(120)에 설치하고, 또한, 스터브 캡(55)을 제 1 보강 고정부[캡 유지부(125)]의 캡 수용 오목부(126)에 수용시킨다. 이 때, 캡 유지부(125)는 가압 부재에 의해서 반송용 섬유 홀더(110)가 장착되는 고정 구멍(128)으로부터 이격하는 방향으로 가압되어 있으므로, 캡 유지부(125)를 가압 부재에 의한 가압 방향에 대항해서 이동시킨 상태에서 캡 유지부(125)의 캡 수용 오목부(126)에 스터브 캡(55)을 끼워넣어 유지시킨다.
이렇게 하면, 보강 작업부(120)에 반송용 섬유 홀더(110) 및 스터브 캡(55)이 고정된다. 또한, 가압 부재에 의해서 캡 유지부(125)가 고정 구멍(128)으로부터 이격하는 방향으로 가압되는 것에 의해, 반송용 섬유 홀더(110)와 캡 유지부(125)에 유지된 스터브 캡(55) 사이의 광섬유 코드(15) 및 내장 광섬유(22)에 장력이 부여된다. 이것에 의해, 서로 융착 접속된 유리 섬유(15, 16)가 헐겁지 않게 곧게 된다.
여기서, 보강 작업부(120)에서는, 스터브 캡(55) 및 반송용 섬유 홀더(110)를 고정하면, 스터브 캡(55) 및 반송용 섬유 홀더(110)의 상대 위치 관계가 융착 작업부(102)에 있어서의 고정 상태와 동일하게 된다. 따라서, 반송용 섬유 홀더(110) 및 스터브 캡(55)을 융착 작업부(102)로부터 보강 작업부(120)로 이동시킬 때에, 반송용 섬유 홀더(110)와 스터브 캡(55) 사이에서 서로 융착 접속된 광섬유 코드(15) 및 내장 광섬유(22)가 비틀려져 있더라도, 반송용 섬유 홀더(110) 및 스터브 캡(55)을 보강 작업부(120)에 장착하는 것에 의해, 반송용 섬유 홀더(110) 및 스터브 캡(55)의 축 주위의 변위가 되돌려진다. 이것에 의해, 유리 섬유(16, 23)의 융착부(S)에 있어서의 비틀림의 잔류가 방지된다.
(보강 공정)
도 11은 보강 작업부에서의 보강 공정에 있어서의 융착 접속기의 사시도이다. 보강 작업부(120)에 반송용 섬유 홀더(110) 및 스터브 캡(55)을 고정시키면, 스터브(11)를 구성하는 페룰(21)의 보강 부재(25)에 부착되어 있는 박리지(27)를 벗기는 것에 의해, 접착제가 도포된 접촉면(25a)을 노출시킨다. 그리고, 각각의 보강 부재(25)를 유리 섬유(16, 23) 측으로 회동시키는 것에 의해, 유리 섬유(16, 23)의 융착부(S) 및 그 주위를 덮도록 보강 부재(25)를 중첩시킨다. 그러면, 보강 부재(25)가 접착제에 의해서 서로 접착되고, 따라서 유리 섬유(16, 23)의 융착부(S) 및 그 주위가 보강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융착 접속하는 방법에 의하면, 융착 작업부(102)에 고정된 비축대칭 구조의 스터브 캡(55) 및 반송용 섬유 홀더(110)를 보강 작업부(120)로 이동시켜 상대 위치 관계가 융착 작업부(102)에 있어서의 고정 상태와 동일하게 되도록 고정한다. 이것에 의해, 서로 융착 접속된 내장 광섬유(22)의 유리 섬유(23) 및 외부의 광섬유 코드(15)의 유리 섬유(16)를, 굽힘이나 비틀림이 없는 상태에서 보강할 수 있다. 또한, 보강 작업부(120)에 있어서 융착 접속된 내장 광섬유(22)의 유리 섬유(23)와 외부의 광섬유 코드(15)의 유리 섬유(16)에 장력을 부여하므로, 서로 융착 접속된 내장 광섬유(22)의 유리 섬유(23) 및 외부의 광섬유 코드(15)의 유리 섬유(16)를 헐거움이 없는 상태에서 보강할 수 있다.
즉, 대규모적인 이동 기구 등의 전용 반송 장치를 구비하는 것에 의한 비용 상승을 초래하는 일없이, 내장 광섬유(22)의 유리 섬유(23) 및 외부의 광섬유 코드(15)의 유리 섬유(16)에 굽힘, 비틀림이나 헐거움이 없는 상태에서 융착부(S)를 보강할 수 있어, 보강 개소에 있어서의 신뢰성을 대폭적으로 높일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반송용 섬유 홀더(110)를 마련하지 않고, 섬유 홀더(105)를 융착 작업부(102) 및 보강 작업부(120)의 양쪽에서 착탈 가능하게 해도 좋다. 이 경우, 섬유 홀더(105)에 광섬유 코드(15)를 파지시켜 융착 작업부(102)에서 융착 접속을 실행한 후, 섬유 홀더(105)를 스터브 캡(55)과 함께 보강 작업부(120)로 이동시켜 고정하여, 보강 작업을 실행하게 된다.
또한, 스터브(11)의 구조로서는, 보강 부재(25)의 일단 측을 페룰(21)에 힌지부(26)로 연결한 것에 한정하지 않고, 보강 부재(25)의 일 측부끼리를 힌지부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한 분할 구조의 것이어도 좋다. 이 경우도, 힌지부에서 보강 부재(25)를 회동시켜 융착부(S)를 포함한 유리 섬유(16, 23)를 사이에 끼워넣는 것에 의해, 융착부(S)를 보강할 수 있다.
또한, 융착부(S)의 보강의 방법으로서는, 한 쌍의 보강 부재(25)에 의해서 사이에 끼워넣어 보강하는 것에 한정하지 않고, 보강 튜브를 씌워 보강해도 좋다. 이 경우, 열수축성의 보강 튜브에 의해서 융착부(S)를 덮고, 그 후, 커버(123)를 벗겨서 열 처리부(122)에서 보강 튜브를 가열하여 수축시킨다.
이 경우, 커버(123)의 내측의 열 처리부(122)에 캡 유지부(125)를 마련하는 동시에, 캡 유지부(125)의 높이에 맞추어 보강 작업부(120)에 있어서의 반송용 섬유 홀더(110)의 장착 위치를 낮춘다. 그리고, 이 경우도, 유리 섬유(16, 23)에 비틀림이나 헐거움이 없는 상태에서 보강 튜브를 열수축시킬 수 있으므로, 보강 개소에 있어서의 유리 섬유(16, 23)의 굽힘, 비틀림이나 헐거움을 없앨 수 있다.
이와 같이, 융착 접속기(101)에서는, 보강 튜브를 열수축시켜 융착부(S)를 보강하는 열 처리부(122)의 커버(123)에 스터브 캡(55)을 유지시키는 캡 유지부(125)를 마련하는 동시에, 보강 작업부(120)에 반송용 섬유 홀더(110)를 착탈 가능하게 하고 있다. 즉, 본 실시형태에 따른 융착 접속기(101)에 의하면, 보강 작업부(120)에 있어서, 융착부(S)를 보강 부재(25)로 보강하는 보강 작업을 실행할 수 있는 동시에, 열 처리부(122)에서의 보강 튜브에 의한 융착부(S)의 보강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융착 접속기(101)에 마련된 융착 작업부(102)와 보강 작업부(120)에서 각각 융착 접속 및 보강을 실행했지만, 이러한 융착 접속 및 보강을 다른 기기 등의 다른 장소에 마련된 융착 작업부(102) 및 보강 작업부(120)에서 실행해도 좋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광섬유에 의한 연결망을 구축할 때에, 광섬유에 현지에서 광 커넥터를 설치할 때에 유용하다.

Claims (4)

  1. 스터브에 포함되는 내장 광섬유와 외부 광섬유를 융착 접속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스터브에 비축대칭 구조의 스터브 캡을 설치하고,
    상기 스터브 캡을 융착 작업부에 고정하고, 상기 외부 광섬유를 융착 작업부에 고정된 섬유 홀더에 파지하는 것에 의해 상기 내장 광섬유와 상기 외부 광섬유를 상기 융착 작업부에 배치하고,
    상기 내장 광섬유와 상기 외부 광섬유를 융착 접속하고,
    상기 융착 작업부에서 상기 섬유 홀더와는 다른 비축대칭 구조의 반송용 섬유 홀더에 상기 외부 광섬유를 파지시키고,
    상기 스터브 캡과 상기 반송용 섬유 홀더의 상대 위치 관계가 상기 융착 작업부에 있어서의 상대 위치 관계와 동일하게 되도록 상기 스터브 캡과 상기 반송용 섬유 홀더를 보강 작업부에 고정함으로써, 상기 내장 광섬유와 상기 외부 광섬유를 상기 보강 작업부에 재배치하며,
    상기 내장 광섬유와 상기 외부 광섬유에 장력을 부여한 상태에서 상기 내장 광섬유와 상기 외부 광섬유의 융착부를 보강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반송용 섬유 홀더에 마련된 고정판을 상기 융착 작업부에 형성된 제 1 고정 구멍에 끼워맞추는 것에 의해, 상기 반송용 섬유 홀더를 상기 융착 작업부에 고정하고,
    상기 반송용 섬유 홀더에 마련된 고정판을 상기 보강 작업부에 형성된 제 2 고정 구멍에 끼워맞추는 것에 의해, 상기 반송용 섬유 홀더를 상기 보강 작업부에 고정하는
    융착 접속하는 방법.
  2. 스터브에 포함되는 내장 광섬유와 외부 광섬유를 융착 접속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스터브에 비축대칭 구조의 스터브 캡을 설치하고,
    상기 외부 광섬유를 비축대칭 구조의 섬유 홀더에 파지시키고,
    상기 스터브 캡과 상기 섬유 홀더를 융착 작업부에 고정함으로써 상기 내장 광섬유와 상기 외부 광섬유를 상기 융착 작업부에 배치하고,
    상기 내장 광섬유와 상기 외부 광섬유를 융착 접속하고,
    상기 스터브 캡과 상기 섬유 홀더의 상대 위치 관계가 상기 융착 작업부에 있어서의 상대 위치 관계와 동일하게 되도록 상기 스터브 캡과 상기 섬유 홀더를 보강 작업부에 고정함으로써, 상기 내장 광섬유와 상기 외부 광섬유를 상기 보강 작업부에 재배치하며,
    상기 내장 광섬유와 상기 외부 광섬유에 장력을 부여한 상태에서 상기 내장 광섬유와 상기 외부 광섬유의 융착부를 보강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섬유 홀더에 마련된 고정판을 상기 융착 작업부에 형성된 제 1 고정 구멍에 끼워맞추는 것에 의해, 상기 섬유 홀더를 상기 융착 작업부에 고정하고,
    상기 섬유 홀더에 마련된 고정판을 상기 보강 작업부에 형성된 제 2 고정 구멍에 끼워맞추는 것에 의해, 상기 섬유 홀더를 상기 보강 작업부에 고정하는
    융착 접속하는 방법.
  3. 내장 광섬유를 포함하는 스터브에 설치된 비축대칭 구조의 스터브 캡을 고정하는 제 1 융착 고정부와, 외부 광섬유를 파지하는 비축대칭 구조의 제 1 섬유 홀더를 고정하는 제 2 융착 고정부와, 외부 광섬유를 상기 제 1 섬유 홀더보다 선단 측에서 파지하는 제 2 섬유 홀더와, 상기 제 1 융착 고정부와 상기 제 2 섬유 홀더에 의해 축방향을 따라 위치 결정하여 배치된 상기 내장 광섬유와 상기 외부 광섬유를 융착 접속하는 융착 처리부를 포함하는 융착 작업부와,
    상기 제 1 융착 고정부와 상기 제 2 융착 고정부의 상대 위치 관계와 동일한 상대 위치 관계에 있고, 상기 스터브 캡 및 상기 제 1 섬유 홀더 각각을 고정하는 제 1 보강 고정부 및 제 2 보강 고정부와, 융착 접속된 상기 내장 광섬유와 상기 외부 광섬유에 장력을 부여하는 가압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내장 광섬유와 상기 외부 광섬유의 융착부를 보강하는 보강 작업부를 가지고,
    상기 제 1 섬유 홀더에는 고정판이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융착 작업부에는 제 1 고정 구멍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보강 작업부에는 제 2 고정 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고정판을 상기 제 1 고정 구멍에 끼워맞추는 것에 의해, 상기 제 1 섬유 홀더가 상기 융착 작업부에 고정되며, 상기 고정판을 상기 제 2 고정 구멍에 끼워맞추는 것에 의해, 상기 제 1 섬유 홀더가 상기 보강 작업부에 고정되는
    융착 접속기.
  4. 내장 광섬유를 포함하는 스터브에 설치된 비축대칭 구조의 스터브 캡을 고정하는 제 1 융착 고정부와, 외부 광섬유를 파지하는 비축대칭 구조의 섬유 홀더를 고정하는 제 2 융착 고정부와, 상기 제 1 융착 고정부와 상기 제 2 융착 고정부에 의해 배치된 상기 내장 광섬유와 상기 외부 광섬유를 융착 접속하는 융착 처리부를 포함하는 융착 작업부와,
    상기 제 1 융착 고정부와 상기 제 2 융착 고정부의 상대 위치 관계와 동일한 상대 위치 관계에 있고, 상기 스터브 캡 및 상기 섬유 홀더 각각을 고정하는 제 1 보강 고정부 및 제 2 보강 고정부와, 상기 제 1 보강 고정부 및 상기 제 2 보강 고정부에 의해 배치된 상기 내장 광섬유와 상기 외부 광섬유에 장력을 부여하는 가압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내장 광섬유와 상기 외부 광섬유의 융착부를 보강하는 보강 작업부를 가지고,
    상기 섬유 홀더에는 고정판이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융착 작업부에는 제 1 고정 구멍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보강 작업부에는 제 2 고정 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고정판을 상기 제 1 고정 구멍에 끼워맞추는 것에 의해, 상기 섬유 홀더가 상기 융착 작업부에 고정되며, 상기 고정판을 상기 제 2 고정 구멍에 끼워맞추는 것에 의해, 상기 섬유 홀더가 상기 보강 작업부에 고정되는
    융착 접속기.
KR1020137021446A 2011-02-18 2012-02-02 광섬유끼리를 융착 접속하는 방법 및 융착 접속기 KR10180836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1032817A JP5799471B2 (ja) 2011-02-18 2011-02-18 融着部の補強方法及び融着接続機
JPJP-P-2011-032817 2011-02-18
PCT/JP2012/052387 WO2012111447A1 (ja) 2011-02-18 2012-02-02 光ファイバ同士を融着接続する方法および融着接続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4719A KR20140004719A (ko) 2014-01-13
KR101808369B1 true KR101808369B1 (ko) 2017-12-12

Family

ID=466723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21446A KR101808369B1 (ko) 2011-02-18 2012-02-02 광섬유끼리를 융착 접속하는 방법 및 융착 접속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235005B2 (ko)
EP (1) EP2677354B1 (ko)
JP (1) JP5799471B2 (ko)
KR (1) KR101808369B1 (ko)
CN (1) CN103384844B (ko)
WO (1) WO201211144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246565B (zh) * 2012-02-20 2017-04-12 Adc电信公司 光纤连接器,光纤连接器和光缆组件,和制造方法
JP2016167012A (ja) * 2015-03-10 2016-09-15 Seiオプティフロンティア株式会社 光ファイバの融着接続方法および融着接続装置
EP3345026B1 (en) * 2015-08-31 2020-10-14 Commscope Technologies LLC Splice-on fiber optic connector
JP6712869B2 (ja) 2016-02-12 2020-06-24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ベース部材および融着機
US9933572B2 (en) * 2016-02-24 2018-04-03 Furukawa Electric Co., Ltd. Fusion splicer
JP6628247B2 (ja) * 2016-05-19 2020-01-08 Seiオプティフロンティア株式会社 光ファイバ融着接続部の補強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融着接続機
US20170363809A1 (en) * 2016-06-17 2017-12-21 Afl Telecommunications Llc Optical fiber end cap holder
KR101859917B1 (ko) 2016-11-22 2018-05-23 솔텍인포넷 주식회사 광섬유 융착기
US11565378B2 (en) 2019-07-02 2023-01-31 Us Conec Ltd. Fiber handling tool with spring loaded doors
CN113655571A (zh) * 2020-05-12 2021-11-16 富晋精密工业(晋城)有限公司 光缆治具、光纤连接器制作方法及光纤连接器
CN115769115A (zh) * 2020-08-07 2023-03-07 住友电工光学前沿株式会社 盖位置保持机构、加强器以及光纤熔接机
CN115097571B (zh) * 2022-08-03 2024-02-13 安徽光驰通信设备有限公司 一种光纤熔接机整体推进调芯机构
KR102578373B1 (ko) * 2023-01-03 2023-09-15 유씨엘스위프트(주) 케이블 가이드 융착접속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105959A2 (de) * 2009-03-20 2010-09-23 Diamond Sa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spleissen von lichtwellenleitern, sowie verwendung eines endstückes in einer vorrichtung zum spleissen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99274A (en) 1992-06-25 1994-03-29 Hughes Aircraft Company Optical fiber laser fusion splicer
JP3106433B2 (ja) 1992-09-29 2000-11-06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光ファイバの捻れ防止移送治具
JPH06130243A (ja) 1992-10-16 1994-05-13 Furukawa Electric Co Ltd:The 光ファイバの搬送治具
JP3317810B2 (ja) * 1995-01-18 2002-08-26 株式会社フジクラ 光ファイバ移動装置
CA2226052A1 (en) 1997-02-13 1998-08-13 Diamond Sa Plug for an optical fiber plug connector and method of its manufacture
JP2002082257A (ja) 2000-09-06 2002-03-22 Sumitomo Electric Ind Ltd 光コネクタおよび光コネクタ部品
JP4384975B2 (ja) 2002-06-24 2009-12-16 ダイアモンド エスエー 光プラグイン接続用のコネクタ・プラグ部、コネクタ・プラグ部を光導波ケーブルの端部に接続する方法及び該方法を実施する装置
US7175352B2 (en) 2002-06-24 2007-02-13 Diamond Sa Connector-plug part for an optical plug-in connection
JP4495175B2 (ja) 2006-03-20 2010-06-30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フェルールの搬送方法およびフェルール把持具
WO2008030432A2 (en) * 2006-09-06 2008-03-13 Afl Telecommunications Llc Spliced-on connector system and method, splicer, and connector holder for producing the same
US8075200B2 (en) 2006-09-20 2011-12-13 Diamond Sa Connecting part for an optical connection and method for connecting two optical fibers
EP2851722A1 (en) * 2006-11-13 2015-03-25 Sumitomo Electric Industries, Ltd. Fusion splicing apparatus and method of use
JP4495173B2 (ja) * 2007-01-25 2010-06-30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フェルールホルダおよび融着接続機
JP5486904B2 (ja) * 2009-11-12 2014-05-07 株式会社フジクラ 光ファイバの融着接続方法、光コネクタを備えた光ファイバの製造方法及び光ファイバホルダ
CN101852894B (zh) 2010-04-29 2012-08-22 哈尔滨工程大学 悬挂芯光纤的耦合连接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105959A2 (de) * 2009-03-20 2010-09-23 Diamond Sa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spleissen von lichtwellenleitern, sowie verwendung eines endstückes in einer vorrichtung zum spleiss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799471B2 (ja) 2015-10-28
WO2012111447A1 (ja) 2012-08-23
EP2677354A1 (en) 2013-12-25
EP2677354B1 (en) 2016-04-06
US9235005B2 (en) 2016-01-12
CN103384844B (zh) 2016-01-20
CN103384844A (zh) 2013-11-06
KR20140004719A (ko) 2014-01-13
JP2012173372A (ja) 2012-09-10
EP2677354A4 (en) 2014-08-20
US20130277356A1 (en) 2013-10-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08369B1 (ko) 광섬유끼리를 융착 접속하는 방법 및 융착 접속기
US8254743B2 (en) Optical fiber cable holder, fusion splicer including the holder, and fusion splicing method using the holder
JP5806305B2 (ja) 光ファイバコネクター及びその組立方法
EP2081064B1 (en) Holder, fusion splicer, and method of assembling optical connector
US9170372B2 (en) Ferrule transfer method and ferrule holder
KR101586964B1 (ko) 융착 접속기
JP4495175B2 (ja) フェルールの搬送方法およびフェルール把持具
EP2495591B1 (en) Ferrule holder
JP2008181004A (ja) フェルールホルダ
CN109154698B (zh) 光纤熔接连接部的加强装置及具有其的熔接连接机
JP2008151952A (ja) 光ファイバコードホルダ及びそれを用いたコネクタ付光ファイバコードの製造方法
JP4913877B2 (ja) 融着接続機
JP5136631B2 (ja) ファイバホルダ
JP2009163004A (ja) ファイバホルダ
JP2006235199A (ja) 光ファイバホルダーおよび融着接続機
JP2011112785A (ja) 光ファイバ融着接続機および融着接続方法
JP2007121601A (ja) 心線把持具及び現地組立型光コネクタの組立方法
JP2008116773A (ja) 光ファイバの加熱補強処理装置及び光ファイバ融着接続装置
JP2011002858A (ja) 一括融着接続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