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02939A - 융착 접속 장치 - Google Patents
융착 접속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10102939A KR20210102939A KR1020217021539A KR20217021539A KR20210102939A KR 20210102939 A KR20210102939 A KR 20210102939A KR 1020217021539 A KR1020217021539 A KR 1020217021539A KR 20217021539 A KR20217021539 A KR 20217021539A KR 20210102939 A KR20210102939 A KR 2021010293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unit
- period
- fusion splicing
- fusion
- clock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7526 fusion splicing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0
- 230000004927 fus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3
- 230000005856 abnormality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1
- 239000013307 optical fibe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4
- 230000002159 abnorm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3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8000010891 electric arc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9000000835 fi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1186 cumul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7499 fusion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787 reinforc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284 res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65 semi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66 transform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255—Splicing of light guides, e.g. by fusion or bonding
- G02B6/2553—Splicing machines, e.g. optical fibre fusion splicer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255—Splicing of light guides, e.g. by fusion or bonding
- G02B6/2551—Splicing of light guides, e.g. by fusion or bonding using thermal methods, e.g. fusion welding by arc discharge, laser beam, plasma torch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lasma & Fus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echanical Coupling Of Light Guides (AREA)
Abstract
융착 접속 장치는, 방전에 의해 광 파이버의 융착 접속을 행하는 융착 접속부와, 현재의 일시를 출력하는 클록부와, 융착 접속부의 동작을 제어함과 아울러, 클록부로부터 출력되는 현재의 일시와, 외부로부터 미리 입력된 사용 가능 기간에 근거하여 지득되는 사용 잔여 기간이 0 이하가 되었을 경우에 융착 접속부의 동작을 정지하는 융착 제어부를 구비한다. 융착 제어부는, 클록부가 정상인 때에 단위 기간당의 방전 횟수에 관한 정보를 기록해 두고, 클록부의 이상을 검지한 경우, 방전 횟수가 단위 기간당의 방전 횟수에 도달한 때에 단위 기간이 경과한 것으로 하여 사용 잔여 기간을 판단한다.
Description
본 개시는, 융착 접속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은, 2018년 12월 13일 출원의 일본 출원 제2018-233550호에 근거하는 우선권을 주장하고, 상기 일본 출원에 기재된 모든 기재 내용을 원용한다.
특허문헌 1은, 방전에 의해 광 파이버의 융착 접속을 행하는 융착 접속 장치를 개시한다.
본 개시는, 융착 접속 장치를 제공한다. 이 융착 접속 장치는, 방전에 의해 광 파이버의 융착 접속을 행하는 융착 접속부와, 현재의 일시를 출력하는 클록부와, 융착 접속부의 동작을 제어함과 아울러, 클록부로부터 출력되는 현재의 일시와, 외부로부터 미리 입력된 사용 가능 기간에 근거하여 지득되는 사용 잔여 기간이 0 이하로 된 경우에 융착 접속부의 동작을 정지하는 융착 제어부를 구비한다. 융착 제어부는, 클록부가 정상일 때에는 단위 기간당의 방전 횟수를 기록해 두고, 클록부의 이상을 검지한 경우, 방전 횟수가 단위 기간당의 방전 횟수에 도달한 때에 단위 기간이 경과한 것으로 하여 사용 잔여 기간을 판단한다.
도 1은,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융착 접속 장치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방풍 커버가 닫혀 있는 상태의 외관을 나타낸다.
도 2는,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융착 접속 장치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방풍 커버가 열려 융착 접속 장치의 내부 구조가 보이는 상태의 외관을 나타낸다.
도 3은, 융착 접속 장치가 구비하는 내부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기능 블록도이다.
도 4는, 융착 제어부의 하드웨어 구성의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는, 융착 제어부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차트(flow chart)이다.
도 6은, 융착 제어부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2는,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융착 접속 장치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방풍 커버가 열려 융착 접속 장치의 내부 구조가 보이는 상태의 외관을 나타낸다.
도 3은, 융착 접속 장치가 구비하는 내부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기능 블록도이다.
도 4는, 융착 제어부의 하드웨어 구성의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는, 융착 제어부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차트(flow chart)이다.
도 6은, 융착 제어부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본 개시가 해결하려고 하는 과제]
광 파이버의 융착 접속을 행하는 융착 접속 장치는, 공사 현장 등에서의 사용을 간편하게 하기 위해서, 운반이 용이하도록 소형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 구조가 복잡하고 고정밀도이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고가이다. 그러므로, 공사 현장에서의 도난, 혹은 대여 후에 그대로 반환되지 않고 가져가 버려질 수 있다고 하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그래서, 사용 개시 시(혹은 대여 개시 시)에 사용 가능 기간을 설정해 두고, 해당 사용 가능 기간이 경과한 때에 융착 접속을 행할 수 없게 한다(락(lock)한다)라고 하는 기능을, 융착 접속 장치가 구비하는 것이 요망된다. 그 경우, 융착 접속 장치는, 사용 가능 기간이 경과했는지 아닌지를 정확하게 판정하기 위해, 융착 접속 장치의 전원의 온/오프에 관계없이 일시를 계속 카운트하는 리얼 타임 클록(RTC)을 구비할 필요가 있다.
그렇지만, 이 RTC에 어떠한 이상이 발생하여 정확한 일시를 출력할 수 없게 되면, 사용 가능 기간이 경과했는지 아닌지를 판정하는 것이 불가능하게 되고, 융착 접속 기능을 락하는 것이 곤란해진다. 또, 그것을 이용하여, 도난 등을 한 융착 접속 장치의 RTC를 고의로 고장나게 하여 융착 접속 기능의 락을 불능으로 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또한, RTC의 이상이 검지된 시점에서 융착 접속 기능을 락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지만, 그것이 단순한 RTC의 고장에 기인하는 경우, 공기(工期) 내에 융착 접속 작업을 할 수 없게 되어, 사용자가 큰 손해를 입을 우려가 있다.
[본 개시의 효과]
본 개시에 의하면, RTC에 어떠한 이상이 발생한 경우여도, 사용 가능 기간에 가까운 기간 후에 융착 접속 기능을 락할 수가 있다.
[본 개시의 실시 형태의 설명]
최초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내용을 열기하여 설명한다.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융착 접속 장치는, 방전에 의해 광 파이버의 융착 접속을 행하는 융착 접속부와, 현재의 일시를 출력하는 클록부와, 융착 접속부의 동작을 제어함과 아울러, 클록부로부터 출력되는 현재의 일시와, 외부로부터 미리 입력된 사용 가능 기간에 근거하여 지득되는 사용 잔여 기간이 0 이하로 된 경우에 융착 접속부의 동작을 정지하는 융착 제어부를 구비한다. 융착 제어부는, 클록부가 정상인 때에 단위 시간당의 방전 횟수에 관한 정보를 기록해 두고, 클록부의 이상을 검지한 경우, 방전 횟수가 단위 기간당의 방전 횟수에 도달한 때에 단위 기간이 경과한 것으로 하여 사용 잔여 기간을 판단한다.
이 융착 접속 장치에서는, 현재의 일시 및 사용 가능 기간으로부터 지득되는 사용 잔여 기간이 0 이하로 된 경우에, 융착 제어부가 융착 접속부의 동작을 정지한다. 이것에 의해, 예를 들면 사용 개시 시(혹은 대여 개시 시)에 사용 가능 기간을 설정해 두고, 해당 사용 가능 기간이 경과한 때에 융착 접속을 행할 수 없게 한다(락한다)라고 하는 기능을 실현할 수가 있다. 또한, 융착 제어부는, 클록부가 정상인 때에 단위 기간당의 방전 횟수에 관한 정보를 기록한다. 그리고, 클록부의 이상을 검지한 경우, 융착 제어부는, 방전 횟수가 단위 기간당의 방전 횟수에 도달한 때에, 단위 기간이 경과한 것으로 하여 사용 잔여 기간을 판단한다. 이것에 의해, 클록부에 어떠한 이상이 발생한 경우여도, 사용 가능 기간에 가까운 기간 후에 융착 접속 기능을 락할 수가 있다.
상기의 융착 접속 장치에 있어서, 단위 기간은 N일간(N은 1 이상의 정수)이어도 된다. 광 파이버의 융착 접속을 포함하는 공사를 시공할 때, 낮에 작업을 행하고 야간에 쉰다(혹은 그 반대)라고 하는 것처럼, 1일 주기로 작업을 진행하는 것이 많다. 따라서, 상기의 단위 기간을 N일간과 같은 일 단위로 설정하는 것에 의해, 단위 기간당의 방전 횟수가 안정하고, 사용 잔여 기간을 보다 정확하게 판단할 수가 있다.
상기의 융착 접속 장치에 있어서, 융착 제어부는, 일시에 관한 신호가 클록부로부터 출력되지 않는 경우에 클록부를 이상이라고 판정해도 된다. 이것에 의해, 클록부의 이상을 적절히 판정할 수가 있다.
상기의 융착 접속 장치에 있어서, 융착 제어부는, 클록부로부터 출력되는 현재의 일시가 미리 기억한 일시보다 전인 경우에 클록부를 이상이라고 판정해도 된다. 이것에 의해, 클록부의 이상을 적절히 판정할 수가 있다.
상기의 융착 접속 장치에 있어서, 융착 제어부는, 클록부의 이상을 검지한 경우, 방전 횟수가, 클록부가 정상인 때에 기록된 단위 기간당의 방전 횟수의 이동 평균치에 도달한 때에, 단위 기간이 경과한 것으로 하여 사용 잔여 기간을 판단해도 된다. 이것에 의해, 단위 기간당의 방전 횟수가 단위 기간마다 변동하는 경우여도, 사용 잔여 기간을 보다 정확하게 판단할 수가 있다.
[본 개시의 실시 형태의 상세]
본 개시의 실시 형태에 따른 융착 접속 장치의 구체예를, 이하에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한편, 본 발명은 이들의 예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청구의 범위에 의해 나타나지고, 청구의 범위와 균등의 의미 및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이 포함되는 것이 의도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도면의 설명에 있어서 동일한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중복하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융착 접속 장치(10)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은 방풍 커버가 닫혀 있는 상태의 외관을 나타내고, 도 2는 방풍 커버가 열려 융착 접속 장치(10)의 내부 구조가 보이는 상태의 외관을 나타낸다. 융착 접속 장치(10)는, 방전에 의해 광 파이버끼리를 융착 접속하기 위한 장치이며,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자 형상의 하우징(2)을 구비하고 있다. 하우징(2)의 상부에는, 광 파이버끼리를 융착하기 위한 융착 접속부(3)와, 가열기(4)가 마련되어 있다. 가열기(4)는, 광 파이버의 융착 개소에 씌워지는 파이버 보강 슬리부(sleeve)를 가열하여 수축시킨다. 융착 접속 장치(10)는, 모니터(5), 방풍 커버(6), 전원 스위치(7), 및 접속 개시 스위치(8)를 더 구비하고 있다. 모니터(5)는, 하우징(2)의 내부에 배치된 카메라(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촬상된 광 파이버끼리의 융착 접속 상황을 표시한다. 방풍 커버(6)는, 융착 접속부(3)로의 바람의 진입을 막는다. 전원 스위치(7)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융착 접속 장치(10)의 전원의 온/오프를 전환하기 위한 푸쉬 버튼이다. 접속 개시 스위치(8)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광 파이버끼리를 융착하기 위한 동작을 개시시키기 위한 푸쉬 버튼이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융착 접속부(3)는, 한 쌍의 파이버 위치 결정부(3a)와, 한 쌍의 방전 전극(3b)과, 한 쌍의 광 파이버 홀더(3c)를 탑재 가능한 홀더 탑재부를 가지고 있다. 융착 대상의 광 파이버 각각은 광 파이버 홀더(3c)에 유지 고정되고, 당해 광 파이버 홀더는 각각 홀더 탑재부에 탑재 고정된다. 파이버 위치 결정부(3a)는, 광 파이버 홀더(3c)끼리의 사이에 배치되고, 광 파이버 홀더(3c)의 각각에 유지된 광 파이버의 선단부를 위치 결정한다. 방전 전극(3b)은, 파이버 위치 결정부(3a)끼리의 사이에 배치되고, 아크 방전에 의해 광 파이버의 선단끼리를 융착한다. 융착 접속 장치(10)에서는, 파이버 위치 결정부(3a)에 의한 파이버의 위치 결정 처리나, 방전 전극(3b)에 의한 아크 방전의 각종 조건 등이, 융착 접속 장치(10)의 메모리 등에 격납되어 있는 동작 소프트웨어에 의해 제어된다.
도 3은, 융착 접속 장치(10)가 구비하는 내부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기능 블록도이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융착 접속 장치(10)는, 전술한 융착 접속부(3)에 더해, 클록부(11) 및 융착 제어부(12)를 구비하고 클록부(11)는, 현재의 일시를 출력하는 리얼 타임 클록(RTC, 하드웨어 클록이라고도 불린다)이며, 융착 접속 장치(10)의 전원 상태(온/오프)에 관계없이, 전지로부터의 전력의 백업을 받아, 항상 현재의 일시를 계속 카운트한다. 클록부(11)는, 예를 들면 집적 회로(IC)에 의해 구성되고, 회로 기판 상에 실장된 독립한 반도체 칩으로서 마련되어 있다. 전형적으로는, 클록부(11)는 「년」, 「월」, 「일」, 「시」, 「분 」, 및 「초」의 정보를 전기 신호로서 출력한다.
융착 제어부(12)는, 기본 제어부(13), 클록 이상 검지부(14), 사용 잔여 기간 산출부(15), 및 사용 잔여 기간 추정부(16)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기본 제어부(13)는, 융착 접속부(3)의 동작을 제어한다. 즉, 기본 제어부(13)는, 사용자에 의한 접속 개시 스위치(8)의 조작을 받아, 융착 접속부(3)에 있어서의 광 파이버의 선단끼리의 당접 동작(contact operation) 및 아크 방전을 제어한다. 아크 방전의 제어에는, 방전 전압의 제어 및 방전 타이밍의 제어가 포함된다. 클록 이상 검지부(14)는, 클록부(11)로부터의 신호를 입력하고, 클록부(11)의 이상을 검지한다. 정상인 클록부(11)로부터는, 현재의 일시에 관한 신호가 동작 중, 항상 출력된다. 클록 이상 검지부(14)는, 일시에 관한 신호가 클록부(11)로부터 출력되지 않는 경우에, 클록부(11)를 이상으로 판정한다. 혹은, 일시에 관한 신호가 클록부(11)로부터 출력되지만, 그 일시가 분명하게 잘못인 경우도 있다. 클록 이상 검지부(14)는, 클록부(11)로부터 출력되는 일시가, 미리 기억한 일시(예를 들면 제품 출하 시에 설정된 일시, 혹은 전회(前回)에 전원이 오프로 된 일시)보다 전인 경우에, 클록부(11)를 이상이라고 판정해도 된다. 한편, 이들의 클록부(11)의 이상 판정 방식은 일례이며, 클록부(11)의 이상을 검지할 수 있는 다른 여러 가지 방식을 적용할 수 있다.
사용 잔여 기간 산출부(15)는, 클록부(11)로부터 출력되는 현재의 일시와, 외부로부터 미리 입력된 사용 가능 기간에 근거하여, 사용 잔여 기간을 산출한다. 사용 가능 기간이란, 사용자 혹은 대여자 등에 의해 미리 설정되는 기간이며, 사용 가능 기간을 지나면 기본 제어부(13)가 융착 접속부(3)의 제어를 정지하고, 융착 접속부(3)가 동작 불능(락 상태)으로 된다. 이 경우, 사용자가 접속 개시 스위치(8)를 조작해도, 광 파이버끼리의 융착은 행해지지 않는다. 이러한 기능은, 도난이나 가지고 가버린 후의 융착 접속 장치(10)의 본래적인 기능을 극도로 제한하므로, 도난이나 가지고 가버리는 자체를 막는 효과가 기대된다. 사용 잔여 기간이 0 이하가 되면, 사용 잔여 기간 산출부(15)는, 융착 접속부(3)의 동작을 정지하기 위한 신호를 기본 제어부(13)에 출력한다. 혹은, 사용 잔여 기간 산출부(15)로부터 사용 잔여 기간에 관한 정보가 기본 제어부(13)에 제공되고, 그 사용 잔여 기간이 0 이하인 경우에, 기본 제어부(13)가 융착 접속부(3)의 동작을 정지해도 된다. 사용 잔여 기간은, 예를 들면 일 단위로 설정된다. 사용 잔여 기간 산출부(15)는, 산출한 사용 잔여 기간을 불휘발성의 기억 수단(ROM 등)에 기록한다. 한편, 사용 잔여 기간이 0 이하인지 아닌지의 판정은, 전원 스위치(7)가 조작되어 융착 접속 장치(10)의 전원이 온 상태가 될 때마다, 적어도 1회 행해진다.
사용 잔여 기간 추정부(16)는, 아크 방전에 의해 융착 접속이 행해진 횟수(방전 횟수)를 취득한다. 방전 횟수는, 사용자에 의한 접속 개시 스위치(8)의 입력 혹은 기본 제어부(13)로부터의 신호에 근거하여, 사용 잔여 기간 추정부(16)에 의해 카운트된다. 사용 잔여 기간 추정부(16)는, 또한 클록 이상 검지부(14)로부터의 출력 신호를 받고, 클록부(11)가 정상인 때에는, 단위 기간당의 방전 횟수에 관한 정보(예를 들면 단위 기간당의 방전 횟수 그 자체, 혹은 그 이동 평균치)를 불휘발성의 기억 수단(ROM 등)에 기록한다. 단위 기간은, 예를 들면 N일(N은 1 이상의 정수)이며, 전형적으로는 1일이다. 이동 평균치는, 최근의 복수의 단위 기간에 걸치는 이동 평균치이며, 단위 기간이 1일인 경우, 최근의 M일(M은 2 이상의 정수)의 이동 평균치이다. M의 값은 예를 들면 30이다. 한편, 제품 출하 시에는, 단위 기간당의 방전 횟수의 초기치가 미리 기록되어 있다.
클록 이상 검지부(14)가 클록부(11)의 이상을 검지한 경우, 사용 잔여 기간 산출부(15)는 사용 잔여 기간을 산출할 수가 없게 된다. 그래서, 사용 잔여 기간 추정부(16)는, 다음과 같이 하여 사용 잔여 기간을 추정한다. 즉, 클록 이상 검지부(14)가 클록부(11)의 이상을 검지하면, 사용 잔여 기간 추정부(16)는, 방전 횟수를 취득하면서, 기억 수단에 기록된, 단위 기간당의 방전 횟수에 관한 정보를 참조한다. 그리고, 사용 잔여 기간 추정부(16)는, 방전 횟수가, 기록된 단위 기간당의 방전 횟수(또는 그 이동 평균치)에 도달한 때에, 단위 기간이 경과한 것으로 하여 사용 잔여 기간을 산출한다. 사용 잔여 기간이 0 이하가 되면, 사용 잔여 기간 추정부(16)는, 융착 접속부(3)의 동작을 정지하기 위한 신호를 기본 제어부(13)에 출력한다. 혹은, 사용 잔여 기간 추정부(16)로부터 사용 잔여 기간에 관한 정보가 기본 제어부(13)에 제공되고, 그 사용 잔여 기간이 0 이하인 경우에, 기본 제어부(13)가 융착 접속부(3)의 동작을 정지해도 된다. 한편, 사용 잔여 기간이 0 이하인지 아닌지의 판정은, 전원 스위치(7)가 조작되어 융착 접속 장치(10)의 전원이 온 상태가 될 때마다, 적어도 1회 행해진다.
도 4는, 융착 제어부(12)의 하드웨어 구성의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융착 제어부(12)는, CPU(12a), RAM(12b), ROM(12c)을 포함하는 컴퓨터로서 구성되어도 된다. 융착 제어부(12)는, ROM(12c)에 미리 기억된 프로그램의 읽기를 실행하면서, CPU(12a)의 제어의 아래에서 RAM(12b) 및 ROM(12c)에 대한 데이터의 읽기 및 쓰기를 행하는 것에 의해, 융착 제어부(12)의 각 기능을 실현할 수가 있다. 융착 제어부(12)의 동작 상황은, 융착 접속 장치(10)의 동작 중, 항상 모니터(5)에 표시된다. 또, 융착 제어부(12)는, 접속 개시 스위치(8)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고, 접속 개시 스위치(8)로부터의 전기 신호를 받는다. 융착 제어부(12)는, 사용 가능 기간을 외부로부터 입력하기 위한 입력 장치(12d)를 더 가진다. 입력 장치(12d)는, 예를 들면 USB(Universal Serial Bus)와 같은 유선의 통신 포토, 혹은 IEEE802.11과 같은 무선 규격에 대응하는 무선 통신 회로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은, 융착 제어부(12)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차트(flow chart)이다. 전원 스위치(7)가 조작되어 융착 접속 장치(10)의 전원이 온 상태가 되면, 우선, 융착 제어부(12)는, 클록 이상 검지부(14)에서 클록부(11)에 이상이 생기고 있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스텝 S1). 여기서, 클록부(11)가 정상인 경우(스텝 S1:NO), 사용 잔여 기간 산출부(15)는, 설정된 사용 가능 기간을 ROM 등의 기억 수단으로부터 읽어냄과 아울러, 클록부(11)로부터 현재의 일시를 입력한다. 그리고, 사용 잔여 기간 산출부(15)는, 사용 가능 기간과 현재의 일시로부터 사용 잔여 기간을 산출하고, 사용 잔여 기간이 0 이하인지 아닌지를 판단한다(스텝 S2). 사용 잔여 기간이 0 이하인 경우(스텝 S2:YES), 기본 제어부(13)는 융착 접속부(3)의 동작을 정지한다(스텝 S3). 사용 잔여 기간이 0보다 큰 경우(스텝 S2:NO), 기본 제어부(13)는 융착 접속부(3)의 동작을 용인한다. 그리고, 사용 잔여 기간이 ROM 등의 기억 수단에 기록된다(스텝 S4).
계속해서, 사용 잔여 기간 추정부(16)는, ROM 등의 기억 수단에 기록된 초회(初回) 일시(전의 단위 기간 경과 후, 최초로 융착 처리가 행해진 일시)로부터 단위 기간이 경과했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스텝 S5). 초회 일시로부터 단위 기간이 경과했을 경우(스텝 S5:YES), 사용 잔여 기간 추정부(16)는, 그 시점에서의 당해 단위 기간 내의 누적 방전 횟수에 근거하여, 기억 수단에 기록된 단위 기간당의 방전 횟수에 관한 정보를 갱신한다(스텝 S6). 예를 들면, 단위 기간당의 방전 횟수에 관한 정보가 이동 평균치인 경우에는, 당해 누적 방전 횟수를 최신의 단위 기간당의 방전 횟수로서 산입하고, 이동 평균치를 갱신한다. 그 후, 누적 방전 횟수를 초기화한다(스텝 S7). 한편, 초회 일시로부터 단위 기간이 경과하고 있지 않는 경우(스텝 S5:NO), 상기의 스텝 S6, S7은 행하지 않고, 다음의 스텝으로 진행한다.
사용자가 접속 개시 스위치(8)를 조작하여 아크 방전에 의한 융착 처리가 행해지면(스텝 S8), 사용 잔여 기간 추정부(16)는, 단위 기간 내의 누적 방전 횟수를 확인한다(스텝 S9). 단위 기간 내의 누적 방전 횟수가 0인 경우(스텝 S9:YES), 사용 잔여 기간 추정부(16)는, 그때의 일시를 초회 일시로서 ROM 등의 기억 수단에 기록한다(스텝 S10). 스텝 S9의 후, 혹은 단위 기간 내의 누적 방전 횟수가 1 이상인 경우(스텝 S9:NO), 사용 잔여 기간 추정부(16)는 단위 기간 내의 누적 방전 횟수에 1을 더한다(스텝 S11). 그 후, 다시 스텝 S8으로 돌아온다. 이러한 스텝 S8~S11은, 전원 스위치(7)가 조작되어 융착 접속 장치(10)의 전원이 오프 상태가 될 때까지 반복해 행해진다.
한편, 스텝 S1에 있어서 클록부(11)가 이상인 경우(스텝 S1:YES), ROM 등의 기억 수단으로부터 사용 잔여 기간 추정부(16)에 의해 사용 잔여 기간이 읽혀지고, 그 사용 잔여 기간이 0 이하인지 아닌지가 판단된다(스텝 S12). 그 사용 잔여 기간이 0 이하인 경우(스텝 S12:YES), 기본 제어부(13)는 융착 접속부(3)의 동작을 정지한다(스텝 S13). 사용 잔여 기간이 0보다 큰 경우(스텝 S12:NO), 기본 제어부(13)는 융착 접속부(3)의 동작을 용인한다.
사용자가 접속 개시 스위치(8)를 조작하여 아크 방전에 의한 융착 처리가 행해지면(스텝 S14), 사용 잔여 기간 추정부(16)는, 단위 기간 내의 누적 방전 횟수를 확인한다(스텝 S15). 단위 기간 내의 누적 방전 횟수가, ROM 등의 기억 수단에 기록된 단위 기간당의 방전 횟수(또는 그 이동 평균치)에 도달한 경우(스텝 S15:YES), 사용 잔여 기간 추정부(16)는, 사용 잔여 기간으로부터 1을 뺀 새로운 사용 잔여 기간을 ROM 등의 기억 수단에 기록함(스텝 S16)과 아울러, 단위 기간 내의 누적 방전 횟수를 초기화한다(스텝 S17). 단위 기간 내의 누적 방전 횟수가, ROM 등의 기억 수단에 기록된 단위 기간당의 방전 횟수(또는 그 이동 평균치)에 도달하고 있지 않은 경우(스텝 S15:NO), 상기의 스텝 S16, S17은 행해지지 않는다. 그 후, 다시 스텝 S14으로 돌아온다. 이러한 스텝 S14~S17은, 전원 스위치(7)가 조작되어 융착 접속 장치(10)의 전원이 오프 상태가 될 때까지 반복하여 행해진다.
이상으로 설명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융착 접속 장치(10)에 의해 얻어지는 효과에 대해 설명한다. 이 융착 접속 장치(10)에서는, 현재의 일시 및 사용 가능 기간으로부터 지득되는 사용 잔여 기간이 0 이하가 되었을 경우에, 융착 제어부(12)가 융착 접속부(3)의 동작을 정지한다. 이것에 의해, 예를 들면 사용 개시 시(혹은 대여 개시 시)에 사용 가능 기간을 설정해 두고, 해당 사용 가능 기간이 경과했을 때에 융착 접속을 행할 수 없게 한다(락한다)라고 하는 기능을 실현할 수가 있다. 또한, 융착 제어부(12)는, 클록부(11)가 정상인 때에 단위 기간당의 방전 횟수에 관한 정보를 기록한다. 그리고, 클록부(11)의 이상을 검지한 경우, 융착 제어부(12)는, 방전 횟수가 단위 기간당의 방전 횟수에 도달한 때에, 단위 기간이 경과한 것으로 하여 사용 잔여 기간을 판단한다. 이것에 의해, 클록부(11)에 어떠한 이상이 발생했을 경우여도, 사용 가능 기간에 가까운 기간 후에 융착 접속 기능을 락할 수가 있다.
한편, 본 실시 형태의 방식에서는, 사용 가능 기간에 정확하게 대응하는 락처리는 어렵지만, 사용 가능 기간과 그다지 다르지 않은 대강의 기간(예를 들면 단위 기간이 1일인 경우, 며칠 정도의 오차)으로 락 처리를 실시할 수가 있다. 도난이나 가져 가는 것을 막기 위해서는, 이 정도의 대략적인 기간 설정으로도 충분한 효과가 얻어진다. 이 융착 접속 장치(10)를 불법으로 취득해도 가까운 장래에 사용할 수 없게 된다고 일반적으로 인식되어 있으면, 도난이나 가져 가는 것에 가치를 발견해 낼 수 없기 때문이다. 한편, 클록부(11)가 단순한 고장에 의해 이상이 되었을 경우, 설정된 사용 가능 기간이 경과하기 전에 융착 접속 기능을 락하면, 사용자의 공기에 영향을 줄 우려가 있다. 따라서, 방전 횟수로부터 추정되는 사용 잔여 기간이 0 이하가 되고 나서 융착 접속부(3)의 동작을 정지할 때까지의 사이에 유예 기간(예를 들면 단위 기간이 1일인 경우, 며칠의 유예 기간)을 마련해도 좋다.
본 실시 형태와 같이, 단위 기간은 N일간(N은 1 이상의 정수)이어도 된다. 광 파이버의 융착 접속을 포함하는 공사를 시공할 때, 낮에 작업을 행하고 야간에 쉬는(혹은 그 반대) 것과 같이, 1일 주기로 작업을 진행하는 것이 많다. 따라서, 상기의 단위 기간을 N일간과 같은 일 단위로 설정하는 것에 의해, 단위 기간당의 방전 횟수가 안정되고, 사용 잔여 기간을 보다 정확하게 판단할 수가 있다.
본 실시 형태와 같이, 융착 제어부(12)는, 일시에 관한 신호가 클록부(11)로부터 출력되지 않는 경우에 클록부(11)를 이상으로 판정해도 된다. 혹은, 융착 제어부(12)는, 클록부(11)로부터 출력되는 현재의 일시가 미리 기억한 일시보다 전인 경우에 클록부(11)를 이상으로 판정해도 된다. 이들의 한쪽 또는 양쪽에 의하면, 클록부(11)의 이상을 적절히 판정할 수가 있다.
본 실시 형태와 같이, 융착 제어부(12)는, 클록부(11)의 이상을 검지한 경우, 방전 횟수가, 클록부(11)가 정상인 때에 기록된 단위 기간당의 방전 횟수의 이동 평균치에 도달한 때에, 단위 기간이 경과한 것으로 하여 사용 잔여 기간을 판단해도 된다. 이것에 의해, 단위 기간당의 방전 횟수가 단위 기간마다 변동하는 경우여도, 사용 잔여 기간을 보다 정확하게 판단할 수가 있다.
이상,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융착 접속 장치에 대해 설명했지만, 본 발명에 따른 융착 접속 장치는 상기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여러 가지의 변형을 적용할 수가 있다.
2…하우징, 3…융착 접속부, 3a…파이버 위치 결정부, 3b…방전 전극, 3c…광 파이버 홀더, 4…가열기, 5…모니터, 6…방풍 커버, 7…전원 스위치, 8…접속 개시 스위치, 10…융착 접속 장치, 11…클록부, 12…융착 제어부, 12a…CPU, 12b…RAM, 12c…ROM, 12d…입력 장치, 13…기본 제어부, 14…클록 이상 검지부, 15…사용 잔여 기간 산출부, 16…사용 잔여 기간 추정부.
Claims (5)
- 방전에 의해 광 파이버의 융착 접속을 행하는 융착 접속부와,
현재의 일시를 출력하는 클록부와,
상기 융착 접속부의 동작을 제어함과 아울러, 상기 클록부로부터 출력되는 현재의 일시와, 외부로부터 미리 입력된 사용 가능 기간에 근거하여 지득되는 사용 잔여 기간이 0 이하가 되었을 경우에 상기 융착 접속부의 동작을 정지하는 융착 제어부
를 구비하고,
상기 융착 제어부는, 상기 클록부가 정상인 때에 단위 기간당의 방전 횟수에 관한 정보를 기록해 두고, 상기 클록부의 이상을 검지한 경우, 방전 횟수가 상기 단위 기간당의 방전 횟수에 도달한 때에 상기 단위 기간이 경과한 것으로 하여 상기 사용 잔여 기간을 판단하는 융착 접속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 기간은 N일간(N은 1 이상의 정수)인 융착 접속 장치.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융착 제어부는, 일시에 관한 신호가 상기 클록부로부터 출력되지 않는 경우에 상기 클록부를 이상으로 판정하는 융착 접속 장치.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융착 제어부는, 상기 클록부로부터 출력되는 일시가 미리 기억한 일시보다 전인 경우에 상기 클록부를 이상으로 판정하는 융착 접속 장치. -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융착 제어부는, 상기 클록부의 이상을 검지한 경우, 방전 횟수가, 상기 클록부가 정상인 때에 기록된 상기 단위 기간당의 방전 횟수의 이동 평균치에 도달한 때에, 상기 단위 기간이 경과한 것으로 하여 상기 사용 잔여 기간을 판단하는 융착 접속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18233550 | 2018-12-13 | ||
JPJP-P-2018-233550 | 2018-12-13 | ||
PCT/JP2019/048803 WO2020122206A1 (ja) | 2018-12-13 | 2019-12-12 | 融着接続装置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102939A true KR20210102939A (ko) | 2021-08-20 |
Family
ID=710764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7021539A KR20210102939A (ko) | 2018-12-13 | 2019-12-12 | 융착 접속 장치 |
Country Status (6)
Country | Link |
---|---|
US (1) | US12032206B2 (ko) |
EP (1) | EP3896506B1 (ko) |
JP (1) | JP7315175B2 (ko) |
KR (1) | KR20210102939A (ko) |
CN (1) | CN113167972B (ko) |
WO (1) | WO2020122206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3950050A (zh) * | 2021-12-21 | 2022-01-18 | 一诺仪器(中国)有限公司 | 熔接机防盗检测系统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2141357A (ja) | 2010-12-28 | 2012-07-26 | Sei Optifrontier Co Ltd | 光ファイバ融着接続装置 |
Family Cites Families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808982B2 (ja) | 1997-08-11 | 2006-08-16 |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 電気融着装置 |
US6742705B1 (en) * | 1999-10-29 | 2004-06-01 | Corning Cable Systems Llc | Data collection system |
WO2005106548A1 (en) * | 2004-04-23 | 2005-11-10 | Corning Cable Systems Llc | Optical fiber fusion splicer with personal computer functionality |
US20060263016A1 (en) * | 2005-05-18 | 2006-11-23 | 3Sae Technologies, Inc. | Method and apparatus for fusion splicing optical fibers |
EP1892547B8 (en) | 2005-06-09 | 2012-02-29 | Sumitomo Electric Industries, Ltd. | Splice protection heater, fusion splicer and optical fibre fusion splicing method |
CN103222134B (zh) * | 2010-11-29 | 2015-08-19 | 古河电气工业株式会社 | 光纤激光装置以及光纤激光装置的异常检测方法 |
WO2014118869A1 (ja) | 2013-01-29 | 2014-08-07 | エヌエイチ リミテッド | 課金の対象となる装置 |
CN105356412B (zh) | 2015-12-09 | 2018-03-27 | 中国电子科技集团公司第四十一研究所 | 异常放电防护装置及其防护方法 |
JP6870188B2 (ja) | 2016-06-14 | 2021-05-12 | 住友電工オプティフロンティア株式会社 | 融着接続装置の盗難検知システム及び融着接続装置 |
CN108594365A (zh) | 2018-04-27 | 2018-09-28 | 深圳市中为光通信技术有限公司 | 具有定时锁定功能的光纤熔接机以及锁定控制方法 |
-
2019
- 2019-12-12 WO PCT/JP2019/048803 patent/WO2020122206A1/ja unknown
- 2019-12-12 US US17/296,206 patent/US12032206B2/en active Active
- 2019-12-12 JP JP2020559329A patent/JP7315175B2/ja active Active
- 2019-12-12 EP EP19896608.7A patent/EP3896506B1/en active Active
- 2019-12-12 KR KR1020217021539A patent/KR20210102939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19-12-12 CN CN201980077754.8A patent/CN113167972B/zh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2141357A (ja) | 2010-12-28 | 2012-07-26 | Sei Optifrontier Co Ltd | 光ファイバ融着接続装置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13167972A (zh) | 2021-07-23 |
US20220011515A1 (en) | 2022-01-13 |
EP3896506B1 (en) | 2023-10-25 |
WO2020122206A1 (ja) | 2020-06-18 |
JP7315175B2 (ja) | 2023-07-26 |
EP3896506A4 (en) | 2022-01-26 |
US12032206B2 (en) | 2024-07-09 |
CN113167972B (zh) | 2023-05-12 |
JPWO2020122206A1 (ja) | 2021-10-21 |
EP3896506A1 (en) | 2021-10-2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742831B1 (ko) | 전지 팩 | |
KR101425219B1 (ko) | 배터리 잔량 표시 방법 및 전자 기기 | |
CN101960461B (zh) | 消费者不恰当使用检测系统和方法 | |
US5744963A (en) | Battery residual capacity measuring apparatus and method for measuring open-circuit voltages as the battery starts and stops supplying power | |
US20010011883A1 (en) | Battery pack | |
JP2011142036A (ja) | 電池管理方法および電子機器 | |
KR20080041702A (ko) | 배터리에 관련된 상태 벡터를 추정하는 시스템 및 방법 | |
EP2033258B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battery | |
WO2010007846A1 (ja) | 携帯機器、表示方法、表示プログラム | |
KR20210102939A (ko) | 융착 접속 장치 | |
US20210050733A1 (en) | Management device, energy storage apparatus, and management method for energy storage device | |
JP2007064874A (ja) | 二次電池の充電状態検出装置及び充電状態検出方法 | |
JP2009151952A (ja) | 電池異常検出装置及び方法 | |
EP1037065B1 (en) | Battery charge monitor for an electronic appliance | |
KR101551817B1 (ko) | 메모리 삭제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 |
JP2008226758A (ja) | 充電管理装置、充電管理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制御プログラム | |
WO2020196438A1 (ja) | 電池管理装置、蓄電装置、電池管理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 |
JP5196911B2 (ja) | 電子機器及び充電装置 | |
CN105144526A (zh) | 具有提升性能的模块的自供保护继电器 | |
KR100254669B1 (ko) | 무선 장치 무선장치로의 불법적 접근을 기억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 | |
JP3632824B2 (ja) | 保証期間報知装置 | |
KR100773835B1 (ko) | 차량 데이터 수집 장치 | |
JPH0984101A (ja) | 移動電話機及びその終結処理回路 | |
JP2807793B2 (ja) | 電源システム | |
JPH0870415A (ja) | 電子機器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