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72147B1 - 전기 장치의 탑재 구조 - Google Patents

전기 장치의 탑재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72147B1
KR100872147B1 KR1020077006791A KR20077006791A KR100872147B1 KR 100872147 B1 KR100872147 B1 KR 100872147B1 KR 1020077006791 A KR1020077006791 A KR 1020077006791A KR 20077006791 A KR20077006791 A KR 20077006791A KR 100872147 B1 KR100872147 B1 KR 1008721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vehicle
casing
electrical device
parallelogr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067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47361A (ko
Inventor
고 와타나베
Original Assignee
도요다 지도샤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요다 지도샤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도요다 지도샤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473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473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21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21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007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related to heat exchange
    • H01M8/04014Heat exchange using gaseous fluids; Heat exchange by combustion of reacta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00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 B60K1/04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of the electric storage means for propul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3/00Electric devices on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for safety purpos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e.g. speed, deceleration or energy consumption
    • B60L3/0023Detecting, eliminating, remedying or compensating for drive train abnormalities, e.g. failures within the drive train
    • B60L3/0046Detecting, eliminating, remedying or compensating for drive train abnormalities, e.g. failures within the drive train relating to electric energy storage systems, e.g. batteries or capaci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0/0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 B60L50/5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 B60L50/6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using power supplied by batteries
    • B60L50/64Constructional details of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0/0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 B60L50/5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 B60L50/6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using power supplied by batteries
    • B60L50/66Arrangements of batte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8/0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60L58/1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 B60L58/24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batteries
    • B60L58/26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batteries by cool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1Types of temperature control
    • H01M10/613Cooling or keeping col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5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 H01M10/651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characterised by parameters specified by a numeric value or mathematical formula, e.g. ratios, sizes or concentrations
    • H01M10/652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characterised by parameters specified by a numeric value or mathematical formula, e.g. ratios, sizes or concentrations characterised by gradi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5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 H01M10/656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heat-exchange fluid
    • H01M10/6561Gases
    • H01M10/6566Means within the gas flow to guide the flow around one or more cells, e.g. manifolds, baffles or other barri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H01M50/207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209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adapted for prismatic or rectangular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44Secondary casings; Racks; Suspension devices;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their mounting metho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49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specially adapted for aircraft or vehicles, e.g. cars or trai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24Grouping of fuel cells, e.g. stacking of fuel cells
    • H01M8/2465Details of groupings of fuel cells
    • H01M8/247Arrangements for tightening a stack, for accommodation of a stack in a tank or for assembling different tanks
    • H01M8/2475Enclosures, casings or containers of fuel cell sta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00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 B60K2001/003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with means for cooling the electrical propulsion units
    • B60K2001/005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with means for cooling the electrical propulsion units the electric storage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00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 B60K1/04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of the electric storage means for propulsion
    • B60K2001/0405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of the electric storage means for propulsion characterised by their position
    • B60K2001/0416Arrangement in the rear part of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00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 B60K1/04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of the electric storage means for propulsion
    • B60K2001/0405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of the electric storage means for propulsion characterised by their position
    • B60K2001/0422Arrangement under the front sea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5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 H01M10/656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heat-exchange fluid
    • H01M10/6561Gases
    • H01M10/6563Gases with forced flow, e.g. by blow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50/00Fuel cell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Specific features of fuel cell system
    • H01M2250/20Fuel cell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50Fuel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2Electric charging st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athematical Analysi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lgebra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athematical Optimization (AREA)
  • Pure & Applied Mathematics (AREA)
  • 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For Vehicles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 Secondary Cells (AREA)
  • Fuel Cell (AREA)

Abstract

배터리 어셈블리(100A, 100B)는 수하물 공간, 또는 뒷좌석 아래에 탑재된다. 배터리 어셈블리(100A, 100B)에서, 차량의 측면에서 보았을 때 실질적으로 직사각형의 구조를 가지는 배터리 팩(130)은, 배터리 커버와 하부 케이스를 가지면서 차량의 측면에서 보았을 때 실질적으로 평행사변형의 구조를 가지는 케이싱 내에 경사지는 방식으로 수납된다. 수지 챔버(102, 104)는 배터리 어셈블리(100A, 100B)의 앞쪽 위치 및 뒤쪽 위치 내 간극에 제공된다. 냉각 공기의 통로는 배터리 어셈블리(100A, 100B)의 상부 영역 및 하부 영역 내 간극으로 형성된다. 배터리 어셈블리(100A, 100B)는 그 바닥부가 차량의 전방 쪽으로 돌출되도록 탑재된다.

Description

전기 장치의 탑재 구조{MOUNTING STRUCTURE OF ELECTRICAL EQUIPMENT}
본 발명은 차량에 탑재되는 전기 장치(배터리, 캐패시터, 연료전지, PCU(Power Control Unit) 등)에 관한 것이고, 특히 냉각이 필요한 전기 장치의 탑재구조에 관한 것이다.
전기 자동차, 하이브리드 자동차, 연료전지 자동차 등 모터로 차량을 구동시키는 형식의 차량에는, 비교적 대용량의 2차 전지를 가지는 전원 유닛(배터리 팩)이 탑재된다. 이와 같은 배터리 팩은 납축 전지, 니켈 수소 전지, 그리고 리튬 이온 전지 등을 직렬로 다수 개 접속함으로써 높은 전압을 얻게 된다..
일반적으로, 집합형(assembly type) 2차 전지(배터리 모듈)가 배터리 팩으로 사용된다. 배터리 모듈은, 필요한 전력 용량이 얻어지도록 일체형으로 연결되는 복수 개의(예를 들면, 6개) 전기 셀(예를 들면, 1.2V의 출력 전압을 가지는 배터리 셀)을 가지는 것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소정 개수의 배터리 모듈이 직렬로 연결되어 200V 내지 300V의 높은 출력 전압을 가질 수 있는 배터리 팩을 구성한다.
이러한 배터리 팩에서는, 복수 개의 직육면체 배터리 모듈 중 그 폭이 넓은 면을 서로 대항시켜서 적층 구조로 배치된다. 끝판(end plate)은, 양끝에 위치하는 배터리 모듈 셀의 바깥쪽에 접한다. 이 끝판은, 구속 밴드로 결속되어서 서로 연결된다.
배터리 팩 내의 배터리 셀(예를 들면, 니켈 수소 전지)의 구조가 이하에 설명된다. 양극판(anode plate)과 음극판(cathode plate)의 층들은 그 사이에 세퍼레이터가 있는 상태로 적층되어, 전력 생성 요소로서 정의되는 하나의 그룹의 극판들을 형성한다. 이 그룹의 극판들은 전해액과 함께 셀 내에 수용된다. 각 셀의 개구부는 안전 밸브가 장착된 뚜껑(lid)에 의해 닫힌다. 한 그룹의 극판을 이루는 각 음극판의 일측 상단으로부터 위쪽으로 리드(lead)가 양극 단자에 연결된다. 마찬가지로 각 양극판의 일측 상단으로부터 위쪽으로 리드(lead)가 음극 단자에 연결된다. 이들 양극 단자와 음극 단자는 뚜껑(lid)에 부착된다.
배터리 팩에서는 배터리 셀 내에서 발생하는 화학 반응에 의해 열이 발생된다. 이렇게 발생되는 열을 무시하면 배터리 성능 및 수명의 저하와 같은 결함으로 이어진다. 배터리 모듈이 차량 내에 설치되는 경우에는, 냉각 매체로 정의되는 공기 통로에 상당하는 간극(gap)이 제공되어 차량 내부 또는 외부로부터 공기를 들여오거나 내보냄으로써 배터리 팩이 냉각된다.
일본 공개 특허 공보 2004-47426 호에서는 배터리 모듈과 냉각 장치의 높이를 억제하면서도 각 2차 전지를 효율적으로, 그리고 균일하게 냉각시키는 배터리 모듈용 냉각 장치에 관하여 개시하고 있다. 이 배터리 모듈용 냉각 장치는, 배터리 모듈 내에 병렬로 배치되는 복수 개의 각 2차 전지 사이에, 수직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가로 방향 내에 냉각 매체를 통과시키도록 형성된 냉각 매체 통로와, 그 냉각 매체 통로로 냉각 매체를 공급하는 냉각 매체 공급수단을 포함한다. 이 냉각 매체 공급 수단은, 배터리 모듈의 좌우 양측에 배치되고 각 냉각 매체 통로에 대하여 반대쪽 가로 방향으로 냉각 매체를 선택적으로 공급하도록 형성된 출구를 가지는 한 쌍의 냉각 매체 도입 덕트와, 이 두 개의 공급 매체 도입 덕트에 대하여 냉각 매체를 공급하는 냉각 매체 압력 공급 수단을 포함한다.
이 배터리 모듈용 냉각 장치에서, 냉각 매체가 가로 방향으로 흐르는 냉각 매체 통로는, 높이 치수가 두께 치수보다 크고 좌우 폭이 높이 치수보다 큰, 인접하는 입방형(cuboid) 2차 전지의 각진 옆면들 사이에 형성된다. 이 냉각 매체 공급 수단은, 냉각 매체 통로 쪽으로 냉각 매체가 흐르도록 형성된다. 배터리 모듈의 좌우 방향으로부터 2차 전지의 각각의 각진 옆면들 사이의 냉각 매체 통로로 냉각 매체를 흐르게 함으로써, 작은 두께의 각각의 2차 전지는 효과적으로 냉각될 수 있다. 또한, 냉각 매체 공급 수단이 배터리 모듈의 위, 아래 쪽에 제공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냉각 장치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의 높이가 억제될 수 있다. 이는 차량의 구동 전원 공급원으로서의 배터리 모듈을 장착하는 공간을 확보한다는 점에서 우수하다.
일본 특개 2004-47426 호에 개시된 냉각 장치를 가지는 배터리 모듈에서는, 2차 전지의 높이 방향 치수가 억제될 수 있다고 하더라도,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가진다. 그와 같이 형성된 2차 전지는, 차량의 폭 방향(가로 방향)에 상당하는 2차 전지의 배열방향으로 차량에 장착되는 것을 예정하고 있다(대부분의 사용 어플리케이션도 이와 같은 탑재 방향에 대응한다). 높이 방향의 치수가 억제되기 때문에, 플로어 패널 위쪽 그리고 시트 아래쪽에 배터리 모듈을 장착가능한 장착용이성 이 뛰어나기는 하나, 차량의 길이 방향, 즉 차량의 전방으로부터 후방까지 또는 후방으로부터 전방까지의 세로방향으로 제공되는 냉각 매체 통로는 그 방향으로 증가된 치수를 가지게 될 것이다. 이는, 그 배터리 모듈이 앞좌석 밑에 장착되는 경우, 뒷좌석 탑승자의 발끝 근방의 공간이 줄어들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배터리 모듈이, 2열 시트를 가지는 차량의 뒷바퀴 부근에 장착되는 경우에는, 플로어 패널에 제공되는 오목한 곳에 수납되어 있던 스페어 타이어를 꺼낼 때 지장을 받을 수도 있다.
그와 같은 문제는 하나의 2차 전지에 한정되지 않고, 공기 또는 공기 순환에 의한 냉각을 필요로 하는 2차 전지들(충전가능한 배터리들), 캐패시터, 연료전지, PCU 등에서도 흔히 발생할 수 있다.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목적은 높이 방향의 치수를 억제하면서도 탑재성이 뛰어난 전기 장치의 탑재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장치의 탑재 구조는 전기 장치 자체를 수납하는 적어도 6개의 면을 가지는 케이싱과, 케이싱의 바닥면을 차량의 플로어 패널 상에 유지하기 위한 유지부를 포함한다. 전기 장치 자체는 실질적으로 직육면체의 구조를 가진다. 케이싱은 차량 길이 방향의 뒤쪽에서 케이싱의 상면 측이 바닥면 측보다 차량의 후방으로 더 길게 연장되는 구조를 가진다.
본 발명에 따르면, 예를 들어, 니켈 금속 수소 전지로 형성되는 실질적으로 직육면체 구조의 대용량 배터리 팩이 차량의 전기 장치로서 장착되는 경우, 배터리 팩(이하 배터리 팩과 케이싱을 '배터리 어셈블리'라고 함)을 수납하는 케이싱은 차량의 뒤쪽에서, 상면 측이 바닥면 측보다 차량의 후방으로 더욱 연장되는 기울기를 가진다. 이 기울기로 인하여 배터리 어셈블리는 수하물 공간에 탑재되는 경우, 배터리 어셈블리보다 더욱 뒤쪽에 배치되는 스페어 타이어(임시 스페어 휠)를 싣고 꺼내는 동안에 지장을 받지 않는다. 이 배터리 어셈블리가 앞좌석의 아래에 탑재되는 경우, 이 기울기로 인하여 뒷좌석 탑승자의 발끝 부근에 공간이 확보된다. 뒷좌석 탑승자의 발은 이 배터리 어셈블리에 의해 방해받지 않는다. 배터리 어셈블리의 내부에 있어서 직육면체의 형상을 가지는 배터리 팩과 경사를 가지는 케이싱 사이에 공간이 확보된다. 이 공간은 냉각 매체(공기)의 챔버 또는 통로로 사용될 수 있어, 높이 방향의 치수가 증가되지 않는다. 결과적으로, 높이 방향의 치수를 억제하면서도 탑재성이 더욱 우수한 전기 장치의 탑재 구조가 제공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케이싱이 차량 길이 방향의 앞쪽에서 케이싱의 바닥면 측이 상면 측보다 차량의 전방으로 더욱 연장되는 구조를 가진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배터리 팩을 수납하는 케이싱은 차량 길이 방향의 앞쪽에서 바닥면 측이 상면 측보다 차량의 전방으로 더욱 연장되는 기울기를 가진다. 배터리 어셈블리가 수하물 공간에 탑재되는 경우, 이 기울기는 차량의 후방으로 경사지는 파티션 패널을 따라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배터리 어셈블리는 종래의 직육면체 케이싱과 비교하여 차량의 전방 측에 불필요한 공간 없이 탑재될 수 있다. 배터리 어셈블리가 앞좌석의 아래에 탑재되는 경우, 이 기울기는 차량의 후방 쪽으로 경사진 시트 부착 브라켓을 따라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배터리 어셈블리는 종래의 직육면체 케이싱에 비하여 불필요한 공간 없이 차량에 탑재될 수 있다. 배터리 어셈블리의 내부에 있어서, 직육면체 배터리 팩과 경사를 가지는 케이싱 사이에 차량의 앞쪽과 뒤쪽으로 두 개의 간극이 형성된다. 이 간극은 냉각 매체(공기)의 챔버 또는 통로로 사용될 수 있기 때문에, 특히 높이 방향의 치수가 증가되지 않는다. 결과적으로, 높이 방향의 치수를 억제하면서도 탑재성이 더욱 뛰어난 전기 장치의 탑재 구조가 제공될 수 있다.
차량의 측면에서 보았을 때 케이싱의 단면은 밑변이 수평한 평행사변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실질적으로 직사각형의 단면을 가지는 배터리 팩이 실질적으로 평행사변형의 단면을 가지는 케이싱 내에 수납되기 때문에 평행사변형의 기울어지 변과 배터리 팩의 짧은 변 사이에 간극이 형성된다. 이 간극은 냉각 매체(공기)의 챔버 또는 통로로 사용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케이싱의 바닥면이 전기 장치 자체의 바닥면과 평행하지 않도록 전기 장치가 케이싱 내에 수납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예를 들어, 실질적으로 직사각형의 단면을 가지는 배터리 팩이 실질적으로 평행사변형의 단면을 가지는 케이싱 내에 경사지는 방식으로 수납되기 때문에 평행사변형의 기울어진 변과 배터리 팩의 짧은 변 사이에 차량의 앞쪽과 뒤쪽으로 생기는 간극들과는 별도로 상부 영역과 하부 영역에 간극이 형성된다. 이 간극은 챔버와 연통되는 냉각 매체(공기)의 통로로 사용될 수 있다.
더더욱 바람직하게는, 전기 장치를 냉각시키기 위한 덕트가, 전기 장치 자체의 바닥면과 평행하지 않은 케이싱의 바닥면으로 인하여 형성되는 공간에 제공된다.
전기 장치를 냉각하기 위한 덕트가, 실질적으로 평행사변형의 단면을 가지는 케이싱과 실질적으로 직사각형의 단면을 가지는 배터리 팩 사이의 공간에 제공되기 때문에 냉각 매체(공기)는 덕트를 통하여 압력에 의해 이동될 수 있다.
이 덕트는 수지로 형성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덕트는 수지로 형성되기 때문에 성형이 용이하다. 또한, 차량의 충돌 등으로 인해 배터리 팩에 응력(stress)이 발생하는 경우, 수지로 형성된 덕트가 이 응력을 흡수하여 배터리 팩의 충격을 완화하고, 케이싱(금속)과 배터리 팩의 단자 사이의 접촉으로 인한 쇼트를 방지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차량의 측면에서 보았을 때, 전기 장치 자체의 상면 단부는 케이싱 상면의 일측 단부와 접하고, 전기 장치 자체의 바닥면 단부는 케이싱 바닥면의 일측 단부와 다른 타측 단부와 접하도록 케이싱 내에 전기장치가 수납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 차량의 측면에서 보았을 때, 간극이 케이싱 상면의 일측 단부에서 타단부 측으로 점차 커지는 한편, 간극이 케이싱 바닥면의 타단부 측에서 일측 단부로 점차 커지도록 형성된다. 냉각 기류가 배터리 팩의 상부에서 하부로, 또는 배터리 팩의 하부에서 상부로 흐르는 경우, 도관(conduit)으로 사용되는 간극에서의 도관 단면이 점차 커지기 때문에 압력 손실이 억제되어 충분한 양의 냉각 기류를 하류 측까지 흘려보낼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차량의 측면에서 보았을 때, 전기 장치 자체의 단면이 실질적으로 직사각형이고, 평행사변형의 밑변은 직사각형의 밑변과 평행하지 않도록 전기 장치가 케이싱 내에 수납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실질적으로 직사각형의 단면을 가지는 배터리 팩이 실질적으로 평행사변형의 단면을 가지는 케이싱 내에 경사지는 방식으로 수납되기 때문에, 평행사변형의 기울어진 변과 배터리 팩의 짧은 변 사이에 형성되는 차량의 전방 위치와 후방 위치 사이의 간극과 더불어, 차량의 상부 영역과 하부 영역에 간극이 형성된다. 이 간극은 챔버와 연통하는 냉각매체(공기)의 통로로서 이용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전기 장치를 냉각시키는 덕트가 평행사변형과 직사각형의 간극 사이에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기 장치를 냉각시키는 덕트가 평행사변형과 직사각형의 간극 사이에 제공되기 때문에, 냉각 매체(공기)가 덕트를 통해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전달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차량의 측면에서 보았을 때, 직사각형의 윗변 단부가 평행사변형의 윗변의 일측 단부와 접하는 한편, 직사각형의 아랫변 단부가 평행사변형의 아랫변의 타측 단부와 접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의 측면에서 보았을 때 간극이 평행사변형의 케이싱 상부의 일측 단부에서 타측 단부로 점차 커지도록 형성되는 한편, 케이싱 하부의 타측 단부에서 일측 단부로 점차 커지도록 형성된다. 냉각 기류가 배터리 팩의 상부에서 하부로, 또는 배터리 팩의 하부에서 상부로 흐르는 경우, 도관으로 사용되는 간극에서의 도관 단면이 점차 커지기 때문에 압력 손실이 억제되어 충분한 양의 냉각 기류를 하류 측까지 흘려보낼 수 있다.
전기 장치는, 2차 전지, 캐패시터 및 연료 전지 중 하나를 포함하는 것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2차 전지, 캐패시터, 연료 전지 등이 설치되더라도 불필요한 공간이 없고, 스페어 타이어를 지장 없이 싣고 꺼낼 수 있으며, 뒷좌석 탑승자의 발이 방해받지 않는다는 점에서 효과적이다.
전기 장치는 수하물 공간에 탑재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기 장치로서의 배터리 어셈블리가 수하물 공간에 탑재되는 경우에, 배터리 어셈블리보다 차량의 더욱 뒤쪽에 배치되는 스페어 타이어(임시 스페어 휠)를 싣고 꺼내더라도 경사로 인하여 배터리 어셈블리에 의한 지장을 받지 않는다. 배터리 어셈블리가 차량의 후방 측으로 경사진 파티션 패널을 따라 경사지게 탑재될 수 있기 때문에, 배터리 어셈블리는 종래의 직육면체 케이싱과 비교하여 불필요한 공간 없이 차량의 전방 위치에 탑재될 수 있다.
전기 장치는 앞좌석의 아래쪽에 탑재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기 장치로서의 배터리 어셈블리가 앞좌석의 아래쪽에 탑재되는 경우, 경사로 인하여 뒷좌석 탑승자의 발끝 부근에 간극이 형성될 수 있다. 배터리 어셈블리는 뒷좌석 탑승자의 발에 지장을 주지 않는다. 또한, 배터리 어셈블리가 차량의 후방쪽으로 경사진 시트 부착 브라켓을 따라 경사져서 탑재될 수 있기 때문에, 종래의 직육면체 케이싱과 비교하여, 배터리 어셈블리가 불필요한 공간 없이 차량에 탑재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배터리 어셈블리가 탑재된 차량의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실시형태의 배터리 어셈블리가 탑재된 차량의 상면도이다.
도 3은 수하물 공간에 탑재된 배터리 어셈블리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배터리 팩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배터리 팩을 구성하는 배터리 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배터리 어셈블리의 단면도이다.
도 7은 수하물 공간에 탑재된 배터리 어셈블리의 단면도이다.
도 8은 앞좌석의 아래에 탑재된 배터리 어셈블리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도면을 참고하여 이하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에서,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부호가 부여된다. 또한 이들의 명칭 및 기능 역시 동일하다. 그러므로, 이들에 관한 상세한 설명을 반복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전기 장치로서의 배터리 어셈블리에 기초하여 실시예가 설명되더라도, 전기 장치는 배터리 어셈블리 이외의 캐피시터, 연료 전지, PCU 등이어도 무방하다. 또한, 배터리 어셈블리를 구성하는 배터리 팩의 배터리 종류는, 납축전지, 리튬 이온 전지, 및 니켈 금속 수소 전지이어도 무방하고, 특별히 이에 한정되는 것도 아니다. 이하에 서는, 2차 전지(니켈 금속 수소 전지)의 경우를 상정한다.
도 1 및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10)은 뒷좌석(12)의 뒤쪽의 수하물 공간 플로어의 상면 상에 탑재되는 배터리 어셈블리(100A), 또는 앞좌석의 바로 아래쪽의 플로어 시트의 상면 상에 탑재되는 배터리 어셈블리(100B)를 가진다. 배터리 어셈블리(100A, 100B)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모두 장착될 수 있다.
배터리 어셈블리(100A, 100B)는 복수 개의 배터리 모듈로 형성되는 배터리 팩을 수납한다. 각각의 모듈은 복수 개의 배터리 셀로 형성된다. 예를 들면, 6개의 셀이 1개의 모듈을 구성하고, 30개의 모듈이 1개의 배터리 팩을 구성한다.
도 3은, 뒷좌석(12) 뒤쪽의 수하물 공간 플로어의 상면 상에 탑재되는 배터리 어셈블리(100A)의 사시도이다. 배터리 어셈블리(100A)는 수하물 공간 플로어 상의 배터리 어셈블리(100A)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 부재로서의 스테이(stay, 100A1)를 포함한다. 스테이(100A1)를 이용하여, 배터리 어셈블리는 수하물 공간 플로어에 고정될 수 있는 볼트 등에 의하여 체결된다.
배터리 어셈블리(100A)는, 차량의 후면 방향으로 기울어지고 뒷좌석(12)의 뒤쪽에 위치하는 파티션 패널의 기울기를 따라 경사진 차량의 길이 방향 내 전면부를 포함한다. 스페어 타이어의 수납 공간(112)은 배터리 어셈블리(100A)의 뒤쪽에 제공된다.
도 4는, 도 3의 배터리 어셈블리(100A, 100B) 내에 배치되는 배터리 팩을 구성하는 배터리 모듈(130)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배터리 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배터리 팩이 배터리 커버 및 하부 케이스로 형성되는 케이싱 내에 수납되는 구조를 나타낸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차량의 측면에서 보았을 때, 배터리 커버 및 하부 케이스로 형성되는 케이싱의 단면은 실질적으로 평행사변형이다. 복수 개의 배터리 모듈(130)은 차량의 폭 방향으로 적층되어 배터리 팩을 구성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배터리 모듈(130)은 니켈 메탈 수소 전지와 같은 2차 전지를 이용할 수 있다. 배터리 모듈(130)은 소위 블록형 플레이트의 외형을 가진다.
배터리 모듈(130)은 복수 개의 배터리 셀을 포함한다. 특히, 도 5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모듈 외부 부재로서 일체의 블록형 셀(138)과, 블록형 셀(138) 내 각각의 벽에 의해 구획되는 6개의 배터리 셀(140~150)을 포함한다. 단자(128)가 블록형 셀(138)의 단부 면상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다. 블록형 셀(138)의 측면상에는, 배터리 모듈(130) 사이에 냉각 기류 통로로서의 간극을 형성하기 위한 돌기부(152)가 형성된다. 적층되는 배터리 모듈(130)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에서, 인접하는 배터리 모듈(130)의 각각의 돌기부(152) 사이가 접합되거나, 돌기부(152)와 배터리 모듈(130)의 벽 사이가 접합됨으로써, 인접하는 배터리 모듈(130) 사이에 간극이 형성된다. 도 5에서, 배기 단자(126)는 도시되지 않고, 배터리 셀(140~150)을 설명하기 위하여 블록형 셀(138)의 일부가 생략된 채로 도시된다.
배터리 셀(140~150)의 각각은 기본적으로 동일한 구조를 가진다. 대표적으로 제 1 배터리 셀(140)은, 복수 개의 전극 부재 시트가 그 각각의 사이에 세퍼레이터가 끼워진 절연상태로 적층되어 형성되는 층상(layered) 전극 유닛(154)과, 그 층상 전극 유닛(154)을 그 사이에 끼우도록 배치되는 한 쌍의 집전판(156)을 포함한다. 층상 전극 유닛(154)은 전해액에 잠기거나 전해액으로 채워진다.
층상 전극 유닛(154)은, 양극으로서 복수 개의 전극 부재와 음극으로서 복수 개의 전극 부재를 가지고, 이들은 교대로 적층된다. 음극으로서의 전극 부재들의 단부는 모두 집전판(156)에 접속된다. 양극으로서의 전극 부재들의 단부는 모두 다른 집전판(미도시)에 접속된다. 결과적으로, 음극에 대응하는 전극 부재들은 집전판(156)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한편, 양극에 대응하는 전극 부재들은 다른 집전판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배터리 모듈(130) 내 배터리 셀(140~150)은 전기적으로 직렬 접속된다. 예를 들면, 배터리 셀(140~150) 각각의 정격 전압이 1.2V인 경우, 배터리 모듈(130) 전체의 정격 전압은 7.2V가 된다. 배터리 셀(140~150)의 구조는 상술한 바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구조가 사용되어도 무방하다.
배터리 팩의 양측 단부에는 구속판(restrain plate)이 배치된다. 이 구속판은 구속 파이프를 통하여 서로 연결되고 고정된다. 이 구속판은 배터리 모듈(130) 각각이 체결되는 하부 케이스에 고정된다. 배터리 모듈(130)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하부 케이스에 대하여 경사지는 방식으로 고정된다는 점에 유의하여야 한다.
배터리 팩을 구성하는 각각의 배터리 모듈(130)의 측면(단부 면) 상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배터리 모듈(130)에 대하여 전류를 입/출력하기 위한 단자(128)가 형성된다. 배터리 모듈(130)의 단자(128)를 서로 접속시키기 위하여 배터리 팩의 측면에는 버스바(bus bar) 모듈이 배치된다. 버스바 모듈이 각각의 배터리 모듈(130)의 단자(128)에 연결됨으로써, 배터리 모듈(130)은 배터리 팩 내에서 전기 적으로 직렬 접속된다.
배터리 팩의 상부 표면상에는 배터리 모듈(130)로부터 배기되는 수소 가스 등을 한꺼번에 배출하기 위한 안전 밸브가 내장된 배기 단자(126)가 형성된다. 배기 호스는 배기 단자(126) 상에 배치된다. 이 배기 호스는 배기 단자(126)에 접속되어, 배터리 모듈(130)로부터 배기되는 수소 가스 등을 배터리 어셈블리(100A, 100B)의 외부로 배출한다. 배터리 팩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온도 센서 및 하네스(harness)가 배터리 팩의 바닥면에 배치된다. 이 온도 센서의 출력에 따라, 배터리 팩의 온도를 소정 범위로 유지하기 위하여, 냉각 공기가 차량 실내로부터 송풍기(blower fan)를 거쳐 배터리 팩으로 공급된다.
배터리 모듈(130)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공되는 경우, 배터리 모듈(130)에 돌기부(152)가 설치됨으로써, 배터리 모듈(130) 사이의 돌기부(152)로 인하여 배터리 모듈(130) 사이에는 공극(void)이 형성된다. 이 간극을 통하여, 배터리 모듈(130)의 상부측으로부터 하부측으로 냉각 기류가 흐르게 된다.(하강 기류 방식) 배터리 모듈(130)은 이 냉각 공기에 의해 냉각된다.
직육면체 구조를 가지는 소정 개수의 배터리 모듈(130)은, 배터리 어셈블리(100A, 100B)의 배터리 커버 내부에서 차량의 폭 방향으로 적층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어셈블리(100A, 100B)의 단면도이다. 배터리 모듈(130)이, 단자(128)의 돌기부를 제외하고는 실질적으로 직육면체이기 때문에, 배터리 모듈(130)의 단면은 실질적으로 직사각형이다. 배터리 어셈블리(100A, 100B)의 케이싱으로서의 배터리 커버와 하부 케이스는, 실질적으로 평행사변형의 단면을 가진다. 차량의 전방측에서 케이싱의 기울기는, 뒷좌석 뒤쪽에 제공되는 파티션 패널의 기울기를 따라 설정된다.
케이싱이 실질적으로 평행사변형의 단면을 가지고, 배터리 모듈(130)이 실질적으로 직사각형의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간극이 차량의 전방 측과 후방 측에 형성된다. 수지로 형성되는 제 1 챔버(102)(차량의 전방 측)와 제 2 챔버(104)(차량의 후방 측)가 그 간극들 내에 설치된다. 제 1 및 제 2 챔버(102, 104)는 도면의 지면을 관통하는 방향으로 공동(hollow)이어서, 도면의 지면을 관통하는 방향으로 공기를 흐르게 한다. 제 2 챔버(104)로 흐르는 공기는 냉각 팬 등에 의해 배터리 모듈(130)의 상부에 공급되어, 하강 기류 방식으로 배터리 모듈(130) 사이의 간극을 통하여 배터리 모듈(130)의 하부로부터 제 1 챔버(102)에 도입되고 난 후, 차량의 실내 또는 외부로 배출된다. 이러한 흐름은 단순히 일 예에 불과하고, 반대의 흐름이어도 무방하다.
실질적으로 직사각형의 단면을 가지는 배터리 모듈(130)은, 실질적으로 평행사변형의 단면을 가지는 케이싱 내에 경사지는 방식으로 고정된다. 따라서, 각각의 간극들이 케이싱 내 배터리 모듈(130)의 상, 하부에 형성된다. 이러한 간극들은 냉각 공기의 통로로서 기능한다. 도 6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배터리 어셈블리(100A, 100B) 및 배터리 모듈(130)은, 배터리 모듈(130)이 경사지도록 배치된다. 특히, 배터리 모듈(130)의 양 단부(차량의 전방 측 단부 및 차량의 후방 측 단부)는 배터리 어셈블리(100A, 100B)의 상면 및 하면의 내벽과 접하도록 되어 있다. 도 6의 예에서, 배터리 모듈(130)의 상면 단부는 차량의 앞쪽 위치에서 배터리 어 셈블리(100A, 100B)의 상면의 내벽과 접하도록 형성되는 한편, 배터리 모듈(130)의 하면 단부는 차량의 뒤쪽 위치에서 배터리 어셈블리(100A, 100B)의 하면의 내벽과 접하도록 형성된다. 그 반대의 구조이어도 무방하다.
배터리 모듈(130)은, 상술한 바와 같이 경사지고 접한 상태로 배터리 어셈블리(100A, 100B) 내에 수납된다. 도 6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차량의 측면에서 보았을 때, 차량의 전방 측에서 후방 측으로 점차 커지는 간극이 배터리 어셈블리(100A, 100B)의 상부 영역에 형성되는 한편, 차량의 후방 측에서 전방 측으로 점차 커지는 간극이 배터리 어셈블리(100A, 100B)의 하부 영역에 형성된다. 배터리 어셈블리(100A, 100B)의 상부 영역 또는 하부 영역에서, 배터리 팩 내 아래쪽으로 또는 위쪽으로 냉각 기류를 흐르게 하는 도관으로 사용되는 간극에 있어, 도관의 단면적은 점차 커진다. 냉각 기류가 도 6의 화살표 방향으로 흐를 경우, 도관의 상류측에서 그 작은 단면적에 의해 높은 공기압이 실현 가능하여, 배터리 모듈(130)은 높은 효율로 냉각이 가능해진다. 도관의 단면적이 커지는 하류측에서는, 압력 손실이 억제되어 하류측에서도 충분한 냉각 공기를 확보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단자(128)는 수지로 형성되는 제 1 챔버(102) 또는 제 2 챔버(104)에 접합되거나 근접하여 위치한다. 설령, 차량의 충돌에 의해 차량의 길이방향으로 응력이 발생하더라도, 단자(128)는 수지 챔버에 의해 보호된다. 예를 들면, 배터리 모듈(130)에 발생되는 응력은 챔버가 변형됨으로써 흡수된다. 따라서, 단자(128)의 변형 또는 케이싱과의 접촉으로 인한 단락(short-circuiting)은 발생하지 않는다.
도 7은, 수하물 공간에 탑재되는 배터리 어셈블리(100A)의 측면도이다. 차량의 앞쪽 위치에서의 배터리 어셈블리(100A, 100B)의 경사는, 파티션 패널(14)의 경사에 대응된다. 따라서, 배터리 어셈블리(100A)가 직육면체의 구조를 가지는 경우에 비하여, 배터리 어셈블리(100A)는 차량의 더욱 앞쪽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배터리 어셈블리(100A)는 후방측에서의 배터리 어셈블리(100A)의 기울기로 인하여, 스페어 타이어 수납 공간(112)으로부터 스페어 타이어(100)(임시 스페어 휠이어도 무방)를 꺼낼 때 지장을 주지 않는다. 따라서, 배터리 어셈블리(100A)가 직육면체의 구조를 가지는 경우에 비하여, 스페어 타이어는 배터리 어셈블리(100A)의 지장을 받지 않고 꺼낼 수 있다.
도 8은 앞좌석의 아래에 탑재되는 배터리 어셈블리(100B)의 측면도이다 탑승자가 뒷좌석에 승차하는 경우, 차량의 후방측에서의 배터리 어셈블리(100B)의 기울기로 인하여 탑승자의 발끝 부근에 공간이 생긴다. 따라서, 뒷좌석 탑승자는 배터리 어셈블리(100B)의 기울기로 인하여 자신의 발을 더욱 편안히 둘 수 있다. 그러므로, 배터리 어셈블리(100B)가 직육면체 구조를 가지는 경우에 비하여, 배터리 어셈블리(100B)는 뒷좌석 탑승자에게 지장을 주지 않는다.
설령 직육면체의 구조를 가지는 배터리 팩이더라도, 평행사변형의 단면을 가지는 케이싱에 대하여 경사지게 수납하도록 케이싱을 사용함으로써, 차량의 전방 측 및 후방측 공간에 수지 챔버가 제공되는 한편, 케이싱의 상부 영역 및 하부 영역에서 냉각 공기의 통로가 제공된다. 이로 인해, 배터리 어셈블리가 뒷좌석의 뒤쪽 수하물 공간 내에 탑재되는 경우, 종래의 케이스에 비하여 배터리 어셈블리가 차량의 더욱 앞쪽에 탑재될 수 있고, 케이싱의 전방 측 기울기로 인하여 스페어 타이어를 꺼내는 데 지장을 주지 않는다. 배터리 어셈블리가 앞좌석의 아래에 탑재되는 경우, 차량의 후방 측에서의 케이싱의 기울기로 인하여 뒷좌석 탑승자는 더 넓은 공간에 자신의 발을 더욱 편안히 둘 수 있다.
비록 본 발명이 상세히 설명되고 도시되었더라도, 이는 도시 및 예시에 불과한 것이고, 첨부되는 청구의 범위에 의해서만 제한되는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이 아님에 유의하여야 한다.

Claims (14)

  1. 차량(10)에 탑재되는 전기 장치의 탑재 구조에 있어서,
    상기 전기 장치(100A,100B) 자체를 수납하기 위해 6개 이상의 면을 가지는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의 바닥면을 상기 차량(10)의 플로어 패널 상에 유지하는 유지부(100A1)를 가지고,
    상기 전기 장치(100A,100B) 자체는 직육면체의 구조를 가지고,
    상기 케이싱은, 상기 차량(10)의 길이 방향의 뒤쪽에서, 상기 케이싱의 상면 측이 바닥면 측보다 차량(10)의 후방으로 더 길게 연장되는 구조를 가지고, 상기 차량(10)의 길이 방향의 앞쪽에서, 상기 케이싱의 바닥면 측이 상면 측보다 상기 차량(10)의 전방으로 더욱 연장되는 구조를 가지며,
    상기 차량의 측면에서 보았을 때, 상기 케이싱의 단면은, 수평한 밑변을 가지는 평행사변형이고,
    상기 전기 장치(100A,100B)는, 상기 케이싱의 바닥면이 상기 전기 장치(100A,100B) 자체의 바닥면과 평행하지 않도록 상기 케이싱 내에 수납되고,
    상기 케이싱의 바닥면과 상기 전기 장치(100A,100B) 자체의 상기 바닥면이 평행하지 않음으로써, 상기 평행사변형의 윗변 및 밑변과 상기 전기 장치(100A,100B) 자체와의 사이에, 상기 전기 장치(100A,100B)의 냉각공기가 흐르는 간극이 형성되고, 상기 평행사변형의 한 쌍의 측변과 상기 전기 장치(100A,100B) 자체와의 사이에, 상기 전기 장치(100A,100B)를 냉각하기 위한 덕트(102,104)가 설치되는 간극이 형성되고,
    상기 전기 장치(100A,100B)는 전류의 입출력을 행하기 위한 단자를 가지고, 상기 단자가 상기 덕트(102,104)에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장치의 탑재구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덕트(102,104)는 수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장치의 탑재 구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10)의 측면에서 보았을 때, 상기 전기 장치(100A,100B)는,
    상기 전기 장치(100A,100B) 자체의 상면 단부가 상기 케이싱 상면의 일측 단부와 접하고,
    상기 전기 장치(100A,100B) 자체의 바닥면 단부가 상기 케이싱 바닥면의 상기 일측 단부와는 다른 타측 단부와 접하도록 상기 케이싱 내에 수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장치의 탑재 구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10)의 측면에서 보았을 때, 상기 전기 장치(100A,100B) 자체가 직사각형의 단면을 가지고, 상기 평행사변형의 밑변이 상기 직사각형의 밑변과 평행하지 않도록 상기 전기 장치(100A,100B)는 상기 케이싱 내에 수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장치의 탑재 구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장치(100A,100B)를 냉각하기 위한 덕트(102,104)가 상기 평행사변형 및 상기 직사각형 사이의 간극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장치의 탑재 구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덕트는 수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장치의 탑재 구조.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10)의 측면에서 보았을 때, 상기 전기 장치(100A,100B)는,
    상기 직사각형의 윗변의 단부가 상기 평행사변형의 윗변의 일측 단부와 접하 고,
    상기 직사각형의 밑변의 단부가 상기 평행사변형의 밑변의, 상기 일측 단부와는 다른 타측 단부와 접하도록 상기 케이싱 내에 수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장치의 탑재 구조.
  12. 제 1 항, 제 6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장치(100A,100B)는 2차 전지, 캐패시터, 및 연료전지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장치의 탑재 구조.
  13. 제 1 항, 제 6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장치(100A)는 수하물 공간에 탑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장치의 탑재 구조.
  14. 제 1 항, 제 6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장치(100B)는 앞좌석(11) 아래쪽에 탑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장치의 탑재 구조.
KR1020077006791A 2004-08-27 2005-04-28 전기 장치의 탑재 구조 KR10087214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248325 2004-08-27
JP2004248325A JP4576931B2 (ja) 2004-08-27 2004-08-27 電気機器の搭載構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7361A KR20070047361A (ko) 2007-05-04
KR100872147B1 true KR100872147B1 (ko) 2008-12-08

Family

ID=349668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06791A KR100872147B1 (ko) 2004-08-27 2005-04-28 전기 장치의 탑재 구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631712B2 (ko)
JP (1) JP4576931B2 (ko)
KR (1) KR100872147B1 (ko)
CN (1) CN100580977C (ko)
DE (1) DE112005001860B4 (ko)
WO (1) WO200602205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74165B2 (ja) * 2005-10-06 2009-06-03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搭載機器の冷却装置
JP4305456B2 (ja) * 2006-02-23 2009-07-2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電気機器の搭載構造および電動車両
KR100948003B1 (ko) * 2006-02-27 2010-03-18 주식회사 엘지화학 우수한 냉각 효율성의 중대형 전지팩
JP2007237779A (ja) * 2006-03-06 2007-09-20 Toyota Motor Corp 電源パックの搭載構造
DE102006011537B4 (de) 2006-03-14 2020-07-02 Volkswagen Ag Energiespeicher für ein Kraftfahrzeug mit Hybridantrieb
JP4784356B2 (ja) * 2006-03-20 2011-10-05 株式会社デンソー 2電源方式の車両用電源装置
DE102006039106A1 (de) * 2006-08-19 2008-02-21 Daimler Ag Vorrichtung zum Antreiben eines Brennstoffzellen-Fahrzeuges
JP5173182B2 (ja) * 2006-11-13 2013-03-2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蓄電装置ユニット
JP5082413B2 (ja) * 2006-12-05 2012-11-2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移動体
JP5082454B2 (ja) 2007-01-16 2012-11-2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燃料電池モジュール
JP4858203B2 (ja) * 2007-02-07 2012-01-1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自動車
US7861812B2 (en) * 2007-03-23 2011-01-04 Honda Motor Co., Ltd. Vehicle
JP5040428B2 (ja) * 2007-05-11 2012-10-03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燃料電池搭載車両
JP2008279955A (ja) * 2007-05-11 2008-11-20 Toyota Motor Corp 燃料電池搭載車両
JP5029263B2 (ja) * 2007-09-28 2012-09-19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電気自動車
DE102008020762A1 (de) * 2008-04-18 2009-10-22 Heliocentris Energiesysteme Gmbh Brennstoffzellensystem
JP4577413B2 (ja) * 2008-06-20 2010-11-1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
GB2464274A (en) * 2008-10-07 2010-04-14 Intelligent Energy Ltd Fuel Cell Assembly
US7748775B2 (en) * 2008-10-09 2010-07-06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Inc. Adjustable rear load floor for a hybrid vehicle
JP5331450B2 (ja) * 2008-11-07 2013-10-30 株式会社日立製作所 蓄電モジュール、蓄電装置、電動機駆動システムおよび車両
CN101544179B (zh) * 2009-05-12 2012-08-22 奇瑞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电动车用电池/电池组的安装结构
CN102449831B (zh) * 2009-06-03 2015-05-13 丰田自动车株式会社 燃料电池系统
JP2010284984A (ja) * 2009-06-09 2010-12-24 Fuji Heavy Ind Ltd 車両用バッテリ搭載構造
DE102009031779A1 (de) * 2009-07-06 2011-01-13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Inc., Detroit Bodenstruktur für ein Kraftfahrzeug
JP5461557B2 (ja) * 2009-07-27 2014-04-02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の電装部品搭載構造
DE112011101769T5 (de) 2010-05-26 2013-03-28 Suzuki Motor Corporation Einbaustruktur für eine Ladevorrichtung im hinteren Fahrzeugkörper
JP5071538B2 (ja) * 2010-09-03 2012-11-1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電池搭載構造
JP5639835B2 (ja) * 2010-09-30 2014-12-10 株式会社リチウムエナジージャパン 電池パック及びこれを備えた電動車
KR101850280B1 (ko) 2010-12-07 2018-05-31 알리손 트랜스미션, 인크. 하이브리드 전기 자동차를 위한 에너지 저장 시스템
CN102166941A (zh) * 2011-03-07 2011-08-31 重庆长安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四人座电动汽车动力电池总成的布置结构
US20120308868A1 (en) * 2011-05-31 2012-12-06 Delphi Tecnologies, Inc. Battery arrangement
JP5500319B2 (ja) * 2011-08-30 2014-05-2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
US9849792B2 (en) * 2012-04-20 2017-12-26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Vehicle
CN102700391A (zh) * 2012-06-07 2012-10-03 钱登峰 一种可以节省空间的电动车
US9300017B2 (en) * 2012-08-03 2016-03-29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Detecting blockage of air flow through vehicle traction battery
JP6155645B2 (ja) * 2013-01-09 2017-07-05 スズキ株式会社 車両用バッテリパック支持構造
KR101764841B1 (ko) * 2013-02-13 2017-08-04 주식회사 엘지화학 경사 구조의 전극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셀
EP2969640B1 (en) 2013-03-15 2019-09-04 Allison Transmission, Inc. System and method for balancing states of charge of energy storage modules in hybrid vehicles
AU2014238202B2 (en) 2013-03-15 2016-02-25 Allison Transmission, Inc. Service disconnect interlock system and method for hybrid vehicles
JP6183221B2 (ja) * 2014-01-14 2017-08-23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インバータの車載構造
TWI492437B (zh) * 2014-04-08 2015-07-11 Go Tech Energy Co Ltd 用於電池單元間平均分佈溫度的系統
JP6166223B2 (ja) * 2014-05-29 2017-07-19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燃料電池搭載車両
DE102015000580B4 (de) * 2015-01-16 2021-03-18 Audi Ag Elektrischer Energiespeicher und Kraftfahrzeug
JP6135694B2 (ja) * 2015-02-20 2017-05-3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載電池
DE102015214184B4 (de) * 2015-07-27 2017-03-30 Audi Ag Batteriemodul für ein Kraftfahrzeug und Kraftfahrzeug
DE102015214181B4 (de) * 2015-07-27 2020-02-13 Audi Ag Batteriemodul für ein Kraftfahrzeug, Modulanordnung und Kraftfahrzeug
DE102015214185B4 (de) * 2015-07-27 2017-03-30 Audi Ag Batteriemodul für ein Kraftfahrzeug, Modulanordnung und Kraftfahrzeug
US10391864B2 (en) * 2017-02-08 2019-08-27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System to balance high voltage battery for vehicle
US10434894B2 (en) * 2018-01-23 2019-10-08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Vehicle battery pack assembly
CN108695452B (zh) * 2018-05-18 2020-11-27 浙江杰斯特电器有限公司 一种蓄电池装置
JP7045344B2 (ja) * 2019-03-28 2022-03-31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燃料電池システム及び燃料電池車両
JP7221840B2 (ja) * 2019-10-15 2023-02-1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電動車両
JP7264070B2 (ja) * 2020-01-20 2023-04-2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蓄電装置の搭載構造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73709A (ja) * 2001-06-15 2002-12-26 Denso Corp バッテリ冷却構造
JP2004136767A (ja) * 2002-10-17 2004-05-13 Denso Corp 車両用バッテリの冷却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6797Y2 (ko) * 1987-05-29 1993-07-07
JP3044975B2 (ja) * 1992-12-10 2000-05-2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電気自動車のバッテリ加温装置
US5704644A (en) * 1993-02-27 1998-01-06 Esoro Ag Lightweight road vehicle with strengthening structure
DE19534427B4 (de) * 1994-09-23 2007-11-08 Volkswagen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Klimatisierung einer Batterie, insbesondere eines Elektrofahrzeuges
JPH09277978A (ja) * 1996-04-12 1997-10-2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気自転車
JP3622020B2 (ja) 1996-07-31 2005-02-23 ヤマハ発動機株式会社 電動自転車のバッテリボックス脱着構造
DE19828252C2 (de) * 1998-06-25 2003-12-24 Deutsche Automobilgesellsch Batteriekasten
JP2000040535A (ja) * 1998-07-21 2000-02-08 Honda Motor Co Ltd 電気自動車の冷却構造
JP4432168B2 (ja) * 1998-11-30 2010-03-17 ソニー株式会社 移動体搭載用バッテリ装置
JP2000247278A (ja) 1999-02-24 2000-09-12 Yamaha Motor Co Ltd 電動自転車のバッテリボックス取付構造
JP2000294302A (ja) * 1999-04-08 2000-10-20 Japan Storage Battery Co Ltd 蓄電池ユニット
JP2001167806A (ja) * 1999-12-09 2001-06-22 Toyota Motor Corp 車載電池パック
DE10064648C2 (de) * 1999-12-28 2003-09-18 Honda Motor Co Ltd Batterieeinheit
JP3681051B2 (ja) * 1999-12-28 2005-08-10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蓄電素子装置
JP4080132B2 (ja) * 2000-03-15 2008-04-23 新神戸電機株式会社 組電池
JP2001283940A (ja) * 2000-04-04 2001-10-12 Japan Storage Battery Co Ltd 組電池
JP3777981B2 (ja) * 2000-04-13 2006-05-2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電源装置
JP2001294048A (ja) * 2000-04-13 2001-10-23 Toyota Motor Corp 車両用電源装置
JP4665289B2 (ja) * 2000-05-12 2011-04-06 株式会社Gsユアサ 組電池
US6631775B1 (en) * 2000-07-06 2003-10-14 George T. Chaney Electric vehicle chassis with removable battery module and a method for battery module replacement
US6264260B1 (en) * 2000-07-25 2001-07-24 Daimlerchrysler Corporation Passive restraint and interlock system for interior mounted removable vehicular components
CN1268507C (zh) 2000-09-14 2006-08-09 本田技研工业株式会社 电动辅助自行车及其蓄电池收容装置、蓄电池箱
JP4114478B2 (ja) 2002-04-12 2008-07-0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自動車用電池の冷却構造、自動車用電池システムおよび自動車
JP4029651B2 (ja) 2002-04-17 2008-01-0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バッテリの冷却構造
JP4242665B2 (ja) 2002-05-13 2009-03-25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組電池の冷却装置及び二次電池
JP4243334B2 (ja) * 2002-06-11 2009-03-25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組電池
JP2004026008A (ja) * 2002-06-25 2004-01-29 Honda Motor Co Ltd 燃料電池電気自動車
JP3880901B2 (ja) * 2002-07-24 2007-02-14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高圧電装部品の車両搭載構造
US6902020B2 (en) * 2002-07-29 2005-06-07 Daimlerchrysler Corporation Interior vehicle battery system and method
JP2004071394A (ja) * 2002-08-07 2004-03-04 Honda Motor Co Ltd バッテリ式電源装置
JP3784758B2 (ja) * 2002-09-09 2006-06-14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バッテリ式電源装置
JP4078998B2 (ja) * 2003-02-04 2008-04-23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バッテリ搭載構造
JP2004237794A (ja) * 2003-02-04 2004-08-26 Toyota Motor Corp 車両用バッテリ搭載構造
US7070015B2 (en) 2003-05-12 2006-07-04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Battery mounting system for automotive vehicle
US7051825B2 (en) * 2003-05-21 2006-05-30 Honda Motor Co., Ltd. Structure for installing high-voltage equipment component to vehicle
JP4519516B2 (ja) * 2003-07-15 2010-08-04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用電装ユニットの加温冷却装置およびハイブリッド車両
JP4675555B2 (ja) * 2003-07-18 2011-04-27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バッテリー式電源装置
US7353900B2 (en) * 2004-09-21 2008-04-08 Nissan Motor Co., Ltd. Battery cooling system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73709A (ja) * 2001-06-15 2002-12-26 Denso Corp バッテリ冷却構造
JP2004136767A (ja) * 2002-10-17 2004-05-13 Denso Corp 車両用バッテリの冷却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6062548A (ja) 2006-03-09
DE112005001860B4 (de) 2012-08-02
US7631712B2 (en) 2009-12-15
DE112005001860T5 (de) 2007-07-12
US20080274397A1 (en) 2008-11-06
CN100580977C (zh) 2010-01-13
JP4576931B2 (ja) 2010-11-10
CN101010814A (zh) 2007-08-01
KR20070047361A (ko) 2007-05-04
WO2006022050A1 (en) 2006-03-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72147B1 (ko) 전기 장치의 탑재 구조
KR102537589B1 (ko) 일체형 냉매 회로 부재를 갖는 프레임 프로파일을 포함한 전지 팩
EP2565960B1 (en) Battery pack
EP2612382B1 (en) Electricity storage device and vehicle
JP5492995B2 (ja) 新規な冷却構造を有しているバッテリパック
US6613472B1 (en) Battery cooling structure
KR101141057B1 (ko) 중대형 전지팩
US11139521B2 (en) Battery submodule carrier, battery submodule, battery system and vehicle
KR20190026682A (ko) 전지 서브 모듈 캐리어, 전지 서브 모듈, 전지 시스템 및 자동차
CN108701790B (zh) 电池系统及具备电池系统的电动车辆
US20220314772A1 (en) Underbody for vehicle
US20070087266A1 (en) Modular battery system
KR20130091040A (ko) 신규한 공냉식 구조의 전지팩
CN114342156B (zh) 具有有效的冷却路径结构和提高的稳定性的电池组和包括该电池组的车辆
US11456496B2 (en) Battery pack for a vehicle
JP4321006B2 (ja) 電池システムおよび冷却構造
EP3637537B1 (en) Bypass tube for a cooling circuit of a vehicle battery pack
JP6341828B2 (ja) 蓄電モジュールを組み合わせた蓄電装置
US20240178483A1 (en) Power Storage Device and Vehicle
US20230135353A1 (en) Battery system and vehicle including the battery system
JP2013119338A (ja) 車両
KR20230122559A (ko) 전지 팩, 차량 및 전지 팩 조립 방법
CN116805735A (zh) 具有电芯-电池包电池系统的牵引电池包的多层外壳结构
CN115986292A (zh) 用于电动车辆的电池单元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1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3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03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