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71745B1 - 리클라이닝 장치 - Google Patents

리클라이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71745B1
KR100871745B1 KR1020077008668A KR20077008668A KR100871745B1 KR 100871745 B1 KR100871745 B1 KR 100871745B1 KR 1020077008668 A KR1020077008668 A KR 1020077008668A KR 20077008668 A KR20077008668 A KR 20077008668A KR 100871745 B1 KR100871745 B1 KR 1008717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
pawl
plane
operation shaft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086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69167A (ko
Inventor
히데히꼬 후지까
히로시 다까야나기
오사무 나가노
히로유끼 스즈씨
Original Assignee
시로끼 고오교오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4316071A external-priority patent/JP4777635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5113717A external-priority patent/JP4763330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5113716A external-priority patent/JP4824938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5117156A external-priority patent/JP4824939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5149174A external-priority patent/JP4824945B2/ja
Application filed by 시로끼 고오교오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시로끼 고오교오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691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691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17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17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 B60N2/235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by gear-pawl type mechanisms
    • B60N2/235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by gear-pawl type mechanisms with internal pawls
    • B60N2/23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by gear-pawl type mechanisms with internal pawls linearly movabl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02Reclining or easy chairs
    • A47C1/022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independently-adjustable supporting parts
    • A47C1/024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independently-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the back-rest, or the back-rest and seat unit, having adjustable and lockable inclination
    • A47C1/025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independently-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the back-rest, or the back-rest and seat unit, having adjustable and lockable inclination by means of a rack-and-pinion or like gearing mechanis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tiltable, e.g. to permit easy acce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airs For Special Purposes, Such As Reclining Chairs (AREA)

Abstract

차량용 시트의, 등을 기대는 의자의 각도 조정을 행하는 리클라이닝 장치에 관한 것이다. 베이스 플레이트에 대해서 래칫 플레이트가 회전 가능하게 겹쳐지고, 그 회전 중심축상에는 조작 샤프트가 회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래칫 플레이트의 베이스 플레이트와의 대향면에는, 조작 샤프트를 중심으로 하는 원형상의 오목부가 형성되며, 오목부의 내주 벽면에 내측톱니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오목부에는 내측톱니에 톱니 끝원의 반경방향으로부터 결합 및 해제 가능한 외측톱니를 전단면측에 가지는 폴이 배치되어 있다. 한편, 베이스 플레이트에는 폴을 반경방향으로 미끄럼 이동 안내하는 가이드 돌기가 설치되고, 폴의 후단면측의 공간에는 조작 샤프트와 함께 회동하는 캠이 배치되어 있다. 폴 및 캠과 래칫 플레이트와의 사이에는, 캠과 함께 회전하도록 릴리스 플레이트가 배치되고, 이 릴리스 플레이트의 회전단부에는 폴의 캠 홈에 결합하는 돌기가 설치되고, 내측톱니와 외측톱니의 맞물림을 해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Description

리클라이닝 장치{RECLINING DEVICE}
본 발명은 차량용 시트의, 등을 기대는 의자의 각도 조정을 행하는 리클라이닝 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베이스 플레이트에 대해서 래칫 플레이트가 회전 가능하게 겹쳐지고, 그 회전 중심축상에는 조작 샤프트가 배치되고, 래칫 플레이트와 베이스 플레이트와의 사이에 양(兩) 자의 상대 회전 위치를 원하는 각도로 조정할 수 있는 기구를 구비한 리클라이닝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 리클라이닝 장치로서, 예를 들면, 도 1 ~ 도 3에 도시하는 구성의 것이 있다. 이들 도에 있어서, 베이스 플레이트(1)는 시트 쿠션측의 로어암에 고정되고, 래칫 플레이트(5)는 시트 백측의 어퍼암에 고정된다.
래칫 플레이트(5)는 베이스 플레이트(1)에 대해서 회전 가능하게 겹쳐지고, 그 회전 중심축상에는 베이스 플레이트(1) 및 래칫 플레이트(5)로, 조작 샤프트(3)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래칫 플레이트(5)의 베이스 플레이트(1)와의 대향면에는 조작 샤프트(3)를 중심으로 하는 원형상의 오목부(凹部)가 형성되고 이 오목부의 내주 벽면에는 내측톱니(內齒, 7)가 형성되어 있다.
더욱이 래칫 플레이트(5)의 상기 오목부에는 내측톱니(7)에 톱니 끝원의 반경방향으로부터 결합 및 해제 가능한 외측톱니(外齒, 9)를 전단면측에 가지는 폴(pole, 11)이 배치되어 있다. 한편, 베이스 플레이트(1)에는 폴(11)을 반경방향으로 미끄럼 이동 안내하는 가이드 돌기(13, 13')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조작 샤프트(3)에는 캠(15)이 조작 샤프트와 일체로 되어 회전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캠(15)은 폴(11)의 후단면측의 공간에 배치되고, 폴(11)의 배부(背 部背)를 눌러서 폴(11)의 외측톱니(9)를 래칫 플레이트(5)의 내측톱니(7)에 맞물리게 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 캠(15)에는 내단부가 베이스 플레이트(1)에 결합유지된 스파이럴 스프링(17)의 외단부가 결합되어 있다. 이에 따라, 캠(15)은 폴(11)의 외측톱니(9)가 래칫 플레이트(5)의 내측톱니(7)에 맞물리는 방향(록크방향)으로 가압(urging)되어 있다.
원판형상의 릴리스(release) 플레이트(21)는 캠(15)과 함께 조작 샤프트(3)의 타원형(小判形) 단면 부분이 끼워 통해져 있다. 그리고 릴리스 플레이트(21)는 캠(15), 폴(11), 가이드 돌기(13, 13')의 편면에 접촉하도록 겹쳐져 있다. 그리고, 캠(15)에는 릴리스 플레이트(21)의 홀(穴, 21a)에 끼워 맞춤이 가능한 볼록부(凸部, 15a)가 형성되고, 릴리스 플레이트(21)와 캠(15)이 일체적으로 되어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폴(11)의 래칫 플레이트(5)측의 면에는 릴리스 플레이트(21)에 형성된 캠 홈(21b)에 결합하는 돌기(11a)가 형성되어 있다. 이 캠 홈(21b)의 형상은 릴리스 플레이트가 도 1에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폴(11)의 외측톱니(9)가 래칫 플레이트(5)의 내측톱니(7)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폴(11)을 이동시키는 형상으로 설정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참조).
또한, 다른 리클라이닝 장치로서, 릴리스 플레이트를 이용하지 않고 폴의 외측톱니를 래칫 플레이트의 내측톱니로부터 떨어지게 하는 기구로서, 도 4에 도시하는 기구도 있다. 이 도면에 있어서도, 폴(33)은 베이스 플레이트(41)와 래칫 플레이트(37)와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이 폴(33)은 베이스 플레이트(41)에 형성된 가이드 돌기(45, 45')에 의해 폴(33)의 외측톱니(35)가 래칫 플레이트(37)의 내측톱니(39)에 맞물리거나 분리되도록 반경방향으로 안내되어 있다.
이 종래 장치에 있어서, 폴(33)의 배부에는 홈부(33a)가 형성되고, 캠(31)에는 폴(33)의 홈부(33a)에 결합 가능한 암부(31a)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언록크(unlock)를 행할 때에는 도4에 있어서 캠(31)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에 따라, 폴(33)의 외측톱니(35)가 래칫 플레이트(37)의 내측톱니(39)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한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2 참조).
특허 문헌 1 : 일본국 특허 공개 2001-87071호 공보
특허 문헌 2 : 일본국 특허 공개 2001-87069호 공보
특허 문헌 3 : 일본국 특허 공개 2004-105637호 공보
특허 문헌 4 : 일본국 특허 제3115231호 공보
특허 문헌 5 : 일본국 특허 공개 2002-34695호 공보
특허 문헌 6 : 일본국 특허 공개 2003-180478호 공보
도 1 ~ 도 3에 도시하는 리클라이닝 장치나 도 4에 도시하는 리클라이닝 장치에는 이하와 같은 문제점이 있다.
(1) 도 1 ~ 도 3에 도시하는 리클라이닝 장치
래칫 플레이트(5)의 내측톱니(7)로부터 폴(11)의 외측톱니(9)에 양 자의 맞물림 개소 K(도 2 참조)를 통하여 작용하는 힘은 폴(11)의 판두께방향의 중앙부분에 작용한다. 이것에 대해서, 릴리스 플레이트(21)의 캠 홈(21b)의 측벽면으로부터 폴(11)의 돌기(11a)에 양 자의 접촉 개소 S(도 2 참조)를 통하여 작용하는 힘은 폴(11)의 표면으로부터 판두께방향{조작 샤프트(3)의 축방향)에 어긋난 위치에 작용한다.
따라서, 릴리스 플레이트(21)를 회전시키고, 폴(11)의 외측톱니(9)를 래칫 플레이트(5)의 내측톱니(7)로부터 떨어지는 언록크 조작을 행하는 경우, 폴(11)을 판두께방향으로 경사시키는 방향 M(도 2 참조)의 모멘트가 발생하고, 언록크 조작 필링이 양호하지 않다.
(2) 도 4에 도시하는 리클라이닝 장치
캠(31)의 암부(31a)로부터 폴(33)의 홈부(33a)에 작용하는 힘은 폴(33)의 판두께방향의 중앙 부분에 작용하기 때문에, 상기의 방향 M의 모멘트는 발생하지 않는다.
그런데, 이 종류의 리클라이닝 장치의 가이드 돌기(45, 45')는 폴(33)을 미끄럼 이동 안내할 뿐만 아니라, 차량의 충돌시 등에 래칫 플레이트에 회전 부하가 걸렸을 때에 폴(33)의 외측톱니(35)와 래칫 플레이트(37)의 내측톱니(39)와의 맞물림이 해제되지 않도록 폴(33)을 강고하게 유지하는 부위이기도 하다. 따라서, 가이드 돌기(45, 45')는 소정의 강도를 요구된다.
그러나, 도 4에 도시하는 구성에서는 가이드 돌기(45, 45') 중, 가이드 돌기(45')가 캠(31)의 암부(31a)와의 간섭을 막기 위하여, 가이드 돌기(45)보다 작게 되어 있고, 가이드 돌기(45')의 소정의 강도를 확보하는 것이 어렵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에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과제는 언록크 조작 필링이 양호하며, 가이드 돌기의 강도도 확보할 수 있는 리클라이닝 장치를 실현하는 데에 있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상기 과제를 해결하는 제1양태에 관한 발명은 베이스 플레이트와 이 베이스 플레이트에 대해서 회전 가능하게 겹쳐진 래칫 플레이트와, 이 래칫 플레이트의 회전 중심축상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 조작 샤프트와, 상기 래칫 플레이트의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의 대향면에, 상기 조작 샤프트를 중심에 원형상으로 형성된 오목부와, 이 오목부의 내주 벽면에 형성된 내측톱니와, 상기 오목부에 배치되고, 전단면측에는 상기 내측톱니에 톱니 끝원의 반경방향으로부터 결합 및 해제 가능한 외측톱니가 형성된 폴과,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설치되고, 상기 폴을 상기 반경방향으로 미끄럼 이동 안내하는 가이드 돌기와, 상기 폴의 후단면측의 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조작 샤프트와 함께 회전하여 상기 폴의 후단면을 가압 가능한 캠과, 상기 폴의 외측톱니가 상기 래칫 플레이트의 내측톱니에 맞물리는 방향으로, 상기 캠을 가압하는 가압수단과, 적어도 상기 래칫 플레이트측에 개구하도록, 상기 폴에 형성된 캠 홈과, 상기 폴 및 상기 캠과 상기 래칫 플레이트와의 사이에, 상기 캠과 함께 회전하도록 배치되고, 그 회전단부에는, 상기 캠 홈에 결합하는 돌기가 설치된 릴리스 플레이트로, 상기 가압수단의 가압력에 대항하여 상기 조작 샤프트를 회전시키면, 상기 캠 홈과 이 돌기와의 상호 작용에 따라, 상기 폴을 상기 캠의 회전 중심측에 강제적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폴의 외측톱니를 상기 래칫 플레이트의 내측톱니로부터 이탈시키는 릴리스 플레이트를 구비한 리클라이닝 장치이다.
이 발명에 있어서는 릴리스 플레이트의 돌기로부터 폴의 캠 홈에 양 자의 접촉 개소를 통하여 작용하는 힘은 폴의 판두께방향의 중앙부에 작용한다. 그래서, 릴리스 플레이트를 회전시키고, 폴의 외측톱니를 래칫 플레이트의 내측톱니로부터 떨어지는 언록크 조작을 행하는 경우, 폴을 판두께방향으로 경사시키는 방향의 모멘트는 발생하지 않는다.
제2양태에 관한 발명은 제1양태에 기재한 리클라이닝 장치에 있어서, 상기 폴에 폭방향으로 배설된 외측톱니 중, 중앙부에 배설된 외측톱니가, 양(兩) 단부에 배설된 외측톱니의 치형에 비하여 톱니두께가 얇아지도록 형성된 치형(음의 전위(-전위)로 형성된 치형)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 발명에 있어서는 폴에 폭방향(피치원방향)의 중앙부에 배설된 외측톱니는 양 단부에 배설된 외측톱니의 치형에 비하여 톱니두께가 얇아지도록 형성된 치형(음의 전위(-전위)로 형성된 치형)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양 단부에 배설된 외측톱니의 피치원상에 있어서의, 중앙부에 배설된 외측톱니의 톱니두께는 얇아져 있고, 폴의 중앙부에 배설된 외측톱니는 래칫 플레이트의 내측톱니와 간섭하는 일 없이 맞물림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양 단부에 배설된 외측톱니는 록크시에 래칫 플레이트의 내측톱니와 깊숙이 맞물림이 가능하고, 양 단부에 배설된 외측톱니와 내측톱니와의 사이에 빈틈이 발생하지 않는다. 이와 같이 양 단부가 확실하게 맞물린 록크 상태에서는 래칫 플레이트측으로부터 그 내측톱니를 통하여 폴에 하중이 걸리더라도, 폴의 기울기를 작게 억제할 수 있고, 맞물리기 위해 남겨놓은 부분이 크게 감소하는 일은 없다.
제3양태에 관한 발명은 제1양태에 기재한 리클라이닝 장치에 있어서, 가이드 돌기의 강도를 높이기 위하여, 베이스 플레이트상에 있어서의 가이드 돌기는 중실이고 상기 가이드 돌기의 이면측은 평평한 것, 즉 가이드 돌기의 이면측에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제4양태에 관한 발명은 제1양태에 기재한 리클라이닝 장치에 있어서, 상기 캠에는 상기 캠의 회전시에 상기 폴의 후단면을 가압하고 상기 폴의 외측톱니를 상기 래칫 플레이트의 내측톱니에 맞물리게 하는 경사 캠면과, 이 경사 캠면보다도 상기 가압수단에 의한 상기 캠의 회전방향에 있어서의 전측이나 후측의 적어도 어느 한 쪽에 위치함과 동시에, 상기 폴의 외측톱니와 상기 래칫 플레이트의 내측톱니와의 맞물림시에는 상기 폴의 후단면 단부에 대향하고, 상기 래칫 플레이트로부터 상기 폴에 회전방향의 하중이 부가되었을 때에는, 상기 폴의 후단면 단부를 지지하는 지지면이 설치되고, 상기 지지면은 상기 경사 캠면과 같은 방향으로 경사한 제1 경사면과 상기 경사 캠면과 역방향으로 경사한 제2 경사면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폴의 후단면 단부에는 상기 제1 경사면과 접촉(當接) 가능한 제1 돌출부와 상기 제2 경사면과 접촉 가능한 제2 돌출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 발명에 있어서, 가압수단의 가압력을 받은 캠은 폴의 외측톱니가 래칫 플레이트의 내측톱니에 맞물리는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에 따라, 캠의 경사 캠면이 폴의 후단면을 가압하고 폴은 그 외측톱니가 래칫 플레이트의 내측톱니에 맞물리는 반경방향으로 이동한다. 이 폴의 이동시에, 폴의 일부인 제1 돌출부도 같은 방향으로 이동하고, 캠의 회전 중심으로부터 떨어지는데, 폴의 제1 돌출부로부터 캠의 제1 경사면을 보았을 때, 캠의 회전에 따라서 캠의 제1 경사면이 폴의 제1 돌출부를 뒤따르는 것처럼 접근해 온다. 그래서, 폴의 제1 돌출부와 캠의 제1 경사면과의 빈틈이 과도하게 커지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폴의 외측톱니와 래칫 플레이트의 내측톱니가 맞물린 록크시에 있어서, 차량의 충돌 등에 의해 래칫 플레이트로부터 폴에 하중이 걸리면, 폴은 약간 경사하여 그 제1 돌출부가 캠의 제1 경사면에 접촉하고, 그 제2 돌출부가 캠의 제2 경사면에 접촉한다. 따라서, 캠의 경사 캠면 및 제1, 제2 경사면의 합계 3점에 의해 폴은 지지되게 된다.
래칫 플레이트로부터 폴에 하중이 걸린 경우, 캠의 제1 경사면과 폴의 제1 돌출부와의 접촉면에는 그 접촉면에서의 공통 법선 방향으로 접촉압이 작용한다. 따라서, 경사 캠면과 같은 방향으로 경사한 제1 경사면을 설치함으로써, 캠을 언록크 방향으로 되밀려고 하는 분력(分力)도 캠에 작용하게 된다.
한편, 캠에는 경사 캠면과 역방향으로 경사한 제2 경사면이 설치되어 있고, 캠의 제2 경사면과 폴의 제2 돌출부와의 접촉면에서는 캠을 록크 방향으로 회전시키고자 하는 분력이 캠에 작용한다. 따라서, 제1 경사면을 설치함으로써 발생한, 캠을 언록크 방향으로 되밀려고 하는 힘은 제2 경사면의 존재에 의해 발생하는 역방향의 힘으로써 해소 또는 감소되고 언록크에는 도달하지 않는다.
그리고, 록크시에 제2 경사면과 제2 돌출부가 접촉하지 않는 경우도 있을 수 있는데, 이 경우에 캠이 만일 반전(反轉)하더라도, 폴의 제2 돌출부와 캠의 제2 경사면이 접촉한 시점에서, 캠은 정지하게 된다. 왜냐하면, 폴의 제2 돌출부와 캠의 제2 경사면이 접촉한 시점에서, 제2 경사면의 존재에 의해 캠을 록크 방향으로 회전시키려고 하는 분력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제5양태에 관한 발명은 제4양태에 기재한 리클라이닝 장치에 있어서, 상기 캠의 제1 경사면과 상기 폴의 제1 돌출부와의 빈틈이 상기 폴의 외측톱니와 상기 래칫 플레이트의 내측톱니와의 맞물림 위치의 전후에 있어서, 일정하도록, 상기 캠의 경사 캠면의 형상 및 제1 경사면의 형상을 선택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제6양태에 관한 발명은 제1양태에 기재한 리클라이닝 장치에 있어서, 상기 폴의 외측톱니가 상기 래칫 플레이트의 내측톱니로부터 이탈하도록 상기 캠을 회전시키면 상기 캠의 회전 중심축에 끌어넣어진 상기 폴의 폴 스토퍼면이 상기 캠의 캠 스토퍼면에 접촉하여 상기 캠의 더 이상의 회전을 금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발명에 있어서, 통상적으로는, 가압수단의 가압력에 의해 캠은 회전하여 폴의 후단면을 가압하고 폴의 외측톱니가 래칫 플레이트의 내측톱니에 맞물리고, 베이스 플레이트와 래칫 플레이트와의 상대적인 회전이 금지된 록크 상태가 된다.
여기에서, 가압수단의 가압력에 대항하여, 조작 샤프트를 회전시키고 캠 및 릴리스 플레이트를 회전시키면, 릴리스 플레이트가 폴을 강제적으로 캠의 회전 중심측에 강제적으로 이동시키고, 폴의 외측톱니가 래칫 플레이트의 내측톱니로부터 이탈하고, 리클라이닝 장치의 록크가 해제된다.
그리고 캠이 회전하면 캠의 캠 스토퍼면이 폴의 폴 스토퍼면에 접촉하여 더 이상의 캠의 회전, 즉 조작 샤프트의 회전이 금지된다.
제7양태에 관한 발명은 제1양태에 기재한 리클라이닝 장치에 있어서, 상기 조작 샤프트의 외주면에는 상기 조작 샤프트의 회전 중심축과 평행인 제1'의 평면이 설치되고, 상기 캠에는 상기 조작 샤프트가 헐겁게 끼워지고 내주면에 상기 캠의 회전 중심축과 평행인 제1의 평면이 형성된 관통공이 설치되고, 상기 캠의 관통공의 내주면과 상기 관통공에 헐겁게 끼워진 상기 조작 샤프트의 외주면과의 사이에는 상기 관통공의 내주면과 상기 조작 샤프트의 외주면에 콘택하고, 상기 캠의 관통공의 제1의 평면과 상기 조작 샤프트의 제1'의 평면을 접촉시키는 탄성력 발생부재가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제8양태에 관한 발명은 제7양태에 기재한 리클라이닝 장치에 있어서, 상기 탄성력 발생부재가 상기 조작 샤프트의 외주면으로서, 상기 캠의 관통공의 내주면과 대향하는 부분 이외의 개소에 설치되는 유지부와, 이 유지부에 연달아 설치되고 상기 캠의 관통공의 내주면과 상기 조작 샤프트의 외주면에 콘택하는 탄성력 발생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제9양태에 관한 발명은 제8양태에 기재한 리클라이닝 장치에 있어서, 상기 캠의 관통공의 단면형상은 내주면에 상기 제1의 평면과 이 제1의 평면과 평행인 제2의 평면이 형성된 타원형이고, 상기 조작 샤프트의 단면형상은 외주면에 상기 제1'의 평면과 이 제1'의 평면과 평행인 제2'의 평면이 형성된 타원형이고, 또한 상기 캠의 상기 제1의 평면에는 상기 캠의 회전 중심축을 따라서 형성된 제1의 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2의 평면에는 상기 캠의 회전 중심축을 따라서 형성된 제2의 홈이 형성되고, 또한 상기 탄성력 발생부재의 유지부는 상기 조작 샤프트의 제1'의 평면과 제2'의 평면과의 사이의 주면에 대향하는 기부(基部)와, 이 기부의 한 쪽의 단부에 연달아 설치되고 상기 조작 샤프트의 제1'의 평면에 콘택하는 제1의 콘택부와, 상기 기부의 다른 쪽의 단부에 연달아 설치되고, 상기 조작 샤프트의 제2'의 평면에 콘택하는 제2의 콘택부로 이루어지고, 또한, 상기 제1의 콘택부에는 상기 제1의 홈에 삽입되고 선단으로 감에 따라서 상기 제1의 홈의 폭방향의 폭이 점차 좁아지는 형상의 제1의 가이드 돌기부가 설치되고, 상기 제2의 콘택부에는 상기 조작 샤프트의 제2의 평면에 콘택한 상태에서, 상기 제2의 홈에 삽입되고, 선단으로 감에 따라서 상기 제2의 홈의 폭방향의 폭이 점차 좁아지는 형상의 제2 가이드 돌기부와 상기 제2의 홈에 삽입되고, 상기 제2의 홈의 저면에 콘택하고, 상기 제2가이드 돌기부와 협동하여 상기 캠의 관통공의 제1의 평면과 상기 조작 샤프트의 제1'의 평면을 접촉시키는 스프링부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발명의 효과
제1양태에 관한 발명에 따르면, 언록크 조작을 행할 때에, 폴을 판두께방향으로 경사시키는 방향의 모멘트가 발생하지 않고, 언록크 조작 필링이 양호하다. 또한, 캠과 가이드 돌기와의 간섭이 없기 때문에, 가이드 돌기를 작게 할 필요는 없고, 가이드 돌기의 강도도 확보할 수 있다.
제2양태에 관한 발명에 따르면, 폴의 중앙부에 배설된 외측톱니는 래칫 플레이트의 내측톱니와 간섭하는 일 없이 맞물림이 가능하고, 그 결과, 양 단부에 배설된 외측톱니가, 록크시에 래칫 플레이트의 내측톱니와 깊숙이 맞물림이 가능하고, 양 자의 사이에 빈틈은 발생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이 록크 상태에서는 양 단부가 확실하게 맞물려 있고, 래칫 플레이트측으로부터 그 내측톱니를 통하여 폴에 하중이 걸리더라도, 폴의 기울기를 작게 억제할 수 있고, 맞물림하기 위해 남겨놓은 부분이 크게 감소하는 일은 없으며 안정되고 높은 록크 강도를 얻을 수 있다.
제3양태에 관한 발명에 따르면, 베이스 플레이트상에 있어서의 가이드 돌기의 이면측에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이면측이 평평하기 때문에), 가이드 돌기의 강도가 높고, 그 결과 가이드 돌기의 변형 등이 없기 때문에 폴의 기울기가 작고, 안정되고 높은 록크 강도를 얻을 수 있다.
제4양태에 관한 발명에 따르면, 폴의 록크방향으로의 이동시, 폴의 일부인 제1 돌출부도 같은 방향으로 이동하고, 캠의 회전 중심으로부터 떨어지는데, 폴의 제1 돌출부로부터 캠의 제1 경사면을 보았을 때, 캠의 회전에 따라서 캠의 제1 경사면이 폴의 제1 돌출부를 뒤따르는 것처럼 접근해 오기 때문에, 폴의 제1 돌출부와 캠의 제1 경사면과의 빈틈이 과도하게 커지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따라서, 록크 강도가 크게 저하하는 일은 없으며 안정되고 높은 록크 강도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래칫 플레이트로부터 폴에 하중이 걸린 경우, 캠을 언록크 방향으로 되밀려고 하는 분력도 캠에 작용하게 되는데, 캠에는 경사 캠면과 역방향으로 경사한 제2 경사면도 설치되어 있고, 이에 따라 캠을 록크 방향으로 회전시키려고 하는 분력도 캠에 작용한다. 따라서, 제1 경사면을 설치함으로써 발생한, 캠을 언록크 방향으로 되밀려고 하는 힘은 제2 경사면의 존재에 의해 발생하는 역방향의 힘으로 해소 또는 감소되고, 언록크에는 도달하지 않으며 이 점으로부터도 높은 록크 강도를 얻을 수 있다.
제5양태에 관한 발명에 따르면, 폴의 외측톱니와 래칫 플레이트의 내측톱니와의 맞물림 위치의 전후에 있어서, 캠의 제1 경사면과 폴의 제1 돌출부와의 빈틈이 일정하기 때문에, 부품 공차에 의해 맞물림 위치가 정규의 목표 위치로부터 어긋나더라도, 록크 강도가 크게 변동하는 일은 없다.
제6양태에 관한 발명에 따르면, 상기 캠과 상기 폴에, 상기 폴의 외측톱니를 상기 래칫 플레이트의 내측톱니로부터 이탈시키면, 접촉하여 상기 캠의 더 이상의 회전을 금지하는 캠 스토퍼면과 폴 스토퍼면을 형성함으로써, 언록크 동작은 캠의 캠 스토퍼면이 폴의 폴 스토퍼면에 접촉함으로서 종료한다. 언록크하는 조작력은 조작 샤프트로부터 캠에 전달된다. 따라서, 언록크시의 조작 샤프트의 회전의 편차 요인이 조작 샤프트와 캠과의 클리어런스만으로 되고, 종래의 리클라이닝 장치보다도 언록크시의 조작 샤프트를 회전시키는 각도, 즉 언록크시의 조작 스트로크가 작게 된다.
그리고 캠, 폴, 폴을 안내하는 가이드 돌기가 설치된 베이스 플레이트는 리클라이닝 장치가 록크 상태에서 충분한 록크 강도를 가지도록, 강도가 높게 설정되어 있다. 언록크 동작은 캠의 캠 스토퍼면이 폴의 폴 스토퍼면에 접촉함으로써 종료한다. 따라서, 큰 언록크 조작력이라 하더라도, 강도가 높은 캠과 폴이 접촉하기 때문에 높은 강도의 릴리스 수단이 불필요하게 되고 비용이 들지 않는다.
제7양태에 관한 발명에 따르면, 캠의 관통공에 제1의 평면을 형성하고, 조작 샤프트에 제1'의 평면을 형성함과 동시에, 양 평면을 접촉시키는 탄성력 발생부재를 설치하였기 때문에 조작 샤프트의 회전 중심축과 캠의 회전 중심축을 일치시킬 수 있고, 리클라이닝 장치의 조작시의 필링이 향상된다.
제8양태에 관한 발명에 따르면, 상기 탄성력 발생부재에 상기 조작 샤프트의 외주면으로, 상기 캠의 관통공의 내주면과 대향하는 부분 이외의 개소에 설치되는 유지부를 설치함으로써, 탄성력 발생부재를 조합할 때에 최초로 유지부를 조작 샤프트에 가(假)유지하고, 다음에 탄성력 발생부재를 조작 샤프트의 회전 중심축을 따라서 이동시킴으로써 탄성력 발생부재를 캠의 관통공의 내주면과 상기 조작 샤프트의 외주면과의 사이에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다.
제9양태에 관한 발명에 따르면, 최초에 탄성력 발생부재의 유지부를 조작 샤프트에 가유지하고, 다음에 탄성력 발생부재를 조작 샤프트를 따라서 이동시키면, 제1의 콘택부의 제1의 가이드부가 제1의 홈에 삽입되고, 제2의 콘택부의 제2의 가이드가 제2의 홈에 삽입된다. 제1의 가이드부, 제2의 가이드부는 선단으로 감에 따라서 제1의 홈, 제2의 홈의 폭방향의 폭이 점차 좁아지는 형상이기 때문에, 제1의 가이드부, 제2의 가이드부가 제1의 홈, 제2의 홈의 측벽면에 미끄럼 이동하면, 탄성력 발생부재에는 유지부의 기부가 조작 샤프트의 외주면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힘이 작용한다.
유지부의 기부가 조작 샤프트의 외주면에 접촉함으로써, 캠의 회전 평면에 평행인 평면상에서 상기 제1의 평면과 평행인 방향에서의, 상기 캠과 조작 샤프트와의 위치결정이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서는 캠의 회전 평면과 평행인 평면상에서의 상기 제1의 평면과 평행인 방향에서의, 상기 캠과 조작 샤프트와의 위치결정이 이루어진다. 즉, 조작 샤프트의 회전 중심축과 캠의 회전 중심축을 일치시킬 수 있고, 리클라이닝 장치의 조작시의 필링이 보다 한층 향상된다.
도 1은 종래의 리클라이닝 장치의 일부 파단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절단선 Ⅱ-Ⅱ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절단선 Ⅲ-Ⅲ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다른 종래예를 도시하는 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의 형태예의 외관을 도시하는 도이다.
도 6은 도 5의 절단선 Ⅵ-Ⅵ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5의 배면도이다.
도 8은 도 5의 절단선 Ⅷ-Ⅷ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6의 절단선 Ⅸ-Ⅸ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9의 릴리스 플레이트를 제외한 도이다.
도 11은 도 10중의 주오목부의 확대도이다.
도 12는 도 10중의 폴의 상세도이다.
도 13a 및 도 13b는 가이드 돌기의 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2의 형태예에 있어서의 조작 샤프트의 주변 구조의 원리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2의 형태예의 조작 샤프트 주변을 도시하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2의 형태예의 외관을 도시하는 도이다.
도 17은 도 16의 절단선 ⅩⅦ-ⅩⅦ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18은 도 16의 배면도이다.
도 19는 도 16의 절단선 ⅩⅨ-ⅩⅨ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20은 도 17의 절단선 ⅩⅩ-ⅩⅩ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21은 도 20의 릴리스 플레이트를 제거한 도이다.
도 22a 내지 도 22d는 스프링 플레이트를 설명하는 도면으로서, 도 22a는 정면도, 도 22b는 좌측면도, 도 22c는 우측면도, 도 22d는 상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호의 설명>
100 : 베이스 플레이트 120 : 조작 샤프트
130 : 래칫 플레이트 133 : 내측톱니
140, 150 : 폴 141, 151 : 외측톱니
144, 154 : 캠 홈 180 : 릴리스 플레이트
183, 184 : 돌기
제1의 실시예
도 5 ~ 도 13b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예를 설명한다. 우선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형태예의 리클라이닝 장치에서는, 시트 쿠션측의 로어암(201)에 베이스 플레이트(100)가 설치되고, 시트 백측의 어퍼암(202)에 래칫 플레이트(130)가 설치된다.
도 5 ~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원판형상의 베이스 플레이트(100)에 대해서, 원판형상의 래칫 플레이트(130)를 끼워 맞춤으로써, 양 자는 상대 회전 가능하게 겹쳐져 있다. 통형상의 장착구(205)는 베이스 플레이트(100)와 래칫 플레이트(130)를 외측으로부터 감싸 들어가고, 베이스 플레이트(100)로부터 래칫 플레이트(130)가 분리되는 것을 금지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장착구(205)는 그 일단이 베이스 플레이트(100)의 외주 부분에 걸어 고정되고, 타단측의 래칫 플레이트 유지부(205a)가 래칫 플레이트(130)를 회전 중심축방향으로부터 누르고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100) 및 래칫 플레이트(130)의 회전 중심축상의 위치에는 홀(101, 131)이 형성되어 있고, 이들 홀(101, 131)에 조작 샤프트(120)가 끼워 통해져 있다. 래칫 플레이트(130)의 베이스 플레이트(100)와의 대향면에는 도6 및 도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조작 샤프트(120)를 중심으로 하는 원형상의 오목부(132)가 형성되며 이 오목부(132)의 내주 벽면에는 내측톱니(133)가 새겨 만들어져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100)상의 래칫 플레이트(130)의 오목부(132)와의 대향면에도, 도 6 및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오목부(104)가 형성되고,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 오목부(104)의 저면에는 래칫 플레이트(130)를 향하여, 한 쌍의 가이드 돌기(105, 106)와 한 쌍의 가이드 돌기(107, 108)가 돌출 설치되어 있다.
본 형태예에 있어서의 베이스 플레이트(100)는 단조(鍛造)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단조가 아닌, 통상의 프레스 성형을 사용하여, 판재로부터 베이스 플레이트(100)를 제조하는 경우에는, 도 13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가이드 돌기(105, 106, 107 및 108)의 후측에 프레스형(숫형)에 의한 오목부(100H)가 남아 가이드 돌기(105, 106, 107 및 108)에 얇은 벽부분(薄肉部分, SL)이 생겨 버리고, 가이드 돌기(105, 106, 107 및 108)의 강도가 저하하게 된다.
본 형태예에서는 단조를 사용하여 베이스 플레이트(100)를 제조하고, 그 때, 도 13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베이스 플레이트(100)상에 있어서의 가이드 돌기(105, 106, 107 및 108)의 이면측에 오목부가 형성되지 않도록, 바꾸어 말하면 가이드 돌기(105, 106, 107 및 108)를 중실(中實)형상으로 형성하고 그 주변 부분의 두께를 충분히 크게 취하도록 해서, 가이드 돌기(105, 106, 107 및 108)의 강도를 올리고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100)에 있어서의 래칫 플레이트(130)측과는 반대측의 면에는, 시트 쿠션측의 로어암(201)에 설치하기 위한 복수개의 결합용 돌기(100a)가 홀(101)을 중심으로 하는 동일 원주상에 등간격(等間隔)으로 배설되어 있다. 래칫 플레이트(130)에 있어서의 베이스 플레이트(100)측과는 반대측의 면에도, 시트 백측의 어퍼암(202)에 설치하기 위한 복수개의 결합용 돌기(130a)가 홀(131)을 중심으로 하는 동일 원주상에 등간격으로 배설되어 있다.
폴(140)은 래칫 플레이트(130)의 내측톱니(133)에 톱니 끝원의 반경방향으로부터 결합 및 해제 가능한 외측톱니(141)를 전단면측에 가지는 것으로,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가이드 돌기(105, 106)의 가이드면(105a, 106a)에 끼워져서 래칫 플레이트(130)의 회전 중심축과 직교하는 방향, 즉 내측톱니(133)의 톱니 끝원의 반경방향으로 미끄럼 이동 안내되고 있다.
폴(150)도 폴(140)과 완전히 동일한 형상을 하고 있고, 가이드 돌기(107, 108)의 가이드면(107a, 108a)에 끼워져서, 내측톱니(133)의 톱니 끝원의 반경방향으로 미끄럼 안내되고, 전단면측의 외측톱니(151)가 래칫 플레이트(130)의 내측톱니(133)에 맞물림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폴(140, 150)의 외측톱니(141, 151)에 대해서, 외측톱니(151)를 예로 들어서 설명한다.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폴(150)에 폭방향의 중앙부(Lc)에 배설된 외측톱니(151(151A))는 양단부(Ls1, Ls2)에 배설된 외측톱니(151(151B, 151C))의 톱니형상에 비해서 톱니두께가 얇아지도록 형성된 톱니형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래서, 외측톱니(151B, 151C)의 피치원상에 있어서의 외측톱니(151B, 151C)의 톱니두께와 외측톱니(151A)의 톱니두께를 비교한 경우, 중앙부(Lc)에 배설된 외측톱니(151A)의 톱니두께 쪽이 얇아지게 되고, 이 외측톱니(151A)는 래칫 플레이트(130)의 내측톱니(133)와 간섭하는 일 없이 맞물림이 가능하다. 외측톱니(151A)의 톱니두께를 얇게 함으로써, 양 단부(Ls1, Ls2)에 배설된 외측톱니(151B, 151C)는 록크시에 래칫 플레이트(130)의 내측톱니(133)과 깊숙이 맞물림이 가능하고, 외측톱니(151B, 151C)와 내측톱니(133)와의 사이에 빈틈은 발생하지 않는다.
그리고, 양 단부(Ls1, Ls2)에 배설된 외측톱니(151B, 151C)의 수는 예를 들면, 각각 3개 산 정도, 중앙부(Lc)에 배설된 외측톱니(151A)의 수는 예를 들면 19개 산 정도이다. 양 단부(Ls1, Ls2)와 중앙부(Lc)와의 외측톱니 접합 부분은 톱니바닥이 완만하게 이어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 12 중의 O1은 외측톱니(151B, 151C)의 피치원의 중심이다.
폴(140, 150)의 후단면(146, 156)측의 공간에는 조작 샤프트(120)과 함께 회전가능한 캠(170)이 배치되어 있다. 즉, 조작 샤프트(120)의 중간부에는 도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단면 타원형 부분(123)이 형성되어 있고, 이 단면 타원형 부분(123)이 캠(170)의 타워형 홀(171)에 끼워 맞춤하고 있다. 이에 따라, 조작 샤프트(120)와 캠(170)이 상대회전 불가능한 상태로 끼워 맞춤하고, 캠(170)은 조작 샤프트(120)와 함께 회전하게 된다.
폴(140, 150) 및 캠(170)은 동일한 판두께로 형성되며, 베이스 플레이트(100)의 동일한 평면상에 배치되어 있다. 캠(170)에는 캠(170)의 회전시에 폴(140, 150)의 후단면(146, 156)을 가압하고 폴(140, 150)의 외측톱니(141, 151)를 래칫 플레이트(130)의 내측톱니(133)에 맞물리기 위한 경사 캠면(174b, 175b)이 설치되어 있다. 이 기능을 발휘하기 위해 경사 캠면(174b, 175b)의 경사방향은 캠(170)이 록크시 회전방향으로 회전하면, 경사 캠면(174b, 175b)과 폴(140, 150)의 후단면(146, 156)과의 접촉점이 캠(170)의 회전 중심(O)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설정되어 있고, 예를 들면 도 11에 있어서의 경사 캠면(175b)에 대해서 도시하면, 오른쪽으로 올라가는 곡선 또는 직선이 된다.
그리고, 캠(170)에는 이 경사 캠면(174b, 175b)보다도 캠(170)의 록크시 회전방향(도10에 있어서의 반시계방향)에 있어서의 전측에 위치함과 동시에, 폴(140, 150)의 외측톱니(141, 151)와 래칫 플레이트(130)의 내측톱니(130)와의 맞물림시에는 폴(140, 150)의 후단면(146, 156)의 단부(캠(170)의 록크시 회전방향에 있어서의 전측 부분)에 빈틈을 통하여 대향하는 지지면(174a, 175a)에 형성된 돌출부(174g, 175g)가 설치되어 있다. 이 지지면(174a, 175a)은 래칫 플레이트(130)로부터 폴(140, 150)에 도10에 있어서의 반시계방향의 하중이 더해졌을 때에는, 폴(140, 150)의 후단면(146, 156)의 단부에 접촉하여 이것을 지지하고, 더 이상의 폴(140, 150)의 기울기를 금지하는 것이다.
그리고 캠(170)에는 이 경사 캠면(174b, 175b)보다도 캠(170)의 록크시 회전방향에 있어서의 후측에 위치함과 동시에, 폴(140, 150)의 후단면(14b, 15b)의 단부(캠(170)의 록크시 회전방향에 있어서의 후측 부분)에 대향하는 지지면(174c, 175c)이 설치되어 있다. 이 지지면(174c, 175c)은 래칫 플레이트(130)에서 도 10에 있어서의 시계방향의 하중이 더해졌을 때에는 폴(140, 150)의 후단면(14b, 15b)의 단부에 접촉하여 이것을 지지하고, 더 이상의 폴(140, 150)의 기울기를 금지하는 것이다.
지지면(174a, 174c, 175a, 175c) 및 그 주변의 상세 구조에 대해서, 지지면(175a)을 예로 들어서, 도 11을 이용하면서 설명한다. 지지면(175a)은 경사 캠면(175b)과 동일 방향으로 경사한 길이(L1)의 제1 경사면(175e)과, 경사 캠면(175b)과 역방향으로 경사한 길이(L2)의 제2 경사면(175f)으로 이루어지고, 폴(150)의 후단면(156)의 단부에는, 제1 경사면(175e)에 접촉가능한 제1 돌출부(150e)와, 제2 경사면(175f)에 접촉 가능한 제2 돌출부(150f)가 설치되어 있다.
여기에서, 제1 경사면(175e)과 제2 경사면(175f)의 구체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1 경사면(175e)은 록크시 회전방향의 부위만큼, 그 부위와 캠(170)의 회전 중심과의 거리가 작아지도록 그 외주면이 형성된 것이다. 반대로, 제2 경사면(175f)은 록크시 회전방향의 부위만큼, 그 부위와 캠(170)의 회전 중심과의 거리가 커지도록 그 외주면이 형성된 것이다.
따라서, 제1 경사면(175e)과 제2 경사면(175f)의 경계점 N을 지나는 반경 R의 원호 CT의 일부를 이용하여 제1 경사면(175e)과 제2 경사면(175f)을 형성하는 예에서는, 경계점 N보다 상측의 제1 경사면(175e)은 경계점 N을 중심으로 원호 CT를 반시계방향으로 경사시킨 상태(절곡한 상태)의 경사면으로 되고, 경계점 N으로부터 하측의 제2 경사면(175f)는 경계점 N을 중심으로 원호를 시계방향으로 경사시킨 상태(절곡한 상태)의 경사면으로 된다. 지지면(175a) 이외의 지지면(174a, 174c 및 175c)에 대해서도 동일한 배치로서, 제1 경사면과 제2 경사면이 설치되어 있다.
캠(170)의 돌출부(174a, 175g)의 경사 캠면(174b, 175b)측의 측부에는 캠 스토퍼면(174h, 175h)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캠(170)의 경사 캠면(174b, 175b)이 가압하는 폴(140, 150)의 후단면(146, 156)이 형성된 돌출부(145, 155)의 측부에는 캠 스토퍼면(174h, 175h)과 접촉가능한 폴 스토퍼면(145a, 155a)이 형성되어 있다.
이들 캠 스토퍼면(174h, 175h), 폴 스토퍼면(145a, 155a)은 폴(140, 150)의 외측톱니(141, 151)가 래칫 플레이트(130)의 내측톱니(133)로부터 이탈하면 접촉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캠 스토퍼면(174h ,175h)과, 폴 스토퍼면(145a, 155a)이 접촉하면, 캠(170)의 더 이상의 회전을 금지하도록 되어 있다.
폴(140, 150)의 래칫 플레이트(130)측의 면에는 캠 홈(144, 154)이 형성되어 있다(본 형태예에서는 캠 홈(144, 154)은 베이스 플레이트(100)측의 면까지 관통한 공이 되어 있다). 또한, 릴리스 수단을 구성하는 릴리스 플레이트(180)는 그 한쪽의 면이 폴(140, 150) 및 캠(170)과 겹쳐지고, 다른 쪽의 면이 래칫 플레이트(130)에 미끄럼 이동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릴리스 플레이트(180)의 중앙부에는 조작 샤프트(120)가 끼워 통하는 홀(181)이 천공 설치되어 있다.
도 9 및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캠(170)에는 래칫 플레이트(130)측에 우뚝 솟아 나온 돌기(176, 177)가 형성되어 있고, 이 돌기(176, 177)가 릴리스 플레이트(180)의 홀(181)의 가장자리부에 형성되고 반경방향으로 연출(延出)하는 작고 긴 홀(182, 183)에 끼워 맞춤되어 있다. 그래서, 캠(170)과 릴리스 플레이트(180)와는 연동하여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도 6 및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릴리스 플레이트(180)의 회전단부에는, 캠 홈(144, 154)에 결합하는 돌기(183, 184)가 프레스 성형 등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캠 홈(144, 154)의 형상은 릴리스 플레이트(180)가 도 9에 있어서의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캠 홈(144, 154)과 돌기(183, 184)의 상호작용에 의해, 폴(140, 150)을 캠(170)의 회전 중심측에 강제적으로 이동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도 9 및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가압수단으로서의 스파이럴 스프링(191, 195)은 내단이 베이스 플레이트(100)의 후크(111, 112)에 걸어 고정되고, 외단이 캠(170)의 단부(178, 179)에 걸어 고정된 것으로, 캠(170)이 폴(140, 150)의 후단면(146, 156)을 누르도록 캠(170)을 회전가압하는 것이다.
상기 구성의 리클라이닝 장치의 작동을 설명한다. 록크 상태에서는, 스파이럴 스프링(191, 195)의 가압력에 의해, 캠(170)이 폴(140, 150)의 후단면(146, 156)을 누르고, 폴(140, 150)의 외측톱니(141, 151)가 래칫 플레이트(130)의 내측톱니(133)에 맞물린 상태에 있고, 래칫 플레이트(시트 백)(130)의 회전이 금지되어 있다.
이 록크 상태로의 이행시의 움직임에 대해서 설명하면, 스파이럴 스프링(191, 195)의 가압력을 받은 캠(170)은 폴(140, 150)의 외측톱니(141, 151)가 래칫 플레이트(130)의 내측톱니(133)에 맞물리는 방향으로 우선 회전한다. 이에 따라, 캠(170)의 경사 캠면(174b, 175b)이 폴(140, 150)의 후단면(146, 156)을 가압하고, 폴(140, 150)은 그 외측톱니(141, 151)이 래칫 플레이트(130)의 내측톱니(133)에 맞물리는 반경방향으로 이동한다.
이 때의 움직임을 캠(170)의 지지면(175a) 주변을 예로 들어서 설명한다. 폴(150)의 이동시, 폴(150)의 일부인 제1 돌출부(150e)도 같은 방향으로 이동하고, 캠(170)의 회전 중심(O)으로부터 떨어지는데, 폴(150)의 제1 돌출부(150e)로부터 캠(170)의 제1 경사면(175e)을 봤을 때, 캠(170)의 회전에 따라서 캠(170)의 제1 경사면(175e)이 폴(150)의 제1 돌출부(150e)를 뒤따르는 것처럼 근접해 온다.
그래서, 폴(150)의 제1 돌출부(150e)와 제1 돌출부(150e)와 캠(170)의 제1 경사면(175e)과의 빈틈이 록크시에 있어서 과도하게 커지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따라서, 록크 강도가 크게 저하하는 일은 없고, 안정되고 높은 강도를 얻을 수 있다.
폴(150)의 외측톱니(151)와 래칫 플레이트(130)의 내측톱니(133)가 맞물린 록크 상태에 있어서, 차량의 충돌 등에 의해 래칫 플레이트(130)로부터 폴(150)에 하중이 걸리면, 폴(150)은 약간 경사하여 그 제1 돌출부(150e)가 캠(170)의 제1 경사면(175e)에 접촉하고, 그 제2 돌출부(150f)가 캠(170)의 제2 경사면(175f)에 접촉한다. 따라서, 캠(170)의 경사 캠면(175b) 및 제1, 제2 경사면(175e, 175f)의 합계 3점에 의해 폴(150)은 지지되게 된다.
래칫 플레이트(130)로부터 폴(150)에 하중이 걸린 경우, 캠(170)의 제1 경사면(175e)과 폴(150)의 제1 돌출부(150e)와의 접촉면에서는, 그 접촉면에서의 공통 법선방향으로 접촉압이 작용한다. 따라서, 경사 캠면(175b)와 같은 방향으로 경사한 제1 경사면(175e)을 설치함으로써, 캠(170)을 언록크방향으로 되밀려고 하는 분력 F1(도 11에서의 시계방향의 토크를 발생시키는 힘)도 캠(170)에 작용하게 된다.
한편, 캠(170)에는 경사 캠면(175b)과 역방향으로 경사한 제2 경사면(174f)이 설치되어 있고, 캠(170)의 제2 경사면(175f)과 폴(150)의 제2 돌출부(150f)와의 접촉면에서는 캠(170)을 록크 방향으로 회전시키려고 하는 분력 F2(도 11에 있어서의 반시계방향의 토크를 발생시키는 힘)도 캠(170)에 작용하게 된다. 따라서, 제1 경사면(175e)을 설치함으로써 발생한, 캠(170)을 언록크방향으로 되밀려고 하는 분력 F1은 제2 경사면(175f)의 존재에 의해 발생하는 역방향의 힘 F2로써 해소 또는 감소되고, 언록크에는 도달하지 않으며 이 점으로부터도 높은 록크 강도를 얻게 된다.
또한, 록크시에 캠(170)의 제2 경사면(175f)과 폴(150)의 제2 돌출부(150f)가 접촉하지 않는 경우도 있을 수 있는데, 이 경우에 캠(170)이 가령 반전하더라도, 폴(150)의 제2 돌출부(150f)와 캠(170)의 제2 경사면(175f)이 접촉한 시점에서, 캠(170)은 정지하게 된다. 왜냐하면, 폴(150)의 제2 돌출부(150f)와 캠(170)의 제2 경사면(175f)이 접촉한 시점에서, 제2 경사면(175f)의 존재에 의해 캠(170)을 록크방향으로 회전시키려고 하는 분력 F2가 발생하기 때문이다.
록크 상태에 있어서, 스파이럴 스프링(191, 195)의 가압수단에 대항하여, 조작 샤프트(120)를 도10에 있어서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캠(170)도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캠(170)의 폴(140, 150)의 후단면(146, 156)으로의 가압이 해제됨과 동시에, 릴리스 플레이트(180)의 돌기(183, 184)가 폴(140, 150) 의 캠 홈(144, 154)의 경사벽면에 미끄럼 이동하고, 폴(140, 150)의 외측톱니(141, 151)가 래칫 플레이트(130)의 내측톱니(133)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폴(140), 폴(150)이 후퇴하고, 폴(140, 150)의 외측톱니(141, 151)와 래칫 플레이트(130)의 내측톱니(133)와의 맞물림이 해제되고, 래칫 플레이트(시트 백)(130)은 경사이동 가능하게 된다(언록크 상태).
이 언록크 동작은 캠 스토퍼면(174h, 175h)과, 폴 스토퍼면(145a, 155a)이 접촉함으로써 종료한다.
시트 백을 원하는 각도까지 경사이동시키고, 조작 샤프트(120)에의 조작력을 해제하면, 스파이럴 스프링(191, 195)의 가압력에 의해, 캠(170)이 폴(140, 150)의 후단면(146, 156)을 누르고, 폴(140, 150)의 외측톱니(141, 151)가 래칫 플레이트(130)의 내측톱니(133)에 다시 맞물리고, 래칫 플레이트(시트 백)(130)의 회전이 금지된 상태로 복귀한다.
이러한 형태예의 구성에 따르면, 이하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1)본 형태예에서는 릴리스 플레이트의 돌기로부터 폴의 캠 홈에 양 자의 접촉 개소를 통하여 작용하는 힘은 폴의 판두께방향의 중앙부에 작용한다. 그래서, 릴리스 플레이트를 회전시키고, 폴의 외측톱니를 래칫 플레이트의 내측톱니로부터 떨어지는 언록크 조작을 행할 때에, 폴을 판두께방향으로 경사시키는 방향의 모멘트는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폴(140, 150)을 래칫 플레이트(130)로부터 떠오르게 하는 방향의 힘이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언록크 조작 필링이 양호하다. 그리고, 캠과 가이드 돌기와의 간섭이 없기 때문에, 가이드 돌기를 작게 할 필요는 없고, 가이드 돌기의 강도도 확보할 수 있다.
(2)본 형태예에서는 캠 홈(144, 154)으로의 결합부인 돌기(183, 184)를 릴리스 플레이트(180)에 일체로 형성하였기 때문에, 이 부분의 구성을 간단하게 할 수 있음과 동시에, 릴리스 플레이트를 프레스 성형에 의해 저렴한 비용으로 성형할 수 있기 때문에, 장치의 저비용화를 꾀할 수 있다.
(3)폴(140, 150)의 중앙부에 배설된 외측톱니(141, 151)는 래칫 플레이트(130)의 내측톱니(133)와 간섭하는 일 없이 맞물림이 가능하고, 그 결과 양 단부에 배설된 외측톱니(141, 151)가 록크시에 래칫 플레이트(130)의 내측톱니(133)와 깊숙이 맞물림이 가능하고, 양 단부에 배설된 외측톱니(141, 151)와 내측톱니(133)와의 사이에 빈틈은 발생하지 않는다. 이와 같이 양 단부가 확실하게 맞물린 록크 상태에서는, 래칫 플레이트(130)측으로부터 그 내측톱니(133)를 통하여 폴(140, 150)에 하중이 걸리더라도, 폴(140, 150)이 기울기 어렵고, 그 기울기를 작게 억제할 수 있으며, 맞물림하기 위해 남겨 놓은 부분이 크게 감소하는 일이 없이 안정되고 높은 록크 강도를 얻을 수 있다.
(4)베이스 플레이트(100)상에 있어서의 가이드 돌기(105, 106, 107 및 108)의 이면측에 오목부가 형성되지 않도록, 바꾸어 말하면 가이드 돌기(105, 106, 107 및 108)를 중실형상으로 형성하여 있기 때문에, 가이드 돌기(105, 106, 107 및 108)의 강도를 높일 수 있고, 그 결과 가이드 돌기(105, 106, 107 및 108)의 변형이나 파손이 생기지 않고, 폴(140, 150)도 기울기 어려워지고, 록크 강도를 높이는 것이 가능하다.
(5)본 형태예에서는 폴(140, 150)의 제1 돌출부와 캠(170)의 제1 경사면과의 빈틈이 과도하게 커지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따라서, 록크 강도가 크게 저하하는 일은 없고, 안정되고 높은 록크 강도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래칫 플레이트(130)로부터 폴(140, 150)에 하중이 걸린 경우, 캠(170)을 언록크방향으로 되밀려고 하는 분력도 캠(170)에 작용하게 되는데, 캠(170)에는 경사 캠면과 역방향으로 경사한 제2 경사면도 설치되어 있고, 이에 따라, 캠(170)을 록크방향으로 회전시키려고 하는 분력도 캠(170)에 작용한다. 따라서, 제1 경사면을 설치함으로써 발생한, 캠(170)을 언록크방향으로 되밀려고 하는 힘은, 제2 경사면의 존재에 의해 발생하는 역방향의 힘으로써 해소 또는 감소되고, 언록크에는 도달하지 않고, 이 점으로부터도 높은 록크 강도를 얻을 수 있다.
(6)특히, 폴(140, 150)의 외측톱니(141, 151)와 래칫 플레이트(130)의 내측톱니(133)와의 맞물림 위치의 전후에 있어서, 캠(170)의 제1 경사면(175e)과 폴(140, 150)의 제1 돌출부와의 빈틈이 일정하게 되도록, 캠(170)의 지지면(제1 경사면 및 제2 경사면, 174a, 174c, 175a, 175c)이나 경사 캠면(174b, 175b)의 형상을 설정하면, 부품 공차에 의해 맞물림 위치가 정규의 목표위치로부터 어긋나더라도, 록크 강도가 크게 변동하는 일은 없다.
(7)본 형태예에서는 언록크 동작은 캠 스토퍼면(174h, 175h)과, 폴 스토퍼면(145a, 155a)이 접촉함으로써 종료한다. 언록크하는 조작력은 조작 샤프트(120)로부터 캠(170)에 전달된다. 따라서, 본 형태예에서는 언록크시의 조작 샤프트(120)의 회전의 편차의 요인이, 조작 샤프트(120)와 캠(170)과의 클리어런스만으로 되고, 종래의 리클라이닝 장치보다도 언록크 시의 조작 샤프트(120)를 회전시키는 각도, 즉, 언록크시의 조작 스트로크가 작아진다.
(8)캠(170), 폴(140, 150), 폴(140, 150)을 안내하는 가이드 돌기(105, 106, 107, 108)가 설치된 베이스 플레이트(100)는 리클라이닝 장치가 록크 상태에서 충분한 록크 강도를 가지도록, 강도가 높게 설정되어 있다. 언록크 동작은 캠(170)의 캠 스토퍼면(174h, 175h)이 폴(140, 150)의 폴 스토퍼면(145a, 155a)에 접촉함으로써 종료한다. 따라서, 큰 언록크 조작력이라 하더라도, 강도가 큰 캠(170)과 폴(140, 150)이 접촉하기 때문에, 높은 강도의 릴리스 플레이트(릴리스 수단)(180)가 불필요하게 되고, 비용이 들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형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캠(170)의 지지면(제1 경사면 및 제2 경사면)(174a, 174c, 175a, 175c)이나 경사 캠면(174b, 175b)의 형상에 대해서도, 상기 형태예의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이들의 형상은 경사 캠면 및 제1 경사면에 대해서는, 록크시 회전방향의 부위만큼, 그 부위와 캠의 회전 중심과의 거리가 작게 되도록 외주면이 형성된 것이면 되고, 반대로, 제2 경사면에 대해서는, 록크시 회전방향의 부위만큼, 그 부위와 캠의 회전 중심과의 거리가 크게 되도록 외주면이 형성된 것이면 된다. 왜냐하면, 이러한 형상이라면, 부품공차에 의해 폴의 외측톱니와 래칫 플레이트의 내측톱니와의 맞물림 위치가 정규의 목표위치로부터 어긋나더라도, 양 자의 빈틈이 과도하게 커지는 것을 막고, 동시에 캠(170)의 역회전을 회피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상기 형태예와 같이 캠(170)의 각 지지면(174a, 174c, 175a, 175c)을 제1 경사면 및 제2 경사면으로 구성하지 않고, 일부만(예를 들면, 지지면(174a, 175a))을 제1 경사면 및 제2 경사면으로 구성하고, 다른 지지면(예를 들면, 지지면(174c, 175c))을 종래와 동일한 형상의 지지면으로 구성해도 된다.
그리고, 제1, 제2 경사면을 설치하지 않고, 둘레가장자리형상이 캠(170)의 회전 중심을 중심으로 하는 원호인 면을 지지면(174a, 174c, 175a, 175c)으로서 이용해도 된다. 이 경우, 폴(140, 150)측의 돌출부는 지지면(174a, 174c, 175a, 175c)에 대응하여 한 개 있으면 된다.
그리고 본 형태예를 시트에 설치하는 방법으로서는 시트 쿠션측에 래칫 플레이트(130)를 설치하고, 시트 백측에 베이스 플레이트(100)를 설치해도 된다.
래칫 플레이트(130)이나 베이스 플레이트(100)를 어퍼암이나 로어암에 설치할 때에는, 래칫 플레이트(130)의 결합용 돌기(130a)나 베이스 플레이트(100)의 결합용 돌기(100a)를 어퍼암이나 로어암의 관통공에 끼워 맞춤하고, 그 끼워 맞춤부의 몇 개인가를 용접하고 있다. 이 경우, 용접 강도를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결합용 돌기(130a)나 결합용 돌기(100a)의 수를 증가시키고, 많은 끼워 맞춤부에서 용접하게 된다. 그러나, 결합용 돌기(130a)나 결합용 돌기(100a)를 증가시키는 경우는, 용접의 열(熱) 변형에 의한 장치의 기능장애가 발생하는 일이 있다. 이것을 피하기 위해서는, 래칫 플레이트(130)나 베이스 플레이트(100)상의 결합용 돌기(130a)나 결합용 돌기(100a)와 간섭하지 않는 위치에, 선단이 평탄한 용접용 돌출부를 형성하고, 이 용접용 돌출부를 어퍼암이나 로어암에 맞대어서, 이 부분에서 레이저 용접하면 된다.
그리고, 폴(140, 150)의 수에 대해서도, 1개이어도 되고 3개 이상이어도 되며 캠(170)의 가압도 상기 스파이럴 스프링(191, 195)에 의한 방법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2의 형태예
우선, 제1의 형태예에 대한 특징 부분의 원리도를 도 14에 도시한다. 캠(501)에는 캠(501)의 회전 중심축과 평행인 제1의 평면(503)을 가지는 관통공(505)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조작 샤프트(511)의 외주면에는 조작 샤프트(511)의 회전 중심축에 평행인 제1'의 평면(513)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탄성력 발생부재(521)가 캠(501)의 관통공(505)의 내주면과 조작 샤프트(511)의 외주면을 콘택하면, 캠(501)의 관통공(505)의 제1의 평면(503)과 조작 샤프트(511)의 제1'의 평면(513)이 접촉한다.
이 구성에서는, 탄성력 발생부재(521)가 캠(501)의 관통공(505)의 내주면과 조작 샤프트(511)의 외주면을 콘택하면, 캠(501)의 관통공(505)의 제1의 평면(503)과 조작 샤프트(511)의 제1'의 평면(513)이 접촉함으로써, 캠(501)의 회전평명(지면)과 평행인 평면상에서 제1의 평면(503)과 직교하는 방향(도 14에서 화살표 X방향)에서의, 캠(501)과 조작 샤프트(511)와의 위치결정을 행할 수 있다.
캠(501)의 회전평면과 평행인 평면상에서의 제1의 평면(503)과 직교하는 방향에서의, 캠(501)과 조작 샤프트(511)와의 위치결정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리클라이닝 장치의 조작시의 필링이 향상된다. 또한, 탄성력 발생부재로서는, 예를 들면 금속, 수지로 이루어지는 판 스프링, 코일 스프링, 플레이트 등이 있는데, 이것들 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5 ~ 도 22d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제2의 형태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또한, 이들의 도에 있어서, 제1의 형태예와 대응하는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붙였다. 우선 도 1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형태예의 리클라이닝 장치에서는 시트 쿠션측의 로어암(201)에 베이스 플레이트(100)가 설치되고, 시트 백측의 어퍼암(202)에 래칫 플레이트(130)가 설치된다.
도 16 ~ 도 1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원판형상의 베이스 플레이트(100)에 대해서, 원판형상의 래칫 플레이트(130)를 끼워 맞춤함으로써 양 자는 상태 회전 가능하도록 겹쳐져 있다. 통형상의 장착구(205)는 베이스 플레이트(100)와 래칫 플레이트(130)를 외측으로부터 감싸들어가고, 베이스 플레이트(100)로부터 래칫 플레이트(130)가 분리되는 것을 금지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장착구(205)는 그 일단이 베이스 플레이트(100)의 외주 부분에 결합유지되고, 타단측의 래칫 플레이트 유지부(205a)가 래칫 플레이트(130)를 회전 중심축 방향으로부터 누르고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100) 및 래칫 플레이트(130)의 회전 중심축상의 위치에는, 홀(101), 홀(131)이 형성되어 있고, 이들 홀(101), 홀(131)에 조작 샤프트(120)가 끼워 통해져 있다. 래칫 플레이트(130)의 베이스 플레이트(100)와의 대향면에는 더 17 및 도 1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조작 샤프트(120)를 중심으로 하는 원형상의 오목부(132)가 형성되며, 이 오목부(132)의 내주 벽면에는 내측톱니(133)가 새겨 만들어져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100)상의, 래칫 플레이트(130)의 오목부(132)와의 대향면에도, 도 17 및 도 1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오목부(104)가 형성되고, 도 2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 오목부(104)의 저면에는, 래칫 플레이트(130)를 향하여 한 쌍의 가이드 돌기(105, 106)와, 한 쌍의 가이드 돌기(107, 108)가 돌출 설치되어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100)에 있어서의 래칫 플레이트(130)측과는 반대측의 면에는, 시트 쿠션측의 로어암(201)에 설치하기 위한 복수개의 결합용 돌기(100a)가, 홀(101)을 중심으로 하는 동일 원주상에 등간격으로 배설되어 있다. 래칫 플레이트(130)에 있어서의 베이스 플레이트(100)측과는 반대측의 면에도, 시트 백측의 어퍼암(202)에 설치하기 위한 복수개의 결합용 돌기(103a)가, 홀(131)을 중심으로 하는 동일 원주상에 등간격으로 배설되어 있다.
폴(140)은 래칫 플레이트(130)의 내측톱니(133)에 톱니 끝원의 반경방향으로부터 결합 및 해제 가능한 외측톱니(141)를 전단면측에 가지는 것으로서, 도 2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가이드 돌기(105, 106)의 가이드면(105a, 106a)에 끼워지고, 래칫 플레이트(130)의 회전 중심축과 직교하는 방향, 즉 내측톱니(133)의 톱니 끝원의 반경방향으로 미끄럼 이동 안내되어 있다.
폴(150)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가이드 돌기(107, 108)의 가이드면(107a, 108a)에 끼워져서 내측톱니(133)의 톱니 끝원의 반경방향으로 미끄럼 이동 안내되고, 전단면측의 외측톱니(151)가 래칫 플레이트(130)의 내측톱니(133)에 맞물림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폴(140, 150)의 후단면(146, 156)측의 공간에는, 조작 샤프트(120)와 함께 회동 가능한 캠(170)이 배치되어 있다.
여기에서, 도 15, 도 22a~d를 이용하여 조작 샤프트(120)와 캠(170)과의 설치구조를 설명한다. 캠(170)에는 조작 샤프트(120)가 헐겁게 끼워지는 단면형상이 타원형 홀(관통공)(171)이 형성되어 있다. 타원형 홀(171)의 내주면에는, 캠(170)의 회전 중심축과 평행인 제1의 평면(171a)과, 제1의 평면(171a)과 평행인 제2의 평면(171b)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캠(170)의 제1의 평면(171a)에는 캠(170)의 회전 중심축을 따라서 형성된 제1의 홈(171c)이, 제2의 평면(171b)에는 캠(170)의 회전 중심축을 따라서 형성된 제2의 홈(171d)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조작 샤프트(120)의 중간부는 단면형상이 타원형이고, 외주면에는 조작 샤프트(120)의 회전 중심축과 평행인 제1'의 평면(120a)과 제1'의 평면(120a)과 평행인 제2'의 평면(120b)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조작 샤프트(120)의 베이스 플레이트(100)의 홀(101)으로부터 외부로 돌출한 부분에는 베이스 플레이트(100)의 홀(101)의 지름보다 큰 지름의 플랜지(flange)(120c)가 형성되고, 조작 샤프트(120)의 베이스 플레이트(100)로부터 래칫 플레이트(130) 방향으로의 탈락방지가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조작 샤프트(120)의 중간부에는 탄성력 발생부재로서의 스프링 플레이트(301)가 설치되어 있다. 이 스프링 플레이트(301)에는 조작 샤프트(120)의 외주면으로서, 캠(170)의 타원형 홀(171)의 내주면과 대향하는 부분 이외의 개소에 설치되는 유지부(303)와, 유지부(303)에 연달아 설치되고, 캠(179)의 타원형 홀(171)의 내주면과 조작 샤프트(120)의 외주면에 콘택하는 탄성력 발생부(305)로 대별된다.
유지부(303)는 조작 샤프트(120)의 제1'의 평면(120a)과 제2'의 평면(120b)와의 사이의 주면(120d)에 대향하는 기부(311)와, 기부(311)의 한 쪽의 단부의 연달아 설치되고, 조작 샤프트(120)의 제1'의 평면(120a)에 콘택하는 제1의 콘택부(313)와, 기부(311)의 다른 쪽의 단부에 연달아 설치되고, 조작 샤프트(120)의 제2'의 평면(120b)에 콘택하는 제2의 콘택부(315)로 이루어져 있다.
제1의 콘택부(313)에는 제1의 홈(171c)에 삽입되고, 선단으로 감에 따라서 제1의 홈(171c)의 폭방향의 폭이 점차 좁아지는 형상의 제1의 가이드부(321)가 설치되고, 제2의 콘택부(315)에는 조작 샤프트(120)의 제2'의 평면(120b)에 콘택한 상태에서, 제2의 홈(171d)에 삽입되고, 선단으로 감에 따라서 제2의 홈(171d)의 폭방향의 폭이 점차 좁아지는 형상의 제2의 가이드부(323)와, 제2의 가이드부(323)의 기단부측이 180도 되접어져 제2의 홈(171d)에 삽입되고, 제2의 홈(171d)의 저면에 콘택하고, 제2의 가이드부(323)와 협동하여 캠(170)의 타원형 홀(171)의 제1의 평면(171a)과 조작 샤프트(120)의 제1'의 평면(120a)을 접촉시키는 스프링부(325)가 설치되어 있다. 즉, 제2의 가이드부(323)와 스프링부(325)로 탄성력 발생부(305)가 구성되어 있다.
다음에, 본 형태예에서의 조작 샤프트(120)와 캠(170)과의 조합 방법을 설명한다. 맨 처음에, 캠(170)의 타원형 홀(171)에 조작 샤프트(120)를 헐겁게 끼운다. 다음에, 조작 샤프트(120)의 외주면으로, 캠(170)의 타원형 홀(171)의 내주면과 대향하는 부분 이외의 개소에, 스프링 플레이트(301)의 유지부(303)를 설치하고, 가유지한다. 그리고, 조작 샤프트(120)를 따라서 스프링 플레이트(301)를 이동하고, 제1의 가이드부(321)를 캠(170)의 제1의 홈(171c)에, 제2의 가이드부(323), 스프링부(325)(탄성력 발생부(305))를 캠(170)의 제2의 홈(171d)에 삽입한다.
삽입해 가면, 제1의 가이드부(321), 제2의 가이드부(323)는 선단으로 감에 따라서 제1의 홈(171c), 제2의 홈(171d)의 폭방향의 폭이 점차 좁아지는 형상이기 때문에, 제1의 가이드부(321), 제2의 가이드부(323)가 제1의 홈(171c), 제2의 홈(171d)의 측벽면에 미끄럼 이동하면, 스프링 플레이트(301)에는, 유지부(303)의 기부(311)가 조작 샤프트(120)의 외주면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힘이 작용한다.
유지부(303)의 기부(311)가 조작 샤프트(120)의 외주면에 접촉함으로써, 캠(170)의 회전평면과 평행인 평면상에서 제1의 평면(171a)과 평행인 방향에서의, 캠(170)과 조작 샤프트(120)와의 위치결정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탄성력 발생부(305)의 제2의 가이드부(323)가 조작 샤프트(120)의 제2'의 평면(120b)(조작 샤프트(120)의 외주면)을 콘택하고, 스프링부(325)가 캠(170)의 제2의 홈(171d)의 저면(캠(170)의 타원형 홀(171)의 내주면)을 콘택한다. 이에 따라, 캠(170)의 타원형 홀(171)의 제1의 평면(171a)과 조작 샤프트(120)의 제1'의 평면(120a)이 접촉함으로써, 캠(170)의 회전평면(지면)과 평행인 평면상에서 제1의 평면(171a)과 직교하는 방향(도 15에 있어서 화살표 X방향)에서의, 캠(170)과 조작 샤프트(120)와의 위치결정이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조작 샤프트(120)와 캠(170)이 상대회전 불가능한 상태로 끼워 맞춤하고, 캠(170)은 조작 샤프트(120)와 함께 회전하게 된다.
폴(140, 150) 및 캠(170)은 동일한 판두께로 형성되며, 베이스 플레이트(100)의 동일 평면상에 배치되어 있다. 캠(170)에는, 캠(170)의 회전시에 폴(140, 150)의 후단면(146, 156)을 가압하고 폴(140, 150)의 외측톱니(141, 151)를 래칫 플레이트(130)의 내측톱니(133)에 맞물리게 하기 위한 경사 캠면(174b, 175b)이 설치되어 있다. 이 기능을 발휘하기 위하여, 경사 캠면(174b, 175b)의 경사방향은, 캠(170)이 록크시 회전방향으로 회전하면, 경사 캠면(174b, 175b)과 폴(140, 150)의 후단면(146, 156)과의 접촉점이 캠(170)의 회전 중심(O)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캠(170)에는 이 경사 캠면(174b, 175b)보다도 캠(170)의 록크시 회전방향(도 21에 있어서의 반시계방향)에 있어서의 전측에 위치함과 동시에, 폴(140, 150)의 외측톱니(141, 151)와 래칫 플레이트(130)의 내측톱니(133)와의 맞물림시에는 폴(140, 150)의 후단면(146, 156)의 단부(캠(170)의 록크시 회전방향에 있어서의 전측 부분)에 빈틈을 통하여 대향하는 지지면(174a, 175a)이 설치되어 있다. 이 지지면(174a, 175a)은 래칫 플레이트(130)로부터 폴(140, 150)에 도 21에 있어서의 반시계방향의 하중이 더해졌을 때에는, 폴(140, 150)의 후단면(145, 156)의 단부에 접촉하여 이것을 지지하고, 더 이상의 폴(140, 150)의 기울기를 금지하는 것이다.
그리고 캠(170)에는 이 경사 캠면(174b, 175b)보다도 캠(170)의 록크시 회전방향에 있어서의 후측에 위치함과 동시에, 폴(140, 150)의 외측톱니(141, 151)와 래칫 플레이트(130)의 내측톱니(133)와의 맞물림시에는 폴(140, 150)의 후단면(146, 156)의 단부(캠(170)의 록크시 회전방향에 있어서의 후측 부분)에 대향하는 지지면(174c, 175c)이 설치되어 있다. 이 지지면(174c, 175c)은 래칫 플레이트(130)로부터 폴(140, 150)에 도 21에 있어서의 시계방향의 하중이 더해졌을 때에는, 폴(140, 150)의 후단면(146, 156)의 단부에 접촉하여 이것을 지지하고, 더 이상의 폴(140, 150)의 기울기를 금지하는 것이다.
폴(140, 150)의 래칫 플레이트(130)측의 면에는 캠 홈(144 ,154)이 형성되어 있다(본 형태예에서는 캠 홈(144, 154)은 베이스 플레이트(100)측의 면까지 관통한 홀이 되어 있다). 그리고, 릴리스수단을 구성하는 릴리스 플레이트(180)는 그 한 쪽 면이 폴(140, 150) 및 캠(170)과 겹치고, 다른 쪽 면이 래칫 플레이트(130)에 미끄럼 이동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릴리스 플레이트(180)의 중앙부에는 조작 샤프트(120)가 끼워 통하는 홀(181)이 천공 설치되어 있다.
도 20 및 도 2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캠(170)에는 래칫 플레이트(130)측에 우뚝 솟아 나온 돌기(176, 177)가 형성되어 있고, 이 돌기(176, 177)가 릴리스 플레이트(180)의 홀(181)의 가장자리부에 형성되고 반경방향으로 연출하는 작고 긴 홀(182, 183)에 끼워 맞춤되어 있다. 그래서, 캠(170)과 릴리스 플레이트(180)와는 연동하여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도 17 및 도 2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릴리스 플레이트(180)의 회전단부에는 캠 홈(144, 154)에 결합하는 돌기(183, 184)가 프레스 성형 등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캠 홈(144, 154)의 형상은 릴리스 플레이트(180)가 도 20에 있어서의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캠 홈(144, 154)과 돌기(183, 184)와의 상호작용에 의해 폴(140, 150)을 캠(170)의 회전 중심측에 강제적으로 이동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도 20 및 도 2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가압수단으로서의 스파이럴 스프링(191, 195)은 내단이 베이스 플레이트(100)의 후크(111, 112)에 걸어 고정되고, 외단이 캠(170)의 단부(178, 179)에 걸어 고정된 것으로, 캠(170)이 폴(140, 150)의 후단면(146, 156)을 누르도록 캠(170)을 회동가압하는 것이다.
상기 구성의 리클라이닝 장치의 작동을 설명한다. 록크 상태에서는 스파이럴 스프링(191, 195)의 가압력에 의해, 캠(170)이 폴(140, 150)의 후단면(146, 156)을 누르고, 폴(140, 150)의 외측톱니(141, 151)가 래칫 플레이트(130)의 내측톱니(133)에 맞물린 상태에 있고, 래칫 플레이트(시트 백)(130)의 회전이 금지되어 있다.
록크 상태에 있어서, 스파이럴 스프링(191, 195)의 가압력에 대항하여 조작 샤프트(120)를 도 21에 있어서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캠(170)도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캠(170)의 폴(140, 150)의 후단면(146, 156)으로의 가압이 해제됨과 동시에, 릴리스 플레이트(180)의 돌기(183, 184)가 폴(140, 150)의 캠 홈(144, 154)의 경사벽면에 미끄럼 접촉하고, 폴(140, 150)의 외측톱니(141, 151)가 래칫 플레이트(130)의 내측톱니(133)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폴(140), 폴(150)이 후퇴하고, 폴(140, 150)의 외측톱니(141, 151)와 래칫 플레이트(130)의 내측톱니(133)와의 맞물림이 해제되고, 래칫 플레이트(시트 백)(130)은 경사이동 가능하게 된다(언록크 상태).
시트 백을 원하는 각도까지 경사이동시키고, 조작 샤프트(120)로의 조작력을 해제하면, 스파이럴 스프링(191, 195)의 가압력에 의해 캠(170)이 폴(140, 150)의 후단면(146, 156)을 누르고, 폴(140, 150)의 외측톱니(141, 151)가 래칫 플레이트(130)의 내측톱니(133)에 다시 맞물리고, 래칫 플레이트(시트 백)(130)의 회전이 금지된 상태로 복귀한다.
이러한 형태예의 구성에 따르면, 이하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1)스프링 플레이트(301)의 탄성력 발생부(제2의 가이드부(323)와 스프링부(325))(305)에 의해 캠(170)의 타원형 홀(171)의 평면(171a)과 조작 샤프트(120)의 제1'의 평면(120a)이 접촉함으로써, 캠(170)의 회전평면과 평행인 평면상에서 제1의 평면(171a)과 직교하는 방향에서의, 캠(170)과 조작 샤프트(120)와의 위치결정을 행할 수 있다.
탄성력 발생부(305)의 제2의 가이드부(323)가 조작 샤프트(120)의 제2'의 평면(120b, 조작 샤프트(120)의 외주면)을 콘택하고, 스프링부(325)가 캠(170)의 제2의 홈(171d)의 저면(캠(170)의 타원형 홀(171)의 내주면)을 콘택한다. 이에 따라, 캠(170)의 타원형 홀(171)의 제1의 평면(171a)과 조작 샤프트(120)의 제1'의 평면(120a)이 접촉함으로써, 캠(170)의 회전평면(지면)과 평행인 평면상에서의 제1의 평면(171a)과 직교하는 방향(도 15에 있어서 화살표 X방향)에서의, 캠(170)과 조작 샤프트(120)와의 위치결정을 행할 수 있다.
즉, 조작 샤프트(120)의 회전 중심축과 캠(170)의 회전 중심축을 일치시킬 수 있고, 리클라이닝 장치의 조작시의 필링이 보다 향상된다.
(2)스프링 플레이트(301)에 유지부(303)를 설치함으로써, 맨 처음에 스프링 플레이트(301)의 유지부(303)를 조작 샤프트(120)에 가유지하고, 이어서 스프링 플레이트(301)를 조작 샤프트를 따라서 이동시킴으로써, 제1의 가이드부(321)를 캠(170)의 제1의 홈(171c)에, 제2의 가이드부(323), 스프링부(325, 탄성력 발생부(305))를 캠(170)의 제2의 홈(171d)에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다.
그리고, 이 제2의 형태예에 있어서도, 제1의 형태예의 경우와 동일한 변형이 가능하고, 본 발명은 제2의 형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Claims (9)

  1. 베이스 플레이트에 대해서 회전 가능하게 겹쳐진 래칫 플레이트와,
    상기 래칫 플레이트의 회전 중심축상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 조작 샤프트와,
    상기 래칫 플레이트의 베이스 플레이트와의 대향면에, 상기 조작 샤프트를 중심으로 원형상으로 형성된 오목부와,
    상기 오목부의 내주 벽면에 형성된 내측톱니와,
    상기 오목부에 배치되고, 전단면측에는 상기 내측톱니에 톱니 끝원의 반경방향으로부터 결합 및 해제 가능한 외측톱니가 형성된 폴(pole)과,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설치되고, 상기 폴을 반경방향으로 미끄럼 이동 안내하는 가이드 돌기와,
    상기 폴의 후단면측의 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조작 샤프트와 함께 회전해서 상기 폴의 후단면을 가압 가능한 캠과,
    상기 폴의 외측톱니가 래칫 플레이트의 내측톱니에 맞물리는 방향으로, 상기 캠을 가압하는 가압수단과,
    적어도 상기 래칫 플레이트측에 개구하도록 상기 폴에 형성된 캠 홈과,
    상기 폴 및 캠과 래칫 플레이트와의 사이에, 상기 캠과 함께 회전하도록 배치되고, 그 회전단부에는 상기 캠 홈에 결합하는 돌기가 설치된 릴리스 플레이트로서, 상기 가압수단의 가압력에 대항하여 상기 조작 샤프트를 회전시키면, 상기 캠 홈과 돌기와의 상호작용에 의해 상기 폴을 캠의 회전 중심측에 강제적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폴의 외측톱니를 래칫 플레이트의 내측톱니로부터 이탈시키는 릴리스 플레이트를 구비한 리클라이닝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에 폭방향으로 배설된 외측톱니 내부, 중앙부에 배설된 외측톱니가 양 단부에 배설된 외측톱니의 치형에 비하여 음의 전위(-전위)로 형성된 치형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클라이닝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상에 제공된 가이드 돌기는 중실이고 상기 가이드 돌기의 이면측은 평평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클라이닝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캠에는,
    상기 캠의 회전시에 폴의 후단면을 가압하고 상기 폴의 외측톱니를 래칫 플레이트의 내측톱니에 맞물리게 하는 경사 캠면과,
    상기 경사 캠면보다도 상기 가압수단에 의한 캠의 회전방향에 있어서의 전측이나 후측의 적어도 어느 한 쪽에 위치함과 동시에, 상기 폴의 외측톱니와 래칫 플레이트의 내측톱니와의 맞물림시에는 상기 폴의 후단면 단부에 대향하고, 상기 래칫 플레이트로부터 상기 폴에 회전방향의 하중이 더해졌을 때에는 상기 폴의 후단면 단부를 지지하는 지지면이 설치되고,
    상기 지지면은 상기 경사 캠면과 같은 방향으로 경사한 제1 경사면과 경사 캠면과 역방향으로 경사한 제2 경사면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폴의 후단면 단부에는 상기 제1 경사면과 접촉 가능한 제1 돌출부와, 상기 제2 경사면과 접촉 가능한 제2 돌출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클라이닝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캠의 제1 경사면과 상기 폴의 제1 돌출부와의 빈틈이, 폴의 외측톱니와 래칫 플레이트의 내측톱니와의 맞물림 위치의 전후에 있어서, 일정하도록 캠의 경사 캠면의 형상 및 제1 경사면의 형상을 선택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클라이닝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의 외측톱니가 상기 래칫 플레이트의 내측톱니로부터 이탈하도록 캠을 회전시키면, 상기 캠의 회전 중심측에 끌려 들어간 폴의 폴 스토퍼면이 캠의 캠 스토퍼면에 접촉하여 상기 캠의 더 이상의 회전을 금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클라이닝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샤프트의 외주면에는 조작 샤프트의 회전 중심축과 평행인 제1'의 평면이 설치되고,
    상기 캠에는 조작 샤프트가 헐겁게 끼워지고, 내주면에 상기 캠의 회전 중심축과 평행인 제1의 평면이 형성된 관통공이 설치되고,
    상기 캠의 관통공의 내주면과, 상기 관통공에 헐겁게 끼워진 조작 샤프트의 외주면과의 사이에는 상기 관통공의 내주면과 조작 샤프트의 외주면에 콘택하고, 상기 캠의 관통공의 제1의 평면과 조작 샤프트의 제1'의 평면을 접촉시키는 탄성력 발생부재가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클라이닝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력 발생부재는,
    상기 조작 샤프트의 외주면으로서, 상기 캠의 관통공의 내주면과 대향하는 부분 이외의 개소에 설치되는 유지부와,
    상기 유지부에 연달아 설치되고 상기 캠의 관통공의 내주면과 조작 샤프트의 외주면에 콘택하는 탄성력 발생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클라이닝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캠의 관통공의 단면형상은 내주면에 제1의 평면과 상기 제1의 평면과 평행인 제2의 평면이 형성된 타원형상이고,
    상기 조작 샤프트의 단면형상은 외주면에 상기 제1'의 평면과 상기 제1'의 평면과 평행인 제2'의 평면이 형성된 타원형상이고,
    더욱이, 상기 캠의 제1의 평면에는 캠의 회전 중심축을 따라서 형성된 제1의 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2의 평면에는 캠의 회전 중심축을 따라서 형성된 제2의 홈이 형성되고,
    또한, 상기 탄성력 발생부재의 유지부는,
    조작 샤프트의 제1'의 평면과 제2'의 평면과의 사이의 주면에 대향하는 기부와, 상기 기부의 한 쪽의 단부에 연달아 설치되고, 상기 조작 샤프트의 제1'의 평면에 콘택하는 제1의 콘택부와, 상기 기부의 다른 쪽의 단부에 연달아 설치되고, 상기 조작 샤프트의 제2'의 평면에 콘택하는 제2의 콘택부로 이루어지고,
    더욱이, 상기 제1의 콘택부에는 제1의 홈에 삽입되고, 선단으로 감에 따라서 제1의 홈에 폭방향의 폭이 점차 좁아지는 형상의 제1의 가이드 돌기부가 설치되고,
    상기 제2의 콘택부에는, 상기 조작 샤프트의 제2'의 평면에 콘택한 상태에서, 상기 제2의 홈에 삽입되고, 선단으로 감에 따라서 상기 제2의 홈의 폭방향의 폭이 점차 좁아지는 형상의 제2의 가이드 돌기부와, 상기 제2의 홈에 삽입되고, 상기 제2의 홈의 저면에 콘택하고, 상기 제2가이드 돌기부와 협동하여 상기 캠의 관통공의 제1의 평면과 상기 조작 샤프트의 제1'의 평면을 접촉시키는 스프링부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클라이닝 장치.
KR1020077008668A 2004-10-29 2005-10-27 리클라이닝 장치 KR10087174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0)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316071A JP4777635B2 (ja) 2004-10-29 2004-10-29 リクライニング装置
JPJP-P-2004-00316071 2004-10-29
JPJP-P-2005-00113716 2005-04-11
JP2005113717A JP4763330B2 (ja) 2005-04-11 2005-04-11 リクライニング装置
JP2005113716A JP4824938B2 (ja) 2005-04-11 2005-04-11 リクライニング装置
JPJP-P-2005-00113717 2005-04-11
JPJP-P-2005-00117156 2005-04-14
JP2005117156A JP4824939B2 (ja) 2005-04-14 2005-04-14 リクライニング装置
JPJP-P-2005-00149174 2005-05-23
JP2005149174A JP4824945B2 (ja) 2005-05-23 2005-05-23 リクライニング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69167A KR20070069167A (ko) 2007-07-02
KR100871745B1 true KR100871745B1 (ko) 2008-12-05

Family

ID=362278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08668A KR100871745B1 (ko) 2004-10-29 2005-10-27 리클라이닝 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7722121B2 (ko)
EP (1) EP1806072B1 (ko)
KR (1) KR100871745B1 (ko)
CN (1) CN102897061A (ko)
CA (1) CA2582891C (ko)
DE (1) DE602005023894D1 (ko)
HK (1) HK1109036A1 (ko)
WO (1) WO2006046653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7505B1 (ko) 2012-12-24 2014-07-22 주식회사다스 차량용 시트의 리클라이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043367B2 (ja) * 2006-05-25 2012-10-10 シロキ工業株式会社 リクライニング装置
JP2008247187A (ja) * 2007-03-30 2008-10-16 Aisin Seiki Co Ltd 車両用シート装置
JP2009072413A (ja) * 2007-09-21 2009-04-09 Aisin Seiki Co Ltd 車両用シートリクライニング装置
CA2711966C (en) * 2008-01-17 2016-05-17 Fisher Dynamics Corporation Round recliner mechanism
DE202008003706U1 (de) 2008-03-15 2009-07-30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ommanditgesellschaft, Coburg Beschlag
JP5309665B2 (ja) 2008-04-08 2013-10-09 トヨタ紡織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の連結装置
DE102010053525B3 (de) 2010-12-01 2012-03-08 Keiper Gmbh & Co. Kg Beschlag und Fahrzeugsitz
JP5434968B2 (ja) 2011-06-13 2014-03-05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リクライニング装置
WO2012174644A1 (en) 2011-06-20 2012-12-27 Magna Seating Inc. Disc recliner with internal leaf springs
CH705321A1 (de) * 2011-07-19 2013-01-31 Alstom Technology Ltd Lötfolie zum Hochtemperaturlöten und Verfahren zum Reparieren bzw. Herstellen von Bauteilen unter Verwendung dieser Lötfolie.
DE102011108976B4 (de) * 2011-07-26 2015-03-12 Johnson Controls Components Gmbh & Co. Kg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Lageranordnung und Beschlag für einen Fahrzeugsitz mit einer hiernach hergestellten Lageranordnung
US20130076094A1 (en) * 2011-09-27 2013-03-28 Imasen Electric Industrial Co., Ltd. Reclining apparatus
US9296315B2 (en) 2013-02-26 2016-03-29 Fisher & Company, Incorporated Recliner mechanism with backdriving feature
US9902297B2 (en) 2014-06-11 2018-02-27 Fisher & Company, Incorporated Latch mechanism with locking feature
JP6682300B2 (ja) * 2016-03-04 2020-04-15 シロキ工業株式会社 シートリクライニング装置
US10611273B2 (en) * 2017-10-09 2020-04-07 Faurecia Automotive Seating, Llc Recliner system for a vehicle seat
CN113382887B (zh) 2019-01-25 2023-09-22 麦格纳座椅公司 用于在机动车辆中使用的盘式斜倚器机构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10269A (ja) * 2001-12-24 2003-07-29 Faurecia Sieges D'automobile Sa 車両座席用ヒンジ機構及びそのようなヒンジ機構を取り付けた座席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87885A (en) * 1977-07-05 1978-05-09 Rockwell International Corporation Adjustable hinge
JP3080136B2 (ja) * 1995-07-31 2000-08-21 池田物産株式会社 内歯式リクライニングデバイス
JPH1146914A (ja) * 1997-08-08 1999-02-23 Ikeda Bussan Co Ltd 両側リクライニング装置
JP3931404B2 (ja) * 1997-12-02 2007-06-13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シートリクライニング装置
JP4552293B2 (ja) * 2000-08-30 2010-09-29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リクライニング装置
JP3741607B2 (ja) * 2000-12-12 2006-02-01 日本発条株式会社 リクライニング装置
JP3804453B2 (ja) * 2001-01-19 2006-08-02 トヨタ紡織株式会社 リクライニング装置
DE10102860A1 (de) * 2001-01-23 2002-08-01 Keiper Gmbh & Co Beschlag für einen Fahrzeugsitz
FR2832675B1 (fr) * 2001-11-27 2004-07-02 Faurecia Sieges Automobile Siege de vehicule equipe d'un mecanisme d'articulation
JP3991780B2 (ja) * 2002-06-19 2007-10-17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シートリクライニング装置
FR2842770B1 (fr) * 2002-07-25 2004-10-08 Faurecia Sieges Automobile Mecanisme d'articulation pour siege de vehicule et siege de vehicule equipe d'un tel mecanism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10269A (ja) * 2001-12-24 2003-07-29 Faurecia Sieges D'automobile Sa 車両座席用ヒンジ機構及びそのようなヒンジ機構を取り付けた座席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7505B1 (ko) 2012-12-24 2014-07-22 주식회사다스 차량용 시트의 리클라이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80093903A1 (en) 2008-04-24
CN102897061A (zh) 2013-01-30
EP1806072B1 (en) 2010-09-29
EP1806072A4 (en) 2009-06-17
WO2006046653A1 (ja) 2006-05-04
DE602005023894D1 (de) 2010-11-11
CA2582891C (en) 2010-01-19
EP1806072A1 (en) 2007-07-11
CA2582891A1 (en) 2006-05-04
US7722121B2 (en) 2010-05-25
KR20070069167A (ko) 2007-07-02
HK1109036A1 (en) 2008-05-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71745B1 (ko) 리클라이닝 장치
US7100987B2 (en) Reclining vehicle seat hinge assembly
US10112507B2 (en) Seat reclining apparatus
US6609756B2 (en) Seat reclining device for vehicle
CN100560403C (zh) 具有记忆的盘式倾斜器
US8042872B2 (en) Recliner for vehicle seats
US7416255B2 (en) Seat reclining apparatus for vehicle
EP1552769B1 (en) Reclining device and method of locking the device
KR20090067204A (ko) 회전 리클라이너 메커니즘
US20060170269A1 (en) Recliner adjuster
US20120001471A1 (en) Anti-Backdrive For Continuous Disc Recliner
JP3284081B2 (ja) 車両座席用ヒンジ
JP2004516915A (ja) 車両座席用の取り付け具
US9079517B2 (en) Dual cam recliner
JP2009066410A (ja) 自動車シートチルト調節機構
US9139113B2 (en) Round recliner for vehicle seat
US20080211285A1 (en) Reclining device
JP4595256B2 (ja) シートリクライニング装置
CN111231786A (zh) 用于车辆座椅的倾斜装置
JP2015504818A (ja) 車両シート用継手及び車両シート
JP4763330B2 (ja) リクライニング装置
JP4824938B2 (ja) リクライニング装置
JP4824945B2 (ja) リクライニング装置
JP2007082928A (ja) 継手装置
JP7240581B2 (ja) シート回転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7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