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68990B1 - 패널체를 구비한 전자기기 - Google Patents
패널체를 구비한 전자기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868990B1 KR100868990B1 KR1020027016574A KR20027016574A KR100868990B1 KR 100868990 B1 KR100868990 B1 KR 100868990B1 KR 1020027016574 A KR1020027016574 A KR 1020027016574A KR 20027016574 A KR20027016574 A KR 20027016574A KR 100868990 B1 KR100868990 B1 KR 10086899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anel
- electronic device
- panel body
- support
- panel portio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33/00—Constructional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11B33/02—Cabinets; Cases; Stands; Disposition of apparatus therein or thereon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33/00—Constructional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11B33/12—Disposition of constructional parts in the apparatus, e.g. of power supply, of modules
- G11B33/121—Disposition of constructional parts in the apparatus, e.g. of power supply, of modules the apparatus comprising a single recording/reproducing device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7/00—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 G11B17/02—Details
- G11B17/04—Feeding or guiding single record carrier to or from transducer unit
- G11B17/0401—Details
- G11B17/0402—Servo control
- G11B17/0404—Servo control with parallel drive rollers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7/00—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 G11B17/02—Details
- G11B17/04—Feeding or guiding single record carrier to or from transducer unit
- G11B17/0401—Details
- G11B17/0405—Closing mechanism, e.g. door
Landscapes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패널부의 분리를 용이하고도 재빠르게 행하도록 한다. 전자기기는, 조작면 또는 표시면을 가지는 패널부(3A)와, 당해 패널부가 분리가능한 상태에서 패널부(3B)에 부착되는 것으로 구성되는 패널체(3)를 구비하고 있다. 패널부(3B)의 자세를 변화시키기 위한 구동기구를 설치하는 동시에, 패널부(3A)의 분리위치에서는, 패널부(3B)의 자세가 기기의 바로 앞측으로 기울어진 상태가 되도록 규정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조작버튼면 또는 표시면을 가지는 탈착(脫着)가능한 패널부를 구비한 전자기기에 있어서, 패널부의 분리를 용이하게 행하도록 하기 위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복수의 조작키를 배치한 조작면이나, 복수의 표시소자를 배치한 표시면이, 패널체(조작패널)에 설치된 전자기기가 알려져 있으며, 예를 들면, 카세트 재생기, 광학식디스크 재생기 등의 음향장치나 영상장치를 들 수 있다.
그리고, 조작면이나 표시면을 가진 패널부가 탈착가능한 상태에서 패널체에 부착되도록 구성한 것이 알려져 있다.
그런데, 패널체의 조작면이나 표시면에 다수의 조작 스위치 등을 설치함에 있어서, 패널의 면적이 제한될 경우, 종래의 장치에서는, 스위치나 표시소자 등의 수를 줄이든지 또는 패널 크기를 크게 하지 않으면 안된다는 문제가 있다.
또, 종래의 장치에 있어서 패널부의 분리에 대한 충분한 배려가 이루어져 있지 않기 때문에, 패널체로부터 패널부를 분리하기 어려웠다는 문제가 있다.
예를 들면, 차탑재용기기(음향기기나 영상장치)에서는, 조작면이나 표시면의 크기가 소정 크기(예를 들면, 180mm×50mm)로 제한되므로, 일정 범위의 영역내에 필요한 조작버튼이나 표시소자를 짜 넣을 필요가 있다. 그 결과, 좁은 배치가 되어 버리고, 설계상의 제약을 가져오는 원인으로 된다. 예를 들면, 조작성이 좋은 크기의 조작버튼 및 시인성(視認性)이 좋은 크기의 표시소자에 대해서, 그 양쪽을 정해진 범위내에 짜 넣기 위해서는, 조작버튼 등의 크기와 조작면 등의 크기와의 사이에서 균형을 고려하지 않으면 안되고, 설계의 자유도가 줄어져 버린다.
또, 차탑재용기기(음향기기 등)와 같이, 좁은 장소에서 분리작업을 수행할 필요가 있거나, 혹은 서두르고 있을 때 등에 있어서 당해 작업을 간단하게 행할 수 없다는 번잡성이 있으며, 장치의 사용 편리성이 좋지 않다. 또, 패널부의 추출방향으로 장애물이 존재하지 않는 것이 필요하며, 기기의 설치장소가 제약을 받는다는 불편함이 발생한다.
본 발명은, 조작면이나 표시면에 대해서 실질적인 확대를 도모하는 것으로, 조작면이나 표시면에 대해서의 제약을 극복하고, 또 패널부를 분리하기 쉽게 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지지부(支持部)의 표리 양면에, 조작면 또는 표시면을 가지는 패널부를 각각 설치함과 동시에, 당해 패널부의 한쪽 또는 양쪽이 상기 패널체에 대해서 분리가 자유로운 상태에서 부착되도록 구성한 것이다. 그리고, 조작면 또는 표시면을 가지는 패널부와, 당해 패널부가 분리가능한 상태에서 지지부에 부착되도록 구성되는 패널체를 구비해 놓고, 지지부의 자세를 변화시키기 위한 구동기구를 설치함과 동시에, 패널부의 분리위치에서 지지부가 기기의 바로 앞측으로 기울어진 상태로 규정되도록 구성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지지부의 표리에 패널부를 각각 부착한 구성을 이용함으로써, 각 패널부에 대해서 조작면이나 표시면을 각각 설치하는 것으로, 종래에 비해 2배의 면적을 활용할 수 있다. 그리고, 패널부의 분리가 가능하도록 구성하는 것으로, 설계상의 자유도가 증가하는 동시에, 당해 패널부를 분리했을 경우에 있어서 장치의 외관이 패널이 없는 상태로서 인식되므로, 방범대책으로서도 유효하며, 또, 패널부를 분리할 때에, 그 지지부의 자세가 기기의 바로 앞측으로 기울어진 상태로 되므로, 패널부를 지지부로부터 용이하고도 신속하게 분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계되는 전자기기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2는, 본체부와 패널체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4와 함께 패널부를 도시한 것이며, 본 도면은 한쪽의 패널부를 도시한다.
도 4는, 분리가능한 패널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6과 함께 패널부(3A)의 부착에 대해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본 도면은 패널부(3B)의 이면을 도시한다.
도 6은, 패널부(3A)의 이면을 전방으로부터 투시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8과 함께, 패널부(3B)에 대한 패널부(3A)의 부착에 대해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본 도면은 부착 직전의 상태를 도시한다.
도 8은, 부착 후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결합축과 후크부재와의 결합관계에 대해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도 11 내지 도 16과 함께, 패널체의 구동기구에 대해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본 도면은 구동캠과 그 검출수단을 도시한다.
도 11은, 패널체와 그 구동 암(arm)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2는, 패널체가 닫혀진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패널체가 열려진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도 15 및 도 16과 함께, 패널부(3A)를 분리할 경우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본 도면은 패널부가 분리위치로 와 있는 상태를 도시한다.
도 15는, 패널부(3A)를 추출하는 모양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6은, 패널부(3A)의 분리후에 패널부(3B)가 닫힘(CLOSE) 위치로 되돌아온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7은, 패널체를 열어 패널부(3B)를 사용하는 순서 예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18은, 패널체를 분리위치에서의 자세로 하여, 패널부(3A)를 분리하는 순서 예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본 발명은, 패널체를 구비한 전자기기에 관한 것이며, 패널체의 표리양면에는, 조작 또는 표시면을 가지는 패널부가 각각 설치되고, 당해 패널부가 분리가능한 상태에서 지지부(지지 프레임 혹은 베이스부)에 부착되게 구성되는 패널체를 구비하고 있다.
도 1 내지 도 18은, 본 발명을, 차탑재용 음향기기(광학식디스크 재생기 등)에 적용한 예를 도시하고 있지만, 여기에 한정하지 않고, 각종의 장치에 널리 적용할 수 있다. 또, 패널체의 표리양면에, 조작 또는 표시면을 가지는 패널부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2개의 패널부를 가지고 있다.)
도 1은 전자기기(1)의 정면도이며, 본체부(2)와 패널체(3)를 구비하고 있다.(또한, 이 도 1은, 패널체(3)가 본체부(2)로부터 열린 상태의 후술하는 도 13에서 도시하는 측면의 상태, 즉 제 2의 위치에 있다.)
본체부(2)의 전면판(2a)에는, 디스크형 기록매체에 대한 삽탈구(揷脫口)(4a)가 설치되는 동시에, 원격조작장치의 원격명령의 수신부(4b) 등이 설치되어 있다.
패널부(3B)의 표면중, 조작면(5)에는 다수의 조작버튼이 배치되어 있다. 즉, 조작면(5)의 긴쪽방향에 있어서의 좌우양단 근처의 위치에는 조작부(6, 7)가 각각 배치되며, 도면의 좌측에 위치한 조작부(6)는 다수의 조작버튼(6a, 6a,...)으로 구성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도면의 우측에 위치된 조작부(7)는 다수의 조작버튼(7a, 7a,...)으로 구성되어 있다.
조작부(6, 7)의 사이에는 표시면(8)이 위치하고 있으며, 액정표시장치(LCD) 등이 이용되며, 예를 들면, 시계표시, 음량표시, 곡목이나 주파수 등의 각종 표시를 행한다.
또, 표시면(8)의 아래쪽에는, 조작버튼(9a, 9a,...)이 가로방향으로 일렬로 배치되어 구성되는 조작부(9)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조작부(6)의 좌측에 배치된 조작버튼(10)은, 「닫힘(CLOSE)」용 버튼이다.(그 역할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도 2는, 본체부(2)와 패널체(3)를 측면에서 본 모양을 도시하고 있으며, 본체부(2)에 대해서 패널체(3)가 닫혀진 상태(패널체(3)가 본체부(2)에 밀착한 제 1의 위치에 있다.)로 되어 있다.
본 예에서는, 한쪽의 패널부(3A)만이 분리가능한 상태에서 패널체(3)에 부착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으므로, 패널부(3A)에 대해 패널부(3B)가 지지부를 겸용하고 있지만, 물론, 지지부에 대해서 다른 쪽의 패널부(3B)도 분리가 가능하도록 지지부와 패널부(3B)를 각각 별개의 부재로서 설치하여도 좋다.
도 2의 화살표(B)로 도시하는 방향에서 보았을 경우에, 패널부(3B)를 도시한 것이 도 3이며, 패널체(3)가 닫혀진 상태에서 패널부(3B)를 본체부(2)의 옆에서 보고 있기 때문에, 도 1에 도시한 패널부와는 상하 및 좌우가 반대의 상태로 되어 있다. 또한, 화살표(C)는 본체부(2)의 전면(2a)에 대해서, 패널체(3)가 회동(回動)하여 전도(轉倒)하는 방향을 도시하고 있다.
도 2의 화살표(A)로 도시하는 방향에서 보았을 경우에, 패널부(3A)를 도시한 것이 도 4이다. 또한, 본 예에서는, 상기 표시면(8)과 동일한 내용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면(11)과, 그 양측에 각각 설치된 표시부(12, 12)(예를 들면, 등화기(equalizer) 표시용의 인디케이터(indicator) 등)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표시면(11)에는 액정표시장치(LCD)가 이용되고 있으며, 이 표시면(11)에 대해서는, 이용자가 보기 쉽도록, 그 크기가 상기 표시면(8)에 비해 크게 되어 있다. 또, 원격조작장치의 원격명령에 대한 수신부(13a)도 설치되어 있다. 패널부(3A)에 대해서는 검은 패널이 사용되고, 전원의 공급시에 있어서 표시소자의 광휘에 의해 표시가 되며, 전원공급이 이루어지지 않을 때나, 패널부(3A)가 분리된 상태에서는 검게 되어 있어 아무것도 보이지 않는 상태가 된다.
패널부(3A)의 좌측상부 위치에 설치된 조작버튼(13b)은, 「열림(OPEN)」용 버튼이다.(그 역할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이상과 같이, 2 개의 패널부(3A, 3B)는, 각각에 조작면과 표시면을 가지고 있으며, 각각이 독립한 패널로서의 기능(즉, 조작버튼의 조작이나 표시)을 가지고 있다.
도 5 및 도 6은, 패널부(3A)의 부착에 대해서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도 5는 지지부의 패널부(3A)와 접하는 면 즉, 패널부(3B)의 이면을 도시하고 있으며, 도 6은 이것에 대응하는 패널부(3A)측의 면을 투시도(패널부(3A)의 이면을 표면측으로부터 투시하여 도시하는 도면)로서 도시한 것이다. 또한, 이러한 도면에 있어서, 「Y」축이 패널부(3A)를 패널부(3B)로부터 분리할 때의 슬라이드 방향을 도시하고 있으며, 이것에 직교하여 각 패널부의 긴쪽방향으로 연장되는 축이 「X」축으로 되고, Y축 및 X축에 직교하여 지면에 수직으로 연장되는 축이 「Z」축으로 된다. 또, 패널부(3A)를 패널부(3B)로부터 분리한 상태에서는, 장치의 외관에 관해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작면이나 표시면이 모두 빠져 있는 상태로 되며, 한번 보아서 어떠한 장치인지를 알 수 없게 되므로, 패널부(3A)를 탈착자재(脫着自在)로 구성하는 것은, 방범의 관점에서도 유효하다.
도 7 및 도 8은, 패널부(3B)에 대해서 패널부(3A)가 부착되는 모양을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으며, 도 7은 부착 직전의 상태를 도시하고, 도 8은 부착 후의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또한, 이들의 도면에 있어서 상기 X, Y, Z축의 설정에 대해서는, Z축이 각 패널부의 두께 방향으로 연장되며, 이것에 직교하는 X축이 각 패널부의 긴쪽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Y축은 지면에 수직으로 연장되는 축이 된다.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패널부(3B)의 긴쪽방향에 있어서의 양단부에는, 판 스프링 등의 탄성체로 형성된 후크(14, 14)가 각각 설치되어 있고, 서로 내측을 향한 상태에서 패널부(3B)의 이면에 부착되어 있다. 이들의 후크의 형상에 대해서는, 도 7,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패널부(3B)의 표시면(11) 등의 측으로 구부려진 부분(14a, 14a)과, 당해 부분으로부터 산 모양으로 굴곡된 결합부(선단부)(14b, 14b)를 가지고 있다.
패널부(3B)의 이면의 중앙으로부터 약간 좌측으로 인접하는 장소에는, 커넥터의 소케트(15a)가 설치되어 있다. 당해 소케트(15a)는, 후술하는 패널부(3A)에 설치된 플러그(19)에 결합되도록 되어 있다.
소케트(15a)의 우측 상부에는 결합축(16)이 이면으로부터 Z축방향으로 돌출하여 설치되어 있으며, 이것은 후술하는 패널부(3A)에 설치된 후크부재(20)에 결합되는 것이다.
패널부(3B)의 이면에 있어서의 도중에는, 결합검출용 스위치(17)가 설치되어 있으며, 당해 스위치에 의해 패널부(3A)가 패널부(3B)에 장착되었는지 아닌지에 관한 검출이 행해진다. 또한, 15b는 패널부(3A) 및 패널부(3B)와 본체부(2)를 접속하고, 본체부(2)로부터 전원공급을 받으며, 데이터를 송수하기 위한 플렉서블(flexible) 인쇄기판이다.
패널부(3A)에 대해서는,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긴쪽방향에 있어서의 양단부에 상기한 후크(14, 14)에 대응하여 가이드(18, 18)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가이드에 대해서는, 도 7,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패널부(3A) 중, 패널부(3B)로의 부착면으로 되는 부분의 측면에 홈(18a, 18a)이 형성되어 있으며, 도 8에 도시하는 상태에서는, 이러한 홈에 상기 후크(14, 14)의 결합부(14b, 14b)가 각각 결합된다.
도 6에 도시한 패널부(3A)의 이면에 있어서, 상기 소케트(15a)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플러그(19)가 설치되어 있고, 당해 플러그는 소케트(15a)와 함께 커넥터(탈착가능한 전기적 접점을 가지는 분리 커넥터(detach connector))를 구성하며, 당해 커넥터를 통해 양 패널부의 사이에서 데이터 통신이 행해지도록 되어 있다.
또, 도 6에 있어서 플러그(19)의 우측 상부에 있어서, 상기 결합축(16)에 거의 대응한 위치에는 후크부재(20)가 설치되어 있으며, X축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한 상태에서 패널부(3A)에 부착되어 있다.
도 9는, 결합축(16)과 후크부재(20)와의 결합관계에 대해서 중요 부분을 도시한 것이다. 또한, 본 도면에 있어서의 X, Y, Z축에 대해서는 도 5, 도 6의 설정과 동일하다.
후크부재(20)에 대해서는, X축을 따라 ①의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되어 있고, 탄성부재(인장코일 스프링)(21)에 힘을 가함으로써 X축을 따라 ②의 방향(①로 도시하는 방향과는 반대의 방향)으로 가세된 슬라이드판(20a)과, 이것에 일체로 형성된 후크부(20b)를 구비하며, 본 도면에서는, 후크부(20b)가 결합축(16)에 결합된 상태로 되어 있다. 또한, 후크부(20b)중 결합축(16)에 결합된 부분에는 X축 방향에 대하여 경사진 사면(斜面)(20c)이 형성되어 있다.
패널부(3A)를 패널부(3B)에 대하여 결합시키는 경우에는, 우선, 도 7에 화살표(P)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패널부(3A)를 패널부(3B)에 대해서 밀어넣어 가면, 가이드(18, 18)가 후크(14, 14)의 결합부(14b, 14b)에 당접(當接)하여 이들을 밀어내려고 하기 때문에, 화살표(Q, Q)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후크(14, 14)는 그 탄성에 의해 휜 상태로 된다.
그리고, 더 패널부(3A)를 밀어넣어 완전히 장착한 상태에서는, 후크(14, 14)의 결합부(14b, 14b)가 가이드(18, 18)의 홈(18a, 18a)에 각각 결합된 상태로 되며, 이것에 의해, 패널부(3A)는 Z축 방향 및 X축 방향으로의 움직임이 규제된다.
따라서, 패널부(3A)에 대해서는 Y축 방향으로의 이동의 가능성이 남겨지지만,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크부재(20)의 후크부(20b)가 결합축(16)에 결합된 상태로 되므로, Y축 방향으로의 이동이 규제되어 버린다. 이것에 의해, 도 8의 상태에서 패널부(3A)는 각 축 방향과 함께 움직일 수 없는 상태에서 유지되게 된다.
또한, 패널부(3A)를 패널부(3B)로부터 분리할 때에는, 도 9에 있어서, 패널부(3A)를 화살표 「Py」 방향으로 인출한다. Y축 방향(추출방향)으로의 하중이 어느 일정의 크기로 되었을 때에, 후크부재(20)의 사면(20c)과 결합축(16)과의 접촉부에 있어서의 반력(F)의 분력 「Fx」에 의해, 후크부재(20)는, 탄성부재(21)의 힘에 반항하여 ①의 방향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결합축(16)에 대한 후크부(20b)의 결합상태가 해제되면, 패널부(3A)에 대한 Y축 방향으로의 이동규제가 풀리므로, 당해 패널부(3A)를 패널부(3B)로부터 용이하게 슬라이드시켜 분리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후크(14)의 결합부(14b)와 가이드(18)의 홈(18a)과의 결합에 의해 상기한 Z축 방향 및 X축 방향에 있어서의 패널부(3A)의 움직임을 규제함과 동시에, 후크부재(20)의 후크부(20b)와 결합축(16)의 결합에 의해 Y축 방향에 있어서의 패널부(3A)의 움직임을 규제한다는, 비교적 간단한 기구를 사용하여 패널부(3A)를 패널부(3B)에 결합시키고, 혹은 패널부(3A)를 패널부(3B)로부터 분리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사용하기 편리하며, 게다가 부품개수가 비교적 적으므로, 비용면에서도 유리하다.
또한, 도 8에 도시하는 상태에서는, 패널부(3A)의 플러그(19)가 패널부(3B)의 소케트(15a)에 결합된 상태로 되어 있고, 양자를 포함하는 분리 커넥터의 결합에 의해 표시 데이터 등이 양 패널부에 걸쳐 행해지지만, 플러그(19)를 열쇠에 비기고, 소케트(15a)를 그것에 대응하는 열쇠구멍에 비기며, 양자가 일치한 암증(暗證)번호(인식코드)를 가지도록 하고, 패널부(3A)를 일종의 열쇠(키부재)로서 사용하며, 이것을 패널체 혹은 패널부(3B)에 부착한 경우에만, 장치의 조작(동작)을 행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즉, 본체부내의 도시하지 않은 제어부가, 플러그(19)와 소케트(15a)와의 접속(전기적 접점의 접속)을 검지(檢知)한 경우에, 장착된 패널부의 인증을 행하여, 당해 패널부가 과연 정규로 사용하여 양호한 것인지 어떤지를 판단한다. 그리고, 정규의 패널부인 것인지의 인증수속이 완료된 경우에, 제어부가 장치의 조작을 정식으로 허가하면 바람직하다.(마이크로 컴퓨터를 이용한 소프트웨어 처리에 의해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다.)
즉, 전자기기(1)내에 설치된 마이크로 컴퓨터의 불휘발성 ROM에는, 미리 암증번호(인식코드)가 기억되어 있으며, 본래, 이 전자기기(1)와 대응하는 패널부(3A)라면, 당해 전자기기(1)의 암증번호와 일대일로 대응하는(일치하는) 암증번호가 이 패널부(3A)내의 메모리에 기입되어 있다. 따라서, 전자기기(1), 즉, 패널부(3B)의 소케트(15a)에 패널부(3A)의 플러그(19)를 삽입했을 때에, 소케트(15a)와 플러그(19)가 접속되며, 전자기기(1)로부터 플렉서블 인쇄기판(15b)을 통하여, 전원공급을 받아 패널부(3A)의 암증번호가 전자기기(1)의 본체부(2)의 암증번호와 일치하는지 여부가 검출된다. 그리고, 양자가 일치하고 있다면 패널부(3A)에서 전자기기(1)의 본체부(2)를 조작할 수 있지만, 양자가 일치하고 있지 않다면, 전자기기(1)의 본체부(2)와 대응하고 있지 않는 패널부인 것이 판명되며, 당해 전자기기를 조작할 수 없도록 보호된다. 또한, 패널부가 분리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장치의 조작이 불가능하게 되므로, 도난방지로서 시큐리티(security) 면에서도 안전하다.
도 2에 나타내는 상태에서는, 패널체가 닫혀진 패널체(3)의 제 1의 위치상태로 되어 있고, 따라서 패널부(3A)의 조작면이나 표시면만이 외관에 현출(現出)된다.(패널부(3B)의 조작면이나 표시면은 숨겨져 있다.)
패널부(3B)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패널체를 도 2의 상태에서 전방으로 열린 상태로 하여, 그 조작면이나 표시면을 노출시킬 필요가 있다. 즉, 패널부(3A)를 부착한 상태에서는, 패널체에 있어서, 2개의 패널부(3A, 3B)가 후부를 맞대게 되어 있으므로, 패널체(3)의 자세를 변화시키기 위한 구동기구를 설치하고, 제 1의 위치상태에서는 패널부(3A)의 조작부가 조작되기 쉽게, 또, 표시부(11, 12)를 보고 확인하기 쉽게 하며, 또한 제 2의 위치상태에서는, 패널부(3B)의 조작부가 조작되기 쉽게, 또, 표시부(8)를 보고 확인하기 쉽게 된다.
도 10 내지 도 16은, 패널체나 그 지지부의 배치를 변화시키기 위한 구동기구에 대해서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것이며, 구동캠과 2개의 암(arm)부재(투시한 상태에서 나타낸다.)를 이용한 구성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원반형태를 한 구동캠(22)은, 본체부(2)내에 본체부(2)의 좌측판과 평행으로 부착된 샤시판에 부착된 중심축(22a)의 회전으로 회전되도록 되어 있으며, 예를 들면, 모터를 구동원으로 하며, 웜(worm) 및 웜호일(worm foil)을 사용한 기존의 기구에 의해 제어된다.
구동캠(22)에는, C자형 오목부에서 2개의 캠(23, 24)이 형성되어 있고, 한쪽의 캠(23)이 회전중심(22a)에 가까운 내측에 배치되며, 그 외측에 캠(24)이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구동캠(22)의 외주면에 대해서는, 중심축(22a)을 기준으로 하여 반경이 커진 주면부(周面部)(25)와, 당해 주면부(25)보다 반경이 작아진 주면부(26)가 각각 소정의 각도 범위를 가지고 형성되어 있다.
구동캠(22)에 대해서 설치된 검출수단(검출 스위치)(27, 28)중, 한쪽의 검출수단(27)은 본체부(2)에 대한 패널체(3)의 개폐상태를 검출하는 것이며, 또, 다른쪽의 검출수단(28)은, 패널부(3A)의 분리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분리위치(혹은 추출위치)를 검출하는 것이다. 또한, 검출수단(27)에 대해서는, 그 검출자(檢出子)(27a)에 관계되는 3개 상태의 검출에 의해 열림(OPEN)위치, 중립위치, 닫힘(CLOSE)위치에 따른 검출신호가 얻어지도록 되어 있다.(도면에는, 2점쇄선으로 나타내는 중립위치에 대해서, 검출자(27a)가 구동캠(22)의 주면부(25)에 당접되어 좌측으로 회동된 상태로 되어 있다.) 또, 검출수단(28)에 대해서는 위치검출용으로 되며, 그 검출자(28a)에 관계되는 2개 상태의 검출에 의해, 패널체(3)가 분리위치로 왔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검출신호가 얻어지도록 되어 있다.(도면에는, 2점쇄선으로 나타내는 검출자(28a)의 돌출위치에 대해서, 당해 검출자가 구동캠(22)의 주면부(25)에 당접되어 안으로 들어간 상태로 되어 있다.).
도 11은 패널체의 구동부에 대하여 구성예를 도시한 것이다.
패널체(3)의 지지부인 패널부(3B)는, 지지 암(arm), 즉, 제 1의 암(29) 및 제 2의 암(30)에 의해 지지되는 동시에, 그 자세가 제어된다. 또한, 각 구동암의 일단부가 본체부(2)로부터 외부로 돌출되어 패널부(3B)를 측면에서 지지하고 있다.
제 1의 암(29)에 대해서는, V자형부와 그것에 연결 설치된 연결부로 구성되며, 그 회동지점(29a)이 본체부(2)의 측면에 부착되어 있으며, 당해 암의 V자형부의 일단부에 설치된 결합부(29b)가 상기한 캠(23)의 오목부에 결합되며, 구동캠(22)의 회전에 따라, 회동지점(29a)을 중심으로 하는 화살표(R1)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회동되도록 되어 있다. 타단, 즉 연결부의 선단에는 결합돌출부(29c)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것은 패널부(3B)의 긴쪽방향에 있어서의 단부(상기한 후크(14)가 부착된 부분)에 형성된 슬라이드 홈(31)(상기 Y축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다.)에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결합부(29b)가 캠(23)에 결합되어 구동될 때, 당해 결합부가 역점(力點)으로 되며, 결합돌출부(29c)가 작용점으로 된다.
제 2의 암(30)에 대해서는, 그 회동지점(30a)이 본체부(2)의 측면에 부착되어 있으며, 당해 암의 일단부에 설치된 결합부(30b)가 상기한 캠(24)의 오목부에 결합되며, 구동캠(22)의 회전에 따라, 회동지점(30a)을 중심으로 하는 화살표(R2)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회동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암(30)중, 결합부(30b)가 형성되어 있는 쪽과는 반대측에 위치하는 부분이 크랭크 형상으로 굴곡되어 있고, 그 선단부가, 회동지지부(30c)로서, 패널부(3B)의 긴쪽방향에 있어서의 단부(상기 슬라이드 홈(31)으로부터 약간 떨어진 위치)에 부착되어 있다. 즉, 패널부(3B)는 회동지지부(30c)를 지점으로 하여 회동할 수 있는 상태에서 암(30)에 지지되어 있다. 또한, 결합부(30b)가 캠(24)에 결합되어 구동될 때, 당해 결합부가 역점으로 되며, 회동지지부(30c)가 작용점으로 된다.
또한, 도 10, 도 11 및 후술하는 도 12~도 16은 본체부(2)내의 좌측판에 평행으로 부착된 샤시판에 부착된 구동캠(22)이나 암(29, 30)을 좌측방향에서 본 도면이다.
이상과 같이, 구동캠(22)이나 암(29, 30), 검출수단(27, 28)을 이용하여 패널부의 구동기구(도시하지 않은 모터나 동력전달기구 등을 포함한다.)가 구성되어 있다.
도 10에 나타내는 구동캠(22)에 형성된 각각의 캠(23, 24)의 오목부에 대해서, 상기 암(29, 30)의 결합부(29b, 30b)를 결합시킨 상태에서 도시한 것이 도 12이며, 본체부(2)에 대해서 패널체(3)가 닫혀진 제 1의 위치상태, 패널체(3)에 부착된 패널(3A)의 조작부의 조작을 행하기 쉽게 하고, 또, 표시부(11, 12)를 보고 확인하기 쉬운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시하는 바와 같이, 캠(23)에 대해서 2점쇄선으로 나타내는 궤적(M)은, 당해 캠내에 있어서의 암(29)의 결합부(29b)의 위치에 대응하는 것이며, 도면에서는, 당해 결합부가 캠(23)의 한쪽의 단(端)(좌단)으로 와 있다. 그리고, 암(29)의 결합돌출부(29c)에 대해서는 슬라이드 홈(31)에 있어서의 한쪽의 단(端) 근처의 위치(도면에서는 상단 근처의 위치)에 있다.
또, 캠(24)에 대해서, 일점쇄선으로 나타내는 궤적(N)은, 당해 캠내에 있어서의 암(30)의 결합부(30b)의 위치에 대응하는 것이며, 도면에서는, 당해 결합부가 캠(24)의 한쪽의 단(우단)으로 와있는 상태로 되어 있다.
검출수단(27)의 검출자(27a)는, 구동캠(22)의 주면부(25)에 의해 도면의 좌측으로 밀려 회동된 상태로 되어 있고, 이것에 의해 패널체(3)가 꼭 닫힌 상태(닫힘(CLOSE) 위치)인 것이 검지된다. 또, 검출수단(28)의 검출자(28a)에 대해서는, 구동캠(22)의 주면부(25)에 의해 안으로 들어간 상태로 된다.
또한, 도면 중에 둥근 화살표로 나타내는 「PM」은, 구동캠(22)의 위상을 알기 쉽게 나타내기 위한 표적(위치마크)이다. 도 12에서는, 검출수단(28)에 대응하는 위치보다도 약간 시계회전방향으로 회전한 위치로 와 있다.
도 12에 도시하는 상태에서는, 상기 조작버튼(10)을 가압함으로써 패널체(3)가 꼭 닫힌 상태로 되며, 본체부(2)의 삽탈구(4) 등을 외관상 모두 볼 수 없고, 또, 패널부(3B)가 이면측(본체부측)으로 되어 있으므로, 패널부(3A)만이 이용자에 대해서 제시된 패널로 된다.
도 13은, 상기 조작버튼(13b)을 가압한 후, 패널체(3)가 완전히 다 열린 상태를 도시하고 있으며, 상기한 제 2의 위치상태에 상당한다. 즉, 구동캠(22)을, 도 12의 상태로부터 시계회전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있었을 때에, 암(29, 30)의 각각의 결합부(29b, 30b)가 캠(23, 24)에 있어서의 반대측의 단(端)에 와있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암(29)의 결합부(29b)가 캠(23)의 타단(도 12와는 반대측의 단)으로 와 있고, 당해 암(29)의 결합돌출부(29c)에 대해서는 슬라이드 홈(31)의 중앙보다도 약간 회동지지부(30c)측에 근접한 위치에 있다.
또, 암(30)의 결합부(30b)가 캠(24)의 타단(도 12와는 반대측의 단)으로 와있는 상태로 되어 있다.
검출수단(27)의 검출자(27a)는, 구동캠(22)의 주면부(25)에 의해 도면의 우측으로 밀려 회동된 상태로 되어 있고, 이것에 의해 패널체(3)가 열려진 상태(열림(OPEN) 위치)인 것이 검지된다. 또, 검출수단(28)의 검출자(28a)에 대해서는, 구동캠(22)의 주면부(25)의 측으로 돌출한 상태로 된다.
또한, 표적(PM)은, 검출수단(27)에 거의 대응하는 위치로 와 있다.
도 13의 상태에서는, 패널부(3B)의 조작면 및 표시면이 바로 앞측(이용자측)을 향하여 기울어져 있다. 즉, 패널부(3A)가 이면측(하측)으로 되어 있고, 패널부(3B)가 이용자에 대해서 제시된 패널로 된다.
도 14 내지 도 16은, 패널부(3A)를 분리할 경우의 각부의 상태나 동작을 나타내는 것이다.
도 14는, 패널부의 분리위치를 도시하고 있으며, 패널부(3A)의 지지부(본 예에서는 패널부(3B))가 기기의 바로 앞측으로 기울어진 상태로 규정되어 있다. 즉, 패널체(3)가 도 12의 제 1의 위치상태와 도 13의 제 2의 위치상태의 중간위치에서 경사진 위치, 즉 제 3의 위치상태로 되어 있다.
이 경우, 암(29)의 결합부(29b)는 캠(23)의 도중(궤적(M)의 중간지점을 넘지 않는 도중위치)으로 와 있고, 당해 암(29)의 결합돌출부(29c)에 대해서는 슬라이드 홈(31)의 중앙보다도 회동지지부(30c)측으로 근접한 위치에 있다.
또, 암(30)의 결합부(30b)는, 캠(24)의 도중(궤적(N)의 중간지점을 넘지 않는 도중위치)으로 와있는 상태로 되어 있고, 당해 암(30)의 회동지지부(30c)는, 상기 결합돌출부(29c)의 좌측 아래쪽에 위치하고 있다.
검출수단(27)의 검출자(27a)는, 구동캠(22)의 주면부(26)에 접촉해 있지 않고, 쪽 곧은 상태로 되어 있으며, 중립위치(검출자(27a)가 좌우로 회동하고 있지 않은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또, 검출수단(28)의 검출자(28a)에 대해서는, 구동캠(22)의 주면부(25, 26)와의 경계부근에 있어서 돌출한 상태로 된다. 즉, 당해 검출자(28a)는 그때까지,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구동캠(22)의 주면부(25)와의 당접에 의해 안으로 들어간 상태로 되어 있지만, 구동캠(22)의 회전에 의해 그 주면부(25)에서 주면부(26)로 이행(移行)할 때에 돌출한 상태로 된다. 이 때의 검출자(28a)의 상태변화가 검지되어 상기 분리위치로 와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표적(PM)은, 검출수단(27)과는 반대측의 위치에서 시계회전방향으로 약간 회전한 위치로 와있다.
도 15는, 도 14의 제 3의 위치의 경동(傾動) 상태의 패널체(3)에서, 화살표로 나타내는 방향으로 패널부(3A)를 추출하는 모양을 나타내고 있고, 패널부(3A)를 패널부(3B)로부터 분리할 때의 조작이나 순서에 대해서는 이미 기술한 대로이다.
도 16은, 패널부(3A)가 분리된 후, 자동적으로 복귀하여, 도 12와 동일한 상태(단, 패널부(3A)가 분리되어 있다.)로 된 모양을 도시하고 있다.
이 경우에는, 구동캠(22)이 도면의 반시계 회전방향으로 회전되므로, 지지부인 패널부(3B)가 후퇴한다. 그리고, 패널부(3B)의 자세가 추출전의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므로, 당해 패널부(3B)에 의해 본체부(2)의 전면부(2a)가 닫혀지며, 디스크의 삽탈구 등이 숨겨진 상태로 된다. 패널부(3A)가 분리되어 있으므로, 장치를 정면에서 본 경우의 외관으로서, 패널부(3B)의 이면측(도 5 참조)이 노출되어 있다.
패널부(3A)가 분리된 것은, 패널부(3B)에 설치된 결합검출용 스위치(17)에 의해 검출되도록 되어 있고, 그 후는, 경사상태로 되어 있던 패널부(3B)의 자세가, 거의 수직인 상태로 되어 본체부(2)의 전면을 닫는 자세로 자동적으로 구동되어, 최종적으로 도 16의 상태로 된다. 또한, 각 암과 캠과의 관계나 검출수단의 상태 등에 대해서는, 도 12와 동일한 상태이므로 그들의 설명을 생략한다.
이와 같이, 패널부(3A)를 분리한 후는, 구동기구에 의해 패널부(3B)를 본체부측으로 후퇴시켜, 당해 패널부를 분리하기 전의 상태로 자동복귀시키도록 구성하면, 패널부(3B)가 본체부로부터 돌출한 상태 그대로 방치되지 않으므로 당해 패널부(3B)가 방해로 되지 않는다. 또, 그 때문에 필요한 조작이 불필요하므로, 사용하기 쉽게 된다. 또한, 도 10~도 16은 본체부(2)의 좌측판에 본체부(2)에 평행으로 설치된 샤시판에 부착된 구동캠(22), 암(29, 30)을 좌측 방향에서 본 도면이지만, 우측판에 평행으로 샤시판이 설치되어 마찬가지로 구동캠(22)과 암(29, 30)이 좌우대칭으로 설치되어 대칭적인 동작을 동시에 행하지만, 이들의 도면이나 설명은 중복되므로 생략했다.
또한, 전자기기(1)내에는 제어부, 즉, 마스터 제어용의 마이크로 컴퓨터가 설치되어 있고, 당해 컴퓨터의 CLU(중앙처리장치)가 실행할 프로그램의 일부로서, 예를 들면, 도 17, 도 18에 도시하는 처리용의 서브루틴이 준비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의 도면에 대해서는, 본 발명에 관한 부분을 발췌하여 도시하고 있다.
도 17은, 패널체를 열어 패널부(3B)를 사용하는 순서의 흐름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우선, 단계(S1)에서는 패널체(3)가 닫혀진 상태로 되어 있다(도 12 참조).
다음 단계(S2)에서 패널부(3A)의 조작버튼(13b)을 순간적으로 짧은 시간 가압하면, 다음 단계(S3)에서는, 모터의 정상적인 회전에 의해 구동캠(22)이 회전한다(도 12의 시계회전방향의 화살표 참조).
그리고, 단계(S4)에서, 검출수단(27)에 의해 열림(OPEN) 위치의 검출이 이루어지면(도 13 참조), 모터의 전류치에 대해서의 검출이 개시된다. 단계(S5)로 진행하여, 모터전류치가 임계치 이상인 것이 검출되면, 다음 단계(S6)에서는 모터의 회전이 정지되고, 따라서 구동캠(22)의 회동이 멈춘다. 이때의 캠위치(위상)가 열림 위치이며,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패널체가 열려진 상태이다.
또한, 패널체를 닫을 때에는, 패널부(3B)의 조작버튼(10)을 소정시간 계속 누르면, 이번에는 모터가 역회전하여, 상기 설명과는 정반대의 과정을 거쳐간다. 즉, 검출수단(27)에 의해 닫힘(CLOSE) 위치의 검출이 이루어지며, 또, 모터 정지시의 캠위치(위상)가 닫힘 위치이고,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패널체가 닫혀진 상태로 된다.
도 18은, 패널체를 분리위치에서의 자세로 하여, 패널부(3A)를 분리하는 순서의 흐름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우선, 단계(S11)에서는 패널체(3)가 닫혀진 상태로 되어 있다(도 12 참조).
다음 단계(S12)에서 패널부(3A)의 조작버튼(13b)을, 1.5초 이상의 비교적 긴 시간 계속 누른다. 그러면, 다음 단계(S13)에서는, 모터의 정상적인 회전에 의해 구동캠(22)이 회전한다(도 12의 시계회전방향의 화살표 참조). 또한, 이 조작버튼(13b)을 비교적 짧은 시간 눌렀을 경우와, 비교적 긴 시간 계속 눌렀을 경우의 판단은 마이크로 컴퓨터에서 행한다.
그리고, 단계(S14)에서 검출수단(27)에 의해 패널부(3A)의 분리위치가 검지된다(도 14 참조). 이것에 의해 단계(S15)에서는 모터가 정지하므로, 구동캠(22)의 회전이 멈춘다.
다음 단계(S16)에서, 패널부(3A)가 분리된 것이 결합검출용 스위치(17)에 의해 검지되면, 마이크로 컴퓨터에서 이 상태를 인식하고, 다음 단계(S17)에서 모터가 역회전하도록 지시를 내린다. 이 모터에 의해 구동캠이 그때까지와는 역방향으로 회전한다(도 16에 도시하는 반시계회전 방향의 화살표 참조). 그리고, 다음 단계(S18)에서는, 검출수단(27)에 의해 닫힘(CLOSE) 위치가 검지된 후, 모터가 정지한다. 이때의 캠위치(위상)가 닫힘 위치이고, 도 1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패널체가 닫혀진 상태로 된다(패널부(3B)의 자동복귀).
그리고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하기에 나타내는 각종의 이점이 얻어진다.
미리 정해진 패널 크기에서도, 표리양면에 대해서 조작면이나 표시면을 가지는 패널부를 각각 설치함으로써 조작버튼이나 표시소자의 배치 공간을 충분히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다.
미리 정해진 패널 크기에서도, 표리양면에 대해서 조작면이나 표시면을 가지는 패널부를 각각 설치함으로써 조작버튼이나 표시소자의 배치 공간을 충분히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다.
2개의 패널부(3A, 3B)에 대해서, 그 한쪽의 패널부(3A)에서는 조작버튼 등을 극력 생략하여 표시면을 주체로 하고, 시인성(視認性)이 우수한 큰 표시소자나 표시장치를 짜 넣는 것으로 주로 표시를 담당시키고, 또, 다른쪽의 패널부(3B)에서는, 필요한 최소한의 표시소자를 이용하는 동시에, 필요한 크기의 조작버튼을 배치하는 것으로 주로 조작을 담당시킨다는 식으로, 각 패널부의 역할분담을 변화시키거나, 혹은 각각의 패널부의 특징을 살린 디자인이 가능하게 되므로, 설계상의 자유도를 높이는 것이 가능하다.
표리의 패널부에 대해서의 의장이 대폭적으로 상위하도록 설계하고, 각 패널부를 교체함으로, 1대에서 2종류의 디자인을 가진 제품을 실현할 수 있으므로, 외관상의 현저한 특징을 장치에 갖게 함으로써 상품성의 향상에 유용하게 쓰는 것이 가능하다.
패널부(3A)의 분리위치에 있어서 패널부(3B)가 바로 앞으로 전진하여 기울어진 상태로 되므로, 패널부(3A)를 추출하기 쉽다. 또, 추출후에는, 패널부가 자동적으로 원래의 상태로 복귀하므로 사용하기 쉽고, 본체부의 전면이 패널부(3B)에 의해 닫혀지기 때문에, 먼지 등의 본체부로의 진입을 방지할 수 있다.
삭제
삭제
Claims (7)
- 삭제
- 삭제
- 삭제
- 전자기기의 전면에서 지지부(支持部)에 탈착자재(脫着自在)로 지지된 패널체를 배치하고, 이 패널체의 표리양면에 조작부 및/또는 표시부를 가지며, 상기 지지부를 상기 전면에 대하여 회동(回動)시키도록 한 구동기구를 설치하고, 상기 패널체는 한쪽의 패널부와 다른쪽의 패널부로 구성되며, 상기 한쪽의 패널부가 상기 지지부에 탈착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는 패널체를 구비한 전자기기에 있어서,상기 전자기기에는 인식코드가 기억되며, 상기 전자기기의 인식코드와 일치하는 인식코드가 기입된 상기 한쪽의 패널부가 상기 지지부에 부착된 경우에, 장치의 조작이 가능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체를 구비한 전자기기.
- 조작면 및/또는 표시면을 가지는 패널부와, 상기 패널부가 분리가능하게 부착되는 지지부로 구성되는 패널체를 구비한 전자기기에 있어서,상기 전자기기의 전면에 대하여 상기 지지부가 접하는 위치와,상기 전자기기의 전면으로부터 상기 지지부의 상부가 회동하여 경사하는 위치를 잡을 수 있도록 구동하는 구동기구와,상기 지지부의 경사하는 위치에서 상기 지지부로부터 패널부의 분리를 검출하는 검출부와,상기 지지부로부터 상기 패널부를 분리했을 때, 분리를 검출하는 검출부의 출력에서 상기 구동기구를 구동하여 상기 지지부를 상기 지지부가 상기 전자기기의 전면에 접하는 위치로 복귀시키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체를 구비한 전자기기.
- 조작면 및/또는 표시면을 가지는 패널부와, 상기 패널부가 분리가능하게 부착되는 지지부로 구성되는 패널체를 구비한 전자기기에 있어서,상기 전자기기의 전면에 대하여 상기 지지부가 접하는 제 1의 위치와,상기 전자기기의 전면에 대하여 상기 지지부가 상기 지지부의 상부가 전방으로 회동하도록 전도하는 제 2의 위치와,상기 제 1의 위치와 제 2의 위치의 중간위치에서 경사하며, 상기 지지부로부터 패널을 분리하기 쉽도록 한 제 3의 위치에서 상기 지지부를 지지하는 구동기구를 구비하는 패널체를 구비한 전자기기.
- 제 6항에 있어서,상기 제 3의 위치에서 상기 지지부로부터 상기 패널부를 분리했을 때에 이 분리를 검출하는 검출부와, 이 검출부의 출력에 의해, 상기 구동기구를 구동시키고, 이 구동기구에 의해 상기 패널부를 상기 제 1의 위치로 가져오는 수단을 설치하는 패널체를 구비한 전자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01-00123013 | 2001-04-20 | ||
JPJP-P-2001-00123012 | 2001-04-20 | ||
JP2001123012A JP4609686B2 (ja) | 2001-04-20 | 2001-04-20 | パネル体を備えた電子機器 |
JP2001123013A JP4671086B2 (ja) | 2001-04-20 | 2001-04-20 | パネル体を備えた電子機器 |
PCT/JP2002/003931 WO2002087299A1 (fr) | 2001-04-20 | 2002-04-19 | Dispositif electronique ayant un corps de panneau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30007878A KR20030007878A (ko) | 2003-01-23 |
KR100868990B1 true KR100868990B1 (ko) | 2008-11-17 |
Family
ID=266139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27016574A KR100868990B1 (ko) | 2001-04-20 | 2002-04-19 | 패널체를 구비한 전자기기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US (1) | US6809920B2 (ko) |
KR (1) | KR100868990B1 (ko) |
DE (1) | DE10291707T5 (ko) |
WO (1) | WO2002087299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6820921B2 (en) * | 2001-09-04 | 2004-11-23 | Lear Corporation | Control panel for a vehicle |
JP4211585B2 (ja) * | 2003-11-28 | 2009-01-21 | ソニー株式会社 | 再生装置 |
JP4334457B2 (ja) | 2004-10-29 | 2009-09-30 | 株式会社ケンウッド | 電子機器の表示パネル駆動機構 |
JP5008408B2 (ja) * | 2007-01-29 | 2012-08-22 | 富士通テン株式会社 | 電子装置、及び電子システム |
US20100266117A1 (en) * | 2009-01-27 | 2010-10-21 | Ryan Enge | Network Switch with Integrated Cable Termination Locations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9123842A (ja) * | 1995-10-30 | 1997-05-13 | Kenwood Corp | 車載用電子機器 |
Family Cites Familie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DE3645075C2 (ko) * | 1985-04-16 | 1993-07-15 | Sharp K.K., Osaka, Jp | |
JPH0734306B2 (ja) * | 1989-04-26 | 1995-04-12 | パイオニア株式会社 | 記録媒体演奏装置 |
JPH0786999B2 (ja) * | 1990-02-09 | 1995-09-20 | パイオニア株式会社 | 複数ディスク収納プレーヤ |
JPH04358940A (ja) * | 1991-05-31 | 1992-12-11 | Pioneer Electron Corp | グリル電源制御システム |
JPH0578649A (ja) * | 1991-09-21 | 1993-03-30 | Toyota Motor Corp | 摩擦材 |
JPH0590674A (ja) * | 1991-09-30 | 1993-04-09 | Nikon Corp | レーザ駆動回路 |
JP2593370Y2 (ja) * | 1992-03-31 | 1999-04-05 | 株式会社ケンウッド | パネル着脱式車載用音響装置 |
JP2578138Y2 (ja) * | 1992-04-23 | 1998-08-06 | パイオニア株式会社 | カーステレオ |
-
2002
- 2002-04-19 KR KR1020027016574A patent/KR100868990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2-04-19 US US10/311,362 patent/US6809920B2/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2-04-19 DE DE10291707T patent/DE10291707T5/de not_active Withdrawn
- 2002-04-19 WO PCT/JP2002/003931 patent/WO2002087299A1/ja active Application Filing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9123842A (ja) * | 1995-10-30 | 1997-05-13 | Kenwood Corp | 車載用電子機器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30007878A (ko) | 2003-01-23 |
DE10291707T5 (de) | 2004-04-22 |
US6809920B2 (en) | 2004-10-26 |
US20030161095A1 (en) | 2003-08-28 |
WO2002087299A1 (fr) | 2002-10-3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721439B2 (en) | Docking device, transaction processing system, and notification method | |
EP1528503A1 (en) | Input device | |
JPH0896089A (ja) | Icカード情報処理装置 | |
US6147596A (en) | Vehicle-mounted record medium reproducing apparatus | |
JP2009026234A (ja) | 機能拡張装置および電子機器システム | |
JP3113734B2 (ja) | デタッチグリル | |
US5032857A (en) | Camera with card accommodating device | |
KR100868990B1 (ko) | 패널체를 구비한 전자기기 | |
US6951473B2 (en) | IC card reader | |
EP0436963B1 (en) | Portable terminal computer | |
JP4671086B2 (ja) | パネル体を備えた電子機器 | |
EP1808829A1 (en) | Reader/writer unit of automatic vending machine | |
JP4609686B2 (ja) | パネル体を備えた電子機器 | |
JP3114778B2 (ja) | 車載用機器の操作装置 | |
JP6116288B2 (ja) | 車載用電子装置 | |
JP2002216082A (ja) | メモリカードコネクタ | |
WO2004088977A1 (ja) | カード装着装置 | |
JPH09212591A (ja) | Icカードの読取書込装置 | |
US20240232118A9 (en) | Digital image storage device for vehicle | |
JPH1051154A (ja) | 押しボタン機構及びロック解除押しボタン機構 | |
JP2009120053A (ja) | 車載用機器、車載用機器の制御方法及び制御プログラム | |
JP2009076751A (ja) | パネル取付構造 | |
JP3317867B2 (ja) | 記憶ユニットの支持装置 | |
JP2002160585A (ja) | カーオーディオ | |
JPH1092167A (ja) | メモリカードの装着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11101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1105 Year of fee payment: 5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