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07878A - 패널체를 구비한 전자기기 - Google Patents

패널체를 구비한 전자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07878A
KR20030007878A KR1020027016574A KR20027016574A KR20030007878A KR 20030007878 A KR20030007878 A KR 20030007878A KR 1020027016574 A KR1020027016574 A KR 1020027016574A KR 20027016574 A KR20027016574 A KR 20027016574A KR 20030007878 A KR20030007878 A KR 200300078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electronic device
panel portion
panel body
st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165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68990B1 (ko
Inventor
무로가도시쿠이
구라우치세이지
니시오카유이치로
다나카유타카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1123013A external-priority patent/JP4671086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1123012A external-priority patent/JP4609686B2/ja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078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078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89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8990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33/00Constructional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11B33/02Cabinets; Cases; Stands; Disposition of apparatus therein or thereon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33/00Constructional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11B33/12Disposition of constructional parts in the apparatus, e.g. of power supply, of modules
    • G11B33/121Disposition of constructional parts in the apparatus, e.g. of power supply, of modules the apparatus comprising a single recording/reproducing device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7/00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 G11B17/02Details
    • G11B17/04Feeding or guiding single record carrier to or from transducer unit
    • G11B17/0401Details
    • G11B17/0402Servo control
    • G11B17/0404Servo control with parallel drive roll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7/00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 G11B17/02Details
    • G11B17/04Feeding or guiding single record carrier to or from transducer unit
    • G11B17/0401Details
    • G11B17/0405Closing mechanism, e.g. door

Landscapes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패널부의 분리를 용이하고 간편하게 행하도록 한다. 전자기기는, 조작면 및/또는 표시면을 가지는 패널부(3A)와, 상기 패널부가 분리가능한 상태에서 패널부(3B)에 취부되어 있도록 구성된 패널체(3)를 구비하고 있다. 패널부(3B)의 배치를 변화시키기 위한 구동기구를 설치하고, 패널부(3A)의 분리위치에서는, 패널부(3B)의 배치가 기기의 바로 앞측에 경사진 상태가 되도록 규정한다.

Description

패널체를 구비한 전자기기{Electronic device having panel body}
복수의 조작키를 배치한 조작면과, 복수의 표시소자를 배치한 표시면이, 패널체(조작패널)에 설치된 전자기기가 알려져 있으며, 예를 들면, 카세트 재생기, 광학식디스크 재생기등의 음향장치와 영상장치를 들 수 있다.
그리고, 조작면과 표시면을 가지는 패널부가 탈착가능한 상태에서 패널체를 분리하도록 구성한 것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패널체의 조작면과 표시면에 다수의 조작 스위치등을 설치할 때에, 패널의 면적이 제한되는 경우, 종래의 장치에서는, 스위치와 표시소자등을 줄이던지 또는 패널 크기를 크게 하지 않으면 안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의 장치에 있어서 패널부의 분리에 대해 충분한 배려가 없기 때문에, 패널체로부터 패널부를 분리하기에는 어렵다는 문제가 있었다.
예를 들면, 차탑재용기기(음향장치와 영상장치)에서는, 조작면과 표시면의 크기가 소정의 크기(예를 들면, 180 mm ×50mm)로 제한되므로, 일정 범위의 영역내에 필요한 조작버튼과 표사소자를 조립할 필요가 있다. 그 결과, 좁은 배치가되므로, 설계상의 제약을 가지게 되는 원인으로 된다. 예를 들면, 조작성이 우수한 커다란 조작버튼 및 시인성이 우수한 크기의 표시소자에 대해서, 그 양방을 정해진 범위내에 조립하기 위해서는, 조작버튼등의 크기와 조작면등의 크기의 사이에 균형을 고려하지 않는다면, 설계의 자유도가 들어들게 된다.
또한, 차탑재용기기(음향기기등)와 같이, 협소한 장소에서 분리작업을 수행할 필요가 있으며, 혹은 아주 급할 때에 해당작업을 간단하게 행할 수 없다는 번잡성이 있으며, 장치의 사용이 편리하지 않다. 또한, 패널부의 추출방향에 장애물이 존재하지 않는 것이 필요하며, 기기의 설치장소가 제약을 받아야 된다는 불편함이 발생한다.
본 발명은, 조작버튼면 /또는 표시면을 가지는 탈착가능한 패널부를 구비한 전자기기에 있어서, 패널부의 분리를 용이하게 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전자기기의 구성예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과 패널체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4와 함께 패널부를 도시한 것이며, 본 도면은 한개의 패널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분리가능한 패널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6과 함께 패널부(3A)의 부착에 대해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본 도면은 패널부(3B)의 이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패널부(3A)의 이면을 전방으로부터 투시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8과 함께, 패널부(3B)에 대한 패널부(3A)의 부착에 대해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본 도면은 부착 직전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부착 후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결합축과 후크부재와의 결합관계에 대해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도 11 내지 도 16과 함께, 패널체의 구동기기에 대해서 설명하기위한 도면이며, 본 도면은 구동캠과 그 검출수단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패널체와 그 구동암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패널체가 닫혀진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패널체가 열려진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도 15 및 도 16과 함께, 패널부(3A)를 분리하는 경우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본 도면은 패널부가 분리위치로 돌아오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는, 패널부(3A)를 추출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은, 패널부(3A)의 분리후에 패널부(3B)가 닫히는 위치로 돌아오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은, 패널체를 열어 패널부(3B)를 사용하는 수순의 보기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8은, 패널체를 분리위치에 배치하여, 패널부(3A)를 분리하는 수순의 보기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조작면과 표시면에 대해서 실질적인 확대를 도모하며, 조작면과 표시면에 대해서 제약을 극복하고, 또한 패널부를 분리하기 쉽게 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지지부의 표리 양면에, 조작면 또는 표시면을 가지는 패널부를 각각 설치함과 동시에, 당해 패널부의 한 개 또는 두 개가 상기 패널체에 대해서 자유로운 분리가 가능한 상태에서 취부되도록 구성된 것이다. 그리고, 조작면 또는 표시면을 가지는 패널부와, 당해 패널부가 분리가능한 상태에서 지지부에 부착되도록 구성된 패널체를 구비하며, 지지부의 배치를 변화시키는 구동기구를 설치함과 동시에, 패널부의 분리위치에서 지지부가 기기의 바로 앞측으로 경사진 상태로 규정되도록 구성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지지부의 표리에 패널부를 각각 부착하는 구성을이용함으로써, 각 패널부에 대해서 조작면과 표시면을 각각 설치하며, 종래에 비해 2배의 면적을 활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패널부의 분리가 가능하도록 구성하므로, 설계상의 자유도가 증가하며, 당해 패널부를 분리하는 경우에 있어서 장치의 외관이 패널이 없는 상태로 인식되므로, 방범대책으로도 유효하며, 또한, 패널부를 분리하는 경우에, 그 지지부의 배치가 기기의 바로 앞측에 경사진 상태로 되므로, 패널부를 지지부로부터 용이하고 신속하게 분리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패널체를 구비한 전자기기에 관한 것이며, 패널체의 표리양면에는, 조작 또는 표시면을 가지는 패널부가 각각 설치되어 있고, 당해 패널부가 분리가능한 상태에서 지지부(지지 프레임 혹은 베이스부)에 부착되도록 구성된 패널체를 구비하고 있다.
도 1 내지 도 18은, 본 발명을, 차탑재용 음향기기(광학식디스크 재생기)에적용한 보기를 도시하고 있지만,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각종의 장치에 널리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패널체의 표리양면에, 조작 또는 표시면을 가지는 패널부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2개의 패널부를 가지고 있다.).
도 1은 전자기기(1)의 정면도이며, 본체부(2)와 패널체(3)를 구비하고 있다. (보통, 이 도 1은, 패널체(3)가 본체부(2)로부터 열려진 상태의 후술하는 도 13에서 도시하고 있는 측면의 상태, 즉 제 2의 위치에 있다.)
본체부(2)의 전면판(2a)에는, 디스크형 기록매체에 대한 삽입구(4a)가 설치되어 있으며, 원격조작장치의 원격명령의 수신부(4b)등이 설치되어 있다.
패널부(3B)의 표면중, 조작면(5)에는 다수의 조작버튼이 배치되어 있다. 즉, 조작면(5)의 장수방향에 있어서의 좌우양단 근처의 위치에는 조작부(6, 7)가 각각 배치되며, 도면의 좌측에 위치한 조작부(6)는 다수의 조작버튼(6a, 6b,....)으로 구성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도면의 우측에 위치된 조작부(7)는 다수의 조작버튼(7a, 7b,...)으로 구성되어 있다.
조작부(6, 7)의 사이에는 표시면(8)이 위치하고 있으며, 액정표시장치(LCD)등이 이용되며, 예를 들면, 시계표시, 음량표시, 곡목과 주파수등의 각종표시를 행한다.
또한, 표시면(8)의 아래측에는, 조작버튼(9a, 9b,....)이 가로방향으로 일렬로 배치되어 구성된 조작부(9)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조작부(6)의 좌측에 배치된 조작버튼(10)은, [닫힘]용버튼이다(그 역할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도 2는, 본체부(2)와 패널체(3)를 측면에서 바라본 상태를 도시하고 있으며, 본체부(2)에 대해서 패널체(3)가 닫혀진 상태(패널체(3)가 본체부(2)에 밀착하는 제 1의 위치에 있다)로 된다.
본 예에서는, 하나의 패널부(3A)만이 분리가능한 상태에서 패널체(3)에 부착되어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으므로, 패널부(3A)에 대해 패널부(3B)가 지지부를 겸용하고 있지만, 물론, 지지부에 대해서 다른 패널부(3B)도 분리가능하도록 지지부와 패널부(3B)를 각각 별개의 부재로서 설치하여도 좋다.
도 2의 화살표(B)로 도시한 방향에서 보는 경우에는, 패널부(3B)를 도시한 것이 도 3이며, 패널체(3)가 닫혀진 상태에서 패널부(3B)를 본체부(2)의 옆에서 보기 때문에, 도 1에 도시한 패멀부와는 상하 및 좌우가 반대의 상태로 되어 있다. 한편, 화살표(C)는 본체부(2)의 전면(2a)에 대해서, 패널체(3)가 회동하여 전도하는 방향을 도시하고 있다.
도 2의 화살표(A)로 도시한 방향에서 보면, 패널부(3A)를 도시한 것이 도 4이다. 한편, 본 예에서는, 상기 표시면(8)과 동일한 내용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면(11)과, 그 양측에 각각 설치된 표시부(12, 12)(예를 들면, 등화기(equalizer) 표시용의 인디케이터(indicator)등)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표시면(11)에는 액정표시장치(LCD)가 이용되고 있으며, 이 표시면(11)에 대해서는, 이용자가 보기 쉽도록, 그 크기가 상기 표시면(8)에 비해 크게 되어 있다. 또한, 원격조작장치의 원격명령에 대한 수신부(13a)도 설치되어 있다. 패널부(3A)에 대해서는 검은 패널이 사용되며, 전원의 공급시에 있어서 표시소자의 휘도에 의해 표시가 되며, 전원공급이 이루어지지 않을 때와, 패널부(3A)가 분리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어둡게 되어 어떠한 것도 볼 수 없는 상태가 된다.
패널부(3A)의 좌측 상부위치에 설치된 조작버튼(13b)은, [off]용 버튼이다(그 역할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이상과 같이, 2 개의 패널부(3A, 3B)는, 각각 조작면과 표시면을 가지며, 각각이 패널로서의 기능(즉, 조작버튼의 조작과 표시)을 가지고 있다.
도 5 및 도 6은, 패널부(3A)의 부착에 대해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5는 지지부의 패널부(3A)와 접하는 면 즉, 패널부(3B)의 이면을 도시하고 있으며, 도 6은 각각 이에 대응하는 패널부(3A)측의 면을 투시도(패널부(3A)의 이면을 표면측으로부터 투시하여 도시한 도면)로서 도시한 것이다. 한편, 이러한 도면에 있어서, [Y]축이 패널부(3A)를 패널부(3B)로부터 분리하는 경우의 슬라이드 방향을 도시한 것이며, 이에 직교하여 각 패널부의 장수방향으로 연장되는 축이 [X]축으로 되며, Y축 및 X축에 직교하여 지면에 수직으로 연장되는 축이 [Z]축으로 된다. 또한, 패널부(3A)를 패널부(3B)로부터 분리한 상태에서는, 장치의 외관에 대해서, 도 5에 도시한 바와같이, 조작면과 표시면이 모두 빠져 있는 상태로 되며, 한 번 보고나서 어떠한 장치인지를 알 수 없으므로, 패널부(3A)를 탈착자재하도록 구성한다는 것은, 방범의 관점에서도 유효하다.
도 7 및 도 8은, 패널부(3B)에 대해서 패널부(3A)가 부착되어 있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으며, 도 7은 부착 직전의 상태를 도시하고 있고, 도 8은 부착 후의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한편, 이러한 도면에 있어서 상기 X, Y, Z축의 설정에 대해서는, Z축이 각 패널부의 두꺼운 방향으로 연장되며, 이것에 직교하는 X축이 각 패널부의 장수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Y축은 지면에 수직으로 연장되는 축이 된다.
도 5에 도시한 바와같이, 패널부(3B)의 장수방향에 있어서 양단부에는, 판 스프링등의 탄성체로 형성된 후크(14, 14)가 각각 설치되어 있고, 서로 안으로 향한 상태에서 패널부(3B)의 이면에 부착되어 있다. 이러한 후크의 형상에 대해서는, 도 7, 도 8에 도시한 바와같이, 패널부(3B)의 표시면(11)등의 측면으로 구부러진 부분(14a, 14a)과, 당해 부분으로부터 산 모양으로 굴곡된 결합부(선단부)(14b, 14b)를 가지고 있다.
패널부(3B)의 이면의 중앙으로부터 약간 좌측으로 인접하는 장소에는, 커넥터의 소케트(15a)가 설치되어 있다. 당해 소케트(15a)는, 후술하는 패널부(3A)에 설치된 플러그(19)에 결합되도록 되어 있다.
소케트(15a)의 우측 상부에는 결합축(16)이 이면으로부터 Z축방향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이것은 후술하는 패널부(3A)에 설치된 후크부재(20)에 결합되어 있는 것이다.
패널부(3B)의 이면에 있어서 중간부분에는, 결합검출용 스위치(17)가 설치되어 있으며, 당해 스위치에 의해 패널부(3A)가 패널부(3B)에 장착되어 있는지 없는지에 관한 검출이 행해진다. 한편, 15b는 패널부(3A) 및 패널부(3B)와 본체부(2)를 접속하며, 본체부(12)로부터 전원공급을 받아, 데이터를 송수하기 위한 플렉서블(flexible) 인쇄기판이다.
패널부(3A)에 대해서는, 도 6에 도시한 바와같이, 장수방향에 있어서 양단부에 상기한 후크(14, 14)에 대응하여 가이드(18, 18)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가이드에 대해서는, 도 7, 도 8에 도시한 바와같이, 패널부(3A)중에서, 패널부(3B)에 부착되는 면이 되는 측면에 홈(18a, 18a)이 형성되어 있으며, 도 8에 도시한 상태에서는, 이러한 홈에 상기 후크(14, 14)의 결합부(14b, 14b)가 각각 결합되어 있다.
도 6에 도시한 패널부(3A)의 이면에 있어서, 상기 소케트(15a)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플러그(19)가 설치되어 있고, 당해 플러그는 소케트(15a)와 함께 커넥터(탈착가능한 전기적 접점을 가지는 분리 커넥터(detach connector))를 구성하며, 당해 커넥터를 통해 양 패널부의 사이에서 데이터 통신이 행해지도록 되어 있다.
또한, 도 6에 있어서 플러그(19)의 우측 상부에 있어서, 상기 결합축(16)에 거의 대응하는 위치에는 후크부재(20)가 설치되어 있으며, X축방향으로 연하여 이동가능한 상태에서 패널부(3A)에 부착되어 있다.
도 9는, 결합축(16)과 후크부재(20)와의 결합관계에 대해서 중요 부분을 도시한 것이다. 한편, 본 도면에서는 X, Y, Z축에 대해서는 도 5, 도 6의 설정과 동일하다.
후크부재(20)에 대해서는, X축에 따라 ①의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되어 있으며, 탄성부재(인장코일 스프링)(21)에 힘을 가함으로써 X축을 따라 ②의 방향(①로 도시한 방향과는 반대의 방향)으로 가세된 슬라이드판(20a)과, 이것에 일체적으로 형성된 후크부(20b)를 구비하며, 본 도면에서는, 후크부(20b)가 결합축(16)에결합된 상태로 되어 있다. 한편, 후크부(20b)중 결합축(16)에 결합된 부분에는 X축 방향에 대하여 경사진 면(20c)이 형성되어 있다.
패널부(3A)를 패널부(3B)에 대하여 결합시키는 경우에는, 우선, 도 7에 화살표(P)로 도시한 바와같이, 패널부(3A)를 패널부(3B)에 대해서 가압하여 삽입하면, 가이드(18, 18)가 후크(14, 14)의 결합부(14b, 14b)에 당접하여 이것을 가압하여 후퇴시키므로, 화살표(Q, Q)로 도시한 바와같이, 후크(14, 14)는 그 탄성에 의해 뒤틀리는 상태로 된다.
그리고, 패널부(3A)를 가압 삽입하여 완전히 장착한 상태에서는, 후크(14, 14)의 결합부(14b, 14b)가 가이드(18, 18)의 홈(18a, 18a)에 각각 결합되는 상태로 되며, 이에 의해, 패널부(3A)는 Z축 방향 및 X축 방향으로의 이동이 규제된다.
따라서, 패널부(3A)에 대해서는 Y축 방향으로의 이동의 가능성이 남아 있지만, 도 9에 도시한 바와같이, 후크부재(20)의 후크부(20b)가 결합축(16)에 결합된 상태로 되므로, Y축 방향으로의 이동이 규제된다. 이에 의해, 도 8의 상태에서 패널부(3A)는 각 축 방향으로 이동되지 않는 상태에서 보존되게 된다.
한편, 패널부(3A)를 패널부(3B)로부터 분리하는 경우에는, 도 9에 있어서, 패널부(3A)를 화살표 [Py] 방향으로 인출한다. Y축 방향(추출방향)으로의 하중이 어느 일정의 크기로 될 때에, 후크부재(20)의 사면(20c)과 결합축(16)과의 접촉부에 있어서 반력(F)의 분력 [Fx]에 의해, 후크부재(20)는, 탄성부재(21)의 힘과는 역으로 ①의 방향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결합축(16)에 대한 후크부(20b)의 결합상태가 해제되면, 패널부(3A)에 대한 Y축 방향으로의 이동규제가 해지되므로,당해 패널부(3A)를 패널부(3B)로부터 용이하게 슬라이드시켜 분리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한 바와같이, 후크(14)의 결합부(14b)와 가이드(18)의 홈(18a)과의 결합에 의해 상기한 Z 축 방향 및 X 축 방향에 있어서 패널부(3A)의 이동을 규제함과 동시에, 후크부재(20)의 후크부(20b)와 결합축(16)의 결합에 의해 Y 축 방향에 있어서 패널부(3A)의 이동을 규제하며, 비교적 간단한 기구를 사용하여 패널부(3A)를 패널부(3B)에 결합시키고, 혹은 패널부(3A)를 패널부(3B)로부터 분리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사용하기 편리하며, 게다가 부품점수가 비교적 적으므로, 비용면에서도 유리하다.
또한, 도 8에 도시한 상태에서는, 패널부(3A)의 플러그(19)가 패널부(3B)의 소케트(15a)에 결합된 상태로 되며, 양자를 포함하는 분리 커넥터의 결합에 의해 표시 데이터등이 양 패널부에 걸쳐 행해지지만, 플러그(19)를 열쇠에 견립(見立)하고, 소케트(15a)를 그것에 대응하는 열쇠구멍에 견립하며, 양자가 일치하는 암증번호(인증코드)를 가지도록하며, 패널부(3A)를 일종의 열쇠(키부재)로서 사용하며, 이것을 패널체 혹은 패널부(3B)에 부착하는 경우에만, 장치의 조작(동작)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본체부내의 도시하지 않은 제어부가, 플러그(19)와 소케트(15a)와의 접속(전기적 접점의 접속)을 검지한 경우에, 장착된 패널부의 인증을 행하고, 당해 패널부가 과연 정규적으로 사용하기에 양호한 것인지를 판단한다. 그리고, 정규의 패널부가 되는 것인지에 대한 인증수속이 종료한 경우에, 제어부가 장치의 조작을 정식으로 허가하면 바람직하다(마이크로컴퓨터를 이용한 소프트웨어 처리에 의해 용이하게 실현가능하다.).
즉, 전자기기(1)내의 설치된 마이크로 컴퓨터의 불휘발성(ROM)에는, 미리, 암증번호(인식코드)가 기억되어 있으며, 본래, 이 전자기기(1)와 대응하는 패널부(3A)가 된다면, 당해 전자기기(1)의 암증번호와 일대일로 대응하는(일치하는) 암증번호가 이 패널부(3A)내의 메모리에 입력된다. 따라서, 전자기기(1), 즉, 패널부(3B)의 소케트(15a)에 패널부(3A)의 플러그(19)를 삽입할 때에, 소케트(15a)와 플러그(19)가 접속되며, 전자기기(1)로부터 플렉서블 인쇄기판(15b)을 통하여, 전원공급을 받아 패널부(3A)의 암증번호가 전자기기(1)의 본체부(2)의 암증번호와 일치하는지의 여부가 검출된다. 그리고, 양자가 일치한다면 패널부(3A)에 대해서 전자기기(1)의 본체부(2)를 조작하는 것이 가능하며, 양자가 일치하지 않다면, 전자기기(1)의 본체부(2)와 대응하지 않는 패널부가 된다는 것을 판명하며, 당해 전자기기를 조작할 수 없도록 보호된다. 한편, 패널부가 분리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장치의 조작이 불가능하므로, 도난방지로서 안전면에서도 안전하다.
도 2에 도시한 상태에서는, 패널체가 닫혀져 있는 패널체(3)의 제 1의 위치상태로 되므로, 패널부(3A)의 조작면과 표시면만이 외관에 나타나게 된다(패널부(3B)의 조작면과 표시면은 숨겨지게 된다).
패널부(3B)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패널체를 도 2의 상태로부터 전방으로 열려진 상태로 하여, 그 조작면과 표시면을 노출시킬 필요가 있으며, 즉, 패널부(3A)를 부착한 상태에서는, 패널체에 있어서, 2개의 패널부(3A,3B)가 후방을 접하면서겹쳐져 있으므로, 패널체(3)의 배치를 변화시키는 구동기구를 설치하고, 제 1의 위치상태에서는 패널부(3A)의 조작부가 조작되기 쉬우며, 표시부(11,12)를 발견하기 쉬우며, 또한 제 2의 위치상태에서는, 패널부(3B)의 조작부가 조작되기 쉬우며, 표시부(8)를 발견하기 쉽다.
도 10 내지 도 16은, 패널체와 그 지지부의 배치를 변화시키는 구동기구의 중요 부분을 도시한 것이며, 구동캠과 2개의 암부재(투시한 상태에서 도시한 것이다.)를 이용하는 구성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10에 도시한 바와같이, 원반형태를 한 구동캠(22)은, 본체부(2)내에 본체부(2)의 좌측판과 평행하게 부착된 샤시판에 부착된 중심축(22a)의 회전에 의해 회전되도록 되어 있으며, 예를 들면, 모터를 구동원으로 하며, 웜과 웜호일을 사용한 기존의 기구에 의해 제어된다.
구동캠(22)에는, C자 형상의 오목부인 2개의 캠(23, 24)이 형성되어 있고, 한 개의 캠(23)이 회전중심(22a)에 가까운 내측에 배치되며, 그 외측에 캠(24)이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구동캠(22)의 외주면에 대해서는, 중심축(22a)을 기준으로 하여 반경이 크게 되어 있는 주면부(25)와, 당해 주면부(25)보다 반경이 작게 되어 있는 주면부(26)가 각각 소정의 각도 범위를 가지고 형성되어 있다.
구동캠(22)에 대해서 설치되어 있는 검출수단(검출 스위치)(27, 28)중, 한 개의 검출수단(27)은 본체부(2)에 대한 패널체(3)의 개폐상태를 검출하는 것이며, 또한, 다른 검출수단(28)은, 패널부(3A)의 분리를 용이하게 행하여 분리위치(혹은추출위치)를 검출하는 것이다. 한편, 검출수단(27)에 대해서는, 그 검출자(27a)에 관련된 3개의 상태의 검출을 통해 개방위치, 중립위치, 닫힘위치에 대응하는 검출신호가 얻어지도록 되어 있다(도면에는, 2점쇄선으로 도시한 중립위치에 대해서, 검출자(27a)가 구동캠(22)의 주면부(25)에 당접되어 좌측으로 회동되는 상태가 된다.). 또한, 검출수단(28)에 대해서는 위치검출용이 되며, 그 검출자( 28a)에 관련된 2개의 상태의 검출을 통해, 패널체(3)가 분리위치로 돌아오는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검출신호가 얻어지도록 되어 있다(도면에는, 2점쇄선으로 도시한 검출자(28a)의 돌출위치에 대해서, 당해 검출자가 구동캠(22)의 주면부(25)에 당접되어 삽입되는 상태로 되어 있다.).
도 11은 패널체의 구동부에 대한 구성예를 도시한 것이다.
패널체(3)의 지지부가 되는 패널부(3B)는, 지지암, 즉, 제 1의 암(29) 및 제 2의 암(30)에 의해 지지됨과 동시에, 그 배치가 제어된다. 한편, 각 구동암의 일단부가 본체부(2)로부터 외부로 돌출된 패널부(3B)를 측면에서 지지하고 있다.
제 1의 암(29)에 대해서는, V자형 부분과 그와 연결된 연결부로 구성되며, 그 회동지점(29a)이 본체부(2)의 측면에 부착되어 있으며, 당해 암의 V자형 부분의 일단부에 설치된 결합부(29b)가 상기 캠(23)의 오목부에 결합되며, 구동캠(22)의 회전에 따라, 회동지점(29a)을 중심으로 하는 화살표(R1)로 도시한 바와같이 회동되도록 되어 있다. 다른 단 즉 연결부의 선단에는 결합돌출부(29c)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것은 패널부(3B)의 장수방향에 있어서 단부(상기한 후크(14)가 부착된 부분)에 형성된 슬라이드 홈(31)(상기 Y축 방향에 다라 연장되어 있다.)에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결합부(29b)가 캠(23)에 결합되어 구동될 때에, 당해 결합부가 역점으로 되며, 결합돌출부(29c)가 작용점으로 된다.
제 2의 암(30)에 대해서는, 그 회동지점(30a)이 본체부(2)의 측면에 부착되어 있으며, 당해 암의 일단부에 설치된 결합부(30b)가 상기한 캠(24)의 오목부에 결합되며, 구동캠(22)의 회전에 다라, 회동지점(30a)을 중심으로 하는 화살표(R2)로 도시한 바와같이 회동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암(30)중에서, 결합부(30b)가 형성되어 있는 방향과는 반대측에 위치하는 부분이 크랭크 형상으로 굴곡되어 있으며, 그 선단부가, 회동지지부(30c)로서, 패널부(3B)의 장수방향에서 단부(상기 슬라이드 홈(31)으로부터 약간 벗어난 위치)에 부착되어 있다. 즉, 패널부(3B)는 회동지지부(30c)를 지점으로 하여 회동하는 상태에서 암(30)에 지지되어 있다. 한편, 결합부(30b)가 캠(24)에 결합되어 구동될 때에, 당해 결합부가 역점으로되며, 회동지지부(30c)가 작용점으로 된다.
한편, 도 10, 도 11 및 후술하는 도 12 - 도 16은 본체부(2)내의 좌측판에 평행하게 부착된 샤시판에 부착된 구동캠(22)과 암(29, 30)을 좌측방향에서 바라다 본 도면이다.
이상과 같이, 구동캠(22)과 암(29, 30), 검출수단(27, 28)을 이용하여 패널부의 구동기구(도시하지 않은 모터와 동력전달기구등을 포함한다.)가 구성되어 있다.
도 10에 도시한 구동캠(22)에 형성된 각각의 캠(23, 24)의 오목부에 대해서, 상기 암(29, 30)의 결합부(29b, 30b)를 결합시킨 상태에서 도시한 것이 도 12이며,본체부(2)에 대해서 패널체(3)가 닫혀진 제 1의 위치상태, 패널체(3)에 부착된 패널부(3A)의 조작부의 조작을 행하기가 쉬워지며, 또한, 표시부(11, 12)를 보기 쉽게 해놓은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시한 바와같이, 캠(23)에 대해서 2점쇄선으로 도시한 궤적(M)은, 당해 캠내에 있어서 암(29)의 결합부(29b)의 위치에 대응하는 것이며, 도면에서는, 당해 결합부가 캠(23)의 일단(좌단)으로 오고 있다. 그리고, 암(29)의 결합돌출부(29c)에 대해서는 슬라이드 홈(31)에 있어서 일단으로부터의 위치(도면에서는 상단으로부터의 위치)에 있다.
또한, 캠(24)에 대해서, 일점쇄선으로 도시한 궤적(N)은, 당해 캠내에 있어서 암(30)의 결합부(30b)의 위치에 대응하는 것이며, 도면에서는, 당해 결합부가 캠(24)의 일단(우단)으로 오고 있다.
검출수단(27)의 검출자(27a)는, 구동캠(22)의 주면부(25)에 의해 도면의 좌측으로 가압되어 회동되는 상태로 되며, 이에 의해 패널체(3)가 닫혀진 상태(닫히는 위치)가 되는 것이 검지된다. 또한, 검출수단(28)의 검출자(28a)에 대해서는, 구동캠(22)의 주면부(25)에 의해 삽입되는 상태로 된다.
한편, 도면에 둥근 화살표로 도시한 [PM]은, 구동캠(22)의 위상을 알기 쉽게 도시하기 위한 위치마크이다. 도 12에서는, 검출수단(28)에 대응하는 위치로부터 약간 시계회전방향으로 회전한 위치로 오고 있다.
도 12에 도시한 상태에서는, 상기 조작버튼(10)을 가압함으로서 패널체(3)가 닫혀진 상태로 되며, 본체부(2)의 삽입구(4)등이 외관상 모두 보이지 않으므로, 또한, 패널부(3B)가 이면측(본체부측)이 되므로, 패널부(3A)만이 이용자에 대해서 보여지는 패널로 된다.
도 13은, 상기 조작버튼(13b)을 가압한 후, 패널체(3)가 완전히 개방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으며, 상기한 제 2의 위치상태에 상당한다. 즉, 구동캠(22)을, 도 12의 상태로부터 시계회전방향으로 회전시킬 때에, 암(29, 30)의 각각의 결합부(29b, 30b)가 캠(23, 24)에 있어서 반대측의 단말부에 돌아오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암(29)의 결합부(29b)가 캠(23)의 다른 단(도 12와는 반대측의 단)으로 돌아오며, 당해 암(29)의 결합돌출부(29c)에 대해서는 슬라이드 홈(31)의 중앙으로부터 약간 회동지지부(30c)측에 인접한 위치이다.
또한, 암(30)의 결합부(30b)가 캠(24)의 다른 단(도 12와는 반대측의 단)으로 돌아오는 상태로 된다.
검출수단(27)의 검출자(27a)는, 구동캠(22)의 주면부(25)에 의해 도면의 우측으로 가압되어 회동되는 상태로 되며, 이에 의해 패널체(3)가 개방된 상태(개방위치)가 되는 것이 검지된다. 또한, 검출수단(28)의 검출자(28a)에 대해서는, 구동캠(22)의 주면부(25)의 측으로 돌출하는 상태로 된다.
한편, [PM]은, 검출수단(27)에 거의 대응하는 위치로 돌아오고 있다.
도 13에 도시한 상태에서는, 패널부(3B)의 조작면과 표시면이 바로 앞측(이용자측)을 향하여 경사져 있다. 즉, 패널부(3A가 이면측(하측)으로 되며, 패널부(3B)가 이용자에 대해서 보여지는 패널로 된다.
도 14 내지 도 16은, 패널부(3A)를 분리한 경우의 각부의 상태와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패널부의 분리위치를 도시하고 있으며, 패널부(3A)의 지지부(본 예에서는 패널부(3B))가 기기의 바로 앞측으로 경사지는 상태로 규정되어 있다. 즉, 패널체(3)가 도 12 의 제 1의 위치상태와 도 13의 제 2의 위치상태의 중간위치에서 경사진 위치, 즉 제 3의 위치상태로 된다.
이 경우, 암(29)의 결합부(29b)는 캠(23)의 도중(궤적(M)의 중간지점을 넘지 않는 도중위치)으로 돌아오며, 당해 암(29)의 결합돌출부(29c)에 대해서는 슬라이드 홈(31)의 중앙으로부터 회동지지부(30c)측으로 근접하는 위치이다.
또한, 암(30)의 결합부(30b)는, 캠(24)의 도중(궤적(M)의 중간지점을 넘지 않는 도중위치)으로 돌아오며, 당해 암(30)의 회동지지부(30c)는, 상기 결합돌출부(29c)의 좌측 아래쪽으로 위치하고 있다.
검출수단(27)의 검출자(27a)는, 구동캠(22)의 주면부(26)에 접촉하지 않고, 똑바로 되어 상태로 되며, 중간위치(검출자(27a)가 우측으로 회동하지 않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또한, 검출수단(28)의 검출자(28a)에 대해서는, 구동캠(22)의 주면부(25, 26)와의 경계부근에 있어서 돌출한 상태로 된다. 즉, 당해 검출자( 28a)는 그 때까지, 도 12에 도시한 바와같이, 구동캠(22)의 주면부(25)와의 당접에 의해 삽입되는 상태로 되지만, 구동캠(22)의 회전에 의해 그 주면부(25)로부터 주면부(26)로 이행하는 경우에 돌출하는 상태로 된다. 그 때의 검출자(28a)의 상태변화가 검지되어 상기 분리위치로 돌아오는 것을 알 수 있다.
PM은, 검출수단(27)과는 반대측의 위치로부터 시계회전방향으로 약간 회전한 위치로 돌아온다.
도 15는, 도 14의 제 3의 위치의 경사상태의 패널체(3)로부터, 화살표로 도시한 방향으로 패널부(3A)를 추출하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며, 패널부(3A)를 패널부(3B)로부터 분리할 때의 조작과 순서에 대해서는 이미 기술한 바와같다.
도 16은, 패널부(3A)가 분리된 후, 자동적으로 복귀하며, 도 12와 동일한 상태(단지, 패널부(3A)가 분리되어 있다.)로 되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이 경우에는, 구동캠(22)이 도면의 반시계 회전방향으로 회전되므로, 지지부가 되는 패널부(3B)가 후퇴한다. 그리고, 패널부(3B)의 배치가 추출전의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므로, 당해 패널부(3B)에 의해 본체부(2)의 전면부(2a)가 닫혀지며, 디스크의 삽입구등이 은폐되는 상태로 된다. 패널부(3A)가 분리되므로, 장치를 정면에서 보는 경우의 외관으로서, 패널부(3B)의 이면측(도 5참조)이 노출된다.
패널부(3A)가 분리된다는 것은, 패널부(3B)에 설치된 결합검출용 스위치(17)에 의해 검출되도록 되어지며, 그 후, 경사상태로 되어 있는 패널부(3B)의 배치가, 거의 수직인 상태로 되어 본체부(2)의 전면을 폐쇄하는 배치로 자동적으로 구동되며, 최종적으로 도 16의 상태로 된다. 한편, 각 암과 캠과의 관계와 검출수단의 상태등에 대해서는, 도 12와 동일한 상태가 되므로 그러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와같이, 패널부(3A)를 분리한 후에는, 구동기구에 의해 패널부(3B)를 본체부측으로 후퇴시키고, 당해 패널부를 분리하기 전의 상태로 자동복귀시키도록 구성하면, 패널부(3B)가 본체부로부터 돌출한 상태 그대로 방치되어 있지 않으므로 당해 패널부(3B)가 방해되지 않는다. 또한, 그러한 것을 위해 필요한 조작이 불필요하므로, 사용하기 쉽게 된다. 한편, 도 10 - 도 16은 본체부(2)의 좌측판에 본체부(2)에 평행하게 설치된 샤시판에 부착된 구동캠(22), 암(29, 30)을 좌측 방향에서 바라다 본 도면이지만, 우측판에 평행하게 샤시판이 설치되어 마찬가지로 구동캠(22)과 암(29, 30)을 좌우대칭으로 설치되어 대칭적인 동작을 동시에 행하지만, 이러한 도면과 설명은 중복되므로 생략했다.
한편, 전자기기(1)내에는 제어부 즉, 마스터 제어용의 마이크로 컴퓨터가 설치되어 있고, 당해 컴퓨터의 CLU(중앙처리장치)가 실행하는 프로그램의 일부로서, 예를 들면, 도 17, 도 18에 도시한 처리용의 서브루틴이 준비되어 있다. 그리고, 이러한 도면에 대해서는, 본 발명에 관한 부분을 발췌하여 도시하고 있다.
도 17은, 패널체를 열어 패널부(3B)를 사용하는 순서의 흐름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우선, 단계(S1)에서는 패널체(3)가 닫혀진 상태로 되어 있다(도 12참조).
다음 단계(S2)에서 패널부(3A)의 조작버튼(13b)을 순간적으로 짧은 시간 가압하면, 다음 단계(S3)에서는, 모터의 정상적인 회전에 의해 구동캠(22)이 회전한다(도 12의 시계회전방향의 화살표 참조).
그리고, 단계(S4)에서, 검출수단(27)에 의해 개방위치의 검출이 이루어지면(도 13참조), 모터의 전류치에 대해서의 검출이 개시된다. 단계(S5)로 진행하여, 모터전류치가 임계치 이상이 되는지가 검출되면, 다음 단계(S6)에서는 모터의회전이 정지되며, 따라서 구동캠(22)의 회전이 정지된다. 이 때의 캠위치(위상)가 개방위치가 되며, 도 13에 도시한 바와같이 패널체가 열려진 상태가 된다.
한편, 패널체를 닫을 때에는, 패널부(3B)의 조작버튼(10)을 소정시간 가압하게 되면, 이번에는 모터가 역회전하고, 상기 설명과는 정반대의 과정을 거치게 된다. 즉, 검출수단(27)에 의해 폐쇄위치의 검출이 이루어지며, 또한, 모터 정지시의 캠위치(위상)가 폐쇄위치가 되고, 도 12에 도시한 바와같이 패널체가 닫혀진 상태로 된다.
도 18은, 패널체를 분리하는 위치에 배치하여, 패널부(3A)를 분리하는 순서의 흐름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우선, 단계(S11)에서는 패널체(3)가 닫혀진 상태로 되어 있다(도 12참조).
다음 단계(S12)에서 패널부(3A)의 조작버튼(13b)을, 1.5초 이상의 비교적 긴 시간 가압한다. 다음 단계(S13)에서는, 모터의 정상적인 회전에 의해 구동캠(22)이 회전한다(도 12의 시계회전방향의 화살표 참조). 한편, 이 조작버튼(13b)을 비교적 짧은 시간 가압한 경우와, 비교적 긴 시간 가압한 경우의 판단은 마이크로 컴퓨터에서 행한다.
그리고, 단계(S14)에서 검출수단(27)에 의해 패널부(3A)의 분리위치가 검지된다(도 14 참조). 이에 의해 단계(S15)에서는 모터가 정지되므로, 구동캠(22)의 회전이 정지된다.
다음 단계(S16)에서, 패널부(3A)가 분리되는 것이 결합검출용 스위치(17)에 의해 검지되면, 마이크로 컴퓨터에 의해 이 상태를 인식하고, 다음 단계(S17)에서모터가 역회전하도록 지시를 발생시킨다. 이 모터에 의해 구동캠이 그 때까지와는 역방향으로 회전한다(도 16에 도시한 반시계회전 방향의 화살표 참조). 그리고, 다음 단계(S18)에서는, 검출수단(27)에 의해 폐쇄위치가 검지된 후, 모터가 정지된다. 이 때의 캠위치(위상)가 폐쇄위치가 되며, 도 16에 도시한 바와같이 패널체가 닫혀진 상태로 된다(패널부(3B)의 자동복귀).
그러나,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하기에 도시한 각종의 이점이 얻어진다. 미리 정해진 패널 크기에서도, 표리양면에 대해서 조작면과 표시면을 가지는 패널부를 각각 설치함으로써 조작버튼과 표시소자의 배치 공간을 충분히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다.
2개의 패널부(3A, 3B)에 대해서, 그 한 개의 패널부(3A)에서는 조작버튼을 될 수 있으면 생략하여 표시면을 주체로 하고, 보기에 우수한 큰 표시소자와 표시장치를 조립하여 주로 표시를 담당시키고, 또한, 다른 패널부(3B)에서는, 필요 최소한의 표시소자를 이용함과 동시에, 필요한 크기의 조작버튼을 배치하여 주로 조작을 담당시키는 경우에, 각 패널부의 역할분담을 변화시키고, 혹은 각각의 패널부의 특징을 살리는 디자인이 가능하게 되므로, 설계상의 자유도를 높이는 것이 가능하다.
표리의 패널부에 있어서의 의장이 대폭적으로 상위하도록 설계하고, 각 패널부를 교체하여, 1대에 2개의 디자인을 가지는 제품을 실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므로, 외관상의 현저한 특징을 가지는 장치에 부여함으로써 상품성의 향상에 유용하게 되는 것이 가능하다.
패널부(3A)의 분리위치에 있어서 패널부(3B)가 바로 앞으로 전진하여 경사진 상태로 되므로, 패널부(3A)를 추출하기가 쉽다. 또한, 추출후에는, 패널부가 자동적으로 원래의 상태로 복귀하므로 사용하기에 쉬우며, 본체부의 전면이 패널부(3B)에 의해 닫혀지게 되므로, 먼지등의 본체부로의 진입을 방지할 수 있다.
2개의 패널부(3A, 3B)에 대해서, 그 한 개의 패널부(3A)에서는 조작버튼을 될 수 있으면 생략하여 표시면을 주체로 하고, 보기에 우수한 큰 표시소자와 표시장치를 조립하여 주로 표시를 담당시키고, 또한, 다른 패널부(3B)에서는, 필요 최소한의 표시소자를 이용함과 동시에, 필요한 크기의 조작버튼을 배치하여 주로 조작을 담당시키는 경우에, 각 패널부의 역할분담을 변화시키고, 혹은 각각의 패널부의 특징을 살리는 디자인이 가능하게 되므로, 설계상의 자유도를 높이는 것이 가능하다.
표리의 패널부에 있어서의 의장이 대폭적으로 상이하도록 설계하고, 각 패널부를 교체하여, 1대에 2개의 디자인을 가지는 제품을 실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므로, 외관상의 현저한 특징을 가지는 장치에 부여함으로써 상품성의 향상에 유용하게 되는 것이 가능하다.

Claims (7)

  1. 전자기기의 전면에서 지지부에 탈착자재하게 지지된 패널체를 배치하고, 이 패널체의 표리양면에 조작부 및/또는 표시부를 가지며, 상기 지지부를 상기 전면에 대하여 회동시키도록 하는 구동기구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체를 구비한 전자기기.
  2. 제 1항에 있어서,
    패널체는 하나의 패널부와 다른 패널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체를 구비한 전자기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의 패널부가 지지부에 탈착가능하게 취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체를 구비한 전자기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기기에는 인식코드가 기억되며, 상기 전자기기의 인식코드와 일치하는 인식코드가 기입된 하나의 패널부가 상기 지지부에 취부되어 있는 경우에, 장치의 조작이 가능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체를 구비한 전자기기.
  5. 조작면 및/또는 표시면을 가지는 패널부와, 상기 패널부가 분리가능하도록 취부되어 있는 지지부로 구성되는 패널체를 구비한 전자기기에 있어서,
    상기 전자기기의 전면에 대하여 상기 지지부가 접하는 위치와,
    상기 전자기기의 전면으로부터 상기 지지부의 상부가 회동하여 경사하는 위치를 취하도록 구동하는 구동기구와,
    상기 지지부의 경사하는 위치에서 상기 지지부로부터 패널부의 분리를 검출하는 검출부와,
    상기 지지부로부터 상기 패널부를 분리하는 경우, 분리를 검출하는 검출부의 출력에서 상기 구동기구를 구동하여 상기 지지부를 상기 지지부가 상기 전자기기의 전면에 접하는 위치로 복귀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체를 구비한 전자기기.
  6. 조작면 및/또는 표시면을 가지는 패널부와, 상기 패널부가 분리가능하도록 취부되어 있는 지지부로 구성되는 패널체를 구비한 전자기기에 있어서,
    상기 전자기기의 전면에 대하여 상기 지지부가 접하는 제 1의 위치와,
    상기 전자기기의 전면에 대하여 상기 지지부가 상기 지지부의 상부가 전방으로 회동하도록 전도하는 제 2의 위치와,
    상기 제 1의 위치와 제 2의 위치의 중간위치에서 경사하며, 상기 지지부로부터 패널을 분리하기 쉽도록 제 3의 위치에서 상기 지지부를 지지하는 구동기구를 구비한 패널체를 구비한 전자기기.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 3의 위치에서 상기 지지부로부터 상기 패널부를 분리하는 경우에 분리를 검출하는 검출부와, 이 검출부의 출력에 의해, 상기 구동기구를 구동시키고, 이 구동기구에 의해 상기 패널부를 상기 제 1의 위치로 이동시키는 수단을 설치한 패널체를 구비한 전자기기.
KR1020027016574A 2001-04-20 2002-04-19 패널체를 구비한 전자기기 KR10086899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1123013A JP4671086B2 (ja) 2001-04-20 2001-04-20 パネル体を備えた電子機器
JPJP-P-2001-00123012 2001-04-20
JP2001123012A JP4609686B2 (ja) 2001-04-20 2001-04-20 パネル体を備えた電子機器
JPJP-P-2001-00123013 2001-04-20
PCT/JP2002/003931 WO2002087299A1 (fr) 2001-04-20 2002-04-19 Dispositif electronique ayant un corps de panneau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07878A true KR20030007878A (ko) 2003-01-23
KR100868990B1 KR100868990B1 (ko) 2008-11-17

Family

ID=266139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16574A KR100868990B1 (ko) 2001-04-20 2002-04-19 패널체를 구비한 전자기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6809920B2 (ko)
KR (1) KR100868990B1 (ko)
DE (1) DE10291707T5 (ko)
WO (1) WO200208729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0227751D1 (de) * 2001-09-04 2008-09-04 Lear Corp Bedientafel für ein Fahrzeug
JP4211585B2 (ja) * 2003-11-28 2009-01-21 ソニー株式会社 再生装置
JP4334457B2 (ja) 2004-10-29 2009-09-30 株式会社ケンウッド 電子機器の表示パネル駆動機構
JP5008408B2 (ja) * 2007-01-29 2012-08-22 富士通テン株式会社 電子装置、及び電子システム
US20100266117A1 (en) * 2009-01-27 2010-10-21 Ryan Enge Network Switch with Integrated Cable Termination Locations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52032A (en) * 1985-04-16 1989-07-25 Sharp Kabushiki Kaisha Compact electronic computer
JPH0734306B2 (ja) * 1989-04-26 1995-04-12 パイオニア株式会社 記録媒体演奏装置
JPH0786999B2 (ja) * 1990-02-09 1995-09-20 パイオニア株式会社 複数ディスク収納プレーヤ
JPH04358940A (ja) * 1991-05-31 1992-12-11 Pioneer Electron Corp グリル電源制御システム
JPH0578649A (ja) * 1991-09-21 1993-03-30 Toyota Motor Corp 摩擦材
JPH0590674A (ja) * 1991-09-30 1993-04-09 Nikon Corp レーザ駆動回路
JP2593370Y2 (ja) * 1992-03-31 1999-04-05 株式会社ケンウッド パネル着脱式車載用音響装置
JP2578138Y2 (ja) * 1992-04-23 1998-08-06 パイオニア株式会社 カーステレオ
JP3322781B2 (ja) * 1995-10-30 2002-09-09 株式会社ケンウッド 車載用電子機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91707T5 (de) 2004-04-22
US6809920B2 (en) 2004-10-26
WO2002087299A1 (fr) 2002-10-31
US20030161095A1 (en) 2003-08-28
KR100868990B1 (ko) 2008-1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53142A (en) Body structure for a pocket computer having a fastener with multiple spaced apart elements
EP0647546B1 (en) Car-mounted sound device
CN114206168A (zh) 眼镜框架固定设备和用于组装眼镜框架固定设备的展示单元的方法
KR20030007878A (ko) 패널체를 구비한 전자기기
US20110124210A1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with a rotary signal transmission interface
US7134877B2 (en) Demonstration system of electronic equipment and demonstration method for electronic equipment
US9099255B2 (en) Housing having activated structure
JP4671086B2 (ja) パネル体を備えた電子機器
JP4609686B2 (ja) パネル体を備えた電子機器
JP6116288B2 (ja) 車載用電子装置
US7148818B2 (en) Method of command entry for an electronic device
JP2009010525A (ja) オーディオ処理装置
JP2002166786A (ja) 車載用電子機器
JPH0729361A (ja) 車載用機器の操作装置
JP2000299827A (ja) パネル体の角度制御装置
US20060044262A1 (en) Electronic apparatus and attachment unit
KR20050081736A (ko) 차량용 에이브이 시스템
CN1312552C (zh) 信息处理设备及其操作方法
JP2008192344A (ja) 表示ユニット及びこの表示ユニットを備えた光ディスク装置
JP3765481B2 (ja) 車載用電子機器の前面パネル装置
JP4572110B2 (ja) 車載電子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2009120053A (ja) 車載用機器、車載用機器の制御方法及び制御プログラム
JP2004350772A (ja) 遊技機
JPH1051154A (ja) 押しボタン機構及びロック解除押しボタン機構
JP2007005045A (ja) 押圧操作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1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05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