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68051B1 - 촬상장치, 스루화상 표시제어방법 및 스루화상 표시제어프로그램이 컴퓨터 판독 가능하게 기록된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촬상장치, 스루화상 표시제어방법 및 스루화상 표시제어프로그램이 컴퓨터 판독 가능하게 기록된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68051B1
KR100868051B1 KR1020070067467A KR20070067467A KR100868051B1 KR 100868051 B1 KR100868051 B1 KR 100868051B1 KR 1020070067467 A KR1020070067467 A KR 1020070067467A KR 20070067467 A KR20070067467 A KR 20070067467A KR 100868051 B1 KR100868051 B1 KR 1008680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template
unit
image data
display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674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05098A (ko
Inventor
요시노리 아베
Original Assignee
가시오게산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시오게산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시오게산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050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50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80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80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04N5/77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camera
    • H04N5/772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camera the recording apparatus and the television camera being placed in the same enclos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907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static stores, e.g. storage tubes or semiconductor memo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9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 H04N9/80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 H04N9/82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the individual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being recorded simultaneously only
    • H04N9/8205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the individual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being recorded simultaneously only involving the multiplexing of an additional signal and the colour video sign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 Editing Of Facsimile Origi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사체를 촬상하면서 템플릿에 맞추어 스루화상을 표시하는 촬상장치, 스루화상 표시제어방법 및 스루화상 표시제어 프로그램이 컴퓨터 판독 가능하게 기록된 기록매체에 관한 것으로서, 템플릿 기억부는 복수의 표시영역이 설치된 템플릿을 미리 기억하고, 템플릿 판독부는 이 템플릿 기억부로부터 상기 템플릿을 판독하여 표시로 나타나도록 설정한다. 촬상부는 피사체를 촬상하고 화상데이터를 출력한다. 스루화상 표시부는 이 촬상부에 의해서 촬상된 화상데이터에 의거하여 상기 템플릿 판독부에 의해 판독된 템플릿의 어느 한쪽의 표시영역에 스루화상을 표시시킨다. 상기 스루화상 표시제어수단은 소정의 지시마다, 상기 스루화상을 상기 템플릿이 남은 다른 표시영역으로 차례차례 전환하여 표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디지털 카메라, 템플릿, 스루화상, 화상데이터, 표시영역, 촬상장치

Description

촬상장치, 스루화상 표시제어방법 및 스루화상 표시제어 프로그램이 컴퓨터 판독 가능하게 기록된 기록매체{IMAGING DEVICE, THROUGH IMAGE DISPLAY CONTROL METHOD, AND RECORDING MEDIUM ON WHICH THROUGH IMAGE DISPLAY CONTROL PROGRAM IS RECORDED IN COMPUTER-READABLE MANNER}
본 발명은, 피사체를 촬상하면서 템플릿에 맞추어 스루화상을 표시하는 촬상장치, 스루화상 표시제어방법 및 스루화상 표시제어 프로그램이 컴퓨터 판독 가능하게 기록된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종래, 촬상한 화상을 소망한 배치로 레이아웃하여 기록하는 것이 가능한 디지털카메라가 제안되어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는 이 디지털카메라를 이용하여 레이아웃 화상을 작성할 때에, 앨범 작성 모드로 설정한 후, 미리 준비되어 있는 템플릿 중, 사용자가 소망하는 것을 선택한다. 다음으로, 해당 디지털카메라로 촬영하여 기록되어 있는 촬영화상 중에서 상기 템플릿에 삽입하는 임의의 화상을 사용자가 선택한다. 그리고, 선택된 화상이 템플릿 안에 삽입되어 기록매체에 기록된다. 이와 같이 하여 소망의 화상이 템플릿에 삽입된 레이아웃 화상을 해당 디지털카메라가 작성한다(예를 들면, 특개 2005-176216호 공보 참조).
그러나, 종래의 디지털카메라에 있어서는, 사용자는 먼저 피사체를 촬영하여 기록하고, 그 후에, 기록되어 있는 복수의 화상 중에서 소망의 화상을 선택하지 않으면 안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피사체를 촬상하여 기록하는 작업과, 기록한 다수의 화상 중에서 소망의 화상을 취사 선택하는 번잡한 작업을 강요당할 뿐만 아니라, 선택시에, 프레임과 촬영화상을 조합해서 얻어지는 레이아웃이나, 조합하는 화상 상호의 관계를 이미지하면서 적절한 화상을 선택한다는 귀찮은 작업을 강요당하게 된다. 이와 같이 사용자는 번잡 또는 곤란한 화상선택 작업이 강요되고, 결과적으로, 용이하게 소망의 레이아웃 화상을 작성할 수는 없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템플릿에 촬영화상이 삽입된 레이아웃 화상을 용이하게 작성할 수 있는 촬상장치, 스루화상 표시제어방법 및 스루화상 표시제어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인 촬상장치의 하나는,
복수의 표시영역을 갖는 템플릿을 미리 기억한 템플릿 기억부와, 상기 템플릿 기억부로부터 상기 템플릿을 판독하는 템플릿 판독부와, 피사체를 촬상하는 촬상부와, 상기 촬상부에 의해 촬상되어 있는 화상인 스루화상을 상기 템플릿 판독부에 의해 판독된 템플릿에 포함되는 복수의 표시영역으로 차례차례 전환하여 표시시키는 스루화상 표시제어부와, 지시를 입력하는 입력부와, 상기 입력부에 의한 상기 지시가 있었을 때에, 상기 스루화상으로서 상기 표시영역에 표시되어 있던 화상데이터에 관련된 정지화상데이터를 상기 촬상부에 의해서 촬상된 화상데이터에 의거하여 생성하는 정지화상생성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인 스루화상 표시제어방법의 하나는,
복수의 표시영역을 갖는 템플릿을 미리 기억한 템플릿 기억부와, 피사체를 촬상하는 촬상부와, 지시를 입력하는 입력부를 구비하는 촬상장치에 있어서의 스루화상 표시제어방법으로서, 상기 템플릿 기억부로부터 상기 템플릿을 판독하는 템플릿 판독 스텝과, 상기 촬상부에 의해 촬상되어 있는 화상인 스루화상을 상기 템플릿 판독 스텝에 의해 판독된 템플릿에 포함되는 복수의 표시영역으로 차례차례 전환하여 표시시키는 스루화상 표시제어스텝과, 상기 입력부에 의한 상기 지시가 있었을 때에, 상기 스루화상으로서 상기 표시영역에 표시되어 있던 화상데이터에 관련된 정지화상데이터를 상기 촬상부에 의해 촬상된 화상데이터에 의거하여 생성하는 정지화상 생성 스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이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인 스루화상 표시제어 프로그램이 컴퓨터 판독 가능하게 기록된 기록매체의 하나는,
복수의 표시영역을 갖는 템플릿을 미리 기억한 템플릿 기억부와, 피사체를 촬상하는 촬상부와, 지시를 입력하는 입력부를 구비하는 촬상장치에 구비된 컴퓨터에, 상기 템플릿 기억부로부터 상기 템플릿을 판독하는 템플릿 판독 기능과, 상기 촬상부에 의해서 촬상되어 있는 화상인 스루화상을 상기 템플릿 판독 기능에 의해 판독된 템플릿에 포함되는 복수의 표시영역으로 차례차례 전환하여 표시시키는 스루화상 표시제어 기능과, 상기 입력부에 의한 상기 지시가 있었을 때에, 상기 스루화상으로서 상기 표시영역에 표시되어 있던 화상데이터에 관련된 정지화상데이터를 상기 촬상부에 의해 촬상된 화상데이터에 의거하여 생성하는 정지화상 생성기능을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본 발명에 따르면, 촬상장치는 설정된 템플릿에 있어서의 어느 한쪽의 표시영역에 스루화상을 표시시키는 동시에, 소정의 지시마다, 스루화상을 템플릿의 다른 표시영역으로 차례차례 전환 표시시키므로, 촬영시에 사용자는 템플릿과 그 각 표시영역에 표시된 화상으로 이루어지는 레이아웃 화상을 시인할 수 있다. 촬상장치는 설정된 템플릿과, 사용자에 의한 소정의 지시에 의해 이 템플릿의 표시영역에 표시된 프리뷰 화상을 포함하는 레이아웃 화상데이터를 기록매체에 기록한다. 사용자는 소망하는 화상이 적용된 레이아웃 화상을 용이하게 작성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제 1 실시형태)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관련되는 디지털카메라(1)의 회로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디지털카메라(1)의 본체(2)에는 셔터 키(3)가 설치되어 있다. 셔터 키(3)는 조작입력부(4)와 함께 입력회로(50)에 접속되어 있다. 조작입력부(4)는 후술하는 모드 스위치 등의 스위치군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스위치군을 통한 조작정보 및 각 스위치의 온·오프 정보는 입력회로(50)를 통하여 제어회로(6)에 주게 된다. 제어회로(6)는 CPU 및 그 주변회로와, CPU의 작업용 메모리인 RAM 등으로 구성되는 마이크로 컴퓨터이며, 각 부를 제어한다.
이 제어회로(6)에는 표시메모리(60), 표시구동블록(7), 화상 버퍼 메모리(8), 화상신호 처리부(9), 압축 부호화/신장 복호화부(10), 정지화상 메모리(11), 프로그램 메모리(12), 데이터 메모리(13) 및 외부 메모리 인터페이스(14)가 접속되어 있다. 표시메모리(60)에는 LCD(Liquid Crystal Display)파인더(5)에 표시되는 각종 표시데이터가 일시적으로 기억된다. 표시구동블록(7)은 LCD파인더(5)를 구동한다. 화상 버퍼 메모리(8)는 화상데이터를 처리할 때 등에, 해당 화상데이터 등을 일시적으로 격납한다.
화상신호 처리부(9)는 후술하는 촬상소자로부터 제어회로(6)가 받아들인 화상 신호에 각종 화상처리를 실행하는 DSP(Digital Signal Processor)로 이루어진다. 부호화/복호화부(10)는 이 화상신호 처리부(9)에서 처리된 화상데이터를 기록시에는 압축(부호화)하고, 기록한 화상데이터를 재생할 때에는 신장(복호화)한다. 정지화상 메모리(11)는 셔터 키(3)의 조작에 의해 촬상된 화상데이터(본 실시형태에서는 정지화상 데이터로 한다)를 보존한다. 프로그램 메모리(12)는 후술하는 흐름도에 나타내는 제어회로(6)의 제어 프로그램을 격납하고 있으며, 데이터 메모리(13)는 후술하는 복수 종류의 템플릿을 미리 격납한다. 외부 메모리 인터페이스(14)는 착탈 자유로운 외부 메모리(16)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제어회로(6)에는 촬영제어블록(17)이 접속되어 있다. 이 촬영제어블록(17)에는, 초점 제어블록(18), 줌 제어블록(19), 조리개 제어블록(20), 셔터 제어블록(21), A/D(Analog/Digital converter)회로(22), CDS/AGC(Correlated Double Sampling/Analog Gain Controlling)회로(23), 타이밍 제어 드라이버(24), 노출 제 어블록(25), 거리측정 제어블록(26) 및 플래시 제어블록(27)이 접속되어 있다. 초점 제어블록(18)은 피사체상을 초점 맞춤되도록 촬상렌즈(33)를 구동하는 렌즈구동블록(28)을 제어한다. 줌 제어블록(19)은 사용자의 줌 지시에 따라 피사체상을 확대 또는 축소할 수 있도록 촬상렌즈(33)를 구동하는 렌즈구동블록(29)을 제어한다.
조리개 제어블록(20)은 촬상렌즈(33)와, CCD(Charge Coupled Device)를 구비하는 촬상소자(30)의 사이에 배치된 조리개(31)를 제어한다. 셔터 제어블록(21)은 조리개(31)와 촬상소자(30)의 사이에 배치된 셔터(32)를 제어한다. A/D회로(22)는 CDS/AGC(23)를 통하여 촬상소자(30)로부터 입력되는 아날로그 화상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다. 타이밍 제어 드라이버(24)는 타이밍 신호를 발생하여 촬상소자(30)와 CDS/AGC(23)를 구동한다. CDS/AGC(23)는 촬상소자(30)로부터 출력된 촬상신호를 유지하는 CDS와, CDS로부터 촬상신호가 공급되는 아날로그 게인 조정 앰프(AGC)로 이루어진다. 노출 제어블록(25)은 광측정(測光), 거리측정 센서(34)를 제어하며, 이 광측정, 거리측정 센서(34)로부터의 광측정 신호를 제어회로(6)에 입력한다. 거리측정 제어블록(26)은 거리측정 신호를 제어회로(6)에 입력한다. 플래시 제어블록(27)은 플래시(35)를 구동하는 플래시 구동블록(36)을 제어한다.
데이터 메모리(13)에는 도 2(a)에 일례를 나타낸 템플릿(40)이 복수 종류 기억되어 있다. 이 템플릿(40)은 표시영역(41)과 그 이외의 부분인 마스킹영역 (42)으로 이루어지는 화상데이터이다. 복수의 표시영역(41)이 있는 경우에는, 각 표시영역(41)에 초기값 1부터의 연속번호가 붙여져 있다. 예를 들면, 도 2(a)에 나타낸 템플릿(40)은 상부에 제 1 표시영역(41-1)과 제 2 표시영역(41-2)을 갖고, 하부 중앙에 제 3 표시영역(41-3)을 갖는 구성이다. 그리고, 데이터 메모리(13)에는 표시영역(41)의 수나 레이아웃이나 디자인 등이 다른 복수의 템플릿(40)이 미리 기억되어 있다.
이상의 구성에 관련되는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어회로(6)는 프로그램 메모리(12)에 격납되어 있는 프로그램에 의거하여 도 3 및 도 4에 나타내는 일련의 흐름도에 따라서 처리를 실행한다.
본 실시형태의 디지털카메라(1)에는 복수의 촬영모드가 있다. 예를 들면, 템플릿(40)을 이용하면서 촬영하는 레이아웃 샷 모드(layout shot mode), 템플릿(40)을 이용하지 않는 통상 촬영모드 등이다. 사용자는 조작입력부(4)의 모드 스위치를 자유롭게 전환하여 촬영모드를 변경할 수 있다.
먼저, 조작입력부(4)는 촬영모드의 지시입력을 사용자로부터 접수한다. 제어회로(6)는 레이아웃 샷 모드가 설정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스텝 S101). 레이아웃 샷 모드가 설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스텝 S101; NO) 통상 촬영모드 등의 그 외의 처리를 실행한다(스텝 S102).
레이아웃 샷 모드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스텝 S101; YES), 제어회로(6)는 데이터 메모리(13)에 기억되어 있는 복수의 템플릿(40)의 리스트를 LCD파인더(5)에 표시한다(스텝 S103). 예를 들면, LCD파인더(5)에는 복수의 템플릿(40)의 썸네일을 정리해서 표시된다. 그리고, 조작입력부(4)는 템플릿(40)을 선택하는 지시입력을 사용자로부터 접수한다. 제어회로(6)는 이 표시한 복수의 템플릿(40)에서 어느 한쪽이 선택되었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스텝 S104). 어느 한쪽이 선택되 었다고 판단한 경우(스텝 S104; YES), 제어회로(6)는 해당 선택된 템플릿(40)만을 LCD파인더(5)에 표시한다(스텝 S105). 이 스텝 S105에서의 처리에 의해 1개 이상의 표시영역(41)을 갖는 템플릿(40)이 LCD파인더(5)의 전체 화면에 표시된다. 예를 들면, 도 2(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템플릿(40)에는 제 1∼ 제 3 표시영역(41-1∼14-3)의 3개의 표시영역(41)이 있다.
다음으로, 조작입력부(4)는 표시영역(41)의 크기를 변경하는 지시입력을 접수한다. 제어회로(6)는 크기를 변경하는 지시가 이루졌는지 아닌지를 판별한다(스텝 S106). 이 변경의 지시가 되었다고 판별한 경우(스텝 S106; YES), 제어회로(6)는 지시입력에 의거하여 표시영역(41)의 크기를 변경한다(스텝 S107).
또, 조작입력부(4)는 표시영역(41)의 형상을 변경하는 지시입력을 접수한다. 제어회로(6)는 형상을 변경하는 지시가 이루어졌는지 아닌지를 판별한다(스텝 S108). 이 변경의 지시가 되었다고 판별한 경우(스텝 S108; YES), 제어회로(6)는 지시입력에 의거하여 표시영역(41)의 형상을 변경한다(스텝 S109).
또, 조작입력부(4)는 표시영역(41)의 위치를 변경하는 지시입력을 접수한다. 제어회로(6)는 위치를 변경하는 지시가 이루어졌는지 아닌지를 판별한다(스텝 S110). 이 변경의 지시가 되었다고 판별한 경우(스텝 S110; YES), 제어회로(6)는 지시입력에 의거하여 표시영역(41)의 위치를 변경한다(스텝 S111).
따라서, 스텝 S106∼S111에서의 처리에 의해, 제어회로(6)는 스텝 S104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템플릿(40) 중의 표시영역(41)을 사용자가 소망하는 임의의 크기, 형상 및 위치로 변경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메모리(13)에 표시영역(41)의 크기, 형상 및 위치가 다른 템플릿(40)을 미리 다수 기억시켜 두고, 사용자에게 템플릿(40)의 선택만을 시킴으로써, 템플릿(40)을 설정하도록 해도 좋다.
다음으로, 조작입력부(4)는 템플릿(40)의 설정을 확정하는 지시입력을 접수한다. 제어회로(6)는 확정의 지시가 이루어졌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스텝 S112). 확정의 지시가 되었다고 판별한 경우(스텝 S112; YES), 도 4의 스텝 S113으로 진행한다. 예를 들면 도 2(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LCD파인더(5)에는 사용자가 제 2 및 제 3 표시영역(41-2, 41-3)의 크기, 형상, 위치를 변경한 템플릿(40)이 표시되어 있다. 확정의 지시가 되어 있지 않다고 판별한 경우(스텝 S112; NO), 스텝 S105로 되돌아와서 템플릿(40)의 변경을 반복한다. 또한 제어회로(6)는 반드시 크기, 형상, 위치의 순으로 템플릿(40)을 변경할 필요는 없다. 또, 색채 등을 변경해도 좋다.
제어회로(6)는 표시영역(41)의 어느 한쪽을 지정하기 위한 카운터(N)에 초기값 「1」을 설정한다(스텝 S113). 제어회로(6)는 이 카운터(N)에 의해 지정되는 제 N 번의 표시영역(41-N)에 스루화상을 표시시킨다(스텝 S114). 스루화상은 촬상소자(30)가 현재 촬영하고 있는 화상을 의미한다. 물론, 이 스루화상을 표시할 때에는, 제어회로(6)는 광측정처리, 화이트 밸런스(WB)처리, 오토 포커스(AF)처리 등을 실행한다. N=1이라고 하면, 예를 들면 도 2(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표시영역(41-1)에 WB처리, AF처리된 스루화상(T1)이 표시된다. 또한 도 2(c), 도 2(d), 도 2(e), 도 2(f), 도 2(g), 도 2(h)에 있어서는 본 발명을 알기 쉽게 설명하기 위하여 화상에 사선을 그음으로써 스루화상(T)인 것을 나타내고, 사선이 없는 화상에 의해 정지화상(프리뷰 화상(P))인 것을 나타낸다.
제어회로(6)는 제 N 표시영역(41-N)에 스루화상(TN)을 표시하면, 셔터 키(3)가 조작되기까지 대기한다(스텝 S115). 이 동안, 사용자는 제 N 표시영역(41-N)에 표시되어 있는 스루화상(TN)을 보면서 셔터 찬스를 살핀다. 그리고, 셔터 찬스로 된 시점에서 셔터 키(3)를 누르면, 제어회로(6)는 셔터 키가 온 되었다(스텝 S115; YES)고 판별한다. 그리고 제어회로(6)는 스루화상의 표시를 정지시키고, 셔터 키(3)를 누른 시점에서 스루화상(TN)으로서 표시영역(41-N)에 표시되어 있던 화상데이터에 의거하여 정지화상 데이터를 생성한다(스텝 S116). 제어회로(6)는 이 생성한 정지화상 데이터를 화상 버퍼 메모리(8)에 보존하는 동시에, 정지화상 메모리(11) 또는 외부 메모리(16)에 기록한다(스텝 S117). 또한 이 정지화상 데이터에 의거하여 제 N 표시영역에 프리뷰 화상을 표시시킨다(스텝 S118). 예를 들면, 현재 N=1이라고 하면, 도 2(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금 전까지 스루화상(T1)이 표시되어 있던 제 1 표시영역(41-1)에 프리뷰 화상(P1)이 표시되게 된다.
다음으로, 제어회로(6)는 N=표시영역 수로 되었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스텝 S119). N이 표시영역 수와 동일하지 않은 경우(스텝 S119; NO), 제어회로(6)는 카운터(N)를 카운트 업시키고(스텝 S120), 스텝 S114로부터 S119까지의 처리를 반복한다. 본 예에 있어서는 N=3으로 되기까지, 스텝 S114로부터의 S119까지의 처리가 3회 반복된다.
예를 들면, N=2의 시점에 있어서는, 도 2(e)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표 시영역(41-1)에 프리뷰 화상(P1)이 표시되고, 스텝 S114의 처리에 의해 제 2 표시영역(41-2)에 스루화상(T2)이 표시된다. 또, 셔터 키(3)가 조작되면, 도 2(f)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표시영역(41-1)에 프리뷰 화상(P1)이 표시되고, 또한, 제 2 표시영역(41-2)에 프리뷰 화상(P2)가 표시된다.
또, N=3의 시점에 있어서는, 도 2(g)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표시영역(41-1)에 프리뷰 화상(P1)이 표시되고, 또한, 제 1 표시영역(41-2)에 프리뷰 화상(P2)이 표시되며, 또한 스텝 S114의 처리에 의해 제 3 표시영역(41-3)에 스루화상(T3)이 표시된다. 또, 셔터 키(3)가 조작되면, 도 2(h)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표시영역(41-1)에 프리뷰 화상(P1)이, 제 2 표시영역(41-2)에 프리뷰 화상(P2)이, 제 3 표시영역(41-3)에 프리뷰 화상(P3)이 각각 표시된다. 또한 이 때에는 모든 표시영역(41)에 화상을 받아들였으므로 제어회로(6)는 스루화상의 표시를 정지한다.
또, 3개의 프리뷰 화상(P1, P2, P3)에 대응하는 3개의 정지화상 데이터가 화상 버퍼 메모리(8)에 보존되는 동시에, 정지화상 메모리(11) 또는 외부 메모리(16)에 기록된다.
그리고, N=표시영역 수로 된 경우(스텝 S119; YES), 제어회로(6)는 레이아웃 화상데이터를 생성한다(스텝 S121). 즉, 제어회로(6)는 도 2(h)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템플릿(40)의 제 1∼제 3 표시영역(41-1∼41-3)에 각각 프리뷰 화상(P1, P2, P3)을 표시한 레이아웃 화상데이터를 생성한다.
조작입력부(4)는 타임 스탬프를 첨부하여 화상데이터를 기록할지 안할지의 지시 입력을 접수한다. 타임 스탬프는 촬영한 날과 시각을 나타내는 정보이다. 제어회로(6)는 타임 스탬프를 기록할지 안할지를 판단한다(스텝 S122). 타임 스탬프를 기록하는 경우에는(스텝 S122; YES), 제어회로(6)는 스텝 S121에서 생성한 레이아웃 화상데이터에 타임 스탬프를 첨부하여 정지화상 메모리(11) 또는 외부 메모리(16)에 기록한다(스텝 S123). 또, 타임 스탬프를 기록하지 않는 경우에는(스텝 S122; NO), 제어회로(6)는 스텝 S121에서 생성한 레이아웃 화상데이터만을 정지화상 메모리(11) 또는 외부 메모리(16)에 기록한다(스텝 S124).
제어회로(6)는 템플릿(40)을 변경하기 위한 지시가 사용자에 의해 이루어졌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스텝 S125). 템플릿(40)을 변경하는 지시가 없는 경우에는(스텝 S125; NO) 스텝 S113으로 되돌아온다. 이에 따라, 제어회로(6)는 스텝 S114에서 재차 제 N 표시영역(41-N)에 스루화상을 다시 표시하고, 상기한 처리를 반복하여 실행한다. 한편, 템플릿(40)을 변경하기 위한 지시가 이루어진 경우에는(스텝 S125; YES) 스텝 S101로 되돌아온다. 그리고, 레이아웃 샷 모드가 계속해서 설정되어 있으면, 상술한 스텝 S103 이후의 처리를 실행하고, 레이아웃 샷 모드가 해제되면, 그 외의 모드 처리(스텝 S102)로 이행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카운터(N)에 의해서 지정되는 순서로 제 1, 제 2, 제 3 표시영역에 스루화상 및 프리뷰 화상을 표시시키도록 했지만, 사용자가 선택한 임의의 순서로 각 표시영역에 스루화상 및 프리뷰 화상을 표시시키도록 해도 좋다.
(제 2 실시형태)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처리 순서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제어회로(6)는 프로그램 메모리(12)에 격납되어 있는 프로그램에 의거하여 도 3에 나타내는 흐름도에 따라서 상기한 스텝 S101∼S112의 처리를 실행한 후, 도 5에 나타내는 스텝 S213부터 처리를 실행한다.
즉, 제어회로(6)는 카운터(N)에 초기값 「1」을 설정하고(스텝 S213), 이 카운터(N)에 의해 지정되는 제 N 번의 표시영역(41-N)에 스루화상을 표시시킨다(스텝 S214). 제어회로(6)는 이 스루화상을 표시시킨 표시영역(41-N)을 LCD파인더(5)의 전체 화면에 표시시키고(스텝 S215) 셔터 키(3)가 조작되기까지 대기한다(스텝 S216).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셔터 키(3)가 사용자에 의해서 조작되기까지 의 동안(사용자가 셔터 찬스를 살피고 있는 동안)은 통상의 촬영과 마찬가지로 스루화상이 LCD파인더(5)의 전체 화면에 표시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통상의 촬영 모드와 마찬가지로 전체 화면에 표시된 명료한 스루화상을 보면서 셔터 찬스를 살필 수 있다.
그리고, 셔터 찬스로 된 시점에서 셔터 키(3)를 누르면, 제어회로(6)는 셔터 키가 온 되었다고 판별한다(스텝 S216; YES). 제어회로(6)는 스루화상의 표시를 정지시키는 동시에, 셔터 키(3)가 눌러진 시점에서 스루화상(TN)으로서 표시되어 있던 화상데이터에 의거하여 정지화상 데이터를 생성한다(스텝 S217). 제어회로(6)는 이 생성한 정지화상 데이터를 제 1 실시형태와는 달리, 화상 버퍼 메모리(8)에만 기록한다(스텝 S218).
다음으로, 제어회로(6)는 재차 템플릿(40)을 LCD파인더(5)에 표시하고(스텝 S219), 생성한 정지화상 데이터에 의거하여 제 N 표시영역에 프리뷰 화상을 표시시킨다(스텝 S220). 예를 들면 현재 N=1이라고 하면, 도 2(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직전까지 스루화상(T1)이 표시되어 있던 제 1 표시영역(41-1)에 프리뷰 화상(P1)이 표시되게 된다.
다음으로, 제어회로(6)는 N=표시영역 수로 되었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스텝 S221). N이 표시영역 수와 동일하지 않은 경우(스텝 S221; NO), 제어회로(6)는 N의 값을 카운트 업시키고(스텝 S222) 스텝 S214의 처리를 반복한다. 본 예에 있어서는 N=표시영역 수(N=3)로 되기까지 스텝 S214로부터의 처리가 3회 반복된다. 예를 들면 N=2인 시점에 있어서는, 스텝 S215의 처리에 의해 스루화상이 전체 화면에 표시된 후, 셔터 키(3)가 사용자에 의해서 조작되면, 스텝 S220의 처리에 의해 도 2(f)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표시영역(41-1)에 프리뷰 화상(P1)이 표시되고, 또한 제 2 표시영역(41-2)에도 프리뷰 화상(P2)이 표시된다.
또, N=3일 때, 스텝 S215의 처리에 의해 스루화상이 전체 화면에 표시된 후, 셔터 키(3)가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면, 스텝 S220의 처리에 의해 도 2(h)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및 제 2 표시영역(41-1, 41-2)에 프리뷰 화상(P1, P2)이 표시되고, 또한 제 3 표시영역(41-3)에도 프리뷰 화상(P3)이 표시된다.
또, 프리뷰 화상(P1, P2, P3)의 각각에 대응하는 정지화상 데이터가 화상 버퍼 메모리(8)에만 보존된다.
그리고, N=표시영역 수로 되면(스텝 S221; YES), 제어회로(6)는 레이아웃 화상데이터, 즉 도 2(h)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템플릿(40)의 제 1∼제 3 표시영역(41-1∼41-3)에 각각 프리뷰 화상(P1, P2, P3)이 표시된 레이아웃 화상데이터를 생성한다(스텝 S223). 그리고, 이 생성한 레이아웃 화상데이터를 정지화상 메모리(11) 또는 외부 메모리(16)에 기록한다(스텝 S224).
또, 제어회로(6)는 선택된 프리뷰 화상에 대응하는 정지화상 데이터만을 정지화상 메모리(11) 또는 외부 메모리(16)에 기록한다(스텝 S225). 즉, 스텝 S218에서 화상 버퍼 메모리(8)에 기억되어 있는 프리뷰 화상의 정지화상 데이터를 판독하여 LCD파인더(5)에 썸네일로 표시하며, 이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정지화상 데이터만을 정지화상 메모리(11) 또는 외부 메모리(16)에 기록한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표시된 프리뷰 화상 중,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화상만을 정지화상 데이터로서 기록할 수 있고, 메모리를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스텝 S215에 있어서, 스루화상을 전체 화면에 표시하는 처리는 템플릿(40) 내의 소정의 표시영역에 스루화상이 표시되고 나서, 소정의 이행시간 경과 후에, 자동적으로 실시되는 구성이라고 해도 좋다. 또, 템플릿(40) 내의 소정의 표시영역에 스루화상이 표시되어 있는 상태에서 스루화상이 표시되어 있는 소정의 표시영역이 조작입력부(4)를 통하여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었을 때에만 표시해도 좋다. 이 경우, 소정의 복귀시간 경과 후에, 자동적으로 템플릿(40) 내의 소정의 표시영역에 스루화상이 표시되어 있는 상태로 되돌려도 괜찮고, 사용자에 의한 지시에 의거하여 템플릿(40) 내의 소정의 표시영역에 스루화상이 표시되어 있는 상태로 되돌려도 좋다. 사용자는 스루화상의 상세를 확인할 수 있는 동시에, 스루화상을 포함하는 전체의 구도를 확인할 수 있다.
또, 템플릿(40) 내의 소정의 표시영역에 프리뷰 화상이 표시되어 있는 상태에서 그 소정의 표시영역이 사용자에 의해서 선택되었을 때에, 이 선택된 표시영역의 프리뷰 화상을 전체 화면에 표시시켜도 좋다. 이 경우, 소정의 복귀시간 경과 후에, 자동적으로 템플릿(40)의 소정의 표시영역에 프리뷰 화상이 표시되어 있는 상태로 되돌려도 괜찮고, 사용자에 의한 지시에 의거하여 템플릿(40)의 소정의 표시영역에 프리뷰 화상이 표시되어 있는 상태로 되돌려도 좋다. 사용자는 프리뷰 화상의 상세를 확인할 수 있는 동시에, 프리뷰 화상을 포함하는 전체의 구도를 확인할 수 있다.
또, 템플릿(40)의 소정의 표시영역에 프리뷰 화상이 표시되어 있는 상태에서 그 소정의 표시영역의 선택이 사용자에 의해서 캔슬되었을 때에는, 캔슬된 표시영역에 있어서의 프리뷰 화상의 표시를 정지해도 괜찮다. 이 경우, 프리뷰 화상의 표시가 정지된 표시영역에 즉시 스루화상을 표시시켜도 좋고, 다른 표시영역으로의 스루화상의 표시가 종료된 후에, 해당 표시영역에 스루화상을 표시시켜도 괜찮다. 결국, 사용자가 한 번 확정한 프리뷰 화상을 캔슬할 수 있는 구성으로 하고, 프리뷰 화상이 캔슬된 표시영역에 스루화상을 표시시켜 새로운 프리뷰 화상을 삽입할 수 있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사용자는 보다 목적에 맞는 구도의 화상을 용이하게 작성할 수 있다.
또, 정지화상 메모리(11) 또는 외부 메모리(16)에 기록되는 레이아웃 화상데이터 및 정지화상 데이터의 각각은 동일한 규격인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정지화상 데이터를 10메가바이트의 화상사이즈로 기록할 때에는 레이아웃 화상데이터도 10메가바이트와 동일한 정도의 화상사이즈로 기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정지화상 데이터에 해당 정지화상 데이터에 대응한 썸네일 화상데이터를 부가해서 기록한다면, 레이아웃 화상데이터에도 해당 레이아웃 화상데이터에 대응하는 썸네일 화상데이터를 부가해서 기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정지화상 메모리(11) 또는 외부 메모리(16)에 정지화상 데이터를 기록하는 때에는 레이아웃 화상데이터와 이 프리뷰 화상의 정지화상 데이터를 관련지어 기록해도 괜찮다. 사용자는 레이아웃 화상을, 예를 들면, 정지화상 데이터의 촬영 이력으로서 활용할 수 있다.
또, 상기 각 실시형태에 있어서, 도 1에 나타낸 외부구조의 디지털카메라(1)에 본 발명을 적용하도록 했는데, 이것에 한정하는 일 없이, 촬영기능을 구비한 휴대전화 등의 촬영기능을 갖는 각종 기기에 적용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관련되는 디지털카메라의 회로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2(a)는 템플릿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2(b)는 LCD파인더에 표시되는 화상의 천이도이고, 템플릿이 표시되어 있는 화상을 나타내는 도면.
도 2(c)는 LCD파인더에 표시되는 화상의 천이도이고, 템플릿의 제 1 표시영역에 스루화상이 표시되어 있는 화상을 나타내는 도면.
도 2(d)는 LCD파인더에 표시되는 화상의 천이도이고, 템플릿의 제 1 표시영역에 프리뷰 화상이 표시되어 있는 화상을 나타내는 도면.
도 2(e)는 LCD파인더에 표시되는 화상의 천이도이고, 템플릿의 제 1 표시영역에 프리뷰 화상이 표시되며, 제 2 표시영역에 스루화상이 표시되어 있는 화상을 나타내는 도면.
도 2(f)는 LCD파인더에 표시되는 화상의 천이도이고, 템플릿의 제 1 표시영역 및 제 2 표시영역에 프리뷰 화상이 표시되어 있는 화상을 나타내는 도면.
도 2(g)는 LCD파인더에 표시되는 화상의 천이도이고, 템플릿의 제 1 표시영역 및 제 2 표시영역에 프리뷰 화상이 표시되며, 제 3 표시영역에 스루화상이 표시되어 있는 화상을 나타내는 도면.
도 2(h)는 LCD파인더에 표시되는 화상의 천이도이고, 템플릿의 제 1 표시영역, 제 2 표시영역 및 제 3 표시영역에 프리뷰 화상이 표시되어 있는 화상을 나타 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처리 순서의 일부를 나타내는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 도 3에 계속되는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 도 3에 계속되는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디지털 카메라 3: 셔터 키
4: 조작입력부 5: LCD파인더
6: 제어회로 7: 표시구동블록
8: 화상 버퍼 메모리 9: 화상신호 처리부
11: 정지화상 메모리 12: 프로그램 메모리
13: 데이터 메모리 16: 외부 메모리
22: A/D회로 23: CDS/AGC
30: 촬상소자

Claims (22)

  1. 복수의 표시영역을 갖는 템플릿을 미리 기억한 템플릿 기억부와,
    상기 템플릿 기억부로부터 상기 템플릿을 판독하는 템플릿 판독부와,
    피사체를 촬상하는 촬상부와,
    상기 촬상부에 의해 촬상되어 있는 화상인 스루화상을 상기 템플릿 판독부에 의해 판독된 템플릿에 포함되는 복수의 표시영역으로 차례차례 전환하여 표시시키는 스루화상 표시제어부와,
    지시를 입력하는 입력부와,
    상기 입력부에 의한 상기 지시가 있었을 때에, 상기 스루화상으로서 상기 표시영역에 표시되어 있던 화상데이터에 관련된 정지화상데이터를 상기 촬상부에 의해서 촬상된 화상데이터에 의거하여 생성하는 정지화상생성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루화상 표시제어부는 상기 지시가 있었을 때에, 상기 스루화상을 표시하는 표시영역을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루화상 표시제어부는 상기 템플릿의 소정의 표시영역에 상기 스루화상을 표시시키고, 소정의 순서에 따라서 상기 스루화상을 해당 템플릿의 다른 표시영역으로 전환하여 표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스루화상 표시제어부는 상기 템플릿의 소정의 표시영역에 상기 스루화상을 표시시키고, 소정의 순서에 따라서 상기 스루화상을 해당 템플릿의 다른 표시영역으로 전환하여 표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정지화상 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정지화상 데이터에 의거하여 상기 템플릿 판독부에 의해 판독된 템플릿의 표시영역의 어느 한쪽에 프리뷰 화상을 표시시키는 정지화상 표시제어부를 추가로 구비하며,
    상기 정지화상 표시제어부는 상기 정지화상 생성부에 의해 새로운 정지화상 데이터가 생성된 후, 해당 생성된 정지화상 데이터에 의거한 프리뷰 화상을 상기 스루화상을 표시하고 있던 표시영역에 표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정지화상 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정지화상 데이터에 의거하여 상기 템플릿 판독부에 의해 판독된 템플릿의 표시영역의 어느 한쪽에 프리뷰 화상을 표시시키는 정지화상 표시제어부를 추가로 구비하며,
    상기 정지화상 표시제어부는 상기 정지화상 생성부에 의해 새로운 정지화상 데이터가 생성된 후, 해당 생성된 정지화상 데이터에 의거한 프리뷰 화상을 상기 스루화상을 표시하고 있던 표시영역에 표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스루화상 표시제어부는 상기 스루화상을 아직 표시하고 있지 않은 표시영역이 없다고 판단한 경우에, 상기 스루화상의 표시를 정지하는 수단을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템플릿 판독부에 의해 판독된 템플릿과, 해당 템플릿의 표시영역에 표시된 프리뷰 화상을 포함하는 레이아웃 화상데이터를 기록매체에 기록하는 제 1 기록부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장치.
  9.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정지화상 생성부에 의해 새로운 정지화상 데이터가 생성된 후, 해당 생성된 정지화상 데이터를 기록매체에 기록하는 제 1 기록부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장치.
  10. 청구항 10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정지화상 생성부에 의해 새로운 정지화상 데이터가 생성된 후, 해당 생성된 정지화상 데이터를 기록매체에 기록하는 제 2 기록부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장치.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정지화상 생성부에 의해 새로운 정지화상 데이터가 생성된 후, 해당 생성된 정지화상 데이터를 화상버퍼에 축적하는 축적부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제 1 기록부는 상기 레이아웃 화상데이터를 기록할 때에, 상기 화상버퍼에 축적되어 있는 정지화상 데이터를 기록매체에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기록부는, 상기 화상버퍼에 축적되어 있는 정지화상 데이터이고, 상기 템플릿의 각 표시영역에 표시되어 있는 프리뷰 화상에 대응하는 정지화상 데이터를 상기 기록매체에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장치.
  13. 청구항 13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정지화상 표시제어부는 상기 제 1 기록부에 의해 상기 레이아웃 화상데이터가 소정의 상기 기록매체에 기록되면, 현재 표시하고 있는 프리뷰 화상의 표시를 정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장치.
  14. 청구항 14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정지화상 표시제어부는 상기 제 1 기록부에 의해 상기 레이아웃 화상데이터가 기록매체에 기록되면, 현재 표시하고 있는 프리뷰 화상의 표시를 정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장치.
  15.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스루화상 표시제어부는 상기 제 1 기록부에 의해 상기 레이아웃 화상데이터가 기록매체에 기록되면, 상기 스루화상의 표시를 재개하는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장치.
  16. 청구항 16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스루화상 표시제어부는 상기 제 1 기록부에 의해 상기 레이아웃 화상데이터가 기록매체에 기록되면, 상기 스루화상의 표시를 재개하는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장치.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템플릿 판독부에 의해 판독된 템플릿에 포함되는 표시영역의 크기, 형상 또는 위치 중 적어도 1개를 변경하는 표시영역 변경부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장치.
  18. 청구항 18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에 의한 지시는 셔터 키의 조작에 의한 피사체를 촬영하기 위한 지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장치.
  1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지화상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정지화상 데이터를 상기 템플릿 판독부에 의해 판독된 템플릿 중의 소정의 표시영역에 적용시킨 레이아웃 화상데이터를 소정의 기록매체에 기록하는 기록부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장치.
  2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기록부는 레이아웃 화상데이터 생성완성시의 정보인 화상생성시 정보를 상기 레이아웃 화상데이터와 관련지어 기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장치.
  21. 복수의 표시영역을 갖는 템플릿을 미리 기억한 템플릿 기억부와, 피사체를 촬상하는 촬상부와, 지시를 입력하는 입력부를 구비하는 촬상장치에 있어서의 스루화상 표시제어방법으로서,
    상기 템플릿 기억부로부터 상기 템플릿을 판독하는 템플릿 판독 스텝과,
    상기 촬상부에 의해 촬상되어 있는 화상인 스루화상을 상기 템플릿 판독 스텝에 의해 판독된 템플릿에 포함되는 복수의 표시영역으로 차례차례 전환하여 표시시키는 스루화상 표시제어스텝과,
    상기 입력부에 의한 상기 지시가 있었을 때에, 상기 스루화상으로서 상기 표시영역에 표시되어 있던 화상데이터에 관련된 정지화상데이터를 상기 촬상부에 의해 촬상된 화상데이터에 의거하여 생성하는 정지화상 생성 스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루화상 표시제어방법.
  22. 복수의 표시영역을 갖는 템플릿을 미리 기억한 템플릿 기억부와, 피사체를 촬상하는 촬상부와, 지시를 입력하는 입력부를 구비하는 촬상장치에 구비된 컴퓨터에,
    상기 템플릿 기억부로부터 상기 템플릿을 판독하는 템플릿 판독 기능과,
    상기 촬상부에 의해서 촬상되어 있는 화상인 스루화상을 상기 템플릿 판독 기능에 의해 판독된 템플릿에 포함되는 복수의 표시영역으로 차례차례 전환하여 표시시키는 스루화상 표시제어 기능과,
    상기 입력부에 의한 상기 지시가 있었을 때에, 상기 스루화상으로서 상기 표시영역에 표시되어 있던 화상데이터에 관련된 정지화상데이터를 상기 촬상부에 의해 촬상된 화상데이터에 의거하여 생성하는 정지화상 생성기능을 실행시키는 스루화상 표시제어 프로그램이 컴퓨터 판독 가능하게 기록된 기록매체.
KR1020070067467A 2006-07-07 2007-07-05 촬상장치, 스루화상 표시제어방법 및 스루화상 표시제어프로그램이 컴퓨터 판독 가능하게 기록된 기록매체 KR10086805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00187308 2006-07-07
JP2006187308A JP2008017238A (ja) 2006-07-07 2006-07-07 撮像装置、スルー画像表示制御方法、及びスルー画像表示制御プログラ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5098A KR20080005098A (ko) 2008-01-10
KR100868051B1 true KR100868051B1 (ko) 2008-11-11

Family

ID=389187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67467A KR100868051B1 (ko) 2006-07-07 2007-07-05 촬상장치, 스루화상 표시제어방법 및 스루화상 표시제어프로그램이 컴퓨터 판독 가능하게 기록된 기록매체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004592B2 (ko)
JP (1) JP2008017238A (ko)
KR (1) KR100868051B1 (ko)
CN (1) CN100553294C (ko)
HK (1) HK1111033A1 (ko)
TW (1) TWI34216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609714S1 (en) * 2007-03-22 2010-02-09 Fujifilm Corporation Electronic camera
US20090135295A1 (en) 2007-11-20 2009-05-28 Keiji Kunishige Imaging device and control method for imaging device
US20100266818A1 (en) * 2009-04-21 2010-10-21 Alistair Duncan Westwood Multilayer Composites And Apparatuses And Methods For Their Making
KR101599872B1 (ko) * 2009-02-25 2016-03-04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그 제어방법 및 이를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
JP5478999B2 (ja) * 2009-09-02 2014-04-23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影装置
JP2011176794A (ja) * 2010-01-26 2011-09-08 Canon Inc 撮像装置及び撮像方法
JP5562149B2 (ja) 2010-07-06 2014-07-30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と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5818653B2 (ja) 2010-12-08 2015-11-18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5715433B2 (ja) * 2011-02-08 2015-05-07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及びアルバム作成方法、プログラム並びに記憶媒体
EP2672694B1 (en) * 2012-06-05 2014-01-15 Axis AB Improved control of an image capturing device
JP6084029B2 (ja) * 2012-12-27 2017-02-22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及びその記憶媒体
JP2014176024A (ja) * 2013-03-12 2014-09-22 Olympus Imaging Corp 撮影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画像処理プログラム
CN106464781B (zh) 2014-05-08 2020-11-03 索尼公司 信息处理装置和信息处理方法
JP6465333B2 (ja) * 2014-07-29 2019-02-06 フリュー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および画像処理方法
CN105635553B (zh) * 2014-10-30 2021-01-26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图像拍摄方法和装置
CN105812643A (zh) * 2014-12-30 2016-07-27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拼图的处理方法及装置
JP2015228673A (ja) * 2015-07-14 2015-12-17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と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EP3557860A4 (en) * 2016-12-19 2020-01-15 Sony Corporation CONTROL DEVICE, CONTROL METHOD AND PROGRAM
JP7014222B2 (ja) * 2017-03-30 2022-02-01 ソニーグループ株式会社 撮像装置、および画像処理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CN113673211B (zh) * 2020-05-13 2023-09-29 百度在线网络技术(北京)有限公司 内容标签设置方法、装置、电子设备和存储介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68689A (ja) 1997-12-02 1999-06-22 Fuji Photo Film Co Ltd 撮像装置
JP2000092378A (ja) * 1998-09-16 2000-03-31 Olympus Optical Co Ltd 撮像装置
KR20030071675A (ko) * 2003-08-01 2003-09-06 주식회사 미래를여는사람들 멀티미디어 시디타이틀 저작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04030118A (ja) 2002-06-25 2004-01-29 Fuji Photo Film Co Ltd 画像合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12841A (ja) * 1997-09-30 1999-04-23 Minolta Co Ltd デジタルカメラ
JP2001326846A (ja) * 2000-05-16 2001-11-22 Fuji Photo Film Co Ltd 画像撮像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4314863B2 (ja) * 2003-04-03 2009-08-19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電子機器及び画像処理方法
JP4235541B2 (ja) 2003-12-15 2009-03-11 キヤノン株式会社 デジタルカメラおよびデジタルカメラ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7391445B2 (en) * 2004-03-31 2008-06-24 Magix Ag System and method of creating multilayered digital images in real tim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68689A (ja) 1997-12-02 1999-06-22 Fuji Photo Film Co Ltd 撮像装置
JP2000092378A (ja) * 1998-09-16 2000-03-31 Olympus Optical Co Ltd 撮像装置
JP2004030118A (ja) 2002-06-25 2004-01-29 Fuji Photo Film Co Ltd 画像合成装置
KR20030071675A (ko) * 2003-08-01 2003-09-06 주식회사 미래를여는사람들 멀티미디어 시디타이틀 저작 시스템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004592B2 (en) 2011-08-23
HK1111033A1 (en) 2008-07-25
TWI342160B (en) 2011-05-11
CN100553294C (zh) 2009-10-21
KR20080005098A (ko) 2008-01-10
JP2008017238A (ja) 2008-01-24
US20080007631A1 (en) 2008-01-10
TW200814774A (en) 2008-03-16
CN101102407A (zh) 2008-0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68051B1 (ko) 촬상장치, 스루화상 표시제어방법 및 스루화상 표시제어프로그램이 컴퓨터 판독 가능하게 기록된 기록매체
KR100871639B1 (ko) 카메라 및 카메라의 화상처리방법
JP5025532B2 (ja) 撮影装置、撮像装置の制御方法及び撮像装置の制御プログラム
JP5389576B2 (ja) 撮像装置
KR101063678B1 (ko) 촬상 장치 및 촬상 방법
JP2006203811A (ja) 撮像装置及びそのプログラム
JP2007135133A (ja) 撮像装置
JP2008199477A (ja) 撮像装置
JP4941141B2 (ja) 撮像装置
JP4696322B2 (ja) 撮像装置
JP4274665B2 (ja) 電子ビューファインダ付き電子カメラ
JP4935559B2 (ja) 撮像装置
JP2007028486A (ja) デジタルカメラ
JP2005278003A (ja) 画像処理装置
JP4374490B2 (ja) 撮影装置
JP2008035388A (ja) 撮像装置
JP2008245072A (ja) 撮影制御方法及びその装置並びに撮影制御プログラム、撮影装置
JP2001211354A (ja) 電子カメラ
JP3620534B2 (ja) 電子スチルカメラ装置及び電子スチルカメラの撮影方法
JP6806222B2 (ja) 撮像装置
JP3028808B2 (ja) 電子スチルカメラおよび撮影方法
JP2008245073A (ja) 撮影装置、撮影制御方法、撮影制御プログラム、撮影制御装置
JP2010028250A (ja) カメラ装置、及びその画像表示方法と画像表示プログラム
JP4872714B2 (ja) 撮像装置、及び、記録制御プログラム
JP4798654B2 (ja) デジタルカメ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7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