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66549B1 - 인출 유닛 및 화상 형성 장치 - Google Patents

인출 유닛 및 화상 형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66549B1
KR100866549B1 KR1020070035359A KR20070035359A KR100866549B1 KR 100866549 B1 KR100866549 B1 KR 100866549B1 KR 1020070035359 A KR1020070035359 A KR 1020070035359A KR 20070035359 A KR20070035359 A KR 20070035359A KR 100866549 B1 KR100866549 B1 KR 1008665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apparatus main
conveyance path
conveying path
convey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353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28748A (ko
Inventor
히로유키 다나카
마키오 우에하라
오사무 우토
Original Assignee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287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287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65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65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65Apparatus which relate to the handling of copy material
    • G03G15/6555Handling of sheet copy material taking place in a specific part of the copy material feeding path
    • G03G15/6579Refeeding path for composite copy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604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the entire apparatus
    • G03G21/1623Means to access the interior of the apparatu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0362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relating to the copy medium handling
    • G03G2215/00367The feeding path segment where particular handling of the copy medium occurs, segments being adjacent and non-overlapping. Each segment is identified by the most downstream point in the segment, so that for instance the segment labelled "Fixing device" is referring to the path between the "Transfer device" and the "Fixing device"
    • G03G2215/00417Post-fixing device
    • G03G2215/0043Refeeding path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0362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relating to the copy medium handling
    • G03G2215/00535Stable handling of copy medium
    • G03G2215/0054Detachable element of feed path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0362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relating to the copy medium handling
    • G03G2215/00535Stable handling of copy medium
    • G03G2215/00687Handling details
    • G03G2215/00708Cleaning of sheet or feeding structur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 G03G2221/1678Frame structures
    • G03G2221/1684Frame structures using extractable subframes, e.g. on rails or hing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photography Configuration And Component (AREA)
  • Feeding Of Articles By Means Other Than Belts Or Rollers (AREA)
  • Paper Feeding For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장치 본체에 인출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장치 본체의 반송로면(搬送路面)과 대면하여 피반송 재료가 반송되는 반송로를 형성하는 인출 부재와, 상기 인출 부재의 인출 방향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인출 부재가 인출될 때에 상기 반송로면 상의 피반송 재료를 긁어내는 스크레이핑 부재(scraping member)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출 유닛이 제공된다.
Figure R1020070035359
인출 부재, 스크레이핑 부재, 반송로, 리브(rib), 레지스트부

Description

인출 유닛 및 화상 형성 장치{PULLOUT UNIT AND IMAGE FORMING DEVIC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도.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구성부품의 일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인출 유닛을 장치 본체에 수납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인출 유닛을 장치 본체로부터 인출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인출 유닛에 설치된 고무 부재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6은 본 실시예에 따른 인출 유닛에 설치된 수지 부재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7은 본 실시예에 따른 하부 플레이트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화상 형성 장치 12 … 장치 본체
14 … 급지 트레이 16 … 피드 롤
18 … 화상 형성부 20 … 레지스트부
22 … 반송로 24 … 제 1 클로(claw) 조각
26 … 반전 배출부 28 … 반전 반송로
30 … 감광체 드럼 32 … 반전 롤
34 … 양면 반송 패스 36 … 반전 배출 반송로
38 … 전사 장치 40 … 정착 장치
본 발명은 인출 유닛 및 화상 형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
화상 형성 장치로서는, 일본국 특허공개 제2004-69770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화상 형성 장치가 공지되어 있다. 일본국 특허공개 제2004-69770호 공보의 화상 형성 장치는, 기록 매체로서의 시트 재료에 토너 상(像)을 형성하기 위한 화상 형성 수단과, 상기 화상 형성 수단으로 시트 재료를 안내하는 레지스트 수단과, 상기 화상 형성 수단에 의해 형성된 시트 재료상의 화상을 시트 재료에 정착시키는 정착 수단과, 상기 정착 수단으로부터 배출되는 시트 재료를 반전(反轉)시켜 배출 수단으로 안내하는 반전 배지(排紙) 수단과, 상기 정착 수단으로부터 배출되는 시트 재료를 반송(搬送)하고, 상기 시트 재료상에 재차 화상을 형성하기 위해서 그 시트 재료를 반전하는 반송로로서의 양면 반전 패스(path)와, 상기 양면 반전 패스에서 반전된 시트 재료를 상기 레지스트 수단까지 반송하는 양면 반송 패스를 구비하고 있다.
이 레지스트 수단, 정착 수단, 반전 배지(排紙) 수단, 및 양면 반송 패스는 유닛화되어, 장치 본체에 대하여 인출가능한 인출 유닛으로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양면 반전 패스는 인출 유닛의 하면과 장치 본체 측의 프레임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화상 형성 장치에서는, 양면 반전 패스에서의 반전 도중에, 어떤 원인에 의해, 기록 매체가 양면 반전 패스 내의 공간에 떨어졌을 경우에는, 인출 유닛을 인출하여 잔존하는 기록 매체를 제거하는 행위를 해도, 기록 매체가 탑재되어 있는 장치 본체 측의 프레임은 이동하지 않기 때문에 기록 매체가 양면 반전 패스 내의 공간에 잔존하게 된다.
또한, 기록 매체를 반전시키기 위한 반전 롤러 등에 약간 걸린 상태에서, 기록 매체가 양면 반전 패스에서 정지했을 경우에도, 인출 유닛을 인출하더라도, 기록 매체와 장치 본체 측의 프레임과의 마찰 저항에 의해, 기록 매체가 양면 반전 패스 내의 공간에 잔존하게 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사실을 고려하여, 장치 본체 측의 반송로면과 인출 유닛 측의 반송로면에 형성되는 반송로 상에 잔존하는 피반송 재료(기록 매체)를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인출 유닛과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형태에 따른 인출 유닛은, 장치 본체에 인출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장치 본체의 반송로면과 대면하여 반송로를 형성하는 인출 부재와, 상기 인출 부재의 인출 방향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인출 부재가 인출될 때에 상기 반송로 면 상의 피반송 재료를 긁어내는 스크레이핑 부재(scraping member)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장치 본체 측의 반송로면과 대면하여 반송로를 형성하는 인출 부재가 인출되면, 인출 부재의 인출 방향의 내측에 설치된 스크레이핑 부재가 반송로면 상의 피반송 재료를 긁어낸다.
이에 따라, 장치 본체 측의 반송로면과 인출 유닛 측의 반송로면에 의해 형성되는 반송로 상에 잔존하는 피반송 재료를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 따른 인출 유닛은, 상기 스크레이핑 부재가 상기 반송로에 반송되는 피반송 재료의 최소 사이즈보다 좁은 간격으로 복수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스크레이핑 부재는 반송로에 반송되는 피반송 재료의 최소 사이즈보다 좁은 간격으로 복수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반송로 상에 잔존하는 피반송 재료가 최소 사이즈이더라도 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 따른 인출 유닛은, 상기 스크레이핑 부재는 상기 인출 부재의 반송로면으로부터 상기 장치 본체의 반송로면 측으로 돌출하도록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 따른 인출 유닛은, 상기 스크레이핑 부재의 돌출량이 상기 반송로에서 피반송 재료가 반송되는 위치보다 상기 장치 본체의 반송로면 측으로 더 돌출하도록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 따른 인출 유닛은, 상기 스크레이핑 부재는 상기 피 반송 재료의 상기 반송로에서의 반송 방향을 따라 설치되고, 상기 인출 부재의 인출 방향은 상기 반송 방향과 직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는, 감광체와, 감광체를 대전시키는 대전 유닛과, 감광체를 노광하고 정전 잠상을 형성하는 노광 유닛과, 정전 잠상을 현상하는 현상 유닛과, 현상된 화상을 기록 매체에 전사하는 전사 유닛을 포함하는 화상 형성부와, 화상 형성 장치의 장치 본체에 인출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장치 본체의 반송로면과 대면하여 기록 매체가 반송되는 반송로를 형성하는 인출 부재와, 상기 인출 부재의 인출 방향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인출 부재가 인출될 때에 상기 반송로면 상의 기록 매체를 긁어내는 스크레이핑 부재를 갖는 인출 유닛과, 상기 인출 부재의 인출 방향을 따라 상기 반송로면에 형성되어, 상기 스크레이핑 부재가 들어가는 오목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인출 부재의 인출 방향을 따라 장치 본체 측의 반송로면에 형성된 오목부에, 인출 유닛의 스크레이핑 부재가 들어가기 때문에, 스크레이핑 부재가 반송로 상에 잔존하는 기록 매체에 용이하게 걸리도록 하여, 스크레이핑 효과가 높아진다.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는, 상기 스크레이핑 부재가 상기 반송로에 반송되는 기록 매체의 최소 사이즈보다 더 좁은 간격으로 복수 배치되고, 상기 오목부가 각 스크레이핑 부재에 대응하여 복수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는, 상기 스크레이핑 부재가 상기 인출 부재의 반송로면으로부터 상기 장치 본체의 반송로면 측으로 돌출하도록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는, 상기 스크레이핑 부재의 돌출량이 상기 반송로에 있어서 기록 매체가 반송되는 위치보다 상기 장치 본체의 반송로면 측으로 더 돌출하도록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에서, 상기 스크레이핑 부재는 상기 기록 매체의 상기 반송로에서의 반송 방향을 따라 설치되고, 상기 인출 부재의 인출 방향은 상기 반송 방향과 직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는, 상기 장치 본체의 반송로면에 복수의 리브(rib)가 형성되고, 상기 리브와 리브 사이의 공간이 상기 오목부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는, 상기 장치 본체의 반송로면이 상기 장치 본체의 밑판의 상면(上面)에 형성되고, 상기 인출 부재의 반송로면이 상기 인출 유닛의 하면(下面)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는, 상기 반송로가 기록 매체를 반전시키기 위한 반송로의 일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일례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전체 구성)
우선, 본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전체 구성을 설명한다. 도 1에서, 본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전체 구성을 개략도로서 나타낸다. 도 2에서, 본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구성부품의 일부를 사시도로서 나타낸다.
본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10)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화상 형성 장치(10)의 각 구성부품을 수용하는 장치 본체(12)를 구비하고, 장치 본체(12)의 하부에는 기록 매체로서의 용지(P)가 수용되는 급지(給紙) 트레이(14)가 배치되어 있다.
이 급지 트레이(14)의 선단 측(도 1에 있어서 좌단 측)의 바로 위에는, 용지(P)의 상면의 선단 측에 접촉해서 회전하여, 급지 트레이(14)로부터 용지(P)를 송출하는 피드(feed) 롤(16)이 배치되어 있다.
또한, 장치 본체(12)에는, 급지 트레이(14)로부터 송출된 용지(P)가 반송되는 반송로(22)가 형성되어 있다. 반송로(22)는 급지 트레이(14)의 선단부로부터 연장되고, 장치 본체(12)의 중앙부에 있는 화상 형성부(18)를 경유하여, 장치 본체(12)에 부착된 배출 트레이(23)에 도달한다.
화상 형성부(18)는, 소정 방향(도 1에 있어서 반시계 회전 방향)으로 회전하는 감광체 드럼(30)을 구비하고 있다. 감광체 드럼(30)의 주위에는, 감광체 드럼(30)의 회전 방향 상류 측으로부터 순차적으로, 각각, 감광체 드럼(30)의 표면을 대전시키는 대전 장치(도시 생략)와, 대전한 감광체 드럼(30)의 표면을 노광하여 감광체 드럼(30)의 표면에 정전 잠상을 형성하는 노광 장치(도시 생략)와, 감광체 드럼(30)의 표면에 형성된 정전 잠상에 토너를 부착시켜서 현상하는 현상 장치(도시 생략)가 설치되어 있다.
감광체 드럼(30)에 대향하는 아래쪽에는, 반송로(22)를 사이에 두고, 감광체 드럼(30)의 표면에 형성된 토너 화상을 용지(P)에 소정의 전사 위치에서 전사하는 전사 장치(38)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화상 형성부(18)와 피드 롤(16) 사이에는, 반송로(22)를 따라 레지스트부(20)가 설치되어 있다. 레지스트부(20)는 레지스트 롤 쌍(20A, 20B)에 의해, 급지 트레이(14)로부터 송출된 용지(P)의 사행(skew:斜行)을 보정하는 동시에, 소정의 타이밍에서 전사 위치에 용지(P)를 보낸다.
화상 형성부(18)의 하류 측에는, 전사된 토너 화상을 용지(P)에 정착시키는 정착 장치(40), 용지(P)를 배출 트레이(23)로 배출하는 배출 롤 쌍(44)이 반송로(22)를 따라 배치되어 있다.
정착 장치(40)와 배출 롤 쌍(44) 사이에는, 용지(P)를 배출 트레이(23)로 배출할 때에 그 용지(P)를 반전시키는 반전 배출부(26)가 설치되어 있다(도 2 참조). 반전 배출부(26)에는, 정착 장치(40)와 배출 롤 쌍(44) 사이에서 반송로(22)에 접속되는 반송로로서의 반전 반송로(28)가 형성되어 있다.
이 반전 반송로(28)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아래쪽으로 연장되고, 장치 본체(12)의 하부에서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어 설치되어 있다. 반송로(22)와 반전 반송로(28)의 분기부에는, 용지(P)의 반송 경로를 결정하는 제 1 클로(claw)(24)가 설치되어 있다. 제 1 클로(24)는 아래쪽으로 요동하여(도 1에 있어서 2점 쇄선의 위치), 반전 반송로(28)를 폐쇄하고, 반송로(22)를 개방함으로써, 토너 화상이 정착된 용지(P)를 배출 롤 쌍(44)으로 안내한다. 배출 롤 쌍(44)으로 안내된 용지(P)는 반전되지 않은 채 배출 롤 쌍(44)에 의해, 배출 트레이(23)로 배출된다.
또한, 제 1 클로(24)는 위쪽으로 요동하여, 반송로(22)를 폐쇄하고, 반전 반송로(28)를 개방함으로써, 토너 화상이 정착된 용지(P)를 반전 반송로(28)로 안내한다.
반전 반송로(28)에는 반송 롤 쌍(33)이 설치되어 있고, 반전 반송로(28)로 안내된 용지(P)는 반송 롤 쌍(33)에 의해 반전 롤(32)로 보내진다.
반전 롤(32)은, 일단, 반전 반송로(28)의 하류 측으로 용지(P)를 보낸 후, 역회전함으로써, 용지(P)를 스위치백(switchback)시킨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반전 반송로(28) 중에서, 반전 롤(32)보다 하류 측의 부분을 반전 반송 패스(28A)라고 지칭한다.
반전 반송로(28)에는, 반전된 용지(P)를 배출 롤 쌍(44)으로 보내기 위한 반전 배출 반송로(36)가 접속되어 있다. 반전 배출 반송로(36)에는 용지(P)를 배출 롤 쌍(44)으로 반송하는 반송 롤 쌍(35)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반송 롤 쌍(35)은, 도 1에 있어서, 한쪽만을 도시하고 있다.
또한, 반전 반송로(28)에는, 한 면에 화상이 형성된 용지(P)를 다시 반송로(22)로 되돌려 보내기 위한 양면 반송 패스(34)가 접속되어 있다. 양면 반송 패스(34)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용지(P)를 안내하는 용지 가이드(42)가 반송 경로를 따라 배치됨으로써 형성된다. 양면 반송 패스(34)에는, 용지(P)를 반송로(22)로 반송하는 복수(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3개)의 반송 롤 쌍(39)이 설치되어 있다. 도 1에 있어서는, 반송 롤 쌍(39)을 일부 생략해서 도시하고 있다.
이 양면 반송 패스(34)와 반전 반송로(28)의 분기부에는, 용지(P)의 반송 경 로를 결정하는 제 2 클로(37)가 설치되어 있다.
제 2 클로(37)는, 아래쪽으로 요동하여(도 1에 있어서 2점 쇄선의 위치), 양면 반송 패스(34)를 폐쇄하고, 반전 배출 반송로(36)를 개방함으로써, 반전 반송 패스(28A)로부터 스위치백되는 용지(P)를 반전 배출 반송로(36)로 안내한다. 반전 배출 반송로(36)로 안내된 용지(P)는, 반전 배출 반송로(36)에 설치된 반송 롤 쌍(35)에 의해, 배출 롤 쌍(44)으로 반송된다. 배출 롤 쌍(44)으로 반송된 용지(P)는, 표리가 반전된 상태에서 배출 롤 쌍(44)에 의해, 배출 트레이(23)로 배출된다.
또한, 제 2 클로(37)는 위쪽으로 요동하여, 반전 배출 반송로(36)를 폐쇄하고, 양면 반송 패스(34)를 개방함으로써, 반전 반송 패스(28A)로부터 스위치백되는 용지(P)를 양면 반송 패스(34)로 안내한다. 양면 반송 패스(34)로 안내된 용지(P)는 레지스트부(20)로 보내져서, 다시, 화상 형성부(18)에 의해 화상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다른 한 면 측에 토너 상이 전사된다. 그리고, 정착 장치(40)에 의해, 전사된 토너 상이 용지(P)에 정착되어, 배출 롤 쌍(44)에 의해 용지(P)가 배출 트레이(23)로 배출된다.
이상과 같이, 화상 형성 장치(10)에 있어서의 반송로는, 급지 트레이(14)의 선단부로부터 연장해 화상 형성부(18)를 경유하여 배출 트레이(23)에 도달하는 반송로(22), 반송로(22)에 접속되어 아래쪽으로 연장되고 장치 본체(12)의 하부에서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반전 반송로(28), 반전 반송로(28) 중에서 반전 롤(32)보다 하류 측의 부분을 구성하는 반전 반송 패스(28A), 반전 반송로(28)에 접속되어 용지(P)를 배출 롤 쌍(44)으로 보내기 위한 반전 배출 반송로(36), 반전 반송로(28)에 접속되어 용지(P)를 다시 반송로(22)로 되돌려 보내기 위한 양면 반송 패스(34)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인출 유닛의 구성)
본 실시예에 따른 인출 유닛(50)은 장치 본체(12)에 대하여 출입되는 유닛으로서, 장치 본체(12)에 인출가능하게 설치된 인출 부재로서의 인출 유닛 본체(52)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도 3에는, 인출 유닛(50)이 장치 본체(12)에 수납된 상태를 나타내고, 도 4에는, 인출 유닛(50)이 장치 본체(12)로부터 인출된 상태를 나타낸다.
인출 유닛 본체(52)는, 예를 들면 레일(rail) 부재(도시 생략) 등으로 구성되는 인출 기구에 의해, 용지(P)의 용지 반송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인출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인출 유닛 본체(52)의 인출 방향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용지 반송 방향을 따르는 방향이어도 좋다.
인출 유닛 본체(52)에는, 각 구성부품을 지지하는 프레임(53)이 설치되어 있다. 프레임(53)은 각 구성부품으로서의 레지스트부(20), 전사 장치(38), 정착 장치(40), 반전 배출부(26), 반전 반송로(28), 및 양면 반송 패스(34)를 지지하고 있고, 이들의 구성부품은 유닛화되어, 일체로 장치 본체(12)로부터 출입된다. 또한, 도 1의 점선부분이 인출 유닛(50)을 구성하는 부분이다.
인출 유닛 본체(52)의 아래쪽에는,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장치 본체(12) 측의 프레임을 구성하는 밑판으로서의 하부 플레이트(54)가 설치되어 있 다. 이 하부 플레이트(54)는 반전 반송 패스(28A)의 장치 본체(12) 측의 반송로면(27)을 구성하고 있다.
이 반송로면(27)과 대면하는 반송로면(29)이 인출 유닛 본체(52)의 하면에 형성되고, 이 반송로면(29)과 반송로면(27)에 의해 반전 반송 패스(28A)가 형성된다.
인출 유닛 본체(52)의 인출 방향의 내측에는, 인출 유닛 본체(52)가 인출될 때에 반송로면(27) 상의 용지(P)를 긁어내는 스크레이핑 부재로서의 고무 부재(60)가 설치되어 있다. 이 경우에서의 "내측"이라는 용어는 인출 유닛 본체(52)가 조작자에 의해 인출되는 때에, 인출 방향에서, 조작자로부터 먼 측을 의미한다.
고무 부재(60)는 판 형상의 고무로 형성되고, 용지(P)와의 접촉 면적이 조정된다. 또한, 고무 부재(60)는, 수지 등과 비교할 때, 용지(P)와의 마찰이 높아, 용지(P)를 걸려들게 하는 효과가 높아진다. 또한, 고무 부재(60)는 반전 반송 패스(28A)에 반송되는 용지(P)의 최소 사이즈보다 좁은 간격으로 복수 배치되어 있다.
한편, 장치 본체(12) 측의 하부 플레이트(54)에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반송로면(27)에 오목부(58)가 형성되어 있다. 이 오목부(58)에 의해, 용지(P)가 통과하는 위치(L)보다, 낮은 부분에 공간이 형성된다.
고무 부재(60)는, 오목부(58)에 배치되어, 오목부(58)의 공간에 들어가게 되어 있다. 고무 부재(60)가 오목부(58)의 공간에 들어감으로써, 용지(P)가 통과하는 위치(L)보다 아래쪽으로 돌출하는 돌출량이 증대된다. 이에 따라 고무 부 재(60)의 하단부가 아니라, 고무 부재(60)의 중앙부가 용지(P)와 접촉하게 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작용)
다음으로, 상기의 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구성에 의하면, 인출 유닛(50)이 장치 본체(12)로부터 인출되면, 인출 유닛 본체(52)의 인출 방향의 내측에 설치된 고무 부재(60)가 반전 반송 패스(28A) 상에 잔존하는 용지(P)를 긁어낸다.
이에 따라 장치 본체(12) 측의 반송로면(27)과 인출 유닛(50)측의 반송로면(29)에 형성되는 반전 반송 패스(28A) 상에 잔존하는 용지(P)를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구성에 의하면, 고무 부재(60)는 반전 반송 패스(28A)에 반송되는 용지(P)의 최소 사이즈보다 좁은 간격으로 복수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반전 반송 패스(28A)에 잔존하는 용지(P)가 최소 사이즈이더라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구성에 의하면, 인출 유닛(50)의 인출 방향을 따라 장치 본체(12) 측의 반송로면(27)에 형성된 오목부(58)에, 고무 부재(60)가 들어가기 때문에, 고무 부재(60)가 반송로면(27) 상에 잔존하는 용지(P)가 용이하게 걸리도록 하는 스크레이핑 효과가 높아진다.
또한, 스크레이핑 부재로서는, 고무 부재(60)에 한정되지 않고,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인출 유닛 본체(52)와 일체로 형성된 원기둥 형상의 수지 부재(70)이어도 좋다.
또한, 장치 본체(12)에 설치된 밑판으로는, 도 7에 나타낸 하부 플레이트(64)이어도 좋다.
이 구성에서는, 반송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 복수 배치된 리브(72)가 설치되어 있다. 리브(72)는 반송 방향에 대하여 비스듬하게 연장되고, 반송되는 용지(P)에 반송 저항이 생기지 않도록 용지(P)를 안내한다.
또한, 리브(72)는 반송 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고, 융기(隆起)된 리브(72)가 형성됨으로써, 리브(72)와 리브(72) 사이에 고무 부재(60)가 들어가는 오목부가 형성된다.
고무 부재(60)는 용지(P)가 통과하는 위치보다 한 단계 낮은 오목부를 통과하여, 용지(P)를 확실하게 걸도록 되어 있다. 또한, 도 7에는, 고무 부재(60)가 통과하는 위치를 화살표(A)로 도시하고 있다.
또한, 이 구성에서는, 반송되는 용지(P)는 리브(72)로 안내되기 때문에, 용지(P)와의 접촉 면적을 작게 할 수 있어, 하부 플레이트(64)에 부착된 토너에 의한 용지(P)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장치 본체 측의 반송로면과 인출 유닛 측의 반송로면이 대면하여 형성되는 반송로가, 용지(P)가 스위치백되는 반전 반송 패스(28A)이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용지(P)가 통과하는 반송로이거나, 용지(P)가 반송되는 반송로이어도 좋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장치 본체 측의 반송로면과 대면하여 형성되는 인출 유닛 측의 반송로면은 인출 유닛(50)의 하면에 형성되어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 지 않고, 인출 유닛(50)의 측면 및 상면에 형성되는 구성이어도 좋다. 본 발명은 본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변형, 변경 및 개량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장치 본체 측의 반송로면과 인출 유닛측의 반송로면에 의해 형성되는 반송로 상에 잔존하는 피반송 재료(기록 매체)를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Claims (13)

  1. 장치 본체에 인출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장치 본체의 반송로면(搬送路面)과 대면하여 피반송 재료가 반송되는 반송로를 형성하는 인출 부재와,
    상기 인출 부재의 인출 방향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인출 부재가 인출될 때에 상기 반송로면 상의 피반송 재료를 긁어내는 스크레이핑 부재(scraping member)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출 유닛.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레이핑 부재는 상기 반송로에 반송되는 피반송 재료의 폭보다 좁은 간격으로 복수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출 유닛.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레이핑 부재는 상기 인출 부재의 반송로면으로부터 상기 장치 본체의 반송로면 측으로 돌출하도록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출 유닛.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레이핑 부재의 돌출량은 상기 반송로에서 피반송 재료가 반송되는 위치보다 상기 장치 본체의 반송로면 측으로 더 돌출하도록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출 유닛.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레이핑 부재는 상기 피반송 재료의 상기 반송로에서의 반송 방향을 따라 설치되고, 상기 인출 부재의 인출 방향은 상기 반송 방향과 직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출 유닛.
  6. 감광체와,
    감광체를 대전시키는 대전 유닛과,
    감광체를 노광하고 정전 잠상을 형성하는 노광 유닛과,
    정전 잠상을 현상하는 현상 유닛과,
    현상된 화상을 기록 매체에 전사하는 전사 유닛을 포함하는 화상 형성부와,
    화상 형성 장치의 장치 본체에 인출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장치 본체의 반송로면과 대면하여 기록 매체가 반송되는 반송로를 형성하는 인출 부재, 및
    상기 인출 부재의 인출 방향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인출 부재가 인출될 때에 상기 반송로면 상의 기록 매체를 긁어내는 스크레이핑 부재,
    를 갖는 인출 유닛과,
    상기 인출 부재의 인출 방향을 따라 상기 반송로면에 형성되어, 상기 스크레이핑 부재가 들어가는 오목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레이핑 부재는 상기 반송로에 반송되는 기록 매체의 폭보다 좁은 간격으로 복수 배치되고, 상기 오목부는 각 스크레이핑 부재에 대응하여 복수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레이핑 부재는 상기 인출 부재의 반송로면으로부터 상기 장치 본체의 반송로면 측으로 돌출하도록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레이핑 부재의 돌출량은 상기 반송로에서 기록 매체가 반송되는 위치보다 상기 장치 본체의 반송로면 측으로 더 돌출하도록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레이핑 부재는 상기 기록 매체의 상기 반송로에서의 반송 방향을 따라 설치되고, 상기 인출 부재의 인출 방향은 상기 반송 방향과 직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11.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 본체의 반송로면에 복수의 리브(rib)가 형성되고, 상기 리브와 리브 사이의 공간이 상기 오목부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12.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 본체의 반송로면은 상기 장치 본체의 밑판의 상면(上面)에 형성되 고, 상기 인출 부재의 반송로면은 상기 인출 유닛의 하면(下面)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13.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로는 기록 매체를 반전시키기 위한 반송로의 일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KR1020070035359A 2006-09-27 2007-04-11 인출 유닛 및 화상 형성 장치 KR10086654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262730A JP4811222B2 (ja) 2006-09-27 2006-09-27 引出しユニット及び画像形成装置
JPJP-P-2006-00262730 2006-09-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28748A KR20080028748A (ko) 2008-04-01
KR100866549B1 true KR100866549B1 (ko) 2008-11-03

Family

ID=392251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35359A KR100866549B1 (ko) 2006-09-27 2007-04-11 인출 유닛 및 화상 형성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715757B2 (ko)
JP (1) JP4811222B2 (ko)
KR (1) KR100866549B1 (ko)
CN (1) CN10115406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77870B2 (ja) * 2005-11-07 2009-12-02 シャープ株式会社 ユニットの収容抑止機構を備える画像形成装置
EP1912196A1 (en) 2006-10-09 2008-04-16 Harman Becker Automotive Systems GmbH Insertion of static elements in digital maps
JP2009276439A (ja) 2008-05-13 2009-11-26 Konica Minolta Business Technologies Inc 画像形成装置
JP5219628B2 (ja) * 2008-05-28 2013-06-26 キヤノン株式会社 シート搬送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5451093B2 (ja) * 2009-01-30 2014-03-26 キヤノン株式会社 シート搬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5413254B2 (ja) * 2010-03-09 2014-02-12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4968356B2 (ja) * 2010-03-31 2012-07-04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記録装置
JP2013008011A (ja) * 2011-05-20 2013-01-10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
JP2013184811A (ja) * 2012-03-09 2013-09-19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
JP6685731B2 (ja) * 2016-01-18 2020-04-22 キヤノン株式会社 シート搬送ガイド部材及びこれを用いたシート搬送装置並びに画像形成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39258A (ko) * 2000-11-20 2002-05-25 사까모도 마사모도 화상 형성 장치 및 시트 급송 장치
JP2006227464A (ja) 2005-02-21 2006-08-31 Fuji Xerox Co Ltd 画像形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69437A (ja) * 1988-12-22 1990-06-29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JPH03102569U (ko) * 1990-02-05 1991-10-24
JPH0846742A (ja) * 1994-07-28 1996-02-16 Daiwa Seiko Inc 自動原稿搬送装置
US5840003A (en) * 1997-04-11 1998-11-24 Xerox Corporation Stalled sheet folding and flattening apparatus in an electrostatographic machine
US6145828A (en) * 1997-11-28 2000-11-14 Mita Industrial Co., Ltd. Sheet conveyor single-handed parting engagement mechanism
KR100315638B1 (ko) * 1999-06-24 2001-12-12 윤종용 전자사진 복합기
US6647243B2 (en) * 2000-10-16 2003-11-11 Canon Kabushiki Kaisha Sheet treating apparatus, method of mounting sheet treat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2003012214A (ja) * 2001-06-29 2003-01-15 Konica Corp 画像形成装置
JP2004069770A (ja) 2002-08-01 2004-03-04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JP2004107008A (ja) 2002-09-18 2004-04-08 Fuji Xerox Co Ltd シート搬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5070638A (ja) * 2003-08-27 2005-03-17 Ricoh Co Ltd 記録媒体搬送ユニット及び画像形成装置
JP4429856B2 (ja) * 2004-09-29 2010-03-10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記録媒体搬送装置、画像形成装置
JP2006235002A (ja) * 2005-02-23 2006-09-07 Kyocera Mita Corp 画像形成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39258A (ko) * 2000-11-20 2002-05-25 사까모도 마사모도 화상 형성 장치 및 시트 급송 장치
JP2006227464A (ja) 2005-02-21 2006-08-31 Fuji Xerox Co Ltd 画像形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811222B2 (ja) 2011-11-09
KR20080028748A (ko) 2008-04-01
CN101154062B (zh) 2010-05-26
CN101154062A (zh) 2008-04-02
US20080075503A1 (en) 2008-03-27
JP2008083353A (ja) 2008-04-10
US7715757B2 (en) 2010-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66549B1 (ko) 인출 유닛 및 화상 형성 장치
KR101532204B1 (ko) 화상형성장치
US10452018B2 (en) Paper dust collecting member and image forming apparatus therewith
JP5417544B2 (ja) 画像形成装置
JP4815500B2 (ja) 後処理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KR100948560B1 (ko) 피반송물 반송 장치, 화상 형성 장치, 반송 방법 및 화상 형성 방법
KR20080106692A (ko) 화상형성장치
US20100119257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JP5277188B2 (ja) 画像形成装置
JP5963529B2 (ja) 用紙搬送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3423468B2 (ja) シート材搬送装置
JP6070335B2 (ja) 画像形成装置
JP7259549B2 (ja) 用紙搬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3651749B2 (ja) 画像形成装置の搬送装置
JP4186948B2 (ja) 画像形成装置
JPWO2014192395A1 (ja) シート搬送装置、画像読取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5880102B2 (ja) 記録媒体収容具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4399412B2 (ja) ユニット引出機構及び画像記録装置
JP2006084792A (ja) 画像形成装置
JP2004256247A (ja) 画像形成装置
JP4042221B2 (ja) 画像形成装置
JP2006285146A (ja) 画像形成装置
JP2006053450A (ja) 画像形成装置
JP3501696B2 (ja) 画像形成装置
JP2001261178A (ja) 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7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