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66527B1 - 오일필터용 여과지 접착기 - Google Patents

오일필터용 여과지 접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66527B1
KR100866527B1 KR1020080033131A KR20080033131A KR100866527B1 KR 100866527 B1 KR100866527 B1 KR 100866527B1 KR 1020080033131 A KR1020080033131 A KR 1020080033131A KR 20080033131 A KR20080033131 A KR 20080033131A KR 100866527 B1 KR100866527 B1 KR 1008665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gear
filter paper
frame
drive g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331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경
Original Assignee
이재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재경 filed Critical 이재경
Priority to KR10200800331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6652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65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65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05Filter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internal-combustion engine lubrication or fuel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MLUBRICAT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LUBRICA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RANKCASE VENTILATING
    • F01M1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M1/00 - F01M9/00
    • F01M11/03Mounting or connecting of lubricant purifying means relative to the machine or engine; Details of lubricant purify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7/00Apparatus or systems for feeding liquid fuel from storage containers to carburettors or fuel-injection apparatus; Arrangements for purifying liquid fue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7/22Arrangements for purifying liquid fue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e.g. arrangements in the feeding syste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일필터에 사용되는 여과지를 여과지의 이송과 핫멜트 접착제가 도포된 여과지의 압착을 하나의 구동모터로써 작동할 수 있고 여과지의 크기에 상관없이 구동이 가능한 오일필터용 여과지 접착기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의한 오일필터용 여과지 접착기는, 이송되는 여과지를 지지하는 한 쌍의 가이드플레이트와, 상기 한 쌍의 가이드플레이트의 사이의 공극으로 돌출되는 돌출벽을 가지며, 공급되는 여과지를 상기 가이드플레이트에 안내하는 가이드바와, 이송되는 여과지를 정렬하는 스토퍼부와,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의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가이드플레이트에 의해 지지되는 여과지를 이송시키는 이송부와, 이송된 여과지에 핫멜트를 도포하는 핫멜트 주입부와, 핫멜트가 도포된 여과지를 압착하는 압착부와, 상기 압착부를 구동하는 구동기어부와, 상기 구동기어부와 상기 이송부를 구동하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와 상기 이송부와 상기 구동기어부와 상기 가이드플레이트가 고정되는 프레임와, 상기 구동모터와 상기 스토퍼부와 상기 핫멜트 주입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하나의 구동모터만으로 여과지의 공급 및 이송은 물론 여과지의 압착이 가능하며, 여과지의 크기에 상관없이 상기 한 쌍의 가이드플레이트 사이의 공극이나 상기 스토퍼의 위치조정에 의해 간단한 조정만으로도 대소 여과지에 모두 적용할 수 있고, 여과지 단부의 정렬을 간단하게 조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돌출편에 의해 핫멜트가 도포된 여과지를 자동으로 세워주고 압착력을 강화시킬 수 있고, 풀리에 형성된 요철에 의해 압착력을 더욱 강화 할 수 있다.

Description

오일필터용 여과지 접착기{FILTER PAPER BONDING APPARATUS FOR VEHICLE OIL FILTER}
본 발명은 오일필터용 여과지 접착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자동차용 오일필터에 사용되는 여과지를 여과지의 이송과 핫멜트 접착제가 도포된 여과지의 압착을 하나의 구동모터로써 작동할 수 있고 여과지의 크기에 상관없이 구동이 가능한 오일필터용 여과지 접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 오일필터는 자동차에 연결되는 금속제 필터 케이스, 필터 케이스의 상단 개구부에 씌워지는 오일 유입구멍과 배출구를 갖는 캡 및 금속제 상부 지지판과 하부 지지판에 접착된 섬유질 필터소재를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오일 필터는 자동차가 약 10,000km 정도 주행한 후 엔진오일을 교환할 때 오일과 함께 교환하고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과지를 포함하는 오일필터에서 여과지의 조립시에는 여과지에 주름을 형성하고 이 주름이 형성된 여과지의 각 단부를 접착시키고, 다시 각 측단부를 캡으로 고정시킨다. 종래의 필터는 그 하부에 오일펌프쪽과 연 결되는 인입구멍과, 그 중앙에 엔진쪽과 연결되어 윤활 작용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인출구멍을 가지며, 인입구멍으로 들어오는 엔진오일을 여과할 수 있도록 내측에 여과지가 설치된다.
한편, 주름이 형성된 여과지의 각 단부를 접착시키는 과정을 간략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작업자가 홀더에 오일필터에 사용되는 여과지의 양단부를 끼워넣고, 뜨거운 접착제를 일정량 유출되도록 조작한 후, 이를 작업자가 접착하여 주름이 형성된 여과지의 양단부를 접착하고 여과지의 양측단부에 캡을 씌워 고정시킴으로써 오일필터의 일부 부품을 완성시킨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한 여과지 접착기는, 수동에 의해 접착제의 도포 및 접착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작업자의 숙련도에 따라 효율과 완성된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핫멜트의 도포 후 압착에 의한 접착에 시간이 소요되므로, 접착 작업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접착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이 많이 들어가고, 작업공수가 많이 소요된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여과지의 크기에 따른 조정이나 여과지의 단부가 정렬되지 않아 불량이 자주 발생한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서, 하나의 구동모터만으로 여과지의 공급 및 이송은 물론 여과지의 압착을 가능하게 하는 오일필터용 여과지 접착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여과지의 크기에 상관없이 간단한 조정만으로도 대소 여과지에 모두 적용할 수 있고, 여과지 단부의 정렬을 간단하게 조정할 수 있는 오일필터용 여과지 접착기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핫멜트가 도포된 여과지를 자동으로 세워주고 압착력을 강화시킬 수 있는 오일필터용 여과지 접착기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오일필터용 여과지 접착기는, 이송되는 여과지를 지지하는 한 쌍의 가이드플레이트와, 상기 한 쌍의 가이드플레이트의 사이의 공극으로 돌출되는 돌출벽을 가지며, 공급되는 여과지를 상기 가이드플레이트에 안내하는 가이드바와, 이송되는 여과지를 정렬하는 스토퍼부와,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의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가이드플레이트에 의해 지지되는 여과지를 이송시키는 이송부와, 이송된 여과지에 핫멜트를 도포하는 핫멜트 주입부와, 핫멜트가 도포된 여과지를 압착하는 압착부와, 상기 압착부를 구동하는 구동기어부와, 상기 구동기어부와 상기 이송부를 구동하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와 상기 이송부와 상기 구동기어부와 상기 가이드플레이트가 고정되는 프레임와, 상기 구동모터와 상기 스토퍼부와 상기 핫멜트 주입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한 쌍의 가이드플레이트는, 상기 가이드바가 설치된 측의 끝단부분이 서로 대향하는 면으로부터 외측을 향하여 경사져 형성되어 있고, 수직방향으로도 끝단부분의 두께가 점점 감소하도록 경사져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한 쌍의 가이드플레이트는, 상기 핫멜트 주입부와 상기 압착부와의 사이에 마련되며 상기 압착부를 향하여 상기 가이드플레이트의 표면으로부터 경사지게 돌출되어 형성된 돌출편을 더욱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토퍼부는,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는 고정플레이트와, 상기 고정플레이트의 상측에 설치되는 에어실린더와, 상기 에어실린더의 측면에 설치되는 스토퍼 샤프트와, 상기 고정플레이트의 하측에 설치되며 상기 돌출벽이 삽입되는 홈이 형성되어 상기 에어실린더 및 상기 스토퍼 샤프트에 의해 상기 돌출벽이 삽입되도록 상하로 구동되는 스토퍼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송부는, 상기 가이드플레이트의 하측에 설치되며 무한궤도형상으로 형성된 한 쌍의 이송체인과, 상기 이송체인을 지지하는 체인레일과,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어 상기 이송체인을 지지하는 지지샤프트와, 상기 이송체인을 회전시키는 이송구동부와, 상기 한 쌍의 이송체인에 서로 연결되어 여과지를 이송 가압하는 푸셔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송구동부는, 상기 구동모터에 연결된 메인기어와 맞물리는 제1 이송기어와, 상기 제 1 이송기어가 설치되는 제 1 메인이송샤프트와, 상기 메인이송샤프트의 하측에 마련되는 제 1 베벨기어와, 상기 제 1 베벨기어와 맞물리는 제 2 베벨기어와, 상기 제 2 베벨기어가 설치되는 고정샤프트와, 상기 고정샤프트에 설치되는 제 2 이송기어와, 상기 제 2 이송기어와 맞물리는 메인이송기어와, 상기 메인이송기어가 설치되며 상기 이송체인을 회전시키는 제 2 메인이송샤프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푸셔부는, 상기 한 쌍의 이송체인에 각각 연결되는 푸셔브라켓과, 상기 각각의 푸셔브라켓에 양끝단이 연결되는 ㄱ자 형상의 푸셔본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푸셔본체는 길이방향의 중앙부분에 상측으로 돌출된 볼록부를 더욱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동기어부는, 상기 메인기어에 맞물리는 제 1 구동기어부와, 상기 제 1 구동기어부에 맞물리는 제 2 구동기어부로 구성되며,
상기 제 1 구동기어부는, 상기 프레임에 연결되는 제 1 샤프트와, 상기 제 1 샤프트에 설치되어 상기 메인기어에 맞물리는 제 1 구동기어와, 상기 프레임에 연결되는 종동샤프트에 설치되는 제 1 종동기어와, 상기 제 1 구동기어와 상기 제 1 종동기어에 연결되는 제 1 스프로켓을 구비하며,
상기 제 2 구동기어부는,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는 제 2 샤프트와, 상기 제 2 샤프트에 설치되어 상기 제 1 구동기어에 맞물리는 제 2 구동기어와, 상기 프레임 에 연결되는 제 2 종동샤프트에 설치되는 제 2 종동기어와, 상기 제 2 구동기어와 상기 제 2 종동기어에 연결되는 제 2 스프로켓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1 구동기어부는, 상기 제 1 구동기어와 상기 제 1 종동기어 사이에 배치되는 제 1 텐션기어와,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며 상기 제 1 텐션기어에 제 1 연결로드를 통하여 연결되는 제 1 텐션샤프트와, 일끝단은 상기 제 1 연결로드에 고정되고, 타끝단은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어 상기 제 1 연결로드에 긴장력을 가하는 제 1 탄성스프링을 더욱 구비하며,
상기 제 2 구동기어부는, 상기 제 2 구동기어와 상기 제 2 종동기어 사이에 배치되는 제 2 텐션기어와,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며 상기 제 2 텐션기어에 제 2 연결로드를 통하여 연결되는 제 2 텐션샤프트와, 일끝단은 상기 제 2 연결로드에 고정되고, 타끝단은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어 상기 제 2 연결로드에 긴장력을 가하는 제 2 탄성스프링을 더욱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압착부는, 제 1 압착부와 제 2 압착부로 구성되며,
상기 제 1 압착부는, 상기 가이드플레이트의 끝단 상측에서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는 제 1 압착샤프트와, 상기 제 1 압착샤프트와 상기 제 1 종동샤프트를 둘러싸도록 설치되는 제 1 풀리를 구비하며,
상기 제 2 압착부는, 상기 가이드플레이트의 끝단 상측에서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는 제 2 압착샤프트와, 상기 제 2 압착샤프트와 상기 제 2 종동샤프트를 둘러싸도록 설치되는 제 2 풀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1 압착부는, 상기 제 1 압착샤프트로부터 상기 프레임의 측면측으로 치우쳐 설치되는 제 1 풀리샤프트를 더욱 구비하며, 상기 제 1 풀리는 상기 제 1 압착샤프트와 상기 제 1 풀리샤프트와 상기 제 1 종동샤프트를 둘러싸도록 설치되며,
상기 제 2 압착부는, 상기 제 2 압착샤프트로부터 상기 프레임의 측면측으로 치우쳐 설치되는 제 2 풀리샤프트를 더욱 구비하며, 상기 제 2 풀리는 상기 제 2 압착샤프트와 상기 제 2 풀리샤프트와 상기 제 2 종동샤프트를 둘러싸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1 풀리샤프트 및 상기 제 2 풀리샤프트는, 상기 프레임에는 기다란 홈을 형성하여 상기 홈을 통해 볼트에 의해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며, 상기 홈은 기다란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풀리샤프트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접착기에 의하면, 하나의 구동모터만으로 여과지의 공급 및 이송은 물론 여과지의 압착이 가능하며, 여과지의 크기에 상관없이 상기 한 쌍의 가이드플레이트 사이의 공극이나 상기 스토퍼의 위치조정에 의해 간단한 조정만으로도 대소 여과지에 모두 적용할 수 있고, 여과지 단부의 정렬을 간단하게 조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접착기에 의하면, 상기 돌출편에 의해 핫멜트가 도포된 여과지를 자동으로 세워주고 압착력을 강화시킬 수 있고, 풀리에 형성된 요철에 의해 압착력을 더욱 강화할 수 있다. 또한, 요철이 형성된 풀리에 의해 압착하므로, 평탄한 벨트에 의해 접착하는 것에 비하여, 접착시 핫멜트가 여과지 밖으로 눌려 삐져나오거나 하여 접착에 불량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스프링에 의해 구동체인의 긴장력을 더욱 유지하고, 상기 홈내의 위치조정에 의해 상기 풀리에 가해지는 긴장력을 더욱 유지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오일필터용 여과지 접착기를 실시예로써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오일필터용 여과지 접착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그 측면도, 도 4는 그 정면도, 도 5는 그 평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오일필터용 여과지 접착기(1)는, 가이드 플레이트(10)와, 가이드 바(14)와, 스토퍼부(20)와, 이송부(30)와, 핫멜트 주입부(4)와, 구동기어부(60)와, 압착부(70)와, 제어부(81)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10)의 하부에는 상기 가이드 바(14)가 마련되며, 상기 가이드 바는 여과지(2)가 공급되는 측으로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로부터 돌출되도록 마련된다.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의 여과지가 공급되는 측의 끝단 부분의 상부에는 상기 스토퍼부(20)가 마련되며,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의 하부에는 상기 이송부가 마련된다. 또한, 상기 한 쌍의 가이드 플레이트의 어느 하나의 측면에는 상기 핫 멜트 주입부가 설치되어 공급/이송되는 여과지의 끝단부분에 핫멜트를 도포한다.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의 상기 여과지가 공급되는 측의 반대측 끝단 상부에는 상기 압착부와 상기 구동기어부가 마련되며, 상기 이송부의 하부에는 제어부가 마련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가이드플레이트와 가이드바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10은 도 9의 A부분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11은 도 9의 B부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 내지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10)는, 정면에서 볼 때 좌우 한 쌍으로 설치되며, 이송되는 여과지를 지지한다. 상기 한 쌍의 가이드플레이트(10)는, 상기 여과지(2)가 공급되는 측으로부터 상기 구동기어부가 마련된 측까지 상기 접착기의 길이방향의 전반에 걸쳐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가이드 플레이트의 각각의 하부면에는 길이방향 전반에 걸쳐 지지바가 설치되어 있다.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한 쌍의 가이드 플레이트(10)의 각각은, 상기 가이드바가 설치된 측의 끝단부분이 서로 대향하는 면으로부터 외측을 향하여 경사져 형성되어 경사부(11)를 형성하고, 수직방향으로도 끝단부분의 두께가 점점 감소하도록 경사져 형성되어 수직 경사부(12)를 형성한다. 이와 같이, 수평 및 수직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함으로써, 공급되는 여과지의 끝단 부분의 주름이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에 원활하게 안내될 수 있고, 가이드 플레이트의 상부면에 양호하게 걸쳐질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한편,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한 쌍의 가이드플레이트는, 각각 돌출편(13)을 더욱 구비한다. 상기 돌출편(13)은, 상기 핫멜트 주입부와 상기 압착부와의 사이에 마련되며 상기 압착부를 향하여 상기 가이드플레이트의 표면으로부터 경사지게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돌출편의 구성에 의하여, 핫멜트가 도포된 여과지는 상기 구동기어부측으로 이송됨에 따라, 여과지 끝단의 주름은 길이방향의 끝단부분부터 상기 돌출편을 지날 때에, 상향으로 경사진 돌출편을 따라 세워져서 상기 압착부의 풀리사이에 공급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돌출편의 구성에 의해 여과지의 접착되는 주름부분이 자동으로 세워져 정렬될 수 있으므로 보다 정확한 여과지의 접착이 가능하다.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의 하부에는 상기 가이드 바(14)가 설치된다. 상기 가이드 바(14)는 상기 한 쌍의 가이드플레이트의 사이의 공극으로 돌출되는 돌출벽을 구비하여 대략 ⊥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돌출벽의 양측에는 여과지의 접착될 주름의 끝단부분이 각각 공급, 배치되며, 상기 가이드 바의 하부면에 의해 지지된다. 또한, 상기 가이드 바는 상기 프레임의 측면부에 고정지지된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접착기의 스토퍼부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접착기의 스토퍼부와 가이드바와 이송체인부를 나타내는 측면단면도, 도 8은 도 7의 정면단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의 여과지가 공급되는 측의 끝단 부분의 상부에는 상기 스토퍼부(20)가 마련되어, 이송되는 여과지를 정렬한다.
상기 스토퍼(20)부는, 고정플레이트(21)와, 에어실린더(22)와, 스토퍼 샤프트(23)와, 스토퍼(24)를 구비한다.
상기 고정플레이트(21)는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어 설치되며, 복수의 플레이트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플레이트(21)에는 복수의 구멍을 설치하고, 상기 구멍에 끼워넣어지는 볼트 등의 결합수단에 의해 상기 에어실린더와 상기 스토퍼 샤프트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에어실린더(22)는 상기 고정플레이트의 상측에 설치되고, 상기 스토퍼 샤프트는 상기 에어실린더의 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에어실린더의 동작에 따라 상기 스토퍼를 상하로 구동할 수 있다.
상기 스토퍼(24)는, 상기 고정플레이트의 하측에 설치되며 상기 에어실린더의 구동에 따라 상하로 이동된다. 상기 스토퍼의 중앙에는 하부측으로부터 상기 돌출벽(15)이 삽입되는 홈(24a)이 기다랗게 형성되어 상기 홈에 상기 돌출벽이 삽입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스토퍼에 이송된 여과지의 끝단부분이 맞닿게 되어 여과지의 끝단부분이 가지런히 정렬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상기 여과지가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와 상기 가이드 바를 따라 이송되면, 상기 스토퍼의 부근에 설치된 센서(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여과지의 이송을 감지하고, 상기 센서에 의해 감지된 신호는 상기 제어부로 보내진 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의 감지신호에 의해, 상기 이송부의 이송동작을 중지하고, 상기 에어실린더에 신호를 보내 상기 스토퍼가 하부측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에어실린더의 행정을 제어한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고정플레이트에 홈을 마련하여 스토퍼의 위치를 미세하게 조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스토퍼부(20)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수 개 구비하여 대형 오일필터용 여과지는 물론 소형 오일필터용 여과지에도 모두 적용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스토퍼의 구성에 의해, 여과지의 끝단부분이 서로 튀어나와 접착되는 불량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자동으로 정렬할 수 있으므로 작업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의 하부에는 이송부(30)가 마련된다. 도 3, 도 7 및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이송부(30)는, 이송체인(31)과, 체인레일(32)과, 지지샤프트(33)와, 푸셔부(40)와, 이송구동부(5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이송체인(31)은, 정면에서 볼 때 좌우 한 쌍으로 구성되고, 상기 가이드플레이트의 하측에 설치되며 무한궤도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체인레일(32)는, 본 실시예에서는 대략 ㄴ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이송체인을 지지하며, 상기 프레임의 측면부에 고정설치된다. 상기 한 쌍의 이송체인 각각은, 도 3 및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수의 지지샤프트(33)를 갖는다. 상기 지지샤프트는, 도 3에서 볼 때, 상부측에 2개, 하부 우측에 1개의 지지샤프트로 구성되며, 각각의 지 지샤프트는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고, 상기 지지샤프트에는 상기 체인과 맞물리는 기어치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이송체인은 이송구동부(50)에 의해 회전동작된다. 상기 이송구동부(50)는, 도 14 및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이송기어(51)와, 제 1 메인이송샤프트(52)와, 제 1 베벨기어(53)와, 제 2 베벨기어(54)와, 제 2 이송기어(55)와, 고정샤프트(56)와, 메인이송기어(57)와, 제 2 메인이송샤프트(58)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제 1 메인이송샤프트(52)는 수직방향으로 세워져 설치되며, 상기 프레임에 고정연결된다. 상기 제 1 메인이송샤프트(52)의 상부측에는 제 1 이송기어(51)가 마련되며, 상기 제 1 이송기어는 상기 구동모터에 연결된 메인기어(80a)와 맞물린다. 상기 제 1 메인이송샤프트(52)의 하부측에는 제 1 베벨기어(53)가 마련된다. 상기 고정샤프트(56)는 상기 프레임의 측면에 고정설치되고, 상기 고정샤프트에는 제 2 베벨기어(54)가 마련되며, 상기 제 2 베벨기어는 상기 제 1 베벨기어와 맞물림되어 상기 제 1 베벨기어와 상기 제 2 베벨기어의 맞물림에 의해 회전방향이 전환된다. 또한, 상기 고정샤프트(56)에는 제 2 이송기어(55)가 마련되며, 상기 고정샤프트(56)의 측면에는 상기 제 2 메인이송샤프트(58)가 설치된다. 상기 제 2 메인이송샤프트(58)에는 메인이송기어(57)가 설치되며, 상기 메인이송기어는 상기 제 2 이송기어와 맞물린다. 또한, 상기 고정샤프트는 접착기의 폭방향 전체에 걸쳐서 형성되어 있지 않지만, 상기 제 2 메인이송샤프트(58)는 상기 접착기의 폭방향의 전체에 걸쳐 형성되어 상기 프레임의 양측면에 고정설치된다. 또 한, 상기 제 2 메인이송샤프트(58)에는 상기 메인이송기어(57)의 내측에, 즉 상기 접착기의 폭방향의 중앙측에 상기 한 쌍의 이송체인과 맞물림되는 기어치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상기 이송구동부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상기 구동모터에 의한 구동에 의해, 상기 구동모터에 연결된 메인기어가 회전하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메인기어와 맞물리는 제 1 이송기어가 회전된다. 상기 제 1 이송기어의 회전구동에 따라, 상기 제 1 메인이송샤프트가 회전하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제 1 메인이송샤프트의 하부에 설치된 제 1 베벨기어가 회전구동된다. 상기 제 1 베벨기어의 회전구동에 따라, 상기 제 1 베벨기어와 맞물리는 제 2 베벨기어가 회전구동되면서 회전방향이 전환된다. 상기 제 2 베벨기어의 회전구동에 따라, 상기 제 2 베벨기어가 설치된 상기 고정샤프트가 회전하게 되고, 상기 고정샤프트에 설치된 제 2 이송기어가 회전구동된다. 상기 제 2 이송기어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제 2 이송기어와 맞물리는 메인이송기어가 회전구동되고, 이에 따라 상기 메인이송기어가 설치된 상기 제 2 메인이송샤프트가 회전구동된다. 상기 제 2 메인이송샤프트의 회전구동에 따라, 상기 제 2 메인이송샤프트에 마련된 기어치와 맞물리는 이송체인이 상기 체인레일을 따라 회전구동된다.
한편, 상기 이송체인의 회전구동에 따라, 상기 이송체인에 설치된 복수의 푸셔부(40)가 상기 이송체인을 따라 회전하면서 공급된 여과지를 이송가압한다. 상기 푸셔부(40)는,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푸셔브라켓(41)과, 푸셔본체(42)와, 볼록부(43)를 구비한다.
상기 푸셔브라켓(41)의 일측은 상기 이송체인을 구성하는 체인피스의 어느 하나에 용접이나 나사 등의 결합수단에 의해 연결되어 있고, 타측은 상기 푸셔본체(42)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푸셔본체(42)는 대략 ㄱ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한 쌍의 이송체인 사이의 거리와 대략 동일한 길이를 갖는다.
또한, 상기 푸셔본체(42)의 길이방향의 중앙부분에는 푸셔본체와 동일한 두께로 상측으로 돌출된 볼록부(43)가 더욱 구비되어, 상기 이송체인의 회전에 따라 상기 푸셔부가 상기 여과지를 이송가압할 때에, 더욱 안정적으로 이송가압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구동기어부와 압착부를 나타내는 평면단면도, 도 14는 그 정면단면도, 도 15는 그 측면단면도, 도 16은 본 발명의 풀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 내지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이송구동부(50)의 상측에는 구동기어부(60)와 압착부(70)가 마련된다.
상기 구동기어부(60)는, 정면에서 볼 때 좌우 한 쌍의 제 1 구동기어부(61)와, 제 2 구동기어부(61')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제 1 구동기어부와 상기 제 2 구동기어부는 대략 대칭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제 1 구동기어부(61)는, 제 1 샤프트(62)와, 제 1 구동기어(63)와, 제 1 종동기어(64)와 제 1 스프로켓(65)를 구비한다. 상기 제 1 샤프트(62)는 상기 프레임(3)의 상측에 설치되며, 상기 제 1 샤프트(62)에는 상기 제 1 구동기어(63)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제 1 구동기어(63)는 상기 구동모터에 연결된 상기 메인기어(81a)에 맞물린다. 또한, 상기 제 1 구동기어의 반대측, 즉 돌출편을 따라 세워져서 공급되는 여과지가 공급되는 측에는 제 1 종동기어가 종동샤프트의 상측(상기 프레임의 상측의 하부면)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 1 구동기어부(61)는, 제 1 텐션기어(66)와, 제 1 텐션샤프트(67)와 제 1 연결로드(68)와, 제 1 탄성스프링(69)를 더욱 구비한다.
상기 제 1 텐션기어(66)는 상기 제 1 구동기어와 상기 제 1 종동기어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 1 구동기어와 상기 제 1 종동기어의 중심축을 잇는 선에서 상기 프레임을 측면을 향하여 벗어난 위치에 그 중심축이 위치하도록 배치된다. 즉, 상기 제 1 텐션기어와, 상기 제 1 구동기어와, 상기 제 1 종동기어는 대략 삼각형의 형상을 이루도록 위치에 배치된다.
또한, 상기 제 1 텐션기어로부터 상기 프레임의 측면으로 더욱 벗어난 위치에는 상기 제 1 텐션샤프트(67)가 배치되며, 상기 제 1 텐션샤프트(67)는 상기 프레임의 상측에 고정 설치된다. 상기 제 1 텐션샤프트와 상기 제 1 텐션기어와의 사이에는 제 1 연결로드가 마련된다. 또한, 상기 제 1 탄성스프링(69)는, 일끝단이 상기 프레임의 상측에 볼트 등의 연결수단에 의해 고정되며, 타끝단은 상기 제 1 연결로드(68)에 고정되어 상기 제 1 연결로드(68)을 통하여 상기 제 1 텐션기어에 긴장력을 작용한다.
또한, 상기 제 1 구동기어와 상기 제 1 종동기어와 상기 제 1 텐션기어의 외 주면을 감싸도록 상기 제 1 스프로켓(65)이 설치된다.
상기 제 2 구동기어부(61')는, 제 2 샤프트(62')와, 제 2 구동기어(63')와, 제 2 종동기어(64')와 제 2 스프로켓(65')를 구비한다. 상기 제 2 샤프트(62')는 상기 프레임(3)의 상측에 설치되며, 상기 제 2 샤프트(62')에는 상기 제 2 구동기어(63')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제 2 구동기어(63')는 상기 제 1 구동기어(61)에 맞물린다. 또한, 상기 제 2 구동기어의 반대측, 즉 돌출편을 따라 세워져서 공급되는 여과지가 공급되는 측에는 제 2 종동기어가 종동샤프트의 상측(상기 프레임의 상측의 하부면)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 2 구동기어부(61')는, 제 2 텐션기어(66')와, 제 2 텐션샤프트(67')와 제 2 연결로드(68')와, 제 2 탄성스프링(69')를 더욱 구비한다.
상기 제 2 텐션기어(66')는 상기 제 2 구동기어와 상기 제 2 종동기어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 2 구동기어와 상기 제 2 종동기어의 중심축을 잇는 선에서 상기 프레임을 측면을 향하여 벗어난 위치에 그 중심축이 위치하도록 배치된다. 즉, 상기 제 2 텐션기어와, 상기 제 2 구동기어와, 상기 제 2 종동기어는 대략 삼각형의 형상을 이루도록 위치에 배치된다.
또한, 상기 제 2 텐션기어로부터 상기 프레임의 측면으로 더욱 벗어난 위치에는 상기 제 2 텐션샤프트(67')가 배치되며, 상기 제 2 텐션샤프트(67')는 상기 프레임의 상측에 고정 설치된다. 상기 제 2 텐션샤프트와 상기 제 2 텐션기어와의 사이에는 제 2 연결로드가 마련된다. 또한, 상기 제 2 탄성스프링(69')는, 일 끝단이 상기 프레임의 상측에 볼트 등의 연결수단에 의해 고정되며, 타끝단은 상기 제 2 연결로드(68')에 고정되어 상기 제 2 연결로드(68')를 통하여 상기 제 2 텐션기어에 긴장력을 작용한다.
또한, 상기 제 2 구동기어와 상기 제 2 종동기어와 제 2 텐션기어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상기 제 2 스프로켓(65')이 설치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 텐션기어와 제 2 텐션기어에 상기 제 1 탄성스프링 및 상기 제 2 탄성스프링을 통하여 탄성력에 의해 제 1 및 제 2 연결로드를 통하여 긴장력을 가할 수 있으므로, 상기 제 1 및 제 2 스프로켓이 느슨해지거나 하는 일 없이 항상 긴장력을 가하여, 후술하는 압착부의 풀리가 느슨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압착부(70)는, 제 1 압착부(71)와 제 2 압착부(71')로 구성된다.
상기 제 1 압착부(71)는, 상기 가이드플레이트의 끝단 상측에서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는 제 1 압착샤프트(72)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제 1 압착부는, 상기 제 1 압착샤프트로부터 상기 프레임의 측면측으로 치우쳐 설치되는 제 1 풀리샤프트(74)를 더욱 구비하며, 상기 제 1 압착샤프트와 상기 제 1 풀리샤프트와 상기 제 1 종동샤프트를 둘러싸도록 제 1 풀리(73)가 설치된다.
상기 제 2 압착부(71')는, 상기 가이드플레이트의 끝단 상측에서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는 제 2 압착샤프트(72')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제 2 압착부는, 상기 제 2 압착샤프트로부터 상기 프레임의 측면측으로 치우쳐 설치되는 제 2 풀리샤 프트(74')를 더욱 구비하며, 상기 제 2 압착샤프트와 상기 제 2 풀리샤프트와 상기 제 2 종동샤프트를 둘러싸도록 제 2 풀리(73')가 설치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상기 구동기어부와 상기 압착부의 구동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에 따라, 상기 구동모터에 연결된 메인기어(81a)가 회전구동되고, 이에 따라 상기 메인기어에 맞물린 상기 제 1 구동기어가 회전구동된다.
상기 제 1 구동기어의 회전구동에 따라, 상기 제 1 구동기어에 맞물리는 제 2 구동기어가 회전구동되고, 상기 제 1 구동기어가 설치된 제 1 샤프트와 상기 제 2 구동기어가 설치된 제 2 샤프트가 회전하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제 1 샤프트 및 제 2 샤프트에 각각 연결된 제 1 스프로켓과 제 2 스프로켓이 회전구동된다.
상기 제 1 스프로켓과 상기 제 2 스프로켓이 회전구동됨에 따라, 상기 제 1 스프로켓과 상기 제 2 스프로켓이 감싸고 있는 제 1 텐션기어, 제 1 종동기어와 제 2 텐션기어, 제 2 종동기어가 각각 회전구동되고, 이에 따라 상기 제 1 종동기어와 제 2 종동기어가 설치된 종동샤프트들이 회전구동된다. 상기 종동샤프트들의 회전구동에 따라 상기 종동샤프트들의 하부를 감싸는 제 1 풀리 및 제 2 풀리가 각각 회전구동된다.
그런 다음, 핫멜트가 도포된 여과지가 상기 돌출편을 따라 세워져서 공급되면, 회전구동되고 있는 상기 제 1 풀리 및 제 2 풀리 사이를 통과하면서 압착되어 여과지 끝단의 주름부분이 핫멜트에 의해 접착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하나의 구동모터만으로도 좌우 한 쌍의 구동기어부와 압착부를 구동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동일한 구동속도로 구동시킬 수 있으므로 접착되는 여과지의 끝단부분이 서로 어긋나거나 하는 일 없이 접착할 수 있다.
한편,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 1 풀리샤프트 및 상기 제 2 풀리샤프트가 설치되는 상기 프레임에는 기다란 홈(75)을 더욱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 1 풀리샤프트 및 상기 제 2 풀리샤프트는 각각 상기 홈을 통해 볼트에 의해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고, 상기 홈은 기다란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홈을 따라 볼트 등의 결합수단에 의해 상기 제 1 및 제 2 풀리샤프트를 고정할 수 있으므로, 상기 제 1 및 제 2 풀리샤프트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제 1 및 제 2 풀리샤프트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상기 제 1 풀리 및 제 2 풀리에 작용하는 긴장력을 적절하게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풀리 및 상기 제 2 풀리는, 본 실시예에서는 폴리플렉스 벨트(polyflex belt)로 제조되는 타이밍 벨트로 형성할 수 있으며,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외주면에 각각 요철이 형성되어, 제 1 풀리의 요부가 제 2 풀리의 철부에 맞닿도록 구성함으로써 핫멜트가 도포된 여과지를 압착할 때에 보다 강력한 압착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 17은 본 발명에 의한 오일필터용 여과지 접착기의 핫멜트 주입부(4)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 핫멜트 주입부의 끝단에는 에어노즐을 마련하여 용융된 핫멜트의 저장탱크로부터 공급되는 핫멜트를 상기 여과지의 끝단의 주름부분에 도포한다. 상기 핫멜트 주입부의 구성은 공지된 핫멜트 주입부의 구성과 대략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비록, 본 발명의 실시예가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원칙이나 정신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실시예를 변형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 균등물에 의해 정해질 것이다.
도 1은 여과지를 포함하는 오일필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오일필터용 여과지 접착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2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접착기의 스토퍼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접착기의 스토퍼부와 가이드바와 이송체인부를 나타내는 측면단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정면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가이드플레이트와 가이드바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0은 도 9의 A부분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9의 B부분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푸셔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구동기어부와 압착부를 나타내는 평면단면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정면단면도이다.
도 15는 도 13의 측면단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풀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핫멜트 주입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접착기
2 : 여과지
3 : 프레임
10 : 가이드 플레이트
11 : 가이드 바
12 : 돌출벽
20 : 스토퍼
30 : 이송부
31 : 이송체인
40 : 푸셔부
50 : 이송구동부
60 : 구동기어부
70 : 압착부
80 : 제어부
81 : 구동모터
81a : 메인기어

Claims (14)

  1. 오일필터용 여과지 접착기에 있어서,
    이송되는 여과지를 지지하는 한 쌍의 가이드플레이트와,
    상기 한 쌍의 가이드플레이트의 사이의 공극으로 돌출되는 돌출벽을 가지며, 공급되는 여과지를 상기 가이드플레이트에 안내하는 가이드바와,
    이송되는 여과지를 정렬하는 스토퍼부와,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의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가이드플레이트에 의해 지지되는 여과지를 이송시키는 이송부와,
    이송된 여과지에 핫멜트를 도포하는 핫멜트 주입부와, 핫멜트가 도포된 여과지를 압착하는 압착부와,
    상기 압착부를 구동하는 구동기어부와,
    상기 구동기어부와 상기 이송부를 구동하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와 상기 이송부와 상기 구동기어부와 상기 가이드플레이트가 고정되는 프레임과,
    상기 구동모터와 상기 스토퍼부와 상기 핫멜트 주입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필터용 여과지 접착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가이드플레이트는,
    상기 가이드바가 설치된 측의 끝단부분이 서로 대향하는 면으로부터 외측을 향하여 경사져 형성되어 있고, 수직방향으로도 끝단부분의 두께가 점점 감소하도록 경사져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필터용 여과지 접착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가이드플레이트는,
    상기 핫멜트 주입부와 상기 압착부와의 사이에 마련되며 상기 압착부를 향하여 상기 가이드플레이트의 표면으로부터 경사지게 돌출되어 형성된 돌출편을 더욱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필터용 여과지 접착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부는,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는 고정플레이트와,
    상기 고정플레이트의 상측에 설치되는 에어실린더와,
    상기 에어실린더의 측면에 설치되는 스토퍼 샤프트와,
    상기 고정플레이트의 하측에 설치되며 상기 돌출벽이 삽입되는 홈이 형성되어 상기 에어실린더 및 상기 스토퍼 샤프트에 의해 상기 돌출벽이 삽입되도록 상하로 구동되는 스토퍼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필터용 여과지 접착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는,
    상기 가이드플레이트의 하측에 설치되며 무한궤도형상으로 형성된 한 쌍의 이송체인과,
    상기 이송체인을 지지하는 체인레일과,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어 상기 이송체인을 지지하는 지지샤프트와,
    상기 이송체인을 회전시키는 이송구동부와,
    상기 한 쌍의 이송체인에 서로 연결되어 여과지를 이송 가압하는 푸셔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필터용 여과지 접착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구동부는,
    상기 구동모터에 연결된 메인기어와 맞물리는 제1 이송기어와,
    상기 제 1 이송기어가 설치되는 제 1 메인이송샤프트와,
    상기 메인이송샤프트의 하측에 마련되는 제 1 베벨기어와,
    상기 제 1 베벨기어와 맞물리는 제 2 베벨기어와,
    상기 제 2 베벨기어가 설치되는 고정샤프트와,
    상기 고정샤프트에 설치되는 제 2 이송기어와,
    상기 제 2 이송기어와 맞물리는 메인이송기어와,
    상기 메인이송기어가 설치되며 상기 이송체인을 회전시키는 제 2 메인이송샤프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필터용 여과지 접착기.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푸셔부는,
    상기 한 쌍의 이송체인에 각각 연결되는 푸셔브라켓과,
    상기 각각의 푸셔브라켓에 양끝단이 연결되는 ㄱ자 형상의 푸셔본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필터용 여과지 접착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푸셔본체는 길이방향의 중앙부분에 상측으로 돌출된 볼록부를 더욱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필터용 여과지 접착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기어부는, 상기 메인기어에 맞물리는 제 1 구동기어부와, 상기 제 1 구동기어부에 맞물리는 제 2 구동기어부로 구성되며,
    상기 제 1 구동기어부는,
    상기 프레임에 연결되는 제 1 샤프트와,
    상기 제 1 샤프트에 설치되어 상기 메인기어에 맞물리는 제 1 구동기어와,
    상기 프레임에 연결되는 종동샤프트에 설치되는 제 1 종동기어와,
    상기 제 1 구동기어와 상기 제 1 종동기어에 연결되는 제 1 스프로켓을 구비하며,
    상기 제 2 구동기어부는,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는 제 2 샤프트와,
    상기 제 2 샤프트에 설치되어 상기 제 1 구동기어에 맞물리는 제 2 구동기어와,
    상기 프레임에 연결되는 제 2 종동샤프트에 설치되는 제 2 종동기어와,
    상기 제 2 구동기어와 상기 제 2 종동기어에 연결되는 제 2 스프로켓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필터용 여과지 접착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구동기어부는,
    상기 제 1 구동기어와 상기 제 1 종동기어 사이에 배치되는 제 1 텐션기어와,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며 상기 제 1 텐션기어에 제 1 연결로드를 통하여 연결되는 제 1 텐션샤프트와,
    일끝단은 상기 제 1 연결로드에 고정되고, 타끝단은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어 상기 연결로드에 긴장력을 가하는 제 1 탄성스프링을 더욱 구비하며,
    상기 제 2 구동기어부는,
    상기 제 2 구동기어와 상기 제 2 종동기어 사이에 배치되는 제 2 텐션기어와,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며 상기 제 2 텐션기어에 제 2 연결로드를 통하여 연결 되는 제 2 텐션샤프트와,
    일끝단은 상기 제 2 연결로드에 고정되고, 타끝단은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어 상기 연결로드에 긴장력을 가하는 제 2 탄성스프링을 더욱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필터용 여과지 접착기.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압착부는, 제 1 압착부와 제 2 압착부로 구성되며,
    상기 제 1 압착부는,
    상기 가이드플레이트의 끝단 상측에서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는 제 1 압착샤프트와,
    상기 제 1 압착샤프트와 상기 제 1 종동샤프트를 둘러싸도록 설치되는 제 1 풀리를 구비하며,
    상기 제 2 압착부는,
    상기 가이드플레이트의 끝단 상측에서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는 제 2 압착샤프트와,
    상기 제 2 압착샤프트와 상기 제 2 종동샤프트를 둘러싸도록 설치되는 제 2 풀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필터용 여과지 접착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압착부는,
    상기 제 1 압착샤프트로부터 상기 프레임의 측면측으로 치우쳐 설치되는 제 1 풀리샤프트를 더욱 구비하며, 상기 제 1 풀리는 상기 제 1 압착샤프트와 상기 제 1 풀리샤프트와 상기 제 1 종동샤프트를 둘러싸도록 설치되며,
    상기 제 2 압착부는,
    상기 제 2 압착샤프트로부터 상기 프레임의 측면측으로 치우쳐 설치되는 제 2 풀리샤프트를 더욱 구비하며, 상기 제 2 풀리는 상기 제 2 압착샤프트와 상기 제 2 풀리샤프트와 상기 제 2 종동샤프트를 둘러싸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필터용 여과지 접착기.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풀리샤프트 및 상기 제 2 풀리샤프트는, 상기 프레임에 홈을 형성하여 상기 홈을 통해 볼트에 의해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며,
    상기 홈은 기다란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 1 및 제 2 풀리샤프트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필터용 여과지 접착기.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풀리 및 상기 제 2 풀리는 외주면에 요철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필터용 여과지 접착기.
KR1020080033131A 2008-04-10 2008-04-10 오일필터용 여과지 접착기 KR1008665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3131A KR100866527B1 (ko) 2008-04-10 2008-04-10 오일필터용 여과지 접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3131A KR100866527B1 (ko) 2008-04-10 2008-04-10 오일필터용 여과지 접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66527B1 true KR100866527B1 (ko) 2008-11-03

Family

ID=402835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33131A KR100866527B1 (ko) 2008-04-10 2008-04-10 오일필터용 여과지 접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6652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865333A (zh) * 2017-12-01 2019-06-11 孙兵 一种磷酸淤浆处理的装置
KR20200123332A (ko) * 2019-04-18 2020-10-29 청파제지 주식회사 복합 재료 티슈 접착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47216A (ja) * 1992-07-31 1994-02-22 Nippondenso Co Ltd 濾過エレメントの製造装置
KR100444560B1 (ko) 1995-10-24 2004-12-14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강유전체기억장치
KR100703602B1 (ko) 2005-12-14 2007-04-09 최종현 핫멜트 여과지 융착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47216A (ja) * 1992-07-31 1994-02-22 Nippondenso Co Ltd 濾過エレメントの製造装置
KR100444560B1 (ko) 1995-10-24 2004-12-14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강유전체기억장치
KR100703602B1 (ko) 2005-12-14 2007-04-09 최종현 핫멜트 여과지 융착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865333A (zh) * 2017-12-01 2019-06-11 孙兵 一种磷酸淤浆处理的装置
KR20200123332A (ko) * 2019-04-18 2020-10-29 청파제지 주식회사 복합 재료 티슈 접착장치
KR102200006B1 (ko) 2019-04-18 2021-01-11 청파제지 주식회사 복합 재료 티슈 접착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859601B2 (ja) 布接着装置
CN204056460U (zh) 纸质包装箱提手带安装设备
CN210759681U (zh) 一种半自动贴面机
EP2923983A1 (en) Cloth bonding apparatus and cloth feed mechanism of cloth bonding apparatus
KR100866527B1 (ko) 오일필터용 여과지 접착기
CN115155961B (zh) 自动化汽车橡胶水管卡箍点胶装配装置
CN212266832U (zh) 一种贴胶制盒机的型腔成型模块
CN211678597U (zh) 一种带有传送装置的涂布机
CN108639483A (zh) 贴标机
CN113580316B (zh) 一种实木复合门封边装置及其使用方法
CN209776959U (zh) 用于地板包装的纸盒长侧面折叠输送架
CN112478323A (zh) 一种通过式智能跟踪粘合全自动热熔胶封箱机
CN211563533U (zh) 一种自动点胶机
CN214608226U (zh) 一种用于打钉机的包装箱自动折盖输送装置
CN106476106B (zh) 用于辅助板式封边工艺的压贴装置
CN214688157U (zh) 一种自动糊盒机的上胶装置
CN211444322U (zh) 纸板片传送用压纸装置
KR102236376B1 (ko) 스프레이건 캡의 캡핑기
CN211339635U (zh) 一种不锈钢带退火炉用导向张紧装置
CN106542134A (zh) 自动封盒包装系统
CN215554622U (zh) 一种箱体合盖装置
CN111114907A (zh) 一种物料格栅输送装置
CN211993886U (zh) 镜片注胶机
CN216910784U (zh) 一种包装箱生产用涂胶机
CN213558047U (zh) 一种结构稳定型点胶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0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3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