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03602B1 - 핫멜트 여과지 융착기 - Google Patents

핫멜트 여과지 융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03602B1
KR100703602B1 KR1020050123421A KR20050123421A KR100703602B1 KR 100703602 B1 KR100703602 B1 KR 100703602B1 KR 1020050123421 A KR1020050123421 A KR 1020050123421A KR 20050123421 A KR20050123421 A KR 20050123421A KR 100703602 B1 KR100703602 B1 KR 1007036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paper
clamp
cam
holder
hot me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234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종현
Original Assignee
최종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종현 filed Critical 최종현
Priority to KR10200501234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0360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36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3602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Filtration Of Liqui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핫멜트 여과지 융착기에 관한 것으로서, 여과지를 인도하는 돌출가이드와, 돌출가이드의 상부에 구성되어 여과지를 유지하는 홀더와, 여과지를 일정시간 물어 접착제가 여과지를 완전히 붙여 여과지가 원통형으로 형성되도록 하는 클램프와, 기압을 제공하는 주기압펌프로부터 압력을 인가받아 클램프가 여과지를 물거나, 또는 열리도록 하는 동력을 제공하는 분기기압펌프와, 일측은 클램프의 단부의 사이에 끼워져 있으며, 타측은 분기기압펌프에 연결된 에어실린더에 연결되고 전진 및 후진하여 클램프의 타단부가 여과지를 물거나 또는 열리도록 하는 이동판과, 회전하지 않도록 구성되며, 다수의 클램프, 돌출가이드 및 홀더의 중심부분에 배치되고 제1 및 제2 곡면을 포함하여 구성된 캠과, 캠에 인접하여 구성되며, 클램프, 돌출가이드 및 홀더와 같이 회전하여 회전에 의해 캠과의 인접면이 확장 및 축소됨에 따라 기압펌프 및 이동판의 동작을 제어하여 클램프가 열리고 닫히도록 하는 클램프작동로드로 구성되므로, 시간 및 인력의 효율을 높이고, 빠르고 우수한 품질의 여과지를 자동으로 생산해 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핫멜트 여과지 융착기{HOT MELT FILTER PAPER STICKING EQUIPMENT}
도 1은 일반적인 필터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일실시예에 따른 핫멜트 여과기 융착기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도 2에 따른 핫멜트 여과기 융착기 중 여과지 융착 및 양생수단만을 나타낸 정면도.
도 4은 본 발명의 도 3에 따른 핫멜트 여과지 융착기 중 여과지 융착 및 양생수단만을 나타낸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도 4에 따른 여과지 융착 및 양생수단 중 일부만을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도 1에 따른 클램프와 홀더 중 클램프가 열려져 있는 상태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도 1에 따른 클램프와 홀더 중 클램프가 닫혀져 있는 상태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10 : 전기제어부 20 : 돌출가이드
30 : 홀더 50 : 클램프
55 : 이동판 70 : 에어실린더
200 : 여과지 융착 및 양생수단 202, 214 : 모터
204, 216 : 구동벨트 206 : 여과지배치실린더
208 : 주기압펌프 209 : 회전축
210 : 분기기압펌프 212 : 취출실린더
218 : 캠 220 : 클램프작동로드
본 발명은 핫멜트 여과지 융착기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자동차용 오일필터에서의 여과지의 단부를 자동으로 붙이고 이를 양생하여 자동차 등의 엔진에 유입되는 오일을 필터링하는 여과지 관련 부품을 제조하기 위한 핫멜트 여과지 융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 오일필터는 자동차에 연결되는 금속제 필터 케이스, 필터 케이스의 상단 개구부에 씌워지는 오일 유입공과 배출구를 갖는 캡 및 금속제 상부 지지판과 하부 지지판에 접착된 섬유질 필터소재를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오일 필터는 자동차가 약 10,000km 정도 주행한 후 엔진오일을 교환할 때 오일과 함께 교환하고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과지(13)를 포함하는 오일필터에서 여과지(13)의 조립시에는 여과지(13)에 주름을 형성하고 이 주름이 형성된 여과지(13)의 각 단부를 접착시키고, 다시 각 측단부를 캡으로 고정시킨다.
종래의 필터는 그 하부에 오일펌프(미도시) 쪽과 연결되는 인입공(11)과, 그 중앙에 엔진쪽과 연결되어 윤활 작용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인출공(12)을 가지는 제1하우징(10)이 프런트 케이스(미도시)의 일측에 설치된다.
상기 인입공(11)으로 들어오는 엔진오일을 여과할 수 있도록 상기 제1하우징(10) 내측에 여과지(13)가 설치된다. 상기 여과지(13)를 거쳐 여과된 오일을 상기 인출공으로 보내질 수 있도록 다수개의 누출공(15)을 가지며 그 하부에 배출공(16)을 갖는 여과지 고정부재(14)가 상기 여과지(13) 내측에 설치된다.
상기 여과지(13)가 막혔을 때 여과되지 않은 오일을 공급할 수 있도록 상기 여과지 고정부재(14) 상부와 상기 제1하우징(10)의 내측에 바이패스밸브(17)가 설치된다. 상기 바이패스밸브(17)를 지지하는 탄성부재(18)가 상기 제1하우징(10) 내측 상부와 상기 바이패스밸브(17) 사이에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오일 필터의 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오일 펌프에 의해 인입공(11)을 통해 엔진오일이 유입되면, 상기 제1하우징(10)의 내측에 설치되어 있는 여과지(13)에 의해 여과된다. 상기 여과지 고정부재(14)에 형성되어 있는 누출공(15)을 통해 여과된 오일이 공급되고, 상기 여과지 고정부재(14)의 내측으로 모여진 오일이 그 하부에 형성된 배출공(16)과 상기 제1하우징(10)의 하부에 형성되어 있는 인출공(12)을 통해 엔진의 윤할통로(미도시)로 오일이 공급된다.
한편, 주름이 형성된 여과지(13)의 각 단부를 접착시키는 과정을 간략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작업자가 홀더에 오일필터에 사용되는 여과지의 양단부를 끼워넣고, 뜨거운 접착제를 일정량 유출되도록 조작한 후, 이를 작업자가 수동으로 접착하여 주름이 형성된 여과지의 양단부를 접착하고 여과지의 양측단부에 캡을 씌워 고정시킴으로써 오일필터의 일부 부품을 완성시킨다.
이때, 작업자에 의해 제조되는 필터 작업에 있어서, 작업자의 능력에 따라 좌우되는 부분이 많으며 또한, 작업자에게 과도한 작업량을 증대시킬 뿐만 아니라 안전상 문제가 있다. 그리고 작업자의 작업 능력에 한계가 있으므로, 작업 효율이 떨어지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접착한 후에 일정기간 양생시켜 접착제가 여과지에 스며들어 굳도록 하기 위해 충분한 시간을 주어야 하나 수동 접착시에는 접착제를 굳히는 기간이 짧아 원통형으로 제조된 여과지에 불량이 발생하는 확률이 높은 문제점 등이 있다.
본 발명은 자동차용 오일필터에서의 여과지의 단부를 자동으로 붙이고 이를 적당시간 자동으로 양생하여 자동차 등의 엔진에 유입되는 오일을 필터링하는 여과지 관련 부품을 자동으로 제조하기 위한 핫멜트 여과지 융착기를 제공하는 데에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자동차용 오일필터에서 여과지를 끼워넣고 자동으로 배치시켜 여 과지가 어긋남 없이 맞물리도록 하며, 양생이 완료된 이후에는 자동으로 여과지를 배출시켜 빠르고 우수한 품질의 여과지를 붙일 수 있는 핫멜트 여과지 융착기를 제공하는 데에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핫멜트 여과지 융착기에 관한 것으로서, 여과지를 인도하는 돌출가이드와, 돌출가이드의 상부에 구성되어 여과지를 유지하는 홀더와, 여과지를 일정시간 물어 접착제가 여과지를 완전히 붙여 여과지가 원통형으로 형성되도록 하는 클램프와, 압력을 인가받아 클램프가 여과지를 물거나, 또는 열리도록 하는 동력을 제공하는 기압펌프와, 클램프의 단부의 사이에 끼워져 있으며, 기압펌프로부터 동력을 받아 전진 및 후진하여 클램프의 타단부가 여과지를 물거나 또는 열리도록 하는 평행사변형꼴의 이동판과, 회전하지 않도록 구성되며, 다수의 클램프, 돌출가이드 및 홀더의 중심부분에 배치되고 제1 평탄면과 제2 평탄면을 포함하여 구성된 캠과, 캠에 인접하여 구성되며, 클램프, 돌출가이드 및 홀더와 같이 회전하여 회전에 의해 캠과의 인접면이 확장 및 축소됨에 따라 기압펌프 및 이동판의 동작을 제어하여 클램프가 열리고 닫히도록 하는 클램프작동로드로 구성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개시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일실시예에 따른 핫멜트 여과기 융착기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도 2에 따른 핫멜트 여과기 융착기 중 여과지 융 착 및 양생수단만을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4은 본 발명의 도 3에 따른 핫멜트 여과지 융착기 중 여과지 융착 및 양생수단만을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도 4에 따른 여과지 융착 및 양생수단 중 일부만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5을 참조하여 보면, 본 발명에 따른 핫멜트 여과기 융착기의 동작을 간략하게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핫멜트 여과지 융착기는 지지대(301)와 그 상부에 구성된 여과지 접착수단(100) 및 여과지 융착 및 양생수단(200)으로 크게 구분할 수 있다.
먼저, 여과지 접착수단(100)은 지주대(302), 전기제어부(303), 베어링레일(304), 접착제탱크(306), 접착제튜브(308) 및 접착제노즐(310), 레일(312)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여과지 이송수단(200)은 돌출가이드(20), 홀더(30), 클램프(50), 이동판(55), 에어실린더(70), 회전축(209), 캠(218) 등으로 구성된다.
여과지(13)를 홀더(30) 사이에 끼워 넣으면, 돌출가이드(20)는 여과지를 인도하여 돌출가이드(20)와 홀더(30) 사이에 끼워 넣을 수 있게 형성되며, 클램프(50)는 여과지(13)의 상부를 잡을 수 있도록 배치되어 있다. 홀더(30)는 여과지(13)를 잡아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각각의 돌출가이드(20)와 홀더(30)와 클램프(50)에 대응하는 클램프작동로드(220)는 캠(218)에 인접하여 형성된다. 클램프작동로드(220)가 캠(218)의 평탄면(222)에 인접하게 되면, 캠(218)의 제1 평탄면(222)은 그 면적이 작고, 캠(218)의 원형면에 비하여 내측으로 들어간 부분이 적으므로 클램프작동로드(220)가 약간 확장되지만, 주기압펌프(208), 분기기압펌프(210) 및 에어실린더(70) 및 이동판(55)이 회전하지는 않는다. 다만, 전기를 공급하며 전기 의 변화를 감지하여 모터 및 기압의 단속을 제어하는 전기제어부(303)가 전기의 변화를 감지하면, 제1 모터(202) 및 이에 연결된 제1 구동벨트(204)를 일정시간 뒤에 구동시켜 여과지배치실린더(206)가 동작하게 된다. 여과지배치실린더(206)는 돌출된 부분이 앞으로 전진하여 여과지(13)의 일측에 닿아 여과지(13)의 양 단부가 서로 정확하게 마주보도록 정렬시킨다. 이 상태에서 접착제노즐(310)이 여과지(13)의 양단부 상부에 정확하게 배치되고 여과지(13)를 따라 움직이면서 접착제를 도포하게 된다.
지주대(302)가 핫멜트 여과지 융착기의 모든 장치들을 지지하는 지지대(301)의 상부에 고정되어 상부로 솟아있다. 지주대(302)의 일측에는 베어링레일(304)이 가로 방향으로 연결되어 있다. 베어링레일(304)의 타단부에는 접착제노즐(310)이 오토건 방식으로 연결되어 있다. 접착제노즐(310)은 접착제탱크(306)로부터 접착제를 이송하는 접착제튜브(308)에 연결되어 접착제탱크(306)에 뜨거운 상태로 수용되어 있는 접착제를 일정량씩 배출하여 여과지(13)의 단부를 부착할 수 있게 한다.
지주대(302)는 레일(312)을 통해 전후로 이동할 수 있으며, 지주대(302)가 전후로 이동하여 접착제노즐(310)을 여과지(13)의 상부에 배치한 후 접착제가 일정량 여과지를 따라 배출되도록 하여 여과지(13)에 접착제를 고4르게 도포할 수 있다.
이의 동작에 대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여과지 융착기는 먼저, 전기를 제공하고 이를 제어하는 전기제어부(303)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아 전후로 움직일 수 있는 지주대(302)가 레일(312) 위에서 전후로 움직인다. 지주대(302)의 확장된 바 에는 접착제노즐(310)이 설치되어 있다. 접착제노즐(310)은 베어링레일(304)에 의해 세부적인 전후 동작 및 회전 동작이 가능하다. 따라서, 여과지 융착기의 상부, 특히 여과지(13)의 상부에 위치시켜 여과지(13)에 접착제를 도포시킬 수 있다.
돌출가이드(20)와 돌출가이드(20)의 상부에 구성된 홀더(30) 사이에 접착제가 도포된 여과지(13)의 양단부가 고정되면 돌출가이드(20)와 홀더(30)의 상부에 구성된 클램프(50)가 여과지(13)를 일정시간 물어 접착제가 여과지(13)를 완전히 붙여 여과지가 원통형으로 형성되게 된다.
즉, 접착제를 여과지(13)의 양 단부에 도포하기 이전에, 작업자가 여과지(13)를 돌출가이드(20)와 홀더(30) 사이에 끼워 넣으면, 돌출가이드(20)는 여과지를 인도하여 돌출가이드(20)와 홀더(30) 사이에 끼워 넣을 수 있게 형성된다. 홀더(30)는 여과지(13)를 잡아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각각의 돌출가이드(20)와 홀더(30)와 클램프(50)에 대응하는 클램프작동로드(220)는 캠(218)에 인접하여 형성된다. 클램프작동로드(220)가 캠(218)의 제1 곡면(223)의 일측에 구성된 평탄면(222)에 인접하게 되면, 캠(218)의 평탄면(222)은 그 면적이 작고, 캠(218)의 원형면에 비하여 내측으로 들어간 부분이 적으므로 클램프작동로드(220)가 약간 확장되지만, 주기압펌프(208), 분기기압펌프(210) 및 에어실린더(70) 및 이동판(55)이 작동되지는 않는다.
한편, 전기를 공급하며 전기의 변화를 감지하여 모터 및 기압의 단속을 제어하는 전기제어부(303)가 전기의 변화를 감지하면, 제1 모터(202) 및 이에 연결된 제1 구동벨트(204)를 일정시간 뒤에 구동시켜 여과지배치실린더(206)가 동작하게 된다. 여과지배치실린더(206)는 앞으로 전진하여 여과지(13)의 일측에 닿아 여과지(13)의 양단부가 서로 정확하게 마주보도록 정렬시킨다. 이 상태에서 접착제노즐(310)이 여과지(13)의 양단부 상부에 정확하게 배치되고 여과지(13)를 따라 움직이면서 접착제를 자동으로 도포하게 된다.
여과지(13)는 홀더(30)와 돌출가이드(20)에 의해 지지되어 회전축(209)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클램프작동로드(220)는 캠(218)에 인접하여 있으며, 스프링에 의해 수축 및 이완되고 단부에 설치된 바퀴에 의해 회전하게 된다. 캠(218)은 회전하지 않으며, 회전축(209), 클램프작동로드(220), 주기압펌프(208), 분기기압펌프(210), 에어실린더(70), 다수의 클램프(50), 다수의 돌출가이드(20) 및 홀더(30) 등이 회전하게 되는데, 이때, 클램프작동로드(220)의 단부에 캠(218)과 인접하여 구성된 바퀴는 클램프 작동로드(220) 및 기타 전술한 부품들이 원할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클램프작동로드(220)가 회전하다가 캠(218)의 제2 곡면(224)에 부딪히면, 클램프작동로드(220)가 확장되고, 이에 따라 주기압펌프(208)에서 분기기압펌프(210)의 압력을 넣어 조정하고 분기기압펌프(210)의 기압은 에어실린더(70)와 튜브(71)를 통해 이동판(55)을 전진시키게 된다.
그러면, 다수개의 클램프(50) 중에 제2 곡면(224)에 인접한 클램프작동로드(220)에 대응하는 수개의 클램프(50)가 여과지(13)에 접착제가 도포된 단부를 물고 있는 상태가 된다. 예컨대, 클램프(50) 및 클램프(50)와 세트를 구성하는 홀더(30)와 돌출가이드(20)의 세트의 숫자가 8개라고 가정하면, 대략 2개 내지 4개 정도의 클램프(50)가 닫혀 있는 상태가 된다. 이는 캠(218)에 구성된 2개의 곡면(223, 224) 중 제2 곡면(224)의 외주면의 길이를 조정하면 된다. 그리고 접착제가 도포된 상태에서 클램프(50)에 의해 여과지(13)의 단부가 집혀져 있는 상태로 접착제가 양생된 후, 클램프작동로드(220)가 제2 곡면(224)을 벗어나면 클램프(50)가 열리게 되고 여과지(13)는 홀더(30)와 돌출가이드(20)에 의해 지지되어 회전하게 된다.
한편, 회전축(209)이 회전하는 중에 취출실린더(212)가 있는 위치에 도달하게 된다. 이때, 전기제어부(303)는 클램프작동로드(220)가 제2 곡면(224)을 벗어났음을 인지하게 되고 제2모터(214)를 통해 동력을 전달받아 취출실린더(212)를 동작시키면 취출실린더(212)의 단부가 앞으로 전진하고 취출실린더의 전면 단부가 여과지(13)에 닿아 여과지(13)를 밀어내고 그 결과 여과지(13)가 밑으로 낙하하게 된다.
한편, 도 5를 참조하여 보면, 여과지 융착 및 양생수단(200)은 회전축(209)의 상단 외측에 삽입되어 회전가능한 주기압펌프(208)가 구비되고, 상기 주기압펌프(208)의 외측하부에 캠(218)이 고정된다.
여기서, 상기 캠(218)은 클램프작동로드(220)가 확장되는 제2 곡면(224)을 형성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곡면(223)의 직경이 제2 곡면(224)의 직경보다 크며, 따라서, 클램프작동로드(220)는 제1 곡면(223) 상에 인접해 있는 경우에는 수축되어 있는 상태, 즉 주기압펌프(208)가 동작하지 않는 상태이다. 클램프작동로드(220)가 제2 곡면(224)에 인접해 있는 경우에는 확장되어 있는 상태, 즉 주기압펌프(208)가 작동하여 이동판(55)이 앞으로 전진하는 상태가 되는 것이다.
한편, 주기압펌프(208)의 외측에는 각각의 에어호스로 연결된 다수 개의 분 기기압펌프(210)가 설치된다. 즉, 주기압펌프(208)와 분기기압펌프(210)를 연결하는 제1 에어공급호스(121)가 구비되고, 다시 분기기압펌프(210)와 에어실린더(70)를 연결하는 제2 에어공급호스(122) 및 제3 에어공급호스(123)가 구성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분기기압펌프(210)에 연결된 클램프작동로드(220)의 바퀴가 상기 캠(218)의 제2 곡면(224) 상에 인접해 있는 경우에는 제1 에어공급호스(121)를 통해 제2 에어공급호스(122)로 에어가 전달되어 에어실린더(70)에 연결된 이동판(55)을 전면으로 전진시킨다.
반면에, 클램프작동로드(220)의 바퀴가 상기 캠(218)의 제1 곡면(223)에 인접하여 있는 경우에는 제1 에어공급호스(121) 및 제3 에어공급호스(123)에 의해 에어실린더(70)에 연결된 이동판(55)을 원위치 시킨다. 즉, 이동판(55)을 안으로 잡아당기게 된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클램프작동로드(220)의 바퀴가 상기 캠(218)이 평탄면(222)에 인접하게 되는 경우, 사용자가 먼저 여과지를 홀더(30)의 틈새(33)에 끼워 넣으면 여과지배치실린더(206)가 동작하여 여과지 배치실린더(206)의 단부가 여과지(13)를 눌러주고 여과지(13)가 가지런하게 배열된다. 그리고, 자동으로 지주대(302)가 베어링레일(304)과 레일(312)에 의해 동작하여 접착제노즐(310)을 여과지의 상부에 배치시키면 사용자가 접착제를 여과지(13)에 도포시킨다.
도 6은 본 발명의 도 1에 따른 클램프와 홀더 중 클램프가 열려져 있는 상태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도 1에 따른 클램프와 홀더 중 클램프가 닫혀져 있는 상태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보면, 클램프(50)는 돌출가이드(20)를 중심으로 그 상부에 양측에 대칭을 이뤄 구성되며, 일측에는 각각 구분된 2개의 바로 구성되며, 마주보는 4개의 바(51, 52, 61, 62)가 한쌍이 되어 구성된다. 에어실린더(70)는 튜브(71)를 통해 분기기압펌프(210)와 연결되어 있고, 분기기압펌프(210)도 역시 튜브를 통해 주기압펌프(208)와 연결되어 있다. 상기 분기기압펌프(210)는 클램프작동로드(220)와 연결되어 클램프작동로드(220)가 캠(218)의 제2 곡면(224)에 인접하게 되면, 주기압펌프(208)로부터 분기기압펌프(210)를 통해 기압을 인가받아 에어실린더(70)가 작동하고 에어실린더(70)의 동작에 의해 이동판(55)이 앞으로 전진한다. 반대의 경우로 클램프작동로드(220)가 제2 곡면(224)를 벗어나게 되면, 이동판(55)이 뒤로 후퇴하게 된다.
클램프(50)에 구성된 각각의 바(51, 52, 61, 62) 중 외측에 구성되어 여과지 융착기와 가까운 곳에 구성된 각각의 구동바(51, 52)는 인접해 있는 사다리꼴의 이동판(55)이 기압에 의해 전진하게 되면, 구동축(53, 54)을 중심으로 이동판(55)과 인접한 구동바(51, 52)의 내측은 더 벌어지는 형상이 되지만, 그 반대쪽인 외측 구동바(51, 52)는 반대로 모이게 된다.
이때, 상기 각각의 구동바(51, 52)의 외측의 단부는 클램프바(61, 62)의 중심의 일측과 베어링(56, 57)을 축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클램프바(61, 62)의 안쪽 단부의 일측은 대응하는 구동바(51, 52)의 일측과 각각의 제1 및 제2 스프링(63, 64)으로 연결되어 있는 상태이므로, 클램프바(61, 62)가 구동바(51, 52)에 의해 내측으로 모이게 되면, 클램프바(61, 62)는 제1 및 제2 스프링(63, 64)의 인장력과 베어링(56, 57)을 축으로 제약적으로 회동되므로 클램프바(61, 62) 간에 상호 밀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사다리꼴의 이동판(55)이 후진하면, 구동바(51, 52)의 양 단부를 연결하는 제3 스프링(72)에 의해 구동바(51, 52)가 원위치로 벌어진 상태가 되며, 또한 클램프바(61, 62)도 원상태로 복귀한다.
클램프바(61, 62)는 여과지(13)를 돌출가이드(20)와 홀더(30)에 파지한 상태에서 접착제를 도포한 상태까지는 벌어져 있는 상태로 있게 되며, 도포한 후에는 회전하여 클램프바(61, 62)에 대응하는 클램프작동로드(220)가 제2 평탄면에 인접하는 있는 동안에는 여과지(13)의 단부를 잡고 있는 상태로 유지하다가 다시 회전하여 상기 클램프바(61, 62)에 대응하는 클램프작동로드(220)가 제2 평탄면을 벗어나면 다시 벌어지게 된다.
본 발명은 자동차용 오일필터에서의 여과지의 단부를 자동으로 붙이고 이를 적당시간 자동으로 양생하여 자동차 등의 엔진에 유입되는 오일을 필터링하는 여과지 관련 부품을 자동으로 제조하므로 시간 및 인력의 효율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자동차용 오일필터에서 여과지를 끼워넣고 자동으로 배치시켜 여과지가 어긋남 없이 맞물리도록 하며, 양생이 완료된 이후에는 자동으로 여과지를 배출시켜 빠르고 우수한 품질의 여과지를 자동으로 생산해 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7)

  1. 삭제
  2. 핫멜트 여과지 융착기에 있어서,
    상기 여과지를 인도하는 돌출가이드(20)와;
    상기 돌출가이드(20)의 상부에 구성되어 상기 여과지를 유지하는 홀더(30)와;
    상기 여과지를 일정시간 물어 접착제가 상기 여과지를 완전히 붙여 여과지가 원통형으로 형성되도록 하는 클램프(50)와;
    기압을 제공하는 주기압펌프(208)로부터 압력을 인가받아 상기 클램프(50)가 상기 여과지를 물거나, 또는 열리도록 하는 동력을 제공하는 분기기압펌프(210)와;
    일측은 상기 클램프(50)의 단부의 사이에 끼워져 있으며, 타측은 상기 분기기압펌프(210)에 연결된 에어실린더(70)에 연결되고 전진 및 후진하여 상기 클램프(50)의 타단부가 상기 여과지를 물거나 또는 열리도록 하는 이동판(55)과;
    회전하지 않도록 구성되며, 다수의 상기 클램프(50), 상기 돌출가이드(20) 및 상기 홀더(30)의 중심부분에 배치되고 제1 및 제2 곡면(223, 224)을 포함하여 구성된 캠(218)과;
    상기 캠(218)에 인접하여 구성되며, 상기 클램프(50), 돌출가이드(20) 및 상기 홀더(30)와 같이 회전하여 회전에 의해 상기 캠(218)과의 인접면이 확장 및 축소됨에 따라 상기 에어실린더(70) 및 상기 이동판(55)의 동작을 제어하여 상기 클램프(50)가 열리고 닫히도록 하는 클램프작동로드(22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핫멜트 여과지 융착기.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가이드(20)와 홀더(30) 사이에 유지된 상기 여과지를 제1 모터(202)로부터 제1 구동벨트(204)를 통해 동력을 전달받아 앞으로 전진하여 여과지의 양 단부가 서로 정확하게 마주보도록 정렬시키는 여과지배치실린더(206)와;
    제2 모터(214)를 통해 동력을 전달받아 앞으로 전진하여 여과지의 일측에 닿아 상기 여과지를 밀어내고 여과지가 밑으로 낙하하도록 하는 취출실린더(212)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핫멜트 여과지 융착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캠(218)의 상기 제1 곡면(223)의 일측에 평탄하게 구성된 면으로 형성되며, 상기 클램프작동로드(220)가 인접하게 되면, 전기를 공급하며 전기의 변화를 감지하여 모터 및 기압의 단속을 제어하는 전기제어부(303)가 전기의 변화를 감지하여 제1 모터(202) 및 이에 연결된 제1 구동벨트(204)를 일정시간 뒤에 구동시켜 여과지배치실린더(206)가 동작시키고, 상기 여과지의 양 단부를 정렬시키고, 접착제를 일정량 배출하는 접착제노즐(310)이 이동하여 상기 여과지의 단부에 접착제를 자동으로 도포할 수 있도록 하는 평탄면(222)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핫멜트 여과지 융착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작동로드(220)가 회전하다가 상기 캠(218)의 상기 제2 곡면(224)에 인접하면, 상기 클램프작동로드(220)가 확장되고, 이에 따라 이동판(55)을 전진시켜, 상기 클램프(50)를 닫아 상기 여과지에 도포된 접착제가 양생되도록 하고, 상기 클램프작동로드(220)가 상기 제2 곡면(224)를 벗어나면 전기제어부(303)는 상기 클램프작동로드(220)가 상기 제2 곡면(224)을 벗어났음을 인지하고 취출실린더(212)를 동작시켜 여과지(13)가 밑으로 낙하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핫멜트 여과지 융착기.
  6. 삭제
  7. 제2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작동로드(220)의 단부에 캠(218)과 인접하여 구성된 바퀴가 상기 캠(218)에 대응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핫멜트 여과지 융착기.
KR1020050123421A 2005-12-14 2005-12-14 핫멜트 여과지 융착기 KR1007036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3421A KR100703602B1 (ko) 2005-12-14 2005-12-14 핫멜트 여과지 융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3421A KR100703602B1 (ko) 2005-12-14 2005-12-14 핫멜트 여과지 융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03602B1 true KR100703602B1 (ko) 2007-04-09

Family

ID=381608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23421A KR100703602B1 (ko) 2005-12-14 2005-12-14 핫멜트 여과지 융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0360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6527B1 (ko) 2008-04-10 2008-11-03 이재경 오일필터용 여과지 접착기
CN103939439A (zh) * 2013-01-18 2014-07-23 东莞市海莎过滤器有限公司 一种自动贴边机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47216A (ja) * 1992-07-31 1994-02-22 Nippondenso Co Ltd 濾過エレメントの製造装置
KR20020025161A (ko) * 2002-03-14 2002-04-03 김충관 필터용 여과부재의 접착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47216A (ja) * 1992-07-31 1994-02-22 Nippondenso Co Ltd 濾過エレメントの製造装置
KR20020025161A (ko) * 2002-03-14 2002-04-03 김충관 필터용 여과부재의 접착장치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020020025161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6527B1 (ko) 2008-04-10 2008-11-03 이재경 오일필터용 여과지 접착기
CN103939439A (zh) * 2013-01-18 2014-07-23 东莞市海莎过滤器有限公司 一种自动贴边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923984B1 (en) Cloth feed mechanism and cloth bonding apparatus
KR100703602B1 (ko) 핫멜트 여과지 융착기
US20020092731A1 (en) Gripper mechanism for handling a cylindrical workpiece
CN106736446B (zh) 快速清理的马达转子轴多级部件自动装配机
US9415334B2 (en) Air filter reconditioning apparatus and method
KR101932923B1 (ko) 차량용 필터 제조장치
JP2016511145A (ja) モジュールの可動式保守用封止シート
CN109445038A (zh) 一种光纤头组装生产线
KR20150016545A (ko) 부직포 제조장치 및 부직포 제조방법
CN101687126A (zh) 滤油器
CN117103700A (zh) 一种柔性材料焊接装置、点胶焊接装置、设备及焊接方法
US6817466B2 (e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filter cartridges, and method of using same
KR200409753Y1 (ko) 자동차용 오일필터에서의 여과지 클램프
CN113858014B (zh) 一种自动机械手切割专用树脂砂轮及其运行方法
KR200394058Y1 (ko) 필터용 여과지와 캡의 결합장치
US4448626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pplying a welt to a garment panel
CN212049728U (zh) 编织袋淋膜机的放卷机构
CN210452587U (zh) 一种用于喷嘴安装的通用型组装机构
CN113696486A (zh) 一种接口连接设备
CN113681904B (zh) 一种胶管热熔机构
EP1337304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ixing the position of an end cap on a filter element, using inductive heating
CA1055235A (e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making a tubular filter element
CN114888562B (zh) 一种隔热轴承座装配机
KR200394057Y1 (ko) 필터용 여과지의 이송장치
CN117550409B (zh) 鞋材无纺布收卷系统及加工设备和鞋材无纺布的收卷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2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