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63528B1 - 화상 형성 장치 시뮬레이션 장치, 화상 형성 장치 시뮬레이션 방법 및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화상 형성 장치 시뮬레이션 장치, 화상 형성 장치 시뮬레이션 방법 및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63528B1
KR100863528B1 KR1020060111593A KR20060111593A KR100863528B1 KR 100863528 B1 KR100863528 B1 KR 100863528B1 KR 1020060111593 A KR1020060111593 A KR 1020060111593A KR 20060111593 A KR20060111593 A KR 20060111593A KR 100863528 B1 KR100863528 B1 KR 1008635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forming
simulation
forming apparatus
imag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115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81739A (ko
Inventor
게이코 오구라
Original Assignee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817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817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35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35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30Monitoring
    • G06F11/34Recording or statistical evaluation of computer activity, e.g. of down time, of input/output operation ; Recording or statistical evaluation of user activity, e.g. usability assessment
    • G06F11/3457Performance evaluation by simul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97Printer code translation, conversion, emulation, compression; Configuration of printer parame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acsimiles In General (AREA)
  • Control Or Security For Electrophotography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의 실제 사용 시에서 화상 형성 장치의 성능을 시뮬레이션할 수 있는 화상 형성 장치 시뮬레이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화상 형성 명령 취득부(35)가 화상 형성 장치에 의한 형성 대상으로 되는 대상 화상의 정보를 포함한 화상 형성 명령 R을 취득하고, 시뮬레이션 실행부(37)가 화상 형성 명령 R에 의거하여 화상 형성 장치가 대상 화상을 기록 매체에 형성하는 화상 형성 처리의 시뮬레이션을 실행하며, 예측 시간 산출부(38)가 시뮬레이션에 필요한 처리 시간에 의거하여 화상 형성 장치가 상기 화상 형성 처리에 필요할 것으로 예측되는 예측 시간을 산출하여 출력하는 화상 형성 장치 시뮬레이션 장치이다.
Figure R1020060111593
화상 형성 명령 취득부, 시뮬레이션 실행부, 예측 시간 산출부

Description

화상 형성 장치 시뮬레이션 장치, 화상 형성 장치 시뮬레이션 방법 및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IMAGE FORMING DEVICE SIMULATION APPARATUS, IMAGE FORMING DEVICE SIMULATION METHOD AND MEDIA FOR STORING PROGRAM SOURCE THEREOF}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 시뮬레이션 장치를 포함하는 컴퓨터 시스템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전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 시뮬레이션 장치의 기능을 나타내는 기능 블록도.
도 3은 사용자 단말에 표시되는 동작 모드 선택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사용자 단말에 표시되는 시뮬레이션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 시뮬레이션 장치가 생성하는 시뮬레이션 동화상의 일례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6은 사용자 단말에 표시되는 시뮬레이션 결과 표시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 시뮬레이션 장치에 의해 실행되는 처리의 일례를 나타내는 플로차트.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시뮬레이션 장치 11, 21 : 제어부
12, 22 : 기억부 13, 23 : 통신부
14 : 계시부(計時部) 20 : 사용자 단말
24 : 조작부 25 : 표시부
30 : 통신 네트워크 31 : 화상 형성 장치 선택부
32 : 화상 형성 장치 시뮬레이션부 33 : 시뮬레이션 결과 표시 제어부
34 : 초기 정보 취득부 35 : 화상 형성 명령 취득부
36 : 조작 정보 취득부 37 : 시뮬레이션 실행부
38 : 예측 시간 산출부 39 : 동화상 생성부
40 : 형성 화상 변환부
본 발명은 화상 형성 장치가 실행하는 처리의 시뮬레이션을 실행하는 화상 형성 장치 시뮬레이션 장치, 화상 형성 장치 시뮬레이션 방법 및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현재 프린터, 복사기 등의 화상 형성 장치에 대해서는 다양한 기종(機種)의 것이 시판되고 있다. 화상 형성 장치의 종류에 따라 그 조작성은 상이하기 때문에, 사용자는 자신이 사용하는 화상 형성 장치의 종류에 따른 조작을 습득할 필요가 있다. 그래서, 사용자에 의한 조작의 습득을 위해, 화상 형성 장치에서 결함 발생 시의 동작을 시뮬레이션하는 기술이 있다(특허문헌 1 참조).
[특허문헌 1] 일본국 공개특허평8-331287호 공보
그러나, 상기 종래예의 기술은 실제로 화상 형성 장치를 사용하여 결함 발생 시의 대응을 시뮬레이션하는 것으로서, 화상 형성 장치가 존재하지 않는 상태에서 사용자의 실제 사용 시에서의 화상 형성 장치의 동작을 시뮬레이션할 수는 없다.
특히 이하에 설명하는 바와 같이, 사용자의 실제 사용 시에서의 화상 형성 장치의 성능을 시뮬레이션하는 것에 대한 요청이 있다. 즉, 통상 사용자는 화상 형성 장치를 구입할 경우, 사전에 카탈로그 등에 의해 공개되어 있는 정보를 조사함으로써, 화상 형성 장치에 의한 화상 형성 속도 등의 성능에 관하여 복수의 화상 형성 장치 등을 비교하거나 하여 선택한다. 그런데, 카탈로그 등에 의해 공개된 정보는 일반적으로 어느 한정된 조건 하에서 사용된 경우의 성능 등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 사용자가 특정 형식의 화상 데이터의 출력을 빈번하게 행하는 경우 등에서는, 사용자가 실제로 사용할 때의 성능과 일치한다고 단정할 수는 없다. 그 때문에, 사용자는 화상 형성 장치를 구입하여 사용할 때까지, 상기 화상 형성 장치가 실제 사용자의 사용 형태에서 발휘하는 성능을 알 수 없다.
본 발명은 상기 실정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사용자의 실제 사용 시에서의 화상 형성 장치의 성능을 시뮬레이션할 수 있는 화상 형성 장치 시뮬레이션 장치, 화상 형성 장치 시뮬레이션 방법 및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 시뮬레이션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화상 형성 장치가 실행하는 처리의 시뮬레이션을 실행하는 화상 형성 장치 시뮬레이션 장치로서, 상기 화상 형성 장치에 의한 형성 대상으로 되는 대상 화상의 정보를 포함한 화상 형성 명령을 취득하는 화상 형성 명령 취득 수단과, 상기 화상 형성 명령에 의거하여, 상기 화상 형성 장치가 상기 대상 화상을 기록 매체에 형성하는 화상 형성 처리의 시뮬레이션을 실행하는 시뮬레이션 수단과, 상기 시뮬레이션에 필요한 처리 시간에 의거하여, 상기 화상 형성 장치가 상기 화상 형성 처리에 필요할 것으로 예측되는 예측 시간을 산출하여 출력하는 예측 시간 산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것에 의해, 대상 화상의 정보를 포함한 화상 형성 명령에 의거하여 화상 형성의 시뮬레이션을 실행함으로써, 대상 화상의 화상 형성을 행하는 화상 형성 처리에 필요한 예측 시간을 화상 형성 장치가 존재하지 않는 상태에서 산출할 수 있고, 사용자의 실제 사용 시에서의 화상 형성 장치의 성능을 시뮬레이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상 형성 장치 시뮬레이션 장치에 있어서, 상기 화상 형성 장치가 구비할 것으로 상정(想定)되는 메모리의 용량에 관한 메모리 용량 정보를 취득하는 메모리 용량 정보 취득 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시뮬레이션 수단은 상기 취득한 메모리 용량 정보에 의거하여 결정되는 용량의 메모리 영역을 확보하고, 상기 확보한 메모리 영역을 사용하여 상기 시뮬레이션을 실행하는 것으로 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화상 형성 장치 시뮬레이션 장치에 있어서, 상기 시뮬레이션 수 단은 복수의 화상 형성 장치 각각에 대해서 상기 화상 형성 처리의 시뮬레이션을 실행하고, 상기 복수의 화상 형성 장치 각각에 대해서 상기 산출한 예측 시간에 의거한 소요 시간으로 화상 형성의 과정을 나타내는 시뮬레이션 동화상을 생성하는 동화상 생성 수단과, 상기 생성한 복수의 시뮬레이션 동화상을 동시에 재생 개시하도록 표시 수단에 표시시키는 동화상 재생 수단을 포함하는 것으로 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화상 형성 장치 시뮬레이션 장치에 있어서, 상기 예측 시간 산출 수단은 상기 예측 시간 중 기록 매체의 출력을 개시하는 출력 개시 타이밍까지 필요할 것으로 예측되는 예측 출력 대기 시간과, 상기 출력 개시 타이밍으로부터 상기 화상 형성 처리가 완료될 때까지 필요할 것으로 예측되는 예측 매체 출력 시간을 각각 산출하고, 상기 동화상 생성 수단은 상기 산출한 예측 매체 출력 시간에 의거한 소요 시간의 시뮬레이션 동화상을 생성하는 것으로 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 시뮬레이션 방법은, 컴퓨터를 사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화상 형성 장치가 실행하는 처리의 시뮬레이션을 실행하는 화상 형성 장치 시뮬레이션 방법으로서, 상기 화상 형성 장치에 의한 형성 대상으로 되는 대상 화상의 정보를 포함한 화상 형성 명령을 취득하는 스텝과, 상기 화상 형성 명령에 의거하여, 상기 화상 형성 장치가 상기 대상 화상을 기록 매체에 형성하는 화상 형성 처리의 시뮬레이션을 실행하는 스텝과, 상기 시뮬레이션에 필요한 처리 시간에 의거하여, 상기 화상 형성 장치가 상기 화상 형성 처리에 필요할 것으로 예측되는 예측 시간을 산출하여 출력하는 스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프로그램은, 컴퓨터에 적어도 하나의 화상 형성 장치 가 실행하는 처리의 시뮬레이션을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으로서, 상기 화상 형성 장치에 의한 형성 대상으로 되는 대상 화상의 정보를 포함한 화상 형성 명령을 취득하는 화상 형성 명령 취득 수단, 상기 화상 형성 명령에 의거하여, 상기 화상 형성 장치가 상기 대상 화상을 기록 매체에 형성하는 화상 형성 처리의 시뮬레이션을 실행하는 시뮬레이션 수단, 및 상기 시뮬레이션에 필요한 처리 시간에 의거하여, 상기 화상 형성 장치가 상기 화상 형성 처리에 필요할 것으로 예측되는 예측 시간을 산출하여 출력하는 예측 시간 산출 수단으로서 상기 컴퓨터를 기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 시뮬레이션 장치를 포함한 컴퓨터 시스템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전체도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시뮬레이션 장치(10)와 사용자 단말(20)이 통신 네트워크(30)를 통하여 서로 데이터 통신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통신 네트워크(30)는 예를 들어 인터넷 등의 광역(廣域) 네트워크일 수도 있고, 사내(社內) 인트라넷 등의 LAN(Local Area Network)일 수도 있다.
여기서, 시뮬레이션 장치(10)는 예를 들어 일반적인 서버 컴퓨터 등으로서, 제어부(11), 기억부(12), 통신부(13) 및 계시부(計時部)(14)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 시뮬레이션 장치(10)가 본 발명에서의 화상 형성 장치 시뮬레이션 장치에 상당한다. 시뮬레이션 장치(10)는 사용자 단말(20)로부터 송신되는 처리 요구에 따라 화상 형성 장치가 실행하는 처리의 시뮬레이션을 실행하고, 결과를 사용자 단말(20)에 대하여 출력한다.
일례로서, 시뮬레이션 장치(10)는 사용자 단말(20)로부터의 요구에 대하여 웹 페이지의 데이터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웹 애플리케이션 서버(web application server)로서 기능한다. 즉, 시뮬레이션 장치(10)는, 사용자에 대하여 각종 정보의 입력을 촉구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나, 시뮬레이션의 결과로서 사용자에게 제시하고 싶은 정보 등을 배치하여 생성한 웹 페이지의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20)에 대하여 송신함으로써, 시뮬레이션을 실행하여 그 결과를 출력한다.
시뮬레이션 장치(10)의 제어부(11)는 CPU 등으로서, 기억부(12)에 기억되어 있는 프로그램에 따라 동작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사용자 단말(20)로부터의 요구에 의거하여, 화상 형성 장치가 실행하는 처리의 시뮬레이션을 실행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어부(11)가 실행하는 처리의 예에 대해서는 나중에 상세하게 설명한다.
기억부(12)는 제어부(11)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을 유지하는 컴퓨터에 의해 판독 가능한 기억 매체로서, RAM이나 ROM 등의 메모리 소자와 디스크 디바이스 등 중의 적어도 한쪽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또한, 기억부(12)는 제어부(11)의 워크 메모리로서도 동작한다.
통신부(13)는 예를 들어 네트워크 카드 등이며, 제어부(11)로부터의 지시에 따라 통신 네트워크(30)를 통하여 정보를 송신한다. 또한, 통신부(13)는 통신 네트워크(30)를 통하여 도래하는 정보를 수신하여 제어부(11)에 출력한다.
계시부(14)는 시계 기능을 실현하는 IC 칩 등으로서, 제어부(11)로부터 입력되는 지시에 따라 현재 시각의 정보를 제어부(11)에 출력한다.
또한, 사용자 단말(20)은 예를 들어 퍼스널 컴퓨터 등으로서, 제어부(21), 기억부(22), 통신부(23), 조작부(24) 및 표시부(25)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20)에 대한 지시 조작에 의해 시뮬레이션 장치(10)에 화상 형성 장치의 시뮬레이션을 실행시킬 수 있고, 사용자 단말(20)의 표시부(25)에 표시되는 정보를 열람함으로써, 시뮬레이션 장치(10)에 의한 시뮬레이션의 결과를 확인할 수 있다.
일례로서, 시뮬레이션 장치(10)가 웹 애플리케이션 서버로서 기능할 경우, 사용자 단말(20)은 웹 브라우저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시뮬레이션 장치(10)가 출력하는 웹 페이지의 데이터를 표시부(25)에 표시시킨다. 이것에 의해, 사용자는 웹 페이지 상에서 시뮬레이션의 실행에 필요한 각종 정보를 입력하거나, 웹 페이지 상에 표시된 시뮬레이션의 결과를 확인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의 제어부(21)는 CPU 등으로서, 기억부(22)에 기억되어 있는 프로그램에 따라 동작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사용자의 조작부(24)에 대한 지시 조작에 따라, 시뮬레이션 장치(10)에 대한 시뮬레이션의 실행 요구를 출력한다. 또한, 시뮬레이션 장치(10)로부터 송신되는 시뮬레이션의 실행 결과를 받아들여 표시부(25)에 표시시킨다.
기억부(22)는 제어부(21)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을 유지하는 컴퓨터에 의해 판독 가능한 기억 매체로서, RAM이나 ROM 등의 메모리 소자와 디스크 디바이스 등 중의 적어도 한쪽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또한, 기억부(22)는 제어부(21)의 워크 메모리로서도 동작한다.
통신부(23)는 예를 들어 네트워크 카드 등이며, 제어부(21)로부터의 지시에 따라 통신 네트워크(30)를 통하여 정보를 송신한다. 또한, 통신부(23)는 통신 네트워크(30)를 통하여 도래하는 정보를 수신하여 제어부(21)에 출력한다.
조작부(24)는 예를 들어 키보드나 마우스 등이며, 사용자의 지시 조작을 접수하여 상기 지시 조작의 내용을 제어부(21)에 출력한다. 표시부(25)는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등이며, 제어부(21)로부터의 지시에 따라 정보의 표시를 행한다.
다음으로, 본 실시예에서 시뮬레이션 장치(10)가 실현하는 기능에 대해서 설명한다. 시뮬레이션 장치(10)는, 기능적으로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화상 형성 장치 선택부(31), 화상 형성 장치 시뮬레이션부(32), 및 시뮬레이션 결과 표시 제어부(33)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들 기능은 예를 들어 제어부(11)가 기억부(12)에 저장되어 있는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실현할 수 있다. 또한, 화상 형성 장치 시뮬레이션부(32)는, 시뮬레이션 장치(10)에 의한 시뮬레이션의 실행이 가능한 화상 형성 장치가 복수 종류 있을 경우에는, 상기 복수 종류의 화상 형성 장치 각각에 대응하여 복수 있을 수도 있다.
화상 형성 장치 선택부(31)는, 사용자에 의한 사용자 단말(20)의 조작부(24)에 대한 지시 조작에 의거하여, 시뮬레이션 장치(10)에 의해 시뮬레이션의 실행이 가능한 복수 종류의 화상 형성 장치 중에서 시뮬레이션의 대상으로 되는 화상 형성 장치를 선택한다. 또한, 시뮬레이션 장치(10)가 1종류의 화상 형성 장치에만 대응하고 있을 경우, 화상 형성 장치 선택부(31)는 없어도 된다.
일례로서, 화상 형성 장치 선택부(31)는 프린터 선택 화면을 나타내는 웹 페 이지 데이터를 출력하고, 사용자 단말(20)의 표시부(25)에 상기 화면을 표시시킨다. 사용자가 조작부(24)에 대한 지시 조작에 따라 시뮬레이션을 실행시키고 싶은 화상 형성 장치를 상기 화면 상에서 선택하여 결정 버튼을 누르면, 사용자 단말(20)은 통신 네트워크(30)를 통하여 상기 선택된 화상 형성 장치의 정보를 시뮬레이션 장치(10)에 송신한다. 화상 형성 장치 선택부(31)는, 상기 선택된 화상 형성 장치의 정보를 받아들여 시뮬레이션 대상으로 되는 화상 형성 장치를 결정한다.
또한, 화상 형성 장치 선택부(31)는, 사용자의 지시 조작에 따라 선택 가능한 복수 종류의 화상 형성 장치 중에서 복수의 화상 형성 장치를 시뮬레이션의 대상으로서 선택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시뮬레이션 장치(10)는 상기 선택된 복수의 화상 형성 장치 각각에 대해서 시뮬레이션을 실행하고, 예를 들어 각각의 시뮬레이션의 결과를 사용자가 비교할 수 있는 형태로 출력하는 것으로 할 수도 있다. 복수의 화상 형성 장치에 대해서 시뮬레이션을 실행한 결과의 표시 예에 대해서는 나중에 설명한다.
화상 형성 장치 시뮬레이션부(32)는 시뮬레이션의 대상으로 되는 적어도 하나의 화상 형성 장치가 실행하는 처리의 시뮬레이션을 실행한다. 또한, 화상 형성 장치 시뮬레이션부(32)가 복수 있을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각각의 화상 형성 장치 시뮬레이션부(32)는 특정 종류의 화상 형성 장치에 대응하고 있으며, 대응한 화상 형성 장치가 실행하는 처리의 시뮬레이션을 행한다.
여기서, 화상 형성 장치 시뮬레이션부(32)가 실현하는 기능의 상세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화상 형성 장치 시뮬레이션부(32)에 의한 시뮬레이 션의 대상으로 되는 화상 형성 장치를 화상 형성 장치(P)로 한다. 화상 형성 장치 시뮬레이션부(32)는 초기 정보 취득부(34), 화상 형성 명령 취득부(35), 조작 정보 취득부(36), 시뮬레이션 실행부(37), 예측 시간 산출부(38), 동화상 생성부(39) 및 형성 화상 변환부(4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초기 정보 취득부(34)는 시뮬레이션을 실행할 때의 전제조건으로 되는 화상 형성 장치에 관한 초기 정보를 취득한다. 구체적으로, 초기 정보는 예를 들어 화상 형성 장치(P)에 탑재되는 증설(增設) 메모리의 메모리 용량에 관한 정보나, 증설 트레이에 관한 정보 등의 하드웨어 구성에 관한 정보(하드웨어 정보) 등이다.
또한, 초기 정보 취득부(34)는 화상 형성 장치(P)에 설치(install)된 펌웨어(firmware)의 버전에 관한 정보나, 화상 형성 장치(P)에 대하여 설정 등록해야 할 초기 설정값 등의, 화상 형성 장치(P)가 실행하는 소프트웨어 처리에 관한 정보(소프트웨어 정보) 등을 취득하는 것으로 할 수도 있다.
또는, 초기 정보 취득부(34)는 표준 설정 모드 등의 동작 모드를 나타내는 동작 모드 정보를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취득하고, 상기 동작 모드 정보에 의거하여, 하드웨어 정보나 소프트웨어 정보의 내용을 취득하는 것으로 할 수도 있다. 즉, 예를 들어 표준 설정 모드가 사용자의 지시 조작에 의해 선택된 경우, 초기 정보 취득부(34)는 화상 형성 장치(P)의 표준 상태로서 미리 정해진 구성에 대해서 기억부(12)에 기억되어 있는 정보를 하드웨어 정보나 소프트웨어 정보로서 취득한다.
일례로서, 초기 정보 취득부(34)는 도 3에 예시한 바와 같은 동작 모드 선택 화면을 나타내는 웹 페이지 데이터를 출력하고, 사용자 단말(20)의 표시부(25)에 상기 화면을 표시시킨다. 사용자는 조작부(24)에 대한 지시 조작에 따라 화상 형성 장치(P)의 동작 모드를 나타내는 동작 모드 정보를 선택하여 화면 상의 결정 버튼을 누른다. 이것에 따라, 사용자 단말(20)은 통신 네트워크(30)를 통하여 상기 선택된 동작 모드 정보를 시뮬레이션 장치(10)에 송신한다. 초기 정보 취득부(34)는, 상기 선택된 동작 모드 정보를 받아들여 시뮬레이션의 대상으로 되는 화상 형성 장치(P)의 하드웨어 구성이나 소프트웨어 구성을 결정한다.
또한, 상술한 동작 모드 선택 화면에서 동작 모드 정보로서 개별 설정 모드가 선택된 경우에는, 초기 정보 취득부(34)는 하드웨어 정보나 소프트웨어 정보의 입력을 촉구하는 초기 정보 입력 화면을 사용자 단말(20)의 표시부(25)에 다시 표시시키고, 상기 정보를 개별적으로 사용자의 지시 조작에 따라 취득하는 것으로 할 수도 있다. 도 4는 시뮬레이션 실행 시에 사용자 단말(20)의 표시부(25)에 표시되는 시뮬레이션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의 예에서는, 화면 좌측의 영역(A1)이 상술한 초기 정보 입력 화면에 상당한다. 상기 영역(A1)에 표시되어 있는 검사 박스(check box) 등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하여 사용자가 지시 조작을 행함으로써, 사용자 단말(20)은 지정된 초기 정보를 시뮬레이션 장치(10)에 대하여 송신하고, 초기 정보 취득부(34)는 송신된 데이터를 받아들여 초기 정보를 취득할 수 있다.
화상 형성 명령 취득부(35)는 화상 형성 장치(P)에 의한 화상 형성의 대상으로 되는 대상 화상의 정보를 포함한 화상 형성 명령 R을 취득한다. 화상 형성 명 령 R은 예를 들어 PDL(Page Description Language) 등에 의해 기술(記述)된, 화상 형성 장치(P)에 대하여 화상 형성을 실행시키기 위한 제어 명령이다.
구체적인 예로서, 화상 형성 명령 취득부(35)는 예를 들어 이하에 예시하는 바와 같은 방법에 의해 화상 형성 명령 R을 취득한다.
우선, 제 1 예로서, 사용자 단말(20) 상에서 생성된 화상 형성 명령 R을 사용자의 조작부(24)에 대한 지시 조작에 따라 사용자 단말(20)이 시뮬레이션 장치(10)에 송신함으로써, 화상 형성 명령 취득부(35)가 화상 형성 명령 R을 취득하는 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 경우, 예를 들어 사용자는 화상 형성 명령 R을 생성하기 위한 프린터 드라이브 프로그램을 웹 서버 등(시뮬레이션 장치(10)일 수도 있음)으로부터 다운로드하거나 하여 입수하고, 사용자 단말(20)에 설치한다. 다음으로,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20)에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실행시켜, 상기 프린터 드라이버 프로그램을 사용하는 지정과 함께 인쇄를 실행하는 지시 조작을 행한다. 이것에 의해, 사용자 단말(20)의 제어부(21)는 프린터 드라이버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화상 형성 명령 R을 생성한다. 또한, 사용자는 생성된 화상 형성 명령 R을 지정하여 표시부(25)에 표시된 웹 페이지 상에서 화상 형성 명령 R을 업로드하는 지시 조작을 행한다. 이것에 의해, 사용자 단말(20)은 시뮬레이션 장치(10)에 대하여 화상 형성 명령 R을 송신하고, 화상 형성 명령 취득부(35)는 송신된 화상 형성 명령 R을 받아들임으로써 취득한다.
이 제 1 예에 의하면, 사용자는 시뮬레이션에 필요한 화상 형성 명령 R을 생성한 후, 다시 업로드하는 지시 조작을 행할 필요가 있어 번거롭다. 그래서, 사용 자 단말(20) 상에서 생성된 화상 형성 명령 R을 사용자 단말(20)이 그대로 시뮬레이션 장치(10)에 송신하는 것으로 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 대해서, 제 2 예로서 이하에 설명한다.
제 2 예에서는, 사용자는 제 1 예와 동일하게 프린터 드라이버 프로그램을 사용자 단말(20)에 설치하고,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으로부터 인쇄의 지시를 행한다. 사용자 단말(20)의 제어부(21)는, 프린터 드라이버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화상 형성 명령 R을 생성하고, 가상 프린터 포트에 대하여 출력한다. 가상 프린터 포트에 출력된 화상 형성 명령 R은 통신 네트워크(30)를 통하여 시뮬레이션 장치(10)에 대하여 송신된다. 이것에 의해, 화상 형성 명령 취득부(35)는 송신된 화상 형성 명령 R을 취득한다.
상기 제 1 및 제 2 예에서는, 양자 모두 사용자가 프린터 드라이브 프로그램을 입수하여 사용자 단말(20)에 설치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사용자는 실제로 화상 형성 장치(P)에 대하여 화상을 형성시키는 경우와 동일한 지시 조작을 사용자 단말(20)에 대하여 행함으로써, 시뮬레이션 장치(10)에 시뮬레이션을 실행시킬 수 있다. 그러나, 이들 예에서는 시뮬레이션을 위해 사용자 단말(20)에 새롭게 프린터 드라이버 프로그램을 설치할 필요가 있어 번거롭다. 그래서,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20)은 사용자의 지시 조작에 의거하여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생성한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를 그대로 시뮬레이션 장치(10)에 대하여 송신하는 것으로 하고, 시뮬레이션 장치(1O)가 화상 형성 명령 R을 생성하는 것으로 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 대해서, 제 3 예로서 이하에 설명한다.
제 3 예에서는, 사용자는 화상 형성 장치(P)에 의한 화상 형성의 대상으로 하고 싶은 화상을 나타내는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를 예를 들어 표시부(25)에 표시된 웹 페이지 상에서 업로드하는 지시 조작을 행한다. 이것에 의해, 사용자 단말(20)은 시뮬레이션 장치(10)에 대하여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를 송신한다.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를 받아들인 시뮬레이션 장치(10)의 제어부(11)는 상기 애플리케이션 데이터의 종별(種別)에 따른 소정의 처리를 실행하여 화상 형성 장치(P)에 대응한 화상 형성 명령 R을 생성한다. 이것에 의해, 화상 형성 명령 취득부(35)는 사용자의 수고를 들이지 않고 화상 형성 명령 R을 취득할 수 있다. 다만, 이 제 3 예에서는, 시뮬레이션 장치(10)는 사용자가 시뮬레이션을 행하고 싶다고 생각하는 애플리케이션 데이터의 종별에 따른 소정의 처리를 행하여, 애플리케이션 데이터에 의거한 화상 형성 명령 R을 생성하는 화상 형성 명령 생성 수단을 구비하고 있을 필요가 있다.
이상 설명한 예와 같은 방법에 의해, 화상 형성 명령 취득부(35)는 사용자 단말(20)에 유지되는 애플리케이션 데이터에 의거하여 생성된 화상 형성 명령 R을 취득한다. 이 화상 형성 명령 R에 의거하여 시뮬레이션 실행부(37)가 시뮬레이션을 실행함으로써, 사용자는 자신이 실제로 화상 형성 장치(P)에 화상 형성을 실행시키고 싶은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를 이용하여 시뮬레이션 장치(10)에 시뮬레이션을 실행시킬 수 있다.
또한, 화상 형성 명령 취득부(35)는 취득한 화상 형성 명령 R을 기억부(12)에 유지시키는 것으로 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차회(次回) 이후에 시뮬레이션을 실행할 경우에, 화상 형성 명령 취득부(35)는, 사용자의 지시에 따라, 전회(前回)의 시뮬레이션 실행 시에 처리 대상으로서 사용되어 기억부(12)에 유지되어 있는 화상 형성 명령 R을 취득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동작 환경 등의 조건을 변화시켜 몇 번이나 시뮬레이션을 행할 경우에, 사용자의 수고를 줄일 수 있다. 또는, 화상 형성 명령 취득부(35)는, 사용자의 지시에 따라, 미리 기억부(12)에 유지되어 있는 소정의 샘플 데이터를 화상 형성 명령 R로서 취득할 수도 있다.
또한, 복수의 화상 형성 장치에 대한 시뮬레이션을 실행할 경우, 상기 복수의 화상 형성 장치에서 화상 형성 명령 R의 데이터 형식이 동일하면, 특정 화상 형성 장치에 대응한 화상 형성 장치 시뮬레이션부(32)에 포함되는 화상 형성 명령 취득부(35)가 취득한 화상 형성 명령 R을 다른 화상 형성 장치 시뮬레이션부(32)에 포함되는 화상 형성 명령 취득부(35)가 취득하여 시뮬레이션에 사용하는 것으로 할 수도 있다. 이것에 의해, 사용자는 하나의 화상 형성 명령 R을 시뮬레이션 장치(1O)에 대하여 송신하는 지시 조작을 행함으로써, 복수의 화상 형성 장치에 공통의 화상 형성 명령 R이 송신된 경우의 시뮬레이션을 각각 실행시킬 수 있다.
조작 정보 취득부(36)는, 사용자의 지정에 의거하여, 화상 형성 장치(P)에 대하여 실행 가능한 지시 조작의 내용을 나타내는 장치 조작 정보를 취득한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화상 형성 장치(P)가 조작 패널을 구비하고 있으며, 조작 정보 취득부(36)는 상기 조작 패널에 대한 사용자의 지시 조작의 내용을 나타내는 정보를 장치 조작 정보로서 취득하는 것으로 한다. 이 경우, 조작 정보 취득부(36)는 조작 패널을 모의적으로 나타낸 조작 패널 화면을 사용자 단말(20)의 표시 부(25)에 표시시킨다. 예를 들어 도 4의 예에서는, 화면 좌측 상부 영역(A2)이 상술한 조작 패널 화면에 상당한다. 그리고, 사용자의 조작부(24)에 대한 지시 조작에 의거하여 사용자 단말(20)이 시뮬레이션 장치(10)에 대하여 송신하는 정보를 받아들임으로써, 조작 정보 취득부(36)는 장치 조작 정보를 취득한다. 이것에 의해, 사용자는 화상 형성 장치(P)의 조작 패널에 대하여 행하는 지시 조작을 조작 패널 화면 상에서 모의적으로 실행할 수 있고, 시뮬레이션 장치(10)는 조작 패널에 대한 사용자의 지시 조작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P)의 동작을 시뮬레이션할 수 있다.
또한, 화상 형성 장치(P)가 조작 패널 이외의 조작 수단을 구비하고 있을 경우, 조작 정보 취득부(36)는 이러한 조작 수단에 대하여 실행 가능한 지시 조작을 지정하기 위한 입력 화면을 사용자 단말(20)의 표시부(25)에 표시시키고, 상기 입력 화면에 대한 사용자의 지시 조작에 의거하여 장치 조작 정보를 취득하는 것으로 할 수도 있다.
시뮬레이션 실행부(37)는 초기 정보 취득부(34)가 취득한 초기 정보와, 화상 형성 명령 취득부(35)가 취득한 화상 형성 명령 R과, 조작 정보 취득부(36)가 취득한 장치 조작 정보에 의거하여 화상 형성 장치(P)가 실행하는 처리의 시뮬레이션을 실행한다.
구체적인 예로서, 시뮬레이션 실행부(37)는 이하와 같이 하여 시뮬레이션을 행한다. 즉, 우선, 미리 시뮬레이션 장치(10)의 기억부(12)에 유지된 화상 형성 장치(P)에 관한 정보와, 초기 정보 취득부(34)가 취득한 초기 정보와, 조작 정보 취득부(36)가 취득한 장치 조작 정보에 의거하여 화상 형성 장치(P)의 동작 환경을 결정한다. 예를 들어 시뮬레이션 실행부(37)는 화상 형성 장치(P)가 표준 상태에서 구비하는 메모리의 메모리 용량과, 초기 정보 취득부(34)가 취득한 증설 메모리의 메모리 용량에 관한 정보에 의거하여, 화상 형성 장치(P)가 구비할 것으로 상정되는 메모리의 용량에 관한 메모리 용량 정보를 취득한다. 그리고, 상기 결정한 동작 환경 하에서, 화상 형성 명령 R을 수신한 경우에 화상 형성 장치(P)가 실행하는 처리를 화상 형성 명령 R에 의거하여 모의적으로 실행한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는, 시뮬레이션 실행부(37)는 이하에 설명하는 화상 형성 처리의 시뮬레이션을 실행하는 동시에, 그 처리 시간을 계측(計測)하여 예측 시간 산출부(38)에 대하여 출력한다. 구체적으로, 시뮬레이션 실행부(37)는 예를 들어 화상 형성 처리의 시뮬레이션을 개시하는 개시 시각과 종료한 종료 시각을 계시부(14)가 계시하는 현재 시각의 정보에 의거하여 취득하고, 개시 시각과 종료 시각의 차를 처리 시간으로서 계측한다.
여기서, 시뮬레이션 실행부(37)에 의한 시뮬레이션의 대상으로 되는, 화상 형성 장치(P)가 실행하는 화상 형성 처리에 대해서 설명한다. 화상 형성 처리는 화상 형성 장치(P)가 화상 형성 명령 R에 포함되는 대상 화상을 기록 매체에 형성하는 처리이다. 구체적인 예로서, 화상 형성 장치(P)는, 화상 형성 명령 R에 의거하여, 상기 화상 형성 명령 R에 포함되는 1개 또는 복수의 대상 화상 각각에 대하여 데이터 해석을 행하고, 각 대상 화상에 따른 출력 화상 데이터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화상 형성 장치(P)가 청록색(C), 자홍색(M), 황색(Y), 흑색(K)의 4색 토너를 사용하여 기록 매체 상에 화상의 형성을 행하는 화상 형성 수단을 구비할 경우, 출력 화상 데이터는 대상 화상의 화상 데이터에 대하여 상기 화상 형성 수단의 계조 특성을 고려한 색변환 처리 등을 실행하여 얻어지는, CMYK의 4성분색으로 표시되는 화상 데이터이다. 그리고, 상기 출력 화상 데이터를 화상 형성 수단에 대하여 차례로 출력함으로써, 화상 형성 수단에 상기 출력 화상 데이터에 의해 표시되는 화상의 형성을 실행시킨다. 이것에 의해, 화상 형성 장치(P)는 기록 매체 상에 대상 화상에 따른 화상을 형성하여 화상이 형성된 기록 매체를 출력한다.
시뮬레이션 실행부(37)는, 이 화상 형성 처리의 시뮬레이션을 실행함으로써, 화상 형성 명령 R에 의거하여 화상 형성 장치(P)가 출력하는 출력 화상 데이터를 생성한다. 또한, 그동안의 처리 시간을 계측하여 예측 시간 산출부(38)에 대하여 출력한다. 또한, 시뮬레이션 실행부(37)는, 복수의 대상 화상 각각에 의거하여 출력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처리의 각각에 대해서 처리 시간을 계측하는 것으로 할 수도 있다.
여기서, 시뮬레이션 실행부(37)는 상술한 메모리 용량 정보에 의거하여 결정되는 용량의 메모리 영역을 기억부(12)에 대하여 확보하고, 상기 확보한 메모리 영역을 사용하여 화상 형성 처리의 시뮬레이션을 실행하는 것으로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실제로 화상 형성 장치(P)가 화상 형성 처리에 사용 가능한 메모리 용량에 따른 메모리 영역을 사용하여 시뮬레이션을 실행함으로써, 실제 화상 형성 장치(P)에 가까운 조건 하에서의 시뮬레이션을 행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시뮬레이션에 필요한 처리 시간에 의거하여, 보다 정확하게 실제 화상 형성 장치(P)에 의한 처리 시간을 예측할 수 있다.
또한, 시뮬레이션 실행부(37)는, 생성된 출력 화상 데이터에 의거하여 기록 매체에 형성되는 형성 화상을 나타내는 형성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으로 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화상 형성 명령 R에 포함되는 여백 설정이나 사용하는 기록 매체의 사이즈에 관한 정보에 의거하여, 기록 매체 상에 출력 화상 데이터에 의해 표시되는 화상이 형성된 형성 화상을 나타내는 형성 화상 데이터를 생성한다.
예측 시간 산출부(38)는, 시뮬레이션 실행부(37)가 화상 형성 처리의 시뮬레이션에 필요한 처리 시간에 의거하여, 화상 형성 장치(P)가 화상 형성 처리에 필요할 것으로 예측되는 예측 시간을 산출하여 출력한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예측 시간 산출부(38)는 처리 시간과 예측 시간을 대응시키는 환산(換算) 테이블을 이용하여 예측 시간을 산출한다. 이 경우, 시뮬레이션 장치(10)의 기억부(12)에는, 미리 시뮬레이션에 필요한 처리 시간과 화상 형성 장치(P)에 의한 화상 형성 처리에 필요한 예측 시간을 대응시키는 환산 테이블이 유지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여기서, 처리 시간과 예측 시간 사이의 대응 관계는, 예를 들어 화상 형성 장치(P)의 성능에 관한 정보와 시뮬레이션 장치(10)의 연산 성능에 따라 정할 수 있다. 또는, 예측 시간 산출부(38)는, 시뮬레이션 실행부(37)가 출력한 처리 시간을 소정 함수에 대입함으로써, 예측 시간을 산출하는 것으로 할 수도 있다.
이것에 의해, 예측 시간 산출부(38)는 화상 형성 장치(P)와 시뮬레이션 장치(10) 사이의 연산 성능의 차이나, 화상 형성 장치(P)가 구비하는 화상 형성 수단에 의한 실제로 기록 매체 상에 화상을 형성하는 동작에 필요한 시간 등을 고려하여, 시뮬레이션에 필요한 처리 시간을 환산함으로써, 실제 화상 형성 처리에 필요 할 것으로 예측되는 예측 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예측 시간 산출부(38)는 상술한 환산 테이블에서의 예측 시간 값이나, 소정 함수에 포함되는 파라미터를 예를 들어 초기 정보 취득부(34)가 취득한 초기 정보나 조작 정보 취득부(36)가 취득한 장치 조작 정보에 의거하여 변화시키는 것으로 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장치 조작 정보로서, 조작 패널에 대하여 고속 인쇄 모드를 지정하거나, 흑백 화상 인쇄 모드를 지정하는 지시 조작을 나타내는 정보를 취득한 경우, 이들 지정에 따라 예측 시간 산출부(38)는 산출되는 예측 시간의 보정을 행한다. 이것에 의해, 사용자가 지정한 동작 환경 등에 관한 조건에 따라, 화상 형성 장치(P)가 화상 형성 처리에 필요한 시간을 예측할 수 있다.
또한, 예측 시간 산출부(38)는 화상 형성 처리에 필요한 예측 시간 중 화상 형성 장치(P)가 화상 형성 명령 R을 취득하고 나서 기록 매체의 출력을 개시하는 출력 개시 타이밍까지 필요할 것으로 예측되는 예측 출력 대기 시간과, 출력 개시 타이밍으로부터 화상 형성 처리가 완료되어 기록 매체에 모든 대상 화상이 형성될 때까지 필요할 것으로 예측되는 예측 매체 출력 시간을 각각 산출하는 것으로 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예를 들어 예측 시간 산출부(38)는 상술한 예측 시간을 산출하는 방법과 동일한 순서로 예측 출력 대기 시간, 예측 매체 출력 시간의 각각을 산출할 수도 있고, 예를 들어 예측 출력 대기 시간과 전체 예측 시간을 먼저 산출하여, 예측 매체 출력 시간은 예측 시간으로부터 예측 출력 대기 시간을 감산(減算)함으로써 산출하는 것으로 할 수도 있다.
또한, 예측 시간 산출부(38)는, 화상 형성 명령 R에 포함되는 각 대상 화상 의 각각에 대하여 상기 대상 화상이 형성된 기록 매체의 출력이 개시되고 나서 상기 기록 매체의 출력이 완료될 때까지 필요할 것으로 예측되는 예측 단일 매체 출력 시간을 산출하는 것으로 할 수도 있다. 이 예측 단일 매체 출력 시간을 모든 대상 화상에 대해서 합계한 것이 예측 매체 출력 시간으로 된다. 예측 단일 매체 출력 시간은 예를 들어 각 대상 화상에 대한 화상 형성 처리의 시뮬레이션에 필요한 처리 시간과, 화상 형성 장치(P)의 화상 형성 속도 등에 의거하여 산출할 수 있다.
동화상 생성부(39)는, 화상 형성 장치(P)에 대해서 예측 시간 산출부(38)가 산출한 예측 시간에 의거한 소요 시간으로 화상 형성의 과정을 나타내는 시뮬레이션 동화상을 생성한다. 예를 들어 동화상 생성부(39)는 산출된 예측 시간으로부터 추정되는, 화상 형성 장치(P)가 화상 형성 명령 R에 포함되는 모든 대상 화상을 기록 매체에 형성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동화상을 시뮬레이션 동화상으로서 생성한다. 구체적인 예로서, 동화상 생성부(39)는 도 5의 (a) 내지 (d)에 도시된 바와 같은 화상을 차례로 표시시키는 동화상을 시뮬레이션 동화상으로서 생성한다. 이렇게 하여 생성된 시뮬레이션 동화상을 사용자에게 제시함으로써, 사용자는 화상 형성 장치(P)가 실제로 존재하지 않는 상태에서도 실제로 화상 형성 장치(P)에 화상의 형성을 실행시킨 경우에 가까운 감각에 의해, 시각적으로 화상의 형성에 필요한 시간을 파악할 수 있다.
또한, 동화상 생성부(39)는, 사용자의 선택 등에 의거하여, 예측 시간 산출부(38)가 산출한 예측 매체 출력 시간에 의거한 소요 시간의 시뮬레이션 동화상을 생성하는 것으로 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예를 들어 동화상 생성부(39)는 동화상의 재생이 개시되면 즉시 기록 매체의 출력을 개시하고, 화상이 형성되는 모든 기록 매체가 출력될 때까지의 과정을 나타내는 것과 같은 동화상을 생성한다. 이 동화상에서는, 기록 매체의 출력이 개시될 때까지의 대기 시간을 나타내는 화상은 포함되지 않게 되고, 화상 형성 장치(P)가 매체를 출력하고 있는 과정만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에 있어서, 예측 시간 산출부(38)가 산출한 각각의 대상 화상에 대한 예측 단일 매체 출력 시간에 의거하여, 시뮬레이션 동화상에 포함되는 각 기록 매체의 출력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부분의 소요 시간을 결정하는 것으로 할 수도 있다.
형성 화상 변환부(40)는 시뮬레이션 실행부(37)가 생성한 형성 화상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20)의 표시부(25)에 표시시키는 것이 가능한 예를 들어 비트맵 형식 등 소정의 데이터 형식의 화상 데이터로 변환하여, 시뮬레이션 결과 표시 제어부(33)에 대하여 출력한다. 또한, 화상 형성 장치(P)가 형성하는 형성 화상을 나타내는 시뮬레이션 결과의 표시가 요구되지 않을 경우에는, 형성 화상 변환부(40)는 없어도 된다.
시뮬레이션 결과 표시 제어부(33)는, 화상 형성 장치 선택부(31)가 선택한 화상 형성 장치에 대해서 화상 형성 장치 시뮬레이션부(32)가 시뮬레이션을 실행한 결과 출력하는 데이터를 예를 들어 웹 페이지 데이터로서 출력함으로써, 사용자 단말(20)의 표시부(25)에 표시시키는 표시 제어 처리를 행한다. 상기 표시 제어 처리의 대상으로 되는 데이터로서는, 예를 들어 동화상 생성부(39)가 생성한 시뮬레 이션 동화상이나, 예측 시간 산출부(38)가 산출한 예측 시간이나 예측 출력 대기 시간, 예측 매체 출력 시간 등이 있다. 또한, 시뮬레이션 결과 표시 제어부(33)는 이들 예측 시간 등에 의거하여 산출된 예를 들어 화상 형성 장치(P)의 1분간당 기록 매체의 출력 매수 등의, 화상 형성 장치(P)의 성능을 나타내는 지표(指標) 정보를 표시시킬 수도 있다. 또한, 시뮬레이션 결과 표시 제어부(33)에 의한 표시 제어 처리의 대상으로 되는 데이터에는, 형성 화상 변환부(40)에 의해 변환된 형성 화상 데이터 등이 포함될 수도 있다.
이것에 의해,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20)의 화면 상에서 시뮬레이션의 실행 결과를 확인할 수 있다. 일례로서, 시뮬레이션 결과 표시 제어부(33)는 도 4에 예시한 바와 같은, 시뮬레이션 화면에 포함되는 시뮬레이션 결과 표시 영역(A3)을 사용자 단말(20)의 표시부(25)에 표시시킨다.
또한, 시뮬레이션 결과 표시 제어부(33)는 화상 형성 장치 선택부(31)가 복수의 화상 형성 장치를 선택하고, 화상 형성 장치 시뮬레이션부(32)가 상기 복수의 화상 형성 장치 각각에 대해서 시뮬레이션을 실행한 경우, 각각의 시뮬레이션 결과를 비교할 수 있도록 사용자 단말(20)의 표시부(25)에 표시시키는 것으로 할 수도 있다.
특히 이 경우, 시뮬레이션 결과 표시 제어부(33)는, 복수의 화상 형성 장치 각각에 대해서 동화상 생성부(39)가 생성한 복수의 시뮬레이션 동화상을 동시에 재생 개시하도록 표시부(25)에 표시시키는 것으로 할 수도 있다. 이것에 의해, 복수의 시뮬레이션 동화상을 비교함으로써, 사용자는 마치 복수의 화상 형성 장치를 나 열하여 동시에 화상 형성 처리를 실행시킨 것처럼, 시각적으로 이해하기 쉬운 형태로 복수의 화상 형성 장치의 성능을 비교할 수 있다. 또한, 동화상 생성부(39)가 예측 매체 출력 시간에 의거한 소요 시간의 시뮬레이션 동화상을 생성하고 있을 경우에는, 복수의 화상 형성 장치가 동시에 매체의 출력을 개시한 경우의 화상 형성의 과정을 표시시킬 수 있다. 이것에 의해, 특히 매체의 출력에 관한 성능을 시각적으로 이해하기 쉬운 형태로 직접 비교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시뮬레이션 결과 표시 제어부(33)는, 일례로서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은 시뮬레이션 결과 표시 화면을 표시부(25)에 표시시킨다.
또한, 여기서 시뮬레이션 결과 표시 제어부(33)가 표시부(25)에 표시시키는 화면에는, 화상 형성 장치에 대응한 발주(發注) 버튼이 포함되어 있을 수도 있다. 상기 버튼에 대한 사용자의 지시 조작에 의해, 사용자 단말(20)은 상기 버튼에 대응한 화상 형성 장치의 발주 처리 정보를 소정의 발주 처리 서버(시뮬레이션 장치(10)일 수도 있음)에 송신한다. 이것에 의해, 사용자는 시뮬레이션 결과를 확인하여 그대로 화상 형성 장치의 구입 수속을 행할 수 있다. 특히 복수의 화상 형성 장치에 대한 시뮬레이션 결과를 비교할 수 있는 시뮬레이션 결과 표시 화면에 각각의 화상 형성 장치에 대응한 발주 버튼을 포함시킴으로써, 사용자는 구입 후보인 복수의 화상 형성 장치에 대한 시뮬레이션을 행한 결과를 비교하여, 선택한 화상 형성 장치의 구입 수속을 그대로 행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실시예에서 시뮬레이션 장치(10)가 시뮬레이션을 실행하는 처리 전체의 흐름 예에 대해서 도 7의 플로차트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우선, 화상 형성 장치 선택부(31)가 사용자의 지정에 의거하여 시뮬레이션 대상으로 되는 화상 형성 장치(P)를 선택한다(S1). 그리고, 화상 형성 장치(P)에 대응하는 화상 형성 장치 시뮬레이션부(32)의 초기 정보 취득부(34)가 화상 형성 장치(P)에 관한 초기 정보를 취득한다(S2). 예를 들어 초기 정보 취득부(34)는 화상 형성 장치(P)에 증설되는 메모리의 용량에 관한 증설 메모리 정보를 취득한다.
다음으로, 사용자는 각종 동작 조건을 화상 형성 장치(P)에 대하여 지정하는 지시 조작에 따라 조작 패널 화면에 대한 지시 조작을 실행할 수도 있다. 이것에 의해, 조작 정보 취득부(36)는 장치 조작 정보를 취득한다(S3).
이어서, 화상 형성 명령 취득부(35)가 화상 형성 명령 R을 취득한다(S4). 이것에 의해, 시뮬레이션 실행부(37)가 화상 형성 장치(P)가 실행하는 화상 형성 처리의 시뮬레이션을 개시한다. 또한, 화상 형성 명령 취득부(35)는 화상 형성 명령 R을 복수 취득하는 것으로 할 수도 있다. 또한, 시뮬레이션 실행부(37)는, 화상 형성 명령 취득부(35)가 화상 형성 명령 R을 취득한 후, 사용자의 시뮬레이션 개시를 지시하는 지시 조작에 의해 시뮬레이션의 실행을 개시하는 것으로 할 수도 있다.
시뮬레이션 실행부(37)는, 우선, 시뮬레이션의 실행을 개시한 시점의 시각을 계시부(14)로부터 취득한다(S5). 다음으로, 화상 형성 명령 R에 포함되는 작업(job) 제어 언어로 기술된 부분에 대하여 작업 해석 처리를 행한다(S6).
이어서, 시뮬레이션 실행부(37)는 화상 형성 명령 R에 포함되는 각 대상 화상의 각각에 대해서 이하와 같은 처리를 행한다. 즉, 시뮬레이션 실행부(37)는, 우선, 화상 형성 명령 R에 포함되는 처리 대상으로 되는 대상 화상의 정보에 의거하여 데이터 해석 처리를 행한다(S7). 다음으로, S7의 처리에 의한 해석 결과에 의거하여 화상 묘화(描畵) 처리를 행하고, 출력 화상 데이터를 생성한다(S8).
시뮬레이션 실행부(37)는 취득한 화상 형성 명령 R에 포함되는 화상 형성의 대상으로 되는 모든 대상 화상에 대해서 S7에서부터 S8까지의 처리를 반복적으로 실행한다. 또한, 여기서 시뮬레이션 실행부(37)는 처리 대상으로 되는 대상 화상의 각각에 대해서 S7 처리의 개시 전 및 S8 처리의 종료 후의 시점에서의 시각을 계시부(14)로부터 취득하여, 각 대상 화상에 대한 처리 시간을 계측할 수도 있다. 또한, 모든 대상 화상에 대해서 화상 형성 처리의 시뮬레이션을 종료한 경우, 종료 시점에서의 시각을 계시부(14)로부터 취득하여, 화상 형성 처리 전체의 시뮬레이션 실행에 필요한 처리 시간을 계측한다(S9).
다음으로, 예측 시간 산출부(38)가, S9의 처리에서 얻어진 처리 시간에 의거하여, 화상 형성에 필요한 예측 시간의 산출을 행한다(S10). 이어서, 동화상 생성부(39)가, S10의 처리에서 산출된 예측 시간에 의거하여, 시뮬레이션 동화상을 생성한다(S11).
시뮬레이션 결과 표시 제어부(33)는 시뮬레이션의 결과를 사용자 단말(20)의 표시부(25)에 표시시키는 표시 제어 처리를 행한다(S12). 구체적인 예로서, 시뮬레이션 결과 표시 제어부(33)는 S10의 처리 결과 얻어지는 예측 시간에 의거하여 산출되는 성능을 나타내는 지표 정보와 S11의 처리 결과 얻어지는 시뮬레이션 동화상을 표시부(25)에 표시시킨다.
또한, 상술한 흐름에서는, 시뮬레이션 실행부(37)에 의한 화상 형성 처리의 시뮬레이션이 완료되고 나서 동화상 생성부(39)가 시뮬레이션 동화상을 생성하는 것으로 하고 있지만, 처리 순서가 이러한 것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시뮬레이션 실행부(37)에 의한 시뮬레이션 도중에 동화상 생성부(39)는 시뮬레이션 동화상의 생성을 개시하고, 시뮬레이션 결과 표시 제어부(33)가 생성되는 시뮬레이션 동화상을 차례로 표시부(25)에 표시시키는 것으로 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시뮬레이션 실행부(37)에 의한 시뮬레이션이 완료되고, 예측 시간 산출부(38)가 전체 예측 시간을 산출한 시점에서, 상기 산출된 예측 시간에 의거한 소요 시간으로 시뮬레이션 동화상이 종료되도록 동화상 생성부(39)는 시뮬레이션 동화상의 생성을 종료한다. 이것에 의해, 사용자에게 있어서의 시뮬레이션 결과 표시까지의 대기 시간을 짧게 할 수 있다.
상술한 본 실시예에 의하면, 대상 화상의 정보를 포함한 화상 형성 명령에 의거하여 화상 형성의 시뮬레이션을 실행함으로써, 화상 형성 장치가 존재하지 않는 상태일지라도 화상 형성 처리에 필요한 예측 시간을 산출할 수 있고, 사용자의 실제 사용 시에서의 화상 형성 장치의 성능을 시뮬레이션할 수 있다. 또한, 화상 형성 장치를 구입한 후일지라도, 사용자는 증설 메모리의 용량이나 인쇄에서의 선택 메뉴 항목 등을 현재 사용 중인 화상 형성 장치의 것과는 변경시켜 화상 형성의 시뮬레이션을 실행함으로써, 하드웨어의 증설이나 설정 정보의 변경에 의해 생기는 화상 형성 처리의 처리 시간 변화를 실제로 화상 형성 장치를 사용하여 시행(試行)하지 않고 알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실시예에 의해 실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설명에서는, 사용자는 시뮬레이션 장치(10)와는 다른 사용자 단말(20)에 대하여 지시 조작을 행하거나 시뮬레이션 결과의 확인을 행하는 것으로 했지만, 시뮬레이션 장치(10)가 실행하는 기능과 사용자 단말(20)이 실행하는 기능은 1대의 컴퓨터 상에서 실현될 수도 있다. 또는, 시뮬레이션 장치(10)가 실행하는 기능은 복수의 컴퓨터가 협동함으로써 실현하는 것으로 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 시뮬레이션 장치는, 사용자 단말(20)에 표시시키는 웹 페이지의 출력 및 사용자 단말(20)로부터 송신되는 정보의 수신을 실행하는 프런트 엔드(front end) 서버와 화상 형성 장치가 실행하는 처리의 시뮬레이션을 실행하는 백 엔드(back end) 서버로 이루어지는 것일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의 실제 사용 시에서의 화상 형성 장치의 성능을 시뮬레이션할 수 있는 화상 형성 장치 시뮬레이션 장치, 화상 형성 장치 시뮬레이션 방법 및 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6)

  1. 사용자 단말로부터 시뮬레이션 대상으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화상 형성 장치가 실행하는 처리의 시뮬레이션을 실행하는 화상 형성 장치 시뮬레이션 장치로서,
    상기 화상 형성 장치에 의한 형성 대상으로 되는 대상 화상의 정보를 포함한 화상 형성 명령을 취득하는 화상 형성 명령 취득 수단과,
    상기 화상 형성 명령에 의거하여, 상기 화상 형성 장치가 상기 대상 화상을 기록 매체에 형성하는 화상 형성 처리의 시뮬레이션을 실행하는 시뮬레이션 수단과,
    상기 시뮬레이션에 필요한 처리 시간에 의거하여, 상기 화상 형성 장치가 상기 화상 형성 처리에 필요할 것으로 예측되는 예측 시간을 산출(算出)하여 출력하는 예측 시간 산출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시뮬레이션 수단은 복수의 화상 형성 장치 각각에 대해서 상기 화상 형성 처리의 시뮬레이션을 실행하고,
    상기 복수의 화상 형성 장치 각각에 대해서 상기 산출한 예측 시간에 의거한 소요 시간으로 화상 형성의 과정을 나타내는 시뮬레이션 동화상을 생성하는 동화상 생성 수단과,
    상기 생성한 복수의 시뮬레이션 동화상을 동시에 재생 개시하도록 표시 수단에 표시시키는 동화상 재생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시뮬레이션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형성 장치가 구비할 것으로 상정(想定)되는 메모리의 용량에 관한 메모리 용량 정보를 취득하는 메모리 용량 정보 취득 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시뮬레이션 수단은 상기 취득한 메모리 용량 정보에 의거하여 결정되는 용량의 메모리 영역을 확보하고, 상기 확보한 메모리 영역을 사용하여 상기 시뮬레이션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시뮬레이션 장치.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예측 시간 산출 수단은 상기 예측 시간 중 기록 매체의 출력을 개시하는 출력 개시 타이밍까지 필요할 것으로 예측되는 예측 출력 대기 시간과, 상기 출력 개시 타이밍으로부터 상기 화상 형성 처리가 완료될 때까지 필요할 것으로 예측되는 예측 매체 출력 시간을 각각 산출하고,
    상기 동화상 생성 수단은 상기 산출한 예측 매체 출력 시간에 의거한 소요 시간의 시뮬레이션 동화상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시뮬레이션 장치.
  5. 삭제
  6. 삭제
KR1020060111593A 2006-02-13 2006-11-13 화상 형성 장치 시뮬레이션 장치, 화상 형성 장치 시뮬레이션 방법 및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KR10086352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034959A JP4821354B2 (ja) 2006-02-13 2006-02-13 画像形成装置シミュレーション装置、画像形成装置シミュレーション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JP-P-2006-00034959 2006-02-1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81739A KR20070081739A (ko) 2007-08-17
KR100863528B1 true KR100863528B1 (ko) 2008-10-15

Family

ID=384930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11593A KR100863528B1 (ko) 2006-02-13 2006-11-13 화상 형성 장치 시뮬레이션 장치, 화상 형성 장치 시뮬레이션 방법 및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640147B2 (ko)
JP (1) JP4821354B2 (ko)
KR (1) KR100863528B1 (ko)
CN (1) CN101021835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923602B2 (ja) * 2006-02-10 2012-04-25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形成処理シミュレーション装置及び画像形成処理シミュレーション方法
JP4605077B2 (ja) * 2006-04-05 2011-01-05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シミュレーションシステム、シミュレーション装置、コンピュータ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070202473A1 (en) * 2006-02-28 2007-08-30 Fuji Xerox Co., Ltd. Simulation system, simulation apparatus, image forming apparatus, simulation method and program
JP4572862B2 (ja) * 2006-04-05 2010-11-04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シミュレーション装置、画像形成装置シミュレーション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5173614B2 (ja) * 2008-06-06 2013-04-03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2113620A (ja) * 2010-11-26 2012-06-14 Konica Minolta Business Technologies Inc レイアウト支援装置
GB2495293B (en) * 2011-10-04 2014-12-17 Canon Europa Nv A method of connecting a device to a network, a system, and a program
JP2015122010A (ja) * 2013-12-25 2015-07-02 株式会社リコー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EP3001304A1 (en) * 2014-09-26 2016-03-30 OCE-Technologies B.V. User interface for a document processing system
JP6582847B2 (ja) * 2015-10-07 2019-10-02 株式会社リコー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904075B2 (ja) * 2017-06-08 2021-07-14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状態予測装置、状態予測方法および状態予測プログラム
JP7230656B2 (ja) * 2019-04-11 2023-03-01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仕上がりイメージ表示方法、及びプログラム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13803A (ja) * 1999-10-19 2001-04-24 Canon Inc 印刷制御装置および方法
KR20040077374A (ko) * 2003-02-28 2004-09-04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의 인쇄속도 측정방법
KR20050063348A (ko) * 2003-12-22 2005-06-28 삼성전자주식회사 프린팅 진행상태를 표시할 수 있는 네트워크 프린터 및 그방법
KR20050077868A (ko) * 2004-01-28 2005-08-04 주식회사 롯데캐논 화상형성장치의 인쇄 데이터 관리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259055A (ja) * 1991-02-14 1992-09-14 Fujitsu Ltd シミュレーション装置
JPH05211561A (ja) * 1991-11-19 1993-08-20 Nec Corp 通信性能シミュレーションシステム
JP3017605B2 (ja) * 1992-06-19 2000-03-13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リンタ制御方法およびその制御システム
US5802341A (en) * 1993-12-13 1998-09-01 Cray Research, Inc. Method for the dynamic allocation of page sizes in virtual memory
JPH08331287A (ja) 1995-06-02 1996-12-13 Canon Inc シミュレーションシステム
US6538764B2 (en) * 1996-04-12 2003-03-25 Canon Kabushiki Kaisha Print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data processing method for use in such an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storing computer-readable program
JP2830838B2 (ja) * 1996-05-30 1998-12-02 日本電気株式会社 回路分割方法および装置
JPH1023271A (ja) * 1996-07-05 1998-01-23 Canon Inc 画像形成方法とその装置
JP3287787B2 (ja) * 1997-06-03 2002-06-04 キヤノン株式会社 出力制御方法及び装置
JPH1124546A (ja) 1997-07-09 1999-01-29 Kubota Corp 模擬画像表示方法
US6701420B1 (en) * 1999-02-01 2004-03-02 Hewlett-Packard Company Memory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for allocating and reusing memory
US6462833B1 (en) * 1999-02-25 2002-10-08 Hewlett-Packard Company Image processor with conditional bit map store
JP2001134152A (ja) * 1999-11-01 2001-05-18 Fujitsu Ltd 画像形成装置
JP2001166898A (ja) * 1999-12-06 2001-06-22 Canon Inc 画像印刷装置、画像印刷システム、画像データ処理方法および記憶媒体
JP2002123383A (ja) 2000-10-17 2002-04-26 Canon Inc 周辺機器のアフターサービス支援方法、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及びネットワークサーバ
AUPR192700A0 (en) * 2000-12-06 2001-01-04 Canon Kabushiki Kaisha Storing coding image data in storage of fixed memory size
JP2002278725A (ja) * 2001-03-16 2002-09-27 Ricoh Co Ltd プリンタドライバ
JP2003036159A (ja) 2001-05-15 2003-02-07 Fuji Xerox Co Ltd 印刷処理方法および装置、印刷指示方法および装置、印刷制御方法および装置
US20040136020A1 (en) * 2002-10-31 2004-07-15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processing appartus and method
CN1771736A (zh) 2003-04-04 2006-05-10 皇家飞利浦电子股份有限公司 视频编码、解码方法和相应设备
US7146455B2 (en) 2003-05-19 2006-12-05 Accton Technology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optimized access to memory devices requiring block writing
JP4622277B2 (ja) * 2004-03-19 2011-02-02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周辺機器ドライバインストール装置、周辺機器、周辺機器ドライバインストールシステムおよび周辺機器ドライバインストール方法
JP2005310068A (ja) * 2004-04-26 2005-11-04 Noritsu Koki Co Ltd 白目補正方法及びこの方法を実施する装置
JP4923602B2 (ja) 2006-02-10 2012-04-25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形成処理シミュレーション装置及び画像形成処理シミュレーション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13803A (ja) * 1999-10-19 2001-04-24 Canon Inc 印刷制御装置および方法
KR20040077374A (ko) * 2003-02-28 2004-09-04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의 인쇄속도 측정방법
KR20050063348A (ko) * 2003-12-22 2005-06-28 삼성전자주식회사 프린팅 진행상태를 표시할 수 있는 네트워크 프린터 및 그방법
KR20050077868A (ko) * 2004-01-28 2005-08-04 주식회사 롯데캐논 화상형성장치의 인쇄 데이터 관리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021835A (zh) 2007-08-22
JP2007215083A (ja) 2007-08-23
KR20070081739A (ko) 2007-08-17
US7640147B2 (en) 2009-12-29
US20070225957A1 (en) 2007-09-27
JP4821354B2 (ja) 2011-1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63528B1 (ko) 화상 형성 장치 시뮬레이션 장치, 화상 형성 장치 시뮬레이션 방법 및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US7493056B2 (en) Image-forming-apparatus simulation apparatus, image forming apparatus simulation method, and program
US7898696B2 (en) Print job aesthetics enhancements detection and modeling through combined user activity analysis and content matching
US20070202473A1 (en) Simulation system, simulation apparatus, image forming apparatus, simulation method and program
EP2650775B1 (en) Display processing apparatus, display processing system, display processing method, and computer program
JP5622805B2 (ja) 色調整装置、色調整方法、及び、色調整プログラム
JP2020098453A (ja) 学習装置、印刷制御装置及び学習済モデル
CN107066211B (zh) 信息处理装置和信息处理方法
US8335013B2 (en) System and method for color printer calibration employing measurement success feedback
CN102248816B (zh) 印刷装置
KR100844900B1 (ko) 화상 형성 장치 시뮬레이션 장치, 화상 형성 장치 시뮬레이션 방법 및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EP3037952B1 (en) Print control device
US7428066B2 (en) Printing apparatus and method for verifying a printer controller
US20140098405A1 (en) Printing instruction apparatus, printing apparatus, and printing instruction method
JPH08328789A (ja) 印刷装置並びに情報処理装置並びに印刷システムおよび印刷システムの画像処理方法
JP7424860B2 (ja) Ripシミュレーション装置およびripシミュレーションプログラム
US20230315364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recording medium, an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JP2006196945A (ja) 制御装置、画像形成装置、制御方法、画像形成方法、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JP3962597B2 (ja) プリンタエミュレート装置、プリンタエミュレート方法、記憶媒体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7233536A (ja) 画像形成装置シミュレーション装置、画像形成装置シミュレーション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6180388A (ja) 画像処理装置およびそのモノクロ・カラー判定方法
JP2024033661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情報処理システム
JP2000020275A (ja) プリンタ
JP4667991B2 (ja) デバイス評価方法
JP2003157165A (ja) コントローラ部動作検証装置、コントローラ部動作検証方法、記憶媒体、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1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