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61562B1 - 접이식 건설중장비용 핸드레일 - Google Patents

접이식 건설중장비용 핸드레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61562B1
KR100861562B1 KR1020060116896A KR20060116896A KR100861562B1 KR 100861562 B1 KR100861562 B1 KR 100861562B1 KR 1020060116896 A KR1020060116896 A KR 1020060116896A KR 20060116896 A KR20060116896 A KR 20060116896A KR 100861562 B1 KR100861562 B1 KR 1008615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rail
section
construction equipment
folding
equip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168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47045A (ko
Inventor
강현석
Original Assignee
볼보 컨스트럭션 이키프먼트 홀딩 스웨덴 에이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볼보 컨스트럭션 이키프먼트 홀딩 스웨덴 에이비 filed Critical 볼보 컨스트럭션 이키프먼트 홀딩 스웨덴 에이비
Priority to KR10200601168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61562B1/ko
Priority to US11/823,093 priority patent/US20080122211A1/en
Priority to EP07013185A priority patent/EP1936043B1/en
Priority to CNA2007101370218A priority patent/CN101187213A/zh
Priority to JP2007284672A priority patent/JP5363718B2/ja
Publication of KR200800470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470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15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15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16Cabins, platforms, or the like, for drive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3/00Arrangements of steps or ladders facilitating access to or on the vehicle, e.g. running-boards
    • B60R3/005Catwalks, running boards for vehicle tops, access means for vehicle tops; Handrail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08Superstructures; Supports for superstructures
    • E02F9/0833Improving access, e.g. for maintenance, steps for improving driver's access, handrail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4Safety devices, e.g. for preventing overloa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eps, Ramps, And Handrails (AREA)
  • Component Parts Of Construction Machine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설중장비에 장착되는 핸드레일에 관한 것이다. 더욱 자세하게는 본 발명은 굴삭기 등과 같은 건설 중장비의 측면부에 소정 길이의 양단부가 견고하게 고정된 핸드레일에 있어서, 상기 측면부의 전단에 한쪽 끝단이 고정된 제 1 섹션부와; 상기 측면부의 상부면에 세워져 한쪽 끝단이 고정된 제 2 섹션부와; 양끝단이 각각 상기 제 1 섹션부 및 제 2 섹션부 각각의 다른 한쪽 끝단에 대해 접혀지도록 체결된 제 3 섹션부;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건설중장비용 핸드레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을 통해 새롭게 제안되는 접이식 건설중장비용 핸드레일을 적용하면 건설중장비의 작업중에 핸드레일 자체에 전달되는 과도한 진동하중을 줄일 수 있어 핸드레일의 진동 내구성능 향상과 작업자의 안전확보라는 다양한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건설중장비, 접이식, 핸드레일, 진동, 진동내구성, 조인트

Description

접이식 건설중장비용 핸드레일{Folder type handrail for construction equipment}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건설중장비에 장착된 핸드레일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설중장비에 장착된 핸드레일의 사용상태도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건설중장비용 핸드레일 구성요소의 연결상태와 지지되는 방법을 나타낸 부분확대도이다.
*도면중 주요 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10 : 상부본체 12 : 지지수단
20 : 핸드레일 21 : 제 1 섹션부
22 : 제 2 섹션부 23 : 제 3 섹션부
31 : 90도 각도 조인트 32 : 유니버설조인트
본 발명은 건설중장비용 부품들 중 핸드레일과 같이 과도한 진동을 받는 구조물의 진동저감에 관한 것이다. 건설중장비는 그 작업 특성상 큰 작업하중과 과도한 진동하중이 작용하는 장소에서 사용된다. 그러므로 건설중장비 작업 중 작업장치, 엔진 등으로부터 발생된 여러 작업하중이 장비 전체에 전달되어 각 부품들은 큰 하중을 받게된다.
특히, 과다한 진동하중을 받는 건설중장비의 부품들은 사용중에 진동하중에 의한 피로현상 때문에 파손되는 경우가 자주 발생한다. 그러므로 건설중장비 부품을 설계할 때 가장 우선적으로 고려해야 할 인자 중의 한가지가 진동하중에 대한 높은 내구성능을 확보하는 것이다.
이러한 건설중장비용 부품들 중 핸드레일과 같은 구조물은 건설중장비 운전자 및 작업자에게 직접적으로 안전을 제공해주는 장치이므로 이러한 부품들은 반드시 충분한 내구성능을 갖추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특히 굴삭기 핸드레일은 굴삭기 상부본체에 직결된 형태로 설치되어 있다. 작업도중에 주유를 한다든지 정비 및 유지보수를 할 경우 작업자는 핸드레일을 이용하여 굴삭기 상부본체에 올라가서 작업을 수행한다. 이 때 핸드레일은 작업자의 낙하사고를 방지해주는 안전장치 역할을 한다. 이러한 안전을 위한 높이 및 하중에 대한 규정은 ISO/FDIS2867(핸드레일 하중 및 높이규제)에 잘 나타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건설중장비, 특히 굴삭기에 장착된 핸드레일의 형상을 부분확대하여 도시한 것으로서, 보통의 경우 핸드레일(20)은 굴삭기 상부본 체(10)의 전방 측면부(11)에 세워진 형태로 제작되어있다. 그래서 굴삭기가 작업을 수행하고 있을 때 많은 진동하중이 핸드레일(20)로 전달이 된다. 따라서 핸드레일(20)은 진동하중에 의한 피로를 받아 가장 취약한 부분이 파손되는 경우가 많다. 즉, 종래의 핸드레일(20)은 건설중장비 작업중에 과도한 작업하중을 그대로 받는 구조이다.
특히 건설중장비 작업장치로부터 측면부(21)의 고정된 핸드레일(20)의 양단 고정부위(20a)에 진동하중이 전달되면 상기 형태의 핸드레일(20)은 하중의 주파수에 따라 운동을 하게 된다. 이러한 현상이 지속되면 핸드레일(20) 자체의 진동이 점점 더 증폭되어 핸드레일(20) 고정부위(20a)는 진동하중을 그대로 받게 되어 파손의 위험이 커지게 되는 문제점을 갖게 된다.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건설중장비의 작업중에 핸드레일에 전달되는 진동하중의 영향을 줄일 수 있는 구조의 핸드레일을 구성하여 작업중 진동하중에 대한 보다 높은 진동내구성능을 가진 개선된 구조의 핸드레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은 굴삭기 등과 같은 건설 중장비의 측면부에 소정 길이의 양단부가 견고하게 고정된 핸드레일에 있어서, 상기 측면부의 전단에 한쪽 끝단이 고정 된 제 1 섹션부와; 상기 측면부의 후단에 한쪽 끝단이 고정된 제 2 섹션부와; 양끝단이 각각 상기 제 1 섹션부 및 제 2 섹션부 각각의 다른 한쪽 끝단에 대해 접혀지도록 체결된 제 3 섹션부;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건설중장비용 핸드레일에 의해서 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제 3 섹션부를 접혀진 상태에서 지지하기 위해 상기 상부본체 전방 측면부에 하나 이상의 다수의 지점으로 구성될 수 있는 지지수단을 더 구성한다. 상기 지지수단은 상기 제 3 섹션부가 끼워져서 고정되는 걸쇠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걸쇠는 적당한 탄성과 감쇠의 성질을 가진 연질재질로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제 1 섹션부와 상기 제 3 섹션부의 체결은 유니버설 조인트를 사용하여, 상기 제 1 섹션부에 대해 제 3 섹션부가 방향에 자유롭게 작동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 2 섹션부와 제 3 섹션부의 체결은 90도 각도로 회전하는 조인트를 사용하여, 상기 제 2 섹션부에 대해서 제 3 섹션부가 90도 각도에서 접혀질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굴삭기에 장착된 핸드레일의 사용상태도를 나타낸다. 다만 본 발명은 실시예인 굴삭기에 한정되지 않고, 핸드레일이 사용되는 건설중장비에 적용가능함은 당업자의 입장에서 자명한 것이다.
도 2에서 굴삭기의 상부본체(10)의 측면부(11)에 소정 길이의 양단부가 견고하게 고정된 핸드레일(20)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핸드레일은 상기 측면부(11)의 전단에 한쪽 끝단이 고정된 제 1 섹션부(21)와 상기 측면부(11)의 상부면에 세워져서 한쪽 끝단이 고정된 제 2 섹션부(22)와, 양단이 상기 제 1 섹션부(21) 및 제 2 섹션부(22)에 각각 조인트 결합되는 제 3 섹션부(23)가 접이 형태로 구성된다.
도 2의 하부의 좌,우측 도면은 핸드레일(20)을 접은 상태 즉, 접이 형태를 나타내는데, 자세하게는 상기 제 3 섹션부(23)가 상기 제 1 섹션부(21) 및 제 2 섹션부(22)에 대해서 회전하면서 접혀지도록 구성된다. 상기의 제 3 섹션부(23)를 접혀진 상태에서 고정하기 위한 지지수단(12)이 상기 상부본체(10)의 측면부(11)에 구성된다.
즉,접이형태의 핸드레일(20)은 제 1 섹션부(21)와 제 2섹션부(22)의 각각에 대해 상기 제 3 섹션부(23)가 접힘 가능하게 체결될 수 있는 구조에 의해서 가능하며, 결과적으로는 핸드레일(20)은 접히게 되고, 접히는 방향으로 지지수단(12)이 제 3 섹션부(23)를 고정하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핸드레일의 구성요소의 연결부와 지지수단을 나타낸 부분확대도로서, 도면상에서 A 및 B는 조인트 연결부를 의미한다.
A의 경우에 상기 제 2 섹션부(22)와 제 3 섹션부(23)의 조인트 결합은 한 방 향으로 90도 각도로 회전하는 90도 각도 조인트(31)를 사용하여 상기 제 2 섹션부(22)에 대해서 제 3 섹션부(23)가 90도 각도에서 접혀질 수 있도록 구성하고, B의 경우에 상기 제 1 섹션부(21)와 상기 제 3 섹션부(23)는 방향에 자유로운 유니버설 조인트(32)를 사용하면 도면과 같이 접이식 핸드레일(20)을 구성할 수 있다.
도면에서 C는 제 3 섹션부(23)의 접힌 상태를 지지하는 지지수단(12)을 나타낸다. 경우에 따라서 이 지지수단은 하나의 지점 및 다수의 지점으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지지수단(12)은 걸쇠와 같은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제 3 섹션부(23)를 상기 걸쇠에 알맞게 끼워서 걸어놓도록 설계할 수 있다. 상기 걸쇠는 적당한 탄성과 감쇠성질이 있어야 하고 장착 및 착탈이 용이하도록 고무재질과 같이 비교적 연질이면서도 진동에 대한 감수성과 내구성이 좋은 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접이식 핸드레일(20)의 제 3 섹션부(23)를 지지수단(12)에 의해 추가하여 잡아주게 되면, 핸드레일(20) 자체가 양단 지지에서 다단 지지로 되기 때문에 핸드레일(20) 자체의 안정성이 크게 향상된다.
또한, 접이식 핸드레일(20)의 제 3 섹션부(23)를 지지수단(12)에 끼워 넣게 되면 지지수단(12)이 가지고 있는 탄성과 감쇠성능 때문에 핸드레일(20) 자체에 발생하는 진동을 크게 줄일 수 있다. 또한, 작업 중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드레일(20) 자체를 상부본체(10)에 눕힌 형태와 같이 상부본체에 근접시켜 상기 걸쇠와 같은 고정구에 끼워 넣게 되면 이는 공학적으로 볼 때 긴 구조물의 중간중간에 감쇠기를 설치한 경우와 동일한 효과를 나타낸다고 할 수 있다. 즉, 접이식 핸드레일은 구조물 중간에 하중의 불연속구간이 생기므로 핸드레일의 고정부에서 발생한 진 동하중이 핸드레일 전체에 전달이 되지 않는다. 또한 건설중장비의 작업중에는 핸드레일의 제 3섹션부(23)를 접혀진 상태로 고정하게 되면 진동하중 자체를 크게 줄일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 건설중장비의 작업 중에 핸드레일에 걸리는 진동하중을 크게 줄일 수 있게 되어 진동하중에 대한 핸드레일의 내구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는 동시에 또한 운전자에게는 다시 한번 더 안전에 대한 경각심을 고취시킬 수 있어 건설중장비 운전자 및 작업자에게 안전한 환경을 제공해주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여러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접이식 건설중장비용 핸드레일에 의하여 건설중장비 상부본체에서 실시할 작업이 있는 경우에는 핸드레일을 펼친 후 이 핸드레일을 이용하여 상부본체로 올라가서 다양한 작업을 할 수 있고, 상부에서 작업을 마친 후에는 핸드레일을 다시 접어놓을 수 있다. 이와 같이 작업자에게는 안전의식을 재확인시키는 동시에 실제 작업시에는 핸드레일에 전달되는 과다한 진동하중을 줄일 수 있어 작업자의 안전확보 및 진동 내구성 향상이라는 일석이조의 효과가 있다.

Claims (7)

  1. 굴삭기 등과 같은 건설중장비의 측면부에 소정 길이의 양단부가 견고하게 고정된 핸드레일에 있어서,
    상기 측면부의 전단에 한쪽 끝단이 고정된 제 1 섹션부, 상기 측면부의 상부면에 세워져 한쪽 끝단이 고정된 제 2 섹션부;
    양끝단이 각각 상기 제 1 섹션부 및 제 2 섹션부 각각의 다른 한쪽 끝단에 대해 접혀지도록 체결된 제 3 섹션부; 및
    상기 제 3 섹션부를 접혀진 상태로 고정하기 위해 상기 측면부에 형성된 지지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건설중장비용 핸드레일.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수단은 상기 측면부에 다수의 지점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건설중장비용 핸드레일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수단은 상기 제 3 섹션부가 끼워져서 고정되는 걸쇠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건설중장비용 핸드레일..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걸쇠는 탄성과 감쇠성질을 가진 연질이면서 내구성이 높은 재질로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건설중장비용 핸드레일.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섹션부와 상기 제 3 섹션부의 체결은 유니버설 조인트를 사용하여, 상기 제 1 섹션부에 대해 제 3 섹션부가 방향에 자유롭게 작동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건설중장비용 핸드레일.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섹션부와 제 3 섹션부의 체결은 90도 각도로 회전하는 조인트를 사용하여, 상기 제 2 섹션부에 대해서 제 3 섹션부가 90도 각도에서 접혀질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건설중장비용 핸드레일.
KR1020060116896A 2006-11-24 2006-11-24 접이식 건설중장비용 핸드레일 KR1008615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6896A KR100861562B1 (ko) 2006-11-24 2006-11-24 접이식 건설중장비용 핸드레일
US11/823,093 US20080122211A1 (en) 2006-11-24 2007-06-26 Foldable handrail for heavy construction equipment
EP07013185A EP1936043B1 (en) 2006-11-24 2007-07-05 Foldable handrail for heavy construction equipment
CNA2007101370218A CN101187213A (zh) 2006-11-24 2007-07-19 用于重型施工设备的可折叠扶手
JP2007284672A JP5363718B2 (ja) 2006-11-24 2007-11-01 折曲式建設装備用ハンドレール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6896A KR100861562B1 (ko) 2006-11-24 2006-11-24 접이식 건설중장비용 핸드레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47045A KR20080047045A (ko) 2008-05-28
KR100861562B1 true KR100861562B1 (ko) 2008-10-02

Family

ID=385125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16896A KR100861562B1 (ko) 2006-11-24 2006-11-24 접이식 건설중장비용 핸드레일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080122211A1 (ko)
EP (1) EP1936043B1 (ko)
JP (1) JP5363718B2 (ko)
KR (1) KR100861562B1 (ko)
CN (1) CN101187213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8340B1 (ko) 2009-02-06 2011-10-31 볼보 컨스트럭션 이큅먼트 에이비 굴삭기의 핸드레일
KR101225928B1 (ko) 2009-09-08 2013-01-24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전송 파워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1871506B1 (ko) 2011-12-02 2018-06-28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클램프를 이용한 핸드레일 고정유닛
JP5824414B2 (ja) * 2012-05-28 2015-11-25 日立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
JP6002616B2 (ja) * 2013-04-03 2016-10-05 日立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用手摺り
US20160326717A1 (en) 2014-01-16 2016-11-10 Volvo Construction Equipment Ab Handrail for construction equipment
US9487145B2 (en) 2014-04-15 2016-11-08 Caterpillar Underground Mining Pty. Ltd. Handrail locking mechanism
US9481307B2 (en) 2014-04-15 2016-11-01 Caterpillar Undergroud Mining Pty. Ltd. Handrail locking mechanism
US9233646B2 (en) 2014-04-15 2016-01-12 Caterpillar Inc. Handrail locking mechanism
AU2014100667B4 (en) * 2014-06-18 2016-11-24 Bend-Tech Investments 1 Pty Ltd Handrail Hinge
US9677249B2 (en) * 2015-02-19 2017-06-13 Komatsu Ltd. Work vehicle with stowable user support member
JP6576659B2 (ja) * 2015-03-20 2019-09-18 住友建機株式会社 小旋回型ショベル
GB2548793A (en) * 2016-03-02 2017-10-04 Mcfarlane Brinsley Safety rail
JP6567453B2 (ja) * 2016-03-28 2019-08-28 日立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
AU2019203354A1 (en) * 2019-05-14 2020-12-03 Caterpillar Underground Mining Pty Ltd Foldable guardrail assembly for selectively facilitating access to a machine component
DE202020106371U1 (de) * 2020-11-06 2022-02-11 Liebherr-Werk Nenzing Gmbh Mobilkran mit klappbarer Begehung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25459A (ja) * 1995-11-02 1997-05-13 Shin Caterpillar Mitsubishi Ltd 建設機械のハンドレール
JPH09242122A (ja) * 1996-03-12 1997-09-16 Hitachi Constr Mach Co Ltd 建設機械の手すり
KR20030083302A (ko) * 2002-04-20 2003-10-30 볼보 컨스트럭션 이키프먼트 홀딩 스웨덴 에이비 굴삭기 핸드레일
JP2005194777A (ja) 2004-01-07 2005-07-21 Sumitomo (Shi) Construction Machinery Manufacturing Co Ltd 建設機械のハンドレール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93055A (en) * 1980-02-21 1981-10-06 Hooser Oneida O Retractable safety handle means for a ladder
US4936407A (en) * 1987-04-06 1990-06-26 Safewalk Railings Limited Safety rail for vehicle catwalks
US4920592A (en) * 1988-06-13 1990-05-01 Scott Robert S Combination hood support, jack crank, lug wrench and wheel cover removal apparatus
US4976455A (en) * 1988-11-21 1990-12-11 Stromberg-Carlson Products, Inc. Handrail
US5076547A (en) * 1989-12-22 1991-12-31 Osterholm Charles D Apparatus and method for collapsible handrail
US5921531A (en) * 1997-03-19 1999-07-13 Early; Stephen R. Retractable handrail for railroad cars
CA2206721A1 (en) * 1997-06-03 1998-12-03 Mobilift Inc. Guardrail assembly
JPH11165982A (ja) * 1997-12-02 1999-06-22 Tadano Ltd 移動式クレーン
AUPP175098A0 (en) * 1998-02-10 1998-03-05 Justoy Pty Ltd Access device
JP3055209U (ja) * 1998-06-22 1999-01-12 ビーエス鉄工建設有限会社 車両の荷台の折畳可能な防護枠
JP4220051B2 (ja) * 1999-01-13 2009-02-04 株式会社タダノ 作業車の折り畳みガード
JP2003119825A (ja) * 2001-10-18 2003-04-23 Komatsu Ltd 建設機械の手すり
JP4033386B2 (ja) * 2002-07-09 2008-01-16 新キャタピラー三菱株式会社 建設機械におけるハンドレール構造
US7174993B2 (en) * 2003-03-06 2007-02-13 Lantz Thomas M Safety railing
US7128355B1 (en) * 2004-07-19 2006-10-31 Peter Christian Anderson Side access truck rack and system
JP2006036129A (ja) * 2004-07-29 2006-02-09 Sumitomo (Shi) Construction Machinery Manufacturing Co Ltd 建設機械のステップ装置
JP4116632B2 (ja) * 2005-04-06 2008-07-09 大東プレス工業株式会社 建設機械用サイドミラー支持装置
JP2006312847A (ja) * 2005-05-09 2006-11-16 Sumitomo (Shi) Construction Machinery Manufacturing Co Ltd 建設機械のハンドレール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25459A (ja) * 1995-11-02 1997-05-13 Shin Caterpillar Mitsubishi Ltd 建設機械のハンドレール
JPH09242122A (ja) * 1996-03-12 1997-09-16 Hitachi Constr Mach Co Ltd 建設機械の手すり
KR20030083302A (ko) * 2002-04-20 2003-10-30 볼보 컨스트럭션 이키프먼트 홀딩 스웨덴 에이비 굴삭기 핸드레일
JP2005194777A (ja) 2004-01-07 2005-07-21 Sumitomo (Shi) Construction Machinery Manufacturing Co Ltd 建設機械のハンドレール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363718B2 (ja) 2013-12-11
EP1936043A3 (en) 2010-02-10
CN101187213A (zh) 2008-05-28
EP1936043B1 (en) 2011-09-21
KR20080047045A (ko) 2008-05-28
JP2008144573A (ja) 2008-06-26
US20080122211A1 (en) 2008-05-29
EP1936043A2 (en) 2008-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61562B1 (ko) 접이식 건설중장비용 핸드레일
EP2980002B1 (en) A stabilization apparatus
DK31990A (da) Slaamaskine
KR200476532Y1 (ko) 보일러 노내 비계용 트러스 보강장치
US6170802B1 (en) Convertible lifting device
US9233646B2 (en) Handrail locking mechanism
US10119248B2 (en) Guardrail for construction equipment
KR100842428B1 (ko) 건설중장비 부품 진동저감장치
WO2015178511A1 (ko) 건설 중장비용 접이식 레일
HUT57867A (en) Structure for jointing attachments with form panels, compensating elements or similar cradling elements
JP2011236653A (ja) 作業機のフロントアタッチメント
JP6577376B2 (ja) ブリッジ
KR102611807B1 (ko) 안전사고 방지구조를 포함하는 양중작업도구
JP2008308897A (ja) 安全帯等の支持具
CN205344712U (zh) 用于机器的检修室
JP2011219965A (ja) 建設機械
KR101697772B1 (ko) 교량용 신축이음 장치
KR100437729B1 (ko) 항공기 동체 지지장치
KR200292650Y1 (ko) 휠로다 링케이지 연결부 보호 커버
CN211172166U (zh) 一种装载机的悬置装置
KR102509619B1 (ko) 안전로프 걸이대
KR101816153B1 (ko) 힌지구조를 포함하는 작업용 지그
KR20220105398A (ko) 사다리 전도방지장치
JP2001193374A (ja) 脚立用転倒防止具
KR20230076188A (ko) 옹벽용 사다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6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