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11807B1 - 안전사고 방지구조를 포함하는 양중작업도구 - Google Patents

안전사고 방지구조를 포함하는 양중작업도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11807B1
KR102611807B1 KR1020230019739A KR20230019739A KR102611807B1 KR 102611807 B1 KR102611807 B1 KR 102611807B1 KR 1020230019739 A KR1020230019739 A KR 1020230019739A KR 20230019739 A KR20230019739 A KR 20230019739A KR 102611807 B1 KR102611807 B1 KR 1026118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
extension
work tool
lifting work
side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197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필
Original Assignee
김종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필 filed Critical 김종필
Priority to KR10202300197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180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18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1807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3/00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13/04Auxiliary devices for controlling movements of suspended loads, or preventing cable slack
    • B66C13/08Auxiliary devices for controlling movements of suspended loads, or preventing cable slack for depositing loads in desired attitudes or pos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3/00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13/02Devices for facilitating retrieval of floating objects, e.g. for recovering crafts from wa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ad-Engaging Elements For Cranes (AREA)

Abstract

안전사고 방지구조를 포함하는 양중작업도구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양중작업도구는, 견인로프 또는 양중물을 당기는 부분과 밀어내는 부분을 일단부에 각각 소정 간격 이격시켜 장착한 헤드부; 상기 헤드부를 일단에 장착하고 타단 방향으로 소정 길이만큼 연장된 봉 구조의 연장본체부; 및 상기 연장본체부의 타단부에 장착되고, 작업자의 손에 파지될 수 있는 구조의 손잡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구성의 요지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양중작업 중 견인로프와 양중물에 의한 작업자의 안전사고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구성을 포함하는 양중작업도구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안전사고 방지구조를 포함하는 양중작업도구{Lifting Work Tool Having Safety Accident Prevention Structure}
본 발명은 양중작업도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양중작업 중 견인로프와 양중물에 의한 작업자의 안전사고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구성을 포함하는 양중작업도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설 현장에서는 카고 크레인, 굴삭기 등을 이용한 각종 자재들을 양중하는 작업을 실시한다.
카고 크레인 또는 굴삭기에 장착된 와이어로프에 견인되는 양중물을 원하는 위치에 정확히 안착시키기 위해서는 안착하고 하는 위치에 작업하는 작업자의 보조작업이 필요하다.
이때, 고중량의 양중물 및 와이어로프에 의해 안전사고가 발생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인해, 작업자는 고중량의 양중물 및 와이어로프에 의한 안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안전교육을 받게 된다.
그러나, 안전교육을 받은 작업자라 할지라도 건설 현장의 환경적인 요인으로 인해 예상치 못한 변수가 발생하여 안전사고가 발생될 수 있다.
이러한 안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도 1에 도시된 도구를 활용하고 있으나, 양중물을 단순히 당기는 동작만을 수행할 뿐 작업 효율 향상에 도움을 주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로 인해 작업자는 직접 손으로 고중량의 양중물을 잡아 보조작업을 실시하고 있으며, 고중량의 양중물을 원하는 장소에 내려높기 위한 노력으로 밀고 당기는 행위 중 작업자의 손이 끼이거나, 작업자가 추락하는 등의 안전사고가 발생되고 있다.
따라서, 상기 언급한 종래 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기술이 필요한 실정이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43155호 (공개일자: 2011년04월27일)
본 발명의 목적은, 양중작업 중 견인로프와 양중물에 의한 작업자의 안전사고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구성을 포함하는 양중작업도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양중작업도구는, 견인로프 또는 양중물을 당기는 부분과 밀어내는 부분을 일단부에 각각 소정 간격 이격시켜 장착한 헤드부; 상기 헤드부를 일단에 장착하고 타단 방향으로 소정 길이만큼 연장된 봉 구조의 연장본체부; 및 상기 연장본체부의 타단부에 장착되고, 작업자의 손에 파지될 수 있는 구조의 손잡이부;을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는, 상기 연장본체부의 일단부에 탈부착 가능한 구조로 결착되는 구조의 헤드탈착부; 상기 헤드탈착부와 일체형 구조로 전방으로 소정 길이만큼 연장된 헤드연장부; 상기 헤드연장부와 일체형 구조로 일단부로부터 측방으로 절곡되어 소정 길이만큼 연장된 구조의 제1견인부; 및 상기 헤드연장부와 일체형 구조로 일측으로부터 측방으로 절곡되어 소정 길이만큼 연장된 구조의 제2견인부;을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연장본체부는, 상기 연장본체부의 중앙부로부터 손잡이부에 이르는 부분에 장착되고, 연장본체부의 연장 길이를 변경하는 길이변경부;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길이변경부는, 상기 헤드부를 일단에 장착하고 타단 방향으로 소정 길이만큼 연장된 중공형 봉 구조이며, 타단부에 삽입구가 형성된 제1본체부; 상기 제2본체부의 삽입구에 소정 길이만큼 삽입되어 단축되거나 삽입구로부터 소정 길이만큼 토출되어 연장되는 봉 구조이고, 타단부에 손잡이부를 장착하는 제2본체부; 상기 제1본체부의 외주면에 연장 길이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 되어 다수 형성된 핀고정구; 및 상기 제2본체부의 일단부 외주면에 장착되고, 핀고정구에 결착될 수 있는 구조이며, 제2본체부 내부에 장착된 탄성부재에 의해 외부방향으로 소정 길이만큼 돌출된 구조의 누름핀;을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손잡이부의 일단부에 장착되고, 로프를 연결할 수 있는 구조의 로프연결부;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는, 상기 헤드탈착부에 힌지결속구조에 의해 장착되고, 정육면체구조이며, 전방면에 헤드연장부를 장착하는 헤드하우징부; 상기 헤드하우징부의 임의의 제1측벽 내부에 장착되고, 제1측벽 표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회전 구동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제1플라이휠; 상기 헤드하우징부의 제1측벽과 직교하는 또 다른 제2측벽 내부에 장착되고, 제2측벽 표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회전 구동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제2플라이휠; 상기 제1측벽 내부에 장착되고, 제1플라이휠의 회전축과 인접하여 장착되어 제1측벽의 회전 각도를 실시간으로 검출하여 제어부에 전달하는 제1검출부재; 상기 제2측벽 내부에 장착되고, 제2플라이휠의 회전축과 인접하여 장착되어 제2측벽의 회전 각도를 실시간으로 검출하여 제어부에 전달하는 제2검출부재; 상기 손잡이부 내부에 장착되고, 제1검출부재 및 제2검출부재로부터 획득한 데이터를 바탕으로 제1플라이휠과 제2플라이휠을 구동시켜 힌지결속구조를 기준으로 헤드하우징부의 결속 방향과 각도를 변경하여 헤드하우징부의 자세를 변경 및 유지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손잡이부에 장착되고, 작업자가 원하는 헤드하우징부의 방향과 각도를 설정하는 입력스위치;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는, 상기 헤드하우징부 내부에 장착되고, 헤드연장부의 연장 길이를 변경하는 제1가변부; 및 상기 헤드하우징부 내부에 장착되고, 헤드연장부의 연장 방향을 변경하는 제2가변부;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양중작업도구는, 상기 일단부에 손잡이부를 탈부착 가능한 구조로 장착하고, 지면설치부의 상부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소정 높이만큼 연장된 구조로 장착되며, 소정 크기의 탄성복원력과 강성을 가지는 소재로 구성된 파이프 구조의 지면결속부; 및 작업하고자 하는 지면상에 배치되고, 내부에 중량물을 수납하여 자중을 변경할 수 있는 구조이며, 상부면에 상방으로 소정 높이만큼 연장된 구조의 지면설치부;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양중작업도구는, 상기 헤드하우징부의 힌지결속구조와 인접하여 장착되고, 압축공기 제공부로부터 공급되는 압축공기에 의해 팽창하여 힌지결속구조 주위를 감싸는 형태로 팽창하여 헤드하우징부의 방향 변경을 제한하는 구조의 댐핑튜브; 및 상기 지면설치부에 장착되고,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의해 작동하여 댐핑튜브 내부에 압축공기를 주입하는 압축공기 제공부;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검출부재 및 제2검출부재로부터 획득한 데이터를 바탕으로 제1플라이휠과 제2플라이휠을 구동시켜 힌지결속구조를 기준으로 헤드하우징부의 결속 방향과 각도를 변경한 후, 압축공기 제공부를 작동하여 댐핑튜브를 팽창시켜 헤드하우징부의 결속 방향과 각도를 고정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양중작업도구에 따르면, 특정 구조의 헤드부, 연장본체부 및 손잡이부를 구비함으로써, 양중작업 중 견인로프와 양중물에 의한 작업자의 안전사고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구성을 포함하는 양중작업도구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양중작업도구에 따르면, 특정 구조의 헤드하우징부, 제1플라이휠, 제2플라이휠, 제1가변부, 제2가변부, 지면결속부 및 지면설치부를 구비함으로써, 양중작업 중 견인로프와 양중물에 접촉하는 헤드부의 방향과 각도를 작업자가 원하는 방향과 각도로 유지시킬 수 있어, 양중작업 편의성과 효율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작업 지면에 안정적으로 고정된 상태에서 작업할 수 있어 작업자가 추락하거나 양중작업도구가 이탈되는 안전사고 발생 위험성을 현저히 낮출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작업도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중작업도구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양중작업도구의 헤드부를 나타내는 부분확대도이다.
도 4는 도 2의 양중작업도구의 연장본체부를 나타내는 부분확대도이다.
도 5는 도 2의 양중작업도구의 손잡이부를 나타내는 부분확대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양중작업도구의 헤드부를 나타내는 부분확대도이다.
도 7은 도 6의 헤드부, 헤드탈착부, 힌지결속구조 및 댐핑튜브를 나타내는 부분확대 종단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A-A'선 절단면도이다.
도 9는 헤드부의 힌지결속구조를 기준으로 한 각도변경에 따라 댐핑튜브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확대 종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하우징부의 구조를 나타내는 투시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헤드하우징부의 각도 변경 및 각도 유지를 구현하는 제1플라이휠 및 댐핑튜브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의 제어흐름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2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중작업도구를 나타내는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양중작업도구(100)는, 특정 구조의 헤드부(110), 연장본체부(120) 및 손잡이부(130)를 구비함으로써, 양중작업 중 견인로프와 양중물에 의한 작업자의 안전사고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구성을 포함하는 양중작업도구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양중작업도구(100)를 구성하는 각 구성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에는 도 2의 양중작업도구의 헤드부를 나타내는 부분확대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4에는 도 2의 양중작업도구의 연장본체부를 나타내는 부분확대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5에는 도 2의 양중작업도구의 손잡이부를 나타내는 부분확대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양중작업도구(100)의 헤드부(110)는, 견인로프 또는 양중물을 당기는 부분과 밀어내는 부분을 일단부에 각각 소정 간격 이격시켜 장착한 구조이다.
구체적으로, 헤드부(1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정 구조의 헤드탈착부(111), 헤드연장부(112), 제1견인부(113) 및 제2견인부(114)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헤드부(110)의 헤드탈착부(111)는 연장본체부(120)의 일단부에 탈부착 가능한 구조로 결착되는 구조이다. 헤드부(110)의 헤드연장부(112)는 헤드탈착부(111)와 일체형 구조로 전방으로 소정 길이만큼 연장된 구조이다. 헤드부(110)의 제1견인부(113)는 헤드연장부(112)와 일체형 구조로 일단부로부터 측방으로 절곡되어 소정 길이만큼 연장된 구조이다. 또한, 헤드부(110)의 제2견인부(114)는 헤드연장부(112)와 일체형 구조로 일측으로부터 측방으로 절곡되어 소정 길이만큼 연장된 구조이다.
이때, 헤드부(110)의 제1견인부(113)는 단부로 갈수록 가늘어져 뾰족한 구조로서 견인하고자 하는 양중물의 틈새에 용이하게 걸 수 있는 구조임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다수의 철근을 견인 할 경우 철근들 틈 사이에 용이하게 진입하여 걸 수 있는 구조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연장본체부(120)는 헤드부(110)를 일단에 장착하는 구성으로서, 타단 방향으로 소정 길이만큼 연장된 봉 구조이다.
구체적으로, 연장본체부(12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장본체부(120)의 연장 이를 변경하는 길이변경부(120a)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변경부(120a)는 특정 구조의 제1본체부(121), 제2본체부(122), 핀고정구(123) 및 누름핀(124)을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길이변경부(120a)의 제1본체부(121)는 헤드부(110)를 일단에 장착하고 타단 방향으로 소정 길이만큼 연장된 중공형 봉 구조이며, 타단부에 삽입구가 형성된 구조이다. 길이변경부(120a)의 제2본체부(122)는 제2본체부(122)의 삽입구에 소정 길이만큼 삽입되어 단축되거나 삽입구로부터 소정 길이만큼 토출되어 연장되는 봉 구조이고, 타단부에 손잡이부(130)를 장착하는 구조이다. 길이변경부(120a)의 핀고정구(123)는 제1본체부(121)의 외주면에 연장 길이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 되어 다수 형성된 구조이다. 이때, 핀고정구(123)는 세 개 또는 네 개가 형성될 수 있으며, 연장본체부(120)의 전체 길이가 120cm일 경우 첫 번째 핀고정구(123)는 일단부로부터 60cm 지점에 위치하고 나머지 핀고정구(123)는 20 내지 30cm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핀고정구(123)를 과도하게 많이 형성할 경우 그 만큼 강도가 약해질 우려가 있으므로 핀고정구(123)는 연장본체부(120)의 전체 길이에 따라 적절히 조절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길이변경부(120a)의 누름핀(124)은 제2본체부(122)의 일단부 외주면에 장착되는 구성으로서, 핀고정구(123)에 결착될 수 있는 구조이며, 제2본체부(122) 내부에 장착된 탄성부재에 의해 외부방향으로 소정 길이만큼 돌출된 구조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손잡이부(130)는 연장본체부(120)의 타단부에 장착되는 구성으로서, 작업자의 손에 파지될 수 있는 구조이다.
구체적으로 손잡이부(13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정 구조의 로프연결부(131)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로프연결부(131)는 손잡이부(130)의 일단부에 장착되는 구성으로서, 로프를 연결할 수 있는 구조이다.
도 6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양중작업도구의 헤드부를 나타내는 부분확대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7에는 도 6의 헤드부, 헤드탈착부, 힌지결속구조 및 댐핑튜브를 나타내는 부분확대 종단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8에는 도 7의 A-A'선 절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9에는 헤드부의 힌지결속구조를 기준으로 한 각도변경에 따라 댐핑튜브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확대 종단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10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하우징부의 구조를 나타내는 투시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11에는 도 10에 도시된 헤드하우징부의 각도 변경 및 각도 유지를 구현하는 제1플라이휠 및 댐핑튜브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모식도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12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의 제어흐름을 나타내는 블록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헤드부(110)는 특정 구조의 헤드하우징부(141)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헤드하우징부(141)는 헤드탈착부(111)에 힌지결속구조(142)에 의해 장착되는 구성으로서, 정육면체구조이며, 전방면에 헤드연장부(112)를 장착하는 구조이다.
이때,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결속구조(142)와 인접하여 댐핑튜브(142a)가 일정 각도만큼 이격되어 연속적으로 다수 장착될 수 있다. 댐핑튜브(142a)는 압축공기 제공부(142b)로부터 공급되는 압축공기에 의해 팽창하여 힌지결속구조(142) 주위를 감싸는 형태로 팽창하여 헤드하우징부(141)의 방향 변경을 제한하는 구조이다. 상기 언급한 압축공기 제공부(142b)는 제어부(145)의 제어신호에 의해 작동하여 댐핑튜브(142a) 내부에 압축공기를 주입하는 구조이다.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헤드부(110)는 특정 구조의 헤드하우징부(141), 제1플라이휠(143a), 제2플라이휠(143b), 제1검출부재(144a), 제2검출부재(144b), 제어부(145) 및 입력스위치(146)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헤드부(110)의 제1플라이휠(143a)은 헤드하우징부(141)의 임의의 제1측벽(141a) 내부에 장착되는 구성으로서, 제1측벽(141a) 표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회전 구동 가능하도록 장착된다. 헤드부(110)의 제2플라이휠(143b)은 헤드하우징부(141)의 제1측벽(141a)과 직교하는 또 다른 제2측벽(141b) 내부에 장착되는 구성으로서, 제2측벽(141b) 표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회전 구동 가능하도록 장착된다.
헤드부(110)의 제1검출부재(144a)는 제1측벽(141a) 내부에 장착되는 구성으로서, 제1플라이휠(143a)의 회전축과 인접하여 장착되어 제1측벽(141a)의 회전 각도를 실시간으로 검출하여 제어부(145)에 전달할 수 있다. 헤드부(110)의 제2검출부재(144b)는 제2측벽(141b) 내부에 장착되는 구성으로서, 제2플라이휠(143b)의 회전축과 인접하여 장착되어 제2측벽(141b)의 회전 각도를 실시간으로 검출하여 제어부(145)에 전달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45)는 손잡이부(130) 내부에 장착되는 구성으로서, 제1검출부재(144a) 및 제2검출부재(144b)로부터 획득한 데이터를 바탕으로 제1플라이휠(143a)과 제2플라이휠(143b)을 구동시켜 힌지결속구조(142)를 기준으로 헤드하우징부(141)의 결속 방향과 각도를 변경하여 헤드하우징부(141)의 자세를 변경 및 유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입력스위치(146)는 손잡이부(130)에 장착되는 구성으로서, 작업자가 원하는 헤드하우징부(141)의 방향과 각도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45)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검출부재(144a) 및 제2검출부재(144b)로부터 획득한 데이터를 바탕으로 제1플라이휠(143a)과 제2플라이휠(143b)을 구동시켜 힌지결속구조(142)를 기준으로 헤드하우징부(141)의 결속 방향과 각도를 변경한 후, 압축공기 제공부(142b)를 작동하여 댐핑튜브(142a)를 팽창시켜 헤드하우징부(141)의 결속 방향과 각도를 고정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헤드부(110)는 특정 구조의 제1가변부(147a) 및 제2가변부(147b)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가변부(147a)는 헤드하우징부(141) 내부에 장착되고, 헤드연장부(112)의 연장 길이를 변경하는 구성이다. 또한, 제2가변부(147b)는 헤드하우징부(141) 내부에 장착되고, 헤드연장부(112)의 연장 방향을 변경하는 구성이다.
경우에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양중작업도구(100)는 특정 구조의 지면결속부 및 지면설치부를 더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지면결속부(도시하지 않음)는 일단부에 손잡이부(130)를 탈부착 가능한 구조로 장착하고, 지면설치부의 상부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소정 높이만큼 연장된 구조로 장착되며, 소정 크기의 탄성복원력과 강성을 가지는 소재로 구성된 파이프 구조이다. 또한, 지면설치부(도시하지 않음)는 작업하고자 하는 지면상에 배치되고, 내부에 중량물을 수납하여 자중을 변경할 수 있는 구조이며, 상부면에 상방으로 소정 높이만큼 연장된 구조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양중작업도구에 따르면, 특정 구조의 헤드부(110), 연장본체부(120) 및 손잡이부(130)를 구비함으로써, 양중작업 중 견인로프와 양중물에 의한 작업자의 안전사고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구성을 포함하는 양중작업도구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양중작업도구에 따르면, 특정 구조의 헤드하우징부(141), 제1플라이휠(143a), 제2플라이휠(143b), 제1가변부(147a), 제2가변부(147b), 지면결속부(148a) 및 지면설치부(148b)를 구비함으로써, 양중작업 중 견인로프와 양중물에 접촉하는 헤드부(110)의 방향과 각도를 작업자가 원하는 방향과 각도로 유지시킬 수 있어, 양중작업 편의성과 효율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작업 지면에 안정적으로 고정된 상태에서 작업할 수 있어 작업자가 추락하거나 양중작업도구가 이탈되는 안전사고 발생 위험성을 현저히 낮출 수 있다.
이상의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그에 따른 특별한 실시예에 대해서만 기술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은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즉,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 및 설명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며, 그와 같은 변형은 본 발명의 보호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0: 양중작업도구
110: 헤드부
111: 헤드탈착부
112: 헤드연장부
113: 제1견인부
114: 제2견인부
120: 연장본체부
120a: 길이변경부
121: 제1본체부
122: 제2본체부
123: 핀고정구
124: 누름핀
130: 손잡이부
131: 로프연결부
141: 헤드하우징부
141a: 제1측벽
141b: 제2측벽
142: 힌지결속구조
142a: 댐핑튜브
142b: 압축공기 제공부
143a: 제1플라이휠
143b: 제2플라이휠
144a: 제1검출부재
144b: 제2검출부재
145: 제어부
146: 입력스위치
147a: 제1가변부
147b: 제2가변부

Claims (8)

  1. 견인로프 또는 양중물을 당기는 부분과 밀어내는 부분을 일단부에 각각 소정 간격 이격시켜 장착한 헤드부(110);
    상기 헤드부(110)를 일단에 장착하고 타단 방향으로 소정 길이만큼 연장된 봉 구조의 연장본체부(120); 및
    상기 연장본체부(120)의 타단부에 장착되고, 작업자의 손에 파지될 수 있는 구조의 손잡이부(130);
    를 포함하고,
    상기 헤드부(110)는,
    상기 연장본체부(120)의 일단부에 탈부착 가능한 구조로 결착되는 원기둥 구조의 헤드탈착부(111);
    상기 헤드탈착부(111)와 일체형 구조로 전방으로 소정 길이만큼 연장된 헤드연장부(112);
    상기 헤드연장부(112)와 일체형 구조로 일단부로부터 측방으로 소정 길이만큼 연장되고, 헤드탈착부(111) 방향으로 곡선형태로 굴곡되며, 측방 연장 단부로 갈 수록 점차 단면적이 감소하는 구조의 제1견인부(113); 및
    상기 헤드연장부(112)와 일체형 구조로 일측면에 장착되고, 헤드탈착부(111)와 제1견인부(113)의 중앙부에 배치되며, 제1견인부(113)의 연장 방향과 정반대 방향으로 연장된 구조이고, 측방으로 일직선 형태로 소정 길이만큼 연장된 구조의 제2견인부(114);
    를 포함하고,
    상기 헤드부(110)는,
    상기 헤드탈착부(111)에 힌지결속구조(142)에 의해 장착되고, 정육면체구조이며, 전방면에 헤드연장부(112)를 장착하는 헤드하우징부(141);
    상기 헤드하우징부(141)의 임의의 제1측벽(141a) 내부에 장착되고, 제1측벽(141a) 표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회전 구동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제1플라이휠(143a);
    상기 헤드하우징부(141)의 제1측벽(141a)과 직교하는 또 다른 제2측벽(141b) 내부에 장착되고, 제2측벽(141b) 표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회전 구동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제2플라이휠(143b);
    상기 제1측벽(141a) 내부에 장착되고, 제1플라이휠(143a)의 회전축과 인접하여 장착되어 제1측벽(141a)의 회전 각도를 실시간으로 검출하여 제어부(145)에 전달하는 제1검출부재(144a);
    상기 제2측벽(141b) 내부에 장착되고, 제2플라이휠(143b)의 회전축과 인접하여 장착되어 제2측벽(141b)의 회전 각도를 실시간으로 검출하여 제어부(145)에 전달하는 제2검출부재(144b);
    상기 손잡이부(130) 내부에 장착되고, 제1검출부재(144a) 및 제2검출부재(144b)로부터 획득한 데이터를 바탕으로 제1플라이휠(143a)과 제2플라이휠(143b)을 구동시켜 힌지결속구조(142)를 기준으로 헤드하우징부(141)의 결속 방향과 각도를 변경하여 헤드하우징부(141)의 자세를 변경 및 유지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145); 및
    상기 손잡이부(130)에 장착되고, 작업자가 원하는 헤드하우징부(141)의 방향과 각도를 설정하는 입력스위치(146);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중작업도구.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본체부(120)는,
    상기 연장본체부(120)의 중앙부로부터 손잡이부(130)에 이르는 부분에 장착되고, 연장본체부(120)의 연장 길이를 변경하는 길이변경부(120a);
    를 포함하고,
    상기 길이변경부(120a)는,
    상기 헤드부(110)를 일단에 장착하고 타단 방향으로 소정 길이만큼 연장된 중공형 봉 구조이며, 타단부에 삽입구가 형성된 제1본체부(121);
    상기 제1본체부(121)의 삽입구에 소정 길이만큼 삽입되어 단축되거나 삽입구로부터 소정 길이만큼 토출되어 연장되는 봉 구조이고, 타단부에 손잡이부(130)를 장착하는 제2본체부(122);
    상기 제1본체부(121)의 외주면에 연장 길이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 되어 다수 형성된 핀고정구(123); 및
    상기 제2본체부(122)의 일단부 외주면에 장착되고, 핀고정구(123)에 결착될 수 있는 구조이며, 제2본체부(122) 내부에 장착된 탄성부재에 의해 외부방향으로 소정 길이만큼 돌출된 구조의 누름핀(124);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중작업도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130)는,
    상기 손잡이부(130)의 일단부에 장착되고, 로프를 연결할 수 있는 구조의 로프연결부(131);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중작업도구.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110)는,
    상기 헤드하우징부(141) 내부에 장착되고, 헤드연장부(112)의 연장 길이를 변경하는 제1가변부(147a); 및
    상기 헤드하우징부(141) 내부에 장착되고, 헤드연장부(112)의 연장 방향을 변경하는 제2가변부(147b);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중작업도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양중작업도구는,
    작업하고자 하는 지면상에 배치되고, 내부에 중량물을 수납하여 자중을 변경할 수 있는 구조이며, 상방으로 소정 높이만큼 연장된 구조의 지면설치부; 및
    상기 지면설치부의 상부면에 상방으로 소정 높이만큼 연장된 구조로 장착되고, 일단부에 손잡이부(130)를 탈부착 가능한 구조로 장착하며, 소정 크기의 탄성복원력과 강성을 가지는 소재로 구성된 파이프 구조의 지면결속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중작업도구.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양중작업도구는,
    상기 헤드하우징부(141)의 힌지결속구조(142)와 인접하여 장착되고, 압축공기 제공부(142b)로부터 공급되는 압축공기에 의해 팽창하여 힌지결속구조(142) 주위를 감싸는 형태로 팽창하여 헤드하우징부(141)의 방향 변경을 제한하는 구조의 댐핑튜브(142a); 및
    상기 지면설치부에 장착되고, 제어부(145)의 제어신호에 의해 작동하여 댐핑튜브(142a) 내부에 압축공기를 주입하는 압축공기 제공부(142b);
    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145)는,
    상기 제1검출부재(144a) 및 제2검출부재(144b)로부터 획득한 데이터를 바탕으로 제1플라이휠(143a)과 제2플라이휠(143b)을 구동시켜 힌지결속구조(142)를 기준으로 헤드하우징부(141)의 결속 방향과 각도를 변경한 후, 압축공기 제공부(142b)를 작동하여 댐핑튜브(142a)를 팽창시켜 헤드하우징부(141)의 결속 방향과 각도를 고정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중작업도구.
KR1020230019739A 2023-02-15 2023-02-15 안전사고 방지구조를 포함하는 양중작업도구 KR1026118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19739A KR102611807B1 (ko) 2023-02-15 2023-02-15 안전사고 방지구조를 포함하는 양중작업도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19739A KR102611807B1 (ko) 2023-02-15 2023-02-15 안전사고 방지구조를 포함하는 양중작업도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11807B1 true KR102611807B1 (ko) 2023-12-08

Family

ID=891666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19739A KR102611807B1 (ko) 2023-02-15 2023-02-15 안전사고 방지구조를 포함하는 양중작업도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11807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43155A (ko) 2009-10-21 2011-04-27 박성래 수상 인명구조용 신장식 갈고리
JP2018002396A (ja) * 2016-07-01 2018-01-11 東芝プラントシステム株式会社 玉掛け手鉤棒
KR20190076823A (ko) * 2017-12-22 2019-07-02 박영태 실외기 외부 설치용 기중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43155A (ko) 2009-10-21 2011-04-27 박성래 수상 인명구조용 신장식 갈고리
JP2018002396A (ja) * 2016-07-01 2018-01-11 東芝プラントシステム株式会社 玉掛け手鉤棒
KR20190076823A (ko) * 2017-12-22 2019-07-02 박영태 실외기 외부 설치용 기중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61562B1 (ko) 접이식 건설중장비용 핸드레일
US6792829B2 (en) Shingle lifting tool
KR102611807B1 (ko) 안전사고 방지구조를 포함하는 양중작업도구
US3044747A (en) Fluid-operated jack
US9233646B2 (en) Handrail locking mechanism
JP2010156123A (ja) 伸縮トラックフレーム
US5361999A (en) Crusher having a stationary jaw body and a movable jaw body
US3658384A (en) Detachable wrecking device
US4003475A (en) Crane boom lattice and hoist line protection assembly
US4805707A (en) Wrecking apparatus
JP7086454B2 (ja) 伸縮ブーム
CN212389273U (zh) 一种防突钻机助推器
JP2019023130A (ja) クレーン
KR102022044B1 (ko) 고소작업차량의 전복방지장치
CN207420581U (zh) 多功能作业平台和拱架安装台车
JP6056308B2 (ja) 作業機械
EP3045591A1 (en) Cutting edge for a work tool
JP5112127B2 (ja) リーダ吊り具
KR101942213B1 (ko) 신축 붐의 장착 구조
JPH08133671A (ja) クレーンブームの作業足場装置
JP7189512B2 (ja) 連結ピン挿入装置
CN215949523U (zh) 一种岩土钻掘用安全防护结构
CN210178292U (zh) 手持式卸压孔钻机支撑装置
CN217923857U (zh) 一种斗齿拆装工具
CN217049971U (zh) 一种用于t梁运输固定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