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42428B1 - 건설중장비 부품 진동저감장치 - Google Patents

건설중장비 부품 진동저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42428B1
KR100842428B1 KR1020060067983A KR20060067983A KR100842428B1 KR 100842428 B1 KR100842428 B1 KR 100842428B1 KR 1020060067983 A KR1020060067983 A KR 1020060067983A KR 20060067983 A KR20060067983 A KR 20060067983A KR 100842428 B1 KR100842428 B1 KR 1008424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bration
construction equipment
parts
fixed
reduction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679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08564A (ko
Inventor
강현석
Original Assignee
볼보 컨스트럭션 이키프먼트 홀딩 스웨덴 에이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볼보 컨스트럭션 이키프먼트 홀딩 스웨덴 에이비 filed Critical 볼보 컨스트럭션 이키프먼트 홀딩 스웨덴 에이비
Priority to KR10200600679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42428B1/ko
Priority to US11/821,388 priority patent/US7648116B2/en
Priority to EP07013183A priority patent/EP1881226B1/en
Priority to CN2007101286330A priority patent/CN101109228B/zh
Priority to JP2007180091A priority patent/JP5613362B2/ja
Publication of KR200800085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85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24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24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16Cabins, platforms, or the like, for dri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08Superstructures; Supports for superstruc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 F16F15/04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elastic means

Abstract

본 발명은 건설중장비 부품 진동저감장치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핸드레일이나 작업미러등 건설중장비용 부품이 마운팅되는 고정부와 과도한 진동이 발생하는 진동부 사이에 설치하여 건설중장비 부품의 진동을 감쇠시키는 건설중장비 부품 진동저감장치에 있어서,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본체의 양측 선단에 조임부를 구비한 탄성지지링을 형성하고, 상기 탄성지지링을 조임시 상기 고정부와 진동부를 연결 고정하여 건설중장비로부터 부품에 전달되는 진동을 감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 발명에 의하면, 건설중장비 부품이 고정되는 마운팅부와 과도한 진동이 발생하는 진동부 사이에 설치되어 부품 자체의 진동을 감쇠시키므로서 건설중장비 부품의 피로 및 파손을 방지하여 부품 자체의 내구성이 증대되며, 건설중장비 핸드레일이나 작업미러 및 고정바에 용이하게 탈,부착하여 건설중장비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을 감쇠할 수 있는 등 그 효과가 매우 뛰어난 장점이 있다.
작업미러, 핸드레일, 건설중장비 부품, 진동, 탄성지지링, 진동저감장치

Description

건설중장비 부품 진동저감장치{an vibration absorbing device device in component of heavy construction equipment}
도 1은 종래 건설중장비 부품 중 건설중장비 본체에 설치되는 작업미러의 진동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설중장비 진동저감장치의 부분 단면도,
도 3과 4는 동실시예에 의하여 건설중장비 부품 중 작업미러에 설치된 진동저감장치의 사용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여 핸드레일의 중간부분에 설치된 진동저감장치의 개략적인 사용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주요부호의 설명 *
1: 핸드레일
2: 작업미러
3: 고정바
4: 미러홀더
10: 본체
11: 탄성지지링
12: 조임부
20: 고정부
본 발명은 건설중장비 부품 진동저감장치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건설중장비의 작업 시 건설중장비용 작업미러나 핸드레일 등과 같은 건설중장비 부품의 진동을 분산 및 흡수하므로서 건설중장비 부품의 진동이 감쇠되도록 개량된 건설중장비용 부품의 진동저감장치에 관한 것이다.
굴삭기나, 로더 등 건설중장비는 차체의 진동이 심하며 작업특성상 대체로 험한 환경의 건설현장에 투입되어 작업하기 때문에 건설중장비의 부품들은 장기간 반복적인 과도한 진동에 노출되어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작업 환경의 작업자들에게 있어서, 건설중장비용 부품들 중 작업미러나 핸드레일 등은 작업자로 하여금 안전한 작업환경 조성과 장비의 주변환경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특정한 위치에 설치되어 운전자의 안전한 작업환경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건설중장비 작업과정에서 건설중장비용 부품들 중 작업미러나 핸드레일 등의 부품들은 작업장치를 통하여 전달되는 진동의 영향을 직접적으로 받기 때문에 이러한 부품들은 과도한 진동에 의한 피로현상이 나타나고, 결국 이 피로에 의해서 파손에 이르게 된다.
도 1은 종래 건설중장비 외부에 설치된 작업미러의 진동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으로서, 운전자의 측방 및 후방 시야확보를 위하여 핸드레일(1) 일측에 작업미러(2)가 고정되어 있다.
상기 작업미러(2)를 고정하기 위하여, 건설중장비 본체 및 운전실의 형성된 고정부(20)에 고정바(3)를 고정하여 그 선단부에 미러홀더(4)를 부착하되, 상기 고정바(3)의 일측에 지지단부(3a)을 마련하여 핸드레일(1)의 작업미러 마운팅부(5)에 부착하고 진동단부(3b)는 상기 고정바(3)의 타측에서 상기 핸드레일(1)로 부터 이격구간(L)을 갖추어 공학상 기본적인 구조인 외팔보 구조로 미러홀더(4)를 고정한다.
작업미러의 진동은 장비로부터 진동의 전달경로인 고정바(3)를 통하여 작업미러(2)에 전달된다. 따라서 작업미러의 진동이 크게 발생하게 되면 건설중장비 운전자의 불편이 가중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건설중장비 부품들은 장비의 작업에 의한 진동으로 인하여 과도한 진동을 받고 이 진동에 의해서 부품 자체의 내구성능을 저하시켜 부품 및 마운팅 지점에서 파손을 일으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건설중장비용 부품들 중 작업미러 및 작업미러 마운팅부의 진동을 흡수 및 감쇠하기 위하여 고정바나 핸드레일 및 작업미러를 별도로 설계하기 곤란하며, 그러한 설계는 각각의 차종별로 달리하여 적용하여야 하기 때문에 비경제적인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작업미러등 건설중장비용 부품이 고정되는 마운팅부와 진동이 가장 크게 발생하는 진동단부사이에 진동저감장치를 설치하여 부품의 진동분산경로를 마련하므로서 장비의 진동으로 인하여 부품 자체 및 마운팅 지점에서 발생하는 피로현상을 방지하고, 또한 건설중장비용 부품에 용이하게 탈,부착할 수 있는 건설중장비용 부품의 진동저감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핸드레일이나 작업미러등 건설중장비용 부품이 마운팅되는 고정부와 과도한 진동이 발생하는 진동부 사이에 설치하여 건설중장비 부품의 진동을 감쇠시키는 건설중장비 부품 진동저감장치에 있어서,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본체의 양측 선단에 조임부를 구비한 탄성지지링을 형성하고, 상기 탄성지지링을 조임시 상기 고정부와 진동부를 연결 고정하여 건설중장비로부터 부품에 전달되는 진동을 감쇠시키는 건설중장비 부품 진동저감장치를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탄성지지링은 일측이 개방된 조임부를 구비하되, 상기 본체와 일체형으로 형성하여 이루어진 건설중장비 부품 진동저감장치를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탄성지지링의 본체는 연질이면서도 질긴 재질을 포함하는 탄성부 재로 이루어진 건설중장비 진동저감장치를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건설중장비 진동저감장치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설중장비 부품 진동저감장치의 부분 단면도이며, 도 3과 4는 동실시예에 의하여 건설중장비 부품 중 작업미러에 적용시킨 예를 설명하는 사용상태도, 도 5는 동실시예에 의하여 건설중장비 부품 중 핸드레일에 적용시킨 진동저감장치의 개략적인 사용상태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탄성지지링(11)은 상기 본체(10)의 길이방향 양측에 각각의 탄성지지링(11a)(11b)을 마련하여 일체형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탄성지지링(11)은 일측이 개방된 조임부(12)를 구비하고, 내부는 구멍(15)이 형성되어 부품이 고정되는 지점 및 부품자체의 외주연과 접하며, 상기 조임부(12)에는 안착홈이 형성된 관통구멍(16)을 마련하여 고정부재(14)로 조임구간(d) 범위 내에서 고정바(3)를 지지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도 3및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탄성지지링(11)의 일측의 조임부(11a)는 고정바(3)의 진동부(3b)에 고정하고, 타측의 조임부(11b)는 고정부(20)를 형성하는 핸드레일(1)의 외주연상에 조임하여 고정하거나, 고정바(3)의 지지단부(3a)에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체(10)는 장비의 진동전달시 고정바(3)와 다른 별도의 재질, 예를 들면 고무재질과 같은 탄성부재로 형성하여, 장비본체와 핸드레일(11)로 부터 전달되는 진동을 감쇠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에 의한 건설중장비 부품 진동저감장치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6)가 고정바(3)의 대략 중간지점에 지지도도록 상기 탄성지지링(11a)(11b)을 고정 결합시켜도, 장비의 진동을 흡수 및 완충시키는 기능은 마찬가지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건설중장비용 진동저감장치의 작용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건설중장비의 작업과정에서 부품이 받는 고유한 진동은 건설중장비로부터 직접 부품에 전달되는 바, 본 발명에 의한 건설중장비 부품 진동저감장치는 마운팅 지점인 마운팅부(5)와 진동전달경로의 첨단, 즉 가장 진동이 심한 지점이 되는 미러홀더(4)에 인접하게 각각의 탄성지지링(11a)(11b)을 체결한다.
이때, 고정바(3)는 조임부(12)로 지지하는 탄성지지링(11a)(11b) 및 본체(10)의 탄성력에 의한 긴장상태로 핸드레일(1) 마운팅부(5)에 고정되며, 그에 따라 핸드레일(1)으로 부터 작업미러(2) 측으로 전달되는 진동이 본체(10)의 탄성력과 감쇠력에 의하여 흡수 및 감쇠된다.
장비의 진동이 작업미러(2) 측에 전달될 때, 강체인 고정바(3)와 탄성지지링(11a)(11b) 및 본체(10) 각각의 경로를 통하여 감쇠되며, 고정바(3)의 진동 역시 본체(10) 및 탄성지지링(11a)(11b)에 의하여 흡수 및 완충된다.
실제로 이 진동저감장치를 장착하여, 건설중장비 작업미러(2) 및 핸드레일(1)의 고정부(20) 상에서 형성되는 진동시험을 수행한 결과, 진동이 가장 큰 지점인 미러홀더(4)측과 마운팅 지점인 마운팅부(5) 또는 지지단부(3a)에서의 RMS(실효치 : Root Mean Square) 진동 레벨이 진동저감장치 설치전보다 약 30% 정도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의한 진동저감장치를 설치하게 되면 작업미러나 고정바 및 핸드레일등 건설중장비용 부품 자체와 부품이 마운팅되는 부위의 진동이 동시에 줄어들게 되므로서 건설중장비의 진동에 의한 부품 자체의 내구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건설중장비로부터 소정의 이격구간(L)을 가지는 공학상 외팔보 구조 및 양단고정보에 적용할 때,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핸드레일(1)에서 가장 진동이 심한 부분과 마운팅 부분에 각각 본체(10) 및 탄성지지링(11a)(11b)을 설치하게 되면 전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작용하여 핸드레일(1) 중간부분에서 발생되는 큰 진동을 완충 및 흡수시키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 경우, 본 발명에 의한 건설중장비 부품 진동저감장치에 의해 핸드레일 자체의 진동에 의한 피로를 줄일 수 있어 건설중장비 부품의 신뢰도를 높일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건설중장비 부품 진동저감장치는 부품의 진동을 탄성과 감쇠의 성질을 가진 구조와 재질을 이용하여 진동을 감쇠시키는 것으로 이와 같은 변형은 당업자에 있어서 자명하게 이해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건설중장비 부품 진동저감장치는 건설중장비 부품이 고정되는 마운팅부와 과도한 진동이 발생하는 진동부 사이에 설치되어 부품 자체의 진동을 감쇠시키므로서 건설중장비 부품의 피로 및 파손을 방지하여 부품 자체의 내구성이 증대되며, 건설중장비 핸드레일이나 작업미러 및 고정바에 용이하게 탈,부착하여 건설중장비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을 감쇠할 수 있는 등 그 효과가 매우 뛰어난 장점이 있다.

Claims (4)

  1. 핸드레일이나 작업미러등 건설중장비용 부품이 마운팅되는 고정부와 과도한 진동이 발생하는 진동부 사이에 설치하여 건설중장비 부품의 진동을 감쇠시키는 건설중장비 부품 진동저감장치에 있어서,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본체의 양측 선단에 조임부를 구비한 탄성지지링을 형성하고, 상기 조임부의 일측이 상기 진동부에 탈부착가능하게 연결 고정되어 상기 본체를 통하여 전달되는 진동을 감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중장비 부품 진동저감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핸드레일에는 상기 작업미러를 고정하는 고정바를 형성하고, 상기 조임부의 일측에는 안착홈이 형성된 관통구멍을 형성하고, 고정부재로 상기 고정바의 일측을 조임구간(d) 범위 내에서 고정 지지하여 상기 본체를 통하여 전달되는 진동을 감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중장비 부품 진동저감장치.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탄성지지링의 일측의 조임부는 고정바의 진동부에 고정하고, 타측의 조임부는 상기 고정부를 형성하는 핸드레일의 외주연상에 고정하여 장비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을 감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중장비 부품 진동저감장치.
KR1020060067983A 2006-07-20 2006-07-20 건설중장비 부품 진동저감장치 KR1008424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7983A KR100842428B1 (ko) 2006-07-20 2006-07-20 건설중장비 부품 진동저감장치
US11/821,388 US7648116B2 (en) 2006-07-20 2007-06-22 Apparatus for absorbing vibrations of components of heavy construction equipment
EP07013183A EP1881226B1 (en) 2006-07-20 2007-07-05 Apparatus for absorbing vibrations of components of heavy construction equipment
CN2007101286330A CN101109228B (zh) 2006-07-20 2007-07-09 重型建工设备部件的吸振装置
JP2007180091A JP5613362B2 (ja) 2006-07-20 2007-07-09 建設装備部品の振動低減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7983A KR100842428B1 (ko) 2006-07-20 2006-07-20 건설중장비 부품 진동저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8564A KR20080008564A (ko) 2008-01-24
KR100842428B1 true KR100842428B1 (ko) 2008-07-01

Family

ID=386464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67983A KR100842428B1 (ko) 2006-07-20 2006-07-20 건설중장비 부품 진동저감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648116B2 (ko)
EP (1) EP1881226B1 (ko)
JP (1) JP5613362B2 (ko)
KR (1) KR100842428B1 (ko)
CN (1) CN10110922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043811B2 (ja) * 2008-12-08 2012-10-10 日立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のハンドレール
US20100213738A1 (en) * 2009-02-26 2010-08-26 Volvo Construction Equipment Holding Sweden Ab. Cab of small swing radius excavator
CN101767553B (zh) * 2010-03-16 2012-06-20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万向转动的车载仪器及其仪器底座
JP5483437B2 (ja) * 2010-08-06 2014-05-07 株式会社神戸製鋼所 手すり及びそれを備えた機械
CN102966137B (zh) * 2012-12-12 2015-10-07 潍柴动力股份有限公司 一种降低挖掘机振动的方法及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25491U (ko) * 1997-12-17 1999-07-05 정몽규 화물차용 사이드 미러의 충격 흡수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304726A (en) * 1919-05-27 Stovepipe holdeb and bhaoj
US1249848A (en) * 1917-05-07 1917-12-11 Arthur W Sprague Fence-post-brace clamp.
US1840046A (en) * 1929-03-23 1932-01-05 Garnet W Mckee Meter connecting device
US3334867A (en) * 1964-10-06 1967-08-08 Harold D Wenaas Braced fence post construction
JPS4719642Y1 (ko) * 1968-11-30 1972-07-04
JPS52164853U (ko) * 1976-06-07 1977-12-14
US4135788A (en) * 1977-10-03 1979-01-23 Albert Sargis Cycle handlebar rear view mirror assembly
US4380369A (en) * 1979-11-19 1983-04-19 Mirrycle Corporation Adjustable support system for cycle mirror
US4433899A (en) * 1981-09-28 1984-02-28 Frederick Sellet Rear view mirror for drop type bicycle handle bars
JPS5853935U (ja) 1981-10-09 1983-04-12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防振ゴム
JPS60124747U (ja) * 1984-01-30 1985-08-22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アウトサイドミラ−装置
JPH06102420B2 (ja) * 1986-04-23 1994-12-14 大東プレス工業株式会社 折畳み式サイドミラ−支持装置
US5199677A (en) * 1991-11-04 1993-04-06 Sessions James R Tree stake stabilizer
US5295652A (en) 1992-06-19 1994-03-22 Byrne Thomas W Isolation grommet
DE9313680U1 (de) 1993-01-27 1993-11-04 Link Johs Sonor Gmbh Schwingungsunterbrecher aus elastischem Material
JP3728806B2 (ja) * 1996-06-19 2005-12-21 日産自動車株式会社 リヤアンダーミラー支持構造
JP3610706B2 (ja) * 1996-11-13 2005-01-19 日立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の手すり
DE10300647C5 (de) 2003-01-09 2010-04-08 Carl Freudenberg Kg Entkopplungselement
CN2607274Y (zh) * 2003-02-25 2004-03-24 刘风秋 汽车风挡玻璃冰霜防护罩
US6962420B2 (en) * 2003-09-16 2005-11-08 Lang Mekra North America, Llc Vehicle mirror assembly
DE202004012804U1 (de) 2004-08-13 2004-10-14 Dura Automotive Systems Gmbh Anschlußeinrichtung für ein Gelenk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25491U (ko) * 1997-12-17 1999-07-05 정몽규 화물차용 사이드 미러의 충격 흡수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648116B2 (en) 2010-01-19
EP1881226A2 (en) 2008-01-23
CN101109228B (zh) 2011-03-30
CN101109228A (zh) 2008-01-23
KR20080008564A (ko) 2008-01-24
US20080017781A1 (en) 2008-01-24
EP1881226B1 (en) 2011-09-21
JP5613362B2 (ja) 2014-10-22
EP1881226A3 (en) 2009-06-03
JP2008025337A (ja) 2008-0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23581B1 (ko) 중장비 운전실의 하중지지장치
KR100842428B1 (ko) 건설중장비 부품 진동저감장치
KR20110062290A (ko) 진동 흡수장치와 운전자 보호구조물 하중 지지장치가 일원화된 건설장비
JP6301385B2 (ja) エンジンマウント構造
KR20090070241A (ko) 건설장비 캐빈 마운팅구조
KR20060125080A (ko) 중장비 운전실에 장착되는 운전자 보호구조물
JP4183252B2 (ja) キャブ懸架装置
KR20070102957A (ko) 배관 고정 구조
JP5516439B2 (ja) 建設機械
JP2011220434A (ja) 防振装置
JP4299050B2 (ja) 運転室補強構造
KR100666296B1 (ko) 배기계용 다이내믹 댐퍼 고정장치
KR100499774B1 (ko) 엔진 지지구조
KR100645567B1 (ko) 연료 탱크 진동 방지장치
KR100814621B1 (ko) 트랙터의 진동방지 구조
KR100805473B1 (ko) 엔진 진동 흡수 구조
JP5421167B2 (ja) キャブ支持構造
KR20050050509A (ko) 진동 절연체를 이용한 머플러의 진동 절연구조
KR20000011495U (ko) 진동방지용 완충보울트
KR101650062B1 (ko) 동조질량감쇠 원리를 적용한 건설기계용 운전자 보호구조물 장착장치
JP4928508B2 (ja) 手摺りユニット
KR100931497B1 (ko) 엔진 마운트 결합체
KR100828683B1 (ko) 후륜 충격 흡수 장치의 가이드 장치
KR20050106231A (ko) 건설중장비의 방진장치
KR20080037940A (ko) 풀림을 방지하는 차량용 엔진 마운팅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9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