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55804B1 - 상하이송재봉틀 - Google Patents

상하이송재봉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55804B1
KR100855804B1 KR1020020017201A KR20020017201A KR100855804B1 KR 100855804 B1 KR100855804 B1 KR 100855804B1 KR 1020020017201 A KR1020020017201 A KR 1020020017201A KR 20020017201 A KR20020017201 A KR 20020017201A KR 100855804 B1 KR100855804 B1 KR 1008558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rget
amount
sewing
input
feed amou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172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79400A (ko
Inventor
노무라츠구오
카마쿠라신지
Original Assignee
쥬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쥬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쥬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200794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794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558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558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27/00Work-feeding means
    • D05B27/10Work-feeding means with rotary circular feed members
    • D05B27/14Work-feeding means with rotary circular feed members rotating discontinuously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21/00Sewing machines with devices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movement of work-carrier relative to stitch-forming mechanism in order to obtain particular configuration of seam, e.g. programme-controlled for sewing collars, for attaching pocket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19/00Programme-controlled sewing machines
    • D05B19/02Sewing machines having electronic memory or microprocessor control unit
    • D05B19/12Sewing machines having electronic memory or microprocessor control unit characterised by control of operation of machine
    • D05B19/16Control of workpiece movement, e.g. modulation of travel of feed dog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27/00Work-feeding means
    • D05B27/02Work-feeding means with feed dogs having horizontal and vertical movements
    • D05B27/06Work-feeding means with feed dogs having horizontal and vertical movements arranged above and below the workpieces

Abstract

봉제중간에 축결량이 변화하는 경우에도 봉제완성 후의 솔기핏치를 균일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그 과제로 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윗천을 보내는 상이송 수단(24A)과 밑천을 보내는 하이송 수단(26A)을 구비하고, 상이송 수단에 의한 상이송량을 하이송 수단에 의한 하이송량보다 크게하여 윗천에 축결을 형성하면서 봉제하는 상히이송 재봉틀에 있어서, 목표 상이송량을 입력하는 초기설정수단(32)과, 목표 솔기핏치를 설정하는 솔기핏치 설정수단(34)과, 목표 상이송량과 목표 솔기핏치와의 차를 기초로 봉제후의 솔기핏치가 이 목표 솔기핏치가 되도록 목표 하이송량을 결정하는 하이송량 결정수단(36)과, 상기 목표 상이송량을 기초로 상기 상이송 수단을 구동제어하고, 상기 목표 하이송량을 기초로 상기 하이송 수단을 구동제어하는 제어수단(28)을 구비했다.


Description

상하이송재봉틀{SEWING MACHING FOR FEEDING UPWARDLY AND DOWNWARDLY}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일 실시형태의 상하이송 재봉틀의 요부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2는 본 실시형태의 상하이송 재봉틀의 외관을 도시하는 개략사시도.
도 3은 재봉틀 본체에 설치되는 상·하이송 롤러와 상·하천의 관계를 도시하는 설명도.
도 4는 실시예의 작용을 도시하는 플로우 챠트.
도 5는 목표 솔기핏치, 목표 상이송량 및 목표 하이송량의 관계를 도시하는 선도.
도 6은 목표로 하는 축결 봉제후의 상·하천의 관계를 도시하는 설명도.
도 7은 종래의 문제점을 도시하는 도 6에 상당하는 설명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재봉틀 테이블 12: 재봉틀 본체
14: 조작패널 16: 전원스위치
18: 제어상자 20: 제 1페달
22: 제 2페달 24: 상이송 롤러
26: 하이송 롤러 28: 재봉틀 제어수단
30: 솔기핏치 검출수단 32: 초기설정수단
34: 솔기핏치 설정수단 36: 하이송량 결정수단
38: 입력정도 검출수단 40: 변환수단
본 발명은 상하이송 재봉틀, 특히 상하의 천 이송을 적절히 제어하여 축결봉제를 행할 때 적용하는 데 적합한 공업용 상하이송 재봉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윗천과 밑천을 봉합시킬 경우, 1바늘당 밑천이송량(다음 하이송량이라고도 함)보다 윗천이송량(다음 상이송량이라고도 함)쪽을 크게하여 이른 바 "축결(縮結)"을 형성하면서 봉제하는 축결봉제가 행해지고 있다.
이와같은 축결봉제가 가능한 상하이송 재봉틀로서는 예를들면 일본국 특개평 6-296788, 일본국 특개평 6-296783에 개시된 것이 알려져 있다. 종래 이와같은 재봉틀로 봉제할 경우, 목표로 하는 축결 봉제후의 윗천 CU와 밑천 TL의 관계의 이미지를 도시하는 도 6과 같이 하이송량과 상이송량의 차인 축결량을, 봉제중 T로 바꾸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상기 공보에 개시되는 것과 같은 종래의 상하이송 재봉틀에서는 봉제중에 축결량을 변화시키는 경우에도, 목표로 하는 1바늘당 밑천이송량에 상당하는 핏치 P는 일정함에도 불구하고 봉제완성 후의 솔기핏치가 불균일하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그 이유는 천의 종류나 두께 등에 의해서도 다르지만 축결량이 큰 만큼 하나의 솔기 안에 윗천이 압축되는 정도가 커지기 때문에 그것이 판스프링과 같이 원래의 뻗은 상태로 되돌아 가고자 하는 복원력도 커진다. 실제의 봉제후의 이미지를 도 7과 같이 T보다 앞의 솔기핏치가 동 P였다고 하면 T보다 뒤의 축결량이 커지는 쪽이 윗천 복원력이 크며, 원래부터 있는 밑천 CL의 신축성에 의해 밑천 CL이 복원력에 의해 뻗게 됨으로써 핏치가 △P만큼 뻗는 데 있다고 생각된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행해지는 것으로 봉제도중에 축결량이 변화하는 경우에도 봉제완성 후의 솔기핏치를 균일하게 할 수 있는 상하이송 재봉틀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윗천을 보내는 상이송 수단과 밑천을 보내는 하이송 수단을 구비하고, 상이송 수단에 의해 상이송량을 하이송 수단에 의한 하이송량보다 크게하여 윗천에 축결(縮結)을 형성하면서 봉제하는 상하이송 재봉틀에 있어서, 목표 상이송량, 목표 축결량 및 목표 차동비 중 어느 하나를 입력하는 입력수단과, 목표 솔기핏치를 설정하는 핏치설정수단과, 입력된 목표 상이송량, 목표 축결량 또는 목표 차동비와 목표 솔기핏치를 기초로 봉제후의 솔기 핏치가 이 목표 솔기핏치가 되도록 목표 하이송량을 결정하는 하이송량 결정수단과, 입력된 목표 상이송량, 목표 축결량 또는 목표 차동비를 기초로 상기 상이송 수단을 구동제어하고, 상기 목표 하이송량을 기초로 상기 하이송 수단을 구동제어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상기 과제를 해결한 것이다.
즉 본 발명에서는 목표 축결량의 증감에 맞추어 목표 하이송량을 적절히 제어하도록 했기 때문에 중간에 축결량이 변화하는 경우라도 늘 균일한 봉제핏치로 축결봉제할 수 있게 된다.
다음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일 실시형태의 상하이송 재봉틀의 요부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2는 이 상하이송 재봉틀의 외관을 도시하는 개략 사시도.
본 실시형태의 상하이송 재봉틀은 도 2와 같이 재봉틀 테이블(10)의 상측에 재봉틀 헤드를 갖는 재봉틀 본체(12)와 조작패널(14)이 설치되고, 이 테이블(10)의 하측에는 전원스위치(16)와 제어상자(18)가 설치되며, 그 아래쪽에는 제 1페달(20)과 제 2페달(22)이 설치된다.
상기 재봉틀 본체(12)의 바늘낙하위치 근방에는 도 3에 확대하여 도시한 것과 같이 상이송 롤러(24), 하이송 롤러(26)가 배치되고, 이들은 각각 독립한 펄스모터(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회전되며, 윗천 CU, 밑천 CL를 다른 이송량으로 보낼 수 있게 된다. 또 상기 조작패널(14)에서는 목표로 하는 솔기핏치의 설정, 상이송량의 입력 등이 가능하여, 전원스위치(16)에 의해 재봉틀 전체로의 통전상태를 온·오프하는 변환이 가능하게 된다. 또 상기 제 1페달(20)은 봉제의 개시·정지 및 봉제속도의 변경의 조작을 하기 위해 배치되고, 그 밟는 정도가 퍼텐쇼미터(도시하 지 않음)에 의해 검출되어 그 신호가 상기 제어상자(18)에 입력되도록 되어있다.
상기 제 2페달(22)은 봉제중에 오퍼레이터가 상이송 롤러(24)에 의한 이송동작을 변경하고, 목표 상이송량을 임의로 증감하기 위해 사용되는 조작수단으로, 그 조작량, 즉 페달의 밟는 정도가 동 퍼텐쇼미터 등의 후술하는 입력정도 검출수단(38)에 의해 검출되며, 그 검출치가 상이송량으로서 상기 제어상자(18)에 입력되도록 되어있다.
본 실시형태의 상하이송 재봉틀은 그 요부가 도 1과 같이 재봉틀 본체(12)에 대해 상기 제어상자(18)에 내장되는 컴퓨터에 의해 구성되는 제어수단으로서의 재봉틀 제어수단(28)으로부터 통상의 제어신호와 함께 후술하는 각 종의 제어신호가 입력되고, 상기 상이송 롤러(24)에 의한 상이송량과 하이송 롤러(26)에 의한 하이송량을 다르게 하여 상하천을 각각 보내면서 봉제함으로써 축결량이 다른 경우라도 늘 봉제후의 솔기가 일정한 핏치로 할 수 있게 된다.
이 도 1과 같이 상기 재봉틀 본체(12)에는 펄스모터로 회전구동되는 상기 상이송 롤러(24) 등으로 이루어지는 상이송 수단(24A)과, 마찬가지로 펄스모터로 회전구동되는 상기 하이송 롤러(26) 등으로 이루어지는 하이송 수단(26A)이 설치됨과 동시에 실제로 보내지는 밑천의 솔기핏치를 실측하는 봉제핏치 검출수단(30)이 설치된다. 이 봉제핏치 검출수단(30)은 밑천 CL에 접촉하여 그 이송에 따라 회전하는 접촉롤러(도시하지 않음)을 가지며, 이 롤러에 연결되는 엔코더의 펄스출력으로부터 실제 밑천의 이송량을 측정함과 동시에 그 때의 바늘 수로부터 1바늘당 이송량, 즉 솔기핏치가 실측되도록 되어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목표 상이송량을 봉제전에 입력하는 초기설정수단(32)과, 입력된 목표 상이송량이 밟아 설정된 것을 검출하기 위해 제 2페달(22)의 밟는 정도(입력정도)를 검출하는 입력정도 검출수단(38)과, 목표 솔기핏치를 설정하는 솔기핏치 설정수단(34)이 구비된다. 또한 초기설정수단(32)과 입력정도 검출수단(38)으로 입력수단(31)이 구성되고 또 초기설정수단(32)과 솔기핏치 설정수단(34)이 조작패널(14)에 설치된다.
또 상기 재봉틀 제어수단(28)에는 하이송량 결정수단(36)과 기억수단(37)과 변환수단(40)이 설치된다. 하이송량 결정수단(36)에는 솔기핏치 설정수단(34)으로부터의 목표 솔기핏치와 후술하는 목표 상이송량을 입력하여, 목표 상이송량과 목표 솔기핏치와의 차를 기초로 후술과 같이 봉제후에 출현하는 실제의 솔기핏치를 이 목표 솔기핏치에 일치시키도록 목표 하이송량을 결정한다. 또한 목표 상이송량에는 변환수단(40)을 통해 초기설정수단(32)으로부터 입력되는 것과, 입력정도 검출수단(38)으로부터 입력되는 것의 2종류가 있다.
상기 기억수단(37)은 초기설정수단(32)에 의해 입력되는 목표 상이송량과 솔기핏치 설정수단(34)에 의해 입력되는 솔기핏치와의 차를 기초로 하이송량 결정수단(36)에 의해 결정되는 목표 하이송량을 기억한다.
상기 변환수단(40)은 상이송 수단(24A) 및 하이송 수단(26A)을 구동제어하기 위한 목표 상이송량 및 목표 하이송량을, 초기설정수단(32)에 의거하거나 또는 입력정도 검출수단(38)에 의거하는 것으로 변환하는 수단이다. 즉 변환수단(40)은 통상 초기설정수단(32)에서 설정된 목표 상이송량과 기억수단(37)에 기억된 목표 하이송량을 출력하고 있지만, 제 2페달(22)이 밟혀진 것을 검지하면 자동적으로 모드를 변환하여 초기설정수단(32)에서 설정된 목표 상이송량의 출력을 멈추고, 제 2페달(22)의 밟는 정도, 즉 입력정도 검출수단(38)에 의해 검출되는 목표 상이송량을 출력한다. 또 이 목표 상이송량은 하이송량 결정수단(36)에 입력되고, 이 목표 상이송량과 목표 솔기핏치와의 차를 기초로 봉제후의 솔기핏치를 이 목표 솔기핏치에 일치시키도록 목표 하이송량이 결정되며 다시 변환수단(40)으로 복귀된다. 그리고 변환수단(40)은 기억수단(37)에 기억되는 목표 하이송량의 출력을 멈추고, 입력정도 검출수단(38)으로부터의 목표 상이송량을 기초로 새롭게 결정된 목표 하이송량을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하이송량 결정수단(36)에서 실행하는 상기 목표 하이송량의 산출(결정)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오퍼레이터가 설정한 1바늘당 솔기길이(목표 솔기핏치)를 P, 동 오퍼레이터가 설정한 솔기 시작부터 임의의 바늘수(n)에서의 1바늘 당의 목표 상이송량을 Un, 바늘수(n)에서의 1바늘당의 목표 하이송량을 Ln으로 한 경우, 1바늘당 신장량(P-Ln)과 목표 촉결량에 맞는 차분량(Un-P)과의 비를 일정하게 생각하면 다음 식
(P-Ln)/(Un-P) = a … (1)
(여기서 a는 천의 종류나 두께 등에 의해 결정되는 정수)
가 성립한다. 그리고 이 (1)식을 Ln에 대해 풀면 다음식,
Ln = -(Un - P)a + P … (2)
가 된다. 이 (2)식에 의해 오퍼레이터가 임의의 바늘 수 위치에 대해 목표 솔기핏치 P 및 목표 이송량 U을 설정함으로써 이들의 값에 따라 목표 하이송량 L을 결정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또한 상기 솔기핏치 검출수단(30)에 의해 봉제 후의 솔기핏치가 실측되면 그 실측 솔기핏치가 상기 하이송량 결정수단(36)에 입력되고, 목표 솔기핏치와의 사이에 편차가 발생하고 있는 경우에는 그 편차를 해소할 수 있는 하이송량이 산출되며, 그 때 설정되는 상기 하이송 수단(26A)에 이한 목표 하이송량을 수정하는 피드백 제어가 행해지도록 되어있다.
이 경우의 하이송량의 수정방법에 대해 다음에 설명한다. 지금 실측한 솔기핏치를 M으로 한 경우, 바늘 수(n)의 목표 하이송량 Ln과의 비를 일정하게 생각하면 다음식
M/Ln = 일정 … (3)
가 된다. 그리고 보정(수정)함으로써 바늘 수 n+1에는 실측치 M이 목표치 P가 되도록 한다고 생각하면 새로운 목표 이송량 Ln+1과의 관계는 다음식
M/Ln = P/ Ln + 1 … (4)
가 된다. 이 (4)식을 Ln+1에 대해 풀면 다음식
Ln+1 = (P/M)Ln … (5)
가 된다. 이에 따라 실제의 솔기핏치를 설정한 목표 솔기핏치 P로 수정할 수 있다.
다음 본 실시형태의 작용을, 도 4에 도시하는 플로우챠트에 따라 설명한다.
우선 상기 전원스위치(16)를 온으로 하여 재봉틀에 통전하고(스텝 1), 이어 서 초기설정을 위해 상기 조작패널(14)상의 상기 상이송량 입력수단(32)을 사용하여 목표로 하는 상이송량과 솔기핏치를 입력한다(스텝 2). 이와같이 입력된 목표 상이송량과 목표 솔기핏치는 상기 제어상자(18)의 내부에 형성되는 연산회로로 이루어지는 상기 하이송량 결정수단(36)에 입력되고, 상기 (2)식에 의해 하이송량을 결정하여 그 결정치를 기억수단(37)에 기억한다(스텝 3).
도 5는 이와같이 초기설정된 목표 솔기핏치(실선), 횡축의 바늘 수에 따라 변화하는 1바늘당 목표 상이송량(도면 중, 파선으로 도시하는 상이송 핏치), 이들 양자로부터 산출된 1바늘당 목표 하이송량(도면 중 2점쇄선으로 도시하는 하이송 핏치)의 일 예를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이 도면에서 0 - a구간은 상이송·하이송 모두 동 핏치인 보통 봉제이므로 상이송 핏치는 설정한 목표 솔기핏치와 같다. a-b구간은 목표 솔기핏치에 대해 상이송 핏치가 증가하는 축결봉제구간이다. 이 구간에 있어서 하이송 핏치는 상이송 핏치의 증가에 따라 목표 솔기핏치보다 감소한다. b-c구간에서는 목표 솔기핏치와 상이송 핏치의 차가 일정하므로 목표 솔기핏치와 하이송 핏치의 차도 일정하게 된다. c이후의 각 봉제구간에서도 마찬가지의 원리에 따라 목표 하이송량이 결정된다.
이상과 같이 초기설정이 종료한 후 오퍼레이터는 재봉틀에 봉제물을 셋트하고(스텝 4), 상기 제 1페달(20)을 밟는 것으로 재봉틀 기동신호가 상기 제어상자(18)에 입력되며(스텝 5) 재봉틀이 기동하여 봉제가 개시된다(스텝 6).
이와 같이 재봉틀이 기동하고, 초기설정되는 상기 도 5에 도시한 목표치가 되도록 상기 상이송 수단(24A), 하이송 수단(26A)을 자동제어함으로써 축결량이 중간에서 변화함에도 불구하고 봉제후의 솔기핏치가 초기설정한 목표 솔기핏치와 같은 균일한 솔기를 형성할 수 있게 된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목표 상이송량을 오퍼레이터에 의한 매뉴얼 입력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재봉틀 기동후 오퍼레이터가 상기 제 2페달(22)을 밟는 것으로(스텝 7), 상기 변환수단(40)에 의해 매뉴얼 입력의 모드로 변환하고, 상기 입력정도 검출수단(퍼텐쇼미터)(38)이 밟는 정도를 검출하여 그것이 목표 상이송량으로서 상기 제어상자(18)에 입력되며, 입력(밟음)정도에 따라 목표 상이송량이 증감되어 축결량을 증감할 수 있다. 이와같이 스텝 7에서 제 2페달(22)이 밟혀 목표 상이송량(입력)이 변화한 경우 상기 하이송량 결정수단(36)에서는 새로운 목표치를 사용하여 다시 상기 (2)식에 의한 계산을 실행하고, 신 목표 하이송량을 결정한다(스텝 8). 그리고 이와같이 봉제중에 결정한 새로운 목표 하이송량이 되도록 상기 하이송 수단(26A)에 의한 이송량을 변경한다(스텝 9).
또 상기 제 2페달(22)에 의한 입력변화가 없을 때에는 상기 솔기핏치 검출수단(30)에 의해 봉제물의 솔기핏치를 검출하고(스텝 10), 설정되는 목표 솔기핏치와, 검출한 실측 봉제핏치에 차가 있는 지를 판정하여(스텝 11), 양자에 차가 있는 경우, 제어상자(18)내부의 상기 하이송량 결정수단(36)에 있어 상기 (5)식에 의해 이 핏치차가 실질적으로 0이 되는 목표 하이송량을 결정하여(스텝 12) 봉제중에 이 목표위치로 하이송량을 변경하고, 상기 스텝 20으로 복귀한다. 그 후 상기 제 1페달(20)의 밟음이 정지되고 제어상자(18)로의 재봉틀 기동신호의 입력이 정지되면 재봉틀이 정지하고 봉제가 종료한다(스텝 14, 15).
이상 상술한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목표의 상이송량과 솔기핏치를 기초로 적절한 목표 하이송량을 결정하고, 하이송량을 제어하면서 봉제할 수 있도록 했기 때문에 축결량이 대소변화함에도 불구하고 봉제종료후의 솔기를 균일한 핏치로 형성할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도시한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가지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들면 본 발명의 상하이송 재봉틀의 구체적인 구성은 상기 실시형태에 도시한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 상기 조작수단은 제 2페달(22)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슬라이드바 등과 같이 수동조작하는 것이라도 좋다.
또 상기 상하이송수단은 상하이송롤러(24)(26)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이송톱니로 이송하는 것이라도 좋다.
또 하이송량 결정수단은 목표 하이송량을 상기 (2)식에 의한 연산에 의해 결정하지만 미리 기억되고 있는 테이블로부터 결정하도록 해도 좋다.
또 초기설정수단이나 입력정도 검출수단으로부터 입력되는 값은 목표 상이송량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목표 축결량이나 목표 차동비라도 좋다.
목표 축결량을 입력한 경우, 목표 축결량에는
목표 축결량 = 목표 상이송량 (Un) - 목표 솔기핏치 (P) …(6)의 관계가 성립한다. 그리고 이 (6)식을 목표 상이송량(Un)에 대해 풀면,
목표 상이송량(Un) = 목표 축결량 + 목표 솔기핏치(P) … (7)이 된다. 이 (7)식을 상기 (2)식에 대입함으로써 목표 하이송량을 결정할 수 있다.
또 목표차동비를 입력하는 경우, 목표차동비에는,
목표차동비 = 목표 상이송량 (Un) / 목표 솔기핏치 (P) … (8)
의 관계가 성립한다. 그리고 이 (8)식을 목표 상이송량(Un)에 대해 풀면,
목표 상이송량(Un) = 목표차동비 * 목표 솔기핏치(P) … (9)
가 된다. 이 (9)식을 상기 (2)식에 대입함으로써 목표 하이송량을 결정할 수 있다.
또 입력정도 검출수단의 동작을 계기로 변환수단을 기능시키는 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전용의 변환스위치를 배치하여 이 스위치의 조작을 계기로 변환수단을 기능시키도록 해도 좋다.
또 초기설정수단의 설정을 기초로 목표 하이송량의 결정은 봉제전에 행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봉제중에 즉시 결정하도록 해도 좋다. 단 봉제중에 즉시 결정하지 않는 구성으로 하면 봉제중에 연산처리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연산처리속도가 느린 장치를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원가를 낮출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봉제도중에 축결량이 변화한 경우에도 봉제완성 후의 솔기핏치를 균일하게 할 수 있다.

Claims (6)

  1. 윗천을 보내는 상이송 수단과 밑천을 보내는 하이송 수단을 구비하고, 상이송 수단에 의한 상이송량을 하이송 수단에 의한 하이송량보다 크게 하여 윗천에 축결(縮結)을 형성하면서 봉제하는 상하이송 재봉틀에 있어서,
    목표 상이송량, 목표 축결량 및 목표 차동비 중 어느 하나를 입력하는 입력수단과,
    목표 솔기핏치를 설정하는 핏치설정수단과,
    입력된 목표 상이송량, 목표 축결량 또는 목표 차동비와 목표 솔기핏치를 기초로 봉제후의 솔기 핏치가 이 목표 솔기핏치가 되도록 목표 하이송량을 결정하는 하이송량 결정수단과,
    입력된 목표 상이송량, 목표 축결량 또는 목표 차동비를 기초로 상기 상이송 수단을 구동제어하고, 상기 목표 하이송량을 기초로 상기 하이송 수단을 구동제어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이송 재봉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수단은 봉제중에 오퍼레이터가 조작하는 조작수단으로, 상기 하이송량 결정수단은 이 조작수단의 조작량으로서 입력되는 목표 상이송량을 기초로 봉제중에 상기 목표 하이송량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이송 재봉틀.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수단은 상기 조작수단에 덧붙여 봉제전에 목표 상이송량, 목표 축결량 또는 목표 차동비를 입력하여 초기설정하는 초기설정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초기설정수단으로부터의 입력을 기초로 결정되는 목표 하이송량과 상기 조작수단으로부터의 입력을 기초로 결정되는 목표 하이송량중 어느 한쪽을 변환하는 변환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이송 재봉틀.
  4. 제 3항에 있어서,
    초기설정수단으로부터의 입력을 기초로 결정된 목표 하이송량을 이용하여 봉제하는 봉제중에, 상기 조작수단이 조작되면 상기 초기설정수단으로부터의 입력을 기초로 결정된 목표 하이송량을 조작수단으로부터의 입력을 기초로 결정된 목표하이송량으로 상기 변환수단이 변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이송 재봉틀.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목표 상이송량은 상기 입력수단에 의해 목표 축결량 및 목표 차동비 중 어느 한쪽으로 하여 입력되고, 이 목표 상이송량으로 변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이송 재봉틀.
  6. 제 1항에 있어서,
    봉제중에 솔기핏치를 검출하는 솔기핏치 검출수단을 구비하고,
    검출된 솔기핏치와 목표 솔기핏치 사이에 편차가 발생하면 상기 하이송량 결정수단이 이 편차를 해소하는 새로운 목표 하이송량을 결정하여 수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이송 재봉틀.
KR1020020017201A 2001-04-05 2002-03-29 상하이송재봉틀 KR10085580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1107023A JP4555497B2 (ja) 2001-04-05 2001-04-05 上下送りミシン
JPJP-P-2001-00107023 2001-04-0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9400A KR20020079400A (ko) 2002-10-19
KR100855804B1 true KR100855804B1 (ko) 2008-09-01

Family

ID=189594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17201A KR100855804B1 (ko) 2001-04-05 2002-03-29 상하이송재봉틀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4555497B2 (ko)
KR (1) KR100855804B1 (ko)
CN (1) CN1308523C (ko)
DE (1) DE1021501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09491B2 (ja) * 2003-04-21 2010-07-21 Juki株式会社 差動送りミシン
JP2006149612A (ja) * 2004-11-29 2006-06-15 Juki Corp 差動送りミシン
JP4364115B2 (ja) * 2004-12-03 2009-11-11 Juki株式会社 ミシン
JP4551805B2 (ja) * 2005-04-14 2010-09-29 Juki株式会社 差動送りミシン
JP4625367B2 (ja) * 2005-05-12 2011-02-02 Juki株式会社 差動送りミシン
KR101103123B1 (ko) * 2006-08-17 2012-01-04 브라더 고오교오 가부시키가이샤 프로그램식 전자 재봉틀 및 프로그램식 전자 재봉틀의 제어장치
CN107142621A (zh) * 2017-06-13 2017-09-08 宁波三合鑫自动化有限公司 差动送料电脑平缝机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98093A (ja) * 1993-01-05 1994-07-19 Juki Corp ミシンの縫い代制御装置
KR970003917U (ko) * 1995-07-19 1997-02-19 최연구 오버 트라우져
KR970003917Y1 (ko) * 1994-12-24 1997-04-24 명성물산 주식회사 상 · 하송 본봉재봉기의 다이얼식 상톱니 상하운동량 조절장치
KR19990060560A (ko) * 1997-12-31 1999-07-26 김현택 재봉틀의 봉재물 이송장치
DE19920350C1 (de) * 1999-05-04 2000-11-30 Duerkopp Adler Ag Verfahren zum Betrieb einer Nähmaschine zum Verbinden eines ersten Nähgutteils mit einem zweiten Nähgutteil unter Einarbeitung von Mehrweite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04921A (en) * 1982-06-29 1983-09-20 Durkoppwerke Gmbh Buttonhole machine with automatic thread clipping
JPS61276583A (ja) * 1985-05-31 1986-12-06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ミシンにおける定寸縫い装置
JPH03112588A (ja) * 1989-09-27 1991-05-14 Mitsubishi Electric Corp ミシン差動送り機構
JP2535439B2 (ja) * 1990-08-08 1996-09-18 ジューキ株式会社 送りピッチの補正方法
JP3656656B2 (ja) * 1993-04-13 2005-06-08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ミシンの送り量制御装置
JP2871384B2 (ja) * 1993-04-13 1999-03-17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上下送りミシンの制御装置
JP3266733B2 (ja) * 1994-05-09 2002-03-18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ミシンの送り量制御方法及びその装置
JPH08191967A (ja) * 1995-01-18 1996-07-30 Juki Corp ステッチ長さ制御装置
JPH09108468A (ja) * 1995-10-20 1997-04-28 Juki Corp エッジコントロール縫製装置
TW436550B (en) * 1998-05-28 2001-05-28 Juki Kk Control device used for sewing machine
JP3986318B2 (ja) * 2001-02-02 2007-10-03 Juki株式会社 上下送りミシン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98093A (ja) * 1993-01-05 1994-07-19 Juki Corp ミシンの縫い代制御装置
KR970003917Y1 (ko) * 1994-12-24 1997-04-24 명성물산 주식회사 상 · 하송 본봉재봉기의 다이얼식 상톱니 상하운동량 조절장치
KR970003917U (ko) * 1995-07-19 1997-02-19 최연구 오버 트라우져
KR19990060560A (ko) * 1997-12-31 1999-07-26 김현택 재봉틀의 봉재물 이송장치
DE19920350C1 (de) * 1999-05-04 2000-11-30 Duerkopp Adler Ag Verfahren zum Betrieb einer Nähmaschine zum Verbinden eines ersten Nähgutteils mit einem zweiten Nähgutteil unter Einarbeitung von Mehrweit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555497B2 (ja) 2010-09-29
KR20020079400A (ko) 2002-10-19
CN1379138A (zh) 2002-11-13
DE10215013A1 (de) 2002-10-10
CN1308523C (zh) 2007-04-04
JP2002301286A (ja) 2002-10-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55804B1 (ko) 상하이송재봉틀
JP2002292175A (ja) ミシン
JP5963393B2 (ja) 横編機
JPH01256997A (ja) 柄合わせミシン
US7870986B2 (en) Method and device for clearance adjustment for lead-in roller clearance adjustment mechanism
CN101012612A (zh) 刺绣机绣框位置闭环控制装置
KR100535720B1 (ko) 직기의 위단 방지방법 및 장치
JP2009172001A (ja) ミシン
JP2008061712A (ja) ミシン
JPH0240350B2 (ja) Mishinnookuriryoseigyohohotosonosochi
KR20040077555A (ko) 전자 지그재그 재봉기
JPH05184751A (ja) 2枚の縫製物を模様が合致するように縫合する方法
JP2006181166A (ja) ミシン
JP4239192B2 (ja) 帯状物の送込寸法制御装置および方法
JPH0249688A (ja) ミシンの糸張力調節装置
JP2001353389A (ja) 回転数に依存してステッチを修正するミシン
JPH03221091A (ja) ミシンのためのテープ送り装置
JP2009201787A (ja) ミシン
JPH0768067A (ja) ミシンにおける長尺縫製物の送り制御装置
JPH0218110B2 (ko)
JPH05154263A (ja) テープ類を布製品に縫い付けるための自動ミシン
JP2614204B2 (ja) ミシン
JPH0299087A (ja) 2本針角縫いミシン
JP2005087333A (ja) 差動送りミシン
JP2734159B2 (ja) ミシンのテープ送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0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3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9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