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54187B1 - 작업차 - Google Patents

작업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54187B1
KR100854187B1 KR1020070024242A KR20070024242A KR100854187B1 KR 100854187 B1 KR100854187 B1 KR 100854187B1 KR 1020070024242 A KR1020070024242 A KR 1020070024242A KR 20070024242 A KR20070024242 A KR 20070024242A KR 100854187 B1 KR100854187 B1 KR 1008541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cket
link
interlocking
control valve
spo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242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08210A (ko
Inventor
히로끼 후꾸도메
에이지 미야자끼
마사따까 다까기
슈우이찌 다께시따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filed Critical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Publication of KR200800082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82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541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541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16Cabins, platforms, or the like, for drive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004Control mechanisms, e.g. control lev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35/00Other machines for working soil not specially adapted for working soil on which crops are growing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9/00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 G05G9/02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in different independent ways, movement in each individual way actuating one controlled member only
    • G05G9/04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in different independent ways, movement in each individual way actuating one controlled member only in which movement in two or more ways can occur simultaneously
    • G05G9/047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in different independent ways, movement in each individual way actuating one controlled member only in which movement in two or more ways can occur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by hand about orthogonal axes, e.g. joysticks
    • G05G2009/04703Mounting of controlling member
    • G05G2009/04714Mounting of controlling member with orthogonal axes
    • G05G2009/04718Mounting of controlling member with orthogonal axes with cardan or gimbal type joi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20Control lever and linkage systems
    • Y10T74/20012Multiple controlled elements
    • Y10T74/20201Control moves in two pla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Operation Control Of Excavators (AREA)
  • Component Parts Of Construction Machinery (AREA)

Abstract

차체(7) 상에 마련된 운전석(16)의 측방에 요동 조작 가능하게 마련되는, 작업기(3)를 조작하는 조작 레버(49)와,
차체의 측방에 마련되고, 작업기를 구동하는 액츄에이터(32, 33)를 제어하는 컨트롤 밸브(52)와,
조작 레버와 컨트롤 밸브(52)의 스풀(54, 55)을 연동 연결하고, 조작 레버의 요동을 스풀에 전달하는 연동 링크(56, 57)를 포함하는, 작업기를 구비한 작업차이며,
조작 레버(49)와 스풀(54, 55)이 차체(7)의 좌우 방향 및 전후 방향에 있어서 위치 어긋나게 하여 배치되고, 또한 연동 링크(56, 57)가 절곡 형성되고, 연동 링크의 일단부가 조작 레버에 연결된 제1 링크 연결부(72, 68c)에 연결되는 동시에, 연동 링크(56, 57)의 타단부가 스풀에 연결된 제2 링크 연결부에 연결된다.
조작 레버, 작업기, 운전석, 차체, 컨트롤 밸브, 액츄에이터, 스풀

Description

작업차 {WORK VEHICLE}
도1은 프론트 로더의 조작 장치의 측면도.
도2는 프론트 로더의 조작 장치의 배치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3은 프론트 로더의 조작 장치의 배치를 도시하는 정면도.
도4는 프론트 로더의 조작 장치의 정면도.
도5는 프론트 로더의 조작 장치의 평면도.
도6은 로더 조작 레버의 피봇 지지 부분의 정면도.
도7은 로더 조작 레버의 피봇 지지 부분의 측면도.
도8은 로더 조작 레버의 피봇 지지 부분의 평면도.
도9는 컨트롤 밸브 및 그 주변의 측면도.
도10은 컨트롤 밸브 및 그 주변의 정면도.
도11은 컨트롤 밸브 및 그 주변의 평면도.
도12는 연동 링크와 스풀의 연동 연결 부분을 경사 후방으로부터 본 도면.
도13은 작업차의 측면도.
도14는 차체 및 작업기 장착 프레임의 평면도.
도15는 프론트 로더 및 피드백 기구의 측면도.
도16은 피드백 기구의 평면도.
도17은 피드백 기구의 중계부의 확대도.
도18은 붐이 요동된 상태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7 : 차체
16 : 운전석
31 : 버킷
32 : 붐 실린더(액츄에이터)
33 : 버킷 실린더(액츄에이터)
49 : 조작 레버
52 : 컨트롤 밸브
54 : 스풀
55 : 스풀
56 : 연동 링크(붐용)
57 : 연동 링크(버킷용)
68c : 링크 연결부
72 : 링크 연결부
83 : 요동 아암(붐용)
84 : 요동 아암(버킷용)
91 : 결합부
92 : 연동 부재
93 : 피드백 기구
94 : 지지축
[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01-140276호 공보
[문헌 2] 일본 특허 공개 평10-280473호 공보
본 발명은 트랙터 등의 주행 차량에 프론트 로더 등의 작업기를 구비한 작업차에 관한 것이다.
종래, 트랙터의 전방부에 프론트 로더를 구비한 작업차가 있다.
이 작업차에 있어서는, 트랙터 차체의 전방부 측방에 메인 프레임을 구비한다. 프론트 로더는 후단부측이 상기 메인 프레임의 상부에 피봇 지지 연결되어 상하 요동 가능하게 한 붐과, 이 붐을 요동시키는 붐 실린더와, 상기 붐의 전단부측에 피봇 지지 연결되어 요동 가능하게 된 버킷과, 이 버킷을 요동시키는 버킷 실린더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상기 작업차에 있어서는 붐 실린더를 제어하는 붐용 제어 밸브와, 버킷 실린더를 제어하는 버킷용 제어 밸브를 구비한 컨트롤 밸브를 구비하고, 이들 붐용 제어 밸브의 스풀과 버킷용 제어 밸브의 스풀을 1개의 조작 레버로 조작하도록 하고 있다.
상기 작업차에 있어서, 차체 상에 마련된 운전석의 측방 근방에 조작 레버를 마련하고, 이 조작 레버의 하방측의 차체 측방에 컨트롤 밸브를 마련하는 것이 사료되고 있다.
조작 레버와 컨트롤 밸브를 상하로 배치할 경우, 조작 레버의 대략 바로 아래 위치에 컨트롤 밸브를 배치하면, 조작 레버측과 컨트롤 밸브의 스풀측을 똑바른 링크에 의해 연동 연결할 수 있어 조작 레버와 컨트롤 밸브의 스풀을 연동 연결하는 연동 기구를 간소화할 수 있다. 그러나, 조작 레버의 조작성이나 조작 레버 및 컨트롤 밸브의 배치 장소의 형편으로부터, 조작 레버의 대략 바로 아래 위치에 컨트롤 밸브를 배치하는 것이 곤란하다. 이로 인해, 조작 레버와 컨트롤 밸브 등이 전후 방향 및 좌우 방향에 관해 위치 어긋나게 하여 배치될 경우가 있다.
한편, 운전석의 측방에는 후륜 펜더나 포지션 컨트롤 레버, 액셀러레이터 레버 등의 레버류나 상기 레버류의 지지 부재 등의 장해물(간섭물)이 있다. 이로 인해, 상기 장해물을 피하기 위해 조작 레버와 스풀을 연동 연결하는 연동 기구의 도중에 링크와 링크를 중계하는 중계부를 몇 군데에 마련되어야만 하여, 조작 레버와 스풀을 연동 연결하는 연동 기구가 복잡화된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해소한 작업차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작업차의 특징 구성은,
차체(7) 상에 마련된 운전석(16)의 측방에 요동 조작 가능하게 마련되는 작업기(3)를 조작하는 조작 레버(49)와,
차체의 측방에 마련되고, 작업기를 구동하는 액츄에이터(32, 33)를 제어하는 컨트롤 밸브(52)와,
조작 레버와 컨트롤 밸브(52)의 스풀(54, 55)을 연동 연결하고, 조작 레버의 요동을 스풀에 전달하는 연동 링크(56, 57)를 포함하는 작업기를 구비한 작업차이며,
상기 조작 레버와 상기 스풀이, 상기 차체의 좌우 방향 및 전후 방향에 있어서 위치 어긋나게 하여 배치되고, 또한 상기 연동 링크가 절곡 형성되고, 상기 연동 링크의 일단부가 상기 조작 레버에 연결된 제1 링크 연결부에 연결되는 동시에, 상기 연동 링크의 타단부가 상기 스풀에 연결된 제2 링크 연결부에 연결된다.
본 구성에 따르면, 조작 레버측의 링크 연결부와 컨트롤 밸브의 스풀을 연동 연결하는 연동 링크를 절곡함으로써 상기 연동 링크의 하단부측을 스풀의 근방에 위치시키고 있다. 이로 인해, 링크 연결부와 스풀이 좌우 방향 및 전후 방향에 관해 위치 어긋나게 하고 또한 링크 연결부와 스풀 사이에 장해물이 있는 경우라도, 상기 장해물을 피해 1개의 연동 링크에서 링크 연결부와 스풀을 연동 연결할 수 있어 조작 레버와 스풀을 연동 연결하는 연동 기구의 간소화를 도모할 수 있다.
상술의 작업차에 있어서, 상기 제2 링크 연결부가 피봇축 주위에 요동 가능한 요동 아암이며, 상기 요동 아암의 요동에 의해 상기 스풀이 직선 이동하도록 구성하면 적합하다.
예를 들어, 스풀에 상기 제2 링크 연결부를 형성하고, 상기 제2 링크 연결부에 상기 굽힘 가공한 1개의 연동 링크를 접속할 경우, 스풀과 밸브 본체 사이에서 어긋남이 생길 경우가 있다. 한편, 본 구성에 따르면, 연동 링크의 하단부측을 피봇축 주위에 요동 가능한 요동 아암에 피봇 지지 연결하고, 이 요동 아암의 요동에 의해 스풀이 직선 이동하게 된다. 이로 인해, 좌우 방향 및 전후 방향에 관해 위치 어긋하게 한 링크 연결부와 스풀을 굽힘 가공한 1개의 연동 링크를 이용하여 연동 연결한 것이라도, 스풀과 밸브 본체 사이에서 어긋남이 생기는 일이 없다.
또한, 상술의 작업차가, 흙 흘림 방지 수단을 더 구비하고, 이 흙 흘림 방지 수단은 상기 작업기에 마련된 버킷이 소정 각도를 초과하여 상기 운전석의 측으로 기울면, 상기 버킷의 움직임을 상기 요동 아암에 전달하는 동시에, 상기 요동 아암을 거쳐서 상기 버킷 조작용의 스풀을 조작하여 상기 버킷의 동작을 정지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또한, 상기 흙 흘림 방지 수단은 요동 아암의 근방에 지지축 주위에 요동 가능하게 마련된 연동 부재와, 상기 버킷의 움직임을 상기 연동 부재에 피드백하는 피드백 기구를 갖고, 상기 연동 부재가 요동 아암의 결합부에 결합하여 상기 요동 아암을 요동시키도록 구성되면 적합하다.
본 구성에 의해, 버킷이 소정 각도 이상, 운전석측에 기우는 것이 방지되므로, 버킷에 의해 퍼올려진 흙이 운전자의 측으로 흘러 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13에 있어서, 부호 1은 트랙터(주행 차량)(2)의 전방부에 프론트 로더(3)를 장착하는 동시에 트랙터(2)의 후방부에 백호우(Drag shovel)(4)를 장착하여 이루어지는 TLB라 불리우는 작업차이다.
상기 트랙터(2)는 좌우 한 쌍의 전륜(5)과, 좌우 한 쌍의 후륜(6)으로 차체(7)를 주행 가능하게 지지한 2축 4륜형의 트랙터(2)이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트랙터(2)의 차체(7)는, 도1 및 도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엔진(8)의 후방부에 클러치 하우징(또는 플라이휠 하우징)(9), 센터 프레임(10), 미션 케이스(11), 차동 케이스(12)를 차례로 연결하여 구성되어 있다.
클러치 하우징(9)과 미션 케이스(11)를 연결하는 상기 센터 프레임(10)은 판재를 조합하여 이루어지는 판금제이다. 엔진(8)으로부터의 동력은 센터 프레임(10) 내를 통하는 전동축(19)을 거쳐서 클러치 하우징(9)으로부터 미션 케이스(11)에 전달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엔진(8)의 좌우 측면 하부에는, 상기 엔진(8)으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는 전차축(Front axle) 프레임(13)이 볼트 고정되어 있고, 이 전차축 프레임(13)에 배터리, 라디에이터, 연료 탱크 등이 지지되고, 이들 엔진(8), 배터리, 라디에이터, 연료 탱크 등은 보닛(14)에 의해 덮여져 있다.
차체(7)의 후방부의 좌우 양측에는 좌우 후륜(6)의 좌우 방향 내측을 피복하는 후륜 펜더(15)가 마련되고, 좌우 후륜 펜더(15) 사이에는 운전석(16)이 전방 자세와 후방 자세로 자세 변경 가능하게 배치되고, 이 운전석(16)은 트랙터(2)의 차체(7) 상에 시트 지지 장치(17) 등을 거쳐서 지지되어 있고(도3 참조), 상기 운전 석(16)의 전방에는 스티어링 핸들(18)이 마련되어 있다.
차체(7)에는 트랙터(2)에 프론트 로더(3)와 백호우(4)를 장착하기 위한 작업기 장착 프레임(21)이 마련되어 있다.
이 작업기 장착 프레임(21)은 차체(7)의 좌우 양측에 배치된 판재로 이루어지는 메인 프레임(22)을 구비하고 있고, 이 좌우 각 메인 프레임(22)의 전방부에는 좌우 방향의 축심을 갖는 원통형의 지지대(23)의 좌우 방향 내측이 좌우 방향으로 관통되어 용접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좌우 각 지지대(23)의 좌우 방향 내단부측에는 설치 브래킷(24)이 전방을 향해 돌출되도록 용접 등에 의해 고정되고, 이 좌우 설치 브래킷(24)은 클러치 하우징(9)의 하방측에 위치하는 연결 부재(25)로 서로 연결되어 있는 동시에 상기 전차축 프레임(13)의 좌우 방향 외측면에 볼트 등에 의해 설치 고정되어 있다.
이에 의해, 작업기 장착 프레임(21)의 전방부가 차체(7)에 설치되어 있다.
작업기 장착 프레임(21)의 후방부는 좌우의 메인 프레임(22)이 차동 케이스(12)측에 볼트 고정됨으로써, 차체(7)에 설치되어 있다.
좌우 각 지지대(23)의 좌우 방향 외단부측에는, 각 지지대(23)로부터 상방 돌출 형상으로 고정된 마스트(26)가 마련되고, 상기 좌우의 마스트(26)가 프론트 로더(3)가 설치되는 로더 설치부로 되어 있다.
또한, 좌우의 각 메인 프레임(22)의 후방부에 백호우(4)가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백호우 설치부(27)가 마련되어 있다.
프론트 로더(3)는, 도13, 도15 및 도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단부측이 좌우 각 마스트(26)의 상부에 붐 피봇축(28)을 거쳐서 좌우 방향의 축심 주위에 회전 가능하게 피봇 지지 연결된 붐(29)과, 배면측 하부가 좌우 붐(29)의 전단부측에 버킷 피봇축(30)을 거쳐서 좌우 방향의 축심 주위에 회전 가능하게 피봇 지지 연결된 버킷(31)을 갖는다.
또한, 버킷(31)은 정면측이 개구 형상으로 된 토사 수용 공간을 구비하고 있다.
좌우의 각 붐(29)은 좌우 방향에서 동일한 측에 있는 마스트(26)와 붐(29) 사이에 개재 장착된 붐 실린더(32)(액츄에이터)의 신축에 의해 붐 피봇축(28) 주위에 상하 요동되고, 버킷(31)은 좌우 각 붐(29)과 버킷(31) 사이에 개재 장착된 버킷 실린더(33)(액츄에이터)의 신축에 의해 퍼올림ㆍ댐프 동작[버킷 피봇축(30) 주위에 상하 요동]된다.
이들 좌우의 붐 실린더(32) 및 버킷 실린더(33)는 유압 실린더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붐 실린더(32)는 각 붐(29)의 후방부 하방측에 배치되고, 버킷 실린더(33)는 각 붐(29)의 전방부 상방측에 배치되어 있다.
붐 실린더(32)의 실린더 로드 선단부측은 마스트(26)의 상하 방향 중도부에 좌우 방향의 축심 주위에 회전 가능하게 피봇 지지 연결되고, 상기 붐 실린더(32)의 하부측 단부는 붐(29)의 길이 방향 중도부에 좌우 방향의 축심 주위에 회전 가능하게 피봇 지지 연결되어 있다.
버킷 실린더(33)의 하부측 단부는 붐(29)의 길이 방향 중도부에 핀(34)을 통해 좌우 방향의 축심 주위에 회전 가능하게 피봇 지지 연결되고, 상기 버킷 실린 더(33)의 실린더 로드의 선단부측에는 제1 링크(36)와 제2 링크(37)의 일단부가 핀(38)을 통해 좌우 방향의 축심 주위에 회전 가능하게 피봇 지지 연결되어 있다.
제1 링크(36)의 타단부는 버킷(31) 배면의 상기 버킷 피봇축(30)의 상방측에 핀(39)을 통해 좌우 방향의 축심 주위에 회전 가능하게 피봇 지지 연결되고, 제2 링크(37)의 타단부측은 붐(29) 전단부측의 상기 버킷 피봇축(30)의 후방측에 핀(40)을 통해 좌우 방향의 축심 주위에 회전 가능하게 피봇 지지 연결되어 있다.
백호우(4)는, 도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작업기 장착 프레임(21)의 후방부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베이스(41)와, 이 베이스(41)의 후방부에 상하축 주위에 좌우 요동 가능하게 지지된 스윙 브래킷(42)과, 이 스윙 브래킷(42)의 하부측에 좌우 방향의 축심 주위에 회전 가능하게 피봇 지지 연결된 붐(43)과, 이 붐(43)의 선단부측에 좌우 방향의 축심 주위에 회전 가능하게 피봇 지지 연결된 아암(44)과, 이 아암(44)의 선단부측에 회전 가능하게 피봇 지지 연결된 버킷(45)과, 베이스(41)의 좌우 양측에 구비된 아우트리거(Outrigger)(도시 생략)를 갖는다.
스윙 브래킷(42)은 베이스(41)와 스윙 브래킷(42) 사이에 개재 장착된 스윙 실린더의 신축에 의해 좌우 요동되고, 붐(43)은 스윙 브래킷(42)과 붐(43) 사이에 개재 장착된 붐 실린더(46)의 신축에 의해 상하 요동되고, 아암(44)은 붐(43)과 아암(44) 사이에 개재 장착된 아암 실린더(47)의 신축에 의해 상하 요동되고, 버킷(45)은 버킷(45)과 아암(44) 사이에 개재 장착된 버킷 실린더(48)의 신축에 의해 퍼올림ㆍ댐프 동작되고, 좌우의 아우트리거는 아우트리거와 베이스(41) 사이에 개재 장착된 아우트리거 실린더에 의해 각각 상하 요동된다.
도1 내지 도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붐(29) 및 버킷(31)을 요동 조작하는 조작 레버(이를 로더 조작 레버라 함)(49)는 운전석(16)의 측방 근방, 구체적으로는 운전석(16)의 전방부측의 우측방 또한 후륜 펜더(15)의 전방부 상방측에 배치되어 있다.
이 로더 조작 레버(49)의 후방측에는 포지션 컨트롤 레버(50) 및 액셀러레이터 레버(51) 등이 배치되어 있다.
또한, 포지션 컨트롤 레버(50)는 백호우(4)를 제거하여 로터리 경운기 등의 작업기를 3점 링크 등에 의해 승강 가능하게 장착한 경우에, 상기 작업기의 포지션 컨트롤을 하기 위한 것이며, 액셀러레이터 레버(51)는 트랙터(2)의 속도를 조절하기 위한 것이다.
붐 실린더(32) 및 버킷 실린더(33)를 제어하는 컨트롤 밸브(52)는 로더 조작 레버(49)의 하방측의 차체(7) 측방[미션 케이스(11)의 후방부 우측방으로 우측의 메인 프레임(22)의 좌우 방향 내측]에 배치되고, 구체적으로는 운전석(16)의 전방부측 또한 우측부의 하방측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컨트롤 밸브(52)는 차체(7)의 상방측을 피복하는 커버 부재(53)의 내측(하측)에 수납 형상으로서 배치되어 있다.
이 컨트롤 밸브(52)는 붐 실린더(32)를 제어하는 붐용 제어 밸브와, 버킷 실린더(33)를 제어하는 버킷용 제어 밸브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이들 제어 밸브는 직동(直動) 스풀형 절환 밸브에 의해 구성되고, 스풀(54, 55)이 상하 방향으로 미끄럼 이동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동시에, 상기 스풀(54, 55)이 상방 돌출 형상으로서 마련되어 있다.
또한, 이들 붐용 제어 밸브와 버킷용 제어 밸브는 전후로 배치되고,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전방측이 붐용 제어 밸브이며, 후방측이 버킷용 제어 밸브로 되어 있다.
로더 조작 레버(49)와 붐용 제어 밸브의 스풀(54)은 연동 링크(56)(이를 붐용 연동 링크라 함)에 의해 연동 연결되고, 로더 조작 레버(49)와 버킷용 제어 밸브의 스풀(55)은 연동 링크(57)(이를 버킷용 연동 링크라 함)에 의해 연동 연결되어 있다.
또한, 상기 연동 링크(56, 57)는 중실의 봉재 또는 파이프재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로더 조작 레버(49)는 전후 및 좌우로 요동 조작 가능하게 되고, 상기 로더 조작 레버(49)를 좌우 요동함으로써 버킷 실린더(33)가 신축 동작되고, 로더 조작 레버(49)를 전후 요동함으로써 붐 실린더(32)가 신축 동작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버킷 조작에 있어서는 로더 조작 레버(49)를 좌측 요동시키면 버킷용 제어 밸브의 스풀(55)이 인상되어 버킷(31)이 퍼올림 동작(상방 요동)되고, 로더 조작 레버(49)를 우측 요동시키면 버킷용 제어 밸브의 스풀(55)이 압하되어 버킷(31)이 댐프 동작(하방 요동)된다.
또한, 붐 조작에 있어서는, 예를 들어 로더 조작 레버(49)를 전방 요동시키면 붐용 제어 밸브의 스풀(54)이 압하되어 붐(29)이 하방 요동되고, 로더 조작 레버(49)를 후방 요동시키면 붐용 제어 밸브의 스풀(54)이 인상되어 붐(29)이 상방 요동된다.
컨트롤 밸브(52)는, 그 좌우 방향 내측에 배치된 판재로 이루어지는 밸브 스테이(58)에 설치 고정되어 있고, 이 밸브 스테이(58)는 상기 밸브 스테이(58)의 좌우 방향 내측의 하부에 배치되어 있고 차체(7)측[미션 케이스(11) 및 차동 케이스(12)]에 설치된 판재로 이루어지는 밸브 서포트(59)에 설치 고정되어 있다.
밸브 스테이(58)는, 그 상부의 좌우 방향 외면측에 컨트롤 밸브(52)의 상면측에 위치하는 지지벽(60)을 좌우 방향 외측 돌출 형상으로 구비하고 있고, 각 스풀(54, 55)은 상기 지지벽(60)을 관통하여 상방으로 돌출하고 있다.
이 지지벽(60)의 후단부에는 지지편(61)이 상방 돌출 형상으로 고정되고, 이 지지편(61)에 액셀러레이터 레버(51)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축(62)이 고정 부착되어 있다.
또한, 이 지지벽(60)의 상면측에는 레버 스테이(63)의 하단부측의 설치벽(63a)이 스풀(54, 55)을 피해 설치 고정되어 있다.
레버 스테이(63)는 설치벽(63a)의 좌우 방향 외단부측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된 후, 전방측 경사 상방으로 연장되는 측벽(63b)을 구비하고 있고, 이 측벽(63b)의 상단부측에 로더 조작 레버(49)의 하단부측이 요동 조작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상기 밸브 서포트(59), 밸브 스테이(58) 및 레버 스테이(63)로 로더 조작 레버(49) 및 컨트롤 밸브(52)를 차체(7)에 대해 설치하는 부착 프레임을 구성하고 있고, 이 부착 프레임에 로더 조작 레버(49) 및 컨트롤 밸브(52)를 조립한 상태에서 차체(7)에 설치 고정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로더 조작 레버(49)의 하단부측은 직방체 형상의 블록 부재(64)의 상면에 고정 부착되어 있는 동시에, 상기 로더 조작 레버(49)의 하단부측은 후륜 펜더(15)의 상면에 마련된 커버 패널(65)에 의해 덮여져 있다.
상기 레버 스테이(63)에는 그 측벽(63b) 상부의 좌우 방향 외면측 후방부에, 좌우 방향 외측으로 돌출 형상으로 레버 지지벽(63c)이 마련되고, 이 레버 지지벽(63c)의 좌우 방향 외단부측에는 전후 방향의 축심을 갖는 서포트 통(67)이 고정 부착되어 있다.
이 서포트 통(67)에는 링크 스테이(68)가 전후 방향의 축심 주위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이 링크 스테이(68)는 서포트 통(67)에 피봇축(69)을 거쳐서 전후 방향의 축심 주위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후방벽(68a)과, 이 후방벽(68a)의 좌우 양측으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는 측벽(68b)과, 우측(좌우 방향 외측)의 측벽(68b)의 전단부측으로부터 좌우 방향 외측(우측)으로 연장되는 링크 연결부(68c)(이를 버킷용 링크 연결부라 함)로 구성되어 있다.
이 링크 스테이(68)의 좌우 측벽(68b) 사이에 상기 블록 부재(64)가 배치되고, 상기 블록 부재(64)는 링크 스테이(68)의 좌우 측벽(68b)에 피봇축(70)을 거쳐서 좌우 방향의 축심 주위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상기 버킷용 링크 연결부(68c)에 버킷용 연동 링크(57)의 상단부측에 마련된 커플링 부재(71)가 전후 방향의 축심 주위에 회전 가능하게 피봇 지지 연결되고, 상기 블록 부재(64)의 전방면측에 마련된 링크 연결부(72)(이를 붐용 링크 연결부 라 함)에 붐(29)용 연동 링크의 상단부측에 마련된 볼 커플링 부재(73)가 전후 방향의 축심 주위에 회전 가능하게 피봇 지지 연결되어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해, 로더 조작 레버(49)가 전후 좌우로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로더 조작 레버(49)를 좌우로 요동시킴으로써 링크 스테이(68)가 전후 축 주위에 회전하여 버킷용 연동 링크(57)가 상하 이동되고, 로더 조작 레버(49)를 전후로 요동시킴으로써 블록 부재(64)가 좌우 축 주위에 회전하여 붐용 연동 링크(56)가 상하 이동된다.
또한, 로더 조작 레버(49)를 피봇 지지하는 피봇 지지부에는 로더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 있어서, 로더 조작 레버(49)를 조작 불가능하게(그 전후 및 좌우의 요동을 저지하도록) 로크하는 레버 로크 기구(74)가 마련되어 있다.
이 레버 로크 기구(74)는 로크핀(75)과, 이 로크핀(75)을 조작하는 로크 레버(76)와, 이 로크 레버(76)를 로크 위치와 비로크 위치에 계지하는 레버 계지판(77)과, 로더 조작 레버(49)를 로크하기 위해 상기 로크핀(75)을 삽입 관통시키는 로크 통(78)을 구비하고 있다.
로크 통(78)은 블록 부재(64)의 상면측에서 로더 조작 레버(49)의 전방면측에 축심을 좌우 방향으로 일치시켜 고정 부착되어 있다.
이 로크 통(78)의 좌측에는 가이드 통(79)이 동심 형상으로 배치되고, 이 가이드 통(79)은 상기 레버 지지벽(63c)으로부터 전방측 경사 상방으로 돌출 형상으로 마련된 지지 스테이(80)에 고정 부착되어 있다.
로크핀(75)은 이 가이드 통(79)에 좌우 방향 이동 가능하게 삽입 관통 지지 되어 있고, 상기 로크핀(75)을 좌우 이동시킴으로써, 로크 통(78)에 삽입 관통한 로크 위치와 로크 통(78)으로부터 탈거한 비로크 위치로 위치 변경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로크핀(75)은 그 좌단부측이 설치 부재(81)의 좌측벽(81a)에 고정 부착되고, 이 설치벽(81)의 정면벽(81b)에는 로크 레버(76)가 전방 돌출 형상으로 고정 부착되어 있고, 이 로크 레버(76)에 의해 로크핀(75)이 좌우로 이동 조작 가능하게 되어 있다.
레버 계지판(77)은 레버 스테이(63)의 측벽(63b) 상부의 좌우 방향 외면측 전방부에, 좌우 방향 외측으로 돌출 형상으로 마련되고, 그 상부에 로크 위치와 비로크 위치에 있어서 로크 레버(76)를 끼워 맞추어 로크핀(75)을 위치 결정하는 계지 홈(82)이 마련되어 있다.
또한, 로크 레버(76)는 도시 생략의 스프링에 의해 계지 홈(82)에 끼워 맞추는 방향으로 압박되어 있다.
상기 구성의 레버 로크 기구(74)에 있어서는 로크핀(75)이 로크 통(78)으로부터 탈거된 상태에서는, 로크 레버(76)는 좌측의 계지 홈(82)에 끼워 맞추어져 위치 결정되고, 이때 로더 조작 레버(49)의 조작을 자유롭게 행할 수 있다.
로크 레버(76)가 이 비로크 위치에 있을 때에 있어서, 스프링의 압박력에 대항해 로크 레버(76)를 인상하여 좌측의 계지 홈(82)으로부터 이탈시키고, 그 후에 로크핀(75)을 우측으로 이동시켜 로크 통(78)에 삽입 관통하는 동시에 로크 레버(76)를 우측의 계지 홈(82)에 끼워 맞추게 되면, 로더 조작 레버(49)가 전후 좌 우로 요동 조작 불가능하게 로크된다.
본 실시 형태의 작업차(1)에 있어서는, 로더 조작 레버(49)를 후륜 펜더(15)의 내측에 배치하면 운전석(16)의 자세 변경 동작의 방해물이 되므로, 상기 로더 조작 레버(49)는 후륜 펜더(15)의 상방에 배치되고, 또한 후륜 펜더(15)의 하방측에는 후륜(6)이 위치하고 있으므로, 컨트롤 밸브(52)를 로더 조작 레버(49)의 바로 아래에는 배치할 수 없고, 이로 인해 상기 컨트롤 밸브(52)는 후륜 펜더(15)의 좌우 방향 내측에 배치되어 있고, 로더 조작 레버(49)와 컨트롤 밸브(52)는 좌우 방향에 관해 위치 어긋나게 하여 배치되어 있다.
또한, 로더 조작 레버(49)의 후방측에는 포지션 컨트롤 레버(50) 및 액셀러레이터 레버(51)가 배치되어 있으므로 로더 조작 레버(49)를 도시한 예의 위치보다 후방으로 배치할 수 없다. 또한, 컨트롤 밸브(52)를 전후 방향에 관해 로더 조작 레버(49)와 대략 같은 위치에 위치시키기 위해 도시한 예의 위치보다도 전방측에 위치시키면, 상기 컨트롤 밸브(52)가 스텝 부분(운전자의 발 간격 부분)을 침식하게 되므로, 컨트롤 밸브(52)를 도시한 예의 위치보다도 전방측으로 이동시킬 수는 없다.
이로 인해, 로더 조작 레버(49)와 컨트롤 밸브(52)는 전후 방향에 관해서도 위치 어긋나게 하고 있다.
즉, 로더 조작 레버(49)와 컨트롤 밸브(52)는 전후 방향 및 좌우 방향에 관해 위치 어긋나게 하고 있다[연동 링크(56, 57)의 상단부측이 연동 연결되는 로더 조작 레버(49)측의 링크 연결부(72, 68c)와, 연동 링크(56, 57)의 하단부측이 연동 연결되는 컨트롤 밸브(52)의 스풀(54, 55)이 좌우 방향 및 전후 방향에 관해 위치 어긋나게 하고 있다].
또한, 로더 조작 레버(49)측의 링크 연결부(72, 68c)와 컨트롤 밸브(52)의 스풀(54, 55) 사이에는 후륜 펜더(15)나 포지션 컨트롤 레버(50), 액셀러레이터 레버(51) 등의 장해물이 있다.
따라서, 로더 조작 레버(49)측의 링크 연결부(72, 68c)와 컨트롤 밸브(52)의 스풀(54, 55)을 직선 형상의 링크를 사용하여 직접 연동 연결할 수 없다. 또한, 상기 장해물을 피하기 위해, 로더 조작 레버(49)와 스풀(54, 55)을 연동 연결하는 연동 기구의 도중에 링크와 링크를 중계하는 중계부를 몇 군데에 마련하면 구조의 복잡화를 초래한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1개의 연동 링크(56, 57)를 절곡 가공함으로써, 로더 조작 레버(49)측의 링크 연결부(72, 68c)로부터 컨트롤 밸브(52)의 스풀(54, 55)의 근방에 걸쳐서, 1개의 연동 링크(56, 57)를 상기 장해물을 피해 배치하고 있다.
이에 의해, 로더 조작 레버(49)측의 링크 연결부(72, 68c)와 컨트롤 밸브(52)의 스풀(54, 55)을 연동 연결하는 연동 기구의 간소화를 도모하고 있다.
한편, 붐용 제어 밸브의 스풀(54)의 근방에는, 상기 붐용의 스풀(54)을 눌러 빼내는 붐용의 요동 아암(83)이 배치되고, 버킷용 제어 밸브의 스풀(55)의 근방에는 버킷용의 스풀(55)을 압인하는 버킷용의 요동 아암(84)이 배치되어 있다.
이들 요동 아암(83, 84)은 좌우 방향 외측을 향함에 따라서 전방으로 이행하 는 경사 형상으로 배치되고, 그 좌우 방향 내측(좌측)이 대응되는 제어 밸브의 스풀(54, 55)에 피봇 지지 연결되고, 좌우 방향 외측측(우측)에 보스(85)가 마련되고, 좌우 방향 중도부의 상부가 대응되는 연동 링크(56, 57)의 하단부측에 마련된 커플링 부재(86)가 피봇 지지 연결되어 있다.
보스(85)는 밸브 스테이(58)의 지지벽(60)에 세워 설치한 지지 스테이(87)에, 피봇축(88)을 거쳐서 전후 방향에 대해 좌측으로 경사진 축심 주위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한, 요동 아암(83, 84)의 좌측은 스풀(54, 55)의 상부에 마련된 홈에 삽입되고, 또한 상기 부분에 있어서 요동 아암(83, 84) 및 스풀(54, 55)에 핀(89)을 관통함으로써 요동 아암(83, 84)의 좌측이 스풀(54, 55)에 피봇 지지 연결되어 있고, 이 핀(89)을 삽입 관통하기 위해 요동 아암(83, 84)으로 형성된 핀 삽입 관통 구멍(90)은 수평 방향에 긴 구멍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로더 조작 레버(49)와 컨트롤 밸브(52)는 전후 방향 및 좌우 방향에 관해 위치 어긋나게 하고 있으므로, 굽힘 가공한 1개의 연동 링크(56, 57)의 하단부측을 직접 스풀(54, 55)에 피봇 지지 연결하면, 스풀(54, 55)과 밸브 본체 사이에서 어긋남이 생기지만, 본 실시 형태에서는 연동 링크(56, 57)의 하단부측을 요동 가능한 요동 아암(83, 84)에 피봇 지지 연결하는 동시에 상기 요동 아암(83, 84)에 스풀(54, 55)을 피봇 지지 연결하고, 또한 요동 아암(83, 84)으로 형성된 핀 삽입 관통 구멍(90)을 긴 구멍으로 함으로써, 전후 방향 및 좌우 방향에 관해 위치 어긋나게 하고 있는 로더 조작 레버(49)와 컨트롤 밸브(52)를 굽힘 가공한 1개의 연동 링 크(56, 57)로 연동 연결한 것이라도, 스풀(54, 55)이 직선 형상으로 미끄럼 이동하고, 상기 스풀(54, 55)과 밸브 본체 사이에서 어긋남이 생기는 일이 없다.
상기 버킷용의 요동 아암(84)의 좌측에는 결합부가 연장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작업차(1)에 있어서는 버킷(31)에 의해 퍼올려진 흙이, 버킷(31)이 기울어짐으로써 운전자측(후방측)에 흘러 넘치려고 할 때에, 버킷(31)의 움직임을 버킷용의 요동 아암(84)에 전해 상기 흙 흘림을 방지하도록 버킷 조작용의 스풀(55)을 조작하기 위해, 버킷용의 요동 아암(84)을 요동시키는 흙 흘림 방지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이 흙 흘림 방지 수단은 컨트롤 밸브(52)의 상방측에(요동 아암의 근방에) 지지축(94) 주위에 요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어 버킷(31)용의 요동 아암에 결합 가능한 연동 부재(92)와, 버킷(31)의 움직임을 상기 연동 부재(92)에 피드백시키는 피드백 기구(93)를 구비하고 있다.
연동 부재(92)는 판재로 구성되고, 스풀(54, 55)의 좌측에 전후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고, 그 전후 방향 중도부가 밸브 스테이(58)의 상부에 지지축(94)을 통해 좌우 방향의 축심 주위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연동 부재(92)의 후단부측(일단부측)의 압박부(92a)가 상하 요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연동 부재(92)의 압박부(92a)가 상기 버킷용의 요동 아암(84)의 결합부(91)의 상면에 결합(접촉) 가능하게 되어 있다.
피드백 기구(93)는, 도15 내지 도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쪽 붐(29)의 측면[본 실시 형태에서는 우측의 붐(29)의 좌우 방향 내측면]에 배치된 링크 기 구(95) 홈과, 이 링크 기구(95) 홈과 연동 부재(92)를 연동 연결하는 피드백 케이블(96)을 구비하고 있다.
링크 기구(95) 홈은 제1 내지 제3 피드백 링크(97 내지 99)를 구비하고 있다.
이 링크 기구(95) 홈의 제1 피드백 링크(97)는 붐(29)의 전방부측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제1 피드백 링크(97)의 전단부측은 버킷 요동용의 제2 링크(37)의 타단부측에 피봇 지지 연결되어 있고, 제1 피드백 링크(97)의 후단부측은 제1 중계 링크(100)의 일단부측에 피봇 지지 연결되어 있다.
제1 중계 링크(100)의 타단부측은 붐(29)의 측면에 마련된 지지축(101)에 좌우 방향의 축심 주위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제2 피드백 링크(98)는 제1 피드백 링크(97)의 후방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1 피드백 링크(97)의 전단부측은 상기 제1 중계 링크(100)의 일단부측에 피봇 지지 연결되고, 후단부측은 제2 중계 링크(102)의 일단부측에 피봇 지지 연결되어 있다.
이 제2 중계 링크(102)의 타단부측은 버킷 실린더(33)의 하부측을 피봇 지지하는 핀(34)과 동심 형상으로 마련된 지지축(103)에 좌우 방향의 축심 주위에 회전 가능하게 또한 버킷 실린더(33)는 상대 회전하도록 지지되어 있다.
제3 피드백 링크(99)는 제2 피드백 링크(98)의 후방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3 피드백 링크(99)의 전단부측은 상기 제2 중계 링크(102)와 일체 회전 가능하게 마련된 제3 중계 링크(104)의 선단부측에 피봇 지지 연결되고, 후단부측은 제4 중계 링크(105)의 일단부측에 피봇 지지 연결되어 있다.
이 제4 중계 링크(105)의 타단부측은 붐(29)을 피봇 지지하는 붐 피봇축(28)에 동심 형상으로 마련된 지지축(106)에 좌우 방향의 축심 주위에 회전 가능하게 또한 붐(29)과는 상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피드백 케이블(96)은 푸시풀 케이블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상기 피드백 케이블(96)의 내측 케이블의 일단부측은 커플링 부재(108)를 거쳐서, 제4 중계 링크(105)와 일체 회전하는 제5 중계 링크(107)에 피봇 지지 연결되고, 상기 내측 케이블(96A)의 타단부측은 커플링 부재(109)를 거쳐서 연동 부재(92)의 전단부측(타단부측)에 피봇 지지 연결되어 있다.
또한, 피드백 케이블(96)의 아우터 케이블(96B)의 일단부측은, 마스트(26)의 측면 상부의 제5 중계 링크(107)의 하방측에 마련된 케이블 고정부(110)에 설치 고정되고, 상기 아우터 케이블의 타단부측은 연동 부재(92)의 전단부측의 하방에 마련된 케이블 고정부(111)에 설치 고정되어 있다.
상기 구성의 흙 흘림 방지 수단에 있어서는 버킷 실린더(33)를 신장시켜 버킷(31)을 댐프 동작(하방 요동)시키면, 제2 링크(37)가 핀(40) 주위에 전방으로 요동하여 제1 피드백 링크(97)가 후방측으로 압박 이동된다.
제1 피드백 링크(97)가 후방측으로 압박 이동되면, 제1 중계 링크(100)를 거쳐서 제2 피드백 링크(98)가 후방측으로 압박 이동되는 동시에, 제2 중계 링크(102) 및 제3 중계 링크(104)를 거쳐서 제3 피드백 링크(99)가 후방측으로 압박 이동된다.
제3 피드백 링크(99)가 후방측으로 압박 이동되면, 제4 중계 링크(105) 및 제5 중계 링크(107)를 거쳐서 피드백 케이블(96)의 내측 케이블(96A)의 일단부측이 인상되고, 내측 케이블(96A)의 일단부측이 인상되면 상기 내측 케이블(96A)의 타단부측이 인하되어 연동 부재(92)의 후단부측이 상방으로 요동된다.
또한, 버킷 실린더(33)를 수축시켜 버킷(31)을 퍼올림 동작(상방 요동)시키면, 제2 링크(37)가 핀 주위에 후방으로 요동되어 제1 피드백 링크(97)가 전방측으로 연동된다.
제1 피드백 링크(97)가 전방측으로 연동되면, 제1 중계 링크(100)를 거쳐서 제2 피드백 링크(98)가 전방측으로 연동되는 동시에, 제2 중계 링크(102) 및 제3 중계 링크(104)를 거쳐서 제3 피드백 링크(99)가 전방측으로 연동된다.
제3 피드백 링크(99)가 전방측으로 연동되면, 제4 중계 링크(105) 및 제5 중계 링크(107)를 거쳐서 피드백 케이블(96)의 내측 케이블(96A)의 일단부측이 압하되고, 내측 케이블(96A)의 일단부측이 압하되면 상기 내측 케이블(96A)의 타단부측이 압하되어 연동 부재(92)의 후단부측이 하방으로 요동된다.
그리고, 이 흙 흘림 방지 수단에 있어서는 버킷(31)에 의해 통상의 퍼올림ㆍ댐프 동작을 행하고 있을 때에는, 연동 부재(92)는 버킷용의 요동 아암(84)의 결합부(91)에 접촉하는 일이 없으며, 로더 조작 레버(49)에 의한 버킷(31)의 조작을 저해하지 않지만, 버킷(31)에 의해 퍼올려진 흙이, 버킷(31)이 후방측에 기울어짐으로써 후방측(운전자측)에 흘러 넘칠 때에는, 연동 부재(92)의 후단부측이 버킷(31)용의 요동 아암의 결합부에 접촉하여 흙 흘림을 방지하도록 버킷용의 스풀(55)을 압하하고, 버킷(31)에 의해 퍼올려진 흙이 운전자측에 흘러 넘치는 것을 방지한다.
도18은 붐(29)이 상하 요동 범위의 중도부에 위치한 상태와, 가장 상승한 위치를 도시한다.
이 도18에 있어서, 하측의 붐(29) 및 버킷(31)의 상태는 버킷(31)에 의해 흙을 퍼올려 붐(29)을 상방으로 요동시켜 가는 도중에 또한 버킷 실린더(33)를 가장 수축시켜 버킷(31) 정면의 개구면이 대략 수평하게 되는 상태이며, 이 상태에서 흙 흘림 방지 수단의 연동 부재(92)의 후단부측이 버킷용의 요동 아암(84)의 결합부(91)에 접촉한다. 이 상태로부터, 붐(29)을 더 상승시키면, 버킷(31)의 개구면이 후방측 하강 형상이 되도록 버킷(31)이 경사져 버킷(31) 내의 흙이 후방측으로 흘러 넘치려고 하지만, 이때 피드백 기구(93)에 의해 연동 부재(92)의 후단부측이 하방 요동되어 버킷(31)용의 요동 아암(84)의 결합부(91)가 압하되고, 이에 의해 버킷용의 스풀(55)이 압하되고 버킷(31)이 댐프 방향으로 요동되어 흙 흘림이 방지된다.
또한, 도18에 있어서 붐(29) 및 버킷(31)의 상측의 상태는 붐 실린더(32)를 가장 신장시킨 상태이며, 이 상태로부터 버킷 실린더(33)를 수축시켜 버킷(31)을 퍼올림 방향으로 요동시켜 가면, 버킷(31) 내의 흙이 후방측으로 흘러 넘치도록 버킷(31)이 경사진 전방에서 연동 부재(92)의 후단부측이 버킷(31)용의 요동 아암(84)의 결합부(91)를 압하하고 버킷(31)의 퍼올림 방향의 요동을 규제하여 흙 흘림이 방지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링크 연결부와 스풀이 좌우 방향 및 전 후 방향에 관해 위치 어긋나게 하고 또한 링크 연결부와 스풀 사이에 장해물이 있는 경우라도, 상기 장해물을 피해 1개의 연동 링크에서 링크 연결부와 스풀을 연동 연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차체(7) 상에 마련된 운전석(16)의 측방에 요동 조작 가능하게 마련되는, 작업기(3)를 조작하는 조작 레버(49)와,
    차체의 측방에 마련되고, 작업기를 구동하는 액츄에이터(32, 33)를 제어하는 컨트롤 밸브(52)와,
    조작 레버와 컨트롤 밸브(52)의 스풀(54, 55)을 연동 연결하고, 조작 레버의 요동을 스풀에 전달하는 연동 링크(56, 57)를 포함하는, 작업기를 구비한 작업차이며,
    상기 조작 레버(49)와 상기 스풀(54, 55)이, 상기 차체(7)의 좌우 방향 및 전후 방향에 대해 위치가 어긋나게 배치되고, 또한 상기 연동 링크(56, 57)가 절곡 형성되고, 상기 연동 링크의 일단부가 상기 조작 레버에 연결된 제1 링크 연결부(72, 68c)에 연결되는 동시에, 상기 연동 링크(56, 57)의 타단부가 상기 스풀에 연결된 제2 링크 연결부에 연결되는, 작업기를 구비한 작업차.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링크 연결부가 피봇축(88) 주위에 요동 가능한 요동 아암(84)이며, 상기 요동 아암(84)의 요동에 의해 상기 스풀(54, 55)이 직선 이동하는, 작업기를 구비한 작업차.
  3. 제2항에 있어서, 흙 흘림 방지 수단(92, 93)을 더 구비하고, 상기 흙 흘림 방지 수단(92, 93)은, 상기 작업기(3)에 마련된 버킷(31)이 소정 각도를 초과하여 상기 운전석(16) 측으로 기울면, 상기 버킷(31)의 움직임을 상기 요동 아암(84)에 전달하는 동시에, 상기 요동 아암(84)을 거쳐서 상기 버킷 조작용의 스풀(55)을 조작하여 상기 버킷(31)의 동작을 정지하는, 작업기를 구비한 작업차.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흙 흘림 방지 수단(92, 93)은 요동 아암(84)의 근방에 지지축(94) 주위에 요동 가능하게 마련된 연동 부재(92)와, 상기 버킷(31)의 움직임을 상기 연동 부재(92)에 피드백하는 피드백 기구(93)를 갖고, 상기 연동 부재(92)가 요동 아암(84)의 결합부(91)에 결합하여 상기 요동 아암(84)을 요동시키는, 작업기를 구비한 작업차.
KR1020070024242A 2006-07-19 2007-03-13 작업차 KR10085418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197373A JP2008025161A (ja) 2006-07-19 2006-07-19 作業車
JPJP-P-2006-00197373 2006-07-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8210A KR20080008210A (ko) 2008-01-23
KR100854187B1 true KR100854187B1 (ko) 2008-08-26

Family

ID=389701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24242A KR100854187B1 (ko) 2006-07-19 2007-03-13 작업차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7617620B2 (ko)
JP (1) JP2008025161A (ko)
KR (1) KR10085418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6864B1 (ko) 2007-08-27 2010-10-08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선회 작업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25161A (ja) 2006-07-19 2008-02-07 Kubota Corp 作業車
JP2008082128A (ja) * 2006-09-29 2008-04-10 Kubota Corp ローダ作業機
JP4983250B2 (ja) * 2006-12-27 2012-07-25 井関農機株式会社 トラクタの外部油圧取出装置
JP4996344B2 (ja) * 2007-05-30 2012-08-08 株式会社クボタ 作業車の操作構造
JP5044493B2 (ja) * 2008-07-14 2012-10-10 株式会社クボタ 作業車の作業部操作装置
JP5132635B2 (ja) * 2009-07-09 2013-01-30 株式会社クボタ フロントローダ
US8469058B2 (en) 2009-10-05 2013-06-25 Kubota Corporation Work vehicle having hydraulic apparatus
JP5162019B1 (ja) * 2011-10-28 2013-03-13 株式会社小松製作所 操作レバーロック装置
US10940901B2 (en) * 2015-07-07 2021-03-09 Yanmar Power Technology Co., Ltd. Tractor
JP6570440B2 (ja) * 2015-12-14 2019-09-04 株式会社クボタ 作業車
US10480156B2 (en) 2015-12-14 2019-11-19 Kubota Corporation Work vehicle
KR102566671B1 (ko) 2017-04-19 2023-08-11 클라크 이큅먼트 컴파니 로더의 기계적 구동 제어기
JP7125315B2 (ja) * 2018-09-27 2022-08-24 新明和工業株式会社 作業車両
WO2022113922A1 (ja) * 2020-11-27 2022-06-02 株式会社クボタ 作業機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80473A (ja) 1997-04-07 1998-10-20 Kubota Corp ブーム形作業機
JP2001140276A (ja) 1999-11-10 2001-05-22 Kubota Corp ローダ作業機
JP2003239323A (ja) 2002-02-15 2003-08-27 Kubota Corp 旋回作業機
JP2005054510A (ja) 2003-08-06 2005-03-03 Kubota Corp フロントローダの操作装置
US20080016976A1 (en) 2006-07-19 2008-01-24 Kubota Corporation Work vehicle

Family Cites Families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34881A (en) * 1968-08-06 1970-10-20 Case Co J I Linkage for positioning loader bucket
US3539068A (en) * 1968-09-26 1970-11-10 Case Co J I Antirollback mechanism
US3521781A (en) * 1968-09-26 1970-07-28 Case Co J I Anti-rollback mechanism
US3536216A (en) * 1968-11-18 1970-10-27 Baldwin Lima Hamilton Corp Bucket tilt control system for level-crowd type loaders
US3633436A (en) * 1970-10-09 1972-01-11 Deere & Co Single-lever actuated linkage for controlling the transmission and steering of a crawler tractor
US3893346A (en) * 1974-01-04 1975-07-08 Massey Ferguson Inc Articulately mounted fluid controls
US4018352A (en) * 1975-07-31 1977-04-19 J. I. Case Company Anti-rollback mechanism for material handling implement
US4041976A (en) * 1975-12-01 1977-08-16 Caterpillar Tractor Co. Single lever control arrangement for actuating multiple valves
US4085812A (en) * 1976-11-24 1978-04-25 Sundstrand Corporation Actuator system for dual path transmission
US4389151A (en) * 1980-01-26 1983-06-21 Massey-Ferguson Services N.V. Control lever arrangement
US4372729A (en) * 1980-07-21 1983-02-08 Veda, Inc. Tilt control
US4431364A (en) * 1982-06-21 1984-02-14 J. I. Case Company Self-leveling linkage assembly for material handling equipment
GB2183795B (en) * 1985-12-03 1989-10-04 Kubota Ltd Valve control structure for working vehicle
CA1282038C (en) * 1986-06-04 1991-03-26 Akio Hamada Device for removably attaching front loader to vehicle
CA1320696C (en) * 1987-08-12 1993-07-27 Isao Kourogi Apparatus for controlling posture of front loader
CA1298813C (en) * 1987-08-12 1992-04-14 Shoichiro Kawamura Apparatus for controlling posture of work implement of loader
CA1298815C (en) * 1987-09-10 1992-04-14 Isao Kourogi Apparatus for controlling posture of front loader
US5184932A (en) * 1988-09-19 1993-02-09 Kabushiki Kaisha Komatsu Seisakusho Linkage mechanism of a work implement
US5192179A (en) * 1991-05-24 1993-03-09 Geza Kovacs Lift arm and tilt linkage systems for load elevating vehicles
US5149023A (en) * 1991-07-12 1992-09-22 The Boeing Company Mechanically-linked side stick controllers with isolated pitch and roll control movement
US5232057A (en) * 1991-08-01 1993-08-03 Case Corporation Single lever multiple function control mechanism
US5316435A (en) * 1992-07-29 1994-05-31 Case Corporation Three function control system
JP3212205B2 (ja) * 1993-10-27 2001-09-25 株式会社小松製作所 装軌車両の操縦レバー装置
ATE192244T1 (de) * 1994-01-03 2000-05-15 Clark Material Handling Co Einhebelsteuervorrichtung mit mehreren funktionen für gabelstapler
US5501570A (en) * 1994-01-21 1996-03-26 Case Corporation Anti-rollback mechanism for a loader mechanism of an off-highway implement
US5429037A (en) * 1994-05-20 1995-07-04 Komatsu Dresser Company Three-function control mechanism employing a single control lever
US5553992A (en) * 1994-10-24 1996-09-10 New Holland North America, Inc. Controls for a skid steer loader
US5678979A (en) * 1995-08-01 1997-10-21 Kovacs; Geza Tilt linkage system for load elevating vehicles
JP3783189B2 (ja) * 1998-05-08 2006-06-07 株式会社小松製作所 ステアリング操作装置
FR2822483B1 (fr) * 2001-03-22 2003-07-18 Volvo Compact Equipment Sa Engin de travaux publics du type chargeuse
US7059422B2 (en) * 2004-04-26 2006-06-13 Bobby Gene Burgin Self-orienting loader bucket mechanism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80473A (ja) 1997-04-07 1998-10-20 Kubota Corp ブーム形作業機
JP2001140276A (ja) 1999-11-10 2001-05-22 Kubota Corp ローダ作業機
JP2003239323A (ja) 2002-02-15 2003-08-27 Kubota Corp 旋回作業機
JP2005054510A (ja) 2003-08-06 2005-03-03 Kubota Corp フロントローダの操作装置
US20080016976A1 (en) 2006-07-19 2008-01-24 Kubota Corporation Work vehicle
JP2008025161A (ja) 2006-07-19 2008-02-07 Kubota Corp 作業車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6864B1 (ko) 2007-08-27 2010-10-08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선회 작업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617620B2 (en) 2009-11-17
KR20080008210A (ko) 2008-01-23
US20080016976A1 (en) 2008-01-24
JP2008025161A (ja) 2008-0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54187B1 (ko) 작업차
KR100693978B1 (ko) 선회 작업기
JP4996344B2 (ja) 作業車の操作構造
US6990757B2 (en) Wheeled work vehicle
CA2541101C (en) Tractor
US7648001B2 (en) Speed shift arrangement for work vehicle
JP7346315B2 (ja) フロントローダ及び作業機
JP4056937B2 (ja) 作業機の操作装置
US8468905B2 (en) Operating device for control valve
JP4423269B2 (ja) 作業車の連係構造
JP4679404B2 (ja) 作業車
JP6903603B2 (ja) フロントローダ及び作業機
JP2007092284A (ja) 作業車
KR101229635B1 (ko) 조종 장치
JP4695467B2 (ja) トラクタの変速操作装置
KR100938946B1 (ko) 프론트 로더 및 이를 구비한 로더 작업기
JP3410359B2 (ja) 建設機械における油圧制御装置
JP5528152B2 (ja) 操縦装置
JP5722723B2 (ja) 作業車の油圧装置
JP4537939B2 (ja) トラクタの操作装置
KR20070030667A (ko) 작업차의 변속 조작 구조
JP2017048526A (ja) 作業機の取付ブラケット
JP4312116B2 (ja) フロントローダ装着トラクタ
JP6570440B2 (ja) 作業車
JP5479257B2 (ja) 作業車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0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8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