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29635B1 - 조종 장치 - Google Patents

조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29635B1
KR101229635B1 KR1020100061884A KR20100061884A KR101229635B1 KR 101229635 B1 KR101229635 B1 KR 101229635B1 KR 1020100061884 A KR1020100061884 A KR 1020100061884A KR 20100061884 A KR20100061884 A KR 20100061884A KR 101229635 B1 KR101229635 B1 KR 1012296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rocking
support member
pedal
sw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18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01956A (ko
Inventor
다이스께 요시다
마사루 구마따니
마사루 소에지마
히또시 이와무라
쇼오헤이 다나까
기요시 마쯔이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0034935A external-priority patent/JP5528152B2/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filed Critical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Publication of KR201100019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19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96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96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004Control mechanisms, e.g. control le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40Special vehicles
    • B60Y2200/41Construction vehicles, e.g. graders, excavators
    • B60Y2200/412Excav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12Hand levers
    • B62D1/14Tillers, i.e. hand levers operating on steering colum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2Hydraulic or pneumatic dri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Contro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조작 부재의 절첩 동작을 필요로 하지 않고, 조작 부재의 2방향 동시 조작을 규제할 수 있는 조종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서포트 부재(24)에 제1 조작 방향(A)으로 요동 가능하게 지지된 요동 브래킷(25)을 구비하고, 이 요동 브래킷(25)에 제2 조작 방향(B)으로 요동 가능하게 지지된 지지 부재(23)를 구비하고, 이 지지 부재(23)에 조작 부재(22)를 설치함으로써 상기 조작 부재(22)가 상기 제1 조작 방향(A)과 상기 제2 조작 방향(B)의 2방향으로 요동 조작 가능하게 된 조종 장치에 있어서, 상기 조작 부재(22)가 제1 조작 방향(A)으로 요동할 때에는 상기 조작 부재(22)의 제2 조작 방향(B)의 요동을 규제하고 또한 상기 조작 부재(22)가 제2 조작 방향(B)으로 요동할 때에는 상기 조작 부재(22)의 제1 조작 방향(A)의 요동을 규제하는 규제 수단을, 상기 서포트 부재(24)와 상기 지지 부재(23) 사이에 설치한다.

Description

조종 장치{OPERATING DEVICE}
본 발명은 제1 조작 방향과, 상기 제1 조작 방향으로 교차하는 제2 조작 방향의 2방향으로 요동 조작 가능한 조작 페달 등의 조작 부재를 구비한 조종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일례로서, 2방향으로 요동 조작 가능한 조작 부재로서의 조작 페달을 구비한 조종 장치가 특허 문헌 1에 개시되어 있고, 이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조종 장치는 백호(back hoe)에 장비되어 있다.
백호는 주행 장치 상에 상하 방향의 선회축 주위로 선회 가능하게 선회대를 탑재하고 있고, 이 선회대의 전방부에는 상하 방향의 축심 주위로 좌우 요동 가능한 스윙 브래킷이 설치되고, 이 스윙 브래킷은 유압 실린더에 의해 좌우로 요동 조작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스윙 브래킷에는 붐의 기단측이 피봇되고, 이 붐의 선단측에는 아암이 피봇되고, 이 아암의 선단측에는 버킷이 요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는 동시에 상기 버킷 대신에, 유압 브레이커 등의 유압 어태치먼트가 장착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백호에 장비된 2방향으로 조작 가능한 조작 페달은, 전후와 좌우의 2방향으로 요동 조작 가능하게 되어, 전후의 요동 조작으로 상기 유압 어태치먼트가 조작 가능하게 되고, 좌우의 요동 조작으로 상기 스윙 브래킷이 좌우로 요동 조작 가능하게 되어 있다.
상기 조작 페달은 지지 부재에 설치되고, 이 지지 부재는 서포트 부재에 전후로 요동 가능하게 지지된 요동 브래킷에, 좌우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조작 페달은 중앙 발판부로부터 좌우 양측으로 연장된 좌우의 발판부를 갖는 전방부 페달과, 이 전방부 페달측으로부터 후방측으로 연장 상태로 된 후방부 페달을 구비하고, 후방부 페달은 전방부 페달의 중앙 발판부 상에 절첩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조작 페달에 있어서는, 전후와 좌우를 동시에 조작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후방부 페달을 전방부 페달로부터 후방측으로 연장 상태로 된 전개 상태에서는, 후방부 페달에 설치한 결합부가 요동 브래킷에 설치한 피결합부에 결합함으로써, 조작 페달의 좌우의 요동 조작이 규제된 상태로 전후로 요동 조작 가능하게 되어, 후방부 페달을 전방부 페달 상에 절첩하면, 조작 페달을 좌우로 요동 조작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일본 특허 출원 공개 평9-13426호 공보
예를 들어, 상기 백호에 있어서, 스윙 브래킷의 요동 조작과, 유압 어태치먼트의 조작을 빈번하게 구분지어 사용하는 작업을 하는 경우, 후방부 페달의 절첩ㆍ전개 동작을 반복해서 행해야만 한다고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이 강구한 기술적 수단은, 서포트 부재에 제1 조작 방향으로 요동 가능하게 지지된 요동 브래킷을 구비하고, 이 요동 브래킷에 제2 조작 방향으로 요동 가능하게 지지된 지지 부재를 구비하고, 이 지지 부재에 조작 부재를 설치함으로써 상기 조작 부재가 상기 제1 조작 방향과 상기 제2 조작 방향의 2방향으로 요동 조작 가능하게 된 조종 장치에 있어서,
상기 조작 부재가 제1 조작 방향으로 요동할 때에는 상기 조작 부재의 제2 조작 방향의 요동을 규제하고 또한 상기 조작 부재가 제2 조작 방향으로 요동할 때에는 상기 조작 부재의 제1 조작 방향의 요동을 규제하는 규제 수단을, 상기 서포트 부재와 상기 지지 부재 사이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요동 브래킷을 요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요동 지지축의 상측에서, 상기 지지 부재가 상기 요동 브래킷에 피봇축을 통해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조작 부재는 상기 지지 부재의 상부의 상기 피봇축보다 상방측에 설치되고, 상기 규제 수단은 상기 피봇축의 하방측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규제 수단은 상기 지지 부재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지지 부재와 일체 요동하는 결합부와,
상기 서포트 부재에 설치되어 있고, 조작 부재를 제1 조작 방향 또는 제2 조작 방향의 한쪽의 조작 방향으로 요동 조작했을 때에 상기 결합부의 제1 조작 방향 또는 제2 조작 방향의 다른 쪽의 조작 방향의 움직임을 규제함으로써 조작 부재의 상기 다른 쪽의 조작 방향의 요동을 규제하는 규제부와,
이 규제부에 형성되어 있고, 조작 부재를 상기 다른 쪽의 조작 방향으로 요동 조작했을 때에 상기 다른 쪽의 조작 방향의 요동을 허용하고 또한 조작 부재의 상기 한쪽의 조작 방향의 요동을 규제하기 위해 상기 결합부가 삽입하는 요동 규제 가이드부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규제부는 상기 결합부를 사이에 두도록 상기 다른 쪽의 조작 방향에서 대향 상태로 하여 한 쌍 설치되고, 각 규제부에 요동 규제 가이드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결합부는 조작 부재를 요동 조작했을 때에, 규제부 또는 요동 규제 가이드부에 접촉함으로써 회전하는 적어도 1개의 회전 부재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한 쌍의 규제부는 제2 조작 방향에서 대향 상태로 되어, 이 규제부 사이에 제2 조작 방향의 축심을 갖는 요동 지지축을 설치하고,
상기 요동 브래킷은, 상기 요동 지지축에 축심 주위 회전 가능하게 외부 끼움된 제1 보스부와, 이 제1 보스부로부터 상방측으로 연장되는 아암부와, 이 아암부의 상단부측에 고정되어 있고 상기 제1 보스부의 축심과 직교하는 축심에 평행한 축심을 갖는 제2 보스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요동 브래킷의 제2 보스부에 축심 주위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피봇축의 일단부측에 상기 피봇축으로부터 상하로 연장 상태로 되고,
이 지지 부재의 상단부측에 조작 부재를 설치하고 또한 상기 지지 부재의 하단부측을 규제부 사이에 삽입하는 동시에 상기 지지 부재의 하단부측에 상기 결합부를 설치해도 좋다.
또한, 상기 요동 규제 가이드부를, 요동 지지축의 바로 아래로부터, 제1 조작 방향이고 또한 피봇축의 상기 일단부측에 위치 어긋나게 하여 형성해도 좋다.
또한, 상기 한 쌍의 규제부는 제1 조작 방향에서 대향 상태로 되고 또한 제2 조작 방향의 일단부측이 서포트 부재에 설치된 지지벽에 고착되고,
상기 지지벽에, 제2 조작 방향의 축심을 갖고 또한 규제부의 상방측에 위치하는 요동 지지축을 설치하고,
상기 요동 브래킷은, 상기 요동 지지축에 축심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또한 상기 요동 지지축으로부터 상방측으로 연장되는 제1 플레이트와, 이 제1 플레이트의 상부에 설치된 제2 플레이트와, 상기 요동 지지축의 상방측에 배치되어 상기 제2 플레이트에 고착되고 또한 제1 조작 방향의 축심을 갖는 통 부재를 구비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요동 브래킷의 통 부재에 축심 주위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피봇축에 고정되고,
이 지지 부재에, 피봇축의 상방측에 배치한 조작 부재를 설치하는 동시에 하부가 규제부 사이에 삽입된 지지 막대를 설치하여, 이 지지 막대의 하부에 상기 결합부를 설치해도 좋다.
또한, 상기 결합부는 조작 부재가 중립 위치에 위치하고 있는 상태로 피봇축의 바로 아래로부터 제2 조작 방향으로 위치 어긋나게 하고 있고,
상기 결합부는, 조작 부재를 중립 위치로부터 제2 조작 방향의 한쪽으로 요동 조작함으로써 제2 조작 방향의 다른 쪽으로 요동하여 올라가고, 조작 부재를 중립 위치로부터 제2 조작 방향의 다른 쪽으로 요동 조작함으로써 제2 조작 방향의 한쪽으로 요동하여 내려가도록 구성되고,
규제부의 높이를, 결합부가 중립 위치로부터 상기 다른 쪽으로 요동하는 측이 높고, 결합부가 중립 위치로부터 상기 한쪽으로 요동하는 측이 낮아지도록 형성하고,
요동 지지축을, 규제부의 높이가 낮은 측의 상방이고 또한 상기 규제부의 상단부 근방에 배치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조종 장치에 따르면, 종래와 같은 조작 페달의 절첩 동작을 필요로 하지 않고, 조작 부재의 2방향 동시 조작을 규제할 수 있어, 매우 편리하다.
도 1은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조종 장치의 측면도.
도 2는 백호의 측면도.
도 3은 백호의 전방부의 조작 장치의 평면도.
도 4는 백호의 전방부의 조작 장치의 정면도.
도 5는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조종 장치의 정면도.
도 6은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조종 장치의 평면도.
도 7은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조종 장치의 측면 단면도.
도 8은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조종 장치의 정면 단면도.
도 9는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조종 장치의 측면 단면도.
도 10은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조종 장치의 정면 단면도.
도 11은 제3 실시 형태에 관한 조종 장치의 측면도.
도 12는 제3 실시 형태에 관한 조종 장치의 배면도.
도 13은 제3 실시 형태에 관한 조종 장치의 평면도.
도 14는 제3 실시 형태에 관한 조종 장치의 측면 일부 단면도.
도 15는 제3 실시 형태에 관한 조종 장치의 배면 일부 단면도.
도 16은 제3 실시 형태에 관한 조작 페달의 요동 동작을 도시하는 배면도.
도 17은 제3 실시 형태에 관한 조작 페달의 요동 동작을 도시하는 측면도.
도 18은 제3 실시 형태에 관한 결합부 및 규제부(규제벽)의 측면 단면도.
도 19는 제3 실시 형태에 관한 결합부 및 규제부(규제벽)의 평면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8은 제1 실시 형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2에 있어서, 부호 1은 백호(작업기)이고, 이 백호(1)는 하부의 주행 장치(2)와 상부의 선회체(3)로 주구성되어 있다.
주행 장치(2)는 트랙 프레임(4)의 전방부에 설치한 아이들러(5)와, 트랙 프레임(4)의 후방부에 설치한 스프로킷(6)에 걸쳐서 무단 띠 형상의 크롤러 벨트(7)를 감아 걸어 이루어지는 크롤러 주행 기구를 트랙 프레임(4)의 좌우 양측에 설치하여 이루어지는 크롤러식 주행 장치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선회체(3)는 주행 장치(2)의 트랙 프레임(4) 상에 상하 방향의 선회 축심 주위로 선회 가능하게 탑재된 선회대(8)와, 이 선회대(8)의 전방부에 설치된 작업 장치(9)(굴삭 작업 장치)와, 선회대(8)에 설치된 운전석(10) 등을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선회대(8)의 전방부에는 스윙 브래킷(11)이 상하 방향의 축심 주위로 좌우 요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이 스윙 브래킷(11)은 복동형의 유압 실린더로 이루어지는 스윙 실린더를 신축시킴으로써 좌우로 요동 조작된다. 이 스윙 실린더를 제어하는 스윙 제어 밸브는 선회대(8) 내에 설치되어 있다.
이 스윙 제어 밸브는, 예를 들어 중립 위치로부터 축심 방향 한쪽과 다른 쪽으로 절환 가능한 스풀을 구비한 직동 스풀형 절환 밸브로 구성되어, 스풀을 중립 위치로부터 축심 방향의 한쪽 또는 다른 쪽으로 절환함으로써, 압유의 흐름을 절환하여 스윙 실린더를 제어한다.
작업 장치(9)는 기단측이 스윙 브래킷(11)에 좌우 축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피봇 연결된 붐(12)과, 이 붐(12)의 선단측에 기단측이 좌우 축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피봇 연결된 아암(13)과, 이 아암(13)의 선단측에 퍼올리기ㆍ덤프 동작(요동 동작) 가능하게 장착된 버킷(14)을 갖는다.
또한, 아암(13)의 선단측에는 버킷(14) 대신에, 유압 브레이커, 유압 크러셔, 유압 오거 등의 유압 어태치먼트를 장착했을 때에, 상기 유압 어태치먼트에 장비된 유압 액추에이터에 유압 호스를 통해 접속되는 유압 취출부(16)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선회대(8) 내에는 상기 유압 어태치먼트에 장비된 유압 액추에이터를 제어하는 어태치먼트 제어 밸브가 설치되고, 이 어태치먼트 제어 밸브는 유압 호스, 유압 배관 등으로 이루어지는 유압 관로를 통해 상기 유압 취출부(16)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이 어태치먼트 제어 밸브는, 예를 들어 중립 위치로부터 축심 방향 한쪽과 다른 쪽으로 절환 가능한 스풀을 구비한 직동 스풀형 절환 밸브로 구성되어, 스풀을 중립 위치로부터 축심 방향의 한쪽 또는 다른 쪽으로 절환함으로써, 압유의 흐름을 절환하여 상기 유압 액추에이터를 제어한다.
운전석(10)은 선회대(8)의 후방부에 설치되고, 이 운전석(10)의 전방측에는 주행 장치(2)의 좌우의 크롤러 주행 기구를 조작하는 좌우 한 쌍의 주행 레버(17)가 설치되어 있다.
도 3,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선회대(8)의 전방부에는 좌우 주행 레버(17)를 전후 요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대(18)가 설치되어 있다.
이 지지대(18)는 선회대(8) 내의 저부측에 고정된 베이스 플레이트(19)로부터 상승되는 좌우 한 쌍의 종판(20)과, 이들 좌우의 종판(20)을 연결하는 연결 부재(21) 등을 갖는다.
이 주행 레버(17)의 측방(우측방)의 스텝(63)[운전석(10)의 전방측의, 선회대(8)의 상면을 구성하는 발판]의 상측에는 스윙 제어 밸브와 어태치먼트 제어 밸브를 조작하는[스윙 브래킷(11)과 유압 어태치먼트를 조작함] 조작 페달(22)(조작 부재)이 배치되어 있다(도 1 참조).
이 조작 페달(22)은, 도 1 내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조작 방향(A)과, 상기 제1 조작 방향(A)과는 다른[상기 제1 조작 방향(A)에 직교함] 제2 조작 방향(B)의 2방향으로 요동 조작 가능하게 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1 조작 방향(A)이 전방으로 감에 따라서 우측으로 이행하는 경사 방향(전후 방향에 대해 우측 경사 전방으로 경사진 방향)으로 되고, 제2 조작 방향(B)이 우측으로 감에 따라서 후방으로 이행하는 경사 방향(후방 경사 우측으로 경사진 방향)으로 되어 있다.
상기 조작 페달(22)은 지지 부재(23)[이하, 이것을 페달 지지 부재(23)라고 함]의 상단부측에 설치되어 있다. 이 페달 지지 부재(23)는 요동 브래킷(25)에 제2 조작 방향(B)으로 요동 가능하게(좌우로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상기 요동 브래킷(25)은 서포트 부재(24)에 제1 조작 방향(A)으로 요동 가능하게(전후로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이에 의해, 조작 페달(22)이 제1 조작 방향(A) 및 제2 조작 방향(B)으로(전후 좌우로) 요동 조작 가능하게 되어 있다.
상기 서포트 부재(24)는 판면이 상하를 향하도록 배치된 좌우 방향으로 긴 띠판 형상의 지지 플레이트(26)와, 이 지지 플레이트(26)에 고착된 판재로 이루어지는 좌우 한 쌍의 규제부(27)[이하, 이를 규제벽(27)이라고 함]를 갖는다.
상기 지지 플레이트(26)는 그 좌측 단부측이 상기 지지대(18)의 우측의 종판(20)의 상벽(20a) 상에 포개어져 상기 상벽(20a)에 볼트 고정되어 있고, 상기 상벽(20a)으로부터 우측으로 돌출 형상으로 되어 있다.
좌우 규제벽(27)은 제2 조작 방향(B)에서 간격을 두고 대향 배치되어 있고, 우측(좌우 방향 외측)의 규제벽(27)의 전방 상부가 지지 플레이트(26)의 우측 단부에 고착되고, 좌측(좌우 방향 내측)의 규제벽(27)의 전방부 상단부가 지지 플레이트(26)의 하면에 고착되어 있다.
좌우 규제벽(27)의 후방부측은 지지 플레이트(26)로부터 후방으로 연장 상태로 되어 있다. 이 좌우 규제벽(27)의 후방부에는 제2 조작 방향(B)의 축심(X)을 갖는 요동 지지축(28)이 설치되어 있다. 이 요동 지지축(28)은 헤드가 부착된 핀에 의해 구성되어, 좌우 규제벽(27)을 관통하여, 선단측에 설치한 빠짐 방지 핀에 의해 빠짐 방지되어 있다.
요동 브래킷(25)은 상기 요동 지지축(28)에 축심(X)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외부 끼움된 통 형상의 제1 보스부(29)와, 이 제1 보스부(29)로부터 상방측으로 연장되는 아암부(30)와, 이 아암부(30)의 상단부측에 고정되어 있고 제1 조작 방향(A)의 축심(Y)[제1 보스부(29)의 축심(X)과 직교하는 축심에 평행한 축심(Y)]을 갖는 통 형상의 제2 보스부(31)와, 제1 보스부(29)로부터 하방측으로 연장되는 레버부(32)를 갖는다.
상기 아암부(30) 및 레버부(32)는 평판 형상의 판재에 의해 구성되어, 판면이 제2 조작 방향(B)을 향하도록 종방향으로 배치되어, 제1 보스부(29)의 축심 방향 중앙부에 고착되어 있다.
아암부(30)는 지지 플레이트(26)의 후방측을 상기 지지 플레이트(26)의 하면측으로부터 상면측으로 가로지르도록 배치되어 있고, 제2 보스부(31)는 지지 플레이트(26)보다 상방측에 위치하고 있다.
레버부(32)의 하부에는 제1 연동 링크(33)의 전단부측의 구 조인트(33a)(볼 조인트)가 측방으로부터 연결되고, 이 제1 연동 링크(33)의 후단부측의 구 조인트(33b)는 벨 크랭크(34)의 일단부측에 하방으로부터 연결되어 있다. 상기 벨 크랭크(34)의 중도부는 베이스 플레이트(19)에 고정된 지지 부재에 상하 축주위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벨 크랭크(34)의 타단부측은 로드 또는 링크 기구 등의 연동 수단을 통해 상기 어태치먼트 제어 밸브에 연동 연결되어 있다.
상기 페달 지지 부재(23)는 상하 방향으로 긴 평판 형상의 판재에 의해 구성되어, 판면이 제1 조작 방향(A)을 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동시에, 제2 보스부(31)의 후방에 배치되어 있다. 이 페달 지지 부재(23)의 상하 방향 중도부에는 제1 조작 방향(A)의 축심(Y)을 갖는 피봇축(35)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피봇축(35)은 페달 지지 부재(23)를 판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여, 축심(Y) 방향 일단부측(본 실시 형태에서는 후단부측)이 페달 지지 부재(23)에 고착되어 있다. 따라서, 페달 지지 부재(23)는 피봇축(35)으로부터 상하로 연장 상태로 되어 있다.
또한, 이 피봇축(35)은 요동 브래킷(25)의 제2 보스부(31)에 축심(Y)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후방측으로부터 삽입 관통되어 지지되어 있다. 이에 의해, 요동 지지축(28)의 상측에서 페달 지지 부재(23)의 상하 방향의 중도부가 요동 브래킷(25)에 제2 조작 방향(B)으로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페달 지지 부재(23)의 상하 방향 중도부이고 또한 피봇축(35)보다 하측에는 설치 플레이트(36)가 설치되어 있다. 이 설치 플레이트(36)는 판재에 의해 구성되어, 판면이 상하를 향하도록 횡방향으로 배치되어 페달 지지 부재(23)의 후방면에 고착되어 있다.
이 설치 플레이트(36)의 하방에는 보강판(15)이 배치되고, 상기 보강판(15)은 설치 플레이트(36) 하면 및 페달 지지 부재(23)의 후방면에 고착되어 있다.
상기 설치 플레이트(36)에는 제2 연동 링크(37)의 우측 단부측의 구 조인트(37a)가 하방으로부터 연결되어 있다.
이 제2 연동 링크(37)의 좌측 단부측의 구 조인트(37b)의 후방측에는, 후단부측이 베이스 플레이트(19)에 고정된 지지 부재에 상하 방향의 축심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제1 중계 레버(38)가 배치되고, 이 제1 중계 레버(38)의 전단부에 상기 제2 연동 링크(37)의 좌측 단부측의 구 조인트(37b)가 전방으로부터 연결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1 중계 레버(38)의 후방측에는 상기 제1 중계 레버(38)와 일체 요동하는 제2 중계 레버(39)가 설치되고, 이 제2 중계 레버(39)에 연동 로드(40) 등을 통해 스윙 제어 밸브가 연동 연결되어 있다.
상기 페달 지지 부재(23)의 상단부측에 조작 페달(22)이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조작 페달(22)은 요동 브래킷(25)의 제1 보스부(29)의 축심(X) 주위에 전후로[제1 조작 방향(A)으로] 요동 조작 가능하게 되어 있는 동시에, 요동 브래킷(25)의 제2 보스부(31)의 축심(Y) 주위에 좌우로[제2 조작 방향(B)으로] 요동 조작 가능하게 되어 있다.
상기 조작 페달(22)은 중앙 발판부(41a)로부터 좌우 양측으로 연장된 좌우의 발판부(41b)를 갖는 전방부 페달(41)과, 이 전방부 페달(41)측으로부터 후방측으로 연장 상태로 된 후방부 페달(42)을 구비하고 있다.
전방부 페달(41)의 중앙 발판부(41a)의 전방부는 좌우 발판부(41b)보다 전방측으로 연장 상태로 되고, 상기 중앙 발판부(41a)의 후단부는 페달 지지 부재(23)의 상단부에 고착된 지지통(43)에 고착되어 있다.
상기 지지통(43)은 제2 조작 방향(B)의 축심을 갖고, 상기 지지통(43)의 좌우 양측에는 회전통(44)이 동심상에 배치되고, 이들 지지통(43)과 회전통(44)에 걸쳐서 회전 지지축(45)이 삽입 관통되어 있다.
또한, 상기 회전통(44)에, 후방부 페달(42)의 전단부 좌우 양측이 고착되어 있고 상기 후방부 페달(42)이 지지통(43)의 축심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고, 상기 후방부 페달(42)을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후방부 페달(42)이, 전방부 페달(41) 상에 포개어진 절첩 상태(도 7 참조)와, 전방부 페달(41)측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 상태로 된 전개 상태로 변경 가능하게 되어 있다.
좌우 회전통(44)에는, 후방부 페달(42)이 전개 상태일 때에, 전방부 페달(41)의 하면에 접촉함으로써 후방부 페달(42)의 하방으로의 회전을 규제하는 스토퍼편(46)이 설치되어 있다.
후방부 페달(42)을 전방부 페달(41) 상에 절첩함으로써, 어태치먼트 제어 밸브의 비사용 시에, 조작 페달(22)을 전후 방향에 관하여 콤팩트하게 할 수 있다.
페달 지지 부재(23)의 하부는 상기 요동 브래킷(25)의 제1 보스부(29)의 후방측에서 좌우 규제벽(27) 사이에 삽입되어 있다. 이 페달 지지 부재(23)의 하단부측에는 결합부(47)가 일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결합부(47)는 좌우 규제벽(27) 사이에 위치하고, 좌우 규제벽(27)은 결합부(47)를 사이에 두도록 대향 배치되어 있다.
페달 지지 부재(23)의 하부는 하방[결합부(47)]으로 감에 따라서 판폭이 점차 좁은 폭으로 되도록 형성되어 있고, 상기 결합부(47)는 좌우 양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부(48)를 갖는다.
상기 좌우 각 규제벽(27)의 후방부에는 조작 페달(22)을 제2 조작 방향(B)으로 요동 조작했을 때에, 상기 제2 조작 방향(B)의 요동을 허용하고 또한 조작 페달(22)의 제1 조작 방향(A)의 요동을 규제하기 위해 상기 결합부(47)가 삽입되는 요동 규제 가이드부(49)가 설치되어 있다.
좌우 요동 규제 가이드부(49)는 좌우 방향에서 대향 상태로 되어 있다.
이 요동 규제 가이드부(49)는 규제벽(27)에 두께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세로로 긴 구멍[이를 결합 구멍(49)이라고 함]에 의해 구성되고, 이 결합 구멍(49)은 측면에서 볼 때, 요동 지지축(28)의 바로 아래로부터 후방으로[제1 조작 방향(A)이고 또한 피봇축(35)의 상기 일단부측으로] 위치 어긋나게 하여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결합 구멍(49)은 조작 페달(22)이 중립 위치에 위치하고 있을 때에, 결합부(47)가 면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중립 위치로부터 조작 페달(22)을 제2 조작 방향(B)으로 요동 조작했을 때에 결합부(47)의 돌출부(48)가 결합 구멍(49)에 삽입 분리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조작 페달(22)은 어태치먼트 제어 밸브 및 스윙 제어 밸브의 중립 복귀 스프링에 의해 중립 위치에 보유 지지되는 동시에 제1 조작 방향(A) 또는 제2 조작 방향(B)으로 조작한 위치로부터 중립 위치로 복귀된다.
상기 구성의 조종 장치에 있어서는, 중립 위치로부터 조작 페달(22)을 전후로 밟으면[전방부 페달(41)의 중앙 발판부(41a)를 밟거나 또는 후방부 페달(42)을 밟으면], 요동 브래킷(25) 및 페달 지지 부재(23)가 제1 보스부(29)의 축심(X) 주위로 회전하여 제1 연동 링크(33)가 푸시풀되고, 상기 제1 연동 링크(33)가 푸시풀되면 벨 크랭크(34)가 회전하여 어태치먼트 제어 밸브가 조작된다.
이때, 제2 연동 링크(37)가 연결되어 있는 설치 플레이트(36)가 제1 보스부(29)의 축심(X) 주위로 페달 지지 부재(23)와 일체 요동하지만, 설치 플레이트(36)가 제1 보스부(29)의 축심(X) 주위로 요동해도 제2 연동 링크(37)는 타단부측의 구 조인트(37b) 주위로 요동할 뿐이므로, 스윙 제어 밸브가 조작되는 경우는 없다.
또한, 페달 지지 부재(23)가 제1 보스부(29)의 축심(X) 주위로 요동하면 결합부(47)[돌출부(48)]가 결합 구멍(49)으로부터 위치 어긋나므로, 페달 지지 부재(23)가 제2 보스부(31)의 축심(Y) 주위로 좌우로 요동하려고 해도, 결합부(47)[돌출부(48)]가 규제벽(27)의 대향면에 접촉함으로써 페달 지지 부재(23)의 좌우의 요동이 규제된다[조작 페달(22)의 제2 조작 방향(B)으로의 요동 조작이 규제됨].
또한, 중립 위치로부터 조작 페달(22)을 좌우로 밟으면[전방부 페달(41)의 좌우 발판부(41b)를 밟으면], 요동 브래킷(25)에 대해 페달 지지 부재(23)가 제2 보스부(31)의 축심(Y) 주위로 좌우로 요동하여 제2 연동 링크(37)가 푸시풀되고, 상기 제2 연동 링크(37)가 푸시풀되면 제1 중계 레버(38)와 제2 중계 레버(39)가 회전하여 스윙 제어 밸브가 조작된다.
이때, 요동 브래킷(25)은 제1 보스부(29)의 축심(X) 주위로 요동하지 않으므로, 어태치먼트 제어 밸브가 조작되는 경우는 없다.
또한, 조작 페달(22)의 중립 위치로부터 페달 지지 부재(23)가 제2 보스부(31)의 축심(Y) 주위로 좌우 요동하면, 결합부(47)의 돌출부(48)가 결합 구멍(49)에 삽입함으로써, 상기 페달 지지 부재(23)의 제2 보스부(31)의 축심(Y) 주위의 좌우 요동이 허용되는 동시에, 결합부(47)의 돌출부(48)가 결합 구멍(49)에 삽입되면, 페달 지지 부재(23)가 제1 보스부(29)의 축심(X) 주위로 전후로 요동하려고 해도, 결합 구멍(49)의 내면의 전후로 결합부(47)의 돌출부(48)가 결합(접촉)함으로써 페달 지지 부재(23)의 전후의 요동이 규제된다[조작 페달(22)의 제1 조작 방향(A)으로의 요동 조작이 규제됨].
결합 구멍(49)의 전후면이 결합부(47)의 전후 요동을 규제함으로써 조작 페달(22)의 전후 요동을 규제하는 규제면으로 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조작 페달(22)이 제1 조작 방향(A)으로 요동할 때에는 상기 조작 페달(22)의 제2 조작 방향(B)의 요동을 규제하고 또한 상기 조작 페달(22)이 제2 조작 방향(B)으로 요동할 때에는 상기 조작 페달(22)의 제1 조작 방향(A)의 요동을 규제하는 규제 수단이 상기 좌우 규제벽(27)과, 결합부(47)와, 결합 구멍(49)으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규제 수단은 서포트 부재(24)와 지지 부재(23)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피봇축(35)의 하방측에 배치되어 있음].
따라서, 이 페달 지지 부재(23)와 서포트 부재(24) 사이에 설치된 규제 수단에 따르면, 종래와 같은 조작 페달(22)의 절첩 동작을 필요로 하지 않아, 조작 페달(22)의 2방향 동시 조작을 규제할 수 있어, 매우 편리하다.
또한, 조작 페달(22)의 요동 규제의 해제 조작을 수반하지 않고, 조작 페달(22)을 중립 위치로부터 좌우 또는 전후로 요동시킬 수 있으므로, 스윙 브래킷(11)의 요동 조작과, 유압 어태치먼트의 조작을 빈번하게 구분지어 사용하는 작업을 하는 경우에 있어서의 작업성이 좋다.
또한, 간단한 구조이므로, 저렴하게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의 조종 장치에 있어서는, 조작 페달(22)의 비사용 시에, 상기 조작 페달(22)의 조작을 불가능하게 하는 페달 커버(51)를 구비하고 있다.
이 페달 커버(51)는 판재에 의해 L자형으로 형성되어, 제2 보스부(31)의 전방에 설치된 지지판(52)에 지지되어 있다.
지지판(52)은 지지 플레이트(26) 상에 세워 설치되어, 이 지지판(52)의 상단부에 제2 조작 방향(B)의 축심을 갖는 고정통(53)이 고착되고, 이 고정통(53)의 좌우 양측에 가동통(54)이 동심상에 배치되고, 이들 고정통(53)과 가동통(54)에 지지축(55)이 삽입 관통되어 있다.
상기 페달 커버(51)의 일단부측(기단측)의 좌우 양측이 가동통(54)에 고착되고, 이에 의해, 상기 페달 커버(51)는 고정통(53)의 축심 주위로 전후 요동 가능하게 되고, 상기 페달 커버(51)를 전후로 요동시킴으로써, 상기 페달 커버(51)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작 페달(22)의 전방측에 위치하는 퇴피 위치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작 페달(22) 상에 포개어지는 커버 위치로 위치 변경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페달 커버(51)에는 커버 위치에 있어서, 절첩된 후방부 페달(42) 및 전방부 페달(41)의 중앙 발판부(41a)의 전방부와의 간섭을 방지하는 절결부(56)가 기단측으로부터 선단측을 향해 형성되어 있다.
또한, 페달 커버(51)의 기단측에는 커버 위치에서, 전방부 페달(41)의 하측에 위치하고 있고 전방부 페달(41)의 밟기 방향의 이동을 규제하는 규제 플레이트(57)가 설치되어 있다.
지지판(52)의 전방면 상부에는 페달 커버(51)의 퇴피 위치로부터 전방측으로의 요동을 규제하는 접촉 부재(58)가 설치되어 있다.
도 9 및 도 10은 제2 실시 형태의 조종 장치를 도시하고 있다.
본 형태의 조종 장치가 상기 제1 실시 형태의 조종 장치와 다른 점을 설명한다.
상기 결합 구멍(49)은 측면에서 볼 때, 요동 지지축(28)의 바로 아래에 형성되고, 결합부(47)가 조작 페달(22)이 중립 위치에 있을 때에 제1 보스부(29) 및 제2 보스부(31)의 바로 아래에 위치하고 있다.
페달 지지 부재(23)는 제2 보스부(31)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메인 부재(59)와, 이 메인 부재(59)의 하부에 고착된 서브 부재(60)로 구성되어 있다.
메인 부재(59)의 하단부측은 전방측을 향해 절곡되고, 서브 부재(60)는 메인 부재(59)의 하부 후방면에 고착된 종판부(60a)와, 이 종판부(60a)의 하단부로부터 전방측으로 연장되어 있고 메인 부재(59)의 하단부에 고착된 횡판부(60b)로부터 L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결합부(47)는 페달 지지 부재(23)와는 별체로 형성되어 있고, 서브 부재(60)의 횡판부(60b)의 전단부에 고착되어 있다.
요동 브래킷(25)의 레버부(32)는 제1 보스부(29)의 전방측에 위치하여, 아암부(30)와 일체 형성되어 있다.
그 밖의 구성은 상기 제1 실시 형태의 조종 장치와 마찬가지로 구성된다.
본 제2 실시 형태의 조종 장치에 있어서는, 결합 구멍(49)이 제1 보스부(29)의 축심(X)의 바로 아래에 있으므로, 조작 페달(22)을 제2 조작 방향(B)으로 요동 조작한 경우에 있어서, 결합 구멍(49) 내에서의 결합부(47)의 제1 조작 방향(A)의 덜걱거림[결합부(47)와 결합 구멍(49) 내의 전후면 사이의 간극]이 작아지지만, 페달 지지 부재(23)의 메인 부재(59)의 하단부측을 굽힘 가공하고 있는 동시에, 서브 부재(60), 요동 브래킷(25)의 아암부(30) 및 레버부(32)의 형상이 복잡하다.
이에 대해, 제1 실시 형태의 조종 장치에 있어서는, 결합 구멍(49)이 요동 지지축(28)의 바로 아래로부터, 제2 조작 방향(B)이고 또한 피봇축(35)의 일단부측으로 위치 어긋나게 하고 있으므로, 페달 지지 부재(23), 요동 브래킷(25)의 아암부(30) 및 레버부(32)의 형상이 단순하므로, 저렴하게 제작할 수 있다.
도 11 내지 도 19는 제3 실시 형태의 조종 장치를 도시하고 있다.
이하, 상기 제1, 제2 실시 형태의 조종 장치와 동일한 기능을 갖는 부재ㆍ구조체에는 동일한 명칭 및 번호를 부여하여, 제3 실시 형태의 조종 장치를 설명한다.
요동 브래킷(25) 등을 지지하는 서포트 부재(24)는 베이스판(61)과 이 베이스판(61)에 세워 설치된 종판(62)으로 주구성되어, 운전석(10)의 전방측의, 선회대(8)의 상면(발판)을 구성하는 스텝(63)의 하방측에 배치되어 있다.
베이스판(61)은 판면이 상하를 향하도록 배치되어 있고 선회대(8)의 저부에 볼트 등에 의해 설치 고정된다.
종판(62)은 판면이 좌우를 향하도록 배치되어 있고 하단부가 베이스판(61)의 좌측에 고착된 지지벽(64)과, 이 지지벽(64)의 전단부로부터 우측으로 일체적으로 연장된 전방벽(65)과, 지지벽(64)의 후단부 하부로부터 우측으로 일체적으로 연장된 후방 하부벽(66)을 갖는다.
지지벽(64)의 상단부는 스텝(63)의 하면 근방에 위치하고 있고, 전방벽(65)은 지지벽(64)의 상단부로부터 하단부에 걸쳐서 설치되어 있다.
지지벽(64)의 후방부의, 후방 하부벽(66)의 상방측에는 지지벽(64) 후단부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동시에 후단부측에서 좌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된 제1 아우터 설치부(67)가 일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지지벽(64)의, 제1 아우터 설치부(67)와 후방 하부벽(66) 사이에는 제2 아우터 설치부(68)가 고착되어 있다. 이 제2 아우터 설치부(68)는 전방부의 판면이 전후 방향을 따라서 또한 후방부의 판면이 우측에 감에 따라서 후방으로 이행하는 경사 방향을 따르도록 판재를 절곡하여 형성되고, 전단부측이 지지벽(64)의 좌측면에 고착되어 있다.
지지벽(64)의 상부의, 제1 아우터 설치부(67)보다 상방측은 상기 지지벽(64)의 하부보다도 전후 폭이 좁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지지벽(64)의 상부의 후방부측에는 한 쌍의 규제벽(27)이 설치되어 있다. 이들 규제벽(27)은 지지벽(64)의 우측에 배치되어 있는 동시에 제1 조작 방향(A)(전후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대향 배치되어 있다.
본 제3 실시 형태에서는, 한 쌍의 규제벽(27)은 상기 규제벽(27) 사이에 배치된 결합부(47)의 좌우 요동을 허용하면서 대향면(27a)에서 결합부(47)의 전후 요동을 규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즉, 상기 규제벽(27)은 조작 페달(22)의 제2 조작 방향(B)의 요동 조작(좌우 요동)을 허용하는 동시에, 조작 페달(22)의 제1 조작 방향(A)의 요동 조작(전후 요동)을 규제함].
전후의 각 규제벽(27)은 그 좌측 단부가 지지벽(64)의 우측면에 고착되어 있고, 상기 전후의 규제벽(27)의 우측 단부측은, 평면에서 볼 때 우측으로 볼록해지는 원호 형상의 연결벽(69)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이들 전후의 규제벽(27)과 연결벽(69)은 1매의 판재를 절곡함으로써 일체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각 규제벽(27)의 상면은 좌측 단부로부터 우측으로 감에 따라서 상방으로 이행하는 경사 형상으로 되고, 각 규제벽(27)의 하면은 좌우 방향을 따르는 대략 수평 형상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각 규제벽(27)은 좌측 단부로부터 우측으로 감에 따라서 상하 폭이 점차 넓은 폭으로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전후의 각 규제벽(27)의 좌우 방향 중도부에 요동 규제 가이드부(49)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이 요동 규제 가이드부(49)의 좌측의 규제벽(27) 상면의 높이보다도, 요동 규제 가이드부(49)의 우측의 규제벽(27) 상면의 높이가 높게 되어 있다.
본 제3 실시 형태에서는, 요동 규제 가이드부(49)는 조작 페달(22)을 중립 위치로부터 제1 조작 방향(A)으로 요동 조작했을 때에, 결합부(47)가 삽입됨으로써, 상기 결합부(47)의 전후 요동을 허용하면서 결합부(47)의 좌우 요동을 규제한다[즉, 상기 요동 규제 가이드부(49)는 조작 페달(22)의 제1 조작 방향(A)의 요동 조작을 허용하는 동시에, 조작 페달(22)의 제2 조작 방향(B)의 요동 조작을 규제함].
또한, 제3 실시 형태에서는, 좌우의 요동 규제 가이드부(49)는 전후 방향에서 대향 상태로 되어 있고, 또한 규제벽(27)의 두께 방향에 있어서 관통 형상이고 또한 상방으로 개방 형상의 세로로 긴 홈[이를 결합 홈(49)이라고 함]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이 결합 홈(49)의 좌우 방향에서 대향하는 면(49a)은 상하 방향을 따르는 평탄면으로 되고, 저면(49b)은 좌우 방향을 따르는 평탄면으로 되어 있다.
결합 홈(49)의 좌우 방향에서 대향하는 면(49a)이, 결합부(47)의 좌우 요동을 규제하는[조작 페달(22)의 좌우 요동을 규제하는] 규제면(49a)으로 되어 있다.
도 14,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방측의 규제벽(27)의 좌측 상방에 요동 지지축(28)이 설치되어 있다.
이 요동 지지축(28)은 좌우 방향의 축심을 갖는 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좌측 부분이 서포트 부재(24)의 지지벽(64)을 관통하는 동시에 상기 지지벽(64)에 고착되어 있다.
또한, 이 요동 지지축(28)은 결합 홈(49)보다 좌측에 배치되고, 또한 그 우측 부분의 후방부측이 전방측의 규제벽(27)과 평면에서 볼 때 오버랩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이 요동 지지축(28)은 규제벽(27)에 근접 배치되어 있고, 상기 요동 지지축(28)의 하단부는 결합 홈(49)의 우측의 규제벽(27) 상면보다 하측에 위치하고 있다.
상기 요동 브래킷(25)은 지지벽(64)의 좌측에 판면이 좌우를 향하도록 배치된 세로로 긴 제1 플레이트(71)와, 이 제1 플레이트(71)의 상하 중도부에 우측 돌출 형상으로 고착된 축 부재(72)와, 상기 제1 플레이트(71)의 상부의 전방부에 우측 돌출 형상으로 설치된 제2 플레이트(73)와, 이 제2 플레이트(73)의 우측에 후방 돌출 형상으로 설치된 통 부재(74)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제1 플레이트(71)의 상부는 지지벽(64)보다 상방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되어 있는 동시에, 스텝(63)에 형성한 개구를 통해 상기 스텝(63)의 상방으로 연장 상태로 되어 있다.
제1 플레이트(71)의 중도부는 상기 중도부 전단부가 하방으로 감에 따라서 후방으로 이행하는 경사 형상으로 되어 있고, 하방으로 감에 따라서 점차 폭이 좁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 플레이트(73)는 스텝(63)의 상방 근방에 위치하고 있고, 지지벽(64)의 상방측을 가로지르도록 제1 플레이트(71)로부터 우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상기 축 부재(72)는 좌우 방향의 축심(X)을 갖고 있고, 요동 지지축(28)에 축심(X)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삽입 관통되어 지지되어 있다. 이에 의해, 요동 브래킷(25)이 요동 지지축(28)에 좌우 방향의 축심(X) 주위로[제1 조작 방향(A)으로]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요동 브래킷(25)의 통 부재(74)는 요동 지지축(28)의 우측 단부 상방이고 또한 스텝(63)의 상방에 위치하고 있고, 전후 방향의 축심(Y)을 갖는다. 또한, 상기 통 부재(74)의 축심(Y)은 결합 홈(49)의 상방 위치로부터 좌측으로 위치 어긋나게 하고 있다.
이 통 부재(74)에는 페달 지지 부재(23)의 상부에 전방 돌출 형상으로 고착된 피봇축(35)이 후방으로부터 삽입 관통되어 축심(Y)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이에 의해, 페달 지지 부재(23)가 요동 브래킷(25)에 전후 방향의 축심(Y) 주위로[제2 조작 방향(B)으로]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페달 지지 부재(23)는 상하로 긴 판재에 의해 형성되고, 상부(23a)는 판면이 전후를 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동시에, 규제벽(27) 사이의 중앙부 상방에 위치하고 있고, 상기 페달 지지 부재(23)의 상부(23a)의 하단부측은 스텝(63)의 하방측에 삽입 상태로 되어 있다.
이 페달 지지 부재(23)의 하부(23b)는 판면이 전후를 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동시에, 스텝(63)의 하방측이고 또한 후방측의 규제벽(27)의 후방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페달 지지 부재(23)의 상하 방향의 중도부(23c)는 상부(23a) 하단부로부터 하부(23b) 상단부를 향해 후방 경사 하방으로 이행하는 경사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페달 지지 부재(23)는 결합 홈(49)의 형성 위치로부터 좌측으로 위치 어긋나게 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페달 지지 부재(23)의 상단부[피봇축(35)보다 상방측]에는 좌우 방향의 축심을 갖는 지지통(43)이 고착되고, 이 지지통(43)에 조작 페달(22)이 지지되어 있다. 이 조작 페달(22)의 구조는 제1 실시 형태와 대략 마찬가지이므로, 동일한 부재에 동일한 번호를 부여하여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제3 실시 형태에서는 전방부 페달(41)의 상면에 미끄럼 방지부(75)가 부착되어 있다.
상기 요동 브래킷(25)의 제1 플레이트(71)의 하단부측에는 푸시풀 케이블 등으로 이루어지는 조작 케이블(도시 생략)의 이너 케이블의 일단부측이 피봇 연결되고, 상기 조작 케이블의 아우터 케이블의 일단부측은 상기 제1 아우터 설치부(67)에 설치된다.
또한, 이 조작 케이블의 이너 케이블의 타단부측은 어태치먼트 제어 밸브의 스풀에 연동 연결되어 있고, 조작 페달(22)을 중립 위치로부터 제1 조작 방향(A) 일측 또는 타측(전후)으로 밟으면, 상기 조작 케이블의 이너 케이블이 푸시풀되어 어태치먼트 제어 밸브가 조작된다.
또한, 지지벽(64)에는 제1 플레이트(71)의 하단부측에 이너 케이블의 일단부측을 부착할 때에 사용되는 설치용 구멍(76)이 형성되어 있다.
페달 지지 부재(23)의 하부(23b)에는 연동 링크(77)의 좌측 단부측의 구 조인트(77a)가 후방측으로부터 연결되어 있다.
한편, 지지벽(64)의 우측면의 전방 하부에는 지지 브래킷(78)이 고착되어 있다. 이 지지 브래킷(78)의 우측에는 상하 방향의 축심을 갖는 지지축(79)이 세워 설치되어 있다. 이 지지축(79)에 중계통(80)이 축심 둘레로 회전 가능하게 외부 끼움되어 지지되어 있다. 이 중계통(80)은 전방측의 규제벽(27)의 전방측이고 또한 우측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중계통(80)의 상부에는 제1 중계 레버(81)가 규제벽(27)의 우측을 가로지르도록 우측 경사 후방을 향해 돌출 설치되고, 이 제1 중계 레버(81)의 돌출 단부측에는 상기 연동 링크(77)의 우측 단부측의 구 조인트(77b)가 상방측으로부터 연결되어 있다.
또한, 중계통(80)의 하부에는 제2 중계 레버(82)가 좌측 경사 전방측으로 돌출 설치되어 있다.
이 제2 중계 레버(82)의 돌출 단부측에는 푸시풀 케이블 등으로 이루어지는 조작 케이블(83)의 이너 케이블(83a)의 일단부측이 피봇 연결되고, 상기 조작 케이블(83)의 아우터 케이블(83b)의 일단부측은 상기 제2 아우터 설치부(68)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이 조작 케이블(83)의 이너 케이블(83a)의 타단부측은 스윙 제어 밸브의 스풀에 연동 연결되어 있고, 조작 페달(22)을 중립 위치로부터 제2 조작 방향(B) 일측 또는 타측(좌우)으로 밟으면, 연동 링크(77)가 푸시풀되어 제1 중계 레버(81), 중계통(80), 제2 중계 레버(82)를 통해 상기 조작 케이블(83)의 이너 케이블(83a)이 푸시풀되어, 스윙 제어 밸브가 조작된다.
상기 페달 지지 부재(23)의 상부(23a)의 우측에는 원기둥 형상의 지지 막대(84)의 축심 방향의 상부가 고착되고, 이 지지 막대(84)의 하부는 전후의 규제벽(27) 사이에 삽입 상태로 되어 있다.
이 지지 막대(84)의 하부에 결합부(47)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결합부(47)는 조작 페달(22)이 중립 위치에 위치하고 있는 상태에서, 피봇축(35)의 축심(Y)의 바로 아래로부터 우측으로 위치 어긋나게 하고 있다.
또한, 이 결합부(47)는, 본 실시 형태에서는 지지 막대(84)에 축심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상하 한 쌍(복수)의 원통 형상의 컬러(85)(회전 부재)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각 컬러(85)에는 통 형상의 부시(86)(DU 부시 등의 드라이 베어링)가 내부 끼움되고, 상기 부시(86)를 통해 컬러(85)가 지지 막대(84)에 외부 끼움되어 있고, 이에 의해, 상기 컬러(85)가 원활하게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지지 막대(84)의 결합부(47)의 상하에는 컬러(85)의 이동 규제를 하기 위해 지그 서클립(87)이 설치되고, 상측의 컬러(85)와 상측의 지그 서클립(87) 사이에는 지지 막대(84)에 외부 끼움된 고무 부착 와셔(88)가 설치되어 있다.
상하의 컬러(85)는, 조작 페달(22)이 중립 위치에 위치하고 있는 상태에서는(스윙 제어 밸브 및 어태치먼트 제어 밸브가 중립 상태일 때에는), 전후의 결합 홈(49) 사이에 위치하고 있고[전후의 결합 홈(49)을 면하는 위치에 위치하고 있고], 조작 페달(22)을 중립 위치로부터 좌우로 요동시킴으로써 규제벽(27) 사이를 좌우로 이동하면서 조작 페달(22)의 전후의 요동을 규제하고, 조작 페달(22)을 중립 위치로부터 전후로 요동시킴으로써 결합 홈(49)에 삽입하여 조작 페달(22)의 좌우의 요동을 규제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대향하는 한 쌍의 규제벽(27) 사이를 결합부(47)가 이동함으로써 조작 페달(22)의 한쪽의 요동을 허용하면서 다른 쪽의 요동을 규제하고, 결합부(47)가 각 규제벽(27)에 형성한 요동 규제 가이드부(49)에 삽입함으로써 조작 페달(22)의 다른 쪽의 요동을 허용하면서 한쪽의 요동을 규제하도록 구성한 것에 있어서는, 조작 페달(22)이 원활하게 움직이기 위해서는, 결합부(47)와 규제벽(27)의 대향면(27a) 사이 및 결합부(47)와 요동 규제 가이드부(49)의 규제면(49a) 사이에 간극(S1, S2)을 형성해야만 하지만, 이 간극(S1, S2)을 크게 하면 조작 페달(22)의 규제가 어려워진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결합부(47)를 회전하는 컬러(85)에 의해 형성함으로써, 컬러(85)가 규제벽(27)의 대향면(27a) 또는 결합 홈(49)의 규제면(49a)에 접촉해도, 컬러(85)가 회전하므로 접촉 저항이 작다.
따라서, 결합부(47)를 컬러(85) 등의 회전하는 부재로 형성함으로써, 결합부(47)와 규제벽(27) 사이의 간극(S1) 및 결합부(47)와 요동 규제 가이드부(49)의 규제면(49a) 사이의 간극(S2)을 최대한 작게 할 수 있어, 조작 페달(22)의 요동 규제 기능을 충분히 갖게 하면서 조작 페달(22)의 움직임을 원활하게 할 수 있는 조종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결합부(47)를 회전시키는 부재로 형성함으로써, 조작 페달(22)을 밟았을 때에 있어서, 결합부(47)가 규제벽(27)에 걸리는 경우가 없으므로, 조작 페달(22)의 밟기 불량이 없고, 또한 저항감이 극히 작아, 조작성이 좋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조작 페달(22)과 스윙 제어 밸브를 연동 연결하는 연동 기구에 대해, 조작 페달(22)과 어태치먼트 제어 밸브를 연동 연결하는 연동 기구는 유격[조작 페달(22)의 조작이 제어 밸브의 스풀의 동작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범위]이 작다. 따라서, 조작 페달(22)로 스윙 제어 밸브를 조작할 때[조작 페달(22)을 제2 조작 방향(B)으로 조작할 때]에 있어서, 조작 페달(22)로 어태치먼트 제어 밸브가 조작되지 않도록 상기 조작의 규제를 엄격하게 해야만 한다.
따라서, 제3 실시 형태에서는,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후의 규제벽(27)의 대향면(27a)과 컬러(85) 사이의 간극(S1)을, 결합 홈(49)의 규제면(49a)과 컬러(85) 사이의 간극(S2)[컬러(85)가 결합 홈(49)에 삽입했을 때의, 컬러(85)와 결합 홈(49)의 규제면(49a)의 최소 간극]보다도 작게 하고 있다.
상기 결합부(47)를 하나의 컬러(85)에 의해 구성해도 좋지만, 상기 하나의 컬러(85)로 구성된 결합부(47)의 상하 한쪽이 규제벽(27)에 편측 접촉하고 있는 경우 등에 있어서, 부분적인 회전 저항의 차이로부터 결합부(47)가 비교적 원활하게 회전하지 않는 것이 생각되지만, 상기 제3 실시 형태에서는 결합부(47)를 상하 한 쌍의 컬러(85)에 의해 구성하고 있고, 결합부(47)의 상부와 하부가 별개로 회전하도록 하고 있으므로, 결합부(47)의 상하 한쪽이 편측 접촉해도 원활하게 회전한다.
또한, 결합부(47)를, 상하 방향 3개 이상의 컬러(85)(회전 부재)로 구성해도 좋다.
또한,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작 페달(22)이 중립 위치에 위치하고 있는 상태에서, 결합부(47)가 피봇축(35)의 축심(Y)의 바로 아래로부터 우측으로 위치 어긋나게 하고 있으므로, 중립 위치로부터 조작 페달(22)을 피봇축(35) 주위로 좌측으로 요동 조작하면 결합부(47)가 우측으로 요동하여 올라가고, 중립 위치로부터 조작 페달(22)을 피봇축(35) 주위로 우측으로 요동 조작하면 결합부(47)가 좌측으로 요동하여 내려간다. 이에 대응하여, 규제벽(27)의 높이가 요동 규제 가이드부(49)의 우측보다도 좌측이 낮게 되어 있다.
그리고, 요동 규제 가이드부(49)보다 좌측이고 또한 규제벽(27)의 상방에 요동 지지축(28)을 배치하고, 이 요동 지지축(28)을 규제벽(27)의 좌측[규제벽(27)의 낮아진 측]의 상면 근방에 배치함으로써, 조작 페달(22)의 지지 기구를 콤팩트하게 구성할 수 있다.
한편,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요동 지지축(28)의 축심(X)보다 후방측으로 결합부(47)가 위치 어긋나게 하고 있으므로, 중립 위치로부터 조작 페달(22)을 요동 지지축(28) 주위로 전방측으로 요동 조작하면 결합부(47)가 후방측으로 요동하여 올라가고, 중립 위치로부터 조작 페달(22)을 요동 지지축(28) 주위로 후방측으로 요동 조작하면 결합부(47)가 전방측으로 요동하여 올라간다. 이로 인해, 후방측의 결합 홈(49)의 저면(49b)이 전방측의 결합 홈(49)의 저면(49b)보다 높게 되어 있다[전방측의 결합 홈(49)의 홈 깊이는 후방측의 결합 홈(49)의 홈 깊이보다도 깊게 되어 있음].
또한, 한 쌍의 규제벽(27) 사이의 하방이 개방 형상으로 되어 있으므로, 규제벽(27) 사이에 흙이나 쓰레기 등이 쌓여 조작 페달(22)의 움직임을 나쁘게 할 우려가 없다.
또한, 제3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서포트 부재(24)에 요동 브래킷(25)이나 페달 지지 부재(23)나 조작 페달(22)이나 중계통(80)이나 연동 링크(77) 등을 세트한 상태에서, 선회대(8)의 저부에 볼트 고정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는 다양한 설계 변경이 가능하고, 예를 들어 제1 조작 방향(A)이 좌우 방향(또는 좌우 방향에 대해 경사진 경사 방향)으로 되고, 제2 조작 방향(B)이 전후(또는 전후 방향에 대해 경사진 경사 방향)로 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1 조작 방향(A)과 제2 조작 방향(B)의 2방향으로 조작 가능한 조작 부재(22)로서 조작 페달을 예시하였지만, 조작 부재(22)로서는, 조작 레버 등이라도 좋다.
또한, 상기 제1,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 홈에 의해 구성된 요동 규제 가이드부(49) 및 규제벽(27)에 접촉함으로써 회전하는 적어도 하나의 회전 부재에 의해 구성된 결합부(47)를 채용해도 좋다.
또한, 제3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조작 페달(22)의 조작 방향(A, B)은 상기 제1, 제2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전후ㆍ좌우 방향에 대해 경사진 경사 방향으로 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규제부(27)(규제벽) 및 요동 규제 가이드부(49)(결합 구멍, 결합 홈)의 방향은 적절하게 변경하여 실시해도 좋다.
22 : 조작 페달
23 : 페달 지지 부재
24 : 서포트 부재
25 : 요동 브래킷
27 : 규제부(규제벽)
28 : 요동 지지축
29 : 제1 보스부
30 : 아암부
35 : 피봇축
47 : 결합부
49 : 요동 규제 가이드부(결합 구멍, 결합 홈)
64 : 지지벽
71 : 제1 플레이트
73 : 제2 플레이트
74 : 통 부재
84 : 지지 막대
85 : 회전 부재(컬러)
A : 제1 조작 방향
B : 제2 조작 방향
X : 제1 보스부의 축심
Y : 제2 보스부의 축심

Claims (9)

  1. 서포트 부재(24)에 제1 조작 방향(A)으로 요동 가능하게 지지된 요동 브래킷(25)을 구비하고, 이 요동 브래킷(25)에 제2 조작 방향(B)으로 요동 가능하게 지지된 지지 부재(23)를 구비하고, 이 지지 부재(23)에 조작 부재(22)를 설치함으로써 상기 조작 부재(22)가 상기 제1 조작 방향(A)과 상기 제2 조작 방향(B)의 서로 직교하는 2방향으로 요동 조작 가능하게 된 조종 장치에 있어서,
    상기 조작 부재(22)가 제1 조작 방향(A)으로 요동할 때에는 상기 조작 부재(22)의 제2 조작 방향(B)의 요동을 규제하고 또한 상기 조작 부재(22)가 제2 조작 방향(B)으로 요동할 때에는 상기 조작 부재(22)의 제1 조작 방향(A)의 요동을 규제하는 규제 수단을, 상기 서포트 부재(24)와 상기 지지 부재(23) 사이에 설치하고,
    상기 규제 수단은 상기 지지 부재(23)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지지 부재(23)와 일체 요동 하는 결합부(47)와,
    상기 서포트 부재(24)에 설치되어 있고, 조작 부재(22)를 제1 조작 방향(A) 또는 제2 조작 방향(B)의 한쪽의 조작 방향으로 요동 조작했을 때에 상기 결합부(47)의 제1 조작 방향(A) 또는 제2 조작 방향(B)의 다른 쪽의 조작 방향의 움직임을 규제함으로써 조작 부재(22)의 상기 다른 쪽의 조작 방향의 요동을 규제하는 규제부(27)와,
    이 규제부(27)에 형성되어 있고, 조작 부재(22)를 상기 다른 쪽의 조작 방향으로 요동 조작했을 때에 상기 다른 쪽의 조작 방향의 요동을 허용하고 또한 조작 부재(22)의 상기 한쪽의 조작 방향의 요동을 규제하기 위해 상기 결합부(47)가 삽입하는 요동 규제 가이드부(49)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종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요동 브래킷(25)을 요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요동 지지축(28)의 상측에서, 상기 지지 부재(23)가 상기 요동 브래킷(25)에 피봇축(35)을 통해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조작 부재(22)는 상기 지지 부재(23)의 상부의 상기 피봇축(35)보다 상방측에 설치되고, 상기 규제 수단은 상기 피봇축(35)의 하방측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종 장치.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규제부(27)는 상기 결합부(47)를 사이에 두도록 상기 다른 쪽의 조작 방향에서 대향 상태로 하여 한 쌍 설치되고, 각 규제부(27)에 요동 규제 가이드부(49)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종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47)는 조작 부재(22)를 요동 조작했을 때에, 규제부(27) 또는 요동 규제 가이드부(49)에 접촉함으로써 회전하는 적어도 1개의 회전 부재(85)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종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규제부(27)는 제2 조작 방향(B)에서 대향 상태로 되고, 이 규제부(27) 사이에 제2 조작 방향(B)의 축심을 갖는 요동 지지축(28)을 설치하고,
    상기 요동 브래킷(25)은, 상기 요동 지지축(28)에 축심 주위 회전 가능하게 외부 끼움된 제1 보스부(29)와, 이 제1 보스부(29)로부터 상방측으로 연장되는 아암부(30)와, 이 아암부(30)의 상단부측에 고정되어 있고 상기 제1 보스부(29)의 축심(X)과 직교하는 축심에 평행한 축심(Y)을 갖는 제2 보스부(31)를 구비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지지 부재(23)는 상기 요동 브래킷(25)의 제2 보스부(31)에 축심 주위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피봇축(35)의 일단부측에 상기 피봇축(35)으로부터 상하로 연장 상태로 되고,
    이 지지 부재(23)의 상단부측에 조작 부재(22)를 설치하고 또한 상기 지지 부재(23)의 하단부측을 규제부(27) 사이에 삽입하는 동시에 상기 지지 부재(23)의 하단부측에 상기 결합부(47)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종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요동 규제 가이드부(49)를, 요동 지지축(28)의 바로 아래로부터, 제1 조작 방향(A)이고 또한 피봇축(35)의 상기 일단부측에 위치 어긋나게 하여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종 장치.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규제부(27)는, 제1 조작 방향(A)에서 대향 상태로 되고 또한 제2 조작 방향(B)의 일단부측이 서포트 부재(24)에 설치된 지지벽(64)에 고착되고,
    상기 지지벽(64)에, 제2 조작 방향(B)의 축심을 갖고 또한 규제부(27)의 상방측에 위치하는 요동 지지축(28)을 설치하고,
    상기 요동 브래킷(25)은, 상기 요동 지지축(28)에 축심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또한 상기 요동 지지축(28)으로부터 상방측으로 연장되는 제1 플레이트(71)와, 이 제1 플레이트(71)의 상부에 설치된 제2 플레이트(73)와, 상기 요동 지지축(28)의 상방측에 배치되어 상기 제2 플레이트(73)에 고착되고 또한 제1 조작 방향(A)의 축심(Y)을 갖는 통 부재(74)를 구비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지지 부재(23)는 상기 요동 브래킷(25)의 통 부재(74)에 축심 주위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피봇축(35)에 고정되고,
    이 지지 부재(23)에, 피봇축(35)의 상방측에 배치한 조작 부재(22)를 설치하는 동시에 하부가 규제부(27) 사이에 삽입된 지지 막대(84)를 설치하고, 이 지지 막대(84)의 하부에 상기 결합부(47)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종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47)는 조작 부재(22)가 중립 위치에 위치하고 있는 상태로 피봇축(35)의 바로 아래로부터 제2 조작 방향(B)으로 위치 어긋나게 하고 있고,
    상기 결합부(47)는 조작 부재(22)를 중립 위치로부터 제2 조작 방향(B)의 한쪽으로 요동 조작함으로써 제2 조작 방향(B)의 다른 쪽으로 요동하여 올라가고, 조작 부재(22)를 중립 위치로부터 제2 조작 방향(B)의 다른 쪽으로 요동 조작함으로써 제2 조작 방향(B)의 한쪽으로 요동하여 내려가도록 구성되고,
    규제부(27)의 높이를, 결합부(47)가 중립 위치로부터 상기 다른 쪽으로 요동하는 측이 높고, 결합부(47)가 중립 위치로부터 상기 한쪽으로 요동하는 측이 낮아지도록 형성하고,
    요동 지지축(28)을, 규제부(27)의 높이가 낮은 측의 상방이고 또한 상기 규제부(27)의 상단부 근방에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종 장치.
KR1020100061884A 2009-06-30 2010-06-29 조종 장치 KR10122963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9-155755 2009-06-30
JP2009155755 2009-06-30
JP2010034935A JP5528152B2 (ja) 2009-06-30 2010-02-19 操縦装置
JPJP-P-2010-034935 2010-02-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1956A KR20110001956A (ko) 2011-01-06
KR101229635B1 true KR101229635B1 (ko) 2013-02-04

Family

ID=433895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1884A KR101229635B1 (ko) 2009-06-30 2010-06-29 조종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229635B1 (ko)
CN (1) CN10193601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511419B2 (ja) * 2016-09-01 2019-05-15 株式会社日立建機ティエラ 小型油圧ショベル
JP7360581B2 (ja) * 2019-04-04 2023-10-13 コベルコ建機株式会社 作業機械用操作機構、及び、それを備えた作業機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3426A (ja) * 1995-06-27 1997-01-14 Kubota Corp 旋回駆動部を有した作業機械
JPH09324661A (ja) * 1996-06-07 1997-12-16 Komatsu Ltd アクセルペダルの制御方法及びその装置
JP2007132121A (ja) 2005-11-11 2007-05-31 Sumitomo (Shi) Construction Machinery Manufacturing Co Ltd 建設機械の操作手段のロック構造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71784A (ja) * 1987-12-24 1989-07-06 Tamagawa Seiki Co Ltd 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装置
JP4056937B2 (ja) * 2003-06-05 2008-03-05 株式会社クボタ 作業機の操作装置
JP4764702B2 (ja) * 2005-11-17 2011-09-07 マツダ株式会社 操作ペダルの支持構造
JP4436452B2 (ja) * 2007-03-16 2010-03-24 豊田鉄工株式会社 荷重センサ付き車両用操作ペダル装置、および荷重センサ付き操作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3426A (ja) * 1995-06-27 1997-01-14 Kubota Corp 旋回駆動部を有した作業機械
JPH09324661A (ja) * 1996-06-07 1997-12-16 Komatsu Ltd アクセルペダルの制御方法及びその装置
JP2007132121A (ja) 2005-11-11 2007-05-31 Sumitomo (Shi) Construction Machinery Manufacturing Co Ltd 建設機械の操作手段のロック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936017B (zh) 2012-10-03
KR20110001956A (ko) 2011-01-06
CN101936017A (zh) 2011-0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54187B1 (ko) 작업차
JP5405517B2 (ja) フロントローダ
US7648001B2 (en) Speed shift arrangement for work vehicle
JP6322333B2 (ja) 作業車両
JP4688569B2 (ja) トラクタ装着型バックホー
KR101229635B1 (ko) 조종 장치
JPH0221605B2 (ko)
US9534354B2 (en) Construction machine
KR100497451B1 (ko) 소형 선회 작업기
JP4056937B2 (ja) 作業機の操作装置
US9033002B2 (en) Operation pattern switching device
JP5528152B2 (ja) 操縦装置
JP4695467B2 (ja) トラクタの変速操作装置
JP6211988B2 (ja) 建設機械
JP3410359B2 (ja) 建設機械における油圧制御装置
KR20070030667A (ko) 작업차의 변속 조작 구조
JP5722723B2 (ja) 作業車の油圧装置
US20230243124A1 (en) Construction machine
JP2005222330A (ja) 作業機のペダル装置
KR102482320B1 (ko) 작업 차량
JP2005289221A (ja) 操作レバーの支持構造
JP6625027B2 (ja) バックホウ装置、及び、トラクタバックホウ
JPH11336129A (ja) 建設機械の操作ペダル装置
JP4537939B2 (ja) トラクタの操作装置
JP2005207197A (ja) 作業機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3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