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52490B1 - 알파-아밀라제를 생산하는 이노노투스 린테우스 및 그를 이용하여 다당체 함량이 증가된 이노노투스 린테우스 균사체를 제조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알파-아밀라제를 생산하는 이노노투스 린테우스 및 그를 이용하여 다당체 함량이 증가된 이노노투스 린테우스 균사체를 제조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52490B1
KR100852490B1 KR1020070000755A KR20070000755A KR100852490B1 KR 100852490 B1 KR100852490 B1 KR 100852490B1 KR 1020070000755 A KR1020070000755 A KR 1020070000755A KR 20070000755 A KR20070000755 A KR 20070000755A KR 100852490 B1 KR100852490 B1 KR 1008524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teus
inonotus
inonotus linteus
amylase
produc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007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64040A (ko
Inventor
임창수
Original Assignee
임창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창수 filed Critical 임창수
Priority to KR10200700007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52490B1/ko
Publication of KR200800640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640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524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524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14Fungi; Culture media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1/00Edible extracts or preparations of fungi;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06Fungi, e.g. yeasts
    • A61K36/07Basidiomycota, e.g. Cryptococcu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14Fungi;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145Fungal isolat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08Fungi extract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R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C12C - C12Q, RELATING TO MICROORGANISMS
    • C12R2001/00Microorganisms ; Processes using microorganisms
    • C12R2001/645Fungi ; Processes using fungi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YENZYMES
    • C12Y302/00Hydrolases acting on glycosyl compounds, i.e. glycosylases (3.2)
    • C12Y302/01Glycosidases, i.e. enzymes hydrolysing O- and S-glycosyl compounds (3.2.1)
    • C12Y302/01001Alpha-amylase (3.2.1.1)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yc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Botan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chemistr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Vir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알파-아밀라제를 높은 비활성으로 생산하는 신규한 이노노투스 린테우스 (Inonotus linteus) 균주의 분리 및 그를 이용하여 다당체 함량이 증가된 이노노투스 린테우스 (Inonotus linteus)의 균사체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방법으로 얻어진 이노노투스 린테우스 (Inonotus linteus)의 균사체는 알파-아밀라제 비활성 및 다당체 함량 높아, 기능성 식품 원료 및 기능성 식품 첨가물로 사용될 수 있다.
이노노투스 린테우스 (Inonotus linteus), 파쇄효모 추출물, 알파-아밀라제

Description

알파-아밀라제를 생산하는 이노노투스 린테우스 및 그를 이용하여 다당체 함량이 증가된 이노노투스 린테우스 균사체를 제조하는 방법{Inonotus linteus producing α-amylase and method of producing Inonotus linteus mycelia having enhanced polysaccharide content using the same}
도 1은 채취시의 이노노투스 린테우스 (Inonotus linteus) EDEN-1의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분리된 이노노투스 린테우스 (Inonotus linteus) EDEN-1의 계통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표 1의 복합 배지에서 이노노투스 린테우스 (Inonotus linteus) EDEN-1 균주를 배양한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여러 목질진흙 버섯의 균사의 생육 정도 및 그의 다당체 함량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이노노투스 린테우스 (Inonotus linteus) EDEN-1 균주의 배지에 따른 다당체 건조 중량 (dry weight)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파쇄 효모추출물 (auto-yeast)의 양을 점진적으로 변화시켜 이노노투스 린테우스 (Inonotus linteus) EDEN-1 균주를 배양한 결과, 배지 중의 다당체 건조 중량 (dry weight)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여러 이노노투스 린테우스 (Inonotus linteus) 균주의 알파-아밀라제 활성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곡물 배지에서 배양된 이노노투스 린테우스 (Inonotus linteus) 균주의 배양물을 촬영한 사진이다.
본 발명은 알파-아밀라제를 생산하는 이노노투스 린테우스 및 그를 이용하여 다당체 함량이 증가된 이노노투스 린테우스 균사체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뽕나무에 자생하는 상황버섯은 일반적으로 진흙버섯 속 (Phellinus)의 균류를 지칭하는 버섯으로 뽕나무 줄기에 자생하며 삿갓 표면을 제외하고는 모두 황색을 띄고 있어 상황이라고 불리워지고 있으며, 상신, 상이, 호손안 등의 이명을 가지고 있다. 상황버섯에 속하는 버섯으로는 목질진흙버섯 (Phellinus linteus: 2005년 Inonotus linteus로 변경됨. 따라서, 이하 목질진흙버섯과 이노노투스 린테우스는 서로 교환가능하게 사용된다), 말똥진흙버섯 (P.pini), 참진흙버섯 (P. contiguus), 녹슨진흙버섯 (P. ferrugino), 펠리누스 바우미 (P.baumi), 펠리누스리비스 (P.ribis), 펠리누스 리노 (P.rino) 등의 다수가 존재하나, 중국에서는 상황의 의미를 펠리누스 이그나리우스 (P.ignarius), 우리나라와 일본에서는 목질진흙버섯 (Phellinus linteus)를 상황으로 인정하고 있는 실정이다. 국내에서는 목질진흙버섯 (P. linteus)와 펠리누스 바우미 (P.baumi) 식품 부원료로서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식약청에 의하여 규정되어 있다.
목질진흙버섯 (P. linteus)은 매우 강력한 항종양 효과를 가지며 항암 면역활성 산성 다당체인 α-(1,6)-헤테로글리칸 (heteroglycan)과 갈락토만노글루칸 (galactomannoglucan)의 유효성분을 갖고 있으며, 특유의 베타글루칸 (β-glucan))이라고 하는 면역증강을 유발하는 물질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최근 항암활성이 96.7%로 지금까지 밝혀진 것들 중 가장 높은 것으로 학회에서 보고되어 식품 및 제약을 비롯하여 인간을 포함한 동식물의 면역증강물질로 각광을 받고 있다. 그러나, 목질진흙버섯 (P. linteus)은 그 배양 방법이 어렵고 배양 기간이 1~2 년으로 길며, 자연계에서 매우 희귀종으로 자실체 (fruiting body)를 입수하기가 대단히 어려울 뿐만 아니라 균사체의 인공배양도 어려워 종양 치료제로서 그 효과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적극적으로 활용되지 못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에 배양 기간이 짧고 상황버섯 고유의 다당체 성분인 베타-글루칸의 함량이 높은 저가의 상황버섯 균사체 배양법과 관련해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아직 저가의 다당체 생산과 관련된 체계적인 연구는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알파-아밀라제 비활성이 높은 신규한 이노노투스 린테우스 (Inonotus linteus) EDEN-1 균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이 목적은 상기 균주를 이용하여 다당체 함량이 증가된 이노노투스 린테우스 균사체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은 알파-아밀라제 비활성이 높은 이노노투스 린테우스 (Inonotus linteus) EDEN-1 균주의 자실체 조직 또는 포자를 한천 배지에서 조직배양 후 계대 배양하여, 이를 여러 가지 조건에서 실험함으로써 다당체 함량이 높은 균사체를 배양하는 조건에 관한 정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알파-아밀라제 (α-amylase)를 생산하는 이노노투스 린테우스 (Inonotus linteus) EDEN-1 KACC93046P 균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파쇄효모 추출물 (auto yeast)를 포함하는 배지에서 이노노투스 린테우스 (Inonotus linteus) EDEN-1 KACC93046P의 균사체를 배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다당체 함량이 증가된 이노노투스 린테우스 (Inonotus linteus) EDEN-1 KACC93046P의 균사체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관한 자세한 내용은 실시예와 실험예를 중심으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하나, 다음의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균주의 분리
본 발명자들은 2003년 8월 경북 포항 죽장에 위치한 산지에서 그 형태와 색상이 뛰어난 자연산 목질진흙버섯을 채취하여 당일 자실체 조직으로부터 균을 조직 배양하여 균사체를 분리하였다. 조직배양의 방법은 채취한 목질진흙버섯 자실체를 99% 에탄올에 5 분간 침지하여 표면 살균을 수행한 후 조직과 포자를 YMG (포도당, 맥아추출물, 효모추출물) 평판배지에 받아내는 방법으로 균사체를 확보하였으며, 24℃ 항온 배양기에서 10일 동안 배양하여 종균을 확보하여 사용하였다.
삭제
삭제
실시예 2. 균주의 동정
균주의 동정은 상기의 종균을 배양하여 자실체를 얻은 후 자실체의 형태적 특성을 이용한 방법과 한국미생물연구원에서 ISP-5.8s rDNA 서열의 유전자 검사를 통해 종까지 동정하였다.
분리 균주 이노노투스 린테우스 (Inonotus linteus) EDEN-1의 형태학적 특성 및 염기서열분석:
형태학적 특성 :
관공 : 각형 내지 원형으로 mm 당 6~8개 분포해 있고, 주로 암황갈색을 띠며, 공벽은 얇고, 관공의 길이는 1mm 정도이다.
균사 : 이균사형태임.
포자 : 포자의 크기 3.8~4.8 × 2.9~4 ㎛임.
세포벽 : 두껍고, 담황색에서 담황갈색의 나형 내지 광타원형임.
삭제
삭제
삭제
도 1은 채취시의 이노노투스 린테우스 (Inonotus linteus) EDEN-1의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삭제
또한, 이노노투스 린테우스 (Inonotus linteus) EDEN-1의 16S rDNA 염기서열은 서열번호 1에 나타낸 바와 같다.
삭제
삭제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야생으로부터 얻은 균주는 이노노투스 린테우스 (Inonotus linteus)로 밝혀졌다. 따라서, 본 발명자들은 이 균주를 이노노투스 린테우스 (Inonotus linteus) EDEN-1로 명명하고, 국내특허균주기탁 기관인 한국농업미생물자원센터 (KACC)에 2006년 11월 12일자로 기탁하였으며 수탁번호는 KACC93046P이다.
도 2는 분리된 이노노투스 린테우스 (Inonotus linteus) EDEN-1의 계통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2005년 국제 유전자 은행 (Genbank)의 계통도 재분류 작업에서 종래 펠리누스 린테우스 (Phellinus linteus)는 이노노투스 린테우스 (Inonotus linteus)로 학명이 바뀌었는 바, 본 발명에 분리된 균주명도 KCCM의 유전자 분석 결과에 따라 이노노투스 린테우스 (Inonotus linteus) EDEN-1으로 하게 되었다.
삭제
삭제
실시예 3: 배지에 따른 이노노투스 린테우스 ( Inonotus linteus ) EDEN-1 및 다당체 생산량 비교
본 실시예 3에 사용한 배지의 종류 및 조성은 표 1과 같다.
표 1. 사용된 복합 배지 및 그 조성
성분(g/l) 배지
CDM GPM MEM MCM MMM ACM PDM YMG
포도당 20 20 4
전분 20
펩톤 5 2
소이톤 4
맥아 추출물 20 4
효모 추출물 2 6 10
감자 추출물 3 24
NaNO3 3
K2HPO4 1 1 1 1
KH2PO4 0.46 0.46 0.46
FeSO4 7H2O 10-5
MgSO4 7H2O 0.5 0.5 0.5 0.5
NaCl 0.5
아스파라긴산 2
KCl 0.5
한천 20 20 20 20 20 20 20 20

표 1의 성분은 증류수 1.000ml에 녹였다. 표 1에 사용된 약자는 다음과 같다: CDM; 체펙 독스 배지 (Czapek-Dox medium), GPM; 포도당 펩톤 효모 추출물 배지 (Glucose peptone yeast extract medium), MEM; 맥아 추출물 배지 (Malt extract medium), MCM; 버섯 복합 배지 (Mushroom complex medium), MMM; 버섯 최소 배지 (Mushroom minimal medium), ACM; 아그로사이브 실린드라세 배지 (Agrocybe cylindracea medium), PDM; 감자 덱스트로즈 배지 (Potato dextrose medium), YMG; 효모 추출물 맥아 추출물 포도당 배지 (Yeast extract malt extract glucose medium).
삭제
균사체 생육을 측정하기 위해서 제조된 평판 배지는 pH 6.0으로 조정하였고, 평판 배지의 중앙에 8 ㎜의 균사체 조각을 놓아두고 24℃ 항온기에서 10일 동안 배양한 후, 콜로니의 직경을 ㎜까지 측정하였다. 실험은 3회 반복 수행하여 평균 및 표준 편차를 구하였다. 다당체의 양은 10일 동안 진탕 배양 후 여과된 액을 이용하여 에탄올 침전법을 적용하여 측정하였다.
도 3은 표 1의 복합 배지에서 이노노투스 린테우스 (Inonotus linteus) EDEN-1 균주를 배양한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표 1의 배지 중 YMG, ACM, MCM 배지 순으로 생장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가장 많은 다당체 생산을 유도하는 배지로는 YMG 배지로 0.82g이 회수되었으며 MMM 배지에서 0.31 g이 회수되었다.
삭제
삭제
삭제
실시예 4: 여러 이노노투스 린테우스 ( Inonotus linteus ) 균주와의 다당체 생산량의 비교
본 실시예 4에 사용한 배지는 실시예 3에서 가장 많은 다당체 생산을 유도하는 것으로 나타난 YMG 배지를 사용하였으며, 다당체 측정 방법은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였다. 비교 대상으로 사용된 목질진흙버섯 ATCC 26710은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생물자원센터, IMSNU 31014는 서울대학교 미생물연구소로부터 분양받아 사용하였다.
목질진흙 버섯으로부터 다당체의 추출을 위하여 각 균주를 500 ㎖의 YMG 액체 배지를 이용 접종량이 5% (v/v)가 되도록 접종후 24±1℃에서 진탕 배양기 (120 rpm)에서 10일간 배양하였으며, 균사의 생육도 측정을 위하여 배양된 균사를 여과지 (Toyo filter No.2)를 사용하여 여과 후, 증류수로 3회 세척, 건조 (70℃, 24 hr)하여 건조체 중량을 측정하였다. 동일한 방법으로 배양된 배양체를 121℃, 1.5기압에서 멸균하여 (autoclave) 여과지 (filter paper)로 여과 후 여액의 2배에 해당하는 에탄올 (95%)을 첨가하여 4℃에서 24시간 동안 정치시키고, 5,000× g에서 15분간 원심분리하여 침전된 엑소-다당체 (exo-polysaccharide)을 회수하여 70℃에서 건조시켜 다당체의 양을 측정하였다. 또한, 동일한 방법으로 접종하지 않은 배지의 대조군들을 직접 조제하여 얻은 다당체의 양을 제외시켜 결과를 산출하였다.
도 4는 여러 목질진흙 버섯의 균사의 생육 정도 및 그의 다당체 함량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이노노투스 린테우스 (Inonotus linteus) 균주가 균사 생육 및 다당체 함량에 있어서, 이노노투스 린테우스 (Inonotus linteus) ATCC 26710 및 IMSNU 31014에 비하여 우수하였다. 도 4에서, 채워진 막대는 다당체를 나타내고, 빈 막대는 균사 생육을 나타낸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실시예 5: 이노노투스 린테우스 ( Inonotus linteus ) EDEN-1 균주의 다당체 생산량 변화
본 실시예 5에 사용한 배지는 YMG 배지를 기본으로 하여 맥아추출물을 제외한 YG 배지와 효모추출물을 제외한 MG 배지, 포도당을 제외시킨 YM 배지를 병행하여 실험을 진행하였으며, 해당결과에서 얻어진 효모추출물의 첨가에 따른 결과를 변화시키기 위해 맥주 발효 후 발생하는 건조효모 (dried yeast)와 건조효모를 분해시킨 후 정제 효모 추출물의 전단계인 파괴된 세포벽을 포함한 파쇄 효모추출물 (auto yeast)를 첨가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도 5는 이노노투스 린테우스 (Inonotus linteus) EDEN-1 균주의 배지에 따른 다당체 건조 중량 (dry weight)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파쇄 효모추출물 (auto-yeast)를 포함하는 YG 배지 및 YMG 배지에서 높은 다당체 생산이 유도되었다.
상기한 바와 같이, 파쇄 효모추출물 (auto-yeast)를 포함하는 배지에서 많은 다당체 생산이 유도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므로, 파쇄 효모추출물 (auto-yeast)의 농도에 따른 다당체 생산량을 확인하였다.
도 6은 파쇄 효모추출물 (auto-yeast)의 양을 점진적으로 변화시켜 이노노투스 린테우스 (Inonotus linteus) EDEN-1 균주를 배양한 결과, 배지 중의 다당체 건조 중량 (dry weight)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0.6% 파쇄 효모추출물 (auto-yeast)에서 가장 많은 다당체 생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다당체 생성량을 확인하기 위해서 에탄올 침지전 과정으로 열수 추출된 균사체 및 효모는 여과지로 걸러내는 작업을 수행하였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실시예 6: 이노노투스 린테우스 ( Inonotus linteus ) EDEN-1 균주의 알파-아밀라제 활성 실험
알파-알밀라제의 효소 활성은 Danielssion (1947)의 방법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20 mM 포타슘 포스페이트 버퍼 (pH 7.0)에 녹인 1% 녹말 용액 500 ㎕, 멸균수 480 ㎕, 조효소액 20 ㎕를 넣고 34℃에서 5분간 반응시킨 후, DNS법으로 환원당의 양을 측정하였다. α-D-포도당을 표준용액으로 사용하였으며, 1 유니트는 1분 동안 1μmole의 환원당을 생성하는 효소량으로 정의하였다.
단백질 정량은 쿠마시 브릴리언트 블루 (Coomassie brilliant blue)가 단백질과 결합하여 청색으로 발색되는 흡광도를 595nm에서 측정하는 브래드포드 방법 (Bradford, 1976)을 사용하였다. 정량하고자 하는 시료 100 ㎕에 시판하는 브래드포드 용액 2.5 ml을 첨가하고 10분 후 흡광도를 UV-160A 스펙트로포토미터 (Shimadzu)를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 표준 곡선은 소혈청 알부민 (bovine serum albumin) V을 기초로 하여 작성하였다.
삭제
도 7은 여러 이노노투스 린테우스 (Inonotus linteus) 균주의 알파-아밀라제 활성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노노투스 린테우스 (Inonotus linteus) EDEN-1 균주의 알파-아밀라제 활성은 350 유니트/mg 단백질로서, IMSNU31014 및 ATCC26710에 비하여 높았다.
실시예 7: 여러 이노노투스 린테우스 ( Inonotus linteus ) 균주의 곡물 배양특성
본 실시예 7을 위하여 선별된 맵쌀 보리쌀 200g에 파쇄효모 추출물 (auto yeast)을 0.6% 함량으로 혼합하여 12시간 동안 침지한 후, 121℃에서 3시간 동안 멸균하여 4℃에서 3시간 동안 하온시켜 각 이노노투스 린테우스 (Inonotus linteus) 균주를 1% (v/v)가 되도록 접종하였다. 그리고 24℃에서 45일 동안 배양하고, 그 결과물을 획득하였다.
도 8은 곡물 배지에서 배양된 이노노투스 린테우스 (Inonotus linteus) 균주의 배양물을 촬영한 사진이다.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노노투스 린테우스 (Inonotus linteus) EDEN-1 균주는 IMSNU 31031에 비하여 노란색이 더 강하였다. 또한, 도 8에는 나타나지 않았지만, ATCC 26710의 경우 곡물에서의 배양이 잘 되지 않아 사진을 찍기 위해 탈병하는 과정에서 부서져 버려 그 결과물을 찍지 못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이노노투스 린테우스 (Inonotus linteus) 균주의 알파-아밀라제 분비량에 차이가 나기 때문인 것으로 여겨진다.
삭제
삭제
본 발명의 이노노투스 린테우스 (Inonotus linteus) EDEN-1 균주는 알파-아밀라제 비활성 및 다당체 생산량이 다른 이노노투스 린테우스 (Inonotus linteus) 균주에 비하여 높다. 또한, 이노노투스 린테우스 (Inonotus linteus) EDEN-1 균주는 다른 균주에 비하여 노란색상이 강하며, 파쇄효모 추출물 (auto yeast)를 포함하는 배지에서 배양할 경우 많은 다당체 생산이 유도될 수 있다. 이는 본 발명의 결과를 통해 제조되는 이노노투스 린테우스 (Inonotus linteus) 균사체는 높은 다당체 함량을 가지기 때문에, 제약 및 식품 원료, 기능성 식품 첨가제로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110> Lim Chang-soo <120> Inonotus linteus producing alpha amylase and method of producing Inonotus linteus mycelia having enhanced polysaccharide content using the same <130> PN077299 <160> 1 <170> KopatentIn 1.71 <210> 1 <211> 699 <212> DNA <213> Inonotus linteus EDEN-1 <220> <221> misc_feature <222> (1)..(699) <223> 16s rDNA of Inonotus linteus EDEN-1 <400> 1 agcgaggctt gctgctggcg cagttaattt ttgcgcatgt gcacggtctt cgcgctcaag 60 tcccaactca aacccctgtg caccttatca tatcgcgagt cgaagttagt agtctgaggt 120 gggtctcgta agtaattgtt agttagtaga aggggcgaaa gcgagtcttt gctcgttagg 180 taaccctttc gaaaagtgaa tgaaagcgag cgacgtcggg tgaaggcttt cggcttgtcg 240 ttacaaaccc cttatattgt ctttgtgaat gtaatgctcc tcgtgggcga aaataaatac 300 aactttcaac aacggatctc ttggctctcg cttcgatgaa gaacgcagcg aaatgcgata 360 agtaatgtga attgcagaat tcagtgaatc atcgaatctt tgaacgcacc ttgcgcccct 420 tggtattccg aggggcatgc ctgtttgagt gtcatgttta tctcaaaccg ctcgtctttt 480 cttaatcgga agggcttgag gtttggactt ggaggtttta ctgctggcgc ctttcgaggg 540 gtcggctcct cttaaataca ttaactgggc tttggctcgc gtttacggtg taatagttga 600 ttccgttcac caacgagcgc ttgcctgacg agctcgcttc taaccgtccg cgtcgtcgga 660 caaggagtgt tacccctcct ttttggcccc tttgacctc 699

Claims (2)

  1. 알파-아밀라제 (α-amylase)를 생산하는 이노노투스 린테우스 (Inonotus linteus) EDEN-1 KACC93046P.
  2. 파쇄효모 추출물 (auto-yeast)를 포함하는 배지에서 이노노투스 린테우스 (Inonotus linteus) EDEN-1 KACC93046P의 균사체를 배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다당체 함량이 증가된 이노노투스 린테우스 (Inonotus linteus) EDEN-1 KACC93046P의 균사체를 제조하는 방법.
KR1020070000755A 2007-01-03 2007-01-03 알파-아밀라제를 생산하는 이노노투스 린테우스 및 그를 이용하여 다당체 함량이 증가된 이노노투스 린테우스 균사체를 제조하는 방법 KR1008524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0755A KR100852490B1 (ko) 2007-01-03 2007-01-03 알파-아밀라제를 생산하는 이노노투스 린테우스 및 그를 이용하여 다당체 함량이 증가된 이노노투스 린테우스 균사체를 제조하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0755A KR100852490B1 (ko) 2007-01-03 2007-01-03 알파-아밀라제를 생산하는 이노노투스 린테우스 및 그를 이용하여 다당체 함량이 증가된 이노노투스 린테우스 균사체를 제조하는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4040A KR20080064040A (ko) 2008-07-08
KR100852490B1 true KR100852490B1 (ko) 2008-08-18

Family

ID=398155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00755A KR100852490B1 (ko) 2007-01-03 2007-01-03 알파-아밀라제를 생산하는 이노노투스 린테우스 및 그를 이용하여 다당체 함량이 증가된 이노노투스 린테우스 균사체를 제조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5249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81595A (ko) * 1998-04-30 1999-11-15 한만우 신규한 면역증강활성 물질을 생산하는 펠리누스속 균주
KR20000059470A (ko) * 1999-03-04 2000-10-05 우재영 항산화, 미백, 보습, 면역증강 및 항여드름 작용을 나타내는 목질진흙버섯 자실체 및 배양균사체 추출물, 그 제조방법 및 용도
KR20020062047A (ko) * 2001-01-19 2002-07-25 환인제약 주식회사 신규의 펠리누스 린테우스 균주 및 이로부터 분리정제된항암 면역활성 다당류
KR20060003982A (ko) * 2004-07-06 2006-01-12 환인제약 주식회사 이노노투스 오블리쿠스 wi0628 균주, 그의 항당뇨활성 추출물 및 추출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81595A (ko) * 1998-04-30 1999-11-15 한만우 신규한 면역증강활성 물질을 생산하는 펠리누스속 균주
KR20000059470A (ko) * 1999-03-04 2000-10-05 우재영 항산화, 미백, 보습, 면역증강 및 항여드름 작용을 나타내는 목질진흙버섯 자실체 및 배양균사체 추출물, 그 제조방법 및 용도
KR20020062047A (ko) * 2001-01-19 2002-07-25 환인제약 주식회사 신규의 펠리누스 린테우스 균주 및 이로부터 분리정제된항암 면역활성 다당류
KR20060003982A (ko) * 2004-07-06 2006-01-12 환인제약 주식회사 이노노투스 오블리쿠스 wi0628 균주, 그의 항당뇨활성 추출물 및 추출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4040A (ko) 2008-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199920B1 (ko) 동충하초속균의 배양방법
US20210079339A1 (en) Fermentation production process of paecilomyces hepialis cs-4
KR101124783B1 (ko) 상황버섯 균사체 배양용 배지 조성물
Ahmad et al. Isolation, identification, cultivation and determination of antimicrobial β-glucan from a wild-termite mushroom Termitomyces heimii RFES 230662
KR101804317B1 (ko) 자외선 조사를 이용하여 제조된 변이균주 아우레오바시디움 풀루란스 YK1 및 이를 이용한 β-글루칸 생산 방법
CN111117896B (zh) 一株蛹虫草及其在产虫草素中的应用
KR20040047730A (ko) 펠리누스 린테우스 균사체 배양용 배지 조성물
KR100852490B1 (ko) 알파-아밀라제를 생산하는 이노노투스 린테우스 및 그를 이용하여 다당체 함량이 증가된 이노노투스 린테우스 균사체를 제조하는 방법
CN114015579B (zh) 一种高产β-葡聚糖的出芽短梗霉及其应用
KR101196736B1 (ko) 고함량의 베타글루칸이 함유된 상황버섯 균사체 생산방법
CN106797801B (zh) 一种蝉花的人工培养方法
KR20170069547A (ko) 면역활성을 갖는 상황버섯 균사체 추출물 및 그 제조방법
KR100706132B1 (ko) 펠리누스 린테우스 균사체 배양용 배지 조성물
KR101865292B1 (ko) 버섯 추출물을 함유하는 펠리누스 린테우스 배양용 배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펠리누스 린테우스의 배양방법
CN113046249A (zh) 一株蜡蚧轮枝菌ll-01及其生防应用
Kwon-Chung Filobasidium Olive (1968)
KR100909857B1 (ko) 베타-1,6-분지-베타-1,3-글루칸을 고농도로 생산하는 치마버섯 신균주 큐지143-1 및 당해 균주를 사용한 베타-1,6-분지-베타-1,3-글루칸의 제조방법
KR20200108748A (ko) 베타글루칸 함량을 극대화한 상황버섯균사체의 배양방법
KR100754821B1 (ko) 벌 동충하초 j―201 균주의 균사체와 그 세포외 다당체의대량 생산방법
KR101853429B1 (ko) 세포외효소 및 세포외 다당체 생성능이 증가된 세리포리아 라세라타 변이균주 및 이의 제조방법
Gautam et al. Optimization of cultural conditions for solid state fermentation of amylase production by Aspergillus species
KR101119143B1 (ko) 차가버섯 균사체 배양용 배지 조성물
CN109777847B (zh) 体细胞亲和灵芝菌株对共发酵生产强抗氧化活性多糖的方法
KR20170137985A (ko) 베타-글루칸 고생산성 오레오바시디움 속 ari 6131 균주
Kumar et al. First report from India on identification and domestication of Morchella importuna strain ANI1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05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31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