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09857B1 - 베타-1,6-분지-베타-1,3-글루칸을 고농도로 생산하는 치마버섯 신균주 큐지143-1 및 당해 균주를 사용한 베타-1,6-분지-베타-1,3-글루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베타-1,6-분지-베타-1,3-글루칸을 고농도로 생산하는 치마버섯 신균주 큐지143-1 및 당해 균주를 사용한 베타-1,6-분지-베타-1,3-글루칸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09857B1
KR100909857B1 KR1020080079595A KR20080079595A KR100909857B1 KR 100909857 B1 KR100909857 B1 KR 100909857B1 KR 1020080079595 A KR1020080079595 A KR 1020080079595A KR 20080079595 A KR20080079595 A KR 20080079595A KR 100909857 B1 KR100909857 B1 KR 1009098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ta
glucan
branch
strain
ski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795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28403A (ko
Inventor
이종대
송성기
전계택
정용섭
김제경
장용만
안현정
최나니
Original Assignee
(주)큐젠바이오텍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큐젠바이오텍,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주)큐젠바이오텍
Publication of KR200900284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284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98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98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14Fungi; Culture media therefo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BPOLYSACCHARIDES; DERIVATIVES THEREOF
    • C08B37/00Preparation of polysaccharid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B1/00 - C08B35/00; Derivatives thereof
    • C08B37/0006Homoglycans, i.e. polysaccharides having a main chain consisting of one single sugar, e.g. colominic acid
    • C08B37/0024Homoglycans, i.e. polysaccharides having a main chain consisting of one single sugar, e.g. colominic acid beta-D-Glucans; (beta-1,3)-D-Glucans, e.g. paramylon, coriolan, sclerotan, pachyman, callose, scleroglucan, schizophyllan, laminaran, lentinan or curdlan; (beta-1,6)-D-Glucans, e.g. pustulan; (beta-1,4)-D-Glucans; (beta-1,3)(beta-1,4)-D-Glucans, e.g. lichenan; Derivativ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PFERMENTATION OR ENZYME-USING PROCESSES TO SYNTHESISE A DESIRED CHEMICAL COMPOUND OR COMPOSITION OR TO SEPARATE OPTICAL ISOMERS FROM A RACEMIC MIXTURE
    • C12P19/00Preparation of compounds containing saccharide radicals
    • C12P19/04Polysaccharides, i.e. compounds containing more than five saccharide radicals attached to each other by glycosidic bond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Zo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techn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biology (AREA)
  • Botany (AREA)
  • Vir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Myc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베타-1,6-분지-베타-1,3-글루칸을 고농도로 생산하는 치마버섯 신균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종래의 치마버섯에 비해 액체 배양에서 베타-1,6-분지-베타-1,3-글루칸의 생산성이 2.5배 높은 매우 우수한 신균주 큐지143-1 및 이로부터 베타-1,6-분지-베타-1,3-글루칸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베타-1,6-분지-베타-1,3-글루칸, QG143-1, 치마버섯 신균주, Schizophyllum commune

Description

베타-1,6-분지-베타-1,3-글루칸을 고농도로 생산하는 치마버섯 신균주 큐지143-1 및 당해 균주를 사용한 베타-1,6-분지-베타-1,3-글루칸의 제조방법 {Schizophyllum commune QG143-1 producing high concentration of β-1,6-branched-β-1,3-glucan and a method for preparation of β-1,6-branched-β-1,3-glucan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베타-1,6-분지-베타-1,3-글루칸 (β-1,6-branched-β-1,3-glucan)을 대량생산하는, 치마버섯(Schizophyllum commune) 유래의 신균주 QG143-1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당해 신균주는 원형질체 형성법을 이용하여 단일 유전자를 갖는 치마버섯 원형질체를 회수하고, 돌연변이원 처리 후 재생된 균주들의 베타 글루칸 생산성을 확인, 고생산성의 산업균주를 선별하는 방법으로 제조된다.
다당류(polysaccharide)는 보편적으로 살아있는 개체들로부터 생산되는데 이 다당류들은 복잡한 화학적 구조, 생리적 기능과 식품공학, 생분해성 플라스틱, 화장품, 농경학, 연료와 그 외의 다양한 산업분야에서 넓은 범위의 잠재적 응용력이 존재한다. 그러나 현재까지 자연계로부터 발견된 수많은 다당류(polysaccharide)의 종류에 비하여 산업화되어 사용되고 있는 다당류의 종류는 극히 제한적이다. 그 중 사용되고 있는 효모의 세포벽, 버섯류, 곡류 등에 존재하는 베타 글루칸(β-glucan)은 여러 가지 영역에서 효능에 대한 평가가 이루어지고 있는데 버섯 중 특히 치마버섯 유래 다당류의 베타 글루칸은 피부 질병 및 염증을 막아주고 자외선 차단효과와 항산화 효과가 있으며, 화상이나 상처에 의해 야기된 괴사조직 제거와 손상된 상피조직 재생에 관여하는 피부 면역체계를 활성화시킴으로써 치유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다당의 일종인 글루칸은 D-글루코오스만을 구성당으로 하는 포도당 중합체로 연결 형태에 따라 a혹은 b형으로 구분된다. 특히 베타 글루칸은 포도당 단위체가 1,3위치에 b-글리코시드 결합으로 연결된 기본 골격에 4번(b-1,4 결합) 혹은 6번(b-1,6 결합) 탄소에 측쇄를 가지며 이러한 측쇄 유무에 따라 구조적인 차이와 함께, 기원에 따라 구성당의 균일성, 결합성, 분자량 등 많은 차이가 있어 물리화학적 특성 및 생체 기능도 다른 경우가 많다.
치마버섯(Schizophyllum commune)은 싱어(Singer, R.)의 분류서(The Agaricales in modern taxonomy, 1975)에 의하면 분류학상으로 담자균류의 주름버섯목 송이과 치마버섯속에 속하는 목질부후균으로, 베타-1,6-분지-베타-1,3-글루칸 (β-1,6- branched-β-1,3-glucan)을 세포외로 생산하는 균주이다. 치마버섯은 야생에서 채취할 수 있으며, 다음과 같은 형태학적 특성이나 분류학적 지표에 의해 확인할 수 있다. 치마버섯의 자실체는 대가 없으며 갓의 측면이 기질에 부착하고 크기가 보통 1.0 내지 3.0cm이며, 모양은 부채형 또는 조개형이며 종으로 주름이 있고 말단은 불규칙하게 갈라지고 미세한 털이 덮혀 있다. 주름살은 백색이지만 성숙하게 되면 담회색 또는 담자갈색을 띄며, 조직은 건조한 경우 수축하고 수분을 흡수하면 회복된다. 포자문은 백색이고 포자는 4~6 X 1.5~2㎛ 크기의 원추형으로 평활하며 흰색을 띄고 있다. 치마버섯(Schizophyllum commune Fr .)은 고목 등에 자생하는 각질의 버섯으로 더 상세한 섭생 및 모양은 한국버섯도감(김삼순, 김양섭 공저, 유풍출판사, 1990) 및 싱어(Singer)의 분류서에 상세히 기재되어 있다.
치마버섯은 거친 식감으로 인해 중국에서만 일부 식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었으나, 본 버섯에 존재하는 β-1,6-분지-β-1,3-글루칸 구조의 'Schizophyllan'이라는 다당체의 생리활성이 알려지면서 버섯자체로는 이용이 어려우나 균사체 등으로부터 추출하여 보습 효과, 항-종양 활성, 마크로파지 자극, 항생(anti-biotic) 활성 등의 면역학적 효과(Shimizu et al. 1992; Komatsu et al. 1973)를 이용하여 약품, 화장품 등의 유효기능성분으로서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다. 치마버섯으로부터 유래된 schizophyllan은 베타-1,3-글루칸 주당쇄에 규칙적인 베타-1,6-잔기를 갖는 글루칸으로서, 표고버섯(Lentinus edodes), 느타리버섯(Pleurotus ostreatus), 상황버섯(Phellinus linteus) 등의 다른 버섯류로부터 생산된 β-glucan의 분자량이 수십만 ~ 200만인데 비해 치마버섯 유래 schizophyllan의 분자량은 200만 ~ 500만으로 상당히 크며, 다른 버섯류의 β-glucan이 불균일한 당조성과 구조를 갖는데 비하여 분지된 균일하고 특유한 구조를 갖고 있으며, 세포외로 분비되는 안정한 중성 다당류의 특성을 갖고 있다 [참조: Kenichi T., Saimei T. Synthesis of the repeating units of Schizophyllan. 1986].
치마버섯에서 유래한 다당류인 베타 글루칸의 기능이 알려지면서 순수 분리 정제에 대해 다양한 접근방법이 시도되고 있다. 치마버섯 유래의 베타 글루칸을 얻기 위한 방법으로 버섯 자실체는 배양 기간이 매우 길며 배양방법에 따라 조성이 균일하지 않을 가능성이 있으며, 고형 배지에 의한 균사체 배양 또한 배양기간이 길고, 균일하게 이루어지지 않으며, 베타 글루칸을 추출할 때 배지성분에 의한 추출의 영향을 배제할 수가 없다. 이에 따라 치마버섯의 생리활성 성분인 베타 글루칸을 단기간에 대량으로 얻기 위한 방법으로 자실체로부터 얻은 균사체를 액체 배양하는 것이다.
버섯균사체를 이용해서 순수한 고농도 베타 글루칸을 효율적으로 얻기 위한 방법으로는 액체 배양에 의한 생성량 증대가 많이 연구되어 왔으며, 특히 세포 외로 생성되는 베타 글루칸에 대한 연구가 상황버섯, 영지 등을 대상으로 활발히 진행되어 왔다. 생물공학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산업용 미생물의 균주개발 기술 또한 발전하였다. 그러나 포자를 생성하지 않는 담자균류의 경우, 자실체 형성을 유도하여 포자를 획득하지 않는 한, 단일 콜로니를 얻는 것이 불가능하고 이 때문에 균주개발의 시도 자체가 이루어 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치마버섯에서 유래한 베타 글루칸 생성량의 증대를 목적으로 원형질체 형성법 및 UV 돌연변이법을 이용하여 베타 글루칸을 고농도로 생산하는 치마버섯 신균주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본 발명자들은 원형질체 형성법 및 돌연변이법을 이용하여 베타-1,6-분지-베타-1,3-글루칸을 고농도로 생합성하는 신균주 QG143-1를 개발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이 지니는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이에 따른 본 발명의 목적은 친균주인 야생형의 치마버섯에 비해 베타-1,6-분지-베타-1,3-글루칸의 생산성을 현저하게 높이며, 대량배양 시 균체 성장률이 높음으로 인해 산소 및 물질전달에 악영향을 주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균체 성장률을 감소시킨 Schizophyllum commune 신균주를 개발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Schizophyllum commune QG143-1을 배양하여 그 배양물로부터 베타-1,6-분지-베타-1,3-글루칸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원형질체 형성 및 UV 돌연변이법을 이용하여 치마버섯의 베타-1,6-분지-베타-1,3-글루칸 생산성이 우수한 치마버섯 QG143-1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치마버섯 QG143-1을 배양하여 그 배양물로부터 베타-1,6-분지-베타-1,3-글루칸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신균주인 치마버섯 QG143-1은 친균주인 치마버섯 균주에 비해 균체 성장률은 낮음에도 불구하고 베타-1,6-분지-베타-1,3-글루칸의 생산성이 2.6배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해 면역증강, 높은 보습력, 화상치유용 화장품 및 의약품의 원료인 베타-1,6-분지-베타-1,3-글루칸의 대량공급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베타-1,6-분지-베타-1,3-글루칸 생산성이 우수한 치마버섯 QG143-1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치마버섯 QG143-1을 배양하여 그 배양물로부터 베타-1,6-분지-베타-1,3-글루칸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내용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치마버섯 QG143-1(이하, '신균주'라 칭함)은, 면역력 증가활성, 피부 보습, 화상치유효과 등을 가지는 베타-1,6-분지-베타-1,3-글루칸의 생산 균주인 Schizophyllum commune (야생에서 채취한 치마버섯의 자실체로부터 획득한 균사체 이하, ‘친균주’라 칭함)로부터 원형질체를 형성하고 UV를 이용한 돌연변이 처리를 가한 후 전분 분해능이 감소된 균주로 선별된 것 중에서 베타-1,6-분지-베타-1,3-글루칸을 가장 많이 생산하는 것으로 확인된 균주로, 당해 균주는 농업생명공학연구원에 2007년 9월 12일에 기탁되었으며, 기탁 번호는 KACC93060P이다.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신균주 또는 동 균주가 생산하는 베타-1,6-분지-베타-1,3-글루칸은 의학적 또는 화장품의 용도로서 제공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1> 치마버섯 균사체 액상배양법
(1) 치마버섯의 포자를 발아시켜 균사체를 얻는 단계;
치마버섯의 균사체는 야생에서 채취한 치마버섯의 자실체로부터 수득한 포자를 발아하여 획득한 균사체를 이용하였다. 효모-감자전분-포도당 한천배지(효모추출물 3g, 감자전분 10g 포도당 10g, 한천 15g, 증류수 1ℓ)에 도말하여 24˚C 온도에서 7일간 배양하여 얻었다. 한편, 균사체는 효모-감자전분-포도당 한천배지가 든 시험관에 사면배양하여 4˚C에 보관하고, 1개월마다 계대배양하여 사용하였다.
(2) 균사체를 액체배지에 배양하는 단계;
상기의 사면배지에서 성장한 균사체를 무균적으로 수거한 후, 이를 액체배지에 5%(v/v)되게 접종하였다. 액체배지로는 포도당 5%, 효모추출물 1%, 맥아추출물 0.4%, 탈지유 0.4%, 일인산칼륨 0.3%, 황산철 0.04% pH는 5.5로 조정된 배지를 사용할 때 균사체 성장율 및 베타글루칸 생산성 측면에서 양호하다. 균사체의 액체배양은 발효조내에서 28˚C, 교반속도 250 rpm, 통기량 1vvm의 조건으로 7일간 배양하였다.
(3) 치마버섯 배양액에서 베타 1,6-분지-베타 1,3-글루칸 정량 단계;
알콜정제를 통해 치마버섯 유래 베타-글루칸을 회수하였고 Anthrone법으로 함량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99% 이상의 베타 글루칸 함량을 나타내었다. 상기(2)단계의 조건을 이용하여 5L 발효조에서 친균주와 신균주를 각각 배양 할 경우의 배양시간에 따른 균사체의 성장과 베타-1,6-분지-베타-1,3-글루칸의 생산성을 도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2> 신균주 분리
치마버섯 원형질체 형성
담자균류의 특징으로써 자실체를 형성하기 전까지 단일 유전자를 갖는 포자를 획득할 수 없기 때문에 본 실시예에서는 치마버섯 유래의 베타-1,6-분지-베타-1,3-글루칸을 고생산하는 돌연변이원에 저항성을 갖는 내성 변이주를 얻기 위해 야생형의 치마버섯을 친균주로 사용하여 원형질체를 획득하고자 하였다. 효모-감자전분-포도당 한천배지에서 7일간 배양한 생산 균주를 20% glycerol로 수거하여 액체 최소 배지 (포도당 2%, 황산암모늄 0.5%, 일인산칼륨 0.1%, 염화칼륨 0.02%)가 첨가된 250 ml 플라스크에 접종하고 이를 37℃, 230 rpm으로 36시간 동안 진탕 배양하여 원형질체 형성에 필요한 균체를 얻었다. 플라스크에 있는 배양액과 균사체를 공극 크기가 20~25 μm의 필터(Watman No.4)에 통과시켜 배지 성분등의 잔여물 을 여과시켜 균사체만을 회수하였다. 여과를 통해 획득한 균사체를 0.6 M 황산마그네슘 용액으로 2회 세척한 뒤 균체 1 g 을 원형질체 형성에 사용하였다. 원형질체 형성을 위해 원형질체 형성용액 (0.6 M 염화마그네슘, 10 mM 인산염 완충액 pH 5.8) 5 ml에 균체 1 g과 Viscozyme L을 첨가하여 28℃, 80 rpm으로 24 내지 36 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 후 형성된 원형질체를 50 ml conical tube에 조심스럽게 옮기고 3,000 rpm으로 20분 동안 원심분리하여 상등액을 제거한 뒤, 약 5 ml만 남기고 원형질체형성 완충액 10 ml을 첨가하였다. 그 후 3,000 rpm에서 20분간 원심분리하여 상등액을 제거하였다. 남은 약 2 ml을 형질 전환에 이용하였다.
UV 를 이용한 치마버섯 원형질체의 돌연변이
상기 친균주로부터 돌연변이주를 얻기 위해 형성한 치마버섯의 원형질체를 수거한 뒤 변이처리에 이용하였다. 얻은 원형질체를 원심분리한 뒤 hemocytometer를 이용하여 계수 한 뒤 1×107 cells/㎖로 희석하였다. 희석된 균체는 유리 페트리-디쉬에 담아 rocker 위에 놓은 뒤 온화하게 혼합하면서 UV를 조사하였다.
UV처리는 암소에서 254 nm의 UV lamp 2개를 0 내지 120초 동안 조사하여 0.1 ㎖씩 한천 플레이트에 도말하였다. 생존한 콜로니를 계수하여 UV를 처리하지 않은 대조군에 대한 백분율을 구하여 치사율이 대략 70~80% 정도 되는 UV 처리 시간을 변이조건으로 이용하였다 (도 2). 본 결과를 바탕으로 UV의 S. commune KCTC2633에 대한 최소저해농도(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 : MIC)인 120초에서 UV 돌연 변이 실험을 수행하였다.
원형질체 재생
준비한 원형질체를 원형질체 형성 완충용액에 현탁하여 1 X 105 protoplasts/ml 농도의 용액을 제조하였다. 그리고 이들 원형질체 용액 0.1 ml을 최소 한천 배지 5 ml에 첨가하여 고체 최소 한천배지위에 중층하였다. 그 후 광으로 인한 재활성현상 (photoreactivation)을 억제하기 위해 암소에서 4 내지 6일 정도 배양한 뒤, 재생된 원형질체를 측정하여 원형질체 형성률을 알아보기 위해 삼투압 안정제 (sorbitol)가 첨가되지 않은 최소 배지에 접종하여 배양하였고, colony 형성 여부를 비교하였다 (도 3).
베타-1,6-분지-베타-1,3- 글루칸 고생산성 신균주 선별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UV 돌연변이를 시도한 후 재생된 치마버섯의 원형질체 중 베타-1,6-베타-1,3-글루칸의 생산 능력이 우수한 돌연변이 균주들을 대량 선별하고자 하였다. 일반적으로 치마버섯의 경우 이핵체에 비해 단핵체의 성장률이 빠른 특징을 가지고 있다. 본 실험 예에서는 빠른 대사를 가지고 있는 단핵체들을 선별하기 위해 재생된 콜로니들의 현미경으로 관찰하여 꺽쇠연결 (clamp connection)이 없는 균주들을 위주로 선별하였다. 선별된 균주들의 베타 글루칸 생산성 및 성장율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치마버섯 신균주들의 성장률은 건조균체 량으로 측정하였고, 그 방법은 다음과 같다. 배양이 종료된 배양액 20 ml을 1,5000 rpm에서 원심분리하여 균사체만을 회수한 후 증류수로 4회 세척하여 90℃, 12시간 건조하였다. 베타 글루칸의 회수는 에탄올 침전법을 이용하였다. 250 ml 플라스크에 상기 실시예에 제시한 액상배지를 50 ml 첨가하고 원형질 재생 균주들과 친균주를 각각 접종하여 약 7일 간 배양하였고, 그 결과를 도 4에 제시하였다. 우선 성장률을 비교하면 친균주의 경우 약 10 g/L의 건조균체량을 보이는 반면, 원형질 재생 균주들(A 내지 I)은 4 내지 14 g/L로 다양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친균주가 단핵체와 이핵체가 혼합되어 있는 상태인 것에 비해 단핵체들이기 때문에 성장률이 빠른 경향을 보이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되고, UV 돌연변이에 의해 균체의 대사가 변화되었기 때문에 다양한 성장률을 보이는 것으로 생각된다. 본 균주들의 베타 글루칸 생산성을 비교해 보았다. 건조균체량 비교 결과와 마찬가지로 매우 다양한 생산성을 보인다. 친균주의 경우 약 8 g/L의 베타 글루칸을 생산한 반면 돌연변이 균주들은 3 내지 20 g/L로 다양하였다.
주목할 만한 점은 돌연변이균주 C의 경우 건조세포량이 8 g/L로 낮음에도 불구하고 베타 글루칸 생산성이 20 g/L을 나타냈다. 본 균주의 배양생리적 특징을 살펴보면 친균주에 비해 전분 가수분해능이 낮다는 점이다. 치마버섯 유래 베타 글루칸 생산에 있어서 균사체로부터 생성되는 부산물인 엔도글루카나아제 (endo-1,3-beta-glucanase)는 치마버섯 배양과정 후반부에 생산되어, 이미 생산된 베타-1,6-분지-베타 1,3-글루칸을 분해하여 수율을 떨어뜨리는 요인이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참조: Prokop 등. 1994. Can. J. Microbiol. Rev. vol. 40, no. 1, pp18], 상기의 신균주는 이러한 엔도글루카나아제를 비롯한 전분 가수분해 효소의 생산이 친균주와 비교하여 낮음으로 인해 베타-1,6-분지-베타-1,3-글루칸의 생산성이 향상된 것으로 판단된다.
이에 베타-1,6-분지-베타-1,3-글루칸의 생산능이 가장 큰 돌연변이균주 C를 QG143-1이라 명명하고 농업생명공학연구원에 기탁하여 기탁번호 KACC93060P를 부여받았다.
본 발명에 따른 신균주, QG143-1의 배양생리학적 및 형태학적 특성을 친균주와 비교한 결과는 하기 표 1 및 2와 같다.
친균주 및 신균주 QG143-1의 한천배지에서의 배양학적 특징
배 지 온 도 S.commune wild type S.commune QG143-1
효모-감자전분-포도당 한천배지 28℃ 균사체 색깔 미색 균사체 색깔 밝은 미색
꺽쇠연결 유무 혼합 꺽쇠연결 유무
균사체 균사 발달 균사체 균사 발달
효모-감자전분-포도당 한천 배지: 효모추출물 0.3%, 감자전분 1%, 포도당 1%
※Humid chamber에서 7일간 배양 후 관찰
상기 표 1에 제시된 바와 같이 친균주와 신균주의 배양학적 특성과 생리학적 특성들이 대부분 유사하다. 효모-감자전분-포도당 한천배지에서 자라는 친균주와 신균주의 균체 형태나 색깔에서도 큰 차이는 없다. 또한 두 균주 모두 균사가 잘 발달되어 있다. 그러나, 성장 속도를 관찰해 보면 신균주의 성장속도가 조금 느린 것을 알 수 있다. 특이한 점은 친균주인 경우 이핵체 (dikaryon)과 단핵체(monokaryon)가 혼합된 상태인 데 비해, 신균주는 단핵체라는 점이다. 이는 원형질체 형성 후 베타 글루칸 고생산성 변이주를 선별하는 과정에서 꺽쇠연결 (clamp connection)이 없는 단핵체의 균주를 선별하였기 때문이다.
친균주 및 신균주 QG143-1의 생리적 특성 비교
Test S.commune wild type S.commune QG143-1
에탄올생산성 + +
전분가수분해 ++ +
아밀라제활성 + ++
지질가수분해 + +
카세인 분해 + +
※+(보통) →+++(잘됨)
두 균주의 생리적 특성을 비교한 위 표 2에서, 신균주와 친균주의 에탄올생산성, 지질가수분해 및 카세인 분해능은 거의 동일한 반면, 전분가수분해능은 신균주가 친균주에 비해 비교적 낮았다. 따라서, 신균주 QG143-1는 베타-1,6-분지-베타1,3-글루칸을 분해하여 수율을 떨어뜨리는 요인인 전분가수분해효소 분해능이 친균주에 비해 낮음으로 인해 베타-1,6-분지-베타-1,3-글루칸의 수득률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보인다.
친균주 및 신균주 QG143-1의 베타-1,6-분지-베타-1,3-글루칸(농도: g/L) 생산력 비교
0일째 1일째 2일째 3일째 4일째 5일째 6일째 7일째 8일째
S.commune wild type 0 2.6 4.1 5.9 7.2 7.4 8.3 7.8 7.2
S.commune QG143-1 0 3.0 7.1 8.9 13.2 12.2 15.2 14.9 19.1
위 표 3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친균주(S.commune wild type)를 배양한 8일 후에 수득된 베타-1,6-분지-베타-1,3-글루칸의 농도는 7.2 g/L인 반면, 신균주 QG143-1에서는 19.1 g/L로 친균주의 생산량에 비해 약 2.6배 더 높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신균주인 치마버섯 QG143-1은 친균주인 치마버섯 균주에 비해 균체 성장률이 낮음에도 불구하고 베타-1,6-분지-베타-1,3-글루칸의 생산성이 2.6배 높게 나타났다.
도 1은 5L 발효조에서 친균주와 신균주를 각각 배양 할 경우의 배양시간에 따른 균사체의 성장과 베타-1,6-분지-베타-1,3-글루칸의 생산량 변화도이다.
도 2는 UV 조사 시간에 따른 치마버섯 원형질체의 생존율 변화율이다.
도 3은 치마버섯 원형질체의 재생사진 (A: 삼투압안정제 미첨가, B: 삼투압안정제 첨가)이다.
도 4는 친균주와 돌연변이균주들의 건조균체량(A) 및 베타 글루칸 생산성(B) 비교도이다.

Claims (3)

  1. 높은 베타-1,6-분지-베타-1,3-글루칸 생산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마버섯 QG143-1(Schizophyllum commune QG143-1) (기탁번호: KACC93060P) 균주.
  2. 치마버섯 QG143-1(Schizophyllum commune QG143-1) (기탁번호: KACC93060P) 균주를 배양하여 그 배양물로부터 베타-1,6-분지-베타-1,3-글루칸을 제조하는 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배양은 액체배양임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KR1020080079595A 2007-09-13 2008-08-13 베타-1,6-분지-베타-1,3-글루칸을 고농도로 생산하는 치마버섯 신균주 큐지143-1 및 당해 균주를 사용한 베타-1,6-분지-베타-1,3-글루칸의 제조방법 KR10090985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3013 2007-09-13
KR20070093013 2007-09-1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8403A KR20090028403A (ko) 2009-03-18
KR100909857B1 true KR100909857B1 (ko) 2009-07-29

Family

ID=406956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79595A KR100909857B1 (ko) 2007-09-13 2008-08-13 베타-1,6-분지-베타-1,3-글루칸을 고농도로 생산하는 치마버섯 신균주 큐지143-1 및 당해 균주를 사용한 베타-1,6-분지-베타-1,3-글루칸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0985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83841A (ko) 2018-07-16 2018-07-23 (주)큐젠바이오텍 베타글루칸 및 항결핵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결핵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US11154568B2 (en) 2017-09-19 2021-10-26 Quegen Biotech Co., Ltd. Composition for relieving hangover or composition for preventing, alleviating or treating alcoholic liver disease, comprising b-glucan as active ingredi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95623B1 (ko) * 1998-03-24 2001-09-06 서경배 치마버섯유래의베타-1,6-분지-베타-1,3-글루칸의제조방법및이방법에의해제조된베타-1,6-분지-베타-1,3-글루칸을함유하는화장료조성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95623B1 (ko) * 1998-03-24 2001-09-06 서경배 치마버섯유래의베타-1,6-분지-베타-1,3-글루칸의제조방법및이방법에의해제조된베타-1,6-분지-베타-1,3-글루칸을함유하는화장료조성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154568B2 (en) 2017-09-19 2021-10-26 Quegen Biotech Co., Ltd. Composition for relieving hangover or composition for preventing, alleviating or treating alcoholic liver disease, comprising b-glucan as active ingredient
KR20180083841A (ko) 2018-07-16 2018-07-23 (주)큐젠바이오텍 베타글루칸 및 항결핵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결핵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8403A (ko) 2009-03-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George et al. Extraction, pur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chitosan from endophytic fungi isolated from medicinal plants
KR100290044B1 (ko) 신규 다당체물질 및 그 제조 방법
Stamford et al. Growth of Cunninghamella elegans UCP 542 and production of chitin and chitosan using yam bean medium
Montoya et al. Polysaccharide production by submerged and solid-state cultures from several medicinal higher Basidiomycetes
Astriani et al. Phenotypic identification of indigenous fungi and lactic acid bacteria isolated from’gatot’an Indonesian fermented food
KR101804317B1 (ko) 자외선 조사를 이용하여 제조된 변이균주 아우레오바시디움 풀루란스 YK1 및 이를 이용한 β-글루칸 생산 방법
KR101970440B1 (ko) 박테리아 셀룰로오스 생산 균주 배양용 조성물
EP1096022B1 (en) Immuno-stimulating polysaccharide substance from Phellinus spp. strain and use thereof
KR100909857B1 (ko) 베타-1,6-분지-베타-1,3-글루칸을 고농도로 생산하는 치마버섯 신균주 큐지143-1 및 당해 균주를 사용한 베타-1,6-분지-베타-1,3-글루칸의 제조방법
Jebur et al. Chitosan Production from Aspergillus oryzae SU-B2 by submerged fermentation and studying some of its Physiochemical and antibacterial Characteristics
JP4468654B2 (ja) 培養産物とその中に含まれる新規β−1,3−1,6グルカン、及びAureobasidium属菌株を用いたβ−1,3−1,6グルカン生産方法。
CN114107089B (zh) 一株植物乳杆菌及其发酵提取β-葡聚糖的方法及应用
Nguyen et al. Optimal conditions for mycelia biomass and extracellular polysaccharides of Grifola frondosa: effect of agitation speed, inoculum ratio and initial pH
Chaiyama et al.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molecular identification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Phallus atrovolvatus (Agaricomycetes) isolated from Thailand
US6943007B2 (en) Immuno-stimulating polysaccharide substance from Phellinus spp. strain and use thereof
EP2028276A1 (en) Method for production of acetic acid bacterium-type ceramide
JPH01291793A (ja) キチナーゼの製造方法
KR20200108748A (ko) 베타글루칸 함량을 극대화한 상황버섯균사체의 배양방법
Akroman et al. Phenotypic and genotypic characteristics of exopolysaccharide-producing fungi as a source of food additives
Prokop et al. Production of extracellular β-1, 3-/β-1, 6-glucan by mono-and dikaryons ofSchizophyllum commune
KR100505354B1 (ko) 식이섬유 제조용 미생물 균주 및 이를 이용한 식이섬유 제조방법
Gautam et al. Optimization of cultural conditions for solid state fermentation of amylase production by Aspergillus species
Kustyawati Research Article The Growth of Yeast and Fungi, the Formation of β-Glucan, and the Antibacterial Activities during Soybean Fermentation in Producing Tempeh
KR100450277B1 (ko) 베타-1,3-글루칸을 고농도로 생산하는 신균주
KR20170137985A (ko) 베타-글루칸 고생산성 오레오바시디움 속 ari 6131 균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2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