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5292B1 - 버섯 추출물을 함유하는 펠리누스 린테우스 배양용 배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펠리누스 린테우스의 배양방법 - Google Patents

버섯 추출물을 함유하는 펠리누스 린테우스 배양용 배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펠리누스 린테우스의 배양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5292B1
KR101865292B1 KR1020170012001A KR20170012001A KR101865292B1 KR 101865292 B1 KR101865292 B1 KR 101865292B1 KR 1020170012001 A KR1020170012001 A KR 1020170012001A KR 20170012001 A KR20170012001 A KR 20170012001A KR 101865292 B1 KR101865292 B1 KR 1018652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mushroom
linteus
pelinus
cultu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20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재국
박병욱
김웅진
서승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한국신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한국신약 filed Critical 주식회사한국신약
Priority to KR10201700120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529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52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5292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14Fungi; Culture media therefor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PFERMENTATION OR ENZYME-USING PROCESSES TO SYNTHESISE A DESIRED CHEMICAL COMPOUND OR COMPOSITION OR TO SEPARATE OPTICAL ISOMERS FROM A RACEMIC MIXTURE
    • C12P19/00Preparation of compounds containing saccharide radicals
    • C12P19/04Polysaccharides, i.e. compounds containing more than five saccharide radicals attached to each other by glycosidic bond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ycolog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irology (AREA)
  • Botan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reparation Of Compounds By Using Micro-Organisms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버섯 추출물을 함유하는 펠리누스 린테우스 배양용 배지 조성물 및 상기 배지 조성물을 이용한 펠리누스 린테우스의 배양방법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배지 조성물, 즉 펠리누스 린테우스 추출물, 잎새버섯 추출물 또는 꽃송이버섯 추출물을 함유하는 배지에서 배양된 펠리누스 린테우스의 균사체 및 다당체의 양은 기존 배지에서 배양한 경우에 비해 현저히 증가하므로, 상기 배지 조성물은 펠리누스 린테우스의 배양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버섯 추출물을 함유하는 펠리누스 린테우스 배양용 배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펠리누스 린테우스의 배양방법{CULTURE MEDIUM COMPOSITION COMPRISING MUSHROOM EXTRACT FOR CULTURING PHELLINUS LINTEUS AND CULTURE METHOD OF PHELLINUS LINTEUS USING THEREOF}
본 발명은 버섯 추출물을 함유하는 펠리누스 린테우스 배양용 배지 조성물 및 상기 배지 조성물을 이용한 펠리누스 린테우스의 배양방법에 관한 것이다.
담자균류(Basidiomycetes)는 질병의 치료 및 예방에 효과가 있는 천연물 중 가장 주목받고 있는 버섯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영양원이 함유된 유기물에서 물질을 흡수 및 이용하여 단백질, 아미노산, 효소, 비타민, 무기염류, 지방질 및 당 등과 같이 인체에 중요한 각종 영양성분을 생성하고 광범위한 약리작용을 가지고 있어 전통적으로 민간의약 원료로 널리 활용되어 왔다.
상기와 같은 담자균류로부터 공업적으로 생산된 유효 약리성분을 식품 또는 의약품으로 이용하기 위해서 자실체를 채집 또는 재배하여 그 자실체를 재료로 이용하는 방법과 자실체로부터 균사체를 분리하고 그 균사체를 배양하여 배양 균사체로부터 유효성분을 추출하는 방법이 사용된다. 그러나 야생 자실체를 채집하여 이용하는 방법은 자원의 고갈과 생태계 파괴라는 문제뿐만 아니라 희귀 담자균은 필요한 양의 자실체를 얻는 것이 어렵다. 또한, 톱밥 등을 이용한 재배 방법으로 자실체를 얻는 방법은 특별한 재배시설이 필요하며 경비가 많이 들어 일정기간 동안만 생산할 수 있고, 배양기간도 3 내지 6개월이 걸리는 등 제약조건이 많다. 한편, 자실체로부터 균사체를 분리하여 배양하는 방법은 상기의 문제점들을 일시에 해결할 수 있으나 균사체를 순수하게 분리하기 어려우며, 세균 등에 비해 배양조건이 까다롭고 성장이 느려 잡균의 오염 없이 발효조에서 배양할 수 있는 설비 및 배양 조건을 확립하기가 어려워 일반화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최근에 담자균류의 균사체를 대량 생산할 수 있는 배양방법이 활발하게 연구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01512호는 펩톤, 맥아추출물, 한천 및 글루코스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상황버섯 균사체 배양용 배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상황버섯 균사체의 배양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706132호는 GLM(글루코스 일수화물 및 만노오스), CSP(옥수수 침출 분말) 또는 CSL(옥수수 침출액), 효모 추출물, 소이 펩톤, 맥아 추출물 및 증류수를 함유하는 펠리누스 린테우스 균사체의 배양용 배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펠리누스 린테우스 균주의 배양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한편, 펠리누스 린테우스(Phellinus Linteus)는 민주름버섯목(Aphyllphorales), 소나무비늘버섯과(Hymenochaetaceae)에 속하는 버섯으로 산뽕나무, 참나무, 밤나무 또는 상수리나무 등의 고목에서 자생하는 담자균류 버섯이다. 상황버섯은 버섯 내에 항생 물질, 항변이원성 물질 및 항콜레스테롤성 물질 등 여러 가지 생리활성을 나타내는 화합물들이 존재하여 식용뿐만 아니라 의약품의 개발소재로써도 많이 연구된다. 버섯은 면역력을 높여주는 단백다당체를 함유하는데 버섯 중에서 상황버섯이라고 부르는 목질상황(뽕나무상황)이 가장 많은 단백다당체를 함유하는 것으로 알려져있다. 1968년 일본 국립암연구소에서 상황버섯의 항종양 활성이 96.7%에 이르고 식용버섯 및 약용버섯 중 최고의 활성을 나타낸다고 발표한 이후 많은 관심의 대상이 되었으며, 다양한 생리활성 기능이 밝혀짐에 따라 자실체 및 균사체를 대량배양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잎새버섯(Grifola frondosa)은 민주름버섯목, 구멍장이버섯과(Polyporaceae)에 속하는 버섯으로 여름과 가을에 참나무류, 활엽수류 생입목 및 고사목의 지제부나 뿌리 주변에 다발로 발생하며, 한국, 일본, 유럽 및 미국 등에 분포하는 담자균류 버섯이다. 잎새버섯은 식용이면서 약리작용이 뛰어난 기능성 버섯으로, 인체의 면역력을 증가시키며, 종양 억제율이 우수하고, 자연살해세포 및 대식세포의 활성을 증가시켜 암을 저해하는데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있다.
꽃송이버섯(Sparassis crispa)은 민주름버섯목, 꽃송이버섯과에 속하는 버섯으로 여름부터 가을까지 살아있는 나무의 뿌리 근처 줄기나 그루터기에 뭉쳐서 자생하는 담자균류 버섯이다. 꽃송이버섯은 면역 증강, 고혈압 억제, 혈당 상승 억제, 혈액 순환 개선, 조혈 작용 등의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펠리누스 린테우스의 균사체 및 다당체를 대량 생산할 수 있는 배양방법을 연구하던 중, 펠리누스 린테우스 추출물, 잎새버섯 추출물 또는 꽃송이버섯 추출물을 함유하는 액체 배지에서 배양한 펠리누스 린테우스가 기존 배지에서 배양한 펠리누스 린테우스보다 균사체 및 다당체의 양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버섯 추출물을 함유하는 펠리누스 린테우스 배양용 배지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본 발명의 배지 조성물을 이용하여 펠리누스 린테우스를 배양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버섯 추출물을 함유하는 펠리누스 린테우스 배양용 배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배지 조성물에 펠리누스 린테우스를 배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펠리누스 린테우스의 배양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배지 조성물, 즉 펠리누스 린테우스 추출물, 잎새버섯 추출물 또는 꽃송이버섯 추출물을 함유하는 배지에서 배양된 펠리누스 린테우스의 균사체 및 다당체의 양이 기존 배지에서 배양한 경우에 비해 현저히 증가하므로, 상기 배지 조성물은 펠리누스 린테우스의 배양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버섯 추출물을 함유하는 펠리누스 린테우스 배양용 배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버섯은 펠리누스 린테우스, 잎새버섯, 꽃송이버섯, 차가버섯, 동충하초, 구름버섯, 영지버섯 및 노랑느타리버섯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버섯은 펠리누스 린테우스, 잎새버섯 또는 꽃송이버섯일 수 있다.
추출물을 제조하는데 사용한 펠리누스 린테우스 및 배양에 사용한 펠리누스 린테우스는 수탁번호 KCTC0399BP로 기탁된 것일 수 있다. 상기 균주는 자루(stipe)가 없는 자실체와 말굽모양의 목질로 되어 있으며, 관공은 다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갓은 반원형으로 편평하고 폭이 약 10 cm 정도이며, 표면은 암갈색이고 이면은 황갈색 내지 암갈색일 수 있다. 포자는 유구형이며 담황색이고, 크기는 약 5 ㎛이다. 강모체는 다수이며 후막형이다.
상기 버섯 추출물은 구체적으로, 버섯의 균사체 추출물일 수 있다. 상기 추출물은 물, C1 내지 C4의 저급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용매로 사용하여 추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용매는 물일 수 있다. 상기 추출용매는 배양물 무게 대비 0.5 내지 10배로 첨가하여 추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추출용매는 여과한 배양물과 동일한 양으로 첨가될 수 있다.
상기 추출물을 추출하기 위한 방법으로 감압고온 추출, 열탕 추출, 여과법, 열수 추출, 침지 추출, 환류 추출, 냉침 추출, 증기 추출, 상온 추출 또는 초음파 추출 등 당 업계에 공지된 모든 통상적인 방법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추출방법은 열수 추출일 수 있다. 상기 추출은 80℃ 내지 110℃, 구체적으로는 85℃ 내지 105℃, 더욱 구체적으로는 90℃ 내지 100℃의 온도에서 수행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추출은 1 내지 8시간, 구체적으로는 2 내지 7시간, 더욱 구체적으로는 3 내지 6시간 동안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방법으로 추출된 추출물은 여과 및 농축될 수 있으며, 분무건조, 동결건조 또는 열풍건조를 이용하여 분말화될 수 있다. 상기 버섯 추출물은 전체 배지 조성물에 대해 1 내지 50%(w/v), 구체적으로는 3 내지 40%(w/v), 더욱 구체적으로는 5 내지 30%(w/v)로 함유될 수 있다.
상기 배지 조성물은 탄소원 및 질소원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소원은 아라비노오스, 프럭토오스 갈락토오스, 포도당, 만노오스, 람노오스, 자일로오스, 락토오스, 말토오스, 라피노오스, 셀룰로오스, 목화씨가루, 덱스트린, 말토덱스트린, 녹말, 글리세롤, 솔비톨, 만니톨 및 이노시톨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탄소원은 포도당일 수 있다. 상기 포도당은 전체 배지 조성물에 대해 0.5 내지 20%(w/v), 구체적으로는 1 내지 15%(w/v), 더욱 구체적으로는 2 내지 13%(w/v)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질소원은 소이톤, 대두박, 폐효모추출액, 소고기 추출물, 트립톤, 펩톤, 어분, 요소, 카사미노산, 아스파라긴, 콘스팁리커(corn steep liquor), N-Zamine, NH4NO3, NH4Cl, KNO3, NH4H2PO4, NaNO2, NaNO3, (NH4)2SO4, (NH4)2CO3, Ca(NO3)2 및 CH3COONH4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질소원은 폐효모추출액 및 콘스팁리커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상기 폐효모추출액은 전체 배지 조성물에 대해 0.05 내지 3.0%(w/v), 구체적으로는 0.1 내지 2.0%(w/v), 더욱 구체적으로는 0.1 내지 1.0%(w/v)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콘스팁리커는 0.1 내지 15%(w/v), 구체적으로는 0.15 내지 10%(w/v), 더욱 구체적으로는 0.2 내지 5%(w/v)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본 발명자들은 펠리누스 린테우스 균사체, 잎새버섯 균사체 또는 꽃송이버섯 균사체 추출물을 제조하고, 포도당, 콘스팁리커 및 폐효모추출액을 포함하는 액체배지에 상기 제조한 균사체 추출물을 각각 넣어 배지를 제조하였다.
상기 배지에서 펠리누스 린테우스를 배양하여 배지의 pH 변화를 측정한 결과, 균사체 추출물이 포함된 배지는 균사체 추출물이 포함되지 않은 배지보다 pH 값이 더 낮음을 확인하였다(표 1 내지 표 3 참조).
또한, 상기 배지에서 펠리누스 린테우스를 배양하여 펠리누스 린테우스의 균사체량, 다당체 회수율 및 α-메틸-D(+)-글루코시드함량을 분석한 결과, 균사체 추출물이 포함된 배지에서 펠리누스 린테우스를 배양하면 펠리누스 린테우스의 균사체량(표 4 내지 표 6 참조), 다당체 회수율(표 7 내지 표 9 참조) 및 α-메틸-D(+)-글루코시드함량(표 10 내지 표 12 참조)이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배지 조성물에 펠리누스 린테우스를 배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펠리누스 린테우스의 배양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배지 조성물은 상술한 바와 같은 특징을 가질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배지 조성물은 버섯 추출물을 함유할 수 있다. 상기 버섯은 펠리누스 린테우스, 잎새버섯 및 꽃송이버섯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상기 버섯 추출물은 버섯의 균사체 추출물일 수 있으며, 전체 배지 조성물에 대해 1 내지 50%(w/v), 구체적으로는 3 내지 40%(w/v), 더욱 구체적으로는 5 내지 30%(w/v)로 함유될 수 있다. 상기 상술한 바와 같은 특징을 갖는 펠리누스 린테우스는 수탁번호 KCTC0399BP로 기탁된 균주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지 조성물은 탄소원 및 질소원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소원 및 질소원은 상술한 바와 같은 특징을 가질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탄소원은 포도당일 수 있으며, 상기 질소원은 폐효모추출액 및 콘스팁리커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상기 포도당은 전체 배지 조성물에 대해 0.5 내지 20%(w/v), 구체적으로는 1 내지 15%(w/v), 더욱 구체적으로는 2 내지 13%(w/v)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폐효모추출액은 전체 배지 조성물에 대해 0.05 내지 3.0%(w/v), 구체적으로는 0.1 내지 2.0%(w/v), 더욱 구체적으로는 0.1 내지 1.0%(w/v)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콘스팁리커는 0.1 내지 15%(w/v), 구체적으로는 0.15 내지 10%(w/v), 더욱 구체적으로는 0.2 내지 5%(w/v)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펠리누스 린테우스의 배양방법은 펠리누스 린테우스를 상기 배지 조성물에 배양하기 전에 전배양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전배양단계에서 펠리누스 린테우스는 YMG 배지, YM 배지, PSA(potato sucrose agar) 배지, PDA(potato dextrose agar) 배지, MEA(malt extract agar) 배지, QEA(quercus extract agar) 배지, PEA(poplar extract agar) 배지, RBA(rice bran extract agar) 배지, WBEA(wheat bran extract agar) 배지, MCM(mushroom complete medium) 배지, CDA(Czapedox agar) 배지, SCA(Spawn complex agar) 배지 및 OMA(oatmeal agar) 배지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배지에서 배양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펠리누스 린테우스 균주는 YMG 배지에서 전배양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본 발명자들은 펠리누스 린테우스 균사체, 잎새버섯 균사체 또는 꽃송이버섯 균사체 추출물을 제조하고, 포도당, 콘스팁리커 및 폐효모추출액을 포함하는 액체배지에 상기 제조한 균사체 추출물을 각각 넣어 배지를 제조하였다.
상기 배지에서 펠리누스 린테우스를 배양하여 배지의 pH 변화를 측정한 결과, 균사체 추출물이 포함된 배지는 균사체 추출물이 포함되지 않은 배지보다 pH 값이 더 낮음을 확인하였다(표 1 내지 표 3 참조).
또한, 상기 배지에서 펠리누스 린테우스를 배양하여 펠리누스 린테우스의 균사체량, 다당체 회수율 및 α-메틸-D(+)-글루코시드함량을 분석한 결과, 균사체 추출물이 포함된 배지에서 펠리누스 린테우스를 배양하면 펠리누스 린테우스의 균사체량(표 4 내지 표 6 참조), 다당체 회수율(표 7 내지 표 9 참조) 및 α-메틸-D(+)-글루코시드함량(표 10 내지 표 12 참조)이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이들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1> 펠리누스 린테우스 균주의 선별 및 동정
자연산 상황버섯 10 g을 생리식염수 90 ㎖에 넣어 잘 혼합한 후, 10진 희석법으로 분리 배지에 도말하여 28℃에서 5~7일 동안 배양하여 균을 관찰한 다음 서로 다른 균으로 판단되는 것을 순수 분리하였다. 상기 균주의 분리에 YMG 배지를 사용하였다. 미생물의 동정을 위해 상기 순수 분리된 균주를 YMG 액체배지에 배양한 다음 균사체를 수거하여 동결건조하였다. 동결 건조된 균사체를 분쇄한 후, DNA extraction kit(Qiagen DNeasy Plant Mini Kit, Germany)로 게놈 DNA를 분리하였다. 분리된 DNA의 16S rRNA 유전자를 16S rRNA의 유니버설 프라이머(universal primer)인 서열번호 1의 염기서열을 갖는 27F 프라이머(5'-AGAGTTTGATCATGGCTCAG-3') 및 서열번호 2의 염기서열을 갖는 1492R 프라이머(5'-GGATACCTTGTTACGACTT-3')를 이용하여 PCR한 후, 그 염기서열을 분석하였다. 계통수 작성은 분석한 염기서열과 Lasergene사의 DNA STAR pro software (SeqMan Pro)와 The National Center for Biotechnology Information (NCBI, http://www.ncbi.nlm.nih.gov/)에서 제공하는 Advanced blast search 프로그램을 통하여 젠뱅크(GenBank)에 보고된 펠리누스 린테우스 균주와의 염기서열을 비교하여 계통분류학적 유연관계를 분석한 후, MEGA v4.0을 이용하여 Tamura-Nei distance model 과 neighbor-joining method(Saitou, N., and M. Nei. (1987) Mol.Biol. Evol4:406-425)에 의해 계통도를 작성하였다.
그 결과, 본 발명의 펠리누스 린테우스 균주는 상황버섯의 한 종류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상기 균주를 1997년 11월 11일자로 생명공학연구원에 수탁번호(KCTC 0399BP)로서 기탁하였다.
< 실시예 2> 버섯 균사체 추출물의 제조
<2-1> 펠리누스 린테우스 균사체 추출물의 제조
자연산 상황버섯에서 분리된 펠리누스 린테우스(수탁번호 KCTC 0399BP) 균주를 YMG 고체배지에 계대한 후, 29±1℃ 온도조건의 배양기에서 배양하였다. 일주일 후, 둥근 코르크 보러를 사용하여 펠리누스 린테우스가 배양된 고체 배지에 블럭을 만들고, 200 ㎖의 YMG 액체배지가 담긴 1 ℓ 배플(baffle) 플라스크에 10 내지 20개의 상기 블럭을 무균 접종하여, 29±1℃ 온도조건인 진탕배양기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10%의 포도당, 1.6%의 콘스팁리커 및 0.3%의 폐효모추출액을 포함하는 3 ℓ의 액체배지를 제조한 후, 초기 pH를 5.0으로 맞춰주었다. 상기 액체배지를 5 ℓ의 발효조에 넣어 멸균한 후, 24시간 동안 배양한 펠리누스 린테우스 균주를 접종하고, 29±1℃의 온도, 250 rpm의 회전수 및 2.0 ℓ/min의 공기량 조건에서 3일 동안 배양하였다. 배양된 균사체 1 ℓ를 여과하고 물로 2 또는 3회 세척한 후, 여과된 균사체에 1 ℓ의 물을 첨가하여 섞어주었다. 물이 첨가된 균사체를 열수 추출이 가능한 플라스크에 담아 냉각관이 연결된 수조에서 90 내지 100℃ 온도조건에서 4시간 동안 열수 추출하였다. 균사체 열수 추출물을 상온에서 식힌 후, 여과지를 이용하여 2번 여과하고 여과된 균사체 열수 추출물을 8 내지 10배 농축하여 펠리누스 린테우스 균사체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2-2> 잎새버섯 균사체 추출물의 제조
잎새버섯 종균을 YMG 고체배지에 계대한 후, 29±1℃ 온도조건인 배양기에서 배양하였다. 일주일 후, 둥근 코르크 보러를 사용하여 잎새버섯 종균이 배양된 고체 배지에 블럭을 만들고, 200 ㎖의 YMG 액체배지가 담긴 1 ℓ 배플(baffle) 플라스크에 10 내지 20개의 상기 블럭을 무균 접종하여, 29±1℃ 온도조건의 진탕배양기에서 3일 동안 배양하였다. 10%의 포도당, 3.3%의 효모추출액 및 1.0%의 펩톤을 포함하는 3 ℓ의 액체배지를 제조한 후, 초기 pH를 5.0으로 맞춰주었다. 상기 액체배지를 5 ℓ의 발효조에 넣어 멸균한 후, 3일 동안 배양한 잎새버섯 종균을 접종하고, 29±1℃의 온도, 250 rpm의 회전수 및 2.0 ℓ/min의 공기량 조건에서 3일 동안 배양하였다. 배양된 균사체를 여과하고 물로 2 또는 3회 세척한 후, 여과된 균사체에 1 ℓ의 물을 첨가하여 섞어주었다. 물이 첨가된 균사체를 열수 추출이 가능한 플라스크에 담아 냉각관이 연결된 수조에서 90 내지 100℃ 온도조건에서 4시간 동안 열수 추출하였다. 균사체 열수 추출물을 상온에서 식힌 후, 여과지를 이용하여 2번 여과하고 여과된 균사체 열수 추출물을 8 내지 10배 농축하여 잎새버섯 균사체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2-3> 꽃송이버섯 균사체 추출물의 제조
꽃송이버섯 종균을 PIM 고체배지에 계대한 후, 29±1℃ 온도조건인 배양기에서 배양하였다. 일주일 후, 둥근 코르크 보러를 사용하여 꽃송이버섯 종균이 배양된 고체 배지에 블럭을 만들고, 200 ㎖의 PIM 액체배지가 담긴 1 ℓ 배플(baffle) 플라스크에 10 내지 20개의 상기 블럭을 무균 접종하여, 29±1℃ 온도조건의 진탕배양기에서 하루 동안 배양하였다. 10%의 포도당, 3.3%의 효모추출액 및 1.0%의 펩톤을 포함하는 3 ℓ의 액체배지를 제조한 후, 초기 pH를 5.0으로 맞춰주었다. 상기 액체배지를 5 ℓ의 발효조에 넣어 멸균한 후, 하루 동안 배양한 꽃송이버섯 종균을 접종하고, 29±1℃의 온도, 250 rpm의 회전수 및 2.0 ℓ/min의 공기량 조건에서 3일 동안 배양하였다. 배양된 균사체를 여과하고 물로 2 또는 3회 세척한 후, 여과된 균사체에 1 ℓ의 물을 첨가하여 섞어주었다. 물이 첨가된 균사체를 열수 추출이 가능한 플라스크에 담아 냉각관이 연결된 수조에서 90 내지 100℃ 온도조건에서 4시간 동안 열수 추출하였다. 균사체 열수 추출물을 상온에서 식힌 후, 여과지를 이용하여 2번 여과하고 여과된 균사체 열수 추출물을 8 내지 10배 농축하여 꽃송이버섯 균사체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 실시예 3> 버섯 균사체 추출물을 함유하는 배지의 제조
<3-1> 펠리누스 린테우스 균사체 추출물을 함유하는 배지의 제조
10%의 포도당, 1.6%의 콘스팁리커 및 0.3%의 폐효모추출액을 포함하는 액체배지에 상기 실시예 <2-1>에서 제조한 추출물을 전체 배지 조성물에 대해 5, 10, 15, 20, 25 또는 30%(w/v) 첨가하여 3 ℓ의 액체배지를 제조한 후, 초기 pH를 5.0으로 맞춰주었다.
<3-2> 잎새버섯 균사체 추출물을 함유하는 배지의 제조
상기 실시예 <2-2>에서 제조한 추출물을 첨가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3-1>과 동일한 방법으로 배지를 제조하였다.
<3-3> 꽃송이버섯 균사체 추출물을 함유하는 배지의 제조
상기 실시예 <2-3>에서 제조한 추출물을 첨가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3-1>과 동일한 방법으로 배지를 제조하였다.
< 실험예 1> 버섯 균사체 추출물을 포함하는 배지에서 펠리누스 린테우스의 배양
<1-1> 펠리누스 린테우스 균사체 추출물을 포함하는 배지에서 펠리누스 린테우스의 배양
실시예 <3-1>에서 제조한 배지를 5 ℓ의 발효조에 넣어 멸균한 후, 24시간 동안 배양한 펠리누스 린테우스 종균을 접종하고, 29±1℃의 온도, 250 rpm의 회전수 및 2.0 ℓ/min의 공기량 조건에서 3일 동안 배양하였다.
<1-2> 잎새버섯 균사체 추출물을 포함하는 배지에서 펠리누스 린테우스의 배양
실시예 <3-2>에서 제조한 배지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험예 <1-1>과 동일한 방법으로 펠리누스 린테우스를 배양하였다.
<1-3> 꽃송이버섯 균사체 추출물을 포함하는 배지에서 펠리누스 린테우스의 배양
실시예 <3-3>에서 제조한 배지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험예 <1-1>과 동일한 방법으로 펠리누스 린테우스를 배양하였다.
< 실험예 2> 버섯 균사체 추출물 첨가 비율에 따른 배지의 pH 분석
<2-1> 펠리누스 린테우스 균사체 추출물을 포함하는 배지의 pH 분석
실험예 <1-1>의 펠리누스 린테우스를 배양하는 과정에서 펠리누스 린테우스 균사체 추출물 첨가 비율에 따른 배양 배지의 pH 변화를 pH 미터기를 이용해 측정하였다.
펠리누스 린테우스 균사체 추출물 첨가 비율에 따른 배양 배지의 pH
배지 조건 초기 pH 최종 pH
대조군 5.0 5.35
펠리누스 린테우스 추출물 5% 첨가 5.0 4.73
펠리누스 린테우스 추출물 10% 첨가 5.0 4.65
펠리누스 린테우스 추출물 15% 첨가 5.0 4.67
펠리누스 린테우스 추출물 20% 첨가 5.0 4.68
펠리누스 린테우스 추출물 25% 첨가 5.0 4.64
펠리누스 린테우스 추출물 30% 첨가 5.0 4.60
그 결과,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펠리누스 린테우스 균사체 추출물이 포함된 배지는 상기 추출물이 포함되지 않은 배지보다 pH 값이 더 낮았다(표 1).
<2-2> 잎새버섯 균사체 추출물을 포함하는 배지의 pH 분석
실험예 <1-2>의 펠리누스 린테우스를 배양하는 과정에서 잎새버섯 균사체 추출물 첨가 비율에 따른 배양 배지의 pH 변화를 pH 미터기를 이용해 측정하였다.
잎새버섯 균사체 추출물 첨가 비율에 따른 배양 배지의 pH
배지 조건 초기 pH 최종 pH
대조군 5.0 5.35
잎새버섯 추출물 5% 첨가 5.0 5.14
잎새버섯 추출물 10% 첨가 5.0 5.05
잎새버섯 추출물 15% 첨가 5.0 5.03
잎새버섯 추출물 20% 첨가 5.0 5.07
잎새버섯 추출물 25% 첨가 5.0 5.21
잎새버섯 추출물 30% 첨가 5.0 5.27
그 결과,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잎새버섯 균사체 추출물이 포함된 배지는 상기 추출물이 포함되지 않은 배지보다 pH 값이 더 낮았다(표 2).
<2-3> 꽃송이버섯 균사체 추출물을 포함하는 배지의 pH 분석
실험예 <1-3>의 펠리누스 린테우스를 배양하는 과정에서 꽃송이버섯 균사체 추출물 첨가 비율에 따른 배양 배지의 pH 변화를 pH 미터기를 이용해 측정하였다.
꽃송이버섯 추출물 첨가 비율에 따른 배양 배지의 pH
배지 조건 초기 pH 최종 pH
대조군 5.0 5.35
꽃송이버섯 추출물 5% 첨가 5.0 5.11
꽃송이버섯 추출물 10% 첨가 5.0 5.21
꽃송이버섯 추출물 15% 첨가 5.0 5.22
꽃송이버섯 추출물 20% 첨가 5.0 5.31
꽃송이버섯 추출물 25% 첨가 5.0 5.29
꽃송이버섯 추출물 30% 첨가 5.0 5.28
그 결과,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꽃송이버섯 균사체 추출물이 포함된 배지는 상기 추출물이 포함되지 않은 배지보다 pH 값이 더 낮았다(표 3).
< 실험예 3> 버섯 균사체 추출물을 포함하는 배지에서 배양된 펠리누스 린테 우스의 균사체량 분석
<3-1> 펠리누스 린테우스 균사체 추출물을 포함하는 배지에서 배양된 펠리누스 린테우스의 균사체량 분석
실험예 <1-1>에서 배양한 펠리누스 린테우스의 균사체량을 균사건조중량 방법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 펠리누스 린테우스의 배양물을 수득하여 균일하게 섞은 후, 여과지를 이용하여 1 ℓ의 배양물을 여과하였다. 분리된 균사체를 물로 3회 세척하여 여과한 후, 여과된 균사체를 60℃에서 12시간 동안 건조시켜 균사의 무게에 변화가 없을 때의 무게를 측정무게로 하여 1 ℓ당 균사건조중량으로 나타내었다.
펠리누스 린테우스의 균사체량
배지 조건 균사건조중량(g/ℓ)
대조군 9.7
펠리누스 린테우스 추출물 5% 첨가 15.1
펠리누스 린테우스 추출물 10% 첨가 16.2
펠리누스 린테우스 추출물 15% 첨가 16.3
펠리누스 린테우스 추출물 20% 첨가 16.0
펠리누스 린테우스 추출물 25% 첨가 15.8
펠리누스 린테우스 추출물 30% 첨가 15.3
그 결과, 표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펠리누스 린테우스를 펠리누스 린테우스 균사체 추출물이 포함된 배지에서 배양한 경우가 상기 추출물이 포함되지 않은 배지에서 배양한 경우보다 균사체량이 더 증가하였으며, 펠리누스 린테우스 균사체 추출물이 15%(w/v) 포함된 배지에서 배양한 경우 균사체량이 최대로 나타났다(표 4).
<3-2> 잎새버섯 균사체 추출물을 포함하는 배지에서 배양된 펠리누스 린테우스의 균사체량 분석
실험예 <1-2>에서 배양한 펠리누스 린테우스의 균사체량을 균사건조중량 방법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구체적인 방법은 실험예 <3-1>과 동일하다.
펠리누스 린테우스의 균사체량
배지 조건 균사건조중량(g/ℓ)
대조군 9.7
잎새버섯 추출물 5% 첨가 16.2
잎새버섯 추출물 10% 첨가 17.9
잎새버섯 추출물 15% 첨가 17.4
잎새버섯 추출물 20% 첨가 16.9
잎새버섯 추출물 25% 첨가 16.5
잎새버섯 추출물 30% 첨가 15.9
그 결과, 표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펠리누스 린테우스를 잎새버섯 균사체 추출물이 포함된 배지에서 배양한 경우가 상기 추출물이 포함되지 않은 배지에서 배양한 경우보다 균사체량이 더 증가하였으며, 잎새버섯 균사체 추출물이 10%(w/v) 포함된 배지에서 배양한 경우 균사체량이 최대로 나타났다(표 5).
<3-3> 꽃송이버섯 균사체 추출물을 포함하는 배지에서 배양된 펠리누스 린테우스의 균사체량 분석
실험예 <1-3>에서 배양한 펠리누스 린테우스의 균사체량을 균사건조중량 방법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구체적인 방법은 실험예 <3-1>과 동일하다.
펠리누스 린테우스의 균사체량
배지 조건 균사건조중량(g/ℓ)
대조군 9.7
꽃송이버섯 추출물 5% 첨가 13.7
꽃송이버섯 추출물 10% 첨가 14.5
꽃송이버섯 추출물 15% 첨가 14.3
꽃송이버섯 추출물 20% 첨가 13.8
꽃송이버섯 추출물 25% 첨가 13.2
꽃송이버섯 추출물 30% 첨가 13.1
그 결과, 표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펠리누스 린테우스를 꽃송이버섯 균사체 추출물이 포함된 배지에서 배양한 경우가 상기 추출물이 포함되지 않은 배지에서 배양한 경우보다 균사체량이 더 증가하였으며, 꽃송이버섯 균사체 추출물이 10%(w/v) 포함된 배지에서 배양한 경우 균사체량이 최대로 나타났다(표 6).
< 실험예 4> 버섯 균사체 추출물을 포함하는 배지에서 배양된 펠리누스 린테 우스의 다당체 회수율 분석
<4-1> 펠리누스 린테우스 균사체 추출물을 포함하는 배지에서 배양된 펠리누스 린테우스의 다당체 회수율 분석
실험예 <1-1>에서 배양한 펠리누스 린테우스 배양물의 열수 추출물로부터 다당체를 얻어 하기와 같은 방법으로 다당체 회수율을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펠리누스 린테우스의 배양물을 수득하여 균일하게 섞은 후, 여과지를 이용하여 1 ℓ의 배양물을 여과하였다. 분리된 균사체를 물로 3회 세척 및 여과한 후, 실시예 <2-1>과 동일한 방법으로 여과된 균사체를 열수 추출하고, 이의 추출물을 농축하였다. 농축된 균사체 열수 추출물에 추출물 대비 2 내지 4배의 에탄올을 교반시키면서 천천히 부어 침전시키고, 4℃에서 12시간 동안 두었다. 이후, 원심분리기를 이용하여 10000 rpm의 회전속도로 20분 동안 원심분리하여 침전물을 분리하고, 분리된 침전물을 회수하여 물에 녹인 후, 동결건조하여 다당체를 회수하고, 회수한 다당체의 양을 측정하여 회수율을 분석하였다. 다당체 회수율은 1 ℓ의 균사체 무게 대비 회수한 다당체의 양을 비율로 나타낸 값이다.
펠리누스 린테우스의 다당체 회수율
배지 조건 다당체 회수율(%)
대조군 6.4
펠리누스 린테우스 추출물 5% 첨가 8.2
펠리누스 린테우스 추출물 10% 첨가 8.6
펠리누스 린테우스 추출물 15% 첨가 8.7
펠리누스 린테우스 추출물 20% 첨가 8.5
펠리누스 린테우스 추출물 25% 첨가 8.5
펠리누스 린테우스 추출물 30% 첨가 8.3
그 결과, 표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펠리누스 린테우스를 펠리누스 린테우스 균사체 추출물이 포함된 배지에서 배양한 경우가 추출물이 포함되지 않은 배지에서 배양한 경우보다 다당체 회수율이 더 증가하였으며, 15%(w/v)의 펠리누스 린테우스 균사체 추출물이 포함된 배지에서 배양한 경우, 다당체 회수율이 최대로 나타났다(표 7).
<4-2> 잎새버섯 균사체 추출물을 포함하는 배지에서 배양된 펠리누스 린테우스의 다당체 회수율 분석
실험예 <1-2>에서 배양한 펠리누스 린테우스 배양물의 열수 추출물로부터 다당체를 얻어 실험예 <4-1>과 동일한 방법으로 다당체 회수율을 분석하였다.
펠리누스 린테우스의 다당체 회수율
배지 조건 다당체 회수율(%)
대조군 6.4
잎새버섯 추출물 5% 첨가 9.1
잎새버섯 추출물 10% 첨가 10.5
잎새버섯 추출물 15% 첨가 10.1
잎새버섯 추출물 20% 첨가 9.4
잎새버섯 추출물 25% 첨가 9.3
잎새버섯 추출물 30% 첨가 8.7
그 결과, 표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펠리누스 린테우스를 잎새버섯 균사체 추출물이 포함된 배지에서 배양한 경우가 추출물이 포함되지 않은 배지에서 배양한 경우보다 다당체 회수율이 더 증가하였으며, 10%(w/v)의 잎새버섯 균사체 추출물이 포함된 배지에서 배양한 경우, 다당체 회수율이 최대로 나타났다(표 8).
<4-3> 꽃송이버섯 균사체 추출물을 포함하는 배지에서 배양된 펠리누스 린테우스의 다당체 회수율 분석
실험예 <1-3>에서 배양한 펠리누스 린테우스 배양물의 열수 추출물로부터 다당체를 얻어 실험예 <4-1>과 동일한 방법으로 다당체 회수율을 분석하였다.
펠리누스 린테우스의 다당체 회수율
배지 조건 다당체 회수율(%)
대조군 6.4
꽃송이버섯 추출물 5% 첨가 7.4
꽃송이버섯 추출물 10% 첨가 7.9
꽃송이버섯 추출물 15% 첨가 7.8
꽃송이버섯 추출물 20% 첨가 7.4
꽃송이버섯 추출물 25% 첨가 7.2
꽃송이버섯 추출물 30% 첨가 7.2
그 결과, 표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펠리누스 린테우스를 꽃송이버섯 균사체 추출물이 포함된 배지에서 배양한 경우가 추출물이 포함되지 않은 배지에서 배양한 경우보다 다당체 회수율이 더 증가하였으며, 10%(w/v)의 꽃송이버섯 균사체 추출물이 포함된 배지에서 배양한 경우, 다당체 회수율이 최대로 나타났다(표 9).
< 실험예 5> 버섯 균사체 추출물을 포함하는 배지에서 배양된 펠리누스 린테 우스의 α- 메틸 -D(+)-글루코시드함량 분석
<5-1> 펠리누스 린테우스 균사체 추출물을 포함하는 배지에서 배양된 펠리누 스 린테우스의 α-메틸-D(+)-글루코시드함량 분석
실험예 <4-1>에서 회수한 다당체의 성분 중 α-메틸-D(+)-글루코시드의 함량을 기체크로마토그래피(Shimadzu GC-9A)의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 실험예 <4-1>에서 회수한 다당체 100 ㎎을 20 ㎖ 플라스크에 넣은 후, 2 ㎖의 메탄올성 0.75 N 염산 시액을 추가로 넣어주었다. 냉각기가 설치된 80±5℃ 온도 조건의 수조에 상기 플라스크를 두어 24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액을 실온에서 냉각 및 여과하고 그 여액을 60℃에서 감압 농축시켰다. 감압 농축시킨 잔사에 2 ㎖의 메탄올을 넣어 완전히 용해시키고, 다시 60℃에서 감압 농축시켰다. 감압 농축시킨 잔사에 1 ㎖의 무수피리딘을 넣어 용해시키고, 0.1 ㎖의 TMCS(trimethylsilyl chloride) 및 0.2 ㎖의 HMDS(hexamethyldisilazane)를 넣고 3분 동안 격렬히 진탕한 후, 1 ㎖의 n-핵산을 가하여 검액을 제조하였다. 또한, 20 ㎎의 특급시약 α-메틸-D(+)-글루코시드에 1 ㎖의 무수피리딘을 넣어 용해시키고, 0.1 ㎖의 TMCS 및 0.2 ㎖의 HMDS를 넣고 3분 동안 격렬히 진탕한 후, 여기에 1 ㎖의 n-핵산을 가하여 표준액을 제조하였다.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검액 및 표준액을 이용하여 기체크로마토그래피를 수행하였다. 검액 및 표준액은 5 ㎕의 양으로 주입하였으며, DB-17 Capillary Column 및 수소불꽃 이온화검출기를 사용하였다. 컬럼의 온도는 초기 160℃에서 2분 후 200℃까지 2.5 ℃/min 상승시켰으며, 초기에 160℃에서 최종 220℃가 되도록 하고, 주입 온도는 200℃, 검출기 온도는 220℃로 하였다. 운반 기체로는 헬륨을 사용하였으며, 30 ㎖/min의 유속으로 흘려주었다. 상기 시험 조건에 따라 분석하였을 때 RT 13.5 내지 13.6 사이의 피크 면적과 표준 α-메틸-D(+)-글루코시드의 양을 이용해 하기 <수학식 1>과 같은 방법으로 펠리누스 린테우스에 포함되는 다당체 성분인 α-메틸-D(+)-글루코시드 함량을 분석하였다.
<수학식 1>
Figure 112017008965101-pat00001
펠리누스 린테우스의 α-메틸-D(+)-글루코시드함량
배지 조건 α-메틸-D(+)-글루코시드함량(㎎/g)
대조군 38.9
펠리누스 린테우스 추출물 5% 첨가 54.1
펠리누스 린테우스 추출물 10% 첨가 56.2
펠리누스 린테우스 추출물 15% 첨가 56.3
펠리누스 린테우스 추출물 20% 첨가 55.7
펠리누스 린테우스 추출물 25% 첨가 54.3
펠리누스 린테우스 추출물 30% 첨가 54.0
그 결과, 표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펠리누스 린테우스를 펠리누스 린테우스 균사체 추출물이 포함된 배지에서 배양한 경우가 상기 추출물이 포함되지 않은 배지에서 배양한 경우보다 α-메틸-D(+)-글루코시드의 함량이 더 증가하였다. 또한, 펠리누스 린테우스 균사체 추출물이 15%(w/v) 포함된 배지에서 배양한 경우에 생산되는 α-메틸-D(+)-글루코시드의 함량이 최대로 나타났다(표 10).
<5-2> 잎새버섯 균사체 추출물을 포함하는 배지에서 배양된 펠리누스 린테우스의 α- 메틸 -D(+)-글루코시드함량 분석
실험예 <4-2>에서 회수한 다당체의 성분 중 α-메틸-D(+)-글루코시드의 함량을 기체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해 실험예 <5-1>과 동일한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펠리누스 린테우스의 α-메틸-D(+)-글루코시드함량
배지 조건 α-메틸-D(+)-글루코시드함량(㎎/g)
대조군 38.9
잎새버섯 추출물 5% 첨가 56.2
잎새버섯 추출물 10% 첨가 68.4
잎새버섯 추출물 15% 첨가 67.5
잎새버섯 추출물 20% 첨가 67.3
잎새버섯 추출물 25% 첨가 65.7
잎새버섯 추출물 30% 첨가 59.8
그 결과, 표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펠리누스 린테우스를 잎새버섯 균사체 추출물이 포함된 배지에서 배양한 경우가 상기 추출물이 포함되지 않은 배지에서 배양한 경우보다 α-메틸-D(+)-글루코시드의 함량이 더 증가하였다. 또한, 잎새버섯 추출물이 10% 포함된 배지에서 배양한 경우에 생산되는 α-메틸-D(+)-글루코시드의 함량이 최대로 나타났다(표 11).
<5-3> 꽃송이버섯 균사체 추출물을 포함하는 배지에서 배양된 펠리누스 린테우스의 α- 메틸 -D(+)-글루코시드함량 분석
실험예 <4-3>에서 회수한 다당체의 성분 중 α-메틸-D(+)-글루코시드의 함량을 기체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해 실험예 <5-1>과 동일한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펠리누스 린테우스의 α-메틸-D(+)-글루코시드함량
배지 조건 α-메틸-D(+)-글루코시드함량(㎎/g)
대조군 38.9
꽃송이버섯 추출물 5% 첨가 51.7
꽃송이버섯 추출물 10% 첨가 58.4
꽃송이버섯 추출물 15% 첨가 57.4
꽃송이버섯 추출물 20% 첨가 56.8
꽃송이버섯 추출물 25% 첨가 56.5
꽃송이버섯 추출물 30% 첨가 52.1
그 결과, 표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펠리누스 린테우스를 꽃송이버섯 균사체 추출물이 포함된 배지에서 배양한 경우가 상기 추출물이 포함되지 않은 배지에서 배양한 경우보다 α-메틸-D(+)-글루코시드의 함량이 더 증가하였다. 또한, 꽃송이버섯 균사체 추출물이 10%(w/v) 포함된 배지에서 배양한 경우에 생산되는 α-메틸-D(+)-글루코시드의 함량이 최대로 나타났다(표 12).
한국생명공학연구원 KCTC0399BP 19971111
<110> HAN KOOK SHIN YAK PHARMACEUTICAL CO.,LTD. <120> CULTURE MEDIUM COMPOSITION COMPRISING MUSHROOM EXTRACT FOR CULTURING PHELLINUS LINTEUS AND CULTURE METHOD OF PHELLINUS LINTEUS USING THEREOF <130> 2017P-01-018 <160> 2 <170> KoPatentIn 3.0 <210> 1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27F primer <400> 1 agagtttgat catggctcag 20 <210> 2 <211> 19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1492R primer <400> 2 ggataccttg ttacgactt 19

Claims (10)

  1. 잎새버섯 추출물을 함유하는 펠리누스 린테우스 배양용 배지 조성물.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버섯 추출물이 버섯의 균사체 추출물인, 펠리누스 린테우스 배양용 배지 조성물.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이 물, C1 내지 C4의 저급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추출되는, 펠리누스 린테우스 배양용 배지 조성물.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펠리누스 린테우스가 수탁번호 KCTC0399BP로 기탁된 펠리누스 린테우스 배양용 배지 조성물.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버섯 추출물이 전체 배지 조성물에 대해 1 내지 50%(w/v)로 함유되는, 펠리누스 린테우스 배양용 배지 조성물.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지 조성물이 탄소원 및 질소원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는, 펠리누스 린테우스 배양용 배지 조성물.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탄소원이 포도당인, 펠리누스 린테우스 배양용 배지 조성물.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질소원이 콘스팁리커(corn steep liquor) 및 폐효모추출액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펠리누스 린테우스 배양용 배지 조성물.
  10. 제 1항의 배지 조성물에 펠리누스 린테우스를 배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펠리누스 린테우스의 배양방법.




KR1020170012001A 2017-01-25 2017-01-25 버섯 추출물을 함유하는 펠리누스 린테우스 배양용 배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펠리누스 린테우스의 배양방법 KR1018652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2001A KR101865292B1 (ko) 2017-01-25 2017-01-25 버섯 추출물을 함유하는 펠리누스 린테우스 배양용 배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펠리누스 린테우스의 배양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2001A KR101865292B1 (ko) 2017-01-25 2017-01-25 버섯 추출물을 함유하는 펠리누스 린테우스 배양용 배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펠리누스 린테우스의 배양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65292B1 true KR101865292B1 (ko) 2018-07-13

Family

ID=629136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2001A KR101865292B1 (ko) 2017-01-25 2017-01-25 버섯 추출물을 함유하는 펠리누스 린테우스 배양용 배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펠리누스 린테우스의 배양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529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21415A (ko) 2022-02-11 2023-08-18 한국식품연구원 잎새버섯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배양육 배양용 배지 첨가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배양육 배양용 배지 조성물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7860B1 (ko) * 1992-03-27 1995-07-20 엘지전자주식회사 캠코더의 내레이션(narration) 마이크 기록장치
KR100523263B1 (ko) * 2003-07-24 2005-10-24 주식회사 코시스바이오 버섯 배양물을 포함하는 배지 및 상기 배지를 이용한 버섯배양방법
KR20060118027A (ko) * 2005-05-16 2006-11-23 문상욱 생리활성을 갖는 버섯균사체의 배양물
KR20070005950A (ko) * 2005-07-05 2007-01-11 이인경 γ-아미노부틸산이 강화된 버섯 배양물의 제조방법
KR20160048342A (ko) * 2014-10-24 2016-05-04 강릉원주대학교산학협력단 신규 버섯재배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7860B1 (ko) * 1992-03-27 1995-07-20 엘지전자주식회사 캠코더의 내레이션(narration) 마이크 기록장치
KR100523263B1 (ko) * 2003-07-24 2005-10-24 주식회사 코시스바이오 버섯 배양물을 포함하는 배지 및 상기 배지를 이용한 버섯배양방법
KR20060118027A (ko) * 2005-05-16 2006-11-23 문상욱 생리활성을 갖는 버섯균사체의 배양물
KR20070005950A (ko) * 2005-07-05 2007-01-11 이인경 γ-아미노부틸산이 강화된 버섯 배양물의 제조방법
KR20160048342A (ko) * 2014-10-24 2016-05-04 강릉원주대학교산학협력단 신규 버섯재배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KR10-0523263B1 *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21415A (ko) 2022-02-11 2023-08-18 한국식품연구원 잎새버섯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배양육 배양용 배지 첨가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배양육 배양용 배지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Yang et al. The influence of environmental conditions on polysaccharide formation by Ganoderma lucidum in submerged cultures
KR100199920B1 (ko) 동충하초속균의 배양방법
CN107058128B (zh) 一种桑黄菌株及其应用
CN112501029B (zh) 松蕈及其用于生产麦角硫因的方法
CN101933460A (zh) 一种桦褐孔菌及从桦褐孔菌中提取三萜类物质的方法
CN105779299B (zh) 一株产腺苷及甘露醇类物质的蝙蝠蛾拟青霉菌株及应用
CN103891523A (zh) 一种桦褐孔菌人工栽培方法
CN114592013A (zh) 一种蝉花虫草酵素制备方法及其应用
Pereima et al. Stimulation of growth of species of the fungus of the genus Pleurotus (Fr.) P. Kumm. at a glucose nutrition
CN112195105B (zh) 田纳西曲霉及其应用
KR101865292B1 (ko) 버섯 추출물을 함유하는 펠리누스 린테우스 배양용 배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펠리누스 린테우스의 배양방법
US20040106187A1 (en) Composition for the culturing of Phellinus linteus mycelium
Hao et al.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swainsonine-producing fungi found in locoweeds and their rhizosphere soil
CN113308378A (zh) 高产麦角硫因的灵芝菌株及其应用
Shah et al. Optimization of culture conditions for biomass production of Ganoderma lucidum
Li et al. Isolation of new strain of Cordyceps militaris HB8 and optimal condition for production of adenosine and cordycepin in fruit body
CN106797801B (zh) 一种蝉花的人工培养方法
KR20200095208A (ko) 버섯 균사체의 혼합배양방법
CN110423788B (zh) 一种利用诱变产生的灰树花菌株生产灰树花多糖的方法
KR100706132B1 (ko) 펠리누스 린테우스 균사체 배양용 배지 조성물
Zhao et al. High-Level Production of Exopolysaccharides by a Cosmic Radiation− Induced Mutant M270 of the Maitake Medicinal Mushroom, Grifola frondosa (Agaricomycetes)
CN109328865B (zh) 一种蛹虫草的制备方法及其制备的蛹虫草
KR20100115425A (ko) 기능성 음료
CN100389190C (zh) 香杉芝菌丝体活性物质的制备方法及其组成物
CN110656050A (zh) 一株通过紫外诱变获得的桦褐孔菌菌株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