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49239B1 - 휘프트 오/더블류형 유화화장료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휘프트 오/더블류형 유화화장료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49239B1
KR100849239B1 KR1020027005286A KR20027005286A KR100849239B1 KR 100849239 B1 KR100849239 B1 KR 100849239B1 KR 1020027005286 A KR1020027005286 A KR 1020027005286A KR 20027005286 A KR20027005286 A KR 20027005286A KR 100849239 B1 KR100849239 B1 KR 1008492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hipped
oil
type emulsion
mass
cosme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052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60215A (ko
Inventor
토모코 사토
후미아키 마쯔자키
토시오 야나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세이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세이도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세이도
Publication of KR200200602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602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92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9239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6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6Emulsions
    • A61K8/062Oil-in-water 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61K8/731Cellulose; Quaternized cellulose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61K8/732Starch; Amylose; Amylopectin;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10Washing or bathing prepara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Dermatolog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제1 주제는 유동성 없는 겔을 형성하는 고분자를 수상 중에 겔형성 가능량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휘프트 O/W형 유화화장료이다.
본 발명의 제2 주제는 유동성 없는 겔을 형성하는 고분자를 함유하는 O/W형 유화물을 거품이 일게하고, 거품이 인 상태로 충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휘프트 O/W형 유화화장료의 제조방법이다.
또한, 유동성 없는 겔을 형성하는 고분자를 함유하지 않는 O/W형 유화물을 거품이 일게하고, 거품이 인 기제에 유동성 없는 겔을 형성하는 고분자를 혼합하고, 충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휘프트 O/W형 유화화장료의 제조방법이다.
O/W, 유화화장료, 유동성, 겔, 고분자, 휘프트, 거품, 유화제

Description

휘프트 오/더블류형 유화화장료 및 그 제조방법{WHIPPED O/W EMULSION COSMETIC AND PROCESSES FOR PRODUCING THE SAME}
본 발명은 2000년 8월 31일자 출원된 일본특허출원 2000-262977호, 및 2000년 8월 31일자 출원된 일본특허출원 2000-262978호의 우선권을 주장하고 있으며, 여기에 포함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휘프트(whipped) O/W형 유화화장료 및 그 제조방법, 특히 휘프트 O/W형 유화화장료의 온도안정성과 경시안정성 및 사용성의 개선에 관련된 것이다.
기포를 함유한 제제는 기포를 함유하지 않은 제제와 비교해서 소프트한 텍스처(texture)를 갖고, 특히 식품분야에서는 아이스크림과 생크림, 바바로아 등 기포를 함유한 제품이 많이 존재한다. 화장품분야에서도 에어졸 제품 외에 거품이 일게하는 세안료 등, 전용용기에 충전하여 용기에서 토출할 때에 기포를 형성시켜 기포의 소프트한 감촉을 이용하는 제품이 어느 정도 존재하지만 기포를 함유한 상태로 용기에 충전된 화장품은 지금까지 거의 예가 없다.
화장품에 있어서 거품의 특성을 이용하는 경우, 상기 화장품에 있어서의 기포를 발생시키는 용기는 비용이 소요되고, 에어졸 등은 폐기하는 때에 용기 내의 에어를 빼내는 등의 수고가 필요하다. 그러므로 식품과 마찬가지로 기포를 함유한 상태로 용기에 충전된 화장품의 개발이 요망되고 있다. 화장품에 있어서, 기포를 함유한 상태로 충전되는 경우, 그 기포의 안정성이 양호한 것이 필요하다. 화장품에 있어서, 기포의 안정성을 유지하는 기술로는 예를 들면 특개소56-79613호 공보에서와 같이 고융점의 왁스를 배합하는 처방도 보여지고 있으나, 장시간 기포를 함유한 상태로 형태를 유지하는 것은 곤란하다.
또, 식품분야의 기술을 그대로 화장품에 응용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식품에 있어서의 기포의 안정성을 유지하는 기구는 각각 다르다. 예를 들면, 아이스크림은 동결시키는 것에 의해, 생크림과 마가린은 지방구(脂肪球)의 구조형성에 의해 구조를 유지하고, 기포의 안정성을 유지하고 있다. 이들 식품처방에 있어서는, 입에 넣을 때, 즉 30℃ 부근에서 용해하고, 용이하게 삼켜서 넘길 수 있도록 된 기제가 대부분이고, 화장품의 보증온도범위인 40℃에서는 구조를 유지할 수 없다. 한편, 바바로아와 무스 등은 기포를 함유한 상태로 한천과 젤라틴을 사용하여 겔화시키고 있으므로, 40℃ 이상에서도 비교적 장시간에 걸쳐 기포의 안정성이 유지된다. 그러나, 이러한 제제는 겔의 구조를 파괴하는 것처럼 유분(油分) 등의 배합량이 적어 단단한 겔을 형성하고 있으므로 이빨로 깨물 수는 있어도, 손가락으로 찍어서 피부에 바르는 것은 곤란하고, 화장품의 처방으로서 응용할 수는 없다.
상기와 같이 거품안정성을 유지하고, 유동성 없는 겔을 형성하는 고분자물질로 한천, 젤라틴 등을 함유한 화장료로는 예를 들면, 특개평9-249522, 특개평11-209262 등이 열거되고 있으나, 여기서 다당류는 주로 증점제로 이용되고 있고, 다량으로 거품을 함유시켜 그것을 안정화한다고 하는 효과에 대해서는 언급되어 있지 않다.
이와 같이, 기포를 함유한 상태로 용기에 충전되고, 또한 넓은 온도범위에서 장시간에 걸쳐 거품안정성이 양호하고, 손가락으로 찍어내는 감 등의 사용성이 우수한 휘프트(whipped) 화장료의 개발이 요망되었다.
본 발명자등은 상기 과제에 비추어 예의 연구를 거듭한 결과, O/W형 유화물과 유동성 없는 겔을 형성하는 고분자를 O/W형 유화물을 거품이 일게하기 전 또는 후에 겔화제가 물에 용해된 상태로 혼합하고, 용기에 충전함으로써 장시간 거품안정성이 양호한 오버런이 10∼300% 정도의 휘프트 O/W형 유화화장료가 얻어지는 것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즉, 본 발명의 제1 주제는 유동성이 없는 겔을 형성하는 고분자를 수상(水相) 중에 겔형성 가능량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휘프트 O/W형 유화화장료이다.
상기 화장료에 있어서, 유동성이 없는 겔을 형성하는 고분자가 한천, 젤라틴, 알긴산나트륨, 카라기난, 제란검(ジェランガム), 글루코만난, 카드란(カ-ドラン) 중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화장료에 있어서, 유동성이 없는 겔을 형성하는 고분자의 배합량이 수상(水相) 중 0.1∼13질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화장료에 있어서, 화장료가 고급지방산비누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화장료에 있어서, 고급지방산비누의 배합량이 화장료 전체 중 1∼20질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화장료에 있어서, 유분(油分)의 배합량이 화장료 전체 중 1∼30질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화장료에 있어서, 화장료가 양이온형 고분자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화장료에 있어서, 양이온형 고분자의 배합량이 화장료 전체 중 0.01∼5질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화장료에 있어서, 유동성이 없는 겔을 형성하는 고분자물질의 융점이 4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화장료에 있어서, 화장료가 상온에서 고체인 고형유분과 유화제로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화장료에 있어서, 고형유분의 배합량이 전체 유분량의 20∼100질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화장료에 있어서, 화장료가 카제인 및/또는 레시틴을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화장료에 있어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카제인, 레시틴의 배합량이 화장료 전체의 0.1∼15질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2 주제는 유동성이 없는 겔을 형성하는 고분자를 함유하는 O/W형 유화물을 거품이 일게하고, 거품이 인 상태로 충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휘 프트 O/W형 유화화장료의 제조방법이다.
또한, 유동성 없는 겔을 형성하는 고분자를 함유하지 않는 O/W형 유화물을 거품이 일게 하고, 거품이 인 기제에 유동성이 없는 겔을 형성하는 고분자를 혼합하고, 충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휘프트 O/W형 유화화장료의 제조방법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고 있는 유동성이 없는 겔을 형성하는 고분자로는 예를 들면, 한천, 젤라틴, 알긴산나트름, 카라기난, 제란검(ジェランガム), 글루코만난, 카드란(カ-ドラン) 등이 열거된다.
상기 고분자의 배합량은 화장료의 수상 중에 0.1∼13질량%, 특히 1∼7질량% 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0.1질량% 이하에서는 거품을 유지하기에 충분하지 않은 것이 있고, 13질량%를 넘으면 너무 단단해져 손가락으로 찍어내는 감(손가락에 묻어나는 감)이 나빠지게 되는 것이 있다.
A. 고급지방산비누를 함유하는 휘프트 O/W형 유화화장료
본 발명에서 사용되고 있는 고급지방산 비누로는 예를 들면 라우린산, 미리스틴산, 팔미틴산, 스테아린산, 베헤닌산, 이소스테아린산, 올레인산, 리놀렌산, 리놀산, 리놀레인산, 옥시스테아린산 등의 나트륨, 칼륨염이 열거된다.
지방산비누의 배합량으로는 전체 화장료 중에 1∼20질량%, 특히 5∼15질량%가 바람직하다. 1질량% 이하에서는 충분히 거품이 일어나지 않는 것이 있고, 20질량%를 넘어 배합하면, 기제가 단단해지는 외에 꺼칠꺼칠한 사용감촉으로 되는 것이 있다.
더욱이,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양이온형 고분자로는 폴리옥타늄, 폴리염화디메틸피페리디늄, 폴리코트(ポリコ-ト), 양이온화히드록시셀룰로스, 메타크릴로일옥시에틸 카르복시베타인 메타크릴산 알킬에스테르공중합체, 폴리아크릴레이트 등이 열거된다.
양이온형 고분자의 배합량으로는 전체 화장료 중에 0.01∼5질량%이고, 바람직하게는 0.05∼3질량%이다. 5질량%를 넘어서 배합하면, 기제의 끈적거림이 느껴지는 것이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O/W형 유화물에 배합되는 유분은 액사유분, 고형유분, 반고형유분의 어느 것이라도 좋다. 또한, 물에 난용성인 물질을 유상 중에 배합하는 것도 가능하다. 유분을 배합하는 것에 의해 겔화제를 함유하는 휘프트 O/W형 유화물은 지나치게 경화되는 것은 없고, 손가락으로 찍어내기에 충분한 부드러움을 유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아보카도유(アボカド油), 동백기름, 터틀유(タ-トル油), 마카데미아너트유, 옥수수기름, 밍크유(ミンク油), 올리브유, 유채기름, 난황유, 참기름, 파식크유(パ-シック油), 소맥배아유, 산다화유(山茶花油), 피마자유, 아마인유, 홍화씨유(サフラワ油), 면실유, 월견초유, 들기름, 대두유, 낙화생유, 다실유(茶實油), 카야유(カヤ油), 미강유, 중국오동나무유(シナギリ油), 일본오동나무유(日本キリ油), 호호바유(ホホバ油), 배아유, 트리글리세린, 트리옥탄산글리세린, 트리이소팔미틴산글리세린 등의 액체 유지, 카카오지, 야자유, 마지(馬脂), 경화야자유, 팜유, 우지(牛脂), 양지(洋脂), 경화우지, 팜핵유, 돈지(豚脂), 우골지(牛骨脂), 목랍핵유(木蠟核油), 경화유, 우각지(牛脚脂), 목랍, 경화피마자유 등의 고형유지, 밀랍, 칸데릴라왁스(candelilla wax), 면랍(cotton wax), 카르나우바왁스(carnauba wax), 베이베리왁스(bayberry wax), 백랍, 경랍(鯨蠟: spermaceti wax), 몬탄왁스(montan wax), 강랍(糠蠟), 라놀린, 카포크왁스(kapok wax), 초산라놀린, 액상라놀린, 사탕수수왁스(sugarcane wax), 라놀린지방산이소프로필, 라우린산헥실, 환원라놀린, 죠죠바왁스, 경질라놀린, 세락크왁스, POE라놀린알콜에테르, POE라놀린알콜아세테이트, 라놀린지방산폴리에틸렌글리콜, POE수소첨가라놀린알콜에테르 등의 왁스류(蠟類), 유동 파라핀, 오조케라이트(ozokerite), 스쿠알렌, 프리스탄, 파라핀, 세레신, 스쿠알란, 바셀린, 마이크로크리스탈린 왁스 등의 탄화수소, 미리스틴산이소프로필, 옥탄산세틸, 미리스틴산옥틸도데실, 팔미틴산이소프로필, 스테아린산부틸, 라우린산헥실, 미리스틴산미리스틸, 올레인산데실, 디메틸옥탄산헥실데실, 젖산세틸, 젖산미리스틸, 초산라놀린, 스테아린산이소세틸, 이소스테아린산이소세틸, 12-히드록시스테아릴산콜레스테릴, 디-2-에틸헥실산에틸렌글리콜, 디펜타에리스리톨지방산에스테르, 모노이소스테아린산N-알킬글리콜, 디카프린산네오펜틸글리콜, 사과산디이소스테아릴, 디-2-헵틸운데칸산글리세린, 트리-2-에틸헥실산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이소스테아린산트리메틸롤프로판, 테트라-2-에틸헥실산펜타에리스리톨, 트리-2-에틸헥실산글리세린, 트리이소스테아린산트리메틸롤프로판, 세틸-2-에틸헥산노에이트, 2-에틸헥실팔미테이트, 트리미리스틴산글리세린, 트리-2-헵틸운데칸산글리세라이드, 피마자유지방산메틸에스테르, 올레인산오일, 세토스테아릴알콜, 아세트글리세라이드, 팔미틴산-2-헵틸운데실, 아디핀산디이소프로 필, N-라우로일-L-글루타민산-2-옥틸도데실에스테르, 아디핀산디-2-헵틸운데실, 에틸라우레이트, 세바틴산디-2-에틸헥실, 미리스틴산-2-헥실데실, 팔미틴산-2-헥실데실, 아디핀산-2-헥실데실, 세바틸산디이소프로필, 호박산-2-에틸헥실, 초산에틸, 초산부틸, 초산아밀, 구연산트리에틸 등의 합성 에스테르 등이 열거된다. 비타민 A 및 그 유도체, 비타민 D 및 그 유도체, 비타민 E 및 그 유도체, 비타민 K 및 그 유도체 등의 비타민류, 스테롤류, 천연 및 합성 향료 등을 배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들 중에서도 특히 2-옥틸도데카놀 등의 극성유분이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또 이들 유상성분에 더하여, 디메틸폴리실록산, 메틸페닐폴리실록산, 메틸하이드로겐폴리실록산 등의 쇄상 폴리실록산 등의 실리콘유를 소량 배합하는 것은 가능하지만, 이들은 일반적으로 소포효과가 있으므로 배합은 바람직하지 않다.
유분(油分) 배합량으로는 전체 화장료 중 1∼30질량%, 특히 1∼15질량%가 바람직하다. 1질량%보다 적으면 휘프트 기제가 단단해지고, 손가락으로 찍어내는 감이 나빠지는 것이 있고, 30질량%를 넘어서 배합하면 거품이 이는 것이 나빠지는 외에 피부로의 퍼짐이 나빠지는 것이 있다.
또, 기포조제로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배합하는 것도 가능하다. 구체적인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예시하면, 폴리옥시에틸렌 2∼30몰 부가(이하, POE(2∼30)으로 약칭한다) 올레일에테르, POE(2∼35) 스테아릴에테르, POE(2∼20) 라우릴에테르, POE(1∼20) 알킬페닐에테르, POE(6∼18) 베헤닐에테르, POE(5∼25) 2-데실펜타데실에테르, POE(3∼20) 2-데실테트라데실에테르, POE(3∼20) 2-데실테트라데실에테르, POE(8∼16) 2-옥틸데실에테르 등의 에테르형 활성제, 및 POE(4∼60) 경화피 마자유, POE(3∼14) 지방산모노에스테르, POE(6∼30) 지방산디에스테르, POE(5∼20) 솔비탄지방산에스테르 등의 에스테르형 활성제, 그리고 POE(2∼30) 글리세릴모노이소스테아레이트, POE(10∼60) 글리세릴트리이소스테아레이트, POE(7∼50) 경화피마자유모노이소스테아레이트, POE(12∼60) 경화피마자유 트리이소스테아레이트 등의 에테르에스테르형 활성제 등의 에틸렌옥시드 부가형 계면활성제, 및 데카글리세릴테트라올레이트, 헥사글리세릴트리이소스테아레이트, 테트라글리세릴디이소스테아레이트, 디글리세릴디이소스테아레이트 등의 폴리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글리세릴모노이소스테아레이트, 글리세릴모노올레이트 등의 글리세린 지방산에스테르 등의 다가알콜지방산에스테르형 계면활성제, 비이온변성실리콘활성제 등이 열거된다.
이들 중에서 특히, 데카글리세릴테트라올레이트, 헥사글리세릴트리이소스테아레이트, 테트라글리세릴디이소스테아레이트 등의 트리글리세린 이상의 폴리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POE(2∼12) 올레일에테르, POE(3∼12) 스테아릴에테르, POE(2∼10) 라우릴에테르, POE(2∼10) 노닐페닐에테르, POE(6∼15) 베헤닐에테르, POE(5∼20) 2-데실펜타데실에테르, POE(5∼17) 2-데실테트라데실에테르, POE(8∼16) 2-옥틸데실에테르 등의 POE 부가 에테르형 활성제, 및 POE(10∼20) 경화피마자유, POE(5∼14) 올레인산모노에스테르, POE(6∼20) 올레인산디에스테르, POE(5∼10) 솔비탄올레인산에스테르 등의 POE 부가 에스테르형 활성제, POE(3∼15) 글리세릴모노이소스테아레이트, POE(10∼40) 글리세릴트리이소스테아레이트 등의 POE 부가 에테르에스테르형 활성제와 에틸렌옥시드 부가형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1종 또는 2종 이상이 바람직하게 사용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효과를 훼손하지 않는 범위에서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양성(兩性)계면활성제를 배합하는 것도 가능하다.
B. 비이온성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휘프트 O/W형 유화화장료
본 발명에서 사용되고 있는 비이온성계면활성제로는 예를 들면 자당지방산에스테르, 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솔비탄지방산에스테르, POE경화피마자유 등이 열거된다.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예시하면, 폴리옥시에틸렌 2∼30몰 부가(이하, POE(2∼30)으로 약칭한다)올레일에테르, POE(2∼35) 스테아릴에테르, POE(2∼20) 라우릴에테르, POE(1∼20) 알킬페닐에테르, POE(6∼18) 베헤닐에테르, POE(5∼25) 2-데실펜타데실에테르, POE(3∼20) 2-데실테트라데실에테르, POE(3∼20) 2-데실테트라데실에테르, POE(8∼16) 2-옥틸데실에테르 등의 에테르형 계면활성제, 및 POE(4∼60) 경화피마자유, POE(3∼14) 지방산모노에스테르, POE(6∼30) 지방산디에스테르, POE(5∼20) 솔비탄지방산에스테르 등의 에스테르형 계면활성제, 그리고 POE(2∼30) 글리세릴모노이소스테아레이트, POE(10∼60) 글리세릴트리이소스테아레이트, POE(7∼50) 경화피마자유모노이소스테아레이트, POE(12∼60) 경화피마자유 트리이소스테아레이트 등의 에테르에스테르형 활성제 등의 에틸렌옥시드 부가형 계면활성제, 및 데카글리세릴테트라올레이트, 헥사글리세릴트리이소스테아레이트, 테트라글리세릴디이소스테아레이트, 디글리세릴디이소스테아레이트 등의 폴리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글리세릴모노이소스테아레이트, 글리세릴모노올레이트 등의 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등의 다가알콜지방산에스테르, 자당모노옥타스테아린란에스테르 등의 에스테르형 계면활성제 등이다. 또한, 본 발명의 효과를 훼손하지 않는 범위에서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양성(兩性)계면활성제를 배합하는 것도 가능하다. 결이 고운 거품으로, 그리고 오버런도를 높일 필요가 있는 경우는 카제인 및/또는 레시틴을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레시틴으로는 시판 대두 레시틴과 이들의 정제레시틴 등이 열거된다. 카제인은 분말상으로도 물에 용해한 상태로 가하여도 되고, 나트륨염, 칼슘염이어도 된다.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카제인, 레시틴의 배합량으로는 전체 화장료 중에 0.1∼15질량%, 특히 0.5∼10질량%가 바람직하다. 0.1질량%보다 적으면 충분히 거품이 일어나지 않고, 15질량%를 넘어서 배합하면, 고온에서 기제의 향내가 약해지는 외에 끈적거림이 느껴져 피부로의 안전성에 있어서도 바랍직하지 않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고형유분은 30℃ 이하, 바람직하게는 50℃ 이하에서 고체인 유분이고, IOB가 0이 아닌 유분이다. 유동파라핀과 바셀린 등 IOB가 0인 비극성유는 거품이 일어남이 나쁘기 때문에, 가능한한 배합량을 억제하는 편이 바람직하다. 또 유분을 배합하는 것에 의해, 겔화제를 함유하는 휘프트 O/W형 유화물은 지나치게 단단해지는 것이 아니고, 손가락으로 찍어내기에 충분한 부드러움을 갖는다. 유분의 배합량으로는 전체 화장료 중 1∼30질량%, 특히 1∼15질량%가 바람직하다. 1질량%보다 적으면 휘프트 기제가 단단해지므로, 손가락으로 찍어낼 때의 느낌이 나빠지는 경우가 있고, 30질량%를 넘어서 배합하면 거품이 이는 것이 나빠지는 외에 피부로의 퍼짐이 나빠지는 경우가 있다.
고형유분을 예시하면, 카카오지, 야자유, 마지(馬脂), 경화야자유, 팜유, 우지(牛脂), 양지(洋脂), 경화우지, 팜핵유, 돈지(豚脂), 우골지(牛骨脂), 목랍핵유( 木蠟核油), 경화유, 우각지(牛脚脂), 목랍, 경화피마자유 등의 고형유지, 밀랍, 칸데릴라왁스, 면랍, 카르나우바왁스, 베이베리왁스, 백랍, 경랍(鯨蠟), 몬탄왁스, 강랍(糠蠟), 라놀린, 카포크왁스, 초산라놀린, 사탕수수왁스, 라놀린지방산이소프로필, 라우린산헥실, 환원라놀린, 호호바왁스, 경질라놀린, 세락크왁스, POE라놀린알콜에테르, POE라놀린알콜아세테이트, 라놀린지방산폴리에틸렌글리콜, POE수소첨가라놀린알콜에테르 등의 왁스류(蠟類)가 열거된다.
상기 고형유분 이외에, 액상라놀린, 미리스틴산이소프로필, 옥탄산세틸, 미리스틴산옥틸도데실, 팔미틴산이소프로필, 스테아린산부틸, 라우린산헥실, 미리스틴산미리스틸, 올레인산데실, 디메틸옥탄산헥실데실, 젖산세틸, 젖산미리스틸, 초산라놀린, 스테아린산이소세틸, 이소스테아린산이소세틸, 12-히드록시스테아릴산콜레스테릴, 디-2-에틸헥실산에틸렌글리콜, 디펜타에리스리톨지방산에스테르, 모노이소스테아린산N-알킬글리콜, 디카프린산네오펜틸글리콜, 사과산디이소스테아릴, 디-2-헵틸운데칸산글리세린, 트리-2-에틸헥실산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이소스테아린산트리메틸롤프로판, 테트라-2-에틸헥실산펜타에리스리톨, 트리-2-에틸헥실산글리세린, 트리이소스테아린산트리메틸롤프로판, 세틸-2-에틸헥산노에이트, 2-에틸헥실팔미테이트, 트리미리스틴산글리세린, 트리-2-헵틸운데칸산글리세라이드, 피마자유지방산메틸에스테르, 올레인산오일, 세토스테아릴알콜, 아세트글리세라이드, 팔미틴산-2-헵틸운데실, 아디핀산디이소프로필, N-라우로일-L-글루타민산-2-옥틸도데실에스테르, 아디핀산디-2-헵틸운데실, 에틸라우레이트, 세바신산디-2-에틸헥실, 미리스틴산-2-헥실데실, 팔미틴산-2-헥실데실, 아디핀산-2-헥실데실, 세바틸산디이소프 로필, 호박산-2-에틸헥실, 초산에틸, 초산부틸, 초산아밀, 구연산트리에틸 등의 유동 유분과 스테아릴알콜, 베헤닐알콜, 올레일알콜 등의 고급알콜류, 비타민 A 등의 유용성(油溶性) 비타민 및 그 유도체, 스테롤류, 천연 및 합성 향료, 자외선흡수제와 물에 난용성인 물질을 유상(油相) 중에 배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소량이라면, 유동파라핀, 오조케라이트, 스쿠알렌, 프리스탄, 파라핀, 세레신, 스쿠알란, 바셀린, 마이크로크리스탈린 왁스 등의 IOB가 0인 탄화수소유를 배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이들 유상성분에 더하여, 디메틸폴리실록산, 메틸페닐폴리실록산, 메틸하이드로겐폴리실록산 등의 쇄상 폴리실록산 등의 실리콘유를 소량 배합하는 것은 가능하지만, 이들은 일반적으로 소포효과가 있으므로 배합은 바람직하지 않다.
고형유분의 배합량으로는 화장료 전체 유분 중 20질량% 이상, 특히, 40질량% 이상이 바람직하다. 20질량%보다 적으면 30℃ 이상에서의 거품안정성이 유지되지 않는 것이 있다.
상기 1, 2의 휘프트 O/W형 유화화장료는 또한 분말을 배합하는 것도 가능하다. 분말배합에 의해 휘프트 기제에 바삭바삭한 감촉을 줄 수 있다. 분말로는 탈크, 산화티탄, 산화아연, 폴리에틸린분말, 나일론분말, 전분분말 등이 열거된다. 실리콘분말을 배합하는 것도 소량이라면 가능하지만, 거품이 생기는 것이 나빠지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또, 본 발명의 휘프트 O/W형 유화화장료에는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다가알콜과 보습제를 배합하는 것에 의해 보습효과를 높일 수 있다.
예를 들면, 다가알콜류로는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트리메틸렌글리콜, 1,2-부틸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테트라메틸렌글리콜, 2,3-부틸렌글리콜, 펜타메닐린글리콜, 2-부텐-1,4-디올, 헥실렌글리콜, 옥틸렌글리콜 등의 2가알콜, 글리세린, 트리메틸올프로판, 1,2,6-헥산트리올 등의 3가알콜, 펜타에리스리톨 등의 4가알콜, 크실리톨 등의 5가알콜, 솔비톨, 만니톨 등의 6가알콜, 디에틸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트리에틸렌글리콜, 폴리프로필렌글리콜, 트리글리세린, 테트라글리세린, 폴리글리세린 등의 다가알콜공중합체, 에틸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에틸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 에틸렌글리콜모노부틸에테르, 에틸렌글리콜모노페닐에테르, 에틸렌글리콜모노헥실에테르, 에틸렌글리콜모노-2-메틸헥실에테르, 에틸렌글리콜이소아밀에테르, 에틸렌글리콜벤질에테르, 에틸렌글리콜이소프로필에테르, 에틸렌글리콜디메틸에테르, 에틸렌글리콜디에틸에테르, 에틸렌글리콜디부틸에테르 등의 2가알콜알킬에테르류, 디에틸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모노부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디메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디에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디부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메틸에틸에테르, 트리에틸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트리에틸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 트리에틸렌글리콜모노부틸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모노부틸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모노이소프로필에테르, 디프로필렌글리콜메틸에테르, 디프로필렌글리콜에틸에테르, 디프로필렌글리콜부틸에테르 등의 2가알콜알킬에테르류, 에틸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에틸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아세테이트, 에틸렌글리콜모노부틸에테르아세테이트, 에틸렌글리콜 모노페닐에테르아세테이트, 에틸렌글리콜디아디베이트, 에티렌글리콜디석시네이트, 에틸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아세테이트, 디에틸렌글리콜모노부틸에테르아세테이트,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프로필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아세테이트, 프로필렌글리콜모노프로필에테르아세테이트, 프로필렌글리콜모노페닐에테르아세테이트 등의 2가알콜에테르에스테르류, 크실알콜, 세라킬알콜, 바틸알콜 등의 글리세린모노알킬에테르, 솔비톨, 말티톨, 말토트리오스, 만니톨, 자당, 에리스리톨, 글루코스, 프럭토스, 전분분해당, 말토스, 크실리토스, 전분분해당환원알콜 등의 당알콜, 글리소릿드, 테트라하이드로푸르푸릴알콜, POE테트라하이드로푸르푸릴알콜, POP 부틸에테르, POP·POE 부틸에테르, 틸폴리옥시프로필렌글리세린에테르, POP 글리세린에테르, POP 글리세린에테르인산, POP·POE 펜타에리스리톨에테르 등이 열거된다.
보습제로는 콘드로이친황산, 히알루론산, 무코이친황산, 카로닌산, 아테로콜라겐, 콜레스테릴-12-히드록시스테아레이트, 젖산나트륨, 담즙산모노염, d1-피로리돈카르본산모노염, 단쇄가용성콜라겐, 이사요이요바라추출액, 세이요우노코기리소우추출물 등이 열거된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료의 사용감, pH 등을 훼손하지 않는 범위에서 그 외의 수용성고분자를 배합하는 것도 가능하다. 천연의 수용성고분자로는 예를 들면, 아라비아검, 트라가칸트검, 갈락탄, 구아검, 캬로브검, 카라야검, 펙틴, 퀸즈시드(마르멜로), 알게콜로이드(갈조엑기스), 전분(쌀, 옥수수, 감자, 밀), 글리칠리친산 등의 식물계 고분자, 크산탄검, 덱스트란, 숙시노글루칸, 풀루란 등의 미생물계 고 분자, 콜라겐, 카제인, 알부민 등의 동물계 고분자가 열거된다.
반합성 수용성 고분자로는 예를 들면, 카르복시메틸전분, 메틸히드록시프로필전분 등의 전분계 고분자, 메틸셀룰로스, 니트로셀룰로스, 에틸셀룰로스, 메틸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스, 히드록시에틸셀룰로스, 셀룰로스황산나트륨,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나트륨(CMC), 결정셀룰로스, 셀룰로스분말 등의 셀룰로스계 고분자, 알긴산프로필렌글리콜에스테르 등의 알긴산계 고분자가 열거된다.
합성수용성고분자로는 예를들면, 폴리비닐알콜, 폴리비닐메틸에테르계 고분자, 폴리비닐피롤리돈, 카르복시비닐폴리머(CARBOPOL 940, 941; BF Goodrich사) 등의 비닐계 고분자, 폴리에틸렌글리콜 20,000, 폴리에틸렌글리콜 6,000, 폴리에틸렌글리콜 4,000 등의 폴리옥시에틸렌계 고분자,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올시프로필렌공중합체 등의 공중합체계 고분자, 폴리아크릴산나트륨, 폴리에틸아크릴레이트, 폴리아크릴아미드 등의 아크릴계 고분자, 폴리에틸렌이민 등이 열거된다.
본 발명의 화장료에 대해서는 그 외에도 통상 화장료와 의약품 분야에서 배합되고 있는 각종 성분을 배합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 중에서 수상성분으로는 예를 들면, 비타민 B군, 비타민 C 및 그 유도체, 판토텐산 및 그 유도체, 비오틴 등의 비타민류 등의 수용성 활성물질, 글루타민산나트륨, 아르기닌, 아스파라긴산, 구연산, 주석산, 젖산 등의 완충제, 각종 식물유 추출액, EDTA 등의 킬레이트제 등 이외에, 수용성자외선흡수제, 각종색소 등이 열거된다.
본 발명의 O/W 형 유화화장료는 예를 들면 화장품, 의약부외품, 의약품 분야 에 있어서, 피부화장료, 모발화장료, 피부외용제 등으로서 이용된다. 우수한 사용감을 가지므로 유화화장료로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제에 기포를 함유시키기 위한 기기로서는 요리용 탁상배치믹서, 닷샤 등이 열거되지만, 기포를 말려들어가게 하는 것이라면 특히 제한은 없다.
본 발명의 휘프트 O/W형 유화화장료의 제조방법은 유동성이 없는 겔을 형성하는 고분자를 함유하는 O/W형 유화물을 거품이 일게하여 제조할 수도 있고, 유동성 없는 겔을 형성하는 고분자를 함유하지 않는 O/W형 유화물을 제조하여 거품이 일게 한 후, 유동성 없는 겔을 형성하는 고분자를 배합하여 제조할 수도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개발과정을 시험예에 의해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 배합량은 모두 질량%를 의미한다. 수상 중의 배합량 및 전체 유분 중의 배합량을 나타내는 경우, 그때마다 명기하지만, 그 이외에는 화장료 전체에 대한 배합량을 의미한다.
시험예에 앞서서 오버런도의 계산방법과 그 평가기준에 대해서 하기에 나타낸다. 오버런도는 하기 식에 따라 계산하고, 하기 평가기준에 의해 평가하였다.
Figure 112002012445440-pct00001
A : 일정 용적의 크림중량
B : 일정 용적의 휘프트 크림중량
<오버런도>
◎ … 오버런도가 100% 이상
○ … 오버런도가 50∼100% 미만
△ … 오버런도가 10∼50% 미만
× … 오버런도가 10% 미만
<거품안정성평가>
0℃ 및 37℃ 1개월 유지후의 거품안정성을 육안관찰에 의해 하기 기준에 따라 평가하였다.
(거품의 입경)
◎ … 변화는 전혀 보이지 않음
○ … 변화는 거의 보이지 않음
△ … 입경의 증대가 보임
× … 입경의 증대가 현저하게 보임
(거품의 제거)
◎ … 변화는 전혀 보이지 않음
○ … 변화는 거의 보이지 않음
△ … 거품의 제거가 보임
× … 거품의 제거가 현저하게 보임
<사용성의 평가>
20∼35세의 일본인 여성 10명을 패널로 하여 조제 직후의 각 휘프트 O/W형 유화화장료 각각을 손가락으로 찍어내고, 그 손가락으로 찍어내는 감 및 피부에 펴짐을 하기 기준에 따라 관능평가하였다.
(손가락으로 찍어내는 감)
◎ … 8명 이상이 찍어내기 쉽다고 답하였다
○ … 6∼7명이 찍어내기 쉽다고 답하였다
△ … 4∼5명이 찍어내기 쉽다고 답하였다
× … 3명 이하가 찍어내기 쉽다고 답하였다
(피부로의 펴짐)
◎ … 8명 이상이 펴짐이 좋다고 답하였다
○ … 6∼7명이 펴짐이 좋다고 답하였다
△ … 4∼5명이 펴짐이 좋다고 답하였다
× … 3명 이하가 펴짐이 좋다고 답하였다
A. 고급지방산비누를 함유하는 휘프트 O/W형 유화화장료
표 1의 조성의 휘프트 O/W형 유화화장료를 조제하고, 오버런도 및 거품안정성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성분 시험예 1 2 3 4 5 6 7
(1)한천 - 2.0 - 2.0 - - 2.0 (2)글루코만난 - - 1.0 - - - - (3)크산탄검 - - 1.0 - 2.0 - - (4)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 - - - - - 2.0 - (5)양이온화히드록시셀룰로스 - - 0.5 0.5 - - - (6)1,3-부틸렌글리콜 5.0 5.0 5.0 5.0 5.0 5.0 5.0 (7)메틸파라벤 0.2 0.2 0.2 0.2 0.2 0.2 0.2 (8)정제수 잔부 잔부 잔부 잔부 잔부 잔부 잔부 (9)가성칼륨 0.7 0.7 0.7 0.7 0.7 0.7 - (10)헥사메타인산소다 0.05 0.05 0.05 0.05 0.05 0.05 0.05 (11)스테아린산 5.0 5.0 5.0 5.0 5.0 5.0 - (12)팔미틴산 5.0 5.0 5.0 5.0 5.0 5.0 - (13)폴리옥시에틸렌경화피마자유 - - - - - - 10.0 (14)2-옥틸도데칸올 8.0 8.0 8.0 8.0 8.0 8.0 8.0
<오버런도> ◎ ◎ ◎ ◎ ◎ ◎ △ <거품안정성> 0℃ 거품입경 ◎ ◎ ◎ ◎ ◎ ◎ ◎ 거품제거 ◎ ◎ ◎ ◎ ◎ ◎ ◎ 37℃ 거품입경 × △ ◎ ◎ × × △ 거품제거 × △ ◎ ◎ × × △
(제법)
성분 (1) ∼ (8), (10)을 80℃에서 용해혼합하고, 균일하게 분산한다. 이 수상에 80℃에서 균일하게 용해한 (11) ∼ (14)와 일부의 (8)에 용해한 (9)를 가하여 호모믹서로 균일분산후, 베치믹서로 휘프트하여 휘프트 O/W형 유화화장료를 제조한 후, 약 50℃에서 용기에 충전하여 그 상태로 냉각하였다.
(결과)
시험예 1은 겔화제를 함유하지 않은 조성물, 시험예 2∼7은 겔화제의 고분자를 함유하는 조성물이다. 표 1의 결과로부터, 겔화제의 고분자를 함유하지 않는 시험예 1의 휘프트 O/W형 유화화장료는 37℃에서의 거품안정성에 있어서 떨어지고 있는 것을 알았다. 이것에 대하여 유동성이 없는 겔을 형성하는 고분자(한천, 글루코만난)을 함유하는 시험예 2∼4의 휘프트 O/W형 유화화장료는 37℃의 거품안정성에 향상이 보였다. 여기서 글루코만난은 그 자신만으로는 겔을 형성하지 않지만, 크산탄검을 병용함으로써 유동성이 없는 겔을 형성한다. 또, 특히 양이온형 고분자를 함유하는 시험예 4는 37℃의 거품안정성에서 가장 우수하다는 것을 알았다. 그러나, 증점효과를 가지지만 유동성이 없는 겔을 형성하는 것이 없는 크산탄검과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만을 배합한 시험예 5 및 6에 있어서는 37℃의 거품안정성에서 떨이진 것으로 되었다. 따라서, 유동성 없는 겔을 형성하는 고분자를 배합하는 것에 의해 고온에서의 거품안정성이 향상하는 것을 알았다. 또 고급지방산비누 대신에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배합한 시험예 7은 오버런도가 낮고, 37℃에서의 거품안정성도 떨어졌다.
A-1 유동성 없는 겔을 형성하는 고분자의 배합량
표 2의 조성의 휘프트 O/W형 유화화장료를 조제하고, 본 발명에서의 유동성이 없는 겔을 형성하는 고분자의 배합량의 검토를 행하였다.
성분 시험예 8 9 10 11 12 13 14
(수상) 한천 0.01 0.1 0.8 2.0 5.0 10.0 15.0 양이온화히드록시셀룰로스 0.5 0.5 0.5 0.5 0.5 0.5 0.5 1,3-부틸렌글리콜 5.0 5.0 5.0 5.0 5.0 5.0 5.0 메틸파라벤 0.2 0.2 0.2 0.2 0.2 0.2 0.2 정제수 잔부 잔부 잔부 잔부 잔부 잔부 잔부 헥사메타인산소다 0.05 0.05 0.05 0.05 0.05 0.05 0.05 (유상) 스테아린산 5.0 5.0 5.0 5.0 5.0 5.0 5.0 팔미틴산 5.0 5.0 5.0 5.0 5.0 5.0 5.0 가성칼륨 0.7 0.7 0.7 0.7 0.7 0.7 0.7 2-옥틸도데칸올 8.0 8.0 8.0 8.0 8.0 8.0 8.0
수상중의 유동성이 없는 겔을 형성하는 고분자 배합량 0.01 0.12 0.98 2.46 6.15 12.3 18.5
<오버런도> ◎ ◎ ◎ ◎ ◎ ○ ○ <거품안정성> 37℃ 거품입경 △ ○ ◎ ◎ ◎ ◎ ◎ 거품제거 △ ○ ◎ ◎ ◎ ◎ ◎ <사용성> 손가락으로 찍어내기 ◎ ◎ ◎ ◎ ◎ ○ △ 피부에 펴지기 ○ ◎ ◎ ◎ ◎ ○ ○
(결과)
표 2의 결과로부터, 유동성 없는 겔을 형성하는 고분자 배합량이 수상 중 약 0.1질량%보다 적으면, 37℃의 거품안정성이 뒤떨어지는 것을 알았다. 또한 유동성이 없는 겔을 형성하는 고분자 배합량이 수상 중 약 13질량%를 넘으면 37℃의 거품안정성이 뒤떨어지는 것을 알았다. 따라서 유동성이 없는 겔을 형성하는 고분자 배합량은 수상 중 약 0.1∼13질량%가 바람직하고, 약 1∼7질량%가 더욱 바람직한 것을 알았다.
A-2 고급지방산비누의 배합량
표 3의 조성의 휘프트 O/W형 유화화장료를 조제하고, 고급지방산비누의 배합량의 검토를 행하였다.
성분 시험예 15 16 17 18 19 20 21
한천 2.0 2.0 2.0 2.0 2.0 2.0 2.0 양이온화히드록시셀룰로스 0.5 0.5 0.5 0.5 0.5 0.5 0.5 1,3-부틸렌글리콜 5.0 5.0 5.0 5.0 5.0 5.0 5.0 메틸파라벤 0.2 0.2 0.2 0.2 0.2 0.2 0.2 정제수 잔부 잔부 잔부 잔부 잔부 잔부 잔부 헥사메타인산소다 0.05 0.05 0.05 0.05 0.05 0.05 0.05 스테아린산 0.5 1.0 5.0 10.0 15.0 20.0 25.0 가성칼륨 0.035 0.07 0.35 0.7 1.05 1.4 1.75 2-옥틸도데칸올 8.0 8.0 8.0 8.0 8.0 8.0 8.0
<오버런도> △ ○ ◎ ◎ ◎ ◎ ◎ <거품안정성> 37℃ 거품입경 △ ○ ◎ ◎ ◎ ◎ ◎ 거품제거 △ ○ ◎ ◎ ◎ ◎ ◎ <사용성> 손가락으로 찍어내기 △ ○ ◎ ◎ ◎ ○ ○ 피부에 펴지기 △ ○ ◎ ◎ ◎ ○ △
(결과)
표 3의 결과로부터, 고급지방산비누의 배합량이 1질량%보다 적으면, 오버런도, 37℃의 거품안정성 및 사용성 면에서 뒤떨어지는 것을 알았다. 또한 20질량%보다 많으면 사용성이 뒤떨어지는 것을 알았다. 따라서, 고급지방산비누의 배합량은 약 1∼20질량%가 바람직하고, 약 5∼15질량%가 더욱 바람직한 것을 알았다.
A-3 양이온형 고분자의 배합량
표 4의 조성의 휘프트 O/W형 유화화장료를 조제하고, 본 발명에서의 양이온형 고분자 배합량의 검토를 행하였다.
성분 시험예 22 23 24 25 26 27 28
한천 2.0 2.0 2.0 2.0 2.0 2.0 2.0 양이온화히드록시셀룰로스 0.005 0.01 0.05 1.0 3.0 5.0 7.0 1,3-부틸렌글리콜 5.0 5.0 5.0 5.0 5.0 5.0 5.0 메틸파라벤 0.2 0.2 0.2 0.2 0.2 0.2 0.2 정제수 잔부 잔부 잔부 잔부 잔부 잔부 잔부 헥사메타인산소다 0.05 0.05 0.05 0.05 0.05 0.05 0.05 스테아린산 5.0 5.0 5.0 5.0 5.0 5.0 5.0 팔미틴산 5.0 5.0 5.0 5.0 5.0 5.0 5.0 가성칼륨 0.7 0.7 0.7 0.7 0.7 0.7 0.7 2-옥틸도데칸올 8.0 8.0 8.0 8.0 8.0 8.0 8.0
<오버런도> ◎ ◎ ◎ ◎ ◎ ◎ ◎ <거품안정성> 37℃ 거품입경 △ ○ ◎ ◎ ◎ ◎ ◎ 거품제거 △ ○ ◎ ◎ ◎ ◎ ◎ <사용성> 손가락으로 찍어내기 ◎ ◎ ◎ ◎ ◎ ○ △ 피부에 펴지기 ◎ ◎ ◎ ◎ ◎ ○ △
(결과)
표 4의 결과로부터, 양이온형 고분자의 배합량이 0.01질량%보다 적으면, 37℃의 거품안정성에서 뒤떨어지는 것을 알았다. 또한 5질량%보다 많으면 사용성이 뒤떨어지는 것을 알았다. 따라서, 양이온형고분자의 배합량은 약 0.01∼5질량%가 바람직하고, 0.05∼3질량%가 더욱 바람직한 것을 알았다.
A-4 유분의 배합량
표 4의 조성의 휘프트 O/W형 유화화장료를 조제하고, 유분의 배합량의 검토를 행하였다.
성분 시험예 29 30 31 32 33 34
한천 2.0 2.0 2.0 2.0 2.0 2.0 양이온화히드록시셀룰로스 0.5 0.5 0.5 0.5 0.5 0.5 1,3-부틸렌글리콜 5.0 5.0 5.0 5.0 5.0 5.0 메틸파라벤 0.2 0.2 0.2 0.2 0.2 0.2 정제수 잔부 잔부 잔부 잔부 잔부 잔부 헥사메타인산소다 0.05 0.05 0.05 0.05 0.05 0.05 베헤닌산 5.0 5.0 5.0 5.0 5.0 5.0 팔미틴산 5.0 5.0 5.0 5.0 5.0 5.0 가성칼륨 0.7 0.7 0.7 0.7 0.7 0.7 이소스테아릴알콜 0.1 1.0 8.0 15.0 30.0 35.0
<오버런도> ◎ ◎ ◎ ◎ ○ △ <거품안정성> 37℃ 거품입경 ○ ◎ ◎ ◎ ◎ ◎ 거품제거 ○ ◎ ◎ ◎ ◎ ◎ <사용성> 손가락으로 찍어내기 ○ ◎ ◎ ◎ ◎ ○ 피부에 펴지기 × ○ ◎ ◎ ○ △
(결과)
표 5의 결과로부터, 유분의 배합량이 1질량%보다 적으면, 사용성에서 뒤떨어지는 것을 알았다. 30질량%보다 많으면 거품일어남이 뒤떨어지기 때문에 오버런도가 저하되고, 사용성도 뒤떨어지는 것을 알았다. 따라서, 유분의 배합량은 1∼30질량%가 바람직하고, 8∼15질량%가 더욱 바람직한 것을 알았다.
성분 시험예 35 36 37 38 39 40 41 42
스테아린산 5.0 5.0 - 5.0 1.0 5.0 5.0 - 팔미틴산 5.0 - 6.0 - - - 5.0 5.0 베헤닌산 - 5.0 6.0 5.0 - 5.0 - 5.0 2-옥틸도데칸올 8.0 2.0 8.0 - 4.0 4.0 0.1 8.0 호호바오일 - 5.0 - - - - - - 환상실리콘 - - - - - 4.0 - - 폴리옥시에틸렌경화피마자유 - 0.3 - - 2.0 - - - 한천 2.0 2.0 1.0 - 2.0 2.0 2.0 2.0 젤라틴 - - - 1.0 - - - - - 크산탄검 - 0.1 - 3.0- - - - - 양이온화히드록시셀룰로스 0.5 0.5 0.5 0.5 0.5 0.5 0.5 0.5 1,3-부틸렌글리콜 5.0 5.0 5.0 5.0 5.0 5.0 5.0 5.0 메틸파라벤 0.2 0.2 0.2 0.2 0.2 0.2 0.2 0.2 정제수 잔부 잔부 잔부 잔부 잔부 잔부 잔부 잔부 가성칼륨 0.7 0.7 0.8 0.7 0.07 0.7 0.7 0.7 헥사메타인산소다 0.05 0.05 0.05 0.05 0.05 0.05 0.05 0.05 탈크 - 2.0 - - - - - - -
<오버런도(%)> 150 160 150 150 20 20 190 150 <거품안정성> 0℃ 거품입경 ◎ ◎ ◎ ◎ ◎ ◎ ◎ ◎ 거품제거 ◎ ◎ ◎ ◎ ◎ ◎ ◎ ◎ 37℃ 거품입경 ◎ ◎ ◎ × △ ◎ △ △ 거품제거 ◎ ◎ ◎ × △ ◎ ◎ △ <사용성> 손가락으로 찍어내기 ◎ ◎ ◎ ◎ △ × ○ ◎ 피부에 펴지기 ◎ ◎ ◎ ◎ △ × △ ◎
(결과)
표 6의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휘프트 O/W형 유화화장료는 거품안정성이 양호하여 우수한 사용성을 가지고 있는 것을 알았다. 또한, 시험예 40으로부터, 실리콘유를 지나치게 배합하면 소포효과에 의해 오버런도가 저하하고, 더욱이 사용성도 뒤떨어지는 것을 알았다.
실시예 1 마사지 세안료
(1) 정제수 잔부
(2) 메틸파라벤 0.1
(3) 1, 3-부틸렌글리콜 5.0
(4) 아스코르빈산 0.5
(5) 양이온화히드록시셀룰로스 0.1
(6) 크산탄검 1.0
(7) 글루코만난 1.0
(8) 소수화전분 2.0
(9) 가성칼륨 0.8
(10) 스테아린산 3.0
(11) 팔미틴산 4.0
(12) 베헤닌산 3.0
(13) 옥탄산세틸 5.0
(14) 이소스테아릴알콜 4.0
(15) 향료 적량
(제법)
성분 (1) ∼ (7)을 80℃에서 용해혼합하고, 이것에 (8)을 가하여 균일하게 분산한다. 이 수상에 80℃에서 균일하게 용해한 (10) ∼ (14)와 일부의 (1)에 용해한 (9)를 가하고, 또한 (15)를 가하여 호모믹서에서 균일하게 분산 후, 배치믹서에서 휘프트하여 휘프트 O/W형 유화화장료를 제조한 후, 약 50℃에서 용기에 충전하고 그 상태 그대로 냉각하였다. 얻어진 휘프트 크림은 거품안정성이 양호하여 우수한 사용성을 가지고 있었다.
실시예 2 보습크림
(1) 정제수 잔부
(2) 메틸파라벤 0.1
(3) 글리세린 5.0
(4) 트리메틸글리신 1.0
(5) 양이온화히드록시셀룰로스 0.5
(6) 히드록시에틸셀룰로스 0.5
(7) 자당스테아린산모노에스테르 2.0
(8) 카라기난 2.0
(9) 가성칼륨 0.3
(10) 스테아린산 2.0
(11) 팔미틴산 2.0
(12) 2-옥틸도데칸올 4.0
(13) 테트라옥탄산펜타에리스리틸 4.0
(14) 유동파라핀 2.0
(15) 산화티탄 4.0
(16) 향료 적량
(제법)
성분 (1) ∼ (7) (수상)을 80℃에서 용해혼합하고, 이것에 (15)를 가하여 균일하게 분산한다. 이 수상에 80℃에서 균일하게 용해한 (10) ∼ (14) (유상)와 일부의 (1)에 용해한 (9)를 가하고, 또한 (15), (16)을 가하여 호모믹서에서 균일하게 분산 후, 배치믹서에서 휘프트하여 휘프트 O/W형 유화화장료를 제조한 후, 80℃에서 일부의 (1)에 용해한 (8)을 휘프트 크림에 혼합하고, 약 50℃에서 용기에 충전하고 그 상태 그대로 냉각하였다. 얻어진 휘프트 크림은 거품안정성이 양호하여 우수한 사용성을 가지고 있었다.
실시예 3 마사지 세안료
(1) 정제수 잔부
(2) 페녹시에탄올 0.1
(3) 디프로프렌글리콜 5.0
(4) 알부틸 0.5
(5) 자당모노스테아린산에스테르 0.5
(6) 폴리옥타늄 0.1
(7) 한천 1.0
(8) 나일론분말 2.0
(9) 가성칼륨 0.8
(10) 스테아린산 3.0
(11) 이소스테아린산 4.0
(12) 베헤닌산 5.0
(13) 바셀린 1.0
(14) 이소스테아릴알콜 4.0
(15) 향료 적량
(제법)
성분 (1) ∼ (7)을 80℃에서 용해혼합하고, 이것에 (8)을 가하여 균일하게 분산한다. 이 수상에 80℃에서 균일하게 용해한 (10) ∼ (14)와 일부의 (1)에 용해한 (9)를 가하고, 또한 (15)를 가하여 호모믹서에서 균일하게 분산 후, 배치믹서에서 휘프트하여 휘프트 O/W형 유화화장료를 제조한 후, 약 50℃에서 용기에 충전하여 그 상태 그대로 냉각하였다. 얻어진 휘프트 크림은 거품안정성이 양호하여 우수한 사용성을 가지고 있었다.
실시예 4 마사지크림
(1) 정제수 잔부
(2) 메틸파라벤 0.1
(3) 1,3-부틸렌글리콜 5.0
(4) 아스코르빈산 0.5
(5) 폴리염화디메틸메틸렌피페리디늄 0.5
(6) 글루코만난 1.0
(7) 케루트롤 1.0
(8) 아르긴산나트륨 1.0
(9) 산화티탄 2.0
(10) 가성칼륨 0.8
(11) 스테아린산 3.0
(12) 베헤닌산 4.0
(13) 스테아릴알콜 1.0
(14) 옥탄산세틸 5.0
(15) 멘톨 0.05
(16) 향료 적량
(제법)
성분 (1) ∼ (8) 을 80℃에서 용해혼합하고, 이것에 (9)를 가하여 균일하게 분산한다. 이 수상에 80℃에서 균일하게 용해한 (11) ∼ (15) 와 일부의 (1)에 용해한 (10)를 가하고, 또한 (16)을 가하여 호모믹서에서 균일하게 분산 후, 배치믹서에서 휘프트하여 휘프트 O/W형 유화화장료를 제조한 후, 약 50℃에서 용기에 충전하고 그 상태 그대로 냉각하였다. 얻어진 휘프트 크림은 거품안정성이 양호하여 우수한 사용성을 가지고 있었다.
실시예 5 자외선차단용 미용액
(1) 정제수 잔부
(2) 메틸파라벤 0.1
(3) 글리세린 5.0
(4) 히알루론산 0.5
(5) 폴리아크릴레이트 0.5
(6) 젤라틴 1.0
(7) 카도란 1.0
(8) 산화아연 2.0
(9) 가성칼륨 0.8
(10) 스테아린산 3.0
(11) 미리스틴산 1.0
(12) 베헤닌산 2.0
(13) 팜유 5.0
(14) 자외산흡수제 1.0
(15) 향료 적량
(제법)
성분 (1) ∼ (7)을 80℃에서 용해혼합하고, 이것에 (8)을 가하여 균일하게 분산한다. 이 수상에 80℃에서 균일하게 용해한 (10) ∼ (14)와 일부의 (1)에 용해한 (9)를 가하고, 또한 (15)를 가하여 호모믹서에서 균일하게 분산 후, 배치믹서에 서 휘프트하여 휘프트 O/W형 유화화장료를 제조한 후, 약 50℃에서 용기에 충전하고 그 상태 그대로 냉각하였다. 얻어진 휘프트 크림은 거품안정성이 양호하여 우수한 사용성을 가지고 있었다.
B.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휘프트 O/W형 유화화장료
표 7, 8의 조성의 휘프트 O/W형 유화화장료를 조제하고, 오버런도, 거품안정성 및 사용성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시험예 43은 겔화제를 함유하지 않은 조성물, 시험예 44∼51은 겔화제 고분자물질을 함유한 조성물이다.
성분 시험예 43 44 45 46
(1)자당모노스테아린산에스테르 1.0 1.0 1.0 1.0 (2)카제인 1.0 1.0 1.0 1.0 (3)한천 - 2.0 - - (4)크산탄검 - - 2.0 - (5)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 - - - 2.0 (6)1,3-부틸렌글리콜 5.0 5.0 5.0 5.0 (7)메틸파라벤 0.2 0.2 0.2 0.2 (8)정제수 잔부 잔부 잔부 잔부 (9)헥사메타인산소다 0.05 0.05 0.05 0.05 (10)팜경화유 10.0 10.0 10.0 10.0 (11)밀랍 10.0 10.0 10.0 10.0 (12)호호바오일 - - - - (13)바세린 - - - - (14)대두레시틴 0.1 0.1 0.1 0.1
<오버런도> ◎ ◎ ◎ ◎ <거품안정성> 37℃ 거품입경 × ◎ × × 거품제거 × ◎ × × <사용성> 손가락으로 찍어내기 ◎ ◎ ◎ ◎ 피부에 펴지기 ◎ ◎ ◎ ◎
(제법)
성분 (1) ∼ (9)을 80℃에서 용해혼합한 수상에, 80℃에서 균일하게 용해한 (10) ∼ (14)를 가하여 호모믹서로 균일분산후, 40℃에서 뱃치믹서로 휘프트하여 휘프트 O/W형 유화화장료를 제조한 후, 약 50℃에서 용기에 충전하여 그 상태로 냉각하였다. 이하의 시험예도 이것에 준하여 제조하였다.
(결과)
표 7의 결과로부터, 유동성이 없고 융점이 40℃ 이상인 겔을 형성하는 고분자물질을 함유하지 않는 시험예 43는 거품안정성에서 뒤떨어지는 것을 알았다. 이것에 대하여 유동성이 없고 융점이 40℃ 이상인 겔을 형성하는 고분자물질과 고형유분과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시험예 44는 거품안정성도 포함하여 모두 우수하다는 것을 알았다. 그러나, 유동성이 있는 겔을 형성하는 고분자물질을 함유하는 시험예 45 및 46은 거품안정성에서 뒤떨어지는 것을 알았다.
성분 시험예 47 48 49 50 51
(1)자당모노스테아린산에스테르 1.0 1.0 1.0 2.1 2.1 (2)카제인 1.0 1.0 1.0 1.0 - (3)글루코만난 1.0 1.0 1.0 1.0 1.0 (4)크산탄검 1.0 1.0 1.0 1.0 1.0 (5)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 - - - - - (6)1,3-부틸렌글리콜 5.0 5.0 5.0 5.0 5.0 (7)메틸파라벤 0.2 0.2 0.2 0.2 0.2 (8)정제수 잔부 잔부 잔부 잔부 잔부 (9)헥사메타인산소다 0.05 0.05 0.05 0.05 0.05 (10)팜경화유 - - - 10.0 10.0 (11)밀랍 - - - 10.0 10.0 (12)호호바오일 - 20.0 - - - (13)바세린 - - 20.0 - - (14)대두레시틴 0.1 0.1 0.1 - 0.1
<오버런도> ◎ ○ △ ○ ○ <거품안정성> 37℃ 거품입경 ◎ × × ◎ ◎ 거품제거 ◎ △ △ ○ ○ <사용성> 손가락으로 찍어내기 × ◎ ◎ ◎ ◎ 피부에 펴지기 × ◎ ◎ ◎ ◎
(결과)
글루코만난은 그 자신만의 수용액에서는 겔을 형성하지 않지만, 크산탄검을 병용함으로써 유동성이 없는 겔을 형성한다.
표 8의 결과로부터, 유분을 함유하지 않는 시험예 47은 사용성에서 뒤떨어지는 것으로 되었다. 또 고형유분을 액체유분으로 대체한 시험예 48, IOB가 0인 고형유를 함유하는 시험예 49는 거품안정성에서 뒤떨어지는 것을 알았다. 또 레시틴 또는 카제인을 함유하지 않는 시험예 50, 51은 오버런도가 약간 낮고, 열안정성도 약간 뒤떨어졌다. 따라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에 레시틴 및 카제인을 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B-1 유동성이 없고 융점이 40℃ 이상인 겔을 형성하는 고분자물질의 배합량
표 9의 조성의 휘프트 O/W형 유화화장료를 조제하고, 고분자물질의 배합량의 검토를 행하였다. 평가결과도 아울러 나타냈다.
성분 시험예 52 53 54 55 56 57 58
(수상) 자당모노스테아린산에스테르 1.0 1.0 1.0 1.0 1.0 1.0 1.0 카제인 1.0 1.0 1.0 1.0 1.0 1.0 1.0 한천 0.01 0.1 0.8 2.0 5.0 10.0 15.0 1,3-부틸렌글리콜 5.0 5.0 5.0 5.0 5.0 5.0 5.0 메틸파라벤 0.2 0.2 0.2 0.2 0.2 0.2 0.2 정제수 잔부 잔부 잔부 잔부 잔부 잔부 잔부 헥사메타인산소다 0.05 0.05 0.05 0.05 0.05 0.05 0.05 (유상) 팜경화유 10.0 10.0 10.0 10.0 10.0 10.0 10.0 밀랍 10.0 10.0 10.0 10.0 10.0 10.0 10.0 대두레시틴 0.1 0.1 0.1 0.1 0.1 0.1 0.1
유동성이 없고 융점이 40℃이상인 켈을 형성하는 고분자물질의 수상중의 배합량 0.01 0.13 1.00 2.50 6.26 12.5 18.8
<오버런도> ◎ ◎ ◎ ◎ ◎ ○ ○ <거품안정성> 37℃ 거품입경 △ ○ ◎ ◎ ◎ ◎ ◎ 거품제거 △ ○ ◎ ◎ ◎ ◎ ◎ <사용성> 손가락으로 찍어내기 ◎ ◎ ◎ ◎ ◎ ○ △ 피부에 펴지기 ◎ ◎ ◎ ◎ ◎ ○ △
(결과)
표 9의 결과로부터, 유동성이 없고 융점이 40℃이상인 겔을 형성하는 고분자물질의 배합량이 수상 중 약 0.1질량%보다 적으면, 거품안정성이 뒤떨어지는 것을 알았다. 또한 약 13질량%보다 많으면 거품이 생겨나는 것이 나빠지고, 사용성에서도 뒤떨어지는 것을 알았다. 따라서 유동성이 없고 융점이 40℃이상인 겔을 형성하는 고분자물질의 수상 중의 배합량은 수상 중 약 0.1∼13질량%가 바람직하고, 약 1∼7질량%가 더욱 바람직한 것을 알았다.
B-2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레시틴, 카제인의 배합량
표 10의 조성의 휘프트 O/W형 유화화장료를 조제하고,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레시틴, 카제인의 배합량의 검토를 행하였다.
성분 시험예 59 60 61 62 63 64 65
모노스테아린산글리세릴 0.02 0.06 0.25 1.0 5.0 7.0 9.0 카제인 0.02 0.06 0.25 1.0 5.0 7.0 9.0 글루코만난 1.0 1.0 1.0 1.0 1.0 1.0 1.0 케르트롤 1.0 1.0 1.0 1.0 1.0 1.0 1.0 다이나마이트글리세린 5.0 5.0 5.0 5.0 5.0 5.0 5.0 페녹시에탄올 0.2 0.2 0.2 0.2 0.2 0.2 0.2 정제수 잔부 잔부 잔부 잔부 잔부 잔부 잔부 EDTA 0.05 0.05 0.05 0.05 0.05 0.05 0.05 스테아릴알콜 8.0 8.0 8.0 8.0 8.0 8.0 8.0 스쿠알란 2.0 2.0 2.0 2.0 2.0 2.0 2.0 펜타에리스리톨2-헥사노에이트 8.0 8.0 8.0 8.0 8.0 8.0 8.0 대두레시틴 0.02 0.02 0.02 0.1 0.5 1.0 1.0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레시틴, 카제인의 배합량 0.06 0.14 0.52 2.10 10.5 15.0 19.0
<오버런도> △ ○ ◎ ◎ ◎ ◎ ◎ <거품안정성> 37℃ 거품입경 △ ○ ◎ ◎ ◎ ◎ ◎ 거품제거 △ ○ ◎ ◎ ◎ ◎ ◎ <사용성> 손가락으로 찍어내기 △ ○ ◎ ◎ ◎ ◎ ◎ 피부에 펴지기 △ ○ ◎ ◎ ◎ ○ △
(결과)
표 10의 결과로부터,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레시틴, 카제인의 배합량이 0.1질량%보다 적으면, 충분히 거품이 생기지 않고 오버런도가 저하되고, 거품안정성 및 사용성 면에서 뒤떨어지는 것을 알았다. 또한 15질량%보다 많으면 사용성이 뒤떨어지는 것을 알았다. 따라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레시틴, 카제인의 배합량은 약 0.1∼15질량%가 바람직하고, 약 0.5∼10질량%가 더욱 바람직한 것을 알았다.
B-3 유분의 배합량
표 11의 조성의 휘프트 O/W형 유화화장료를 조제하고, 30℃이하에서 고형의 유분 배합량의 검토를 행하였다.
성분 시험예 66 67 68 69 70 71
자당모노스테아린산에스테르 1.0 1.0 1.0 1.0 1.0 1.0 카제인 1.0 1.0 1.0 1.0 1.0 1.0 제란검 2.0 2.0 2.0 2.0 2.0 2.0 염화칼슘 0.4 0.4 0.4 0.4 0.4 0.4 1,3-부틸렌글리콜 5.0 5.0 5.0 5.0 5.0 5.0 메틸파라벤 0.2 0.2 0.2 0.2 0.2 0.2 정제수 잔부 잔부 잔부 잔부 잔부 잔부 헥사메타인산소다 0.05 0.05 0.05 0.05 0.05 0.05 유동파라핀 20.0 17.0 12.0 8.0 3.0 - 마이크로크리스탄왁스 1.0 1.0 1.0 1.0 1.0 1.0 팜경화유 - 3.0 8.0 12.0 17.0 20.0 대두레시틴 0.1 0.1 0.1 0.1 0.1 0.1 탈크 2.0 2.0 2.0 2.0 2.0 2.0
전체 유분 중의 고형유분의 배합량 0 15 40 60 85 100
<오버런도> ◎ ◎ ◎ ◎ ○ △ <거품안정성> 37℃ 거품입경 × △ ◎ ◎ ◎ ◎ 거품제거 △ △ ◎ ◎ ◎ ◎ <사용성> 손가락으로 찍어내기 ○ ○ ○ ○ ○ ○ 피부에 펴지기 ◎ ◎ ◎ ◎ ○ ○
(결과)
표 11의 결과로부터,전체 유분중의 고형유분의 배합량이 20질량%보다 적지 않으면, 오버런도와 거품안정성이 저하하는 것을 알았다. 따라서 전체 유분 중의 고형유분의 배합량은 20질량%이상이 바람직하고, 40질량% 이상이 더욱 바람직한 것을 알았다.
성분 시험예 72 73 74 75 76 77 78 79
팜경화유 10.0 10.0 10.0 10.0 10.0 - 10.0 - 밀랍 10.0 10.0 10.0 10.0 10.0 - 10.0 - 유동파라핀 - 1.0 1.0 1.0 - 20.0 - - 자당모노스테아린산에스테르 1.0 1.0 2.0 1.0 1.0 1.0 0.01 1.0 글리세린스테아린산에스테르 - - - - - 4.0 - - 폴리옥시에틸렌경화피마자유 - 0.3 - - - - - - 카제인 1.0 1.0 - 1.0 1.0 1.0 0.01 1.0 대두레시틴 0.1 0.1 - 0.1 0.1 0.1 0.01 0.1 한천 2.0 2.0 1.0 2.0 - 2.0 2.0 2.0 제란검 - - 1.0 - - - - - 크산탄검 - 0.1 - - 2.0 - - - 1,3-부틸렌글리콜 5.0 5.0 5.0 5.0 5.0 5.0 5.0 5.0 메틸파라벤 0.2 0.2 0.2 0.2 0.2 0.2 0.2 0.2 정제수 잔부 잔부 잔부 잔부 잔부 잔부 잔부 잔부 헥사메타인산소다 0.05 0.05 0.05 0.05 0.05 0.05 0.05 0.05 폴리에틸렌분말 - - 2.0 - - - - - 구연산나트륨 - - 0.5 - - - - -
<오버런도(%)> 100 100 60 80 100 5 5 140 <거품안정성> 0℃ 거품입경 ◎ ◎ ◎ ◎ ◎ ◎ ◎ ◎ 거품제거 ◎ ◎ ◎ ◎ ◎ ◎ ◎ ◎ 37℃ 거품입경 ◎ ◎ ◎ ◎ × × △ ◎ 거품제거 ◎ ◎ ◎ ◎ × × △ ◎ <사용성> 손가락으로 찍어내기 ◎ ◎ ◎ ◎ ◎ ◎ △ × 피부에 펴지기 ◎ ◎ ◎ ◎ ◎ ◎ △ ×
(결과)
표 12의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휘프트 O/W형 유화화장료는 거품안정성이 양호하여 우수한 사용성을 가지고 있는 것을 알았다.
실시예 6 보습마스크
(1) 정제수 잔부
(2) 페녹시에탄올 0.3
(3) 1, 3-부틸렌글리콜 5.0
(4) 아스코르빈산 0.5
(5) 글루코만난 0.5
(6) 크산탄검 1.0
(7) 자당올레인산에스테르 1.0
(8) 사포닌 0.5
(9) 카제인나트륨 0.5
(10) 비즈왁스 10.0
(11) 바셀린 15.0
(12) 올레핀올리고머 5.0
(13) 대두레시틴 0.1
(14) 폴리글리세린스테아린산에스테르 1.0
(15) 나일론분말 1.0
(16) 향료 적량
(제법)
성분 (1) ∼ (9)을 80℃에서 용해혼합한 수상에 80℃에서 균일하게 용해한 (10) ∼ (14)와 (15) 및 (16)를 가하여 호모믹서에서 균일하게 분산 후, 냉각하고, 실온에서 배치믹서에서 휘프트하여 휘프트 O/W형 유화화장료를 제조한 후, 실온에서 용기에 충전하고 그 상태 그대로 냉각하였다. 얻어진 휘프트 크림은 거품안정성이 양호하여 우수한 사용성을 가지고 있었다.
실시예 7 보습크림
(1) 정제수 잔부
(2) 메틸파라벤 0.2
(3) 디프로필렌글리콜 5.0
(4) 알부친 1.0
(5) 트레할로스 0.5
(6) 헥사메타인산나트륨 0.3
(7) 카제인 0.5
(8) 젖산칼슘 0.1
(9) 자당모노올레인산폴리에스테르 1.0
(10) 카라기난 1.0
(11) 제란검 1.0
(12) 스테아릴알콜 3.0
(13) 베헤닐알콜 4.0
(14) 미리스틴산이소프로필 4.0
(15) 모노스테아린산글리세린 2.0
(16) 정제대두레시틴 0.08
(17) 향료 적량
(제법)
성분 (1) ∼ (9) 을 80℃에서 용해혼합한 수상에 80℃에서 균일하게 용해한 (12) ∼ (17) 을 가하여 호모믹서에서 균일하게 분산 후, 실온까지 냉각한다. 이 O/W상을 약 40℃에서 배치믹서를 사용하여 휘프트한 후, 80℃에서 일부의 (1)에 용해한 (10), (11)을 상기 휘프트 크림에 혼합하고, 약 50℃에서 용기에 충전하고 그 상태 그대로 냉각하였다. 얻어진 휘프트 크림은 거품안정성이 양호하여 우수한 사용성을 가지고 있었다.
실시예 8 마사지 크림
(1) 정제수 잔부
(2) 페녹시에탄올 0.3
(3) 폴리에틸렌글리콜 5.0
(4) 트리메틸글리신 0.5
(5) 모노스테아린산글리세린 1.0
(6) 솔비탄올레이트 1.0
(7) 카제인산나트륨 0.5
(8) 글루코만난 0.5
(9) 크산탄검 0.5
(10) 사포닌산수용액 1.0
(11) 마이크로크리스탄왁스 10.0
(12) 팜경화유 15.0
(13) 마카데미아너트유 5.0
(14) 대두레시틴 0.1
(15) 소수화전분분말 1.0
(16) 향료 적량
(제법)
성분 (1) ∼ (7)을 80℃에서 용해혼합한 수상에 80℃에서 균일하게 용해한 (11) ∼ (16)를 가하여 호모믹서에서 균일하게 분산 후, 일부의 (1)에 용해한 (8) ∼ (10)과 혼합하고, 30 ∼ 40℃에 있어서 배치믹서에서 휘프트하여 휘프트 O/W형 유화화장료를 제조하였다. 조제한 휘프트 크림은 거품안정성이 양호하여 우수한 사용성을 가지고 있었다.
실시예 9 보습크림
(1) 정제수 잔부
(2) 메틸파라벤 0.2
(3) 프로필렌글리콜 7.0
(4) 헥사메타인산나트륨 0.3
(5) 모노스테아린산글리세린(자기유화형) 0.5
(6) POE(60)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1.0
(7) 스테아릴알콜 2.0
(8) 베헤닐알콜 1.5
(9) 알킬실리콘왁스 1.0
(10) 바셀린 5.0
(11) 스쿠알란 8.0
(12) 테트라옥탄산펜타에리스리틸 8.0
(13) 글루코만난 1.0
(14) 케르트롤 1.0
(제법)
성분 (1) ∼ (5) 을 80℃에서 용해혼합한 수상에, 80℃에서 균일하게 용해한 (6) ∼ (12)을 가하여 호모믹서에서 균일하게 분산하였다. 이것을 40℃에서 배치믹서로 휘프트한 후, 일부의 (1)에 용해한 (13), (14)와 혼합하여, 40℃에서 용기에 충전하고, 실온냉각하여 휘프트 O/W형 유화화장료를 제조하였다. 조제한 휘프트 크림은 거품안정성이 양호하여 우수한 사용성을 가지고 있었다.
실시예 10 보습마스크
(1) 정제수 잔부
(2) 메틸파라벤 0.2
(3) 글리세린 7.0
(4) EDTA·3Na 0.3
(5) 모노스테아린산글리세린(자기유화형) 1.0
(6) 이소스테아린산POE글리세릴 2.0
(7) 스테아릴알콜 2.0
(8) 세레신 1.5
(9) 비즈왁스 7.0
(10) 바셀린 5.0
(11) 올레핀올리고머 8.0
(12) 글리세릴트리옥타노에이트 8.0
(13) 수첨대두레시틴 0.1
(14) 한천 1.0
(15) 글루코만난 0.3
(제법)
성분 (1) ∼ (5) 을 80℃에서 용해혼합한 수상에, 80℃에서 균일하게 용해한 (6) ∼ (13)을 가하여 호모믹서에서 균일하게 분산하였다. 이것을 40℃에서 배치믹서로 휘프트한 후, 일부의 (1)에 용해한 (14), (15)와 혼합하여, 40℃에서 용기에 충전하고, 실온냉각하여 휘프트 O/W형 유화화장료를 제조하였다. 조제한 휘프트 크림은 거품안정성이 양호하여 우수한 사용성을 가지고 있었다.

Claims (15)

  1. 한천, 젤라틴, 알긴산나트륨, 카라기난, 제란검(ジェランガム), 글루코만난, 카드란(カ-ドラン) 중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겔형성고분자를 수상(水相) 중에 0.1∼13질량%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휘프트 O/W형 유화화장료.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화장료가 탄소수 12~24의 지방산비누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휘프트 O/W형 유화화장료.
  5. 제4항에 있어서, 탄소수 12~24의 지방산비누의 배합량이 화장료 전체 중 1∼20질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휘프트 O/W형 유화화장료.
  6. 제1항에 있어서, 유분(油分)의 배합량이 화장료 전체 중 1∼30질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휘프트 O/W형 유화화장료.
  7. 제1항에 있어서, 화장료가 양이온형고분자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휘프트 O/W형 유화화장료.
  8. 제7항에 있어서, 양이온형 고분자의 배합량이 화장료 전체 중 0.01∼5질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휘프트 O/W형 유화화장료.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화장료가 상온에서 고체인 고형유분과 유화제로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휘프트 O/W형 유화화장료.
  11. 제10항에 있어서, 고형유분의 배합량이 전체 유분량의 20∼100질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휘프트 O/W형 유화화장료.
  12. 제10항에 있어서, 화장료가 카제인 및/또는 레시틴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휘프트 O/W형 유화화장료.
  13. 제12항에 있어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카제인, 레시틴의 배합량이 화장 료 전체의 0.1∼15질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휘프트 O/W형 유화화장료.
  14. 한천, 젤라틴, 알긴산나트륨, 카라기난, 제란검(ジェランガム), 글루코만난, 카드란(カ-ドラン) 중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겔형성고분자를 함유하는 O/W형 유화물을 거품이 일게하고, 거품이 생긴 상태로 충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휘프트 O/W형 유화화장료의 제조방법.
  15. 한천, 젤라틴, 알긴산나트륨, 카라기난, 제란검(ジェランガム), 글루코만난, 카드란(カ-ドラン)을 함유하지 않는 O/W형 유화물을 거품이 일게 하고, 거품이 생긴 기제에 한천, 젤라틴, 알긴산나트륨, 카라기난, 제란검(ジェランガム), 글루코만난, 카드란(カ-ドラン) 중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겔형성고분자를 혼합하고, 충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휘프트 O/W형 유화화장료의 제조방법.
KR1020027005286A 2000-08-31 2001-08-31 휘프트 오/더블류형 유화화장료 및 그 제조방법 KR10084923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262978 2000-08-31
JPJP-P-2000-00262978 2000-08-31
JPJP-P-2000-00262977 2000-08-31
JP2000262977 2000-08-3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0215A KR20020060215A (ko) 2002-07-16
KR100849239B1 true KR100849239B1 (ko) 2008-07-29

Family

ID=265989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05286A KR100849239B1 (ko) 2000-08-31 2001-08-31 휘프트 오/더블류형 유화화장료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030072779A1 (ko)
EP (1) EP1314416B1 (ko)
KR (1) KR100849239B1 (ko)
DE (1) DE60131091T2 (ko)
WO (1) WO200201786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161171A1 (de) * 2001-12-13 2003-06-18 Beiersdorf Ag Talkumhaltige kosmetische Reinigungsemulsionen
FR2862221B1 (fr) * 2003-11-18 2008-10-10 Oreal Composition cosmetique comprenant de la gomme de gellane ou un derive, un sel monovalent et un compose en suspension, procedes mettant en oeuvre cette composition et utilisations
FR2862222B1 (fr) * 2003-11-18 2008-10-10 Oreal Composition cosmetique comprenant de la gomme de gellane ou un de ses derives, un compose solide et un sel monovalent, procedes mettant en oeuvre cette composition et utilisations
US20050129640A1 (en) * 2003-11-18 2005-06-16 L'oreal Liquid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gellan gum or a derivative thereof, a solid compound, and a monovalent salt, processes for using this composition, and methods of using same
US8246940B2 (en) * 2003-11-18 2012-08-21 L'oreal S.A.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gellan gum or a derivative thereof, a fixing polymer, a monovalent salt and an alcohol, process of using the same
US8399001B2 (en) * 2003-11-18 2013-03-19 L'oreal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at least one gellan gum or derivative thereof, at least one monovalent salt, and at least one suspension compound, processes using this composition, and uses thereof
US7919441B2 (en) * 2003-12-23 2011-04-05 Unilever Home & Personal Care, Division Of Conopco, Inc. Ordered liquid crystalline cleansing composition with suspended air
US8034740B2 (en) * 2004-02-05 2011-10-11 Taiyo Kagaku Co., Ltd. Adsorptivity imparting agent containing porous silica
US8114855B2 (en) 2006-11-22 2012-02-14 L'oreal Low density cosmetic formulations, cosmetic products containing the same and methods of treating hair, nails and/or skin using the same
FR2915896B1 (fr) * 2007-05-10 2011-05-27 Oreal Composition cosmetique foisonnee
FR2915895A1 (fr) * 2007-05-10 2008-11-14 Oreal Composition cosmetique foisonnee
EP2042154A1 (en) * 2007-09-28 2009-04-01 Koninklijke Coöperatie Cosun U.A. Cosmetic mousse
US9125838B2 (en) * 2010-03-12 2015-09-08 L'oréal Whipped composition for the treatment of keratin fibers
US8771778B2 (en) 2010-09-09 2014-07-08 Frito-Lay Trading Company, Gmbh Stabilized foam
DE102018217678A1 (de) 2018-10-16 2020-04-16 Beiersdorf Ag Kosmetischer Schaum, der für Tiegelprodukte geeignet ist und dessen Herstellung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79613A (en) * 1993-10-15 1997-10-21 Solvay Fluor Und Derivate Gmbh Chlorofluoro(hydro)carbon conversion process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436818A (en) * 1945-05-11 1948-03-02 Musher Foundation Inc Cosmetic preparations
US3944680A (en) * 1973-05-08 1976-03-16 Lever Brothers Company Preparation of whippable emulsions
JPS5679613A (en) * 1979-11-30 1981-06-30 Shiseido Co Ltd Whipped cosmetic
US4919846A (en) * 1986-05-27 1990-04-24 Shiseido Company Ltd. Detergent composition containing a quaternary ammonium cationic surfactant and a carboxylate anionic surfactant
JP3063911B2 (ja) * 1990-09-13 2000-07-12 有限会社野々川商事 浴用剤
JP2897629B2 (ja) * 1993-12-27 1999-05-31 不二製油株式会社 低油分クリーム
US5567420A (en) * 1994-11-16 1996-10-22 Mceleney; John Lotion which is temporarily colored upon application
GB9626463D0 (en) * 1996-12-20 1997-02-05 Procter & Gamble Packaged personal cleansing product
TW460293B (en) * 1997-10-28 2001-10-21 Kao Corp External skin-care composition
JP3652549B2 (ja) * 1999-06-14 2005-05-25 株式会社コーセー 化粧料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79613A (en) * 1993-10-15 1997-10-21 Solvay Fluor Und Derivate Gmbh Chlorofluoro(hydro)carbon conversion proces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314416A4 (en) 2006-04-07
US20030072779A1 (en) 2003-04-17
KR20020060215A (ko) 2002-07-16
WO2002017860A1 (fr) 2002-03-07
EP1314416B1 (en) 2007-10-24
DE60131091T2 (de) 2008-08-07
EP1314416A1 (en) 2003-05-28
DE60131091D1 (de) 2007-1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49239B1 (ko) 휘프트 오/더블류형 유화화장료 및 그 제조방법
EP0970741B1 (en) O/w/o type multiphase emulsion
JP5047369B2 (ja) O/w微細エマルション外用剤の製造方法
JP3161869B2 (ja) 油中水型エアゾール組成物およびその製法
KR20100022010A (ko)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과 그 제조 방법
KR102323105B1 (ko) 다공성 다면체 파우더를 포함하는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KR20170018823A (ko)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 및 화장료
JP4046313B2 (ja) 油中水型乳化組成物およびこれを用いた乳化化粧料
KR100732728B1 (ko) 저점도의 에멀젼 화장료 조성물
JPH09165317A (ja) 水中油型乳化組成物
KR20030082994A (ko) W/o/w형 유화 화장료
JP3421018B2 (ja) ホイップドo/w型乳化化粧料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722677B1 (ko) 고내상 유중수형 유화 화장료 조성물
JP3789027B2 (ja) W/o/w型複合エマルジョン
CN111712225B (zh) 稳定高含量的油的水包油型化妆料组合物
JP2002145734A (ja) ホイップドo/w型乳化化粧料及びその製造方法
JP6679224B2 (ja) W/o/w型乳化組成物
JP2023126472A (ja) 水中油型乳化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JPH07267814A (ja) 化粧水型乳化組成物
KR101787507B1 (ko) 저융점 왁스를 함유한 냉장 보관용 화장료 조성물
JP5173258B2 (ja) 粉末化粧料
KR102643173B1 (ko) 고함량의 세라마이드 엔피 분산 조성물을 포함하는 스틱 형상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220087748A (ko) 화장품용 점증제, 이의 제조방법 및 이의 용도
JP3811919B2 (ja) 多層型化粧料
EP4076350A1 (en) Oil-in-water emulsified cosmetic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1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0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