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87748A - 화장품용 점증제, 이의 제조방법 및 이의 용도 - Google Patents

화장품용 점증제, 이의 제조방법 및 이의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87748A
KR20220087748A KR1020200178110A KR20200178110A KR20220087748A KR 20220087748 A KR20220087748 A KR 20220087748A KR 1020200178110 A KR1020200178110 A KR 1020200178110A KR 20200178110 A KR20200178110 A KR 20200178110A KR 20220087748 A KR20220087748 A KR 202200877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rch
cosmetic
linked
acid
hydroxypropyl phosph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81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다혜
권오윤
함충현
김학준
Original Assignee
대상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상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상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781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87748A/ko
Publication of KR202200877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7748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61K8/732Starch; Amylose; Amylopectin;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6Emulsions
    • A61K8/062Oil-in-water 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48Thickener, Thickening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95Involves in-situ formation or cross-linking of polym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예는 하이드록시프로필인산가교 알파화 전분으로 이루어지거나 이를 포함하는 점증제로서, 상기 하이드록시프로필인산가교 알파화 전분은 하이드록시프로필 치환도가 0.10~0.18이고, 건조중량 농도가 4.5 중량%인 전분 현탁액의 점도가 3,000~6,000 센티포이즈(cPs)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용 점증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화장품용 점증제는 용해성이 우수하여 짧은 시간 동안 교반을 하여도 우수한 점성을 얻을 수 있고 냉해동 안정성, 내염성, 내전단성이 우수하다.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화장품용 점증제를 수상 및 유상이 균일하게 분포되어 있는 화장품, 특히 크림 제형의 화장품에 적용하는 경우 화장품에 산뜻하고 가벼운 사용감을 부여할 수 있고, 보관 또는 이동 과정 중에 발생할 수 있는 외부의 열이나 물리적 자극으로부터 화장품의 안정성을 유지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화장품용 점증제, 이의 제조방법 및 이의 용도{Thickening agent for cosmetics,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and use of the same}
본 발명은 화장품용 점증제 등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화장품에 산뜻하고 가벼운 사용감을 부여할 수 있는 화장품용 점증제, 이의 제조방법 및 이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화장품은 점도와 발림성을 개선하기 위한 목적으로 점증제를 포함한다. 화장품에 사용되는 대표적인 점증제로 카보머(Carbomer)가 있다. 카보머는 물을 흡수하고 유지하는 능력이 뛰어나 수용성 점증제로 사용되며, 로션 또는 크림 타입 제품의 제형 안정화제로도 사용되는 성분이다. 그러나, 합성 점증제인 카보머는 고속으로 장시간 교반하거나 pH 조절제를 첨가해야 점성을 발휘되는 번거로움이 있고, 내염성이 부족하여 화장품에 심층 해수를 사용거나 염을 첨가하는데에 제한이 있다. 또한, 카보머는 합성 과정에서 벤젠이 사용될 수 있어서, 이를 천연 점증제로 대체하는 것에 대한 요구가 있다.
카보머를 대체할 수 있는 천연 점증제로 잔탄검 또는 전분계 점증제 등이 있다. 상기 잔탄검은 사용감 및 경제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전분은 이를 가용화시기기 위해 장시간 가열하는 과정이 필요하고, 전분을 화장품에 적용하였을 때 끈적거리는 느낌을 줄 수 있고, 상 분리나 노화 현상 등이 발생하여 장시간의 유통을 어렵게 할 수 있다.
전분계 점증제와 관련하여,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20-0052180호(선행기술 1)에는 프로판 및 부탄 가스의 혼합가스와 수용성 점증제인 하이드록시프로필스타치포스페이트를 포함하는 거품 세정용 화장료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다. 선행기술 1에서는 하이드록시프로필스타치포스페이트를 수용점 점증제로 사용하고 있으나, 화장료 조성물이 거품 세정 용도로 한정되어 있고 하이드록시프로필스타치포스페이트와 관련된 다양한 파라미터에 따른 점증 효과가 개시되어 있지 않으며 하이드록시프로필스타치포스페이트의 거품 안정 효과만이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종래의 기술적 배경하에서 도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화장품에 산뜻하고 가벼운 사용감을 부여할 수 있고 사용이 간편한 신규 화장품용 점증제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신규 화장품용 점증제의 구체적인 용도를 제공하는데에 있다.
상기 목적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예는 하이드록시프로필인산가교 알파화 전분으로 이루어지거나 이를 포함하는 점증제로서, 상기 하이드록시프로필인산가교 알파화 전분은 하이드록시프로필 치환도가 0.10~0.18이고, 건조중량 농도가 4.5 중량%인 전분 현탁액의 점도가 3,000~6,000 센티포이즈(cPs)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용 점증제를 제공한다.
상기 목적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예는 원료전분 현탁액에 팽윤 억제제를 첨가하고 pH를 10.5~12.5로 조절하여 전처리된 전분 현탁액을 수득하는 단계; 전처리된 전분 현탁액에 프로필렌옥사이드를 원료전분 건조중량 대비 7~11 %(w/w)의 양으로 첨가하고 35~55℃에서 15~54 hr 동안 프로필렌옥사이드 치환반응을 진행하는 단계; 프로필렌옥사이드 치환 반응이 진행된 전분 현탁액에 인산계 가교제를 원료전분 건조중량 대비 0.07~0.15 %(w/w)의 양으로 첨가하고 35~55℃에서 0.5~6 hr 동안 가교반응을 진행하는 단계; 상기 가교반응이 진행된 전분 현탁액을 중화하여 가교반응을 종결하고 여과, 수세 및 건조하여 하이드록시프로필인산가교전분을 수득하는 단계; 및 상기 하이드록시프로필인산가교전분을 알파화하여 하이드록시프로필인산가교 알파화 전분을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화장품용 점증제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목적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예는 수상 및 유상이 균일하게 분포되어 있는 화장품으로서, 상기 수상은 점증제로 전술한 하이드록시프로필인산가교 알파화 전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화장품용 점증제는 용해성이 우수하여 짧은 시간 동안 교반을 하여도 우수한 점성을 얻을 수 있고 냉해동 안정성, 내염성, 내전단성이 우수하다.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화장품용 점증제를 수상 및 유상이 균일하게 분포되어 있는 화장품, 특히 크림 제형의 화장품에 적용하는 경우 화장품에 산뜻하고 가벼운 사용감을 부여할 수 있고, 보관 또는 이동 과정 중에 발생할 수 있는 외부의 열이나 물리적 자극으로부터 화장품의 안정성을 유지시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용어 "알파화 전분"은 비변성 전분 또는 변성 전분을 압출기, 드럼건조기, 분무건조기 또는 다른 열처리 등으로 미리 호화시켜 놓은 전분을 말한다. 상기 비변성 전분은 옥수수전분, 찰옥수수전분, 감자전분, 고구마전분, 밀전분, 쌀전분, 타피오카전분, 사고전분(sago starch), 소검전분(sorghum starch), 고아밀로오스전분(예를 들어 아밀로오스 함량이 적어도 40 중량% 이상인 전분) 등에서 선택될 수 있다. 상기 변성 전분은 옥수수전분, 찰옥수수전분, 감자전분, 고구마전분, 밀전분, 쌀전분, 타피오카전분, 사고전분(sago starch), 소검전분(sorghum starch), 고아밀로오스전분(예를 들어 아밀로오스 함량이 적어도 40 중량% 이상인 전분) 등에서 선택되는 비변성 전분을 에스테르화 반응, 에테르화 반응, 가교결합 반응, 에스테르화 반응 및 가교결합 반응 또는 에테르화 반응 및 가교결합 반응시켜 그 구조 및 물리화학적 특성을 변화시킨 전분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화장품용 점증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화장품용 점증제는 하이드록시프로필인산가교 알파화 전분으로 이루어지거나 이를 포함한다. 상기 하이드록시프로필인산가교 알파화 전분은 하이드록시프로필인산가교전분을 압출기, 드럼건조기, 분무 건조기 또는 다른 열처리 등을 통해 미리 호화시켜 놓은 전분이다. 또한, 상기 하이드록시프로필인산가교전분은 하이드록시프로필전분에 인산계 가교제를 처리하여 가교결합시킨 전분이다. 상기 하이드록시프로필인산가교전분의 구체적인 예로는 하이드록시프로필인산이전분((Hydroxypropyl Distarch Phosphate) 등이 있다. 본 발명에서 하이드록시프로필인산가교 알파화 전분을 위해 사용되는 원료전분은 그 종류가 크게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옥수수전분, 찰옥수수전분, 감자전분, 고구마전분, 밀전분, 쌀전분, 타피오카전분, 사고전분(sago starch), 소검전분(sorghum starch), 고아밀로오스전분(예를 들어 아밀로오스 함량이 적어도 40 중량% 이상인 전분) 등과 같은 천연전분(비변성전분)에서 선택될 수 있고, 하이드록시프로필인산가교 알파화 전분의 증점 효과 내지 상 안정성 효과를 고려할 때 바람직하게는 아밀로펙틴 함량이 높은 찰옥수수전분, 감자전분, 고구마전분, 타피오카전분, 사고전분(sago starch), 소검전분(sorghum starch)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하이드록시프로필인산가교 알파화 전분은 더 바람직하게는 알파화 하이드록시프로필인산가교 찰옥수수전분이다. 본 발명에서 화장품용 점증제로 사용되는 하이드록시프로필인산가교 알파화 전분은 하이드록시프로필 치환도가 0.10~0.18이고, 바람직하게는 0.12~0.17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화장품용 점증제로 사용되는 하이드록시프로필인산가교 알파화 전분은 건조중량 농도가 4.5 중량%인 전분 현탁액의 점도가 상온(약 18~25℃)에서 3,000~6,000 센티포이즈(cPs)이고, 바람직하게는 3,200~5,000 센티포이즈(cPs)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화장품용 점증제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화장품용 점증제의 제조방법은 (a) 원료전분 현탁액에 팽윤 억제제를 첨가하고 pH를 10.5~12.5로 조절하여 전처리된 전분 현탁액을 수득하는 단계; (b) 전처리된 전분 현탁액에 프로필렌옥사이드를 원료전분 건조중량 대비 7~11 %(w/w)의 양으로 첨가하고 35~55℃에서 15~54 hr 동안 프로필렌옥사이드 치환반응을 진행하는 단계; (c) 프로필렌옥사이드 치환 반응이 진행된 전분 현탁액에 인산계 가교제를 원료전분 건조중량 대비 0.07~0.15 %(w/w)의 양으로 첨가하고 35~55℃에서 0.5~6 hr 동안 가교반응을 진행하는 단계; (d) 상기 가교반응이 진행된 전분 현탁액을 중화하여 가교반응을 종결하고 여과, 수세 및 건조하여 하이드록시프로필인산가교전분을 수득하는 단계; 및 (e) 상기 하이드록시프로필인산가교전분을 알파화하여 하이드록시프로필인산가교 알파화 전분을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a) 단계에서 원료전분은 그 종류가 크게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옥수수전분, 찰옥수수전분, 감자전분, 고구마전분, 밀전분, 쌀전분, 타피오카전분, 사고전분(sago starch), 소검전분(sorghum starch), 고아밀로오스전분(예를 들어 아밀로오스 함량이 적어도 40 중량% 이상인 전분) 등과 같은 천연전분(비변성전분)에서 선택될 수 있고, 하이드록시프로필인산가교 알파화 전분의 증점 효과 내지 상 안정성 효과를 고려할 때 바람직하게는 아밀로펙틴 함량이 높은 찰옥수수전분, 감자전분, 고구마전분, 타피오카전분, 사고전분(sago starch), 소검전분(sorghum starch)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a) 단계에서 원료전분 현탁액의 원료전분 농도는 원료전분 건조 중량을 기준으로 30~50 중량%일 수 있고 교반의 용이성, 균일한 반응의 담보, 경제성 등을 고려할 때 35~45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a) 단계에서 첨가되는 팽윤 억제제는 전분의 팽윤을 억제하는 공지의 다양한 물질 등에서 선택될 수 있고, 예를 들어 황산염, 특히 황산나트륨이다. 또한, 상기 (a) 단계에서 원료전분 현탁액의 pH는 원료 전분의 팽윤 억제 및 반응 효율 등을 고려할 때 11~12인 것이 바람직하다. 원료전분 현탁액의 pH는 공지의 다양한 알칼리 용액을 사용하여 조절될 수 있고, 예를 들어 1~10 중량% 농도의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을 사용하여 조절될 수 있다.
상기 (b) 단계에서 프로필렌옥사이드의 첨가량은 하이드록시프로필 치환도를 고려할 때 원료전분 건조중량 대비 8~10 %(w/w)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b) 단계에서 프로필렌옥사이드 치환반응은 하이드록시프로필 치환도 및 경제성 등을 고려할 때 40~50℃의 온도 조건에서 18~48 hr 동안 진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c) 단계에서 인산계 가교제는 전분을 가교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공지의 가교제에서 선택될 수 있고, 예를 들어 포스포릴클로라이드(POCl3), 소듐트리메타포스페이트(Sodium trimetaphosphate) 또는 소듐헥사메타포스페이트(Sodium hexametaphosphate) 등에서 선택될 수 있고, 안전성 등을 고려할 때 소듐트리메타포스페이트(Sodium trimetaphosphate) 또는 소듐헥사메타포스페이트(Sodium hexametaphosphate)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c) 단계에서 인산계 가교제의 첨가량은 하이드록시프로필인산가교 알파화 전분의 점도 발현 등과 같은 물성을 고려할 때 원료전분 건조중량 대비 0.08~0.14 %(w/w)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c) 단계에서 가교반응은 반응 효율 및 경제성 등을 고려할 때 40~50℃의 온도 조건에서 1~5 hr 동안 진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d) 단계에서 가교반응이 진행된 전분 현탁액은 약 4.0~7.0의 pH로 중화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약 4.5~5.5의 pH로 중화될 수 있다.
상기 (e) 단계에서 하이드록시프로필인산가교전분의 알파화는 압출기, 드럼건조기, 분무건조기 또는 다른 열처리 등과 같은 공지의 다양한 알파화 설비나 방법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스팀 압력이 2∼10 ㎏f/㎠/이고 드럼 회전 속도가 2~10 rpm인 드럼건조기에서 진행되고, 더 바람직하게는 스팀 압력이 3∼9 ㎏f/㎠/이고 드럼 회전 속도가 3.0~5.4 rpm인 드럼건조기에서 진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e) 단계에서 하이드록시프로필인산가교전분의 알파화는 하이드록시프로필인산가교전분 현탁액을 드럼건조기 표면에 직접 도포하여 알파화 및 필름 형태로 건조하는 방식 또는 드럼건조기에 구비된 제트쿠커에서 전분 현탁액을 호화한 후 전분 호화액을 드럼건조기 표면에 필름 형태로 도포하고 건조하는 방식 등과 같이 다양한 방식으로 진행될 수 있다. 상기 (e) 단계에서 하이드록시프로필인산가교전분의 알파화를 드럼건조기를 통해 진행하는 경우 드럼건조기에 공급되는 하이드록시프로필인산가교전분 현탁액의 전분 농도는 전분 건조중량을 기준으로 20~45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25~40 중량%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화장품용 점증제로 사용되는 하이드록시프로필인산가교 알파화 전분의 구체적인 용도이다. 본 발명에서 전술한 하이드록시프로필인산가교 알파화 전분은 수용성이고 소정의 점도를 발현하며 내전단성, 냉해동 안정성, 내염성 등의 우수하기 때문에 화장품의 수상을 구성하는 점증제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화장품은 다양한 형태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화장수, 스킨로션, 스킨소프너, 스킨토너, 아스트린젠트, 로션, 밀크로션, 영양로션, 맛사지크림, 영양크림, 핸드크림, 파운데이션, 메이크업베이스, 트윈케익, 마스카라, 에센스, 영양에센스, 팩, 젤, 패치, 스프레이, 비누, 샴푸, 린스, 클렌징폼, 클렌징로션, 클렌징크림, 바디로션, 바디클리너, 수중유적형(O/W) 파우더, 유중수적형(W/O) 파우더 및 실리콘중수적형(W/Si) 파우더 중에서 선택되는 형태로 제형화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들 각 제형의 조성물은 그 제형의 제제화에 필요하고 적절한 각종의 기제와 첨가물을 함유할 수 있으며, 이들 성분의 종류와 양은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화장품은 바람직하게는 수상 및 유상이 균일하게 분포되어 있는 화장품으로서, 상기 수상은 점증제로 전술한 하이드록시프로필인산가교 알파화 전분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예에 다른 화장품은 수중유적, 유중 수적 등의 유화 제형을 가지며, 바람직하게는 연속상인 수상에 불연속상인 유상이 균일하게 분포되어 있는 수중유적형(oil-in-water) 화장품이다.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화장품은 구체적으로 에센스, 로션, 크림 등이 있고, 바람직하게는 로션, 크림, 더 바람직하게는 크림 제형을 가진다. 본 발명의 일 예에 다른 화장품에서 하이드록시프로필인산가교 알파화 전분의 함량은 적정 수준의 점도 발현, 화장품의 상 안정성, 화장품의 사용감 등을 고려할 때 바람직하게는 화장품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0.5~10 중량%이고 더 바람직하게는 화장품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1~8 중량%이다.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화장품은 수상 매질 및 전술한 하이드록시프로필인산가교전분을 포함하고, 그 외에 화장품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다른 성분, 예컨대 액체 유지, 고체 유지, 납, 탄화수소, 고급 지방산, 고급 알코올, 에스테르, 실리콘, 음이온 계면활성제, 양이온 계면 활성제, 양성 계면 활성제, 비이온 계면 활성제, 보습제, 수용성 고분자, 점증제, 저급 알코올, 다가 알코올, 당, 아미노산, 유기 아민, 고분자 에멀전, pH 조정제, 피부 영양제, 비타민, 산화 방지제, 산화 방지 조제, 향료 등을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화장품에서 수상은 수상 매질 및 전술한 하이드록시프로필인산가교전분을 포함하고 저급 알코올, 다가 알코올, 보습제, 수용성 점증제, pH 조절제 등을 선택적으로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화장품에서 유상은 유지를 포함하고 선택적으로 유화안정제, 계면활성제, 피부 영양제 등을 선택적으로 더 포함할 수 있다.
수상 매질은 수상 성분을 용해시킬 수 있는 것이라면 그 종류가 크게 제한되지 않으며, 통상적으로 물 단독 또는 물과 친수성 물질의 혼합 용매로 이루어진다.
액체 유지로는 예컨대 아보카도유, 동백유, 터틀유, 마카다미아너트유, 옥수수유, 밍크유, 올리브유, 유채씨유, 난황유, 참깨유, 퍼식유, 밀배아유, 애기동백유, 피마자유, 아마씨유, 홍화유, 면실유, 들깨유, 대두유, 낙화생유, 차실유, 비자나무유, 왕겨유, 오동나무유, 일본 오동나무유, 호호바유, 배아유, 트리글리세린 등을 들 수 있다.
고체 유지로는, 예컨대 카카오 지방, 야자유, 경화 야자유, 팜유, 팜핵유, 목랍핵유, 경화유, 목랍, 경화 피마자유 등을 들 수 있다.
납으로는, 예컨대 밀랍, 칸델릴라 왁스, 면납, 카나우바 왁스, 베이베리 왁스, 백랍, 경랍, 몬탄 왁스, 쌀겨 왁스, 라놀린, 케이폭 왁스, 아세트산 라놀린, 액상 라놀린, 사탕수수 왁스, 라놀린 지방산 이소프로필, 라우르산 헥실, 환원 라놀린, 호호바 왁스, 경질 라놀린, 셀락 왁스, POE 라놀린 알코올 에테르, POE 라놀린 알코올 아세테이트, POE 콜레스테롤에테르, 라놀린 지방산 폴리에틸렌글리콜, POE 수소 첨가 라놀린알코올에테르 등을 들 수 있다.
탄화 수소유로는 예컨대 유동 파라핀, 오조케라이트, 스쿠알란, 프리스탄, 파라핀, 세레신, 스쿠알렌, 바셀린, 마이크로 크리스탈린 왁스 등을 들 수 있다.
고급 지방산으로는, 예컨대 라우르산, 미리스트산, 팔미트산, 스테아르산, 베헨산, 올레산, 운데세노산, 톨유 지방산, 이소스테아르산, 리놀산, 리놀렌산, 에이코사펜타엔산(EPA), 도코사헥사엔산(DHA) 등을 들 수 있다.
고급 알코올로는 예컨대 직쇄 알코올(예컨대 라우릴알코올, 세틸알코올, 스테아릴알코올, 베헤닐알코올, 미리스틸알코올, 올레일알코올, 세토스테아릴알코올 등); 분지쇄 알코올(예컨대 모노스테아릴글리세린에테르(바틸알코올), 2-데실테트라데시놀, 라놀린알코올, 콜레스테롤, 피토스테롤, 헥실도데칸올, 이소스테아릴알코올, 옥틸도데칸올 등) 등을 들 수 있다.
에스테르로는 예컨대 미리스트산 이소프로필, 옥타노산 세틸, 미리스트산 옥틸도데실, 팔미트산 이소프로필, 스테아르산 부틸, 라우르산 헥실, 미리스트산 미리스틸, 올레산 데실, 디메틸 옥타노산 헥실데실, 락트산 세틸, 락트산 미리스틸, 아세트산 라놀린, 스테아르산 이소세틸, 이소스테아르산 이소세틸, 12-히드록시스테아르산 콜레스테릴, 디-2-에틸헥사노산 에틸렌글리콜, 디펜타에리스리톨 지방산 에스테르, 모노이소스테아르산 N-알킬글리콜, 디카프르산 네오펜틸글리콜, 말산 디이소스테아릴, 디-2-헵틸운데카노산 글리세린, 트리-2-에틸헥사노산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이소스테아르산 트리메틸올프로판, 테트라-2-에틸헥사노산 펜타에리스리톨, 트리-2-에틸 헥사노산 글리세린, 트리옥타노산 글리세린, 트리이소팔미트산 글리세린, 트리이소스테아르산 트리메틸올프로판, 세틸 2-에틸헥사노에이트, 2-에틸헥실팔미테이트, 트리미리스트산 글리세린, 트리-2-헵틸운데카노산 글리세라이드, 피마자유 지방산 메틸에스테르, 올레산 올레일, 아세토글리세라이드, 팔미트산 2-헵틸운데실, 아디프산 디이소부틸, N-라우로일-L-글루탐산-2-옥틸도데실에스테르, 아디프산 디-2-헵틸운데실, 에틸 라우레이트, 세박산 디 2-에틸헥실, 미리스트산 2-헥실데실, 팔미트산 2-헥실데실, 아디프산 2-헥실데실, 세박산 디이소프로필, 숙신산 2-에틸헥실, 시트르산 트리에틸 등을 들 수 있다.
실리콘유로는 예컨대 쇄형 폴리실록산(예컨대 디메틸폴리실록산, 메틸페닐폴리실록산, 디페닐폴리실록산 등); 환형 폴리실록산(예컨대 옥타메틸시클로테트라실록산, 데카메틸시클로펜타실록산, 도데카메틸시클로헥사실록산 등), 3차원 메시 구조를 형성하고 있는 실리콘 수지, 실리콘 고무, 각종 변성 폴리실록산(아미노 변성 폴리실록산, 폴리에테르 변성 폴리실록산, 알킬 변성 폴리실록산, 불소 변성 폴리실록산 등) 등을 들 수 있다.
음이온 계면 활성제로는, 예컨대 지방산 비누(예컨대 라우르산 나트륨, 팔미트산 나트륨 등); 고급 알킬 황산 에스테르염(예컨대 라우릴 황산 나트륨, 라우릴 황산 칼륨 등); 알킬에테르 황산 에스테르염(예컨대 POE-라우릴 황산 트리에탄올아민, POE-라우릴 황산 나트륨 등); N-아실사르코신산(예컨대 라우로일사르코신나트륨 등); 고급 지방산 아미드 술폰산염(예컨대 N-미리스토일-N-메틸타우린나트륨, 야자유 지방산 메틸타우린나트륨, 라우릴 메틸타우린나트륨 등); 인산 에스테르염(POE-올레일에테르 인산 나트륨, POE-스테아릴에테르 인산 등); 술포숙신산염(예컨대 디-2-에틸헥실술포숙신산 나트륨, 모노라우로일모노에탄올아미드폴리옥시에틸렌술포숙신산 나트륨, 라우릴폴리프로필렌글리콜술포숙신산 나트륨 등); 알킬벤젠 술폰산염(예컨대 리니어도데실벤젠술폰산 나트륨, 리니어도데실벤젠술폰산 트리에탄올아민, 리니어도데실벤젠술폰산 등); 고급 지방산 에스테르 황산 에스테르염(예컨대 경화 야자유 지방산 글리세린 황산 나트륨 등); N-아실글루탐산염(예컨대 N-라우로일글루탐산 모노 나트륨, N-스테아로일글루탐산 디나트륨, N-미리스토일-L-글루탐산 모노나트륨 등); 황산화유(예컨대 로트유 등); POE-알킬에테르카르복실산; POE-알킬알릴에테르카르복실산염; α-올레핀술폰산염; 고급 지방산 에스테르 술폰산염; 2차 알코올 황산 에스테르염; 고급 지방산 알킬올아미드 황산 에스테르염; 라우로일모노에탄올아미드 숙신산 나트륨; N-팔미토일아스파르트산 디트리에탄올아민; 카제인나트륨 등을 들 수 있다.
양이온 계면 활성제로는, 예컨대 알킬트리메틸암모늄염(예컨대 염화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 염화라우릴트리메틸암모늄 등); 알킬피리디늄염(예컨대 염화세틸피리디늄 등); 염화디스테아릴디메틸암모늄디알킬디메틸암모늄염; 염화폴리(N,N'-디메틸-3,5-메틸렌피페리디늄); 알킬 4차 암모늄염; 알킬디메틸벤질암모늄염; 알킬이소퀴놀리늄염; 디알킬모르폴리늄염; POE-알킬아민; 알킬아민염; 폴리아민 지방산 유도체; 아밀알코올 지방산 유도체; 염화 벤잘코늄; 염화 벤제토늄 등을 들 수 있다.
양성 계면 활성제로는, 예컨대 이미다졸린계 양성 계면 활성제(예컨대 2-운데실-N,N,N-(히드록시에틸카르복시메틸)-2-이미다졸린나트륨, 2-코코일-2-이미다졸륨히드록사이드-1-카르복시에틸옥시2나트륨염 등); 베타인계 계면 활성제(예컨대 2-헵타데실-N-카르복시메틸-N-히드록시에틸이미다졸륨베타인, 라우릴디메틸아미노아세트산 베타인, 알킬베타인, 아미드베타인, 술포베타인 등) 등을 들 수 있다.
친수성 비이온 계면 활성제로는, 모노라우르산 헥사글리세릴(HLB14.5), 모노미리스트산 헥사글리세릴(HLB11), 모노스테아르산 헥사글리세릴(HLB9.0), 모노올레산헥사글리세릴(HLB9.0), 모노라우르산 데카글리세릴(HLB15.5), 모노미리스트산 데카글리세릴(HLB14.0), 모노스테아르산 데카글리세릴(HLB12.0), 모노이소스테아르산 데카글리세릴(HLB12.0), 모노올레산 데카글리세릴(HLB12.0), 디스테아르산 데카글리세릴(HLB9.5), 디이소스테아르산 데카글리세릴(HLB10.0) 등의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류. 모노스테아르산 폴리옥시에틸렌(이하, POE라고 약칭함)(5)글리세릴(HLB9.5), 모노스테아르산 POE(15)글리세릴(HLB13.5), 모노올레산 POE(5)글리세릴(HLB9.5), 모노올레산 POE(15)글리세릴(HLB14.5) 등의 폴리옥시에틸렌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류, 모노야자유 지방산 POE(20)소르비탄(HLB16.9), 모노팔미트산 POE(20)소르비탄(HLB15.6), 모노스테아르산 POE(20)소르비탄(HLB14.9), 모노스테아르산 POE(6)소르비탄(HLB9.5), 트리스테아르산 POE(20)소르비탄(HLB10.5), 모노이소스테아르산 POE(20)소르비탄(HLB15.0), 모노올레산 POE(20)소르비탄(HLB15.0), 모노올레산 POE(6)소르비탄(HLB10.0), 트리올레산 POE(20)소르비탄(HLB11.0) 등의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류, 모노라우르산 POE(6)소르비트(HLB15.5), 테트라스테아르산 POE(60)소르비트(HLB13.0), 테트라올레산 POE(30)소르비트(HLB11.5), 테트라올레산 POE(40)소르비트(HLB12.5), 테트라올레산 POE(60)소르비트(HLB14.0) 등의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트 지방산 에스테르류, POE(10)라놀린(HLB12.0), POE(20)라놀린(HLB13.0), POE(30)라놀린(HLB15.0), POE(5)라놀린알코올(HLB12.5), POE(10)라놀린알코올(HLB15.5), POE(20)라놀린알코올(HLB16.0), POE(40)라놀린알코올(HLB17.0), POE(20)소르비트 밀랍(HLB9.5) 등의 폴리옥시에틸렌라놀린·라놀린알코올·밀랍 유도체류, POE(20)피마자유(HLB10.5), POE(40)피마자유(HLB12.5), POE(50)피마자유(HLB14.0), POE(60)피마자유(HLB14.0), POE(20)경화 피마자유(HLB10.5), POE(30)경화 피마자유(HLB11.0), POE(40)경화 피마자유(HLB13.5), POE(60)경화 피마자유(HLB14.0), POE(80)경화 피마자유(HLB16.5), POE(40)경화 피마자유(100)경화 피마자유(HLB16.5) 등의 폴리옥시에틸렌 피마자유·경화 피마자유류, POE(5)피토스테롤(HLB9.5), POE(10)피토스테롤(HLB12.5), POE(20)피토스테롤(HLB15.5), POE(30)피토스테롤(HLB18.0), POE(25)피토스테롤(HLB14.5), POE(30)콜레스탄올(HLB17.0) 등의 폴리옥시에틸렌스테롤·수소 첨가 스테롤류, POE(2)라우릴에테르(HLB9.5), POE(4.2)라우릴에테르(HLB11.5), POE(9)라우릴에테르(HLB14.5), POE(5.5)세틸에테르(HLB10.5), POE(7)세틸에테르(HLB11.5), POE(10)세틸에테르(HLB13.5), POE(15)세틸에테르(HLB15.5), POE(20)세틸에테르(HLB17.0), POE(23)세틸에테르(HLB18.0), POE(4)스테아릴에테르(HLB9.0), POE(20)스테아릴에테르(HLB18.0), POE(7)올레일에테르(HLB10.5), POE(10)올레일에테르(HLB14.5), POE(15)올레일에테르(HLB16.0), POE(20)올레일에테르(HLB17.0), POE(50)올레일에테르(HLB18.0), POE(10)베헤닐에테르(HLB10.0), POE(20)베헤닐에테르(HLB16.5), POE(30)베헤닐에테르(HLB18.0), POE(2)(C12-15)알킬에테르(HLB9.0), POE(4)(C12-15)알킬에테르(HLB10.5), POE(10)(C12-15)알킬에테르(HLB15.5), POE(5)2차 알킬에테르(HLB10.5), POE(7)2차 알킬에테르(HLB12.0), POE(9)알킬에테르(HLB13.5), POE(12)알킬에테르(HLB14.5) 등의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류, 폴리옥시에틸렌(이하, POE라고 약칭함)(1)폴리옥시프로필렌(이하, POP라고 약칭함)(4)세틸에테르(HLB9.5), POE(10)POP(4)세틸에테르(HLB10.5), POE(20)POP(8)세틸에테르(HLB12.5), POE(20)POP(6)데실테트라데실에테르(HLB11.0), POE(30)POP(6)데실테트라데실에테르(HLB12.0) 등의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알킬에테르류, 모노라우르산 폴리에틸렌글리콜(이하, PEG라고 약칭함)(10)(HLB12.5), 모노스테아르산 PEG(10)(HLB11.0), 모노스테아르산 PEG(25)(HLB15.0), 모노스테아르산 PEG(40)(HLB17.5), 모노스테아르산 PEG(45)(HLB18.0), 모노스테아르산 PEG(55)(HLB18.0), 모노올레산 PEG(10)(HLB11.0), 디스테아르산 PEG(HLB16.5), 디이소스테아르산PEG(HLB9.5) 등의 폴리에틸렌글리콜 지방산 에스테르류, 이소스테아르산 PEG(8)글리세릴(HLB10.0), 이소스테아르산 PEG(10)글리세릴(HLB10.0), 이소스테아르산 PEG(15)글리세릴(HLB12.0), 이소스테아르산 PEG(20)글리세릴(HLB13.0), 이소스테아르산 PEG(25)글리세릴(HLB14.0), 이소스테아르산 PEG글리세릴(30)(HLB15.0), 이소스테아르산 PEG(40)글리세릴(HLB15.0), 이소스테아르산 PEG(50)글리세릴(HLB16.0), 이소스테아르산 PEG(60)글리세릴(HLB16.0) 등의 이소스테아르산폴리옥시에틸렌글리세릴류 등을 들 수 있다.
친유성 계면 활성제로는, POE(2)스테아릴에테르(HLB4.0), 자기 유화형 모노스테아르산 프로필렌글리콜(HLB4.0), 미리스트산 글리세릴(HLB3.5), 모노스테아르산 글리세릴(HLB4.0), 자기 유화형 모노스테아르산 글리세릴(HLB4.0), 모노이소스테아르산 글리세릴(HLB4.0), 모노올레산 글리세릴(HLB2.5), 트리스테아르산 헥사글리세릴(HLB2.5), 펜타스테아르산 데카글리세릴(HLB3.5), 펜타이소스테아르산 데카글리세릴(HLB3.5), 펜타올레산 데카글리세릴(HLB3.5), 모노스테아린소르비탄(HLB4.7), 트리스테아르산 소르비탄(HLB2.1), 모노이소스테아르산 소르비탄(HLB5.0), 세스퀴이소스테아르산 소르비탄(HLB4.5), 모노올레산 소르비탄(HLB4.3), 헥사스테아르산 POE(6)소르비트(HLB3.0), POE(3)피마자유(HLB3.0), 모노스테아르산 PEG(2)(HLB4.0), 모노스테아르산 에틸렌글리콜(HLB3.5), 스테아르산 PEG(2)(HLB4.5) 등을 들 수 있다.
보습제로는, 예컨대 폴리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글리세린, 1,3-부틸렌글리콜, 자일리톨, 소르비톨, 말티톨, 콘드로이틴 황산, 히알루론산, 무코이틴 황산, 카론산, 아테로콜라겐, 콜레스테릴-12-히드록시스테아레이트, 락트산 나트륨, 담즙산염, dl-피롤리돈카르복실산염, 단쇄 가용성 콜라겐, 디글리세린(EO)PO 부가물, 자리(Rosa roxburghii) 추출물, 서양톱풀 추출물, 메리로드 추출물 등을 들 수 있다.
천연의 수용성 고분자로는 예컨대 식물계 고분자(예컨대 아라비아 검, 트래거캔스 검, 갈락탄, 구아검, 카로브검, 카라야 검, 카라기난, 펙틴, 한천, 퀸스시드(마멜로), 알게콜로이드(갈조 진액), 전분(쌀, 옥수수, 감자, 밀), 글리실리진산); 미생물계 고분자(예컨대 크산탄 검, 덱스트란, 석시노글루칸, 풀룰란(pullulan) 등); 동물계 고분자(예컨대, 콜라겐, 카제인, 알부민, 젤라틴 등) 등을 들 수 있다.
반합성된 수용성 고분자로는 예컨대 전분계 고분자(예컨대, 카르복시메틸 전분, 메틸히드록시프로필 전분 등); 셀룰로오스계 고분자(메틸셀룰로오스, 에틸셀룰로오스, 메틸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셀룰로오스 황산 나트륨,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나트륨, 결정 셀룰로오스, 셀룰로오스 분말 등); 알긴산계 고분자(예컨대 알긴산 나트륨, 알긴산 프로필렌글리콜에스테르 등) 등을 들 수 있다.
합성된 수용성 고분자로는, 예컨대 비닐계 고분자(예컨대 폴리비닐알코올, 폴리비닐메틸에테르, 폴리비닐피롤리돈, 카르복시비닐폴리머 등); 폴리옥시에틸렌계 고분자(예컨대 폴리에틸렌글리콜 20,000, 40,000, 60,000의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 공중합체 등); 아크릴계 고분자(예컨대 폴리아크릴산 나트륨, 폴리에틸아크릴레이트, 폴리아크릴아미드 등); 폴리에틸렌이민; 양이온 폴리머 등을 들 수 있다.
점증제로는 예컨대 아라비아 검, 카라기난, 카라야 검, 트래거캔스 검, 카로브 검, 퀸스시드(마멜로), 덱스트린, 젤라틴, 펙틴산 나트륨, 아라긴산 나트륨, 메틸셀룰로오스, 에틸셀룰로오스, CMC,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PVA, PVM, PVP, 폴리아크릴산 나트륨, 카르복시비닐 폴리머, 로커스트콩 검(Locust Bean Gum), 구아 검, 타마린트 검, 디알킬디메틸암모늄 황산 셀룰로오스, 잔탄 검, 규산 알루미늄마그네슘, 벤트나이트, 헥토라이트, 규산 AlMg(비검), 라포나이트, 무수 규산 등을 들 수 있다.
저급 알코올로는 예컨대 에탄올, 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이소부틸알코올, t-부틸알코올 등을 들 수 있다.
다가 알코올로는, 예컨대 2가의 알코올(예컨대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트리메틸렌글리콜, 1,2-부틸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테트라메틸렌글리콜, 2,3-부틸렌글리콜, 펜타메틸렌글리콜, 2-부틸렌-1,4-디올, 헥실렌글리콜, 옥틸렌글리콜 등); 3가의 알코올(예컨대 글리세린, 트리메틸올프로판 등); 4가 알코올(예컨대 1,2,6-헥산트리올 등의 펜타에리스리톨 등); 5가 알코올(예컨대 자일리톨 등); 6가 알코올(예컨대 소르비톨, 만니톨 등); 다가 알코올 중합체(예컨대 디에틸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트리에틸렌글리콜, 폴리프로필렌글리콜, 테트라에틸렌글리콜, 디글리세린, 폴리에틸렌글리콜, 트리글리세롤, 테트라글리세린, 폴리글리세린 등); 2가의 알코올알킬에테르류(예컨대 에틸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에틸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 에틸렌글리콜모노부틸에테르, 에틸렌글리콜모노페닐에테르, 에틸렌글리콜모노헥실에테르, 에틸렌글리콜모노 2-메틸헥실에테르, 에틸렌글리콜이소아밀에테르, 에틸렌글리콜벤질에테르, 에틸렌글리콜이소프로필에테르, 에틸렌글리콜디메틸에테르, 에틸렌글리콜디에틸에테르, 에틸렌글리콜디부틸에테르 등); 2가 알코올알킬에테르류(예컨대 디에틸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모노부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디메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디에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부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메틸에틸에테르, 트리에틸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트리에틸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모노부틸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이소프로필에테르, 디프로필렌글리콜메틸에테르, 디프로필렌글리콜에틸에테르, 디프로필렌글리콜부틸에테르 등); 2가 알코올에테르에스테르(예컨대 에틸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에틸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아세테이트, 에틸렌글리콜모노부틸에테르아세테이트, 에틸렌글리콜모노페닐에테르아세테이트, 에틸렌글리콜디아디페이트, 에틸렌글리콜디석시네이트, 디에틸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아세테이트, 디에틸렌글리콜모노부틸에테르아세테이트,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프로필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아세테이트, 프로필렌글리콜모노프로필에테르아세테이트, 프로필렌글리콜모노페닐에테르아세테이트 등); 글리세린모노알킬에테르(예컨대 키밀알코올, 세라킬알코올, 바틸알코올 등); 당 알코올(예컨대 소르비톨, 말티톨, 말토트리오스, 만니톨, 자당, 에리트리톨, 글루코오스, 프룩토오스, 전분 분해 당, 말토오스, 키실리토오스, 전분 분해 당 환원 알코올 등); 글리솔리드; 테트라하이드로퍼푸릴알코올; POE-테트라하이드로퍼푸릴알코올; POP-부틸에테르; POP-POE-부틸에테르; 트리폴리옥시프로필렌글리세린에테르; POP-글리세린에테르; POP-글리세린에테르인산; POP·POE- 펜탄에리스리톨에테르, 폴리글리세린 등을 들 수 있다.
단당으로는 예컨대 3탄당(예컨대 D-글리세릴알데히드, 디히드록시아세톤 등); 4탄당([0166] 예컨대 D-에리스로오스, D-에리톨로오스, D-트레오스, 에리스리톨 등); 5탄당(예컨대 L-아라비노오스, D-키실로오스, L-릭소오스, D-아라비노오스, D-리보오스, D-리브로오스, D-키실로오스, L-키실로오스 등); 6탄당(예컨대 D-글루코오스, D-탈로오스, D-부시코오스, D-갈락토오스, D-프룩토오스, L-갈락토오스, L-만노오스, D-타가토오스 등); 7탄당(예컨대 알도헵토오스, 헵로오스 등); 8탄당(예컨대 옥툴로오스 등); 데옥시당(예컨대 2-데옥시-D-리보오스, 6-데옥시-갈락토오스, 6-데옥시-L-만노오스 등); 아미노당(예컨대 D-글루코사민, D-갈락톡사민, 시알산, 아미노우론산, 무람산 등); 우론산(예컨대 D-글루쿠론산, D-만누론산, L-글루론산, D-갈락투론산, L-이드우론산 등) 등을 들 수 있다.
올리고당으로는, 예컨대 자당, 움벨리페로오스, 락토오스, 플란테오스, 이소리쿠노오스, α,α-트레할로오스, 라피노오스, 리쿠노오스류, 움비리신, 스타키오스버바스코오스류 등을 들 수 있다.
다당으로는 예컨대 셀룰로오스, 퀸스시드, 콘드로이틴 황산, 전분, 갈락탄, 더마탄 황산, 글리콜라겐, 아라비아 검, 헤파란 황산, 히알루론산, 트래거캔스 검, 케라탄 황산, 콘드로이틴, 크산탄 검, 무코이틴 황산, 구아 검, 덱스트란, 케라토 황산, 로커스트콩 검(Locust Bean Gum), 석시노글루칸, 카론산 등을 들 수 있다.
아미노산으로는, 예컨대 중성 아미노산(예컨대 트레오닌, 시스테인 등); 염기성 아미노산(예컨대 히드록시리신등)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아미노산 유도체로서 예컨대 아실살코신나트륨(라우로일살코신나트륨), 아실글루탐산염, 아실 β-알라닌나트륨, 글루타티온, 피롤리돈카르복실산 등을 들 수 있다.
유기 아민으로는 예컨대 모노에탄올아민, 디에탄올아민, 트리에탄올아민, 모르포린, 트리이소프로판올아민, 2-아미노-2-메틸-1,3-프로판디올, 2-아미노-2-메틸-1-프로판올 등을 들 수 있다.
고분자 에멀전으로는 예컨대 아크릴 수지 에멀전, 폴리아크릴산 에틸에멀전, 아크릴레진액, 폴리아크릴알킬에스테르 에멀전, 폴리아세트산 비닐 수지 에멀전, 천연 고무 라텍스 등을 들 수 있다.
pH 조정제로는, 예를 들어 락트산-락트산 나트륨, 시트르산-시트르산 나트륨, 숙신산-숙신산 나트륨 등의 완충제, 모노에탄올아민, 디에탄올아민, 트리에탄올아민, 트로메타민 (Tromethamine) 등의 유기 아민 등을 들 수 있다.
비타민으로는, 예컨대 비타민 A, B1, B2, B6, C, E 및 그 유도체, 판토텐산 및 그 유도체, 비오틴 등을 들 수 있다.
산화 방지제로는, 예컨대 토코페롤류, 디부틸히드록시톨루엔, 부틸히드록시아니솔, 갈산 에스테르류 등을 들 수 있다.
산화 방지 조제로는, 예컨대 인산, 시트르산, 아스코르브산, 말레산, 말론산, 숙신산, 푸마르산, 케파린, 헥사메타포스페이트, 피틴산, 에틸렌디아민 4아세트산 등을 들 수 있다.
기타 배합 가능 성분으로는, 시어버터, 스쿠알란 등의 피부 영양제; 소염제(예컨대 글리실리진산 유도체, 글리실레진산 유도체, 살리실산 유도체, 히노키티올, 산화아연, 알란토인 등); 미백제(예컨대 범의귀 추출물, 알부틴 등); 각종 추출물(예컨대 황백, 황련, 시콘, 작약, 자주쓴풀, 박달나무, 세이지, 비파, 인삼, 알로에, 당아욱, 아이리스, 포도, 율무쌀, 수세미외, 백합, 사프란, 천궁, 생강, 고추나물, 오오니스, 마늘, 고추, 진피, 당귀, 해초 등), 활성제(예컨대 로얄젤리, 감광소, 콜레스테롤 유도체 등); 혈행 촉진제(예컨대 니코틴산 벤질에스테르, 니코틴산 β-부톡시에틸에스테르, 캡사이신, 진저론(jingeron), 칸타리스팅크, 익타몰, 탄닌산, α-보르네올, 니코틴산 토코페롤, 이노시톨헥사니코티네이트, 시클란델레이트, 신나리진, 트라졸린, 아세틸콜린, 베라파밀, 세파란틴, γ-오리자놀 등); 항지누제(예컨대 황, 티안톨 등); 항염증제(예컨대 트라넥삼산, 티오타우린, 히포타우린 등) 등을 들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다만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명확하게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보호범위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1. 하이드록시프로필인산가교 알파화 전분의 제조
전분제조예 1.
찰옥수수전분을 물(Water)에 현탁하여 찰옥수수전분 건조중량 농도가 41 중량%인 찰옥수수전분 슬러리(현탁액)을 제조하였다. 이후, 찰옥수수전분 슬러리에 팽윤 억제제안 황산나트륨을 찰옥수수전분 건조중량 대비 15%(w/w)의 양으로 첨가하고 교반하였다. 이후, 찰옥수수전분 슬러리에 약 5 중량% 농도의 수산화나트륨 용액을 첨가하여 찰옥수수전분 슬러리의 pH를 약 11.5~12.0으로 조정하였다. 이후, 찰옥수수전분 슬러러에 프로필렌옥사이드(Propylene oxide, PO)를 찰옥수수전분 건조중량 대비 8%(w/w)의 양으로 첨가하고 약 45℃에서 약 30 hr 동안 프로필렌 옥사이드 치환 반응을 진행하였다. 이후, 프로필렌 옥사이드 치환 반응이 완료된 찰옥수수전분 슬러리에 소듐트리메타포스페이트(Sodium trimetaphosphate, STMP)를 찰옥수수전분 건조중량 대비 0.09 %(w/w)의 양으로 첨가하고 약 45℃에서 약 3 hr 동안 가교반응을 진행한 후 약 15 중량% 농도의 염산 용액을 첨가하여 슬러리의 pH를 약 4.5로 조정하고 가교반응을 종결시켰다. 가교반응이 완료된 찰옥수수전분 슬러리를 탈수 및 수세하고 건조한 후 분쇄하여 하이드록시프로필인산가교전분 분말을 수득하였다.
이후, 하이드록시프로필인산가교전분을 물(water)에 현탁하여 하이드록시프로필인산가교전분 건조중량 농도가 30 중량%인 전분 슬러리(현탁액)를 제조하였다. 이후, 7~9 ㎏f/㎠의 압력을 가진 스팀으로 가열한 드럼건조기(네덜란드 Gouda사, single drum dryer, model E 15/30) 표면에 전분 슬러리(현탁액)를 도포하고 5.2 rpm 속도로 회전하는 드럼건조기를 통해 알파화 전분 필름 제조하였다. 이후, 전분 필름을 분쇄 및 60 메쉬(mesh) 크기의 그물눈을 가진 체로 분리하여 하이드록시프로필인산가교 알파화 전분 분말을 수득하였고, 이를 후술하는 화장품 제조시 점증제로 사용하였다.
전분제조예 2.
프로필렌옥사이드(Propylene oxide, PO)의 첨가량이 찰옥수수전분 건조중량 대비 10%(w/w)인 점을 제외하고는 전분제조예 1과 동일한 조건 및 동일한 방법으로 하이드록시프로필인산가교 알파화 전분 분말을 수득하였다.
전분제조예 3.
프로필렌옥사이드(Propylene oxide, PO)의 첨가량이 찰옥수수전분 건조중량 대비 10%(w/w)이고, 소듐트리메타포스페이트(Sodium trimetaphosphate, STMP)의 첨가량이 찰옥수수전분 건조중량 대비 0.13 %(w/w)인 점을 제외하고는 전분제조예 1과 동일한 조건 및 동일한 방법으로 하이드록시프로필인산가교 알파화 전분 분말을 수득하였다.
전분제조예 4.
소듐트리메타포스페이트(Sodium trimetaphosphate, STMP)의 첨가량이 찰옥수수전분 건조중량 대비 0.05 %(w/w)인 점을 제외하고는 전분제조예 1과 동일한 조건 및 동일한 방법으로 하이드록시프로필인산가교 알파화 전분 분말을 수득하였다.
전분조예 5.
소듐트리메타포스페이트(Sodium trimetaphosphate, STMP)의 첨가량이 찰옥수수전분 건조중량 대비 0.20 %(w/w)인 점을 제외하고는 전분제조예 1과 동일한 조건 및 동일한 방법으로 하이드록시프로필인산가교 알파화 전분 분말을 수득하였다.
전분제조예 6.
프로필렌옥사이드(Propylene oxide, PO)의 첨가량이 찰옥수수전분 건조중량 대비 4%(w/w)인 점을 제외하고는 전분제조예 1과 동일한 조건 및 동일한 방법으로 하이드록시프로필인산가교 알파화 전분 분말을 수득하였다.
전분제조예 7.
프로필렌옥사이드(Propylene oxide, PO)의 첨가량이 찰옥수수전분 건조중량 대비 12%(w/w)인 점을 제외하고는 전분제조예 1과 동일한 조건 및 동일한 방법으로 하이드록시프로필인산가교 알파화 전분 분말을 수득하였다.
2. 하이드록시프로필인산가교 알파화 전분의 물성 측정
전분제조예 1 내지 전분제조예 7에서 제조한 하이드록시프로필인산가교 알파화 전분의 하이드록시프로필 치환도, 점도, 냉해동 안정성, 내염성, 내전단성 등을 측정하고 화장품용 점증제로 적용되기 위한 물성을 발현하는지 여부를 평가하였다. 또한, 대조군으로 대표적인 화장품용 점증제인 Cabopol 940(INCI 이름 : Carbomer)에 대해서도 4.5 중량% 슬러리를 제조하여 점도, 냉해동 안정성을 측정하고 1 중량% 슬러리를 제조하여 내염성, 내전단성을 측정하였다.
(1) 하이드록시프로필(HP) 치환도 측정
전분제조예 1 내지 전분제조예 7에서 제조한 하이드록시프로필인산가교 알파화 전분의 하이드록시프로필 치환도는 식약처에서 발행하는 식품첨가물 공전의 시험법에 의거하여 측정하였다. 공시험용으로 변성전분과 동일한 원료의 변성되지 않은 전분을 위와 동일조작을 한 다음 두 플라스크를 끓는 수욕상에서 용액이 될 때까지 가열한다.
시료 100㎎을 정량하여 100㎖ 용량의 플라스크에 넣고 1N 황산 25㎖를 가한다. 공시험용으로 변성전분과 동일한 원료의 변성되지 않은 전분을 위와 동일조작을 한 다음 두 플라스크를 끓는 수욕상에서 용액이 될 때까지 가열한다. 식힌 다음 물을 가하여 100㎖로 정용하고, 두 액을 25㎖ 눈금이 있는 시험관에 각각 1㎖씩 넣고 시험관을 찬물에 담근 상태에서 황산 8㎖씩 천천히 가한 다음 유리마개를 하여 잘 섞고 정확히 3분간 끓는 물에 방치한다. 액이 차가워질 때까지 즉시 얼음물에 옮기고 닌하이드린시액 0.6㎖씩 가한 다음 즉시 잘 흔들고 25℃ 수욕상에서 100분간 방치한다. 황산을 가하여 25㎖로 하고 몇 번 뒤집어 준다. 공시험용액을 대조액으로 하여 액층 1cm, 파장 590nm에서 흡광도를 즉시 측정하여 다음 식에 따라 히드록시프로필기의 양(%)를 구한다. 이 때 시험용액을 셀(cell)에 옮긴 다음 5분 후에 측정한다. 따로 프로필렌글리콜표준용액(10, 20, 30, 40 및 50 ㎍/㎖) 1㎖씩 25㎖ 눈금이 있는 시험관에 취하여 이하 위와 동일 조작하여 표준곡선을 작성한다.
히드록시프로필기의 양(%) = (C×0.7763×10×D)/검체의 채취량(㎎)
C : 표준곡선에서 구한 프로필렌글리콜의 양(㎍/㎖)
D : 희석배수
(2) 점도 측정
하이드록시프로필인산가교 알파화 전분을 물에 현탁하여 전분 건조중량 농도가 4.5 중량%인 전분 슬러리(현탁액)를 제조하였다. 이후, 전분 슬러리를 상온에서 1 hr 동안 2,000 rpm의 속도로 교반한 후 Brookfield 점도계(LV, sp NO.4, 30rpm, 1min)를 이용하여 점도를 측정하였다.
(3) 냉해동 안정성 측정
하이드록시프로필인산가교 알파화 전분을 물에 현탁하여 전분 건조중량 농도가 4.5 중량%인 전분 슬러리(현탁액)를 제조하였다. 이후, 전분 슬러리를 상온(18~25℃)에서 1 hr 동안 2,000 rpm의 속도로 교반한 후 Brookfield 점도계(LV, sp NO.4, 30rpm, 1min)를 이용하여 점도(a)를 측정하였다. 또한, 전분 슬러를 인큐베이터에 넣고 (-20℃에서 6 hr 유지 → 25℃에서 6 hr 유지 → 50℃에서 6 hr 유지)로 구성되는 사이클를 3번 반복한 다음 25℃에서 Brookfield 점도계(LV, sp NO.4, 30rpm, 1min)를 이용하여 점도(b)를 측정하였다. 이후, 하이드록시프로필인산가교 알파화 전분의 냉해동성 편차를 아래의 식으로 구하고 소정의 기준으로 하이드록시프로필인산가교 알파화 전분의 냉해동 안정성을 평가하였다.
Figure pat00001
* 냉해동성 편차(%)가 0~20이면 양호; 20 초과 내지 40이하이면 다소 미흡; 40 초과 내지 60이하이면 미흡; 60 초과이면 불량
(4) 내염성 측정
하이드록시프로필인산가교 알파화 전분을 물에 현탁하여 전분 건조중량 농도가 4.0 중량%인 전분 슬러리(현탁액)를 제조하였다. 이후, 전분 슬러리를 상온에서 1 hr 동안 2,000 rpm의 속도로 교반한 후 Brookfield 점도계(LV, sp NO.4, 60rpm, 30초)를 이용하여 점도(a)를 측정하였다. 이후, 전분 슬러리에 염화나트륨을 1 중량%의 농도가 되게 첨가하고 교반한 후 Brookfield 점도계(LV, sp NO.4, 60rpm, 30초)를 이용하여 점도(b)를 측정하였다. 이후, 이후, 하이드록시프로필인산가교 알파화 전분의 내염성 편차를 아래의 식으로 구하고 소정의 기준으로 하이드록시프로필인산가교 알파화 전분의 내염성을 평가하였다.
Figure pat00002
* 내염성 편차(%)가 0~20이면 양호; 20 초과시 미흡
(5) 내전단성 측정
하이드록시프로필인산가교 알파화 전분을 물에 현탁하여 전분 건조중량 농도가 4.0 중량%인 전분 슬러리(현탁액)를 제조하였다. 이후, 전분 슬러리를 75℃에서 1 hr 동안 교반한 후 25℃로 식히고 Brookfield 점도계(LV, sp NO.4, 30rpm, 1min)를 이용하여 B형 점도를 측정하였다. 또한, 전분 슬러리를 75℃에서 1 hr 동안 교반하고 다시 3,500 rpm의 속도로 30분 동안 교반한 후 25℃로 식히고 Brookfield 점도계(LV, sp NO.4, 30rpm, 1min)를 이용하여 전단 점도를 측정하였다. 이후, 하이드록시프로필인산가교 알파화 전분의 내전단 편차를 아래의 식으로 구하고 내전단성 편차가 20% 이하이면 내전단성이 양호한 것으로 평가하고 소정의 기준으로 하이드록시프로필인산가교 알파화 전분의 내전단성을 평가하였다.
Figure pat00003
* 내전단성 편차(%)가 0~20이면 양호; 20 초과시 미흡
(6) 하이드록시프로필인산가교 알파화 전분의 물성 측정 결과
하기 표 1에 전분제조예 1 내지 전분제조예 7에서 제조한 하이드록시프로필인산가교 알파화 전분 및 대조군으로 사용한 Cabopol 940(INCI 이름 : Carbomer; 공급사 : Lubrizol)의 물성 측정 결과를 정리하였다.
시료 구분 물성 구분
HP 치환도 4.5% 슬러리 점도(cPs) 냉해동 안정성 내염성 내전단성
전분제조예 1 0.13 3,440 양호 양호 양호
전분제조예 2 0.17 4,740, 양호 양호 양호
전분제조예 3 0.17 3,980 양호 양호 양호
전분제조예 4 0.12 4,810 미흡 양호 양호
전분제조예 5 0.13 1,880 양호 양호 양호
전분제조예 6 0.06 2,180 양호 양호 양호
전분제조예 7 0.19 7,250 양호 양호 양호
Cabopol 940 >10,000 양호 미흡 양호
상기 표 1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제조예 4에서 제조한 하이드록시프로필인산가교 알파화 전분은 냉해동 안정성이 미흡하였고, 제조예 5 및 제조예 6에서 제조한 하이드록시프로필인산가교 알파화 전분은 점도 발현이 미흡하였고, 대조군으로 사용한 Cabopol 940은 내염성이 미흡하였다.
3. 크림 화장품의 제조
화장품제조예 1 내지 화장품 제조예 7.
하기 표 2의 원료들을 소정의 순서대로 배합하여 크림 화장품을 제조하였다.
Part 원료 INCI 이름 원료 배합량(중량%) 원료 용도
A 정제수 32 용매
하이드록시프로필인산가교 알파화 전분 5 점증제
B 글리세린 2 보습제
잔탄검 0.1 점증제
정제수 33.45 용매
Disodiu, EDTA 0.02 킬레이트제
알란토인(Allantion) 0.01 피부컨디셔닝제
베타인 1 보습제
부틸렌글리콜 2 피부컨디셔닝제
Water, Butylene Glycol, 1.2-Hexandion, Sodium Hyaluronate 1 피부컨디셔닝제
Water, Butylene Glycol, Beta Glucan 0.5 피부컨디셔닝제
C 토코페릴아세테이트 0.1 피부컨디셔닝제
세테아릴알코올 3.1 유화안정제
시어버터(Shea butter) 1 피부컨디셔닝제
밀랍(Bee wax) 1 유화안정제
소르비탄스테아레이트 1 계면활성제
Glyceryl Stearate, PEG-100 Stearate 2 계면활성제
Cyclopentasiloxane 4 피부컨디셔닝제
Butylene Glycol Dicaprylate/Dicaprate 3 피부컨디셔닝제
스쿠알란(Squalane) 2 피부컨디셔닝제
D 트로메타민 0.32 pH 조정제
정제수 3.2 용매
E 에틸헥실글리세린 0.2 피부컨디셔닝제
1,2-헥산다이올 2 용매
먼저, 정제수에 하이드록시프로필인산가교 알파화 전분을 완전히 분산시켜 A part를 제조하였다(Agi mixer : 600~700 rpm, 15분). 이후, 메인 패들 믹서에 A part 및 B part의 원료를 투입하고 20 rpm으로 교반하여 수상을 준비하고 가온하여 온도를 75℃로 유지하였다. 또한, C part의 원료를 유상 패들 믹서에 투입하고 약 75℃에서 20 rpm으로 교반하여 유상을 준비하였다. 또한, D part (트로메타민 용액 및 E part를 별도로 제조하였다. 이후, 수상이 함유된 메인 패들 믹서에 유상을 투입하고 3,000rpm의 속도로 약 3분간 교반하여 유화시키고, 약 50℃로 냉각시켰다. 이후, 메인 패들 믹서에 D part를 투입하고 3,500rpm의 속도로 약 3분간 교반하여 유화물을 중화시켰다. 상기 D part는 물에 용해되어 수상을 구성한다. 이후 메인 패들 믹서에 E part를 투입하고 3,000rpm의 속도로 약 2분간 교반하고, 약 30℃로 냉각한 후 탈기 및 여과하여 크림 화장품을 제조하였다.
* 화장품제조예 1 : 전분제조예 1에서 제조한 하이드록시프로필인산가교 알파화 전분을 사용함
* 화장품제조예 2 : 전분제조예 2에서 제조한 하이드록시프로필인산가교 알파화 전분을 사용함
* 화장품제조예 3 : 전분제조예 3에서 제조한 하이드록시프로필인산가교 알파화 전분을 사용함
* 화장품제조예 4 : 전분제조예 4에서 제조한 하이드록시프로필인산가교 알파화 전분을 사용함
* 화장품제조예 5 : 전분제조예 5에서 제조한 하이드록시프로필인산가교 알파화 전분을 사용함
* 화장품제조예 6 : 전분제조예 6에서 제조한 하이드록시프로필인산가교 알파화 전분을 사용함
* 화장품제조예 7 : 전분제조예 7에서 제조한 하이드록시프로필인산가교 알파화 전분을 사용함
화장품비교제조예 1.
하기 표 3의 원료들을 소정의 순서대로 배합하여 크림 화장품을 제조하였다.
Part 원료 INCI 이름 원료 배합량(중량%) 원료 용도
A 정제수 32 용매
Carbomer(Carbopol 940) 0.32 점증제
B 글리세린 2 보습제
잔탄검 0.1 점증제
정제수 38.13 용매
Disodiu, EDTA 0.02 킬레이트제
알란토인(Allantion) 0.01 피부컨디셔닝제
베타인 1 보습제
부틸렌글리콜 2 피부컨디셔닝제
Water, Butylene Glycol, 1.2-Hexandion, Sodium Hyaluronate 1 피부컨디셔닝제
Water, Butylene Glycol, Beta Glucan 0.5 피부컨디셔닝제
C 토코페릴아세테이트 0.1 피부컨디셔닝제
세테아릴알코올 3.1 유화안정제
시어버터(Shea butter) 1 피부컨디셔닝제
밀랍(Bee wax) 1 유화안정제
소르비탄스테아레이트 1 계면활성제
Glyceryl Stearate, PEG-100 Stearate 2 계면활성제
Cyclopentasiloxane 4 피부컨디셔닝제
Butylene Glycol Dicaprylate/Dicaprate 3 피부컨디셔닝제
스쿠알란(Squalane) 2 피부컨디셔닝제
D 트로메타민 0.32 pH 조정제
정제수 3.2 용매
E 에틸헥실글리세린 0.2 피부컨디셔닝제
1,2-헥산다이올 2 용매
먼저, 정제수에 Carbomer를 완전히 분산시켜 A part를 제조하였다(Agi mixer : 600~700 rpm, 15분). 이후, 메인 패들 믹서에 A part 및 B part의 원료를 투입하고 20 rpm으로 교반하여 수상을 준비하고 가온하여 온도를 75℃로 유지하였다. 또한, C part의 원료를 유상 패들 믹서에 투입하고 약 75℃에서 20 rpm으로 교반하여 유상을 준비하였다. 또한, D part (트로메타민 용액 및 E part를 별도로 제조하였다. 이후, 수상이 함유된 메인 패들 믹서에 유상을 투입하고 3,000rpm의 속도로 약 3분간 교반하여 유화시키고, 약 50℃로 냉각시켰다. 이후, 메인 패들 믹서에 D part를 투입하고 3,500rpm의 속도로 약 3분간 교반하여 유화물을 중화시켰다. 상기 D part는 물에 용해되어 수상을 구성한다. 이후 메인 패들 믹서에 E part를 투입하고 3,000rpm의 속도로 약 2분간 교반하고, 약 30℃로 냉각한 후 탈기 및 여과하여 크림 화장품을 제조하였다.
4. 크림 화장품의 물성 및 사용감 평가
(1) 크림 화장품의 물성
화장품제조예 1 내지 화장품제조예 7 및 화장품비교제조예 1에서 제조한 크림 화장품의 경도, pH, 비중, 저장 안정성을 측정하였다. 저장 안정성은 다양한 온도 조건에서 2달 동안 보관하면서 상 분리 여부를 육안으로 관찰하였다.
하기 표 4에 화장품제조예 1 내지 화장품제조예 7 및 화장품비교제조예 1에서 제조한 크림 화장품의 물성 측정 결과를 정리하였다.
구분 화장품제조예 1 화장품제조예 2 화장품제조예 3 화장품제조예 4 화장품제조예 5 화장품제조예 6 화장품제조예 7 화장품비교제조예 1
경도 18 19 19 19 16 15 20 21
pH 9.1 9.2 9.1 9.2 9.0 9.1 9.3 6.6
비중 1.002 1.005 1.002 1.004 1.000 0.999 1.007 0.989
저장 안정성 25℃ 안정 안정 안정 불안정 안정 안정 안정 안정
5℃ 안정 안정 안정 안정 안정 안정 안정 안정
50℃ 안정 안정 안정 불안정 안정 안정 안정 안정
일광 안정 안정 안정 안정 안정 안정 안정 안정
온도 사이클 안정 안정 안정 불안정 안정 안정 안정 안정
* 온도 사이클 구성 : 5℃에서 6 hr 유지 → 25℃에서 6 hr 유지 → 50℃에서 6 hr 유지
* 불안정 : 보관 5주 경과시 상이 분리됨
상기 표 4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화장품제조예 4에서 제조한 크림 화장품(전분제조예 4에서 제조한 하이드록시프로필인산가교 알파화 전분을 점증제로 첨가함)에서 상 안정성이 떨어지는 결과를 보였다.
(2) 크림 화장품의 사용감
화장품 업계에 종사하는 전문 패널 총 28명(남성 14명, 여성 14명)에게 화장품제조예 1 내지 화장품제조예 1 및 화장품비교제조예 1에서 제조한 크림 화장품을 1일 2회, 총 2주 동안 사용하게 한 후 다양한 항목에 대해 정성적 평가 및 5점 척도로 정량 평가하였다.
* 정량 평가 척도 : 5점 매우 만족, 4점 만족, 보통 3점, 불만족 2점, 매우 불만족 1점
하기 표 5에 화장품제조예 1 내지 화장품제조예 4에서 제조한 크림 화장품의 사용감 평가 결과를 정리하였고, 하기 표 6에 화장품제조예 5 내지 화장품제조예 7 및 화장품비교제조예 1에서 제조한 크림 화장품의 사용감 평가 결과를 정리하였다.
구분 화장품제조예 1 화장품제조예 2 화장품제조예 3 화장품제조예 4
사용시 발림성 산뜻하고 가볍게 발림(5.0) 산뜻하고 가볍게 발림(5.0) 산뜻하고 가볍게 발림(5.0) 산뜻하고 가볍게 발림(5.0)
사용시 자극 자극 없음(5.0) 자극 없음(5.0) 자극 없음(5.0) 자극 없음(5.0)
사용시 흡수력 흡수 빠름(5.0) 흡수 빠름(5.0) 흡수 빠름(5.0) 흡수 빠름(5.0)
사용시 흐름성 적당함(5.0) 적당함(5.0) 적당함(5.0) 적당함(5.0)
사용후 번들거림 거의 없음(4.7) 거의 없음(4.8) 거의 없음(4.7) 거의 없음(4.7)
사용후 수분감 보통(3.8) 보통(3.9) 보통(3.7) 보통(3.7)
사용후 끈적임 약간 끈적임(3.8) 약간 끈적임(3.7) 약간 끈적임(3.9) 약간 끈적임(3.7)
사용후 자극 자극 없음(5.0) 자극 없음(5.0) 자극 없음(5.0) 자극 없음(5.0)
전체 선호도 피부에 빠르게 흡수되고 가벼운 사용감(4.8) 피부에 빠르게 흡수되고 가벼운 사용감(4.9) 피부에 빠르게 흡수되고 가벼운 사용감(4.8) 피부에 빠르게 흡수되고 가벼운 사용감(4.7)
구분 화장품제조예 5 화장품제조예 6 화장품제조예 7 화장품비교제조예 1
사용시 발림성 두껍지 않게 발림(3.9) 두껍지 않게 발림(3.8) 두껍게 발림
(3.2)
두껍지 않게 발림(3.9)
사용시 자극 자극 없음(5.0) 자극 없음(5.0) 자극 없음(5.0) 자극 없음(5.0)
사용시 흡수력 흡수 부족(2.3) 흡수 부족(2.2) 흡수 보통(3.3) 흡수 보통(3.4)
사용시 흐름성 묽음(2.1) 묽음(2.2) 보통(3.2) 보통(3.3)
사용후 번들거림 많음(2.3) 많음(2.4) 거의 없음(4.5) 거의 없음(4.6)
사용후 수분감 부족(1.9) 부족(2.0) 보통(3.6) 보통(3.7)
사용후 끈적임 상당히 끈적임(2.2) 상당히 끈적임(2.3) 약간 끈적임(3.5) 약간 끈적임(3.7)
사용후 자극 자극 없음(5.0) 자극 없음(5.0) 자극 없음(5.0) 자극 없음(5.0)
전체 선호도 점성이 낮아 에멀젼 느김의 사용감(2.6) 점성이 낮아 에멀젼 느김의 사용감(2.7) 무거운 느낌의 사용감(3.3) 보통 크림의 사용감(3.6)
상기 표 5 및 표 6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화장품제조예 1 내지 화장품제조예 4에서 제조한 크림 화장품의 사용감이 매우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을 상기의 실시예를 통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반드시 여기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범주와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본 발명에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에 속하는 모든 실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9)

  1. 하이드록시프로필인산가교 알파화 전분으로 이루어지거나 이를 포함하는 점증제로서,
    상기 하이드록시프로필인산가교 알파화 전분은 하이드록시프로필 치환도가 0.10~0.18이고, 건조중량 농도가 4.5 중량%인 전분 현탁액의 점도가 3,000~6,000 센티포이즈(cPs)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용 점증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이드록시프로필인산가교 알파화 전분은 하이드록시프로필인산가교 알파화 찰옥수수전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용 점증제.
  3. 원료전분 현탁액에 팽윤 억제제를 첨가하고 pH를 10.5~12.5로 조절하여 전처리된 전분 현탁액을 수득하는 단계;
    전처리된 전분 현탁액에 프로필렌옥사이드를 원료전분 건조중량 대비 7~11 %(w/w)의 양으로 첨가하고 35~55℃에서 15~54 hr 동안 프로필렌옥사이드 치환반응을 진행하는 단계;
    프로필렌옥사이드 치환 반응이 진행된 전분 현탁액에 인산계 가교제를 원료전분 건조중량 대비 0.07~0.15 %(w/w)의 양으로 첨가하고 35~55℃에서 0.5~6 hr 동안 가교반응을 진행하는 단계;
    상기 가교반응이 진행된 전분 현탁액을 중화하여 가교반응을 종결하고 여과, 수세 및 건조하여 하이드록시프로필인산가교전분을 수득하는 단계; 및
    상기 하이드록시프로필인산가교전분을 알파화하여 하이드록시프로필인산가교 알파화 전분을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화장품용 점증제의 제조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원료전분은 찰옥수수전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용 점증제의 제조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인산계 가교제는 소듐트리메타포스페이트(Sodium trimetaphosphate) 또는 소듐헥사메타포스페이트(Sodium hexametaphosphat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용 점증제의 제조방법.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알파화는 스팀 압력이 2~10 ㎏/㎠이고 드럼 회전 속도가 2~10 rpm인 드럼건조기에서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용 점증제의 제조방법.
  7. 수상 및 유상이 균일하게 분포되어 있는 화장품으로서,
    상기 수상은 점증제로 제1항 또는 제2항에서 선택되거나 제3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에서 제조된 하이드록시프로필인산가교 알파화 전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하이드록시프로필인산가교 알파화 전분의 함량은 화장품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0.5~10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9. 제7항에서, 상기 화장품은 연속상인 수상에 불연속상인 유상이 균일하게 분포되어 있는 수중유적형(oil-in-water) 화장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KR1020200178110A 2020-12-18 2020-12-18 화장품용 점증제, 이의 제조방법 및 이의 용도 KR2022008774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8110A KR20220087748A (ko) 2020-12-18 2020-12-18 화장품용 점증제, 이의 제조방법 및 이의 용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8110A KR20220087748A (ko) 2020-12-18 2020-12-18 화장품용 점증제, 이의 제조방법 및 이의 용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7748A true KR20220087748A (ko) 2022-06-27

Family

ID=822470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8110A KR20220087748A (ko) 2020-12-18 2020-12-18 화장품용 점증제, 이의 제조방법 및 이의 용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8774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90908A1 (ko) * 2022-10-26 2024-05-02 코스맥스 주식회사 착색용 베이스 파우더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90908A1 (ko) * 2022-10-26 2024-05-02 코스맥스 주식회사 착색용 베이스 파우더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412543B (zh) 環氧烷衍生物及含此環氧烷衍生物之皮膚外用劑
TWI778981B (zh) 洗淨劑組成物
JP2009292734A (ja) 水中油型乳化皮膚化粧料
WO2007136067A1 (ja) 皮膚外用剤
JP5305574B2 (ja) 皮膚外用剤
KR100826503B1 (ko) 피부 외용제
JP2010024159A (ja) 微細エマルション組成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220087748A (ko) 화장품용 점증제, 이의 제조방법 및 이의 용도
JP5121527B2 (ja) 皮膚外用剤
JP6076080B2 (ja) 泡沫状化粧水
WO2011078053A1 (ja) シア脂由来ガム組成物、化粧料用組成物、化粧料及び当該化粧料の製造方法
JP2010024161A (ja) 微細エマルション組成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7337842B2 (ja) 洗浄剤組成物
JP2010018568A (ja) 水中油型洗浄料
WO2019244500A1 (ja) 水中油型乳化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JP5154904B2 (ja) 皮膚外用剤
TW202011936A (zh) 洗淨劑組成物
JP5175645B2 (ja) 水中油型洗浄料
JP2009143817A (ja) 皮膚洗浄料
JP4933738B2 (ja) 皮膚外用剤
JP2006045133A (ja) 水中油型乳化組成物
JP2010024160A (ja) 微細エマルション組成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WO2022259917A1 (ja) 洗浄料組成物
JP2009029737A (ja) 皮膚洗浄料
WO2023127536A1 (ja) 水中油型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