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46527B1 - 롤 오버 벤트 밸브 - Google Patents

롤 오버 벤트 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46527B1
KR100846527B1 KR1020060109982A KR20060109982A KR100846527B1 KR 100846527 B1 KR100846527 B1 KR 100846527B1 KR 1020060109982 A KR1020060109982 A KR 1020060109982A KR 20060109982 A KR20060109982 A KR 20060109982A KR 100846527 B1 KR100846527 B1 KR 1008465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fluid
fluid inlet
outlet
in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099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49588A (ko
Inventor
에흘만 모세
불칸 오머
아키안 일란
Original Assignee
라발 에이.씨.에스. 엘티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라발 에이.씨.에스. 엘티디 filed Critical 라발 에이.씨.에스. 엘티디
Publication of KR200700495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495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65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65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25/00Engine-pertinent apparatus for adding non-fuel substances or small quantities of secondary fuel to combustion-air, main fuel or fuel-air mixture
    • F02M25/08Engine-pertinent apparatus for adding non-fuel substances or small quantities of secondary fuel to combustion-air, main fuel or fuel-air mixture adding fuel vapours drawn from engine fuel reservo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7/00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 F16K17/36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actuated in consequence of extraneous circumstances, e.g. shock, change of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35Fuel tanks characterised by ven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4/00Devices, e.g. valves, for venting or aerating enclosures
    • F16K24/04Devices, e.g. valves, for venting or aerating enclosures for venting only
    • F16K24/042Devices, e.g. valves, for venting or aerating enclosures for venting only actuated by a flo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35Fuel tanks characterised by venting means
    • B60K15/03519Valve arrangements in the vent li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0753Control by change of position or inertia of system
    • Y10T137/0874Vent opening or closing on tipping contain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2931Diverse fluid containing pressure systems
    • Y10T137/3003Fluid separating traps or vents
    • Y10T137/3084Discriminating outlet for gas
    • Y10T137/309Fluid sensing valve
    • Y10T137/3099Float responsiv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7722Line condition change responsive valves
    • Y10T137/7771Bi-directional flow valves
    • Y10T137/7779Axes of ports paralle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7722Line condition change responsive valves
    • Y10T137/7837Direct response valves [i.e., check valve type]
    • Y10T137/7879Resilient material valve

Abstract

유체 입구와 유체 출구를 형성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배출 틈새(an outlet aperture)에 인접하는 밸브 시팅(valve seating), 밀봉 부재(floating member)가 상기 배출 틈새의 밸브 시팅을 밀봉하도록 지탱하며 상기 유체 출구를 밀봉하는 밀봉 위치와 상기 밀봉 부재가 상기 밸브 시팅에서 이탈하여 상기 유체 출구가 상기 유체 입구와 유체 연통하게 하는 개방 위치 사이에서 축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으며 상기 하우징 내에 수용되는 플로트 부재(a float member)를 포함하는 롤 오버 벤트 밸브. 추가로 상기 밸브 시팅과 상기 유체 출구의 중간까지 확장하며, 상기 유체 입구와 상기 유체 출구의 압력차가 최저 압력 임계치(threshold)를 초과하지 아니하는 한 상기 유체 입구와 상기 유체 출구 간의 흐름을 차단하는 압력 유지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밸브는 유체 입구에서 역압(under-pressure)이 걸리는 경우에 상당히 높은 유량으로 상기 유체 입구 쪽으로 유체가 흐르도록 상기 유체 출구와의 유체 연통하는 일방향 유체 인입 밸브(a one-way fluid inlet valve)를 추가로 더 포함한다.
롤 오버 벤트 밸브

Description

롤 오버 벤트 밸브 {ROLL OVER VENT VALVE}
본 발명을 이해하고 실제로 어떻게 실행되는지 알기 위해,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비제한적인 실시예만으로 바람직한 실시태양이 기술될 것이다, 여기에서: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밸브의 등각사시도이다;
도2a는 상기 밸브가 높은 유출(out-flow) 상태에 있을 때, 도1에서 직선 I-I를 따른 종단면도이다;
도2b는 상기 밸브가 높은 유출 상태에 있을 때, 도1에서 직선 II-II를 따라 자른, 상기 밸브의 윗부분의 확대도이다;
도3a는 상기 밸브가 유입(in-flow) 상태에 있을 때, 도1에서 직선 I-I를 따른 종단면도이다; 그리고
도3b는 상기 밸브가 높은 유입 상태에 있을 때 상기 밸브로, 도1에서 직선 II-II를 따라 자른, 상기 밸브의 윗부분의 확대도이다.
본 발명은, 한편으로는, 차량용 연료 탱크(a vehicle fuel tank)로부터 대기로, 보다 정확하게는 탄소 캐니스터(a carbon canister)와 같은 증기 회수 장치(a vapor recovery system)로 연료 증기를 배출시키고, 다른 한편으로는, 어떤 상황하에서 밸브의 폐쇄를 확실히 하도록 설계된 롤 오버 벤트 밸브(a roll over vent valve)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상황은, 탱크의 과도한 충전의 결과로 연료가 밸브 속으로 통과할 때나, 그리고 가장 중요하게는, 예를 들어, 차량이나 탱크가 전복될 때와 같이 탱크 상태의 급격한 변화의 결과로 연료가 다른 열린 밸브를 통하여 탱크로부터 유출될 수 있을 때 일어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밸브는 또한 상당히 높은 유속에서 연료 탱크를 통기 시킨다.
다양한 롤 오버 벤트 밸브가 잘 알려져 있는데, 그에 대한 예들이 특히 미합중국 특허 제5,313,977호 및 제5,738,132호에 기술되어있다.
특히 커다란 벤트 틈새(vent outlet aperture)를 갖는 이러한 알려진 롤 오버 벤트 밸브에, 생기는 문제는 연료 액위가 떨어질 때 또는 차량 및 자동차용 연료 탱크가 정상적인 상태를 회복할 때, 밸브의 확실한 개방을 확보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상기 벤트 배출 틈새가 클수록 밸브에 더 큰 압력 차이(differential pressure)가 가해지고, 결과적으로, 밸브에 유효하게 작용하는 닫는 힘이 더 커진다.
이전 기술의 밸브에서 발생할 수도 있는 다른 문제는 연료 탱크 내의 압력 강하로 연료 탱크가 손상(예를 들면, 연료탱크의 균열)될 수 있다는 것이다. 그 때문에, 상당히 저속에서라도, 연료 탱크를 통기 시키는 유출 틈새(a bleed aperture)를 형성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연료 탱크 내의 압력 강하는 늘어난 연료 소비(fuel consumption)(예를 들면 차량의 가속 동안)의 결과로서 방출하는 동 안 및 온도의 하강 및 압력 변화 동안(예를 들면 고도의 변화)에 발생할 수 있다.
그것은 연료 탱크가 손상과 그에 따른 환경문제의 위험을 최소화하도록, 상당히 높은 유속에서, 연료 탱크 내의 압력이 감소할 때 연료 탱크의 신속한 통기에 적합한 밸브 수단을 갖춘 연료 탱크를 제공하는 것이 현재 많은 제조사의 요구이다.
상기 문제에 초점을 맞추어, 압력 유지 장치가 있는 유형의, 개선된 롤 오버 벤트 밸브를 제공하는 것이 본 발명의 목적이다.
본 발명은, 연료 밸브의 배출 포트(an outlet port)가 예를 들어 연료 캐니스터와 같은, 연료 처리 장치(a fuel treating device)에 전형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연료 탱크 안에 설치하기 위한 연료 밸브를 요구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밸브는 연료 탱크 안의 역압(under-pressure) (진공)에서 상기 연료 탱크를 통기시킬 수 있도록 설계되고, 그 때문에 심각한 안전 및 문제를 일으키는 연료 누출을 유발할 수 있는 연료탱크의 손상(용접부위의 요동, 균열, 벌어짐, 등.)을 막는다.
연료 탱크 내의 역압은 예를 들어 자동차용 엔진에 의한 늘어난 연료 소비량 (예를 들면 가속 또는 오르막을 오름), 상기 연료 탱크가 냉온에서 수축할 수 있는 온도 변화, 또는 다른 고도에서 압력 변화, 등에 기인하여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서, 유체 입구와 유체 출구를 형성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배출 틈새(an outlet aperture)에 인접하는 밸브 시팅(valve seating), 밀봉 부재(floating member)가 상기 배출 틈새의 밸브 시팅을 밀봉하도록 지탱하며 상기 유체 출구를 밀봉하는 밀봉 위치와 상기 밀봉 부재가 상기 밸브 시팅에서 이탈하여 상기 유체 출구가 상기 유체 입구와 유체 연통하게 하는 개방 위치 사이에서 축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으며 상기 하우징 내에 수용되는 플로트 부재(a float member); 상기 밸브 시팅과 상기 유체 출구의 중간까지 확장하며, 상기 유체 입구와 상기 유체 출구의 압력차가 최저 압력 임계치(threshold)를 초과하지 아니하는 한 상기 유체 입구와 상기 유체 출구 간의 흐름을 차단하는 압력 유지 장치를 포함하는 롤 오버 벤트 밸브에 있어서, 상기 밸브가, 상기 유체 입구에서 역압(under-pressure)이 걸리는 경우에 상기 유체 입구 쪽으로 유체가 흐르도록 상기 유체 출구와 유체 연통하는 일방향 유체 인입 밸브(a one-way fluid inlet valve)를 추가로 더 포함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롤 오버 벤트 밸브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실시 태양의 따라, 상기 일방향 유체 인입 밸브는 상기 유체 출구와 유체 연통하는 인입 포트(inlet port) 및 상기 유체 입구와 유체 연통하는 배출 포트의 형태이고, 케이지 내에 수용되고 유체 입구에서 역압 상태로 인입 포트의 밀봉 연결(sealing engagement) 위치와 인입 포트의 밀봉 이탈(sealing engagement) 위치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는 밀봉 부재 내부에서 형성된 케이지(a cage)의 형태이다.
한 특정한 설계에 의해, 상기 일방향 유체 인입 밸브의 밀봉 부재는 유체 입구에서 역압이 걸리는 경우에 상기 인입 포트를 통한 흐름 단면적이 증가하도록 가요성 실(flexible seal)이 인입 포트로부터 이탈하고 변형되는 가요성 실이다.
한 특정한 설계에 따라, 상기 밸브의 설계는 일방향 유체 인입 밸브의 인입 포트가 압력 유지 장치 위에 있는 벤팅 덕트(venting duct)를 통하여 상기 밸브의 유체 출구와 유체 연통한다. 상기 압력 유지 장치는 디스크 타입 압력 리테이너(a disc-type pressure retainer) (스프링 바이어스되거나 그렇지 않음), 볼 타입 압력 리테이너(a ball-type pressure retainer), 또는 다른 어떤 적당한 압력 유지 장치일 수 있다.
상기 케이지의 인입 포트는 상기 하우징의 벽 부분에 형성되고 상기 케이지의 배출 포트(outlet port)는 하우징에 고정된 케이지 끝 부분(closure)에 형성되고, 상기 배출 포트는 밸브의 유체 입구와 유체 연통한다.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태양에 따른, 상기 일방향 유체 인입 밸브는 상기 밸브의 세로축에 대해 치우치게 뻗어 있도록 설계된다.
상기 일방향 유체 인입 밸브는 하우징 내의 플로트 부재의 위치와 무관하게 밀봉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일방향 밸브는 만약 상기 플로트 부재가 최상의 밀봉된 상태, 즉 상기 밀봉 부재가 출구의 밸브 시팅을 밀봉하도록 지지하거나, 또는 상기 플로트 부재가 상기 밀봉 부재가 상기 밸브 시팅에서 이탈된 플로트 부재의 개방 상태로 내려갈 때인지와 무관하게 연료 탱크를 벤트시키기 위해 개방할 수 있다.
상기 일방향 유체 인입 밸브는 약 4 l/min에 이르는 상당히 높은 유량으로 벤트하도록 설계된다.
상기 배치는 상기 일방향 유체 인입 밸브가 차량이 전복될 경우 자연적으로 밀봉되도록 한다.
먼저 도1를 참조하면, 전체적으로 10으로 지시된 본 발명에 따른 밸브의 사시도가 예시되었는데, 상기 밸브는 연료탱크의 상부 벽에서 돌출된 단지 하나의 상단 헤드 부분(16)을 갖고, 상단 헤드 부분에서 확장되고 캐니스터(보이지 않음)와 같은 연료 증기 처리 장치와 연결할 수 있는 연료 배출 노즐(18)을 갖는 연료 탱크(보이지 않음)의 상부 벽에 형성된 틈새(an aperture) 내에서 용접(열용접)하기에 적합한 플렌지가 붙은 상부 부분(14)으로 형성된 원통형 하우징(12)을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12)은 그 바닥 부분에 몇 개의 유체 인입 틈새(fluid inlet apertures)(22)로 형성된다.
이제 도2a를 참조하면, 상기 하우징(12) 내에서 사실상 충분히 이동할 수 있는 플로트 부재(26)가 있는데 플로트 부재(26)의 외면에 형성된 세로의 리브(ribs)(28) 및 상기 하우징(12)의 내면에 형성된 대응하는 리세스(recess)(32) 때문에 상기 플로트 부재(26)가 상기 하우징 내에서 각으로(회전하여) 옮기는 능력이 없이, 상기 하우징 내에서 오직 축 방향으로만 이동하는 것으로 제한된다.
상기 코일 스프링이 그 하부 말단에서 상기 하우징의 튜브형 스프링 서포트(a tubular spring support)(36)에 대하여 지지하고 그 상부 말단은 플로트 유지 실린더(a float retention cylinder)(40) 내의 스프링 시트(a spring seat)(38)에 대하여 지탱하며, 이로써 상기 플로트 부재(26)가 상부 방향으로 바이어스되는 코일 스프링(34)이 제공된다.
상기 하우징(12)의 수직 통로에 대하여 그리고 상기 플로트의 최상 부분(16)에 있는 공간(50)과 유체 연통하는 출구(48) 그리고 예를 들어 배출 노즐(18) (도1)에 대하여 한쪽으로 치우쳐진, 연장되고, 스트립(strip) 형태인, 가요성 막으로 이루어진 밀봉 부재(42)는 상기 플로트 부재(26)의 상부 벽에 대하여 고정 스터드(an anchoring stud)(46)에 의해 막의 한쪽 끝(44)에 고정된다. 유체 출구(48)는 스트립 형태인, 가요성 막으로 이루어진 밀봉 부재(42)에 의하여 밀봉되도록 연계될 수 있는 그 최하부 말단에 경사지고, 연장된 배출구 틈새(60)로 형성된 아래로 매달리는 밸브 시팅(56)을 갖는다.
플로트 부재(26)는 상기 플로트 부재(26)의 고유한 부력과 함께 작용하는 압축 스프링(34)에 의해 상기 유체 출구의 밀봉된 연계로 위로 편향된다. 이러한 위를 향하는 힘(부력 및 스프링 바이어스)은 도3a의 위치에서 보듯이 슬릿 형태의 배출 틈새(slit-like outlet aperture)(60)를 상기 밀봉하는 스트립 형태의 밀봉 부재(42)로 밀봉하는 경향이 있다.
추가로 보듯이, 상기 출구 챔버 내의 공간(50)은, 상기 유체 출구(48) 위로, 아래로 매달린 유출 깔때기(downwardly depending fluid outlet funnel) 형상의 유체 출구(48)의 시팅 림(72)에 대하여 정상적으로 지탱하는 압력 유지 디스크(70)를 포함한다. 상기 배치는 그 자체로 알려진 바와 같이, 상기 압력 유지 디스크(70)가 연료 탱크 내의 압력 증가를 감지하자마자 실링 과정을 차단하도록 상기 연료 탱크 내에 미리 정해진 압력 증가를 고려하여 (일반적으로 대략 3 내지 4 KPA, 보이지 않음) 상기 림(rim)(72)에 대해 밀봉하여 지탱하는 닫힌 상태(a closed position)(도3a 및 도3b)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연료 탱크 내의 압력이 미리 정해진 압력을 초과할 때, 상기 압력 유지 디스크(70)는 밀봉 림(sealing rim)(72)(도2b를 보라)에서 이탈되어, 배출 노즐(18)(도1)을 통하여 그리고 연료 처리 캐니스터 (보이지 않음) 속으로 연료 탱크로부터 압력을 방출하게 한다. 압력 유지 장치가 디스크 형태의 압력 유지기(a disc-type pressure retainer) (바이어스된 또는 그렇지 않은 스프링), 볼 형태의 압력 유지기(a ball-type pressure retainer), 또는 다른 적절한 압력 유지 장치가 될 수 있다는 것이 당업자에 의해 인식될 수 있다.
상기 깔때기 형태의 유체 출구(48)에 한쪽으로 치우쳐서 형성되고, 케이지(80) 내부에 공간(86)을 형성하는, 상부 벽 부분(82) 및 예를 들면 열용접, 음파 융접, 등에 의하여, 상부 벽 부분에 고정적으로 부착된 바닥 지지 부재(a bottom support member)(84)로 구성된 케이지 구조(a cage structure)(80)를 포함하는 일방향 유체 인입 밸브가 있다. 상기 케이지(80)는 상기 인입 포트(90)가 상기 밸브의 유체 배출 노즐(18)(도1)과 유체 연통하는 압력 유지 디스크(70) 위에 있는 벤팅 덕트(94)에 의하여, 상기 밸브의 상부 공간(50)과 유체 연통하는 인입 포트(90)로 형성된다. 배출 포트(98)는 상기 케이지(80)의 바닥 지지 부재(84) 안에 형성되고, 상기 배출 포트(98)는 상기 밸브의 상기 유체 인입 틈새(22)와 유체 연통한다.
상기 케이지(80) 내에서 유지되는, 상기 인입 포트(90)의 밀봉 연결 위치 (도2b) 및 상기 인입 포트의 이탈 위치 (도3b의 상태에서 보이듯이) 사이에서 상기 케이지(80) 내에서 이동할 수 있는 탄성 실(a resilient seal)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사각형이고 충분히 얇아서 가요성을 유지함)의 형태인 밀봉 부재(100)이 있다. 더욱이, 밀봉 부재의 탄성 때문에, 상기 밀봉 부재(100)는 상기 인입 포트(90)의 유효 단면적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상기 인입 포트(90)의 밀봉된 연결로부터 옮길 뿐 아니라 변형도 되어, 대략 분당 4 리터에 달하는 유량으로, 상기 밸브 속으로 들어가고 그리고 결과적으로 연료 탱크(보이지 않음) 속으로의 유량을 증가시킨다.
상기 밸브의 정상 조건에서, 상기 밸브가 상기 연료 탱크 내에 설치되고, 관련 차량과 함께 연료 탱크가 수직 상태에 있을 때, 상기 밸브는 도면의 도2a의 상태에서 보인바, 즉 상기 플로트 부재(26)는 최대 중력이 상기 플로트 부재(26)에 작용하여 상기 유체 출구(48)로부터 이탈된다. 그 결과, 상기 플로트 부재(26)의 무게는, 위를 향한 부력이 없는 것과 함께, 압축 스프링(34)의 위를 향한 바이어스 효과를 극복하고 따라서 상기 플로트 부재(26)는 유체 출구(48)가 완전히 개방됨으로써 연료 증기 등의 벤트를 허용하면서 도면 중 도2a의 위치에 놓인다. 그러나 도2a의 위치에서, 그리고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압력 유지 디스크(70)는, 당해 기술 분야에서 알려진바, 연료 펌프(보이지 않음)를 차단하고 연료 보급을 막도록 연료 탱크 내에 형성된 압력(약 3 내지 4 KPA에서)을 허용하기 위하여 닫힌 위치, 즉 밀봉 림(72)을 지탱한다.
그러나 연료 탱크의 과잉 충전의 결과 밸브로 연료가 들어감으로써, 상기 플로트 부재(26)에 작용하는 상향의 부력이 증가하거나, 차량 및 연료 탱크의 부분적인 또는 전체적 전복의 결과로, 양자 모두 연료의 하우징으로 주입되고 하향 중력이 감소될 때, 어쩌면 부력의 증가와 함께 압축 스프링(34)의 상향 바이어스(biasing) 효과는 도3a에 나타나듯이 상기 플로트 부재(26)의 닫힌 위치로의 상 향 이동을 초래한다. 이렇게 하여, 전복 또는 상기 밸브 하우징(12)으로 과량의 연료가 흘러들어 갈 때, 상기 밸브(10)가 연료의 누출을 막기 위해 닫히는 것이 보증된다.
상기 연료 탱크가 정상적인 위치로 들어가거나 또는 상기 연료 탱크 내의 액위가 감소할 때, 꾸준히 증가하는 플로트 부재(26)에 대한 중력의 효과는 꾸준히 감소하는 하향의 부력 및 상기 플로트 부재(26)가 밀봉 부재(42)의 점진적 탈착과 함께 하향으로 움직이는 경향이 있는 상기 코일 스프링(34)의 바이어스 효과(biasing effect)를 극복한다.
이제 도2b 및 도3b를 자세히 참고하면, 상기 일방향 유체 인입 밸브가 본 발명의 롤 오버 벤트 밸브와 어떻게 협력하는지 예시된다. 상기 밸브의 정상 조건에서, 연료 탱크의 압력 내부의 미리 정해진 압력 값(즉 상기 연료 탱크가 역압(진공)이 아닌 한; 이미 위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연료의 재보급을 막기 위하여 약 3 내지 4 KPA에 달하는 초과 압력이 바람직하다) 내에서 유지될 때 상기 밀봉 부재(100)는 도2b의 밀봉된 상태, 즉 밸브를 통한 유체 흐름을 막기 위해 인입 포트(90)를 밀봉하여, 양 방향으로, 압력 유지 디스크와 함께 위에서 논의된 바대로 상기 롤 오버 벤트가 작용한다. 케이지(80)의 지지 부재의 구조와 더불어 상기 밀봉 부재(100)의 탄성은 상기 일방향 유체 인입 밸브(도2b)의 상기 인입 포트(90)와 밀봉하여 연계되도록 상기 밀봉 부재(100)를 유지시키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연료 탱크 내의 압력 강하의 경우, 및 역압(연료 탱크 내의 압력 감소는, 예를 들면, 차량의 엔진에 의한 늘어난 연료 소비량 (예를 들면 가속 또는 오르막을 오름) 또는 상기 연료 탱크가 냉온에서 수축할 수 있는 온도의 변화, 또는 다른 고도에서 압력의 변화로 발생할 수 있다)의 경우에 상기 밀봉 부재(100)는 상기 인입 포트(90)(도3b)에서 분리되며 그리고 그것은 또한 상기 인입 포트(90)의 통과 흐름(throughflow) 단면적이 증가하도록 변형시키고, 예를 들면 분당 약 4 리터에 달하는, 상당히 높은 유량으로 상기 연료 탱크의 벤트를 허용한다. 그러나 상기 연료 탱크 내의 압력이 정상으로 회복할 때, 또는 초과 압력에서, 상기 일방향 유체 인입 밸브는 유체 배출이 상기 밸브(10)의 주 유체 출구(48)에 의하여 처리되는 닫힌 위치(도2)로 자연적으로 이동될 것이다.
실시태양이 보여지고 기술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본 발명의 개시를 제한하려는 것이 아니라, 반대로 필요한 변경을 가하여, 본 발명의 진의 및 범위에 속하는 모든 변형 및 조정을 포함하려는 것으로 이해되어야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밸브는 연료 탱크 안의 역압(under-pressure) (진공)에서 상기 연료 탱크를 벤트시킬 수 있도록 설계되고, 그 때문에 심각한 안전 및 문제를 일으키는 연료 누출을 유발할 수 있는 연료탱크의 손상(용접부위의 요동, 균열, 벌어짐, 등.)을 막는다.

Claims (12)

  1. 유체 입구와 유체 출구를 형성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배출 틈새(an outlet aperture)에 인접하는 밸브 시팅(valve seating), 밀봉 부재(floating member)가 상기 배출 틈새의 밸브 시팅을 밀봉하도록 지탱하며 상기 유체 출구를 밀봉하는 밀봉 위치와 상기 밀봉 부재가 상기 밸브 시팅에서 이탈하여 상기 유체 출구가 상기 유체 입구와 유체 연통하게 하는 개방 위치 사이에서 축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으며 상기 하우징 내에 수용되는 플로트 부재(a float member); 상기 밸브 시팅과 상기 유체 출구의 중간까지 확장하며, 상기 유체 입구와 상기 유체 출구의 압력차가 최저 압력 임계치(threshold)를 초과하지 아니하는 한 상기 유체 입구와 상기 유체 출구 간의 흐름을 차단하는 압력 유지 장치를 포함하는 롤 오버 벤트 밸브에 있어서, 상기 밸브가, 상기 유체 입구에서 역압(under-pressure)이 걸리는 경우에 상기 유체 입구 쪽으로 유체가 흐르도록 상기 유체 출구와 유체 연통하는 일방향 유체 인입 밸브(a one-way fluid inlet valve)를 추가로 더 포함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롤 오버 벤트 밸브.
  2. 제1항의 롤 오버 벤트 밸브에 있어서, 상기 일방향 유체 인입 밸브가 상기 유체 출구와 유체 연통하는 인입 포트(inlet port) 및 상기 유체 입구와 유체 연통하는 배출 포트 내에 형성된 케이지(cage)의 형태이고, 케이지 내에 수용되고 유체 입구에서 압력이 유체 출구에서 압력 이하로 감소할 때마다 인입 포트의 밀봉 연결(sealing engagement) 위치와 인입 포트의 밀봉 이탈(sealing engagement) 위치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는 밀봉 부재인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롤 오버 벤트 밸브.
  3. 제2항의 롤 오버 벤트 밸브에 있어서, 상기 일방향 유체 인입 밸브의 밀봉 부재가 유체 입구에서 역압이 걸리는 경우에 상기 인입 포트를 통한 흐름 단면적이 증가하도록 가요성 실(a flexible seal)이 인입 포트에서 이탈하고 변형되는 가요성 실인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롤 오버 벤트 밸브.
  4. 제2항의 롤 오버 벤트 밸브에 있어서, 상기 일방향 유체 인입 밸브의 인입 포트가 상기 압력 유지 장치 위에 있는 벤팅 덕트(venting duct)를 통하여 상기 밸브의 상기 유체 출구와 유체 연통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롤 오버 벤트 밸브.
  5. 제2항의 롤 오버 벤트 밸브에 있어서, 상기 케이지의 인입 포트는 상기 하우징의 벽 부분에 형성되고 상기 케이지의 배출 포트(outlet port)는 하우징에 고정된 케이지 끝 부분(closure)에 형성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배출 포트는 밸브의 유체 입구와 유체 연통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롤 오버 벤트 밸브.
  6. 제1항의 롤 오버 벤트 밸브에 있어서, 상기 일방향 유체 인입 밸브가 상기 밸브의 세로축에 대해 치우치게 뻗어 있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롤 오버 벤트 밸브.
  7. 제1항의 롤 오버 벤트 밸브에 있어서, 상기 일방향 유체 인입 밸브는 하우징 내의 플로트 부재의 위치와 무관하게 밀봉할 수 있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롤 오버 벤트 밸브.
  8. 제1항의 롤 오버 벤트 밸브에 있어서, 상기 일방향 유체 인입 밸브가 약 4 l/min에 이르는 상당히 높은 유량으로 벤트하도록 설계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롤 오버 벤트 밸브.
  9. 제1항의 롤 오버 벤트 밸브에 있어서, 상기 일방향 유체 인입 밸브가 차량이 전복될 경우 자연적으로 밀봉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롤 오버 벤트 밸브.
  10. 제2항의 롤 오버 벤트 밸브에 있어서, 상기 밀봉 부재가 직사각형 형태의 단면인 탄력 실(a resilient seal)인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롤 오버 벤트 밸브.
  11. 삭제
  12. 삭제
KR1020060109982A 2005-11-08 2006-11-08 롤 오버 벤트 밸브 KR10084652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IL17182205 2005-11-08
IL171822 2005-11-0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9588A KR20070049588A (ko) 2007-05-11
KR100846527B1 true KR100846527B1 (ko) 2008-07-15

Family

ID=377142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09982A KR100846527B1 (ko) 2005-11-08 2006-11-08 롤 오버 벤트 밸브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8109285B2 (ko)
EP (1) EP1782992B1 (ko)
JP (1) JP2007132514A (ko)
KR (1) KR100846527B1 (ko)
CN (1) CN100455862C (ko)
AT (1) ATE534543T1 (ko)
RU (1) RU2403482C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872037A4 (en) * 2005-04-20 2010-07-21 Be Intellectual Pty Inc VENTILATION VALVE FOR BEVERAGE PREPARATION DEVICES
US8109285B2 (en) * 2005-11-08 2012-02-07 Raval A.C.S. Ltd. Roll over vent valve
US7547300B2 (en) 2006-04-12 2009-06-16 Icu Medical, Inc. Vial adaptor for regulating pressure
US7883499B2 (en) 2007-03-09 2011-02-08 Icu Medical, Inc. Vial adaptors and vials for regulating pressure
WO2010022095A1 (en) 2008-08-20 2010-02-25 Icu Medical, Inc. Anti-reflux vial adaptors
CN101382208B (zh) * 2008-10-17 2010-06-02 汪永明 电机阀
US8342453B2 (en) * 2010-02-09 2013-01-01 Thunder Bay Aircraft Leasing Inc. System for airborne transport of flammable liquids
DE102010030456A1 (de) * 2010-06-23 2011-12-29 Alfmeier Präzision AG Baugruppen und Systemlösungen Entlüftungsventil
JP5897010B2 (ja) * 2010-09-02 2016-03-30 ラヴァル・エー・シー・エス・リミテッド ロールオーバー弁
BR112013019094B1 (pt) * 2011-01-31 2021-08-17 Raval A.C.S. Ltd Válvula de combustível anticapotamento
BR112013023008B1 (pt) 2011-03-14 2021-08-17 Raval A.C.S. Ltd Válvula de combustível
AU2012296495B2 (en) 2011-08-18 2016-03-10 Icu Medical, Inc. Pressure-regulating vial adaptors
US9360872B2 (en) * 2011-12-22 2016-06-07 Eaton Corporation Fuel tank vent valve assembly and method of assembly
ES2615823T3 (es) 2012-01-13 2017-06-08 Icu Medical, Inc. Adaptadores de vial reguladores de presión y métodos
AU2013204180B2 (en) 2012-03-22 2016-07-21 Icu Medical, Inc. Pressure-regulating vial adaptors
US9089475B2 (en) 2013-01-23 2015-07-28 Icu Medical, Inc. Pressure-regulating vial adaptors
AU2014209594B2 (en) 2013-01-23 2018-09-13 Icu Medical, Inc. Pressure-regulating vial adaptors
CN105722493B (zh) 2013-07-19 2019-10-11 伊库医学有限公司 压力调节流体输送系统和方法
US9456701B2 (en) * 2014-06-13 2016-10-04 Aeris Technology LLC Valve assembly for controlling fluid communication between fluid chambers, inflatable device, and method
WO2015195844A1 (en) 2014-06-20 2015-12-23 Icu Medical, Inc. Pressure-regulating vial adaptors
WO2017132588A1 (en) 2016-01-29 2017-08-03 Icu Medical, Inc. Pressure-regulating vial adaptors
CN105927789A (zh) * 2016-06-30 2016-09-07 锐嘉(宜兴)科技有限公司 灭菌设备泄压装置
CA3037577A1 (en) 2016-09-30 2018-04-05 Icu Medical, Inc. Pressure-regulating vial access devices and methods
CN106382170A (zh) * 2016-10-26 2017-02-08 江苏大学 一种具有自调节密封位置功能的内置坡度阀
CN108223868B (zh) * 2018-01-11 2023-09-26 何悦瑜 自动控制供水阀
JP2021011841A (ja) * 2019-07-04 2021-02-04 株式会社デンソー 蒸発燃料処理装置の密閉弁
US11932101B2 (en) * 2019-12-24 2024-03-19 Piolax, Inc. Valve device
DE102020207834A1 (de) * 2020-06-24 2021-12-30 Alfmeier Präzision SE Entlüftungsventil mit prallwand als schwappschutz
KR20230042772A (ko) * 2021-09-23 2023-03-3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 연료탱크의 연료 넘침 방지 장치
CN114526957A (zh) * 2022-02-28 2022-05-24 邢妍 一种企业用水质监测深层水体取样装置及其使用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53262A (en) * 1987-02-06 1988-06-28 G.T. Products, Inc. Fuel system vent valve having roll-over closure with improved re-opening action for venting
US4886089A (en) * 1988-05-27 1989-12-12 Gt Development Corporation Gas venting valve for liquid tank
JPH08254278A (ja) * 1995-01-25 1996-10-01 Raviv Precision Injection Molding 反転可能通気弁
KR19980043223A (ko) * 1996-12-02 1998-09-05 박병재 연료탱크의 연료누출방지장치
EP1782992A1 (en) * 2005-11-08 2007-05-09 Raval A.C.S. LTD Roll-over valve with underpressure security function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76256A (en) * 1970-08-14 1973-12-04 American Motors Corp Fuel evaporative control system
US3889710A (en) * 1972-11-07 1975-06-17 Julien H Brost Check valve with elastomeric valve element
IT971505B (it) * 1972-12-04 1974-05-10 Goglio L Valvola di degasamento per conte nitori flessibili a chiusura erme tica e contenitore corredato della valvola
JPS5845347Y2 (ja) 1981-09-17 1983-10-14 北海道水道機材株式会社 自動吸気弁
JPS59165346U (ja) 1983-04-20 1984-11-06 リズム自動車部品製造株式会社 吸排気弁付キヤツプ
IT208359Z2 (it) 1986-11-18 1988-05-28 Gilardini Spa Valvola di sicurezza per serbatoi di carburante per autoveicoli
JPH0452547Y2 (ko) 1988-09-30 1992-12-10
US4953583A (en) 1989-03-24 1990-09-04 Stant Inc. Tank pressure control valve
JPH03117857U (ko) 1990-03-16 1991-12-05
DE4213932C3 (de) 1992-04-28 1998-07-09 Kayser A Gmbh & Co Kg Tankentlüftungsventil
JPH06147045A (ja) 1992-10-30 1994-05-27 Toyoda Gosei Co Ltd 燃料遮断装置
US5313977A (en) 1992-11-12 1994-05-24 G. T. Products, Inc. Fluid-responsive vent control valve with peel-away opening action
US5590697A (en) 1994-08-24 1997-01-07 G. T. Products, Inc. Onboard vapor recovery system with two-stage shutoff valve
US5511581A (en) * 1994-10-31 1996-04-30 Ligh; Jone Y. Vent valve
US5623969A (en) * 1995-06-07 1997-04-29 B. Braun Medical Inc. Normally closed aspiration valve
US5566705A (en) 1995-06-30 1996-10-22 Stant Manufacturing Inc. Snap-closure float valve assembly
JP3585076B2 (ja) * 1996-07-30 2004-11-04 株式会社デンソー 燃料漏れ防止弁
US5927315A (en) 1996-12-02 1999-07-27 Hyundai Motor Company Fuel leakage prevention apparatus
JPH1113910A (ja) 1997-06-20 1999-01-22 Yoshinobu Toyomura 逆止弁機構
JP3914320B2 (ja) * 1998-01-26 2007-05-16 株式会社ミクニ 燃料遮断装置及びその燃料遮断装置の連結構造
JPH11247730A (ja) 1998-03-03 1999-09-14 Kyosan Denki Kk エバポ制御システム及びエバポ制御バルブ
DE19922453A1 (de) 1998-05-16 2000-01-27 Alfmeier Praezision Ag Roll-Over-Ventil
US6145539A (en) * 1999-04-12 2000-11-14 Snap-Tite Technologies, Inc. Balanced coupling with pressure bleed
US6561211B2 (en) * 2000-10-19 2003-05-13 Stant Manufacturing Inc. Fuel tank vent control valve
US6371146B1 (en) * 2000-11-07 2002-04-16 Eaton Corporation Peelaway type rollover valve element
JP2003026266A (ja) 2001-07-17 2003-01-29 Yushin Giken Kk 液体注出装置
JP2003113953A (ja) 2001-10-04 2003-04-18 Kyosan Denki Co Ltd 通気弁構造
US7017599B2 (en) * 2003-02-18 2006-03-28 Keefer Neal L Thermal relief ven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53262A (en) * 1987-02-06 1988-06-28 G.T. Products, Inc. Fuel system vent valve having roll-over closure with improved re-opening action for venting
US4886089A (en) * 1988-05-27 1989-12-12 Gt Development Corporation Gas venting valve for liquid tank
JPH08254278A (ja) * 1995-01-25 1996-10-01 Raviv Precision Injection Molding 反転可能通気弁
KR19980043223A (ko) * 1996-12-02 1998-09-05 박병재 연료탱크의 연료누출방지장치
EP1782992A1 (en) * 2005-11-08 2007-05-09 Raval A.C.S. LTD Roll-over valve with underpressure security function
JP2007132514A (ja) * 2005-11-08 2007-05-31 Raval Acs Ltd ロールオーバ通気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9588A (ko) 2007-05-11
RU2006133720A (ru) 2008-03-27
CN100455862C (zh) 2009-01-28
EP1782992A1 (en) 2007-05-09
ATE534543T1 (de) 2011-12-15
US8109285B2 (en) 2012-02-07
JP2007132514A (ja) 2007-05-31
RU2403482C2 (ru) 2010-11-10
CN1963275A (zh) 2007-05-16
EP1782992B1 (en) 2011-11-23
US20070102043A1 (en) 2007-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46527B1 (ko) 롤 오버 벤트 밸브
US5028244A (en) Tank venting control valve assembly
US5669361A (en) Vehicle refueling valve
US4991615A (en) Tank pressure control apparatus
KR100979843B1 (ko) 연료 탱크용 이중 기능 밸브
JP4534841B2 (ja) 燃料遮断弁
KR20070089859A (ko) 증기 회수 콘트롤 밸브
JP5678346B2 (ja) 燃料蒸気排出バルブ組立体
RU2439410C2 (ru) Топливный продувочный клапан и топливный бак, снабженный этим клапаном
US20050126633A1 (en) Fill limit vent valve
JP2007009906A (ja) 燃料タンク用ベントバルブ及び燃料ポンプモジュール
KR101909759B1 (ko) 롤 오버 밸브
EP1731343A2 (en) Roll-over valve with a shared overfill protection and vacuum relief system
US5044397A (en) Tank pressure control apparatus
IL112444A (en) Roll over vent valve
JP3909837B2 (ja) 燃料タンクの燃料流出規制装置
KR101928855B1 (ko) 연료 밸브
JP5467434B2 (ja) ベントバルブ
US6758235B2 (en) Vapor control valve with a metallic sealing element
JP2000034958A (ja) 液体タンク用安全弁
JP6620511B2 (ja) 燃料タンク用通気制御弁
KR101436180B1 (ko) 액체 탱크 벤트 시스템
KR100666324B1 (ko) 롤 오버 배출 밸브
JPH08291875A (ja) 止め弁の構造
JP3994286B2 (ja) 燃料タンクの液面検知バルブ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1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0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