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45295B1 - 폴리머 막 - Google Patents

폴리머 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45295B1
KR100845295B1 KR1020027014744A KR20027014744A KR100845295B1 KR 100845295 B1 KR100845295 B1 KR 100845295B1 KR 1020027014744 A KR1020027014744 A KR 1020027014744A KR 20027014744 A KR20027014744 A KR 20027014744A KR 100845295 B1 KR100845295 B1 KR 1008452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al
polymer
complex
acid
membra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147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16253A (ko
Inventor
조헨 케레즈
Original Assignee
헤링, 리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PCT/DE2001/000624 external-priority patent/WO2001061908A1/de
Application filed by 헤링, 리마 filed Critical 헤링, 리마
Publication of KR200300162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162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52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52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20Manufacture of shaped structures of ion-exchange resins
    • C08J5/22Films, membranes or diaphrag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7/00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 B01D67/0081After-treatment of organic or inorganic membranes
    • B01D67/0093Chemical modification
    • B01D67/00933Chemical modification by addition of a layer chemically bonded to the membra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7/00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 B01D67/0081After-treatment of organic or inorganic membranes
    • B01D67/0093Chemical modific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7/00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 B01D67/0002Organic membrane manufacture
    • B01D67/0009Organic membrane manufacture by phase separation, sol-gel transition, evaporation or solvent quenching
    • B01D67/0011Casting solution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7/00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 B01D67/0002Organic membrane manufacture
    • B01D67/0009Organic membrane manufacture by phase separation, sol-gel transition, evaporation or solvent quenching
    • B01D67/0011Casting solutions therefor
    • B01D67/00111Polymer pretreatment in the casting solu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7/00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 B01D67/0039Inorganic membrane manufacture
    • B01D67/0048Inorganic membrane manufacture by sol-gel tran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9/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structure or properties;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9/14Dynamic membranes
    • B01D69/141Heterogeneous membranes, e.g. containing dispersed material; Mixed matrix membr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9/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structure or properties;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9/14Dynamic membranes
    • B01D69/141Heterogeneous membranes, e.g. containing dispersed material; Mixed matrix membranes
    • B01D69/1411Heterogeneous membranes, e.g. containing dispersed material; Mixed matrix membranes containing dispersed material in a continuous matrix
    • B01D69/14111Heterogeneous membranes, e.g. containing dispersed material; Mixed matrix membranes containing dispersed material in a continuous matrix with nanoscale dispersed material, e.g. nanop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71/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71/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71/06Organic material
    • B01D71/52Polyeth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71/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71/06Organic material
    • B01D71/52Polyethers
    • B01D71/522Aromatic polyethers
    • B01D71/5222Polyetherketone, polyetheretherketone, or polyaryletherketo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71/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71/06Organic material
    • B01D71/66Polymers having sulfur in the main chain, with or without nitrogen, oxygen or carbon only
    • B01D71/68Polysulfones; Polyethersulfo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71/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71/06Organic material
    • B01D71/76Macromolecular material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in a single one of groups B01D71/08 - B01D71/74
    • B01D71/80Block 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71/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71/06Organic material
    • B01D71/76Macromolecular material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in a single one of groups B01D71/08 - B01D71/74
    • B01D71/82Macromolecular material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in a single one of groups B01D71/08 - B01D71/74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specified groups, e.g. introduc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20Manufacture of shaped structures of ion-exchange resins
    • C08J5/22Films, membranes or diaphragms
    • C08J5/2206Films, membranes or diaphragms based on organic and/or in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J5/2275Heterogeneous membr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B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COMPOUNDS OR NON-METALS; APPARATUS THEREFOR
    • C25B13/00Diaphragms; Spacing elements
    • C25B13/04Diaphragms; Spac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0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 H01M8/1016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yte material
    • H01M8/1018Polymeric electrolyte materials
    • H01M8/102Polymeric electrolyte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chemical structure of the main chain of the ion-conducting polymer
    • H01M8/1025Polymeric electrolyte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chemical structure of the main chain of the ion-conducting polymer having only carbon and oxygen, e.g. polyethers, sulfonated polyetheretherketones [S-PEEK], sulfonated polysaccharides, sulfonated celluloses or sulfonated polyest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0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 H01M8/1016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yte material
    • H01M8/1018Polymeric electrolyte materials
    • H01M8/102Polymeric electrolyte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chemical structure of the main chain of the ion-conducting polymer
    • H01M8/1027Polymeric electrolyte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chemical structure of the main chain of the ion-conducting polymer having carbon, oxygen and other atoms, e.g. sulfonated polyethersulfones [S-P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0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 H01M8/1016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yte material
    • H01M8/1018Polymeric electrolyte materials
    • H01M8/102Polymeric electrolyte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chemical structure of the main chain of the ion-conducting polymer
    • H01M8/103Polymeric electrolyte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chemical structure of the main chain of the ion-conducting polymer having nitrogen, e.g. sulfonated polybenzimidazoles [S-PBI], polybenzimidazoles with phosphoric acid, sulfonated polyamides [S-PA] or sulfonated polyphosphazenes [S-PPh]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0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 H01M8/1016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yte material
    • H01M8/1018Polymeric electrolyte materials
    • H01M8/102Polymeric electrolyte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chemical structure of the main chain of the ion-conducting polymer
    • H01M8/1032Polymeric electrolyte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chemical structure of the main chain of the ion-conducting polymer having sulfur, e.g. sulfonated-polyethersulfones [S-P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0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 H01M8/1016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yte material
    • H01M8/1018Polymeric electrolyte materials
    • H01M8/1041Polymer electrolyte composites, mixtures or blen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0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 H01M8/1016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yte material
    • H01M8/1018Polymeric electrolyte materials
    • H01M8/1041Polymer electrolyte composites, mixtures or blends
    • H01M8/1046Mixtures of at least one polymer and at least one additive
    • H01M8/1048Ion-conducting additives, e.g. ion-conducting particles, heteropolyacids, metal phosphate or polybenzimidazole with phosphoric aci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0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 H01M8/1016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yte material
    • H01M8/1018Polymeric electrolyte materials
    • H01M8/1069Polymeric electrolyte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manufacturing processes
    • H01M8/1072Polymeric electrolyte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manufacturing processes by chemical reactions, e.g. insitu polymerisation or insitu crosslinking
    • H01M8/1074Sol-gel proces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0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 H01M8/1016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yte material
    • H01M8/1018Polymeric electrolyte materials
    • H01M8/1069Polymeric electrolyte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manufacturing processes
    • H01M8/1081Polymeric electrolyte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manufacturing processes starting from solutions, dispersions or slurries exclusively of polym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0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 H01M8/1016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yte material
    • H01M8/1018Polymeric electrolyte materials
    • H01M8/1069Polymeric electrolyte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manufacturing processes
    • H01M8/1086After-treatment of the membrane other than by polymerisation
    • H01M8/1088Chemical modification, e.g. sulfon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23/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preparation
    • B01D2323/08Specific temperatures appli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23/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preparation
    • B01D2323/12Specific ratios of components us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23/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preparation
    • B01D2323/26Spraying process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79/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nitrogen with or without oxygen, or carbon only,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J2361/00 - C08J2377/00
    • C08J2379/04Polycondensates having nitrogen-containing heterocyclic rings in the main chain; Polyhydrazides; Polyamide acids or similar polyimide precursors
    • C08J2379/06Polyhydrazides; Polytriazoles; Polyamino-triazoles; Polyoxadiazo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50Fuel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tallurgy (AREA)
  • Nanotechnology (AREA)
  • Manufacture Of Macromolecular Shaped Articles (AREA)
  • Conductive Materials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 Fuel Cell (AREA)
  • Treatments Of Macromolecular Shaped Articles (AREA)
  • Cell Separator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Preparing Plates And Mask In Photomechanical Process (AREA)
  • Secondary Cells (AREA)
  • Polymers With Sulfur, Phosphorus Or Metals In The Main Chain (AREA)
  • Other Resins Obtained By Reactions Not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음의 조성을 갖는 신규한 유기/무기 하이브리드 막이다:
-SO3H, -PO3H2, -COOH 또는 B(OH)2 그룹을 함유하는 폴리머산;
측쇄(side chain) 또는 주쇄(main chain)의 어느 한 쪽에 제1차, 제2차 또는 제3차 아미노 그룹, 피리딘 그룹, 이미다졸, 벤즈이미다졸, 트리아졸, 벤조트리아졸, 피라졸 또는 벤즈피라졸 그룹을 함유하는 폴리머염기(선택적);
상기 언급한 염기성 그룹을 함유하는 추가 폴리머염기(선택적);
막 형성 공정동안, 원소 유기화합물 및/또는 금속 유기화합물의 가수분해 및/또는 졸-겔 반응 및/또는 산성, 알칼리 또는 중성의 수성 전해질에서의 막의 재처리에 의해 얻어진 원소옥시드 또는 원소히드록시드 또는 금속 옥시드 또는 금속 히드록시드.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막의 제조방법 및 상기 타입의 막의 다양한 용도에 관한 것이다.
폴리머 막

Description

폴리머 막{Polymer Membranes}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폴리머산, 하나 이상의 폴리머염기, 및 나노분산된 원소 옥시드(element oxide), 나노분산된 금속 옥시드, 및 나노분산된 금속 히드록시드 중의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신규한 복합체 또는 복합체막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특히 다음의 조성을 갖는 신규한 유기/무기 하이브리드 막에 관한 것이다:
ㆍ -SO3H, -PO3H2, -COOH 또는 B(OH)2 그룹을 함유하는 폴리머산
ㆍ 측쇄(side chain) 또는 주쇄(main chain)의 어느 한 쪽에 제1차, 제2차, 또는 제3차 아미노 그룹, 피리딘 그룹, 이미다졸, 벤즈이미다졸, 트리아졸, 벤조트리아졸, 피라졸 또는 벤즈피라졸 그룹을 함유하는 폴리머 염기(선택적).
ㆍ 상기 언급한 염기 그룹을 함유하는 추가적인 폴리머 염기(선택적).
ㆍ 막 형성 공정 중에 원소유기(elementorganic) 및/또는 금속유기(metalorganic) 화합물의 가수분해 및/또는 졸-겔 반응, 및/또는 수성의 산성, 알칼리성 또는 중성 전해질에서의 막의 후처리에 의해 얻어진 원소(element) 또는 금속(metal) 옥시드(oxide) 또는 히드록시드(hydroxide).
본 발명은 또한 상기 막의 제조방법 및 이러한 타입의 막의 다양한 용도에 관한 것이다.
이오노머(ionomer)/무기 하이브리드 복합체에 관한 선행기술은 유기폴리머, 특히 나피온(Nafion)®(Organic-inorganic hybrid materials: perfluorinated ionomers as sol-gel polymerization templates for inorganic alkoxides K.A.Mauritz Mat. Sci. Eng. C 6 (1998) 121-133)과 같은 이오노머 분야에서의 졸/겔 기술 수행의 선구자 중 하나인 Mauritz의 개설에 공지되어 있다. 상기 공정의 핵심은 이온적으로 기능화된 유기폴리머의 매트릭스안에서 원소유기 또는 금속유기 화합물의 원소 또는 금속 옥시드 또는 히드록시드 네트워크로의 가수분해이다.
상기 문건에 기술된 시스템의 실시예는 다음과 같다.
(a) 나피온®을 물 및 알코올에서 미리 부풀리고 난 후 테트라에톡시실란(TEOS)/알코올 용액에 담근다. 나피온막의 클러스터(cluster)와 그 후의 졸-겔 반응이 술폰산안에서 술폰산 양성자 촉매에 의하여 TEOS로부터 물을 함유하는 SiO2/OH 네트워크로 발생한다("나노복합체")(Microstructural evolution of a Silicon Oxide Phase in a Perfluorosulfonic Acid ionomer by an In Situ Sol-Gel Reaction, K.A.Mauritz, I. D. Stefanithis, S.V.Davis, et al. J. Appl. Polym. Sci. 55, 181-190(1995)).
(b) 나피온®을 물 및 알코올에서 미리 부풀리고 난 후, Zr(OBu)4의 알코올 용액에 담근다. 나피온막의 클러스터와 그 후의 졸-겔 반응이 술폰산안에서 술폰산 양성자 촉매에 의하여 Zr(OBu)4로부터 물을 함유하는 ZrO2 네트워크로 발생한다("나노복합체")(Asymmetric Nafion/(Zirconium Oxide)Hybrid Membranes via In Situ Sol-Gel Chemistry, W.Apichatachutapan, R. B. Moore, K. A. Mauritz, J. Appl.Polym.Sci.62, 417-426(1996)).
(c) 나피온 술포닐 플루오리드(nafion sulfonyl fluoride)전구체 막은 퍼플루오로히드로페난트렌(perfluorohydrophenanthrene)에서 미리 부풀리고 난 후, 3-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3-aminopropyltriethoxysilane)에 담근다. 그 후, 잔여 실란은 에탄올로 세정한다. 하이브리가 생성되고, 여기에서, 폴리머와 부분적으로 가교된 SiO2-네트워크가 상기 실란의 가수분해 및 상기 실란과 SO2F-그룹과의 반응에 의하여 막 매트릭스안에 형성된다(Chemical modification of a nafion sulfonyl fluoride precursor via in situ sol-gel reactions, A. J. Greso, R. B. Moore, K. M. Cable, W. L. Jarrett, K. A. Mauritz, Polymer 38, 1345-1356(1997).
(d) Zn2+ 형태의 서린(Surlyn)® 이오노머 막은 1-프로판올에서 부풀리고 난 후, H2O/TEOS 혼합물에 담근다. 그 후 졸-겔 반응이 술폰산 양성자 촉매에 의하여 막 매트릭스안에서 TEOS로부터 물을 함유하는 SiO2/OH 네트워크로 발생한다("나노복합체")(Surlyn®/[Silicon Oxide] Hybrid Materials. 2. Physical Properties Characterization, D. A. Siuzdak, K. A. Mauritz, J. Polym. Sci. Part B: Polymer Physics, 37, 143-154(1999)).
공지 시스템 (a) 내지 (d)의 불이익은 졸-겔 반응이 이미 형성된 막에서 발생하고, 그 결과, 가수분해에 의하여 형성된 무기 폴리머상의 폴리머 복합체의 함량을 임의로 조절할 수 없다는 것이다.
또한 비이온폴리머 및 금속 또는 원소 옥시드의 하이브리드 시스템이 상기 문건에 기술되어 있다:
(e) 폴리(n-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폴리머 용액의 알코올 용액에 가해진 티타늄 알콕시드의, 용매 증발후, 폴리머 매트릭스안에서의 수증기 가수분해에 의해 만들어진 폴리(n-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및 티타늄옥시드의 복합체. (Novel Poly(n-Butyl Methacrylate)/Titanium Oxide Alloys Produced by the Sol-Gel process for Titanium Alkoxides, K. A. Mauritz, C. K. Jones, J. Appl. Poly. Sci. 40, 1401-1420(1990)).
(f) 0.15M의 HCl 용액을 가하여 NMP에서의 폴리에테르이미드 Ultem®의 용액의 TEOS의 가수분해에 의하여 만들어진 폴리에테르이미드 및 나노분산된 실리시움옥시드(silicium oxide)의 복합체막. 가수분해후 밀집되거나 상역전된 막이 상기 폴리머용액으로부터 만들어진다. 무기상과 유기상간의 융합성(compatibility)은 3-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AS)를 별도로 추가함으로서 얻는다(Membranes of poly(ether imide) and nanodispersed silica, S. P. Nunes, K. V. Peinemann, K, Ohlrogge, A. Alpers, M. Keller, A. T. N. Pires, J. Memb. Sci. 157(1999)219-226)).
상기 시스템들은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은 유사한 불리한 점들을 나타낸다.
기술한 내용에서 보여주듯이, 이미 다수의 순수 유기 양성자 전도막 및 무기 첨가제가 구비된 양성자전도막이 개시되어 있지만, 이들 시스템 및 막 모두는 열안정성 및 기계적 안정성이 좋지 않고, 이는 특히 온도가 100℃ 를 넘는 영역에 충격을 준다.
발명의 간단한 설명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폴리머산, 하나 이상의 폴리머염기, 및 나노분산된 원소 옥시드(element oxide), 나노분산된 금속 옥시드, 및 나노분산된 금속 히드록시드 중의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신규한 복합체(composites) 또는 복합체막(composite membrane)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특히, 하나 이상의 폴리머산, 하나 이상의 폴리머염기, 및 나노분산된 원소 인산염(element phosphate), 나노분산된 금속 인산염(metal phosphate), 나노분산된 수소인산염, 및 나노분산된 이수소인산염 중의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복합체 또는 복합체막을 제공한다.
하나의 구체예에서, 상기 폴리머산은 아릴 주쇄(aryl main chain)폴리머이고, 산성그룹으로서 -SO3H, -PO3H2, -COOH 또는 B(OH)2 또는 이들의 염을 포함하고, 폴리에테르술폰, 폴리술폰, 폴리페닐 술폰, 폴리에테르 에테르 술폰, 폴리에테르 케톤, 폴리에테르 에테르 케톤, 폴리페닐렌 에테르, 폴리디페닐페닐렌 에테르, 폴리페닐렌 설피드의 그룹으로부터 선택되고, 또는 상기 구성성분 중 적어도 하나를 함유하는 코폴리머(copolymer)이다.
또 하나의 구체예에서, 상기 폴리머염기는 측쇄(side chain) 또는 주쇄의 어느 한 쪽에 제1차, 제2차 또는 제3차 아미노 그룹, 피리딘 그룹, 이미다졸, 벤즈이미다졸, 트리아졸, 벤조트리아졸, 피라졸 또는 벤즈피라졸 그룹을 함유한다.
또 하나의 구체예에서, 상기 복합체 또는 막은 복합체(막) 형성 공정이 수행된 후 가수분해에 의해, 및/또는 졸 겔 반응에 의하여 얻어진 염, 원소 옥시드 또는 금속 옥시드 또는 금속 히드록시드를 포함하고, 용매의 제거 전에 상기 염, 원소 옥시드 또는 금속 옥시드 또는 금속 히드록시드의 전구체(precursor)(들)이 상기 폴리머산 및 폴리머염기(들)에 첨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전구체는 바람직하게는: Ti, Zr, Sn, Si, B, Al의 금속/원소 알콕시드/에스테르; 금속 아세틸아세토네이트(metal acetylacetonate), 예를 들어, Ti(acac)4, Zr(acac)4; 금속/원소 알콕시드 및 금속 아세틸아세토네이트의 혼합 화합물, 예를 들어 Ti(acac)2(OiPr)2 등; 및 Ti, Zr, Sn, Si, B, Al의 유기 아미노 화합물, 로부터 선택된다.
상기 복합체는 추가로 공유 가교(covalently crosslinked)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또한 인산(phosphoric acid)으로 후처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다른 구체예에서, 상기 복합체 또는 복합체막은 다음 그룹을 함유한다:
Figure 112007092093879-pct00006

본 발명은 또한 상기 복합체 또는 복합체막을 제조하는 하기의 방법을 제공한다:
다음의 성분:
-SO3X, -PO3X2, -COOX, 또는 B(OX)2 (X = H, 1가 또는 2가 또는 3가 또는 4가 금속양이온)을 가지는 폴리머산, 또는 산성그룹이 n-프로필아민 또는 트리에틸아민으로 중화된 -SO3H, -PO3H2, -COOH, 또는 B(OX)2를 가지는 폴리머산,
측쇄 및/또는 주쇄에 제1차, 제2차 또는 제3차 아미노그룹, 피리딘그룹, 이미다졸, 벤즈이미다졸, 트리아졸, 벤조트리아졸, 피라졸 또는 벤즈피라졸 그룹을 함유하는 적어도 하나의 폴리머염기, 및
Ti, Zr, Sn, Si, B, Al의 금속/원소 알콕시드/에스테르; 금속 아세틸아세토네이트(metal acetylacetonate), 예를 들어, Ti(acac)4, Zr(acac)4; 금속/원소 알콕시드 및 금속 아세틸아세토네이트의 혼합 화합물, 예를 들어 Ti(acac)2(OiPr)2 등; 및 Ti, Zr, Sn, Si, B, Al의 유기 아미노 화합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금속 또는 원소 유기 화합물,
들을 N-메틸피롤리디논(NMP), N,N-디메틸아세트아미드(DMAc), N,N-디메틸포름아미드(DMF), 디메틸설폭시드(DMSO) 또는 술포란(sulfolane)과 같은 이중극성-아프로틱(dipolar-aprotic) 용매안에서 혼합하여 폴리머 용액을 제공.
하나의 구체예에서, 상기 방법은 상기 폴리머 용액으로부터 패드(유리 또는 금속 피스(piece), 직물(fabric), 양모(fleece), 다공성(폴리머)막)상에 박막을 인출(draw)하고, 상기 용매는 증발되고, 상기 형성된 박막은 다음과 같이 후처리하고,
(1)T = 50 내지 100℃에서, 물 안에서
(2)T = 50 내지 100℃에서, 1 내지 100% 미네랄산(히드로 할로겐 산, 황산, 인산)안에서
(3)1 내지 50%의 수성염기(예를 들어, 암모니아 용액, 아민 용액, 소다 알칼리액(soda lye), 칼륨 알칼리액(potash lye), 탄산나트륨 용액, 수산화칼슘 용액, 수산화바륨 용액)안에서, 또는 무수 액체 아민 또는 상이한 액체 아민의 혼합물 안에서
(4)T = 50 내지 100℃에서, 물 안에서,
여기에서, 상기 후처리 단계의 순서는 변화될 수 있고, 또한 필요에 따라 단계(1) 및/또는 (2) 및/또는 (3)이 생략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복합체 또는 복합체막은, 전기화학적 방법으로 에너지를 생산하는데 사용되거나, 0 내지 180℃의 온도에서, 막 연료 전지(수소 또는 직접 메탄올 연료 전지)의 구성성분으로서 사용되거나, 전기 화학 전지에 사용되거나, 2 차 배터리에 사용되거나, 전기 분해 전지에 사용되거나, 또는 가스분리(gas separation), 퍼배이퍼레이션(pervaporation), 퍼스트랙션(perstraction), 역삼투(reverse osmosis), 전기투석(electrodialysis) 또는 확산투석(diffusion dialysis)과 같은 막 분리 공정에 사용될 수 있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추가로 무기 원소/금속 옥시드/히드록시드 상을 함유하는 양이온 교환 폴리머 및 염기성 폴리머의 혼합물의 신규한 복합체 또는 복합체막을 제공하는 것이고, 이는 다음과 같은 막 성질을 개선한다:
ㆍ기계적 안정성
ㆍ열안정성
ㆍ100℃ 초과 온도에서까지도 물 보유 능력의 개선, 이는 100℃초과 온도 범위에서의 막 연료 전지에서의 적용에 특히 중요하다.
상기 목적은 제 1 항의 복합체, 즉 하나 이상의 폴리머산, 하나 이상의 폴리머염기, 및 나노분산된 원소 옥시드(element oxide), 나노분산된 금속 옥시드, 및 나노분산된 금속 히드록시드 중의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신규한 복합체 또는 복합체막를 제공함으로써 해결된다.
또한, 본 발명의 방법은 상기 목적을 해결하는데 기여한다.
여기에서, 원소/금속 옥시드/히드록시드의 유기전구체는 폴리머 용액(알콕시드/에스테르, 아세틸아세토네이트 등)안으로 첨가된다.
이오노머안에서의 무기상의 형성은 막 형성후, 산성, 알칼리성 및/또는 중성의 수성 분위기에서, 가수분해에 의해 발생한다.
놀랍게도, Ti 디아세틸아세토네이트 디이소프로필레이트/이소프로판올을 염형태의 술폰화된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 sPEEK 및 NMP 또는 DMAc안의 염기성 폴리머(예를 들어, 폴리벤즈이미다졸 PBI 셀라졸(Celazol)®)의 용액안으로 첨가하면, Ti 디아세틸아세토네이트 디이소프로필레이트는 폴리머 용액안에서 가수분해하지 않고, 용매 증발시에 막 매트릭스를 형성하는 것을 발견하였다. 놀랍게도, 유기 Ti 화합물은 수성 잿물 및/또는 물 및/또는 산에서 졸/겔 반응을 통한 막의 연속적 후처리에 의하여 막 매트릭스안에서 나노분산된 티타늄 옥시드로 가수분해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막 매트릭스내의 상기 티타늄 옥시드는 EDX에 의하여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막 매트릭스내의 TiO2의 함량은 35중량% 까지 이를수 있다.
본 발명의 복합체는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고:
하나 이상의 폴리머산, 하나 이상의 폴리머염기, 및 나노분산된 원소 옥시드(element oxide), 나노분산된 금속 옥시드, 및 나노분산된 금속 히드록시드 중의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특히 i) 하나 이상의 폴리머산, ii) 하나 이상의 폴리머염기, 및 iii) 나노분산된 원소 인산염(element phosphate), 나노분산된 금속 인산염(metal phosphate), 나노분산된 수소인산염, 및 나노분산된 이수소인산염 중의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구체예에서, 상기 복합체는 하기를 포함한다:
ㆍ -SO3H, -PO3H2, -COOH 또는 B(OH)2 그룹을 갖는 폴리머산,
바람직하게는 아릴 주쇄 폴리머 뼈대(polymer backbone)를 가진다.
ㆍ (선택적으로) 측쇄 또는 주쇄의 어느 한 쪽에 제1차, 제2차 또는 제3차 아미노 그룹, 피리딘 그룹, 이미다졸, 벤즈이미다졸, 트리아졸, 벤조트리아졸, 피라졸 또는 벤즈피라졸 그룹을 가지는 하나 또는 두개의 폴리머염기
ㆍ 다음의 원소유기 및/또는 금속유기 화합물의 클래스의 가수분해에 의하여 얻어진 원소 또는 금속 옥시드 또는 히드록시드:
ㆍ Ti, Zr, Sn, Si, B, Al의 금속/원소 알콕시드/에스테르
ㆍ 금속 아세틸아세토네이트, 예를 들어, Ti(acac)4, Zr(acac)4
ㆍ 금속/원소 알콕시드 및 금속 아세틸아세토네이트의 혼합 화합물, 예를 들어 Ti(acac)2(OiPr)2
ㆍ Ti, Zr, Sn, Si, B, Al의 유기 아미노 화합물.
본 발명의 복합체는 막 형성 공정 중 및/또는 수성의 산성, 알칼리성 또는 중성 전해질에서의 막의 후처리에 의하여 생성가능하다.
하나의 측면에서, 본 발명의 복합체는 바람직하게는, 추가로 공유 가교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하나의 측면에서, 본 발명의 복합체는 바람직하게는, 인산(phosphoric acid)으로 후처리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후처리는,
(1)T = 50 내지 100℃에서, 물 안에서,
(2)T = 50 내지 100℃에서, 1 내지 100% 미네랄산(히드로 할로겐 산, 황산, 인산)안에서,
(3)1 내지 50%의 수성염기(예를 들어, 암모니아 용액, 아민 용액, 소다 알칼리액(soda lye), 칼륨 알칼리액(potash lye), 탄산나트륨 용액, 수산화칼슘 용액, 수산화바륨 용액)안에서, 또는 무수 액체 아민 또는 상이한 액체 아민의 혼합물 안에서,
(4)T = 50 내지 100℃에서, 물 안에서,
수행되고,
여기에서, 상기 후처리 단계의 순서는 변화될 수 있고, 또한 필요에 따라 단계(1) 및/또는 (2) 및/또는 (3)이 생략될 수 있다.
나노분산된 무기상이 본 발명의 막 매트릭스안으로 추가되기 때문에 본 발명 의 이오노머(혼합체)막의 특성 프로파일은 크게 개선된다.
본 발명의 신규한 무기/유기 하이브리드 산 염기 혼합막은 뛰어난 특성 프로파일을 나타낸다:
ㆍ 좋은 양성자 전도도
ㆍ 뛰어난 열안정성
ㆍ 뛰어난 기계적 안정성
ㆍ 제한된 팽창(swelling)
특히 T>100℃에서 막의 수분 보유 능력이 크게 개선된다. 이는 막 안에서 나노분산된 무기 성분의 분포를 보여주는 무기 옥시드/히드록시드에 의해 달성된다. 몇몇 공개문서(Comparison of Ethanol and Methanol Oxidation in a Liquid-Feed Solid Polymer Electrolyte Fuel Cell at High Temperature A.S. Arico, P. Creti, P. L. Antonucci, V. Antonucci, Electrochem. Sol.St.Lett.182)66-68)(1998))에서 이미 제안된 바와 같이 옥시드 분말을 이오노머막 안으로 혼합시키는 것으로는 원소유기/금속유기 화합물이 막 매트릭스내에서만 옥시드로 가수분해되는 본 발명의 방법에서와 같은 막 매트릭스안에서의 매우 균일한 무기 구성성분 분포를 얻을 수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의 막은 다음과 같은 이점을 더욱 나타낸다.
ㆍ 감소된 메탄올 투과도
ㆍ 특히 T>100℃에서, 양성자 전도도에의 기여
본 발명은 다음의 실시예에 의해 상술된다.
이오노머 혼합막 TJ-3의 제조
2g의 술폰화 폴리에테르 에테르 케톤 빅트렉스(Victrex)®(이온 교환 능력 1.364 meq SO3H/g)을 10g의 N-메틸피롤리디논에 용해시켰다. 그 후, 1g의 트리에틸아민을 상기 용액에 가하여 sPEEK의 술폰산 그룹을 중화시켰다. 그 후, 77mg의 폴리(4-비닐피리딘)을 상기 용액에 가하였다. 용해시킨후, 5.1g의 티타늄(Ⅳ)비스(아세틸아세톤아토)디이소프로필레이트, 이소프로판올에서 75중량%의 용액을 상기 용액에 가하였다. 그 후, 폴리머 용액 필름을 디가스(degass)한 후, 닥터나이프(doctor knife)로 글래스-플레이트상에 800㎛ 두께 필름으로 캐스트(cast)하였다. 막 건조기안에서, 100℃에서, 상기 용매를 제거하였다. 필름 건조후, 폴리머 필름이 있는 글래스-플레이트를 H2O와 함께 물통안에 담갔다. 글래스-플레이트로부터 필름을 벗겨냈다. 상기 필름을 1N NaOH에서, 70℃에서, 24시간동안, 그 후, 탈이온화물(deionized water)에서, 70℃에서, 24시간동안 후처리 하였다. 그 후, 상기 필름을 탈이온화물안에서 상온에서 저장하였다. 양성자 전도도를 측정하기 위해서 상기 필름을 0.5N H2SO4 안에서, 상온에서 24시간 동안 평형시켰다.
특성 결과 ;
필름 두께[㎛]; 100
IEC[meq SO3H/g]; 1.15
팽창[%]: 104
선택투과도(permselectivity)(0.5N/0.1N NaCl)[%]: 78.35
Rsp H+(0.5 N HCl)[Ωcm]: 6.4
Rsp H+(H2O)[Ωcm]: 16.9
Rsp Na+(0.5 N NaCl)[Ωcm]: 29.6
도 1에 TJ3막의 EDX 스펙트럼을 나타내었다. Ti 신호가 명확히 나타났다.
이오노머 혼합막 JOA-2의 제조
3g의 술폰화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 빅트렉스®(이온 교환 능력 1.75 meq SO3H/g)을 15g의 N-메틸피롤리디논에 용해시켰다. 그 후, 0.5g의 n-프로필아민을 상기 용액에 가하여 sPEEK의 술폰산 그룹을 중화시켰다. 그 후, 0.15g의 폴리머 1(도 2)을 상기 용액에 가하였다. 그 후, 10.72중량%의 PBI Celazol®(도 3) 1.4g 을 상기 용액에 가하였다. 그 후, 4.036g의 티타늄(Ⅳ)비스(아세틸아세톤아토)디이소프로필레이트, 이소프로판올에서 75중량% 용액을 상기 용액에 가하였다. 그 후, 상기 폴리머 용액 필름을 디가스한 후, 닥터나이프로 글래스-플레이트상에 800㎛ 두께 필름으로 캐스트 하였다. 진공 건조 오븐안에서 용매를, 먼저 75℃ 및 800mbar에서 1시간동안 제거하고, 120℃에서 먼저 800mbar로, 그 후, 50mbar로 낮추어 제거하였다. 필름 건조후, 폴리머 필름이 있는 글래스-플레이트를 H2O와 함께 물통안에 담갔다. 글래스-플레이트로부터 필름을 벗겨냈다. 상기 필름을 1N NaOH에서 70℃에서 24시간동안, 그 후, 탈이온화물에서 70℃에서 24시간동안 후처리 하였다. 그 후, 상기 필름을 탈이온화물안에서 상온에서 저장하였다. 양성자 전도도를 측정하기 위해서 상기 필름을 0.5N H2SO4 안에서, 상온에서 24시간 동안 평형시켰다.
특성 결과 ;
필름 두께[㎛]; 100
IEC[meq SO3H/g]; 0.97
팽창[%]: 27.7
선택투과도[%]: 94.9
Rsp H+(0.5N H2SO4)[Ωcm]: 21.8
Rsp H+(H2O)[Ωcm]: 55.6
Rsp Na+(0.5N NaCl)[Ωcm]: 79
도 4에 JOA-2막의 EDX 스펙트럼을 나타내었다. Ti 신호가 명확히 나타났다.

Claims (26)

  1. (A)하나 이상의 폴리머산,
    (B)하나 이상의 폴리머염기, 및
    (C1)나노분산된 원소 옥시드(element oxide), 나노분산된 금속 옥시드, 및 나노분산된 금속 히드록시드 중의 하나 이상,
    을 포함하는, 복합체(composites).
  2. (A)하나 이상의 폴리머산,
    (B)하나 이상의 폴리머염기, 및
    (C2)나노분산된 원소 인산염(element phosphate), 나노분산된 금속 인산염(metal phosphate), 나노분산된 수소인산염, 및 나노분산된 이수소인산염 중의 하나 이상,
    을 포함하는, 복합체.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머산은 아릴 주쇄(aryl main chain)폴리머이고, 산성그룹으로서 -SO3H, -PO3H2, -COOH 또는 B(OH)2 또는 이들의 염을 포함하고, 폴리에테르술폰, 폴리술폰, 폴리페닐 술폰, 폴리에테르 에테르 술폰, 폴리에테르 케톤, 폴리에테르 에테르 케톤, 폴리페닐렌 에테르, 폴리디페닐페닐렌 에테르, 폴리페닐렌 설피드의 그룹으로부터 선택되고, 또는 상기 구성성분 중 적어도 하나를 함유하는 코폴리머(copolymer)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체.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머염기는 측쇄(side chain) 또는 주쇄의 어느 한 쪽에 제1차, 제2차 또는 제3차 아미노 그룹, 피리딘 그룹, 이미다졸, 벤즈이미다졸, 트리아졸, 벤조트리아졸, 피라졸 또는 벤즈피라졸 그룹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체.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체는 막 형성 공정이 수행된 후 가수분해에 의해, 및/또는 졸 겔 반응에 의하여 얻어진 염, 원소 옥시드 또는 금속 옥시드 또는 금속 히드록시드를 포함하고, 용매의 제거 전에 상기 염, 원소 옥시드 또는 금속 옥시드 또는 금속 히드록시드의 전구체(precursor)(들)이 상기 폴리머산 및 폴리머염기(들)에 첨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체.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전구체는:
    Ti, Zr, Sn, Si, B, Al의 금속/원소 알콕시드/에스테르;
    금속 아세틸아세토네이트(metal acetylacetonate);
    금속/원소 알콕시드 및 금속 아세틸아세토네이트의 혼합 화합물;
    Ti, Zr, Sn, Si, B, Al의 유기 아미노 화합물,
    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체.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체는 추가로 공유 가교(covalently crosslinked)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체.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체는 인산(phosphoric acid)으로 후처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체.
  9.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체는 다음 그룹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체.
    Figure 112007092093879-pct00005
  10. 제 1 항 또는 제 2 항 기재의 복합체의 제조 방법으로서,
    다음의 성분:
    -SO3X, -PO3X2, -COOX, 또는 -B(OX)2 (X = H, 1가 또는 2가 또는 3가 또는 4가 금속양이온)을 가지는 폴리머산, 또는 산성그룹이 n-프로필아민 또는 트리에틸아민으로 중화된 -SO3H, -PO3H2, -COOH, 또는 B(OX)2를 가지는 폴리머산,
    측쇄 및/또는 주쇄에 제1차, 제2차 또는 제3차 아미노그룹, 피리딘그룹, 이미다졸, 벤즈이미다졸, 트리아졸, 벤조트리아졸, 피라졸 또는 벤즈피라졸 그룹을 함유하는 적어도 하나의 폴리머염기, 및
    Ti, Zr, Sn, Si, B, Al의 금속/원소 알콕시드/에스테르, 금속 아세틸아세토네이트(metal acetylacetonate), 금속/원소 알콕시드 및 금속 아세틸아세토네이트의 혼합 화합물, 및 Ti, Zr, Sn, Si, B, Al의 유기 아미노 화합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금속 또는 원소 유기 화합물,
    들을 이중극성-아프로틱(dipolar-aprotic) 용매안에서 혼합하여 폴리머 용액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제 10 항 기재의 폴리머 용액으로부터 패드 상에 박막을 인출(draw)하고, 상기 용매는 증발되고, 상기 형성된 박막을 후처리하고, 상기 후처리는 T = 50 내지 100℃에서, 물 안에서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12. 다음의 성분:
    -SO3X, -PO3X2, -COOX, 또는 B(OX)2 (X = H, 1가 또는 2가 또는 3가 또는 4가 금속 양이온)을 가지는 폴리머산, 또는 산성그룹이 n-프로필아민 또는 트리에틸아민으로 중화된 -SO3H, -PO3H2, -COOH, 또는 B(OX)2를 가지는 폴리머산,
    측쇄 및/또는 주쇄에 제1차, 제2차 또는 제3차 아미노 그룹, 피리딘 그룹, 이미다졸, 벤즈이미다졸, 트리아졸, 벤조트리아졸, 피라졸 또는 벤즈피라졸 그룹을 함유하는 적어도 하나의 폴리머염기, 및
    Ti, Zr, Sn, Si, B, Al의 금속/원소 알콕시드/에스테르; 금속 아세틸아세토네이트(metal acetylacetonate); 금속/원소 알콕시드 및 금속 아세틸아세토네이트의 혼합 화합물; 및 Ti, Zr, Sn, Si, B, Al의 유기 아미노 화합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금속 또는 원소 유기 화합물,
    들이 이중극성-아프로틱(dipolar- aprotic) 용매 안에서 혼합되고,
    제 10 항 기재의 폴리머 용액으로부터 패드 상에 박막을 인출(draw)하고, 상기 용매는 증발되고, 상기 형성된 박막은 T = 50 내지 100℃에서, 물 안에서 후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체의 제조 방법.
  13. 제 12 항에 기재된 공정에 의해 얻을 수 있는 복합체.
  1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전기화학적 방법으로 에너지를 생산하는데 사용되는, 복합체.
  1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0 내지 180℃의 온도에서, 막 연료 전지(수소 또는 직접 메탄올 연료 전지)의 구성성분으로서 사용되는, 복합체.
  1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전기 화학 전지에 사용되는, 복합체.
  1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2 차 배터리에 사용되는, 복합체.
  18.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전기 분해 전지에 사용되는, 복합체.
  19.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막 분리 공정에 사용되는, 복합체.
  20.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이중극성-아프로틱 용매는 N-메틸피롤리디논(NMP), N,N-디메틸아세트아미드(DMAc), N,N-디메틸포름아미드(DMF), 디메틸설폭시드(DMSO) 또는 술포란(sulfolan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 방법.
  21.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후처리는:
    (1) T = 50 내지 100℃에서, 물 안에서 처리하는 단계;
    (2) T = 50 내지 100℃에서, 1 내지 100% 미네랄산 안에서 처리하는 단계; 및
    (3) 1 내지 50%의 수성염기 안에서, 또는 무수 액체 아민 또는 상이한 액체 아민의 혼합물 안에서 처리하는 단계,
    들 중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며, 상기 후처리의 단계들의 순서는 변화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2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는 유리 또는 금속 피스(piece), 직물(fabric), 양모(fleece), 다공성막 또는 폴리머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23.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미네랄산은 히드로 할로겐 산, 황산, 또는 인산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2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는 유리 또는 금속 피스(piece), 직물(fabric), 양모(fleece), 다공성막 또는 폴리머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2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이중극성-아프로틱 용매는 N-메틸피롤리디논(NMP), N,N-디메틸아세트아미드(DMAc), N,N-디메틸포름아미드(DMF), 디메틸설폭시드(DMSO) 또는 술포란(sulfolan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 방법.
  26.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막 분리 공정은 가스분리(gas separation), 퍼배이퍼레이션(pervaporation), 퍼스트랙션(perstraction), 역삼투(reverse osmosis), 전기투석(electrodialysis) 또는 확산투석(diffusion dialysis)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체.
KR1020027014744A 2000-05-02 2001-04-27 폴리머 막 KR10084529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021106A DE10021106A1 (de) 2000-05-02 2000-05-02 Polymere Membranen
DE10021106.2 2000-05-02
PCT/DE2001/000624 WO2001061908A1 (de) 2000-02-18 2001-02-16 Verfahren, kommunikationssystem und empfänger zum übertragen von daten in paketfor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6253A KR20030016253A (ko) 2003-02-26
KR100845295B1 true KR100845295B1 (ko) 2008-07-09

Family

ID=76403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14744A KR100845295B1 (ko) 2000-05-02 2001-04-27 폴리머 막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3) US7358288B2 (ko)
EP (1) EP1282657B1 (ko)
JP (4) JP2003532756A (ko)
KR (1) KR100845295B1 (ko)
CN (1) CN100569837C (ko)
AT (1) ATE286090T1 (ko)
AU (1) AU2001260070A1 (ko)
BR (1) BR0110561A (ko)
CA (1) CA2408381C (ko)
DE (3) DE10021106A1 (ko)
ES (1) ES2238439T3 (ko)
WO (1) WO2001084657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021106A1 (de) * 2000-05-02 2001-11-08 Univ Stuttgart Polymere Membranen
DE10021104A1 (de) * 2000-05-02 2001-11-08 Univ Stuttgart Organisch-anorganische Membranen
DE10024576A1 (de) * 2000-05-19 2001-11-22 Univ Stuttgart Kovalent und ionisch vernetzte Polymere und Polymermembranen
DE10209774A1 (de) * 2002-02-28 2004-07-29 Universität Stuttgart - Institut für Chemische Verfahrenstechnik Composites und Compositemembranen
WO2003078492A2 (de) * 2002-02-28 2003-09-25 Haering Thomas Schichtstrukturen und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FR2850301B1 (fr) * 2003-01-23 2007-10-19 Commissariat Energie Atomique Materiau hybride organique-inorganique comprenant une phase minerale mesoporeuse et une phase organique, membrane et pile a combustible
FR2850300B1 (fr) * 2003-01-23 2006-06-02 Commissariat Energie Atomique Materiau hybride organique-inorganique conducteur comprenant une phase mesoporeuse, membrane, electrode, et pile a combustible
DE10320320B4 (de) * 2003-05-06 2007-08-16 Forschungszentrum Jülich GmbH Katalysatorschicht, geeignete Katalysatorpaste, sowie Herstellungsverfahren derselben
DE112004000920B8 (de) 2003-05-28 2019-05-29 Toyota Technical Center Usa, Inc. Protonenleitende Membran enthaltend ein Copolymerisationsprodukt aus mindestens einem ersten Silan und einem zweiten Silan und deren Verwendung, sowie Silanverbindung und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US7183370B2 (en) 2003-09-11 2007-02-27 Toyota Technical Center Usa, Inc Phosphonic-acid grafted hybrid inorganic-organic proton electrolyte membranes (PEMs)
EP1523057A1 (en) * 2003-09-26 2005-04-13 Paul Scherer Institut Membrane electrode assembly (MEA), method for its manufacturing and a method for preparing a membrane to be assembled in a MEA
US7576165B2 (en) * 2004-01-27 2009-08-18 Georgia Institute Of Technology Heterocycle grafted monomers and related polymers and hybrid inorganic-organic polymer membranes
RU2256967C1 (ru) * 2004-02-03 2005-07-20 Кольцова Анастасия Андриановна Электроактивный полимер и материал на его основе
JP2005222890A (ja) * 2004-02-09 2005-08-18 Toyota Motor Corp 燃料電池用電解質材料
US7811693B2 (en) * 2004-05-13 2010-10-12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facturing North America, Inc. Proton exchange membranes (PEM) based on hybrid inorganic-organic copolymers with grafted phosphoric acid groups and implanted metal cations
DE102004032671A1 (de) * 2004-07-02 2006-02-02 Hahn-Meitner-Institut Berlin Gmbh Niedertemperatur-Brennstoffzelle mit einer Hybridmembran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US8795927B2 (en) * 2004-12-24 2014-08-05 Asahi Kasei Kabushiki Kaisha Highly durable electrode catalyst layer
JP4936673B2 (ja) 2005-02-10 2012-05-23 株式会社東芝 高分子電解質膜および直接メタノール型燃料電池
US7838138B2 (en) * 2005-09-19 2010-11-23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Fuel cell electrolyte membrane with basic polymer
US7517604B2 (en) * 2005-09-19 2009-04-14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Fuel cell electrolyte membrane with acidic polymer
DE102005056564B4 (de) * 2005-11-25 2009-11-12 Gkss-Forschungszentrum Geesthacht Gmbh Polymerelektrolytmembran mit Koordinationspolymer, Verfahren zu seiner Herstellung sowie Verwendung in einer Brennstoffzelle
DE102006010705A1 (de) * 2006-03-08 2007-09-13 Sartorius Ag Hybridmembranen, Verfahren zur Herstellung der Hybridmembranen und Brennstoffzellen unter Verwendung derartiger Hybridmembranen
US20070259236A1 (en) * 2006-05-03 2007-11-08 Lang Christopher M Anionic fuel cells, hybrid fuel cells, and methods of fabrication thereof
TW200810197A (en) * 2006-08-15 2008-02-16 Univ Chang Gung Method for producing composite solid polymer electrolyte (SPE)
CN100463712C (zh) * 2006-12-01 2009-02-25 北京工业大学 增强型有机-无机杂化膜的制备方法
JP5416892B2 (ja) * 2007-08-10 2014-02-12 国立大学法人 東京大学 有機−無機ハイブリッド電解質及びその製造方法
WO2010031877A1 (en) * 2008-09-22 2010-03-25 Nanologica Ab Hybrid silica -polycarbonate porous membranes and porous polycarbonate replicas obtained thereof
JP5348387B2 (ja) * 2008-10-24 2013-11-2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電解質膜の製造方法
WO2010065484A1 (en) * 2008-12-04 2010-06-10 The University Of Akron Polymer composition and dialysis membrane formed from the polymer composition
CN102044648B (zh) * 2009-10-16 2013-04-10 大连融科储能技术发展有限公司 聚芳基醚苯并咪唑离子交换膜及其制备和全钒液流电池
US8752714B2 (en) 2011-03-01 2014-06-17 Dow Global Technologies Llc Sulfonated poly (aryl ether) membrane including blend with phenyl amine compound
US8829060B2 (en) 2011-03-01 2014-09-09 Dow Global Technologies Llc Sulfonated poly(aryl ether) membrane including blend with phenol compound
WO2013142141A1 (en) * 2012-03-22 2013-09-26 President And Fellows Of Harvard College Polyethersulfone filtration membrane
KR101936924B1 (ko) 2012-12-06 2019-01-09 삼성전자주식회사 분리막, 및 상기 분리막을 포함하는 수처리 장치
CN103087318B (zh) * 2013-01-23 2015-09-09 中国科学技术大学 一种侧链磺酸化的聚砜及其制备方法
CN103633270B (zh) * 2013-11-05 2016-01-20 舟山市金秋机械有限公司 无机/有机穿插型复合质子交换膜及其制备方法
WO2016093357A1 (ja) * 2014-12-12 2016-06-16 Nok株式会社 炭素中空糸膜の製造方法
CN106474932B (zh) * 2016-10-21 2018-02-13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量子点纯化的方法、薄膜和过滤膜及其制备方法、离心管
CN113004576B (zh) * 2021-02-20 2021-09-07 安徽瑞邦橡塑助剂集团有限公司 一种负载型纳米氧化锌的制备方法
US11830977B2 (en) 2021-02-25 2023-11-2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to reduce interfacial resistance of hybrid solid-state electrolytes for secondary energy storage devices
CN115746321B (zh) * 2022-11-01 2023-08-01 华中科技大学 一种金属有机凝胶、其制备方法和应用
CN116970136B (zh) * 2023-09-20 2024-02-09 山西大学 一种苯并咪唑基共价有机框架及其制备方法和应用、质子导体及其制备方法和应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191209A1 (en) 1985-02-14 1986-08-20 Uop Inc. Thin-film semipermeable membranes, a method for their preparation and hydrogen-sensing and-separating devices including them
DE19943244A1 (de) * 1999-09-10 2001-03-15 Daimler Chrysler Ag Membran für eine Brennstoffzelle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33941A (en) * 1977-03-10 1979-01-09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Administrator Of The National Aeronautics And Space Administration Formulated plastic separators for soluble electrode cells
US5824622A (en) * 1994-01-12 1998-10-20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Porous microcomposite of perfluorinated ion-exchange polymer and metal oxide, a network of silica, or a network of metal oxide and silica derived via a sol-gel process
DE69512204T2 (de) * 1994-01-12 2000-05-11 Du Pont Sol-gel poröses mikroverbundderivat von perfluoriertem ionenaustauschpolymer und metalloxyd
JPH07258436A (ja) * 1994-03-18 1995-10-09 Asahi Glass Co Ltd 複層イオン交換膜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5906716A (en) * 1994-10-20 1999-05-25 Hoechst Aktiengesellschaft Metallized cation exchange membrane
US5525436A (en) * 1994-11-01 1996-06-11 Case Western Reserve University Proton conducting polymers used as membranes
DE19632285A1 (de) * 1996-08-09 1998-02-19 Hoechst Ag Protonenleiter mit einer Temperaturbeständigkeit in einem weiten Bereich und guten Protonenleitfähigkeiten
DE19817374A1 (de) * 1998-04-18 1999-10-21 Univ Stuttgart Lehrstuhl Und I Engineering-Ionomerblends und Engineering-Ionomermembranen
DE19817376A1 (de) * 1998-04-18 1999-10-21 Univ Stuttgart Lehrstuhl Und I Säure-Base-Polymerblends und ihre Verwendung in Membranprozessen
US6759441B1 (en) * 1998-04-18 2004-07-06 Universitat Stuttgart Lehrstuhl Und Institut Fur Chemische Verfahrenstechnik Acid-base polymer blends and their use in membrane processes
US6541669B1 (en) * 1998-06-08 2003-04-01 Theravance, Inc. β2-adrenergic receptor agonists
DE19836514A1 (de) * 1998-08-12 2000-02-17 Univ Stuttgart Modifikation von Engineeringpolymeren mit N-basischen Gruppe und mit Ionenaustauschergruppen in der Seitenkette
DE19851498A1 (de) * 1998-11-09 2000-07-06 Aventis Res & Tech Gmbh & Co Polymerzusammensetzung, Membran enthaltend diese,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und deren Verwendung
DE19919881A1 (de) * 1999-04-30 2000-11-02 Univ Stuttgart Organisch-Anorganische Komposites und Kompositmembranen aus Ionomeren oder Ionomerblends und aus Schicht- oder Gerätsilicaten
DE19919988A1 (de) 1999-04-30 2000-11-02 Univ Stuttgart Protonenleitende Keramik-Polymer-Kompositmembran für den Temperaturbereich bis 300 DEG C
US6465136B1 (en) * 1999-04-30 2002-10-15 The University Of Connecticut Membranes, membrane electrode assemblies and fuel cells employing same, and process for preparing
DE10021106A1 (de) * 2000-05-02 2001-11-08 Univ Stuttgart Polymere Membranen
US6962959B2 (en) * 2003-08-28 2005-11-08 Hoku Scientific, Inc. Composite electrolyte with crosslinking agent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191209A1 (en) 1985-02-14 1986-08-20 Uop Inc. Thin-film semipermeable membranes, a method for their preparation and hydrogen-sensing and-separating devices including them
DE19943244A1 (de) * 1999-09-10 2001-03-15 Daimler Chrysler Ag Membran für eine Brennstoffzelle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282657B1 (de) 2004-12-29
BR0110561A (pt) 2003-12-30
DE10191702D2 (de) 2003-05-22
KR20030016253A (ko) 2003-02-26
JP2015091977A (ja) 2015-05-14
CA2408381C (en) 2011-01-25
ES2238439T3 (es) 2005-09-01
WO2001084657A3 (de) 2002-06-06
US7358288B2 (en) 2008-04-15
WO2001084657A2 (de) 2001-11-08
CN1427864A (zh) 2003-07-02
DE10021106A1 (de) 2001-11-08
JP2011168785A (ja) 2011-09-01
AU2001260070A1 (en) 2001-11-12
JP2018035357A (ja) 2018-03-08
DE50104970D1 (de) 2005-02-03
EP1282657A2 (de) 2003-02-12
JP5707187B2 (ja) 2015-04-22
JP2003532756A (ja) 2003-11-05
CN100569837C (zh) 2009-12-16
US8168705B2 (en) 2012-05-01
CA2408381A1 (en) 2002-11-01
ATE286090T1 (de) 2005-01-15
US20040106044A1 (en) 2004-06-03
US20080318134A1 (en) 2008-12-25
US20110027691A1 (en) 2011-0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45295B1 (ko) 폴리머 막
JP5037773B2 (ja) 複合体膜並びにその製造方法および使用法
US7923066B2 (en) Organic-inorganic hybrid material comprising a mineral mesoporous phase and an organic phase, a membrane and fuel cell
CA2513817C (en) Conductive organic-inorganic hybrid material comprising a mesoporous phase, and membranes, electrodes and fuel cells comprised thereof
WO2007101415A2 (de) Phosphonsäure-haltige blends und phosphonsäure-haltige polymere
Makulova et al. Study of ionic conductivity of polytriazole and polynaphthalenediimide ion-exchange membranes
Gao et al. Sulfonated poly (ether ether ketone)/zirconium tricarboxybutylphosphonate composite proton-exchange membranes for direct methanol fuel cells
Jodat et al. Effect of polyethylene glycol on sulfonated polyether imide (SPEI) for fuel cell applications
Colicchio Silica-based nanocomposite membranes via the sol gel process of polyethoxysiloxane within a sulfonated poly (ether-ether-ketone) matrix: morphology and proton mobility
Kim et al. Advances in Proton Exchange Membranes for Direct Alcohol Fuel Cell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0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