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43052B1 - 절전 모드를 갖는 단말기 및 개폐 가능한 폴딩형 기구를갖는 단말기 - Google Patents

절전 모드를 갖는 단말기 및 개폐 가능한 폴딩형 기구를갖는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43052B1
KR100843052B1 KR1020077015719A KR20077015719A KR100843052B1 KR 100843052 B1 KR100843052 B1 KR 100843052B1 KR 1020077015719 A KR1020077015719 A KR 1020077015719A KR 20077015719 A KR20077015719 A KR 20077015719A KR 100843052 B1 KR100843052 B1 KR 1008430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displayed
display unit
state
ur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157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87005A (ko
Inventor
노부따까 이시데라
다까히로 마스다
요시후사 도가와
Original Assignee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870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870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30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30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41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using relative motion of the body parts to change the operational status of the telephone set, e.g. switching on/off, answering incoming call
    • H04M1/0245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using relative motion of the body parts to change the operational status of the telephone set, e.g. switching on/off, answering incoming call using open/close dete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06F1/16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folding flat displays, e.g. laptop computers or notebooks having a clamshell configuration,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including at least an additional display
    • G06F1/165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including at least an additional display the additional display being small, e.g. for presenting status inform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75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 G06F1/1677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for detecting open or closed state or particular intermediate positions assumed by movable parts of the enclosure, e.g. detection of display lid position with respect to main body in a laptop, detection of opening of the cover of battery compart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34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 G06F1/325Power saving in peripheral device
    • G06F1/3265Power saving in display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45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for supporting Internet browser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61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 H04W52/0267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by controlling user interface components
    • H04W52/027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by controlling user interface components by controlling a display operation or backlight uni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 H04M1/7243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for text messaging, e.g. short messaging services [SMS] or e-ma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6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more than one display uni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10/00Energy efficient computing, e.g. low power processors, power management or thermal manage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Power Source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Facsimiles In General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절전 모드의 해제 조작에 응답하여, 사전에 등록된 네트워크 상의 URL에 대한 액세스 처리를 자동적으로 실행하는 단말기가 제공된다. 이것에 의해, 절전 모드의 해제 조작만으로, 네트워크 상의 소정의 URL에 액세스할 수가 있어서, 단말기의 조작성이 향상되고, 사용자의 편리성이 향상된다. 또한, 폴딩형 기구를 갖는 단말기에서는, 닫힘 상태로부터의 개방 동작에 응답하여, 자동적으로 소정의 처리를 실행한다. 이것에 의해, 소정의 처리를 위한 조작을 하지 않고, 개방 조작만으로 소정의 처리가 실행되기 때문에, 단말기의 조작성이 향상되어, 사용자의 편리성이 향상된다.
단말기, 폴딩형 기구, 절전 모드, 표시부, URL

Description

절전 모드를 갖는 단말기 및 개폐 가능한 폴딩형 기구를 갖는 단말기{TERMINAL HAVING POWER SAVING MODE AND TERMINAL HAVING OPENABLE/CLOSABLE FOLDING MECHANISM}
본 발명은 네트워크에 접속 가능한 절전 모드를 갖는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절전 모드의 해제에 응답하여 자동적으로 소정의 처리를 실행하는(예를 들면, 네트워크에 액세스함)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또한, 개폐 가능한 폴딩형 기구를 갖는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그 닫힘 상태(closed condition)로부터의 개방 동작(open motion)에 응답하여, 자동적으로 소정의 처리를 실행하는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인터넷이나 전자 메일을 이용하기 위해서 네트워크에 접속 가능한 단말기(예를 들면, 퍼스널 컴퓨터)는 일반적으로, 절전 모드를 구비하고 있다. 절전 모드는 사용자에 의한 일정 시간 이상의 조작이 없는 경우에는 컴퓨터 장치를 구성하는 소정의 디바이스(디스플레이나 메모리 등)에 대한 통전을 정지함으로써, 소비 전력을 저감시키는 기능이다. 단말기가 절전 모드에 들어간 후, 사용자에 의한 어떠한 조작(예를 들면, 마우스 조작이나 키보드 조작)이 행해지면, 절전 모드는 해제되어 단말기는 절전 모드로 들어가기 전의 통상 모드로 복귀한다.
따라서, 절전 모드에 들어가 있는 단말기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에 액세스하기 위해서는 일단 소정의 절전 해제 조작을 행한 후, 그 시점에서 네트워크로의 액세스에 필요한 브라우저 프로그램 등이 기동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브라우저를 기동시키고, 또한 원하는 URL(Uniform Resource Locator)을 입력할 필요가 있다.
여기서는 단말기를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하는 URL에 액세스시키기 위해서, 사용자에 의한 많은 조작이 필요하게 되어, 사용자에게 어쩔 수 없이 불편을 주게 된다.
또한, 휴대 전화와 같이 개폐 가능한 폴딩형 기구를 갖는 단말기에서는, 일단 닫힘 상태로부터 개방 동작을 행한 후, 원하는 처리를 실행하기 위한 조작을 행할 필요가 있어서, 사용자에게 불편을 준다.
본 발명의 목적은 보다 간단한 조작에 의해, 동작 모드가 절전 모드로부터 통상 모드로 복귀할 때에, 네트워크 상의 소정의 URL에 액세스할 수 있는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보다 간단한 조작에 의해, 절전 모드로부터 통상 모드로 복귀할 때에, 자동적으로 원하는 처리를 실행하는 단말기(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개폐 가능한 폴딩형 기구를 갖는 단말기에서, 그 닫힘 상태로부터 개방 상태(open condition)로 이행할 때에, 자동적으로 원하는 처리를 실행하는 단말기(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단말기는 절전 모드의 해제 조작에 응답하여, 사전에 등록된 네트워크 상의 URL에 대한 액세스 처리를 자동적으로 실행한다. 이것에 의해, 절전 모드의 해제 조작만으로, 네트워크 상의 소정의 URL에 액세스할 수 있어서, 사용자의 편리성, 단말기의 조작성이 향상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단말기의 구성은 통상 모드보다 적은 소비 전력으로 동작하는 절전 모드를 갖는 단말기에서, 절전 모드 동안 표시가 사라지고, 통상 모드로 되돌아가면 표시를 재개하는 제1 표시부와, 네트워크 상에서의 적어도 하나의 URL을 기억하는 기억부와, 적어도 절전 모드 동안 상기 기억부에 기억된 URL 또는 그것에 대응하는 식별 정보를 표시하는 제2 표시부와, 절전 모드의 해제 조작에 응답하여, 상기 제2 표시부에 표시된 URL 또는 상기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URL에 대한 액세스 처리를 실행하는 액세스 처리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액세스 처리부는 예를 들면, 제2 표시부의 펌웨어에 의해 실현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액세스 처리부는 상기 URL의 형식에 따라, 상기 URL에 액세스하는 데 필요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기동하고, 이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상기 URL에 대하여 액세스한다. 예를 들면, 상기 URL의 형식이 네트워크 상의 웹 페이지 어드레스를 지정하는 형식인 경우, 상기 액세스 처리부는 브라우저 프로그램을 기동하고, 상기 URL의 형식이 전자 메일 어드레스를 지정하는 형식인 경우에, 상기 액세스 처리부는 메일 프로그램을 기동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기억부는 절전 모드로 이행하기 전에 마지막으로 액세스한 URL, 또는 사용자의 지시에 따라 임의의 URL을 기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단말기는 상기 기억부가 복수의 URL을 기억하는 경우, 상기 복수의 URL로부터, 상기 제2 표시부에 표시한 URL 또는 그것에 대응하는 식별 정보를 선택하기 위한 제1 조작부를 더 구비해도 된다.
또한, 상술한 본 발명의 단말기의 구성에서, 예를 들면, 상기 제1 표시부는 단말기의 본체에 대하여 개폐 가능하게 부착되고, 상기 제2 표시부는 상기 제1 표시부가 닫혀 있는 상태에서 시인(視認)할 수 있는 위치(visible position)에 제공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단말기는 상기 제1 표시부가 닫혀 있는 상태 에서 조작할 수 있는 위치에 제공되는, 절전 모드를 해제하기 위한 제2 조작부를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또한, 절전 모드의 해제 조작에 응답하여, 절전 모드 상태에서 닫혀 있는 상기 제1 표시부를 개방하는 구동부를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단말기는 통상 동작 상태와 대기 상태를 갖는 단말기로서, 대기 상태에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는 표시부와, 대기 상태로부터 통상 동작 상태로의 이행 시에, 표시부에 표시되어 있는 정보에 따른 처리를 실행하는 처리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말기는 통상 동작 상태에서는 표시 내용이 가시 상태(invisible condition)라는 것과 함께, 대기 상태에서는 표시 내용이 불가시 상태(invisible condition)로 되는 주 표시부(메인 디스플레이)와, 주 표시부의 표시 내용이 불가시 상태로부터 가시 상태로 되는 조작을 검지하는 검지부를 구비하고, 표시부는 주 표시부가 불가시 상태에서도 그 표시 내용이 가시 상태인 부(副) 표시부(서브 디스플레이)로서, 처리부는 검지된 조작 시점에서 부 표시부에 표시되어 있는 정보에 대응하는 처리를 실행한다.
예를 들면, 통상 동작 상태는 주 표시부의 표시 내용을 가시 상태로 하는 통상 동작 모드이고, 대기 상태는 통상 동작 모드보다 적은 소비 전력으로 동작하는 주 표시부의 표시 내용을 불가시 상태로 하는 절전 모드로서, 검지부는 절전 모드로부터 통상 동작 모드로의 이행을 검지한다.
예를 들면, 개폐 가능한 폴딩형 기구를 구비한 단말기(장치)에서는 주 표시부는 폴딩형 기구가 개방 상태에서 시인 가능하고, 또한 닫힘 상태에서 시인 불가 능한 위치에 제공되며, 표시부는 폴딩형 기구가 닫힘 상태에서도 그 표시 내용이 시인 가능한 위치에 제공된 부 표시부로서, 검지부는 상기 폴딩형 기구의 닫힘 상태로부터의 개방 동작을 검지한다.
후술한 실시예에서는 통상 동작 상태와 대기 상태를 갖는 단말기로서, 통상 모드(통상 동작 상태에 대응)와 절전 모드(대기 상태에 대응)를 갖는 퍼스널 컴퓨터, 및 개폐 가능한 폴딩형 기구(개방 상태가 통상 동작 상태에 대응하며, 닫힘 상태가 대기 상태에 대응)를 갖는 휴대 전화에 대하여 예시한다.
또한, 후술한 실시예에서의 퍼스널 컴퓨터의 예에서는 통상 동작 상태에서의 가시 상태는 통상 모드에서 주 표시부에 정보가 표시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며, 대기 상태에서의 불가시 상태는 절전 모드에서 주 표시부에 정보가 표시되어 있지 않은 상태를 나타낸다.
또한, 휴대 전화의 예에서는 통상 동작 상태에서의 가시 상태는 폴딩형 기구가 개방 상태에 있어 주 표시부가 시인 가능한 상태를 나타내며, 대기 상태에서의 불가시 상태는 폴딩형 기구가 닫힘 상태에 있어 주 표시부가 시인 불가의 상태를 나타낸다.
또, 통상 동작 상태와 대기 상태는 상술된 바와 같이, 통상 모드와 절전 모드, 개방 상태와 닫힘 상태에 한정되지 않고, 이들 이외의 2개의 상태이어도 된다.
본 발명은, 보다 간단한 조작으로, 동작 모드가 절전 모드로부터 통상 모드로 복귀할 때에, 네트워크 상의 소정의 URL에 액세스할 수 있으며, 자동적으로 원 하는 처리를 실행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에 따라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이러한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단말기가 절전 모드의 해제 조작에 응답하여, 사전에 등록된 네트워크 상의 URL에 대한 액세스 처리를 실행한다.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를 단말기가 주 표시부와 부 표시부를 구비하는 노트형 퍼스널 컴퓨터(이하, 노트북 컴퓨터라 함)인 경우를 예로 설명한다. 여기서, 주 표시부는 브라우저나 다른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의해 생성되는 (또는 취득되는) 화면을 표시하는 비교적 대형의 표시부(예를 들면, 액정 디스플레이나 CRT 디스플레이)로서, 절전 모드에서는 표시가 사라지고, 통상 모드로 되돌아가면 표시가 재개된다. 또한, 부 표시부는 배터리 잔량이나 각종 디바이스로의 액세스 상황 등의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비교적 소형의 표시부이고, 노트북 컴퓨터에 액정 디스플레이로서 탑재되어 있는 경우가 많다.
도 1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네트워크 액세스 처리의 개요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에서, 노트북 컴퓨터 상에서, 네트워크 액세스의 어플리케이션(브라우저)이 아닌 어플리케이션(예를 들면, 표 계산 프로그램)이 기동되어 있다. 노트북 컴퓨터의 본체 내부에는 도시되지 않은 CPU, 메모리, 하드디스크 등의 각종 디바이스가 설치되고, 본체 위에는 키보드가 배열되어 있다. 또한, 주 표시부가 본체에 대하여 개폐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주 표시부가 본체에 대하여 닫혀지면, 사용자는 주 표시부의 화면을 볼 수 없고, 또한 키보드도 조작할 수 없게 된다. 또한, 노트북 컴퓨터의 본체에는 마우스와 같은 외부 부착의 입력 장치가 접속되어도 된다.
소정의 어플리케이션이 기동되어 있는 상태에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노트북 컴퓨터는 절전 모드로 이행하면, 주 표시부 상의 화면 표시가 사라진다. 또한, 이 때,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 표시부가 닫혀 있어도 된다.
절전 모드에서도, 노트북 컴퓨터의 부 표시부의 표시는 사라지지 않고,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정의 URL이 표시되어 있다. 또한, 부 표시부에 표시되는 URL은 후술한 바와 같이, 소정의 조작부에 의해 변경 가능하여도 된다. 그리고, 절전 모드가 해제된다. 절전 모드는 예를 들면, 주 표시부가 닫혀 있는 상태에서도 조작할 수 있는 소정의 스위치의 누름, 또한 주 표시부가 개방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키보드 상의 임의의 키의 누름, 또한, 마우스 조작 등에 의해 해제된다. 또,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 표시부가 닫혀 있는 경우에는 주 표시부는 재차 개방된다. 주 표시부의 개방 동작에 따라, 절전 모드가 해제되어도 된다. 이 경우, 주 표시부의 개폐에 응답하는 스위치가 제공되고, 그 스위치의 ON/OFF에 의해 주 표시부의 개폐가 검지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전 모드의 해제에 응답하여, 부 표시부에 의해 지정되는 URL에 액세스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자동적으로 기동된다. 예를 들면, URL이 전자 메일 어드레스인 경우에는 전자 메일 송수신 프로그램이 자동적으로 기동하고, URL이 인터넷의 웹(World Wide Web) 페이지 어드레 스인 경우에는 브라우저 프로그램이 자동적으로 기동된다. 그리고, 프로그램은 지정된 URL에 액세스하여, 이 URL에 대응하는 화면이 주 표시부에 표시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단말기는 절전 모드로부터 통상 모드로 복귀하면, 부 표시부에 표시되어 있는 URL에 자동적으로 액세스되기 때문에, 사용자에 의한 조작을 간편화할 수 있다. 이하, 본 실시예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단말기의 블록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에서, 단말기는 주기억부(하드디스크 드라이브(HDD))(112)에 저장된 OS(오퍼레이팅 시스템)나 각종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CPU(110)를 구비한다. 주 표시부(액정 디스플레이)(114)는 사용자의 통상 조작에 의해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정보를 표시한다. 또한, 입력부(116)는 키보드나 마우스 등으로, 입력부(116)에 대한 소정의 조작이 일정 시간 동안 없는 경우, CPU(110)는 통상 모드로부터 절전 모드로 이행한다.
BIOS(Basic·input/output·system) 메모리(118)는 BIOS를 저장하는 메모리이고, 절전 모드의 유효/무효, 절전 모드로 이행하기까지의 시간 등 절전 모드에 관한 설정 정보도 여기에 저장된다.
부 표시부(120)는 상술한 바와 같이, 단말기에서의 배터리 잔량이나 각종 디바이스로의 액세스 상황 등의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비교적 소형의 표시부이고, 본 실시예에서는, 절전 모드로부터 통상 모드로 복귀할 때에 자동적으로 액세스할 URL을 표시한다. 또한, 부 표시부(120)는 본 실시예의 처리에 필요한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펌웨어)과, 그것을 실행할 프로세서를 내장한다.
또한, 보조 조작부(122)는 예를 들면, 선택 키나 실행 키 등을 갖는다. 선택 키는 부 표시부(120)에 표시 가능한 복수의 항목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여 표시하기 위한 키로서, 예를 들면 죠그 다이얼 등이다. 죠그 다이얼은 하나의 휠(wheel)을 가지며, 이 휠을 회전시킴으로써, 표시 항목을 변경하고 휠을 누름으로써 표시되어 있는 표시 내용을 선택할 수 있다. 선택 키는 하나의 죠그 다이얼에 한하지 않고, 예를 들면, 다음 항목 이동 버튼, 전 항목 이동 버튼, 현 항목 결정 버튼, 우측 스크롤 버튼, 좌측 스크롤 버튼 등 복수의 버튼으로 구성되어도 무방하다. 또한, 부 표시부(120)는 터치 패널 기능을 가지며, 선택 키는 부 표시부(120)에 표시되고, 선택 키 표시 부분을 누름으로써, 선택 키의 조작이 행해져도 무방하다.
물론, 표시 항목이 하나인 경우에는 선택 키는 불필요하다. 또한, 실행 키는 이것이 조작된 시점에서 절전 모드를 종료하고, 소정의 어플리케이션을 기동시켜, 부 표시부(120)에 표시되는 URL에 액세스시키기 위한 키이다. 실행 키는 주 표시부가 닫혀 있어도 조작 가능한 장소에 제공된다. 이것에 의해, 주 표시부가 닫혀 있어 키보드를 조작할 수 없는 경우나, 마우스가 접속되어 있지 않은 경우라도, 본 실시예에서의 처리를 실행할 수 있게 된다. 물론, 실행 키의 조작에 상관없이 키보드나 마우스의 조작에 의해, 절전 모드가 해제되어도 된다. 또한, 선택 키와 실행 키는 각각 독립적으로 제공되어도 무방하고, 선택 키와 실행 키를 겸용하는 조작 수단(예를 들면, 죠그 다이얼)이 채용되어도 된다.
또한, URL 저장 메모리(124)는 부 표시부(120)에 표시되는 URL을 기억하는 기억 수단으로, 과거에 액세스한 URL의 이력이나, 소정의 수단으로 선택 또는 입력된 URL이 저장된다. URL 저장 메모리(124)로서, 하드디스크 드라이브(HDD)의 일부 영역이 사용되어도 되고, 불휘발성 메모리가 별도로 탑재되어도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단말기는 이하에 설명할 (1) 시스템 기동 시에서의 BIOS의 설정 입력 기능, (2) 절전 모드로의 이행 기능, (3) 절전 모드 해제 시에서의 URL로의 액세스 기능, (4) 통상 모드 및 절전 모드에서의 URL의 선택·표시 기능을 갖는다. 이하, 각 기능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8은 시스템 기동 시에서의 BIOS의 설정 입력 처리의 흐름도이다. 본 처리는 OS에 의해 실행된다. 도 8에서, 단말기의 전원이 투입되고, OS가 기동된다(S11). OS는 BIOS 메모리(118)로부터, 절전 모드의 유효 플래그와 절전 모드로 이행하기까지의 시간 정보 등의 절전 모드에 관한 정보를 판독하여(S12), OS가 관리하는 기억 영역(HDD 또는 메인 메모리 등)에 보존한다(S13). 이와 같이 하여, OS는 BIOS 메모리(118)에 설정되어 있는 절전 모드에 관한 정보를 미리 취득하여, 그것을 OS 관리 영역에 보존함으로써, OS에 의한 절전 모드로의 이행 처리가 실행 가능해진다.
도 9는 절전 모드로의 이행 처리의 흐름도이다. 본 처리도 OS에 의해 실행된다. 먼저, OS는 키보드나 마우스 등의 입력부로부터의 입력의 유무를 감시하고(S21), 단말기 내의 시스템 타이머 이용하여 입력 간격 시간을 계측한다. 그리고, 설정 시간 경과 전에 입력이 있는 경우에는(S22), 시스템 타이머를 리세트하고(S23), 새로운 시간 계측을 개시한다. 설정 시간이 경과하여도 입력이 없는 경 우에는(S22), 단말기를 절전 모드로 이행한다(S24). 구체적으로는, 단말기 내의 각 디바이스에 대한 전력 공급 제어가 BIOS로 이행하고, BIOS는 단말기의 소정의 디바이스(HDD나 CPU)에 대한 전원 공급을 정지한다.
도 10은 절전 모드 해제 시에서의 URL로의 제1 액세스 처리의 흐름도이다. 본 처리는 부 표시부(120)의 펌웨어에 의해 실행된다. 절전 모드에서, 부 표시부(120)의 펌웨어는 키보드나 마우스 등의 입력부(116)로부터의 입력 또는 보조 조작부(122)로부터의 입력의 유무를 감시한다(S31). 그리고, 입력을 검지한 경우에는 BIOS에 통지한다. 이것에 의해, 전력 공급 제어가 BIOS로부터 OS로 이행하고, OS는 전력 공급이 정지하고 있는 디바이스에 대한 전력 공급을 재개한다. 이렇게 하여, 절전 모드가 해제된다(S32). 그 다음으로, 부 표시부(120)에 표시되어 있는 URL을 취득하고(S33), 그 URL에 액세스하는 데 필요한 어플리케이션이 기동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S34). 기동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기동하고(S35), 그 어플리케이션에 URL을 통지한다(S36). 이렇게 하여, 단말기는 통상 모드로 복귀하고, 통상 모드에서 기동되어 있는 어플리케이션은 수취한 URL에 대한 액세스를 개시한다.
또, 부 표시부(120)의 펌웨어는 URL의 형식에 대응하여, 기동할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한다. 예를 들면, URL이 「http://∼」 형식인 경우, URL은 웹 페이지 어드레스이기 때문에, 브라우저 어플리케이션이 선택된다. 또한, URL이 「mailto:∼」 형식인 경우, URL은 전자 메일 어드레스이기 때문에, 전자 메일용 어플리케이션이 선택되며, 또한, URL이 「ftp:∼」 형식인 경우, FTP용 어플리케이션이 선택 된다. 여기서, URL의 형식에 따라 브라우저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한 경우에는 그 URL에서 나타나는 웹 페이지의 취득·표시를 브라우저 어플리케이션에 지시한다. 또한, URL의 형식에 따라 전자 메일용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한 경우에는 그 URL에서 나타나는 메일 어드레스에 대한 전자 메일의 작성을 전자 메일용 어플리케이션에 지시한다. 또한, URL의 형식에 따라, FTP용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한 경우에는 그 URL에서 나타나는 파일의 다운로드를 FTP용 어플리케이션에 지시한다. 「http://∼」 형식의 URL은 통상, 브라우저 어플리케이션이 선택되는 URL이지만, 그 URL에 의해 액세스되는 파일에 따라서는 MIDI 데이터 연주나 기타 음성 데이터 재생, 동화상 재생 등의 목적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이 필요해지는 경우가 있다. 그 때에는 해당 목적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어떤 어플리케이션을 필요로 할지는 브라우저 어플리케이션의 설정으로부터 취득한다.
또한, 절전 모드로의 이행 처리 혹은 절전 모드의 해제 처리는 도 8 및 도 9에 도시한 것에 한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주 표시부(114))의 개폐 상태를 검출하는 스위치를 제공하고, 디스플레이가 개방 상태로부터 닫힘 동작된 것을 스위치에서 검출하는 경우에, 단말기를 절전 모드로 이행시키도록 하여도 된다. 또한, 디스플레이가 닫힘 상태로부터 개방 동작이 된 것을 스위치에서 검출하는 경우에, 단말기를 절전모드로부터 해제하도록 하여도 된다.
이와 같이, 디스플레이의 개방 조작이 절전 모드의 해제로 되는 구성에 따르면, 사용자는 디스플레이가 닫힘 상태에서 부 표시부(120)에 원하는 정보를 표시시 켜서, 단순히 디스플레이를 개방하는 조작에 의해 부 표시부(120)에 표시된 정보에 관련되는 처리(주 표시부(114)로의 정보 표시)가 실행되는 것으로 되어, 사용자의 편리성이 보다 향상되게 된다.
또, 이 디스플레이의 개폐 상태를 검출하기 위한 스위치는 후술하는 도 26과 마찬가지의 구조를 이용하면 된다.
또한, 주 표시부가 닫혀 있는 상태에서, 절전 모드가 해제된 경우, 자동적으로 주 표시부가 개방되도록 하여도 된다. 그 때문에, 단말기는 예를 들면, 주 표시부를 자동적으로 개방하기 위한 모터와 같은 구동 수단을 내장하여도 된다. 절전 모드의 해제에 응답하여, 부 표시부(120)의 펌웨어는 주 표시부가 닫혀 있는 경우에는 모터를 구동하여, 미리 설정된 적절한 각도까지 주 표시부를 본체에 대하여 개방한다.
도 11은 절전 모드 해제 시에서의 URL로의 제2 액세스 처리의 흐름도이다. 도 10과 동일한 처리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가 부여된다. 도 11에서, 부 표시부(120)의 펌웨어는 입력부(116) 또는 보조 조작부(24)로부터의 입력의 유무를 감시하고(S31), 입력을 검지한 경우에는 절전 모드가 해제된다(S32).
그 후, 주 표시부가 닫혀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하고(S32-1), 닫혀 있는 경우에는 구동 수단을 구동하여 그 보디(body)를 소정 각도까지 개방한다(S32-2). 그리고, 부 표시부(120)에 표시되어 있는 URL을 취득하고(S33), 그 URL에 액세스하는 데 필요한 어플리케이션이 기동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S34). 기동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기동하고(S35), 그 어플리케이션에 URL을 통지한다(S36). 이렇게 하여서, 단말기는 통상 모드로 복귀하고, 통상 모드에서 기동되어 있는 어플리케이션은 수취된 URL에 대한 액세스를 개시한다.
또, 액세스될 URL에 따라, 음성 데이터 파일(예를 들면, MP3 파일)이 지정되는 경우도 있다. 이러한 경우, 예를 들면, 주 표시부를 개방하지 않으며, 브라우저 어플리케이션도 기동시키지 않고, 음성 데이터 재생 어플리케이션만을 기동시켜서, 그 음성 데이터 파일을 재생하도록 설정하여도 된다. 이것에 의해, 주 표시부를 개방할 필요가 없는 파일이 지정된 경우, 주 표시부가 개방되지 않기 때문에, 사용자의 편리성이 향상한다.
도 12는 URL의 선택·표시 처리의 흐름도이다. 본 처리는 부 표시부(120)의 펌웨어에 의해 실행된다. 또한, 본 처리는 통상 모드 및 절전 모드에 관계없이 실행된다. 부 표시부(120)의 펌웨어는 URL 선택의 인터럽트 입력의 유무를 감시한다(S40). 구체적으로는, 보조 조작부(122)의 선택 키(죠그 다이얼)의 조작의 유무를 감시한다. 죠그 다이얼의 조작을 검지하면, URL 저장 메모리(124)에 순서가 매겨져 보존되어 있는 복수의 URL 중, 현재 표시되어 있는 URL에 인접하여(전 또는 후) 저장되어 있는 URL을 순차 선택하여 표시한다(S41). 전후의 선택은 죠그 다이얼의 회전 방향에 의해 결정된다.
다음으로, URL 저장 메모리(124)로의 URL의 저장 방법의 예를 설명한다. URL을 URL 저장 메모리(124)에 저장하기 위해서는, (1) 부 표시부(120)의 펌웨어가 브라우저 등의 어플리케이션(이하, 브라우저를 예로 설명함)으로부터의 URL의 출력을 감시하고, 출력된 URL을 취득하여 URL 저장 메모리(124)에 저장하며, (2) 브라 우저에 URL 저장 메뉴를 제공하고, 사용자에 의한 메뉴의 선택 조작에 기초하여, 브라우저가 브라우저 상에서 입력 또는 선택된 적어도 1개의 URL을 URL 저장 메모리(124)에 저장하고, (3) 브라우저에 대한 애드인(add-in)) 기능에 의해, 브라우저가 브라우저 상에서 확정된 적어도 1개의 URL을 자동적으로 URL 저장 메모리(124)에 저장하며, (4) 브라우저에 다른 URL 저장 메뉴를 제공하고, 그 메뉴의 선택 조작에 기초하여, 표시되어 있는 웹 페이지에 기술된 적어도 1개의 URL을 일괄하여 URL 저장 메모리(124)에 저장한다.
상기 (1)의 경우, URL 저장 메모리(124)는 절전 모드로 이행하기 전에 마지막으로 액세스된 URL을 적어도 기억한다. 또한, 부 표시부(120)에는 초기 설정으로 URL이 표시되어도 된다. URL 메모리(124)가 과거에 액세스된 소정 수의 URL을 기억하는 경우, 초기 설정으로 상기 절전 모드로 이행하기 전에 마지막으로 액세스된 URL이 표시되고, 상기 선택 키에 의해 다른 URL을 선택가능하게 하여도 된다. 또한, (4)의 경우, 브라우저는 웹 페이지를 해석하여, 웹 페이지에 기술된 URL을 추출한다.
도 13은 URL 저장 메모리(124)에 저장되는 URL 데이터의 구성예이다. URL 데이터는 식별 번호(일련 번호), URL, 그것에 대응하는 표시 내용의 정보(식별 정보)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도 14는 부 표시부(120)의 표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4의 (a)는 배터리의 충전 상태, CD-ROM 등의 광 디스크의 탑재 상태 이외에, 인터넷의 웹 페이지 어드레스(URL)가 표시되어 있다. 또한, 도 14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URL 그것 자체 대신, URL에 첨부된 표제(상기 식별 정보)가 표시되어도 된다. 그 URL에 대응하는 웹 페이지 데이터(HTML 파일)에 미리 표제가 주어지고 있는 경우에는 그것이 이용되어도 되고, 또한, 사용자가 임의로 표제를 설정하여도 된다. 또한, 도 14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부 표시부(120)는 터치 패널 기능을 가지고, 보조 조작부(122)(실행 버튼, 선택 버튼)가 표시되어 있어도 된다.
도 15는 부 표시부(120) 등의 부착 형태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5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부 표시부(120)는 주 표시부가 닫혀 있어도, 사용자가 볼 수 있는 위치에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절전 모드에서는 주 표시부가 닫혀 있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또한, 보조 조작부(122)도 마찬가지로, 주 표시부가 닫혀 있어도, 사용자가 조작 가능한 위치에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15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부 표시부(120), 보조 조작부(122) 및 URL 저장 메모리(124)가 독립된 장치로서 제공되어도 된다. 그리고, 이 독립된 장치를 외부에서 부착하여 노트북 컴퓨터에 접속함으로써, 상술한 처리 및 조작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도 15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부 표시부(120) 및 보조 조작부(122)의 기능을 휴대 전화에 의해 실현하여도 된다. 소정의 통신 규격에 따른 통신 프로그램을 이용함으로써, 휴대 전화의 화면을 부 표시부(120), 휴대 전화의 다이얼 버튼을 보조 조작부(122)로서 기능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휴대 전화에 내장되는 기억 매체를 URL 저장 메모리(124)로서 이용한다.
(다른 실시예)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추가 실시예에서는, 미리 웹 페이지의 자동 순회 기능에 의해 갱신된 웹 페이지를 검출하고, 갱신된 웹 페이지의 URL은 URL 저장 메모리(124)에 저장된다. 그리고, 갱신이 검출된 웹 페이지의 URL은 부 표시부(120)에 표시되고, 절전 모드의 해제 조작에 대응하여, 그 URL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이 경우, 브라우저 프로그램)이 기동하고, 그 URL에 대한 액세스 처리를 실행한다.
도 16은 자동 순회 프로그램에 의한 순회 경로의 설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사용자는 통상 모드에서, 자동 순회 프로그램에 대하여 순회 경로의 설정을 행한다. 순회 경로는 사용자에 의한 외부 입력이나, 브라우저 프로그램의 「즐겨찾기」 등에 사전에 등록되어 있는 URL의 임포트 입력 등에 의해 설정된다. 도 16의 (a)는 자동 순회 경로를 설정하기 위한 화면예이고, 도 16의 (b)는 사용자가 키보드 등의 입력 수단으로부터 URL을 입력하기 위한 화면예이며, 도 16의 (c)는 브라우저의 「즐겨찾기」로부터 URL을 임포트 입력하기 위한 화면예이다.
도 17은 자동 순회 프로그램에 의한 순회 시각의 설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사용자는 통상 모드에서, 자동 순회 프로그램에 대하여 순회 시각의 설정을 행한다. 도 17은 순회 시각을 설정하기 위한 화면예로서, 예를 들면, 2개의 시각(즉, 1일 2회의 순회)을 설정할 수 있다.
도 18은 순회 정보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자동 순회 프로그램은 상기 방식으로 설정된 정보를 순회 정보로서, 단말기의 기억 장치(하드디스크 장치 등)에 보존한다. 순회 정보는 도시된 바와 같이, 순회 시각 및 순회 경로를 구성하는 적어도 1개의 URL을 포함한다.
도 19는 자동 순회 프로그램의 처리 흐름도이다. OS가 기동하면, 자동 순회 프로그램을 자동적으로 기동한다. 먼저, 자동 순회 프로그램은 순회 정보를 참조하여, 순회 시각을 취득하고(S50), 현재 시각에 기초하여 순회 시각까지의 타이머 설정을 행한다(S51). 자동 순회 프로그램은 타이머 설정된 순회 시각이 되면(S52), 순회 정보를 참조하여 순회할 URL을 취득하고(S53), 브라우저 프로그램을 기동하여 취득하고, 각 URL에 액세스하여 각 URL의 웹 페이지의 갱신 시각(갱신 일시 혹은 작성 일시)을 취득한다(S54). 갱신 시각은 웹 페이지를 구성하는 HTML 파일의 헤더 정보의 하나로서 설정되어 있다. 자동 순회 프로그램은 각 URL의 웹 페이지의 갱신 시각을 취득하면, 갱신 이력 정보에 등록되어 있는 각 웹 페이지의 갱신 시각과 비교한다(S55).
또, 웹 페이지의 갱신 판단은 상기한 처리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예를 들면, 후술하는 바와 같이 이미 보존되어 있는 웹 페이지와 금회 취득한 동일한 URL의 웹 페이지에 의해 내용 비교를 행하고, 내용에서 차이가 있는 경우에 웹 페이지가 갱신되었다고 판단하여도 된다. 이 경우, 웹 페이지의 취득 일시를 웹 페이지의 갱신 시각으로 간주하면 된다.
도 20은 갱신 이력 정보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갱신 이력 정보는 각 URL에 대한 가장 근접된 갱신 시각을 등록하는 데이터베이스로, 자동 순회 프로그램에 의해 작성되어, 단말기의 기억 장치(하드디스크 장치 등)에 보존된다. 또한, 갱신 이력 정보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복사된 웹 페이지를 보존하는 기억 장치 내의 저장 장소 정보도 갖는다.
도 19로 되돌아가서, 갱신 시각의 비교에서, 액세스한 웹 페이지로부터 취득된 갱신 시각이, 대응하는 웹 페이지에서의 갱신 이력 정보에 등록되어 있는 갱신 시각보다도 새로운 경우, 자동 순회 프로그램은 그 웹 페이지를 복사하여, 갱신 이력 정보에서 지정되어 있는 저장 장소에 보존하고(S56), 또한, 갱신 이력 정보의 갱신 시각을 갱신한다(S57).
또한, 자동 순회 프로그램은 갱신되어 있는 웹 페이지의 URL 및 그것에 대응하는 표시 내용(웹 페이지 타이틀 등의 식별 정보) 등을 부 표시부(120)에 표시하기 위한 URL 저장 메모리(124)에 추가한다(S58).
도 21은 부 표시부(120)에서의 갱신된 웹 페이지의 URL의 표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1에서는 예를 들면, http://www.fajitas.com, http://www.fmwarld. net의 2개의 URL에 대응하는 웹 페이지의 갱신이 검출된 경우로, 도 21의 (a)에는 전자의 URL이 표시되고, 도 21의 (b)는 후자의 URL이 표시되어 있다. 표시 전환은 부 표시부(120)에서 지정되는 스크롤 버튼(「이전」 및 「다음」)에 의해 행한다.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말기는 부 표시부(120)에 표시되는 정보에 관련되는 조작 버튼을 구비하며, 예를 들면, 상술된 바와 같은 스크롤 버튼이나, 실행 버튼(도 21에서의「열기」) 등을 포함한다. 이 실행 버튼의 조작에 의해, 절전 모드가 해제되도록 하여도 된다. 즉, 도 21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행 버튼의 조작에 의해, 절전 모드가 해제됨과 함께, 부 표시부(120)에 표시되어 있는 정보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이 기동되고, 본 예의 경우, 브라우저 프로그램이 기동하여 표시되어 있는 URL에 액세스하고, 그 URL에 대응하는 웹 페이지가 단말기의 주 표시부에 표시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부 표시부(120)에 전자 메일 어드레스(전자 메일 어드레스도 URL임)를 표시하고, 전자 메일 어드레스가 표시되어 있는 경우에, 절전 모드가 해제되면, 전자 메일 프로그램이 기동되어, 그 전자 메일 어드레스로의 편집 화면이 표시되어도 된다.
도 22는 전자 메일 어드레스의 설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사용자는 통상 모드에서, 소정의 전자 메일 어드레스 설정 유틸리티 프로그램에 대하여 전자 메일 어드레스의 설정을 행한다. 전자 메일 어드레스는 사용자에 의한 외부 입력이나, 전자 메일 프로그램의 「어드레스장(address book)」 등에 사전에 등록되어 있는 전자 메일 어드레스의 임포트 입력 등에 의해 설정된다. 도 22의 (a)는 전자 메일 어드레스를 설정하기 위한 화면예이고, 도 22의 (b)는 사용자가 키보드 등의 입력 수단으로부터 전자 메일 어드레스를 입력하기 위한 화면예이며, 도 22의 (c)는 전자 메일 프로그램의 「어드레스장」으로부터 전자 메일 어드레스를 임포트 입력하기 위한 화면예이다.
도 23은 부 표시부(120)에서의 전자 메일 어드레스(URL)의 표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복수의 전자 메일 어드레스가 등록되어 있는 경우, 도 23의 (a) 및 도 2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 표시부(120)에서 지정되는 스크롤 버튼(「이전」 및 「다음」)을 조작함으로써, 전자 메일 어드레스의 표시 전환을 행할 수 있다.
그리고, 도 23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행 버튼의 조작에 의해, 절전 모드가 해제됨과 함께, 부 표시부(120)에 표시되어 있는 정보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이 기동되고, 본 예의 경우, 전자 메일 프로그램이 기동하여, 표시되어 있는 전자 메일 어드레스에 대한 전자 메일 편집 화면이 주 표시부(114)에 표시된다.
또, 이와 같이 전자 메일 편집 화면을 표시하는 것이 아니라, 신착 메일이 있는 경우에, 절전 모드에서, 개개의 신착 메일 각각을 식별할 수 있는 정보를 부 표시부(120)에 표시하고, 절전 모드의 해제 조작이 되었을 때에 부 표시부(120)에 표시되어 있던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신착 메일의 상세 내용을 전자 메일 프로그램에 의해 주 표시부(114)에 표시되도록 하여도 된다. 또, 메일을 식별할 수 있는 정보로서는 타이틀, 전자 메일 어드레스, 발신인명(신착 메일의 헤더 정보에 있는 From으로부터 추출, 혹은 From의 메일 어드레스를 이용하여 전자 메일 프로그램의 어드레스장으로부터 검색), 본문 내용 등이 있다. 또한, 이 처리의 상세는 후술하는 폴딩형 단말기에서 설명하는 것과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여기서의 설명은 생략한다.
도 24는 부 표시부(120)에 대한 URL 표시 제어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어플리케이션 레이어에서의 자동 순회 프로그램이나 전자 메일 어드레스 설정 유틸리티 프로그램은 부 표시부 제어 레이어의 표시 데이터 등록 인터페이스를 통해, URL 저장 메모리(124)의 표시 데이터 테이블(55)에 URL을 표시 데이터로서 등록한다.
부 표시부 제어 레이어의 절전 모드 감시부(50)는 절전 모드 상태에서, 절전 모드의 해제 조작을 검지한다. 해제 조작은 예를 들면, 노트북 컴퓨터에서의 덮개를 개방하는 조작이나, 마우스, 키보드의 조작, 조작 버튼(60)에서의 실행 버튼의 누름 등이고, 해제 조작을 검지하면 절전 모드를 해제한다.
버튼 제어부(51)는 하드웨어 레이어의 조작 버튼(60)의 누름을 검지하면, 절전 모드 감시부(50)에 눌러진 조작 버튼(60)의 종류를 통지함과 함께, 눌러진 조작 버튼에 대응하는 처리를 실행한다.
버튼 제어부(51)는 조작 버튼(60)에서의 표시 선택 버튼(스크롤 버튼)의 누름을 검지하면, 그 조작에 대응한 표시 데이터를 표시 데이터 테이블(55)로부터 취득하고, 표시 의뢰(도 13에서의 식별 번호를 포함함)로서 표시 제어부(52)에 통지한다. 표시 제어부(52)는 표시 의뢰의 식별 번호에 대응하는 URL을 부 표시부(120)에 표시한다. 절전 모드 감시부(50)는 표시 선택 버튼 누름의 통지를 버튼 제어부(51)로부터 수신하여도, 절전 모드를 해제하지 않는다.
또한, 실행 버튼이 눌러진 경우, 버튼 제어부(51)는 절전 모드 감시부(50)에, 실행 버튼의 누름을 통지한다. 절전 모드 감시부(50)는 실행 버튼의 누름의 통지를 수신하면, 절전 모드를 해제한다. 또한, 현재, 부 표시부(120)에 표시되어 있는 표시 데이터에 대응하는 URL을 표시 데이터 테이블(55)로부터 취득하고, 취득한 URL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기동한다. 예를 들면, URL이 웹 페이지 어드레스인 경우에는 브라우저 프로그램을 기동하고, 전자 메일 어드레스인 경우에는 메일 프로그램을 기동한다. URL의 종류는 상술한 바와 같이, URL의 형식을 해석함으로써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노트북 컴퓨터와 같은 컴퓨터 단말기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메인 디스플레이와 서브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휴대 전화와 같은 단말기 에도 적용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술된 바와 같이, 절전 모드의 해제에 응답하여, 부 표시부에 표시되어 있는 정보에 대응하는 처리를 실행하는 단말기 이외에, 이하에서 분명한 바와 같이, 노트북 컴퓨터나, 배면에 서브 디스플레이(부 표시부) 및 배면 키를 구비한 폴딩형 휴대 전화와 같이 개폐 가능한 폴딩형 기구를 가지며, 또한 닫힘 상태에서는 서브 디스플레이만 시인 가능한 단말기에서, 폴딩형 기구의 닫힘 상태로부터의 개방 동작에 응답하여, 서브 디스플레이에 표시되어 있는 정보에 대응하는 처리를 실행하는 단말기가 예시된다.
이하에, 일례로서, 배면에 서브 디스플레이 및 배면 키를 구비한 폴딩형 휴대 전화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5는 폴딩형 휴대 전화의 외관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5의 (a)는 폴딩형 휴대 전화를 개방한 상태를 나타내는 외관도, 도 25의 (b)는 폴딩형 휴대 전화를 접은 상태를 나타내는 외관도이다.
휴대 전화(20)는 복수의 키 버튼(24)을 갖는 메인 조작부(25)가 구성되는 조작부측(26)과, 이 조작부측(26)의 단부에 제공된 요동축부(swing axis section)(27)를 통해 요동할 수 있게(접을 수 있게) 제공되고 메인 디스플레이(메인 LCD)(21)이 구성되는 표시부측(28)을 구비하여, 휴대 전화(20)의 개방 상태에서는 조작부(25) 및 메인 디스플레이(주 표시부)(21)가 조작 및 시인가능하게 되고, 접혀짐으로써 이루어지는 닫힘 상태에서는 이들이 컴팩트 형식으로 닫혀 있어 외부로부터 격리되는 구조를 갖고 있다.
요동축부(27)의 근방에는 휴대 전화(20)의 개폐 상태를 검출하기 위한 검출 수단으로서의 검출 기구(33)가 제공되어 있다. 이 검출 기구(33)는 표시부측(28)의 개체 표면에 돌출되어 제공된 가압부(31)와, 조작부측(26)의 보디 표면에 형성된 오목부(32) 내에 제공되고, 가압부(31)에 의해 가압됨으로써 스위치가 닫혀지는 가압 스위치(34)(도 26 참조)로 구성된다.
도 26은 휴대 전화(20)의 개폐 상태를 검출하는 검출 기구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가압 스위치(34)는 도시된 바와 같이, 보디의 이면에 제공된 리브(rib)(341) 내에 도시되지 않은 스프링(스프링 배너 또는 판 배너)에 의해 스위치 패드(342)를 상하 이동 가능하게 또한 상측으로 탄성을 갖고 눌려지도록 제공하고, 이 스위치 패드(342)를 스프링의 탄성력에 대항하여 밀어 내림으로써, 오목부(32)의 바닥부에 제공된 소정의 단자(344)를 접지(345)에 접속하는 구성을 가지고, 그 단자 전위에 의해 개폐 상태가 검출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도 2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디스플레이(21)의 배면에는 조작 버튼인 배면 키(22)와 서브 디스플레이(서브 LCD)(23)가 상호 근접하여 제공되어 있다.
배면 키(22)는 점등 또는 점멸 제어되며, 여러가지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기 위해서 이용되거나, 서브 디스플레이(부 표시부)(23)의 표시를 전환하는 것에 사용되기도 한다. 또한, 이 배면 키(22)를 계속하여 소정 시간 누름으로써, 메일 서버에 신착 메일을 확인하여, 신착 메일이 존재하는 경우에 다운로드하도록 하여도 된다.
서브 디스플레이(23)는 배면 키(22)의 조작에 의해 여러가지 상태나 정보를 표시하는 것에 사용되며, 예를 들면 날짜나 시각, 메일 착신 정보, URL 리스트, 음성 착신 정보 등을 전환하여 표시한다.
예를 들면, 메인 디스플레이는 전각으로 가로 10 문자, 세로 10행을 표시할 수 있고, 서브 디스플레이는 전각으로 6 문자를 표시할 수 있는 사양으로 이루어져 있다.
도 27은 휴대 전화(20)의 하드웨어 구성의 일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7에 도시한 휴대 전화(20)는 안테나(1)를 구비한 무선 송수신부(2)와, 기저 대역 처리부(3)와, 사용자가 키 조작에 의해 전화번호나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 조작부(5)와, 등록부(6a) 및 이력부(6b)를 갖는 메모리(6)와, 표시부(7)와, 서브 디스플레이(23) 및 배면 키 조명부(8)가 제어부(4)에 접속되어 있고, 또한 인터페이스(IF)(9)를 통해 스피커(10) 및 마이크(11)가 제어부(4)에 접속되어 있다.
제어부(4)는 예를 들면, MPU 등으로 구성되며, 프로그램에 따라 본 기기의 동작 제어를 실행한다.
입력 조작부(5)에는 메인 조작부(25)에 제공된 각종 키 이외에 배면 키(22)가 포함되어 있다.
표시 제어부(7)는 도 25에 도시한 메인 디스플레이(메인 LCD)(21) 및 서브 디스플레이(23)에 접속되어 있고, 각 디스플레이(21, 23)의 표시 제어를 행한다.
메모리(6)에는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등 본 기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고, 본 발명의 처리를 실행하는 프로그램도 여기에 저장되어 있다.
또한, 메모리(6)의 등록부(6a)에는 이름, 읽기, 전화번호, 메일 어드레스, 주소 등으로 구성되는 전화번호부 데이터, URL 리스트, 전자 메일 기능에서의 수신 메일, 작성 메일 등 메일 데이터, 전언 메모, 다운로드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휴대 전화의 각종 설정 정보 등이 등록된다.
메모리(6)의 이력부(6b)에는 음성 발신 이력, 음성 착신 이력 등의 이력 정보가 저장된다.
이하, 폴딩형 휴대 전화가 그 개방 동작에 응답하여, 여러가지 처리를 실행하는 예를 설명한다.
(웹 페이지(홈페이지)에 액세스하는 예)
URL 리스트를 서브 디스플레이에 표시하여, 원하는 URL 정보로 되었을 때에 휴대 전화를 개방 상태로 함으로써 그 URL에 액세스하여 웹 페이지를 취득하고, 메인 디스플레이에 그것을 표시하는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휴대 전화는 URL 리스트(북 마크라고도 부름)를 보유하고 있다. 이 URL 리스트는 이하에 도시한 바와 같이, 등록 건수와, 1 건을 1 레코드로 한 타이틀과 URL의 대응 정보를 갖는다. 또, URL 리스트에 등록된 레코드 중, 선택된 하나의 레코드가 대상 레코드로서 지정되어 있다.
[URL 리스트의 데이터 구조예(등록 건수 5건인 경우)]
5
AB 씨의 페이지 http://www.ab.com/
CD 씨의 페이지 http://www.cd.com/
:
이 URL 리스트의 정보는 사용자가 직접 입력할 수도 있고, 사용자가 웹 페이지의 열람 중에 소정 조작을 함으로써 열람 중의 웹 페이지의 URL과 타이틀(식별 정보)을 등록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웹 페이지 열람 중에서의 등록 조작에서는 웹 페이지의 HTML 소스에서의 <TITLE> 태그의 기술 내용이 이 URL 리스트에서의 타이틀로서 등록된다.
또한, 이러한 입력 또는 등록 후에, 사용자가 그 등록 정보를 편집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28은 본 실시예의 휴대 전화에서의 제1 처리 흐름도이다. 휴대 전화는 사용자에 의한 배면 키(22)(이후, 버튼이라 함)의 조작(누름)을 검출하면(S100), URL 리스트에 액세스하여 등록 건수를 취득한다(S101). 등록 건수가 0 건인 경우에는 서브 디스플레이(23)를 버튼 조작전의 초기 상태로 되감고(S109), 본 처리를 종료한다. 등록 건수가 1 건 이상인 경우에는 URL 리스트의 중의 대상 레코드의 타이틀 및 URL을 취득하고, 서브 디스플레이(23)에 취득한 타이틀 또는 URL을 표시한다(S102).
도 29는 서브 디스플레이(23)에서의 대상 레코드의 타이틀 (a) 또는 URL (b)의 표시예이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버튼 조작에 의한 대상 레코드의 변경에 수반하여, 표시 내용도 전환된다. 또한, 도 29의 (b)에서는 프로토콜(http://)을 생 략하여 표시하고 있다.
도 28로 되돌아가서, 타이틀 또는 URL의 표시로부터 소정 시간 내(S103)에 휴대 전화의 오픈(개방 동작)을 검출하면(S104), URL 리스트의 표시에 기초하여, 브라우저 프로그램을 기동하고, 상기 취득한 URL에 액세스하여 웹 페이지를 취득한다(S105). 취득된 웹 페이지는 메인 디스플레이(21)에 표시된다(S106).
도 30은 메인 디스플레이(21)에서의 웹 페이지의 표시예이다. 도 30에서는 서브 디스플레이(23)에 「AB 씨의 페이지」 또는 「www.ab.com」으로 표시된 상태에서 휴대 전화의 개방 동작이 있었던 경우의 표시예이다.
또, 상기 타이틀 또는 URL의 표시로부터 소정 시간 내에 버튼 조작을 검출한 경우(S107), URL 리스트 중, 현재의 대상 레코드의 다음의 레코드를 대상 레코드로 하고(S108), 상기 단계 S102의 처리로 되돌아간다. 또, 현재의 대상 레코드가 최종 레코드인 경우, 대상 레코드를 선두 레코드로 한다. 또한, 상기 타이틀 또는 URL의 표시로부터 소정 시간 내에 어떠한 사용자 조작도 검출되지 않은 경우, 본 처리를 종료한다.
또, 상기 처리예에서는 타이틀과 대응하는 URL을 동시에 취득하고 있지만, 타이틀이 확정된 때에 대응하는 URL을 취득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또한, 본 처리에서, 타이틀 또는 URL을 한번에 서브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없는 경우에는 소정 시간마다 표시 정보를 소정 도트씩 시프트하여, 정보를 스크롤표시하도록 하여도 된다.
또한, URL 리스트의 데이터 구조, 처리 내용은 상기 예에 한정되는 것도 아 니다. 예를 들면, 등록 건수 정보가 없는 데이터 구조로 하여, 사용자의 버튼 조작에 따라 순차 레코드를 판독하고, 판독되는 레코드가 없어진 경우에 선두 레코드를 판독한다는 처리로 하여도 된다.
또한, URL 리스트가 아니라, 전화번호부 데이터에 개인 홈페이지 정보가 포함되는 경우, 그것을 서브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도록 하여도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간단한 조작으로 신속하게 원하는 웹 페이지에 액세스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전자 메일 기능(송신시)의 예)
다음으로, 서브 디스플레이(23)에 수신처 정보를 표시하고, 원하는 수신처 정보로 되었을 때에 휴대 전화를 개방 상태로 함으로써 그 수신처에 송신하기 위한 메일 작성 화면을 메인 디스플레이(21)에 표시하는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휴대 전화는 데이터 통신에 의해 전자 메일의 송수신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이름, 전화번호, 메일 어드레스, 주소 등을 포함하는 전화번호부 데이터를 보유하고 있다. 이 전화번호부 데이터는 1 건을 1 레코드로 한 대응 정보와 등록 건수 정보로 구성된다.
[전화번호부 데이터의 데이터 구조예(등록 건수 100 건인 경우)]
100
오가와 오가와 0443701234 ogawa@pc.com 가나가와켄 가와사끼시 나까하라꾸 1234…
다나까 다나까 0443702345 tanaka@pc.com 가나가와켄 가와사끼시 나까하라꾸 2345…
:
이 전화번호부 데이터는 사용자가 직접 입력할 수도 있고, 상대로부터의 착신에 의해 통지되는 상대 전화번호, 수신 메일에 포함되는 상대 메일 어드레스를 이용하여 간이하게 작성할 수도 있다.
도 31은 본 실시예의 휴대 전화에서의 제2 처리 흐름도이다. 휴대 전화는 사용자의 버튼 조작(누름)을 검출하면(S200), 전화번호부 데이터에 액세스하여 등록 유무를 확인한다(S201). 등록 건수가 0 건인 경우에는 서브 디스플레이(23)를 버튼 조작전의 초기 상태로 되감고(S209), 본 처리를 종료한다. 등록 건수가 1 건 이상인 경우에는 전화번호부 데이터 중의 대상 레코드명 및 메일 어드레스를 취득하고, 서브 디스플레이(23)에 취득한 이름(식별 정보) 또는 메일 어드레스를 표시한다(S202). 또는, 대상 레코드의 전화번호(식별 정보) 및 그것에 대응하는 메일 어드레스가 취득되어도 된다.
도 32는 서브 디스플레이(23)에서의 대상 레코드명 (a) 또는 메일 어드레스 (b)의 표시예이다. 버튼 조작에 의한 대상 레코드의 변경에 수반하여, 표시 내용도 전환된다. 또한, 도 32의 (c), 대상 레코드의 전화번호의 표시예이다.
도 31로 되돌아가서, 이름 또는 메일 어드레스의 표시로부터 소정 시간 내(S203)에 휴대 전화의 오픈(개방 동작)을 검출하면(S204), 전화번호부 데이터의 표시에 기초하여, 메일 작성 기능을 기동하고(S205), 상기 취득한 메일 어드레스를 수신처로 하는 메일 작성 화면을 메인 디스플레이(21)에 표시한다(S206).
도 33은 메인 디스플레이(21)에서의 메일 작성 화면의 표시예이다. 도 33에서는 서브 디스플레이(23)에 이름 「오가와」 또는 그것에 대응하는 메일 어드레스 「ogawa@pc.com」 또는 전화번호 「0443701234」로 표시된 상태에서 휴대 전화의 개방 동작이 있었던 경우의 표시예이다.
상기 처리예에서는 서브 디스플레이(23)에 이름 및 그것에 대응하는 메일 어드레스를 표시하도록 하고 있지만, 전화번호부 데이터로부터 메일 어드레스만을 판독하여, 그것을 서브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도록 하여도 된다.
또한, 전화번호부 데이터로부터 전화번호와 메일 어드레스를 판독하여 전화번호를 서브 디스플레이에 표시하고, 전화번호가 확정된 때에 대응하는 메일 어드레스를 수신처로 하도록 하여도 된다.
또한, 상기 예에서는, 전화번호부 데이터에 등록되어 있는 전(全) 데이터를 처리 대상으로 하였지만, 전화 데이터 중의 특정 플래그가 설정된 레코드나, 전화번호부 데이터가 그룹으로 관리되어 있는 경우의 특정한 그룹에 속하는 레코드를 상기 처리 대상으로 하여도 된다. 또한, 통상 사용되는 전화번호부 데이터와는 별도로 상기 처리용 데이터를 등록하고, 그것을 대상으로 하여도 된다.
또, 도 31의 단계 S207, S208, S209의 처리, 후술하는 도 34의 단계 S307, S308, S309의 처리, 도 37의 단계 S407, S408, S409의 처리, 도 40의 S507, S508, S509의 처리, 도 41의 S607, S608, S609의 처리, 도 42의 S707, S708, S709의 처리, 도 45의 S807, S808, S809의 처리, 도 48의 S907, S908, S909의 처리, 도 51의 S1007, S1008, S1009의 처리는 상술한 도 28의 단계 S107, S108, S109의 처리와 마 찬가지이고, 이하 이들 처리의 설명은 생략한다.
(전자 메일 기능(수신시)의 예)
서브 디스플레이에 수신 메일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여, 원하는 수신 메일 정보로 되었을 때에 휴대 전화를 개방 상태로 함으로써 그 수신 메일의 상세 정보를 메인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휴대 전화는 데이터 통신에 의해 전자 메일의 송수신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이름, 전화번호, 메일 어드레스를 포함하는 전화번호부 데이터를 보유하고 있다. 1 건을 1 레코드로 한 대응 정보로 구성된다(전화번호부 데이터의 데이터 구조예는 상술한 것과 마찬가지임).
도 34는 본 실시예의 휴대 전화에서의 제3 처리 흐름도이다. 휴대 전화는 사용자의 버튼 조작(누름)을 검출하면(S300), 메일 서버에 액세스하여 신착 수신 메일의 유무를 확인한다(S301). 신착 수신 메일이 없는 경우, 서브 디스플레이(23)를 버튼 조작전의 초기 상태로 되감고(S309), 본 처리를 종료한다. 신착 수신 메일이 메일 서버에 보존되어 있는 경우, 그 건수를 취득하여 수신 메일을 다운로드하고, 다운로드한 수신 메일 중 선택된 하나의 수신 메일(대상 메일이라 함)의 발신인명을 서브 디스플레이(23)에 표시한다(S302)(발신인명은 일반적으로, 전자 메일의 헤더 정보의 From에 메일 어드레스와 함께 기술됨). 또, 초기 시에는 수신 일시가 가장 오래된 수신 메일이 대상 메일로 된다.
도 35는 서브 디스플레이(23)에서의 대상 메일의 발신인명 (a) 등의 표시예이다. 또한, 후술하는 바와 같이, 발신인명 (a)의 표시에 한하지 않고, 대상 메일 의 메일 어드레스 (b), 제목 (c), 본문의 일부 (d), 전화번호가 서브 디스플레이(23)에 표시되도록 하여도 된다. 발신인명, 제목, 본문의 일부, 전화번호도 메일 어드레스에 대응하는 식별 정보이다.
발신인명의 표시로부터 소정 시간 내(S303)에 휴대 전화의 오픈을 검출한 경우(S304), 수신 메일 표시 기능을 기동하고(S305), 서브 디스플레이(23)에 발신인명이 표시되어 있는 대상 메일의 상세 정보(본문)를 메인 디스플레이(21)에 표시한다(S306).
도 36은 메인 디스플레이(21)에서의 수신 메일 표시 화면의 표시예이다. 도 36에서는 서브 디스플레이(23)에 「오가와」(도 35의 (a)), 「ogawa@pc.com」(도 35의 (b)), 「중요」(도 35의 (c)), 「사토님」(도 35의 (d)),「0443701234」(도 35의 (e)) 중 어느 하나가 표시된 상태에서 휴대 전화를 개방 상태로 하였을 때의 수신 메일의 표시예이다.
상기 발신인명 등의 표시로부터 소정 시간 내에 버튼 조작을 검출한 경우, 다음에 수신 일시가 새로운 수신 메일을 대상으로 하여 상기 단계 S303의 처리로 되돌아간다. 또, 현재의 대상 메일이 최신 수신 일시의 수신 메일인 경우, 수신 일시가 가장 오래된 수신 메일이 대상 메일로 된다.
또한, 상기 발신인명 등의 표시로부터 소정 시간 내에 어떠한 사용자 조작도 검출되지 않은 경우, 본 처리를 종료한다.
상기 처리예에서는 서브 디스플레이(23)에 수신 메일에 기술된 발신인명을 표시하도록 하여도 되지만, 수신 메일의 메일 어드레스를 이용하여 전화번호부 데 이터를 검색하고, 해당하는 메일 어드레스에 대응하는 이름을 서브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도록 하여도 된다. 메일 어드레스는 수신 메일의 헤더 정보에 포함되는 From으로부터 취득할 수 있다.
또한, 발신인명이 아니라 수신 메일의 메일 어드레스를 서브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도록 하여도 된다(도 35의 (b)). 메일 어드레스의 취득 방법은 상기와 마찬가지이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수신 메일의 From에 발신인명이 기술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도 대처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수신 메일의 제목을 서브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도록 하여도 된다(도 35의 (c)). 제목은 수신 메일의 헤더 정보에 포함되는 Subject로부터 취득할 수 있다. 또한, 수신 메일의 본문을 서브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도록 하여도 된다(도 35의 (d)). 본문은 수신 메일의 헤더 정보에 후속하는 새로운 행 코드만을 갖는 행 이후의 부분으로부터 취득할 수 있다. 또한, 수신 메일의 메일 어드레스를 이용하여 전화번호부 데이터를 검색하고, 해당하는 메일 어드레스에 대응하는 전화번호를 서브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도록 하여도 된다(도 35의 (e)). 메일 어드레스의 취득 방법은 상기와 마찬가지이다.
(전화 기능의 예)
서브 디스플레이에 전화 기능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고, 원하는 정보로 되었을 때에 휴대 전화를 개방 상태로 함으로써 그 정보의 상세 정보를 메인 디스플레이에 표시하거나 또는 그 정보에서 나타내는 기능을 실행하는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 전화번호부 데이터는 상술한 것과 마찬가지의 데이터 구조이다.
A) 전화번호부의 이름을 서브 디스플레이에 표시하고, 원하는 이름으로 되었을 때에 휴대 전화를 개방 상태로 함으로써 그 이름에 대응하는 전화번호를 사용하여 발호하는 예
도 37은 본 실시예의 휴대 전화에서의 제4 처리 흐름도이다. 휴대 전화는 사용자의 버튼 조작(누름)을 검출하면(S400), 전화번호부 데이터에 액세스하여 등록의 유무를 확인한다(S401). 등록 건수가 0 건인 경우에는 서브 디스플레이(23)를 버튼 조작전의 초기 상태로 되감고(S409), 본 처리를 종료한다. 등록 건수가 1 건 이상인 경우에는 전화번호부 데이터의 중의 대상 레코드명(식별 정보)을 취득하여, 서브 디스플레이(23)에 취득한 이름을 표시한다(S402).
도 38은 서브 디스플레이(23)에서의 대상 레코드명의 표시예이다. 버튼 조작에 의한 대상 레코드의 변경에 수반하여, 표시 내용도 전환된다.
도 37을 다시 참조하면, 이름의 표시로부터 소정 시간 내(S403)에 휴대 전화의 오픈(개방 동작)을 검출하면(S404), 표시되어 있는 이름에 대응하는 전화번호를 전화번호부 데이터로부터 취득하여, 그 전화번호를 사용하여 발호한다(S405). 이 때, 바람직하게는 메인 디스플레이(21)에, 발호처의 전화번호 및 현재의 처리 상태(발호 상태)가 표시된다(S406).
도 39는 메인 디스플레이(21)의 표시예이다. 도 39에는 서브 디스플레이(23)에 「오가와」가 표시되어 있는 상태에서, 휴대 전화를 개방 상태로 하였을 때의 표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또, 상기 이름의 표시로부터 소정 시간 내에 버튼 조작을 검출한 경 우(S407), 전화번호부 데이터 중 현재의 대상 레코드의 다음의 레코드를 대상 레코드로 하고(S408), 상기 단계 S402의 처리로 복귀한다. 또, 현재의 대상 레코드가 최종 레코드인 경우, 대상 레코드를 선두 레코드로 한다. 또한, 상기 이름의 표시로부터 소정 시간 내에 어떠한 사용자 조작도 검출되지 않았던 경우, 본 처리를 종료한다.
상기 처리예에서는 서브 디스플레이(23)에 이름을 표시하도록 하고 있지만, 전화번호부 데이터로부터 읽기를 판독하고, 그것을 서브 디스플레이(23)에 표시하도록 하여도 된다. 또, 전화번호나 메일 어드레스 등 다른 전화번호부 데이터를 판독하여 서브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도록 하여도 된다. 전화번호를 전화번호부 데이터로부터 판독하여 서브 디스플레이(23)에 표시하도록 한 경우에는, 상기 S405의 처리에서 전화번호를 취득하기 위해서 재차 전화번호부 데이터에 액세스할 필요는 없다.
또한, 상기 처리예에서 서브 디스플레이(23)에서의 표시 시에, 전화번호 이외의 항목 데이터를 취득하는 경우에는 해당 항목 데이터만을 취득하도록 하고 있지만, 해당 항목 데이터와 대응하는 전화번호를 취득하도록 하여, 휴대 전화가 개방 상태로 되었을 때에 그 전화번호를 사용하여 발호하도록 하여도 된다.
B) 발신 이력에 관한 정보를 서브 디스플레이에 표시하고, 원하는 상대로 되었을 때에 휴대 전화를 개방 상태로 함으로써 그 상대의 전화번호를 사용하여 발호하는 예
휴대 전화는 발호의 발신 이력을 보유하는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이 발신 이력은 이력 건수와, 1 이력을 1 레코드로 한 발호의 이력 정보로 이루어진다. 이 이력 정보는 전화번호와 그것에 대응하는 전화번호부 데이터에서의 이름, 발신 일시의 대응 정보로 이루어진다. 또, 전화번호부 데이터를 사용하는 발호가 아니라, 전화번호를 사용자가 직접 입력하는 발호인 경우에는 이력 정보로서 전화번호부 데이터에서의 이름 정보는 기록되지 않는다.
[발신 이력의 데이터 구조예(이력 건수 5건인 경우)]
5
0443701234 오가와 200108101038
0443702345 다나카 200108110850
0443703456 200108111321
:
도 40은 본 실시예의 휴대 전화에서의 제5 처리 흐름도이다. 휴대 전화는 사용자의 버튼 조작(누름)을 검출하면(S500), 발신 이력 데이터에 액세스하여 발신 이력의 유무를 확인한다(S501). 이력 건수가 0 건인 경우에는 서브 디스플레이(23)를 버튼 조작전의 초기 상태로 되감고(S509), 본 처리를 종료한다. 이력 건수가 1 건 이상인 경우에는 발신 이력 데이터 중의 대상 레코드명을 취득하여, 서브 디스플레이(23)에 취득한 이름을 표시한다(S502). 서브 디스플레이(23)에서의 대상 레코드명의 표시예는 도 37과 마찬가지이다. 또, 발신 이력 데이터의 대상 레코드에 이름이 기록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대응하는 전화번호를 표시한다. 또한, 초기 시의 대상 레코드는 선두 레코드로 한다.
이름의 표시로부터 소정 시간 내(S503)에 휴대 전화의 오픈(개방 동작)을 검출하면(S504), 표시되어 있는 이름에 대응하는 전화번호를 발신 이력 데이터로부터 취득하여, 그 전화번호를 사용하여 발호한다(S505). 이름이 아니라, 전화번호를 서브 디스플레이(23)에 표시하고 있는 경우에는 재차, 발신 이력 데이터에 액세스하지 않고, 전화번호를 사용하여 발호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메인 디스플레이(21)에, 발호처의 전화번호 및 현재의 처리 상태(발호 상태)가 표시된다(S506). 메인 디스플레이(21)의 표시예는 도 39와 마찬가지이다.
상기 처리예에서는 서브 디스플레이(23)에 이름을 표시하도록 발신 이력 데이터로부터 이름의 취득을 행하고 있지만, 그와 같이 하는 것이 아니라 전화번호를 취득하여 서브 디스플레이(23)에 표시하도록 하여도 된다. 이 경우에는 상기 S505의 처리에서 전화번호를 취득하기 위해서 재차 발신 이력 데이터에 액세스할 필요는 없다.
또한, 상기 처리예에서는 서브 디스플레이(23)에 이름을 표시할 때에, 이력 정보로부터 이름만을 취득하도록 하고 있지만, 이름과 함께 그것에 대응하는 전화번호를 취득하도록 하여, 휴대 전화가 개방 상태로 되었을 때에 그 전화번호를 사용하여 발호하도록 하여도 된다.
또한, 이력 정보로서 이름이 기록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발신 이력 데이터의 전화번호를 이용하여 전화번호부 데이터를 검색하고, 대응하는 이름을 전화번호부 데이터로부터 취득하여 서브 디스플레이(23)에 표시하도록 하여도 된다. 또한, 전화번호를 사용자가 직접 입력하여 발호한 경우에, 그 전화번호를 이용하여 전화 번호부 데이터를 검색하고, 대응하는 이름을 전화번호부 데이터로부터 취득하여 발신 이력 데이터에 기록하도록 하여도 된다.
C) 착신 이력을 사용하여 발호하는 예
휴대 전화는 착호(着呼)의 착신 이력을 보유하는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이 착신 이력은 이력 건수와, 1 이력을 1 레코드로 한 착호의 이력 정보로 이루어진다. 이 이력 정보는 착호 시에 통지되는 전화번호와 그것에 대응하는 전화번호부 데이터에서의 이름, 착신 일시의 대응 정보로 이루어진다. 또, 전화번호부 데이터에 착호 시에 통지되는 전화번호가 등록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이력 정보로서 전화번호부 데이터에서의 이름 정보는 기록되지 않는다.
[착신 이력의 데이터 구조예(이력 건수 5건인 경우)]
5
0443701234 오가와 200108101038
0443702345 다나카 200108110850
0443703456 200108111321
:
도 41은 본 실시예의 휴대 전화에서의 제6 처리 흐름도이다. 본 처리는 상술한 발신 이력 데이터를 이용하는 처리에서, 발신 이력 데이터 대신 착신 이력 데이터를 이용한다. 구체적으로는, 휴대 전화는 사용자의 버튼 조작(누름)을 검출하면(S600), 착신 이력 데이터에 액세스하여 착신 이력의 유무를 확인한다(S601). 이력 건수가 0 건인 경우에는 서브 디스플레이(23)를 버튼 조작전의 초기 상태로 복귀시키고(S609), 본 처리를 종료한다. 이력 건수가 1 건 이상인 경우에는 착신 이력 데이터 중의 대상 레코드명을 취득하여, 서브 디스플레이(23)에 취득한 이름을 표시한다(S602). 서브 디스플레이(23)에서의 대상 레코드명의 표시예는 도 37과 마찬가지이다. 또, 착신 이력 데이터의 대상 레코드에 이름이 기록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대응하는 전화번호를 표시한다. 또한, 초기 시의 대상 레코드는 선두 레코드로 한다.
이름의 표시로부터 소정 시간 내(S603)에 휴대 전화의 오픈(개방 동작)을 검출하면(S604), 표시되어 있는 이름에 대응하는 전화번호를 착신 이력 데이터로부터 취득하여, 그 전화번호를 사용하여 발호한다(S605). 이름이 아니라, 전화번호를 서브 디스플레이(23)에 표시하고 있는 경우에는, 재차, 착신 이력 데이터에 액세스하지 않고, 전화번호를 사용하여 발호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메인 디스플레이(21)에, 발호처의 전화번호 및 현재의 처리 상태(발호 상태)가 표시된다(S606). 메인 디스플레이(21)의 표시예는 도 39와 마찬가지이다.
상기 처리예에서는 서브 디스플레이에 이름을 표시하도록 착신 이력 데이터로부터 이름의 취득을 행하고 있지만, 그와 같이 하는 것이 아니라 전화번호를 취득하여 서브 디스플레이(23)에 표시하도록 하여도 된다. 이 경우에는 상기 S605의 처리에서 전화번호를 취득하기 위해서 재차 착신 이력 데이터에 액세스할 필요는 없다.
또한, 상기 처리예에서는 서브 디스플레이(23)에 이름을 표시할 때에, 착신 이력 데이터로부터 이름만을 취득하도록 하고 있지만, 이름과 함께 그것에 대응하 는 전화번호를 취득하도록 하고, 휴대 전화가 개방 상태로 되었을 때에 그 전화번호를 사용하여 발호하도록 하여도 된다.
D) 부재 착신 시에 남겨진 전언 메모에 관한 정보를 서브 디스플레이에 표시하고, 원하는 상대로 되었을 때에 휴대 전화를 개방 상태로 함으로써 그 상대가 남긴 전언 메모를 재생하는 예
휴대 전화는 상대로부터의 호출 시에 소정의 호출 횟수(또는 소정의 호출 시간)를 초과하여도 그것에 응답하지 않는 경우(전화가 오지 않는 경우), 호출 상대의 전언을 전언 메모로서 기록하는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일반 전화에서의 자동 응답 전화 기능과 동등하다.
이 전언 메모 데이터는 전언 건수와, 1 전언을 1 레코드로 한 메모 데이터로 이루어진다. 이 메모 데이터는 착호 시에 통지되는 전화번호와 그것에 대응하는 전화번호부 데이터에서의 이름, 착신 일시, 및 전언의 음성 데이터의 대응 정보로 이루어진다. 또, 전화번호부 데이터에 착호 시에 통지되는 전화번호가 등록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메모 데이터로서 전화번호부 데이터에서의 이름 정보는 기록되지 않는다. 메모 데이터에서의 이름 또는 착신 일시 등은 음성 데이터의 식별 정보이다.
[전언 메모의 데이터 구조예(전언 건수 5건인 경우)]
5
0443701234 오가와 200108101038 안녕하세요. …
0443702345 다나카 200108110850 오래간만입니다. …
0443703456 200108111321 처음 뵙겠습니다. …
도 42는 본 실시예의 휴대 전화에서의 제7 처리 흐름도이다. 휴대 전화는 사용자의 버튼 조작(누름)을 검출하면(S700), 전언 메모 데이터에 액세스하여 전언의 유무를 확인한다(S701). 전언 건수가 0 건인 경우에는 서브 디스플레이(23)를 버튼 조작전의 초기 상태로 복귀시키고(S709), 본 처리를 종료한다. 전언 건수가 1 건 이상인 경우에는 전언 메모 데이터 중의 대상 레코드명을 취득하여, 서브 디스플레이(23)에 취득한 이름을 표시한다(S702).
도 43은 서브 디스플레이(23)에서의 대상 레코드명의 표시예이다. 버튼 조작에 의한 대상 레코드의 변경에 수반하여, 표시 내용도 전환된다. 또, 전언 메모 데이터의 대상 레코드에 이름이 기록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대응하는 전화번호를 표시한다. 또한, 초기 시의 대상 레코드는 선두 레코드로 한다.
도 42를 다시 참조하면, 이름의 표시로부터 소정 시간 내(S703)에 휴대 전화의 오픈(개방 동작)을 검출하면(S704), 표시되어 있는 이름에 대응하는 음성 데이터를 전언 메모 데이터로부터 취득하여, 그 음성 데이터를 재생한다(S705). 이 때, 바람직하게는 메인 디스플레이(21)에, 재생할 음성 데이터에 대응하는 이름 및 현재의 처리 상태(재생 중)가 표시된다(S706).
도 44는 메인 디스플레이(21)의 표시예이다. 도 44에는 서브 디스플레이(23)에 「오가와」가 표시되어 있는 상태에서, 휴대 전화를 개방 상태로 하였을 때의 표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처리예에서는 서브 디스플레이(23)에 이름을 표시하도록 전언 메모 데 이터로부터 이름의 취득을 행하고 있지만, 그와 같이 하는 것이 아니라 전화번호를 취득하여 서브 디스플레이(23)에 표시하도록 하여도 된다.
또한, 상기 처리예에서는 서브 디스플레이(23)에 이름을 표시할 때에, 메모 데이터로부터 이름만을 취득하도록 하고 있지만, 이름과 함께 그것에 대응하는 음성 데이터를 취득하도록 하여, 휴대 전화가 개방 상태로 되었을 때에 그 음성 데이터를 재생하도록 하여도 된다.
또한, 음성 데이터의 재생 시에 상기예와 같이 메인 디스플레이(21)에 정보를 표시하는 것은 아니라, 본 처리에서는 어떠한 정보도 표시하지 않아도 된다.
E) 전화번호부 데이터의 일부의 정보(예를 들면, 이름)를 서브 디스플레이에 표시하고, 원하는 정보로 되었을 때에 휴대 전화를 개방 상태로 함으로써 그 정보에 대응하는 전화번호부 데이터를 메인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예
전화번호부 데이터는 상술한 것과 마찬가지의 데이터 구조이다.
도 45는 본 실시예에서의 휴대 전화의 제8 처리 흐름도이다. 휴대 전화는 사용자의 버튼 조작(누름)을 검출하면(S800), 전화번호부 데이터에 액세스하여 등록의 유무를 확인한다(S801). 등록 건수가 0 건인 경우에는 서브 디스플레이(23)를 버튼 조작전의 초기 상태로 복귀시키고(S809), 본 처리를 종료한다. 등록 건수가 1 건 이상인 경우에는 전화번호부 데이터 중의 대상 레코드명(식별 정보)을 취득하여, 서브 디스플레이(23)에 취득한 이름을 표시한다(S802).
도 46은 서브 디스플레이(23)에서의 대상 레코드명의 표시예이다. 버튼 조작에 의한 대상 레코드의 변경에 수반하여, 표시 내용도 전환된다. 초기 시의 대 상 레코드는 선두 레코드로 한다.
도 45로 되돌아가서, 이름의 표시로부터 소정 시간 내(S803)에 휴대 전화의 오픈(개방 동작)을 검출하면(S804), 전화번호부 표시 기능을 기동하여, 그 이름에 대응하는 전화번호부 데이터를 취득하고, 취득한 전화번호부 데이터를 메인 디스플레이(21)에 표시한다(S805).
도 47은 메인 디스플레이(21)의 표시예이다. 도 47에는 서브 디스플레이(23)에 「오가와」가 표시되어 있는 상태에서, 휴대 전화를 개방 상태로 하였을 때의 표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처리예에서는 서브 디스플레이에 이름을 표시하도록 하고 있지만, 전화번호부 데이터로부터 읽기 정보를 판독하여, 그것을 서브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도록 하여도 된다. 또한, 전화번호나 메일 어드레스 등 다른 전화번호부 데이터를 판독하여 서브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도록 하여도 된다.
또한, 상기 처리예에서는 서브 디스플레이에서의 표시 시에, 전화번호부 데이터의 1 레코드 중 1 항목 데이터만을 취득하도록 하고 있지만, 1 레코드의 전 항목 데이터를 취득하도록 하여, 휴대 전화가 개방 상태로 되었을 때에 그 모든 항목 데이터를 표시하도록 하여도 된다.
F) 내장 메뉴의 메뉴 항목을 서브 디스플레이에 표시하고, 원하는 항목으로 되었을 때에 휴대 전화를 개방 상태로 함으로써 그 메뉴 항목의 기능을 실행하는 예
휴대 전화는 복수의 기능을 실행할 수 있고, 각 기능을 기동하기 위해서 각 각의 기능에 대응하는 메뉴 항목으로 이루어진 내장 메뉴를 구비하고 있다. 이 내장 메뉴의 메뉴 데이터는 1 기능을 1 레코드로 하여, 메뉴 항목명과 기동하는 프로그램의 대응 정보로 구성된다.
[메뉴 데이터의 데이터 구조예]
시계의 설정 프로그램1
착신 설정 프로그램2
:
도 48은 본 실시예에서의 휴대 전화의 제9 처리 흐름도이다. 휴대 전화는 사용자의 버튼 조작(누름)을 검출하면(S900), 메뉴 데이터에 액세스하여 대상 레코드의 메뉴 항목명(식별 정보)을 취득하고, 취득한 메뉴 항목명을 서브 디스플레이(23)에 표시한다(S902).
도 49는 서브 디스플레이(23)에서의 대상 레코드의 메뉴 항목명의 표시예이다. 버튼 조작에 의한 대상 레코드의 변경에 수반하여, 표시 내용도 전환된다. 초기 시의 대상 레코드는 선두 레코드로 한다.
도 48을 다시 참조하면, 메뉴 항목명의 표시로부터 소정 시간 내(S903)에 휴대 전화의 오픈(개방 동작)을 검출하면(S904), 서브 디스플레이(23)에 표시되어 있는 메뉴 항목명에 대응하는 프로그램을 기동한다(S905). 기동된 프로그램이 소정 정보를 표시하는 처리를 갖는 경우에는 그 소정 정보를 메인 디스플레이(21)에 표시한다(S906). 소정 시간 내에 개방 동작을 검출하지 않은 경우에는 서브 디스플레이(23)를 버튼 조작전의 초기 상태로 복귀시키고(S909), 본 처리를 종료한다.
도 50은 메인 디스플레이(21)의 표시예이다. 도 50에는 서브 디스플레이(23)에 「시계의 설정」이 표시되어 있는 상태에서, 휴대 전화를 개방 상태로 하였을 때의 표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G) 보유하고 있는 어플리케이션을 나타내는 정보를 서브 디스플레이에 표시하고, 원하는 정보로 되었을 때에 휴대 전화를 개방 상태로 함으로써 그 정보에 의해 나타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기동하는 예
휴대 전화는 데이터 통신에 의해 웹 페이지(홈페이지)로부터 휴대 전화에 의해 실행가능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다운로드하여 보존하는 기능을 구비하며, 그 다운로드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기동, 실행하는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이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은 홈페이지로부터 다운로드되는 것뿐만 아니라, 전자 메일에 의해 수신되는 것이어도 무방하고, 미리 휴대 전화에 보존되어 있는 것이어도 무방하다.
이 어플리케이션의 관리 데이터는 보존하고 있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건수와, 각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이름(식별 정보)과 그 프로그램의 보존 위치 정보(어드레스)와의 대응 정보로 이루어진다. 1 건은 1 레코드이다.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관리 데이터의 데이터 구조예(보존 건수 5건)]
5
캘린더 어드레스1
스케줄 어드레스2
:
도 51은 본 실시예에서의 휴대 전화의 제10 처리 흐름도이다. 휴대 전화는 사용자의 버튼 조작(누름)을 검출하면(S1000),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관리 데이터에 액세스하여,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보존의 유무를 확인한다(S1001). 등록 건수가 0 건인 경우에는 서브 디스플레이(23)를 버튼 조작전의 초기 상태로 복귀시키고(S1009), 본 처리를 종료한다. 보존 건수가 1 건 이상인 경우에는 관리장(管理帳) 데이터 중의 대상 레코드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명칭을 취득하여, 서브 디스플레이(23)에 취득한 이름을 표시한다(S1002).
도 52는 서브 디스플레이(23)에서의 대상 레코드명의 표시예이다. 버튼 조작에 의한 대상 레코드의 변경에 수반하여, 표시 내용도 전환된다. 초기 시의 대상 레코드는 선두 레코드로 한다.
도 51로 되돌아가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명칭의 표시로부터 소정 시간 내(S1003)에 휴대 전화의 오픈(개방 동작)을 검출하면(S1004), 관리 데이터로부터 그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명칭에 대응하는 보존 위치 정보(어드레스)를 취득하여,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기동한다(S1005). 이 때, 바람직하게는 메인 디스플레이(21)에 기동할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명칭 및 현재의 처리 상태(기동 중)가 표시된다(S1006).
또, 상기 예에서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명칭과 그것에 대응하는 보존 위치 정보를 다른 타이밍에서 취득하는 예를 나타내었지만,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명칭과 동일한 타이밍에서 그것에 대응하는 보존 위치 정보를 취득하도록 하여, 휴대 전화의 오픈(개방 동작)의 검출 시에 이미 취득 완료한 보존 위치 정보를 사용 하고,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기동하도록 하여도 된다.
도 53은 메인 디스플레이(21)의 표시예이다. 도 53에는 서브 디스플레이(23)에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명칭 「캘린더」가 표시되어 있는 상태에서, 휴대 전화를 개방 상태로 하였을 때의 표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휴대 전화를 예로 한 상기 각 실시예에서, 서브 디스플레이(23)에 표시되는 표시 정보를 한번에 서브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없는 경우에는 소정 시간마다 표시 정보를 소정 도트씩 시프트하여, 정보를 스크롤 표시하도록 하여도 된다.
또한, 휴대 전화를 예로 한 상기 각 실시예에서는 서브 디스플레이(23)를 조작하는 조작 버튼이 하나로, 각 기능을 개별적으로 실시하는 예를 설명하였다. 그러나, 각 기능 중 원하는 기능을 사용자에게 선택시켜, 선택된 기능에 대하여 상술한 처리를 개시하도록 하여도 된다.
예를 들면, 사용자의 버튼 조작(누름)을 검출하면, 그 버튼 조작 시간(누름 시간)이 계속되어 소정 시간을 초과하는 경우(즉, 사용자가 조작 버튼을 길게 눌렀을 경우), 기능 선택 상태로 이행하여, 기능명을 서브 디스플레이에 표시한다. 그리고, 상기 기능명의 표시로부터 소정 시간 내에 버튼 조작(누름)을 검출한 경우, 다음 기능명을 표시 대상으로 하여 서브 디스플레이(23)에 표시한다. 초기 시의 표시 대상은 최초의 기능명이다.
또한, 상기 기능명의 표시로부터 소정 시간 내에 버튼 조작(누름)이 검출되지 않은 경우에는, 현재 표시되어 있는 기능명을 선택한 것으로 하여 그 기능명에 대응하는 기능의 실행으로 이행한다. 즉, 선택된 기능에 대하여, 상술한 각 실시 예의 처리가 실행된다.
또, 이와 같이 구성한 경우, 상술한 각 기능의 실시예에서의 최초의 사용자에 의한 버튼 조작(누름)은 불필요하다. 또한, 반드시 상기 처리와 같이 조작 버튼의 누름은 길게 누르지 않아도 되고, 단순히 버튼 조작(누름)이 된 것을 검출하여 기능 선택 상태로 이행하도록 하여도 된다.
또한, 조작 버튼을 2개 구비하는 휴대 전화인 경우에는 임의의 조작 버튼을 기능 선택을 위한 버튼으로 하여 할당하도록 하면 된다. 이 경우, 상기 버튼의 조작(누름) 후, 소정 시간 내에 그 버튼의 조작이 행해지지 않은 경우에 그 시점에서 서브 디스플레이에 표시되어 있는 기능명에 대응하는 기능을 사용자가 선택한 것으로 간주하여도 된다.
또한, 이와 같이 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소정 기간 내에 다른 버튼의 조작을 검출함으로써 그 시점에서 서브 디스플레이에 표시되어 있는 기능명에 대응하는 기능을 사용자가 선택한 것으로 간주하도록 하여도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단말기(장치)에서는, 절전 모드의 해제 조작에 응답하여, 자동적으로 소정의 처리(예를 들면, 사전에 등록된 네트워크 상의 URL에 대한 액세스 처리)를 실행한다. 이것에 의해, 소정의 처리를 위한 조작을 하지 않고, 절전 모드의 해제 조작만으로 소정의 처리(예를 들면, 네트워크 상의 소정의 URL에 액세스)가 실행되기 때문에, 단말기의 조작성이 향상되어, 사용자의 편리성이 향상된다.
또한, 폴딩형 기구를 갖는 단말기(장치)에서는, 닫힘 상태로부터의 개방 동 작에 응답하여, 자동적으로 소정의 처리를 실행한다. 이것에 의해, 소정의 처리를 위한 조작을 하지 않고, 개방 조작만으로 소정의 처리가 실행되기 때문에, 단말기의 조작성이 향상되어 사용자의 편리성이 향상된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과 그 균등물에 미치는 것이다.
도 1, 도 2, 도 3, 도 4,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네트워크 액세스 처리의 개요를 설명하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단말기의 블록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8은 시스템 기동 시에서의 BIOS의 설정 입력 처리의 흐름도.
도 9는 절전 모드로의 이행/절전 모드의 해제 처리의 흐름도.
도 10은 절전 모드 해제 시에서의 URL로의 제1 액세스 처리의 흐름도.
도 11은 절전 모드 해제 시에서의 URL로의 제2 액세스 처리의 흐름도.
도 12는 URL의 선택·표시 처리의 흐름도.
도 13은 URL 저장 메모리(124)에 저장된 URL 데이터의 구성예.
도 14는 부 표시부(120)의 표시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15는 부 표시부(120) 등의 부착 형태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16은 자동 순회 프로그램에 의한 순회 경로의 설정을 설명하는 도면.
도 17은 자동 순회 프로그램에 의한 순회 시각의 설정을 설명하는 도면.
도 18은 순회 정보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19는 자동 순회 프로그램의 처리 흐름도.
도 20은 갱신 이력 정보를 설명하는 도면.
도 21은 부 표시부(120)에서의 갱신된 웹 페이지의 URL의 표시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22는 전자 메일 어드레스의 설정을 설명하는 도면.
도 23은 부 표시부(120)에서의 전자 메일 어드레스(URL)의 표시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24는 부 표시부(120)에 대한 URL 표시 제어를 설명하는 도면.
도 25는 폴딩형 휴대 전화의 외관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
도 26은 휴대 전화(20)의 개폐 상태를 검출하는 검출 기구를 설명하는 도면.
도 27은 휴대 전화(20)의 하드웨어 구성의 일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블록도.
도 28은 본 실시예의 휴대 전화에서의 제1 처리 흐름도.
도 29는 서브 디스플레이(23)에서의 대상 레코드의 타이틀 (a) 또는 URL (b)의 표시예.
도 30은 메인 디스플레이(21)에서의 웹 페이지의 표시예.
도 31은 본 실시예의 휴대 전화에서의 제2 처리 흐름도.
도 32는 서브 디스플레이(23)에서의 대상 레코드명 (a) 또는 메일 어드레스(b)의 표시예.
도 33은 메인 디스플레이(21)에서의 메일 작성 화면의 표시예.
도 34는 본 실시예의 휴대 전화에서의 제3 처리 흐름도.
도 35는 서브 디스플레이(23)에서의 대상 메일의 발신인명 (a) 등의 표시예.
도 36은 메인 디스플레이(21)에서의 수신 메일 표시 화면의 표시예.
도 37은 본 실시예의 휴대 전화에서의 제4 처리 흐름도.
도 38은 서브 디스플레이(23)에서의 대상 레코드명의 표시예.
도 39는 메인 디스플레이(21)의 표시예.
도 40은 본 실시예의 휴대 전화에서의 제5 처리 흐름도.
도 41은 본 실시예의 휴대 전화에서의 제6 처리 흐름도.
도 42는 본 실시예의 휴대 전화에서의 제7 처리 흐름도.
도 43은 서브 디스플레이(23)에서의 대상 레코드명의 표시예.
도 44는 메인 디스플레이(21)의 표시예.
도 45는 본 실시예에서의 휴대 전화의 제8 처리 흐름도.
도 46은 서브 디스플레이(23)에서의 대상 레코드명의 표시예.
도 47은 메인 디스플레이(21)의 표시예.
도 48은 본 실시예에서의 휴대 전화의 제9 처리 흐름도.
도 49는 서브 디스플레이(23)에서의 대상 레코드의 메뉴 항목명의 표시예.
도 50은 메인 디스플레이(21)의 표시예.
도 51은 본 실시예에서의 휴대 전화의 제10 처리 흐름도.
도 52는 서브 디스플레이(23)에서의 대상 레코드명의 표시예.
도 53은 메인 디스플레이(21)의 표시예.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CPU
112: 주기억부
114: 주 표시부
116: 입력부
118: BIOS 메모리
120: 부 표시부
122: 보조 조작부
124: URL 저장 메모리

Claims (34)

  1. 통상 동작 상태와 대기 상태를 갖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통상 동작 상태에서는 표시 내용이 가시 상태이고, 상기 대기 상태에서는 표시 내용이 불가시 상태인 주 표시부와,
    상기 주 표시부가 불가시 상태인 상기 대기 상태에서도, 표시 내용이 가시 상태로 되어 정보를 표시할 수 있는 부 표시부와,
    상기 주 표시부의 표시 내용이 불가시 상태로부터 가시 상태로 되는 조작을 검지하는 검지부와,
    상기 검지된 조작의 시점에서 상기 부 표시부에 표시되어 있던 정보에 대응하는 처리를 실행하는 처리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상 동작 상태는, 상기 주 표시부의 표시 내용을 가시 상태로 하는 통상 동작 모드이고, 상기 대기 상태는, 상기 통상 동작 모드보다 적은 소비 전력으로 동작하는 상기 주 표시부의 표시 내용을 불가시 상태로 하는 절전 모드이며,
    상기 검지부는, 상기 절전 모드로부터 상기 통상 동작 모드로의 이행을 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부 표시부에 웹 페이지의 URL을 표시하고,
    상기 처리부는, 상기 검지부에 의해 상태의 이행 조작을 검지했을 때에, 상기 부 표시부에 표시된 URL의 웹 페이지를 상기 주 표시부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부 표시부에 표시되는 URL을 사용자가 임의로 등록할 수 있는 등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부 표시부에 표시되는 URL은, 그 URL로 나타내어지는 웹 페이지의 내용 갱신이 검출된 URL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URL은, 등록된 URL을 순회하여 각 URL로 나타내어지는 웹 페이지의 내용 갱신 상황을 판단하고, 내용 갱신이 검출된 웹 페이지의 URL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부 표시부에 음성 데이터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고,
    상기 처리부는, 상기 검지부에 의해 상태의 이행 조작을 검지했을 때에, 상기 부 표시부에 표시되어 있는 정보에 기초하여 그 정보에 대응하는 음성 데이터의 재생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부 표시부에 전자 메일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고,
    상기 처리부는, 상기 검지부에 의해 상태의 이행 조작을 검지했을 때에, 상기 부 표시부에 표시되어 있는 정보에 기초하여 그 정보에 대응하는 전자 메일에 관한 처리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부 표시부에 전자 메일 어드레스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고,
    상기 처리부는, 상기 검지부에 의해 상태의 이행 조작을 검지했을 때에, 상기 부 표시부에 표시된 정보에 대응하는 전자 메일 어드레스 앞으로의 전자 메일을 작성하는 화면을 상기 주 표시부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부 표시부에 수신된 전자 메일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고,
    상기 처리부는, 상기 검지부에 의해 상태의 이행 조작을 검지했을 때에, 상기 부 표시부에 표시된 정보에 대응하는 수신 메일 정보를 상기 주 표시부에 표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1.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부 표시부에 전화번호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고,
    상기 처리부는, 상기 검지부에 의해 상태의 이행 조작을 검지했을 때에, 상기 부 표시부에 표시되어 있는 전화번호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그것에 대응하는 전화번호에 관한 처리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전화번호를 등록할 수 있는 전화번호부 데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전화번호부 데이터에 등록되어 있는 전화번호에 관한 정보를 상기 부 표시부에 표시하고,
    상기 처리부는, 전화번호를 이용하여 발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전화번호에 관한 발신 이력 및/또는 착신 이력으로 이루어진 이력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이력 정보에 등록되어 있는 전화번호에 관한 정보를 상기 부 표시부에 표시하고,
    상기 처리부는, 전화번호를 이용하여 발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4. 제11항에 있어서,
    녹음된 음성 데이터에 대응하는 발호원 대응의 전화번호에 관한 정보를 상기 부 표시부에 표시하고,
    상기 처리부는 전화번호에 관한 정보에 대응하는 음성 데이터를 재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부 표시부에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고,
    상기 처리부는, 상기 검지부에 의해 상태의 이행 조작을 검지했을 때에, 상기 부 표시부에 표시되어 있는 정보에 기초하여 그것에 대응하는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6. 제11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전화번호를 등록할 수 있는 전화번호부 데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부 표시부에 상기 전화번호부 데이터에 등록되어 있는 전화번호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고,
    상기 처리부는, 상기 검지부에 의해 상태의 이행 조작을 검지했을 때에, 상기 부 표시부에 표시된 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상기 부 표시부에 표시되는 정보 이외의 전화번호부 데이터 내용을 상기 주 표시부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개폐 가능한 폴딩형 기구(folding mechanism)를 포함하고,
    상기 주 표시부는 상기 폴딩형 기구가 개방 상태에서 시인 가능하고, 또한 닫힘 상태에서 시인 불가능한 위치에 설치되고,
    상기 부 표시부는 상기 폴딩형 기구가 닫힘 상태에서도 그 표시 내용이 시인 가능한 위치에 설치되고,
    상기 검지부는 상기 폴딩형 기구의 닫힘 상태로부터의 개방 동작을 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8. 통상 동작 상태와 대기 상태를 가지며,
    상기 통상 동작 상태에서는 표시 내용이 가시 상태이고, 상기 대기 상태에서는 표시 내용이 불가시 상태인 주 표시부와,
    상기 주 표시부가 불가시 상태인 상기 대기 상태에서도, 표시 내용이 가시 상태로 되어 정보를 표시할 수 있는 부 표시부를 포함한 장치에서 실행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로서,
    상기 대기 상태에서 정보를 상기 부 표시부에 표시하고,
    상기 주 표시부의 표시 내용이 불가시 상태로부터 가시 상태로 되는 조작을 검지하고,
    상기 검지된 조작의 시점에서 상기 부 표시부에 표시되어 있던 정보에 대응하는 처리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통상 동작 상태는, 상기 주 표시부의 표시 내용을 가시 상태로 하는 통상 동작 모드이고, 상기 대기 상태는, 상기 통상 동작 모드보다 적은 소비 전력으로 동작하는 상기 주 표시부의 표시 내용을 불가시 상태로 하는 절전 모드이며,
    상기 절전 모드로부터 상기 통상 동작 모드로의 이행 조작을 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20. 제18항 또는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부 표시부에 웹 페이지의 URL을 표시하고,
    상태의 이행 조작을 검지했을 때에, 상기 부 표시부에 표시된 URL의 웹 페이지가 상기 주 표시부에 표시되도록 처리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부 표시부에 표시되는 URL은, 사용자에 의해 임의로 등록되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22.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부 표시부에 표시되는 URL은, 그 URL로 나타내어지는 웹 페이지의 내용 갱신이 검출된 URL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23. 제22항에 있어서,
    등록된 URL을 순회하여 각 URL로 나타내어지는 웹 페이지의 내용 갱신 상황을 판단하고, 내용 갱신이 검출된 웹 페이지의 URL을 상기 부 표시부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24. 제18항 또는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부 표시부에 음성 데이터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고,
    상기 상태의 이행 조작을 검지했을 때에, 상기 부 표시부에 표시되어 있는 정보에 기초하여 그 정보에 대응하는 음성 데이터의 재생 처리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25. 제18항 또는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부 표시부에 전자 메일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고,
    상기 상태의 이행 조작을 검지했을 때에, 상기 부 표시부에 표시되어 있는 정보에 기초하여 그 정보에 대응하는 전자 메일에 관한 처리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부 표시부에 전자 메일 어드레스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고,
    상기 상태의 이행 조작을 검지했을 때에, 상기 부 표시부에 표시 정보에 대응하는 전자 메일 어드레스 앞으로의 전자 메일을 작성하는 화면을 상기 주 표시부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27.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부 표시부에 수신된 전자 메일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고,
    상기 상태의 이행 조작을 검지했을 때에, 상기 부 표시부에 표시된 정보에 대응하는 수신 메일 정보를 상기 주 표시부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28. 제18항 또는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부 표시부에 전화번호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고,
    상기 상태의 이행 조작을 검지했을 때에, 상기 부 표시부에 표시되어 있는 전화번호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그것에 대응하는 전화번호에 관한 처리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사용자가 전화번호를 등록할 수 있는 전화번호부 데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전화번호부 데이터에 등록되어 있는 전화번호에 관한 정보를 상기 부 표시부에 표시하고,
    상기 상태의 이행 조작을 검지했을 때에, 상기 부 표시부에 표시되어 있는 전화번호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그것에 대응하는 전화번호를 이용하여 발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30. 제28항에 있어서,
    전화번호에 관한 발신 이력 및/또는 착신 이력으로 이루어진 이력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이력 정보에 등록되어 있는 전화번호에 관한 정보를 상기 부 표시부에 표시하고,
    상기 상태의 이행 조작을 검지했을 때에, 상기 부 표시부에 표시되어 있는 전화번호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그것에 대응하는 전화번호를 이용하여 발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31. 제28항에 있어서,
    녹음된 음성 데이터에 대응하는 발호원 대응의 전화번호에 관한 정보를 상기 부 표시부에 표시하고,
    상기 상태의 이행 조작을 검지했을 때에, 상기 부 표시부에 표시되어 있는 전화번호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그것에 대응하는 전화번호에 관한 정보에 대응하는 음성 데이터를 재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32. 제18항 또는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부 표시부에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고,
    상기 상태의 이행 조작을 검지했을 때에, 상기 부 표시부에 표시되어 있는 정보에 기초하여, 그것에 대응하는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33.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사용자가 전화번호를 등록할 수 있는 전화번호부 데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부 표시부에 상기 전화번호부 데이터에 등록되어 있는 전화번호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고,
    상기 상태의 이행 조작을 검지했을 때에, 상기 부 표시부에 표시된 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상기 부 표시부에 표시되는 정보 이외의 전화번호부 데이터 내용을 상기 주 표시부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34. 제18항 또는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개폐 가능한 폴딩형 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주 표시부는 상기 폴딩형 기구가 개방 상태에서 시인 가능하고, 또한 닫힘 상태에서 시인 불가능한 위치에 설치되고,
    상기 부 표시부는 상기 폴딩형 기구가 닫힘 상태에서도 그 표시 내용이 시인 가능한 위치에 설치되고,
    상기 폴딩형 기구의 닫힘 상태로부터의 개방 동작을 상기 조작으로서 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KR1020077015719A 2001-02-13 2002-02-07 절전 모드를 갖는 단말기 및 개폐 가능한 폴딩형 기구를갖는 단말기 KR10084305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WOPCT/JP01/00994 2001-02-13
PCT/JP2001/000994 WO2002065303A1 (fr) 2001-02-13 2001-02-13 Terminal de reseau a mode d"economie d"energie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10587A Division KR100835474B1 (ko) 2001-02-13 2002-02-07 절전 모드를 갖는 단말기 및 개폐 가능한 폴딩형 기구를갖는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87005A KR20070087005A (ko) 2007-08-27
KR100843052B1 true KR100843052B1 (ko) 2008-07-01

Family

ID=11737018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10587A KR100835474B1 (ko) 2001-02-13 2002-02-07 절전 모드를 갖는 단말기 및 개폐 가능한 폴딩형 기구를갖는 단말기
KR1020077015719A KR100843052B1 (ko) 2001-02-13 2002-02-07 절전 모드를 갖는 단말기 및 개폐 가능한 폴딩형 기구를갖는 단말기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10587A KR100835474B1 (ko) 2001-02-13 2002-02-07 절전 모드를 갖는 단말기 및 개폐 가능한 폴딩형 기구를갖는 단말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2) US7424631B2 (ko)
EP (8) EP2056181B1 (ko)
JP (2) JP3850374B2 (ko)
KR (2) KR100835474B1 (ko)
CN (2) CN1310115C (ko)
DE (3) DE60237733D1 (ko)
WO (2) WO200206530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22084B2 (ja) 2002-04-25 2007-05-30 日本電気株式会社 携帯端末およびその発信方法
US7734316B2 (en) * 2002-08-30 2010-06-08 Motorola, Inc. User-specified outputs in mobil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and methods therefor
JP2004159090A (ja) * 2002-11-06 2004-06-03 Toshiba Corp 情報処理装置および同装置の遠隔操作方法
JP4269811B2 (ja) * 2003-07-09 2009-05-27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携帯電話
JPWO2005009012A1 (ja) * 2003-07-23 2006-09-07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折り畳み式携帯電話装置
KR20050022117A (ko) * 2003-08-29 2005-03-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단말기의 절전장치 및 방법
US20090191893A1 (en) * 2004-01-02 2009-07-30 Larry Wardell Smith Strong media-computer satellite smart telephone with integrated global directory
WO2006001488A1 (ja) 2004-06-29 2006-01-05 Kyocera Corporation 携帯端末装置
JP4642391B2 (ja) * 2004-06-29 2011-03-02 京セラ株式会社 携帯端末装置
US7787245B2 (en) 2004-08-27 2010-08-31 Fujitsu Limited Electronic apparatus and program
JP4801336B2 (ja) * 2004-08-27 2011-10-26 富士通株式会社 電子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US7486279B2 (en) 2004-11-30 2009-02-03 Intel Corporation Integrated input and display device for a mobile computer
US20060232494A1 (en) * 2005-04-15 2006-10-19 Microsoft Corporation Automatic cross-display coordination
JP2007233505A (ja) * 2006-02-28 2007-09-13 Toshiba Corp 情報処理装置および制御方法
KR20070089378A (ko) * 2006-02-28 2007-08-31 삼성전자주식회사 웹 페이지 업데이트를 알리기 위한 인터넷 접속 장치 및방법
CN102307377B (zh) * 2006-03-03 2015-01-21 联想创新有限公司(香港) 移动电话及其控制方法
US7725093B2 (en) 2006-03-29 2010-05-25 Intel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a power-efficient framework to maintain data synchronization of a mobile personal computer to simulate a connected scenario
US8266808B2 (en) * 2006-03-30 2012-09-18 Kyocera Corporation Portable electronic apparatus and geomagnetism sensor calibration method
JP4709719B2 (ja) 2006-09-22 2011-06-22 富士通株式会社 電子機器
JP4709720B2 (ja) * 2006-09-22 2011-06-22 富士通株式会社 電子機器、その制御方法及びその制御プログラム
US9188679B2 (en) * 2006-10-10 2015-11-17 Nec Corporation Electronic apparatus and power supply control program for position measuring
KR100782509B1 (ko) 2006-11-23 2007-12-05 삼성전자주식회사 이중 모드 양면 표시부를 가지는 휴대 단말기 및 그표시부의 화면전환 방법
JP4932565B2 (ja) * 2007-03-29 2012-05-16 京セラ株式会社 電子機器及びその操作方法
JP4667420B2 (ja) * 2007-06-08 2011-04-13 京セラ株式会社 携帯端末
JP2007306590A (ja) * 2007-06-08 2007-11-22 Kyocera Corp 携帯端末
JP4868468B2 (ja) * 2007-12-17 2012-02-01 馨 森本 商品情報収集システム及び商品情報収集プログラム
KR101060680B1 (ko) 2008-04-04 2011-08-30 주식회사 케이티 이동통신망에서 웹 사이트의 즐겨찾기 등록, 접속 방법 및이를 구현하는 단말장치
JP5365060B2 (ja) * 2008-04-30 2013-12-11 富士通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
JP2008312258A (ja) * 2008-09-12 2008-12-25 Kyocera Corp 携帯端末
US8434153B2 (en) 2009-08-24 2013-04-30 Microsoft Corporation Application display on a locked device
CN102004540B (zh) * 2009-08-28 2012-11-21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笔记本电脑
JP4683397B2 (ja) * 2009-09-18 2011-05-18 株式会社ソニー・コンピュータエンタテインメント 電子機器
JP5342423B2 (ja) * 2009-12-10 2013-11-13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ボタン電話システム
JP5234083B2 (ja) * 2010-11-04 2013-07-10 富士通株式会社 電子機器、その制御方法及びその制御プログラム
JP5291081B2 (ja) * 2010-12-24 2013-09-18 株式会社ソニー・コンピュータエンタテインメント 電子機器
JP5696603B2 (ja) * 2011-06-29 2015-04-08 富士通株式会社 計算機システム、計算機システムの電力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5199428B2 (ja) * 2011-08-29 2013-05-15 シャープ株式会社 複数の表示装置を備えたシステム、画像処理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EP2570908A1 (en) * 2011-09-15 2013-03-20 HTC Corporation Portable electronic apparatus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and computer readable media
US9536224B2 (en) 2011-11-03 2017-01-03 Htc Corporation Method, apparatus and recording medium for displaying tasks
CN103105919A (zh) * 2011-11-15 2013-05-15 宏碁股份有限公司 翻盖式电子装置及其电子邮件接收方法
JP5267830B1 (ja) * 2012-04-02 2013-08-21 和之 坪内 画像形成装置
EP2894540A1 (en) * 2014-01-13 2015-07-15 Ares Trading S.A. Medical device connection station
JP6373025B2 (ja) * 2014-03-20 2018-08-15 シャープ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CN104834453B (zh) * 2015-05-18 2018-06-19 上海芯歌智能科技有限公司 通过输入装置与网络进行互动的方法及系统
JP7353790B2 (ja) * 2019-04-26 2023-10-02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20210022302A (ko) * 2019-08-20 2021-03-03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상태에 기반하여 동작 모드 제어 방법
USD944292S1 (en) * 2019-09-02 2022-02-22 Koninklijke Philips N.V.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animated graphical user interface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54949A (ja) * 1994-08-10 1996-02-27 Hitachi Ltd 情報処理装置
KR19990022626A (ko) * 1995-06-07 1999-03-25 야스카와 히데아키 전력 절약 모드를 갖는 비디오 디스플레이 제어기 장착 컴퓨터시스템
KR19990064909A (ko) * 1999-05-20 1999-08-05 이세희 핸드폰 수신자의 상황안내 음성메시지 송출 및 외부표시 장치와 외부 메시지 녹음모드로의 전환 및 청취방법
JPH11298970A (ja) * 1998-04-15 1999-10-29 Sony Corp 携帯用無線装置
KR20000052009A (ko) * 1999-01-25 2000-08-16 서평원 확장 액정표시창(엘 씨 디)을 갖는 이동 통신용 단말기
JP2000253176A (ja) * 1999-02-26 2000-09-14 Sanyo Electric Co Ltd 情報通信端末装置
JP2000284858A (ja) * 1999-03-31 2000-10-13 Sony Corp 情報処理装置
JP2000339071A (ja) * 1999-05-31 2000-12-0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拡張ユニットの活線挿抜方法を備えた情報処理装置、および拡張ユニットの活線挿抜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14586A (ja) * 1995-05-19 1996-11-29 Canon Inc 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装置のサスペンド・レジューム処理方法
JPH08328692A (ja) * 1995-05-30 1996-12-13 Nec Niigata Ltd 液晶表示パネル付き携帯型パソコン
DE19520947C5 (de) * 1995-06-02 2012-04-05 Constin Design Gmbh Tragbarer Computer mit Telekommunikationseinrichtung
US5768164A (en) * 1996-04-15 1998-06-16 Hewlett-Packard Company Spontaneous use display for a computing system
JPH10171564A (ja) * 1996-12-11 1998-06-26 Toshiba Corp 電子機器の表示制御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
US5896575A (en) * 1997-02-28 1999-04-20 Motorola, Inc. Electronic device with display viewable from two opposite ends
US6125286A (en) * 1997-06-05 2000-09-26 Motorola, Inc. Communication device having multiple displays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US6073187A (en) * 1997-06-20 2000-06-06 Compaq Computer Corporation Controls and indicators available to a user for a secondary operational mode of a portable computer which is open or closed state of the computer case
US6144358A (en) * 1997-08-20 2000-11-07 Lucent Technologies Inc. Multi-display electronic devices having open and closed configurations
FI104928B (fi) * 1997-11-27 2000-04-28 Nokia Mobile Phones Ltd Langaton viestin ja menetelmä langattoman viestimen valmistuksessa
JP3098488B2 (ja) * 1998-04-20 2000-10-16 埼玉日本電気株式会社 折り畳み型携帯電話機の不在時着信通知装置及び方法
US6137676A (en) * 1998-05-22 2000-10-24 Compaq Computer Corporation Collapsible keyboard mechanism with integrated LCD display
FI109732B (fi) * 1998-06-02 2002-09-30 Nokia Corp Elektroniikkalaite ja ohjauselin
US6215474B1 (en) * 1998-07-27 2001-04-10 Motorola, Inc. Communication device with mode change softkeys
KR100303793B1 (ko) * 1998-11-05 2001-11-22 윤종용 폴더타입 통신단말기의 표시장치 및 표시방법
JP2000253113A (ja) * 1999-02-26 2000-09-14 Hitachi Ltd 情報通信端末装置
CA2675416A1 (en) * 1999-03-18 2000-09-21 Brigham And Women's Hospital Lipoxin compounds and their use
JP2000278373A (ja) * 1999-03-29 2000-10-06 Ricoh Co Ltd 携帯型電子機器
JP3315966B2 (ja) * 1999-10-15 2002-08-19 株式会社エーディーケイ 携帯電話システムにおける広告情報処理方法
JP2001136251A (ja) * 1999-11-05 2001-05-1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折畳式携帯電話装置
JP4201443B2 (ja) * 1999-11-05 2008-12-24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折畳式携帯電話装置
JP2001337812A (ja) 2000-03-23 2001-12-07 Fujitsu Ltd 状態表示制御装置及び電子装置並びに記憶媒体
US7030837B1 (en) * 2000-04-24 2006-04-18 Microsoft Corporation Auxiliary display unit for a computer system
JP3685746B2 (ja) 2000-10-18 2005-08-24 三洋電機株式会社 移動体通信装置及び発呼方法
KR100528715B1 (ko) 2000-10-18 2005-11-15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폴더식 통신단말장치 및 자동발신방법
JP2002297508A (ja) 2001-03-30 2002-10-11 Fujitsu Ltd 情報処理装置、制御装置、記録媒体、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3044207A (ja) 2001-07-26 2003-02-14 Fujitsu Ltd 携帯端末及び携帯端末の通信接続方法
KR20030032123A (ko) * 2001-10-10 2003-04-26 김덕우 무선 통신 단말기의 인터넷 접속 장치 및 그 접속 방법
KR100820799B1 (ko) * 2001-12-20 2008-04-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소비전력 제어 방법
KR20040044695A (ko) * 2002-11-21 2004-05-31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특정 메뉴를 대기 화면으로 사용하는 이동 단말기 및 그방법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54949A (ja) * 1994-08-10 1996-02-27 Hitachi Ltd 情報処理装置
KR19990022626A (ko) * 1995-06-07 1999-03-25 야스카와 히데아키 전력 절약 모드를 갖는 비디오 디스플레이 제어기 장착 컴퓨터시스템
JPH11298970A (ja) * 1998-04-15 1999-10-29 Sony Corp 携帯用無線装置
KR20000052009A (ko) * 1999-01-25 2000-08-16 서평원 확장 액정표시창(엘 씨 디)을 갖는 이동 통신용 단말기
JP2000253176A (ja) * 1999-02-26 2000-09-14 Sanyo Electric Co Ltd 情報通信端末装置
JP2000284858A (ja) * 1999-03-31 2000-10-13 Sony Corp 情報処理装置
KR19990064909A (ko) * 1999-05-20 1999-08-05 이세희 핸드폰 수신자의 상황안내 음성메시지 송출 및 외부표시 장치와 외부 메시지 녹음모드로의 전환 및 청취방법
JP2000339071A (ja) * 1999-05-31 2000-12-0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拡張ユニットの活線挿抜方法を備えた情報処理装置、および拡張ユニットの活線挿抜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491379A (zh) 2004-04-21
EP2077479A1 (en) 2009-07-08
JP4336357B2 (ja) 2009-09-30
WO2002065263A1 (fr) 2002-08-22
EP2244159B1 (en) 2012-07-11
EP2244160A3 (en) 2010-11-10
JPWO2002065263A1 (ja) 2004-06-17
DE60237579D1 (de) 2010-10-21
EP2244157A2 (en) 2010-10-27
EP2056181B1 (en) 2010-09-15
DE60237733D1 (de) 2010-10-28
US7424631B2 (en) 2008-09-09
US8261111B2 (en) 2012-09-04
CN1310115C (zh) 2007-04-11
EP2056181A3 (en) 2009-07-08
EP2244157A3 (en) 2010-11-10
EP1361500B1 (en) 2010-09-08
CN100454218C (zh) 2009-01-21
EP2244157B1 (en) 2012-05-09
JP3850374B2 (ja) 2006-11-29
EP2244158A2 (en) 2010-10-27
EP2244158A3 (en) 2010-11-10
EP2249228B1 (en) 2012-01-18
JP2007018520A (ja) 2007-01-25
EP2244160B1 (en) 2012-01-18
KR20070087005A (ko) 2007-08-27
WO2002065303A1 (fr) 2002-08-22
EP2077479B1 (en) 2010-09-15
DE60237731D1 (de) 2010-10-28
EP1361500A1 (en) 2003-11-12
KR100835474B1 (ko) 2008-06-04
KR20030078077A (ko) 2003-10-04
EP2249228A1 (en) 2010-11-10
EP2244159A2 (en) 2010-10-27
EP2244159A3 (en) 2010-11-10
US20080301554A1 (en) 2008-12-04
EP1361500A4 (en) 2008-07-30
EP2244158B1 (en) 2012-01-18
EP2056181A2 (en) 2009-05-06
US20040030943A1 (en) 2004-02-12
CN101017394A (zh) 2007-08-15
EP2244160A2 (en) 2010-10-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43052B1 (ko) 절전 모드를 갖는 단말기 및 개폐 가능한 폴딩형 기구를갖는 단말기
JP3606498B2 (ja) 携帯情報端末装置
JP4565002B2 (ja) 携帯通信端末
EP1865693B1 (en)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device and function selection startup method used for the same
JP4127554B2 (ja) 画像表示装置
JP4070192B2 (ja) 携帯端末
JP5317172B2 (ja) 端末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20070010400A (ko) 스케줄 관리 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동작방법
JP4738448B2 (ja) 携帯情報端末
JP5145886B2 (ja) 電子機器
JP4987492B2 (ja) 電子機器及びアプリケーションプログラム制御方法
JP2006081213A (ja) 携帯通信端末
JP2004064294A (ja) 折畳み型携帯無線端末
JP2005049759A (ja) 携帯端末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3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9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