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41654B1 - 중층형 화장용 팩 시트와 그의 사용방법 - Google Patents

중층형 화장용 팩 시트와 그의 사용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41654B1
KR100841654B1 KR1020070008153A KR20070008153A KR100841654B1 KR 100841654 B1 KR100841654 B1 KR 100841654B1 KR 1020070008153 A KR1020070008153 A KR 1020070008153A KR 20070008153 A KR20070008153 A KR 20070008153A KR 100841654 B1 KR100841654 B1 KR 1008416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ck sheet
cosmetic
layer
skin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081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78720A (ko
Inventor
마루오카 타카오
Original Assignee
마루오카 타카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루오카 타카오 filed Critical 마루오카 타카오
Publication of KR200700787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787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16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1654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4/00Other cosmetic or toiletry articles, e.g. for hairdressers' rooms
    • A45D44/002Masks for cosmetic treatment of the fa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12Face mask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3Liquid compositions with two or more distinct lay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장수, 유액, 엣센스, 크림, 유제(油劑), 연고제 등을 함유하는 화장용 팩 시트에 관한 것으로, 밀착성 및 사용감이 좋고, 사용자의 피부상태 및 사용하고자 하는 피부의 위치에 따라 적절하게 대응하여 사용할 수 있고, 부작용이 없고 피부가 필요한 성분을 선택적으로 흡수할 수 있는 중층형 화장용 팩 시트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함침층에 액체 또는 반고형 화장료를 함침시킨 기본 팩 시트와; 기본 팩 시트와 중층시켜 사용하는 것을 전제로, 기본 팩 시트와 재질, 형상, 또는 재질과 형상이 다르고, 전기 기본 팩 시트의 피부측, 환경측, 또는 피부측과 환경측에 설치하는 함침층에 액체 또는 반고형 화장료를 함침시킨 중층용 팩 시트로 구성되는 화장용 팩 시트로, 가장 전형적인 경우는 기본 팩 시트 함침층에 함유되는 화장료가 친수성이고, 중층용 팩 시트의 적어도 일부에 함유되는 화장료가 친유성인 경우와, 기본 팩 시트 함침층에 함유되는 화장료가 친유성이고, 중층용 팩 시트의 적어도 일부에 함유되는 화장료가 친수성인 경우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목적이 달성되는 외에 특히, 구성 성분으로 계면활성제를 반드시 함유해야 하는 것은 아니므로 필요한 성분의 선택적 흡수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계면활성제에 의한 피부발진 등 부작용이 없게 된다.
피부 미용, 중층, 화장용, 팩 시트, 계면활성제, 스킨케어, 친유성, 친수성

Description

중층형 화장용 팩 시트와 그의 사용방법 {multi-layer type cosmetic pack sheet and using method of the same}
본 발명은 화장수, 유액, 엣센스, 크림, 유제(油劑), 연고제 등을 함유하는 화장용 팩 시트와 그의 사용방법에 관한 것이다.
화장용 팩 시트는 피부 관리를 간편하게 할 수 있고, 사용 시 부착 및 박리 행위가 심리적으로 이완 효과를 주고, 단기적 및 장기적 관점에서 확실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어 현재 스킨케어 시장에서 주요한 분야의 하나가 되고 있고, 향후에도 발전이 크게 기대되고 있다.
이러한 화장용 팩 시트는 형태적으로는 화장 성분을 함유하는 친수성 겔을 부직포에 적층한 겔 적층 타입과, 부직포 등에 화장수, 유액, 엣센스, 크림, 유제, 연고제 등을 함침시킨 함침 타입이 일반적이다.
전자는 성분의 피부 이동성은 떨어지지만 폐색성이 뛰어난 반면, 후자는 폐색성은 떨어지지만 거꾸로 성분의 피부 이동성 및 그 사용감, 가격 면에서 후자의 함침 타입이 현재 시장에서 주류를 이루고 있어 많은 종류의 제품이 시판되고 있고, 특허문헌 등에는 이들의 문제점의 개선에 관하여 상당한 수의 제안이 나와 있 다. 하지만, 어떤 것도 종합적인 해결방법 제안은 없으며 주요한 문제점으로, 효과, 사용감, 부작용, 간편성, 가격, 성분 안정성 등을 들 수 있다. 이하, 이들의 문제점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 효과
현 시판품은 제품의 형태상으로는 점도가 낮은 매끌매끌형 친수성 함침 타입, 점도가 높은 촉촉형 친수성 함침 타입, 유성 함침 타입, 시트상의 겔 타입 등이 있고, 용도상으로는 건성피부용, 지성피부용 등이 있다. 그러나 동일인에 있어서도 얼굴 부위에 따라 또 시기에 따라 유분 및 수분 함량에 차이가 존재하고, 더욱이 사람 간의 차이는 더욱 커서 수많은 종류의 타입 제품으로 적절하게 대응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그 결과, 잘못된 선택으로 효과를 보지 못 하거나 습진이나 피부염 등의 부작용이나 가려움, 자극 등의 불쾌한 사용감을 경험한 사용자가 많다.
상기 부작용이나 불쾌한 사용감은 주로 잘못된 선택에서 비롯되는 것이지만 그 밖에 제품성분의 균일성이나 경시적 안정성을 유지하기 위해 사용한 유화제 등 제제(製劑)의 성분에 의해서도 유발된다고 생각된다.
2) 사용감, 부작용
밀착성 부족, 끈적임 등의 사용감과 상기 부작용 및 불쾌감 등의 문제가 있다. 또, 고저, 요철이 있는 얼굴을 한 장의 시트로 덮는 것은 기본적으로 불가능하다.
3) 가격
현재, 시판 가격은 1회 분당 100~500엔의 통상품과 1,000~5,000엔 혹은 이 이상의 고급품으로 양분되어 있다. 최근에는, 비정기적 사용품에서 정기적 사용품으로 추세가 변화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향후에는 보다 더 값이 싸고 간편한 제품이 시장에서 요구될 것으로 생각된다.
이상 열거한 문제점 중, 효과에 대한 제안으로, (A) 특개2005-281232호, 특개2005-211425호, 특개2000-119129호, 특개평11-228344호, 실전소60-134403호에는 부직포 등에 합성필름 등을 적층하여 폐색성을 갖게 함으로써 효과를 높이고자 하는 제안이 개시되어 있고, (B) 특개2005-213176호, 특개2003-300852호, 특개평6-65048호, 특개평4-95015호, 특개평4-54108호, 특개평4-54107호에는 신규 소재를 사용함으로써 폐색성과 밀착성을 개선하고, 효과를 높이고자 하는 제안이 개시되어 있고, (C) 특개소62-61910호, 특개2001-233756호에는 유성 함침 시트가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A) 그룹의 제안은 폐색성은 뛰어나지만 밀착성은 오히려 악화되는 것이 우려된다. (B) 그룹의 제안은 밀착성은 극히 뛰어나다고 여겨지나 너무 유연해서 취급성은 극히 나쁘고, 더 큰 문제는 성분의 함침성과 그 가격이다.
이러한 종류의 상품은 산업 전반적으로 볼 때, 원재료 사용량이 상당히 소량 인 분야다. 따라서 원재료가 타 산업에서 사용되고 있을 경우에는 비교적 싼 가격으로 입수할 수 있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싼 가격으로 입수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다. 또, (C) 그룹의 제안은 사용 전에는 피부의 보수성을 개선해야 하고, 사용 후에는 닦아내야 하는데 그 조작이 복잡하다. 게다가 어떤 경우에도 상기의 사용부위의 차이, 사용시기의 차이, 사람 간의 차이 등에는 전혀 대응할 수가 없다. 뿐만 아니라 사용감이나 밀착성 등의 문제를 해결하거나 더 나아가 가격을 낮추기 위한 직접적인 제안은 없다.
또, 간편성 및 안정성에 관하여 특개2006-263377호, 특개2006-249030호, 특개2006-56804호에는 함유수를 분리하여 건조 상태로 보존하고, 사용 직전에 물을 공급하여 복원하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는 물의 적절한 공급이라고 하는 새로운 불편함(문제)이 제기된다.
따라서 아직까지는 모든 문제점이 해결된 상품이 시판되고 있지 않는 실정이며, 종합적인 해결책이 제시된 문헌도 없다.
본래, 기초 화장품의 주요한 목적 중의 하나는 피부의 정상 활동에 필요한 성분 중 부족한 성분을 보충하는 것이다. 그리고 피부는 공급된 성분 중에서 필요로 하는 성분을 필요한 양만 흡수하는 것이 이상적이다.
그러나 시판되는 화장품의 대부분은 개인차나 안면 부위차, 사용 시기나 시간, 몸의 상태 등을 고려하지 않고 일률적으로 피부에 억지로 흡수시켜 겉으로만 건강한 피부, 고운 피부를 연출하는 것으로, 상기 원칙을 일탈하는 것이어서 당연히 완성된 화장품 영역에 속하는 것이 아니고 의약품의 영역에 속한다고 생각할 수 있다.
그리고 의약품의 영역에 해당된다면 당연히 사용방법이나 기간도 그에 준하여야만 한다. 하지만, 현실적으로는 자유로운 방법으로, 즉 화장품처럼 사용되고 있다. 이 때문에 필요 하지 않은 성분 또는 필요 하지 않은 양이 피부 안으로 흡수되거나 피부 위에 부착되는 일이 발생되어 각종 트러블(습진, 피부염 등의 부작용, 가려움, 피부자극, 건조 등의 불쾌감, 혹은 끈적임 등의 사용감)의 요인이 되는 것이다.
또, 많은 화장품은 제품의 경시안정성 관점에서 계면활성제를 함유하고 있는데 계면활성제는 성분의 피부 침투나 부착을 좋게 하는 동시에, 유성 성분과 수성 성분을 분리되지 않도록 하여 성분의 균일성을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이는 피부가 선택적으로 흡수하는 것을 방해하는 결과도 가져온다.
한편, 팩류는 소정 시간 동안 피부에 부착시켜 피부가 성분을 선택적으로 흡수하도록 하고, 잔여분은 물리적으로 제거하는 것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팩류는 기초화장품으로 이상적인 형태라 할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팩류도 전술한 바와 같이, 효과증강, 부작용 및 불쾌감 개선, 밀착성이나 끈적임 등의 사용감 개선, 저렴한 가격 등의 과제가 제기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 중에는 밀착성이 좋고, 제거 후에는 끈적임 등 불쾌감이 없고 보습상태가 좋으며, 사용자의 피부상태 및 사용하고자 하는 피부의 위치에 따라 적절하게 대응하여 사용할 수 있고, 부작용이 없고 피부가 필요한 성분을 선택적으로 흡수할 수 있는 중층형 화장용 팩 시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미용 효과를 극대화시키는 상기 중층형 화장용 팩 시트의 사용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발명자는 상기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여러 모로 검토한 결과, 함침 타입의 화장용 팩 시트를 부분적 혹은 전면적으로 중층시켜 사용하면 상기 모든 문제가 해결될 수 있을 것이라는 지견(知見)을 얻었다.
즉, 밀착성에 관해서는 눈 주변부, 콧망울, 코끝, 코 주변부, 입 주변부 등 필요한 부분에 탈지면 등 유연한 소재의 중층용 팩 시트를 단층으로 혹은 적층하여 사용하면 충분히 효과적이라는 사실과, 효과에 관해서는 액체 비투과성의 기재층을 사용하여 폐색성을 높이면 비록 한정된 팩 사용시간이라고 하더라도 성분 이행성은 더욱 높아지고, 피부가 선택적으로 흡수하는 범위 내에서 효과가 증강되어, 그 결과 생기는 밀착성 불량은 중층용 팩 시트를 사용하면 해결할 수 있다는 사실과, 또 피부의 질이 다른 부분에 대한 대응은 기본 팩 시트가 함유하는 화장료와는 다른 조성의 화장료를 함유하는 중층용 팩 시트를 사용하면 해결할 수 있다는 사실을 간파한 것이다.
그리고 가장 중요하고 해결하기 곤란한 과제는 끈적임 등의 사용감 불량, 부작용 등에 관한 문제인데 이에 대해서는 친수성 함유층과 친유성 함유층을 별도로 구성하여 각각을 사용할 때 중층시켜 사용하는 것으로 해결했다. 또, 후술하겠지만 분리 함침함으로써 보습 효과가 한층 더 증강되는 등, 전기(前記) 폐색성 기재를 사용한 경우를 뛰어넘는 효과까지도 겸해서 사용되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통상적으로는 친수성 성분과 친유성 성분을 유화시켜 사용하는데 이렇게 하면 균일해지기는 하지만 피부에 흡수되는 양이 컨트롤되지 않고, 친수성 성분과 친유성 성분이 분리되지 않아 결국 끈적임, 피부자극 등의 요인이 되는 것이다. 만약, 유화시키지 않고 사용하면 당연히 유분이 분리되어 및 편재(偏在)되는 현상이 발생하며 이 또한 끈적임, 피부자극 등의 요인이 된다. 하지만 친수성 팩 시트와 친유성 팩 시트를 중층하여 사용하면 각각의 성분은 각각의 함유층에 함유되어 끈적임, 피부자극 등의 요인이 되지 않는 범위에서 적당한 정도로 피부로 이동하게 되며 그 비율은 당연히 피부가 필요로 하는 비율이 된다고 생각된다.
피부는 적당한 정도의 수분을 함유하고 있을 때, 적당한 정도의 유분을 선택적으로 함유할 수 있다. 즉, 수분, 유분의 적당한 정도의 밸런스 가 중요한데 건조한 상태의 피부에 유분을 필요 한계를 초과하여 보충하면 피부는 이를 배제하기 위해서 많은 피로를 감수해야만 하고, 배제할 수 없다면 각종 피부 부작용의 요인이 되는 것이다. 즉, 선택적으로 흡수하는 것의 조건이 필요하다.
이를 만족시키는 것이 친수성 팩 시트와 친유성 팩 시트를 일정 시간과 성분이 피부로의 이동이 가능한 함유 상태에서 중층하는 것이 본 중층법이다. 또한, 선 택적으로 흡수하는 것이 원활하게 진행되기 위해서는 계면활성제의 존재는 마이너스 요인이라고 생각하는데 역시 사용시험 결과 이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 본 발명에 대한 영감과 아이디어를 구체화하여 완성한 본 발명의 중층형 화장용 팩 시트는, 함침층에 액체 또는 반고형 화장료를 함침시킨 기본 팩 시트와; 기본 팩 시트와 중층시켜 사용하는 것을 전제로, 기본 팩 시트와 재질, 형상, 또는 재질과 형상이 다르고, 전기(前記) 기본 팩 시트의 피부측, 환경측, 또는 피부측과 환경측에 설치하는 함침층에 액체 또는 반고형 화장료를 함침시킨 중층용 팩 시트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공지기술과 비교할 때, 서로 다른 화장용 팩 시트를 중층시켜 사용하는 것이 본 발명의 가장 특징 있는 차이점으로, 중층용 팩 시트의 적어도 일부가 그 함침층에 함유되는 화장료 조성이 기본 팩 시트 함침층에 함유되는 화장료 조성과 다를 때, 그 특징이 두드러진다.
기본 팩 시트의 함침층에 함유되는 화장료와 중층용 팩 시트의 함침층에 함유되는 화장료가 다른 가장 전형적인 형태는, 기본 팩 시트 함침층에 함유되는 화장료가 친수성이고, 중층용 팩 시트의 적어도 일부에 함유되는 화장료가 친유성인 경우와; 기본 팩 시트 함침층에 함유되는 화장료가 친유성이고, 중층용 팩 시트의 적어도 일부에 함유되는 화장료가 친수성인 경우이다.
필요에 따라 기본팩 스트의 함침층의 적어도 일부에 필름상 또는 시트상의 기재층이 적층시킬 수도 있다.
또, 중층용 팩 시트의 적어도 일부를 기재층만으로 또는 기재층과 점착층만으로 구성할 수도 있고, 기본 팩 시트 또는 중층용 팩 시트의 적어도 일부에 괴상물(塊狀物), 봉상물(棒狀物), 또는 망상물(網狀物)을 부착, 내포, 또는 부착 및 내포시킬 수도 있다.
또, 이러한 형태의 본 발명의 중층형 화장용 팩 시트는, 친유성 화장 성분과 친수성 화장 성분을 균일하게 혼합하지 않아도 되므로 화장용 팩 시트의 함침층에 함유시키는 화장료에 계면활성제를 포함시키지 않아도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중층형 화장용 팩 시트에 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기본 팩 시트 또는 중층용 팩 시트의 함침층은 수성 또는 비수성의 화장료를 함유하고, 사용 시 인체 피부에 이것을 방출하여 화장료의 효과를 발휘하는 목적으로 사용한다.
구체적으로는, 함침층으로는 종이, 천, 부직포, 직포, 타올, 모포, 편물, 퀼트, 탈지면 등을 사용 할 수 있고, 이들을 단일층 또는 적층체로서 사용해도 좋다. 특히, 탈지면은 유연성, 방출성, 보유성 등에서 뛰어나 함침층으로 그 무엇보다 적합하다. 게다가 필요에 따라 폐색성, 차단성, 지지성 중, 적어도 하나를 부여하기 위해서 필름상 또는 시트상의 기재층을 적층해도 좋다. 또한, 중층용 팩 시트를 이 기재층만으로, 또는 기재층과 점착층만으로 구성하고, 부분적으로 폐색성, 차단성, 또는 폐색성과 차단성을 부여하는 것도 가능하다.
액체 또는 반고형 화장료로는 액체, 로션, 크림, 유액, 유제(油劑), 연고제 등의 형상의 화장료로, 구성 성분은 화장품으로서 허용된 것이면 좋다.
필름 상 또는 시트 상의 기재층으로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아미 드, 폴리에스테르, 폴리우레탄,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 폴리염화비닐, 폴리부타디엔, 셀로판, 폴리클로로프렌, 폴리아미노산, 니트릴고무, 부틸고무 또는 실리콘고무 등의 합성수지나 그 외의 천연수지 등으로 얇게 형성한 필름 내지는 시트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발포처리, 천공, 발수(撥水), 발유(撥油)처리, 요철가공, 슬릿 가공 등을 해도 좋다. 이 중, 우레탄 필름은 유연성이 뛰어나, 기재층으로는 가장 적합하다. 더욱이 기재층과 함침층이 전면적 또는 부분적으로 접착 또는 융착되어 있어도 좋다. 융착 방법은 예를 들면, 압출 라미네이트법이 있다.
발수, 발유처리로는 파라핀 처리, 실리콘 처리, 불소수지 처리 등을 들 수 있다. 보온, 맛사지 등의 목적으로 손바닥으로 누르거나 들어 올리거나 할 때, 손바닥과 기재층과의 박리가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박리가 무거울 경우, 피부와 함침층이 박리되어 밀착성 저하가 생긴다.
점착제로는 초산비닐계 점착제, 아크릴계 점착제, 폴리비닐알코올계 점착제 등의 다른 사용에 장해가 없을 정도의 고정력을 가진 것이면 된다. 필요에 따라 전분계 등의 수성 점착제도 사용할 수 있다. 수성 점착제는 기재층과 함침층의 밀착성이 양호한 경우에 사용할 수 있고, 이 때, 이것은 수성화장료에 용해한 결과, 양 층의 자유도가 커져서 팩 시트전체의 유연도가 향상된다. 또한, 부분적 접착, 융착은 유연성 향상에 기여한다.
기재층의 요철가공은 열 엠보싱 가공, 필름성형 시 가공 등이 있다. 이 목적은 발수, 발유 가공과 같이 손바닥과 기재층의 박리를 가볍게 하기 위한 것이다.
슬릿 가공은 기재층만 절단하는 것으로, 그 목적도 팩 시트전체의 유연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폐색형에 있어서는, 함침층을 복수 이상으로 분절해도 좋다. 이로 인하여 팩 시트 전체의 유연성과 특히 함침층의 밀착성이 향상된다.
함침층, 기재층에 괴상, 봉상 또는 망상물 등을 부착 및 /또는 내포시켜도 좋다. 이 목적은 피부에 대해, 적절한 정도의 물리적 자극을 주어, 맛사지효과를 얻는 것이다. 이것들은 섬유, 종이, 천, 부직포, 합성수지, 천연수지 등의 소재를 사용하여, 상기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들 수가 있다.
화장용 팩 시트 형상으로는 전면용과 부분용을 생각할 수 있다. 전면용은 얼굴 전체타입, 상반부와 하반부의 조합타입 등이 있다. 부분용으로는 코용, 입용, 눈꼬리용, 볼용, 이마용 등이 있고, 그 외에 사용 시 적당한 크기로 절단하여 사용하는 프리사이즈(free size) 등이 있다.
상기와 같이, 친수성 팩 시트와 친유성 팩 시트를 중층시켜 동시에 사용 즉, 중층사용은 효과적인 미용방법이라고 하는 지견을 얻을 수 있었다.
그리고 친유성 팩 시트의 친유성 화장료 함침량이 비교적 적을 때, 당해 팩 시트의 피부면에 대한 부착력이 약간 모자라는 경우가 있다. 이에 대해서는, 처음엔 피부면에 친수성 팩 시트를 적용하고, 그 다음에 친유성 팩 시트를 중층 사용하여, 잠시 경과 후, 양 팩 시트 위치를 반대로 하여, 친유성 팩 시트 측을 피부면에 적용하여 중층 사용함으로서, 효과, 사용감, 부작용 등에 관하여는 동등의 성능을 유지하면서, 장착 등의 조작성을 대폭으로 개선할 수 있다.
<실시예>
본 발명의 중층형 화장용 팩 시트와 공지기술의 화장용 팩 시트를 제작하여 시험참가자에게 사용 테스트를 한 후, 느낌을 묻고, 비교하는 관능테스트를 실시하였다.
1. 시험참가자: 얼굴에 기능적인 이상이 없고, 피부병으로 판정되는 증세, 결손, 변형 등의 이상이 없는 정상 피부를 가진 연령 20~50세의 여자 20명.
2. 시편 제작: 하기 방법으로 제조된 본 발명의 시편 1~3 및 공지기술의 시편 4~6을 사용하였다. 단, 본 발명은 하기 시편에 한정된 것은 아니다.
1) 시편 1(본 발명)
a) 기본 팩 시트 1a: 면적중량 40g/㎡의 면 부직포(25×24㎝)를 얼굴형상으로 잘라, 1장당 친수성 화장료 A를 25g씩 함침시켜 얼굴 전체용을 만들어 1장씩 포장하였다.
b) 중층용 팩 시트 1b: 면적중량 30g/㎡의 면 부직포(6×7㎝)를 볼 형상으로 잘라, 1장당 친유성화장료 F를 1장당 2.0g씩 함침시켜 볼용을 만들어 2장씩 포장하였다.
2) 시편 2(본 발명)
a) 기본 팩 시트 2a: 기본 팩 시트 1a와 동일함.
b) 중층용 팩 시트 2b: 면적중량 30g/㎡의 면 부직포(6×7㎝)를 눈꼬리 형상으로 잘라, 1장당 친수성화장료 A를 1장당 2.0g씩 함침시켜 눈꼬리용을 만들어 2장씩 포장하였다.
3) 시편 3(본 발명)
a) 기본 팩 시트 3a: 기본 팩 시트 1a와 동일함.
b) 중층용 팩 시트 3b: 면적중량 40g/㎡의 면 부직포(6×7㎝)를 볼 형상으로 잘라, 1장당 친수성화장료 B를 1장당 2.0g씩 함침시켜 볼용을 만들어 2장씩 포장하였다.
4) 시편 4(공지기술)
면적중량 40g/㎡의 면 부직포(25×24㎝)를 얼굴형상으로 잘라, 1장당 친수성 화장료 A를 25g씩 함침시켜 얼굴 전체용을 만들어 1장씩 포장하였다.
5) 시편 5(공지기술)
화장 성분으로 친수성 화장료 B를 함침시킨 것을 제외하고는 시편 4와 동일한 방법으로 제작하였다.
6) 시편 6(공지기술)
면적중량 30g/㎡의 면 부직포(25×24㎝)를 얼굴형상으로 잘라, 1장당 친수성 화장료 F를 25g씩 함침시켜 얼굴 전체용을 만들어 1장씩 포장하였다.
위에서 화장 성분으로 함침시킨 친수성 화장료 A, 친수성 화장료 B 및 친유성 화장료 F의 화장료조성은 다음 [표 1]과 같다.
(단위: 중량%)
친수성화장료A 친수성화장료B 친유성화장료F
정제수 91.7 89.2
BG 3 3
글리세린 3 3
실리콘 오일 0.2
스쿠알렌 0.3 10
트리오크타노인 1.5 40
올리브유 48.8
Trehalose 1 1
잔탄검(Xanthan Gum) 0.2 0.2
PEG-60경화Castor Oil 0.5
알로에 추출물 0.3 0.3
감초 추출물 0.3 0.3
당귀 추출물 0.3 0.3
비타민 E 1
BHT 0.2
메틸파라반 (Methyl Paraban) 0.15 0.15
프로필 파라반 (Propyl Paraban) 0.05 0.05
3. 테스트 방법:
세안 후, 취침 전에 단독 또는 중층법의 경우에는 소정의 팩 시트를 15분간 시험하고, 연속법의 경우에는 전 시편을 15분간 적용하고, 제거한 다음 즉시 다음 시편을 15분간 적용하였다.
사용 중에는 밀착성과 부작용 항목을, 시험이 종료되고 1시간 경과 후에는 보습상태, 끈적임 및 부작용 항목을, 다음 날 아침 기상 시에는 보습상태와 부작용의 항목에 관하여 확인하였다.
시험은 총 7주간 실시하였는데 제1주 (시험No. 1)는 첫 날 얼굴면 우측 절반부에 먼저 시편 1b를 붙이고 그 위에 시편 1a의 반을 중층시키고, 좌측 절반부에는 시편 4의 반을 붙였다. 제4일째 되는 날에는 첫 날 사용한 시편과 같은 시편을 얼굴의 좌우를 바꾸어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제2주 (시험No. 2)부터 제7주 (시험No. 7)까지 제1주와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는데, 제2주는 시편(1a, 1b중층)과 시편(3a, 3b중층), 제3주는 시편(3a, 3b중층)과 시편(5단독), 제4주는 시편(2a, 2b중층)과 시편(4단독), 제5주는 시편(1a, 1b중층)과 시편(6단독), 제6주는 시편(1a, 1b중층)과 시편(1a, 6연속), 제7주는 시편(1a, 1b중층)과 시편(6, 1a연속)을 사용하였다. 단, 세안 후, 다음날 아침 확인 종료까지 시편 이외의 다른 화장품은 얼굴에 사용하지 않았다.
4. 평가
( )안은 평가점수, 동일 시편에 관해서의 얼굴 좌반, 얼굴 우반의 평가점수를 합쳐, 전기 20명의 합산치로 평가하였다.
A. 사용 후, 피부의 보습상태에 관하여
(본 시험에 있어서는, 중층용 부분 팩 시트의 사용부위가 한정적인 것을 더 고려하여 평가하였다.)
ㆍ크게 개선 (3)
ㆍ개선 (2)
ㆍ조금 개선 (1)
ㆍ변화 없음 (0)
ㆍ악화 (0, 부작용 항목으로 평가함)
B. 사용 후, 피부의 끈적임 정도에 관하여
ㆍ심하게 끈적인다. (3)
ㆍ끈적인다. (2)
ㆍ약간 끈적인다. (1)
ㆍ거의 끈적이지 않는다. (0)
C. 사용 중, 사용 후에 가려움, 자극, 건조 등의 불쾌감 및 습진, 피부염 등의 부작용의 유무 및 그 정도에 관하여
ㆍ특히 심한 증상이 있다. (3)
ㆍ심한 증상이 있다. (2)
ㆍ약하지만 증상이 있다. (1)
ㆍ없다. (0)
D. 밀착성에 관하여
ㆍ상당히 좋다. (3)
ㆍ좋다. (2)
ㆍ약간 좋다. (1)
ㆍ좋지 않다. (0)
상기 관능 테스트 결과를 하기 표 2에 정리하였다.
시험 No 1 2 3 4 5 6 7
시편 1a 4 1b - 1a 3a 1b 3b 3a 5 3b - 2a 4 2b - 1a 6 1b - 1a 1a 1b 6 1a 6 1b 1a
사용방법 중층 단독 중층 중층 중층 단독 중층 단독 중층 단독 중층 연속 중층 연속
보습상태 (제거후) (다음날 아침) 112 48 107 40 108 72 112 70 68 66 65 62 80 51 63 42 111 18 106 19 108 85 101 77 102 52 96 40
끈적임(제거후) 4 6 0 42 44 92 5 4 2 117 8 112 0 104
밀착성(사용중) 114 10 114 114 118 12 111 14 110 10 115 14 110 13
부작용(사용중) 불쾌감(제거후) (다음날 아침) 0 0 0 0 0 0 0 8 0 0 0 0 6 29 0 7 0 4 0 0 0 0 0 0 0 78 0 35 0 28 0 68 0 54 0 39 0 72 0 38 0 36
5. 고찰:
A. 시험 No.1 및 5에서, 친유성 팩 시트와 친수성 팩 시트의 중층 사용으로 이들의 단독 사용과 비교하여 확실하게 보습상태의 개선에 현저한 효과가 있고, 동시에 끈적임, 밀착성 개선에도 극히 유효한 것으로 판명됐다. 더욱이 이에 의한 부작용은 극히 적어 저감 효과는 상당히 크다고 생각된다.
B. 시험 No. 4에서, 중층용 부분 팩 시트의 밀착성 개선 효과는 상당함이 현저함을 알 수 있다. 게다가 보습상태 개선에도 유효하다.
C. 시험 No. 3에서, 유분을 필요로 하는 피부질의 부분에만 중층용 부분 팩 시트를 적용함으로써 보습상태 개선에 관한 효과는 유지한 채로 밀착성, 끈적임 및 부작용의 대폭 개선효과를 확인할 수 있다.
D. 시험 No. 5의 친유성 팩 시트 단독사용에서는 효과, 사용감, 부작용 등 어느 한 가지에 관해서도 좋은 결과는 얻을 수 없었다.
E. 시험 No. 2의 계면활성제를 사용하지 않은 경우(유화시키지 않은 경우)에는 확실히 보습상태의 개선에 기여하고 더욱이 끈적임, 부작용 등을 경감할 수 있다.
F. 시험 No. 6, 7에서, 친유성 팩 시트와 친수성 팩 시트의 동시 사용, 즉 중층사용은 이것들을 단독으로 연속 사용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불쾌감, 부작용 및 끈적임의 경감, 보습상태와 밀착성 개선 등에 현저한 효과를 가지고 있다. 전기 시험 No.2의 결과와 합쳐서 그 유용성은 확실하다.
본 발명의 중층형 화장용 팩 시트를 본 발명의 사용방법대로 사용하면, 밀착성을 직접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일반적으로 기재층을 사용하여 폐색성을 높일 경우에는 이로 인하여 밀착성 저하가 발생하지만 중층용 부분 팩 시트를 사용하면 이를 보완할 수 있고, 더욱 견고하게 밀착시킬 수 있다. 이 결과, 화장 성분의 이동을 촉진시킬 수 있어 사용시간이 15~30분 정도인 팩 시트의 효과를 현저히 향상 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가장 특징 있는 효과는 친수성 팩 시트와 친유성 팩 시트를 중층시켜 사용할 때의 효과로, 이것은 서로 다른 화장 성분이 필요한 피부에 이에 상응하는 조성의 화장료를 함유하는 팩 시트를 중층 사용하는 것이다.
그 밖에, 본 발명의 중층형 화장용 팩 시트는 계면활성제를 반드시 함유해야 하는 것은 아니므로, 친수성 성분과 친유성 성분이 균일성은 유지하는 종래기술과는 달리, 피부에 의한 필요한 성분의 선택적 흡수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계면활성제에 의한 피부발진 등 부작용이 없다.

Claims (10)

  1. 함침층에 액체 또는 반고형 화장료를 함침시킨 기본 팩 시트와;
    기본 팩 시트와 중층시켜 사용하는 것을 전제로, 기본 팩 시트와 재질, 형상, 또는 재질과 형상이 다르고, 전기(前記) 기본 팩 시트의 피부측, 환경측, 또는 피부측과 환경측에 설치하는 함침층에 액체 또는 반고형 화장료를 함침시킨 중층용 팩 시트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층형 화장용 팩 시트.
  2. 제1항에 있어서, 중층용 팩 시트의 적어도 일부가 그 함침층에 함유되는 화장료 조성이 기본 팩 시트 함침층에 함유되는 화장료 조성과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층형 화장용 팩 시트.
  3. 제2항에 있어서, 기본 팩 시트 함침층에 함유되는 화장료가 친수성이고, 중층용 팩 시트의 적어도 일부에 함유되는 화장료가 친유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층형 화장용 팩 시트.
  4. 제2항에 있어서, 기본 팩 시트 함침층에 함유되는 화장료가 친유성이고, 중층용 팩 시트의 적어도 일부에 함유되는 화장료가 친수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층형 화장용 팩 시트.
  5. 제1항 내지 제4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기본 팩 시트의 함침층의 적어도 일부에 필름상 또는 시트상의 기재층이 적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층형 화장용 팩 시트.
  6. 제1항 내지 제4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중층용 팩 시트의 적어도 일부가 기재층만으로 또는 기재층과 점착층만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층형 화장용 팩 시트.
  7. 제1항 내지 제4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기본 팩 시트 또는 중층용 팩 시트의 적어도 일부에 괴상물(塊狀物), 봉상물(棒狀物) 또는 망상물(網狀物)을 부착, 내포, 또는 부착 및 내포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층형 화장용 팩 시트.
  8. 제1항 내지 제4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기본 팩 시트 및 중층용 팩 시트의 함침층에 함유되는 각각의 화장료가 계면활성제를 함유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층형 화장용 팩 시트.
  9. 친유성 화장료를 함유한 팩 시트와 친수성 화장료를 함유한 팩 시트를 사용할 때, 중층시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층형 화장용 팩 시트의 사용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먼저, 친수성 화장료를 함유한 팩 시트를 피부면에 적용하고, 그 다음에 친유성 화장료를 함유한 팩 시트를 중층시켜 적용하고, 잠시 경과 후, 두 팩 시트의 위치를 반대로 하여 친유성 화장료를 함유한 팩 시트 측을 피부 면에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층형 화장용 팩 시트의 사용방법.
KR1020070008153A 2006-01-27 2007-01-26 중층형 화장용 팩 시트와 그의 사용방법 KR10084165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047449 2006-01-27
JPJP-P-2006-00047449 2006-01-27
JP2006357235A JP4141488B2 (ja) 2006-01-27 2006-12-13 化粧用パックシートおよびそれを用いた美容方法
JPJP-P-2006-00357235 2006-12-1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78720A KR20070078720A (ko) 2007-08-01
KR100841654B1 true KR100841654B1 (ko) 2008-06-26

Family

ID=385461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08153A KR100841654B1 (ko) 2006-01-27 2007-01-26 중층형 화장용 팩 시트와 그의 사용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4141488B2 (ko)
KR (1) KR10084165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345510B2 (ja) * 2009-11-30 2013-11-20 楽天株式会社 情報提供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AU2013313248B2 (en) * 2012-09-07 2017-10-19 Love Sun Body Llc Sunscreen sheet
KR101282667B1 (ko) * 2012-09-27 2013-07-12 (주)아우딘퓨쳐스 화장용 팩 및 그 사용방법
CN105848520A (zh) * 2013-12-23 2016-08-10 欧莱雅 多种美容组合物
KR101886141B1 (ko) * 2016-05-30 2018-08-08 (주)아모레퍼시픽 별도의 다른 화장료를 담지한 화장품
WO2018143494A1 (ko) * 2017-02-03 2018-08-09 윤성용 네일 아트용 스킨케어 마스크 팩과 이의 제조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33044U (ja) * 1996-06-28 1997-01-17 花王株式会社 シート状パック
JPH11130625A (ja) 1997-10-31 1999-05-18 Kao Corp シート状パック剤組成物
KR100300217B1 (ko) 1996-03-04 2001-09-22 도키와 후미카츠 시이트팩
JP2006124281A (ja) 2004-10-26 2006-05-18 Shiseido Co Ltd アイパック化粧料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00217B1 (ko) 1996-03-04 2001-09-22 도키와 후미카츠 시이트팩
JP3033044U (ja) * 1996-06-28 1997-01-17 花王株式会社 シート状パック
JPH11130625A (ja) 1997-10-31 1999-05-18 Kao Corp シート状パック剤組成物
JP2006124281A (ja) 2004-10-26 2006-05-18 Shiseido Co Ltd アイパック化粧料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141488B2 (ja) 2008-08-27
JP2007224015A (ja) 2007-09-06
KR20070078720A (ko) 2007-08-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273800B (zh) 与电动装置一起使用的起泡多孔垫
KR100841654B1 (ko) 중층형 화장용 팩 시트와 그의 사용방법
DE60019316T2 (de) Halbgeschlossene auftragsvorrichtung zum verteilen einer substanz auf einer zieloberfläche
KR101444669B1 (ko) 탄성층 및 차단층을 갖는 조성물 전달용 기구의 제조방법
US20020192268A1 (en) Substrates utilizing shear responsive micropockets for storage and delivery of substances
US20080147022A1 (en) Skin care delivery device having a releasable backing
JP2004531322A (ja) 投薬用(dosing)貯蔵器
KR20060076718A (ko) 피부 관리 용품 및 방법
JP2003093152A (ja) 化粧料含浸シート
JP2005530740A (ja) 識別可能な活性ゾーンを有している身体手入れ用製品
TW201238520A (en) Cosmetic-impregnated sheet and its producing method
JP5226948B2 (ja) 積層シート及び身体貼付用シート
KR20160135208A (ko) 다기능성 표면 고체 지지체
JP4540413B2 (ja) ウエットシート
JP2003313110A (ja) 皮膚粘着性シート
JP4215705B2 (ja) シート及びこれを用いたシート状化粧料
JP2010131055A (ja) ファンデーション塗布用シート
KR20090079958A (ko) 조성물 전달용 액체-투과성 기구
JP2006169173A (ja) シート状パック材の使用方法
JP5388207B2 (ja) 洗浄用具
JP4905912B2 (ja) 化粧料含浸シート
JP2008208031A (ja) 化粧料含浸積層体
JP3717412B2 (ja) 化粧料含浸シート
JP2002306367A (ja) 身体清浄用シート
JP3804784B2 (ja) 含浸シー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4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9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