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40120B1 - 슬리팅 절단면 버어처리 및 보호막 형성을 위한연속처리방법과 연속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슬리팅 절단면 버어처리 및 보호막 형성을 위한연속처리방법과 연속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40120B1
KR100840120B1 KR1020080007376A KR20080007376A KR100840120B1 KR 100840120 B1 KR100840120 B1 KR 100840120B1 KR 1020080007376 A KR1020080007376 A KR 1020080007376A KR 20080007376 A KR20080007376 A KR 20080007376A KR 100840120 B1 KR100840120 B1 KR 1008401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ective film
burr
plate
plate member
form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073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용석
Original Assignee
허용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허용석 filed Critical 허용석
Priority to KR10200800073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4012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01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01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28/00Shaping by press-cutting; Perforating
    • B21D28/02Punching blanks or articles with or without obtaining scrap; Notching
    • B21D28/16Shoulder or burr prevention, e.g. fine-blank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1/00Straightening, restoring form or removing local distortions of sheet metal or specific articles made therefrom; Stretching sheet metal combined with rolling
    • B21D1/02Straightening, restoring form or removing local distortions of sheet metal or specific articles made therefrom; Stretching sheet metal combined with rolling by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43/00Feeding, positioning or storing devices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pparatus for working or processing sheet metal, metal tubes or metal profiles; Associations therewith of cutting devices
    • B21D43/006Feeding elongated articles, such as tubes, bars, or profi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00Bending sheet metal along straight lines, e.g. to form simple curves
    • B21D5/14Bending sheet metal along straight lines, e.g. to form simple curves by passing between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15/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rocessing And Handling Of Plastics And Other Materials For Mold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폭이 넓은 판상부재를 소정의 폭을 갖도록 슬리팅 가공한 후에 필연적으로 남게 되는 절단면 버어를 처리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표면보호를 위한 보호필름을 연속적인 과정으로 입힐 수 있도록 하는 기술로서, 슬리팅 가공으로 버어가 생성된 판상부재를 성형홈이 형성된 한쌍 이상의 성형롤 사이로 공급시키면서 상기 버어의 단부가 내측방향으로 굽어지게 변형시킨 후, 회전되는 한쌍의 평탄화롤러 사이로 공급되게 하여 상기 버어를 압착시켜 평면을 이루도록 하고, 상기 판상부재 하부면에 보호필름을 접촉시켜서 판상부재를 연속적으로 이동시킴에 따라 보호필름이 상기 판상부재에 부착되어 보호막을 형성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슬리팅 절단면 버어처리 및 보호막 형성을 위한 연속처리방법 및 연속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슬리팅, 판상부재, 버어처리, 보호필름, 성형롤, 평탄화롤러, 앙카스트립

Description

슬리팅 절단면 버어처리 및 보호막 형성을 위한 연속처리방법과 연속처리장치{Continuous treatment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protecting film and treating burr on the cutting edge caused by slitting}
본 발명은 폭이 넓은 판상부재를 소정의 폭을 갖도록 슬리팅 가공한 후에 필연적으로 남게 되는 절단면 버어를 처리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표면보호를 위한 보호필름을 연속적인 과정으로 입힐 수 있는 연속처리방법과 이와 관련되는 장치에 관한 기술이다.
슬리팅 가공이라 함은 전단가공의 하나로서 넓은 금속 등의 판상소재를 일정한 폭으로 연속해서 절단하는 것을 의미하며, 금속판과 같은 것을 슬리팅 가공하게 되면 필연적으로 절단면에는 날카로운 버어(burr)가 발생하게 된다.
버어가 존재하게 되면 결합면이 균일하지 않아 많은 결함을 유발하게 되며 또한 버어가 발생된 부위는 파단의 기점이 될 수도 있는 등 금속가공에 있어 버어 제거의 중요성은 무엇보다도 크다고 할 수 있다.
슬리팅 가공 후 절단면에 발생된 버어 제거방법으로 알려진 것으로는 연마석과 같은 것을 이용하여 돌출된 버어 부분을 없애도록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 나 이와 같이 버어를 탈락시키는 방법은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될 뿐 아니라 미세한 금속입자로 공기 중에 흩날릴 수 있어 작업환경을 열악하게 만들고 이로 인해 작업자의 건강에 치명적인 문제를 야기하는 요인이 되기도 한다.
슬리팅 가공된 금속판재는 산업에서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으며 특히 LNG선과 같은 선박에도 슬리팅 가공으로 만들어지는 앙카스트립이라고 불리우는 부품이 많이 사용된다. 상기 앙카스트립이라고 하는 것은 LNG선과 같은 선박 건조시에 금속판과 금속판의 용접결합부에 덧대어 보강하는 부재를 의미한다. 특히나 LNG선은 액화된 천연가스를 수송하는 선박으로 미세한 균열이나 틈새 혹은 표면 스크래치가 존재하여도 대형사고로 이어질 개연성이 높아 매우 엄격한 기준하에서 제작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따라 앙카스트립에 대한 품질관리도 엄격하며 납품되는 앙카스트립에는 어떠한 버어도 없어야 하고 표면부의 스크래치도 불량품으로 취급되고 있다.
앙카스트립을 납품하는 업체의 입장에서는 슬리팅 가공 후의 절단면에 대한 버어 처리를 그라인더로 하게 되면 생산성이 떨어지고, 표면부에 대한 스크래치 예방책이 충분치 않아 불량율이 높고 가격경쟁력이 없어 새로운 방식의 버어 제거방법과 표면보호방안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요구는 비단 선박용 앙카스트립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여러 산업분야에 걸쳐서 두루 요구되는 기술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보다 효율적이면서 신속하게 슬리팅 가공 후 생성되는 버어를 처리할 수 있고 동시에 표면보호를 위한 보호필름을 부착시킬 수 있는 연속처리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고자 함을 과제로 한다.
제시한 바와 같은 과제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은, 슬리팅 가공으로 버어가 생성된 판상부재를 성형홈이 형성된 한쌍 이상의 성형롤 사이로 공급시키면서 상기 버어의 단부가 내측방향으로 굽어지게 변형시킨 후, 회전되는 한쌍의 평탄화롤러 사이로 공급되게 하여 상기 버어를 압착시켜 평면을 이루도록 하고, 상기 판상부재 하부면에 보호필름을 접촉시켜서 판상부재를 연속적으로 이동시킴에 따라 보호필름이 상기 판상부재에 부착되어 보호막을 형성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슬리팅 절단면 버어처리 및 보호막 형성을 위한 연속처리방법을 제안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판상부재는 언와인더에 롤 상태로 설치되어 풀리면서 연속적으로 공급되고 상기 보호필름이 부착된 후에는 리와인더에 다시 롤 상태로 감기도록 하되, 작업 진행에 따라 상기 리와인더에 감기는 판상부재의 직경변화에 추종하여 상기 판상부재와 보호필름의 접촉이 이루어지는 접촉부의 높이를 점차 높이면서 진행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리팅 절단면 버어처리 및 보호막 형성을 위한 연속처리방법을 제안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성형롤과 평탄화롤러 사이에 이동되는 판상부재의 상하면과 접촉되어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이물제거용패드를 통과하도록 하는 단계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리팅 절단면 버어처리 및 보호막 형성을 위한 연속처리방법을 제안한다.
또한 본 발명은 프레임 상면에 슬리팅 가공된 판상부재의 절단면이 끼워지는 성형홈이 구비되어 절단면에 형성된 버어의 단부를 내측으로 굽어지게 변형시키는 한쌍 이상의 성형롤; 상기 성형롤에 의해 변형된 버어를 압착시켜 편평한 판상이 되도록 가압하는 평탄화롤러; 상기 성형롤과 평탄화롤러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판상부재 상하면과 접촉되면서 표면의 이물질을 제거하게 되는 이물질제거패드; 상기 평탄화롤러를 기준으로 성형롤의 반대측에 형성되는 것으로 롤 상태로 감긴 보호필름뭉치가 회전될 수 있도록 하는 보호필름설치대; 상기 보호필름설치대 상단부에 결합되어 이동되어오는 판상부재 하부면에 상기 보호필름이 부착될 수 있도록 접촉면을 형성시켜주는 필름부착베드;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슬리팅 절단면의 버어처리 및 보호막 형성을 위한 연속처리장치를 제안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필름부착베드는, 볼록한 곡면을 이루며 하부면에 스프링이 연결되어 상하로 유동이 이루어질 수 있는 쿠션플레이트; 상기 쿠션플레이트 상면에 놓여져 필름 외면과 접촉되면서 이물제거 및 쿠션을 보완하게 되는 보조패드; 상기 쿠션플레이트 하부를 거쳐서 보조패드 상면으로 보호필름의 이동방향이 전환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유도봉;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리팅 절단면의 버어처리 및 보호막 형성을 위한 연속처리장치를 제안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보호필름설치대는, 상하로 위치 이동이 이루어지도록 구성 됨을 특징으로 하는 슬리팅 절단면의 버어처리 및 보호막 형성을 위한 연속처리장치를 제안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연속처리방법 및 장치는 종래의 버어 처리 개념과 달리 버어를 탈락시키는 것이 아니라 버어의 형상을 적절히 변형시킨 후 눌러 압착시켜 처리함으로써 신속한 작업이 가능해지는 효과가 있고, 또한 버어를 탈락시키지 않음으로써 미세한 금속입자의 비산이 전혀 없게되어 작업환경이 개선되고 작업자의 건강에도 문제를 일으키지 않는다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버어 처리에 연이어 판상부재의 표면 스크래치 예방을 위한 보호필름을 부착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불량품 발생을 줄일 수 있게 된다는 효과도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슬리팅 절단면 버어처리 및 보호막 형성을 위한 연속처리방법 및 장치(이하, 연속처리방법, 연속처리장치라 한다)에 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을 전개하기로 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수단으로 관련도면을 참조하기로 한다. 따라서 제시되는 도면들은 본 발명의 실시가능한 형태에 대한 하나의 예에 해당되는 것이며 단순한 변형 실시예들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연속처리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연속처리방법은 공지의 슬리팅 가공 과정을 거쳐서 만들어지는 소정 규격의 판상부재 절단면에 생성된 버어에 대한 처리와 표면보호를 위한 보호필름을 부착시켜 보호막을 형성하도록 하는 일련의 연속적인 처리방법에 관한 기술이다.
첨부되는 도1은 본 발명 연속처리방법의 전체적인 작업 공정도를 보여준다. 슬리팅 가공을 통해서 일정 사이즈로 잘린 판상부재(p)의 좌우 단부 절단면에는 필연적으로 날카롭게 돌출되는 버어(b)가 생성되는데, 본 발명에서는 상기 버어의 처리를 위해 상기 판상부재의 절단면이 좌우 한쌍을 이루는 성형롤(100)의 성형홈(110) 사이로 공급되게하여 상기 성형홈(110)의 형상에 맞게 상기 버어(b)의 단부를 내측방향으로 굽어지게 변형시키게 된다. 상기 성형롤(100)은 한쌍 이상을 두도록 함이 바람직하고 판상부재(p)가 전진됨에 따라 상기 성형롤(100)은 판상부재와의 마찰로 회전하게 되고 이 과정 중에 성형홈(110)의 형상에 맞게 변형이 이루어진다. 판상부재(p)의 좌우 가장자리는 성형홈(110)에 끼워지되 버어(b)의 단부를 내측방향으로 굽어지게 변형시킬 정도의 압축력이 작용하도록 조정할 필요가 있다. 즉, 육안으로 확인되지 않지만 판상부재(p)가 다소 굽어질 정도로 상기 좌우 성형롤(100) 사이 간격을 조정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판상부재(p)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버어(b)는 성형롤(100)을 통과하면서 압축력을 받아 내측으로 굽어지면서 변형이 된다. 한번에 상기 버어(b)를 변형시키고자 하면 무리가 따를 수 있으므로 상기 성형롤(100)을 2쌍 정도 배치하여 2차에 걸쳐서 상기 판상부재(p) 가장자리에 존재하는 버어(b)를 적절한 형상으로 변형시키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성형롤(100)을 통과한 판상부재(p)는 연이어 평탄화롤러(200)로 진입하게 되며 상기 평탄화롤러(200)는 상하로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면서 배치되되 일정한 속도로 회전하게 된다. 상기 평탄화롤러(200) 사이로 판상부재(p)가 들어가게 되면 전체적으로 판상부재(p)는 곧게 펼져지게 되고 특히 성형롤(100)에 의해 내측방향으로 굽어지게 압축 변형된 버어(b)는 수직력을 받아 납작하게 펼쳐지게 된다. 즉, 슬리팅 가공시 발생된 버어(b)는 탈락(제거)되는 것이 아니라 판상부재의 일부로 가공되는 것이다.
바람직하게 버어(b)가 형성된 판상부재(p)를 성형롤(100) 및 평탄화롤러(200)로 투입시킴에 있어서 상기 버어(b)가 판상부재(p)의 상면에 위치되는 방향이 되도록 하여 작업을 진행시키며, 따라서 상기 판상부재(p)가 평탄화롤러(200)를 통과하게 되면 상기 버어(b)는 판상부재(p) 상면에 납작하게 붙게 되어 상기 버어를 탈락시키지 않아도 된다.
상기 평탄화롤러(200)를 통과한 판상부재(p)는 연이은 공정으로 상기 판상부재 하부면에 보호필름(f)을 부착시키도록 한다. 상기 보호필름(f)은 판상부재(p) 하부면에 대한 손상을 방지하는 보호막 역할을 하며 얇은 합성수지 비닐과 같은 것을 보호필름으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판상부재(p) 하부면에 보호필름(f)이 부착되는 원리는 이동되어 오는 판상부재(p) 하부면과 보호필름(f)을 접촉시킴으로서 자연스럽게 상기 보호필름(f)이 판상부재(p) 하부면에 부착되도록 하는 방식을 이용한다. 즉, 판상부재(p)의 표면은 매끈한 평면을 이루고 있으므로 보호필름(f)과 의 접촉만으로도 충분히 상호 결합을 이루게 된다.
상기 성형롤(100)로 공급되는 판상부재(p)는 슬리팅 가공 후 롤 상태로 제공되므로 상기 판상부재(p)를 언와인더(미도시)에 설치하여 연속적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고 상기 판상부재(p) 하부면에 보호필름(f)이 부착된 후에는 다시 롤 상태로 감기도록 하는 리와인더(미도시)를 두도록 하는 것으로 연속 처리가 가능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리와인더에 처리 완료된 판상부재(p)가 감기게 되면 점차 외경이 증가되어 판상부재(p) 하부면과 보호필름(f)이 접촉되는 접촉부 간에 심한 높이 차이를 나타내게 된다. 이러한 높이 차이가 심하게 되면 판상부재(p)와 보호필름(f)의 접촉부에 변화를 유발하여 보호필름의 부착력을 떨어뜨릴 수 있고 판상부재의 장력에도 미소한 변화를 줄 수 있어 바람직하지 못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경우 작업 진행 정도에 따라 보호필름(f)과 판상부재(p)가 형성하는 접촉부의 높이가 리와인더에 감기는 판상부재의 직경변화에 추종하여 점차 높아지도록 하면서 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판상부재와 보호필름이 형성하는 접촉부의 높이 증가방안에 대해서는 후술할 연속처리장치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연속처리방법이 있어서 보다 바람직하게로는 상기 성형롤(100)과 평탄화롤러(200) 사이 공간에 판상부재(p) 상하면과 접촉되어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이물제거용패드(300)를 더 두도록 함이 좋다. 상기 평탄화롤러(200)로 진입하게 되는 판상부재(p)의 상하면에 미세한 이물질이 존재하게 되면 판상부재 자체에 대한 스크래치와 같은 손상을 유발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상기 평탄화롤러에도 흠집을 발생시킬 수 있으므로 상기 평탄화롤러(200)로 진입하기 전에 이물제거용패드(300)를 거치도록 하는 단계를 두므로서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이물제거용패드(300)는 부직포와 같은 합성섬유로 이루어진 것을 활용하는 것이 가능하고 가급적 주기적으로 이물제거용패드의 교체를 하도록 함이 적합하다.
다음으로는 본 발명에 의한 연속처리장치에 관해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하고자 한다. 본 연속처리장치는 언급한 연속처리방법이 구체적으로 적용되는 예에 해당되며 본 연속처리장치에 대한 이하 설명들은 연속처리방법에 대한 이해를 높여주는데 도움이 된다.
도2는 본 발명 연속처리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제시되는 전체적인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에 해당되며, 도3은 보호필름설치대에 대한 확대 사시도에 해당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속처리장치는 크게 성형롤(100), 평탄화롤러(200), 이물제거패드(300), 보호필름설치대(400) 및 필름부착베드(50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슬리팅 가공이 이루어진 판상부재(p)를 언와인더(미도시)에 설치하고서 연속적으로 공급시키면서 리와인더(미도시)에 다시 롤 상태로 감는 것으로 구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언와인더와 리와인더는 일반적인 기술에 해당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토록 한다.
롤 상태로 언와인더에 설치된 판상부재(p)는 성형롤(100)을 통과하게 되며, 슬리팅 가공 후의 판상부재의 좌우 절단면에는 날카로운 버어(b)가 존재하게 된다. 상기 성형롤(100)은 좌우 한쌍으로 이루어지는데 이러한 성형롤(100)은 소정의 간격을 두고 다수개를 두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10) 상면 일측에 성형롤(100)이 설치되며 제1성형롤(100a)과 제2성형롤(100b)을 두도록 한다. 상기 제1성형롤(100a)과 제2성형롤(100b)은 좌우 2개가 한쌍을 이루는 것으로 구성되며 상기 각각의 성형롤(100)들은 판상부재(p)와 접촉되면서 회전할 수 있도록 구속된다.
상기 각 성형롤(100)에는 판상부재(p)의 절단면이 끼워질 수 있는 성형홈(110)이 마련되며 상기 성형홈(110)은 연속적인 원을 이루고 있다. 상기 판상부재(p)가 성형롤(100)에 마련되는 성형홈(110)을 통과하게 되면 압축력을 받게 되며 이에 따라 판상부재(p)에 돌출되게 존재하는 버어(b)의 단부는 내측 방향으로 굽어지면서 변형이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판상부재(p)의 폭에 따라 좌우 한쌍의 성형롤(100)간 간격을 적절히 조정하여 판상부재(p)가 폭 방향으로 미소하게 소성변형이 유발될 정도로 가압할 수 있도록 함이 적합하다. 판상부재(p)의 절단면이 끼워지는 성형홈(110)의 형상에 따라 버어(b)의 단부가 변형되는 정도를 달리할 수 있으며 그리고 판재의 두께 등을 고려하여 적당한 형태로 성형될 수 있는 것으로 한다.
상기 성형롤(100)을 통과한 후의 판상부재(p)에 존재하는 버어(b)는 압축력에 의해 내측으로 굽어지면서 날카로움이 무뎌지게 변형되며 연이어 평탄화롤 러(200)로 진입하게 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성형롤(100)과 평탄화롤러(200) 사이에는 이물제거패드(300)가 구비되는 것으로 하는데 상기 이물제거패드(300)는 이동되는 판상부재(p)의 상하면과 접촉 상태를 이루어 표면에 부착된 각종 이물질을 제거하게 된다. 상기 이물제거패드는 부직포와 같은 것을 활용할 수 있으며 그 외 공지의 합성섬유 중에서 선택할 수 있다.
상기 이물제거패드(300)를 거친 판상부재(p)는 평탄화롤러(200)로 들어가게 되며, 상기 평탄화롤러(200)는 상하로 배치되어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면서 회전되는 원통형의 롤러이고 상기 판상부재가 평탄화롤러를 통과하게 되면 판상부재는 폭 방향으로 편평하게 가공된다. 동시에 상기 성형롤(100)에 의해 변형된 버어(b)는 압착되어 판상부재(p) 상면과 동일한 평면을 이루도록 가공된다. 상기 평탄화롤러는 별도의 구동모터(미도시)와 연결되어 회전하게 되면 상기 평탄화롤러의 회전력으로 인해 판상부재는 계속 이동될 수 있다.
상기 평탄화롤러(200)를 통과함에 따라 판상부재(p)에 존재하였던 버어(b)는 매끈하게 처리가 완료되며, 그 다음으로는 상기 판상부재(p)의 하부면에 보호필름(f)을 부착시키게 된다. 판상부재(p)와 보호필름(f)의 결합을 위해 상기 평탄화롤러(200) 후단에 보호필름설치대(400)를 두도록 하고 또한 상기 보호필름설치대(400) 상단부에는 필름부착베드(500)를 설치하도록 한다.
상기 보호필름설치대(400)는 평탄화롤러(200)를 기준으로 성형롤(100)의 반대측에 설치되는 것이며, 롤 상태로 감긴 보호필름뭉치(600)가 회전될 수 있도록 설치되는 것이다. 상기 보호필름뭉치(600)를 회전가능하게 설치하는 방안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보호필름뭉치(600)가 끼워지는 코어(c)를 두고 상기 코어(c)의 양단부면을 주축(410) 사이에 삽입시켜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고 있다. 특히, 어느 일측 주축(410)은 핸들(420)을 회전시킴에 따라 전후진 되어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여 상기 보호필름뭉치(600)의 설치가 용이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더 나아가 상기 보호필름설치대(400)의 상단부에는 판상부재(p) 하부면과 풀리게 되는 보호필름(f)간의 접촉면을 형성시켜주기 위한 필름부착베드(500)가 구비된다. 이를 위해 상기 보호필름설치대(400)에는 상측으로 길게 연장되는 좌우 포스트(430)를 두도록 하고 상기 포스트(430) 상단부에 필름부착베드(500)를 결합시키도록 한다. 보호필름뭉치(600)에 감긴 보호필름(f)은 후방을 향해 풀리게 되며 상기 필름부착베드(500)를 거쳐서 다시 전방으로 이동되는 경로를 가지게 된다.
상기 필름부착베드(500)의 보다 상세한 구조를 보면 쿠션플레이트(510), 보조패드(520), 유도봉(5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쿠션플레이트(510)는 볼록한 곡면을 이루는 판상체로서 하부면에 스프링(511)이 연결되어 소정의 범위내에서 상하로 유동이 이루어지는 것이며,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포스트(430)의 상단부에 연결되는 브라켓(512) 상면에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쿠션플레이트(510) 상면에는 부직포와 같은 소재로 된 보조패드(520)가 놓여지는데 상기 보조패드(520) 상면에 보호필름(f)이 접촉되면서 이동되며 상기 보호필름(f)에 묻은 이물이 제거될 수 있고 또한 쿠션을 보완하게 된다. 상기 유도봉(530)은 원통체를 갖는 것으로 상기 쿠션플레이트(510) 후방에 회전될 수 있게 설치되는 것이며 보호필름(f)의 의 진행경로를 변화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작용하게 된다. 즉, 상기 보호필름(f)을 판상부재(p) 하부면에 부착시키기 위해 후방으로 풀리도록 한 후 유도봉(530)을 거쳐서 다시 전방으로 진행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유도봉(530)을 구성함에 있어서 보다 바람직하게는 유도봉(530)의 표면에는 연속적인 요철(531)을 두도록 함이 적합하다. 상기 유도봉(530) 표면에 요철을 두게 되면 보호필름(f)의 진행 방향이 어느 일측으로 벗어나거나 하는 현상을 완화시킬 수 있음을 오랜 시험과 연구로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 평탄화롤러(200)를 통과한 판상부재(p)는 상기 보조패드(520) 상면으로 진입하게 되며 동시에 상기 판상부재(p)의 하부면은 상기 보조패드(520) 위에 놓여지는 보호필름(f)과 접촉면을 이루면서 상기 보호필름(f)의 부착이 이루어지고 상기 판상부재는 계속하여 이송되므로 연속적으로 보호필름(f)을 판상부재(p) 하부면에 부착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쿠션플레이트(510)는 스프링(511)에 의해 지지되므로 판상부재(p)의 하중을 적절히 완화시켜 주면서 보호필름(f)이 판상부재(p) 하부면에 잘 부착될 수 있도록 기능하게 된다.
상기 보호필름설치대(400)를 구성함에 있어서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보호필름설치대(400) 전체가 상하로 이동될 수 있도록 구성함이 적합하다. 이것은 최종적으로 리와인더에 보호필름이 부착된 판상부재가 다시 감김에 따라 점차 그 외경이 증대되므로 이에 추종하여 상기 보호필름설치대(400)를 적절히 상승시킬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본 실시예의 경우 수동 방식으로 보호필름설치대(400)의 높이가 조정될 수 있도록 구성하는데,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10) 상에 보호필름설치대(400)를 두되 프레임 하부면에 높이조절핸들(440)을 두고 상기 높이조절핸 들(440)과 연결되는 축의 상단에 보호필름설치대(400)를 연결하여 상기 높이조절핸들(440) 조작에 따라 상하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높이조절핸들(440)을 조작하면 보호필름뭉치(600)와 포스트(430)도 동일하게 위치조정이 이루어지고 상기 포스트(430) 상단에 설치되는 필름부착베드(500) 역시 상하로 이동하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연속처리장치 및 연속처리방법에 의하면 슬리팅 가공 후 절단면에 존재하게 되는 버어 처리가 매우 신속하면서도 간편하게 수행될 수 있고 연이어 표면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보호필름의 부착도 이루어지므로 생산성 향상에 큰 도움이 되며 불량품 발생의 가능성도 크게 낮출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연속처리방법 및 연속처리장치는 슬리팅 가공 후의 판상부재의 후처리 및 표면보호 작업을 위한 용도에 매우 적합한 전용장치로 널리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도1은 본 발명 연속처리방법의 전체적인 작업 공정도.
도2는 본 발명 연속처리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제시되는 전체적인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3은 보호필름설치대에 대한 확대 사시도.
<도면에 사용된 주요부호에 대한 설명>
100 : 성형롤 110 : 성형홈
200 : 평탄화롤러 300 : 이물제거용패드
400 : 보호필름설치대 410 : 주축
420 : 핸들 430 : 포스트
440 : 높이조절핸들 500 : 필름부착베드
510 : 쿠션플레이트 520 : 보조패드
530 : 유도봉 600 : 보호필름뭉치
p : 판상부재 b : 버어
c : 코어 f : 보호필름
10 : 프레임

Claims (6)

  1. 슬리팅 가공으로 버어가 생성된 판상부재의 절단면이 성형롤에 구비되는 성형홈을 통과하도록 하여 상기 성형홈의 형상과 같이 상기 버어가 내측방향으로 굽어지게 변형시킨 후,
    상기 판상부재를 상하로 이격거리를 두고 배치되어 회전되는 한쌍의 평탄화롤러 사이로 공급되게 함으로써 내측으로 굽혀진 상기 버어를 압착시켜 평면을 이루도록 하고,
    상기 판상부재 하부면에 보호필름을 접촉시켜서 판상부재를 연속적으로 이동시킴에 따라 보호필름이 상기 판상부재에 부착되어 보호막을 형성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슬리팅 절단면 버어처리 및 보호막 형성을 위한 연속처리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상부재는 언와인더에 롤 상태로 설치되어 풀리면서 연속적으로 공급되고 상기 보호필름이 부착된 후에는 리와인더에 다시 롤 상태로 감기도록 하되,
    작업 진행에 따라 상기 리와인더에 감기는 판상부재의 직경변화에 추종하여 상기 판상부재와 보호필름의 접촉이 이루어지는 접촉부의 높이를 점차 높이면서 진행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리팅 절단면 버어처리 및 보호막 형성을 위한 연속처리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롤과 평탄화롤러 사이에 이동되는 판상부재의 상하면과 접촉되어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이물제거용패드를 통과하도록 하는 단계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리팅 절단면 버어처리 및 보호막 형성을 위한 연속처리방법.
  4. 프레임 상면에 슬리팅 가공된 판상부재의 절단면이 끼워지는 성형홈이 구비되어 절단면에 형성된 버어의 단부를 내측으로 굽어지게 변형시키는 한쌍 이상의 성형롤;
    상기 성형롤에 의해 변형된 버어를 압착시켜 편평한 판상이 되도록 가압하는 평탄화롤러;
    상기 성형롤과 평탄화롤러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판상부재 상하면과 접촉되면서 표면의 이물질을 제거하게 되는 이물질제거패드;
    상기 평탄화롤러를 기준으로 성형롤의 반대측에 형성되는 것으로 롤 상태로 감긴 보호필름뭉치가 회전될 수 있도록 하는 보호필름설치대;
    상기 보호필름설치대 상단부에 결합되어 이동되어오는 판상부재 하부면에 상기 보호필름이 부착될 수 있도록 접촉면을 형성시켜주는 필름부착베드;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슬리팅 절단면의 버어처리 및 보호막 형성을 위한 연속처리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부착베드는,
    볼록한 곡면을 이루며 하부면에 스프링이 연결되어 상하로 유동이 이루어질 수 있는 쿠션플레이트;
    상기 쿠션플레이트 상면에 놓여져 필름 외면과 접촉되면서 이물제거 및 쿠션을 보완하게 되는 보조패드;
    상기 쿠션플레이트 하부를 거쳐서 보조패드 상면으로 보호필름의 이동방향이 전환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유도봉;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리팅 절단면의 버어처리 및 보호막 형성을 위한 연속처리장치.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필름설치대는,
    상하로 위치 이동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슬리팅 절단면의 버어처리 및 보호막 형성을 위한 연속처리장치.
KR1020080007376A 2008-01-24 2008-01-24 슬리팅 절단면 버어처리 및 보호막 형성을 위한연속처리방법과 연속처리장치 KR1008401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7376A KR100840120B1 (ko) 2008-01-24 2008-01-24 슬리팅 절단면 버어처리 및 보호막 형성을 위한연속처리방법과 연속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7376A KR100840120B1 (ko) 2008-01-24 2008-01-24 슬리팅 절단면 버어처리 및 보호막 형성을 위한연속처리방법과 연속처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40120B1 true KR100840120B1 (ko) 2008-06-19

Family

ID=397720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7376A KR100840120B1 (ko) 2008-01-24 2008-01-24 슬리팅 절단면 버어처리 및 보호막 형성을 위한연속처리방법과 연속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40120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716940A (zh) * 2012-06-06 2012-10-10 芜湖鑫泰铜业有限公司 一种铜带左右压平矫正装置
KR101280352B1 (ko) 2011-12-27 2013-07-01 주식회사 포스코 이물질 부착이 방지되는 전자기 초음파 센서
KR101683159B1 (ko) * 2015-06-26 2016-12-06 (주)엔에스 필름 제품용 유착 제거 장치
CN109968887A (zh) * 2019-04-23 2019-07-05 佛山市高明区捷丰裕金属制品有限公司 一种新型板材压纹机
CN111842568A (zh) * 2020-07-30 2020-10-30 山东劳动职业技术学院(山东劳动技师学院) 一种用于钢结构生产的卷板机
CN113042569A (zh) * 2019-12-27 2021-06-29 泰州元春不锈钢板业有限公司 一种扁钢去毛刺校直机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28230A (ja) 1982-01-27 1983-07-30 Hitachi Ltd プレス部品のかえり除去加工方法
JPH07314016A (ja) * 1994-05-30 1995-12-05 Kawasaki Steel Corp マッシャロール装置ならびにその運転方法
JPH0879996A (ja) * 1994-09-08 1996-03-22 Sankyo Seiki Mfg Co Ltd モータのコア
KR960025510U (ko) * 1994-12-23 1996-07-22 아남산업주식회사 버어 압착장치
KR20020031211A (ko) * 2000-10-23 2002-05-01 이구택 롤각도 조정이 용이한 강판의 버 제거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28230A (ja) 1982-01-27 1983-07-30 Hitachi Ltd プレス部品のかえり除去加工方法
JPH07314016A (ja) * 1994-05-30 1995-12-05 Kawasaki Steel Corp マッシャロール装置ならびにその運転方法
JPH0879996A (ja) * 1994-09-08 1996-03-22 Sankyo Seiki Mfg Co Ltd モータのコア
KR960025510U (ko) * 1994-12-23 1996-07-22 아남산업주식회사 버어 압착장치
KR20020031211A (ko) * 2000-10-23 2002-05-01 이구택 롤각도 조정이 용이한 강판의 버 제거장치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0352B1 (ko) 2011-12-27 2013-07-01 주식회사 포스코 이물질 부착이 방지되는 전자기 초음파 센서
CN102716940A (zh) * 2012-06-06 2012-10-10 芜湖鑫泰铜业有限公司 一种铜带左右压平矫正装置
KR101683159B1 (ko) * 2015-06-26 2016-12-06 (주)엔에스 필름 제품용 유착 제거 장치
CN109968887A (zh) * 2019-04-23 2019-07-05 佛山市高明区捷丰裕金属制品有限公司 一种新型板材压纹机
CN109968887B (zh) * 2019-04-23 2024-05-24 佛山市高明区捷丰裕金属制品有限公司 一种新型板材压纹机
CN113042569A (zh) * 2019-12-27 2021-06-29 泰州元春不锈钢板业有限公司 一种扁钢去毛刺校直机
CN111842568A (zh) * 2020-07-30 2020-10-30 山东劳动职业技术学院(山东劳动技师学院) 一种用于钢结构生产的卷板机
CN111842568B (zh) * 2020-07-30 2022-04-08 山东劳动职业技术学院(山东劳动技师学院) 一种用于钢结构生产的卷板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40120B1 (ko) 슬리팅 절단면 버어처리 및 보호막 형성을 위한연속처리방법과 연속처리장치
EP3612351B1 (de) Verfahren zum partiellen schleifen einer oberfläche sowie schleifeinrichtung zur durchführung des verfahrens
US20130237135A1 (en) Disc sander for deburring and/or rounding of metal work pieces
EP1679739B1 (en) Sheet-peeling device and method
KR101591260B1 (ko) 정정 설비
CN114454367A (zh) 硅棒切割方法、设备及系统
TW201607714A (zh) 複合基板之分斷方法及分斷裝置
JP2008063059A (ja) 粘着シート貼付装置
EP1747850B1 (en) Apparatus for and method of producing buff tapes
KR101218330B1 (ko) 표면 가공장치
JP2010082775A (ja) かえり無しトリミング設備、冷延鋼帯の製造設備およびその製造方法
DE20314840U1 (de) Vorrichtung zum Einführen von Bandmaterial und Besäumen der Bandkanten für Bandbearbeitungsmaschinen, insbesondere Feinband- und Folienwalzwerke
JP5050131B1 (ja) スリッタスタンド及びスリッタライン
JP4857762B2 (ja) 金属帯の表面欠陥防止方法および表面欠陥防止設備
CN113752721A (zh) 附加料件加贴装置及带有该装置的装订系统
KR101706323B1 (ko) 롤 스크래퍼
KR20120000604A (ko) 웨이퍼 링의 테이핑 방법과 그 장치
JP2010284782A (ja) ワイヤーソー
JP5988365B2 (ja) ウエーハ表面のうねり減少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H08243907A (ja) ヘアライン仕上げ金属帯の製造方法および装置
CA1056707A (en) Method and machine for bending flat strip to a cylindrical shape
JP7384046B2 (ja) ガラス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4274638B2 (ja) 金属帯板のバリ取り方法及びその装置
KR200215179Y1 (ko) 스트립 코일의 엔드마크 방지장치
KR101656319B1 (ko) 회전롤 표면 부착물 제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5

Year of fee payment: 12